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195Y1 -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195Y1
KR200327195Y1 KR20-2003-0015139U KR20030015139U KR200327195Y1 KR 200327195 Y1 KR200327195 Y1 KR 200327195Y1 KR 20030015139 U KR20030015139 U KR 20030015139U KR 200327195 Y1 KR200327195 Y1 KR 200327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main body
fauc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일기
Original Assignee
세림델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림델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림델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5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1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1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a heating or cooling apparatus in the supply 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수와 온수를 겸용으로 사용하는 수도꼭지의 본체와 그 본체 내에 구비되는 냉수와 온수의 수로를 모두 파이프로 형성하면서 그 파이프들을 납땜 고정함으로서 수도꼭지의 본체를 주물 성형하는 불편 없이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과정에서 수로용 파이프의 각종 불량이 발생되면 수로용 파이프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다른 수로용 파이프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도꼭지의 불량발생률을 감소시키고, 본체의 폐기가 방지되어 생산원가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 이는 벽면에 고정된 냉수연결부재와 온수연결부재에 본체의 냉수유입부와 온수유입부를 결합하여 냉수와 온수가 조절부재와 조절판으로 공급된 후 조절캡에 구비된 조절손잡이의 조절상태에 따라 본체의 토수부와 토수배출관을 따라 토수되도록 한 수도꼭지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파이프로 구성하고, 상기 냉수유입부와 온수유입부의 내부에는 냉수연결부시와 온수연결부시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냉수관과 온수관을 각각 납땜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토수부에는 토수연결부시를 삽입하여 조절부재에 연결된 토수관을 토수연결부시에 납땜하여 수도꼭지를 구성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수도꼭지{A tap}
본 고안은 냉수와 온수를 겸용으로 사용하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수와 온수를 겸용으로 사용하는 수도꼭지의 본체와 그 본체 내에 구비되는 냉수와 온수의 수로를 모두 파이프로 형성하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수와 온수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수도꼭지는 주방의 싱크대와 세면대 및 샤워기에 사용되어 사용자가 냉수와 온수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냉수와 온수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하는 수도꼭지는 본체는 냉수와 온수를 각각 유입시키고, 유입된 냉수와 온수 중의 어느 한가지만을 하나의 토수구로 토수시킬수 있도록 하거나 냉수와 온수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혼합하여 토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냉수와 온수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수도꼭지는 그 본체를 주물로 성형하면서 주물 성형품의 내부에 냉수용 수로와 온수용 수로 및 혼합된 토수로가 구비되도록 성형해야 하는 것이므로 금형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부에 여러 개의 수로가 구비되도록 주물 성형하는 수도꼭지의 본체는 주물로 성형할 때 본체 내부에 발생될 수 있는 기포와 균열 등으로 인하여 외부에서 식별이 곤란한 불량이 자주 발생되었으며, 이러한 불량은 수도꼭지의 사용도중에 본체에서 누수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본체 전체를 파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수도꼭지의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도 수반되었다.
특히 수도꼭지 본체를 주물 작업으로 성형함에 따라 고열의 작업환경으로 인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고열로 용융된 본체 소재를 운반하고 주입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도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주물 작업에 의해 성형되는 수도꼭지 본체는 성형된 본체의 외면은 연마작업을 하고 도금작업을 하여 깨끗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지만, 수돗물이 지나는 냉수수로와 온수수로 및 토수수로는 연마나 가공작업을 하지 못하는 것이므로 그 각각의 수로에 주물사 등이 남아서 비위생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냉수와 온수를 겸용으로 사용하는 수도꼭지의 본체와 그 본체 내에 구비되는 냉수와 온수의 수로를 모두 파이프로 형성하면서 그 파이프들을 납땜 고정함으로서 수도꼭지의 본체를 주물 성형하는 불편 없이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과정에서 수로용 파이프의 각종 불량이 발생되면 수로용 파이프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다른 수로용 파이프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도꼭지의 불량발생률을 감소시키고, 본체의 폐기가 방지되어 생산원가도 절감할 수있도록 한 수도꼭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수도꼭지의 일예를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평면에서 보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도꼭지 2 : 본체
3 : 냉수유입부 4 : 온수유입부
5 : 토수부 6 : 조절부재
7 : 조절캡 22 : 소켓부재
23 : 커버 31 : 냉수연결부시
32 : 냉수관 41 : 온수연결부시
42 : 온수관 51 : 토수관
52 : 토수연결부시 72 : 조절손잡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벽면에 고정된 냉수연결부재(33)와 온수연결부재(43)에 본체(2)의 냉수유입부(3)와 온수유입부(4)를 결합하여 냉수와 온수가 조절부재(6)와 조절판(62)으로 공급된 후 조절캡(7)에 구비된 조절손잡이(72)의 조절상태에 따라 본체(2)의 토수부(5)와 토수배출관(55)을 따라 토수되도록 수도꼭지(1)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냉수유입부(3)의 내부에는 냉수연결부시(31)를 삽입하고, 그 냉수연결부시(31)에는 냉수관(32)을 납땜하여 조절부재(6)에 연결하며, 상기 온수유입부(4)의 내부에도 온수연결부시(41)를 삽입하고, 그 온수연결부시(41)에는 온수관(42)을 납땜하여 조절부재(6)에 연결한다.
또한 상기 본체(2)의 토수부(5)에는 토수연결부시(52)를 삽입하여 조절부재(6)에 연결된 토수관(51)을 토수연결부시(52)에 납땜하고, 그 토수연결부시(52)는 나사(53)로 토수배출관(55)의 토수연결구(54)에 고정한다.
한편 상기 냉수관(32)과 온수관(42) 및 토수관(51)이 연결되는 조절부재(6)는 파이프 형상의 본체(2)에 소켓부재(22)를 체결하고, 그 소켓부재(22)와 커버(23) 사이에 조절부재(6)와 조절판(62)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냉수연결부재(33)와 온수연결부재(43)를 벽면으로 설치된 냉수배관과 온수배관에 각각 연결하여 고정하고, 그 냉수연결부시(33)와 온수연결부시(43)에 본체(2)의 냉수유입부(3)와 온수유입부(4)를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 본체(2)의 일측에 구비되는 조절부재(6)의 조절간(61)에는 조절캡(7)을 통해 세트스크류(71)를 체결하고, 그 체결된 세트스크류(71)에 조절손잡이(72)를 체결 고정하며, 상기 본체(2)의 타측에는 엔드캡(21)을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의 수도꼭지(1)는 조절손잡이(72)가 구비된 통상의 수도꼭지와 같이 조절손잡이(72)를 들거나 회전시키면 냉수 또는 온수가 본체(2) 내부의 냉수관(32)과 온수관(42) 및 토수관(51)을 통하여 토수배출관(55)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의 수도꼭지(1)는 본체(2)역시 파이프로 형성하고, 냉수유입부(33)와 온수유입부(43)로부터 유입되는 냉수와 온수가 흐르는 냉수관(32)과 온수관(42) 및 토수관(51)도 주물이 아닌 별도의 관으로 구성함으로서 불량발생을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수도꼭지(1)의 본체(2)와, 그 본체(2) 내부에 구비되는 냉수관(32)과 온수관(42) 및 토수관(51)을 모두 파이프로 구성하고, 그 파이프들을 납땜으로 연결할 때는 본체(2)의 후면측에 구비된 냉수유입부(3)와 온수유입부(4)에 각각 냉수연결부시(31)와 온수연결부시(41)를 삽입한다.
상기 삽입된 냉수연결부시(31)와 온수연결부시(41)의 선단에 각각냉수관(32)과 온수관(42)를 배관용 땜납으로 납땜을 하면 냉수관(32)과 온수관(42)의 납때 고정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토수관(51) 역시 본체(2) 저면측에 구비된 토수부(5)로 토수연결부시(52)를 삽입하고 그 토수연결부시(52)에 토수관(51)을 배관용 땜납으로 납땜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각각의 연결부시(31)(41)(52)에 납땜된 냉수관(32)과 온수관(42) 및 토수관(51)은 제조관정에서의 불량발생시 열을 가하면 쉽게 떼어낼 수 있으므로 부품을 부분적으로 교환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폐기되는 부품을 최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본 고안에서와 같이 이미 완전 가공된 파이프를 2차 가공하여 냉수관(32)과 온수관(42) 및 토수관(51)으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주물사 등이 수로내부에 잔류하는 등의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2) 역시 직경이 큰 파이프를 절단하고 그 외주면에 도금을 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본체(2)의 외주면 연마 등의 2차 가공을 방지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냉수와 온수를 겸용으로 사용하는 수도꼭지의 본체와 그 본체 내에 구비되는 냉수와 온수의 수로를 모두 파이프로 형성하면서 그 파이프들을 납땜 고정함으로서 수도꼭지의 본체를 주물 성형하는 불편 없이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과정에서 수로용 파이프의 각종 불량이 발생되면 수로용파이프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다른 수로용 파이프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도꼭지의 불량발생률을 감소시키고, 본체의 폐기가 방지되어 생산원가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2)

  1. 벽면에 고정된 냉수연결부재(33)와 온수연결부재(43)에 본체(2)의 냉수유입부(3)와 온수유입부(4)를 결합하여 냉수와 온수가 조절부재(6)와 조절판(62)으로 공급된 후 조절캡(7)에 구비된 조절손잡이(72)의 조절상태에 따라 본체(2)의 토수부(5)와 토수배출관(55)을 따라 토수되도록 한 수도꼭지(1)에 있어서,
    상기 본체(2)는 파이프로 구성하고, 상기 냉수유입부(3)와 온수유입부(4)의 내부에는 냉수연결부시(31)와 온수연결부시(41)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본체(2) 내부에 구비되는 냉수관(32)과 온수관(42)을 각각 납땜 구비하며, 상기 본체(2)의 토수부(5)에는 토수연결부시(52)를 삽입하여 조절부재(6)에 연결된 토수관(51)을 토수연결부시(52)에 납땜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수도꼭지.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관(32)과 온수관(42) 및 토수관(51)이 연결되는 조절부재(6)는 파이프 형상의 본체(2) 일측에 소켓부재(22)를 체결하고, 그 소켓부재(22)와 커버(23) 사이에 조절부재(6)와 조절판(62)이 구비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수도꼭지.
KR20-2003-0015139U 2003-05-16 2003-05-16 수도꼭지 KR2003271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139U KR200327195Y1 (ko) 2003-05-16 2003-05-16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139U KR200327195Y1 (ko) 2003-05-16 2003-05-16 수도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195Y1 true KR200327195Y1 (ko) 2003-09-19

Family

ID=4933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139U KR200327195Y1 (ko) 2003-05-16 2003-05-16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19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846B1 (ko) * 2006-10-02 2008-09-19 이형우 수전금구
KR101080121B1 (ko) 2010-01-26 2011-11-04 주식회사 한도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KR101416947B1 (ko) * 2012-09-17 2014-08-06 이재춘 벽붙이 온냉수 혼합꼭지
KR102160882B1 (ko) 2019-05-21 2020-09-28 고종애 수전금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846B1 (ko) * 2006-10-02 2008-09-19 이형우 수전금구
KR101080121B1 (ko) 2010-01-26 2011-11-04 주식회사 한도 수전금구용 냉수 및 온수이동관의 체결구조
KR101416947B1 (ko) * 2012-09-17 2014-08-06 이재춘 벽붙이 온냉수 혼합꼭지
KR102160882B1 (ko) 2019-05-21 2020-09-28 고종애 수전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5643B1 (en) Faucet valve chamber body
CA3034803C (en) Faucet including dual water outlets
EP295264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ucet.
CA3066148C (en) Cantilevered faucet spout
FI77081B (fi) Anordning foer luftning av en vattenstraole.
KR200327195Y1 (ko) 수도꼭지
US4389738A (en) Body part cleansing device
KR101867242B1 (ko) 수전금구
KR100858846B1 (ko) 수전금구
JP2016191253A (ja) 水栓装置
CN115354725A (zh) 一种马桶喷射头、冲刷系统及马桶
KR200491186Y1 (ko)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
KR20120086034A (ko) 토출구 교체기능을 갖는 수전금구
CN210600349U (zh) 一种多功能水龙头
JP6381237B2 (ja) 配管カバー、その取り付け方法及び水栓
US20120292901A1 (en) Plumbing fitting
KR102290122B1 (ko) 정수 필터 기능을 갖춘 수전금구
EP1298258A2 (en) Single-control mixing faucet with a horizontal mixing cartridge
KR101737402B1 (ko) 수도전
KR200323854Y1 (ko) 혼합 수전의 호스 결합구조
KR200393381Y1 (ko) 수전 금구
JP2006193924A (ja) 水栓のレバーハンドル固定構造
CN219472817U (zh) 一种龙头
KR20000007377U (ko) 원레버형 수도꼭지
CN213741395U (zh) 一种淋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