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121B1 -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121B1
KR101080121B1 KR1020100006934A KR20100006934A KR101080121B1 KR 101080121 B1 KR101080121 B1 KR 101080121B1 KR 1020100006934 A KR1020100006934 A KR 1020100006934A KR 20100006934 A KR20100006934 A KR 20100006934A KR 101080121 B1 KR101080121 B1 KR 101080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ld water
cold
pipe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488A (ko
Inventor
박현규
이광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도
Priority to KR1020100006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1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금구의 본체에 설치되는 메니폴드의 냉수유입통로 및 온수유입통로와, 냉수 및 온수를 공급받는 온수 및 냉수 유입부재에 냉수 및 온수이동관을 용이하게 조립 및 연결할 수 있은은 물론, 수전금구의 내부 공간이 협소하더라더 냉수 및 온수이동관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수전금구에 적용할 수 있고, 수전금구의 제작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 cold and hot water pipe joining structure of faucet }
본 발명은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전금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수 및 온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단부를 메니폴드와 냉수 및 온수 유입부재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수전금구용 급수이동관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금구는 세면대나 욕조에 설치되어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배출한다.
이와 같은 수전금구는 주물방식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사출성형이나 다이캐스팅 등의 방식으로 제조되는 본체의 내부에 냉수 및 온수가 이동할 수 있는 냉수 및 온수이동관을 구비하는 방식이 있다.
먼저 주물방식의 수전금구의 경우 본체의 내부에 냉수 및 온수가 이동할 수 있는 냉수 및 온수 유로가 형성되어 수전금구가 무겁고 제조원가가 높고, 본체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수전금구를 통째로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비용에 대한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다.
한편, 냉수 및 온수가 이동할 수 있는 냉수 및 온수이동관을 본체의 내부에 조립하여 만드는 사출성형이나 다이캐스팅 방식의 수전금구의 경우 주물방식의 수전금구에 비해 제조원가가 저렴하지만,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양단부를 본체에 설치되는 메니폴드의 냉수 및 온수유입통로와 냉수 및 온수를 공급받는 냉수 및 온수유입부재에 연결하는 경우 통상 누수 등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 결합하는 방식으로 체결하거나 용접 등을 통해 연결해야 함에 따라 협소한 본체 내부에서 조립 및 연결이 까다롭다. 또한 누수방지를 위한 나사 결합 방식이나 용접방식으로 인해 수전금구의 다양한 디자인에 한계가 있음은 물론 비용절감 역시 일정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전금구의 본체에 설치되는 메니폴드의 냉수유입통로 및 온수유입통로와, 냉수 및 온수를 공급받는 온수 및 냉수 유입부재에 냉수 및 온수이동관을 용이하게 조립 및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된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전금구의 내부 공간이 협소하더라더 냉수 및 온수이동관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수전금구에 적용할 수 있고, 수전금구의 제작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전금구의 본체 내부에 내장되어 카트리지에 냉수 및 온수를 안내하는 메니폴드와, 그 메니폴드에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냉수 및 온수 유입부재를 연결하는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냉수이동관의 양측에는 제1 및 제2지지턱이 각각 형성되어 누수방지용 제1 및 제2링체가 끼워져 지지되고, 상기 온수이동관의 양측에는 제3 및 제4지지턱이 형성되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누수방지용 제3 및 제4링체가 끼워져 지지되며; 상기 메니폴드는 냉수유입통로와 온수유입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냉수유입통로는 냉수이동관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냉수유입부에 상기 제1링체가 걸리는 제1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유입통로는 온수이동관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온수유입부에 상기 제3링체가 걸리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냉수유입부재는 상기 냉수이동관의 타단부가 체결되는 냉수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유입부재에는 상기 온수이동관의 타단부가 체결되는 온수유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냉수유입부는 그 입구에 냉수이동관의 일단부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확관되는 제1경사면과 제1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유입부는 그 입구에 온수이동관의 일단부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확관되는 제2경사면과 제2안내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니폴드의 제1 및 제2안내면의 내경은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제1 내지 제4지지턱의 외경에 비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수유입공의 내부에는 단차지게 제3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유입공의 내부에는 단차지게 제4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타단부에 체결되는 제3 및 제4링체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니폴드의 냉수유입통로 및 온수유입통로와 냉수 및 온수를 공급받는 온수 및 냉수유입부재에 냉수 및 온수이동관을 억지끼움식으로 간단하게 조립하면서도 냉수와 온수의 누수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협소한 체결 공간을 가지는 수전금구에서도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단부를 메니폴드와 온수 및 냉수유입부재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수전금구에 적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수전금구를 디자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단부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결과적으로 수전금구 제작 비용 역시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수전금구의 일 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수전금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 및 온수이동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 및 온수이동관이 메니폴드에 체결된 측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하부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적용된 수전금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100,110)은 수전금구(1)의 본체(10) 내부에 내장되어 카트리지(20)에 냉수 및 온수를 안내하는 메니폴드(200)와, 그 메니폴드(200)에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냉수 및 온수 유입부재(300,310)를 연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냉수 및 온수이동관(100,110)이 적용되는 수전금구(1)는 본체(10)와,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냉수 또는 온수의 배출량 및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12)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핸들(12)의 조작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를 혼합시켜 배출하는 카트리지(20)와, 상기 카트리지(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카트리지(20)에 냉수 및 온수 유입부재(300,310)를 통해 공급되는 냉수 및 온수를 안내하는 메니폴드(2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냉수 및 온수 유입부재(300,310)는 수전금구(1)의 용도에 따라 본체(10)의 후측 또는 하측에 구비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냉수 및 온수 유입부재(300,310)가 본체(10)의 후측에 구비되는 수전금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기가 구비되어 버튼(32) 조작에 따라 샤워기(13)로의 냉수 및 온수의 배출을 개폐하는 공지(公知)의 전환수단(30)이 구비되어 욕조용으로 사용되며, 냉수 및 온수 유입부재(300,310)가 본체(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수전금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용으로 사용된다. 물론, 상기 냉수 및 온수 유입부재(300,310)는 세면대용 또는 욕조용 수전금구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수전금구에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의 주된 구성인 냉수 및 온수이동관(100,110), 메니폴드(200)와, 냉수 및 온수 유입부재(300,31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냉수 및 온수이동관(100,110)은 본체(10)의 공간부(11) 구조에 따라 (-)자, (ㄱ)자, (S)자 등의 다양한 모양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냉수이동관(100)의 양측에는 제1 및 제2지지턱(102,104)이 각각 형성되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누수방지용 제1 및 제2링체(106,108)가 끼워져 지지되고, 상기 온수이동관(110)의 양측에는 제3 및 제4지지턱(112,114)이 형성되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누수방지용 제3 및 제4링체(116,118)가 끼워져 지지된다.
이때, 상기 냉수 및 온수이동관(100,110)의 양측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지지턱(102,104,112,114)의 외경에 비해 누수방지용 제1 내지 제4링체(106,108,116,118)의 외경을 더 크게 형성하여 제1 내지 제4링체(106,108,116,118)에 의해서 누수를 방지하고, 제1 내지 제4지지턱(102,104,112,114)은 제1 내지 제4링체(106,108,116,118)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냉수 및 온수이동관(100,11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메니폴드(200)는 본체(10)의 공간부(11)에 안착되는 것으로 냉수유입통로(210)와 온수유입통로(220)가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 누수방지용 오링(201)이 체결된다.
이와 같은 냉수유입통로(210)의 냉수유입부(212)는 냉수이동관(100)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냉수유입통로(210)의 냉수배출부(214)는 카트리지(20)의 냉수유입부(21)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유입통로(220)의 온수유입부(222)는 온수이동관(110)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온수유입통로(220)의 온수배출부(224)는 카트리지(20)의 온수유입부(22)와 연통된다.
이 경우 냉수유입통로(210)의 냉수유입부(212)는 내부에 단차지게 제1걸림턱(213)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유입통로(220)의 온수유입부(222)는 내부에 단차지게 제2걸림턱(2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수유입통로(210)의 냉수유입부(212)는 그 입구에 냉수이동관(200)의 일단부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확관되는 제1경사면(212a) 및 제2안내면(212b)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유입통로(220)의 온수유입부(222)는 그 입구에 온수이동관(110)의 일단부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확관되는 제2경사면(222a) 및 제2안내면(222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메니폴드(200)의 냉수유입부(212)에 냉수이동관(100)의 일단부를 끼우는 경우 냉수유입부(212)의 입구인 제1경사면(212a)이 확관된 상태여서 냉수이동관(100)의 일단부를 용이하게 냉수유입부(212)의 제1안내면(212b)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때, 냉수이동관(100)의 일단부를 더욱 깊숙히 억지끼움식으로 밀어넣는 경우 제1링체(106)가 냉수유입부(212)의 제1안내면(212b)과 냉수이동관(1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함은 물론 제1걸림턱(213)에 제1링체(106)가 걸리게 되어 더 이상의 깊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냉수이동관(100)을 소정각도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해 추후 냉수유입부재(300)에 냉수이동관(100)의 타단부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니폴드(200)의 온수유입부(222)에 온수이동관(110)의 일단부를 끼우는 경우 온수유입부(222)의 입구인 제2경사면(222a)이 확관된 상태여서 온수이동관(110)의 일단부를 용이하게 온수유입부(222)의 제2안내면(222b)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때, 온수이동관(110)의 일단부를 더욱 깊숙히 억지끼움식으로 밀어넣는 경우 제3링체(116)가 온수유입부(222)의 제2안내면(222b)과 온수이동관(1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함은 물론 제2걸림턱(223)에 제3링체(116)가 걸리게 되어 더 이상의 깊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온수이동관(110)을 소정각도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해 추후 온수유입부재(310)에 온수이동관(110)의 타단부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수이동관(100)의 일단부는 상기 메니폴드(200)에 형성되는 냉수유입통로(210)의 냉수유입부(212)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주는 경우 제1링체(106)에 의해 냉수가 냉수유입통로(210)의 냉수유입부(212)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해주고, 상기 온수이동관(110)의 일단부는 상기 메니폴드(200)에 형성되는 온수유입통로(220)의 온수유입부(222)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주는 경우 제3링체(116)에 의해 온수가 온수유입통로(220)의 온수유입부(222)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해주게 된다.
특히, 본체(10)의 공간부(11)가 협소한 경우에는 상기 냉수 및 온수이동관(100,110)을 본체(10)의 공간부(11) 내측에 비스듬히 끼우고 밀착시킴으로서 냉수유입통로(210)의 냉수유입부(212)와 온수유입통로(220)의 온수유입부(222)에 끼울 수 있어 그 조립이 용이하고, 다양한 형태의 수전금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측부에는 냉수배관(14)과 온수배관(15)으로 부터 공급되는 냉수 및 온수가 유입되는 냉수 및 온수 유입부재(300,310)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냉수유입부재(300)에는 냉수유입공(302)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유입부재(310)에는 온수유입공(312)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냉수유입공(300)의 내부에는 단차지게 제3걸림턱(303)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유입공(312)의 내부에는 단차지게 제4걸림턱(31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냉수 및 온수유입부재(300,3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본체(10)에 구비되는 너트 등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냉수 및 온수유입부재(300,310)를 고정시에는 냉수 및 온수배관(14,15)이 연결되는 너트부재(320,330)가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냉수이동관(100)의 타단부에는 제2링체(108)가 끼워져 상기 냉수유입부재(300)의 냉수유입공(302)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주는 경우 제2링체(108)에 의해 냉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해주고, 상기 온수이동관(110)의 타단부는 상기 온수유입부재(310)의 온수유입공(312)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주는 경우 제4링체(118)에 의해 온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에는 냉수 또는 온수의 수압(水壓)에 의해 냉수 및 온수이동관(100,110)의 타단부가 냉수 및 온수유입부재(300,310)로 부터 분리 이탈되고 그로 인한 냉수 및 온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지지편(330,332)으로 지지하고, 마감판(331,333)으로 공간부(11)의 개구부를 마감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냉수 및 온수이동관(100,110)은 본체(10)의 공간부(11)에 미리 설치되는 메니폴드(200)의 냉수 및 온수유입통로(210,220)의 냉수유입부(212) 및 온수유입부(222)에 냉수 및 온수이동관(100,110)의 일단부를 각각 억지끼움식으로 먼저 체결하고, 필요에 따라 지지편(330,332)으로 지지한 후, 냉수 및 온수 유입부재(300,310)를 본체(10)에 결합하면서 냉수유입공(302) 및 온수유입공(312)에 냉수 및 온수이동관(100,110)의 타단부를 각각 체결하게 된다.
이상의 냉수 및 온수이동관(100,110)이 체결되는 수전금구는 욕조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면대용 수전금구에도 동일하게 냉수 및 온수이동관(100,110)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수 및 온수유입부재(300,310)는 외부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관체 형태의 제1 및 제2연결부재(340,350)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재(340,350)의 일단부가 본체(10)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수전금구 10: 본체
11: 공간부 100: 냉수이동관
110: 온수이동관 200: 메니폴드
300: 냉수유입부재 310: 온수유입부재

Claims (4)

  1. 수전금구(1)의 본체(10) 내부에 내장되어 카트리지(20)에 냉수 및 온수를 안내하는 메니폴드(200)와, 그 메니폴드(200)에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냉수 및 온수 유입부재(300,310)를 연결하는 냉수 및 온수이동관(100,110)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냉수이동관(100)의 양측에는 제1 및 제2지지턱(102,104)이 각각 형성되어 누수방지용 제1 및 제2링체(106,108)가 끼워져 지지되고, 상기 온수이동관(110)의 양측에는 제3 및 제4지지턱(112,114)이 형성되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누수방지용 제3 및 제4링체(116,118)가 끼워져 지지되며;
    상기 메니폴드(200)는 냉수유입통로(210)와 온수유입통로(220)가 형성되되, 상기 냉수유입통로(210)는 냉수이동관(10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냉수유입부(212)에 상기 제1링체(106)가 걸리는 제1걸림턱(213)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유입통로(220)는 온수이동관(11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온수유입부(222)에 상기 제3링체(116)가 걸리는 제2걸림턱(223)이 형성되며;
    상기 냉수유입부재(300)는 상기 냉수이동관(100)의 타단부가 체결되는 냉수유입공(302)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유입부재(310)에는 상기 온수이동관(110)의 타단부가 체결되는 온수유입공(3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유입부(212)는 그 입구에 냉수이동관(200)의 일단부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확관되는 제1경사면(212a) 및 제1안내면(212a)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유입부(222)는 그 입구에 온수이동관(110)의 일단부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확관되는 제2경사면(222a) 및 제2안내면(222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니폴드(200)의 냉수유입통로(210) 및 온수유입통로(220)는 제1 및 제2안내면(212b,222b)의 내경이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제1 내지 제4지지턱(102,104,112,114)의 외경에 비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유입공(300)의 내부에는 단차지게 제3걸림턱(303)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유입공(312)의 내부에는 단차지게 제4걸림턱(313)이 형성되어, 상기 냉수 및 온수이동관(100,110)의 타단부에 체결되는 제3 및 제4링체(116,118)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KR1020100006934A 2010-01-26 2010-01-26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KR101080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934A KR101080121B1 (ko) 2010-01-26 2010-01-26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934A KR101080121B1 (ko) 2010-01-26 2010-01-26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488A KR20110087488A (ko) 2011-08-03
KR101080121B1 true KR101080121B1 (ko) 2011-11-04

Family

ID=44926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934A KR101080121B1 (ko) 2010-01-26 2010-01-26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387Y1 (ko) * 2014-05-22 2014-11-27 이재춘 혼합수전의 매니폴드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195Y1 (ko) 2003-05-16 2003-09-19 세림델타 주식회사 수도꼭지
KR100858846B1 (ko) 2006-10-02 2008-09-19 이형우 수전금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195Y1 (ko) 2003-05-16 2003-09-19 세림델타 주식회사 수도꼭지
KR100858846B1 (ko) 2006-10-02 2008-09-19 이형우 수전금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488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3263B2 (ja) 水栓金具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から製造された水栓金具
KR200475387Y1 (ko) 혼합수전의 매니폴드 조립체
US20100170579A1 (en) Quick release device for faucets
KR101080121B1 (ko)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KR200491186Y1 (ko)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
KR100858846B1 (ko) 수전금구
KR101867242B1 (ko) 수전금구
KR101143869B1 (ko) 수도전 푸시밸브
JP2007007026A (ja) シャワーヘッド
US20100181519A1 (en) Automatic switch valve
KR101323625B1 (ko) 토출구 교체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JP2006328793A (ja) 配管構造
JP2008038384A (ja) 排水ユニット
KR20070065764A (ko) 다용도 코크
US20160040402A1 (en) System For Recirculating Water Between CoId Water And Hot Water
KR101205297B1 (ko) 수전 금구
KR200165466Y1 (ko) 세면대용 수도전
KR200418928Y1 (ko) 호스연결부재 및 호스에 직결되는 수도꼭지
JP2019203320A (ja) 配管構造
KR101737402B1 (ko) 수도전
KR200410675Y1 (ko) 다용도 코크
CN210397810U (zh) 一种龙头出水构件
KR200241216Y1 (ko) 수도전의 급수된 물 역류방지장치
CN213451842U (zh) 一种防渗漏的暗装卫浴结构
TWI395898B (zh) Integral molding of the faucet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