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760B1 -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760B1
KR101723760B1 KR1020157025739A KR20157025739A KR101723760B1 KR 101723760 B1 KR101723760 B1 KR 101723760B1 KR 1020157025739 A KR1020157025739 A KR 1020157025739A KR 20157025739 A KR20157025739 A KR 20157025739A KR 101723760 B1 KR101723760 B1 KR 101723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ing member
guide block
tir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1109A (ko
Inventor
야스히코 다바타
Original Assignee
카야바 시스템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야바 시스템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야바 시스템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1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0/00Means for holding wheels or parts thereof
    • B60B30/10Means for holding wheel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being provided on a do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 B60B29/002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provided with a do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 being of cylindrical shape, e.g. barrels, buckets, dust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 B60B29/001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comprising lifting or alig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40/00Wheel transporting, Mounting of wheels
    • B60B2340/30Wheel transporting or handling devices
    • B60B2340/32Wheel transporting or handling devices for gripping th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40/00Wheel transporting, Mounting of wheels
    • B60B2340/30Wheel transporting or handling devices
    • B60B2340/34Wheel transporting or handling devices for positioning the wheel to hub or bolt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40/00Wheel transporting, Mounting of wheels
    • B60B2340/30Wheel transporting or handling devices
    • B60B2340/36Wheel transporting or handl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provided on a do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40/00Wheel transporting, Mounting of wheels
    • B60B2340/70Lifting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50Aeroplanes, Helicopters
    • B60Y2200/51Aeropl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02Cylindrically-shaped articles, e.g. drums, barrels, flasks
    • B62B2202/031Wheels,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장착되어 타이어가 적재되는 한 쌍의 지지 롤러를 구비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하로 분할되어, 프레임 상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 롤러가 장착되는 프레임 하부와, 상기 프레임 상부와 상기 프레임 하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하부가 대차에 적재되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 {TIRE HOLDER APPARATUS}
본 발명은,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행기의 타이어를 교환하는 경우, 타이어가 대형이므로 타이어 교환용 차량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타이어 교환용 차량의 적재대에는, 크레인이 탑재되어 있고, 타이어를 보유 지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를 크레인에 의해 매달아, 타이어의 싣고 내림, 운반, 교환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예를 들어, JP2003-019918A 참조).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는, 프레임과, 한 쌍의 지지 롤러와, 지지 바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지지 롤러는, 프레임에 장착되어 타이어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지지 바는, 프레임에 장착되어 타이어의 상부를 지지한다.
또한, 프레임에는, 걸림 부재가 장착되어 있어, 걸림 부재를 크레인으로 파지하여,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를 크레인에 의해 매달 수 있다.
그러나, 비행기의 기체의 형상이나 구성의 사정상, 기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타이어를 보유 지지하는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를 크레인에 의해 매단 채, 기체에 접근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용 가능한 기체의 종류를 종래보다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장착되어 타이어가 적재되는 한 쌍의 지지 롤러를 구비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는, 상기 프레임은, 상하로 분할되어, 프레임 상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 롤러가 장착되는 프레임 하부와, 상기 프레임 상부와 상기 프레임 하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하부가 대차에 적재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의 회전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4b의 Y 방향에서 본 상단부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의 걸림 부재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의 좌측의 연결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로, 프레임 상부와 프레임 하부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의 좌측의 연결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로, 프레임 상부와 프레임 하부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경예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의 좌측의 연결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로, 프레임 상부와 프레임 하부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경예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의 좌측의 연결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로, 프레임 상부와 프레임 하부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의 연결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로, 프레임 상부와 프레임 하부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의 연결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로, 프레임 상부와 프레임 하부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비교예로서의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비교예로서의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몇 개의 도면을 통해 부여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품이나 대응하는 부품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는, 프레임(1)과, 한 쌍의 지지 롤러(2L, 2R)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지지 롤러(2L, 2R)에는, 프레임(1)에 장착되어 타이어(W)(도 2)가 적재된다.
그리고, 프레임(1)은 상하로 분할되어,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와, 연결 부재(3L, 3R)[제1 연결 부재(3L)와 제2 연결 부재(3R)]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하부(1B)에는, 한 쌍의 지지 롤러(2L, 2R)가 장착된다. 연결 부재(3L, 3R)는,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에 있어서, 프레임 하부(1B)가 대차(4)에 적재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행기의 타이어 등, 대형의 타이어(W)를 보유 지지하고, 타이어(W)의 운반이나 교환 작업을 행하기 위해 이용된다.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는, 프레임(1)과, 이 프레임(1)에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 롤러(2L, 2R)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양 지지 롤러(2L, 2R)에 타이어(W)를 적재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는, 지지 롤러(2L, 2R)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에 장착되어 타이어(W)의 상부를 지지하고, 지지 롤러(2L, 2R)로부터 타이어(W)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 바(5)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지지 롤러(2L, 2R)에 적재되는 타이어측으로부터 보아, 좌측을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좌측」, 우측을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우측」, 타이어측을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전방측」, 타이어측과 반대측을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후방측」으로 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는, 대차(4)와, 잭(6)과, 회전 장치(7L, 7R)와, 높이 조정 장치(8)와, 상부 플레이트(80)와, 보유 지지 부재(81)와, 걸림 부재(9)를 구비한다. 대차(4)는, 상하로 분할되는 프레임(1)의 하측 부분인 프레임 하부(1B)를 적재한다. 잭(6)은, 대차(4)와 프레임 하부(1B)의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프레임 하부(1B)를 승강시킨다. 회전 장치(7L, 7R)는, 지지 롤러(2L, 2R)를 회전시킨다. 높이 조정 장치(8)는, 상하로 분할되는 프레임(1)의 상측 부분인 프레임 상부(1A)에 장착되어 지지 바(5)의 높이를 조정한다. 상부 플레이트(80)는, 이 높이 조정 장치(8)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보유 지지 부재(81)는, 높이 조정 장치(8)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어 지지 바(5)를 보유 지지한다. 걸림 부재(9)는, 상부 플레이트(80)의 상면에 고정된다.
타이어(W)가 적재되는 지지 롤러(2L, 2R)는, 좌우로 나란히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각 지지 롤러(2L, 2R)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레임(1)의 전방측으로 대략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타이어(W)는, 한쪽의 측면을 프레임(1)을 향하게 하여 기립한 상태에서 지지 롤러(2L, 2R)에 적재되어 있다. 각 지지 롤러(2L, 2R)는, 타이어(W)의 외주면의 하측에 축방향을 따라 접촉하고, 타이어(W)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타이어(W)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 바(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막대 형상의 슬라이드부(50)와, 지지부(51)와, 손잡이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51)는, 슬라이드부(50)의 한쪽의 측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다. 손잡이부(52)는, 슬라이드부(50)의 다른 쪽의 측단부로터 하측으로 연장된다. 지지부(51)는, 전방측에 배치되고, 손잡이부(52)는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 롤러(2L, 2R)에 적재되는 타이어(W)의 후방측으로의 쓰러짐은, 프레임(1)에 의해 억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지지 바(5)의 지지부(51)를 타이어(W)의 전방측에 배치함으로써, 타이어(W)가 전방측으로 쓰러져, 지지 롤러(2L, 2R)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1)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 상부(1A)와, 한 쌍의 지지 롤러(2L, 2R)가 장착되는 프레임 하부(1B)와, 프레임 상부(1A)를 프레임 하부(1B)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3L, 3R)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바(5)는, 프레임 상부(1A)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 하부(1B)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기둥 부재(10L, 10R)와, 상측 가설 부재(11)와, 하측 가설 부재(12)와, 손잡이(13, 13)와, 걸림부(14, 14)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기둥 부재(10L, 10R)는, 좌우의 지지 롤러(2L, 2R)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각각 기립한다. 상측 가설 부재(11)는, 지지 기둥 부재(10L, 10R)의 상부를 연결한다. 하측 가설 부재(12)는, 지지 기둥 부재(10L, 10R)의 하부를 연결한다. 손잡이(13, 13)는, 각 지지 기둥 부재(10L, 10R)로부터 외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걸림부(14, 14)는, 각 지지 기둥 부재(10L, 10R)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좌우의 지지 기둥 부재(10L, 10R)는,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면 a1에 대해 면 대칭 형상(거울 대칭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지지 기둥 부재(10L, 10R)의 상단부(10a)가 각각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하부(1B)에 있어서, 좌우의 지지 기둥 부재(10L, 10R)의 하부와 하측 가설 부재(12)는, 좌우의 지지 롤러(2L, 2R)를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7L, 7R)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들 회전 장치(7L, 7R)는, 공통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장치(7L, 7R)는, 각각, 하우징(70)과, 하측 베어링(71)과, 하측 스프로킷(72)과, 상측 베어링(74)과, 상측 스프로킷(75)과, 체인(76)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70)은, 프레임 하부(1B)에 고정된다. 하측 베어링(71)은, 하우징(70)에 보유 지지되어 지지 롤러(2L, 2R)의 축(2a)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하측 스프로킷(72)은, 지지 롤러(2L, 2R)의 축(2a)의 외주에 장착된다. 상측 베어링(74)은, 하우징(70)에 보유 지지됨과 함께 핸들(73)의 축(73a)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상측 스프로킷(75)은, 핸들(73)의 축(73a)의 외주에 장착된다. 체인(76)은, 상측 스프로킷(75)의 회전을 하측 스프로킷(72)에 전달한다. 핸들(73)이 지지 롤러(2L, 2R)보다도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73)을 회전시킴으로써, 지지 롤러(2L, 2R)를 회전시켜, 지지 롤러(2L, 2R)에 적재되는 타이어(W)(도 2)의 회전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프레임 하부(1B)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차(4)에 적재됨과 함께, 대차(4)와 프레임 하부(1B)의 하측 가설 부재(12)와의 사이에는 잭(6)이 개재 장착되어 있다. 지지 롤러(2L, 2R) 및 회전 장치(7L, 7R)가 프레임 하부(1B)에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잭(6)에 의해 하측 가설 부재(12)를 구동시킴으로써, 프레임 하부(1B), 지지 롤러(2L, 2R) 및 회전 장치(7L, 7R)를 일체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대차(4)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하부(1B) 및 잭(6)을 적재하는 적재대부(40)와, 적재대부(40)의 하측에 장착되는 복수의 캐스터(41)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하부(1B)와 함께 프레임(1)을 구성하는 프레임 상부(1A)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 기둥 부재(10L, 10R)의 사이에 걸쳐지는 횡가재(15)를 구비하고 있다. 횡가재(15)가 좌우로 대략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횡가재(15)의 양단부(15a, 15b)가 각각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횡가재(15)의 중앙부에는, 높이 조정 장치(8)가 기립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높이 조정 장치(8)의 상단부에 상부 플레이트(80)가 고정되고, 높이 조정 장치(8)의 상부 측면에 보유 지지 부재(81)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보유 지지 부재(81)에 지지 바(5)가 보유 지지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높이 조정 장치(8)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지만, 텔레스코픽식으로 신축하는 3개의 상자 형상의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이송 나사 기구와, 이 이송 나사 기구를 구동시키는 핸들(8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높이 조정 장치(8)는, 핸들(82)을 회전시킴으로써 신축하여, 지지 바(5)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지지 롤러(2L, 2R)와 지지 바(5)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보유 지지 부재(81)는, 지지 바(5)를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고 있다. 지지 바(5)의 손잡이부(52)를 파지하여 지지 바(5)를 밀고 당김으로써, 프레임(1)과 지지부(51)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정 장치(8)의 상단부면에 장착되는 상부 플레이트(80)의 상면에는, 걸림 부재(9)가 고정되어 있다. 걸림 부재(9)에 도시하지 않은 크레인의 훅을 걸리게 함으로써 프레임 상부(1A)를 크레인에 의해 매달 수 있다. 프레임 상부(1A)가 프레임 하부(1B)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레임(1)을 대차(4)째 크레인에 의해 매달 수 있다.
걸림 부재(9)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90)와, 걸림 축(91)과, 플랜지(92)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플레이트(90)는, 상부 플레이트(80)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걸림 축(91)은, 연결 플레이트(90)의 중심부에 기립한다. 플랜지(92)는, 걸림 축(91)의 상부에 고정되어 걸림 축(91)의 외주측으로 돌출된다. 연결 플레이트(90)와 플랜지(92)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크레인의 훅을 삽입하고, 이 훅으로 걸림 축(91)을 끼운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90)에 형성되는 볼트 삽입용 구멍(90a)은 전후 방향으로 긴 구멍이다. 이로 인해, 상부 플레이트(80)에 대한 걸림 부재(9)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프레임 상부(1A)를 프레임 하부(1B)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3L, 3R)[제1 연결 부재(3L)와 제2 연결 부재(3R)]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의 지지 기둥 부재(10L)의 상단부(10a)와 횡가재(15)의 좌측 단부(15a)의 사이와, 우측의 지지 기둥 부재(10R)의 상단부(10a)와 횡가재(15)의 우측 단부(15b)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연결 부재(3L, 3R)는, 각각, 횡가재(15)에 장착되는 연결 부재 수형부(3A)와, 지지 기둥 부재(10L, 10R)에 장착되는 연결 부재 암형부(3B)를 구비한다. 각 연결 부재(3L, 3R)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 수형부(3A)는, 공통의 구성을 구비한다. 각 연결 부재(3L, 3R)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 암형부(3B)는, 공통의 구성을 구비한다. 연결 부재(3L)의 연결 부재 수형부(3A)와 연결 부재(3R)의 연결 부재 수형부(3A)는,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면 a1에 관하여 면 대칭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3L)의 연결 부재 암형부(3B)와 연결 부재(3R)의 연결 부재 암형부(3B)는,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면 a1에 관하여 면 대칭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의 연결 부재(3L)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 암형부(3B)는, 브래킷(30)과, 블록(31)을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30)은, 좌측의 지지 기둥 부재(10L)의 상단부(10a)에 고정된다. 블록(31)은, 지지 기둥 부재(10L)의 좌측[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단부(31a)가 지지 기둥 부재(10L)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브래킷(30)은, 좌측의 지지 기둥 부재(10L)의 상단부(10a)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지지 기둥 부재(10L)에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30)에는, 브래킷(30)의 상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세로 구멍(3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세로 구멍(30a)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에 걸쳐 단면이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블록(31)은, 좌측의 지지 기둥 부재(10L)에 고정되는 본체부(31b)와, 본체부(31b)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지지 기둥 부재(10L)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단부(31a)를 구비하고 있다. 상단부(31a)의 우측[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측]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가로 구멍(31c)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연결 부재(3L)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 수형부(3A)는, 가이드 블록(32)과, 스토퍼(33)와, 가이드(34)와, 레버(35)와, 스프링(36)과, 플런저(37)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블록(32)은 횡가재(15)의 좌측[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측과는 반대측] 단부(15a)에 고정된다. 스토퍼(33)는, 이 가이드 블록(32) 내에 삽입되어, 선단부(33a)가 가로 구멍(31c)으로 출입한다. 가이드(34)는,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세로 구멍(30a)에 삽입된다. 레버(35)는, 스토퍼(33)의 선단부(33a)를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출몰시킨다. 스프링(36)은, 스토퍼(33)의 선단부(33a)를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플런저(37)는,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가이드 블록(32)은, 연결부(32a)와, 본체부(32b)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32a)는, 횡가재(15)의 좌측 단부(15a)에 좌측으로부터 삽입되어 횡가재(15)에 고정된다. 본체부(32b)는, 연결부(32a)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어 횡가재(15)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이 가이드 블록(32)의 본체부(32b)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공부(32c)를 갖고 있고, 좌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가이드 블록(32) 내에 삽입되는 스토퍼(33)는, 가이드 블록(32)의 본체부(32b)에 좌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막대 형상 부재이다. 스토퍼(33)는, 동체부(33b)와, 입력부(33c)와, 선단부(33a)와, 환 형상의 결합 홈(33d)을 구비하고 있다. 동체부(33b)는, 가이드 블록(32)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한다. 입력부(33c)는, 이 동체부(33b)의 우측에 전후 2갈래로 나뉘어 연장된다[후방측의 입력부(33c)만이 도시되고, 전방측의 입력부가 생략됨]. 선단부(33a)는, 동체부(33b)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된다. 환 형상의 결합 홈(33d)은, 동체부(33b)와 선단부(33a)의 경계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스토퍼(33)는, 입력부측으로부터 가이드 블록(32) 내에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세로 구멍(30a)에 삽입되는 가이드(34)는 외주가 세로 구멍(30a)과 정확히 맞도록 경사져,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34)에 있어서, 가이드 블록측으로 되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 단면이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또한, 스토퍼(33)의 선단부(33a)를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레버(35)는, 가이드 블록(32)에 핀(3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레버(35)는, 구동부(35a)와, 손잡이부(35b)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35a)는, 핀(38)으로부터 입력부(33c)의 사이로 연장된다. 손잡이부(35b)는, 핀(38)으로부터 가이드 블록(3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선단에 장착된다. 그리고, 구동부(35a)의 선단측에는,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입력부(33c)의 사이에 걸쳐지는 핀(39)이 긴 구멍을 관통하고 있다.
가이드 블록(32)에는, 레버(35)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핀(38)이 장착된다. 스토퍼(33)에는, 레버(35)의 구동부(35a)에 형성되는 긴 구멍을 관통하는 핀(39)이 장착되어 있고, 핀(39)은 구동부(35a)의 긴 구멍 내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부(35a)의 회전이 허용되고, 핀(39)이 스토퍼(33)와 함께 가이드 블록(32) 내를 이동할 수 있다.
스토퍼(33)의 선단부(33a)를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6)은, 가이드 블록(32) 내에 압축된 상태로 수용되어, 스토퍼(33)의 우측 단부에 접촉하고 있다.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플런저(37)는 주지이므로,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는다. 플런저(37)는, 중공의 하우징(37a)과, 이 하우징(37a) 내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부(37b)와, 이 결합부(37b)를 퇴출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플런저(37)는, 가이드 블록(32)에 나사 결합되고, 결합부(37b)를 가이드 블록(32)의 중공부(32c)에 돌출시키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37)의 결합부(37b)가 스토퍼(33)의 결합 홈(33d)에 걸려, 결합 상태에 있을 때, 플런저(37)는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결합부(37b)가 구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결합 홈(33d)이 단면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버(35)의 손잡이부(35b)를 쓰러뜨리면, 결합부(37b)가 결합 홈(33d)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와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우측의 연결 부재(3R)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좌측의 연결 부재(3L)와 공통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좌측의 연결 부재(3L)와 우측의 연결 부재(3R)는,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면 a1에 관하여 면 대칭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연결 부재(3L, 3R)의 연결 부재 암형부(3B)에 있어서, 세로 구멍(30a)과 가로 구멍(31c)이 L자 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내측으로 개구된다. 연결 부재(3L)의 연결 부재 암형부(3B)의 가로 구멍(31c)의 개구가, 연결 부재(3R)의 연결 부재 암형부(3B)의 가로 구멍(31c)의 개구에 마주보고 배치된다. 또한, 좌우의 연결 부재(3L, 3R)의 연결 부재 수형부(3A)에 있어서, 스토퍼(33)가 반대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3L, 3R)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프레임 상부(1A)를 프레임 하부(1B)에 연결하는 경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연결 부재(3L, 3R)에 있어서의 레버(35)의 손잡이부(35b)를 올려, 레버(35)를 세워 둔다. 이에 의해, 구동부(35a)가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측[좌측의 연결 부재(3L)에 있어서는 반시계 방향, 우측의 연결 부재(3R)에 있어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가이드 블록(32) 내에 수용된다. 수용되었을 때, 스토퍼(33)는 스프링(36)에 의해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퇴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지만, 스토퍼(33)의 결합 홈(33d)에 플런저(37)의 결합부(37b)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가이드 블록(32) 내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어서, 좌우의 연결 부재(3L, 3R)에 있어서의 가이드(34)를 브래킷(30)의 세로 구멍(30a)에 상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이에 의해, 프레임 상부(1A)가 프레임 하부(1B)에 지지됨과 동시에,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블록(31)의 가로 구멍(31c)에 대향한다.
이어서, 레버(35)의 손잡이부(35b)를 내리도록 힘을 가하면, 스토퍼(33)의 결합 홈(33d)으로부터 플런저(37)의 결합부(37b)가 미끄러져 나와, 플런저(37)와 스토퍼(33)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도 6 중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35)를 쓰러뜨려, 구동부(35a)를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측과는 반대측[좌측의 연결 부재(3L)에 있어서는 시계 방향, 우측의 연결 부재(3R)에 있어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돌출되어, 가로 구멍(31c)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가 연결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프레임 상부(1A)를 인상하였다고 해도, 가로 구멍(31c)에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의 연결을 해제하고, 분해하는 경우, 도 6 중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35)의 손잡이부(35b)를 올려 레버(35)를 세운다. 이에 의해,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가이드 블록(32) 내에 수용됨과 함께, 플런저(37)의 결합부(37b)가 스토퍼(33)의 결합 홈(33d)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가이드 블록(32) 내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프레임 상부(1A)를 들어올리면 가이드(34)가 세로 구멍(30a)으로부터 빠져,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를 분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작용 효과를, 비교예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비교예로서의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는,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00)과, 한 쌍의 지지 롤러(200)와, 지지 바(500)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지지 롤러(200)는,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타이어(W)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지지 바(500)는,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타이어(W)의 상부를 지지한다. 또한, 프레임(100)에는, 걸림 부재(900)가 장착되어 있다. 걸림 부재(900)를 크레인(K)으로 파지하여,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를 크레인(K)에 매달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는,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과, 이 프레임(1)에 장착되어 타이어(W)(도 2)가 적재되는 한 쌍의 지지 롤러(2L, 2R)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레임(1)은 상하로 분할된다. 프레임(1)은, 프레임 상부(1A)와, 한 쌍의 지지 롤러(2L, 2R)가 장착되는 프레임 하부(1B)와,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3L, 3R)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에 있어서, 프레임 하부(1B)가 대차(4)에 적재되어 있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1)을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로 분해할 수 있음과 함께, 프레임 하부(1B)가 대차(4)에 적재되어 있다. 이로 인해, 크레인에 매다는 일 없이 프레임 하부(1B)만으로 타이어(W)를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는, 종래 기술의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에서는 근접시킬 수 없었던 비행기의 기체에도, 지지 롤러(2L, 2R)에 타이어(W)를 적재하여 근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를 적용 가능한 기체의 종류를 종래보다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는, 프레임 하부(1B)와 대차(4)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프레임 하부(1B)를 승강시키는 잭(6)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프레임 하부(1B)와 함께 지지 롤러(2L, 2R)를 잭(6)에 의해 승강시켜, 타이어(W)의 교환 작업을 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하부(1B)만으로 타이어(W)가 운반되는 경우에 있어서, 적절하게 타이어(W)의 교환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레임 하부(1B)는, 양 지지 롤러(2L, 2R)의 후방측(편측)의 단부로부터 각각 기립하는 지지 기둥 부재(10L, 10R)를 구비한다. 또한, 프레임 상부(1A)는, 지지 기둥 부재(10L, 10R)의 사이에 걸쳐지는 횡가재(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연결 부재(3L)는, 좌측(일측)의 지지 기둥 부재(10L)의 상단부(10a)와, 횡가재(15)의 좌측 단부(15a)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3R)는, 우측(타측)의 지지 기둥 부재(10R)의 상단부(10a)와, 횡가재(15)의 우측 단부(15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프레임 하부(1B)의 한 쌍의 지지 기둥 부재(10L, 10R)에 손잡이(13)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지지 기둥 부재(10L, 10R) 외에, 지지 기둥 부재(10L, 10R)에 장착되는 손잡이(13)를 파지하여, 프레임 하부(1B)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 하부(1B)만으로 타이어(W)를 운반하는 경우, 걸림부(14)에 도시하지 않은 벨트의 단부를 고정하고, 이 벨트에 의해 타이어(W)의 쓰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하부(1B)만으로 타이어(W)를 운반하는 경우라도,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프레임 상부(1A)의 횡가재(15)에는, 높이 조정 장치(8)나 지지 바(5)가 장착되어 있어, 상측으로 부피가 커진다. 그러나, 프레임 상부(1A)를 제거함으로써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어, 좁은 스페이스에서도 타이어(W)를 운반하기 쉽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연결 부재(3L, 3R)는, 횡가재(15)에 장착되는 연결 부재 수형부(3A)와, 지지 기둥 부재(10L, 10R)에 장착되는 연결 부재 암형부(3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연결 부재 암형부(3B)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측으로 개구되는 세로 구멍(30a)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 구멍(31c)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 부재 수형부(3A)는, 가이드 블록(32)과, 스토퍼(33)와, 가이드(34)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블록(32)은, 횡가재(15)에 고정된다. 스토퍼(33)는, 이 가이드 블록(32) 내에 삽입되어 선단부(33a)가 가로 구멍(31c)에 출입한다. 가이드(34)는,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세로 구멍(30a)에 삽입된다.
따라서, 세로 구멍(30a)에 가이드(34)가 삽입되고, 가로 구멍(31a)에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대향하도록 위치 결정된 후,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가로 구멍(31c)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연결 부재 수형부(3A)가 장착되는 프레임 상부(1A)를, 연결 부재 암형부(3B)가 장착되는 프레임 하부(1B)에 용이하고 또한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결 부재 수형부(3A)는, 스프링(36)과, 플런저(37)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36)은, 스토퍼(33)의 선단부(33a)를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플런저(37)는,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스프링(36)에 의해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런저(37)에 의해,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레버(35)를 조작하지 않는 한,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의 연결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의 해제 작업[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의 분해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결 부재 암형부(3B)는, 브래킷(30)과, 블록(31)을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30)은, 지지 기둥 부재(10L, 10R)의 상단부(10a)에 고정된다. 블록(31)은, 지지 기둥 부재(10L, 10R)에 있어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측과는 반대측[좌측의 연결 부재(3L)에 있어서는 좌측, 우측의 연결 부재(3R)에 있어서는 우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상단부(31a)가 지지 기둥 부재(10L, 10R)로부터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세로 구멍(30a)이 브래킷(30)에 형성됨과 함께, 가로 구멍(31c)이 블록(31)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로 구멍(30a)이나 가로 구멍(31c)이 형성된 브래킷(30)이나 블록(31)을 지지 기둥 부재(10L, 10R)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지지 기둥 부재(10L, 10R)에 직접 세로 구멍(30a)이나 가로 구멍(31c)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세로 구멍(30a)이나 가로 구멍(31c)의 가공이 용이하다. 또한, 지지 기둥 부재(10L, 10R)의 구성이 간이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결 부재(3L)(제1 연결 부재)의 연결 부재 수형부(3A)와 연결 부재(3R)(제2 연결 부재)의 연결 부재 수형부(3A)가 공통인 구성을 구비하고,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면 a1에 관하여 면 대칭 형상으로 배치된다. 연결 부재(3L)(제1 연결 부재)의 연결 부재 암형부(3B)와 연결 부재(3R)(제2 연결 부재)의 연결 부재 암형부(3B)가 공통인 구성을 구비하고,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면 a1에 관하여 면 대칭 형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복수의 연결 부재(3L, 3R)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복수의 연결 부재(3L, 3R)를 구성하는 부품의 종류를 적게 함과 함께,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의 연결이나, 연결의 해제 작업을 간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세로 구멍(30a)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측을 향함에 따라 단면이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또한, 가이드(34)는 외주가 세로 구멍(30a)와 부합되도록 경사져,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34)를 세로 구멍(30a)에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이드(34)를 세로 구멍(30a)에 삽입함으로써, 스토퍼(33)와 가로 구멍(31c)의 위치 정렬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는, 타이어(W)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 바(5)와, 이 지지 바(5)를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81)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타이어(W)를 지지하는 지지 바(5)의 지지부(51)와 프레임(1)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어, 하나의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로 타이어 폭(축방향 길이)이 다른 다양한 타이어(W)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는, 프레임 상부(1A)에 장착되어 지지 바(5)의 높이를 변경하는 높이 조정 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타이어(W)를 지지하는 지지 바(5)와 지지 롤러(2L, 2R)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어, 하나의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로 외경이 다른 다양한 타이어(W)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는, 높이 조정 장치(8)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80)와, 이 상부 플레이트(80)의 상면에 고정되는 걸림 부재(9)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걸림 부재(9)는, 상부 플레이트(80)에 볼트로 고정되는 연결 플레이트(90)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플레이트(90)에 형성되는 볼트 삽입용 구멍(90a)이 전후로 긴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80)에 대한 걸림 부재(9)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에 의해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가 매달렸을 때, 지지 롤러(2L, 2R)가 수평하게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지 롤러(2L, 2R)가 회전 장치(7L, 7R)를 통해 프레임 하부(1B)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 장치(7L, 7R)가, 각각, 하우징(70)과, 하측 베어링(71)과, 하측 스프로킷(72)과, 상측 베어링(74)과, 상측 스프로킷(75)과, 체인(76)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70)은, 프레임 하부(1B)에 고정된다. 하측 베어링(71)은, 이 하우징(70)에 보유 지지되어 지지 롤러(2L, 2R)의 축(2a)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하측 스프로킷(72)은, 지지 롤러(2L, 2R)의 축(2a)의 외주에 장착된다. 상측 베어링(74)은, 하우징(70)에 보유 지지됨과 함께 핸들(73)의 축(73a)을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상측 스프로킷(75)은, 핸들(73)의 축(73a)의 외주에 장착된다. 체인(76)은, 상측 스프로킷(75)의 회전을 하측 스프로킷(72)에 전달한다. 핸들(73)이 지지 롤러(2L, 2R)보다도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 롤러(2L, 2R)의 위치를 낮게 하였다고 해도, 핸들(73)의 위치를 대차(4)보다도 상측에 유지할 수 있어, 핸들(73)과 대차(4)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변형예에 대해, 도 7,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변형예의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3L, 3R)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 수형부(3A)의 일부의 구성이 변경되어 있다. 다른 구성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제1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 1∼도 6이 참조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좌우의 연결 부재(3L, 3R)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 수형부(3C)가 공통인 구성을 구비하고,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의 중심면 a1에 관하여 면 대칭 형상으로 배치된다. 좌우의 연결 부재(3L, 3R)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 암형부(3B)가 공통인 구성을 구비하고,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의 중심면 a1에 관하여 면 대칭 형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이하, 좌측의 연결 부재(3L)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 수형부(3C)의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 관한 연결 부재 수형부(3C)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블록(32)과, 스토퍼(33)와, 가이드(34)와, 레버(35)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블록(32)은, 횡가재(15)의 좌측 단부(15a)에 고정된다. 스토퍼(33)는 가이드 블록(32) 내에 삽입되고, 선단부(33a)가 연결 부재 암형부(3B)의 가로 구멍(31c)에 출입한다. 가이드(34)는,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연결 부재 암형부(3B)의 세로 구멍(30a)에 삽입된다. 레버(35)는, 스토퍼(33)의 선단부(33a)를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출몰시킨다. 그러나, 본 변형예는, 스프링(36) 및 플런저(37)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그리고, 가이드 블록(32)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연결부(32a)(도시하지 않음)와, 중공부(32c)를 갖고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32b)를 구비한다. 가이드 블록(32)은, 측부에 레버(35)를 안내하는 안내 홈(32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 홈(32d)은, 한 쌍의 세로 홈(32e, 32f)과, 가로 홈(32g)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세로 홈(32e, 32f)은, 상하로 길게, 가이드 블록(32)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됨과 함께, 가이드 블록(32)의 축방향(횡방향)으로 배열된다. 가로 홈(32g)은, 이들 세로 홈(32e, 32f)의 상단부를 연결한다.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측의 세로 홈(32e)의 하단부가, 좌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 블록(32) 내에 삽입되는 스토퍼(33)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블록(32)의 본체부(32b)에 좌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막대 형상 부재이다. 스토퍼(33)는, 가이드 블록(32)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동체부(33b)와, 이 동체부(33b)로부터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선단부(33a)를 구비한다. 스토퍼(33)는 동체부측으로부터 가이드 블록(32) 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연결 부재 암형부(3B)의 세로 구멍(30a)에 삽입되는 가이드(34)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외주가 세로 구멍(30a)과 정확히 맞도록 경사져,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34)는, 가이드 블록측으로 되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 단면이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또한, 스토퍼(33)의 선단부(33a)를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출몰시키는 레버(35)는, 제1 실시 형태와는 달리, 스토퍼(33)의 동체부(33b)의 측면에 기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레버(35)는, 안내 홈(32d)을 관통하여 가이드 블록(3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축부(35c)와, 이 축부(35c)의 선단에 장착되는 손잡이부(35d)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35)가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측의 안내 홈(32e)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이드(34)가, 연결 부재 암형부(3B)의 세로 구멍(30a)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이때, 프레임 상부(1A)가 프레임 하부(1B)에 지지됨과 함께,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블록(31)의 가로 구멍(31c)에 대향한다. 이어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35)를 조작하여, 레버(35)가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측과는 반대측의 세로 홈(32f)에 배치된다. 이때, 레버(35)와 함께 스토퍼(33)가,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연결 부재 암형부(3B)의 가로 구멍(31c)에 삽입되므로,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가 연결된다. 또한, 레버(35)가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측과는 반대측의 세로 홈(32f)의 하단부로 당겨지는 경우, 레버(32f)의 좌우 방향의 이동이 가이드 블록(32)에 의해 규제된다. 이 경우,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세로 구멍(30a)에 가이드(34)가 삽입되고, 스토퍼(33)의 선단부(33a)가 가로 구멍(31a)에 대향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그 후, 스토퍼(33)의 선단부(33a)를 가로 구멍(31c)에 삽입함으로써, 연결 부재 수형부(3A)가 장착되는 프레임 상부(1A)를 연결 부재 암형부(3B)가 장착되는 프레임 하부(1B)에 용이하고 또한 강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연결 부재 수형부(3C)는, 스토퍼(33)의 선단부(33a)를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출몰시키는 레버(35)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블록(32)에는, 레버(35)를 안내하는 안내 홈(32d)이 형성된다. 또한, 이 안내 홈(32d)은, 한 쌍의 세로 홈(32e, 32f)과, 가로 홈(32g)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세로 홈(32e, 32f)은, 상하로 길게 형성됨과 함께 가이드 블록(32)의 횡방향으로 배열된다. 가로 홈(32g)은, 이들 세로 홈(32e, 32f)의 상단부를 연결한다. 또한, 레버(35)는 스토퍼(33)의 측면에 기립된 상태로 고정되고, 안내 홈(32d)을 관통하여 가이드 블록(3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세로 홈(32e, 32f)의 하측으로 레버(35)를 당겨 두면, 스토퍼(33)의 선단부(33a)를 가이드 블록(32)에 수용한 상태 또는 가이드 블록(32)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 수형부(3C)의 구성을 간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에 대해, 도 9,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와 연결 부재의 구성만이 다르다. 따라서, 이하, 주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의 연결 부재(300L, 300R)의 구성,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다른 구성 및 그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제1 실시 형태의 설명 및 도 1∼도 6이 참조된다.
제2 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300L, 300R)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각각, 좌측의 지지 기둥 부재(10L)의 상단부(10a)와 횡가재(15)의 좌측 단부(15a)의 사이와, 우측의 지지 기둥 부재(10R)의 상단부(10a)와 횡가재(15)의 우측 단부(15b)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연결 부재(300L, 300R)는, 각각, 횡가재(15)에 장착되는 연결 부재 암형부(300A)와, 지지 기둥 부재(10L, 10R)에 장착되는 연결 부재 수형부(300B)를 구비한다. 연결 부재(300L)의 연결 부재 암형부(300A)와 연결 부재(300R)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 암형부(300A)는, 공통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 부재(300L)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 수형부(300B)와 연결 부재(300R)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 수형부(300B)는, 공통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연결 부재(300L, 300R)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 암형부(300A)는, 하우징(301)과, 핀(302)과, 스프링(303)과, 레버(304)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01)은, 횡가재(15)에 있어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측과는 반대측[좌측의 연결 부재(300L)에 있어서의 좌측, 우측의 연결 부재(300R)에 있어서의 우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고정된다. 핀(302)은, 이 하우징(301)에 장착되어 선단부(302a)를 하우징(301) 내에 출입시킨다. 스프링(303)은, 이 핀(302)의 선단부(302a)를 하우징(301)으로부터 퇴출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레버(304)는, 핀(302)의 선단부(302a)가 하우징(301) 내에 삽입되는 것을 억제한다.
하우징(301)은, 덮개부(301a)와, 이 덮개부(301a)의 외주연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의 본체부(301b)를 구비한다. 하우징(301)은, 천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301b)의 내측에 중공부(301c)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301a)의 하면의 중앙부가 오목하게 들어가 세로 구멍(301d)이 형성되어 있고, 세로 구멍(301d)은 중공부(301c)에 연속되어 있다. 덮개부(301a)의 하측 외주부의 전방측에는, 상하로 경사지는 경사면(301e)이 형성된다. 경사면(301e)의 상단부가, 덮개부(301a)의 전방측면에 연속되어 있다.
하우징(301)의 본체부(301b)는, 전방측과 하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하우징(301)의 본체부(301b)의 축방향의 중앙부(301f)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본체부(301b)의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부(301c)는 잘록부를 갖는다. 따라서, 중공부(301c)의 전방측의 개구는, 축방향의 중앙부에 잘록부를 갖는다.
선단부(302a)를 하우징(301) 내에 출입시키는 핀(302)은, 덮개부(301a)의 중앙부를 관통하고 있다. 핀(302)은, 세로 구멍(301d)에 출입하는 선단부(302a)와, 이 선단부(302a)의 상측에 연속되어 하우징(30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02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305)는, 이 돌출부(302b)의 외주에 배치되고, 돌출부(302b)에 장착되어 있다. 연장편(306)은, 돌출부(302b)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부(302b)에 장착되어 있다.
핀(302)의 선단부(302a)를 하우징(301)으로부터 퇴출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03)은, 덮개부(301)의 상면과 케이스(305)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핀(302)의 선단부(302a)가 하우징(301) 내에 삽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레버(304)는, 한 쌍의 파지편(304a)[한쪽의 파지편(304a)만을 도시하고, 다른 쪽의 파지편을 생략함]과, 파지편(304a) 사이에 걸쳐지는 지지편(304b)을 구비한다. 레버(304)는,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부터 보아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지편(304a)에 의해 하우징(301)의 덮개부(301a)의 후방측 부분을 끼움과 함께, 각 파지편(304a)의 선단이 덮개부(301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파지편(304a)을 기립시키면 지지편(304b)이 덮개부(301a)의 상측에 배치되고, 파지편(304a)을 쓰러뜨리면 지지편(304b)이 덮개부(301a)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또한, 레버(304)는 파지편(304a)이 기립되어 있을 때, 지지편(304b)과 연장편(306)이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각 연결 부재(300L, 300R)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 수형부(300B)는, 가이드 블록(307)과, 스토퍼(308)와, 스프링(309)과, 볼트(310)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블록(307)은, 지지 기둥 부재(10L, 10R)의 상단부(10a)에 고정된다. 스토퍼(308)는, 이 가이드 블록(307) 내에 삽입되어 선단부(308a)가 세로 구멍(301d)에 출입한다. 스프링(309)은, 이 스토퍼(308)의 선단부(308a)를 가이드 블록(307)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볼트(310)는, 스토퍼(308)의 회전을 방지한다.
가이드 블록(307)은, 연결부(307a)와, 하측 대직경부(307b)와, 잘록부(307c)와, 상측 대직경부(307d)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307a)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 기둥 부재(10L, 10R)의 상단부(10a)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지지 기둥 부재(10L, 10R)에 고정된다. 하측 대직경부(307b)는, 이 연결부(307a)의 상측에 연속되어 연결부(307a)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다. 잘록부(307c)는, 이 하측 대직경부(307b)의 상측에 연속되어 하측 대직경부(307b)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다. 상측 대직경부(307d)는, 이 잘록부(307c)의 상측에 연속되어 잘록부(307c)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다. 또한, 가이드 블록(307)은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공부(307e)를 갖고 있고, 상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스토퍼(308)는, 가이드 블록(307) 내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스토퍼(308)는, 선단부(308a)와, 통 형상의 동체부(308b)를 구비하고 있다. 선단부(308a)는, 측면으로부터 보아 사다리꼴 형상이다. 동체부(308b)는, 이 선단부(308a)의 하측에 연속된다. 동체부(308b)의 외주에는, 축방향을 따라 홈(308c)이 형성되어 있고, 동체부(308b)의 내측에는 축 부재(311)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308a)의 상면은, 전방측에 배치되는 수평면(308d)과, 이 수평면(308d)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08e)으로 이루어진다.
스토퍼(308)의 선단부(308a)를 가이드 블록(307)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09)은, 가이드 블록(307) 내에 압축된 상태로 삽입되고, 스토퍼(308)의 동체부(308b)의 하단부에 접촉하고 있다.
스토퍼(308)의 회전을 방지하는 볼트(310)는, 가이드 블록(307)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볼트(310)의 선단은, 가이드 블록(307)의 중공부(307e) 내에 돌출됨과 함께, 스토퍼(308)의 홈(308c) 내에 배치된다. 또한, 볼트(310)는 스토퍼(308)의 빠짐 방지부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300L, 300R)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프레임 상부(1A)를 프레임 하부(1B)에 연결하는 경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연결 부재(300L, 300R)에 있어서의 레버(304)의 파지편(304a)은, 기립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연장편(306)의 하측에 레버(304)의 지지편(304b)이 배치되어, 핀(302)의 선단부(302a)가 세로 구멍(301d) 내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좌우의 연결 부재(300L, 300R)에 있어서의 가이드 블록(307)의 후방측에, 수평하게 하우징(301)이 끼워 넣어진다. 이때, 스토퍼(308)의 경사면(308e)이 덮개부(301a)의 경사면(301e)에 미끄럼 접촉한다. 그리고, 스토퍼(308)를 가압하는 스프링(30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스토퍼(308)의 선단부(308a)가 가이드 블록(307) 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307)이 완전히 하우징(301)의 중공부(301c) 내에 삽입되면, 스토퍼(308)와 세로 구멍(301d)이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이로 인해, 스토퍼(308)를 가압하는 스프링(309)의 가압력에 의해 스토퍼(308)의 선단부(308a)가 가이드 블록(307)으로부터 압출되어 세로 구멍(301d)에 삽입된다.
따라서,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가 연결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프레임 상부(1A)를 후방측으로 압박하였다고 해도, 스토퍼(308)가 스프링(309)에 의해 가압되어 있으므로, 스토퍼(308)의 선단부(308a)가 세로 구멍(301d)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레버(304)는 핀(302)의 선단부(302a)가 세로 구멍(301d)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의 연결이 해제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의 연결을 해제하고, 분해하는 경우, 우선, 도 10 중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304)의 파지편(304a)이 쓰러져, 지지편(304b)이 덮개부(301a)의 후방측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핀(302)을 가압하는 스프링(303) 및 스토퍼(308)를 가압하는 스프링(30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핀(302)의 선단부(302a)가 세로 구멍(301d)에 압입되고, 핀(302)은 스토퍼(308)의 선단부(308a)를 가이드 블록(307) 내에 압입한다. 이에 의해, 가이드 블록(307)을 하우징(301)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인출하여,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를 분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가 연결 부재(300L, 300R)를 구비하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을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로 분해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하부(1B)가 대차(4)에 적재되어 있으므로, 크레인으로 매다는 일 없이 프레임 하부(1B)만으로 타이어(W)를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는, 종래의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에서는 근접시킬 수 없었던 기체에도, 지지 롤러(2L, 2R)에 타이어(W)를 적재한 채 근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를 적용 가능한 기체의 종류를 종래보다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연결 부재(300L, 300R)는, 좌측(일측)의 지지 기둥 부재(10L)의 상단부(10a)와 횡가재(15)의 좌측 단부(15a)의 사이와, 우측(타측)의 지지 기둥 부재(10R)의 상단부(10a)와 횡가재(15)의 우측(타측) 단부(15b)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 하부(1B)의 한 쌍의 지지 기둥 부재(10L, 10R)에 손잡이(13)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지지 기둥 부재(10L, 10R) 외에, 지지 기둥 부재(10L, 10R)에 장착되는 손잡이(13)를 파지하여, 프레임 하부(1B)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 하부(1B)만으로 타이어(W)를 운반하는 경우, 걸림부(14)에 도시하지 않은 벨트의 단부를 고정하고, 이 벨트로 타이어(W)의 쓰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하부(1B)만으로 타이어(W)를 운반하는 경우라도,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프레임 상부(1A)의 횡가재(15)에는, 높이 조정 장치(8)나 지지 바(5)가 장착되어 있어, 상측으로 부피가 커진다. 그러나, 프레임 상부(1A)를 제거함으로써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어, 좁은 스페이스에서도 타이어(W)를 운반하기 쉽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연결 부재(300L, 300R)는, 횡가재(15)에 장착되는 연결 부재 암형부(300A)와, 지지 기둥 부재(10L, 10R)에 장착되는 연결 부재 수형부(300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연결 부재 암형부(300A)는,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A)의 중심측과는 반대측[좌측의 연결 부재(300L)에 있어서의 좌측, 우측의 연결 부재(300R)에 있어서의 우측]의 단부에 고정되는 하우징(301)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01)은, 덮개부(301a)와, 이 덮개부(301a)의 외주연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의 본체부(301b)를 구비하여, 천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301b)는, 내측에 중공부(301c)를 가짐과 함께, 전방측과 하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301a)의 하측 중앙부에는, 중공부(301c)에 연속되는 세로 구멍(301d)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결 부재 수형부(300B)는, 지지 기둥 부재(10L, 10R)의 상단부(10a)에 고정되는 가이드 블록(307)과, 이 가이드 블록(307) 내에 삽입되어 선단부(308a)가 세로 구멍(301d)에 출입하는 스토퍼(308)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블록(307)은, 하우징(301)의 중공부(301c)에 삽입되고, 스토퍼(308)의 선단부(308a)는 세로 구멍(301d)에 삽입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 암형부(300A)가 장착되는 프레임 상부(1A)를 연결 부재 수형부(300B)가 장착되는 프레임 하부(1B)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01) 혹은 가이드 블록(307) 중 한쪽을 수평 이동하는 것만으로,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를 연결할 수 있어, 연결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결 부재 암형부(300A)는, 핀(302)과, 레버(304)를 구비하고 있다. 핀(302)은, 하우징(301)에 장착되어, 선단부(302a)를 세로 구멍(301d) 내에 출입시킨다. 레버(304)는, 이 핀(302)의 선단부(302a)가 세로 구멍(301d) 내에 삽입되는 것을 억제한다. 연결 부재 수형부(300B)는, 스토퍼(308)의 선단부(308a)가 가이드 블록(307)으로부터 퇴출되는 방향으로 스토퍼(308)를 가압하는 스프링(309)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스프링(309)에 의해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레버(304)는 핀(302)의 선단부(302a)가 세로 구멍(301d) 내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핀(302)의 선단부(302a)가 스토퍼(308)를 가이드 블록(307)에 압입하여, 프레임 상부(1A)와 프레임 하부(1B)의 연결이 해제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개조, 변형 및 변경을 행할 수 있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는, 비행기의 타이어(W)를 보유 지지하고, 이 타이어(W)를 운반, 교환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가 비행기 이외의 타이어용에 이용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에 있어서의 프레임(1), 지지 롤러(2L, 2R), 대차(4), 지지 바(5), 회전 장치(7L, 7R), 높이 조정 장치(8), 상부 플레이트(80), 보유 지지 부재(81), 걸림 부재(9)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이들 부재의 각각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원은 2013년 3월 22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060598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8)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타이어가 적재되는 한 쌍의 지지 롤러를 구비한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이며,
    상기 프레임은, 상하로 분할되어, 프레임 상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 롤러가 장착되는 프레임 하부와, 상기 프레임 상부와 상기 프레임 하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하부는, 상기 양 지지 롤러의 편측의 측단부로부터 각각 기립하는 한 쌍의 지지 기둥 부재를 구비함과 함께, 대차에 적재되고,
    상기 프레임 상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 기둥 부재의 사이에 걸쳐지는 횡가재와, 상기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를 매달아 올리기 위한 걸림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한쪽의 상기 지지 기둥 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횡가재의 한쪽의 측단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다른 쪽의 상기 지지 기둥 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횡가재의 다른 쪽의 측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하부와 상기 대차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상기 프레임 하부를 승강시키는 잭을 구비하고 있는,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각각, 상기 횡가재에 장착되는 연결 부재 수형부와, 상기 지지 기둥 부재에 장착되는 연결 부재 암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연결 부재 암형부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측으로 개구되는 세로 구멍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 수형부는,
    상기 횡가재에 고정되는 가이드 블록과,
    가이드 블록 내에 삽입되어 선단부가 상기 가로 구멍에 출입하는 스토퍼와,
    상기 가이드 블록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세로 구멍에 삽입되는 가이드를 구비하고 있는,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수형부는, 상기 스토퍼의 상기 선단부를 상기 가이드 블록으로부터 출몰시키는 레버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레버를 안내하는 안내 홈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 홈은, 상하로 길게 형성됨과 함께 상기 가이드 블록의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세로 홈과, 상기 세로 홈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가로 홈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스토퍼의 측면에 기립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안내 홈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블록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수형부는, 상기 스토퍼의 상기 선단부를 상기 가이드 블록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토퍼의 상기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 블록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플런저를 구비하는,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암형부는,
    상기 지지 기둥 부재의 상기 상단부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상기 지지 기둥 부재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의 중심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상단부가 상기 지지 기둥 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블록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세로 구멍이 상기 브래킷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가로 구멍이 상기 블록에 형성되어 있는,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상기 연결 부재 수형부와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상기 연결 부재 수형부가 공통인 구성을 구비하고, 상기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의 중심면에 관하여 면 대칭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상기 연결 부재 암형부와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상기 연결 부재 암형부가 공통인 구성을 구비하고, 상기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의 상기 중심면에 관하여 면 대칭 형상으로 배치되는,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
  8. 삭제
KR1020157025739A 2013-03-22 2014-03-19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 KR101723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60598 2013-03-22
JP2013060598A JP6101127B2 (ja) 2013-03-22 2013-03-22 タイヤ保持装置
PCT/JP2014/057469 WO2014148528A1 (ja) 2013-03-22 2014-03-19 タイヤ保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109A KR20150121109A (ko) 2015-10-28
KR101723760B1 true KR101723760B1 (ko) 2017-04-05

Family

ID=5158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739A KR101723760B1 (ko) 2013-03-22 2014-03-19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031262A1 (ko)
EP (1) EP2977294A4 (ko)
JP (1) JP6101127B2 (ko)
KR (1) KR101723760B1 (ko)
CN (1) CN105073549B (ko)
WO (1) WO2014148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0249B2 (en) * 2017-12-20 2022-04-12 Praxair Technology, Inc. Mobile support assembly for holding and transporting a container
CN108466522B (zh) * 2018-03-16 2019-07-12 中国农业大学 一种大型车轮手动拆装装置
CN111452572B (zh) * 2019-12-17 2022-08-12 杭州走你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轮胎拆卸设备
CN111071372A (zh) * 2019-12-31 2020-04-28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用于轮胎装配台车上的浮动调整装置
CN111422012B (zh) * 2020-04-16 2021-11-30 安徽科技学院 用于报废汽车轮毂轮胎拆卸的专用工具
CN113401781B (zh) * 2021-06-23 2022-11-15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一种用于放射性干燥盐桶的机械式吊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4437A (ja) * 2000-11-20 2002-05-28 Okudaya Giken:Kk 運搬台車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6684A (en) * 1942-06-06 1943-08-10 Weaver Mfg Co Dolly
US2545440A (en) * 1948-02-10 1951-03-20 John M Barber Hand truck
US3145859A (en) * 1961-07-18 1964-08-25 Walker Mfg Co Jack
US3301419A (en) * 1965-07-14 1967-01-31 Harris L Molden Wheel lift
US3843000A (en) * 1973-06-08 1974-10-22 V Bennett Painters wheel spinner
US3937343A (en) * 1973-11-09 1976-02-10 Reynold Spulak Adjustable tire cart
US4050597A (en) * 1975-11-06 1977-09-27 Hawkins Wallace H Dolly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vehicle wheels
DE3109408A1 (de) * 1981-03-12 1982-09-30 Warnken, Dieter, 2800 Bremen Vorrichtung zum montieren von fahrzeugraedern
US4801237A (en) * 1985-09-03 1989-01-31 Nissan Motor Co., Ltd. Transportation device for commercial and industrial use
FR2589399B1 (fr) * 1985-11-04 1989-05-19 Pons Gerard Dispositif permettant la pose et la depose rapides et sans efforts de roue de vehicules lourds
JPH054442Y2 (ko) * 1986-11-29 1993-02-03
JPH05330306A (ja) * 1992-05-28 1993-12-14 Bridgestone Corp 自走型タイヤドーリー
AU6065694A (en) * 1993-04-23 1994-10-27 Humphries Projects Cc Wheel trolley
US5362194A (en) * 1993-10-28 1994-11-08 Norco Industries, Inc. Lift/tilt wheel dolly
JPH11198601A (ja) * 1998-01-12 1999-07-27 Sugiyasu Kogyo Kk ホイールドーリ
BE1011735A3 (fr) * 1998-02-06 1999-12-07 Deltenre Jean Pierre Appareil transportable pour demonter et remonter une roue de vehicule.
JP4002742B2 (ja) * 2001-07-09 2007-11-07 カヤバ工業株式会社 保持装置
FR2845639B1 (fr) * 2002-10-14 2005-08-19 Claude Flores Chariot pour la mise en place de roues sur un vehicule lourd, notamment poids lourd
US20060151248A1 (en) * 2004-11-30 2006-07-13 Hugo Rodriguez Easy tire lift
WO2010000018A1 (en) * 2008-06-30 2010-01-07 Wilhelmsen Manufacturing Australia Pty Limited Aircraft tyre stillage
CN201914471U (zh) * 2010-12-13 2011-08-03 襄樊禹仁机电液压科技有限公司 飞机机轮安装拆卸车
CN202180704U (zh) * 2011-06-30 2012-04-04 武汉科技大学 一种用于巨型车轮的拆装装置
CN102248860B (zh) * 2011-07-01 2012-11-14 马兆林 一种大型轮胎拆装液压托车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4437A (ja) * 2000-11-20 2002-05-28 Okudaya Giken:Kk 運搬台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77294A4 (en) 2017-10-18
CN105073549B (zh) 2017-02-01
EP2977294A1 (en) 2016-01-27
CN105073549A (zh) 2015-11-18
JP6101127B2 (ja) 2017-03-22
WO2014148528A1 (ja) 2014-09-25
KR20150121109A (ko) 2015-10-28
JP2014184825A (ja) 2014-10-02
US20160031262A1 (en)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760B1 (ko) 타이어 보유 지지 장치
JP2018057812A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US10252675B2 (en) Height adjustable load compartment floor system
US8123237B2 (en) Mobile power generator apparatus
FR2498968A1 (fr) Appareil comportant des plateaux formant gabarit pour une machine-outil
JP2016030597A (ja) タイヤ付ホイールを取り付けおよび/または取り外しするための装置、タイヤ取り付け・取り外しマシン、およびタイヤ付ホイールのリムからタイヤを取り外しするための方法
WO2016082399A1 (zh) 小型折叠车
ITMO20070350A1 (it) Macchina per il montaggio e lo smontaggio di pneumatici di ruote per veicoli
US4953724A (en) Jib stretching and folding device
JP2010241360A (ja) 二段式駐輪装置
CN107865501B (zh) 一种便于移动的行李箱
US7585255B1 (en) Folding treadmill with a positioning structure
JP2001010597A (ja) 航空機牽引車
JPH11198601A (ja) ホイールドーリ
KR101311217B1 (ko) 고소작업차용 붐 조립장치
JP5667831B2 (ja) バーチカルローダー
KR100376071B1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CN218051102U (zh) 一种便携式可移动焊接平台
CN220009664U (zh) 抗变形汽车内饰件
JP2000142243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ドア
CN212858588U (zh) 一种用于拉床的工件压紧装置
JP7109818B2 (ja) 伸縮装置
JP2009208962A (ja) 車両用リフト装置
IT201600104639A1 (it) Macchina smontagomme
JP3125273B2 (ja) 鋳型造型設備の水平割金型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