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781B1 -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및 그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및 그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781B1
KR101712781B1 KR1020160150456A KR20160150456A KR101712781B1 KR 101712781 B1 KR101712781 B1 KR 101712781B1 KR 1020160150456 A KR1020160150456 A KR 1020160150456A KR 20160150456 A KR20160150456 A KR 20160150456A KR 101712781 B1 KR101712781 B1 KR 101712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inner core
plastic
tank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미
Original Assignee
박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미 filed Critical 박경미
Priority to KR1020160150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781B1/ko
Priority to PCT/KR2017/003866 priority patent/WO2018088648A1/ko
Priority to US16/338,657 priority patent/US20190226186A1/en
Priority to JP2019515470A priority patent/JP2019530592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6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 B29C45/0062Joined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1Taps specially designed for dispensing boil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2045/007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applying a coating or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29C2045/14459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injecting se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29C45/1816Feeding auxiliary material, e.g. colouring material
    • B29C2045/1825Feeding auxiliary material, e.g. colouring material feeding auxiliary material for either skin or core of the inject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55/00Use of 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23/00 - B29K2049/00, e.g. having a vinyl group, as moulding material
    • B29K20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8Machine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L2031/7506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9Sanitar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및 그 제작방법을 공개하였으며, 수전 본체는 외층의 플라스틱 하우징과 내층의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포함하고, 이중 플라스틱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그 중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사출 성형 시 밸브스풀 장착홈, 냉수급수구, 온수급수구, 냉수급수조, 온수급수조 및 출수조가 형성되고, 또한 냉수급수조, 온수급수조와 출수조에 냉수 급수캐비티, 온수 급수캐비티와 출수캐비티가 형성되도록 각각 밀봉 커버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플라스틱 내부코어에 2차 사출 피복을 실시하여 플라스틱 하우징을 형성하므로, 조립방식으로 수전 본체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진정한 의미의 일체형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플라스틱 내부코어의 전체 구조가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으며; 또한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상이한 형상, 구조의 수조 몸체로 사출 형성하는 제작 공정을 더욱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2차 가공할 필요가 없어 공정이 줄고 생산비용이 절감된다.

Description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및 그 제작 방법{Injection molded water fauc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전은 스테인리스, 주철, 풀 플라스틱, 황동, 아연합금 소재의 수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의 수전은 제작 공정이 번거롭고, 생산비용이 비교적 높다. 종래 사출공정 기술의 제약으로 인해, 플라스틱 수전은 만곡된 수도 또는 불규칙한 형상의 수도로 제작하기 어려워, 직통형 수도로만 제작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풀(full) 플라스틱 수전 본체는 통상적으로 수전 본체를 복수의 부재로 분리하여 각각 플라스틱 성형을 실시한 후, 각 부재들을 함께 조립하여 수전 본체를 형성함으로써, 수류 통로의 설계를 단일화시키는 문제를 해결하였으나, 이러한 수전 본체는 안정성이 나쁘고, 장시간 수압 작용을 받을 경우 파열되어 누수되기 쉬우며, 제품의 사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 내지 3을 들 수 있는데, 특허문헌 1에는 수전금구 본체를 황동소재로 각 부분을 분할 성형하되, 밸브가 설치되는 기준몸체와, 온수 유입구가 형성된 제1조립체와, 냉수유입구가 형성된 제2조립체와, 물 배출구가 형성된 제3조립체로 분할하여 성형하고; 제1 내지 제3조립체 내에 폴리아미드계 수지 조성물로서 유로 및 연결조립부를 갖도록 각각의 내부 성형조립체를 이중으로 사출성형하며; 상기 기준몸체에 대해 제1 내지 제3조립체를 접합하고; 수전금구 본체의 접합된 부위의 보강 및 은폐를 위해 수전금구 본체 외부에 니켈크롬을 도금처리하는 수전금구와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ABS수지와 유리섬유를 혼합한 소재로 기준몸체 및 제1 내지 제3조립체를 사출성형하고, 그 외측에는 단일 ABS수지 조성물 소재로서 외부 성형체를 이중사출한 수전금구 본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냉,온수 및 혼합수가 이동하는 냉,온수 유로관이 인체에 무해한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수지로 이루어지고, 몸체는 ABS수지로 이루어진 수전금구로, 수전금구 제조용 금속제 및 비금속제 부품을 준비하고, 냉온수유로관을 매니폴드에 결합한 후 이 매니폴드 외부에 ABS 수지로 이중사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특허문헌들에 의한 수전금구는 금속 소재를 여전히 사용한다는 점, 내부 몸체의 분할 구조가 복잡하여 이의 성형이 용이하지 않다는 점 및 이들 분할된 내부 몸체의 접합 구조가 불완전하고 견고하지 못하다는 점, 장시간 사용에 의한 유리섬유의 식수 용출 우려 등의 문제점이 남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64920호(2011.09.07.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301542호(2013.08.23.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525216호(2014.07.24.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용적이면서도 안전하며, 염가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및 이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채택한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다.
사출형성된 수전 본체는 외층의 플라스틱 하우징과 내층의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내부코어에 밸브스풀 장착홈, 냉수급수구, 온수급수구, 냉수급수조, 온수급수조 및 출수조가 설치되며, 상기 냉수급수조, 온수급수조와 출수조에 대응되는 수조 몸체와 정합되는 밀봉 커버플레이트가 설치되어 냉수 급수캐비티, 온수 급수캐비티 및 출수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출수조의 밀봉 커버플레이트에 출수구가 개설되며, 상기 냉수급수구는 냉수 급수 캐비티를 통해 밸브스풀 장착홈에 연통되고, 상기 온수급수구는 온수 급수캐비티를 통해 밸스스풀 장착홈에 연통되며, 상기 밸브스풀 장착홈은 출수캐비티를 통해 출수구에 연통되고, 플라스틱 하우징은 플라스틱 내부코어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된 후, 플라스틱 하우징에 각각 밸브스풀 장착홈, 냉수급수구, 온수급수구 및 출수구와 대응되는 관통공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수급수조와 온수급수조 내에 각각 완류구조 및 밸브스풀 장착홈과 연통되는 급수공이 설치되며, 상기 완류구조는 수조 몸체 저부에 설치되는 제1 돌출턱을 포함하여, 상기 냉수급수조 내의 급수공과 온수급수조 내의 급수공이 각각 제1 돌출턱의 상단면에 설치되며, 제1 돌출턱을 통해 수류의 유속을 낮추는 작용을 함으로써, 수압이 플라스틱 내부코어에 가하는 압력을 저하시켜 수류가 더욱 균일하게 급수공으로부터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류구조는 수조 몸체 측벽에 설치되는 제2 돌출턱을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수급수구와 온수급수구는 각각 제2 돌출턱에 설치된다. 즉 제1 돌출턱과 제2 돌출턱은 서로 수직으로 설치되며, 이와 같이 하면 수류가 냉, 온수급수구를 따라 상응하는 급수캐비티 내로 유입된 후, 수류가 방향을 전환하여 대응되는 급수공을 통해 유출되어 수류의 충격를 경감시키기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수급수조의 수조 몸체는 냉수급수구에서 급수공 방향을 따라 점차 넓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온수급수조의 수조 몸체는 온수급 수구에서 급수공 방향을 따라 점차 넓어지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스틱 내부코어에 샤워헤드와 외부 연결되는 출수 조인트 및 출수구와 출수 조인트의 출수를 전환하는 절환스위치를 장착하기 위한 홈공이 더 설치되며, 상기 홈공은 출수조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사출성형되는 수전 본체의 제작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1) 먼저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사출하여,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밸브스풀 장착홈, 냉수급수구, 온수급수구, 냉수급수조, 온수급수조 출수조를 지니도록 일체형으로 사출 형성하는 단계;
(2)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사출 성형한 후, 밀봉 커버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각각 냉수급수조, 온수급수조 및 출수조를 덮어 수류 통로를 형성하며, 그 중 출수조 상의 밀봉 커버 플레이트에 출수구를 개설하는 단계;
(3)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2차 사출하여 외층의 플라스틱 하우징을 형성하고, 이중의 플라스틱 수전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 (3) 중의 2차 사출 피복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 스크류를 각각 플라스틱 내부코어의 냉수급수구, 온수급수구와 출수구 부위에 삽입하여,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고정 스크류와 결합시켜 밀봉된 실체를 형성한 다음;
밀봉 실체를 플라스틱 몰드에 넣고 사출을 실시하여, 플라스틱 내부코어의 표면에 외층의 플라스틱 하우징을 형성한다.
상기 방법 단계에서,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사출 시, 플라스틱 내부코어에 샤워헤드를 외부에서 결합시키기 위한 출수 조인트 및 절환 스위치를 장착하기 위한 홈공을 더 형성하고, 2차 사출 피복 시에도 홈공에 고정 스크류를 삽입하여 밀봉한다.
상기 방법 단계에서, 플라스틱 하우징을 사출 성형한 후, 플라스틱 하우징에 순차적으로 구리층, 니켈층과 크롬층을 도금하는 단계(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 단계에서,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과 플라스틱 내부코어는 모두 ABS와 PC 재료의 혼합 사출을 이용하며, 그 중, ABS 재료의 질량백분비는 20%-90%이고, PC 재료의 질량백분비는 10%-80%이다. 플라스틱 하우징과 플라스틱 내부코어는 내, 외 플라스틱부재가 밀착 결합되어 진정한 의미의 일체형 구조를 이루도록 동일한 재질로 사출하며, 이렇게 하면 수전 본체의 구조가 더욱 견고해진다.
ABS+PC는 내충격성이 높고, 내열성이 높으며, 경도가 높고, 표면 도금 성능이 양호하여, 그 특성이 금속에 더욱 가까우며, 금속 수전보다 더욱 내구적이고, 더욱 친환경적이다. ABS 수지와 PC의 결합은 2가지 재료 성능의 장점을 구비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PC/ABS 혼합 재료 중, PC(폴리카보네이트)는 주로 고내열성, 양호한 인성 및 충격강도, 고강도와 내연성을 부여하고, ABS는 가소성과 외관 품질을 개선하며, 밀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ABS+PC 재료 및 본 발명으로 제조되는 수전은 GB18145-2014 세라믹 카트리지 수전의 성능 및 중금속 석출 표준에 완전히 부합되며, 그 내수압 기계성능은 2.5MPa 압력 하에 60S 표준보다 완전히 높고, 아연의 석출이 없어 사용이 더욱 안전하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전 본체는 이중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이용하며, 그 중,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사출 성형 시 밸브스풀 장착홈, 냉수급수구, 온수급수구, 냉수급수조, 온수급수조와 출수조를 형성하고, 냉수급수조, 온수급수조와 출수조에 각각 밀봉 커버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냉수 급수캐비티, 온수 급수캐비티와 출수캐비티를 형성하며, 일체형 플라스틱 내부코어에 밀봉 커버 플레이트를 결합한 구조로 수전이 더욱 일정하게 힘을 받도록 보장함으로써, 외부 힘의 작용에 의해 삽입식 내부코어 구조에 균열, 파열, 누수 등 품질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2차사출로 피복하여 플라스틱 하우징을 형성하므로, 수전 본체를 조립 방식으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이와 같이 하면, 플라스틱 내부코어의 전체 구조가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내부코어에 상이한 형상, 구조의 수조 몸체를 사출 형성하는 제작 공정을 더욱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2차 가공할 필요가 없어 공정이 줄고 생산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 중 실시예 1을 정면 각도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중 실시예 1을 올려다 보는 각도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중 실시예 1의 저면 시각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중 실시예 1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중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저면 시각에서 바라본 입체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중 플라스틱 내부코어의 저면 시각의 일 조립 방식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중 플라스틱 내부코어의 저면 시각의 또 다른 조립 방식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중 실시예 2를 올려다 보는 각도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중 실시예 2의 저면 시각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중 플라스틱 내부코어의 일 조립 방식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중 플라스틱 내부코어의 또 다른 조립 방식의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중 실시예 2의 저면 시각에서 바라본 분해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중 실시예 2의 정면 시각에서 바라본 분해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2차 사출 피복 시 고정 스크류와 플라스틱 내부코어의 조립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2차 사출 피복 시 몰드와 밀봉 실체의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2차 사출 피복 시 밀봉 실체를 하부 몰드에 방치한 구조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2차 사출 피복 시 상부 몰드와 하부몰드를 조합한 구조도이다.
도 18은 도 17 중 A-A 방향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2차 사출 피복이 완료된 후의 구조도이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사출성형된 수조 본체로서, 상기 실시예는 냉온수가 출수되는 수전에 응용되며, 상기 수전 본체는 외층의 플라스틱 하우징(1)과 내층의 플라스틱 내부코어(2)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1)과 플라스틱 내부코어(2)는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며, 플라스틱 하우징(1)과 플라스틱 내부코어(2)는 모두 T형 구조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라스틱 수전을 만곡형 수도 또는 불규칙한 형상의 수도로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내부코어(2)에 밸브스풀 장착홈(21) 냉수급수구(22), 온수급수구(23), 냉수급수조(26), 온수급수조(27) 및 출수조(28)를 설치하고, 즉 플라스틱 내부코어(2)를 사출 시 개방 수조 구조로 수류 통로를 대체한 후, 냉수급수조(26), 온수급수조(27) 및 출수조(28)의 각 대응하는 수조 몸체와 정합하는 밀봉 커버 플레이트(25)를 설치하여 냉수 급수캐비티, 온수 급수캐비티와 출수캐비티를 형성한다. 그 중, 출수조(28)상의 밀봉 커버 플레이트(25)에 출수구(24)가 개설되며, 냉수급수조(26)과 온수급수조(27)상의 밀봉 커버 플레이트(2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된 밀봉 커버 플레이트(25)로 밀봉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밀봉 커버 플레이트(25)를 이용하여 밀봉하는 두 가지 조립 방식이 있다. 냉수급수구(22)는 냉수 급수캐비티를 통해 밸브스풀 장착홈(21)에 연통되고, 상기 온수급수구(23)는 온수 급수캐비티를 통해 밸브스풀 장착홈(21)에 연통되며, 상기 밸브스풀 장착홈(21)은 출수캐비티를 통해 출수구(24)에 연통되고, 밸브스풀 장착홈(21)의 저부에 출수캐비티와 연통되는 개방공이 설치되며, 플라스틱 하우징(1)과 플라스틱 내부코어(2)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된 후, 플라스틱 하우징(1)에 각각 밸브스풀 장착홈(21), 냉수급수구(22), 온수급수구(23) 및 출수구(24)와 대응되는 관통공(11)이 설치된다. 조립하여 사용 시, 밸브스풀 장착홈(21)은 수전의 밸브스풀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전의 밸브스풀에 손잡이를 장착하여 급수전을 형성하며, 상기 급수전은 욕조, 샤워헤드, 세수대, 세면대, 싱크대에 응용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냉수급수조(26)과 온수급수조(27) 내에 각각 완류구조 및 밸브스풀 장착홈(21)과 연통되는 급수공이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완류구조는 홈체 저부에 설치되는 제1 돌출턱(211) 및 홈체 측벽에 설치되는 제2 돌출턱(212)을 포함한다. 즉, 냉수급수조(26)와 온수급수조(27) 내에 모두 제1 돌출턱(211)과 제2 돌출턱(212)이 설치되며, 그 중, 냉수급수조(26) 내의 급수공과 온수급수조(27) 내의 급수공은 각각 제1 돌출턱(211)의 상단면에 설치되고, 냉수급수구(22)와 온수급수구(23)는 각각 제2 돌출턱(212)에 설치된다. 즉 제1 돌출턱(211)과 제2 돌출턱(212)은 서로 수직으로 설치되며, 이와 같이 하면, 수류가 냉, 온수급수구를 따라 상응하는 급수캐비티 내에 유입된 후, 수류가 흐르는 방향을 바꾸어 대응되는 급수공으로부터 유출되므로, 수류의 충격을 완화시키기에 유리하다. 제1 돌출턱(211)이 수류의 유속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함에 따라, 수압이 플라스틱 내부코어(2)에 미치는 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어, 수류가 급수공으로부터 더욱 균일하게 유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냉수급수조(26)는 냉수급수구(22)로부터 급수공 방향을 따라 점차 넓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온수급수조(27)는 온수급수구(23)로부터 급수공 방향을 따라 점차 넓어지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하면 수류가 부단히 증가되며, 완류가 감압됨과 동시에 급수공의 출수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실시예 2: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2의 구조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플라스틱 내부코어(2)에 샤워헤드와 외부 연결되기 위한 출수 조인트(281) 및 절환 스위치를 장착하기 위한 홈공(282)이 더 설치된다는데 있으며, 구체적으로, 홈공(282)은 출수조(28)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고, 홈공(282) 내에 두 개의 측공이 설치되며, 하나의 측공은 밸브스풀 장착홈(21)에 연통되고, 타 측공은 출수구(24)에 연통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냉수급수조(26)와 온수급수조(27) 상의 밀봉 커버 플레이트(2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된 밀봉 커버 플레이트(25)로 밀봉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밀봉 커버 플레이트(25)를 이용하여 밀봉하는 2가지 조립 방식이 있다. 그 중, 출수조(28) 상의 밀봉 커버 플레이트(25)에 출수 조인트(281)와 대응되는 개구(251)가 개설되고, 플라스틱 하우징(1)에도 출수 조인트(281)와 대응되는 관통공(11)이 설치되며, 구체적으로는 도 12 및 도 13의 분해 구조도를 참조한다. 실시예 2는 샤워 헤드 수전에 응용될 수 있으며, 출수 조인트(281)에 샤워헤드가 연결될 때, 절환 스위치를 통해 출수구(24)와 출수 조인트(271)의 출수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전 본체에 적용되는 제작 방법을 더 제공하며, 이는
(1) 먼저, 플라스틱 내부코어(2)를 사출하여, 플라스틱 내부코어(2)를 밸브스풀 장착홈(21), 냉수급수구(22), 온수급수구(23), 냉수급수조(26), 온수급수조(27)와 출수조(28)를 지니도록 일체형으로 사출 형성하는 단계;
(2) 플라스틱 내부코어(2)를 사출 성형한 후, 밀봉 커버 플레이트(25)를 이용하여 각각 냉수급수조(26), 온수급수조(27) 및 출수조(28)를 덮어 수류 통로를 형성하며, 그 중 출수조(28) 상의 밀봉 커버 플레이트(25)에 출수구(24)를 개설하는 단계;
(3) 플라스틱 내부코어(2)를 2차 사출하여 외층의 플라스틱 하우징(1)을 형성하고, 이중의 플라스틱 수전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4) 플라스틱 하우징(1)을 사출 성형한 후, 플라스틱 하우징(1)에 순서대로 도금층, 니켈층과 크롬층을 도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구리층의 두께는 약 25um이고, 니켈층의 두께는 약 5-20um이며, 크롬층의 두께는 약 0.5um이다.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단계 (3) 중의 2차 사출 피복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 스크류(3)를 각각 플라스틱 내부코어(2)의 냉수급수구, 온수급수구와 출수구 부위에 삽입하되, 상이한 구경에 대응되도록 상이한 치수의 고정 스크류(3)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내부코어(2)를 고정 스크류(3)와 결합시켜 밀봉된 실체를 형성한 다음; 밀봉 실체를 플라스틱 몰드에 넣고 사출을 실시하여, 플라스틱 내부코어(2)의 표면에 외층의 플라스틱 하우징(1)을 형성한다. 도 14 내지 도 19는 실시예 2의 2차 사출 피복 과정의 구조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되는 사출몰드는 상부 몰드(4)와 하부 몰드(5)를 포함하며, 상부 몰드(4)와 하부 몰드(5)에 모두 오목홈이 설치되고, 상기 몰드(4)의 오목홈과 하부 몰드(5)의 오목홈이 결합하여 사출 캐비티를 형성한다. 그 중 상부 몰드(4)에 사출 캐비티와 연통되는 사출구(41)가 설치되며, 사출 시, 밀봉된 실체를 하부 몰드(5)의 오목홈에 방치한 다음, 상부 몰드(4)를 덮어 사출을 실시한다. 사출 캐비티와 플라스틱 내부코어(2) 사이에 간격이 남아있기 때문에, 사출 재료가 사출구(41)로부터 주입되어 간격에 충전되며, 이와 같이 하면 플라스틱 내부코어(2) 표면에 플라스틱 하우징(1)이 형성된다.
상기 단계는 실시예 1을 제작하는 과정이며, 플라스틱 내부코어(2)를 사출 시, 플라스틱 내부코어(2)에 샤워헤드를 외부 연결하기 위한 출수 조인트 및 절환스위치를 장착하기 위한 홈공이 추가되며, 이 경우 실시예 2의 구조를 획득하게 된다. 2차 사출 피복 시, 홈공 역시 고정 스크류(3)를 삽입하여 밀봉한다.
상기 방법 단계에서,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1)과 플라스틱 내부코어(2)는 모두 ABS와 PC 재료의 혼합 사출을 이용하며, 그 중, ABS 재료의 질량백분비는 20%-90%이고, PC 재료의 질량백분비는 10%-80%이다. 플라스틱 하우징(1)과 플라스틱 내부코어(2)는 내, 외 플라스틱부재가 밀착 결합되어 진정한 의미의 일체형 구조를 이루도록 동일한 재질로 사출하며, 이렇게 하면 수전 본체의 구조가 더욱 견고해진다. ABS와 PC 재료를 혼합하여 사출되는 수전 본체는 ABS 재료의 성형성과 PC의 기계성, 충격강도와 내온, 항자외선 등 성질과 같은 두 가지 재료의 탁월한 특성이 결합된다.
또한, ABS+PC는 전기도금 성능 및 표면부착력이 일반 ABS 전기도금 성능보다 높으며, 표면부착력은 GB18145-2014 플라스틱 모체의 도금층 부착 강도 시험 규정에 부합된다. 시험 매질은 공기이며, 먼저 수전을 (70±2)℃의 환경에 두어 30분 동안 유지하였다가 꺼내고, 15℃에서 15분 동안 유지한 다음 -30℃ 환경에 두고 30분 동안 유지하였다고 꺼내어 15℃에서 15분 동안 유지하는 이상의 과정을 하나의 주기로 하여 연속 5주기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표면에 도금층 탈락이 없고 균열, 수포, 느슨해짐 등 현상이 없었다. 표면도금층은 GB/T10125-2013을 통해 24시간 동안 아세트산염 분무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GB/6461-2002 표준에 따르면 9-10등급 이상에 달할 수 있었다. ABS+PC는 성능이 우수하여 종래의 황동 및 종래의 ABS보다 현저히 우수하며,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수전은 향후 건강 생활의 주요 소재가 될 것이다.
상기 제작 방법 중, 플라스틱 내부코어(2)는 2차 사출 피복을 실시하여 플라스틱 하우징(1)을 형성하므로, 조립 방식으로 수전 본체를 제작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하면 플라스틱 내부코어(2)의 전체 구조가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내부코어(2)에 상이한 형상, 구조의 수조 몸체를 형성하는 제작 공정을 더욱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플라스틱 내부코어(2)를 2차 가공할 필요가 없어 공정이 줄고 생산비용이 절감된다.
이상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조를 한정하지 않으며, 동일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기술효과를 달성하는 경우,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여야 한다.
1 : 플라스틱 하우징
2 : 플라스틱 내부코어
11 : 관통공
21 : 밸브스풀 장착홈
22 : 냉수급수구
23 : 온수급수구
24 : 출수구
25 : 밀봉 커버 플레이트
26 : 냉수급수조
27 : 온수급수조
28 : 출수조
211 : 제1 돌출턱
212 : 제2 돌출턱
25 : 개구
271 : 출수 조인트
281 : 출수 조인트
282 : 홈공

Claims (10)

  1. 삭제
  2. 외층의 플라스틱 하우징과 내층의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과 플라스틱 내부코어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는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내부코어에 밸브스풀 장착홈, 냉수급수구, 온수급수구, 냉수급수조, 온수급수조 및 출수조가 설치되며, 상기 냉수급수조, 온수급수조와 출수조에 대응되는 수조 몸체와 정합되는 밀봉 커버플레이트가 설치되어 냉수 급수캐비티, 온수 급수캐비티 및 출수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출수조의 밀봉 커버플레이트에 출수구가 개설되며, 상기 냉수급수구는 냉수 급수 캐비티를 통해 밸브스풀 장착홈에 연통되고, 상기 온수급수구는 온수 급수캐비티를 통해 밸스스풀 장착홈에 연통되며, 상기 밸브스풀 장착홈은 출수캐비티를 통해 출수구에 연통되고,
    상기 냉수급수조와 온수급수조 내에 각각 완류구조 및 밸브스풀 장착홈과 연통되는 급수공이 설치되며, 상기 완류구조는 수조 몸체 저부에 설치되는 제1 돌출턱을 포함하여, 상기 냉수급수조 내의 급수공과 온수급수조 내의 급수공이 각각 제1 돌출턱의 상단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류구조는 수조 몸체 측벽에 설치되는 제2 돌출턱을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수급수구와 온수급수구는 각각 제2 돌출턱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급수조의 수조 몸체는 냉수급수구로부터 급수공 방향을 따라 점차 넓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온수급수조의 수조 몸체는 온수급수구로부터 급수공 방향을 따라 점차 넓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내부코어에 샤워헤드와 외부 연결되는 출수 조인트 및 출수구와 출수 조인트의 출수를 전환하는 절환스위치를 장착하기 위한 홈공이 더 설치되며, 상기 홈공은 출수조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6. (1)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사출하여,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밸브스풀 장착홈, 냉수급수구, 온수급수구, 냉수급수조, 온수급수조 출수조를 지니도록 일체형으로 사출 형성하는 단계;
    (2)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사출 성형한 후, 밀봉 커버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각각 냉수급수조, 온수급수조 및 출수조를 덮어 수류 통로를 형성하며, 그 중 출수조 상의 밀봉 커버 플레이트에 출수구를 개설하는 단계;
    (3)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2차 사출하여 외층의 플라스틱 하우징을 형성하고, 이중의 플라스틱 수전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의 제작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 중의 2차 사출 피복과정은
    먼저 고정 스크류를 각각 플라스틱 내부코어의 냉수급수구, 온수급수구와 출수구 부위에 삽입하여,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고정 스크류와 결합시켜 밀봉된 실체를 형성한 다음;
    밀봉 실체를 플라스틱 몰드에 넣고 사출을 실시하여, 플라스틱 내부코어의 표면에 외층의 플라스틱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의 제작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내부코어를 사출 시, 플라스틱 내부코어에 샤워헤드를 외부 연결하기 위한 출수 조인트 및 절환 스위치를 장착하기 위한 홈공이 더 형성되며, 2차 사출 피복 시, 홈공 역시 고정 스크류를 삽입하여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의 제작 방법.
  9. 제 6-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하우징을 사출 성형한 후, 플라스틱 하우징에 순차적으로 구리층, 니켈층 및 크롬층을 도금하는 단계(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의 제작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과 플라스틱 내부코어는 모두 ABS와 PC 재료의 혼합 사출을 이용하며, 그 중, ABS 재료의 질량백분비는 20%-90%이고, PC 재료의 질량백분비는 1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의 제작 방법.
KR1020160150456A 2016-11-11 2016-11-11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및 그 제작 방법 KR101712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456A KR101712781B1 (ko) 2016-11-11 2016-11-11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및 그 제작 방법
PCT/KR2017/003866 WO2018088648A1 (ko) 2016-11-11 2017-04-10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및 그 제작 방법
US16/338,657 US20190226186A1 (en) 2016-11-11 2017-04-10 Injection-molded faucet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9515470A JP2019530592A (ja) 2016-11-11 2017-04-10 射出成形された水栓本体及びその製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456A KR101712781B1 (ko) 2016-11-11 2016-11-11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및 그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781B1 true KR101712781B1 (ko) 2017-03-07

Family

ID=5841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456A KR101712781B1 (ko) 2016-11-11 2016-11-11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및 그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226186A1 (ko)
JP (1) JP2019530592A (ko)
KR (1) KR101712781B1 (ko)
WO (1) WO2018088648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662Y1 (ko) 2017-12-27 2018-10-17 박경미 플라스틱과 금속이 결합된 수도꼭지 손잡이
CN109237097A (zh) * 2018-10-24 2019-01-18 权泰荣 一种三层注塑成型龙头
KR101946766B1 (ko) 2018-10-31 2019-05-21 박경미 삼중 사출성형 수전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90056651A (ko) * 2017-11-17 2019-05-27 송병규 개선된 수전금구 본체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금구 본체
KR102056054B1 (ko) * 2017-09-21 2019-12-16 주식회사 디아 사출 수전금구
KR102054007B1 (ko) * 2019-01-15 2020-01-22 주식회사 디아 사출 수전금구 제조방법
KR20200072887A (ko) * 2018-12-13 2020-06-23 대림통상 주식회사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그리고 상기 수전 바디를 구비하는 수전
KR102293153B1 (ko) 2021-01-25 2021-08-25 주식회사 티엠씨 이중 사출에 의한 수전 몸통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수전 몸통
KR102382782B1 (ko) * 2021-06-29 2022-04-08 주식회사 다안테크윈 1차 사출물의 안정적인 장착구조를 가지며 인서트방식이 적용된 차량용 인사이드핸들용 이중사출 금형과 금형방법 및 그 인사이드핸들
WO2023143902A1 (de) * 2022-01-31 2023-08-03 Grohe Ag Thermostatmischarmatur und verfahren zur deren herstell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437873U (zh) * 2017-10-17 2018-06-01 范益鹏 一种新型塑料水龙头本体及其制造模具
DE102022106360A1 (de) * 2022-03-18 2023-09-21 Groh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rmaturengehäuses für eine Sanitärarmatur sowie Armaturengehäuse für eine Sanitärarmatur
CN217916444U (zh) * 2022-05-20 2022-11-29 开平市亿展阀芯有限公司 用于制造水龙头本体的模具
US11752676B1 (en) 2022-05-20 2023-09-12 Kaiping Yizhan Valve Core Co., Ltd. Mold for manufacturing faucet body
WO2024003174A1 (en) * 2022-06-29 2024-01-0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Fire resistant enclosure for batteries and inverters and batteries and inverters containing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885U (ko) * 1994-06-13 1996-01-19 문홍식 탕수혼합수전의 물 충격완화기
JPH0985769A (ja) * 1995-09-25 1997-03-31 Toyo Riko Kk 合成樹脂による水栓機器の成形法
KR101064920B1 (ko) 2011-03-14 2011-09-20 송병규 수전금구용 본체의 제조방법 및 수전금구 본체
JP2013002118A (ja) * 2011-06-15 2013-01-07 Lixil Corp 節水型の散水吐水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水栓
KR101301542B1 (ko) 2013-06-03 2013-09-04 송병규 수전금구용 본체의 제조방법
KR101525216B1 (ko) 2013-07-08 2015-06-04 주식회사 한국다무라 하이브리드 리액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3206A (ja) * 2003-03-27 2004-10-21 Toto Ltd 通水部材およびその通水部材を用いた水栓ならびにその通水部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885U (ko) * 1994-06-13 1996-01-19 문홍식 탕수혼합수전의 물 충격완화기
JPH0985769A (ja) * 1995-09-25 1997-03-31 Toyo Riko Kk 合成樹脂による水栓機器の成形法
KR101064920B1 (ko) 2011-03-14 2011-09-20 송병규 수전금구용 본체의 제조방법 및 수전금구 본체
JP2013002118A (ja) * 2011-06-15 2013-01-07 Lixil Corp 節水型の散水吐水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水栓
KR101301542B1 (ko) 2013-06-03 2013-09-04 송병규 수전금구용 본체의 제조방법
KR101525216B1 (ko) 2013-07-08 2015-06-04 주식회사 한국다무라 하이브리드 리액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054B1 (ko) * 2017-09-21 2019-12-16 주식회사 디아 사출 수전금구
KR20190056651A (ko) * 2017-11-17 2019-05-27 송병규 개선된 수전금구 본체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금구 본체
KR102039226B1 (ko) * 2017-11-17 2019-11-26 송병규 개선된 수전금구 본체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금구 본체
KR200487662Y1 (ko) 2017-12-27 2018-10-17 박경미 플라스틱과 금속이 결합된 수도꼭지 손잡이
CN109237097A (zh) * 2018-10-24 2019-01-18 权泰荣 一种三层注塑成型龙头
KR101946766B1 (ko) 2018-10-31 2019-05-21 박경미 삼중 사출성형 수전 및 이의 제작방법
KR20200072887A (ko) * 2018-12-13 2020-06-23 대림통상 주식회사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그리고 상기 수전 바디를 구비하는 수전
KR102167271B1 (ko) * 2018-12-13 2020-10-19 대림통상 주식회사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그리고 상기 수전 바디를 구비하는 수전
KR102054007B1 (ko) * 2019-01-15 2020-01-22 주식회사 디아 사출 수전금구 제조방법
KR102293153B1 (ko) 2021-01-25 2021-08-25 주식회사 티엠씨 이중 사출에 의한 수전 몸통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수전 몸통
KR102382782B1 (ko) * 2021-06-29 2022-04-08 주식회사 다안테크윈 1차 사출물의 안정적인 장착구조를 가지며 인서트방식이 적용된 차량용 인사이드핸들용 이중사출 금형과 금형방법 및 그 인사이드핸들
WO2023143902A1 (de) * 2022-01-31 2023-08-03 Grohe Ag Thermostatmischarmatur und verfahren zur deren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30592A (ja) 2019-10-24
US20190226186A1 (en) 2019-07-25
WO2018088648A1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781B1 (ko)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및 그 제작 방법
CN106065965B (zh) 一种注塑成型的龙头主体及其制作方法
EP295264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ucet.
CA2810218C (en) Hybrid faucet assembly and water way for same
CN101973104A (zh) 一体式龙头水道内芯的成型方法
CN101403441B (zh) 一种塑料水龙头及其制作方法
KR101946766B1 (ko) 삼중 사출성형 수전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90115908A (ko) 수전연결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연결구
KR101794742B1 (ko) 냉온수혼합 수전 및 그 생산방법
KR102039226B1 (ko) 개선된 수전금구 본체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금구 본체
CN102226479B (zh) 一种增强型水龙头及其制备方法
KR20110134673A (ko) 플라스틱 수도꼭지
CN111779862A (zh) 一种水龙头本体及其制造模具
CN203892597U (zh) 一种水龙头阀芯
KR102056054B1 (ko) 사출 수전금구
CN212509650U (zh) 一种水龙头本体及其制造模具
CN205956494U (zh) 一种注塑成型的龙头主体
CN201310655Y (zh) 一种塑料水龙头
CN210034483U (zh) 一种过水无铅防爆的角阀
CN210158561U (zh) 一种喷臂座及洗碗机
KR200491186Y1 (ko)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
KR102054007B1 (ko) 사출 수전금구 제조방법
KR102449617B1 (ko) 친환경 수전
CN214662334U (zh) 一种新型暗装式阀体及其混水阀
KR200491017Y1 (ko) 수도꼭지용 편심 유니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