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638B1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638B1
KR101717638B1 KR1020150035793A KR20150035793A KR101717638B1 KR 101717638 B1 KR101717638 B1 KR 101717638B1 KR 1020150035793 A KR1020150035793 A KR 1020150035793A KR 20150035793 A KR20150035793 A KR 20150035793A KR 101717638 B1 KR101717638 B1 KR 101717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a water
water supply
engine
supply devic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8326A (ko
Inventor
도시노리 후지이
히데노리 마노
쇼헤이 가미야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8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75Arrangement of valve arrangements on 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04Removing only nitrogen compounds
    • B01D53/9409Nitroge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01N3/208Control of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e.g. dosing of reducing ag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96Liquid catalyst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06Storage means for substances, e.g. tanks or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86Means to prevent the substance from free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T10/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Abstract

엔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의 NOx의 정화를 행하는 NOx 선택 환원 촉매 장치에 있어서 요소수 분사 밸브(20)와 요소수 탱크(24)와 요소수 공급 배관(22)과 요소수 공급 장치(30)로 요소수 공급 시스템이 구성되고, 선회체(2, 3)에는, 폭 방향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선회체를 보강하며 또한 작업 장치(4)를 연결하는 한 쌍의 주프레임 부재(3b, 3b) 사이에 위치하여 엔진을 후부 측에 면하도록 연결 프레임 부재(3d)가 설치되어 있고, 요소수 탱크는 선회체의 선회 중심보다 전부 측으로 선회체에 재치되며, 엔진은 선회체의 선회 중심보다 후부 측으로 선회체에 재치되고, 요소수 공급 장치(30)는 연결 프레임 부재(3d)에 엔진에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건설 기계{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고, 특히 건설 기계에 탑재되는 엔진의 요소수(尿素水)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의 요소수를 요소수 분사 밸브로 압송하는 요소수 공급 장치의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설 기계, 예를 들면 유압 셔블(shovel) 등의 건설 기계는, 주행 모터에 의해 주행 가능한 주행체와, 주행체 상에 배치된 선회체와, 선회체에 장착되어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 장치를 구비하고, 선회체 상에는, 작업 장치의 장착부를 사이에 두고 폭 방향 일측에 위치하여 운전실을 가지며, 운전실의 배후 측에 위치하여 주행 모터나 작업 장치에 압유(壓油)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와 당해 유압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엔진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건설 기계에 탑재되는 엔진으로서는 디젤 엔진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최근, 디젤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의 NOx(질소 산화물)를 저감하고,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시스템으로서 요소 SCR 시스템이 알려져 있으며, 이 요소 SCR 시스템은, 건설 기계에 탑재된 디젤 엔진에도 적용되고 있다.
요소 SCR 시스템은, 환원제로서 요소수를 이용하여 배기 가스 중의 NOx를 선택적으로 환원하는 NOx 선택 환원 촉매 시스템이고, NOx 선택 환원 촉매 장치의 배기 상류 측에 요소수를 분사하는 요소수 분사 밸브, 요소수를 저장하기 위한 요소수 탱크, 및, 요소수 탱크와 요소수 분사 밸브를 연결하는 요소수 공급 배관에 개장(介裝)되어 요소수를 요소수 분사 밸브로 압송하는 공급 펌프를 구비한 요소수 공급 장치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요소 SCR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요소수 탱크(환원제 탱크)는, 주로 과열 방지나 요소수의 보급 작업의 용이화 때문에, 선회체 상의 엔진으로부터 떨어진 위치, 예를 들면 작업 장치의 장착부를 사이에 두고 운전석과 반대 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24067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181400호 공보 참조).
한편, 한랭지 등에서는 동계에 요소수 공급 배관 내를 흐르는 요소수가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혹은 동결된 요소수를 해동하기 위해, 엔진의 냉각수의 열로 요소수를 가온 가능하도록, 엔진의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배관을 요소수 공급 배관을 따르게 하는 것이 행하여져 있다.
그러나, 요소수 공급 배관 및 냉각수 배관은 커넥터를 개재하여 요소수 탱크나 요소수 공급 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이 커넥터 부분에서는 요소수 공급 배관에 냉각수 배관을 따르게 할 수 없어, 요소수가 커넥터 부분에서 동결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요소수 탱크의 커넥터 부분을 덮는 보온 커버를 설치하고, 엔진의 냉각수의 열로 가온된 보온 커버 내의 공기를 개재하여 요소수 공급 배관의 커넥터 부분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241734호 공보 참조).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240676호 공보에 개시된 요소 SCR 시스템의 경우, 요소수 분사 밸브는 엔진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비해, 요소수 공급 장치(환원제 펌프)는, 요소수 탱크 상에 재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요소수 공급 장치가 요소수 탱크 상에 재치되어 있으면, 요소수 공급 장치로부터 요소수 분사 밸브까지의 배관의 거리가 길고, 건설 기계가 전후 방향으로 경사졌을 때, 요소수 공급 장치와 요소수 분사 밸브의 고저차(高低差)가 크게 변화되어, 요소수 분사 밸브에 대한 요소수 공급 장치의 토출압이 크게 변동될지도 몰라, 안정적으로 요소수를 분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181400호 공보에 개시된 요소 SCR 시스템의 경우, 요소수 분사 밸브(환원제 투여 장치)의 배치 측과 요소수 공급 장치(환원제 공급 장치)의 배치 측이 건설 기계의 폭 방향에서 반대 측이 되어 있고, 또한 요소수 탱크의 배치 측과 요소수 공급 장치의 배치 측이 건설 기계의 폭 방향에서 반대 측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요소수 탱크와 요소수 공급 장치와 요소수 분사 밸브가 건설 기계의 폭 방향에서 반대 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요소수 공급 장치로부터 요소수 분사 밸브까지의 배관의 거리가 길어지고, 또한 요소수 탱크로부터 요소수 공급 장치까지의 배관의 거리도 길어지며, 건설 기계가 폭 방향으로 경사졌을 때, 요소수 공급 장치와 요소수 분사 밸브의 고저차, 나아가서는 요소수 탱크와 요소수 공급 장치의 고저차가 크게 변화되어, 요소수 분사 밸브에 대한 요소수 공급 장치의 토출압이나 요소수 공급 장치의 요소수의 흡상(吸上)성이 크게 변동될지도 몰라, 역시 안정적으로 요소수를 분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경우, 요소수 공급 장치를 선회체의 측부에 배치하게 되지만, 방수성 및 배수성 향상 등 때문에, 요소수 공급 장치를 선회체에 띄운 상태로 장착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요소수 공급 장치의 배치 때문에 별도 장착 브래킷을 설치하지 않으면 안 되어, 설치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요소수 공급 장치는, 정기적으로 메인터넌스(maintenance)가 필요하고,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고려하여 선회체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241734호 공보에서는, 요소수 탱크의 커넥터 부분에 보온 커버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지만, 요소수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요소수 공급 배관 및 냉각수 배관의 커넥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보온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요소수 공급 배관의 커넥터 부분의 온도 저하를 방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요소수 공급 장치에 보온 커버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메인터넌스 작업성과 마찬가지로 보온 커버를 착탈 작업 용이하게, 어떻게 요소수 공급 장치를 선회체 상에 배치하고, 또, 어떻게 효율적으로 보온 커버를 요소수 공급 장치에 장착하는지가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요소수 분사 밸브로부터 항상 안정적으로 요소수를 분사 가능하게 하여 효율적으로 요소수 공급 시스템을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요소수 공급 시스템의 요소수 공급 장치의 요소수 공급 배관의 커넥터 부분의 보온을 행하는 보온 커버를 효율적으로 장착 가능하도록 도모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건설 기계는, 선회체와, 이 선회체 상의 전부(前部)에 설치된 운전실과, 이 운전실의 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선회체 상의 전부에 설치된 작업 장치 장착부와, 상기 선회체의 후부(後部)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와, 이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운전실 사이의 상기 선회체 상에 재치된 구동원으로서의 엔진과, 상기 엔진의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의 배기 통로에 개장된 NOx 선택 환원 촉매 장치와, 상기 NOx 선택 환원 촉매의 배기 상류에 요소수를 분사하는 요소수 분사 밸브와, 상기 요소수를 저장하는 요소수 탱크와, 일단(一端)이 상기 요소수 분사 밸브에 접속되고, 타단(他端)이 상기 요소수 탱크에 접속된 요소수 공급 배관과, 상기 요소수 공급 배관에 개장되고, 요소수를 상기 요소수 분사 밸브로 압송하는 요소수 공급 장치를 구비한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요소수 탱크는, 상기 선회체의 선회 중심보다 전부 측으로 상기 선회체에 재치되고, 상기 엔진은, 상기 선회체의 선회 중심보다 후부 측으로 상기 선회체에 재치되며, 상기 선회체는, 폭 방향 중앙 쪽을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선회체를 보강하고 또한 상기 작업 장치 장착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주(主)프레임 부재와, 상기 선회체의 선회 중심과 상기 엔진의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주프레임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부재를 가지며, 상기 요소수 공급 장치를, 상기 연결 프레임 부재에 상기 엔진에 대면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 기계에 있어서, 요소수 공급 장치는 연결 프레임 부재에 엔진에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요소수 공급 장치는, 엔진의 근방에, 요소수 탱크로부터의 거리가 지나치게 멀어지지 않고 또한 요소수 분사 밸브까지의 거리도 지나치게 멀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기존의 연결 프레임을 이용하여 선회체 상의 엔진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건설 기계가 전후 방향으로 전방을 낮추어 크게 경사진 경우여도, 요소수 탱크로부터 요소수 공급 장치까지의 수직 방향의 거리의 변화를 작게 억제하여, 요소수 공급 장치의 요소수 탱크로부터의 요소수의 흡상성을 변동 적고 양호하게 확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요소수 공급 장치로부터 요소수 분사 밸브까지의 수직 방향의 거리의 변화도 작게 억제하여, 요소수 분사 밸브에 대한 요소수 공급 장치의 요소수의 토출압도 변동 적고 양호하게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요소수 공급 장치는, 기존의 연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별도 장착 브래킷을 설치하지 않고, 연결 프레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요소수 공급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또, 요소수 공급 장치는, 엔진에 면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엔진의 열로 양호하게 가온되고, 동계여도 요소수 공급 장치 내를 흐르는 요소수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동결된 요소수의 해동을 촉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회체의 상기 엔진의 하방 부분에는, 적어도 상기 엔진을 정비 가능하게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선회체의 엔진의 하방 부분에 적어도 엔진을 정비 가능하게 설치된 개구부를 이용하여, 요소수 공급 장치를 용이하게 정비 가능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프레임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주프레임 부재 사이에 상기 선회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놓인 플레이트 부재이고, 상기 요소수 공급 장치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상기 엔진에 대면하는 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결 프레임 부재는 한 쌍의 주프레임 부재 사이에 선회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놓인 플레이트 부재이므로, 연결 프레임 부재의 엔진에 대면하는 면에 요소수 공급 장치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소수 공급 배관에는, 당해 요소수 공급 배관을 따라 상기 엔진의 냉각수를 유통시키는 냉각수 배관이 연장되고, 상기 요소수 공급 배관과 상기 냉각수 배관은, 상기 요소수 공급 장치 내를 요소수 및 냉각수가 흐르도록, 상기 요소수 공급 장치 중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외면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외면의 상기 요소수 공급 배관 및 상기 냉각수 배관이 각각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여 상기 요소수 공급 장치의 상기 외면과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면의 일부를 덮고, 상기 접속부를 보온하는 보온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온 커버의 내부의 공기가 보온 커버로 보온되지만, 보온 커버는 요소수 공급 장치의 외면과 플레이트 부재의 면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플레이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연결 프레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보온 커버를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온 커버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되어, 요소수 공급 장치의 정비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면의 일부 및 상기 보온 커버의 상기 요소수 공급 장치 측의 면에는, 보온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보온 커버의 내부의 공기를 양호하게 보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건설 기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요소수 공급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된 요소수 공급 시스템을 나타내는 건설 기계의 선회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른, 본 발명에 관련된 요소수 공급 시스템을 나타내는 선회 프레임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요소수 공급 장치를 비스듬하게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보온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요소수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요소수 공급 장치로부터 떼어낸 상태의 보온 커버의 표면 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요소수 공급 장치로부터 떼어낸 상태의 보온 커버의 이면 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냉각수 배관의 요소수 공급 배관의 커넥터로 접근시키는 방법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냉각수 배관의 요소수 공급 배관의 커넥터로 접근시키는 방법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냉각수 배관의 요소수 공급 배관의 커넥터로 접근시키는 방법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선회 프레임과 요소수 공급 시스템을 측방에서 본 모식도이며,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건설 기계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요소수 공급 시스템을 구비한 건설 기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크롤러식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셔블은, 주행체(1)와, 이 주행체(1) 상에 배치되고, 주로 선회 프레임(3)으로 이루어지는 선회체(2)와, 이 선회체(2)에 장착되며,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 장치(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작업 장치(4)는, 선회 프레임(3)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붐(5)과, 이 붐(5)의 선단(先端)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아암(6)과, 또한 이 아암(6)의 선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킷(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작업 장치(4)에는, 붐(5)을 구동하는 붐 실린더(5a), 아암(6)을 구동하는 아암 실린더(6a), 및 버킷(7)을 구동하는 버킷 실린더(7a)가 포함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3) 상에는, 전측 위치에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의 운전 조작을 행하기 위한 운전실(8)이 설치되어 있고, 선회 프레임(3)의 후측 위치, 즉 선회체(2)의 후부에는 중량 밸런스를 확보하는 카운터 웨이트(2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운전실(8)과 카운터 웨이트(2a)의 사이에는 기계실(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실(8)의 측부에 있어서의 선회체(2) 상의 전부에는 작업 장치(4)를 장착하는 작업 장치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9) 내에는,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도시 생략)나 유압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인 엔진(10)이 설치되어 있다.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주행체(1)에 설치된 주행 모터나 선회체(2)에 설치된 선회 모터(모두 도시 생략)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주행체(1)에 의한 유압 셔블의 자주(自走)가 가능하며, 선회체(2)가 작업 장치(4)와 함께 선회 축 주위에서 선회 가능하다. 또, 압유의 일부는 작업 장치(4)에 설치된 붐 실린더(5a), 아암 실린더(6a), 버킷 실린더(7a)로도 공급되고, 이에 따라 압유의 공급 정도, 즉 유압에 따라 붐(5), 아암(6), 버킷(7)이 각각 구동된다.
엔진(10)은, 예를 들면 디젤 엔진이고, 배기 통로에는 머플러(12)가 접속되어 있다. 또, 디젤 엔진은 일반적으로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NOx(질소 산화물)의 양이 많기 때문에, 디젤 엔진의 배기 통로에는, 머플러(12)보다 배기 상류 측에 위치하여, NOx를 포함시킨 배기 가스 성분의 정화를 행하기 위한 배기 후처리 장치(11)가 개장되어 있다. 유압 셔블에서는, 배기 통로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배기 후처리 장치(11) 및 머플러(12)는 엔진(10)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여기서는 배기 후처리 장치(11) 및 머플러(12)는 엔진(10)의 측방 또한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후처리 장치(11) 중 NOx의 정화를 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요소 SCR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다. 요소 SCR 시스템은, 요소를 이용한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ystem, 즉 환원제로서 요소수를 이용하여 NOx를 선택적으로 환원하는 선택 환원 촉매 시스템을 말하고, 요소수를 촉매 컨버터의 배기 상류 측에 분무함으로써 배기 가스 중의 NOx 성분을 환원 제거하는 장치(NOx 선택 환원 촉매 장치)이다.
배기 후처리 장치(11)의 촉매 컨버터의 배기 상류 측에는 요소수 분사 밸브(20)가 설치되어 있고, 요소수 분사 밸브(20)에는, 요소수 분사 밸브(20)로 요소수를 공급하는 요소수 공급 배관(22)을 개재하여 요소수를 저장해두는 요소수 탱크(24)가 접속되며, 요소수 공급 배관(22)에는, 요소수를 요소수 분사 밸브(20)로 압송하는 공급 펌프를 구비한 요소수 공급 장치(30)가 개장되어 있다.
또, 한랭지 등에서는 동계에 요소수 공급 배관(22) 내를 흐르는 요소수가 동결되는 경우가 있고, 요소수의 동결을 방지하거나 혹은 동결된 요소수를 해동하기 위해, 엔진(10)의 냉각수의 열로 요소수를 가온 가능하도록, 엔진(10)으로부터는 엔진(10)의 냉각수를 흐르게 하기 위한 냉각수 배관(40)이 연장되며, 이 냉각수 배관(40)이 요소수 공급 배관(22)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요소수 분사 밸브(20), 요소수 공급 배관(22), 요소수 탱크(24), 요소수 공급 장치(30) 및 냉각수 배관(40)으로부터 요소수 공급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요소수 공급 시스템이 모식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2 중, 요소수 공급 배관(22)이 실선으로, 냉각수 배관(40)이 파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동(同)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 시스템은 선회 프레임(3)에 배치되어 있고, 요소수 공급 배관(22)은, 유압 셔블의 작동 시에 요소수가 요소수 공급 장치(30)에 의해 요소수 탱크(24)로부터 흡상되어 요소수 분사 밸브(20)로 압송됨과 함께, 유압 셔블의 정지 시에는 요소수 공급 장치(30)에 의해 여분의 요소수가 요소수 공급 장치(30)로부터 요소수 탱크(24)로 반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냉각수 배관(40)은, 냉각수가, 요소수 분사 밸브(20)를 회류함과 함께, 요소수 공급 배관(22)을 따라 요소수 공급 장치(30) 및 요소수 탱크(24) 내를 회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냉각수 배관(40)에는, 요소수 공급 장치(30)의 상류 측에 위치하여 냉각수 압송 펌프(42)가 개장되어 있고, 냉각수는 냉각수 압송 펌프(42)에 의해 압송된다. 그리고, 요소수 공급 배관(22)과 냉각수 배관(40) 중 요소수 공급 장치(30)로부터 요소수 탱크(24)까지의 부분 및 냉각수가 요소수 공급 장치(30)로부터 엔진(10)으로 되돌아가는 부분은, 서로 접촉하도록 한데 모아져 있고, 냉각수의 열이 양호하게 요소수에 전달되어 요소수가 보온되도록 보온재(44)에 의해 덮여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선회 프레임(3) 상에 배치된 본 발명에 관련된 요소수 공급 시스템이 선회 프레임(3)의 평면도로서 나타내어지고,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련된 요소수 공급 시스템이 도 3의 A-A선을 따른 선회 프레임(3)의 종단면도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3)은, 좌우 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폭 방향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선회체(2)를 보강하는 한 쌍의 센터 프레임(주프레임 부재)(3b, 3b)과, 한 쌍의 센터 프레임(3b, 3b)을 전부에서 연결하는 전부 연결 프레임(3c) 및 후부에서 연결하는 후부 연결 프레임(연결 프레임 부재)(3d)과, 각 센터 프레임(3b)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외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 빔의 선단을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빔에 의해 연결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3e, 3e)과, 이들 프레임에 대하여 장착되는 복수의 바닥판(3a)에 의해 개략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회 프레임(3)에 있어서, 센터 프레임(3b)의 전부가 상기 작업 장치 장착부를 구성하고 있고, 작업 장치(4)가 이 작업 장치 장착부를 이루는 센터 프레임(3b)의 전부에 연결되며, 엔진(10)은, 선회 프레임(3)의 선회 중심으로부터 후부 측으로 브래킷(3f)을 개재하여 센터 프레임(3b, 3b)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테일(tail) 프레임부(3b', 3b')에 재치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3a) 중 엔진(10)의 바로 아래의 부분에는, 작업자가 엔진(10)의 메인터넌스(정비)를 행하기 위해, 메인터넌스 작업용으로 개구부(3g)가 설치되어 있다.
요소수 탱크(24)는, 요소수의 보급 작업성이 좋기 때문에, 또 엔진(10)의 열에 의한 요소수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최대한 엔진(10)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선회 프레임(3)의 전부 중 센터 프레임(3b)을 사이에 두고 운전실(8)과는 반대 측의 사이드 프레임(3e) 상에 배치되어 있다.
요소수 공급 장치(30)는, 엔진(10)의 근방이며 엔진(10)보다 선회 프레임(3)의 선회 중심 측에, 엔진(10)을 면하도록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부 연결 프레임(3d)은, 한 쌍의 센터 프레임(3b, 3b) 사이에 바닥판(3a)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놓인 기존의 플레이트 부재이며, 엔진(10)을 후부 측에 면하도록 엔진(10)으로부터 전측의 하방에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고, 요소수 공급 장치(30)는, 후부 연결 프레임(3d)의 엔진(10) 측의 면에 엔진(10)을 면하도록 엔진(10)에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요소수 공급 장치(30)를 비스듬하게 상방에서 본 사시도가 나타내어져 있고, 이하, 요소수 공급 장치(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 장치(30)는 후부 연결 프레임(3d)에 고정되어 있고, 요소수 공급 장치(3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 배관(22)과 냉각수 배관(40)이 접속되어 있다. 또, 요소수 공급 장치(30)에는, 요소수 공급 장치(30)의 상부를 덮도록 하여 보온 커버(50)가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요소수 공급 장치(30)는 대좌 부재(36)를 개재하여 복수의 볼트(36a)에 의해 후부 연결 프레임(3d)에 고정되어 있고, 대좌 부재(36)는, 보온 커버(50)를 장착하기 위한 아암 부재(37, 38, 39)를 일체로 또는 별체로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보온 커버(50)는, 아암 부재(37, 38, 39)에 볼트(51)로 체결됨으로써, 대좌 부재(36) 나아가서는 요소수 공급 장치(30)에 고정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온 커버(50)를 떼어낸 상태의 요소수 공급 장치(30)가 나타내어져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소수 공급 배관(22)과 냉각수 배관(40)과 요소수 공급 장치(30)는 각각 커넥터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요소수 공급 배관(22) 중 요소수 탱크(24)로부터 요소수가 유입되는 유입 배관은 커넥터(31)로, 요소수 탱크(24)로 요소수를 반려하는 유출 배관은 커넥터(32)로, 요소수 분사 밸브(20)로 요소수를 급송하는 유출 배관은 커넥터(33)로 요소수 공급 장치(30)에 접속되어 있다. 또, 냉각수 배관(40) 중 엔진(10)으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 배관은 커넥터(34)로, 요소수 탱크(24)로 냉각수를 급송하는 유출 배관은 커넥터(35)로 요소수 공급 장치(30)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들 커넥터(31, 32, 33, 34, 35)는, 모두 요소수 공급 장치(30)의 동일한 외면, 즉 후부 연결 프레임(3d)의 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상면(30a)에 수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요소수 공급 배관(22)의 커넥터(31, 32, 33) 및 냉각수 배관(40)의 커넥터(34, 35)는, 커넥터(34, 35)가 후부 연결 프레임(3d) 측이 되도록 하여, 각각 후부 연결 프레임(3d)에 대하여 평행하거나 또한 서로 평행하게 차체 좌우 방향으로 일직선 형상으로 나란히 놓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수 배관(40) 중 냉각수 압송 펌프(42)를 거쳐 엔진(10)으로부터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 배관에 있어서의 요소수 공급 장치(30) 상으로 연장되고 우회하여 배색(配索)되는 일부분(커넥터(34)를 향하는 부분)은, 요소수 공급 배관(22)의 커넥터(31, 32, 33)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 범위로 접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요소수 공급 배관(22)의 단부(端部)에 있어서의 요소수 공급 장치(30)로의 접속부(커넥터(31, 32, 33) 부분) 근방에서는, 냉각수 배관(40)을 따라 한 뭉치로 할 수 없어, 요소수의 동결을 방지하거나 동결된 요소수를 해동하거나 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냉각수 배관(40) 중 엔진(10)으로부터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 배관의 요소수 공급 장치(30) 상으로 연장되어 배색되는 일부분을 가온 배관부(46)로 하고, 이 가온 배관부(46)를 커넥터(31, 32, 33)에 접근시켜, 커넥터(31, 32, 33) 근방 부분을 가온 배관부(46)를 흐르는 냉각수의 열로 가온하도록 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가온 배관부(46)는, 요소수 공급 장치(30)의 상면(30a)을 따라 요소수 공급 배관(22)의 커넥터(31, 32, 33)와 냉각수 배관(40)의 커넥터(34, 35)의 사이를 연장하고, 상면(30a)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커넥터(31, 32, 33)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온 배관부(46)는 볼트(47)에 의해 상면(30a)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 가온 배관부(46)를 커넥터(31, 32, 33)에 접근시키는 소정의 거리 범위는, 예를 들면 가온 배관부(46)를 흐르는 냉각수의 열이 커넥터(31, 32, 33)에 도달하는 범위이다. 또, 가온 배관부(46)가 커넥터(31, 32, 33)에 접근하는 부분은, 냉각수의 열이 커넥터(31, 32, 33)에 도달하기 쉽도록, 열전도성이 큰 부재, 예를 들면 구리관이나 강관 등의 금속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31, 32)로부터 연장되는 요소수 공급 배관(22)은 상면(30a)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가온 배관부(46)는, 커넥터(31, 32, 33)에 접근함으로써, 커넥터(31, 32)로부터 연장되는 요소수 공급 배관(22)도 가로지르게 된다. 즉, 가온 배관부(46)는, 커넥터(31, 32) 근방의 냉각수 배관(40)을 따르게 할 수 없는 요소수 공급 배관(22)의 부분에도 접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31, 32, 33)뿐만 아니라, 커넥터(31, 32)로부터 연장되는 요소수 공급 배관(22)의 부분에 대해서도 가온 배관부(46)를 흐르는 냉각수의 열로 동시에 가온 가능이다.
또한, 방열성을 높이기 위해 가온 배관부(46)에 핀을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핀을 설치하면 오히려 가온 배관부(46)를 커넥터(31, 32, 33)에 접근시킬 수 없어지기 때문에, 가온 배관부(46)에는 핀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 부재(36)에 설치된 아암 부재(37, 38, 39)에는, 각각 보온 커버(50)를 장착하는 볼트(51)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 나사 결합 구멍(37a, 38a, 39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부 연결 프레임(3d)의 요소수 공급 장치(30) 측의 면에는, 하부를 후부 연결 프레임(3d)과 대좌 부재(36)의 사이에 두도록 하여, 보온 부재(48)가 설치되어 있다. 보온 부재(48)는, 예를 들면 우레탄 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요소수 공급 장치(30)로부터 떼어낸 상태의 보온 커버(50)의 표면 측과 이면 측이 각각 사시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보온 커버(50)는, 예를 들면 강판을 가공하여, 상면(52)과 후부 연결 프레임(3d)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는 제 1 측면(53)과 후부 연결 프레임(3d)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제 2 측면(5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측면(53)에는, 보온 커버(50)를 대좌 부재(36)에 설치된 아암 부재(37, 38)에 장착하기 위해 볼트(51)를 관통시키는 볼트 관통 구멍(55, 56)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측면(54)에는 보온 커버(50)를 대좌 부재(36)에 설치된 아암 부재(39)에 장착하기 위해 볼트(51)를 관통시키는 볼트 관통 구멍(57)이 형성되어 있다.
보온 커버(50)의 이면 측, 즉 상면(52), 제 1 측면(53) 및 제 2 측면(54)의 요소수 공급 장치(30) 측의 면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온 부재(58)가 설치되어 있다. 보온 부재(58)는, 상기 보온 부재(48)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우레탄 부재 등으로 구성되고, 보온 부재(48)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고 있다.
보온 커버(50)의 제 1 측면(53)에는, 상기 요소수 공급 배관(22)이나 냉각수 배관(4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컷아웃부(53a, 53b)가 설치되어 있고, 보온 부재(58)는, 요소수 공급 배관(22)이나 냉각수 배관(40)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59, 60, 61)을 남겨, 이들 컷아웃부(53a, 53b)를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온 부재(48)와 보온 부재(58)는, 보온 커버(50)를 요소수 공급 장치(30)에 장착했을 때, 상면(52)에 배치된 보온 부재(58)가 보온 부재(48)의 상단연(上端緣)과 맞닿고, 제 2 측면(54)에 배치된 보온 부재(58)의 측단연(側端緣)이 보온 부재(48)의 표면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보온 커버(50)는, 요소수 공급 장치(30)에 장착함으로써, 개구된 제 1 측면(53)에 대향하는 후부 연결 프레임(3d) 측의 면이 후부 연결 프레임(3d)의 표면에 배치된 보온 부재(48) 나아가서는 후부 연결 프레임(3d)으로 막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측면(54)과 대향하는 면은 개구된 그대로가 되지만, 이 면은 요소수 공급 배관(22)이나 냉각수 배관(40)의 보온재(44)에 의해 대략 폐쇄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요소수 공급 배관(22)의 커넥터(31, 32, 33)와 냉각수 배관(40)의 커넥터(34, 35)가 가온 배관부(46)과 함께 보온 커버(50)에 의해 막아지고, 보온 커버(50)의 내부에는 상면(52), 제 1 측면(53), 제 2 측면(54) 및 후부 연결 프레임(3d) 나아가서는 보온 부재(48)로 대략 둘러싸인 폐쇄 공간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이 폐쇄 공간 내의 공기는, 가온 배관부(46)를 흐르는 냉각수의 열로 가온되고, 보온 부재(48) 및 보온 부재(58)의 작용에 의해 양호하게 보온된다.
부호 62는 보온 커버(50)의 손잡이이고, 이 손잡이(62)는, 보온 커버(50)의 착탈뿐만 아니라, 보온 커버(50)를 대좌 부재(36)를 개재하여 요소수 공급 장치(30)에 장착한 상태여도 보온 커버(50), 대좌 부재(36) 및 요소수 공급 장치(30)를 일체로서 운반 가능하도록, 그 강도가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냉각수 배관(40)의 요소수 공급 배관(22)의 커넥터(31, 32, 33)로 접근시키는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변형예가 생각된다.
도 9는 제 1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제 1 변형예에서는, 냉각수 배관(40) 중 엔진(10)으로부터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 배관의 요소수 공급 장치(30) 상으로 연장되어 배색되는 일부분을 가온 배관부(146)라고 하고 있다. 가온 배관부(146)는, 냉각수 배관(40)의 커넥터(34, 35)와는 반대 측에서 요소수 공급 배관(22)의 커넥터(31, 32, 33)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0은 제 2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제 2 변형예에서는, 냉각수 배관(40) 중 엔진(10)으로부터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 배관의 요소수 공급 장치(30) 상으로 연장되어 배색되는 일부분을 가온 배관부(246)라고 하고 있다. 가온 배관부(246)는, 요소수 공급 배관(22)의 커넥터(31, 32, 33)와 냉각수 배관(40)의 커넥터(34, 35)의 사이를 연장하여 커넥터(31, 32, 33)를 가로지름과 함께, 직렬로 하여 냉각수 배관(40)의 커넥터(34, 35)와는 반대 측에서도 커넥터(31, 32, 33)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가온 배관부(246)는, 직렬로 하여 커넥터(31, 32, 33)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1은 제 3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제 3 변형예에서는, 냉각수 배관(40) 중 엔진(10)으로부터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 배관의 요소수 공급 장치(30) 상으로 연장되어 배색되는 일부분을 가온 배관부(346)라고 하고 있다. 가온 배관부(346)는, 요소수 공급 배관(22)의 커넥터(31, 32, 33)와 냉각수 배관(40)의 커넥터(34, 35)의 사이를 연장하여 커넥터(31, 32, 33)를 가로지름과 함께, 병렬로 하여 냉각수 배관(40)의 커넥터(34, 35)와는 반대 측에서도 커넥터(31, 32, 33)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가온 배관부(346)는, 병렬로 하여 커넥터(31, 32, 33)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건설 기계의 요소수 공급 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요소수 탱크(24)는, 선회 프레임(3)의 전부의 사이드 프레임(3e) 상에 배치되어 있는 한편, 요소수 공급 장치(30)는, 엔진(10)의 근방이며 후부 연결 프레임(3d)의 엔진(10) 측의 면에 엔진(10)을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요소수 탱크(24)는 엔진(10)의 열의 영향을 받지 않는 한편, 요소수 공급 장치(30)는 엔진(10)의 열로 가온되어, 동계여도 요소수 공급 장치(30) 내를 흐르는 요소수의 동결이 방지됨과 함께 동결된 요소수의 해동이 촉진된다.
또, 여기서는, 요소수 공급 장치(30)를 후부 연결 프레임(3d)의 엔진(10) 측의 면에 엔진(10)을 면하도록 배치하고 있으므로, 별도 장착 브래킷을 형성하지 않고, 플레이트 부재인 기존의 후부 연결 프레임(3d)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요소수 공급 장치(30)를 용이하게 하여 적합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회 프레임(3)의 바닥판(3a) 중, 엔진(10)의 바로 아래인 하방 부분에는 엔진(10)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용으로 개구부(3g)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개구부(3g)를 이용하여 요소수 공급 장치(30)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요소수 공급 장치(30)가 후부 연결 프레임(3d)의 엔진(10) 측의 면에 엔진(10)을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요소수 탱크(24)로부터 요소수 공급 장치(30)까지의 거리가 지나치게 멀어지지 않고, 요소수 공급 장치(30)로부터 요소수 분사 밸브(20)까지의 거리도 지나치게 멀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도 12에 선회 프레임(3)과 요소수 공급 시스템을 측방에서 본 도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지만, 이와 같이 건설 기계가 평지에서의 상태(일점쇄선)로부터 경사지 등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전방을 낮추어 소정의 경사 한계 각도 θ까지 경사진 경우(실선)여도, 요소수 탱크(24)로부터 요소수 공급 장치(30)까지의 수직 방향의 거리의 변화가 작게 억제된다. 즉, 평지에 있어서 요소수 탱크(24)의 요소수의 흡입 위치가 요소수 공급 장치(30)와 수직 방향으로 대략 동일 높이라고 하면, 도 12에 있어서, 경사지 등에서의 그 수직 방향의 변화량은 요소수 공급 장치(30)가 요소수 탱크(24)로부터 요소수를 흡상하는데에 지장이 없는 규정값 범위 내의 ΔH1이 되고, 요소수 공급 장치(30)의 요소수 탱크(24)로부터의 요소수의 흡상성이 변동 적고 양호하게 확보된다.
마찬가지로, 요소수 공급 장치(30)로부터 요소수 분사 밸브(20)까지의 수직 방향의 거리의 변화도 작게 억제된다. 즉, 평지에 있어서의 요소수 공급 장치(30)로부터 요소수 분사 밸브(20)까지의 거리가 H2이고, 소정의 경사 한계 각도 θ까지 경사졌을 때의 거리가 H2'라고 하면, 도 12에 있어서, 그 수직 방향의 변화량은 요소수 분사 밸브(20)에서 요소수의 토출압에 지장이 생기지 않는 규정값 범위 내의 ΔH2(ΔH2=H2'-H2)가 되며, 요소수 분사 밸브(20)에 대한 요소수 공급 장치(30)의 요소수의 토출압도 변동 적고 양호하게 확보된다.
이에 따라, 요소수 분사 밸브(20)로부터 항상 안정적으로 요소수를 분사 가능하다.
또, 요소수 공급 장치(30)에 있어서, 냉각수 배관(40) 중 엔진(10)으로부터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 배관의 요소수 공급 장치(30) 상으로 연장되어 배색되는 일부분을 가온 배관부(46, 146, 246, 346)라고 하고, 이 가온 배관부(46, 146, 246, 346)를 요소수 공급 배관(22)의 요소수 공급 장치(30)에의 접속부인 커넥터(31, 32, 33)에 접근시켜, 커넥터(31, 32, 33) 부분을 가온 배관부(46)를 흐르는 냉각수의 열로 가온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냉각수 배관(40)을 따르게 할 수 없도록 한 커넥터(31, 32, 33) 부분에 있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하여 효율적으로 요소수의 동결을 방지하거나 동결된 요소수를 해동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 2 변형예나 제 3 변형예와 같이, 가온 배관부(246, 346)를 커넥터(31, 32, 33)를 둘러싸도록 구성하면, 커넥터(31, 32, 33) 부분을 가온 배관부(246, 346)를 흐르는 냉각수의 열로 충분하게 가온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유압 셔블의 정지 시에는 요소수는 요소수 공급 장치(30)로부터 요소수 탱크(24)로 반려되게 되지만, 이때, 요소수 공급 장치(30)로부터 요소수 탱크(24)까지의 사이의 요소수 공급 배관(22) 내에는 요소수가 남는 경우가 있고, 요소수 탱크(24)로 요소수를 반려하는 유출 배관의 접속부인 커넥터(32) 부분에도 요소수가 남는 경우가 있지만, 가온 배관부(46)를 흐르는 냉각수의 열로 가온함으로써, 확실하게 커넥터(32) 부분에서의 요소수의 동결을 방지하거나 동결된 요소수를 해동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요소수 공급 장치(30)에는, 요소수 공급 배관(22)의 커넥터(31, 32, 33)와 냉각수 배관(40)의 커넥터(34, 35)와 가온 배관부(46)를 덮도록 보온 커버(50)를 설치하고 있고, 이에 따라 보온 커버(50)의 내부의 가온 배관부(46)를 흐르는 냉각수의 열로 가온된 공기가 양호하게 보온되지만, 여기서는, 보온 커버(50)를 내면에 보온 부재(58)를 배치한 상면(52), 제 1 측면(53) 및 제 2 측면(54)으로 구성하며, 개구된 제 1 측면(53)에 대향하는 후부 연결 프레임(3d) 측의 면에 대해서는 표면에 보온 부재(48)를 배치한 후부 연결 프레임(3d)으로 막도록 하여 보온 커버(50) 내에 폐쇄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플레이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후부 연결 프레임(3d)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보온 커버(50)를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보온 커버(50)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도 4에는 아울러 작업자(M)를 나타내지만, 작업자(M)가 메인터넌스 작업용의 개구부(3g)로부터 요소수 공급 장치(30)의 보온 커버(50)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고, 요소수 공급 장치(30)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한층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형태의 설명을 마치지만, 본 발명의 태양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냉각수 배관(40) 중 엔진(10)으로부터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 배관의 요소수 공급 장치(30) 상으로 연장되어 배색되는 일부분(커넥터(34)를 향하는 부분)을 가온 배관부(46, 146, 246, 346)라고 했지만, 냉각수 배관(40) 중 엔진(10)으로부터의 냉각수가 유출되는 유출 배관의 요소수 공급 장치(30) 상으로 연장되어 배색되는 일부분(커넥터(35)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에서 가온 배관부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요소수 공급 장치(30)에 있어서, 냉각수 배관(40)의 일부분에서 가온 배관부(46, 146, 246, 346)를 구성하고, 이 가온 배관부(46, 146, 246, 346)를 요소수 공급 배관(22)의 요소수 공급 장치(30)에의 접속부인 커넥터(31, 32, 33)에 접근시키도록 했지만, 요소수 탱크(24)에 요소수 공급 배관(22)의 요소수 탱크(24)에의 접속부로서의 커넥터와 냉각수 배관(40)의 요소수 탱크(24)에의 접속부로서의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요소수 탱크(24)에 있어서, 냉각수 배관(40) 중 엔진(10)으로부터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 배관의 일부분 혹은 유출되는 유출 배관의 일부분을 가온 배관부라고 하며, 이 가온 배관부를 요소수 공급 배관(22)의 요소수 탱크(24)에의 접속부인 커넥터에 접근시켜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요소수 공급 장치(30)에 있어서, 냉각수 배관(40)을 연장하여 가온 배관부(46, 146, 246, 346)를 구성하고, 가온 배관부(46, 146, 246, 346)를 포함시켜 요소수 공급 배관(22)의 요소수 공급 장치(30)에의 접속부인 커넥터(31, 32, 33)와 냉각수 배관(40)의 커넥터(34, 35)를 보온 커버(50)로 덮도록 하고 있지만, 요소수 공급 장치(30)에 있어서 가온 배관부(46, 146, 246, 346)를 설치하지 않고 커넥터(31, 32, 33, 34, 35)를 보온 커버(50)로 덮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냉각수 배관(40)을 통과하기 위한 관통 구멍(60, 61)에 대해서는 보온 부재(58)에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크롤러(crawler)식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엔진이 요소 SCR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으면, 본 발명을, 휠식의 유압 셔블에 적용해도 되며, 리프트 트럭, 덤프 트럭, 휠 로더, 유압 크레인, 불도저 등의 건설 기계에도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선회체(2, 3)와,
    이 선회체 상의 전부에 설치된 운전실(8)과,
    이 운전실의 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선회체 상의 전부에 설치된 작업 장치 장착부와,
    상기 선회체의 후부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2a)와,
    이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운전실 사이의 상기 선회체 상에 재치된 구동원으로서의 엔진(10)과,
    상기 엔진의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의 배기 통로에 개장된 NOx 선택 환원 촉매 장치(11)와,
    상기 NOx 선택 환원 촉매의 배기 상류에 요소수를 분사하는 요소수 분사 밸브(20)와,
    상기 요소수를 저장하는 요소수 탱크(24)와,
    일단이 상기 요소수 분사 밸브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요소수 탱크에 접속된 요소수 공급 배관(22)과,
    상기 요소수 공급 배관에 개장되고, 요소수를 상기 요소수 분사 밸브로 압송하는 요소수 공급 장치(30)를 구비한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요소수 탱크는, 상기 선회체의 선회 중심보다 전부 측으로 상기 선회체에 재치되고,
    상기 엔진은, 상기 선회체의 선회 중심보다 후부 측으로 상기 선회체에 재치되며,
    상기 선회체는, 폭 방향 중앙 쪽을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선회체를 보강하고 또한 상기 작업 장치 장착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주프레임 부재(3b)와, 상기 선회체의 선회 중심과 상기 엔진의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주프레임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부재(3d)를 가지며,
    상기 요소수 공급 장치(30)를, 상기 연결 프레임 부재에 상기 엔진에 대면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체(2, 3)의 상기 엔진(10)의 하방 부분에는, 적어도 상기 엔진을 정비 가능하게 개구부(3g)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 부재(3d)는, 상기 한 쌍의 주프레임 부재(3b) 사이에 상기 선회체(2, 3)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놓인 플레이트 부재이고,
    상기 요소수 공급 장치(30)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3d)의 상기 엔진(10)에 대면하는 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수 공급 배관(22)에는, 당해 요소수 공급 배관을 따라 상기 엔진(10)의 냉각수를 유통시키는 냉각수 배관(40)이 연장되고,
    상기 요소수 공급 배관과 상기 냉각수 배관은, 상기 요소수 공급 장치(30) 내를 요소수 및 냉각수가 흐르도록, 상기 요소수 공급 장치 중 상기 플레이트 부재(3d)의 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외면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외면의 상기 요소수 공급 배관 및 상기 냉각수 배관이 각각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여 상기 요소수 공급 장치의 상기 외면과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면의 일부를 덮고, 상기 접속부를 보온하는 보온 커버(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3d)의 면의 일부 및 상기 보온 커버(50)의 상기 요소수 공급 장치(30) 측의 면에는, 보온 부재(5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1020150035793A 2014-03-17 2015-03-16 건설 기계 KR101717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4001A JP5940107B2 (ja) 2014-03-17 2014-03-17 建設機械の尿素水供給システム
JPJP-P-2014-054001 2014-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326A KR20150108326A (ko) 2015-09-25
KR101717638B1 true KR101717638B1 (ko) 2017-03-17

Family

ID=5263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793A KR101717638B1 (ko) 2014-03-17 2015-03-16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259878A1 (ko)
EP (1) EP2921590B1 (ko)
JP (1) JP5940107B2 (ko)
KR (1) KR101717638B1 (ko)
CN (1) CN1049297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7905B2 (ja) * 2014-04-22 2018-03-2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7107737A (ja) * 2015-12-09 2017-06-15 ヤンマー株式会社 車両用の前照灯
CN108289412B (zh) * 2015-12-11 2021-04-27 洋马动力科技有限公司 联合收割机
JP6373291B2 (ja) * 2016-03-02 2018-08-1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11971460B (zh) * 2018-09-29 2022-07-15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scr后处理系统的尿素箱及其箱盖
CN112221793A (zh) * 2020-10-22 2021-01-15 南京坦然机械制造有限公司 遥控分体履带式喷补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0695A (ja) 2007-03-28 2008-10-09 Komatsu Ltd 建設車両
JP2010285814A (ja) 2009-06-12 2010-12-24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作業機械
WO2011152306A1 (ja) 2010-05-31 2011-12-0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2013002082A (ja) 2011-06-14 2013-01-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93599A (en) * 1930-10-15 1937-09-21 Clough Clarence Roy Water storage and circulat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US4140150A (en) * 1977-05-23 1979-02-20 Rundell Clarence M Drinking water supply and conditioner for vehicles
DE20304589U1 (de) * 2003-03-21 2003-08-07 Guenther Michael Zapfsäule für Harnstoff-Lösung
JP3751962B2 (ja) * 2003-09-05 2006-03-08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2006089989A (ja) * 2004-09-22 2006-04-06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
JP2006316684A (ja) * 2005-05-12 2006-11-24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US7089955B1 (en) * 2005-07-20 2006-08-15 Komro Sr Grant T Recreational vehicle low temperature water supply warming system
JP4656039B2 (ja) * 2006-10-19 2011-03-23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4824606B2 (ja) * 2007-03-13 2011-11-3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08240677A (ja) * 2007-03-28 2008-10-09 Komatsu Ltd 建設車両
JP2008240676A (ja) * 2007-03-28 2008-10-09 Komatsu Ltd 建設車両
CN101595284A (zh) * 2007-06-26 2009-12-02 日立建机株式会社 自行式工程机械
JP2009068348A (ja) * 2007-09-10 2009-04-02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用尿素水配管構造
JP4928474B2 (ja) * 2008-01-08 2012-05-0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NOx低減装置の配設構造
US8418448B2 (en) * 2008-05-22 2013-04-1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US8122710B2 (en) * 2008-12-01 2012-02-28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Thermal management of urea dosing components in an engine exhaust after-treatment system
JP4855492B2 (ja) * 2009-03-30 2012-01-18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FR2943999A1 (fr) * 2009-04-02 2010-10-0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Reservoir d'uree, ligne d'echappement et vehicule
JP5533234B2 (ja) * 2010-05-17 2014-06-2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尿素水タンク構造
JP5356341B2 (ja) * 2010-09-16 2013-12-0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698543B2 (ja) * 2011-01-14 2015-04-0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尿素水タンク構造
JP2012219625A (ja) * 2011-04-04 2012-11-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US20130000729A1 (en) * 2011-06-30 2013-01-03 Caterpillar Inc. Def pump and tank thawing system and method
JP5684164B2 (ja) * 2012-02-07 2015-03-11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3181400A (ja) * 2012-02-29 2013-09-12 Komatsu Ltd 作業機械
JP2013194666A (ja) * 2012-03-21 2013-09-30 Komatsu Ltd 排気ガス浄化用尿素水の冷却システム
US9476337B2 (en) * 2012-07-05 2016-10-25 Komatsu Ltd. Engine unit and work vehicle
KR20140014497A (ko) * 2012-07-24 2014-02-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JP5442829B1 (ja) * 2012-10-16 2014-03-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JP5336647B1 (ja) * 2012-12-20 2013-11-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US9103600B2 (en) * 2012-12-21 2015-08-11 Caterpillar Inc. Injector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CN103827405B (zh) * 2013-02-15 2016-02-24 株式会社小松制作所 液压挖掘机
CN104169504B (zh) * 2013-03-18 2016-05-18 株式会社小松制作所 液压挖掘机
JP2014194171A (ja) * 2013-03-28 2014-10-09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
WO2015045022A1 (ja) * 2013-09-25 2015-04-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US9732653B2 (en) * 2014-01-08 2017-08-15 Komatsu Ltd. Reducing agent tank and work vehicle
CN104114826B (zh) * 2014-02-26 2015-10-21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
KR101489628B1 (ko) * 2014-05-16 2015-02-04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0695A (ja) 2007-03-28 2008-10-09 Komatsu Ltd 建設車両
JP2010285814A (ja) 2009-06-12 2010-12-24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作業機械
WO2011152306A1 (ja) 2010-05-31 2011-12-0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2013002082A (ja) 2011-06-14 2013-01-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21590A1 (en) 2015-09-23
JP2015175334A (ja) 2015-10-05
US20150259878A1 (en) 2015-09-17
KR20150108326A (ko) 2015-09-25
CN104929738A (zh) 2015-09-23
EP2921590B1 (en) 2017-11-08
JP5940107B2 (ja) 2016-06-29
CN104929738B (zh)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638B1 (ko) 건설 기계
EP3121400B1 (en) Urea water supply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US9003779B2 (en) Wheel loader
US9194104B2 (en) Wheel loader
KR101628798B1 (ko) 환원제 탱크 및 작업 차량
JP2012237232A (ja) 建設機械
KR20150076246A (ko) 작업 차량
KR101834979B1 (ko) 건설 기계
JP6071855B2 (ja) 建設機械
US20170321393A1 (en) Industrial Vehicle
KR20150079953A (ko) 작업 차량
US9726065B2 (en) Work vehicle
JP6480234B2 (ja) 作業機
JP7478649B2 (ja) 建設機械
JP2023043240A (ja) 建設機械の尿素水タンク
JP4855491B2 (ja) 建設機械
JP6391523B2 (ja) 作業機
JP2022152621A (ja) 建設機械
JP2020147925A (ja) 建設機械
JP2018003539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