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178B1 - 보존력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보존력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178B1
KR101730178B1 KR1020140168391A KR20140168391A KR101730178B1 KR 101730178 B1 KR101730178 B1 KR 101730178B1 KR 1020140168391 A KR1020140168391 A KR 1020140168391A KR 20140168391 A KR20140168391 A KR 20140168391A KR 101730178 B1 KR101730178 B1 KR 101730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rvation
weight
days
present
dehyd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283A (ko
Inventor
박윤점
허북구
김미진
정수용
황보라
정화영
박정선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로즈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로즈피아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17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00Preservation of plants or parts thereof, e.g. inhibiting evaporation,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of leaves or protection against physical influences such as UV radiation using chemical compositions; Grafting wax
    • A01N3/02Keeping cut flowers fresh chemical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6Devices for preserv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00Preservation of plants or parts thereof, e.g. inhibiting evaporation,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of leaves or protection against physical influences such as UV radiation using chemical compositions; Grafting wax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꽃잎이 부패하지 않으며, 촉촉한 생화같은 느낌이 오래가는 보존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탈수·탈색 공정 및 보존·착색 공정으로 이루어진 보존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존·착색 공정을 위한 조성물이 이소 프로필 알코올 10 ~ 30중량%, 에틸 알코올 10 ~ 30중량%, 계면활성제 5 ~ 10 중량%, 살리실산 0.5 ~ 5중량%, 벤질 글리콜 0.5 ~ 5중량%, 장미추출물 0.1 ~ 1중량%, 염료 0.1 ~ 1중량% 및 잔부중량%의 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수·탈색 공정 위한 조성물이 과산화수소수 1 내지 10중량%와 잔부중량%의 에틸 알코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좋은 색과 촉감을 장기간 유지하고 부패 속도가 더딘 보존화를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생화의 탈수 및 탈색을 효과적으로 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색을 갖는 보존화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품질의 보존화를 제조함으로써, 생화의 이용성과 수익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어, 농가의 매출 증대 및 소득 안정화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존력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reserved flower}
본 발명은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꽃잎이 부패하지 않으며, 촉촉한 생화 같은 느낌이 오래가는 보존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절화(折花)란 가지째 꺽은 꽃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절화는 장기간 보존 할 수 없어 시드는 단점 때문에 생화의 아름다움을 오랫동안 즐길 수 없다. 이는 절화 안에 있는 수액(樹液)과 기타 엽록소, 색소 등의 물질의 부패 과정 때문이다.
그래서 근래에 절화를 자연건조, 냉동건조 등의 방법으로 보존하려는 노력들이 있으나, 이는 본질적으로 생화 자체의 수분증발에 따라 촉각적, 시각적으로 싱싱함을 잃어버린다. 또한 이러한 절화는 공기 중 방치 상태에서 변색이나 탈색이 계속 진행되어 본래의 생화 자체의 아름다움이 떨어지고, 부패가 진행되어 썩는 과정에서 벌레 등이 생기는 등 비위생적이며, 수분이 전혀 없는 상태이므로 건드리기만 해도 부스러진다.
한편 현재(2012년 농림부 발표) 국내 화훼 생산량은 22억 본, 생산액은 3000억 원에 이른다. 이와 같이 화훼 시장이 커짐과 더불어 고급 꽃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이런 요구에 대응해 절화의 단점을 보완하는 다양한 화훼 가공 상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화훼가공식품으로는 보존화(preserved flower)가 있는 데, 보존화란 생화가 가장 아름답게 피어 있을 때 특수하게 만들어진 보존액을 사용해 탈수, 탈색, 착색, 보존, 건조의 공정을 거쳐 생화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장시간 보존할 수 있게 만든 꽃을 말한다.
그러나 종래의 보존화는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쉽게 부패하는 단점을 보였으며, 생화 같은 느낌이 주는 데 한계가 있어, 소비자로부터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등록특허 10-08512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꽃잎이 부패하지 않으며, 촉촉한 생화 같은 느낌이 오래가는 보존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겻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탈수·탈색 공정 및 보존·착색 공정으로 이루어진 보존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존·착색 공정을 위한 조성물이 이소 프로필 알코올 10 ~ 30중량%, 에틸 알코올 10 ~ 30중량%, 계면활성제 5 ~ 10 중량%, 살리실산 0.5 ~ 5중량%, 벤질 글리콜 0.5 ~ 5중량%, 장미추출물 0.1 ~ 1중량%, 염료 0.1 ~ 1중량% 및 잔부중량%의 프로필렌 글리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수·탈색 공정 위한 조성물이 과산화수소수 1 내지 10중량%와, 잔부중량%의 에틸 알코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존화 제조 방법은 좋은 색과 촉감을 장기간 유지하고 부패 속도가 더딘 보존화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생화의 탈수 및 탈색을 효과적으로 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색을 갖는 보존화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품질의 보존화를 제조함으로써, 생화의 이용성과 수익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어, 농가의 매출 증대 및 소득 안정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농가의 소득 안정화는 고용의 안정성, 신 직업군 창출, 고용확대 등을 창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반적인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고품질의 보존화 제조는 수입으로 인한 비용 낭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오히려 수출을 통한 소득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카네이션을 비교예 1에 적용한 것으로, 5일, 25일, 30일에서 카네이션의 상태를 나타낸 이미지 도면이고,
도 2는 장미를 비교예 1에 적용한 것으로, 비교예 1에 따른 장미 보존화를 5일, 25일, 30일에서 장미의 상태를 나타낸 이미지 도면이고,
도 3은 비교예 1에 따른 장미 보존화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이미지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장미를 나타낸 이미지 도면이고,
도 5는 비교예 2에 따른 장미를 나타낸 이미지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미꽃 보존화를 나타낸 이미지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존화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꽃잎이 부패하지 않으며, 촉촉한 생화 같은 느낌이 오래가는 보존화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존화 제조 방법은 탈수·탈색 공정, 보존·착색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탈수·탈색 공정
탈수·탈색을 위한 조성물에 생화를 12 ~ 48시간 동안 담근다. 그러면 탈수·탈색 조성물은 생화의 형태와 질감을 그대로 유지시킨 상태로 생화 내부에 있는 수액과 색소 등을 탈수·탈색시킨다. 여기서 탈수·탈색 조성물의 적정한 투여 시간은 꽃받침 및 꽃의 줄기의 색상이 옅은 갈색으로 변하는 시점으로, 이때 탈수·탈색 공정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탈수·탈색 조성물이 과산화수소수 1 내지 10중량% 및 잔부중량%의 에틸 알코올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탈수·탈색 조성물은 탈수 및 탈색 효과가 우수하여 하기의 보존·착색 공정에서 착색이 잘 이루어져 보존화의 색이 잘 나오도록 한다.
보존·착색 공정
보존·착색 조성물에 탈수·탈색 처리된 생화를 12 ~ 72시간 동안 담근다. 이때 보존·착색 조성물은 탈수·탈색 공정을 통하여 다소 경화되고 비어있는 생화의 조직 내에 보습 및 방부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존·착색 공정을 위한 조성물은 이소 프로필 알코올 10 ~ 30중량%, 에틸 알코올 10 ~ 30중량%, 계면활성제 5 ~ 10 중량%, 살리실산 0.5 ~ 5중량%, 벤질 글리콜 0.5 ~ 5중량%, 장미추출물 0.1 ~ 1중량%, 염료 0.1 ~ 1중량% 및 잔부중량%의 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존·착색 조성물은 생화의 부패를 방지하고, 보존화가 생화 같은 촉촉함을 오랜 시간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보존·착색 처리된 생화는 직사광선이 닿지 않고 통풍이 잘 되는 서늘한 장소에서 약 1 ~ 3일간 건조되어, 보존화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보존화는 종래의 보존화 보다 부패 시간이 더디어 오랜 시간 아름다움을 유지함은 물론, 촉촉함을 유지하여 생화 같은 느낌을 오랜 시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주변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부패 시간이 더디고 촉촉함을 오랜 기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구체적인 예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보존화 제조 방법
탈수·탈색을 위한 조성물에 생화를 24시간 동안 담근다. 그러면 탈수·탈색 조성물은 생화의 형태와 질감을 그대로 유지시킨 상태로 생화 내부에 있는 수액과 색소 등을 탈수·탈색시킨다.
이후 보존·착색 조성물에 탈수·탈색 처리된 생화를 48시간 동안 담근다. 그러면 보존·착색 조성물은 탈수·탈색 공정을 통하여 다소 경화되고 비어있는 장미꽃의 조직 내에 보습 및 방부 처리를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존·착색 조성물은 이소 프로필 알코올 20중량%, 에틸 알코올 20중량%, 계면활성제 7 중량%, 살리실산 3중량%, 벤질 글리콜 3중량%, 장미추출물 0.5중량%, 염료 0.5중량% 및 잔부중량%의 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계면활성제로 Tween 20이 사용되고, 장미추출물은 에탄올로 추출되어 농축 분말화 된 것이 사용되며, 염료는 필요한 색에 따라 다양한 색을 선택할 수 있다.
비교예 1: 웰트코리아 보존·착색 용액을 이용한 보존화 제조 방법
웰코트코리아로부터 보존·착색 조성물을 구입하여, 제1실시예와 동일한 공정을 통해 보존화를 제조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보존화 탈수·탈색 공정
탈수·탈색 조성물이 과산화수소수 2중량% 및 잔부중량%의 에틸 알코올로 이루어지고, 탈수·탈색 조성물에 생화를 24시간 동안 담근다.
비교예 2: 에틸 알코올만 사용한 탈수·탈색 공정
탈수·탈색 조성물이 에틸 알코올로만 이루어지고, 탈수·탈색 조성물에 생화를 24시간 동안 담근다.
시험예 1: 꽃잎 색 평가
습도 10%의 건조한 환경에서 실시예 1에 따른 카네이션 보존화와 비교예 1에 따른 카네이션 보존화의 색을 10명의 평가원이 육안으로 직접 관찰하면서 60일 동안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평가 점수는 10명의 평가원의 점수를 평균하여 내었다.
5일 10일 15일 20일 25일 30일 35일 40일 45일 50일 55일 60일
실시예 1 10.0 10.0 10.0 9.8 9.5 9.2 8.9 8.7 8.3 7.3 6.1 3.3
비교예 1 9.2 9.0 8.9 7.2 6.0 3.1 0 0 0 0 0 0
표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비교예 1에 따른 카네이션 보존화는 15일까지 좋은 색을 유지하고 20일이 경과하면서 급격하게 색이 손상된다. 하지만 실시예 1에 따른 카네이션 보존화는 45일까지 좋은 색상을 유지하고 50일이 경과하면서 색이 손상된다.
또한 도 1은 카네이션을 비교예 1에 적용한 것으로, 5일, 25일, 30일에서 카네이션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제1비교예에 따른 카네이션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카네이션의 색이 탁해지면서 흐려짐을 보인다.
따라서 표 1 및 도 1에 따른 내용을 종합해보면, 실시예 1은 비교예 1 보다 더욱 오랜 시간 동안 좋은 색을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꽃잎 촉감 평가
습도 10%인 건조한 환경에서 실시예 1에 따른 장미 보존화와 비교예 1에 따른 장미 보존화의 촉촉한 정도를 10명의 평가원이 만져가면서 60일 동안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평가 점수는 10명의 평가원의 점수를 평균하여 내었다.
5일 10일 15일 20일 25일 30일 35일 40일 45일 50일 55일 60일
실시예 1 10.0 10.0 10.0 9.8 9.4 9.3 8.8 8.7 8.4 7.2 6.1 3.4
비교예 1 9.1 9.0 8.8 7.2 6.1 3.0 0 0 0 0 0 0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비교예 1에 따른 장미 보존화는 15일까지 좋은 촉촉함을 유지하고 20일이 경과하면서 급격하게 촉촉함이 줄어든다. 하지만 실시예 1에 따른 장미 보존화는 45일까지 좋은 촉촉함을 유지하고 50일이 경과하면서 촉촉함이 줄어든다.
또한 도 2는 장미를 비교예 1에 적용한 것으로, 비교예 1에 따른 장미 보존화를 5일, 25일, 30일에서 장미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비교예 1에 따른 장미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꽃잎의 간격이 벌어지고 꽃잎 색의 생동감이 줄어든다.
따라서 표 2 및 도 2에 따른 내용을 종합해보면, 실시예 1은 비교예 1 보다 더욱 오랜 시간 동안 촉촉함을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꽃잎 부패 평가
곰팡이와 같은 병원균의 생육에 적합한 온도인 35℃의 온도를 이루고 습도가 90%로 다습한 장소에서 통풍을 차단한 채 실시예 1에 따른 장미 보존화 및 비교예 1에 따른 장미 보존화의 부패를 평가하였다.
이때 실시예 1은 30일이 경과한 후에도 꽃잎에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비교예 1에 따른 장미 보존화는 7일 경과 후 도 3과 같이 꽃잎에 곰팡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은 비교예 1 보다 보존력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꽃잎 탈수·탈색 평가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장미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은 비교예 2에 따른 장미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살펴보면 실시예 2에 따른 장미는 비교예 2에 따른 장미 보다 더욱 하얗게 변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 2가 비교예 2 보다 더욱 탈수·탈색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2는 보존·착색 공정에서 비교예 2 보다 더욱 착색이 잘 이루어져 도 6과 같이 색이 선명한 보존화 장미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존화 제조 방법은 좋은 색과 촉감을 장기간 유지하고 부패 속도가 더딘 보존화를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생화의 탈수 및 탈색을 효과적으로 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색을 갖는 보존화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품질의 보존화를 제조함으로써, 생화의 이용성과 수익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어, 농가의 매출 증대 및 소득 안정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농가의 소득 안정화는 고용의 안정성, 신 직업군 창출, 고용확대 등을 창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반적인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고품질의 보존화 제조는 수입으로 인한 비용 낭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오히려 수출을 통한 소득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탈수·탈색 공정 및 보존·착색 공정으로 이루어진 보존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탈수·탈색 공정 위한 조성물이 과산화수소수 2중량%와 잔부중량%의 에틸 알코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존·착색 공정을 위한 조성물이 이소 프로필 알코올 20중량%, 에틸 알코올 20중량%, 계면활성제 7중량%, 살리실산 3중량%, 벤질 글리콜 3중량%, 장미추출물 0.5중량%, 염료 0.5중량 및 잔부중량%의 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화 제조 방법.
  2. 삭제
KR1020140168391A 2014-11-28 2014-11-28 보존력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 방법 KR101730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391A KR101730178B1 (ko) 2014-11-28 2014-11-28 보존력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391A KR101730178B1 (ko) 2014-11-28 2014-11-28 보존력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283A KR20160065283A (ko) 2016-06-09
KR101730178B1 true KR101730178B1 (ko) 2017-04-26

Family

ID=5613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391A KR101730178B1 (ko) 2014-11-28 2014-11-28 보존력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1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4818B (zh) * 2019-11-06 2022-05-17 石林华莱永生花卉有限公司 永生花脱色、浸泡染色保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690B1 (ko) * 2007-01-29 2008-05-28 김태엽 생화를 시들지 않는 상태로 오래 동안 그대로 보존할 수있는 용액(물질)의 제조 방법과 보전처리 과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211B1 (ko) 2007-03-16 2008-08-07 김태엽 절화를 원형 그대로 장기간 시들지 않게 보존처리하는방법과 과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690B1 (ko) * 2007-01-29 2008-05-28 김태엽 생화를 시들지 않는 상태로 오래 동안 그대로 보존할 수있는 용액(물질)의 제조 방법과 보전처리 과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283A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19088B (zh) 一种红阳猕猴桃常温贮藏保鲜操作方法
CN104171172A (zh) 茶树花的加工方法
KR100863817B1 (ko) 연잎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7430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0796201B1 (ko) 곶감의 제조방법
CN109170037A (zh) 一种花香型白茶的加工方法
KR101836173B1 (ko) 꽃잎의 떨어짐이 방지되는 국화 보존화 제조 방법
CN108437141A (zh) 一种抗菌防霉原竹工艺品的制备方法
CN103141636B (zh) 一种岩青兰茶的制备方法
KR100851211B1 (ko) 절화를 원형 그대로 장기간 시들지 않게 보존처리하는방법과 과정
KR20170051889A (ko) 산야초 효소를 이용한 막걸리의 제조방법
CN104286322A (zh) 一种菊花茶的制备方法
KR101730178B1 (ko) 보존력이 우수한 보존화 제조 방법
KR101286574B1 (ko) 블루베리 국수용 면발의 제조방법
KR20170053869A (ko) 프리저브드 플라워 및 그 제조방법
KR100496031B1 (ko) 시래기 제조방법
KR100762471B1 (ko) 녹차성분이 함유된 곶감의 제조방법
CN110122631A (zh) 一种檀香叶制作颗粒绿茶的制作工艺
CN105285264A (zh) 一种菊花茶的制备方法
CN105285074A (zh) 一种芹菜保鲜剂
CN104381479A (zh) 一种保持金花茶天然原色花形定型的干花朵茶制备方法
CN105265613A (zh) 一种茶叶的制备方法
CN108029797A (zh) 一种红茶制备方法
RU2534361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чая из кипрея
CN111280270A (zh) 特色白茶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