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941B1 - 차체 하부 구조 - Google Patents

차체 하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941B1
KR101719941B1 KR1020157021080A KR20157021080A KR101719941B1 KR 101719941 B1 KR101719941 B1 KR 101719941B1 KR 1020157021080 A KR1020157021080 A KR 1020157021080A KR 20157021080 A KR20157021080 A KR 20157021080A KR 101719941 B1 KR101719941 B1 KR 101719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curved
support
vehicl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5391A (ko
Inventor
신 데라다
겐타로 나카무라
고키 이케다
신야 가미무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5010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6Connections by glue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지지판의 단부에 노면 상의 장해물로부터 하중이 입력된 경우라도, 지지판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차체 하부 구조를 얻는다. 스택 프레임 (30) 에는,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의 하면이 접착층 (24) 을 개재하여 고정되는 지지부 (32) 가 설정되어 있다. 또, 스택 프레임 (30) 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지지부 (32) 로부터 연출된 연출 단부 (34) 가 형성되어 있다. 스택 프레임 (30) 의 연출 단부 (34) 에는, 지지부 (32) 의 연장부 (36) 로부터 차체 상방측을 향하여 구부러져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로부터 이간되는 측으로 경사진 경사부 (40) 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차체 하부 구조{STRUCTURE FOR LOWER PART OF VEHICLE BODY}
본 발명은 차체 하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체 하부에 있어서는, 바닥 아래에 배치된 차재 부재가 지지판에 재치 (載置) 되어 고정됨과 함께, 지지판이 섬유 강화 수지재로 성형된 구조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62797 공보
그러나, 지지판의 단면은 섬유단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지지판의 단면에 대해, 노면 상의 장해물로부터 하중이 입력된 경우, 지지판에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지지판의 단부에 노면 상의 장해물로부터 하중이 입력된 경우라도, 지지판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차체 하부 구조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차체 하부 구조는, 차량의 바닥 아래에 배치된 차재 부재와, 섬유 강화 수지재로 판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차재 부재의 장착부가 재치되어 고정된 평판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출된 연출 단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연출 단부에는 상기 지지부 또는 그 연장부로부터 차체 상방측을 향하여 구부러져 상기 차재 부재의 장착부로부터 이간되는 측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지지판을 갖고, 상기 차재 부재의 장착부의 하면이 상기 지기판의 지지부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고정되고, 상기 경사부의 상단이 상기 접착층의 상단보다 차체 상방측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경사부와 상기 차재 부재의 장착부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상기 접착층에 연접하는 충전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량의 바닥 아래에는 차재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이 차재 부재의 장착부는, 지지판의 지지부에 재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지지판은, 평판상의 지지부로부터 연출된 연출 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섬유 강화 수지재로 판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연출 단부에는, 지지부 또는 그 연장부로부터 차체 상방측을 향하여 구부러져 차재 부재의 장착부로부터 이간되는 측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지지부의 높이에서 연출 단부가 노면 상의 장해물에 닿아 하중이 입력되어도, 지지판은, 연출 단부의 단면이 아니라 경사부의 하면에서 하중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지지판에 있어서의 연출 단부의 단면으로부터의 균열의 발생이 방지 또는 억제된다. 또, 노면 상의 장해물에 경사부의 하면이 닿아 당해 경사부의 하면에 대해 하중이 입력된 경우, 경사부의 하면이 노면 상의 장해물을 타고 넘어가려고 한다. 그리고, 지지판이 들어올려지면, 지지판에 대한 하중이 빠져나가므로, 지지판의 변형 등이 억제된다.
또, 차재 부재의 장착부의 하면은, 지지판의 지지부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부의 상단이 접착층의 상단보다 차체 상방측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노면 상의 장해물의 상단부가 접착층의 상단의 높이 위치에 있어도, 당해 노면 상의 장해물은 접착층의 단면이 아니라 경사부의 하면에 닿는다. 따라서, 노면 상의 장해물이 연출 단부의 단면 및 접착층의 단면에 닿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와 차재 부재의 장착부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접착층에 연접되는 충전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노면 상의 장해물이 경사부의 하면에 닿았을 경우, 입력 하중이 경사부로부터 충전부를 통하여 차재 부재의 장착부측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경사부의 변형이 억제된다. 또 경사부의 변형이 억제됨으로써 경사부의 하면이 노면 상의 장해물을 타고 넘어가면, 지지부는 경사 상향으로 변위되므로, 접착층에는 압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차재 부재의 장착부로부터의 지지부의 박리가 방지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제 1 양태에 관련된 차체 하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출 단부의 단면이 차체 상방측을 향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출 단부의 단면이 차체 상방측을 향하고 있으므로, 연출 단부에 닿는 노면 상의 장해물의 높이에 상관없이, 연출 단부의 단면에 대한 하중 입력이 회피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에 관련된 차체 하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출 단부에는 상기 지지부 또는 그 연장부로부터 하면측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하여 만곡상으로 구부러진 만곡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만곡부에 배치된 섬유의 배향 방향이 당해 만곡부의 만곡 방향을 따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지부 또는 그 연장부로부터 구부러진 굽힘 부분이 하면측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하여 만곡상으로 구부러진 만곡부가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굴곡된 굽힘 부분에 비해 섬유를 보다 균등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또, 만곡부에 배치된 섬유의 배향 방향이 당해 만곡부의 만곡 방향을 따르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만곡부의 굽힘 강도가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차체 하부 구조에 의하면, 지지판의 단부에 노면 상의 장해물로부터 하중이 입력된 경우라도, 지지판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차체 하부 구조에 의하면, 노면 상의 장해물의 상단부가 접착층의 상단의 높이 위치에 있는 경우라도, 당해 노면 상의 장해물이 연출 단부의 단면 및 접착층의 단면에 닿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연출 단부의 단면 및 접착층의 단면으로부터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차체 하부 구조에 의하면, 노면 상의 장해물이 경사부의 하면에 닿았을 경우에, 지지판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차재 부재의 장착부로부터의 지지판의 박리를 방지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관련된 차체 하부 구조에 의하면, 연출 단부에 닿는 노면 상의 장해물의 높이에 상관없이, 연출 단부의 단면으로부터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관련된 차체 하부 구조에 의하면, 만곡부에 배치되는 섬유의 설정에 의해 만곡부의 굽힘 강도를 향상시키고, 경사부에 하중이 입력된 경우에 만곡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체 하부 구조를 차체 폭 방향 외측에서 본 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 의 1-1 선을 따른 단면도) 이다.
도 2 는, 도 1 의 차체 하부 구조를 차체 상방측에서 본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스택 프레임의 전단부 및 그 주위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체 하부 구조에 대해 도 1 ∼ 도 3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적절히 나타내는 화살표 FR 은 차체 전방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UP 는 차체 상방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 W 는 차체 폭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전후의 방향은 차체 전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한다.
(실시형태의 구성)
도 1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체 하부 구조 (10) 가 차체 폭 방향 외측에서 본 상태의 측단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2 에는, 차체 하부 구조 (10) 가 차체 상방측에서 본 상태의 평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1 은, 도 2 의 1-1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체는, 전기 자동차 (차량) 의 차체로 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의 차체 플로어를 이루는 플로어 패널 (12) 의 차체 하방측 (즉, 차량의 바닥 아래) 에는, 스택 유닛 (14) 이 탑재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택 유닛 (14) 은, 그 외장부 (14A) 가 직사각형 상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장부 (14A) 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각 양 사이드부로부터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장출하는 플랜지부 (14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장부 (14A) 및 플랜지부 (14B)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수지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 (14B) 는, 스택 유닛 (14) 의 하면측에 배치된 플레이트 (15) 에 중첩되어 있다. 플랜지부 (14B) 및 플레이트 (15) 는, 금속제의 차재 부재로서의 판금 부품 (20) 의 정판부 (頂板部) (20A) 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즉, 플랜지부 (14B), 플레이트 (15), 및 판금 부품 (20) 의 정판부 (20A) 를 차체 상방측으로부터 관통하는 볼트 (16) 의 수나사부 (16A) 가, 판금 부품 (20) 의 정판부 (20A) 의 하면측에 배치된 너트 (18) 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판금 부품 (20) 은, 차체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도 2 참조), 차체 측면에서 보아 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판금 부품 (20) 은, 그 상면을 이루는 정판부 (20A) 와, 정판부 (20A) 의 전후단으로부터 차체 하방측으로 둔각상으로 절곡되어 아래로 늘어뜨려진 측판부 (20B) 와, 측판부 (20B) 의 하단으로부터 서로 이반 (離反) 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출된 장착부로서의 플랜지부 (20C) 를 구비하고 있다.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는, 지지판으로서의 스택 프레임 (30) 의 상면에 재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스택 프레임 (30) 은,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보다 강성이 낮은 섬유 강화 수지재로 판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섬유 강화 수지재는, 섬유와 수지의 복합재이고, 섬유로는, 유리 섬유나 탄소 섬유 등의 섬유가 적용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섬유 강화 수지재에서는, 일례로서 섬유의 직물이 아니라 불연속 섬유가 적용되고 있다. 단, 섬유 강화 수지재에 섬유의 직물이 적용되어도 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택 프레임 (30) 은, 플레이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택 프레임 (30) 에 있어서의 차체 폭 방향의 양 사이드부에는, 언더 멤버 (도시 생략) 에 대한 장치공 (30H) 이 차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언더 멤버는, 차체 하부의 양 사이드에 있어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플로어 패널 (12) (도 1 참조) 의 하면에 접합되어 있다.
도 3 에는, 스택 프레임 (30) 의 전단부 및 그 주위부가 확대된 측단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택 프레임 (30) 의 평판상의 일반부 (30A) 에는,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의 하면이 접착층 (24) 을 개재하여 고정되는 지지부 (32) 가 설정되어 있다. 또, 스택 프레임 (30) 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지지부 (32) 로부터 연출된 연출 단부 (34)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참조).
연출 단부 (34) 에는, 지지부 (32) 의 연장부 (36) 로부터 하면측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하여 만곡상으로 구부러진 만곡부 (3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만곡부 (38) 는, 성형형을 사용한 굽힘 가공에 의해 성형되어 있고, 만곡부 (38) 가 되는 부분이 성형시에 늘어나게 됨으로써, 섬유는 그 늘어남 방향을 따라 배향되어 있다. 즉, 만곡부 (38) 에 배치된 섬유의 배향 방향 (화살표 A 참조) 은, 만곡부 (38) 의 만곡 방향을 따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연출 단부 (34) 에는, 만곡부 (38) 가 형성됨으로써, 차체 상방측을 향하여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로부터 이간되는 측으로 (도 3 에서는 차체 상방 경사 전방측으로) 만곡하면서 경사진 경사부 (40) 가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만곡부 (38) 와 경사부 (40) 가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경사부 (40) 는, 상단측일수록 급경사가 되고 있다.
연출 단부 (34) 의 단면 (34A) 은, 경사부 (40) 의 단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차체 상방측 또한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로부터 이간되는 측을 (도 3 에서는 차체 상방 경사 전방측을) 향하고 있다. 또, 경사부 (40) 의 상단은, 접착층 (24) 의 상단 (상단의 높이를 2 점 쇄선 (B) 로 나타낸다) 보다 차체 상방측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보다 구체적으로는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의 상면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부 (40) 와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접착층 (24) 에 연접하는 충전부 (26) 가 형성되어 있다. 충전부 (26)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층 (24) 의 접착제와 동일한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고, 양자는 일체화되어 경화된 상태 (고체) 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서는,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와 스택 프레임 (30) 의 지지부 (32) 사이의 접착층 (24) 과 충전부 (26) 의 개념상의 경계선을 2 점 쇄선 (L) 로 나타내고 있다. 충전부 (26) 의 상면은, 경사부 (40) 의 상단 및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의 상면에 맞춰져 있다.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택 프레임 (30) 의 연출 단부 (34) 에는, 지지부 (32) 의 연장부 (36) 로부터 차체 상방측을 향하여 구부러져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로부터 이간되는 측으로 경사진 경사부 (4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지지부 (32) 의 높이에서 연출 단부 (34) 가 노면 상의 장해물 (50) 에 닿아 수평 방향의 하중 (F) 이 입력되어도, 스택 프레임 (30) 은, 연출 단부 (34) 의 단면 (34A) 이 아니라 경사부 (40) 의 하면 (40A) 에서 하중 (F) 을 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택 프레임 (30) 의 연출 단부 (34) 의 단면 (34A) 으로부터의 균열의 발생이 방지 또는 억제된다. 또, 노면 상의 장해물 (50) 에 경사부 (40) 의 하면 (40A) 이 닿아 경사부 (40) 의 하면 (40A) 에 대해 하중 (F) 이 입력된 경우, 경사부 (40) 의 하면 (40A) 이 노면 상의 장해물 (50) 을 타고 넘어가려고 한다. 그리고, 스택 프레임 (30) 이 들어올려지면 (도시 생략), 스택 프레임 (30) 에 대한 하중 (F) 이 빠져나가므로, 스택 프레임 (30) 의 변형 등이 억제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부 (40) 의 상단이 접착층 (24) 의 상단보다 차체 상방측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만일 노면 상의 장해물 (50) 의 상단부가 접착층 (24) 의 상단의 높이 위치에 있어도, 그 장해물 (50) 은 접착층 (24) 이 아니라 경사부 (40) 의 하면 (40A) 에 닿는다. 따라서, 노면 상의 장해물 (50) 이 연출 단부 (34) 의 단면 (34A) 및 접착층 (24) 에 닿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출 단부 (34) 의 단면 (34A) 이 차체 상방측을 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연출 단부 (34) 에 닿는 장해물 (50) 의 높이에 상관없이, 연출 단부 (34) 의 단면 (34A) 에 대한 하중 입력이 회피된다. 이들에 의해, 연출 단부 (34) 의 단면 (34A) 및 접착층 (24) 으로부터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부 (40) 와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접착층 (24) 에 연접하는 충전부 (26)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면 상의 장해물 (50) 이 경사부 (40) 의 하면 (40A) 에 닿았을 경우, 입력 하중 (F) 이 경사부 (40) 로부터 충전부 (26) 를 통하여 판금 부품 (20) 측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경사부 (40) 의 변형이 억제된다. 또, 경사부 (40) 의 변형이 억제됨으로써 경사부 (40) 의 하면 (40A) 이 노면 상의 장해물 (50) 을 타고 넘어가면 (도시 생략), 지지부 (32) 는 경사 상향 (화살표 C 방향 참조) 으로 변위되므로, 접착층 (24) 에는 압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로부터의 지지부 (32) 의 박리 (접합부 이탈) 가 방지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 (32) 의 연장부 (36) 로부터 구부러진 굽힘 부분이 하면측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하여 만곡상으로 구부러진 만곡부 (38) 가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굴곡된 굽힘 부분에 비해 섬유를 보다 균등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또, 만곡부 (38) 에 배치된 섬유의 배향 방향 (화살표 A 방향 참조) 이 만곡부 (38) 의 만곡 방향을 따르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만곡부 (38) 의 굽힘 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경사부 (40) 에 하중 (F) 이 입력된 경우에 만곡부 (38) 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체 하부 구조 (10) 에 의하면, 스택 프레임 (30) 의 연출 단부 (34) 에 노면 상의 장해물 (50) 로부터 하중 (F) 이 입력된 경우라도, 스택 프레임 (30) 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스택 프레임 (30) 의 지지부 (32) 에 스택 유닛 (14) 의 플랜지부 (14B) 의 하면이 접착층 (24) 을 개재하여 고정되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지지판에 대한 차재 부재의 장착부는, 예를 들어, 스택 유닛 (14) 의 플랜지부 (14B) 등과 같은 다른 차재 부재의 장착부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스택 프레임 (30) 의 연출 단부 (34) 에는, 지지부 (32) 로부터 차체 상방측을 향하여 구부러진 차재 부재의 장착부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로부터 이간되는 측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 연출 단부 (34) 에는, 지지부 (32) 로부터 하면측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하여 만곡상으로 구부러진 만곡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스택 프레임 (30) 의 연출 단부 (34) 에는, 지지부 (32) 또는 그 연장부 (36) 로부터 차체 상방측을 향하여 굴곡되어 차재 부재의 장착부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로부터 이간되는 측으로 직선상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경사지다」의 개념에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만곡하면서 경사진 경우가 포함되는 것 외에, 상기 변형예와 같이 직선상으로 경사진 경우도 포함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연출 단부 (34) 의 단면 (34A) 은, 차체 상방측 또한 차재 부재의 장착부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에 접근하는 측을 향해도 되고, 바로 윗쪽을 향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차체 상방측을 향하고 있다」의 개념에는, 바로 윗쪽을 향하고 있는 경우가 포함되는 것 외에, 상기 실시형태 등과 같이 차체 경사 상방을 향하고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예를 들어, 연출 단부에 있어서의 경사부의 상단이 노면 상의 장해물에 닿는 것이 상정되는 높이 위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경사부의 상단으로부터 더욱 구부러져 차재 부재의 장착부측과는 반대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연출 단부의 단면이 연직면이 되는 구성도 채택할 수 있다. 즉, 연출 단부가 Z 자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변형예의 경우에는, 연출 단부의 단면이 지지판의 일반면에 대해 수직이 되므로 가공성이 양호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차재 부재에 있어서는 지지판에 대한 장착부로부터 지지판의 경사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형성부가 형성됨과 함께, 그 연장 형성부의 하면측에 지지판의 경사부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구성도 채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아닌 참고예로서, 경사부 (40) 의 상단은, 접착층 (24) 의 상단과 동등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되고, 접착층 (24) 의 상단보다 차체 하방측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경사부 (40) 와 차재 부재의 장착부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접착층 (24) 에 연접되는 충전부 (26) 는, 접착부 (24) 의 접착제와는 상이한 접착제 등과 같은 다른 고형물 (고체) 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아닌 참고예로서, 충전부 (26) 가 형성되지 않은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아닌 참고예로서, 지지판 (스택 프레임 (30)) 의 지지부 (32) 에 재치된 차재 부재의 장착부 (판금 부품 (20) 의 플랜지부 (20C)) 는, 접착층을 개재하지 않고 볼트 체결 등에 의해 지지판 (스택 프레임 (30)) 의 지지부 (32) 에 고정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만곡부 (38) 에 배치된 섬유의 배향 방향을 랜덤으로 하는 구성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상기 서술한 복수의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례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외에도,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No.2013-137428 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Claims (5)

  1. 차량의 바닥 아래에 배치된 차재 부재와,
    섬유 강화 수지재로 판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차재 부재의 장착부가 재치되어 고정된 평판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출된 연출 단부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연출 단부에는 상기 지지부 또는 그 연장부로부터 차체 상방측을 향하여 구부러져 상기 차재 부재의 장착부로부터 이간되는 측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지지판을 갖고,
    상기 차재 부재의 장착부의 하면이 상기 지지판의 지지부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고정되고,
    상기 경사부의 상단이 상기 접착층의 상단보다 차체 상방측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추가로, 상기 경사부와 상기 차재 부재의 장착부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상기 접착층에 연접되는 충전부가 형성되어 있는, 차체 하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 단부의 단면이 차체 상방측을 향하고 있는 차체 하부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 단부에는 상기 지지부 또는 그 연장부로부터 하면측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하여 만곡상으로 구부러진 만곡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만곡부에 배치된 섬유의 배향 방향이 당해 만곡부의 만곡 방향을 따르도록 설정되어 있는 차체 하부 구조.
  4. 삭제
  5. 삭제
KR1020157021080A 2013-06-28 2014-05-23 차체 하부 구조 KR101719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7428A JP5817791B2 (ja) 2013-06-28 2013-06-28 車体下部構造
JPJP-P-2013-137428 2013-06-28
PCT/JP2014/063737 WO2014208233A1 (ja) 2013-06-28 2014-05-23 車体下部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391A KR20150105391A (ko) 2015-09-16
KR101719941B1 true KR101719941B1 (ko) 2017-03-24

Family

ID=5214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080A KR101719941B1 (ko) 2013-06-28 2014-05-23 차체 하부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87242B2 (ko)
EP (1) EP3015345B1 (ko)
JP (1) JP5817791B2 (ko)
KR (1) KR101719941B1 (ko)
CN (1) CN105073557B (ko)
WO (1) WO2014208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5599B2 (ja) * 2013-07-23 2016-10-12 豊田鉄工株式会社 車両用フロアブレースの製造方法
CN105992702B (zh) 2013-12-02 2018-06-26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电池搭载结构
JP6813348B2 (ja) * 2016-12-14 2021-01-13 株式会社Subaru 自動車車両
JP6885316B2 (ja) * 2017-12-07 2021-06-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ロアパネルへの搭載部品の保持構造
DE102018206102A1 (de) * 2018-04-20 2019-10-24 Thyssenkrupp Ag Unterfahrschutzanordnung für eine Fahrzeugbatterieanordnung, Fahrzeugbatterieanordn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Unterfahrschutzanordn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ahrzeugbatterieanordnung
FR3090425B1 (fr) * 2018-12-19 2020-11-27 Psa Automobiles Sa Ensemble de pièces en tôle assemblées montrant au moins un relief de retenue d’un matériau d’étanchéité au niveau de leur zone de jonction et procédé d’assemblage d’un tel ensemble
US20220223947A1 (en) * 2020-07-03 2022-07-14 Continental Structure Plastics, Inc. Puncture resistant shield of a battery containment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8717A (ja) 2000-03-16 2001-09-28 Toyota Motor Corp 電池の結合構造、組電池、および電動車両
JP3606415B2 (ja) 1996-11-27 2005-01-05 スズキ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トレー
WO2010137150A1 (ja) 2009-05-28 2010-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車両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623A (ja) 1993-09-20 1995-03-28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フロア構造
JP3406074B2 (ja) * 1994-08-23 2003-05-12 国立環境研究所長 電気自動車用シャーシフレーム
JP3309607B2 (ja) * 1994-12-13 2002-07-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フレーム構造
JP2007331719A (ja) * 2006-06-19 2007-12-27 Toyota Motor Corp 高圧電装部品設置構造
FR2950852B1 (fr) * 2009-10-06 2011-12-16 Renault Sa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es chocs d'un organe de vehicule automobile monte sous caisse
JP5408441B2 (ja) * 2010-01-18 2014-02-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JP5850689B2 (ja) * 2011-09-29 2016-02-03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車両用電磁波シールドカバー
JP5887930B2 (ja) 2011-12-28 2016-03-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46193B2 (ja) * 2013-12-25 2016-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搭載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6415B2 (ja) 1996-11-27 2005-01-05 スズキ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トレー
JP2001268717A (ja) 2000-03-16 2001-09-28 Toyota Motor Corp 電池の結合構造、組電池、および電動車両
WO2010137150A1 (ja) 2009-05-28 2010-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73557B (zh) 2017-03-08
US9487242B2 (en) 2016-11-08
EP3015345A1 (en) 2016-05-04
JP2015009710A (ja) 2015-01-19
KR20150105391A (ko) 2015-09-16
JP5817791B2 (ja) 2015-11-18
CN105073557A (zh) 2015-11-18
WO2014208233A1 (ja) 2014-12-31
EP3015345B1 (en) 2018-05-02
EP3015345A4 (en) 2017-02-15
US20160107704A1 (en)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941B1 (ko) 차체 하부 구조
US10166852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JP5870992B2 (ja) 車両用電池搭載構造
US9033381B2 (en) Vehicle bumper mounting structure
CN108407895A (zh) 车辆地板结构
JP6135336B2 (ja) フェンダーホルダ周辺構造
JP2008114652A (ja) 車体後部構造
JP2008221987A (ja)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支持構造
US9981550B2 (en) Vehicle body mounting structure for a fuel tank
KR101543004B1 (ko) 차량용 배터리 마운팅 유닛
CN103938540B (zh) 防屈曲大变形金属剪切阻尼器
JP2020029244A (ja) 車両床下構造
US9446794B2 (en) Fender panel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KR20130000141U (ko) 선박 블록의 리프팅 러그
JP6547766B2 (ja) 車両下部構造
JP2020029245A (ja) 車両床下構造
US20140117728A1 (en) Vehicle seat
JP2009107403A (ja) 貨物用車両の荷台の床部材構造
JP2015128947A (ja) 燃料タンクの懸架構造
JP2022057112A (ja) 車載物固定用ブラケット
JP2015155233A (ja) アンダーカバー
JP2011213253A (ja) バンパーリインフォースとフックブラケットの取付部構造
JP6867624B2 (ja) 閉断面構造体
CN206359094U (zh) 轿厢托架
KR102223964B1 (ko) 충돌시 이탈이 용이한 차량의 서브프레임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