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100B1 -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4100B1 KR101714100B1 KR1020127000506A KR20127000506A KR101714100B1 KR 101714100 B1 KR101714100 B1 KR 101714100B1 KR 1020127000506 A KR1020127000506 A KR 1020127000506A KR 20127000506 A KR20127000506 A KR 20127000506A KR 101714100 B1 KR101714100 B1 KR 1017141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 layer
- sheet
- nonwoven fabric
- adhesive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8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4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2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7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9000004750 melt-blown nonwov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20000219 Ethylene vinyl alcoh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6306 polyurethane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783 fri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5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1
- -1 cupra Polymers 0.000 description 36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3578 rel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MTHSVFCYNBDYFN-UHFFFAOYSA-N di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 MTHSVFCYNBDY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29920000297 Ray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2964 ray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0433 Lyocell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6210 lo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974 emollie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08000003251 Prur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840 adhesiv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6223 adhesiv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406 cosmetic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IIZPXYDJLKNOIY-JXPKJXOSSA-N 1-palmitoyl-2-arachido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CC IIZPXYDJLKNOIY-JXPKJXOS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43 Cellulose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group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87 lecith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445 lecit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067606 lecithin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40058015 1,3-butylene glycol Drug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99 bactericid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37 butane-1,3-di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SZXQTJUDPRGNJN-UHFFFAOYSA-N di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COCCCO SZXQTJUDPRGN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15 ethylene 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866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88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79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UFVKGYZPFZQRLF-UHFFFAOYSA-N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OC1C(O)C(OC)OC(CO)C1OC1C(O)C(O)C(OC2C(C(O)C(OC3C(C(O)C(O)C(CO)O3)O)C(CO)O2)O)C(CO)O1 UFVKGYZPFZQRL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803 i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122 polyamid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67 polyester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LNAZSHAWQACDHT-XIYTZBAFSA-N (2r,3r,4s,5r,6s)-4,5-dimethoxy-2-(methoxymethyl)-3-[(2s,3r,4s,5r,6r)-3,4,5-trimethoxy-6-(methoxymethyl)oxan-2-yl]oxy-6-[(2r,3r,4s,5r,6r)-4,5,6-trimethoxy-2-(methoxymethyl)oxan-3-yl]oxyoxane Chemical compound CO[C@@H]1[C@@H](OC)[C@H](OC)[C@@H](COC)O[C@H]1O[C@H]1[C@H](OC)[C@@H](OC)[C@H](O[C@H]2[C@@H]([C@@H](OC)[C@H](OC)O[C@@H]2COC)OC)O[C@@H]1COC LNAZSHAWQACDHT-XIYTZBAFSA-N 0.000 description 1
- ALSTYHKOOCGGFT-KTKRTIGZSA-N (9Z)-octadecen-1-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 ALSTYHKOOCGGFT-KTKRTIGZSA-N 0.000 description 1
- WRIDQFICGBMAFQ-UHFFFAOYSA-N (E)-8-Octadec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WRIDQFICGBMA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CDWFXQBSFUVSP-UHFFFAOYSA-N 2-phenoxyethanol Chemical compound OCCOC1=CC=CC=C1 QCDWFXQBSFUVS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QJBNNIYVWPHFW-UHFFFAOYSA-N 20:1omega9c fatty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LQJBNNIYVWPH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JKROLUGYXJWQN-UHFFFAOYSA-N 4-hydroxy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O)C=C1 FJKROLUGYXJW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SBYPNXLFMSGKH-UHFFFAOYSA-N 9-Heptadecensaeur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O)=O QSBYPNXLFMSG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HRPVXLWXLXDGHG-UHFFFAOYSA-N Acrylamide Chemical group NC(=O)C=C HRPVXLWXLXDGH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12 Aerosi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27 Aloe barbad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961 Aloe barbad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6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5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pon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49 Copper compou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MROMDMJAWUWLK-UHFFFAOYSA-N Ethenol Chemical group OC=C IMROMDMJAWUW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63 Hydroxy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54 Hydroxy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79 Hydroxyethyl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53 Hydroxyprop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330 Macadamia integr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912 Macadamia tetraphy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00 Macadamia tetraphy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10 Micro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07 Modal (textil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92 Nylon 6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02 Nylon 6,6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642 O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UHFFFAOYSA-N 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82 Palm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13 Polysorbate 2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14 Polysorbate 6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28 Polyvinylidene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MUPFEKGTMRGPLJ-RMMQSMQOSA-N Raffinose Natural products O(C[C@H]1[C@@H](O)[C@H](O)[C@@H](O)[C@@H](O[C@@]2(CO)[C@H](O)[C@@H](O)[C@@H](CO)O2)O1)[C@@H]1[C@H](O)[C@@H](O)[C@@H](O)[C@@H](CO)O1 MUPFEKGTMRGPLJ-RMMQSMQO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880 Skin irr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1602762 Sophis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3 Steam injection (oil indus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MUPFEKGTMRGPLJ-UHFFFAOYSA-N UNPD196149 Natural products OC1C(O)C(CO)OC1(CO)OC1C(O)C(O)C(O)C(COC2C(C(O)C(O)C(CO)O2)O)O1 MUPFEKGTMRGPL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43 acrylic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90 activ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233 alkylalcoho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47 alkyl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72 aller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99 aloe v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75 anim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20 animal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363 anti-inflammatory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60 anti-inflammatory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6 anti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12 astringe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668 atopic ecz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2 avocado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63 avocado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44 bleach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QHIWVLPBUQWDMQ-UHFFFAOYSA-N butyl prop-2-enoate;methyl 2-methylprop-2-enoate;prop-2-e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C(=O)C(C)=C.CCCCOC(=O)C=C QHIWVLPBUQWDM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95 camellia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20 cam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631 carbomer Drug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60 car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59 casto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38 casto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86 cellulose 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07 chanvre indie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34 co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80 copper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9662 ed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5 electron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96 este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EMPKEQAKRGZGQ-XOQCFJPHSA-N glycerol triricinoleate Natural products CCCCCC[C@@H](O)CC=CCCCCCCCC(=O)OC[C@@H](COC(=O)CCCCCCCC=CC[C@@H](O)CCCCCC)OC(=O)CCCCCCCC=CC[C@H](O)CCCCCC ZEMPKEQAKRGZGQ-XOQCFJPH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60 heat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87 hem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06 hum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47 hydroxy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63 hydroxyprop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77 hydroxyprop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XJSBBXBKPUZAA-UHFFFAOYSA-N iso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QXJSBBXBKPUZ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19170 jojoba wax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1 light stabilis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QHSOMBJVWLPSR-WUJBLJFYSA-N malt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C@H](O)CO)O[C@H]1O[C@H](CO)[C@@H](O)[C@H](O)[C@H]1O VQHSOMBJVWLPSR-WUJBLJF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5 malt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9 malt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436 malt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74 melt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66 nut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RZJOMJEPLMPRA-UHFFFAOYSA-N olefin Natural products CCCCCCCC=C JRZJOMJEPLMP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KTKRTIGZSA-N 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KTKRTIGZ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55577 oleyl alcohol Drugs 0.000 description 1
- XMLQWXUVTXCDDL-UHFFFAOYSA-N oleyl alcoh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 XMLQWXUVTXCD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40 palm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68 penetrate the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323 phenoxyetha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874 phenyl trimethic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98 polar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7 poly(la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50 polyacrylonitril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1 polyalk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83 polybut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06 polyester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26 poly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862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77 poly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5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03 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73 polypropylene based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8977 polysorbate 20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0 polystyr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15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3 polyvinylidene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MUPFEKGTMRGPLJ-ZQSKZDJDSA-N raffin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C@@H]2[C@@H]([C@@H](O)[C@@H](O)[C@@H](CO)O2)O)O1 MUPFEKGTMRGPLJ-ZQSKZDJD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27 regenerated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127 sapon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45 silicone oi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56 skin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75 skin irrita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42 sulfonic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00 swe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LINXHFKHZLOLEI-UHFFFAOYSA-N trimethyl-[phenyl-bis(trimethylsilyloxy)silyl]oxysilane Chemical compound C[Si](C)(C)O[Si](O[Si](C)(C)C)(O[Si](C)(C)C)C1=CC=CC=C1 LINXHFKHZLOL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63 vinyl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30 xanthan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93 xanthan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5 xanthan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2509 xanthan gum Drug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25—Composite fibres
- D04H1/43828—Composite fibres sheath-core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8—Ultrafine fibres, e.g. microfibr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23—Vinyl resin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32B2262/0284—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92—Polyurethane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4—Cellulosic plastic fibres, e.g. ray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8—Hydrophili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부직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고, 또한 액상 성분을 흡수할 수 있는 보액층과, 이 보액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상기 액상 성분을 투과할 수 있고, 또한 피부와 접촉시키기 위한 밀착층을 형성하여 적층 시트를 조제한다. 상기 밀착층은, 수평균 섬유 직경 10 ㎛ 이하의 부직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고, 또한 밀착층과 보액층의 두께 비율이, 밀착층/보액층=1/4∼1/100 이다. 상기 밀착층은, 섬유 직경의 표준 편차가 5 이하인 부직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보액층은, 밀착층을 구성하는 섬유보다 섬유 직경이 큰 부직포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적층 시트는, 보액성과 방출성의 밸런스가 우수함과 함께, 액상 성분을 함침시킨 상태에서 피부에 대한 밀착성 및 피트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상 성분 (액상 화합물) 을 흡수할 수 있고, 또한 피부와 접촉시키기 위한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특히, 미용 성분이나 약효 성분 등을 함유하는 액상 성분을 함침시켜, 피부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적층 시트 (액체 함침 생체 피막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인체의 스킨 (피부) 등에 첩부하는 시트로서, 화장료 등의 액체를 함침 (含浸) 한 스킨 케어 시트 (액체 함침 생체 피막 시트) 가 사용되고 있다. 페이스 마스크로 대표되는 스킨 케어 시트는, 피부를 간편하게 높은 습윤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최근, 다종 다양한 상품이 개발되고 있다. 시트의 재료로는, 일반적으로는, 섬유로 구성되는 직포나 부직포가 이용되고, 비용 면에서 부직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화장료의 부직포 함침 시트로서 많이 사용되는 것이, 친수성이 높은 코튼으로 대표되는 셀룰로오스계의 섬유를 주성분으로 한 스판레이스 부직포이다. 그러나,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스판레이스 부직포는,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나 장착성이 충분하지 않았다.
일본 특허 제3944526호 (특허문헌 1) 에는, 안면에 대한 자극성과 장착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목적에서, 시트 표면에 극세 섬유를 배치한 화장료 등의 액체 함침 생체 피막 시트, 상세하게는, 친수성 섬유를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친수성 섬유층의 일방 또는 양방의 표면에, 섬도 0.5 dtex 이하인 극세 섬유를 1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극세 섬유층이 위치하고, 친수성 섬유층과 극세 섬유층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고, 극세 섬유층을 피부와의 접촉면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용 피부 피막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피복 시트 100 질량부에 대해, 친수성 섬유의 비율이 10∼7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5∼50 질량부) 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스킨 케어 시트 (화장료 함침 시트) 에서는, 화장액의 보액성과 방출성을 양립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 피복 시트에서는, 보액성 및 방출성의 양립이 곤란하다. 또한 이 문헌에는, 극세 섬유의 섬유 직경의 분포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고, 분할형 복합 섬유의 할섬 (割纖) 에 의한 부직포의 형성 방법에서는, 섬유가 균일하고, 또한 적당히 얽어매어진 (entangled) 부직포를 얻기는 곤란하고, 얻어진 부직포는,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낮고, 피부에 대한 자극성 또는 쾌적성도 충분하지 않아, 예를 들어, 찌르는 듯한 느낌 등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부직포에 액상 성분을 함침시켜 피부에 접촉시켰을 경우에,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불충분하여, 장시간의 사용 등에 의해 들뜸이나 밀림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화장료 등을 함침시킨 시트는, 피부에 화장료 성분 등을 침투시킬 목적에서 사용되는 점에서, 사용시에는, 보다 광범위하게, 또한 장시간 밀착되는 성능을 가지고 있을 것이 필요하고, 밀착성이 낮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들뜸이나 밀림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불안과 불만을 가져온다. 상쾌하게 즐기는 일종의 취향품으로서도 사용되는 상품으로는, 사용자에게 사용에 의해 만족감을 주기 위해, 보다 피부에 대한 자극이 작고, 보다 높은 밀착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장시간의 높은 밀착 성능에 의해 가져오는 안심감은, 상품의 가치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또, 사회의 변화와 함께 화장료 함침 시트의 사용 상황은 복잡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하는 여성인 경우, 귀중한 시간을 스킨 케어에만 소비하기는 어렵고, 가사를 하면서 사용하거나, 텔레비젼을 보거나 독서를 하면서 사용하거나 하는 등, 상체를 세운 자세로 사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따라서, 보다 밀착성이 높고, 보다 보액 성능이 높은 화장료 함침 시트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화장료 함침 시트의 수요가 최근 증가하고 있는 배경에는, 시트에 함침되는 여러가지 액체 (액상 성분) 에 있어서의 목적 성분의 피부에 대한 효능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화장료 함침 시트 사용시에 상쾌하게 즐기는 것도 구매 의욕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어, 취향품으로서의 가치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에 접했을 때의『감촉』이 부드럽고, 화장료가 피부 전체에 액막이 되어 덮은 상태를, 피부에 달라붙는『밀착감』과 함께 장시간 실감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특히, 페이스 마스크로 대표되는 화장료 등을 함침시킨 시트의 수요는 최근 증가하고 있고, 그것에 따라 보다 높은 성능과 사용감이 양호한 시트가 요구되고 있다. 원래, 화장료 함침 시트란, 사용하고 있는 동안 피부를 여러 가지 효능을 가진 화장료에 의해 높은 습윤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그러기 위해서는, 화장료 함침 시트에는 높은 습윤 상태로 유지하기에 적합한 보액량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액성과 방출성의 밸런스가 우수함과 함께, 액상 성분을 함침시킨 상태에서 피부에 대한 밀착성 및 피트성이 우수한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에 접했을 때의 감촉이 부드럽고, 화장료 등의 액상 성분이 피부 전체에 널리 퍼진 상태와, 밀착감을 모두 장시간 실감할 수 있는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페이스 마스크 등의 스킨 케어 시트로서, 장시간 사용해도, 밀림이나 들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부직포 (부직 섬유 집합체) 로 구성된 보액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수평균 섬유 직경 10 ㎛ 이하인 부직 섬유 집합체로 구성된 밀착층을 보액층에 대해 박육 또는 박막으로 적층함으로써, 보액성과 방출성의 밸런스가 우수함과 함께, 피부에 대한 밀착성 및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부직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고, 또한 액상 성분을 흡수할 수 있는 보액층과, 이 보액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액상 성분을 투과할 수 있고, 또한 피부와 접촉시키기 위한 밀착층으로 구성된 적층 시트로서, 상기 밀착층이 수평균 섬유 직경 10 ㎛ 이하인 부직 섬유 집합체로 구성 되고, 또한 밀착층과 보액층의 두께 비율이, 밀착층/보액층=1/4∼1/100 이다. 상기 밀착층은, 섬유 직경의 표준 편차가 5 이하인 부직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보액층은, 밀착층을 구성하는 섬유보다 섬유 직경이 큰 부직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보액층이 친수성 수지로 구성된 섬유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밀착층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보액층은 친수성 수지로 구성된 섬유를 50 질량% 미만의 비율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밀착층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및 폴리우레탄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종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보액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수평균 섬유 직경은 9∼32 ㎛ 여도 된다. 상기 밀착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수평균 섬유 직경이 1∼8 ㎛ 여도 된다. 상기 보액층은 0.03∼0.20 g/㎤ 의 밀도 및 80 % 이상의 공극률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밀착층은 0.05∼0.35 g/㎤ 의 밀도 및 70 % 이상의 공극률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상기 밀착층은 멜트블로운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JIS L 1913 에 준거한 습윤시의 50 % 신장시 응력이, 적어도 일 방향에 있어서 0.5∼15 N/5 ㎝ 정도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액상 성분을 함침시킨 시트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상기 액상 성분이 화장료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시트 (특히 페이스 마스크) 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상기 보액층 위에, 추가로 다른 밀착층이나 비다공성의 필름 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화장료를 시트 질량에 대해 500 질량% 함침시켜, ASTM-D1984 에 준거하여 측정한 마찰력이 0.6 N 이상이고, 또한 화장료를 500 질량% 함침시킨 마찰력이, 화장료를 900 질량% 함침시킨 마찰력보다 커도 된다.
본 발명에는, 밀착층을 멜트블로운 (meltblown) 법으로 형성하고, 부직 섬유 집합체로 구성된 보액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적층하는 상기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도 포함된다. 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소수성 섬유와 친수성 섬유를 스판레이스 (spunlace) 법으로 교락시켜 보액층을 제조한 후, 얻어진 보액층과 밀착층을 추가로 스판레이스법으로 교락시키는 방법 또는 얻어진 보액층에 밀착층을 직접 분사하는 방법으로 적층해도 된다. 또,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소수성 섬유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친수성 섬유를 스팀 제트 (steam jet) 법으로 교락 및 습열 접착시켜 보액층을 제조한 후, 얻어진 보액층과 밀착층을 다시 스판레이스법으로 교락시키는 방법 또는 얻어진 보액층에 밀착층을 직접 블로잉하는 방법으로 적층해도 된다.
본 발명에는, 상기 적층 시트를, 액상 성분을 함침한 상태에서, 밀착층을 피부에 접촉시키는 적층 시트의 사용 방법도 포함된다.
본원 명세서에서는,「스킨 케어」라는 용어는, 화장료나 유액 등에 의한 피부 (스킨) 의 손질 (이른바, 스킨 케어) 로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피부와 관련지을 수 있는 다른 행위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서 사용한다. 따라서, 스킨 케어용 시트에는, 예를 들어, 피부를 세정하기 위한 시트, 피부의 가려움을 억제하기 위한 시트, 피부를 통해서 냉각시키기 위한 시트, 피부로부터의 침투를 통해서 염증 등을 억제하기 위한 시트 (습포) 등의 피부와 접촉시켜 사용되는 시트가 포함된다.
부직 섬유 집합체로 구성된 보액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수평균 섬유 직경 10 ㎛ 이하인 부직 섬유 집합체로 구성된 밀착층이 보액층에 대해 박육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액성과 방출성의 밸런스가 우수함과 함께, 액상 성분을 함침시킨 상태에서 피부에 대한 밀착성 및 피트성이 우수하다. 또, 밀착층의 섬유 직경을 균일하게 조정함으로써, 그 표면을 평탄하고 매끄럽게 하여, 액상 성분을 함침시켜 피부에 접촉시키면, 밀착성 및 피트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 피부에 접했을 때의 감촉이 부드럽고, 화장료 등의 액상 성분이 피부 전체에 널리 퍼진 상태와, 밀착감이 모두 장시간 실감할 수 있다. 또한 페이스 마스크 등의 스킨 케어 시트로서 장시간 사용해도, 밀림이나 들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밀착층이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극세 섬유로 구성되어, 보액층과 피부의 거리가 매우 작기 때문에, 섬유 그 자체가 피부에 닿아도 찌르는 듯한 자극이 매우 적어, 피부와의 계면에 형성되는 액막은 기존 기술에 비해 매우 강고하여, 사용자에게 안심감을 주기에 충분한 피부 밀착성을 달성하였다.
도 1 은, 밀착성 시험에 제공되는 샘플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 는, 밀착성 시험에 제공되는 샘플의 시험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 은, 밀착성 시험에서 사용되는 시험 장치의 개략 측면도 및 개략 사시도 (정면 방향에서 본 사시도) 이다.
도 4 는, 밀착성 시험에 있어서의 시험력과 샘플의 변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는, 밀착성 시험에 제공되는 샘플의 시험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 은, 밀착성 시험에서 사용되는 시험 장치의 개략 측면도 및 개략 사시도 (정면 방향에서 본 사시도) 이다.
도 4 는, 밀착성 시험에 있어서의 시험력과 샘플의 변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포백 (fabric) 으로 구성되고, 또한 액상 성분을 흡수할 수 있는 보액층과, 이 보액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액상 성분 (액체 효능 성분) 을 투과할 수 있고, 또한 피부와 접촉시키기 위한 밀착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적층 시트 (액체 함침 생체 피막 시트) 는, 액상 성분을 함침하기 위한 보액층과, 피부에 직접 닿는 측에 위치하는 밀착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액층]
본 발명에 있어서, 보액층이란, 미용 성분 또는 약효 (효능) 성분 (예를 들어, 보습 성분, 클렌징 성분, 땀 억제 성분, 향기 성분, 미백 성분, 혈행 촉진 성분, 냉각 성분, 자외선 방지 성분, 피부 가려움 억제 성분 등) 을 포함하는 액상 성분 (액상 화합물) 을 함침하는 데에 필요한 젖음성과 보액하기 위한 공극을 갖고, 사용시의 취급시에 있어서도 액체가 흐르지 않고, 몸의 소정 부위 (예를 들어 얼굴) 를 덮을 때까지 유지되고, 첩부 혹은 가만히 둠과 함께 액체 화장료를 조금씩 피부측에 위치하는 밀착층의 방향으로 이행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보액층은, 통상, 직포 또는 부직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되는데, 생산성 등의 면에서, 부직포 (또는 부직 섬유 집합체) 가 바람직하다. 또한 보액층을 구성하는 부직포는, 젖음성이나 보액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친수성 수지로 구성된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수지로 구성된 섬유는, 시트에 화장료 등의 액체를 부가했을 때에 액체를 섬유 구조체 내부까지 도입하기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과 함께, 한 번 섬유 구조체 안에 도입된 다량의 화장료 액체를 사용시에 취급할 때에 액체가 흐르지 않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부직포는, 보액성과 방출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점에서, 친수성 수지로 구성된 섬유 (친수성 섬유) 와, 소수성 수지로 구성된 섬유 (소수성 섬유) 의 혼합체 (혼면) 가 특히 바람직하다.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의 비율 (질량비) 은, 전자/후자=99/1∼1/99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90/10∼10/90 정도이다. 친수성 섬유의 비율이 너무 적으면, 시트가 액상 성분과 잘 조화되지 않아, 시트 중에서 액량에 얼룩이 생기거나, 시트의 액상 성분의 유지 능력이 낮아, 사용시에 액체가 흐르거나 하기 쉬워진다. 한편 친수성 섬유의 비율이 너무 많으면, 시트의 액상 성분의 유지 능력이 높아져, 사용시에 화장료 액체를 피부측으로 방출하기 어려워지거나, 필요한 방출량을 얻기 위해서 미리 과잉의 액상 성분이 필요하여, 낭비가 생기기 쉽다.
또한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의 비율 (질량비) 은, 섬유 구조체 내부까지 액상 성분을 유인하는 역할, 취급할 때에 액체가 흐르지 않도록 유지하는 역할, 액상 성분을 피부측으로 방출하는 역할의 밸런스 면에서, 친수성 섬유/소수성 섬유=30/70∼50/50 (질량비) 정도여도 된다. 또한 액상 성분을 피부측으로 방출시키는 역할 등의 방출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친수성 섬유의 비율이 50 질량% 미만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친수성 섬유/소수성 섬유=5/95∼45/55, 바람직하게는 10/90∼40/6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90∼30/70 (질량비) 정도여도 된다. 이와 같이, 소수성 섬유의 비율을 친수성 섬유보다 많게 함으로써, 수성의 액상 성분에서는, 보액성과 방출성의 밸런스가 향상된다.
보액층은, 섬유 구성이 상이한 복수의 층 구조여도 된다. 예를 들어, 피부측에 가까운 부분, 즉 밀착층에 가까운 부분에 친수성 섬유의 섬유 비율을 높임으로써, 화장료 함침 시트 등으로서의 사용시에, 보다 빨리 피부측을 높은 습윤 상태로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측에 친수성 섬유의 섬유 비율을 높인 층을 배치한 보액층을 갖는 적층 시트를 피부 위에 가만히 두었을 때, 보액층 중에서 액상 성분이 친수성 섬유의 섬유 비율이 높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단시간에 피부측을 높은 습윤 상태로 할 수 있다. 보액층은, 예를 들어, 표면측에 위치하는 친수성 섬유를 30 질량% 이하 (예를 들어, 10∼30 질량%) 포함하는 층과, 밀착층측에 위치하는 친수성 섬유 70 질량% 이상 (예를 들어, 70∼90 질량%) 포함하는 층으로 구성된 2 층 구조여도 된다.
친수성 섬유로는, 친수성을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합성 섬유, 천연 섬유, 천연의 식물 섬유나 동물성의 단백질 섬유 등을 일단 용해시키고 나서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섬유화한 재생 섬유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친수성 섬유는, 적어도 표면이 친수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소수성 섬유의 표면을 친수화 처리한 섬유나, 내부가 소수성 수지로 구성된 복합 섬유 등이어도 된다.
합성 섬유로는, 예를 들어, 수산기,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등의 친수성기 (특히 수산기) 를 분자 중에 갖는 수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락트산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메트)아크릴아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등으로 구성된 합성 섬유를 들 수 있다. 이들 합성 섬유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합성 섬유 중, 모노머 단위에 수산기를 갖는 친수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분자 내에 균일하게 수산기를 갖는 점에서,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로 구성된 섬유가 바람직하다.
에틸렌-비닐 알코올계 공중합체에 있어서, 에틸렌 단위의 함유량 (공중합 비율) 은, 예를 들어, 10∼60 몰%, 바람직하게는 20∼55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50 몰% 정도이다. 비닐 알코올 단위의 비누화도는, 예를 들어, 90∼99.99 몰%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95∼99.98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96∼99.97 몰% 정도이다. 점도 평균 중합도는, 예를 들어, 200∼2500, 바람직하게는 300∼2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1500 정도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틸렌-비닐 공중합체 등의 습열 접착성 수지를 사용하면, 스팀 제트법에 의해 부피가 크고 안정된 보액층도 형성할 수 있다.
천연 섬유로는, 예를 들어, 면 또는 코튼, 견, 마, 실크, 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천연 섬유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면 등이 범용된다.
재생 섬유로는, 예를 들어, 비스코스 레이온 등의 레이온, 아세테이트, 리요셀 등의 텐셀, 큐프라, 폴리노직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들 수 있다. 이들 천연 섬유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레이온 섬유나 텐셀 섬유 등이 범용된다.
표면이 친수성 수지로 구성된 섬유에 있어서, 섬유의 표면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섬유 형성성 수지와 함께 친수성 수지를 섬유화하고, 섬유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친수성 수지로 덮는 방법이어도 된다. 친수성 수지로 섬유의 표면을 덮는 방법으로 형성된 복합 섬유는, 장시간에 걸쳐 사용해도 친수 성능의 열화가 적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섬유 형성성 수지와 함께 친수성 수지를 섬유화하는 방법은 제조 공정이 짧아짐과 함께 균일하게 높은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친수성이 높은 점에서, 섬유의 전체 표면을 친수성 수지로 칼집 형상으로 덮는 섬유, 즉, 시스부가 친수성 수지로 구성된 코어/시스형 구조의 복합 섬유가 바람직하다.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는, 시스부가 친수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코어부는, 액상 성분을 함침해도 섬유 형상을 유지하고, 침수 성능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후술하는 소수성 섬유를 구성하는 소수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수성 수지 중에서도,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특히, 내열성이나 섬유 형성성 등의 밸런스가 우수한 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시스부의 친수성 수지는, 부피가 크고 안정된 부직포를 생산할 수 있는 점 등에서, 합성 섬유를 구성하는 수지, 특히,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에 있어서, 코어부와 시스부의 비율 (질량비) 은, 예를 들어, 시스부/코어부=90/10∼10/90 (예를 들어, 60/40∼10/90), 바람직하게는 80/20∼15/85, 더욱 바람직하게는 60/40∼20/80 정도이다.
또, 이들 친수성 섬유 중, 레이온이나 텐셀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는, 화장료 등의 액상 성분을 구성하는 물이나 수용액, 극성 용매, 이들의 에멀션 등이 섬유 내부까지 침투하여 흡수성이 양호하고, 보액 성능이 높은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섬유 (특히, 시스부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로 구성된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 는, 보액 성능에 대해서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보다 낮기는 하지만, 화장료 등의 액상 성분과의 조화가 양호하고, 또한 섬유 자체가 액상 성분의 액체를 흡수하지 않아, 압력 등에 의해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섬유를, 화장료 등의 액상 성분의 점도나 양에 따라 선택해도 되고, 또한 양자를 혼합함으로써 보액성과 방출을 제어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필요에 따라 다른 섬유를 배합해도 된다.
보액층을 구성하는 소수성 섬유 또는 비친수성 섬유 (극성이 그만큼 높지 않고, 소수성이 비교적 강한 섬유) 는, 보액층의 형체의 안정성을 얻기 위해서 사용된다. 소수성 섬유는, 보액층이 습윤 상태에 있어도 섬유 자체의 영률의 저하가 거의 없는 점에서, 보액층의 부피나 강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소수성 섬유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표준 상태 (20 ℃, 65 %RH) 에 있어서의 공정 수분율이 2.0 % 미만인 수지,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부직포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4,6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폴리올형 우레탄계 수지 등의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로 구성된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소수성 섬유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범용성이 높고, 기계적 특성 등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바람직하다.
보액층을 구성하는 섬유 (친수성 섬유 및 소수성 섬유) 는, 또한 관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어, 안정제 (구리 화합물 등의 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산화 방지제 등), 분산제, 미립자, 착색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가소제, 윤활제, 결정화 속도 지연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보액층 표면에 담지되어 있어도 되고, 섬유 중에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보액층을 구성하는 섬유 (친수성 섬유 및 소수성 섬유) 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환형 단면, 이형 단면 (편평상, 타원상 단면 등), 다각형 단면, 다엽형 단면 (3∼14 엽상 단면), 중공 단면, V 자형 단면, T 자형 단면, H 자형 단면, I 자형 (도그 본형) 단면, 어레이형 단면 등의 각종 단면 형상이어도 된다. 이들 중, 환형 단면, 타원상 단면 등이 범용된다.
보액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직경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단섬유여도 되고, 카드법 (carding process) 에 의한 건식 부직포의 경우, 20∼70 ㎜ 가 바람직하고, 특히 25∼60 ㎜ 이면 카드 통과성의 관점에서, 균일한 질감의 웹을 얻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고,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보액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직경은, 기계적 특성 등의 점에서, 밀착층을 구성하는 섬유보다 큰 섬유 직경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인 섬유 직경 (수평균 섬유 직경) 은, 보액성과 방출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점에서, 5 ㎛ 이상 정도이면 되고, 로션 등의 액상 성분의 함침성이나 유지성의 밸런스 면에서, 예를 들어, 9∼32 ㎛, 바람직하게는 10∼2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 정도이다.
보액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부직 섬유 집합체) 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예를 들어, 20∼200 g/㎡, 바람직하게는 25∼15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30∼120 g/㎡ (특히 30∼100 g/㎡) 정도이다. 이 단위 면적당 중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섬유에 의해 형성되는 보액을 위한 공극의 확보가 곤란해진다. 또, 이 단위 면적당 중량이 지나치게 크면, 보액량이 많아져, 효능 성분의 대부분이 피부까지 도달하지 않고 보액층에 체류된 상태가 되어, 효능 성분이 쓸데없이 소비되기 쉽다.
보액층의 밀도 (적층 시트 중에 있어서의 밀도) 는, 함침시키는 화장료 등의 액상 성분의 점도에 따라 상이하기도 하지만, 예를 들어, 0.03∼0.20 g/㎤, 바람직하게는 0.05∼0.17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15 g/㎤ 정도이다. 밀도가 너무 낮으면, 시트의 액체 유지 능력이 낮아져, 사용시의 취급에 있어서도 액체가 흐르거나 하기 쉬워진다. 한편, 밀도가 너무 높으면, 보액량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밀착층에 대한 액체의 이행이 둔화되는 경향이 있다.
보액층의 공극률 (적층 시트 중에 있어서의 공극률) 은, 화장료 등의 액상 성분의 함침량을 확보하는 점에서, 예를 들어, 80 % 이상 (예를 들어, 80∼99 %),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 (예를 들어, 85∼98 %),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예를 들어, 90∼95 %) 이어도 된다.
보액층의 두께는, 100∼3000 ㎛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00∼2000 ㎛, 바람직하게는 300∼1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1200 ㎛ (특히 400∼1000 ㎛) 정도이다.
[보액층의 제조 방법]
보액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또는 부직 섬유 집합체는, 관용되는 방법, 예를 들어, 스판레이스법, 니들 펀치법, 스팀 제트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방법 중, 가격 면을 중시하는 경우라면, 공업적으로 고속으로 생산이 가능한 스판레이스법을 이용해도 된다. 또, 부피를 크게 함으로써 보액 성능을 높이는 경우에는, 서멀 본드법이나 스팀 제트법 (특히, 두께 방향으로 균일한 접착을 실현할 수 있고, 형태 유지성과 벌키성을 고도로 양립할 수 있는 점에서, 스팀 제트법) 등을 이용해도 된다.
스판레이스법의 경우, 상기 단섬유, 예를 들어, 소수성 섬유와 친수성 섬유를 혼면하고, 예를 들어, 카드기에 의한 카딩으로 개섬하여 부직포 웹을 제조해도 된다. 이 부직포 웹은, 웹을 구성하는 섬유의 배합 비율에 의해 카드기의 진행 방향으로 배열된 패러렐 웹, 패러렐 웹이 크로스 레이드된 크로스 웹, 랜덤하게 배열한 랜덤 웹, 혹은 패러렐 웹과 랜덤 웹의 중간 정도로 배열한 세미 랜덤 웹 중 어느 것이어도 되는데, 가로 방향으로 섬유의 엉김이 발생하고, 가로 방향으로의 신축이 저해되기 때문에, 사용시에 피부에 대한 순응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는 랜덤 웹이나 크로스 웹보다, 적층 시트의 가로 방향의 유연함과 신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패러렐 웹, 세미 랜덤 웹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판레이스법으로는, 얻어진 부직포 웹에 수류 락합 (hydrotangling) 처리를 실시한다. 수류 락합 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직경 0.05∼0.20 ㎜ , 간격 0.30∼1.50 ㎜ 정도의 분사공을 1∼2 열로 배열한 노즐 플레이트로부터 고압에서 기둥 형상으로 분사되는 수류를 다공성 지지 부재 상에 재치 (載置) 한 부직포 웹에 충돌시켜, 부직포 웹을 구성하는 섬유를 서로 삼차원 교락하게 하여 일체화시킨다. 부직포 웹에 3 차원 교락을 실시할 때에는, 이동하는 다공성 지지 부재 상에 부직포 웹을 재치하고, 예를 들어, 수압 10∼150 kg/㎠ (≒1∼15 MPa), 바람직하게는 20∼120 kg/㎠ (≒2∼12 MPa), 더욱 바람직하게는 30∼100 kg/㎠ (≒3∼10 MPa) 정도의 수류로 1 회 또는 복수 회 처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분사공은 부직포 웹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배열하고, 이 분사공이 배열된 노즐 플레이트를 다공성 지지 부재 상에 재치된 부직포 웹의 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분사공 간격과 동일 간격으로 진폭시켜 수류를 부직포 웹에 균일하게 충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웹을 재치하는 다공성 지지 부재는, 예를 들어, 금망 등의 메시 스크린이나 유공판 (有孔板) 등, 수류가 부직포 웹을 관통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분사공과 부직포 웹의 거리는, 수압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10 ㎝ 정도이다. 이 범위 외의 경우에는 부직포의 조직이 흐트러지기 쉬워지거나 삼차원 교락이 불충분하기도 하다.
수류 락합 처리를 실시한 후에는 건조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건조 처리로는, 먼저, 처리 후의 부직포 웹으로부터 과잉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과잉 수분의 제거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맹글 (mangle) 롤 등의 압축 장치를 이용하여 과잉 수분을 어느 정도 제거하고, 계속해서 석션 밴드 방식의 열풍 순환식 건조기 등의 건조 장치를 이용하여 나머지 수분을 제거해도 된다.
스팀 제트법의 경우, 얻어진 부직포 웹에 고온 수증기 (고압 스팀) 를 분사함으로써 섬유끼리를 교락시켜 밀착층을 형성해도 된다. 스팀 제트법에서는, 섬유끼리의 교락에 추가하여,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습열 접착성 수지를 적어도 표면에 갖는 친수성 섬유 (습열 접착성 섬유) 를 포함하는 웹을 사용함으로써 섬유끼리를 습열 접착해도 된다. 즉, 스팀 제트법에서는, 벨트 컨베이어로 운반된 섬유 웹을, 증기 분사 장치의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고속 고온 수증기류 안을 통과할 때, 분무된 고온 수증기에 의해, 섬유끼리를 교락할 수 있어, 습열 접착성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 습열 접착성 섬유가 융착되어, 섬유끼리 (습열 접착성 섬유끼리, 또는 습열 접착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 가 두께 방향으로 균일하게 삼차원적으로 접착된다.
섬유 웹에 수증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관용되는 수증기 분사 장치가 사용된다. 이 수증기 분사 장치는, 섬유 웹의 양면으로부터 고온 수증기를 분사하기 위해서, 섬유 웹을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2 대의 벨트 컨베이어를 조합하여, 각각 벨트 컨베이어에 수증기 분사 장치를 장착해도 된다. 컨베이어에 사용하는 무단 벨트는, 통상, 대체로 90 메시보다 엉성한 네트 (예를 들어, 10∼60 메시 정도의 네트) 가 사용된다.
고온 수증기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은, 소정의 오리피스가 폭 방향으로 1 열 또는 복수 열로 연속적으로 나열된 플레이트나 다이스를 이용하고, 이것이 공급되는 섬유 웹의 폭 방향으로 오리피스가 나열되도록 배치하면 된다. 오리피스의 직경은, 예를 들어, 0.05∼2 ㎜ (특히 0.1∼1 ㎜) 정도이고, 오리피스의 피치는, 예를 들어, 0.5∼3 ㎜ (특히 1∼2 ㎜) 정도이다.
고온 수증기의 압력은, 예를 들어, 0.1∼2 MPa, 바람직하게는 0.2∼1.5 MPa, 더욱 바람직하게는 0.3∼1 MPa 정도이다. 고온 수증기의 온도는, 예를 들어, 70∼150 ℃, 바람직하게는 80∼120 ℃, 더욱 바람직하게는 90∼110 ℃ 정도이다. 고온 수증기의 처리 속도는, 예를 들어, 200 m/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0.1∼100 m/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m/분 정도이다.
[밀착층]
전술한 액상 성분을 보액하기 위한 보액층에 대해, 직접 피부에 닿는 면이 되는 밀착층은, 상기 보액층으로부터 피부로 화장료를 공급하는 접촉면이 되므로, 화장료 등의 액상 성분의 공급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는 구조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밀착층은, 보액층으로부터 피부로 액상 성분의 공급이 가능한 연통된 다공질 구조체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밀착층 (또는 치밀층) 이란, 직접 피부에 닿는 면에 위치하는 층으로, 피부에 접했을 때의 감촉이 부드럽고, 첩부 또는 가만히 둠과 함께 피부에 확실히 밀착되어, 보액층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상 성분을, 밀착층을 구성하는 섬유 사이의 공공 (空孔) 이나 섬유로 유지하면서, 미세 구멍을 통해서 피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밀착층을 멜트블로운법 등에 의해 얻어지는 균일하고 극세의 섬유 직경을 갖는 부직포 (또는 부직 섬유 집합체) 로 구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밀착층은, 극세 섬유로 구성된 치밀한 층을 형성함과 함께, 그 표면이 평탄하고 또한 매끄럽기 때문에, 섬유가 피부에 닿아도 찌르는 듯한 자극이 매우 적다. 또한 극세 섬유에 의한 치밀한 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라든가, 피부와의 접촉 계면에서 균일하게 펼쳐지는 액막을 형성하고, 이 균일한 액막에 의해 피부에 장시간 밀착된다는 우수한 역할을 한다.
밀착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또는 부직 섬유 집합체는, 액상 성분 (액체 효능 성분) 을 적당히 유지하면서 투과할 수 있으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고, 저렴하고, 부직포를 낮은 단위 면적당 중량으로 시트화하기 쉬워, 공업적으로 안정되게 생산할 수 있는 점에서,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밀착층이 되는 얇은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미리 제조하여 롤 형상으로 감고, 이후에 스판레이스 등으로 보액층과 복합화하는 경우, 낮은 단위 면적당 중량이라도 릴리스성이 양호하고 강도가 충분한 점에서 공업적으로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섬유 직경의 편차도 적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는,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섬유 형성성 등의 점에서,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로는, 상기 보액층에서 예시한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는, 피부 자극성이 적어, 알레르기 증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인체에 친화적인 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수성 및 유성 중 어느 액상 성분에 대해서도 친화성이 높고, 폭넓은 종류의 액상 성분 (수성의 화장료나, 유성의 유액 등) 에 이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 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알킬렌아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동일한 공업적인 이유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C2 - 4알킬렌아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생산상의 이점에 추가하여, 질감이 부드럽고, 촉감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 강도가 높은 데다가, 내열성도 높기 때문에, 가공시의 가열에 의해 구조 변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폴리우레탄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형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테르형 우레탄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예를 들어, 밀착층을 멜트블로운 부직포로서 일단 감지 않고, 제조와 함께 보액층과 복합화되는 공정을 채용하는 경우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얻어지는 부직포 (특히 멜트블로운 부직포) 가 신축성을 갖는 점에서, 복합 일체화한 적층 시트에도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적층 시트를, 예를 들어, 페이스 마스크에 사용한 경우, 임의의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여 피부에 첩부하면, 피부에 대한 효능 성분의 공여과 함께 밀착 부분에서 시트의 수축이 일어나, 피부를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이 힘에 의해 피부의 주름, 느슨함의 개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 팔이나 장딴지 등, 굵기가 변화되는 부위에 감도록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잘 밀리지 않는다. 특히, 연신된 상태에서 피부에 밀착시키면, 수축력에 의해 시트가 피부에 달라붙어 있는 감촉 (높은 밀착감) 이 얻어진다. 이들 폴리우레탄계 수지 중, 신축성 등의 면에서, 폴리에스테르형 우레탄계 수지 등이 범용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어,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도, 상기 우레탄계 수지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수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폴리우레탄계 수지와 동일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밀착층을 구성하는 섬유도, 상기 보액층과 동일한 관용되는 첨가제를 함유 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첨가제 중, 예를 들어, 밀착층이 되는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구성하는 수지에, 착색료 (착색제) 를 첨가함으로써, 피부에 첩부하는 측의 면인 밀착층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착색할 수 있다. 또, 사용 상황이나 사람의 취향에 따른 색을 선정함으로써 상품의 인상을 조작할 수도 있다.
밀착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단면 형상은, 상기 보액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어도 되고, 통상, 환형 단면, 타원 형상 단면 등이다.
밀착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직경은, 피부에 대한 밀착성 등의 면에서, 보액층을 구성하는 섬유보다 작은 극세 직경이고, 구체적인 섬유 직경 (수평균 섬유 직경) 은 10 ㎛ 이하 정도이면 되고, 예를 들어, 0.1∼9 ㎛, 바람직하게는 0.5∼8 ㎛ (예를 들어, 1∼8 ㎛),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 (특히 1.5∼6 ㎛) 정도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6 ㎛ (예를 들어, 2∼5 ㎛) 정도여도 된다. 평균 섬유 직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보액층으로부터 공급되는 화장료 등의 액상 성분 (액체 효능 성분) 을 피부측에 이행시키는 기능이 저하된다. 또, 평균 섬유 직경이 지나치게 크면, 피부에 닿았을 때에 거칠거칠한 인상을 줄 뿐만 아니라 피부와의 계면에 형성되는 액막이 균일하게 펼쳐지지 않아, 밀착 성능이 저하된다.
밀착층을 구성하는 섬유는 극세 섬유이고, 또한 균일한 섬유 직경을 가지고 있다. 즉, 섬유 직경의 표준 편차가 5 이하여도 되고, 예를 들어, 0∼5, 바람직하게는 0∼4 (예를 들어, 0∼3),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특히 0∼2) 정도이며, 예를 들어, 0.1∼5, 바람직하게는 0.5∼3,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정도여도 된다. 또한 섬유 직경의 변동률은 80 % 이하 정도이고, 예를 들어, 0∼80 %, 바람직하게는 0∼7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65 % (특히 0∼60 %) 정도이며, 예를 들어, 1∼80 %, 바람직하게는 10∼7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60 % 정도여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밀착층을 구성하는 섬유가, 이와 같이 극세이고 또한 균일 직경이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고, 또한 치밀한 다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밀착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또는 부직 섬유 집합체) 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예를 들어, 3∼50 g/㎡, 바람직하게는 4∼3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4∼20 g/㎡(특히 5∼10 g/㎡) 정도이다. 부직포 (특히 멜트블로운 부직포) 의 단위 면적당 중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보액층측의 섬유가 밀착층 표면에 노출되기 쉬워져, 피부에 닿았을 때에 거칠거칠한 감촉을 줄 뿐만 아니라, 피부와의 계면에 형성되는 액막이 균일하게 펼쳐지지 않아, 밀착 성능이 저하된다. 부직포의 단위 면적당 중량이 지나치게 크면, 보액층으로부터 공급되는 화장료 등의 액체 효능 성분을 피부측으로 이행시키는 기능이 저하된다.
밀착층의 밀도 (적층 시트 중에 있어서의 밀도) 는, 예를 들어, 0.05∼0.35 g/㎤, 바람직하게는 0.08∼0.25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2 g/㎤ 정도이다. 밀도가 지나치게 작으면, 밀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피부측의 표면 섬유량이 부족하고, 피부면에 대해 균일한 극세 섬유층을 형성하기 곤란해진다. 반대로, 밀도가 지나치게 크면, 보액층으로부터 공급되는 화장료 등의 액상 성분을 피부측으로 이행시키는 기능이 저하된다.
밀착층의 공극률 (적층 시트 중에 있어서의 공극률) 은, 보액층으로부터 공급되는 화장료 등의 액체 효능 성분을 피부측으로 단시간에 균일하게 이행시키는 점에서, 예를 들어, 70 % 이상 (예를 들어, 70∼99 %), 바람직하게는 75 % 이상 (예를 들어, 75∼95 %),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예를 들어, 80∼90 %) 정도여도 된다.
밀착층이 되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두께는 10∼500 ㎛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30∼500 ㎛, 바람직하게는 30∼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5∼150 ㎛ (특히 40∼100 ㎛) 이다. 두께가 지나치게 작으면, 밀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량이 부족하여 피부면에 대해 균일한 극세 섬유층을 형성하기 곤란해진다. 반대로, 두께가 지나치게 크면, 보액층으로부터 피부에 대한 액 이동성이 저하된다.
[밀착층의 제조 방법]
밀착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또는 부직 섬유 집합체는, 극세이고 균일한 섬유 직경을 형성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관용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극세이고 또한 균일한 섬유 직경을 갖는 부직포를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멜트블로운법이 바람직하다.
멜트블로운법으로는, 관용되는 방법,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 방사하면서, 얻어진 섬유를 고온의 기체로 날려서 포집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밀착층이 되는 멜트블로운 부직포는, 일렬로 나열된 오리피스 (방사공) 를 갖는 노즐로부터 가열 용융시킨 수지를 방사구로부터 압출하고 (방출하고), 방사구의 근방에 구비된 슬릿으로부터 노즐과 동일한 정도의 온도로 가열된 고온 에어를 분출하여, 오리피스로부터 방출된 용융 수지와 접촉시킴으로써 세화 (細化) 되고, 세화된 섬유를 노즐 하방에 배치한 포집면에서 시트화함으로써 얻어진다. 멜트블로운법에 있어서의 제조 조건은, 관용되는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방사공의 간격은, 예를 들어, 100∼4000 구멍/m, 바람직하게는 500∼3000 구멍/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2500 구멍/m 정도이다. 단공 (單孔) 토출량은, 예를 들어, 0.01∼1 g/구멍·분, 바람직하게는 0.05∼0.5 g/구멍·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3 g/구멍·분 정도이다. 방사 온도는,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50∼300 ℃, 바람직하게는 200∼2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20∼270 ℃ 정도이다.
고온 에어의 에어압은 0.01∼1 MPa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0.05∼0.8 MPa, 바람직하게는 0.1∼0.6 MPa,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5 MPa 정도이다. 에어 온도는, 예를 들어, 방사 온도 근방 온도, 예를 들어, 방사 온도보다 0∼50 ℃ 높은 온도, 바람직하게는 방사 온도보다 3∼30 ℃ 높은 온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방사 온도보다 5∼20 ℃ 높은 온도가 바람직하다.
컨베이어 속도는, 예를 들어, 1∼200 m/분, 바람직하게는 5∼100 m/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80 m/분 정도이다. 에어압, 컨베이어 속도, 노즐구와 컨베이어 (네트 컨베이어 등) 의 거리 (포집 거리) 등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얻어지는 밀착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 밀도, 유연성 등을 조정해도 된다.
[적층 시트]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상기 보액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밀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밀착층과 보액층의 두께 비율은, 본 발명에서는, 밀착층을 보액층에 대해 박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밀착층은, 보액층으로부터 피부로 액상 성분의 공급이 가능한 연통된 다공질 구조체이지만, 화장료 등의 액상 성분의 공급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는 구조임과 함께, 화장료 등의 액상 성분이 피부 전체에 액막이 되어 균일하게 덮은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보액층이 피부에 근접하고 있는 상태가 바람직하기 때문에, 밀착층이 얇은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직접 피부에 닿는 면에 위치하는 층이 되는 밀착층에, 얇은 다공질 구조체인 멜트블로운 부직포 등을 사용함으로써, 보액층에 대한 밀착층의 두께 비율을 작게 하는 것을 실현하고, 보액층과 피부의 거리를 매우 작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밀착층과 보액층의 두께 비율은, 밀착층/보액층=1/4∼1/100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1/5∼1/80, 더욱 바람직하게는 1/6∼1/50 (특히 1/7∼1/30) 정도이다. 보액층의 두께비를 크게 함으로써, 보액층을 피부에 근접할 수 있음과 함께, 화장료 등의 액상 성분을 함침하는 시트로서, 시트의 보다 많은 부분이 보액에 적절한 공극을 갖는 구조가 된다.
본 발명의 적층 시트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예를 들어, 23∼250 g/㎡, 바람직하게는 35∼15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40∼120 g/㎡ 정도이다.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고, 예를 들어, 화장료 (화장수) (가네보 화장품 (주) 제조「프레셜 에센스 로션 AL」) 를 시트 질량에 대해 500 질량% 함침시켜, ASTM-D1984 에 준거하여 측정한 마찰력 (밀착성) 이 0.6 N이상이며, 예를 들어, 0.6∼10 N, 바람직하게는 0.7∼5 N, 더욱 바람직하게는 0.8∼5 N (특히 1∼5 N) 정도이다. 또한 화장료를 900 질량% 함침시킨 마찰력은 0.3 N 이상이며, 예를 들어, 0.3∼2 N, 바람직하게는 0.4∼1 N, 더욱 바람직하게는 0.45∼0.8 N (특히 0.5∼0.6 N) 정도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를 500 질량% 함침시킨 마찰력이, 화장료를 900 질량% 함침시킨 마찰력보다 크고, 양자의 비율은, 예를 들어, 500 질량% 의 마찰력/900 질량% 의 마찰력=1.1/1∼10/1, 바람직하게는 1.2/1∼9/1, 더욱 바람직하게는 1.3/1∼8/1 (특히 1.5/1∼7/1) 정도이다. 이 시험에 있어서의 화장료의 함침량에 대해, 900 질량% 는 일반적인 스킨 케어 시트 (예를 들어, 페이스 마스크 등) 의 평균적인 초기의 함침율에 상당하고, 500 질량% 는 화장료가 소비된 상태의 평균적인 함침율에 상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페이스 마스크 등의 스킨 케어 시트로서 사용했을 경우, 사용에 수반되어 밀착성이 향상됨으로써, 피부로부터의 들뜸이나 밀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찰력의 측정 방법의 상세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보액한 액상 성분의 방출성도 우수하여, 4.5 g 의 화장료를 보액한 7.5 ㎝×7.5 ㎝ 사이즈의 적층 시트에 대해 30 g 의 하중을 부하하여 1 분간 동안 여과지에 방출하는 양을 측정하는 시험에 있어서, 화장료의 방출량이 10 % 이상 (예를 들어, 10∼50 %, 바람직하게는 20∼40 % 정도) 이다. 또한, 방출성의 측정 방법의 상세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습윤시의 유연성도 우수하여, 안면 등의 피부에 추종할 수 있도록, 적당히 락합되어 있고, JIS L 1913 에 준거한 습윤시의 50 % 신장시 응력이, 적어도 일 방향에 있어서, 예를 들어, 0.5∼15 N/5 ㎝ , 바람직하게는 1∼10 N/5 ㎝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N/5 ㎝ 정도이다. 신장시 응력이 지나치게 작으면, 안면 등의 피부에 장착시에 지나치게 신축되어 취급하기 어렵고, 지나치게 크면,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된다. 또한, 습윤 상태에 있어서의 50 % 신장시 응력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보액층 위 (보액층의 밀착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타방의 면) 에, 추가로 다른 층을 적층해도 된다.
다른 층으로는, 용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밀착층을 양면에 형성함으로써, 페이스 마스크 등에 있어서의 수요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층으로서의 밀착층의 두께는, 상기 밀착층과 동일한 두께여도 된다.
또한 보액층 위에 비다공성의 필름이나 시트를 적층해도 된다. 비다공성의 필름을 적층하면, 밀착층을 피부에 접촉하면, 보액층의 액상 성분이 밀봉되므로, 온도가 상승하여 모공이 확장되기 때문에, 유효 성분의 흡수가 촉진되기 쉽다. 비다공성의 필름 또는 시트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필름,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시트, 폴리에스테르 시트, 폴리아미드 시트, 폴리우레탄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비다공성의 필름 또는 시트의 두께는, 예를 들어, 3∼300 ㎛, 바람직하게는 5∼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 ㎛ 정도이다.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액상 성분을 흡수시켜 사용하기 위한 용도, 예를 들어, 냅킨이나 기저귀 등의 표면재, 기저귀 라이너, 웨트 티슈 등의 체액 흡수용 시트 (또는 피부 세정용 시트) 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데, 피부에 대한 밀착성 및 피트성에 더하여, 보액성과 방출성의 밸런스가 우수하기 때문에, 미용 성분이나 약효 성분 등의 액상 성분을 함침시킨 시트를 피부에 밀착시키는 용도, 예를 들어, 페이스 마스크, 메이크 제거 시트 또는 클렌징 시트, 신체 세정용 시트 (땀 닦는 시트,오일 제거 시트 등), 냉각 시트, 약용 또는 치료용 시트 (가려움 억제 시트, 습포 등) 등의 각종 스킨 케어 시트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용 시트는, 사용시에 이들 액상 성분을 함침시켜 사용하는 시트여도 되고, 미리 액상 성분을 함침시켜 사용하는 시트 (이른바 웨트 시트) 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액상 성분에는, 용매나 액상유 등의 액상 물질 외에, 미용 성분 또는 약효 (효능) 성분 등의 유효 성분을 상기 액상 물질에 함유시킨 용액 또는 분산액 (화장료나 유액 등) 도 포함된다. 용매는, 친유성 용매여도 되는데, 인체에 대한 안전성 등의 면에서, 친수성 용매가 바람직하다. 친수성 용매로는, 예를 들어, 물, 저급 지방족 알코올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C1-6알킬알코올 등), 알킬렌글리콜류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친수성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액상유로는, 예를 들어, 불포화 고급 지방산류 (예를 들어, 올레산, 올레일알코올 등), 동식물계유 (예를 들어, 호호바유, 올리브유, 야자유, 동백유, 마카다이마 너트유, 아보카도유, 옥수수유, 참기름, 밀배아유, 아마인유, 피마자유, 스쿠알란 등), 광물계유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폴리부텐, 실리콘유 등), 합성계유 (예를 들어, 합성 에스테르유, 합성 폴리에테르유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액상유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액상 물질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나 에탄올 등의 친수성 용매에 대해, 첨가제 (유분) 로서 액상유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액상 물질 중, 통상, 물,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물 및/또는 에탄올 (특히 물) 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물과 저급 알코올 (특히 에탄올) 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양자의 비율은, 물/저급 알코올=100/0∼30/70, 바람직하게는 100/0∼50/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70/30 정도이며, 예를 들어, 99/1∼80/20 정도여도 된다.
유효 성분으로는, 관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어, 보습제, 에몰리언트 (emollient) 제, 클렌징제, 자외선 방지제, 계면 활성제, 수렴제, 효소류, 청량화제, 살균제 또는 항균제, 피부 연화제, 항산화제, 미백제, 땀 억제제, 피부염 방지제, 항염증제, 피부 가려움 억제제, 혈행 촉진제, 아미노산, 세포 부활제, 냉각제, 향료,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 중, 스킨 케어용 시트에는, 예를 들어, 보습제, 자외선 방지제, 계면 활성제, 수렴제, 청량화제, 효소류, 살균제 또는 항균제 등이 범용된다. 특히, 페이스 마스크 (페이스 팩) 나 클렌징 시트에서는, 예를 들어, 친수성 용매 중에 보습제나 에몰리언트제 등이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보습제 또는 에몰리언트제로는, 예를 들어,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히알루론산 나트륨, 폴리옥시메틸글리콕시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용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 및 에몰리언트제의 합계 비율은, 예를 들어, 용액 중 0.1∼50 질량%, 바람직하게는 1∼3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20 질량% 정도이다.
이들 첨가제의 비율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물이나 에탄올 등의 액상 물질의 비율은, 통상, 첨가제를 포함하는 전체 액상 성분 중 30∼99 질량%, 바람직하게는 40∼9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90 질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페이스 마스크나 습포 등의 피부에 고정시키는 시트로서 특히 적합하다. 예를 들어, 밀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장시간의 사용에 있어서도 밀림이나 들뜸이 발생하지 않는 데다가, 코 밑 등, 미세한 간극에도 시트가 밀착 가능하여, 페이스 마스크의 유효 성분을 피부에 유효하게 침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클렌징 시트나 피부 세정용 시트 등에도 적합하다. 즉,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피부에 대해 접촉 면적이 크고 또한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얼굴의 미세한 간극에도 시트가 밀착 가능하게 되어, 메이크업 (파운데이션, 백분 (白粉), 립스틱, 아이메이크업 등의 메이크업 화장품 등) 을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밀착층이 균일한 극세 섬유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부에 대한 자극도 매우 낮은 데다가, 가는 모공의 먼지 등도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액체 함침 생체 피막 시트 (페이스 마스크, 클렌징 시트 등) 로서 이용하는 경우, 통상, 액상 성분을 적층 시트에 함침시켜, 생체의 피부 등에 첩부 또는 접촉하여 사용된다.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은, 보액층과 밀착층을 일체화 (복합화) 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제조 방법으로 별개로 얻어진 보액층과 밀착층을 접착이나 교락 등에 의해 일체화해도 된다. 교락 방법으로는, 상기 보액층의 항에서 예시된 스판레이스법, 니들 펀치법, 스팀 제트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보액층과 밀착층을 접착시키는 방법으로는, 얻어진 보액층에 밀착층을 직접 분사하는 방법 (다이렉트 블로운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 간편성 등의 면에서, 스판레이스법이 범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은, 보액층과 밀착층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이어도 되고, 각각의 부직포 제조 라인을 연결시켜 일체화하는 방법, 일방을 제조한 후에 타방의 제조 공정 중에 투입하여 일체화하는 방법 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공업적인 관점에서는 스판레이스 부직포 제조 라인 중에 밀착층이 되는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투입하고, 스판레이스법 등의 수류에 의해 쌍방의 섬유를 엉기게 하여 일체화하는 방법, 밀착층이 되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제조 라인 중에 보액층이 되는 부직포를 투입하고, 보액층이 되는 부직포를 멜트블로운 섬유 포집면으로 함으로써 일체화하는 방법 (다이렉트 블로운법) 등이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 등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각 물성값은,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 또는 평가하였다.
[단위 면적당 중량 (g/㎡)]
JIS L 1906 에 준하여 온도 20 ℃, 습도 65 % 의 표준 상태에 샘플을 24 시간 방치 후, 폭 방향 1 m×길이 방향 1 m 의 시료를 채취하고, 천칭을 이용하여 중량 (g) 을 측정한다. 얻어진 중량 (g) 의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하여 단위 면적당 중량으로 하였다.
[두께 (㎛)]
면도칼 (패더 안전 면도 (주) 제조「패더 면도날 S 외날」) 을 이용하여, 샘플을 면에 수직으로 MD 방향으로 절단하고, 디지털 현미경 [(주) 키엔스 (KEYENCE) 제조 디지털 현미경 (DIGITAL MICROSCOPE) VHX-900] 으로 시료의 단면을 관찰하여 두께를 계측하였다.
[밀도 (g/㎤)]
단위 면적당 중량 (g/㎡) 을 두께로 나누어 밀도를 구하였다.
[공극률 (%)]
부직포의 중량 (g), 섬유 비중 (g/㎤), 부직포의 외관 체적 (㎤) 으로부터, 하기 식으로 산출하였다. 또한, 부직포의 외관 체적이란, 부직포를 시트로서 보았을 때의 면이 되는 부분의 면적에 상기 두께의 측정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을 높이로서 곱하여 산출하였다.
공극률 (%)=100-[(중량×100)/(섬유 비중×부직포의 외관 체적)]
[평균 섬유 직경 (㎛)]
섬유 시트로부터 시험편 (세로×가로=5 ㎝×5 ㎝) 을 채취하고, 시험편의 표면에 있어서의 중앙부 (대각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는 부분) 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을 사용하여 1000 배의 배율로 사진 촬영하였다. 얻어진 사진의 중앙부 (대각선의 교점) 를 중심으로 하여 사진 상에 반경 30 ㎝ 의 원을 그리고, 그 원 안으로부터 무작위로 100 개의 섬유를 선정하여, 길이 방향의 중앙부 또는 그것에 가까운 지점에서의 섬유 직경을 버니어 캘리퍼스에 의해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채택하여 평균 섬유 직경 (수평균 섬유 직경) 으로 하였다. 또한, 측정에 있어서는, 사진에 촬영되어 있는 섬유가 섬유 시트의 최표면에 위치하는 섬유인지, 또는 내측에 위치하는 섬유인지를 구별하지 않고, SEM 사진에 찍힌 섬유 모두를 대상으로 하여 평균 섬유 직경을 구하였다.
[섬유 직경 분포]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밀착층의 부직 섬유 구조를 관찰하였다.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무작위로 선택한 100 개 (실시예 3, 4 및 비교예 5 에 대해서는 50 개) 의 섬유 직경을 측정하고, 수평균 섬유 직경 및 표준 편차를 구하였다. 또한 변동률을 하기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변동률 (%)=표준 편차/수평균 섬유 직경×100]
[밀착성]
정밀 만능 시험기 ((주) 시마즈 제조소 제조「오토그래프 AGS-D 형」) 를 이용하여, ASTM-D1894 에 준하여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10) 을 MD 방향 4.0 ㎝×CD 방향 11.0 ㎝ 으로 잘라내고, CD 방향에 있어서, 그립 부분 (10a) 을 1 ㎝ , 접지 부분 (10b) 을 10 ㎝ 로 하였다. 또한 페이스 마스크를 상정하고, 이 샘플에 화장료 (가네보 화장품 (Kanebo) (주) 제조「후레셜 에센스 로션 AL」) 를 하기에 나타내는 2 종류의 질량% 로 함침하였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샘플 (10) 의 그립 부분 (10a) 을 클립 (12) 으로 파지한 화살표의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시험을 실시하였다. 상세한 것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찰력을 측정하기 위한 테이블 (11) 상에 아크릴판을 고정시키고, 피부측 사용면을 아래로 하여 중앙에 샘플을 재치하였다. 또한 로드 셀 (15) 을 구비한 시험기를 이용하여, MD 4.0 ㎝×MD 10.0 ㎝ 의 범위 (접지 부분 (3)) 에 10 g/㎠ 의 하중을 10 초간 가한 후, 풀리 (13) 를 개재한 폴리아미드사 (14) 를 수평으로 잡아당김으로써 20 ㎜ /min 의 속도로 CD 방향으로 샘플을 수평으로 잡아당겨 얻어지는 시험력의 피크값 (도 4 에 나타내는 피크값) 을 밀착성으로 정의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밀착성은, 하기에 나타내는 2 종류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1) 샘플 질량에 대해 900 질량% 함침하고, 페이스 마스크 사용 개시 직후의 환경을 모방한 조건에서의 밀착성의 값을 얻었다.
(2) 샘플 질량에 대해 500 질량% 함침하고, 페이스 마스크 사용 후반의 환경을 모방한 조건에서의 밀착성의 값을 얻었다.
또한, 화장료는, 물 및 친수성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성 화장료이고, 물, 글리세린, 에탄올, 디프로필렌글리콜, 말티톨, PEG-75, 라피노오스, 페닐트리메티콘, 카르보머 K, 폴리소르베이트 20, 퍼플루오로알킬디메티콘폴리올, 1,3-부틸렌글리콜, 오이 엑기스, PEG-60 수첨 피마자유, 잔탄검, 알로에베라엑기스-1, 에데트산염, 페녹시에탄올, 파라벤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밀착감]
샘플을 페이스 마스크의 형태로 잘라내고, 샘플 질량에 대해 900 질량% 의 화장료 (가네보 화장품 (주) 제조「후레셜 에센스 로션 AL」) 를 함침하여 상체를 세운 자세로 페이스 마스크로서 사용하였다. 5 명의 피험자에 의해, 20 분 사용 후의 밀착감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관능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피부에 대한 순응이 양호하고, 사용 개시 직후와 변함없거나 또는 그 이상의 밀착감을 느꼈다
△:피부에 대한 순응이 양호하지만, 사용 개시 직후에 비해 밀착감은 저하되었다
×: 피부에 대한 순응이 나쁘고, 밀림, 박리가 발생하였다. 또, 사용 개시 직후에 비해 밀착감은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화장료 방출률]
샘플을 7.5 ㎝×7.5 ㎝ 로 잘라내어, 테프론 (등록상표) 가공을 실시한 금속 판 위에서 피부측에 사용하는 면을 아래로 하여 가만히 두었다. 화장료 (가네보 화장품 (주) 제조「후레셜 에센스 로션 AL」) 를 샘플 질량에 대해 900 질량% 만큼 (화장료 중량 C) 칭량하고, 샘플의 피부측에 사용하는 면과 상이한 면측 (보액층측) 으로부터 전체량 적하하였다. 화장료를 스패튤라 (spatula) 로 펼쳐 샘플에 대해 대체로 균일하게 화장료를 함침시켰다. 여과지 (ADVANTEC FILTER PAPER GLADE2) 를 10.0 ㎝×10.0 ㎝ 로 잘라 5 장 중첩하여 중량을 측정하였다 (여과지 중량 A). 여과지를 피부에 진단하여, 화장료를 함침시킨 샘플을 여과지 위에 가만히 두고, 30 g 의 아크릴판을 시료의 전체면을 덮도록 하중으로서 실었다. 1 분간 방치한 후, 시료와 하중을 없애고, 여과지의 중량을 구하였다 (여과지 중량 B). 시료로부터 여과지로 이행된 화장료의 중량으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화장료 방출률을 구하였다.
화장료 방출률 (%)=(여과지 중량 B-여과지 중량 A)÷화장료 중량 C×100
[습윤시의 50 % 신장시 응력]
JIS L 1913 (일반 단섬유 부직포) 6.3.2 (습윤시의 인장 강도 및 신장률 시험) 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샘플을 20 ℃±2 ℃ 의 수중에 자중으로 침강할 때까지 두거나, 또는 1 시간 이상 수중에 가라앉혀 둔 후, 침지액으로부터 꺼내어 신속하게 50 % 신장시 응력을 측정하였다.
적층 시트의 원료로서 이하의 원료를 각각 준비하였다.
[레이온 섬유]: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오미켄시 (주) 제조「HOPE」, 평균 섬유 직경 12 ㎛, 섬유 직경 40 ㎜
[텐셀 섬유]:정제 셀룰로오스 섬유, 렌팅사 제조「LYOCELL」, 평균 섬유 직경 12 ㎛, 섬유 직경 38 ㎜
[폴리에스테르 섬유]: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섬유, 도레이 (TORAY) (주) 제조, 평균 섬유 직경 12 ㎛, 섬유 직경 51 ㎜
[분할 섬유]:폴리아미드·폴리에스테르 층상 적층 단면 분할 섬유, 쿠라레 (주) 제조「WRAMP」평균 섬유 직경 17 ㎛, 섬유 직경 51 ㎜ (분할 후의 평균 섬유 직경 5 ㎛)
[코튼 섬유]:코튼 섬유, 마루산 산업 (주) 제조, 평균 섬유 직경 14 ㎛
[코어/시스 복합 섬유]:코어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고, 시스부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EVOH) 로 구성된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 쿠라레 (주) 제조「SOPHISTA」, 평균 섬유 직경 14 ㎛, 섬유 직경 51 ㎜
[폴리프로필렌 (PP) 수지]:MFR (230 ℃, 2.16 kg)=1100 g/10 분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 수지 (EVOH)]:MFR (190 ℃, 2.16 kg)=12 g/10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수지]:MFR (235 ℃, 2.16 kg)=90 g
[폴리우레탄 수지]:용융 점도 D-65935 정온법으로 1.0×103∼5.0×103 Pa·s/200 ℃
[폴리에스테르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도레이 (주) 제조「LUMIRROR PX52」, 단위 면적당 중량 16.6 g/㎡, 두께 12 ㎛
[접착성 수지]:LD 폴리에틸렌, 토소 (주) 제조「페트로센」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수지 (MFR=1100 g/10 분) 100 질량부를 이용하고, 일반적인 멜트블로운 제조 설비를 사용하여, 방사 온도 260 ℃, 에어 온도 270 ℃, 에어 압력 0.4 MPa, 단공 토출량 0.2 g/구멍·분, 구금에 있어서의 방사공 수 400 개 (1 열 배치) 에서 멜트블로운 방사를 실시하고, 회전하는 네트 컨베이어를 지지체로 하여 포집하여, 단위 면적당 중량 5 g/㎡ 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시트를 제조하고, 감았다.
레이온 섬유를 40 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60 질량부의 비율로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면한 후, 단위 면적당 중량 60 g/㎡ 의 세미 랜덤 카드 웹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이 카드 웹을 개구율 25 %, 구멍 직경 0.3 ㎜ 의 펀칭 드럼 지지체 상에 재치하여 속도 50 m/분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방으로부터 고압 수류를 분사하고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교락된 섬유 웹 (부직포) 을 제조하였다. 이 교락 처리에 있어서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여 (인접하는 노즐 사이의 거리 20 ㎝), 1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류의 수압을 3.0 MPa, 2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류의 수압을 4.0 MPa 로 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제조한 단위 면적당 중량 5 g/㎡ 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시트를 권출 장치로부터 권출하여 웹과 중첩시키고, 다시 미세한 그물을 갖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지지체에 재치하여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함께 고압 수류를 분사하고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2 개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를 교락시킴으로써 복합시켰다. 이 교락 처리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여, 모두 고압 수류의 수압 5 MPa 의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120 ℃ 에서 건조시켜, 단위 면적당 중량이 65 g/㎡ 인 복합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두께의 비율은, 밀착층 1 에 대해 보액층 10.6 이었다. 또,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밀착층의 수평균 섬유 직경은 2.57 ㎛ 이고, 섬유 직경 분포의 표준 편차는 1.318 이며, 변동률은 51.26 % 였다. 또한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공극률은, 보액층에서 90.4 %, 밀착층에서 86.6 % 였다.
이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시켜,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 일반적인 페이스 마스크의 평균 초기 화장료 함침율인 900 질량% 의 밀착성과 화장료가 소비된 상태를 모방한 함침율인 500 질량% 의 밀착성을 비교하면, 화장료가 소비된 상태를 모방한 함침율 500 질량% 의 밀착성이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 개시 후 밀착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밀착감을 관능 평가한 결과, 피험자 5 명 전원이 평가「○」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의 밀착감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화장료 방출률은 10 % 이상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에 화장료를 피부측으로 방출하는 기능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시예 2)
세미 랜덤 카드 웹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40 g/㎡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단위 면적당 중량이 45 g/㎡ 인 복합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두께의 비율은, 밀착층 1 에 대해 보액층 8.7 이었다. 또,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밀착층의 수평균 섬유 직경은 2.57 ㎛ 이고, 섬유 직경 분포의 표준 편차는 1.318 이며, 변동률은 51.26 % 였다. 또한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공극률은, 보액층에서 93.3 %, 밀착층에서 88.6 % 였다.
이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시켜,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함침율 900 질량% 의 밀착성보다, 함침율 500 질량% 의 밀착성이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 개시 후 밀착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밀착감을 관능 평가한 결과, 피험자 5 명 전원이 평가「○」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의 밀착감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화장료 방출률은 10 % 이상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에 화장료 액체를 피부측으로 방출하는 기능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시예 3)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MFR=90 g/10 분) 100 질량부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멜트블로운 제조 설비를 사용하여, 방사 온도 280 ℃, 에어 온도 290 ℃, 에어 압력 0.4 MPa, 단공 토출량 0.3 g/구멍·구금에 있어서의 방사공 수 400 개 (1 열 배치) 에서 멜트블로운 방사를 실시하고, 회전하는 네트 컨베이어를 지지체로서 포집하여, 단위 면적당 중량 20 g/㎡ 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시트를 제조하여, 감았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레이온 섬유를 40 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60 질량부의 비율로 이용하여, 교락된 섬유 웹 (부직포) 을 제조하였다. 먼저 제조한 단위 면적당 중량 20 g/㎡ 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시트를 권출 장치로부터 권출하여 웹과 중첩시키고, 다시 미세한 그물을 갖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지지체에 재치하여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함께 고압 수류를 분사하고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2 개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를 교락시킴으로써 복합시켰다. 이 교락 처리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여, 모두 고압 수류의 수압 5 MPa 의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130 ℃ 에서 건조시켜, 단위 면적당 중량이 80 g/㎡ 인 복합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두께의 비율은 밀착층 1 에 대해 보액층 5.7 이었다. 또,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밀착층의 수평균 섬유 직경은 5.26 ㎛ 이고, 섬유 직경 분포의 표준 편차는 1.504 이며, 변동률은 28.59 % 였다. 또한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공극률은, 보액층에서 90.9 %, 밀착층에서 81.2 % 였다.
이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시켜,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함침율 900 질량% 의 밀착성보다, 함침율 500 질량% 의 밀착성이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 개시 후 밀착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밀착감을 관능 평가한 결과, 피험자 5 명 전원이 평가「○」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의 밀착감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화장료 방출률은 10 % 이상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에 화장료 액체를 피부측으로 방출하는 기능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시예 4)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 수지 (MFR (190 ℃, 2.16 kg)=12 g/10 분) 100 질량부에, 일반적인 멜트블로운 제조 설비를 사용하여, 방사 온도 250 ℃, 에어 온도 260 ℃, 에어 압력 0.4 MPa, 단공 토출량 0.2 g/구멍·구금에 있어서의 방사공 수 400 개 (1 열 배치) 에서 멜트블로운 방사를 실시하고, 회전하는 네트 컨베이어를 지지체로서 포집하여, 20 g/㎡ 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시트를 제조하였다.
텐셀 섬유를 40 질량부, 코어/시스 복합 섬유를 60 질량부의 비율로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면한 후, 단위 면적당 중량 80 g/㎡ 의 세미 랜덤 카드 웹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섬유 웹 (부직포) 을 제조하였다. 먼저 제조한 단위 면적당 중량 20 g/㎡ 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시트를 권출 장치로부터 권출하여 웹과 중첩시키고, 다시 미세한 그물을 갖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지지체에 재치하여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함께 고압 수류를 분사하고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2 개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를 교락시킴으로써 복합시켰다. 이 교락 처리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여, 모두 고압 수류의 수압 5 MPa 의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110 ℃ 에서 건조시켜, 단위 면적당 중량이 100 g/㎡ 인 복합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두께의 비율은, 밀착층 1 에 대해 보액층 5.2 였다. 또,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밀착층의 수평균 섬유 직경은 6.73 ㎛ 이고, 섬유 직경 분포의 표준 편차는 2.813 이며, 변동률은 41.81 % 였다. 또한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공극률은, 보액층에서 90.0 %, 밀착층에서 85.1 % 였다.
이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시켜,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함침율 900 질량% 의 밀착성보다, 함침율 500 질량% 의 밀착성이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 개시 후 밀착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밀착감을 관능 평가한 결과, 피험자 5 명 전원이 평가「○」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의 밀착감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화장료 방출률은 10 % 이상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에 화장료 액체를 피부측으로 방출하는 기능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시예 5)
레이온 섬유를 40 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60 질량부의 비율로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면한 후, 단위 면적당 중량 60 g/㎡ 의 세미 랜덤 카드 웹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이 카드 웹을 개구율 25 %, 구멍 직경 0.3 ㎜ 의 펀칭 드럼 지지체 상에 재치하여 속도 50 m/분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방으로부터 고압 수류를 분사하고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교락된 섬유 웹 (부직포) 을 제조하였다. 이 교락 처리에 있어서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여 (인접하는 노즐 사이의 거리 20 ㎝), 1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류의 수압을 3.0 MPa, 2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류의 수압을 4.0 MPa 로 하여 실시하였다. 다시 미세한 그물을 갖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지지체에 재치하여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함께 고압 수류를 분사하고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구성하는 섬유를 교락시켰다. 이 교락 처리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여, 모두 고압 수류의 수압 5 MPa 의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110 ℃ 에서 건조시켜, 단위 면적당 중량이 60 g/㎡ 인 스판레이스 부직포를 얻었다.
우레탄 수지 (용융 점도 D-65935 정온법으로 1.0×103∼5.0×103 Pa·s/200 ℃) 100 질량부에, 일반적인 멜트블로운 제조 설비를 사용하여, 방사 온도 250 ℃, 에어 온도 260 ℃, 에어 압력 0.4 MPa, 단공 토출량 0.2 g/구멍·분, 구금에 있어서의 방사공 수 400 개 (1 열 배치) 에서 멜트블로운 방사를 실시하고, 회전하는 네트 컨베이어 지지체 위에, 먼저 제조한 스판레이스 부직포를 재치하고, 그 위해서 포집하였다. 이로써 단위 면적당 중량이 65 g/㎡ 인 복합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두께의 비율은, 밀착층 1 에 대해 보액층 14.2 였다. 또,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밀착층의 수평균 섬유 직경은 3.75 ㎛ 이고, 섬유 직경 분포의 표준 편차는 2.253 이며, 변동률은 60.08 % 였다. 또한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공극률은, 보액층에서 90.5 %, 밀착층에서 86.0 % 였다.
이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시켜,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함침율 900 질량% 의 밀착성보다, 함침율 500 질량% 의 밀착성이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 개시 후 밀착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밀착감을 관능 평가한 결과, 피험자 5 명 전원이 평가「○」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의 밀착감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화장료 방출률은 10 % 이상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에 화장료 액체를 피부측으로 방출하는 기능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시예 6)
코어/시스 복합 섬유를 30 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70 질량부의 비율로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면한 후, 단위 면적당 중량 100 g/㎡ 의 세미 랜덤 카드 웹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이 카드 웹을 50 메시, 폭 500 ㎜ 의 스테인리스제 엔드리스 네트를 장비한 벨트 컨베이어에 이송하였다. 또한, 이 벨트 컨베이어의 철망의 상부에는 같은 철망을 갖는 벨트 컨베이어가 장비되어 있고, 각각이 동일한 속도로 동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들 양 철망의 간격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하측 컨베이어에 구비된 수증기 분사 장치에 카드 웹을 도입하고, 이 장치로부터 0.4 MPa 의 고온 수증기를 카드 웹의 두께 방향을 향하여 통과하도록 (수직으로) 분출하여 수증기 처리를 실시하여, 부직 섬유 구조를 갖는 성형체 (스팀 제트 부직포) 를 얻었다. 이 수증기 분사 장치는, 하측의 컨베이어 내에, 컨베이어 네트를 개재하여 고온 수증기를 웹을 향해 분사하도록 노즐이 설치되고, 상측의 컨베이어에 석션 장치가 설치되어 있었다. 또, 이 분사 장치의 웹 진행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에는, 노즐과 석션 장치의 배치가 역전된 조합인 분사 장치가 이미 1 대 설치되어 있고, 웹의 표리 양면에 대해 증기 처리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증기 분사 노즐의 구멍 직경은 0.3 ㎜ 이며, 노즐이 컨베이어의 폭 방향을 따라 1 ㎜ 피치로 1 열로 나열된 증기 분사 장치를 사용하였다. 가공 속도는 10 m/분이며, 노즐측과 석션측의 상하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간격 (거리) 은 5 ㎜ 로 하였다. 노즐은 컨베이어 벨트의 뒤편에 벨트와 거의 접하도록 배치하였다.
우레탄 수지를 이용하여, 실시예 5 와 마찬가지로, 멜트블로운 방사를 실시하고, 회전하는 네트 컨베이어 지지체 위에, 먼저 제조한 스팀 제트 부직포를 재치하고, 그 위에서 포집하였다. 이로써 단위 면적당 중량이 110 g/㎡ 인 복합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두께의 비율은, 밀착층 1 에 대해 보액층 26.9 였다. 또,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밀착층의 수평균 섬유 직경은 3.89 ㎛ 이고, 섬유 직경 분포의 표준 편차는 2.482 이며, 변동률은 63.79 % 였다. 또한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공극률은, 보액층에서 93.5 %, 밀착층에서 79.3 % 였다.
이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시켜,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함침율 900 질량% 의 밀착성보다, 함침율 500 질량% 의 밀착성이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 개시 후 밀착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밀착감을 관능 평가한 결과, 피험자 5 명 전원이 평가「○」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의 밀착감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화장료 방출률은 10 % 이상인,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에 화장료 액체를 피부측으로 방출하는 기능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5 g/㎡ 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시트를 제조하였다.
레이온 섬유를 20 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80 질량부의 비율로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면한 후, 단위 면적당 중량 95 g/㎡ 의 세미 랜덤 카드 웹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교락된 섬유 웹 (부직포) 을 제조하였다. 이 교락 처리에 있어서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고 (인접하는 노즐 사이의 거리 20 ㎝), 1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류의 수압을 5.0 MPa, 2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류의 수압을 6.0 MPa 로 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제조한 단위 면적당 중량 5 g/㎡ 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시트를 권출 장치로부터 권출하여 웹과 중첩시키고, 다시 미세한 그물을 갖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지지체에 재치하여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함께 고압 수류를 분사하고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2 개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를 교락시킴으로써 복합시켰다. 이 교락 처리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여, 모두 고압 수류의 수압 5 MPa 의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120 ℃ 에서 건조시켜, 단위 면적당 중량이 100 g/㎡ 인 복합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두께의 비율은, 밀착층 1 에 대해 보액층 20.3 이었다. 또,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밀착층의 수평균 섬유 직경은 2.57 ㎛ 이고, 섬유 직경 분포의 표준 편차는 1.318 이며, 변동률은 51.26 % 였다. 또한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공극률은, 보액층에서 92.8 %, 밀착층에서 88.1 % 였다.
이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시켜,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함침율 900 질량% 의 밀착성보다, 함침율 500 질량% 의 밀착성이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 개시 후 밀착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밀착감을 관능 평가한 결과, 피험자 5 명 전원이 평가「○」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의 밀착감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화장료 방출률은 10 % 이상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에 화장료 액체를 피부측으로 방출하는 기능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5 g/㎡ 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시트를 제조하였다.
레이온 섬유를 80 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20 질량부의 비율로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면한 후, 단위 면적당 중량 40 g/㎡ 의 세미 랜덤 카드 웹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이 카드 웹을 개구율 25 %, 구멍 직경 0.3 ㎜ 의 펀칭 드럼 지지체 상에 재치하여 속도 50 m/분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방으로부터 고압 수류를 분사하고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교락된 섬유 웹 (부직포) 을 제조하였다. 이 교락 처리에 있어서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고 (인접하는 노즐 사이의 거리 20 ㎝), 1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류의 수압을 3.0 MPa, 2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류의 수압을 4.0 MPa 로 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제조한 단위 면적당 중량 5 g/㎡ 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시트를 권출 장치로부터 권출하여 웹과 중첩시키고, 다시 미세한 그물을 갖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지지체에 재치하여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함께 고압 수류를 분사하고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2 개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를 교락시킴으로써 복합시켰다. 이 교락 처리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여, 모두 고압 수류의 수압 5 MPa 의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130 ℃ 에서 건조시켜, 단위 면적당 중량이 45 g/㎡ 인 복합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두께의 비율은, 밀착층 1 에 대해 보액층 1.0 이었다. 또,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밀착층의 수평균 섬유 직경은 2.57 ㎛ 이고, 섬유 직경 분포의 표준 편차는 1.318 이며, 변동률은 51.26 % 였다. 또한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공극률은, 보액층에서 92.7 %, 밀착층에서 87.8 % 였다.
이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시켜,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 일반적인 페이스 마스크의 평균 초기 화장료 함침율인 900 질량% 의 밀착성과, 화장료가 소비된 상태를 모방한 함침율인 500 질량% 의 밀착성을 비교하면, 화장료가 소비된 상태를 모방한 함침율 500 질량% 의 밀착성이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 개시 후 밀착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밀착감을 관능 평가한 결과, 피험자 5 명 전원이 평가「○」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의 밀착감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화장료 방출률은 10 % 이상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에 화장료를 피부측으로 방출하는 기능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비교예 1)
레이온 섬유 100 질량부를 균일하게 해섬 (解纖) 한 후, 단위 면적당 중량 60 g/㎡ 의 세미 랜덤 카드 웹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이 카드 웹을 개구율 25 %, 구멍 직경 0.3 ㎜ 의 펀칭 드럼 지지체 상에 재치하여 속도 50 m/분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방으로부터 고압 수류를 분사하고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교락된 섬유 웹 (부직포) 을 제조하였다. 이 교락 처리에 있어서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고 (인접하는 노즐 사이의 거리 20 ㎝), 1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류의 수압을 3.0 MPa, 2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류의 수압을 4.0 MPa 로 하여 실시하였다. 다시 미세한 그물을 갖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지지체에 재치하여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함께 고압 수류를 분사하여 교락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교락 처리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여, 모두 고압 수류의 수압 5 MPa 의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130 ℃ 에서 건조시켜, 단위 면적당 중량이 60 g/㎡ 인 스판레이스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공극률은 88.2 % 였다.
이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시켜,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 함침율 900 질량% 의 밀착성보다, 함침율 500 질량% 의 밀착성이 낮았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 개시 후 밀착성은 저하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밀착감을 관능 평가한 결과, 피험자 5 명 전원이 평가「×」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의 밀착감은 불량인 것으로 판정하였다. 화장료 방출률은 10 % 이상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에 화장료 액체를 피부측으로 방출하는 기능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그러나,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페이스 마스크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였다.
(비교예 2)
레이온 섬유를 40 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60 질량부의 비율로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면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한 단위 면적당 중량 60 g/㎡ 의 세미 랜덤 카드 웹에 대해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교락 및 건조 처리를 실시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60 g/㎡ 인 스판레이스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공극률은 90.4 % 였다.
이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시켜,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 함침율 900 질량% 의 밀착성보다, 함침율 500 질량% 의 밀착성이 낮았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 개시 후 밀착성은 저하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밀착감을 관능 평가한 결과, 피험자 5 명 전원이 평가「×」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의 밀착감은 불량인 것으로 판정하였다. 화장료 방출률은 10 % 이상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에 화장료 액체를 피부측으로 방출하는 기능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그러나,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페이스 마스크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였다.
(비교예 3)
코튼 섬유를 100 질량부에 해섬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한 단위 면적당 중량 60 g/㎡ 의 세미 랜덤 카드 웹에 대해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교락 및 건조 처리를 실시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60 g/㎡ 인 스판레이스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공극률은 90.2 % 였다.
이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시켜,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 함침율 900 질량% 의 밀착성보다, 함침율 500 질량% 의 밀착성이 낮았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 개시 후 밀착성은 저하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밀착감을 관능 평가한 결과, 피험자 5 명 전원이 평가「×」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의 밀착감은 불량인 것으로 판정하였다. 화장료 방출률은 10 % 이상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에 화장료 액체를 피부측으로 방출하는 기능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그러나,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페이스 마스크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였다.
(비교예 4)
레이온 섬유를 100 질량부 균일하게 해섬한 후, 단위 면적당 중량 32 g/㎡ 의 세미 랜덤 카드 웹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이 카드 웹을 개구율 25 %, 구멍 직경 0.3 ㎜ 의 펀칭 드럼 지지체 상에 재치하여 속도 50 m/분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방으로부터 고압 수류를 분사하고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교락된 섬유 웹 (부직포) 을 제조하였다. 이 교락 처리에 있어서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고 (인접하는 노즐 사이의 거리 20 ㎝), 1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류의 수압을 4.0 MPa, 2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류의 수압을 5.0 MPa 로 하여 실시하였다. 다시 미세한 그물을 갖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지지체에 재치하여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함께 고압 수류를 분사하여 교락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교락 처리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여, 모두 고압 수류의 수압 5 MPa 의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130 ℃ 에서 건조시켜, 단위 면적당 중량이 32 g/㎡ 인 스판레이스 부직포를 얻었다.
다음으로, 분할 섬유를 100 질량부 균일하게 해섬한 후, 2 대의 카드로부터 각각 단위 면적당 중량 24 g/㎡ 의 세미 랜덤 카드 웹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이 카드 웹 사이에, 먼저 제조한 스판레이스 부직포를 투입하면서 적층하고, 개구율 25 %, 구멍 직경 0.3 ㎜ 의 펀칭 드럼 지지체 상에 재치하여 속도 50 m/분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방으로부터 고압 수류를 분사하고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교락된 적층 섬유 웹 (적층 부직포) 을 제조하였다. 이 교락 처리에 있어서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고 (인접하는 노즐 사이의 거리 20 ㎝), 1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류의 수압을 3.0 MPa, 2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류의 수압을 4.0 MPa 로 하여 실시하였다. 다시 미세한 그물을 갖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지지체에 재치하여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함께 고압 수류를 분사하여 교락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 교락 처리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여, 모두 고압 수류의 수압 5 MPa 의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130 ℃ 에서 건조시켜, 단위 면적당 중량이 80 g/㎡ 인 적층 스판레이스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공극률은 86.8 % 였다.
이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하기 위하여 첨가한 결과 함침성이 나빠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 함침율 900 질량% 의 밀착성보다, 함침율 500 질량% 의 밀착성이 조금 낮았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 개시 후 밀착성은, 조금 저하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밀착감을 관능 평가한 결과, 피험자 4 명이 평가「△」로 판정하고, 1 명이 평가「×」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의 밀착감에는 편차가 있고, 또한 나쁜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화장료 방출률은 10 % 이상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에 화장료 액체를 피부측으로 방출하는 기능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그러나,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페이스 마스크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였다.
(비교예 5)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MFR=90 g) 를 이용하고, 에어 압력을 0.4 MPa 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단위 면적당 중량 20 g/㎡ 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시트를 제조하였다.
레이온 섬유를 40 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60 질량부의 비율로 이용하여,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교락된 섬유 웹 (부직포) 을 제조하였다. 먼저 제조한 단위 면적당 중량 20 g/㎡ 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시트를 권출 장치로부터 권출하여 웹과 중첩시켜, 실시예 3 에서 동일한 교락 및 건조 처리를 실시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이 80 g/㎡ 인 복합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두께의 비율은, 밀착층 1 에 대해 보액층 2.2 였다. 또,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밀착층의 수평균 섬유 직경은 17.15 ㎛ 이고, 섬유 직경 분포의 표준 편차는 6.127 이며, 변동률은 35.72 % 였다. 또한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공극률은, 보액층에서 90.8 %, 밀착층에서 92.7 % 였다.
이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시켜,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 함침율 900 질량% 의 밀착성보다, 함침율 500 질량% 의 밀착성이 낮았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 개시 후 밀착성은 저하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밀착감을 관능 평가한 결과, 피험자 5 명 전원이 평가「×」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의 밀착감은 불량인 것으로 판정하였다. 화장료 방출률은 10 % 이상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에 화장료 액체를 피부측으로 방출하는 기능은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그러나,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페이스 마스크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였다.
(비교예 6)
레이온 섬유를 40 질량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60 질량부의 비율로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면한 후, 단위 면적당 중량 60 g/㎡ 의 세미 랜덤 카드 웹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이 카드 웹을 개구율 25 %, 구멍 직경 0.3 ㎜ 의 펀칭 드럼 지지체 상에 재치하여 속도 50/분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방으로부터 고압 수류를 분사하고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교락된 섬유 웹 (부직포) 을 제조하였다. 이 교락 처리에 있어서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고 (인접하는 노즐 사이의 거리 20 ㎝), 1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류의 수압을 3.0 MPa, 2 열째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고압 수류의 수압을 4.0 MPa 로 하여 실시하였다. 다시 미세한 그물을 갖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지지체에 재치하여 연속적으로 이송함과 함께 고압 수류를 분사하고 교락 처리를 실시하여, 구성하는 섬유를 교락시켰다. 이 교락 처리는, 구멍 직경 0.10 ㎜ 의 오리피스를 웹의 폭 방향을 따라 0.6 ㎜ 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노즐 2 개를 사용하여, 모두 고압 수류의 수압 5 MPa 의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130 ℃ 에서 건조시켜, 단위 면적당 중량이 60 g/㎡ 인 스판레이스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스판레이스 부직포와 두께 12 ㎛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T 다이로부터 압출 성형한 접착성 수지를 사용하여 접착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 91 g/㎡ 인 복합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두께의 비율은, 필름층 1 에 대해 보액층 13.7 이었다. 또,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공극률은, 보액층에서 88.7 %, 필름층은 0 % 였다.
이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시켜,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 함침율 900 질량% 의 밀착성보다, 함침율 500 질량% 의 밀착성이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 개시 후 밀착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밀착감을 관능 평가한 결과, 필름이 피부에 대한 순응을 저해하여 피험자 5 명 전원이 평가「×」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의 밀착감은 불량인 것으로 판정하였다. 화장료 방출률은 10 % 미만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에 화장료 액체를 피부측으로 방출하는 기능은 낮은 것으로 판정하였다.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페이스 마스크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였다.
(비교예 7)
비교예 6 에서 얻어진 단위 면적당 중량 91 g/㎡ 의 복합 부직포의 필름층측으로부터, 금속제의 바늘을 이용하여 직경 약 900 ㎛ 의 관통공을 2 ㎝ 간격으로 전체면에 실시하였다.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두께의 비율은 필름층 1 에 대해 보액층 14.2 였다. 또,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공극률은, 보액층에서 89.0 %, 필름층은 0.2 % 였다.
이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시켜,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 함침율 900 질량% 의 밀착성보다, 함침율 500 질량% 의 밀착성이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 개시 후 밀착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밀착감을 관능 평가한 결과, 필름이 피부에 대한 순응을 저해하여 피험자 5 명 전원이 평가「×」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의 밀착감은 불량인 것으로 판정하였다. 화장료 방출률은 10 % 미만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에 화장료 액체를 피부측으로 방출하는 기능은 낮은 것으로 판정하였다.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페이스 마스크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였다.
(비교예 8)
비교예 6 에서 얻어진 단위 면적당 중량 91 g/㎡ 의 필름층측으로부터, 금속 제의 바늘을 이용하여 직경 약 900 ㎛ 의 관통공을 1 ㎝ 간격으로 전체면에 실시하였다.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두께의 비율은, 필름층 1 에 대해 보액층 14.4 였다. 또, 얻어진 부직포 시트의 공극률은, 보액층에서 89.2 %, 필름층은 0.6 % 였다.
이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시켜, 밀착성을 측정한 결과, 함침율 900 질량% 의 밀착성보다, 함침율 500 질량% 의 밀착성이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 개시 후 밀착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밀착감을 관능 평가한 결과, 필름이 피부에 대한 순응을 저해하여 피험자 5 명 전원이 평가「×」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의 밀착감은 불량인 것으로 판정하였다. 화장료 방출률은 10 % 미만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사용시에 화장료 액체를 피부측으로 방출하는 기능은 낮은 것으로 판정하였다.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페이스 마스크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시예의 결과를 정리하여 표 1 에 나타냄과 함께, 비교예의 결과를 정리하여 표 2 에 나타낸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액상 성분을 흡수하고, 피부에 접촉시키는 용도, 예를 들어, 체액 흡수용 시트 (예를 들어, 냅킨이나 기저귀 등의 표면재, 기저귀 라이너, 웨트 티슈 등), 스킨 케어 시트 (예를 들어, 페이스 마스크, 메이크 제거 시트, 클렌징 시트 또는 신체 세정용 시트 (땀 닦는 시트, 오일 제거 시트, 냉각 시트 등), 약용 시트 (가려움 억제 시트, 습포 등) 등에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적층 시트는, 자극에 민감한 부분, 첩부해도 중력이나 움직임에 의해 박리되기 쉬운 부분 등을 포함하여 인체의 모든 부분에 밀착되어, 높은 습윤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얼굴 전체, 코, 눈매, 입가, 목 등의 보습, 미백 등의 효능 성분을 함침한 마스크나, 화장을 지우고 닦아내는 클렌징 시트, 혈행 촉진 성분이나, 피부 가려움 억제 성분을 함침한 약용 또는 치료용 시트, 휘발성의 액체를 함침시키고 기화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냉각 시트 등에 특히 유용하다.
10 : 샘플 (시료)
11 : 테이블 (아크릴판)
12 : 클립
13 : 풀리
14 : 폴리아미드사
15 : 로드 셀
11 : 테이블 (아크릴판)
12 : 클립
13 : 풀리
14 : 폴리아미드사
15 : 로드 셀
Claims (19)
- 부직 섬유 집합체를 포함하고, 또한 액상 성분을 흡수할 수 있는 보액층과, 이 보액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액상 성분을 투과할 수 있고, 또한 피부와 접촉시키기 위한 밀착층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로서, 상기 밀착층이 수평균 섬유 직경 10 ㎛ 이하인 부직 섬유 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층의 두께가 10 ~ 500 ㎛ 이고, 또한 밀착층과 보액층의 두께 비율이, 밀착층/보액층=1/4∼1/100 인 적층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층은, 섬유 직경의 표준 편차가 5 이하인 부직 섬유 집합체를 포함하는 적층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액층은, 밀착층을 구성하는 섬유보다 섬유 직경이 큰 부직포 섬유 집합체를 포함하는 적층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액층은 친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를 가지며, 또한 밀착층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를 갖는 적층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보액층은, 친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를 50 질량% 미만의 비율로 갖고, 또한 밀착층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 및 폴리우레탄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액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수평균 섬유 직경은 9∼32 ㎛ 이고, 또한 밀착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수평균 섬유 직경은 1∼8 ㎛ 인 적층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액층은 0.03∼0.20 g/㎤ 의 밀도 및 80 % 이상의 공극률을 갖고, 또한 밀착층은 0.05∼0.35 g/㎤ 의 밀도 및 70 % 이상의 공극률을 갖는 적층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층은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포함하는 적층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JIS L 1913 에 준거한 습윤시의 50 % 신장시 응력이, 적어도 일 방향에 있어서 0.5∼15 N/5 ㎝ 인 적층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성분을 함침시킨 적층 시트.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성분이 화장료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시트인 적층 시트. - 제 11 항에 있어서,
페이스 마스크인 적층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액층 위에, 추가로 다른 밀착층을 갖는 적층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액층 위에, 추가로 비다공성의 필름을 갖는 적층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를 시트 질량에 대해 500 질량% 함침시키고, ASTM-D1984 에 준거하여 측정한 마찰력이 0.6 N 이상이고, 또한 화장료를 500 질량% 함침시킨 마찰력이, 화장료를 900 질량% 함침시킨 마찰력보다 큰 적층 시트. - 상기 밀착층을 멜트블로운법으로 형성하고, 부직 섬유 집합체를 포함하는 보액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적층하는 제 1 항에 기재된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소수성 섬유와 친수성 섬유를 스판레이스법으로 교락시켜 보액층을 제조한 후, 얻어진 보액층과 밀착층을 추가로 스판레이스법으로 교락시키는 방법 또는 얻어진 보액층에 밀착층을 직접 분사하는 방법으로 적층하는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소수성 섬유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친수성 섬유를 스팀 제트법으로 교락 및 습열 접착시켜 보액층을 제조한 후, 얻어진 보액층과 밀착층을 추가로 스판레이스법으로 교락시키는 방법 또는 얻어진 보액층에 밀착층을 직접 분사하는 방법으로 적층하는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시트를, 액상 성분을 함침한 상태에서, 밀착층을 피부에 접촉시키는 적층 시트의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160917 | 2009-07-07 | ||
JP2009160917 | 2009-07-07 | ||
PCT/JP2010/061518 WO2011004834A1 (ja) | 2009-07-07 | 2010-07-07 | 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7908A KR20120107908A (ko) | 2012-10-04 |
KR101714100B1 true KR101714100B1 (ko) | 2017-03-08 |
Family
ID=43429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0506A KR101714100B1 (ko) | 2009-07-07 | 2010-07-07 |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9174411B2 (ko) |
EP (1) | EP2453047B8 (ko) |
JP (1) | JP5562955B2 (ko) |
KR (1) | KR101714100B1 (ko) |
CN (1) | CN102482818B (ko) |
TW (1) | TWI510688B (ko) |
WO (1) | WO201100483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949776B1 (fr) | 2009-09-10 | 2013-05-17 |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 | Element en couches pour l'encapsulation d'un element sensible |
JP5643145B2 (ja) * | 2011-03-31 | 2014-12-17 | クラレクラフレックス株式会社 | 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
FR2973940A1 (fr) * | 2011-04-08 | 2012-10-12 | Saint Gobain | Element en couches pour l’encapsulation d’un element sensible |
FR2973939A1 (fr) | 2011-04-08 | 2012-10-12 | Saint Gobain | Element en couches pour l’encapsulation d’un element sensible |
US20120280433A1 (en) * | 2011-05-02 | 2012-11-08 | Tri Can Co.,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plant fiber foam material |
JP5201282B1 (ja) * | 2011-11-25 | 2013-06-05 | Jnc株式会社 | 化粧用マスク |
JP5871594B2 (ja) * | 2011-12-07 | 2016-03-01 | シンワ株式会社 | 化粧用シート |
JP5835578B2 (ja) * | 2012-02-10 | 2015-12-24 | クラレクラフレックス株式会社 | 不織繊維シートおよびそれからなるワイパー |
CN104487629B (zh) * | 2012-06-12 | 2018-01-30 | 可乐丽可乐富丽世股份有限公司 | 保液片和面膜 |
US20140322512A1 (en) * | 2013-03-15 | 2014-10-30 | Quynh Pham | Core-sheath fib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
JP2014201588A (ja) * | 2013-04-10 | 2014-10-27 |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 ゼータ電位が制御された薬液含浸シートおよびフェイスマスク |
JP6234706B2 (ja) * | 2013-05-22 | 2017-11-22 | 株式会社 Mtg | シートマスク |
KR101906689B1 (ko) * | 2013-09-27 | 2018-10-10 | 주식회사 쿠라레 | 항균성 부직포 시트, 함액 시트, 및 페이스 마스크 |
JP6516961B2 (ja) * | 2013-12-25 | 2019-05-22 | ロレアル | 毛髪の再成形用繊維シート |
JP6587608B2 (ja) * | 2014-03-31 | 2019-10-09 |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化粧料含浸皮膚被覆シート用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101883683B1 (ko) * | 2014-06-24 | 2018-07-31 |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 화장용 시트 |
JP6385191B2 (ja) * | 2014-08-07 | 2018-09-05 | 旭化成株式会社 | 薬液含浸用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
CA2965525A1 (en) | 2014-10-31 | 2016-05-06 |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 Thermoplastic polyurethane film for delivery of active agents to skin surfaces |
JP6710495B2 (ja) * | 2014-11-14 | 2020-06-17 | ロレアル | 顔用の美容マスク |
JP6838801B2 (ja) * | 2015-07-30 | 2021-03-03 | 株式会社タイキ | 液体化粧料保持・供給用パッド |
JP6444296B2 (ja) * | 2015-12-28 | 2018-12-2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積層不織布 |
CN106237338A (zh) * | 2016-09-05 | 2016-12-21 | 四川大学 | 一种制备层状生物降解高分子药物控释材料的方法 |
JP7505855B2 (ja) * | 2016-12-05 | 2024-06-25 | 花王株式会社 | 湿式ワイピングシート |
KR102440015B1 (ko) * | 2017-02-28 | 2022-09-05 |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 적층 부직포 |
US20200000205A1 (en) | 2017-02-28 | 2020-01-02 | L'oreal | Nonwoven solid material suitable for topical applications |
WO2018184041A1 (en) | 2017-04-03 | 2018-10-11 | Lenzing Ag | A nonwoven web designed for use in a beauty face mask |
JP2020523490A (ja) * | 2017-06-15 | 2020-08-06 | ポレックス テクノロジーズ コーポレーション | 区別可能な密度または繊維直径を有する一体型多孔質繊維媒体 |
JP6878206B2 (ja) * | 2017-08-29 | 2021-05-26 | 花王株式会社 | 湿式ワイピングシート |
JP7158840B2 (ja) * | 2017-10-24 | 2022-10-24 | ロレアル | ターゲットゾーンに塗布された配合物の移動を制限する機能を有するシート状の基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て製造されたシート状の化粧製品 |
JP2019089736A (ja) * | 2017-11-16 | 2019-06-13 | 花王株式会社 | 皮膚洗浄用ウエッ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
CN109943980B (zh) * | 2017-12-20 | 2021-02-23 | 财团法人纺织产业综合研究所 | 无纺布结构与其制作方法 |
US10857756B2 (en) * | 2018-01-26 | 2020-12-0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Process of making a multi-ply fibrous water soluble product |
JP7130467B2 (ja) * | 2018-06-29 | 2022-09-05 |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 液体化粧料含有シート用不織布 |
CN109137262B (zh) * | 2018-08-16 | 2021-11-05 | 南通醋酸纤维有限公司 | 一种保液片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09512681A (zh) * | 2018-10-30 | 2019-03-26 | 安徽新衡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新型面部护理膜基材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13260750B (zh) * | 2018-12-28 | 2023-06-16 | 可乐丽可乐富丽世股份有限公司 | 纤维结构体及其用途 |
JP7479356B2 (ja) | 2019-04-26 | 2024-05-08 | クラレクラフレックス株式会社 | 繊維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
CN110453375A (zh) * | 2019-08-06 | 2019-11-15 | 深圳全棉时代科技有限公司 | 一种气刺生产非织造布的方法 |
JP7410665B2 (ja) * | 2019-08-07 | 2024-01-10 | 大和紡績株式会社 | 吸収性物品用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220070310A (ko) * | 2019-09-30 | 2022-05-30 | 모노졸, 엘엘씨 | 부직 수용성 복합 구조 |
KR102273240B1 (ko) * | 2019-10-16 | 2021-07-07 | 코스맥스 주식회사 | 양모를 함유한 부직포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
TWI738224B (zh) * | 2020-02-25 | 2021-09-01 | 飛暘國際事業股份有限公司 | 高拉伸性保濕面膜 |
CN115380139A (zh) * | 2020-06-11 | 2022-11-22 | 东丽株式会社 | 层叠无纺布及卫生材料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6018969A1 (ja) * | 2004-08-02 | 2006-02-23 | Kuraray Co., Ltd. | 積層シート |
JP2006110796A (ja) * | 2004-10-13 | 2006-04-27 | Daiwabo Co Ltd | 対人用液体含浸シート用積層体 |
JP2007070347A (ja) * | 2005-08-11 | 2007-03-22 | Toray Ind Inc | 皮膚貼付用不織布およびフェイスパック |
JP2009079329A (ja) * | 2007-09-27 | 2009-04-16 | Japan Vilene Co Ltd | 徐放性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917275B4 (de) * | 1999-04-16 | 2004-02-26 | Carl Freudenberg Kg | Reinigungstuch |
DE10044694A1 (de) | 2000-09-08 | 2002-03-21 | Fleissner Gerold | Nonwoven aus Spunbond- und Meltblownfasern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ieses Nonwoven mittels der hydrodynamischen Vernadelung |
US20050148261A1 (en) * | 2003-12-30 | 2005-07-07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Nonwoven webs having reduced lint and slough |
CN100563499C (zh) | 2004-08-11 | 2009-12-02 | 大和纺织株式会社 | 化妆品浸渗用皮肤被覆片材及其制造方法、及使用其的面膜 |
EP1721637A1 (en) * | 2005-05-09 | 2006-11-15 | Nitto Denko Corporation | Cosmetic sheet for removing keratotic plugs |
JP2009097120A (ja) | 2007-10-18 | 2009-05-07 | Toray Ind Inc | シート型コスメ製品用積層不織布 |
JP5201532B2 (ja) * | 2008-03-19 | 2013-06-05 | Jnc株式会社 | 伸縮性積層シート |
-
2010
- 2010-07-07 JP JP2011521937A patent/JP5562955B2/ja active Active
- 2010-07-07 CN CN201080039788.7A patent/CN102482818B/zh active Active
- 2010-07-07 TW TW099122297A patent/TWI510688B/zh active
- 2010-07-07 KR KR1020127000506A patent/KR1017141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7-07 WO PCT/JP2010/061518 patent/WO201100483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7-07 EP EP10797145.9A patent/EP2453047B8/en active Active
- 2010-07-07 US US13/382,747 patent/US917441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6018969A1 (ja) * | 2004-08-02 | 2006-02-23 | Kuraray Co., Ltd. | 積層シート |
JP2006110796A (ja) * | 2004-10-13 | 2006-04-27 | Daiwabo Co Ltd | 対人用液体含浸シート用積層体 |
JP2007070347A (ja) * | 2005-08-11 | 2007-03-22 | Toray Ind Inc | 皮膚貼付用不織布およびフェイスパック |
JP2009079329A (ja) * | 2007-09-27 | 2009-04-16 | Japan Vilene Co Ltd | 徐放性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11004834A1 (ja) | 2012-12-20 |
EP2453047A1 (en) | 2012-05-16 |
JP5562955B2 (ja) | 2014-07-30 |
CN102482818B (zh) | 2015-07-01 |
US9174411B2 (en) | 2015-11-03 |
WO2011004834A1 (ja) | 2011-01-13 |
EP2453047B8 (en) | 2019-11-20 |
TW201106980A (en) | 2011-03-01 |
US20120107387A1 (en) | 2012-05-03 |
EP2453047A4 (en) | 2014-01-01 |
KR20120107908A (ko) | 2012-10-04 |
CN102482818A (zh) | 2012-05-30 |
TWI510688B (zh) | 2015-12-01 |
EP2453047B1 (en) | 2019-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4100B1 (ko) |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975079B1 (ko) | 보액 시트 및 페이스 마스크 | |
KR101434927B1 (ko) | 하나 이상의 흡수 시트를 포함하는 화장용 및/또는 피부과용 퍼스널 케어 및/또는 클렌징 흡수 제품 | |
JP5643145B2 (ja) | 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2213970B1 (ko) | 보액 시트 및 페이스 마스크 | |
KR101906689B1 (ko) | 항균성 부직포 시트, 함액 시트, 및 페이스 마스크 | |
JP2007007062A (ja) | 液体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 |
JP5324403B2 (ja) | 化粧料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 |
JP7479356B2 (ja) | 繊維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JP5272130B2 (ja) | 化粧料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 |
JP2000017554A (ja) | 開孔不織布 | |
TW202203809A (zh) | 不織布及其製造方法、和液體含浸薄片及擦拭薄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