KR200272541Y1 -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541Y1
KR200272541Y1 KR2020010031464U KR20010031464U KR200272541Y1 KR 200272541 Y1 KR200272541 Y1 KR 200272541Y1 KR 2020010031464 U KR2020010031464 U KR 2020010031464U KR 20010031464 U KR20010031464 U KR 20010031464U KR 200272541 Y1 KR200272541 Y1 KR 200272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seat
webbing
belt
gu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근
Original Assignee
김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근 filed Critical 김보근
Priority to KR2020010031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5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541Y1/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벨트의 높이와 간격을 보다 원활하게 조절하여 보호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은, 시트백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수직하게 고정되며 길이방향의 전면에는 다수의 고정홈이 구비된 수직레일; 수직레일에 슬라이딩되도록 수직안내로울러에 의해 결합되며 일측 단부에는 리트렉터가 결합되어 승,하강하면서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어퍼웨빙가이더; 시트쿠션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며 길이방향의 일측 전면에는 다수의 고정홈이 구비된 제1, 제2 수평레일; 제1, 제2 수평레일에 슬라이딩되도록 제1, 제2 수평안내로울러에 의해 결합되며 하나의 단부에는 시트벨트의 타단이,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버클이 고정되어 두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시트벨트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 어퍼웨빙가이더 및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의 수직이동과 수평이동을 제한하는 높이조절봉 및 간격조절봉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어린이 또는 앉은키와 체구가 작은 탑승자라도 시트벨트가 가슴부위에 정확하게 걸쳐져 착용되어지고, 또한 허리부위를 가장 알맞은 지지력으로 구속하여 줌으로써, 벨트의 착용감 향상과 어린이 및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APPARATUS FOR POSITION REGULATION OF SAFETY BELTS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에 타고 있는 운전자 및 조수석의 탑승자를 각종 접촉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앉은키 및 체구에 따라 시트벨트의 높이는 물론 벨트와 시트백과의 간격을 보다 원활하게 조절이 되도록 하여 자동차의 접촉사고나 급제동 시에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고 또한 벨트 착용의 편리성을 양립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에 장착되는 시트벨트는 자동차의 접촉사고, 추돌 및 급제동 시에 탑승자의 몸을 구속하여 머리가 유리창 또는 운전석의 스티어링휠 또는 데시보드에 부딪히거나 몸이 창 밖으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교통사고의 피해를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시트벨트는 차체와 시트에 연결되는 지점의 개수에 따라 시트의 양쪽에 고정되어 허리만을 구속·지지하는 2정방식의 시트벨트와, 자동차 내의 센타 필라 트림과 시트의 한쪽 모서리에 고정·결합되어 허리와 어깨부위를 구속·지지하는 3정방식의 시트벨트가 있다. 통상 안전상 및 착용의 편의상 3정방식의 시트벨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3정방식의 시트벨트는 그 지지점이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체형이 큰 성인에 알맞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체형이 작은 성인 또는 어리이가 시트에 착석하는 경우에는 시트의 고정 지지점과 어린이의 체격사이즈가 맞지 않아 안전을 위한 시트벨트의 역할을 다하지 못할 뿐 아니라 시트벨트가 어깨 및 가슴부위에 위치하지 못하고 얼굴부위 또는 목부위에 위치하여 벨트를 멜때에 불편함은 물론 급제동이나 충돌 시에 어린이 신체에 심각한 상해를 입히는 등 안전상에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3정방식의 시트벨트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보다 안전하게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하는 시트벨트의 높이 조절장치가 많이 개발되어 제품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시트벨트의 높이 조절장치들 중의 한 예로써,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 64-40751호에 의하면, 복수의 감합공이 형성되어 차체의 센터필라 트림에 고정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홀더에 부착된 너트를 갖는 슬라이더와, 상기 홀더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끝단부가 상기 레일의 감합공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락(Lock)핀과, 상기 홀더내에 끼워져 상기 락핀이 항상 한쪽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스프링과, 원단이 상기 락핀의 축부에 관통한 스토퍼에 감합되어 중간부에서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락해제레버와, 웨빙을 지지하고 너트에 의해 홀더에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시트벨트가 감압되어 상기 레일을 중심으로 상기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주는 앵커와, 상기 락해제레버의 잠김을 해제시켜 주는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 조절장치는, 탑승자가 체형에 맞게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락해제레버의 일측이 눌리면서 회동을 하고, 그 락해제레버의 타측은 스토퍼를 사이에 두고 연결된 락핀을 밀어줌으로써, 상기 락핀이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레일의 감합공에서 잠김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시트벨트가 감압되어 있는 앵커가 레일을 따라 수직상향 또는 수직하향으로 이동을 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잠김이 이루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시트벨트의 높이가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 조절장치는 허리벨트의 버클은 차체의 바닥에 고정되고 어깨 또는 가슴벨트는 차체의 센터필라 트림에 고정된 레일을 따라 높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어, 이로 인하여 시트와 차체와의 간격 또는 상기 차체의 센터필라 트림에 수직으로 고정된 레일과 시트와의 위치, 즉 탑승자의 체구에 따라 시트백(등받이)이 상기 레일과 일직선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레일을 중심하여 시트백이 앞 또는 뒤에 위치하게 될 때, 가슴벨트 및 허리벨트가 탑승자의 가슴 및 허리부위를 강력하게 구속·지지하거나 또는 너무 느슨하게 구속·지지하는 등 시트벨트의 정확한 위치 조절에 한계가 있고, 특히 시트백이 레일에 대하여 뒤로 많이 젖혀져 위치할 때 가슴벨트는 체형이 작은 탑승자의 어깨 또는 가슴에 걸쳐져 구속하지 못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착용되며, 그리고 허리벨트는 탑승자의 허리를 보다 강력하게 구속하게 되는 문제점 등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기 시트벨트의 높이 조절범위가 작은 관계로 인하여 체형이 작은 운전자가 시트에 착석 시에 가슴 및 어깨에 걸쳐지는 벨트가 운전자의 목부위에 위치하게 되고, 특히 어린이가 조수석에 앉아 벨트를 맬때에는 얼굴부위 및 목부위로 벨트가 위치하게 되어 있어 벨트의 착용에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이것에 의해 벨트의 착용을 기피하여 급제동 또는 충돌 시에 어린이 신체에 심각한 상해를 입히게 되는 등 안전성에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린이용 안전시트를 별도로 구입하여 어린이가 탑승 때마다 설치 및 해체해 주어야 하는 또다른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치유하면서도 기능 면에 있어서는 시트벨트의 높이는 물론 시트벨트와 시트백과의 간격까지도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벨트를, 그리고 신뢰성 면에 있어서는 어린이 및 어른의 체형에 맞도록 시트벨트의 높이 및 간격조절의 범위가 확대된 자동차용 시트벨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 및 어린이 등의 탑승자 체형에 따라 어깨 및 가슴을 구속 지지하는 가슴벨트의 높이는 물론 허리를 감싸 지지하는 허리벨트의 간격까지 보다 원할하게 조절이 되도록 하여 자동차의 급제동 또는 접촉사고 시에 탑승자 신체의 안전성을 높이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는 탑승자의 가슴부위와 어깨부위에 걸쳐지는 가슴벨트의 일단부를 시트백의 일측 단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가슴벨트에 구비된 탱크 플레이트를 시트쿠션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버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어린이 또는 앉은키 및 체구가 작은 탑승자도 불편없이 상기 가슴벨트가 정확한 위치에 착용되어지도록 시트백의 일측 단부를 중심하여 수직 승,하강 조절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어린이 또는 체형이 작은 탑승자의 허리를 가장 알맞는 지지력으로 구속하여 벨트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위치조절장치는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가슴벨트와 일체로 연결된 허리벨트를 시트쿠션의 양측 단부를 중심으로 수평 이동시켜 조절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시트벨트 위치 조절장치의 조립공정을 줄이면서 시트벨트의 높이와 위치를 보다 손쉽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위치 조절장치는 시트벨트가 자동차 내의 일측 벽 상단과 차체의 바닥에 고정되는 것을 배제하고 시트백과 시트쿠션에 결합된 수직레일 및 수평레일을 따라 수직 및 수평이동 가능하록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조절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어 보인 구성도로서,
도 1은 상기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된 시트벨트의 위치조절장치를 좌측에서 바라 본 도이고,
도 2는 상기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된 시트벨트의 위치조절장치를 우측에서 바라 본 도이고,
도 3은 도 1의 수직레일과 이에 결합된 리트렉터 및 이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되는 가슴벨트 및 어퍼웨빙가이더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1 수평레일과 이에 결합된 제1 로워웨빙가이더 및 이 로워웨빙가이더에 고정된 허리벨트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제2 수평레일과 이에 결합된 제2 로워웨빙가이더 및 이 로워웨빙가이더에 고정된 버클을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 및 도 3의 수직레일에 결합된 리트렉터 및 롤형의 시트벨트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 및 도5의 수평레일을 횡방향으로 절단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1 및 도 2의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직레일 102 : 고정홈
110 : 제1 수평레일 120 : 제2 수평레일
130 : 어퍼웨빙가이더 132 : 수직안내로울러
136 : 높이조절봉 140 : 제1 로워웨빙가이더
142 : 제1 수평안내로울러 146 : 제1 간격조절봉
150 : 제2 로워웨빙가이더 152 : 제2 수평안내로울러
156 : 제1 간격조절봉 160 : 리트렉터
162 : 시트벨트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에 의하면,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되는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시트벨트에 있어서: (1) 시트백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수직하게 결합되며 그 길이방향의 일측 전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홈이 구비된 수직레일; (2) 상기 수직레일에 이탈이 없도록 수직안내로울러에 의해 끼워져 결합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리트렉터가 결합되어 상기 수직레일을 따라 승,하강 하면서 시트벨트의 인출 안내와 높낮이를 조절하는 통공을 갖는 어퍼웨빙가이더; (3) 시트쿠션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일정 길이를 가지고 상호 수평되게 결합되며 그 길이방향의 일측 전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고정홈이 각각 구비된 제1, 제2 수평레일; (4) 상기 제1, 제2 수평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각각 제1, 제2 수평안내로울러에 의해 끼워져 결합되며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시트벨트의 타단이,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시트벨트에 구비된 탱크 플레이트가 착탈되는 버클이 고정되어 상기 두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시트백에 대해 상기 시트벨트의 간격을 조절하는 통공을 갖는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 및 (5) 상기 어퍼웨빙가이더 및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의 수직이동과 수평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대향하는 고정홈과 통공에 선택적으로 각각 끼워지는 높이조절봉 및 제1, 제2 간격조절봉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직레일과 상기 수직안내로울러의 사이 및 제1, 제2 수평레일과 제1, 제2 수평안내로울러의 사이에 플라스틱제의 슬립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어퍼웨빙가이더와 상기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의 수직 및 수평이동 시에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직레일 및 제1, 제2 수평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시트백 및 시트쿠션의 천을 상기 수직레일 및 제1, 제2 수평레일의 길이 부분까지 절개·연장하여 덮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어퍼웨빙가이더의 이동범위는 상기 시트백의 상단부에서부터 그 시트백의 중앙부까지 수직이동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시트벨트를 인출하는 리트렉터를 가지고 시트백의 수직레일에 결합되는 어퍼웨빙가이더를 탑승자의 앉은키에 따라 상기 수직레일을 중심으로 승, 하강시켜 시트벨트(가슴벨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시트쿠션의 제1, 제2 수평레일에 결합된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를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백에 대해 전, 후방으로 이동시켜 시트벨트(허리벨트)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상기 어퍼웨빙가이더와 상기 제1 로워웨빙가이더 사이에 구비된 탱크 플레이트를 상기 제2로워웨빙가이터에 구비된 버클에 끼워줌으로써, 시트벨트의 높이와 간격이 조절되어 유지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어린이 또는 앉은 키와 체구가 작은 탑승자라도 상기 가슴벨트가 정확한 위치에 걸쳐저 착용되어질 뿐 아니라 허리를 가장 알맞는 지지력으로 구속하여 줌으로써, 벨트의 착용감이 좋아져 벨트착용의 기피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것에 의해 어린이 및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된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를 좌측에서 바라 본 도이고, 도 2는 상기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된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를 우측에서 바라 본 도이며, 도 3은 도 1의 수직레일과 이에 결합된 리트렉터 및 이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되는 가슴벨트와 어퍼웨빙가이더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1 수평레일과 이에 결합된 제1 로워웨빙가이더 및 이 로워웨빙가이더에 고정된 허리벨트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의 제2 수평레일과 이에 결합된 제2 로워웨빙가이더 및 이 로워웨빙가이더에 고정된 버클을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확대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차 내에 구비된 시트백(170) 프레임 일측 단부에 일정 길이로 수직하게 고정되며 일측 전면에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홈(102)이 구비됨과 아울러 그 길이방향으로 수직가이드홈(104)이 연속으로 형성되어진 수직레일(100)과, 시트백(170) 프레임에 고정된 수직레일(100)의 수직가이드홈(104)에 이탈됨이 없이 수직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수직안내로울러(132)와, 수직안내로울러(132)와 축핀(134)으로 결합되며 일측 단부에는 시트벨트(162)를 인출하는 리트렉터(160)가 결합되어 수직레일(100)을 따라 승, 하강하면서 시트벨트(162)를 가이드공(139)을 통해 인출·안내하고 또한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앉은키에 알맞게 상기 시트벨트(가슴벨트: 162a)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주는 통공(138)을 갖는 어퍼웨빙가이더(130)와, 시트쿠션(180)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각각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상호 수평하게 고정되며 일측 전면에는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홈(112)(122)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길이방향으로 제1, 제2 수평가이드홈(114)(124)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진 제1, 제2 수평레일(110)(120)과, 제1, 제2 수평가이드홈(114)(124)에 이탈됨이 없이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제1, 제2 수평안내로울러(142)(152)와, 제1, 제2 수평안내로울러(142)(152)에 각각 축핀(144)(154)으로 결합되며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시트벨트(162)의 타단이,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시트벨트(162)에 구비된 탱크 플레이트(190)가 원터치로 착탈되도록 버클(200)이 고정되어 제1, 제2 수평레일(110)(120)의 제1, 제2 수평가이드홈(114)(124)을 따라 각각 수평이동을 하면서 시트백(170)에 대하여 상기 시트벨트(허리벨트: 162b)의 간격을 조절하는 하나의 통공을 갖는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140)(150)와,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앉은키 또는 체구에 따라 가슴벨트(162a)의 높이와 허리벨트(162b)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 어퍼웨빙가이더(130) 및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140)(150)의 통공(138)과 이와 대향하는 수직레일(100) 및 제1, 제2 수평레일(110)(120)의 고정홈(102)(112)(122)들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어퍼웨빙가이더(130),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140)(150)의 수직이동과 수평이동을 구속하는 높이조절봉(136) 및 제1, 제2 간격조절봉(146)(15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에서 수직레일(100)과 수직안내로울러(132)의 사이 및 제1, 제2 수평레일(110)(120)과 제1, 제2 수평안내로울러(142)(152)의 사이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퍼웨빙가이더(130),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140)(150)의 수직 및 수평 이동시에 발생되는 마찰과 그 마찰소음을 줄이기 위해 각각 내부 표면이 매끄럽게 처리된 사각통형상의 플라스틱제의 슬립부재(210)(220)를 개재시켜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하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백(170) 프레임의 수직레일(100)에 결합된 어퍼웨빙가이더(130)와 시트쿠션(180) 프레임의 제1 수평레일(110)에 결합된 제1 로워웨빙가이더(140)와의 사이에 시트벨트(162)가 대각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 혹은 승객이 자동차에 승차하여 시트에 앉은 후 어퍼웨빙가이더(130)와 제1 로워웨빙가이더(140) 사이의 시트벨트(162)에 구비된 탱크 플레이트(190)를 잡아당기면, 도 3에서와 같이 어퍼웨빙가이더(130)의 일단부에 결합된 리트렉터(160)로부터 시트벨트(162)가 풀어져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퍼웨빙가이더(130)에 형성된 가이드공(139)를 통해 인출·안내되며, 이와 같이 시트벨트(160)가 인출된 상태에서 전술한 탱크 플레이트(190)를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시트쿠션(180)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된 제2 로워웨빙가이더(150)의 버클(200)에 원터치로 끼워 상기한 시트벨트(162)를 착용한다.
그리고 시트벨트(162)를 착용한 운전자 및 탑승자의 신체조건, 즉 탑승자 및 운전자의 앉은키와 체구에 알맞도록 시트벨트(162), 즉 어깨부위 또는 가슴부위에 걸쳐져 구속하여 주는 가슴벨트(162a)의 높이와 허리부위에 걸쳐져 구속하여 주는 허리벨트(162b)의 간격을 전, 후방으로 이동시켜 조절하고자 할 경우, 먼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퍼웨빙가이더(130)를 수직레일(100)에 고정하고 있는 높이 조절봉(136)을 분리시킨 다음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어퍼웨빙가이더(130)에 있는 높이조절봉(136)을 잡고 수직레일(100)에 대해 수직하향 또는 수직상향으로 이동시키면 축핀(134)에 의해 어퍼웨빙가이더(130)와 결합된 수직안내로울러(132)가 수직레일(100)의 수직가이드홈(104)에 부착된 사각통형상의 슬립부재(210)에 접촉하면서 수직하향 및 수직상향 이동함으로서, 마찰 및 그 마찰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즉 다시 말해서, 슬립부재(210)는 플라스틱제로서, 그 내부 표면이 매끄럽게 처리되어 있어, 수직안내로울러(132)가 수직이동할 때 마찰과 그 마찰 소음이 최소화 되는 것이다.
이후 전술한 어퍼웨빙가이더(130)가 원하는 높이까지 이동되었으면 그 원하는 높이에서의 어퍼웨빙가이더(130)에 형성된 통공(138)과 수직레일(100)에 형성된 고정홈(102)과를 일치시킨 다음 이에 높이조절봉(136)을 끼워서 고정하는 것에 의해 가슴벨트(162a)의 높이가 도 8과 같이 조절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의 정확한 위치, 즉 가슴부위에 착용되어 진다.
한편, 운전자 및 탑승자가 시트벨트(162)의 간격, 즉 허리부위에 걸쳐져 구속하여 주는 허리벨트(162b)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2 수평레일(110)(120)의 고정홈(112)(122)과 이와 대향하는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140)(150)의 통공에 끼워져 그 두 로워웨빙가이더를 위치·고정하고 있는 간격조절봉(146)(156)을 각각 분리시킨 다음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140)(150)에 있는 간격조절봉(146)(156)을 잡고 시트백(170)에 대해 전, 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 축핀(144)(154)에 의해서 각각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140)(150)와 결합되어진 제1, 제2 수평안내로울러(142)(152)가 제1, 제2 수평레일(110)(120)의 제1, 제2 수평가이드홈(114)(124)에 부착되어 있고 또한 마찰과 소음을 줄이기 위해 내부표면이 매끄럽게 처리된 플라스틱제의 슬립부재(220)와 접촉을 하면서 허리벨트(162b)와 함께 시트백(170)에 대해 전, 후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제1, 제2 수평안내로울러(142)(152)가 도 7에 나타내는 제1, 제2 수평레일(110)(120)의 슬립부재(220)에 접촉을 하면서 수평이동을 함으로써, 마찰과 그 마찰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한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140)(150)가 원하는 위치까지 수평이동 되었을 경우, 즉 다시 말해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140)(150) 사이의 허리벨트(162b)가 운전자 및 탑승자의 허리부위에 적당한 지지력으로 걸쳐진 상태가 되었으면, 그 위치에서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140)(150)에 형성된 통공과 이와 대향하도록 제1, 제2 수평레일(110)(12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112)(122)에 각각 간격조절봉(146)(156)을 끼워서 고정하는 것에 의해 허리벨트(162b)의 간격이 도 9와 같이 조절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의 허리부위에 알맞는 지지력으로 착용되어진다.
이와 같이,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앉은키와 체구에 따라 수직레일(100) 및 제1, 제2 수평레일(110)(120)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진 다수의 고정홈(102)(112)(122)을 선택하여 높이조절봉(136)과 두 간격조절봉(146)(156)을 끼워 고정하여 줌으로써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가슴벨트(162a)의 높이와 허리벨트(162b)의 간격이 단계적으로 조절이 되어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직레일(100)과 제1, 제2 수평레일(110)(120)이 미관상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시트백(170) 및 시트쿠션(180)의 겉 천을 수직레일(100)과 제1, 제2 수평레일(110)(120)의 길이부분까지 절개·연장하여 덮어줄 수 있고, 또한 어퍼웨빙가이더(130)의 수직 이동범위는 가능한 어린이가 상기 시트쿠션에 착석했을 때, 가슴벨트(162a)가 어깨부위를 통해 가슴부위에 정확하게 걸쳐져 착용이 되어지도록 시트백(170)의 상단부에서부터 상기 시트백의 중앙부까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슴벨트(162a)의 높이와 허리벨트(162b)의 간격을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앉은키 및 체구에 따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가장 알맞는 조건으로 착용함으로써, 벨트착용의 기피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것에 의해 어린이를 포함한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시트벨트의 버클이 차체의 바닥에 고정되고 또한 시트벨트를 인출하는 리트렉터가 차체에 고정된 후에 앵커를통해서 차체의 센터필라 트림에 수직하게 고정된 레일을 따라 높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탑승자의 어깨부위와 가슴부위에 걸쳐지는 가슴벨트를 시트백의 일측 단부에 수직이동 가능하도록 리트렉터와 함께 결합하고 가슴벨트와 일체로 연결되어 허리를 감싸주는 역할을 하는 허리벨트를 시트쿠션의 양측 단부에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탑승자의 앉은키 및 체구에 알맞게 가슴벨트의 높이는 물론 허리벨트의 간격까지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어린이 또는 앉은키와 체구가 작은 탑승자라도 가슴벨트가 정확한 위치에 걸쳐져 착용되어지고, 또한 허리부위를 가장 알맞은 지지력으로 구속하여 줌으로써, 벨트의 착용감이 향상되어져 벨트착용을 기피하는 현상이 없어지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어린이 및 탑승자가 보다 안전하게 보호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에 의하면, 가슴벨트를 리트렉터와 함께 시트백의 일측 단부에 수직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또한 허리벨트를 시트쿠션의 양측 단부에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가슴벨트의 높이와 허리벨트의 간격이 단계적으로 조절되도록 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어린이 또는 앉은키와 체구가 작은 탑승자라도 가슴벨트가 정확한 위치에 걸쳐져 착용되어질 뿐 아니라 허리부위를 가장 알맞은 지지력으로 구속하여 줌으로써, 벨트의 착용감이 보다 향상되어져 벨트착용의 기피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이것에 의해서 급제동 또는 접촉사고 시에 어린이 및 탑승자가 보다 안전하게 보호되어 짐은 물론 안락한 여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체내의 센타필라 트림에 고정된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되는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시트벨트에 있어서:
    (1) 시트백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일정 길이로 수직하게 결합되며 그 길이방향의 일측 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홈이 구비된 수직레일;
    (2) 상기 수직레일에 이탈됨이 없도록 수직안내로울러에 의해 끼워져 결합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리트렉터가 결합되어 상기 수직레일을 따라 승,하강 하면서 시트벨트의 인출 안내와 높낮이를 조절하는 통공을 갖는 어퍼웨빙가이더;
    (3) 시트쿠션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일정 길이로 수평되게 결합되며 그 길이 방향의 일측 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홈이 구비된 제1, 제2 수평레일;
    (4) 상기 제1, 제2 수평레일에 이탈됨이 없도록 각각 제1, 제2 수평안내로울러에 의해 끼워져 결합되며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시트벨트의 타단이,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시트벨트에 구비된 탱크 플레이트가 착탈되는 버클이 고정되어 상기 두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시트백에 대해 상기 시트벨트의 간격을 조절하는 통공을 갖는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 및
    (5) 상기 어퍼웨빙가이더 및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통공과 이에 대향하는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각각 끼워지는 높이조절봉 및 제1, 제2 간격조절봉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레일과 상기 수직안내로울러의 사이 및 상기 제1, 제2 수평레일과 제1, 제2 수평안내로울러의 사이에 각각 내부 표면이 매끄럽게 처리된 플라스틱제의 슬립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어퍼웨빙가이더와 상기 제1, 제2 로워웨빙가이더의 수직 및 수평이동 시에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레일 및 제1, 제2 수평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시트백 및 시트쿠션의 천(sheet)을 상기 수직레일 및 제1, 제2 수평레일의 길이부분까지 절개·연장하여 덮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웨빙가이더의 이동범위는 상기 시트백의 상단부에서부터 그 시트백의 중앙부까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
KR2020010031464U 2001-10-15 2001-10-15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 KR200272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464U KR200272541Y1 (ko) 2001-10-15 2001-10-15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464U KR200272541Y1 (ko) 2001-10-15 2001-10-15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541Y1 true KR200272541Y1 (ko) 2002-04-20

Family

ID=7311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464U KR200272541Y1 (ko) 2001-10-15 2001-10-15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54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356B1 (ko) 2015-03-30 2016-08-25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위치 연동 안전 벨트 조절 시스템
KR200491287Y1 (ko) * 2019-06-07 2020-05-15 심규원 차량의 어린이용 안전벨트
CN116061870A (zh) * 2023-02-22 2023-05-05 联德精密材料(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安全带组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356B1 (ko) 2015-03-30 2016-08-25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위치 연동 안전 벨트 조절 시스템
KR200491287Y1 (ko) * 2019-06-07 2020-05-15 심규원 차량의 어린이용 안전벨트
CN116061870A (zh) * 2023-02-22 2023-05-05 联德精密材料(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安全带组件
CN116061870B (zh) * 2023-02-22 2023-09-05 联德精密材料(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安全带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5010A (en) Seat integrated seat belt system
KR200272541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
JP2010208466A (ja) シートベルト位置調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438201B1 (ko) 시트 일체형 안전벨트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체결방법
JP3375481B2 (ja) 乗物用座席
JPH09136612A (ja) 3点ベルトマウントシート
US6899353B2 (en) Vehicle seat belt device
DE102006062668A1 (de) Vierpunkt-Körpersicherheitsgurt ("Vierpunktgurt")
JPH0537611U (ja) シートベルトの調節装置
KR19990020387U (ko) 유아 보호용 4점식 시트벨트
JP3649425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WO2001012464A1 (en) Vehicle rapid deceleration related injury-counteracting equipment
JP2006103402A (ja) 乗員腰部拘束装置
KR200145913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높이조정장치
KR0133480Y1 (ko)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KR20060055659A (ko) 차량용 시트의 웨빙가이드 장치
JP2007112198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CN107554478B (zh) 包括偏转元件的机动车辆及其相关方法
KR200143797Y1 (ko)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장치
KR100429021B1 (ko)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KR960010527Y1 (ko) 높이조절 가능한 안전벨트
KR100366594B1 (ko) 유아용 시트벨트
GB2336136A (en) A seat arrangement and a harness therefor
JP2856508B2 (ja) 自動車のシート構造
KR19980068149U (ko)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