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186Y1 -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186Y1
KR200491186Y1 KR2020190002094U KR20190002094U KR200491186Y1 KR 200491186 Y1 KR200491186 Y1 KR 200491186Y1 KR 2020190002094 U KR2020190002094 U KR 2020190002094U KR 20190002094 U KR20190002094 U KR 20190002094U KR 200491186 Y1 KR200491186 Y1 KR 200491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member
pipe assembly
discharge pipe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시엘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시엘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시엘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2020190002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1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1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1Fixing a tap to the sanitary appliance or to an associated mounting surface, e.g. a counterto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는,
ABS 수지 재질로서, 정면에서 보아 'ㄱ'자형 단면 형태를 가지며, 선단부에는 물이 토출되는 토수구(112a)가 일체로서 구비된 제 1하우징부재(112)와, 상기 제 1하우징부재(112)와 동일한 재질로서 상기 제 1하우징부재(112)에 삽탈(揷脫)되고, 내부에 냉,온수 및 혼합수가 공급되기 위한 유로(114a)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14a) 방향을 따라 일측면에 제 1삽입돌기(114b)가 일체로서 구비되는 한편, 하단에는 제 2삽입돌기(114c)가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서 구비된 제 1수납부재(114)를 포함하는 제 1배출부(110); 및
ABS 수지 재질로서, 정면에서 보아 'ㄱ'자형 단면 형태를 가지며, 선단부에는 물이 토출되는 토수구(122a)가 일체로서 구비된 제 2하우징부재(122)와, 상기 제 2하우징부재(122)와 동일한 재질로서 상기 제 2하우징부재(122)에 삽탈되고, 내부에 냉,온수 및 혼합수가 공급되기 위한 유로(124a)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24a) 방향을 따라 일측면에 상기 제 1삽입돌기(114b)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1삽입홈(124b)이 일체로서 구비되는 한편, 하단에는 상기 제 2삽입돌기(114c)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삽입홈(124c)이 일체로서 구비된 제 2배출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Water supply discharge pipe assembly of faucet}
본 고안은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면기와 욕조, 샤워기, 싱크대 코브라 수전 등에 설치되어 물이 공급되는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금구(faucet)는 욕실의 세면기나 욕조, 샤워기, 싱크대 코브라 수전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보일러와 연관하여 온수 및 냉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수전금구는 특정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매설된 상태의 냉,온수배관 선단부에 연결시킨 후 개폐 레버의 조작에 의해 공급수의 급,단수와 더불어 냉,온수의 혼합량을 자유롭게 조절시켜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와 토수량으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이러한 수전금구는 사용용도 즉, 주방의 싱크대, 욕실의 세면대와 욕조, 주방용 코브라 수전 등에 따라 냉,온수가 입수되는 냉,온수입수관과 혼합수의 토수관, 그리고 개폐 레버의 조작에 의해 공급수의 급,단수 및 온도와 토수량을 조절시켜 주는 조절요소의 위치는 각기 다른 형상을 갖고 있으나, 냉,온수의 급,단수와 이의 혼합량, 그리고 토수량의 조절에 의한 혼합수의 급수는 동일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통상 수전금구는 몸체와 더불어 다수의 부품(밸브, 개폐 레버, 패킹, 연결호스등)으로 조합되어 사용되며, 부품 중 대표적인 몸체는 주물성형이 용이한 황동소재로 제작된다.
상기 주물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수전금구는 내부에 냉,온수가 흐르는 냉,온수 유로관과 상기 조절요소를 거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정 온도로 혼합된 혼합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수전금구 몸체 일측면을 통해 이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 상태로 하여 몸체를 성형시키고, 주물공정에 의해 성형된 몸체 일측면의 개방부를 밀폐시켜 주기 위하여 별도로 밀폐요소를 제작하여 상기 밀폐요소가 몸체의 일측 개방면에서 누수됨이 없이 결합시켜 주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주물작업에 의한 수전금구 몸체의 제작은 작업에 있어, 환경 오염이 많고 주물작업의 특성상 유해한 성분(흑연 및 불순물 등)이 몸체에 남게 되어 제품으로 설치되어 사용시 특히 식수 부분에서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으며, 주물작업에 따른 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에 이를 기피하는 실정이다.
한편, 수전금구 몸체가 제품으로 적용되어 실 사용됨에 있어, 수전금구의 오랜 사용으로 수전금구 몸체의 내부는 초기 제품에 비해 수돗물로 인한 부식이 심각한 정도가 되기 때문에 위생에 심각한 문제가 되기도 한다.
또한, 뜨거운 온수 사용시 황동재질로 된 수전금구 몸체는 열전달이 빨라 자칫 몸체에 접촉할 경우 노약자나 어린이들과 같은 경우는 쉽게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최근에는 주물공정에 의한 수전금구가 아니고,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간단히 조절시켜 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금구가 소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냉,온수배관과 각각 체결되며 냉,온수가 각각 흐르는 냉,온수흐름관과, 상기 냉,온수흐름관이 연결되어 냉,온수를 혼합시켜 주는 혼합관, 상기 혼합관에서 혼합된 혼합수가 토수될 수 있도록 하는 토수관을 수전금구의 사용용도에 맞는 형상 모양을 갖도록 별도로 연결시켜 주고, 이들을 감싸주면서 수전금구의 형상 모양이 될 수 있도록 분할된 몸체를 결합시켜 체결나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수전금구는 주물공정에 의하지 않으므로 전술한 단점을 해소시키고, 제작이 용이하므로 제작단가 및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나,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여 조립되는 수전금구는 냉,온수와 빈번하게 접촉하는 과정에서 물에 함유된 염소와의 화학 반응에 의해 합성수지의 유독 성분이 물에 함유된 상태로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물이 공급되는 토수구를 포함하는 공급수(供給水) 배출관의 경우, 물이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수전금구 구성 요소이므로, 냉,온수와 빈번하게 접촉하는 과정에서 물에 함유된 염소와의 화학 반응에 의해 합성수지의 유독 성분이 물에 함유된 상태로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64920호(2011.09.0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78758호(2005.08.08)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냉,온수와 빈번하게 접촉하는 과정에서 물에 함유된 염소와의 화학 반응에 의해 합성수지의 유독 성분이 물에 함유된 상태로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는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중 사출 제조 방식에 의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에 따른 불량율이 감소되는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전금구의 각 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용접이나 납땜과 같은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한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일체형 구조를 통해 관련 부품의 감소가 가능하고,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개선되는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출방식의 채용에 의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BS수지 재질로서, 정면에서 보아 'ㄱ'자형 단면 형태를 가지며, 선단부에는 물이 토출되는 토수구(112a)가 일체로서 구비된 제 1하우징부재(112)와, 상기 제 1하우징부재(112)와 동일한 재질로서 상기 제 1하우징부재(112)에 삽탈(揷脫)되고, 내부에 냉,온수 및 혼합수가 공급되기 위한 유로(114a)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14a) 방향을 따라 일측면에 제 1삽입돌기(114b)가 일체로서 구비되는 한편, 하단에는 제 2삽입돌기(114c)가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서 구비된 제 1수납부재(114)를 포함하는 제 1배출부(110); 및
ABS수지 재질로서, 정면에서 보아 'ㄱ'자형 단면 형태를 가지며, 선단부에는 물이 토출되는 토수구(122a)가 일체로서 구비된 제 2하우징부재(122)와, 상기 제 2하우징부재(122)와 동일한 재질로서 상기 제 2하우징부재(122)에 삽탈되고, 내부에 냉,온수 및 혼합수가 공급되기 위한 유로(124a)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24a) 방향을 따라 일측면에 상기 제 1삽입돌기(114b)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1삽입홈(124b)이 일체로서 구비되는 한편, 하단에는 상기 제 2삽입돌기(114c)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삽입홈(124c)이 일체로서 구비된 제 2배출부(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배출부(110)와 제 2배출부(120)는,
상기 제 1삽입돌기(114b)와 제 1삽입홈(124b), 상기 제 2삽입돌기(114c)와 제 2삽입홈(124c)이 각각 암수결합되어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100)를 구성하며,
상기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100)는 이중사출 금형(mold)내에서 이 금형의 공간부에 액상의 ABS수지를 주입하여 공간부를 충진하여 성형되는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100)는,
초음파(ultrasonics)결합, 본딩(bonding)결합, 피스(piss)결합, 열접착결합, 열융착결합 방식 중 선택된 하나의 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물이 공급되는 토수구를 포함하는 공급수 배출관 즉, 제 1배출부(110)와 제 2배출부(120)가 인체에 무해한 ABS수지 재질을 가지므로, 냉,온수와 빈번하게 접촉하는 과정에서 물에 함유된 염소와의 화학 반응에 의해 합성수지의 유독 성분이 물에 함유된 상태로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이 방지된다.
둘째, 이중 사출 제조 방식에 의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에 따른 불량율이 감소된다.
셋째, 수전금구의 각 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용접이나 납땜과 같은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일체형 구조를 통해 관련 부품의 감소가 가능하고,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개선된다.
다섯째, 사출방식의 채용에 의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가 적용되는 수전금구가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가 적용되는 수전금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전금수에 있어서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 1배출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 2배출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 1배출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 2배출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가 적용되는 샤워겸용 수전금구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가 적용되는 코브라 수전금구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가 적용되는 수전금구가 세면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가 적용되는 수전금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전금수에 있어서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 1배출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 2배출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 1배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에 있어서의 제 2배출부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본 고안은 본 고안자가 선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25216호, 발명의 명칭 : 수전금구 제조방법)을 응용 내지 개선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100)는 개폐 레버(140)와 함께 수전금구(F)를 구성하여 세면대(S)에 설치되어 있다. 세면대외에 욕조, 샤워기, 싱크대 코브라 수전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며, 보일러와 연관하여 온수 및 냉수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수전금구(F)는 특정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매설된 상태의 냉,온수배관 선단부에 연결시킨 후 개폐 레버(140)의 조작에 의해 공급수의 급,단수와 더불어 냉,온수의 혼합량을 자유롭게 조절시켜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와 토수량으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이 적용되는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100)는 크게 제 1배출부(110)와 제 2배출부(120)를 포함하며, 좌우 결합방식이다.
제 1배출부(110)는 편의상 도 3의 왼편(좌측)에 있는 구성 요소로서, 도 4를 참조하면 공급수 배출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 외형을 구성하는 제 1하우징부재(112)와, 이 제 1하우징부재(112)에 수납되는 제 1수납부재(114)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하우징부재(112)는 인체에 무해한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styrene) 즉, ABS수지 재질로서 정면에서 보아 대략 'ㄱ'자형 단면 형태를 가지며, 선단부에는 물이 토출되는 토수구(112a)가 일체로서 돌출 형성된다.
상기한 ABS 수지의 아크릴로니트릴 용출량은 독성참고치(RfD)의 0.0005%에 불과해 안전한 수준이라는 식약처의 2014년 검사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제 1수납부재(114)는 제 1하우징부재(112)와 동일한 재질로서 제 1하우징부재(112)에 삽탈(揷脫)되고, 내부에 냉,온수 및 혼합수가 공급되기 위한 유로(114a)가 형성되며, 이 유로(114a) 방향을 따라 제 1수납부재(114)의 일측면에는 후술하는 제 2수납부재(124)의 제 1삽입홈(124b)에 결합되기 위한 제 1삽입돌기(114b)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제 1수납부재(114)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제 2수납부재(124)의 제 2삽입홈(124c)에 결합되기 위한 제 2삽입돌기(114c)가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서 형성된다.
또한, 제 1수납부재(114)의 후단에 구비된 공간부(V)에 개폐 레버(140)가 냉, 온수 및 혼합수의 공급 및 배출을 제어 및 단속하기 위한 단속부재(일명, 카트리지)(미도시)와 함께 수납되며, 공간부(V) 하단에는 전술한 단속부재가 안착결합되며, 공급되는 냉, 온수를 단속부재에 제공하는 조절부재 즉, 매니폴드(manifold)(130)가 반원 형태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이 매니폴드에는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수유로관 및 온수유로관이 각각 연결되기 위한 연결공(13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단속부재와 매니폴드(130)는 ABS수지 재질로서 이루어진다.
제 2배출부(120)는 편의상 도 3의 오른편(우측)에 있는 구성 요소로서, 도 5를 참조하면 공급수 배출관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타측 외형을 구성하는 제 2하우징부재(122)와, 이 제 2하우징부재(122)에 수납되는 제 2수납부재(124)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2하우징부재(122)는 제 1하우징부재(112)와 동일한 재질 및 형태로서, 선단부에는 물이 토출되는 토수구(122a)가 일체로서 돌출 형성된다.
제 2수납부재(124)는 제 2하우징부재(122)와 동일한 재질로서 제 2하우징부재(122)에 삽탈(揷脫)되고, 내부에 냉,온수 및 혼합수가 공급되기 위한 유로(124a)가 형성되며, 이 유로(124a) 방향을 따라 제 2수납부재(114)의 일측면에는 전술한 제 1삽입돌기(114b)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1삽입홈(124b)이 일체로서 형성되는 한편, 제 2수납부재(124)의 하단에는 전술한 제 2삽입돌기(114c)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삽입홈(124c)이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어서, 제 1수납부재(114)는 제 1하우징부재(112)에 수납되고, 제 2수납부재(124)는 제 2하우징부재(122)에 각각 수납된 상태에서 제 1수납부재(114)와 제 2수납부재(124)는 서로 암수결합된다.
또한, 제 2수납부재(124)의 후단에 구비된 공간부(V)에 전술한 개폐 레버(140)가 단속부재(일명, 카트리지)(미도시)와 함께 수납되고, 공간부(V) 하단에는 공급되는 냉, 온수를 단속부재에 제공하는 매니폴드(130)가 반원 형태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이 매니폴드(130)에는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수유로관 및 온수유로관이 각각 연결되기 위한 연결공(13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단속부재와 매니폴드(130)는 ABS수지 재질로서 이루어지나. 제 1 및 제 2하우징부재(112,122), 제 1 및 제 2수납부재(114,124), 단속부재와 매니폴드(130)는 전술한 ABS수지외에 인체에 무해한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제 1배출부(110)와 제 2배출부(120)는 제 1삽입돌기(114b)와 제 1삽입홈(124b), 제 2삽입돌기(114c)와 제 2삽입홈(124c)이 각각 암수결합되어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100)를 구성하며, 이와 같은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100)를 이중사출 금형(mold)(미도시)내에서 이 금형의 공간부에 액상의 ABS수지를 주입하여 공간부를 충진하여 성형시킴에 따라, 매니폴드(130)가 제 1, 제 2배출부(110)(120)에 의해 감싸진 형태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100)이 얻어진다.
이때, 1차 암수결합된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100)는 상기한 이중사출 방식 외에 다른 결합방식 가령, 초음파(ultrasonics)결합, 본딩(bonding)결합, 피스(piss)결합, 열접착결합, 열융착결합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준비된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100)의 매니폴드(130)에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수유로관 및 온수유로관이 각각 연결하고, 이 냉,온수유로관에 벽면의 냉,온수배관(미도시)과 연결되는 편심(偏心)셋트(미도시)를 연결하며, 공간부(V)에 전술한 개폐 레버(140)와 단속부재를 각각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수전금구는 개폐 레버(140)를 조작하여 물을 틀면 단속부재가 개방되면서 냉,온수 유로관과 연결된 매니폴드(130)를 통해 냉,온수가 단속부재에서 혼합된 후, 이 혼합수가 매니폴드(130)를 거쳐 토수구(112a)를 통해 냉, 온수 및 혼합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본 고안에 따르면, 물이 공급되는 토수구를 포함하는 공급수 배출관 즉, 제 1배출부(110)와 제 2배출부(120)가 인체에 무해한 ABS수지 재질을 가지므로, 냉,온수와 빈번하게 접촉하는 과정에서 물에 함유된 염소와의 화학 반응에 의해 합성수지의 유독 성분이 물에 함유된 상태로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중 사출 제조 방식에 의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에 따른 불량율이 감소된다.
또한, 수전금구의 각 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용접이나 납땜과 같은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체형 구조를 통해 관련 부품의 감소가 가능하고,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개선된다.
또한, 사출방식의 채용에 의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200)가 적용되는 샤워겸용 수전금구(F-1)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샤워기(240)가 연결되는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200)가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부 배출관(210)과, 하부 배출관(220)으로 구성되어 서로 암수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부 배출관(210)에 개폐 레버(230)가 연결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한편,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300)가 적용되는 코브라 수전금구(F-2)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300)가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부 배출관(310)과, 하부 배출관(320)으로 구성되어 서로 암수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 110 : 제 1배출부
112 : 제 1하우징부재 114 : 제 1수납부재
120 : 제 2배출부 122 : 제 2하우징부재
124 : 제 2수납부재 130 : 매니폴드
132 : 연결공 200 : 개폐 레버

Claims (2)

  1. ABS 수지 재질로서, 정면에서 보아 'ㄱ'자형 단면 형태를 가지며, 선단부에는 물이 토출되는 토수구(112a)가 일체로서 구비된 제 1하우징부재(112)와, 상기 제 1하우징부재(112)와 동일한 재질로서 상기 제 1하우징부재(112)에 삽탈(揷脫)되고, 내부에 냉,온수 및 혼합수가 공급되기 위한 유로(114a)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14a) 방향을 따라 일측면에 제 1삽입돌기(114b)가 일체로서 구비되는 한편, 하단에는 제 2삽입돌기(114c)가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서 구비된 제 1수납부재(114)를 포함하는 제 1배출부(110); 및
    ABS 수지 재질로서, 정면에서 보아 'ㄱ'자형 단면 형태를 가지며, 선단부에는 물이 토출되는 토수구(122a)가 일체로서 구비된 제 2하우징부재(122)와, 상기 제 2하우징부재(122)와 동일한 재질로서 상기 제 2하우징부재(122)에 삽탈되고, 내부에 냉,온수 및 혼합수가 공급되기 위한 유로(124a)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24a) 방향을 따라 일측면에 상기 제 1삽입돌기(114b)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1삽입홈(124b)이 일체로서 구비되는 한편, 하단에는 상기 제 2삽입돌기(114c)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삽입홈(124c)이 일체로서 구비된 제 2수납부재(124)를 포함하는 제 2배출부(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수납부재(114)는 제 1하우징부재(112)에 수납되고, 상기 제 2수납부재(124)는 제 2하우징부재(122)에 각각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수납부재(114)와 제 2수납부재(124)는 서로 암수결합되며,
    상기 제 1배출부(110)와 제 2배출부(120)는,
    상기 제 1삽입돌기(114b)와 제 1삽입홈(124b), 상기 제 2삽입돌기(114c)와 제 2삽입홈(124c)이 각각 암수결합되어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100)를 구성하며,
    상기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100)는 이중사출 금형(mold)내에서 이 금형의 공간부에 액상의 ABS 수지를 주입하여 공간부를 충진하여 성형되고,
    상기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100)는,
    초음파(ultrasonics)결합, 본딩(bonding)결합, 피스(piss)결합, 열접착결합, 열융착결합 방식 중 선택된 하나의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


  2. 삭제
KR2020190002094U 2019-05-23 2019-05-23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 KR200491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94U KR200491186Y1 (ko) 2019-05-23 2019-05-23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94U KR200491186Y1 (ko) 2019-05-23 2019-05-23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186Y1 true KR200491186Y1 (ko) 2020-03-02

Family

ID=6976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094U KR200491186Y1 (ko) 2019-05-23 2019-05-23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1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458B1 (ko) * 2021-03-30 2021-11-18 주식회사 시원 외관 교체 가능한 수전금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758A (ko) 2004-02-02 2005-08-08 주식회사 오아시스이앤지 수전금구와 이의 제조방법
KR101064920B1 (ko) 2011-03-14 2011-09-20 송병규 수전금구용 본체의 제조방법 및 수전금구 본체
KR101102126B1 (ko) * 2010-06-09 2012-01-02 이우진 플라스틱 수도꼭지
JP2012531548A (ja) * 2009-06-26 2012-12-10 ハヴァス セラミック射出成形中子構造体を用いて金属部品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301542B1 (ko) * 2013-06-03 2013-09-04 송병규 수전금구용 본체의 제조방법
KR101425216B1 (ko) * 2014-06-05 2014-08-01 이재춘 수전금구 제조방법
KR101756009B1 (ko) * 2016-04-11 2017-07-07 대림통상 주식회사 수전금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758A (ko) 2004-02-02 2005-08-08 주식회사 오아시스이앤지 수전금구와 이의 제조방법
JP2012531548A (ja) * 2009-06-26 2012-12-10 ハヴァス セラミック射出成形中子構造体を用いて金属部品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102126B1 (ko) * 2010-06-09 2012-01-02 이우진 플라스틱 수도꼭지
KR101064920B1 (ko) 2011-03-14 2011-09-20 송병규 수전금구용 본체의 제조방법 및 수전금구 본체
KR101301542B1 (ko) * 2013-06-03 2013-09-04 송병규 수전금구용 본체의 제조방법
KR101425216B1 (ko) * 2014-06-05 2014-08-01 이재춘 수전금구 제조방법
KR101756009B1 (ko) * 2016-04-11 2017-07-07 대림통상 주식회사 수전금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458B1 (ko) * 2021-03-30 2021-11-18 주식회사 시원 외관 교체 가능한 수전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216B1 (ko) 수전금구 제조방법
US10767352B2 (en) Hybrid faucet assembly and water way for same
US7819137B2 (en) Valve mounting assembly
US3796380A (en) Molded plastic plumbing fixture
KR200491186Y1 (ko)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
KR101867242B1 (ko) 수전금구
JP2012172772A (ja) 混合水栓
KR101102126B1 (ko) 플라스틱 수도꼭지
KR101794742B1 (ko) 냉온수혼합 수전 및 그 생산방법
KR102039226B1 (ko) 개선된 수전금구 본체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금구 본체
KR101323625B1 (ko) 토출구 교체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JP6441758B2 (ja) 湯水混合栓への給水および給湯ホース組付け機構
KR101008756B1 (ko) 인서트에 의한 누수방지용 밸브소켓
KR101080121B1 (ko)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KR101737402B1 (ko) 수도전
CN215858012U (zh) 用于卫生配件的流体组件和卫生配件
KR100416382B1 (ko) 다용도 코크
CA2681259C (en) Valve mounting assembly
KR200348809Y1 (ko) 수전금구
KR20050078758A (ko) 수전금구와 이의 제조방법
KR200410675Y1 (ko) 다용도 코크
KR101112616B1 (ko) 혼합수전의 구조
JPH093990A (ja) 二重管構造の吐水管
JP2002180511A (ja) 混合水栓の配管接続構造
JP2001262640A (ja) 単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