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271B1 -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그리고 상기 수전 바디를 구비하는 수전 - Google Patents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그리고 상기 수전 바디를 구비하는 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271B1
KR102167271B1 KR1020180160966A KR20180160966A KR102167271B1 KR 102167271 B1 KR102167271 B1 KR 102167271B1 KR 1020180160966 A KR1020180160966 A KR 1020180160966A KR 20180160966 A KR20180160966 A KR 20180160966A KR 102167271 B1 KR102167271 B1 KR 102167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spout
insert
assembled
fauc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887A (ko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0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2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 바디, 그리고 상기 수전 바디를 구비하는 수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제조방법은 수전 바디를 형성하는 부품들을 개별적으로 사출 성형하는 부품 개별 성형단계; 상기 부품 개별 성형단계에서 사출 성형된 부품들을 대응되는 것끼리 조립해서 하나의 조립 몸체로 형성하는 부품 조립단계; 및 상기 조립 몸체의 외측으로 이중사출 외형 몸체가 형성되도록 상기 조립 몸체를 이중사출 성형해서 최종적으로 상기 수전 바디를 성형하는 이중사출 성형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그리고 상기 수전 바디를 구비하는 수전{Faucet body using double injection and faucet with the faucet body}
본 발명은,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그리고 상기 수전 바디를 구비하는 수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전에 비해 원가 절감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불량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납 등의 유해성분이 검출되지 않아 제품의 가치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는,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그리고 상기 수전 바디를 구비하는 수전에 관한 것이다.
설거지를 하거나 음식을 세척하는 장소인 싱크대의 일측에는 수도꼭지라고도 불리는 수전이 설치된다.
최근에 공급되는 수전에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스프레이 헤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수전은 외관 구조물로서 수전 바디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수전 바디에 카트리지를 비롯해서 레버 등 다양한 부품들이 위치별로 탑재된다.
일반적으로, 수전 바디는 황동 또는 ABS 재질로 제작되는데, ABS 재질로 제작될 경우 먼저 ABS 사출하여 성형한 다음 그 위에 초음파 융착하여 수전 바디를 제조해 왔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전 바디를 제조할 경우, 재료 혹은 공정 상 원가가 상승될 소지가 높고, 접합 공정이 용이하지 않아 불량률이 증가할 수 있음은 물론 납 등의 유해성분이 검출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09902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에 비해 원가 절감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불량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납 등의 유해성분이 검출되지 않아 제품의 가치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는,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그리고 상기 수전 바디를 구비하는 수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수전 바디를 형성하는 부품들을 개별적으로 사출 성형하는 부품 개별 성형단계; 상기 부품 개별 성형단계에서 사출 성형된 부품들을 대응되는 것끼리 조립해서 하나의 조립 몸체로 형성하는 부품 조립단계; 및 상기 조립 몸체의 외측으로 이중사출 외형 몸체가 형성되도록 상기 조립 몸체를 이중사출 성형해서 최종적으로 상기 수전 바디를 성형하는 이중사출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 바디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수전 바디를 형성하는 부품인 바디 인서트(body insert)와, 바디 스파우트(body spout)를 각각 개별적으로 사출 성형하는 부품 개별 성형단계; 상기 바디 인서트와 상기 바디 스파우트의 조립 부위에 제1 오링(O-Ring)을 배치하는 제1 오링 배치단계; 상기 제1 오링을 매개로 해서 상기 바디 인서트와 상기 바디 스파우트를 조립하는 부품 조립단계; 상기 바디 인서트의 양 사이드와 상기 바디 스파우트의 단부에 각각 제2 내지 제4 오링을 배치하는 제2 내지 제4 오링 배치단계; 상기 제2 내지 제4 오링을 매개로 해서 상기 바디 인서트의 양 사이드에 각각 사이드 캡을 조립하고 상기 바디 스파우트의 단부에 단부 캡을 조립해서 하나의 조립 몸체로 형성하는 조립 몸체 형성단계; 및 상기 조립 몸체의 외측으로 이중사출 외형 몸체가 형성되도록 상기 조립 몸체를 이중사출 성형해서 최종적으로 상기 수전 바디를 성형하는 이중사출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 바디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제1항 또는 제2항의 수전 바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 바디; 상기 수전 바디 내에 마련되며, 냉수 또는 온수를 조절해서 토출시키는 카트리지(CARTRIDGE); 상기 수전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를 조작하는 레버(LEVER); 상기 수전 바디의 토출구 영역에 결합되는 에어레이터(AERATOR); 상기 수전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며,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와 연결되는 디버터 밸브(DIVERTER V/V); 및 상기 디버터 밸브를 조작하는 노브(KNO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에 비해 원가 절감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불량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납 등의 유해성분이 검출되지 않아 제품의 가치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전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바디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바디 스파우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사이드 캡, 단부 캡 및 오링의 부품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의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전 바디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바디 인서트의 사시도, 도 7은 바디 스파우트의 사시도, 도 8은 사이드 캡, 단부 캡 및 오링의 부품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종전에 비해 원가 절감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불량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납 등의 유해성분이 검출되지 않아 제품의 가치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 9의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제조방법을 비롯하여 이 방법을 통해 제조된 도 2의 수전 바디(110), 그리고 수전 바디(110)가 적용된 제품인 도 1의 수전(100) 모두를 포함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해서 수전(100)의 구조를 알아본다. 수전(100)는 소위 수도꼭지라 불리는 제품으로서 후술할 도 9의 수전 바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수전 바디(110)와, 수전 바디(110)에 위치별로 탑재되는 다수의 부품을 포함한다. 이들 부품은 냉수, 온수를 토출시키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수전 바디(110) 내에는 냉수 또는 온수를 조절해서 토출시키는 카트리지(CARTRIDGE, 121)가 마련된다. 카트리지(121)는 여러 부품이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 모듈로서 냉수 또는 온수 토출에 기여한다. 여기서는 편의상 카트리지(12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는데 카트리지(121)의 세부 구조와 기능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기술들을 참조하기로 한다.
수전 바디(110)의 상부에는 카트리지(121)를 조작하는 레버(LEVER, 122)가 마련된다. 레버(122)를 들거나 회전시키면 카트리지(121)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냉수 혹은 온수가 토출될 수 있다.
수전 바디(110)의 토출구(111) 영역에는 에어레이터(AERATOR, 123)가 결합된다. 에어레이터(123)은 물살을 조절한다.
수전 바디(110)의 일측에는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 124)와 연결되는 디버터 밸브(DIVERTER V/V, 125)가 마련된다. 그리고 디버터 밸브(125)는 노브(KNOB, 126)에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수전 바디(110)의 후방에는 벽면을 가리는 장식쇠(ESCUTCHEON, 127)가 마련된다. 그리고 그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탑재되는 어저스트 아암(ADJUSTABLE ARM, 128)이 마련된다. 어저스트 아암(128)의 전방에는 물의 흐름 방향을 단속하는 체크 벨브(129)가 마련된다.
한편, 위와 같은 다양한 기능과 형태의 부품들이 위치별로 탑재되는 수전 바디(110)의 경우, 종전에는 황동 소재의 접합에 의해 제작되어 왔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전 바디(110)를 제조할 경우, 재료 혹은 공정 상 원가가 상승될 소지가 높고, 접합 공정이 용이하지 않아 불량률이 증가할 수 있음은 물론 납 등의 유해성분이 검출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 바디 제조방법은 종전과 달리 이중사출을 이용한 것으로서, 부품 개별 성형단계(S10), 제1 오링 배치단계(S20), 부품 조립단계(S30), 제2 내지 제4 오링 배치단계(S40), 조립 몸체 형성단계(S50), 이중사출 성형단계(S60)를 포함한다.
부품 개별 성형단계(S10)는 수전 바디(110)를 형성하는 부품인 바디 인서트(body insert,130)와, 바디 스파우트(body spout, 140)를 각각 개별적으로 사출 성형하는 과정이다.
바디 인서트(130)는 카트리지(121) 등의 부품이 탑재되는 몸체로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바디 스파우트(140)는 냉수 혹은 온수가 배출되는 통로를 이루되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이 외에, 세부 부품으로서 도 8과 같은 사이드 캡(142) 및 단부 캡(143)을 사출 성형해서 제조한다.
사이드 캡(142)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바디 인서트(130)의 양 사이드, 즉 상기 바디 스파우트(140)에서는 바디 인서트(130)와 바디 스파우트(140)와의 결합부위에서 좌우방향으로 가장 먼 부위인 양 선단부에 형성된 개구(131)를 차폐하는 역할을 하고, 단부 캡(143)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바디 스파우트(140)의 단부, 즉 바디 인서트(130)와 바디 스파우트(140)와의 결합부위에서 전후방향으로 가장 먼 부위인 선단부에 형성된 개구(141)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사이드 캡(142)와 단부 캡(143)이 조립, 즉 결합될 때는 도 8의 (c)와 같은 형태의 제2 내지 제4 오링(152~154)이 미리 결합되어 누수를 방지한다.
제1 오링 배치단계(S20)는 바디 인서트(130)와 바디 스파우트(140)의 조립 부위에 제1 오링(O-Ring, 151)을 배치하는 과정이다. 제1 오링(151)은 도 8의 (c)와 같은 형태로서 바디 인서트(130)와 바디 스파우트(140)의 조립 부위에 배치되어 이 부위에서의 누수를 방지한다.
부품 조립단계(S30)는 제1 오링(151)을 매개로 해서 바디 인서트(130)와 바디 스파우트(140)를 조립하는 과정이다. 이때는 바디 인서트(130)에 바디 스파우트(140)를 대고 시계 방향으로 돌려 조이는 형태로 조립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오링 배치단계(S40)는 바디 인서트(130)의 양 사이드의 개구(131)와 바디 스파우트(140)의 단부의 개구(141)에 각각 제2 내지 제4 오링(152~154)을 배치하는 과정이다.
조립 몸체 형성단계(S50)는 제2 내지 제4 오링(152~154)을 매개로 해서 바디 인서트(130)의 양 사이드의 개구(131)에 각각 사이드 캡(142)을 조립하고 바디 스파우트(140)의 단부의 개구(141)에 단부 캡(143)을 조립해서 하나의 조립 몸체(110a)로 형성하는 과정이다. 조립 몸체(110a) 이전에는 각 부품들이 분리된 형태였으나 이 과정을 거친 조립 몸체(110a)는 하나의 몸체가 된다.
이중사출 성형단계(S60)는 별도의 이중사출 금형을 준비한 후, 조립 몸체(110a)의 외측으로 이중사출 외형 몸체(110b)가 형성되도록 조립 몸체(110a)를 이중사출 성형해서 최종적으로 수전 바디(110)를 성형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을 거치면 도 5처럼 마치 두겹의 사출품이 형성된 것처럼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수전 바디(110)를 제조하는 과정을 일련적으로 다시 설명한다.
우선, 수전 바디(110)를 형성하는 부품인 바디 인서트(130)와, 바디 스파우트(140)를 각각 개별적으로 사출 성형한다. 이 외에, 세부 부품으로서 도 8과 같은 사이드 캡(142) 및 단부 캡(143)을 사출 성형해서 제조한다.
다음, 바디 인서트(130)와 바디 스파우트(140)의 조립 부위에 제1 오링(151)을 배치한 후, 제1 오링(151)을 매개로 해서 바디 인서트(130)와 바디 스파우트(140)를 조립한다. 이때는 바디 인서트(130)에 바디 스파우트(140)를 대고 시계 방향으로 돌려 조이는 형태로 조립할 수 있다.
다음, 바디 인서트(130)의 양 사이드의 개구(131)와 바디 스파우트(140)의 단부의 개구(141)에 각각 제2 내지 제4 오링(152~154)을 배치한다.
그런 다음, 제2 내지 제4 오링(152~154)을 매개로 해서 바디 인서트(130)의 양 사이드의 개구(131)에 각각 사이드 캡(142)을 조립하고 바디 스파우트(140)의 단부의 개구(141)에 단부 캡(143)을 조립해서 하나의 조립 몸체(110a)로 형성한다.
다음, 조립 몸체(110a)의 외측으로 이중사출 외형 몸체(110b)가 형성되도록 조립 몸체(110a)를 이중사출 성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수전 바디(110)를 성형 완료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에 비해 원가 절감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불량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납 등의 유해성분이 검출되지 않아 제품의 가치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수전 110 : 수전 바디
110a : 조립 몸체 110b : 이중사출 외형 몸체
111 : 토출구 121 : 카트리지
122 : 레버 123 : 에어레이터
124 : 플렉시블 호스 125 : 디버터 밸브
126 : 노브 127 : 장식쇠
128 : 어저스트 아암 129 : 체크 벨브
130 : 바디 인서트 131 : 개구
140 : 바디 스파우트 141 : 개구
142 : 사이드 캡 143 : 단부 캡
151~154 : 오링

Claims (7)

  1. 수전바디를 형성하는 부품을 개별 사출하여 성형한 후 이를 조립하고, 이와같이 조립된 몸체 위에 이중 사출하여 제조되어진 수전 바디에 있어서,
    상기 개별 사출하여 성형하기 위한 부품으로는 카트리지가 탑재되는 바디 인서트와, 냉,온수의 통로가 구비된 바디 스파우트의 2 부분으로 나눠지도록 하되,
    상기 바디 인서트에서는 바디 인서트와 바디 스파우트와의 결합부위에서 전후방향으로 가장 먼 부위인 선단부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바디 스파우트에서는 바디 인서트와 바디 스파우트와의 결합부위에서 좌우방향으로 가장 먼 부위인 양 선단부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하여,
    먼저 상기 바디 인서트에 상기 바디 스파우트를 대고 시계방향으로 돌려 조립된 상태에서, 사이드 캡과 단부 캡이 각각 결합되어 차폐되며,
    이와 같이 조립된 물체 위에 이중 사출되어 전체 외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바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인서트와 상기 바디 스파우트의 조립 부위에 제1 오링(O-Ring)을 배치하여, 상기 제1 오링을 매개로 해서 상기 바디 인서트와 상기 바디 스파우트를 조립하고,
    상기 바디 인서트의 양 사이드와 상기 바디 스파우트의 단부에 각각 제2 내지 제4 오링을 배치하여, 상기 제2 내지 제4 오링을 매개로 해서 상기 바디 인서트의 양 사이드에 각각 사이드 캡을 조립하고 상기 바디 스파우트의 단부에 단부 캡을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바디.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캡와 단부 캡이 조립, 즉 결합될 때는 제2 내지 제4 오링이 미리 결합되어 누수를 방지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바디.
  6. 삭제
  7. 제1항의 수전 바디;
    상기 수전 바디 내에 마련되며, 냉수 또는 온수를 조절해서 토출시키는 카트리지(CARTRIDGE);
    상기 수전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를 조작하는 레버(LEVER);
    상기 수전 바디의 토출구 영역에 결합되는 에어레이터(AERATOR);
    상기 수전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며,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와 연결되는 디버터 밸브(DIVERTER V/V); 및
    상기 디버터 밸브를 조작하는 노브(KNO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KR1020180160966A 2018-12-13 2018-12-13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그리고 상기 수전 바디를 구비하는 수전 KR102167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966A KR102167271B1 (ko) 2018-12-13 2018-12-13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그리고 상기 수전 바디를 구비하는 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966A KR102167271B1 (ko) 2018-12-13 2018-12-13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그리고 상기 수전 바디를 구비하는 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887A KR20200072887A (ko) 2020-06-23
KR102167271B1 true KR102167271B1 (ko) 2020-10-19

Family

ID=7113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966A KR102167271B1 (ko) 2018-12-13 2018-12-13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그리고 상기 수전 바디를 구비하는 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2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153B1 (ko) * 2021-01-25 2021-08-25 주식회사 티엠씨 이중 사출에 의한 수전 몸통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수전 몸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126B1 (ko) * 2010-06-09 2012-01-02 이우진 플라스틱 수도꼭지
KR101301542B1 (ko) * 2013-06-03 2013-09-04 송병규 수전금구용 본체의 제조방법
KR101712781B1 (ko) * 2016-11-11 2017-03-07 박경미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및 그 제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837Y1 (ko) * 1993-08-18 1998-04-24 찰스 에이. 고든 분리형 카트리지 커버를 갖는 냉, 온수 혼합 수전
KR20160099023A (ko) 2016-08-01 2016-08-19 김승찬 미세 부력을 이용한 이온측정 링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126B1 (ko) * 2010-06-09 2012-01-02 이우진 플라스틱 수도꼭지
KR101301542B1 (ko) * 2013-06-03 2013-09-04 송병규 수전금구용 본체의 제조방법
KR101712781B1 (ko) * 2016-11-11 2017-03-07 박경미 사출성형된 수전 본체 및 그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887A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264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ucet.
CN102037268B (zh) 一体式厨用龙头侧喷射器和分水器
US6370713B2 (en) Pull-out shower head for kitchen
KR101064920B1 (ko) 수전금구용 본체의 제조방법 및 수전금구 본체
US6808131B2 (en) Pull-out kitchen sprayer
KR102167271B1 (ko) 이중사출을 이용한 수전 바디, 그리고 상기 수전 바디를 구비하는 수전
US10156062B2 (en) Plastic water channel main body of temperature adjustable water tap
KR101756009B1 (ko) 수전금구
ITBS930075A1 (it) Corpo composito per rubinetti
JP2016528402A (ja) 水栓金具用本体の製造方法
CN103909025B (zh) 多功能喷头
KR20130019904A (ko) 샤워기용 급수본체
KR101794742B1 (ko) 냉온수혼합 수전 및 그 생산방법
KR200484148Y1 (ko) 샤워기 헤드의 밀폐 및 물 흘러내림 방지장치
KR200405517Y1 (ko) 관 붙이용 앵글밸브
KR101506903B1 (ko) 합성수지재 수도꼭지
KR101955859B1 (ko) 조립식 샤워수전
KR102039226B1 (ko) 개선된 수전금구 본체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전금구 본체
KR200494544Y1 (ko) 벽붙이 샤워기용 수전금구 몸체 조립체
KR100704196B1 (ko) 손으로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꼭지용 구강세척 보조구
KR200491186Y1 (ko) 수전금구의 공급수 배출관 조립체
JPH08309234A (ja) 樹脂成形品、泡沫栓及び泡沫栓の製造方法
KR20180003628U (ko) 선반형 샤워수전의 일체형 개폐 및 수로구조
US20090320203A1 (en) Control module for multi-nozzle shower
US8695902B2 (en) Water sprink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