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908A - 수전연결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연결구 - Google Patents

수전연결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연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908A
KR20190115908A KR1020180039184A KR20180039184A KR20190115908A KR 20190115908 A KR20190115908 A KR 20190115908A KR 1020180039184 A KR1020180039184 A KR 1020180039184A KR 20180039184 A KR20180039184 A KR 20180039184A KR 20190115908 A KR20190115908 A KR 20190115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abs resin
connector
water supply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9806B1 (ko
Inventor
송병규
Original Assignee
송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병규 filed Critical 송병규
Priority to KR102018003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80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98Coat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2045/007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applying a coating or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29C2045/14524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mak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55/00Use of 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23/00 - B29K2049/00, e.g. having a vinyl group, as moulding material
    • B29K20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alve Housing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금구와 벽체의 급수관을 연결시키도록 결합부들을 구비한 수전연결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수전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유로(2)가 형성되게 ABS수지와 유리섬유 조성물로 바디를 성형하는 단계(S1), 상기 단계(S1)에서 제조된 바디 표면에 ABS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단계(S2)에 이어서 표면에 니켈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종래 금속재의 수전연결구에서의 수질오염의 문제가 방지되고, 상기 바디에 연결부들을 견고하게 결합되게 인써트시켜 ABS수지로 성형하고 니켈 도금하여 제조비용을 저감시키며, 고급화된 제품 이미지를 제공하여 삼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전연결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연결구{A METHOD FOR MANUFACTURING FAUSET CONNECTORS AND FAUSET CONNECTORS THEREBY}
본 발명은 수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벽체의 수도 공급관과 세면대의 수도꼭지를 연결하되 급수되는 물에 금속 성분이 용출되지 않도록 친환경적으로 제조된 수전 연결구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시 욕실이나 외벽 등의 벽체에는 급수관이 설치되고, 이 급수관에는 여러 형태의 수전연결구의 개재하에 수도꼭지나 수전금구 등(이하, '수전'이라 함)이 연결되어 사용된다.
수전연결구는 통상 수전에 나사결합되는 어댑터부와, 급수관에 연결되는 급수관연결부를 포함하며, 특히 급수관연결부에는 금속링과 압착링이 삽입되어 있어 급수관연결부는 급수관과 연결된 후 조인트 압착기로 압착되어 연결고정된다.
이러한 수전연결구의 제조는, 예를들어 한국 등록특허 제10-1460618호( 등록일자 2014년11월05일)에 수전연결구 형상의 왁스패턴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을 설계 및 제작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금형에 왁스를 투입하여 상기 왁스패턴을 제작하는 제 2 단계와, 다수의 상기 왁스패턴을 왁스 재질의 탕구기둥에 붙여 트리구조물을 형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왁스패턴의 단부측에 왁스 재질의 왁스패턴연결지지대를 각각 연결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왁스패턴연결지지대를 포함하는 트리구조물의 표면에 일정 두께의 내화성코팅층을 형성하는 제 5 단계와, 왁스를 녹인 후 빼내어 상기 내화성코팅층으로만 이루어지는 주형을 제조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주형 내로 용융금속을 투입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주형을 제거하는 제 8 단계와, 상기 주형의 제거 후 잔존하는 주조물로부터 수전연결구만 절단하여 분리하는 제 9 단계를 포함하는 수전연결구의 정밀주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주물작업에 의한 수전 본체의 제작은 작업에 있어, 환경 오염이 많고 주물작업의 특성상 유해한 성분(흑연 및 불순물 등)이 본체에 남게 되어 제품으로 설치되어 사용시 특히 식수 부분에서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으며, 주물작업에 따른 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에 이를 기피하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주물작업에 의해 제조되는 황동관으로 수전연결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수전연결구에 항상 물이 고여있어 녹이 슬기 쉽고 유해성분이 급수에 용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스테인레스강으로 수전연결구를 주조하는 경우에는 녹이 슬지 않도록 후처리를 해야 하며, 가공성이 좋지 않으며, 재료비용이 고가인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60618호( 등록일자 2014년11월05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수전 연결구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열성의 ABS와 유리섬유를 혼합한 소재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게 바디를 성형하고, 니켈도금을 형성하여 수질오염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고급의 장식미를 갖도록 제조하는 개선된 수전연결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개선된 수전연결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전 연결구 제조방법은 수전금구와 벽체의 급수관을 연결시키도록 결합부들을 구비한 수전연결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게 ABS수지와 유리섬유 조성물로 바디를 성형하는 단계(S1),
상기 단계(S1)에서 제조된 바디 표면에 ABS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단계(S2)에 이어서 표면에 니켈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계(S1)에서 밸브를 나사결합시켜 장착하기 위하여 바디에, 외부로 개방되고 내부 유로와 연통되게 형성된 홀에 나사가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링부재를 인써트시켜 성형한다.
상기 ABS수지와 유리섬유 조성물은 ABS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유리섬유 15~30중량부가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2)에서, 급수관과 수전에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링부재들을 상기 바디의 전측과 후측의 관형부에 유로와 연통되게 인서트시켜서 바디 표면에 ABS수지층을 형성한다.
바디 일측에 형성되는 수전금구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와 타측에 형성되는 벽체의 급수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를 형성하도록, 나사링부재가 인써트되는 상기 바디의 전측과 후측의 관형부들 각각에는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톱니형의 돌기들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링부재들 각각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기들과 맞물리도록 홈들이 형성되어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전연결구는, 벽체의 급수관과 수전금구를 연결하는 수전연결구,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게 ABS수지와 유리섬유 조성물로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 표면에 형성된 ABS수지층, 상기 ABS수지층의 표면에 형성된 니켈 도금층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 일측에 형성되어 수전금구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와 타측에 형성되어 벽체의 급수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는, 나사링부재가 상기 바디의 전측과 후측의 관형부에서 내부의 유로와 연통되게 인서트되어 형성된다.
상기 나사링부재가 인써트되는 상기 바디의 전측과 후측의 관형부들 각각에는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톱니형의 돌기들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링부재들 각각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기들과 맞물리도록 홈들이 형성되어 나사링부재가 관형부에 대해 회전되지 않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수전과 결합되는 나사링부재는 내측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관형부와 같은 내경으로 형성되어서, 나사링부재가 관형부에 인써트되어 결합될 때 그 결합면들 사이로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되고, 상기 나사링부의 걸림턱과 맞물리도록 후단부에 팩킹관이 기밀되게 끼워진다.
본 발명에 따라 내열성의 ABS수지와 유리섬유를 혼합하여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게 바디를 성형하고, 그 표면에 니켈도금을 형성하여 종래 금속재의 수전연결구에서의 수질오염의 문제가 방지되고, 상기 바디에 연결부들을 견고하게 결합되게 인써트시켜 ABS수지로 성형하고 니켈 도금하여 제조비용을 저감시키며, 고급화된 제품 이미지를 제공하여 삼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전연결구의 제조방법에 대한 블럭도.
도 2는 도 1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연결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수전연결구에서 바디와, 상기 바디에 인써트되는 급수관과 수전에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연결부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나사연결부를 바디에 결합시켜 ABS수지로 성형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전체 표면에 니켈 크롬 도금층을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수전연결구에 밸브를 장착하고 벽체와의 연결부를 감추도록 커버가 제공된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전연결구 제조방법과, 그에 의한 수전연결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수전연결구는 내부에 유로(2)가 형성된 바디(1)의 일측에 수전금구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벽체의 급수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4)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내부 유로(2)와 연통되며 외부로 개방된 홀(5)에 밸브(6)가 장착되고, 상기 밸브는 조정나사(30)로 조정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급수관과 수전금구는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서, 수전연결구는 급수관과 수전금구에 편심된 상태로, 즉 비스듬하게 기얼어진 상태로 연결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수전연결구 제조방법은, 내부에 유로(2)가 형성되게 ABS수지와 유리섬유 조성물로 바디(1)를 성형하는 단계(S1), 상기 단계(S1)에서 제조된 바디(1) 표면에 ABS수지층(20)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단계(S2)에 이어서 표면에 니켈 도금층(30)을 형성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계(S1)에서 밸브(6)를 나사결합시켜 장착하기 위하여 바디(1)에, 외부로 개방되고 내부 유로(2)와 연통되게 형성된 홀(5)에 나사가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링부재(7)를 인써트시킨다. 상기 밸브(6)는 조정나사(40)에 의해 유로(2)의 개도가 조정된다.
상기 ABS수지와 유리섬유 조성물은 ABS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유리섬유 15~30중량부가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2)에서, 급수관과 수전에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링부재(8,9)를 상기 바디(1)의 전측과 후측에 형성된 관형부(10,11)에 유로(2)와 연통되게 인서트시키고 바디(1)에 ABS수지층(20)을 형성한다(도 4 참조). 상기 ABS수지층(20)은 190~210도로 용융된 상태로 덧씌워진다.
특히, 상기 결합부(3,4)는 급수관과 수전금구에 결합하기 위해 예를들어 황동과 같은 금속제로 된 나사링부재(8,9)가 상기 바디(1)의 전측과 후측의 관형부(10,11)들에 인써트되어 형성되며, 이때 상기 관형부(10,11) 각각에는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톱니형의 돌기(15)들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링부재(8,9)들 각각의 내측면에는 홈(17)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돌기(15)가 홈(17)에 맞물리게 결합된다(도 3 참조).
이로써, 상기 결합부(3,4)들이 수전금구와 벽체의 급수관에 연결구를 회전시켜 체결하는 힘에 의해 나사링부재(8,9)들과 상기 바디에 형성된 관형부(10,11)들 사이의 결합면이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급수전과 결합되는 나사링부재(8)는 내측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81)이 관형부(10)와 같은 내경으로 형성되어서, 나사링부재(8)가 관형부(10)에 인써트되어 결합될 때 그 결합면들 사이로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나사링부재(8)의 걸림턱(81)과 맞물리도록 후단부에 팩킹관(85)이 기밀되게 끼워져서 급수전으로 부터의 급수가 연결부위에서 누수되지 않게 하며, 상기 팩킹관(85)은 내부에 급수전과 연통되게 유로(86) 형성되고 그 전측에 관형부(10)의 내부 유로(2)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관형부(87)가 관형부(10)에 형성된 유로 속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2)에서 나사링부재(8,9)들이 바디에 인써트되어 성형된 상태의 수전연결구의 표면에 단계(S3)에서 니켈 코팅층(30)을 바디(1)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고, 고급스런 제품 이미지가 제공된다.
상기 단계(S3)에 이어서, 밸브(6)를 상기 바디(1)의 홀(5)에 제공된 나사링부재(7)에 결합시켜서 밸브(6)에 의해 유로(2)의 개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벽체의 급수관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감추도록 커버(50)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바디를 ABS수지와 유리섬유 조성물로 내열성과 내구성이 향상되고 수전연결구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가 인체에 유해한 오염물을 함유하지 않게 되어 친환경적이며, 금형에 의해 이중사출성형 및 인써트 형성에 의해 대량생산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급수관과 수전을 연결하는 수전연결구에 이용될 수 있다.
1 : 수전연결구 2 : 유로
3, 4 : 결합부 5 ; 홀
6 : 밸브 7, 8, 9 : 나사링부재
10,11 : 관형부 15 ; 돌기
17 : 홈 20 : ABS수지층
30 ; 니켈토팅층 40 : 조정나사
50 : 커버

Claims (8)

  1. 수전금구와 벽체의 급수관을 연결시키도록 결합부들을 구비한 수전연결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내부에 유로(2)가 형성되게 ABS수지와 유리섬유 조성물로 바디(1)를 성형하는 단계(S1),
    상기 단계(S1)에서 제조된 바디(1) 표면에 ABS수지층(20)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단계(S2)에 이어서 표면에 니켈 도금층(30)을 형성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연결구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에서 밸브(6)를 나사결합시켜 장착하기 위하여 바디(1)에, 외부로 개방되고 내부 유로(2)와 연통되게 형성된 홀(5)에 나사가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링부재(7)를 인써트시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연결구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BS수지와 유리섬유 조성물은 ABS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유리섬유 15~30중량부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연결구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에서, 급수관과 수전에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링부재(8,9)를 상기 바디(1)의 전측과 후측에 형성된 관형부(10,11)에 유로(2)와 연통되게 인서트시키고 바디 표면에 ABS수지층(2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연결구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바디(1) 일측에 형성되는 수전금구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3)와 타측에 형성되는 벽체의 급수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4)를 형성하도록, 나사링부재(8,9)가 인써트되는 상기 바디의 전측과 후측의 관형부(10,11)들 각각에는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톱니형의 돌기(15)들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링부재(8,9)들 각각의 내측면에는 상기 관형부(10,11)들의 돌기(15)들과 맞물리도록 홈(17)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연결구 제조방법.
  6. 벽체의 급수관과 수전금구를 연결하는 수전연결구,
    내부에 유로(2)가 형성되게 ABS수지와 유리섬유 조성물로 형성된 바디(1),
    상기 바디(1) 표면에 형성된 ABS수지층(20),
    상기 ABS수지층(20)의 표면에 형성된 니켈 도금층(30)을 포함하며,
    바디(1) 일측에 형성되어 수전금구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3)와 타측에 형성되어 벽체의 급수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4)는, 나사링부재(8,9)가 상기 바디의 전측과 후측의 관형부(10,11)에서 내부의 유로(2)와 연통되게 인서트되어 형성된 수전연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링부재(8,9)가 인써트되는 상기 바디(1)의 전측과 후측의 관형부(10,11)들 각각에는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톱니형의 돌기(15)들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링부재(8,9)들 각각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기(15)들과 맞물리도록 홈(17)들이 형성되어 나사링부재(8,9)가 관형부(10,11)들에 대해 회전되지 않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연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전과 결합되는 나사링부재(8)는 내측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81)이 관형부(10)와 같은 내경으로 형성되어서, 나사링부재(8)가 관형부(10)에 인써트되어 결합될 때 그 결합면들 사이로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되고, 상기 나사링부재(8)의 걸림턱(81)과 맞물리도록 후단부에 팩킹관(85)이 기밀되게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연결구.
KR1020180039184A 2018-04-04 2018-04-04 수전연결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연결구 KR102109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184A KR102109806B1 (ko) 2018-04-04 2018-04-04 수전연결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184A KR102109806B1 (ko) 2018-04-04 2018-04-04 수전연결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908A true KR20190115908A (ko) 2019-10-14
KR102109806B1 KR102109806B1 (ko) 2020-05-12

Family

ID=6817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184A KR102109806B1 (ko) 2018-04-04 2018-04-04 수전연결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8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017Y1 (ko) * 2019-10-25 2020-02-06 주식회사 티엠씨 수도꼭지용 편심 유니온
KR102253801B1 (ko) * 2020-09-28 2021-05-18 이순덕 슬림형 수도꼭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69993A (ko) * 2019-12-04 2021-06-14 송병규 냉온수 수전용 편심연결관
KR102656774B1 (ko) * 2023-06-02 2024-04-11 최창현 샤워용 수전 조립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535U (ko) * 1993-01-20 1994-08-22 김헌모 관 연결구
KR200164077Y1 (ko) * 1999-07-12 2000-02-15 장충삼 수도꼭지연결구
KR101160091B1 (ko) * 2012-02-16 2012-06-29 윤다은 수전 연결구
KR101301542B1 (ko) * 2013-06-03 2013-09-04 송병규 수전금구용 본체의 제조방법
KR101460618B1 (ko) 2013-07-22 2014-11-12 주식회사 온새미 수전연결구의 정밀주조방법
KR200483179Y1 (ko) * 2016-09-23 2017-04-13 신승재 수전 연결구
KR200484776Y1 (ko) * 2016-08-22 2017-11-20 탁준 수전용 배관에 결합된 수전의 풀림을 방지한 연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535U (ko) * 1993-01-20 1994-08-22 김헌모 관 연결구
KR200164077Y1 (ko) * 1999-07-12 2000-02-15 장충삼 수도꼭지연결구
KR101160091B1 (ko) * 2012-02-16 2012-06-29 윤다은 수전 연결구
KR101301542B1 (ko) * 2013-06-03 2013-09-04 송병규 수전금구용 본체의 제조방법
KR101460618B1 (ko) 2013-07-22 2014-11-12 주식회사 온새미 수전연결구의 정밀주조방법
KR200484776Y1 (ko) * 2016-08-22 2017-11-20 탁준 수전용 배관에 결합된 수전의 풀림을 방지한 연결구
KR200483179Y1 (ko) * 2016-09-23 2017-04-13 신승재 수전 연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017Y1 (ko) * 2019-10-25 2020-02-06 주식회사 티엠씨 수도꼭지용 편심 유니온
KR20210069993A (ko) * 2019-12-04 2021-06-14 송병규 냉온수 수전용 편심연결관
KR102253801B1 (ko) * 2020-09-28 2021-05-18 이순덕 슬림형 수도꼭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656774B1 (ko) * 2023-06-02 2024-04-11 최창현 샤워용 수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806B1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5908A (ko) 수전연결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연결구
US7988204B2 (en) Pipe fitting for connecting between a metal piece of plumbing and a polymer piece of plumbing
WO2018088648A1 (ko)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및 그 제작 방법
US20170151601A1 (en) Showerhead and showerhead manufacturing method
US20080271240A1 (en) Molded arm for showerhead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172275B2 (en) Composite polymeric transition pipe fitting for joining polymeric and metallic pipes
US10161118B2 (en) Faucet
CN101973104A (zh) 一体式龙头水道内芯的成型方法
US3770004A (en) Mixing valve assembly
CN100464098C (zh) 塑料水龙头及其生产工艺和模具
JP6063309B2 (ja) 融着式サドル分水栓
KR101794742B1 (ko) 냉온수혼합 수전 및 그 생산방법
CN201047453Y (zh) 锅炉用安全阀
CN108312550B (zh) 一种能快速定位的热熔接头及其水溶解芯注塑工艺
US20100140922A1 (en) Bolt-type coupling system for pipes
KR102056054B1 (ko) 사출 수전금구
CN204692590U (zh) 一种用于软管与连体阀芯连接的安装结构
CN204226781U (zh) 一种新型塑料水龙头的结构
KR200491186Y1 (ko)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
CN206765238U (zh) 锁模牢固的压力管模具
KR200491017Y1 (ko) 수도꼭지용 편심 유니온
CN213117593U (zh) 一种暗装式淋浴龙头阀体
CN211542281U (zh) 一种pvc管件挤出加工用尺寸可调的定径套
CN211901733U (zh) 一种塑料水龙头壳体
CN208565723U (zh) 一种装配式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