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498B1 - 모종 이식기 - Google Patents

모종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498B1
KR101710498B1 KR1020140148404A KR20140148404A KR101710498B1 KR 101710498 B1 KR101710498 B1 KR 101710498B1 KR 1020140148404 A KR1020140148404 A KR 1020140148404A KR 20140148404 A KR20140148404 A KR 20140148404A KR 101710498 B1 KR101710498 B1 KR 101710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ing
seedling
detecting
transmissi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4495A (ko
Inventor
마나부 타카하시
켄이치로 사카타
슈헤이 카와카미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4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Fertilizing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여분의 비료의 소비나, 비료가 공급되지 않는 구간의 발생을 방지해서 적절한 시비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시비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모종 이식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주행 차체의 후방부에 모종 식부부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모종 식부부에 포장면에 접지하는 플로트를 설치하고, 포장에 비료를 공급하는 시비장치를 설치하고, 플로트의 회동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검출 부재를 설치하고, 주행 차체의 선회에 연동해서 모종 식부부의 승강, 및 모종 식부부와 시비장치의 작동을 스위칭하는 선회 연동 기구를 구비하고, 시비장치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설치하고, 선회 연동 기구에 의해 모종 식부부가 하강해서 각도 검출 부재의 검출 각도가 소정 각도 범위내가 되면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온 상태로 하는 제어장치를 설치해서 구성한다.

Description

모종 이식기{SEEDLING TRANSPLANTER}
이 발명은 포장에 모종을 식부하는 식부장치를 구비한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모종 이식기에서는 포장에 있어서의 왕복 식부 작업에 있어서 기체의 선회 동작과 연동해서 식부장치의 제어도 행함으로써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한 것이 알려져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폭넓은 조건에 적용가능한 모종 이식기로서 복수의 선회 패턴을 구비한 제어부에 의해 현장상황이나 작업 내용에 대응해서 기체의 선회 동작과 연동해서 식부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모종 이식기의 선회시에 바람직한 선회 패턴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조건에 적합한 선회 동작이 가능해진다.
일본 특허 제454324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는 선회 조작 부재의 조작 위치에서 선회 종료가 검출되면 식부장치의 작동전에 시비장치를 작동시켜서 모종의 식부 개시와 동시에 비료의 공급을 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식부장치는 선회 조작 부재를 선회 종료 위치까지 조작한 후, 기체가 소정 거리 전진하고나서 작동하므로, 비료의 공급이 먼저 행해져서 여분의 비료를 소비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료가 시비장치의 저류 호퍼로부터 시비 호스를 통해 포장에 도달하기도 전에 먼저 모종의 식부 개시 위치에 기체가 도달해 버리면 비료가 공급되지 않는 구간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여분의 비료를 소비하거나, 비료가 공급되지 않는 구간이 생기거나 하는 것을 방지해서 적절한 시비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시비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모종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다음 해결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주행 차체(2)의 좌우에 후륜(11,11)을 설치하고, 후방부에 모종 식부부(4)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모종 식부부(4)에 포장면에 접지하는 플로트(55)를 설치하고, 포장에 비료를 공급하는 시비장치(5)를 설치하고, 상기 플로트(55)의 회동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검지 부재(162)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 차체(2)의 선회에 연동해서 모종 식부부(4)의 승강, 및 모종 식부부(4)와 시비장치(5)의 작동을 스위칭하는 선회 연동 기구(T)를 구비한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모종 식부부(4)의 식부 작동을 온오프하는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와, 상기 후륜(11,11)의 회전수를 검지하는 후륜 회전 센서(205,205)를 설치하고,
상기 선회 연동 기구(T)에 의해 상기 모종 식부부(4)가 상승함과 아울러, 후륜 회전 센서(205,205)의 회전수의 카운트가 개시되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 및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오프 상태로 하고, 모종 식부부(4)가 하강해서 플로트(55)가 접지해서 각도 검지 부재(162)의 검출 각도가 소정 각도 범위내가 되면 상기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온 상태로 하고, 상기 후륜 회전 센서(205,205)가 소정 회전수에 도달하면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 상태로 하는 제어장치(16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이다.
삭제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주행 차체(2)에 좌우의 후륜(11,11)을 설치하고, 상기 좌우의 후륜(11,11)에 구동력을 각각 공급하는 좌우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L,200R)를 설치하고, 상기 좌우 한쪽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L,200R)에 상기 후륜 기어 케이스(200L,200R)를 경유해서 상기 시비장치(5)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시비 전동 부재(401)와, 상기 시비 전동 부재(401)로의 전동을 온오프하는 상기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설치해서 시비 전동 기구(42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이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상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오프하는 식부 클러치 모터(24)와, 상기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의 온오프를 행하는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와, 상기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를 조작하는 시비 전동 스위치(428)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163)는 상기 선회 연동 기구(T)의 작동중에 상기 각도 검지 부재(162)의 검출 각도가 소정 각도 범위가 되거나, 상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온 상태가 되거나, 또는 상기 시비 전동 스위치(428)가 온 조작되는 어느 하나의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를 작동시켜서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온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시비 전동 부재(401)의 일측 단부를 후륜 기어 케이스(200L,200R)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시비 전동 부재(401) 중 상기 후륜 기어 케이스(200L,200R)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수동 조작으로 시비장치(5)의 비료공급을 행하는 수동 조작 부재(42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이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상기 주행 차체(2)를 조타하는 선회 조작 부재(34)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 차체(2)에 좌우의 전륜(10,10)을 설치하고, 상기 선회 조작 부재(34)의 조작에 연동해서 상기 좌우의 전륜(10,10)의 방향을 변경함과 아울러 선회시의 선회 내측의 후륜(11)의 사이드 클러치(87)를 오프 상태로 하는 스티어링 기구(S)를 설치하고, 상기 선회 조작 부재(34)의 선회 조작 방향을 검출하는 선회 방향 검출 부재(193)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163)는 상기 선회 방향 검출 부재(193)가 검출하는 선회 방향이 상기 시비 전동 부재(401)를 설치한 좌우 일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가 선회 내측이 될 때 좌우 타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L)가 선회 내측이 될 때보다 상기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가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온 상태로 하는 타이밍을 빠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이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상기 주행 차체(2)에 엔진(20)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20)으로부터 전륜(10,10) 및 후륜(11,11)으로 전동하는 부변속 장치(571)를 설치하고, 상기 부변속 장치(571)를 스위칭 조작하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설치하고, 상기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부변속 조작 위치 검출 부재(17b)를 설치하고,
상기 부변속 장치(571)를 상기 엔진(20)으로부터 상기 전륜(10,10) 및 상기 후륜(11,11)으로의 전동을 차단해서 주행 중립 상태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오프 상태로 하는 상기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중립 위치(N)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중립 위치(N)의 측방에 상기 전륜(10,10) 및 상기 후륜(11,11)으로의 전동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 상태로 해서 식부장치(52)를 작동시키는 정지 식부 상태로 스위칭하는 상기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정지 식부 위치(W)를 형성하고, 상기 정지 식부 위치(W)에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 식부 위치 검출 부재(430)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163)는 상기 정지 식부 위치 검출 부재(430)에 의해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가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된 것이 검출되고 또한 플로트(55)의 회동각도가 소정 각도 범위내일 때 모종 식부부(4)의 식부 작동을 온오프하는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 상태로 함과 아울러 상기 정지 식부 위치 검출 부재(430)에 의해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가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된 것이 검출되어도 상기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검출되는 플로트(55)의 회동각도가 소정 각도 범위외일 때는 상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오프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이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상기 주행 차체(2)에 엔진(20)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20)으로부터 전륜(10,10) 및 후륜(11,11)으로 전동하는 부변속 장치(571)를 설치하고, 상기 부변속 장치(571)를 스위칭 조작하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설치하고, 상기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부변속 조작 위치 검출 부재(17b)를 설치하고,
상기 부변속 장치(571)를 상기 엔진(20)으로부터 상기 전륜(10,10) 및 상기 후륜(11,11)으로의 전동을 차단해서 주행 중립 상태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오프 상태로 하는 상기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중립 위치(N)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중립 위치(N)의 측방에 상기 전륜(10,10) 및 상기 후륜(11,11)으로의 전동이 정지한 상태로 상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 상태로 해서 식부장치(52)를 작동시키는 정지 식부 상태로 스위칭하는 상기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정지 식부 위치(W)를 형성하고, 상기 정지 식부 위치(W)에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 식부 위치 검출 부재(430)를 설치하고,
상기 엔진(20)으로부터 부변속 장치(571)로 전동하는 무단 변속 장치(23)를 설치하고, 상기 무단 변속 장치(23)를 변속 조작하는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를 설치하고, 상기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의 조작을 검출하는 주변속 조작량 검출 부재(16b)를 설치하고, 상기 주변속 조작량 검출 부재(16b)의 검출에 의거해서 상기 무단 변속 장치(23)의 트러니언축(295)을 회동시키는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를 설치하고, 상기 트러니언축(295)의 회동위치를 검출하는 트러니언축 검출 부재(113)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163)는 상기 주변속 조작량 검출 부재(16b)에 의해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가 상기 주행 차체(2)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중립 위치로 조작된 것을 검출하고, 또한 상기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플로트(55)의 회동각도가 소정 각도 범위내인 것을 검출하고 있을 때에 상기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하면 상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이다.
삭제
삭제
(발명의 효과)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선회시에 플로트(55)가 접지한 것을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검출하면,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오프 상태인 채로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온 상태로 해서 시비장치(5)를 작동시킴으로써 선회 후의 모종의 식부 개시에 선행해서 시비장치(5)를 작동시켜서 비료의 공급을 개시할 수 있으므로, 선회 후의 모종의 식부 개시시에 비료가 포장에 도착해서 비료가 공급되지 않는 구간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플로트(55)가 접지한 상태로 비료가 공급되므로 공중에 뿌려지는 일도 없다.
또한, 선회시에는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와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가 오프 상태로 되어서 모종 식부부(4)와 시비장치(5)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모종 식부부(4)가 포장면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비료가 방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비료의 확산이 방지된다.
또한,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오프로 된 식부장치(52)의 정지 후에 시비장치(5)를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 시비장치(5)로부터 포장면으로 이동중인 비료를 모종 식부부(4)가 최대 위치로 상승하는 동안에 포장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선회 후의 비료 공급 개시시에 필요이상으로 비료가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어 여분의 비료의 공급이 방지된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좌우 일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L,200R)에 시비 전동 부재(401)와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설치해서 시비 전동 기구(420)를 구성한 것에 의해 시비장치(5)의 온오프를 독립해서 행할 수 있으므로, 비료의 공급량의 과부족이 방지된다.
삭제
또한, 후륜(11,11)에 구동력을 전동하는 후륜 기어 케이스(200L,200R)에 시비 전동 부재(401)와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설치한 것에 의해 후륜 기어 케이스(200L,200R)로부터 시비장치(5)로의 전동경로를 짧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로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의 온오프를 행하는 것에 의해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의 온오프를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됨과 아울러 시비장치(5)의 온오프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비료의 공급량의 과부족이 방지된다.
그리고, 시비 전동 부재(401)의 일측 단부를 후륜 기어 케이스(200L,200R)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이 돌출부에 수동 조작 부재(426)를 설치한 것에 의해 수작업으로 시비장치(5)를 작동시켜서 비료의 공급을 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주행 차체(2)를 이동시키지 않고 비료의 공급량의 설정을 확인할 수 있어 여분의 연료 소비가 억제된다.
또한, 후륜 기어 케이스(200L,200R)로부터 돌출하는 시비 전동 부재(401)에 수동 조작 부재(426)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시비장치(5)로의 전동경로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수동 조작 부재(426)를 조작하는 힘이 경감된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시비 전동 부재(401)를 설치한 좌우 일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가 선회 내측이 될 때에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가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온 상태로 하는 타이밍을 빠르게 함으로써 좌우 일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가 선회 외측이 될 때와 같은 타이밍으로 비료의 공급이 개시되어 비료의 공급량의 과부족이 방지된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내지 4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플로트(55)가 접지 상태가 아니면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조작해도 정지 식부 상태로 스위칭되지 않는 것에 의해 오조작에 의해 모종 식부부(4)가 포장면보다 상방에서 모종의 식부동작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여분의 모종의 소비가 방지된다.
또한, 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하면 모종 식부부(4)가 작동함으로써, 주행 차체(2)를 그 자리에서 이동시키지 않고 모종을 식부할 수 있으므로, 모종의 식부 위치를 인접하는 조에 맞추기 쉬워져 모종의 식부 정밀도가 향상된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내지 4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플로트(55)가 접지 상태이며, 또한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에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하면 모종 식부부(4)가 작동함으로써 주행 차체(2)를 그 자리에서 이동시키지 않고 모종을 식부할 수 있으므로, 모종의 식부 위치를 인접하는 조에 맞추기 쉬워져 모종의 식부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오조작에 의해 모종 식부부(4)가 포장면보다 상방에서 모종의 식부동작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여분의 모종의 소비가 방지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승용형 이앙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승용형 이앙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승용형 이앙기의 좌우 전륜의 조향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승용형 이앙기의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며, (b)는 조작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승용형 이앙기의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승용형 이앙기의 전달 구성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은 승용형 이앙기의 좌측 후륜 기어 케이스의 내부에 있어서의 구동력의 전달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8은 승용형 이앙기의 우측 후륜 기어 케이스의 내부에 있어서의 구동력의 전달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9는 승용형 이앙기의 제어장치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10은 승용형 이앙기의 미션 케이스내의 구동륜으로의 전동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승용형 이앙기의 미션 케이스내의 부변속 기구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2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의 조작 위치(노상속)의 전동 기구도이다.
도 13은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의 조작 위치(식부 작업속)의 전동 기구도이다.
도 14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의 조작 위치(중립)의 전동 기구도이다.
도 15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의 조작 위치(정지 식부)의 전동 기구도이다.
도 16은 별도 구성예의 제어장치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17은 별도 구성예의 제어장치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18은 별도 구성예의 제어장치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19는 별도 구성예의 제어장치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20은 승용형 이앙기의 제어장치의 정지 식부 기능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21은 정지 식부 처리 0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22는 정지 식부 처리 1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23은 정지 식부 처리 2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24는 정지 식부 처리 3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25는 정지 식부 처리 4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26은 도 21∼도 25를 통합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27은 도 21∼도 25를 통합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28은 승용형 이앙기의 무단 변속 장치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29는 무단 변속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0은 무단 변속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31은 무단 변속 장치 피스톤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2는 별도 구성예의 무단 변속 장치 피스톤 부분이다.
이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하와 같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실시형태의 모종 이식기로서 8조식의 승용형 이앙기의 좌측면도와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앙기(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우를 각각 좌, 우라고 규정하고, 전후를 각각 전, 후라고 규정한다.
이 이앙기(1)는 주행 차체(2)의 후방측에 승강 링크 기구(3)를 통해 모종 식부부(4)가 승강가능하게 장착되고, 주행 차체(2)의 후방부 상측에 시비장치(5)의 본체부분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 차체(2)는 구동륜인 좌우 한쌍의 전륜(10,10) 및 좌우 한쌍의 후륜(11,11)을 구비한 4륜 구동 차량으로서, 기체의 전방부에 미션 케이스(12)가 배치되고, 그 미션 케이스(12)의 좌우 측방에 전륜 파이널 케이스(13)가 설치되고, 상기 좌우 전륜 파이널 케이스(13)의 전륜 지지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는 좌우 전륜 차축에 좌우 한쌍의 전륜(10,10)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한, 주행 차체(2)는 전단부가 미션 케이스(12)의 배면부에 고착된 메인 프레임(15)을 가짐과 아울러 그 메인 프레임(15)의 후방부를 구성하고, 주행 차체(2)의 좌우 방향에 배치된 기부 프레임(100)(도 2)과, 기부 프레임(100)의 양단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상승하고, 승강 링크 기구(3)의 전단측이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링크 베이스 프레임(42L,42R)을 갖고 있다.
또한, 주행 차체(2)의 후방부 좌우측에는 좌우 한쌍의 후륜(11,11)에 엔진(20)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동하는 전동 기구를 수납하는 좌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L), 우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가 배치되어 있다.
엔진(20)은 메인 프레임(15) 위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엔진(20)의 회전 동력이 벨트 전동 장치(21) 및 주변속 장치로서의 무단 변속 장치(23)를 통해 미션 케이스(12)에 전달된다. 그리고, 미션 케이스(12)에 전달된 회전 동력은 미션 케이스(12)내의 부변속 장치(571)(도 10)에 의해 주행 동력과 외부 인출 동력으로 분리해서 인출된다. 부변속 장치(571)에서는 엔진(20)로부터의 전륜(10,10) 및 후륜(11,11)으로의 주행 동력의 출력이 변경된다.
그리고, 주행 동력은 일부가 전륜 파이널 케이스(13)에 전달되어서 좌우 한쌍의 전륜(10,10)을 구동함과 아울러 나머지 일부가 제 1 전동축(230L)을 통해 좌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L), 및 제 2 전동축(230R)을 통해 우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에 각각 전달되어서 좌우 한쌍의 후륜(11,11)을 구동한다.
또한, 좌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L)에 전달된 주행 동력의 일부는 좌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L)내에 설치된 정지 클러치 기구(320)(도 6, 도 7)를 통해 모종 식부부(4)에 부착된 정지 로터(27)(제 1 정지 로터(27a)와 제 2 정지 로터(27b)의 조합을 단지 정지 로터(27)라고 하는 일이 있다)로 전동된다. 정지 클러치 기구(320)에 대해서는 도 7 등을 사용해서 후술한다.
또한, 우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에 전달된 주행 동력의 일부는 우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내에 설치된 시비 전동 기구(420)(도 6, 도 8)를 통해 시비장치(5)로 전동된다. 시비 전동 기구(420)에 대해서는 도 8 등을 사용해서 후술한다.
그리고, 외부 인출 동력은 주행 차체(2)의 후방부에 설치한 식부 클러치 케이스(25)에 전달되고, 그것으로부터 식부 전동축(26)에 의해 모종 식부부(4)로 전동된다.
엔진(20)의 상부는 엔진 커버(30)로 덮여져 있고, 그 위에 조종석(31)이 설치되어 있다. 조종석(31)의 전방에는 각종 조작 기구를 내장하는 프론트 커버(32)가 있고, 그 상방에 좌우의 전륜(10,10)을 조향 조작하는 선회 조작 부재(3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종석(31)의 근방에는 무단 변속 장치(23)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가 설치되고, 레버 가이드(16a)(도 4)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회동조작함으로써 무단 변속 장치(23)로부터 출력하는 유압을 조정하는 사판(69)(도 29)의 경사각도를 변경하는 트러니언축(295)(도 30)을 회동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무단 변속 장치(23)의 출력이 변경되어서 주행 차체(2)의 전후진(발진), 정지(중립), 증감속을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의 조작 위치는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의 기부에 설치하는 주변속 조작량 검출 부재(16b)에 의해 검출된다. 주변속 조작량 검출 부재(16b)(도 5)에 의해 검출되는 중립 위치(16aa)(도 4)로부터의 조작량과 조작 방향에 맞춰 제어장치(163)에 의해 도 5에서 나타내는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로 무단 변속 장치(23)의 트러니언축(295)을 회동시키는 구성이다. 트러니언축(295)의 회동각도에 의해 사판(69)의 경사각도를 변화시켜서 무단 변속 장치(23)의 출력을 무단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는 정전으로 전진측, 역전으로 후진측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또한,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도 2)를 레버 가이드(17a)(도 4)를 따라 회동조작함으로써 부변속 장치(571)가 이동용의 노상속(고속)의 위치, 작업용의 식부 작업속(저속)의 위치, 주행 계통으로 전동하지 않는 중립의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수동으로 스위칭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조작 위치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기부에 설치하는 부변속 조작 위치 검출 부재(17b)(도 5)에 의해 검출된다.
엔진 커버(30) 및 프론트 커버(32)의 하단 좌우 양측은 수평상의 플로어 스텝(35)이 되고 있다. 플로어 스텝(35)은 일부 격자상으로 되어 있고(도 2 참조), 플로어 스텝(35)을 걷는 작업자의 구두에 붙은 진흙이 포장에 낙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승강 링크 기구(3)는 평행 링크 구성으로서, 1개의 상측 링크(40)와 좌우 한쌍의 하측 링크(41)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링크(40) 및 하측 링크(41)는 이들의 기부측이 메인 프레임(15)의 후단부의 기부 프레임(100)에 입설된 배면으로 볼 때 문형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좌우 한쌍의 링크 베이스 프레임(42L,42R)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그 선단측에 세로 링크(43)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링크(43)의 하단부에 모종 식부부(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연결축(44)이 삽입 연결되고, 연결축(44)을 중심으로 해서 모종 식부부(4)가 롤링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15)에 고착된 지지 부재와 상측 링크(40)에 일체 형성된 스윙암(도시 생략)의 선단부 사이에 승강 유압 실린더(46)가 설치되어 있고, 승강 유압 실린더(46)을 유압으로 신축시킴으로써 상측 링크(40)가 상하로 회동하여 모종 식부부(4)이 거의 일정 자세인 채로 승강한다.
모종 식부부(4)는 8조식의 구성으로 되고, 프레임을 겸하는 식부 전동 케이스(50), 매트 모종을 실어서 좌우 왕복 이동하고, 모종을 1주분씩 각 조의 모종 인출구(51a)에 공급함과 아울러 횡일렬분의 모종을 모두 모종 인출구(51a)에 공급하면 모종 이송 벨트(51b)에 의해 모종을 하방으로 이송하는 모종 적재대(모종 탑재부)(51), 모종 인출구(51a)에 공급된 모종을 모종 식부구(52a)에 의해 포장에 식부하는 식부장치(52) 등을 구비하고 있다.
모종 식부부(4)의 하부에는 중앙에 플로트(55), 그 좌우 양측에 미들 플로트(57)와 사이드 플로트(5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플로트(55), 미들 플로트(57) 및 사이드 플로트(56)를 포장의 진흙면에 접지시킨 상태로 기체를 진행시키면 플로트(55), 미들 플로트(57) 및 사이드 플로트(56)가 진흙면을 정지하면서 활주하고, 그 정지 자국에 식부장치(52)에 의해 모종이 식부된다.
플로트(55), 미들 플로트(57) 및 사이드 플로트(56)는 포장 표토면의 요철에 대응해서 전단측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식부 작업시에는 플로트(55)의 전방부의 상하동이 상기 플로트(55)의 전방측 상부에 설치하는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검출되고, 이 검출 결과에 맞춰서 승강 유압 실린더(46)를 제어하는 전자 유압 밸브(161)(도 5)를 스위칭하여 모종 식부부(4)를 승강시킴으로써 모종의 식부깊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시비장치(5)는 비료 탱크(60)에 저류되어 있는 입자상의 비료를 조출부(61)에 의해 일정량씩 조출하고, 그 비료를 시비 호스(62)로 플로트(55), 미들 플로트(57) 및 사이드 플로트(56)의 좌우 양측에 부착한 시비 가이드(도시 생략)까지 안내하고, 시비 가이드 전방측에 설치한 작홈체(64)에 의해 모종 식부조의 측부 근방에 형성되는 시비홈내에 떨어뜨려 넣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블로어용 전동 모터(53)로 구동하는 블로어(58)로 발생시킨 에어가 좌우 방향으로 긴 에어쳄버(59)를 경유해서 시비 호스(62)에 불어넣어져서 시비 호스(62)내의 비료를 풍압에 의해 반송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모종 적재대(51)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구성이며, 주행 차체(2)의 전방부 좌우 양측에는 보급용의 모종을 실어 두는 한쌍의 예비 모종 프레임(38,38)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승용형 이앙기의 좌우의 전륜(10,10)의 조향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다. 선회 조작 부재(34)에 의해 좌우의 전륜(10,10)이 조향 조작되는 부분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선회 조작 부재(34)는 프론트 커버(32)내에 설치된 스티어링축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스티어링축의 회전은 미션 케이스(12)내에 설치된 스티어링 변속 기어를 통해 감속되어서 출력축(174)으로 전동된다. 그리고, 출력축(174)의 하단은 미션 케이스(12) 저면으로부터 돌출해서 피트먼암(175)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피트먼암(175)의 전방부 좌우측과 좌우의 전륜 파이널 케이스(13,13)는 좌우의 로드(176,176)(도 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선회 조작 부재(34)를 회동 조작하면 스티어링축, 스티어링 변속 기어, 출력축(174), 피트먼암(175), 좌우의 로드(176,176), 좌우의 전륜 파이널 케이스(13,13)로 전달되어서 좌우의 전륜(10,10)이 좌우로 조향 조작된다.
한편, 피트먼암(175)의 후방부 상면에는 작동 롤러(17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작동 롤러(177)의 좌우 양측을 포위하는, 평면으로 볼 때 コ자형상으로 노치된 노치부(178)를 갖는 종동체(179)가 미션 케이스(12)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종동체(179)의 좌우 양측부에는 좌우의 후륜(11)의 사이드 클러치축(586,586)(도 10)의 좌우 사이드 클러치(87,87)를 조작하는 좌우 사이드 클러치 조작암(86,86)에 연결된 좌우 로드(180,180)의 전방부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시,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87,87)는 온 상태이다.
따라서, 선회 조작 부재(34)를 소정량(기체를 우선회시키는 의사를 갖고 작업자가 우측으로 돌리는 양, 예를 들면 200도)이상 우측으로 돌리면 피트먼암(175)도 우측으로 회동하고, 작동 롤러(177)가 (a)방향으로 회동하여 종동체(179)의 노치부(178)의 좌측면(178a)을 누르기 위해 종동체(179)를 (b)방향으로 회동시켜 우측 로드(180)를 당기고, 우측 사이드 클러치 조작암(86)이 조작되어서 우측 사이드 클러치(87)가 오프된다.
이들 선회 조작 부재(34), 출력축(174), 피트먼암(175), 작동 롤러(177), 종동체(179), 로드(180), 클러치 연동용의 사이드 클러치 조작암(86) 등을 스티어링 기구(S)라고 한다. 선회 중심측의 우측 후륜(11)이 유전 상태가 되므로, 우측 후륜(11)이 경반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이토(泥土)를 다량 들어 올려서 진흙면을 황폐하게 해버리는 일이 없어 우선회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반대로, 선회 조작 부재(34)를 소정량이상 왼쪽으로 돌리면 피트먼암(175)도 좌회동하고, 작동 롤러(177)가 (a)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고, 종동체(179)의 노치부(178)의 우측면(178b)을 누르기 위해 종동체(179)를 (b)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좌측 로드(180)를 당기고, 좌측 사이드 클러치 조작암(86)이 조작되어서 좌측 사이드 클러치(87)가 오프되고, 선회 중심측의 좌측 후륜(11)이 유전 상태가 되므로, 좌측 후륜(11)이 경반을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이토를 다량 들어 올려서 진흙면을 황폐하게 하는 일도 없어 좌선회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회시에는 선회 외측의 사이드 클러치(87)는 온 상태가 유지되지만, 선회 내측의 사이드 클러치(87)만 오프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4(a)에는 표시 패널(80)의 평면도의 예를 나타내고, 도 4(b)에는 조작 패널(70)의 평면도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5에는 도 1의 이앙기(1)의 제어장치(163)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1)에서는 프론트 커버(32) 상부의 선회 조작 부재(34) 근방에 각종 스위치, 버튼, 다이얼 등을 배치한 조작 패널(70)을 설치하고, 또한 조작 패널(70) 위에 이앙기(1)의 운전 조작 위치나, 작업, 조작 제어 상태 등의 작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80)을 설치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종석(31)에서 볼 때 우측에는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가, 좌측에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가 배치되고, 그 하측에는 각 두렁 클러치(도시 생략)를 온오프하는 두렁 클러치 스위치(82)가 배치되어 있다. 두렁 클러치 스위치(82)는 좌측에 1조 및 2조의 두렁 클러치 스위치(82a)와 3조 및 4조의 두렁 클러치 스위치(82b)가, 우측에 5조 및 6조의 두렁 클러치 스위치(82c)와 7조 및 8조의 두렁 클러치 스위치(82d)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가이드(17a)의 우측에는 선회에 맞춰서 모종 식부부(4)의 작동과 승강 및 시비장치(5)의 작동이 자동으로 행해지는 선회 연동 모드를 온오프하는 선회 연동 스위치(90)가 있고, 선회 연동 스위치(90)의 상측에는 식부 개시 조정 다이얼(92)이나 정지 로터의 높이 조정 다이얼(94)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 패널(80)의 모니터(83) 상측의 「심는다」는 식부 클러치 케이스(25)내의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온일 때에 점등되고, 선회 연동 램프(84)는 상기 선회 연동 모드가 온일 때에 점등된다. 상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의 온오프 상태는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b)에 의해 검출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선회 연동 램프(84)는 일례로서 「턴」이라고 표시한다. 또한, 두렁 클러치가 오프일 때나 시비장치(5)로부터의 비료의 막힘이나 비료 떨어짐일 때에 점등되는 램프 등을 설치하고 있다.
선회 연동 스위치(90)에 의해 선회 연동 모드로 하면 선회 연동 기구(T)가 기능한다. 선회 연동 기구(T)란 구체적으로는 선회 조작 부재(34)가 조작되어서 선회 주행이 개시되면 제어장치(163)에 의해 전자 유압 밸브(161)를 스위칭하여 승강 유압 실린더(46)를 줄여서 모종 식부부(4)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후륜 샤프트(341)에 설치하는 좌우의 후륜 회전 센서(205,205)의 회전수차의 카운트가 개시됨과 아울러 선회 조작 부재(34)가 선회 종료측으로 조작되고나서 좌우의 후륜 회전 센서(205,205)의 회전수차가 일정값 미만이 되면 제어장치(163)에 의해 전자 유압 밸브(161)를 스위칭하고, 승강 유압 실린더(46)를 늘려서 모종 식부부(4)를 하강시킴과 아울러 좌우의 후륜 회전 센서(205,205)의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에 도달하면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 상태로 하는 기구이다. 이하에 있어서, 더 상세하게 서술한다.
우선, 작업자가 선회 조작 부재(34)를 좌우 어느 하나에 200도 회전 조작하면(선회 조작 부재(34)는 좌우로 최대 360도∼400도 회전한다) 선회 주행이 개시된다. 선회 개시 타이밍은 선회 조작 부재(34)의 선회 방향 검출 부재(193)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제어장치(163)가 산출한다. 또한, 선회 방향 검출 부재(193)는 선회 조작 부재(34)의 조향 각도 뿐만 아니라 선회 방향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선회 방향 검출 부재(193)는 선회 조작 부재(34)의 스티어링축에 설치하는 포텐셔미터로 한다.
그리고, 선회 주행이 개시되면 제어장치(163)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어서 전자 유압 밸브(161)를 작동시키는 전자 솔레노이드(도시생략)를 제어해서 모종 식부부(4)를 상승시키고, 식부 클러치 모터(24)를 오프측으로 작동시켜서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오프로 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기구(S)에 의해 미션 케이스(12)에 내장되는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87,87)(도 10) 중 선회 내측의 사이드 클러치(87)가 오프된다.
그리고, 좌우의 후륜 회전 센서(205,205)의 회전수차의 카운트가 개시됨과 아울러 선회 조작 부재(34)가 선회 종료측으로 조작되고나서 선회 내측의 사이드 클러치(87)가 온으로 되어서 좌우의 후륜 회전 센서(205,205)의 회전수차가 일정값 미만이 되면 제어장치(163)가 전자 유압 밸브(161)를 작동시키는 전자 솔레노이드를 제어하고, 모종 식부부(4)를 하강시킴과 아울러 좌우의 후륜 회전 센서(205,205)의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에 도달하면 식부 클러치 모터(24)를 온측으로 작동시켜서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으로 한다.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온 상태가 됨으로써 전체 식부조의 모종 식부구(52a)가 작동함과 아울러 모종 적재대(51)도 좌우 이동을 개시하고, 모종 적재대(51)의 좌우 이동끝에서는 전체 식부조의 모종 이송 벨트(51b)가 작동한다. 전동 기구로서는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로부터 식부 전동축(26)에 의해 모종 식부부(4)로 전동되고, 모종 식부부(4)내에 있어서 각 두렁 클러치를 통해 각각 대응하는 모종 식부구(52a)로 전동되고, 모종 식부부(4)내에 있어서 각 모종 이송 클러치(도시 생략)를 통해 각각 대응하는 모종 이송 벨트(51b)로 전동된다. 상기와 같이 모종 식부 레버(19)(도 2)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모종의 식부가 개시된다.
또한, 시비장치(5)도 상기 모종 식부부(4)의 승강에 연동해서 작동하지만, 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을 사용해서 미션 케이스(12)측으로부터 전동되는 구동력의 좌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L)에 있어서의 전동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미션 케이스(12), 좌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L), 및 우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R)에 있어서의 전달 구성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좌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L)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주행 차체(2)의 전방측, 후방측, 좌측, 및 우측을 각각 화살표 F, B, L, 및 R로 나타냈다. 후술하는 도 8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입력축(321L)을 포함하는 정지 클러치 기구(320)에는 미션 케이스(12)측으로부터 제 1 전동축(230L)을 통해 제 1 입력축(321L)에 동력이 전달된다. 그 동력은 제 1 입력축(321L)의 후단측의 제 1 베벨기어(321aL)로부터 제 2 베벨기어(330L)가 고착되어 있는 제 2 회전축(340L)으로 전동되고, 제 2 회전축(340L)에 고착된 소경 기어(331L)를 통해 대경 기어(332L)에 전달됨으로써 좌측 후륜 샤프트(341L)가 회동하는 구성이다.
이어서, 정지 클러치 기구(320)에 의한 로터 전동축(301)으로의 구동력의 온오프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지 클러치 기구(320)는 제 1 입력축(321L)과, 그 제 1 입력축(321L)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스플라인 접속된 정지 로터 온오프 클러치(322)와, 정지 로터 온오프 클러치(322)를 제 1 베벨기어(321aL)측으로 상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스프링(323)과, 바이어싱 스프링(323)에 의한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해서 정지 로터 온오프 클러치(322)의 플랜지부(322a)를 누르는 돌기부(324aL)를 선단에 구비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입력축(321L)의 축방향을 따라 화살표 E 방향으로 정지 로터 온오프 클러치(322)를 시프트시키는 스위칭 시프터(324L)와, 제 1 입력축(321L)에 헐겁게 끼우고, 정지 로터 온오프 클러치(322)의 제 1 베벨기어(321aL)측에 설치된 제 1 기어(32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정지 로터 온오프 클러치(322)의 제 1 기어(325)측의 면에는 제 1 클러치 클로(322b)가 복수 형성되어 있고, 제 1 기어(325)의 정지 로터 온오프 클러치(322)측의 면에는 제 1 클러치 클로(322b)와 감합하기 위해서 제 2 클러치 클로(325a)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기어(325)의 회동에 의한 전동력이 체인(311)을 통해 로터 전동축(301)에 고착되어 있는 제 2 기어(312)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정지 로터(27)측으로 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스위칭 시프터(324L)의 근원부(324b)측은 승강 링크 기구(3)의 주행 차체(2)측에 설치된 로드나 와이어,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스위칭 연동 기구(326a)에 접속되어 있다. 기체의 선회시나 후진시, 또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모종 식부부(4)가 상승할 때 승강 링크 기구(3)가 소정 높이까지 상방 이동하면 스위칭 연동 기구(326a)가 스위칭 시프터(324L)를 조작하고, 정지 클러치 기구(320)를 오프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모종 식부부(4)가 상승할 때에 정지 로터(27)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정지 로터(27)측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로터 전동축(301)을 기체의 내측에 배치하면 상기 로터 전동축(301)이 좌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L)보다 기체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좌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L)보다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좌측의 후륜(11)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후륜(11)의 회전에 의해 튀어오르는 이토가 좌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L)에 수용되어 로터 전동축(301)으로 비산하기 어려워져 로터 전동축(301)의 오일 시일의 손상이 방지된다.
좌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L)내에는 내부의 기어 기구용의 윤활유가 봉입되어 있고, 로터 전동축(301)이 돌출하는 개소는 오일 시일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오일 시일이 파손되면 로터 전동축(301)의 회전에 따라 윤활유가 외측으로 나올 우려가 있지만, 상기 구성에 의해 윤활유가 새어나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로터 전동축(301)을 좌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L)의 하방에 배치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좌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L)의 하방의 정지 로터(27)의 작동시의 높이와 가깝게 되어 구동력의 전달 로스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로터 전동축(301)을 좌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L)의 상방에 배치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로터 전동축(301)에 이토가 비산되기 어려워지므로, 이토의 영향으로 오일 시일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로터 전동축(301)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어서, 도 6, 도 8을 사용해서 미션 케이스(12)측으로부터 전동되는 구동력의 우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R)에 있어서의 전동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우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R)의 내부에 있어서의 구동력의 전달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비 전동 기구(420)에 있어서는 미션 케이스(12)측으로부터 제 2 전동축(230R)을 통해 제 2 입력축(321R)에 동력이 전달된다. 그 동력은 제 2 입력축(321R)의 후단측의 제 1 베벨 기어(321aR)로부터 제 2 베벨 기어(330R)가 고착되어 있는 제 2 회전축(340R)으로 전동되고, 제 2 회전축(340R)에 고착된 소경 기어(331R)를 통해 대경 기어(332R)에 전달되는 것에 의해 우측 후륜 샤프트(341R)가 회동하는 구성이다.
이어서, 시비 전동 기구(420)에 의한 시비 전동 부재(401)로의 구동력의 온오프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시비 전동 기구(420)는 제 2 입력축(321R)과, 상기 제 2 입력축(321R)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스플라인 접속된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와,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제 1 베벨 기어(321aR)측과 반대측으로 상시 바이어싱하는 시비 바이어싱 스프링(423)과, 시비 바이어싱 스프링(423)에 의한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해서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의 시비 플랜지부(422a)를 누르는 돌기부(324aR)를 선단에 구비하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입력축(321R)의 축방향을 따라 화살표 E 방향으로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시프트시키는 스위칭 시프터(324R)와, 제 2 입력축(321R)에 헐겁게 끼우고,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의 제 1 베벨 기어(321aR)측의 반대측에 설치된 제 3 베벨 기어(42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의 제 3 베벨 기어(425)측의 면에는 제 3 클러치 클로(422b)가 복수 형성되어 있고, 제 3 베벨 기어(425)의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측의 면에는 제 3 클러치 클로(422b)와 감합하기 위해 제 4 클러치 클로(425a)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시프터(324R)의 근원부(324bR)는 시비장치(5)의 구동력을 스위칭하는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에 케이블(427)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모종 식부부(4)의 승강에 연동해서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에 의해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스위칭하는 구성이다.
제어장치(163)에 의해 모종 식부부(4)의 승강에 맞춰서 식부 클러치 모터(24)가 작동함과 아울러, 식부 클러치 모터(24)의 작동에 맞춰서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가 작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단, 모종 식부부(4)가 하강하고 있을 때(식부 작업시)는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비 전동 스위치(428)로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를 온오프하고, 모종의 식부와 시비를 독립해서 행하는 구성으로 한다.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에 의해 스위칭 시프터(324)를 일방측, 즉 도 8의 우측으로 스위칭 조작하면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가 같은 방향, 즉 도 8의 우측으로 스위칭되며, 이것에 의해 제 3 클러치 클로(422b)와 제 4 클러치 클로(425a)의 감합이 해제되므로 입력축(321)의 회동에 의한 구동력은 제 3 베벨 기어(425)에는 전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시비장치(5)측으로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에 의해 스위칭 시프터(324)를 타방측, 즉 도 8의 좌측으로 스위칭 조작하면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가 같은 방향, 즉 도 8의 좌측으로 스위칭되며, 제 3 클러치 클로(422b)와 제 4 클러치 클로(425a)가 감합되므로 입력축(321)의 회동에 의한 구동력이 제 3 베벨 기어(425)으로 전동된다. 그리고, 제 3 베벨 기어(425)의 회동에 의한 전동력이 시비 전동 부재(401)에 고착되어 있는 제 4 베벨 기어(412)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시비장치(5)측으로 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우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와 좌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L)의 배치는 좌우를 바꾸어도 좋고, 우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에 정지 클러치 기구(320)를 설치하고, 좌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L)에 시비 전동 기구(420)를 설치해도 좋다.
그리고, 이앙기(1)에서는 선회 연동 기구(T)가 기능하는 선회 주행시에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플로트(55)의 전후 전역이 포장면에 접지하고 있다라고 간주할 수 있는 각도인 것이 검출되면 시비장치(5)의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에 의해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가 온 상태로 스위칭되며, 시비장치(5)가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가 온 상태가 되면 블로어용 전동 모터(53)도 동시에 작동함으로써 비료의 반송풍을 발생시켜 비료의 반송 능률이 향상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각도검지 부재(162)에 의해 플로트(55)가 포장면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는, 즉 접지가 검출되지 않을 때는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에 의해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가 오프 상태로 되고, 블로어용 전동 모터(53)가 연동해서 작동함과 아울러 시비장치(5)가 구동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의 플로우 챠트를 도 9에 나타낸다.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플로트(55)가 포장면에 접지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면 그 시점에 있어서의 시비 구동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고, 시비장치(5)가 작동하고 있을 때에는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시비장치(5)가 작동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구동을 스위칭하여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를 작동시킨다.
또한,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플로트(55)가 포장면에 접지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지 않는, 즉 이간이 검출될 때는 그 시점에 있어서의 시비 구동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고, 시비장치(5)가 작동하고 있을 때는 구동을 스위칭하여 정지시킨다. 한편, 시비장치(5)가 작동하고 있지 않을 때는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한다. 시비 구동의 온오프 상태는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에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도시생략)를 설치하는 것이나, 시비 전동 스위치(428)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서 판단하는 구성으로 한다.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플로트(55)가 포장면으로부터 이간되었다고 간주하는 각도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트(55)의 전후 전역이 포장면에 접지하고 있을 때를 ±0도(기준값)로 하여 -3∼5도이상으로 하면 좋다. 또한, 플로트(55)의 상하 회동 지점이 플로트 후방부에 있으므로 이 각도는 플로트(55)의 전단이 기준값으로부터 내려가면 마이너스, 올라가면 플러스라는 방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플로트(55)가 포장면으로부터 이간된 것을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검출하면 시비장치(5)가 정지함으로써 모종 식부부(4)가 상승을 개시하면 시비장치(5)로부터의 비료의 공급이 정지하므로, 포장면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서 비료가 방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비료의 쓸데 없는 확산이 방지된다.
또한, 플로트(55)가 접지 상태로 된 것을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검출하면 시비장치(5)가 작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선회 후의 모종의 식부 개시에 선행해서 시비장치(5)를 작동시켜 비료의 조출을 개시시킬 수 있으므로, 선회 후의 모종의 식부 개시시에 비료가 포장에 공급된다. 따라서, 비료가 공급되지 않는 구간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플로트(55)가 접지한 상태로 비료가 공급되므로 공중에 뿌려지는 일도 없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이앙기에서는, 모종 식부부(4)의 상승시에 있어서의 시비장치(5)의 작동 정지에 관해서는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하지 않고,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의 온오프를 검출하는 식부 작동 검출 부재(25ab)에 의해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의 오프 상태가 검출되면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가 오프 상태로 되어서 시비장치(5)의 작동이 정지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오프로 된 식부장치(52)의 정지 후에 시비장치(5)를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 시비장치(5)의 시비 호스(62)로부터 포장면으로 이동중인 비료를 모종 식부부(4)가 최대 위치로 상승하는 동안에 포장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선회 후의 비료 공급 개시시에 필요이상으로 비료가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어 여분의 비료의 공급이 방지된다.
또한, 모종 식부부(4)의 하강시에는 상술한 대로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플로트(55)가 접지 상태로 된 것이 검출되면 시비장치(5)가 작동함으로써 비료가 공급되지 않는 구간의 발생이나, 비료가 공중에서 뿌려져서 확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들의 제어는 제어장치(163)에 의해 행해지지만, 모종 식부부(4)의 상승시에 있어서의 시비장치(5)의 작동 정지를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검출되는 결과에 기초할지, 식부 작동 검출 부재(25ab)에 의해 검출되는 결과에 기초할지에 대해서는 도 4에 나타내는 조작 패널(70)에 설치한 선택 스위치(432)에 의해 작업자가 작업 조건이나 포장 조건 등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선택 스위치(432)를 좌측으로 조작하면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검출되는 결과에 기초하고, 우측으로 조작하면 식부 작동 검출 부재(25ab)에 의해 검출되는 결과에 기초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대로, 시비 전동 기구(420) 및 시비 전동 부재(401)를 좌우 일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도시예에서는 우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R))에 설치하고 있고, 식부 클러치 케이스(25) 및 식부 전동축(26)을 개재하는 모종 식부부(4)로의 식부 전동 기구로부터 독립된 시비 전동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즉, 시비장치(5)의 구동의 온오프를 독립해서 행할 수 있으므로, 식부장치(52)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비료공급의 개시나 종료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여분의 비료를 공급하는 것이나, 비료가 공급되지 않는 구간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시비 전동 기구(420)를 온오프조작하는 시비 전동 스위치(428)를 조작 패널(70)에 설치하고 있고, 작업자가 시비 전동 스위치(428)를 누름으로써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에 의해 시비장치(5)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시비 전동 스위치(428)의 온오프 조작이나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한 검출 결과나 식부 작동 검출 부재(25ab)에 의한 검출 결과 등에 의거해서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가 작동해서 시비 전동 기구(420)의 온오프를 행하는 것에 의해(시비 전동 기능), 시비 전동 기구(420)의 온오프가 용이하게 자동화되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됨과 아울러 시비장치(5)의 온오프가 확실하게 행해진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비장치(5)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시비 전동 부재(401)를 기체의 내측, 즉 우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R)를 기준으로 해서 후륜(11)을 설치하는 측의 반대측에 배치함으로써 후륜(11)의 회전에 의해 의해서 튀어오르는 이토가 우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R)의 기체 외측면에 수용되므로 시비 전동 부재(401)에는 이토가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시비 전동 부재(401)를 기체의 외측에 배치, 즉 시비 전동 부재(401)를 우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R)를 기준으로 해서 후륜(11)측(우측)에 배치함으로써 작업자가 후륜(11)측, 즉 기체 외측으로부터 시비 전동 부재(401)나 그 부재 주변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쉬워지므로, 메인터넌스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시비 전동 부재(401)를 우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R)의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주행 차체(2)에 배치하는 시비장치(5)의 조출부(61)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구동력의 전동 로스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를 우측 후륜 기어 케이스(200R)의 상방이며, 또한 플로어 스텝(35)의 하방에 배치하면 후륜(11)의 회전에 의해 튀어오른 이토가 시비 전동 부재(401)까지 도달하기 어려워져 시비 전동 부재(401)에 이토가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승강 링크 기구(3) 하측 링크(41)에 로드(도시 생략)를 부착하고, 로드를 케이블(427)을 통해 스위칭 시프터(324R)의 근원부(324bR)와 접속해서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해도 좋다.
또한, 시비 전동 부재(401)에 수동 조작 부재(426)를 장착해서 수동으로 비료의 조출이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8에서는 우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의 기체 내측(즉 좌측)으로 시비 전동 부재(401)가 돌출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시비 전동 부재(401)를 우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의 기체 외측(즉 우측)으로 돌출시키고, 이 돌출부에 수동 조작 부재(426)를 장착하면 시비장치(5)의 비료의 공급을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시비장치(5)가 공급하는 비료는 작업자가 포장의 성분이나 재배하는 작물에 맞춰서 변경하지만, 비료는 성분의 차이에 따라 비중이 다르다. 이것에 의해, 시비장치(5)의 비료의 공급량의 설정이 같아도 실제로 공급되는 비료의 양이 설정에 비해서 많아지거나, 또는 적어지는 일이 있어 포장에의 비료의 공급량의 과부족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포장내에서의 모종의 식부 작업 전에 시비장치(5)를 작동시켜 소정 시간내의 시비장치(5)로부터 방출되는 비료의 양을 확인하는, 소위 「시험 조출」 작업을 행하여 비료의 공급량을 작업 조건에 적합한 양으로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한편, 시비장치(5)는 모종 식부부(4)가 구동하고 있지 않으면 구동하지 않는 구성이므로, 「시험 조출」 작업을 행할 때 모종을 모종 식부부(4)에 싣기 전에 행하거나, 일단 모종 식부부(4)로부터 모종을 떨어뜨릴 필요가 있어 여분의 작업 시간을 소비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종이 모종 식부부(4)에 실려 있으면 시험 조출시에 모종이 긁혀져서 모종이 여분으로 소비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엔진을 작동시킬 필요가 있어서 여분의 연료가 소비되어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시비 전동 부재(401)의 일측 단부를 우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로부터 우측으로 돌출시키고, 이 돌출부에 수동 조작 부재(426)를 장착하면 수작업으로 시비장치(5)의 「시험 조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동 조작 부재(426)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 작업자가 「시험 조출」 작업을 행하는 것에 의해 주행 차체(2)의 여분의 연료소비가 억제되며, 연비가 향상된다.
또한, 수동 조작 부재(426)를 우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 부근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기체 후방부의 시비장치(5)까지의 구동력의 공급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구동력의 전동 로스가 작아 작동 효율이 향상됨과 아울러, 수동 조작 부재(426)를 조작하는 힘이 경감되므로, 작업자의 노동력이 경감된다.
또한, 시비 전동 부재(401)를 설치한 우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측의 후륜(11)이 선회 내측이 되는 선회 주행을 할 때에 시비 전동 부재(401)가 없는 좌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L)측의 후륜(11)이 선회 내측이 될 때에 비해 선회 후의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의 작동 타이밍을 빠르게 하는 구성으로 한다.
선회 주행중에는 상기 스티어링 기구(S)에 의해 선회 내측의 사이드 클러치(87)가 오프되므로 선회 내측에 위치하는 우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로의 구동력의 전동이 끊어져 있다. 따라서, 시비 전동 부재(401)가 설치되어 있는 우측으로 선회할 때는 좌측으로 선회할 때에 비해서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가 온 상태가 될 때의 시비 전동 부재(401)의 회전수가 저하되므로, 시비장치(5)가 작동하는 타이밍이 느려지고, 선회 방향에 의해 비료의 공급 개시 위치가 변해서 비료가 공급되지 않는 위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우측 선회 후의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의 작동 타이밍을 좌측 선회 후의 작동 타이밍보다 빠르게 함으로써 선회 후에 시비 전동을 개시하는 회전수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선회 방향에 관계 없이 비료의 공급 개시 타이밍을 안정시킬 수 있어 비료가 공급되지 않는 구간의 발생이 방지된다.
상기에서는 시비 전동 부재(401)를 우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에 설치하고 있는 점에서 좌측으로 선회할 때보다 우측으로 선회할 때에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의 작동 타이밍을 빠르게 하는(예를 들면 3∼5초) 제어가 제어장치(163)에 의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우선회시에는 좌선회시보다 플로트(55)가 접지하고나서의 시비 전동 부재(401)의 회전 펄스의 온타임을 짧게 설정하고, 빠른 타이밍으로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를 작동시킴으로써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온 상태로 한다.
우선회시에는 우측의 사이드 클러치(87)가 오프되는 것에 부수되어서 우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로의 시비 구동의 출력 회전수가 저하되므로, 좌선회시와 비교해서 시비의 개시 지점이 느린 경향이 있지만, 본 구성에 의해 시비장치(5)의 구동을 선회 방향에 의하지 않고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레버 가이드(17a)를 따라 중립으로 했을 때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변속 조작 위치 검출 부재(17b)에 의해 중립 위치(N)로 조작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면 제어장치(163)에 의해 식부 클러치 모터(24)를 오프측으로 작동시켜서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오프 상태로 함으로써 식부장치(52)의 작동이 정지한다(정지 기능). 한편,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중립 위치의 옆에 있는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하면 주행 차체(2)의 좌우의 전륜(10,10) 및 좌우의 후륜(11,11)으로의 구동력의 공급이 정지한 상태로 식부장치(5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것을 「정지 식부 작업」으로 한다.
정지 식부 위치(W)에는 센서 스위치인 정지 식부 위치 검출 부재(430)가 설치되어 있고,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가 접촉하면 온 상태로 되어서 신호가 제어장치(163)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장치(163)로부터 식부 클러치 모터(24)를 온측으로 작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고,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온 상태로 되어서 식부장치(52)가 작동한다. 이것을 정지 식부 기능이라고 칭한다.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는 상시 정지 식부 위치(W)로부터 중립 위치(N)측으로 도시가 생략된 토크 스프링 등의 바이어싱 부재에 의해 바이어싱되어 있고, 작업자가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멀어지게 하기 위해 중립 위치(N)로 되돌아오는 구성이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가 의도적으로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하지 않으면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는 정지 식부 위치 검출 부재(430)에 의해 검출되지 않고, 식부장치(52)는 작동하지 않는다.
도 10에는 미션 케이스(12)내의 구동륜으로의 전동 기구를 나타낸 평면도를 나타낸다. 실제의 각 전동축은 동일 평면 상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지만, 전동 기구의 설명을 행하기 위해 동일 평면에 배치한 표시로 하고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도면의 상방향이 차체의 우측, 하방향이 차체의 좌측이 된다.
미션 케이스(12)는 무단 변속 장치(23)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미션 입력축(583)에서 받고, 부변속 장치(571), 디퍼렌셜 기어 장치(585) 등을 통해 구동륜인 좌우의 전륜(10,10) 및 좌우의 후륜(11,11)을 구동한다.
부변속 장치(571)는 주행 차체(2)의 주행 상태를 「식부 작업속」, 「노상속」 및 「주행 중립」으로 스위칭하는 기구를 갖고, 변속 후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부변속 스위칭축(572)과, 이 부변속 스위칭축(572)에 끼움장착되는 스위칭 부재(573)와, 식부속 전동 부재(574)와, 노상속 전동 부재(575)와, 중계축(576)에 의해 구성한다. 주행 상태의 변경은 중계축(576)과 부변속 스위칭축(572)의 회전속도의 비를 변경함으로써 행한다. 부변속 스위칭축(572)과 스위칭 부재(573)는 스플라인 가공에 의해 부변속 스위칭축(572)의 축 방향으로 동작가능하게 구성하고, 작업자가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조작해서 스위칭 부재(573)를 동작시킴으로써 주행 차체(2)의 주행 상태를 스위칭하는 구성으로 한다.
중계축(576)은 다른 지름의 두개의 기어를 갖고, 그 하나에 미션 입력축(583)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받는다. 두개의 기어 중 지름이 큰 것은 노상속 전동 부재(575)이며,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조작 위치가 「노상속」일 때 스위칭 부재(573)의 기어와 맞물린다. 지름이 작은 것은 상시 식부속 전동 부재(574)와 맞물린다. 이 맞물림에 의해 중계축(576)은 식부속 전동 부재(574)와 노상속 전동 부재(575)로 동력을 전동한다.
식부속 전동 부재(574)는 중계축(576)의 지름이 작은 기어와 맞물리는 것이며, 부변속 스위칭축(572)과 동축상의 우측방에 설치한다. 이 식부속 전동 부재(574)와 부변속 스위칭축(572)는 메탈 베어링에 의해 서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구성한다. 또한, 식부속 전동 부재(574)에는 모종 식부부(4)에 구동력을 전동하는 식부 주전동축(582)을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식부 주전동축(582)이 부변속 스위칭축(572)의 동축상이며, 또한 서로 상대회전 가능해진다.
스위칭 부재(573)의 우측면에는 식부속 전동 부재(574)와 결합하는 클로 클러치의 맞물림부를 설치하고, 외주에는 노상속 전동 부재(575)와 맞물리는 톱니를 형성한다.
부변속 스위칭축(572)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의 일부는 디퍼렌셜 기어 장치(585)에 의해 좌우의 전륜 액슬(584,584)에 분배해서 전달되고, 또한 전륜 액슬(584,584)에 의해 전륜 파이널 케이스(13,13)로 전동되어서 전륜(10,10)을 구동한다. 그리고, 좌우의 전륜 액슬(584,584)을 통해 미션 케이스(12)의 배면으로부터 인출되는 후륜 구동용 동력이 후륜 전동축(230L,230R)을 통해 후륜 기어 케이스(200L,200R)에 전달되어 후륜(11,11)을 구동한다. 미션 케이스(12)에는 부변속 스위칭축(572)의 좌측방에 전륜(10,10) 및 후륜(11,11)의 회전을 규제하는 브레이크 장치(581)를 설치한다.
도 11에는 도 10의 미션 케이스(12)내의 부변속 기구의 동작 설명도를 나타낸다. 도 11(a)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조작 위치가 「노상속」이 될 때의 맞물림도를 나타내고, 도 11(b)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조작 위치가 「중립」이 될 때의 맞물림도를 나타내고, 도 11(c)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조작 위치가 「식부 작업 속도」가 될 때의 맞물림도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1에서도 도면의 상방향이 차체의 우측, 하방향이 차체의 좌측이 된다.
「노상속」일 때는 스위칭 부재(573)의 외주의 톱니가 중계축(576)의 노상속 전동 부재(575)의 톱니와 맞물린다. 이 구성에 의해, 스위칭 부재(573)에 회전 동력이 전달되고, 스위칭 부재(573)와 스플라인으로 맞물리고 있는 부변속 스위칭축(572)이 스위칭 부재(573)와 함께 회전하고, 스위칭 부재(573)의 좌측에 위치하는 기어에 의해 디퍼렌셜 기어 장치(585)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이 때 식부속 전동 부재(574)는 중계축(576)에 의해 회전하지만,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부변속 스위칭축(572)과는 다른 회전수로 회전한다.
「중립」일 때는 스위칭 부재(573)는 식부속 전동 부재(574) 및 노상속 전동 부재(575) 중 어느 것에도 맞물리지 않는다. 식부속 전동 부재(574)는 중계축(576)에 의해 회전하지만, 회전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부변속 스위칭축(572)은 정지한 상태이다. 이 때 식부속 전동 부재(574)와 식부 주전동축(582)이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에 의해 모종 식부부(4)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했을 때도 같은 기구가 된다.
「식부 작업 속도」일 때는 스위칭 부재(573)의 우측이 식부속 전동 부재(574)의 좌측에 클로 클러치와 맞물려서 서로 연결한다. 중계축(576)에 의해 식부속 전동 부재(574)가 회전하고, 클로 클러치로 연결한 스위칭 부재(573)가 회전하고, 또한 스위칭 부재(573)와 스플라인으로 맞물려 있는 부변속 스위칭축(572)이 회전함으로써 회전 동력이 중계축(576)으로부터 부변속 스위칭축(572)에 전달되고, 스위칭 부재(573)의 좌측에 위치하는 기어에 의해 디퍼렌셜 기어 장치(585)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가 중립 위치(N)에 있을 때는 모종 식부부(4)으로 전동되지만,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오프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모종 식부부(4)로의 전동은 차단된다. 따라서, 중립 위치(N)에 있을 때에도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연결하는, 즉 온 상태로 하면 모종 식부부(4)는 구동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하면 상기 「주행 중립」의 상태를 유지한 채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온 상태가 되는 점에서 이앙기(1)가 정지한 상태에서 식부장치(52)가 작동한다.
도 12∼도 15에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전동 기구도(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내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조작 위치가 노상속일 때와, 도 13에 나타내는 식부 작업 속도일 때에서는 부변속 장치(571)의 기어 기구가 고속측과 저속측에서 다를 뿐이며, 다른 주행 계통, 식부 계통, 시비 계통 등은 모두 클러치가 온 상태로 되어 있다. 단, 노상 주행시는 기본적으로 비작업시의 주행이 되므로 모종 식부부(4)는 상승하고 있고,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 및 정지 로터 온오프 클러치(322)는 오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내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조작 위치가 중립일 때는 주행 계통에는 전동되지 않으므로, 그 전동 하측의 정지 계통이나 시비 계통에는 구동력이 전동되지 않는다. 또한,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도 오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주행이 정지하고, 식부장치(52)나 시비장치(5) 등도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한편, 도 15에 나타내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조작 위치가 정지 식부일 때는 중립일 때와 마찬가지로 주행 계통으로의 전동은 오프 상태가 되지만,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는 온 상태인 점에서 식부 계통에는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어서 식부장치(52)가 작동한다. 또한, 주행 계통에는 전동되지 않으므로, 우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로부터 분기되는 시비 계통이나 정지 계통에는 구동력이 전동되지 않는다.
상기에 의해,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하면 주행을 정지한 상태로 식부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두렁가장자리에서 모종 식부부(4)를 내린 상태에서 1주분의 식부를 할 수 있고, 작업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수작업으로 모종의 보식을 할 필요가 없어져 작업자의 노동력이 경감된다.
모종의 식부 개시에 있어서, 식부장치(52)가 최초의 일주를 심는 위치가 인접하는 조의 식부 종료 위치에 맞지 않을 때에 그 자리에서 이동하지 않고 모종을 식부할 수 있으므로 모종의 식부 정밀도가 향상된다. 특히, 포장의 모퉁이에서 기체가 90°선회했을 때에 위치가 흐트러지기 쉬워 모종이 식부 가능한 위치에 확실하게 모종을 식부할 수 있다.
통상, 모종을 식부할 때에는 주행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그 자리에서 이동하지 않고 모종을 식부하기 위해서는 주행 개시, 정지 및 식부 온오프 조작을 빠르게 행할 필요가 있어 숙련자가 아니면 어렵지만, 본 구성에 의해 누구나 간단히 모종을 식부할 수 있다.
그러나, 플로트(55), 미들 플로트(57,57) 및 사이드 플로트(56,56)가 접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모종의 식부 작업을 행하면 포장면보다 상방에서 모종 식부구(52a)가 작동해서 모종을 낙하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플로트(55)가 접지 상태가 된 것이 검출되지 않으면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해도 식부장치(52)는 작동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다. 이것을 정지 식부 무효 기능이라고 칭한다.
본 구성에 의해, 오조작에 의해 모종을 포장면보다 상방에서 낙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여분의 모종의 소비가 방지된다.
또한, 선회 연동 모드시에 상기 정지 식부 기능 및 정지 식부 무효 기능을 유효하게 함으로써 두렁가장자리에서의 선회시에 모종의 공중 식부, 즉 포장면보다 상방에서 모종을 떼어 버리는 것 등의 식부장치(52)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플로우 챠트를 도 16에 나타낸다.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가 정지 식부 위치 검출 부재(430)에 의해 정지 식부 위치(W)에 있는 것이 검출되고(전제조건), 이 때 선회 연동 스위치(90)가 온의 선회 연동 모드이며, 또한 플로트(55)가 접지 상태인 것이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검출되면 정지 식부 기능이 유효하게 되고(허가), 제어장치(163)로부터 식부 클러치 모터(24)를 온측으로 작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고,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온으로 되어 모종의 식부가 행해진다.
한편, 선회 연동 모드가 아닐 때나, 플로트(55)가 이간 상태일 때는 정지 식부 기능이 작용하지 않고(금지), 제어장치(163)로부터 식부 클러치 모터(24)를 오프측으로 작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고,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는 오프이므로, 모종의 식부는 행해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주행 차체(2)의 주행이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의 식부 작업(정지 식부 작업)의 가부를 플로트(55)의 접지를 조건으로 함으로써, 작업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지 식부 기능은 도 1에 나타내는 브레이크 페달(110)의 조작시에는 작동하지 않고,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해도 식부장치(52)가 작동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플로우 챠트를 도 17에 나타낸다.
브레이크 페달(110)의 조작량, 즉 스탬핑량은 도 5에 나타내는 브레이크 페달(110) 기부에 설치한 브레이크 페달 센서(110a)에 의해 검출된다. 브레이크 페달 센서(110a)은 어느 정도 밟으면 접촉하는 타입이어도 좋지만, 스트로크 센서 등이어도 상관없다. 이 브레이크 페달(110)을 밟을 때는 정지 식부 기능이 작용하지 않음으로써 이앙기(1)의 정차시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다.
또한, 이 이앙기(1)는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의 조작에 의해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도 5)가 정전 또는 역전 방향으로 구동되어서 무단 변속 장치(23)의 출력을 스위칭함으로써(무단 변속 장치(23)의 출력축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변경한다) 변속을 할 수 있는 구성이며, 주변속 조작량 검출 부재(16b)에 의해 검출되는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의 조작 위치에 따라서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에 구동 지령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는 무단 변속 장치(23)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고, 주변속 조작량 검출 부재(16b)에 의해 검출되는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의 조작량에 연동해서 작동한다.
그리고,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는 트러니언축(295)을 회동시키는 트러니언축(295)에 직결하고 있는 트러니언암(도시생략)을 작동시켜서 트러니언축(295)의 회동각도가 소정 각도가 될 때까지 회동시킨다. 트러니언축(295)의 회동방향 및 회동각도는 트러니언암에 설치한 트러니언축 검출 부재(113)에 의해 검출된다.
그리고, 선회 연동 스위치(90)가 온인 선회 연동 모드일 때에 플로트(55)가 접지 상태인 것이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검출되어도 도 4에 나타내는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의 조작 위치가 중립 위치(16aa)에 있고, 또한 트러니언축(295)도 중립 위치에 있을 때에만 정지 식부 기능이 유효하게 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것을 정지 식부 중립 기능이라고 칭한다. 이 플로우 챠트를 도 18에 나타낸다.
선회 연동 스위치(90)가 온인 선회 연동 모드이며, 플로트(55)가 접지 상태인 것이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검출됨과 아울러 주변속 조작량 검출 부재(16b)에 의해 검출되는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의 조작 위치가 중립 위치이며, 또한 트러니언축 검출 부재(113)에 의해 트러니언축(295)이 중립 위치인 것이 검출되면 정지 식부 기능이 유효하게 되고(허가),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하면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온 상태가 되고, 모종의 식부가 행해진다.
한편, 주변속 조작량 검출 부재(16b)에 의해 검출되는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의 조작 위치가 중립 위치(16aa)가 아닐 때나, 트러니언축 검출 부재(113)에 의해 검출되는 트러니언축(295)의 회동방향 및 회동각도로부터 중립 위치(16aa)가 아닐 때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해도 정지 식부 기능이 작용하지 않고(금지),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는 오프 상태이므로, 모종의 식부는 행해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주행 차체(2)의 주행이 완전히 정지되어 있지 않으면 식부 작업이 행해지지 않음으로써 식부장치(52)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부 작업중(작업 주행중)에 오조작에 의해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하고,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가 정지 식부 위치 검출 부재(430)에 접촉하는 측으로 조작되어도 모종의 식부 작업 주행에는 변화가 생기지 않으므로, 오조작에 의한 작업 능률이나 모종의 식부 정밀도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이 때의 모종의 식부는 트러니언축(295)이 소정 각도가 되고나서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행해지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 플로우 챠트를 도 19에 나타낸다.
즉, 주변속 조작량 검출 부재(16b)에 의해 검출되는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의 조작 위치가 중립 위치이며, 또한 트러니언축 검출 부재(113)에 의해 검출되는 트러니언축(295)이 중립 위치일 때에 정지 식부 기능을 유효로 해서 제어장치(163)로부터 식부 클러치 모터(24)를 온측으로 작동시키는 신호가 출력된다. 이 식부 클러치 모터(24)의 작동 신호는 제어장치(163)에 의해 정지 식부 기능을 유효로 하는 판단이 되고, 또한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로 작동 신호가 출력되어서 트러니언축(295)이 소정 각도(목표값)가 되고나서 출력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를 작동시켜서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온 상태로 한다. 이것을 정지 식부 작동 기능이라고 칭한다.
무단 변속 장치(23)의 출력을 소정값까지 상승시키고나서 식부장치(52)에 구동력을 공급함으로써 주행을 정지한 상태에서 확실하게 식부장치(52)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식부 정밀도나 시비 정밀도가 향상된다.
먼저,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으로 하고 나서 트러니언축(295)의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에 출력하는 처리의 흐름이면 식부장치(52)의 모종 식부구(52a)의 회전속도가 서서히 빨라지는 제어 처리로 되어 동작이 안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구성에 의해, 먼저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에 출력하고나서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모종 식부구(52a)의 회전속도가 처음부터 원활하게 회전함으로써 안정된다.
즉, 무단 변속 장치(23)의 출력이 상승중이면 모종 식부구(52a)의 회전속도도 단계적으로 올라가므로 모종 식부구(52a)의 동작이 불안정해지지만, 본 구성 대로, 무단 변속 장치(23)의 출력이 일정하게 도달하고 있으면 비교적 금방 모종 식부구(52a)의 회전속도가 안정되므로 원활한 움직임이 된다.
또한, 앞의 트러니언축(295)이 목표값이 되고나서 식부 클러치 모터(24)를 온측으로 작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할 때의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의 온 처리중에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온 상태가 되기 전(후술하는 도 22의 「무단 변속 장치 전진 출력」과 「식부 온 딜레이 타이머업」사이에 상당)에 제어가 정지했을 때는 식부 클러치 모터(24)를 오프측으로 작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고,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오프로 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제어가 정지했을 때란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로 정지 식부 위치 검출 부재(430)의 온 시간, 즉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정지 식부 위치(W)에 밀착하고 있는 시간을 재서 상당히 짧을 때 등이 있다.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의 온 처리중이어도 그 제어가 정지했을 때는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오프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정지 식부 위치 검출 부재(430)에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가 접촉할 때마다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온오프하는 것을 방지해서 오동작이 방지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이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의 온 처리중에 제어가 정지해서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오프 상태로 할 때는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가 오프 상태가 된 후, 일정시간(예를 들면 0.5∼2초 정도) 모종 식부구(52a)를 회전시킨 후에(관성으로 회전한다),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에 출력해서 트러니언축(295)을 앞의 목표값(정지 식부 작업시의 무단 변속 장치의 출력을 확보할 수 있는 트러니언암의 회동위치)으로부터 중립 위치로 하는 구성으로 한다.
트러니언축(295)을 중립 위치로 하고나서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오프 상태로 하면 모종 식부구(52a)에 구동력이 공급되지 않는 것에 의해 정지 위치는 그 때의 위치가 되므로 정규의 정지 위치에서 모종 식부구(52a)가 정지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오프 상태로 하고나서 모종 식부구(52a)를 일정 시간 회전시킴으로써 모종 식부구(52a)가 정규의 정지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정규의 정지 위치는 모종 식부구(52a) 내부의 기어의 조합에 의해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모종 식부구(52a)의 정지 위치가 안정된다.
그리고, 이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오프 상태로 하고나서 트러니언축(295)을 중립 위치로 하는 처리 후에는 식부 클러치 모터(24)를 작동시켜서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 상태로 해 둔다. 작업자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해서 1주분만 식부한 후, 작업을 재개할 때에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으로 하는 것을 잊는 일이 있다. 그러나, 정지 식부 작업 후에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자동으로 온 상태가 됨으로써 그대로 식부속도로 주행하는 것만으로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또한,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했을 때의 정지 식부 기능에 의한 구체적인 플로우 챠트를 이하에 나타낸다.
도 20에는 정지 식부 기능에 의한 처리가 큰 플로우 챠트를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는 정지 식부 처리 0∼4까지의 5종류가 있고, 정지 식부 처리 0부터 1, 2, 3, 4의 순서대로 행해진다. 도 21에는 정지 식부 처리 0의 플로우를 나타내고, 도 22에는 정지 식부 처리 1의 플로우를 나타내고, 도 23에는 정지 식부 처리 2의 플로우를 나타내고, 도 24에는 정지 식부 처리 3의 플로우를 나타내고, 도 25에는 정지 식부 처리 4의 플로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의 정지 식부 처리 0에서는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의 조작 위치가 중립 위치이며, 또한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조작 위치도 중립 위치일 때에 정지 식부 기능이 유효하게 되고(허가), 스탠바이 상태가 된다. 그리고,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가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된 것이 정지 식부 위치 검출 부재(430)에 의해 검출되면 정지 식부 처리 1이 세팅된다. 그리고 제어장치(163)로부터 식부 클러치 모터(24)를 작동시키는 신호의 식부 온 딜레이 타이머를 세팅하고(소정 시간, 예를 들면 1초), 다음에 도 22의 정지 식부 처리 1의 플로우로 옮긴다.
정지 식부 처리 1에서는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를 정전시키고(전진측), 무단 변속 장치(23)의 트러니언축(295)을 회동시킨다. 또한, 이 때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의 위치는 중립 위치인 상태이며,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에 의해 트러니언축(295)만이 전진측으로 회동함으로써 모종 식부부(4)에 동력이 전해지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앞의 식부 온 딜레이 타이머의 세팅 시간이 경과하면(타이머업), 정지 식부 처리 2가 세팅되고,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온되는 작동 시간(예를 들면 1∼2초)을 세팅하고, 제어장치(163)로부터 식부 클러치 모터(24)를 작동시키는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다음에 도 23의 정지 식부 처리 2의 플로우 챠트로 이동한다.
정지 식부 처리 2에서는 식부 클러치 모터(24)가 작동해서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온 상태가 되면 정지 식부 처리 3이 세팅되고, 다음에 도 24의 정지 식부 처리 3의 플로우 챠트로 이동한다. 그리고, 정지 식부 처리 3에서는 앞의 작동 시간이 경과하면(타이머업) 정지 식부 처리 4가 세팅되고,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오프 상태가 되고나서 트러니언축(295)을 중립 위치로 되돌릴 때까지의 시간(예를 들면 1∼2초)을 세팅한 후,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오프 상태로 하고, 다음에 도 25의 정지 식부 처리 4의 플로우 챠트로 이동한다.
정지 식부 처리 4에서는 앞의 트러니언축(295)을 되돌릴 때까지의 시간이 경과하면 트러니언축(295)이 전진측으로부터 정지측으로 회동하고, 그 후 중립 위치가 됨으로써 플로우 챠트가 종료한다.
이하의 도 26 및 도 27에는 상기 각 플로우 챠트를 통합한 전체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정지 식부 작업의 종료는 식부장치(52)의 모종 식부구(52a)가 1회전하거나, 또는 모종을 식부하여 끝내는 시간이 경과하면 정지할 때와, 도중에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조작을 그만둘 때가 있고, 전자의 플로우 챠트를 도 26에 나타내고, 후자의 플로우 챠트를 도 27에 나타낸다. 도한, 도 27은 후자 뿐만 아니라, 전체의 흐름도 나타내고 있다.
도 26에서는 무단 변속 장치(23)의 트러니언축(295)이 전진측 또는 후진측으로 회동하고 있을 때에 정지 식부 처리중이 아닐 때는 통상의 무단 변속 장치 출력 처리가 이루어진다. 즉,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구동력이 출력이 된다. 한편, 정지 식부 처리중(상기 처리 0∼4 중 어느 하나의 처리중)이며,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에 의해 트러니언축(295)을 정지측으로 출력하고 있을 때(도 25의 「무단 변속 장치 정지 출력」에 상당)는 트러니언축(295)이 중립 위치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트러니언축 검출 부재(113)에 의해 트러니언축(295)이 중립 위치인 것이 검출되면 정지 식부 처리가 종료된다.
그리고, 일단 정지 식부 처리가 종료된 후, 정지 식부 처리 4가 이미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정지 식부 처리 4가 이미 행해지고 있을 때는 식부 클러치 모터(24)가 작동해서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온 상태가 된다. 도 26의 상태에서는 기본적으로 정상으로 모종의 식부가 행해지고 있으므로, 정지 식부 처리의 종료 후에 통상의 식부 작업으로 이행된다. 이 때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오프 상태인 채이면 주행 개시시에 식부 개시가 느려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마지막으로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 상태로 스위칭하는 공정이 들어간다.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식부 작업 속도의 위치로 조작함과 아울러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를 전진측으로 조작하면 즉석에서 식부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그 후, 정지 식부 처리 0이 세팅되고, 다음회의 정지 식부 처리가 정지 식부 처리 0부터 시작되기 위해서 리셋된다.
또한, 정지 식부 처리중이라도 트러니언축(295)을 전진측(또는 후진측)으로 출력하고 있을 때는 일정 개방도(앞의 목표값)까지 출력한다.
도 27에서는 우선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가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된 정지 식부 처리중에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가 정지 식부 위치(W)로부터 벗어나서 정지 식부 위치 검출 부재(430)에 의해 정지 식부 위치(W)에 없는 것이 검출되면 그 시점의 정지 식부 처리가 어느 단계의 처리인지가 판단된다.
이 때 정지 식부 처리 1에 의한 처리중일 때는 정지 식부 처리 0이 세팅되고,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에 의해 트러니언축(295)을 정지측으로 출력한다(도 25의 「무단 변속 장치 정지 출력」에 상당). 한편, 정지 식부 처리가 정지 식부 처리 0이 아닐 때에는 정지 식부 처리 2 또는 3인지의 여부가 판단되어서 정지 식부 처리 2 또는 3일 때는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가 오프 상태가 되고나서(도 24의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 오프 출력」에 상당) 정지 식부 처리 0이 세팅되고,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에 의해 트러니언축(295)을 정지측으로 출력한다.
도 28에는 본 실시예의 이앙기(1)의 무단 변속 장치(23)의 유압회로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29에는 무단 변속 장치(23)의 측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0에는 무단 변속 장치(23)의 평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20)으로부터의 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274)과 연동해서 복수의 병렬 배치된 피스톤(248)의 왕복 운동에 의해 토출하는 작동오일의 양과 토출방향을 조정하는 가변용량형 유압 펌프(A)와, 상기 유압 펌프(A)의 토출오일량과 오일의 토출 방향에 따라서 출력축(275)의 회전속도와 방향을 변경하는 고정 용량형 유압 모터(B)를 유압 폐회로(266,267)를 통해 접속한 무단 변속 장치(23)를 구성한다.
또한, 도 29,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폐회로(266,267)의 일부를 내부에 구비하고, 입력축(274)과 출력축(275)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포트 블록(271)을 배치하고, 상기 포트 블록(271)과 유압 펌프(A)를 내장한 유압 펌프측 실린더(247a)의 블록 내부 및 유압 모터(B)를 내장한 유압 모터측 실린더(247b)의 블록 내부 사이를 각각 접속해서 상기 유압 폐회로(266,267)를 형성하고 있다.
도 28에 나타내는 유압회로(266)와 유압회로(267)로 폐회로를 구성하고, 도 29에 나타내는 가변용량형 유압 펌프(A)측의 사판(69)이 정전측으로 경사각을 늘리면 유압회로(266)를 거쳐 고정 용량형 유압 모터(B)측으로 작용하는 유압이 고압이 되고, 이 때 유압회로(266)의 반대측의 유압회로(267)는 저압으로 되어서 고정 용량형 유압 모터(B)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이 가변용량형 유압 펌프(A)에 흡입되어 간다.
도 29, 도 30에 나타내는 포트 블록(271)에 가변용량형 유압 펌프(A) 및 고정 용량형 유압 모터(B)를 내장하는 무단 변속 장치 케이스(272) 및 부스트 펌프(273)(도 28 참조)의 케이스 등을 중합시켜서 일체적 구성으로 하고, 축방향이 서로 평행한 입력축(274)과 출력축(275)을 축받이한다. 이 입력축(274)의 둘레에 유압 펌프(A) 및 부스트 펌프(273)의 트로코이드 로터(도시 생략) 등을 설치하고, 출력축(275)의 둘레에 유압 모터(B)를 설치한다.
이들 유압 펌프(A) 및 유압 모터(B)는 입력축(274)과 출력축(275)의 둘레에 다수의 실린더(247)를 축방향과 평행하게 설치해서 실린더 블록을 구성하고, 각 실린더(247)에는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피스톤(248)을 설치하고 있다. 이 각 피스톤(248)은 선단부를 조인트 디스크(277)의 각 볼조인트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사판(69)의 스러스트 플레이트(278)에 대해서 축(274,275)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부스트 펌프(273)는 탱크 포트(T)로부터 유압회로(266,267)내에 오일을 보급함으로써 오일 필터(280), 메인 릴리프 밸브(281), 필드 밸브(체크 밸브)(282a,282b) 및 뉴트럴 밸브(283) 등을 거쳐 각 유압회로(266,267)에 연통한다. 이들 양 유압회로(266,267) 사이에 걸쳐서 고압 릴리프 밸브(285)가 설치되어 있다.
트러니언축(295)은 입력축(274)과 직교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트러니언축(295)의 선단에 트러니언축(295)과 일체의 크랭크암(296)의 핀 슬라이더(298)를 사판(69)에 형성한 롤러홈(69a)에 결합시켜서 트러니언축(295)을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를 작동시켜서 트러니언암을 회동시킴으로써 핀 슬라이더(298)를 요동시켜서 사판(69)의 경사각도가 조정된다.
트러니언축(295)을 회동시켜서 사판(69)의 각도를 변경하면 피스톤(248)의 압압 위치가 바뀌어 유압 펌프(A)의 고압, 저압을 스위칭하는 방식이다.
도 31에는 피스톤(248) 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돔형 피스톤을 사용하고 있지만, 피스톤 선단의 R치수가 작으면 면압이 높아져서 강도적으로 약해지고, 반대로 R치수를 크게 취하면 사판(69)의 반력이 커지고, 트러니언축(295)의 조작 하중이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도 31(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펌프(A)측의 피스톤(248a)은 R치수가 작은 피스톤을 사용해서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에 의한 트러니언축(295)의 조작 하중을 경감하고, 상시 일정 각도로 조인트 디스크(277)와 접촉하는 유압 모터(B)측의 피스톤(248b)은 R치수가 큰 피스톤을 사용해서 강도를 확보하면 좋다.
도 31(b)에는 유압 펌프(A)측의 피스톤(248a)을 나타내고, 도 31(c)에는 유압 모터(B)측의 피스톤(248b)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피스톤(248a)의 R치수를 24(mm), 피스톤(248)b의 R치수를 28(mm)로 한다.
통상은 유압 펌프(A)의 피스톤(248a)도 유압 모터(B)의 피스톤(248b)도 동일형상의 피스톤을 사용하고 있지만, 유압 펌프(A)측과 유압 모터(B)측에서 피스톤(248)의 선단의 R치수를 상기와 같이 변화시킴으로써 하기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유압 펌프(A)측에 관해서는 사판(69)이 움직임으로써 조인트 디스크(277)와 피스톤(248a)의 선단의 R부의 접촉 위치가 변동하므로, 강도적인 향상이 발휘되고, 사판(69)으로의 반력이 작은 R치수가 작은 피스톤을 채용하고, 유압 모터(B)측에 관해서는 상시 조인트 디스크(277)와 피스톤(248b)의 선단의 R부가 일정각으로 접촉하므로, 어느 정도의 강도가 요구되는 선단의 R치수가 큰 피스톤을 사용함으로써 트러니언축(295)의 조작 하중이 가볍고, 내압성이 높은 무단 변속 장치(23)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2에는 도 31의 피스톤(248)과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3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248)의 외주면(측면)에 나선상의 홈(248c)을 형성해도 좋다. 돔형 피스톤에서는 측면의 슬라이딩부(U)가 오일막 떨어짐을 일으키면 돔형 피스톤과 실린더 블록 사이에서 이상한 마모나 시징(seizing)이라는 문제를 일으켜 버리지만, 나선상의 홈을 외주면에 형성함으로써 오일막의 형성을 용이하게 해서 이들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피스톤(248)의 전후 운동에 맞춰서 작동오일이 홈(248c)에 도입됨으로써 오일막의 형성을 재촉하여 이상한 마모 등의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홈의 형상은 나선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3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자상의 홈(248d)으로 하거나, 도 3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쐐기상의 홈(248e)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32에 나타내는 피스톤(248)은 유압 펌프(A)의 피스톤(248a)과 유압 모터(B)의 피스톤(248b) 양쪽에 공통된다.
본 발명은 시비장치와 모종 식부부를 탑재한 승용형 모종 이식기에 이용 가능하다.
2: 주행 차체
4: 모종 식부부
5: 시비장치
10: 전륜
11: 후륜
16: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
16b: 주변속 조작량 검출 부재
17: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
17b: 부변속 조작 위치 검출 부재
20: 엔진
23: 무단 변속 장치
25a: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
34: 선회 조작 부재
55: 플로트
87: 사이드 클러치
103: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
113: 트러니언축 검출 부재
162: 각도 검지 부재
163: 제어장치
200L: 좌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
200R: 우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
295: 트러니언축
401: 시비 전동 부재
420: 시비 전동 기구
422: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
426: 수동 조작 부재
426a: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
428: 시비 전동 스위치
430: 정지 식부 위치 검출 부재
571: 부변속 장치
N: 중립 위치
T: 선회 연동 기구
W: 정지 식부 위치

Claims (9)

  1. 주행 차체(2)의 좌우에 후륜(11,11)을 설치하고, 후방부에 모종 식부부(4)를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모종 식부부(4)에 포장면에 접지하는 플로트(55)를 설치하고, 포장에 비료를 공급하는 시비장치(5)를 설치하고, 상기 플로트(55)의 회동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검지 부재(162)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 차체(2)의 선회에 연동해서 모종 식부부(4)의 승강, 및 모종 식부부(4)와 시비장치(5)의 작동을 스위칭하는 선회 연동 기구(T)를 구비한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모종 식부부(4)의 식부 작동을 온오프하는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와, 상기 후륜(11,11)의 회전수를 검지하는 후륜 회전 센서(205,205)를 설치하고,
    상기 시비장치(5)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설치하고,
    상기 선회 연동 기구(T)에 의해 상기 모종 식부부(4)가 상승함과 아울러, 후륜 회전 센서(205,205)의 회전수의 카운트가 개시되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 및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오프 상태로 하고, 모종 식부부(4)가 하강해서 플로트(55)가 접지해서 각도 검지 부재(162)의 검출 각도가 소정 각도 범위내가 되면 상기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온 상태로 하고, 상기 후륜 회전 센서(205,205)가 소정 회전수에 도달하면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 상태로 하는 제어장치(16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후륜(11,11)에 구동력을 각각 공급하는 좌우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L,200R)를 설치하고, 상기 좌우 한쪽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L,200R)에 상기 후륜 기어 케이스(200L,200R)를 경유해서 상기 시비장치(5)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시비 전동 부재(401)와, 상기 시비 전동 부재(401)로의 전동을 온오프하는 상기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설치해서 시비 전동 기구(42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오프하는 식부 클러치 모터(24)와, 상기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의 온오프를 행하는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와, 상기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를 조작하는 시비 전동 스위치(428)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163)는 상기 선회 연동 기구(T)의 작동중에 상기 각도 검지 부재(162)의 검출 각도가 소정 각도 범위가 되거나, 또는 상기 시비 전동 스위치(428)가 온 조작되는 어느 하나의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를 작동시켜서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온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시비 전동 부재(401)의 일측 단부를 후륜 기어 케이스(200L,200R)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시비 전동 부재(401) 중 상기 후륜 기어 케이스(200L,200R)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수동 조작으로 시비장치(5)의 비료공급을 행하는 수동 조작 부재(42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2)를 조타하는 선회 조작 부재(34)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 차체(2)에 좌우의 전륜(10,10)을 설치하고, 상기 선회 조작 부재(34)의 조작에 연동해서 상기 좌우의 전륜(10,10)의 방향을 변경함과 아울러 선회시의 선회 내측의 후륜(11)의 사이드 클러치(87)를 오프 상태로 하는 스티어링 기구(S)를 설치하고, 상기 선회 조작 부재(34)의 선회 조작 방향을 검출하는 선회 방향 검출 부재(193)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163)는 상기 선회 방향 검출 부재(193)가 검출하는 선회 방향이 상기 시비 전동 부재(401)를 설치한 좌우 일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R)가 선회 내측이 될 때 좌우 타측의 후륜 기어 케이스(200L)가 선회 내측이 될 때보다 상기 시비 전동 액츄에이터(426a)가 시비 전동 온오프 부재(422)를 온 상태로 하는 타이밍을 빠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2)에 엔진(20)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20)으로부터 전륜(10,10) 및 후륜(11,11)으로 전동하는 부변속 장치(571)를 설치하고, 상기 부변속 장치(571)를 스위칭 조작하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설치하고, 상기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부변속 조작 위치 검출 부재(17b)를 설치하고,
    상기 부변속 장치(571)를 상기 엔진(20)으로부터 상기 전륜(10,10) 및 상기 후륜(11,11)으로의 전동을 차단해서 주행 중립 상태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오프 상태로 하는 상기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중립 위치(N)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중립 위치(N)의 측방에 상기 전륜(10,10) 및 상기 후륜(11,11)으로의 전동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 상태로 해서 식부장치(52)를 작동시키는 정지 식부 상태로 스위칭하는 상기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정지 식부 위치(W)를 형성하고, 상기 정지 식부 위치(W)에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 식부 위치 검출 부재(430)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163)는 상기 정지 식부 위치 검출 부재(430)에 의해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가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된 것이 검출되고 또한 플로트(55)의 회동각도가 소정 각도 범위내일 때 모종 식부부(4)의 식부 작동을 온오프하는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 상태로 함과 아울러 상기 정지 식부 위치 검출 부재(430)에 의해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가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된 것이 검출되어도 상기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검출되는 플로트(55)의 회동각도가 소정 각도 범위외일 때는 상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오프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2)에 엔진(20)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20)으로부터 전륜(10,10) 및 후륜(11,11)으로 전동하는 부변속 장치(571)를 설치하고, 상기 부변속 장치(571)를 스위칭 조작하는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설치하고, 상기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부변속 조작 위치 검출 부재(17b)를 설치하고,
    상기 부변속 장치(571)를 상기 엔진(20)으로부터 상기 전륜(10,10) 및 상기 후륜(11,11)으로의 전동을 차단해서 주행 중립 상태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오프 상태로 하는 상기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중립 위치(N)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중립 위치(N)의 측방에 상기 전륜(10,10) 및 상기 후륜(11,11)으로의 전동이 정지한 상태로 상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 상태로 해서 식부장치(52)를 작동시키는 정지 식부 상태로 스위칭하는 상기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의 정지 식부 위치(W)를 형성하고, 상기 정지 식부 위치(W)에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정지 식부 위치 검출 부재(430)를 설치하고,
    상기 엔진(20)으로부터 부변속 장치(571)로 전동하는 무단 변속 장치(23)를 설치하고, 상기 무단 변속 장치(23)를 변속 조작하는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를 설치하고, 상기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의 조작을 검출하는 주변속 조작량 검출 부재(16b)를 설치하고, 상기 주변속 조작량 검출 부재(16b)의 검출에 의거해서 상기 무단 변속 장치(23)의 트러니언축(295)을 회동시키는 트러니언축 전동 모터(103)를 설치하고, 상기 트러니언축(295)의 회동위치를 검출하는 트러니언축 검출 부재(113)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163)는 상기 주변속 조작량 검출 부재(16b)에 의해 주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6)가 상기 주행 차체(2)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중립 위치로 조작된 것을 검출하고, 또한 상기 각도 검지 부재(162)에 의해 플로트(55)의 회동각도가 소정 각도 범위내인 것을 검출하고 있을 때에 상기 부변속 스위칭 조작 부재(17)를 정지 식부 위치(W)로 조작하면 상기 식부 작동 온오프 부재(25a)를 온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148404A 2014-02-10 2014-10-29 모종 이식기 KR101710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22982 2014-02-10
JP2014022982A JP5888352B2 (ja) 2014-02-10 2014-02-10 苗移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495A KR20150094495A (ko) 2015-08-19
KR101710498B1 true KR101710498B1 (ko) 2017-02-27

Family

ID=5285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404A KR101710498B1 (ko) 2014-02-10 2014-10-29 모종 이식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88352B2 (ko)
KR (1) KR101710498B1 (ko)
CN (2) CN204272651U (ko)
MY (1) MY194770A (ko)
TW (1) TWI5627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3182B2 (ja) * 2016-12-21 2020-03-25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JP6941954B2 (ja) * 2017-03-29 2021-09-29 株式会社クボタ 植播系作業機
KR102137579B1 (ko) 2017-11-09 2020-07-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KR101947120B1 (ko) * 2018-04-09 2019-05-02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이앙기의 작업용 클러치장치
JP7064997B2 (ja) * 2018-08-28 2022-05-11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移植機
JP6849004B2 (ja) * 2019-03-28 2021-03-24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CN109874427B (zh) * 2019-04-12 2024-02-02 盐城市盐海拖拉机制造有限公司 一种适用于茶果树侧边作业的螺旋施肥机
CN110278729B (zh) * 2019-06-13 2024-02-13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全自动移栽联合作业机
JP2021108607A (ja) * 2020-01-14 2021-08-0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CN111903441B (zh) * 2020-06-03 2022-10-28 江苏中装建设有限公司 一种固沙栽草装置
JP7060043B2 (ja) * 2020-07-02 2022-04-26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0639A (ja) * 1999-03-24 2000-10-03 Kubota Corp 施肥装置付き水田作業機
JP2010089786A (ja) * 2010-01-12 2010-04-22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2013053605A (ja) * 2011-09-06 2013-03-21 Kubota Corp 作業車のエンジン停止操作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5026U (ko) * 1986-11-19 1988-06-03
JP3295528B2 (ja) * 1994-04-22 2002-06-24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田植機の植付部植付深さ制御装置
JPH09140228A (ja) * 1995-11-21 1997-06-0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乗用田植機の転倒防止用補助車輪
JP2003146238A (ja) * 2001-11-12 2003-05-21 Iseki & Co Ltd 乗用型作業機
JP3722081B2 (ja) * 2002-03-27 2005-11-30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JP4543247B2 (ja) 2003-12-25 2010-09-15 井関農機株式会社 田植機
JP4325408B2 (ja) * 2004-01-13 2009-09-02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2007174932A (ja) * 2005-12-27 2007-07-12 Iseki & Co Ltd 対地作業装置付き苗移植機
JP4389122B2 (ja) * 2006-02-27 2009-12-24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5600892B2 (ja) * 2009-06-18 2014-10-08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機
JP2012139113A (ja) * 2010-12-28 2012-07-26 Iseki & Co Ltd 苗植付装置
JP5784941B2 (ja) * 2011-03-18 2015-09-24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における苗載台の端寄せ装置
JP5655766B2 (ja) * 2011-11-30 2015-01-21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JP5673575B2 (ja) * 2012-01-27 2015-02-18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0639A (ja) * 1999-03-24 2000-10-03 Kubota Corp 施肥装置付き水田作業機
JP2010089786A (ja) * 2010-01-12 2010-04-22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2013053605A (ja) * 2011-09-06 2013-03-21 Kubota Corp 作業車のエンジン停止操作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94770A (en) 2022-12-15
TW201531218A (zh) 2015-08-16
CN204272651U (zh) 2015-04-22
JP2015146791A (ja) 2015-08-20
CN104823569B (zh) 2018-05-01
KR20150094495A (ko) 2015-08-19
CN104823569A (zh) 2015-08-12
JP5888352B2 (ja) 2016-03-22
TWI562721B (en)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498B1 (ko) 모종 이식기
JP2015146791A5 (ko)
KR100603808B1 (ko) 승용형 작업기
JP6146461B2 (ja) 苗移植機
KR20090092233A (ko) 주행차량
JP6677280B2 (ja) 苗移植機
JP2014100127A (ja) 苗移植機
JP6380612B2 (ja) 苗移植機
KR101616805B1 (ko) 모종 이식기
JP6380599B2 (ja) 苗移植機
KR100651030B1 (ko) 승용형 모종이식기
JP3632378B2 (ja) 乗用型苗植機
KR20130009667A (ko) 이앙기
JP2009261304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昇降油圧制御装置
JP4178876B2 (ja) 乗用型作業機
JP5960416B2 (ja) 田植機
JP5821201B2 (ja) 田植機
JP2001086819A (ja) 水田作業機
JP6128078B2 (ja) 苗移植機
JPH11230279A (ja) 作業車の走行ミッションケース
JP3782064B2 (ja) 刈取収穫機の駆動装置
JP2005143340A (ja) 苗植機の植付伝動装置
JP2004217071A (ja) 走行車等の旋回制御装置
JP2009118831A (ja) 歩行型の苗移植機
JP5561316B2 (ja) 走行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