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386B1 -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386B1
KR101720386B1 KR1020140097242A KR20140097242A KR101720386B1 KR 101720386 B1 KR101720386 B1 KR 101720386B1 KR 1020140097242 A KR1020140097242 A KR 1020140097242A KR 20140097242 A KR20140097242 A KR 20140097242A KR 101720386 B1 KR101720386 B1 KR 101720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
face
thick portion
head
cl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406A (ko
Inventor
가즈히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5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5Club s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58Heads with non-uniform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 A63B53/0462Heads with non-uniform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characterised by tapering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63B53/0412Volu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클럽에 관한 것으로서, 골프 클럽은 중공 헤드(6), 샤프트(8) 및 그립(10)을 포함한다. 헤드(6)는 페이스(f6)를 포함한다. 페이스(f6)는 두꺼운 부분(T1)을 포함한다. 두꺼운 부분(T1)은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을 포함한다.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의 위치에서의 페이스 높이는 H1으로 규정되고,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의 높이는 H2로 규정된다. H2/H1은 0.55 이상이다. 페이스(f6)는 두꺼운 부분(T1)보다 얇은 2차적인 두꺼운 부분(T2, T3)과, 2차적인 두꺼운 부분(T2, T3)보다 얇은 얇은 부분(T4, T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꺼운 부분(T1)과 2차적인 두꺼운 부분(T2, T3)은 힐의 상부측으로부터 토우의 하부측까지 연장되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골프 클럽 헤드{GOLF CLUB HEAD}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3년 7월 31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3-158420호의 우선권을 청구하며,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 인용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골프 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우드(wood) 타입, 아이언(iron) 타입, 및 유틸리티(utility) 타입이 골프 클럽 헤드로서 알려져 있다. 실제 골프 시, 골프 클럽 세트가 사용된다. 클럽 세트는 복수의 골프 클럽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클럽 세트는 우드 타입 골프 클럽, 아이언 타입 골프 클럽, 및 퍼터(putter)를 포함한다. 근년에, 많은 골퍼들(golfer)(golf player)이 유틸리티 타입 골프 클럽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일본 특허 제5181052호(US2013/0040752)는 클럽의 전장(overall length)이 상이한 복수의 골프 클럽을 포함하는 클럽 세트를 개시하고 있다. 세트에 있어서, 골프 클럽은 중공(hollow) 구조의 헤드를 포함하고 있다. 헤드는 페이스(face) 부분을 포함한다. 페이스 부분은 중심의 두꺼운 부분, 토우-크라운측(tow-crown side) 얇은 부분, 및 힐-소울측(heel-sole side) 얇은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일본 특허 제5181052호에서는 토우측 얇은 부분 배치각(θA) 및 힐측 얇은 부분 배치각(θB)이 규정된다. 각도(θA, θB)는, 클럽의 전장이 증가할수록 더욱 증가된다.
본 발명자는 일본 특허 제5181052호와는 상이한 기술적 사상에 따라 비거리(flight distance)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거리 성능이 탁월한 골프 클럽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골프 클럽은 중공 헤드, 샤프트(shaft) 및 그립(grip)을 포함한다. 중공 헤드는 페이스를 포함한다. 페이스는 두꺼운 부분을 포함한다. 두꺼운 부분은 두꺼운 부분 중심점(center point)을 포함한다. 두꺼운 부분 중심점의 위치에서의 페이스 높이가 H1으로 규정되고, 두꺼운 부분 중심점의 높이가 H2로 규정되는 경우, H2/H1은 0.55 이상이다.
바람직하게, 페이스는 두꺼운 부분보다 얇은 2차적인(secondary) 두꺼운 부분과, 2차적인 두꺼운 부분보다 얇은 얇은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두꺼운 부분과 2차적인 두꺼운 부분은 힐의 상부측으로부터 토우의 하부측까지 연장되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헤드는 헤드 본체를 페이스 부재에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페이스 부재의 재료는 압연재(rolled material)이다. 바람직하게, 페이스 부재의 배면(back surface)은 NC 가공 처리된다.
바람직하게, 페이스 부재는 NC 가공 처리된 후에 굴곡된다.
바람직하게, 헤드의 헤드 체적은 70㎤ 이상이고 15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 실제 로프트(loft) 각도는 15도 이상이고 30도 이하이다.
바람직한 클럽 세트는 클럽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골프 클럽을 포함한다. 각각의 골프 클럽은 중공 헤드, 샤프트 및 그립을 포함한다. 중공 헤드는 페이스를 포함한다. 페이스는 두꺼운 부분을 포함한다. 두꺼운 부분은 두꺼운 부분 중심점을 포함한다. 두꺼운 부분의 위치에서의 페이스 높이가 H1으로 규정되고, 두꺼운 부분 중심점의 높이가 H2로 규정되는 경우, H2/H1은 0.55 이상이다.
바람직하게, 세트의 헤드에 있어서, 페이스는 두꺼운 부분보다 얇은 2차적인 두꺼운 부분과, 2차적인 두꺼운 부분보다 얇은 얇은 부분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두꺼운 부분과 2차적인 두꺼운 부분은 힐의 상부측으로부터 토우의 하부측까지 연장되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경사진 두꺼운 부분의 경사각(θ)은 클럽 길이가 더 짧아질수록 증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클럽 세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선 F4-F4 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
도 5는 도 3의 헤드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헤드의 분해도.
도 7은 페이스 배면의 에지 라인이 파선(broken line)으로 도시된, 도 5와 동일한 사시도.
도 8은 페이스의 평탄한 도면을 도시하는, 페이스의 부분들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선 F9-F9 를 따라 취한 헤드의 횡단면도.
도 10은 비교예 1에 따른 페이스의 평면도.
도 11은 비교예 3에 따른 헤드의 사시도.
도 12는 비교예 3에 따른 페이스의 평면도.
도 13은 비교예 3에 따른 페이스의 두꺼운 부분 중심점을 도시하는 도면.
하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면에 적절한 도면부호를 갖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골프 클럽(4)은 헤드(6), 샤프트(8), 및 그립(10)을 포함한다.
도 1은 골프 클럽(4)을 포함하는 골프 클럽 세트(2)의 예이다. 세트(2)는 복수의 골프 클럽(4)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세트(2)는 5개의 골프 클럽(4)을 포함한다. 각각의 골프 클럽(4)은 헤드(6), 샤프트(8), 및 그립(10)을 포함한다. 클럽 길이는 각각의 클럽(4)마다 상이하다. 샤프트(8)의 길이는 각각의 클럽(4)마다 상이하다. 헤드(6)의 로프트 각도는 각각의 클럽(4)마다 상이하다.
세트(2)에서 클럽(4)의 개수는 2개 이상이며, 바람직하기로는 3개 이상이고,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4개 이상이다. 골프 규칙에 따른 클럽의 개수의 제한을 고려할 때, 세트(2)에서 클럽(4)의 개수는 7개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6개 이하이고,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개 이하이다.
모든 헤드(6)는 중공이다. 모든 헤드(6)는 중공 헤드이며, 이것은 드라이버가 아니다(1번 우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6)는 복수의 페이스 라인(페이스 홈)을 포함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1 이외의 도면에서는 페이스 라인이 생략되어 있다.
헤드의 타입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헤드(6)는 우드 타입, 유틸리티 타입(하이브리드 타입), 또는 아이언 타입일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헤드(6)는 유틸리티 헤드이다.
세트(2)는 로프트 각도가 증가하는 순서대로 클럽(41), 클럽(42), 클럽(43), 클럽(44), 클럽(45)을 포함한다. 클럽(41)의 로프트 각도는 세트(2)에서 가장 작다. 클럽(42)의 로프트 각도는 세트(2)에서 가장 크다. 로프트 각도는 실제 로프트 각도를 의미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방향(two-directional) 화살표(La1)는 클럽(41)의 로프트 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2방향 화살표(La2)는 클럽(42)의 로프트 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2방향 화살표(La3)는 클럽(43)의 로프트 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2방향 화살표(La4)는 클럽(44)의 로프트 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2방향 화살표(La5)는 클럽(45)의 로프트 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로프트 각도는 증가하는 순서대로 La1, La2, La3, La4, 및 La5 이다. 즉, La1 < La2 < La3 < La4 < La5 이다. 로프트 각도는 클럽 길이가 작아질수록 더 커진다.
실시예에 있어서, 로프트 각도(La1)는 16도 이상이며 또한 18도 이하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로프트 각도(La2)는 18도 이상이며 또한 20도 이하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로프트 각도(La3)는 20도 이상이며 또한 22도 이하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로프트 각도(La4)는 22도 이상이며 또한 24도 이하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로프트 각도(La5)는 24도 이상이며 또한 26도 이하이다. 바람직한 골프 클럽 세트는 이들 5종류의 로프트 각도 중 2종류 이상을,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이들 5종류의 로프트 각도 중 3종류 이상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세트(2)를 구성하는 N개의 클럽의 로프트 각도는 로프트 각도의 증가하는 순서대로 La1, La2 ...으로 규정되며, 여기서 상기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N은 5 이다. 세트(2)는 La1 < La2 < ... < LaN 을 충족시킨다.
실시예에 있어서, 세트에서 가장 작은 로프트 각도(La1)는 바람직하기로는 15도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6도 이상이다. 세트(2)는 드라이버(1번 우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세트(2)에 있어서, 헤드 체적은 로프트 각도가 커질수록 더 작아진다. 세트(2)에 있어서, 헤드 중량은 로프트 각도가 커질수록 더 커진다.
클럽(41)은 헤드(61) 및 샤프트(81)를 포함한다. 클럽(42)은 헤드(62) 및 샤프트(82)를 포함한다. 클럽(43)은 헤드(63) 및 샤프트(83)를 포함한다. 클럽(44)은 헤드(64) 및 샤프트(84)를 포함한다. 클럽(45)은 헤드(65) 및 샤프트(85)를 포함한다.
세트(2)에 있어서, 샤프트는 로프트 각도가 커질수록 더 짧아진다. 샤프트 길이는 증가하는 순서대로 샤프트(81), 샤프트(82), 샤프트(83), 샤프트(84), 샤프트(85)이다. 세트(2)에 있어서, 클럽 길이는 로프트 각도가 클수록 더 짧아진다. 세트(2)에서, 클럽(41)의 클럽 길이가 가장 길다. 세트(2)에서, 클럽(45)의 클럽 길이가 가장 짧다.
클럽 길이는 번호 당 0.5 인치씩 변화된다. 즉, 세트(2)에 있어서, 클럽 길이는 0.5 인치의 피치로 변화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클럽(41)의 클럽 길이는 41 인치이다. 세트(2)에서, 클럽(41)이 가장 길다. 클럽(42)의 클럽 길이는 40.5 인치이다. 클럽(43)의 클럽 길이는 40 인치이다. 클럽(44)의 클럽 길이는 39.5 인치이다. 클럽(45)의 클럽 길이는 39 인치이다. 세트(2)에 있어서, 클럽(45)이 가장 짧다. 세트(2)에 있어서, 가장 긴 클럽의 클럽 길이는 바람직하기로는 40.5 인치 이상이며 또한 41.5 인치 이하이다. 세트(2)에 있어서, 가장 짧은 클럽의 클럽 길이는 바람직하기로는 38.5 인치 이상이며 또한 39.5 인치 이하이다.
도 2에 있어서, 페이스 프로그레션(progression)(FP)이 각각의 클럽(4)에 표시되어 있다. 2방향 화살표(FP1)는 클럽(41)의 페이스 프로그레션(FP)을 표시하고 있다. 2방향 화살표(FP2)는 클럽(42)의 페이스 프로그레션(FP)을 표시하고 있다. 2방향 화살표(FP3)는 클럽(43)의 페이스 프로그레션(FP)을 표시하고 있다. 2방향 화살표(FP4)는 클럽(44)의 페이스 프로그레션(FP)을 표시하고 있다. 2방향 화살표(FP5)는 클럽(45)의 페이스 프로그레션(FP)을 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페이스 프로그레션(FP)은 클럽 길이가 짧아질수록 더 커진다.
각각의 헤드(6)는 클럽 번호를 나타내는 문자가 붙어있다. 실제로, 문자는 예를 들어 소울(36)상에 표시되어 있다. 골프 클럽(41)에는 UT3+ 이 표시되어 있다. 골프 클럽(42)에는 UT3 이 표시되어 있다. 골프 클럽(43)에는 UT4 가 표시되어 있다. 골프 클럽(44)에는 UT5 가 표시되어 있다. 골프 클럽(45)에는 UT6 이 표시되어 있다.
도 3은 헤드(6)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F4-F4 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4에는 오직 페이스 둘레의 부분만 도시되어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헤드(6)를 위해 설명된 사항은 모든 헤드(61-65)에 대해 공통이다.
헤드(6)는 페이스(f6), 크라운(c6), 소울(s6), 및 호젤(hosel)(h6)을 포함한다. 페이스(f6)는 페이스 표면(fs) 및 페이스 배면(fr)을 포함한다. 페이스 표면(fs)은 페이스(f6)의 외측 표면이다. 페이스 표면(fs)은 타격 표면이다. 페이스 배면(fr)은 페이스(f6)의 내측 표면이다. 헤드(6)는 중공이다. 호젤(h6)은 호젤 구멍(hz)을 포함한다. 샤프트 축선(Z1)은 호젤 구멍(hz)의 중심 축선과 일치한다.
헤드(6)에서 샤프트 축선(Z1) 주위의 관성 모멘트(MI)가 측정된다. 관성 모멘트(MI)는 각각의 클럽 번호마다 설정될 수 있다.
페이스 표면(fs)은 페이스 중심(Fc)을 포함한다. 페이스 표면(fs)은 스위트 스폿(sweet spot)(SS)을 포함한다. 페이스 표면(fs)은 선단 에지(Le)를 포함한다. 선단 에지(Le)는 페이스 표면(fs)의 하부 에지이다.
페이스 표면(fs)은 외측으로 돌출하는 3차원 곡면이다. 전형적인 우드 헤드와 유사하게, 페이스 표면(fs)은 벌지(bulge) 및 롤(roll)을 포함한다.
[용어의 정의]
본 출원에서의 용어는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기준 상태 및 기준 수직면]
기준 상태는 샤프트 구멍의 중심 축선(Z1)이 수평면(H)과 직교하는 평면(VP1)에 포함되고 또한 헤드가 특정한 라이각(lie angle) 및 실제 로프트 각도에서 수평면(H)에 위치되는 상태로 규정된다. 평면(VP1)은 기준 수직면으로 규정된다. 특정한 라이각 및 실제 로프트 각도는 예를 들어 제품 카달로그에 게재되어 있다. 도 3은 기준 상태에서의 헤드(6)를 도시하고 있다.
[토우-힐 방향]
토우-힐 방향은 기준 수직면(VP1)과 수평면(H)의 교차선의 방향으로 규정된다.
[페이스-백(face-back) 방향]
페이스-백 방향은 토우-힐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수평면(H)과 평행한 방향으로 규정된다.
[수직 방향]
수직 방향은 수평면(H)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규정된다.
[페이스 중심(Fc)]
토우-힐 방향의 최대폭(Wx)(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페이스 표면(fs)상에 결정된다. 더욱이, 최대폭(Wx)에서 토우-힐 중심 위치(Px)가 결정된다. 페이스 표면상의 수직 방향 중심점(Py)이 위치(Px)에서 결정된다. 점(Py)은 페이스 중심(Fc)으로 규정된다.
[투영(projection) 평면(Ps)]
도 4에 있어서, 투영 평면(Ps)은 2점 쇄선(long dashed double-short dashed line)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투영 평면(Ps)은 직선(LN)과 직교하는 평면이다. 직선(LN)은 페이스 중심(Fc)을 통과하고 또한 페이스 표면(fs)과 직교하는 직선이다. 직선(LN)의 방향은 페이스 법선(normal) 방향으로 규정된다.
[평면도]
평면도는 투영 평면(Ps)상의 투영 영상으로 규정된다. 투영 평면(Ps)상으로의 투영에 있어서 투영의 방향은 페이스 법선 방향임을 인식해야 한다.
[상향 및 하향 방향]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이 투영 평면(Ps)상에 투영된다. 상향 및 하향 방향은 투영된 투영 평면(Ps)상의 직선의 방향으로 규정된다. 상향 및 하향 방향은 투영 평면(Ps)과 평행하다. 상향 및 하향 방향에 기초하여, "상부측" 및 "하부측"이 평면도에서 결정된다. 상향 및 하향 방향은 페이스 표면(fs)과 거의 평행하다.
[헤드 높이]
도 3은 헤드 높이(TH)를 도시하고 있다. 헤드 높이(TH)는 크라운(c6)의 최대 높이이다. 헤드 높이(TH)는 기준 상태에서 측정된다. 헤드 높이(TH)는 수평면(H)으로부터의 높이로 규정된다. 헤드 높이(TH)는 수직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스위트 스폿 높이(SH)]
기준 상태의 헤드에 있어서, 기준 평면(H)으로부터 스위트 스폿(SS)의 높이는 스위트 스폿 높이(SH)이다(도 3 참조). 스위트 스폿 높이(SH)는 수직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스위트 스폿(SS)은 헤드의 중력의 중심으로부터 페이스 표면까지의 수직선과 페이스 표면(fs)의 교차점인 것을 인식해야 한다.
[페이스 프로그레션(FP)]
기준 상태의 헤드에 있어서, 페이스 프로그레션(FP)은 헤드(6)의 최전방 지점과 평면(VP1) 사이의 페이스-백 방향 거리이다. 헤드의 최전방 지점은 페이스-백 방향으로 페이스측에 가장 가까운 지점이다. 페이스 프로그레션(FP)은 각각의 클럽 번호마다 적절히 설정되어 있다.
[페이스 표면(fs)의 에지]
페이스 표면은 에지가 명료한 능선(edge line) 등으로서 시각적으로 식별될 수 있는 경우 에지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 규정된다. 에지가 둥근 형상 등이기 때문에 불명료한 경우에, 헤드의 중력의 중심을 스위트 스폿(SS)에 연결시키는 직선(L1)(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다수의 평면이 가정된다. 헤드 외측 표면의 곡률 반경(r)은 이들 평면을 따른 단면상에서 측정된다. 곡률 반경(r)은 페이스 중심(Fc)으로부터 외향 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측정된다. 연속적인 측정에 있어서, 에지는 곡률 반경(r)이 최초에 200 mm 이하로 되는 지점으로 규정된다. 곡률 반경(r)의 측정에 있어서, 페이스 라인, 펀치 마크(punch mark) 등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된다.
도 5는 헤드(6)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헤드(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6)는 헤드 본체(6m)를 페이스 부재(6p)에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결합은 용접이다. 헤드 본체(6m)는 개구(6k)를 포함한다. 개구(6k)의 형상은 페이스 부재(6p)의 윤곽선 형상에 대응한다. 개구(6k)는 페이스 부재(6p)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2점 쇄선은 헤드 본체(6m)와 페이스 부재(6p) 사이의 경계(k1)를 나타낸다.
페이스 표면(fs)의 전체 면적에 있어서, 페이스 부재(6p)에 의해 형성된 면적의 비율(Rp)은 바람직하기로는 6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70% 이상이고,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80% 이상이다. 페이스 부재(6p)가 판재(plate member)로 형성된 경우에, 페이스 부재(6p)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페이스 표면(fs)의 에지 부분은 헤드 본체(6m)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관점으로부터, 비율(Rp)은 바람직하기로는 95% 이하이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90% 이하이다.
페이스 부재(6p)는 판 형상이다. 페이스 부재(6p)는 페이스(f6)의 일부를 형성한다. 페이스 부재(6p)는 페이스(f6)의 중심 부분을 형성한다. 헤드 본체(6m)는 페이스(f6)의 둘레에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헤드 본체(6m)는 페이스 부재(6p)의 둘레에 페이스(f6)를 형성한다. 이 구성에 의해, 페이스 부재(6p)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허용된다.
헤드 본체(6m)의 재료는 제한되지 않는다. 헤드 본체(6m)의 재료는 금속, CFRP(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을 포함한다. 금속은 순수 티타늄, 티타늄 합금, 스텐레스 강, 마레이징(maraging) 강,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및 텅스텐-니켈 합금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의 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종류를 포함하다. 스텐레스 강은 SUS 630 및 SUS 304 를 포함한다. 스텐레스 강의 특정한 예는 CUSTOM 450(카펜터 테크놀러지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을 포함한다. 티타늄 합금은 6-4 티타늄(Ti-6Al-4V), Ti-15V-3Cr-3Sn-3Al, 등을 포함한다.
페이스 부재(6p)의 재료는 제한되지 않는다.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한 재료는 티타늄 합금 및 마레이징 강을 포함하며, 또한 마레이징 강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마레이징 강은 Custom 455 및 HT 1770 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부재(6p)의 재료는 Custom 455 이다.
헤드 본체(6m)는 주조(casting)에 의해 제조된다. 페이스 부재(6p)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판재는 평판(flat plate)이다. 판재는 압연재(압연된 강)이다. 압연재는 결함이 적고 또한 강도가 우수하다. 더욱이, 압연재는 높은 두께 정확도를 갖는다. 페이스(f6)의 두께의 정확도는 압연재를 사용함으로써 개선된다. 페이스(f6)의 강도는 압연재를 사용함으로써 개선된다.
압연재의 다른 바람직한 재료는 단조강(forged steel)이다. 또한, 단조강은 결함이 적고 또한 강도가 우수하다.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페이스 부재(6p)의 재료는 압연재 또는 단조강이 바람직하며, 또한 압연재가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페이스 표면(fs)은 벌지 및 롤을 포함하는 3차원 곡면이다. 따라서, 평판이 재료로 사용되는 경우에, 평판은 굴곡된다.
페이스 부재(6p)의 페이스 배면(fr)은 NC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NC 가공에 의해, 두께(TF)가 매우 정확하게 형성된다. NC는 "수치 제어(Numerical Control)"의 약어이다. 더욱 상세하기로는, 페이스 배면(fr)은 CNC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CNC는 "컴퓨터화된 수치 제어"의 약어이다. 두께(TF)의 정확도는 높다.
페이스 부재(6p)의 제조 공정은 하기의 A, B, 및 C 단계를 포함한다.
(1) 평판이 NC 가공 처리되는 단계(A).
(2) 평판이 페이스 부재(6p)의 윤곽선 형상으로 절단되는 단계(B).
(3) 단계(A) 및 단계(B)를 거친 부재가 굴곡되는 단계(C).
단계(B)의 공정은 NC 가공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단계(A)에서의 NC 데이터는 단계(B)에서의 NC 데이터와 관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두께(TF)의 분포가 매우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단계(C)의 공정(굴곡 가공)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수행된다. 프레스 가공은 냉간(cold) 프레스 가공이다. 냉간 프레스 가공에 의해, NC 가공에 의해 형성된 두께(TF)는 가공 중 변화될 개연성이 낮다. 따라서, 두께(TF)의 정확도가 개선된다.
이 방식으로, 페이스 부재(6p)는 NC 가공이 평판에 적용된 후에 굴곡됨으로써 제조된다. NC 가공이 평판에 적용되며, 또한 그에 따라 두께(TF)의 정확도가 개선된다. 굴곡 가공 후 NC 가공이 수행된 경우에, 굴곡 가공의 오차는 NC 데이터에 반영되지 않으며, 또한 그 결과로서 두께(TF)의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더욱이, 평판은 압연재이다. 두께의 정확도가 우수한 압연재에 NC 가공이 적용됨으로써, 두께 분포가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페이스(f6)의 두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파선은 페이스 배면(fr)에 형성된 능선을 표시하고 있다. 페이스 배면(fr)은 전체적으로 단차(段差)(step) 없이 연속된다. 그러나, 다수의 협소한 줄무늬(streak)(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가 페이스 배면(fr)상에 형성된다. 이들 줄무늬는 밀링(milling)의 흔적이다.
페이스(f6)는 제1의 두꺼운 부분(T1)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1의 두꺼운 부분(T1)은 타원형 영역이다. 제1의 두꺼운 부분(T1)은 페이스 중심(Fc)을 포함한다. 더욱이, 페이스(f6)는 제2의 두꺼운 부분(T2) 및 제3의 두꺼운 부분(T3)을 포함한다. 제2의 두꺼운 부분(T2)은 제1의 두꺼운 부분(T1)보다 얇다. 제3의 두꺼운 부분(T3)은 제1의 두꺼운 부분(T1)보다 얇다.
본 출원에 있어서, 제1의 두꺼운 부분(T1)은 간단히 두꺼운 부분으로도 지칭된다. 본 출원에 있어서, 제2의 두꺼운 부분(T2) 및 제3의 두꺼운 부분(T3)은 2차적인 두꺼운 부분으로도 지칭된다.
페이스(f6)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을 포함한다.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은 두꺼운 부분(T1) 및 2차적인 두꺼운 부분(T2, T3)으로 형성된다.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은 힐의 상부측으로부터 토우의 하부측까지 연장된다.
두꺼운 부분(T1)보다 얇은 2차적인 두꺼운 부분(T2, T3)은 두꺼운 부분(T1)의 영역을 감소시키며, 또한 반발(rebound)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리브(rib)로 연장되는 2차적인 두꺼운 부분(T2, T3)이 페이스 강도를 개선시킨다.
제2의 두꺼운 부분(T2)은 두꺼운 부분(T1)에 인접하고 있다. 제2의 두꺼운 부분(T2)은 두꺼운 부분(T1)으로부터 힐측까지 또한 상부측까지 연장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2의 두꺼운 부분(T2)의 폭은 힐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제2의 두꺼운 부분(T2)의 팁 단부는 테이퍼진다. 제3의 두꺼운 부분(T3)은 두꺼운 부분(T1)에 인접하고 있다. 제3의 두꺼운 부분(T3)은 두꺼운 부분(T1)으로부터 토우측으로 또한 하부측까지 연장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3의 두꺼운 부분(T3)의 폭은 토우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제3의 두꺼운 부분(T3)의 팁 단부는 테이퍼진다.
페이스(f6)는 얇은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얇은 부분은 얇은 힐 부분(T4) 및 얇은 토우 부분(T5)을 포함한다. 얇은 힐 부분(T4)은 두꺼운 부분(T1)보다 얇다. 얇은 힐 부분(T4)은 제2의 두꺼운 부분(T2)(2차적인 두꺼운 부분)보다 얇다. 얇은 힐 부분(T4)은 제3의 두꺼운 부분(T3)(2차적인 두꺼운 부분)보다 얇다. 얇은 토우 부분(T5)은 두꺼운 부분(T1)보다 얇다. 얇은 토우 부분(T5)은 제2의 두꺼운 부분(T2)(2차적인 두꺼운 부분)보다 얇다. 얇은 토우 부분(T5)은 제3의 두꺼운 부분(T3)(2차적인 두꺼운 부분)보다 얇다.
얇은 힐 부분(T4)은 경사진 두꺼운 부분(Ts)보다 얇다. 얇은 힐 부분(T4)은 얇은 부분의 예이다. 얇은 토우 부분(T5)은 경사진 두꺼운 부분(Ts)보다 얇다. 얇은 토우 부분(T5)은 얇은 부분의 예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은 페이스 부재(6p)를 횡단하고 있다.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은 얇은 부분(T4, T5)의 존재를 허용하면서 페이스 강도의 개선에 기여한다.
페이스(f6)는 전이부(transitional portion)를 포함한다. 전이부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Ts)과 얇은 부분(T4, T5) 사이에 위치된다. 전이부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을 얇은 부분(T4, T5)에 단차 없이 연결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전이부는 제1 전이부(TR1) 및 제2 전이부(TR2)를 포함한다. 제1 전이부(TR1)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Ts)과 얇은 힐 부분(T4) 사이에 위치된다. 제1 전이부(TR1)는 얇은 힐 부분(T4)에 인접하고 있다. 제1 전이부(TR1)는 두꺼운 부분(T1)에 인접하고 있다. 제1 전이부(TR1)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에 인접하고 있다. 제2 전이부(TR2)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Ts)과 얇은 토우 부분(T5) 사이에 위치된다. 제2 전이부(TR2)는 얇은 토우 부분(T5)에 인접하고 있다. 제2 전이부(TR2)는 두꺼운 부분(T1)에 인접하고 있다. 제2 전이부(TR2)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에 인접하고 있다.
제1 전이부(TR1)는 힐의 상부측으로부터 토우의 하부측까지 연장된다. 제1 전이부(TR1)의 두께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의 두께와 얇은 힐 부분(T4)의 두께 사이이다. 제1 전이부(TR1)의 두께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으로부터 얇은 힐 부분(T4) 까지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제2 전이부(TR2)는 힐의 상부측으로부터 토우의 하부측까지 연장된다. 제2 전이부(TR2)의 두께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의 두께와 얇은 토우 부분(T5)의 두께 사이이다. 제2 전이부(TR2)의 두께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으로부터 얇은 토우 부분(T5) 까지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얇은 힐 부분(T4)은 전이부(TR1, TR2)보다 얇다. 얇은 토우 부분(T5)은 전이부(TR1, TR2)보다 얇다.
제1의 두꺼운 부분(T1)의 두께(TF)는 페이스 부재(6p)상에서 최대이다. 제1의 두꺼운 부분(T1)의 두께(TF)는 페이스(f6)상에서 최대이다. 그러나, 최대 두께로부터 그 차이가 0.02 mm 이내인 부분도 두꺼운 부분(T1)으로 간주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 부재(6p)는 두꺼운 부분(T1)의 전체를 포함한다. 페이스 부재(6p)는 2차적인 두꺼운 부분(T2, T3)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페이스 부재(6p)는 얇은 힐 부분(T4)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페이스 부재(6p)는 얇은 토우 부분(T5)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페이스 부재(6p)는 제1 전이부(TR1)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페이스 부재(6p)는 제2 전이부(TR2)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하기는 각각의 부분의 두께(TF)이다.
ㆍ제1의 두꺼운 부분(T1): 2.15 mm
ㆍ제2의 두꺼운 부분(T2): 1.7 mm 이상이며 또한 2.15 미만
ㆍ제3의 두꺼운 부분(T3): 1.6 mm 이상이며 또한 2.15 미만
ㆍ얇은 힐 부분(T4): 1.5 mm
ㆍ얇은 토우 부분(T5): 1.6 mm
실시예에 있어서, 두꺼운 부분(T1)과 2차적인 두꺼운 부분(T2, T3) 사이의 두께의 차이는 0.55 mm 이하이다.
페이스의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제1의 두꺼운 부분(T1)의 두께는 1.9 mm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0 mm 이상이다. 반발 성능의 관점으로부터, 제1의 두꺼운 부분(T1)의 두께는 2.4 mm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3 mm 이하이다.
페이스의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2차적인 두꺼운 부분(T2, T3)의 평균 두께는 1.5 mm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6 mm 이상이다. 반발 성능의 관점으로부터, 2차적인 두꺼운 부분(T2, T3)의 평균 두께는 2.2 mm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1 mm 이하이다.
페이스의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얇은 부분(T4, T5)의 평균 두께는 1.3 mm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4 mm 이상이다. 반발 성능의 관점으로부터, 얇은 부분(T4, T5)의 평균 두께는 1.8 mm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7 mm 이하이다.
도 7은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을 도시하고 있다. 평면도에 있어서, 두꺼운 부분(T1)의 도면의 중심이 결정될 수 있다. 평면도에서 도면의 중심은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은 두꺼운 부분(T1)의 윤곽선인 타원의 중심이다.
도 8은 페이스(6)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도 8에서 절단선 (F9-F9)을 따라 취한 헤드(6)의 횡단면도이다. 절단선(F9-F9)은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을 통과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선의 경계선은 페이스 배면(fr)상에서 시각적으로 인식된 능선이다. 이들 경계선은 페이스 표면(fs)측으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8의 실선의 경계선은 본래 파선으로 도시되어야 하다. 도 8에 있어서, 경계선을 명확히 하기 위해, 파선으로 도시되어야 할 경계선이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실제 페이스 배면(fr)의 평면도는 도 8이 횡방향으로 반전된 것이다.
도 8 및 9에 있어서, 2방향 화살표(H1)는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의 위치(토우-힐 방향으로의 위치)에서 페이스 높이를 표시하고 있다. 높이(H1)는 평면도에서 측정된다. 높이(H1)는 전술의 상향 및 하향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높이(H1)의 시작점은 페이스 표면(fs)의 하부 에지이다. 하부 에지는 선단 에지(Le)이다. 높이(H1)의 종점(end point)은 페이스 표면(fs)의 상부 에지이다.
도 8 및 9에 있어서, 2방향 화살표(H2)는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의 높이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높이(H2)는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의 위치(토우-힐 방향으로의 위치)에서 측정된다. 높이(H2)는 평면도에서 측정된다. 높이(H2)는 전술의 상향 및 하향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높이(H2)의 시작점은 페이스 표면(fs)의 하부 에지이다. 높이(H2)의 종점은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은 힐의 상부측으로부터 토우의 하부측까지 연장된다. 힐의 상부측으로부터 토우의 하부측까지 연장되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은 두꺼운 부분(T1) 및 2차적인 두꺼운 부분(T2, T3)으로 형성된다.
얇은 부분(T4, T5)은 힐의 상부측으로부터 토우의 하부측으로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을 연장시킴으로써 힐의 하부측상에 또한 토우의 상부측상에 용이하게 고정된다. 다수의 골퍼의 타점(hitting point)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골퍼의 많은 타점은 상대적으로 힐의 하부측상에 또한 토우의 상부측상에 분포되어 있었다. 힐의 하부측상의 및 토우의 상부측상의 얇은 부분(T4, T5)은 평균 비거리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면 높이 H]
잔디상에 직접적으로 놓인 볼이 타구되는 경우에, 과도하게 높은 높이(H1)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 점을 감안하여, 높이(H1)는 40 mm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8 mm 이하이고,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6 mm 이하이다. 두꺼운 부분(T1) 이외의 얇은 영역은 반발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 관점으로부터, 높이(H1)는 29 mm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0 mm 이상이고,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1 mm 이상이며, 또한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32 mm 이상이다. 높이(H1)의 바람직한 범위는 세트(2)의 모든 클럽에서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트(2)에 있어서, 높이(H1)는 클럽 길이가 짧아질수록 더 커진다. 세트(2)에 있어서, 로프트 각도의 증가에 대응하여 각각의 번호 마다 적절한 높이(H1)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체 세트(2)로서, 스윙의 용이성 및 비거리 성능이 달성될 수 있다.
[두꺼운 부분 중심점의 높이(H2)]
잔디상에 직접적으로 놓인 볼이 타구되는 경우에, 타점이 하부측상에 위치되기 쉽다. 높이(H2)가 증가되며, 따라서 타점이 하부측상에 위치되는 경우에 반발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이 관점으로부터, 높이(H2)는 16 mm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7 mm 이상이며, 또한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18 mm 이상이다. 높이(H2)가 과도하게 큰 경우, 때로는 페이스의 강도가 저하된다. 이 관점으로부터, 높이(H2)는 22 mm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1 mm 이하이고,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0 mm 이하이다. 높이(H2)의 바람직한 범위는 세트(2)의 모든 클럽에서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트(2)에 있어서, 높이(H2)는 클럽 길이가 짧아질수록 더 커진다. 세트(2)에 있어서, 로프트 각도의 증가에 대응하여 각각의 클럽 번호 마다 적절한 높이(H2)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체 세트(2)로서, 큰 비거리가 달성될 수 있다.
[H2/H1]
타점이 하부측상에 위치된 경우에 반발 성능의 관점으로부터, H2/H1은 0.55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56 이상이다. 페이스의 강도를 고려하여, H2/H1은 0.63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60 이하이다. H2/H1 의 바람직한 범위는 세트(2)의 모든 클럽에서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스위트 스폿 높이(SH)를 낮게 하는 것이 비거리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두꺼운 부분 중심점의 높이(H2)의 증가는 스위트 스폿 높이(SH)를 증가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통상적으로, 두꺼운 부분 중심점의 높이(H2)는 증가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H2/H1은 더 작게 제조된다.
[두꺼운 부분에 대해 하부측에 위치된 페이스 높이(H3)]
도 8에 있어서, 2방향 화살표(H3)는 두꺼운 부분(T1)에 대해 하부측에 위치된 페이스 높이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높이(H3)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에 대해 하부측상에 위치된 페이스 높이이다. 높이(H3)는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의 토우-힐 방향의 위치에서 측정된다. 높이(H3)는 평면도에서 측정된다. 높이(H3)는 상향 및 하향 방향으로 측정된다.
타점이 하부측상에 위치되는 경우 반발 성능의 관점으로부터, 높이(H3)는 7 mm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9 mm 이상이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9 mm 이상이며, 또한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11 mm 이상이다. 페이스의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높이(H3)는 19 mm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7 mm 이하이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5 mm 이하이다. 높이(H3)의 바람직한 범위는 세트(2)의 모든 클럽에서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꺼운 부분에 대해 상부측에 위치된 페이스 높이(H4)]
도 8에 있어서, 2방향 화살표(H4)는 두꺼운 부분(T1)에 대해 상부측에 위치된 페이스 높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높이(H4)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에 대해 상부측상에 위치된 페이스 높이이다. 높이(H4)는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의 토우-힐 방향의 위치에서 측정된다. 높이(H4)는 평면도에서 측정된다. 높이(H4)는 상향 및 하향 방향으로 측정된다.
[H3/H4]
타점이 하부측상에 위치되는 경우 반발 성능을 고정시키는 관점으로부터, H3/H4는 1.0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1 이상이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2 이상이다. 페이스 강도를 개선하는 관점으로부터, H3/H4는 1.8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7 이하이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6 이하이다. H3/H4 의 바람직한 범위는 세트(2)의 모든 클럽에서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2-H3]
페이스 강도를 개선하는 관점으로부터, 차이(H2-H3)는 2 mm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 mm 이상이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4 mm 이상이다. 반발 성능을 개선시키는 관점으로부터, 차이(H2-H3)는 9 mm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8 mm 이하이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7 mm 이하이다. 차이(H2-H3)의 바람직한 범위는 세트(2)의 모든 클럽에서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꺼운 부분 중심점(Ec)과 페이스 중심(Fc) 사이의 토우-힐 방향 거리]
페이스의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의 토우-힐 방향의 위치는 페이스 중심(Fc)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으로부터, 중심점(Ec)과 페이스 중심(Fc) 사이의 토우-힐 방향 거리는 5 mm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4 mm 이하이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 mm 이하이다. 이 거리는 0 이 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거리는 세트(2)의 모든 클럽에서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꺼운 부분의 면적비(Ra)]
면적비(Ra)는 페이스 표면의 전체 면적에 대한 두꺼운 부분(T1)의 면적의 비율이다. 페이스의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면적비(Ra)는 5%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7% 이상이다. 반발 성능의 관점으로부터, 면적비(Ra)는 20%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8% 이하이다. 면적비(Ra)는 평면도에서 계산된다.
[경사각(θ)]
도 8에 있어서, 직선(L2)은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의 최장 횡단선을 표시하고 있다. 최장 횡단선(L2)은 평면도에서 정의된다. 최장 횡단선(L2)은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을 통과하며 또한 최장 횡단 길이를 갖는 직선이다. 2개의 교차점(pt1, pt2)은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의 윤곽선과 직선 사이에 존재한다(도 8 참조). 이들 두 교차점들(pt1, pt2) 사이의 거리는 횡단 길이이다. 평면도에 있어서, 수평 방향과 직선(L2)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경사각(θ)으로 규정된다. 수평 방향은 토우-힐 방향을 따라 투영 평면(Ps)상에 직선을 투영함으로써 얻어진 직선의 방향이다.
세트(2)에 있어서, 경사진 두꺼운 부분(Ts)의 경사각(θ)은 클럽 길이가 짧아질수록 더 커진다. 이 구성에 의해, 전체 세트로서, 비거리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타점 분포는 클럽 길이가 짧아질수록 변화된다. 경사각(θ)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화되며, 따라서 얇은 부분의 배치가 타점 분포에 적합하려는 경향을 가지며, 또한 비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우드 타입 헤드와 아이언 타입 헤드 사이의 중간 헤드는, 일반적으로 유틸리티 타입 헤드로서 지칭된다. 유틸리티 타입 헤드는 때로는 하이브리드 타입 헤드로서 지칭된다. 전형적인 유틸리티 타입 헤드는 중공이다. 일반적으로, 유틸리티 타입 헤드는 우드의 장점과 아이언의 장점 모두를 갖는다. 따라서, 이 헤드는 우드의 사양(specification)과 아이언의 사양 사이의 중간 사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관점으로부터, 헤드 체적의 하한치는 70㎤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80㎤ 이상이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90㎤ 이상이다. 헤드 체적의 상한치는 150㎤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40㎤ 이하이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30㎤ 이하이다. 실제 로프트 각도의 하한치는 15도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6도 이상이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7도 이상이다. 실제 로프트 각도의 상한치는 32도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0도 이하이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8도 이하이며, 또한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26도 이하이다. 헤드 폭의 하한치는 45mm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0mm 이상이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5mm 이상이다. 헤드 폭의 상한치는 120mm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0mm 이하이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90mm 이하이며, 또한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80mm 이하이다. 헤드 폭은 페이스-백 방향으로 헤드의 최대 폭이다. 헤드 높이(TH)(도 3 참조)의 하한치는 30mm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2mm 이상이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4mm 이상이다. 헤드 높이(TH)의 상한치는 42mm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40mm 이하이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7mm 이하이다.
유틸리티 타입 헤드를 포함하는 클럽은 유틸리티 타입 클럽으로서 지칭된다. 클럽은 우드의 장점과 아이언의 장점 모두를 갖고 있다. 이 관점으로부터, 클럽 길이의 하한치는 38.5 인치 이상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9 인치 이상이다. 클럽 길이의 상한치는 41.5 인치 이하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41.25 인치 이하이며,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41 인치 이하이다.
클럽 길이는 R & A(Royal and ancient Golf club of Saint Andrews: 전영 골프 협회)에 의해 특정화된 골프 규칙"부칙 Ⅱ. 클럽의 디자인"의 "1. 클럽"의 "1c. 길이"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하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가 예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의 설명에 기초하여 제한된 방법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 1(골프 클럽: U5)]
헤드(6)와 유사한 헤드가 준비되었다. 클럽 번호는 U5 이었다. 페이스 부재(6p)의 준비에 있어서, 평판 압연재가 사용되었다. 페이스 부재(6p)에 있어서, CNC 가공이 압연재의 배면에 적용되었다. 이어서, 재료는 CNC 가공 후 굴곡되었다. CNC 가공에 의해 매우 정확한 두께 분포가 형성되었다. 헤드 본체(6m)는 로스트-확스(lost-wax) 정밀 주조에 의해 준비되었다. 페이스 부재(6p)가 헤드 본체(6m)에 용접되었으며, 표면이 폴리싱되었으며, 또한 헤드가 얻어졌다. 이 헤드는 상용으로 입수 가능한 탄소 샤프트의 한쪽 단부 부분상에 장착되었다. 그립은 이 샤프트의 다른쪽 단부 부분상에 장착되었다. 이 방법으로, 도 1에 도시된 클럽이 얻어졌다. 클럽의 사양은 하기와 같다.
ㆍ실제 로프트 각도: 23도
ㆍ페이스 높이(H1): 34.4 mm
ㆍ두꺼운 부분 중심점의 높이(H2): 19.2 mm
ㆍ높이(H3): 13.5 mm
ㆍ높이(H4): 9.4 mm
ㆍH2/H1: 0.56
ㆍ경사각(θ): 24.9도
ㆍ두꺼운 부분(T1)의 두께: 2.15 mm
ㆍ얇은 힐 부분의 두께: 1.5 mm
ㆍ얇은 토우 부분의 두께: 1.6 mm
ㆍ클럽 길이: 39.5 인치
ㆍ헤드 체적: 111 cc
[비교예 1(골프 클럽: U5)]
도 10은 비교예 1에 따른 페이스(fc1)의 두께 분포도이다. 비교예 1에 따른 두께 분포는, 예 1에 따른 페이스(f6)의 두께 분포를 전체적으로 2 mm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얻어졌다. 두께 분포는 CNC 가공의 CAD 데이터를 변화시킴으로써 얻어졌다. 비교예 1에 따른 헤드 및 클럽은 위의 내용을 제외하고는 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얻어졌다. 클럽의 사양은 하기와 같았다.
ㆍ실제 로프트 각도: 23 도
ㆍ페이스 높이(H1): 34.4 mm
ㆍ두꺼운 부분 중심점의 높이(H2): 17.2 mm
ㆍH2/H1: 0.50
ㆍ경사각(θ): 24.9 도
ㆍ두꺼운 부분(T1)의 두께: 2.15 mm
ㆍ얇은 힐 부분의 두께: 1.5 mm
ㆍ얇은 토우 부분의 두께: 1.6 mm
ㆍ클럽 길이: 39.5 인치
ㆍ헤드 체적: 111 cc
[비교예 2(골프 클럽: U5)]
비교예 2의 두께 분포는 예 1에 따른 헤드의 두께 분포를 전체적으로 0.7 mm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얻어졌다. 두께 분포는 CNC 가공의 CAD 데이터를 변화시킴으로써 얻어졌다. 비교예 2에 따른 헤드 및 클럽은 위의 내용을 제외하고는 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얻어졌다. 클럽의 사양은 하기와 같았다.
ㆍ실제 로프트 각도: 23 도
ㆍ페이스 높이(H1): 34.4 mm
ㆍ두꺼운 부분 중심점의 높이(H2): 18.5 mm
ㆍH2/H1: 0.54
ㆍ경사각(θ): 24.9 도
ㆍ두꺼운 부분(T1)의 두께: 2.15 mm
ㆍ얇은 힐 부분의 두께: 1.5 mm
ㆍ얇은 토우 부분의 두께: 1.6 mm
ㆍ클럽 길이: 39.5 인치
ㆍ헤드 체적: 111 cc
[예 2(골프 클럽: U5)]
예 2의 두께 분포는 예 1에 따른 헤드의 두께 분포를 전체적으로 0.3 mm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얻어졌다. 두께 분포는 CNC 가공의 CAD 데이터를 변화시킴으로써 얻어졌다. 예 2에 따른 헤드 및 클럽은 위의 내용을 제외하고는 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얻어졌다. 클럽의 사양은 하기와 같았다.
ㆍ실제 로프트 각도: 23 도
ㆍ페이스 높이(H1): 34.4 mm
ㆍ두꺼운 부분 중심점의 높이(H2): 18.9 mm
ㆍH2/H1: 0.55
ㆍ경사각(θ): 24.9 도
ㆍ두꺼운 부분(T1)의 두께: 2.15 mm
ㆍ얇은 힐 부분의 두께: 1.5 mm
ㆍ얇은 토우 부분의 두께: 1.6 mm
ㆍ클럽 길이: 39.5 인치
ㆍ헤드 체적: 111 cc
[비교예 3(골프 클럽: U5)]
도 11은 비교예 3에 따른 헤드(100)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헤드(100)의 두께 분포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이 도 12에 추가된 평면도이다.
헤드(100)는 주조에 의해 준비되었다. 컵 형태의 페이스 부재가 주조에 의해 준비되었다. 더욱이, 헤드 본체는 주조에 의해 준비되었다. 페이스 부재가 헤드 본체에 용접되었다. 용접된 헤드의 표면은 폴리싱되었으며, 또한 헤드(100)가 얻어졌다.
헤드(100)의 페이스는 두꺼운 부분(K1), 중심 상부 부분(K2), 힐 상부 부분(K3), 힐 하부 부분(K4), 토우 하부 부분(K5), 및 토우 상부 부분(K6)을 포함하였다. 전이부(K7)가 이들 부분들 사이에 제공되었다. 전이부(K7)의 두께는 점진적으로 감소되었다. 전이부(K7)는 급격한 두께 변화가 억제되었다. 전체 페이스 배면은 완만하게 연속되었다. 부분들의 두께는 하기와 같이 설정되었다.
ㆍ두꺼운 부분(K1): 2.4 mm
ㆍ중심 상부 부분(K2): 1.7 mm
ㆍ힐 상부 부분(K3): 1.6 mm
ㆍ힐 하부 부분(K4): 1.5 mm
ㆍ토우 하부 부분(K5): 1.7 mm
ㆍ토우 상부 부분(K6): 1.6 mm
도 13은 헤드(100)의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의 도면이다. 두꺼운 부분 중심점(Ec)은 전술한 정의에 기초하여 결정되었다. 도 13에 있어서, 2점 쇄선은 평면도에서 두꺼운 부분으로 내접할 수 있는 최대 타원을 표시하고 있다. 타원의 중심은 두꺼운 부분 중심점(Ec)과 일치하고 있다.
헤드(100)의 사양은 하기와 같았다.
ㆍ실제 로프트 각도: 23 도
ㆍ페이스 높이(H1): 31.8 mm
ㆍ두꺼운 부분 중심점의 높이(H2): 16.8 mm
ㆍH2/H1: 0.53
ㆍ두꺼운 부분(T1)의 두께: 2.4 mm
ㆍ얇은 힐 부분의 두께: 1.5 내지 1.6 mm
ㆍ얇은 토우 부분의 두께: 1.6 내지 1.7 mm
ㆍ클럽 길이: 39.5 인치
ㆍ헤드 체적: 110 cc
[예 S1(클럽 세트: U3+ 내지 U6)]
예 1에 따른 클럽을 포함하는 클럽 세트가 준비되었다. 클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예 1과 동일한 방법이었다. 모든 클럽에 있어서, 페이스의 두께 분포는 예 1과 동일하였다. 클럽의 클럽 번호는 5 이었다. 클럽 길이는 샤프트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되었다. 얻어진 세트의 사양이 하기의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표 1: 예 S1의 사양



U3+

U3

U4

U5

U6

실제 로프트 각도(도)

17

19

21

23

25

헤드 체적(㎤)

116

114

113

111

110

클럽 길이(인치)

41

40.5

40

39.5

39

클럽 중량(g)

323

327

331

335

339

스윙 밸런스

D0

D0

D0

D0

D0

경사각(θ)

18.85

20.85

22.85

24.85

26.85

페이스 높이(H1)(mm)

33.0

33.4

33.8

34.4

34.9

높이(H2)(mm)

18.5

18.7

18.9

19.2

19.5

H2/H1

0.561

0.560

0.559

0.558

0.559
[비교예 S1(클럽 세트: U3+ 내지 U6)]
비교예 3에 따른 클럽을 포함하는 클럽 세트가 준비되었다. 클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비교예 3과 동일한 방법이었다. 모든 클럽에 있어서, 페이스의 두께 분포는 비교예 3과 동일하였다. 클럽의 클럽 번호는 5 이었다. 클럽 길이는 샤프트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되었다. 얻어진 세트의 사양이 하기의 표 2에 도시되어 있다.
표 2: 비교예 S1의 사양

U3+

U3

U4

U5

U6

실제 로프트 각도(도)

17

19

21

23

25

헤드 체적(㎤)

112

111

110

110

109

클럽 길이(인치)

41

40.5

40

39.5

39

클럽 중량(g)

323

327

331

335

339

스윙 밸런스

D0

D0

D0

D0

D0

경사각(θ)

---

---

---

---

---

페이스 높이(H1)(mm)

30.6

30.9

31.3

31.8

32.3

높이(H2)(mm)

16.5

16.6

16.5

16.8

17.1

H2/H1

0.539

0.537

0.527

0.528

0.529
[평가 결과]
[비거리]
골프 코스와 유사한 잔디 필드를 갖는 테스트 센터에서 실제로 볼을 타격하기 위한 테스트가 실행되었다. 볼은 페어웨이(fairway)의 잔디 위에 위치되었으며, 또한 골퍼가 볼을 타격한다. 테스트는 그 핸디캡(handicap)이 10 이상이며 또한 20 이하인 10명의 실험자에 의해 실행되었다. 공으로는 던롭 스포츠 컴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제조된 "XXIO XD-AERO"(상표명)가 사용되었다. 각각의 골퍼가 각각의 클럽으로 5회씩 샷(shot)하였다. 각각의 샷에 대해 비거리가 측정되었다. 모든 샷의 평균값이 계산되었다.
클럽의 평균 비거리는 하기와 같았다.
ㆍ예 1: 155 야드
ㆍ예 2: 153 야드
ㆍ비교예 1: 151 야드
ㆍ비교예 2: 152 야드
ㆍ비교예 3: 150 야드
세트의 평균 비거리는 하기와 같았다. 세트의 평균 비거리는 5개의 클럽(U3+ 내지 U6)의 비거리의 평균값으로 규정되었다.
ㆍ예 S1: 165 야드
ㆍ비교예 S1: 161 야드
전술한 바와 같이 예들의 평가는 비교예들의 평가보다 높다. 본 발명의 우수성이 명확하다.
본 발명은 우드 타입 헤드, 유틸리티 타입 헤드, 하이브리드 타입 헤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는 단지 예이며, 또한 본 발명의 본질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4: 골프 클럽 6: 헤드
8: 샤프트 10: 그립
41, 42, 43, 44, 45: 클럽 fs: 페이스 표면
fr: 페이스 배면

Claims (13)

  1. 중공 헤드, 샤프트 및 그립을 포함하는 골프 클럽으로서,
    상기 중공 헤드는 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스는 두꺼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두꺼운 부분은 두꺼운 부분 중심점을 포함하며,
    상기 두꺼운 부분 중심점의 위치에서의 페이스 높이가 H1으로 규정되고, 두꺼운 부분 중심점의 높이가 H2로 규정되는 경우, H2/H1은 0.55 이상이고,
    상기 중공 헤드의 헤드 체적은 70㎤ 이상이고 150㎤ 이하이며,
    상기 중공 헤드의 실제 로프트 각도는 15도 이상이고 32도 이하이고,
    상기 페이스는 두꺼운 부분보다 얇은 2차적인 두꺼운 부분과, 2차적인 두꺼운 부분보다 얇은 얇은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두꺼운 부분과 2차적인 두꺼운 부분은 힐의 상부측으로부터 토우의 하부측까지 연장되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두꺼운 부분 중심점은, 평면도에서 두꺼운 부분의 도면의 중심이고,
    페이스 표면의 전체 면적에 대한 상기 두꺼운 부분의 면적의 비율은 5% 이상 20%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헤드는 헤드 본체를 페이스 부재에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페이스 부재의 재료는 압연재이며,
    상기 페이스 부재의 배면은 NC 가공 처리되는 것인 골프 클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 부재는 NC 가공 처리된 후에 굴곡되는 것인 골프 클럽.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2/H1은 0.63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 사이에 위치된 전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이부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을 얇은 부분에 단차 없이 연결시키는 것인 골프 클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는 힐의 상부측에서 두꺼운 부분까지 연장되는 제2의 두꺼운 부분과, 토우의 하부측에서 두꺼운 부분까지 연장되는 제3의 두꺼운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의 두꺼운 부분은 상기 두꺼운 부분보다 얇고,
    상기 제3의 두꺼운 부분은 상기 두꺼운 부분보다 얇으며,
    상기 두꺼운 부분, 제2의 두꺼운 부분 및 제3의 두꺼운 부분은 힐의 상부측으로부터 토우의 하부측까지 연장되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을 형성하는 것인 골프 클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보다 얇은 얇은 힐 부분,
    경사진 두꺼운 부분보다 얇은 얇은 토우 부분,
    경사진 두꺼운 부분을 얇은 힐 부분에 단차 없이 연결시키는 제1 전이부, 및
    경사진 두꺼운 부분을 얇은 토우 부분에 단차 없이 연결시키는 제2 전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이부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에 인접하고 그리고 힐의 상부측으로부터 토우의 하부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 전이부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에 인접하고 그리고 힐의 상부측으로부터 토우의 하부측까지 연장되는 것인 골프 클럽.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두꺼운 부분의 폭은 힐측으로 갈수록 더 작아지며,
    상기 제3의 두꺼운 부분의 폭은 토우측으로 갈수록 더 작아지는 것인 골프 클럽.
  11. 클럽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골프 클럽을 포함하는 골프 클럽 세트로서,
    각각의 골프 클럽은 중공 헤드, 샤프트 및 그립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 헤드는 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스는 두꺼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두꺼운 부분은 두꺼운 부분 중심점을 포함하며,
    상기 두꺼운 부분 중심점의 위치에서의 페이스 높이가 H1으로 규정되고, 두꺼운 부분 중심점의 높이가 H2로 규정되는 경우, H2/H1은 0.55 이상이고,
    상기 중공 헤드의 헤드 체적은 70㎤ 이상이고 150㎤ 이하이며,
    상기 중공 헤드의 실제 로프트 각도는 15도 이상이고 32도 이하이고,
    상기 페이스는 두꺼운 부분보다 얇은 2차적인 두꺼운 부분과, 2차적인 두꺼운 부분보다 얇은 얇은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두꺼운 부분과 2차적인 두꺼운 부분은 힐의 상부측으로부터 토우의 하부측까지 연장되는 경사진 두꺼운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두꺼운 부분 중심점은, 평면도에서 두꺼운 부분의 도면의 중심이고,
    페이스 표면의 전체 면적에 대한 상기 두꺼운 부분의 면적의 비율은 5% 이상 20%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세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두꺼운 부분의 경사각(θ)은 클럽 길이가 짧아질수록 증가되는 것인 골프 클럽 세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H2/H1은 0.63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세트.
KR1020140097242A 2013-07-31 2014-07-30 골프 클럽 헤드 KR101720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58420A JP6472161B2 (ja) 2013-07-31 2013-07-31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JP-P-2013-158420 2013-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406A KR20150015406A (ko) 2015-02-10
KR101720386B1 true KR101720386B1 (ko) 2017-03-27

Family

ID=5242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242A KR101720386B1 (ko) 2013-07-31 2014-07-30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57242B2 (ko)
JP (1) JP6472161B2 (ko)
KR (1) KR101720386B1 (ko)
CN (1) CN1043382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1864B2 (en) 2013-11-27 2018-01-0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US11697050B2 (en) * 2014-08-26 2023-07-11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heads and methods to manufacture golf club heads
JP5848839B1 (ja) * 2015-06-03 2016-01-2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GB2593296B (en) * 2015-09-11 2021-12-08 Karsten Mfg Corp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having impact-influencing body features
US11305163B2 (en) * 2018-11-02 2022-04-1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5930A1 (en) 2005-09-07 2010-10-07 Rice Scott A Metal wood club with improved hitting fa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5618B2 (ja) 1997-03-18 2002-08-19 有限会社マークス クリエイティブ クラフト ゴルフクラブのヘッド
JP2001286586A (ja) * 2000-02-04 2001-10-16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7029403B2 (en) * 2000-04-18 2006-04-18 Acushnet Company Metal wood club with improved hitting face
US7131912B1 (en) * 2002-02-01 2006-11-07 Dean L. Knuth Golf club head
JP4741319B2 (ja) * 2005-08-23 2011-08-03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中空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7549934B2 (en) * 2005-09-07 2009-06-23 Acushnet Company Metal wood club with improved hitting face
JP5075143B2 (ja) * 2008-12-19 2012-11-14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製造方法
JP2010253111A (ja) * 2009-04-27 2010-11-11 Sri Sports Ltd ウッド型の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5174129B2 (ja) * 2010-11-22 2013-04-03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823122B2 (ja) * 2010-12-29 2015-11-25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2013000234A (ja) * 2011-06-14 2013-01-07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3027587A (ja) * 2011-07-29 2013-02-07 Dunlop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5181052B2 (ja) * 2011-08-12 2013-04-10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セ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5930A1 (en) 2005-09-07 2010-10-07 Rice Scott A Metal wood club with improved hitting 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27395A (ja) 2015-02-12
US9457242B2 (en) 2016-10-04
KR20150015406A (ko) 2015-02-10
CN104338299A (zh) 2015-02-11
CN104338299B (zh) 2017-04-12
JP6472161B2 (ja) 2019-02-20
US20150038260A1 (en)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7908B2 (en) Golf club head
US9630071B2 (en) Golf club head or other ball striking device having custom machinable portions
US7578755B2 (en) Wood-type hollow golf club head
CN102949820B (zh) 高尔夫球杆组
US7766765B2 (en) Wood-type golf club head
US20090036229A1 (en) Golf club head
KR101720386B1 (ko) 골프 클럽 헤드
US7641570B2 (en) Golf club head
US9623292B2 (en) Golf club 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219108B2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
US20190247724A1 (en) Golf club head
US10843049B2 (en) Golf club head
JP2005006698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9017413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9814946B2 (en) Golf club head
JP6035130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240293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354922B1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024852B1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8134370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ゴルフクラ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