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120B1 - 이앙기의 작업용 클러치장치 - Google Patents

이앙기의 작업용 클러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120B1
KR101947120B1 KR1020180040799A KR20180040799A KR101947120B1 KR 101947120 B1 KR101947120 B1 KR 101947120B1 KR 1020180040799 A KR1020180040799 A KR 1020180040799A KR 20180040799 A KR20180040799 A KR 20180040799A KR 101947120 B1 KR101947120 B1 KR 101947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output shaft
pto
fertilizer distributo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수
강영선
소진환
신종필
신익환
임송수
김상규
조민영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0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앙기의 PTO 클러치 및 시비기 클러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부부와 시비기를 구비하는 이앙기의 작업용 클러치장치에서, PTO 입력축과 PTO 출력축 사이에 설치되는 PTO 클러치(12)와; 상기 PTO 클러치를 조작함으로써, PTO 입력축(2)에서 PTO 출력축(4)으로의 동력 전달 여부를 단속하는 PTO 클러치 단속수단; 상기 PTO 출력축에서 분기되어 시비기 출력축(40); 상기 시비기 출력축에 설치되어 PTO 출력축에서 시비기 출력축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기 위한 시비기 클러치(42); 그리고 상기 시비기 클러치를 조작함으로써, PTO 출력축에서 시비기 출력축으로의 동력 전달 여부를 단속하는 시비기 클러치 단속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시비기 클러치는, PTO 출력축(4)의 제1베벨기어와, 시비기 출력축의 아이들 설치되는 제2베벨기어, 시비기 출력축의 제1클러치, 시비기 출력축와 같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제2클러치와 결합하면 PTO 출력축의 동력을 시비기 출력축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제2클러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앙기의 작업용 클러치장치{Clutch devices for working parts of rice plating machine}
본 발명은 이앙기 또는 이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앙기의 작업용 동력 전달에 이용되는 클러치장치와 시비기로 분배되는 동력을 간단한 구조로 단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비기 클러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앙기는 엔진에서의 동력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주행하기 위한 주행계와, 이러한 주행과 같이 이식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계로 동력이 분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작업계로의 동력의 분배는 PTO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최근 이앙기에는 비료의 살포를 위하여 시비기라는 장치가 설치되고 있는데, 이러한 시비기로의 동력의 분배는 상술한 PTO축에서 별도로 분기되어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식 작업을 위한 동력이 분배되는 PTO 축에서 시비기로의 별도의 동력 전달을 위한 동력 분배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비기로 전달되는 동력은 시비기의 비사용시에는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시비기가 부착된 이앙기에서 시비기의 동작 여부를 위한 동력의 단속기구는 일반적으로 시비기 자체에 부착되거나 시비기에 가장 근접한 부분에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시비기로 전달되는 동력의 단속을 위한 별도의 클러치 기구물이 설치되어야 하는 구조적인 문제가 대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비기로의 동력의 단속을 가장 간단한 구조로 수행할 수 있는 시비기 클러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용 동력의 단속이 용이함은 물론이고, 이와 별도로 시비기로의 동력이 단속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작업용 클러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부부와 시비기를 구비하는 이앙기의 작업용 클러치장치에 있어서; PTO 입력축과 PTO 출력축 사이에 설치되는 PTO 클러치와; 상기 PTO 클러치를 조작함으로써, PTO 입력축에서 PTO 출력축으로의 동력 전달 여부를 단속하는 PTO 클러치 단속수단; 상기 PTO 출력축에서 분기되어 시비기 출력축; 상기 시비기 출력축에 설치되어 PTO 출력축에서 시비기 출력축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기 위한 시비기 클러치; 그리고 상기 시비기 클러치를 조작함으로써, PTO 출력축에서 시비기 출력축으로의 동력 전달 여부를 단속하는 시비기 클러치 단속수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시비기 클러치는, PTO 출력축에 설치되어 연동하는 제1베벨기어와, 시비기 출력축에 아이들 상태로 설치되고 제1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 시비기 출력축에 아이들 상태로 설치되어 제2베벨기어와 연동하는 제1클러치, 시비기 출력축와 같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제2클러치와 결합하면 PTO 출력축의 동력을 시비기 출력축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제2클러치로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시비기 클러치 단속수단은, 시비기 출력축에 설치되어 제1클러치를 제2클러치에 결합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와, 회전에 의하여 제1클러치에서 제2클러치를 이격시킬 수 있는 편심돌기를 단부에 구비하는 이격용 회전축, 그리고 상기 이격용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회전수단은 수동으로 조작하는 시비기 클러치 레버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모터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하면, 제2베벨기어와 제1클러치는 일체로 성형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PTO클러치는 PTO출력축으로 나가는 동력의 단속을 수행할 수 있음과 같이, 시비기 클러치는 별도로 시비기 출력축으로 나가는 동력을 단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PTO 출력축으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작동하면서도 선택적으로 시비기로의 동력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PTO 클러치와 시비기 클러치가 일부분에 집중적으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유지 관리는 물론이고, 부품의 조립 공정에서도 상당한 편의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각 클러치의 내부 구성을 측면에서 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비기 클러치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앙기에서, 작업용 동력을 식부부에 전달하는 PTO 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앙기의 PTO 입력축(2)과 PTO 출력축(4) 사이에는 동력의 단속을 위한 PTO 클러치(1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PTO 클러치(12)는 도그 클러치 형식의 것을 사용하고 제1클러치(12a) 및 제2클러치(12b)로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PTO 클러치(12) 자체 및 이를 이용한 동력의 단속을 위한 구조는 종래부터 널리 적용되고 있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간단하게 살펴보면, 스프링(28)이 제2클러치(12b)를 제1클러치(12a) 측으로 가압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클러치(12a)와 제2클러치(12b)가 서로 결합된 상태는 PTO 입력축(2)에서의 동력이 PTO 출력축(4)으로 전달될 수 있는 상태이다.
제1클러치(12a)와 제2클러치(12b)가 서로 결합된 상태는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이고,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는 기본적인 힘은 스프링(28)이 제2클러치(12b)를 제1클러치(12a)로 미는 탄성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클러치(12a)와 제2클러치(12b)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클러치핀(26)은 PTO 클러치(12)에서 자유로운 상태이다. 즉 클러치핀(26)은 클러치 케이블(22)에 의하여 상방으로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클러치(12)와 기계적 접촉 관계는 없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PTO클러치(12)에서 동력의 전달을 끊기 위해서는, 제1클러처(12a)에서 제2클러치(12b)가 분리되어야 한다. 이러한 분리를 위하여, 클러치모터(20)가 클러치 케이블(22)을 당기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클러치암(24)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클러치핀(26)을 하방으로 밀게 된다. 하방으로 이동하는 클러치핀(26)은 제1클러치(12a)와 제2클러치(12b)를 서로 이격시키게 되어, 실질적으로 PTO 클러치(12)를 오픈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PTO 클러치(12)의 동력의 단속은 실질적으로 현재 널리 적용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PTO출력축(4)에는 직각으로 시비기 출력축(40)이 동력 전달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시비기 출력축(40)은 비료 살포를 위한 시비기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축이다. 그리고 예를 들면, PTO출력축(4)에서 시비기 출력축(40)으로의 동력 전달은 PTO 출력축(4)에 설치된 제1베벨기어(44a)와, 상기 제1베벨기어(44a)와 맞물려 동력이 전달되고 시비시 출력축(40)에 아이들 상태로 지지되는 제2베벨기어(44b)로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시비기 클러치(42)는, 시비기 출력축(40)에 아이들 상태로 지지되는 제1클러치(42a)와, 상기 제1클러치(42a)와 결합되면 동력이 전달되고 이격되면 동력의 차단되는 제2클러치(42b)로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제2클러치(42b)는 시비기 출력축(40)에 키(Key) 결합되어 있고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제1클러치(42a)는 제2베벨기어(44)와 같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비기 출력축(40)에 아이들 결합되어 있는 제1클러치(42a)가 제2클러치(42b)와 결합되면 실질적으로 PTO 출력축(4)의 동력이 시비기 출력축(40)으로 전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비기 출력축(40)에 설치된 스프링(45)은 제2클러치(42b)를 제1클러치(42a)를 향하여 가압함으로써, 시비기 클러치(42)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제2베벨기어(44b)는 제1클러치(42a)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클러치(42b)는 제1클러치(42a)와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시비기 출력축(40)에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이고, 시비기 클러치(42)는 클로즈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동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제2클러치(42b)에 대하여 제1클러치(42a)를 이격시켜야 한다. 도시한 실시 예에 의하면, 제1클러치(42a)의 외측 플랜지(42c)에는, 이격용 회전축(48)의 단부가 접촉하고 있다. 이격용 회전축(48)의 단부는 축방향의 중심에서 편심된 편심돌기(48a)(예를 들면 반원형 돌기)를 형성하고 있고, 이격용 회전축(48)는 시비기 출력축(40)에 대하여 대략 90도 정도로 교차하고 있다. 따라서 이격용 회전축(48)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편심돌기(48a)가 회전하면서 제1클러치(42a)를 제2클러치(42)에서 이격시키게 된다. 즉, 이격용 회전축(48)이 회전하면, 편심돌기(48a)의 동작에 의하여 시비기 클러치(42)의 동력이 오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이격용 회전축(48)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에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이격용 회전축(48)은 조작용캠(49)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조작용캠(49)은 와이어(52)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52)를 당기면 조작용캠(49)이 회전하는데, 조작용캠(49)은 이격용 회전축(48)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격용 회전축(48)이 회전하게 된다. 이격용 회전축(48)의 회전은 그 단부에 있는 편심돌기(48a)가 제1클러치(42a)를 제2클러치(42b)에서 분리하게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와이어(5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비기(50)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시비기 클러치 레버(54)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클러치 레버(54)를 잡아 당기게 되면 와이어(52)가 당겨지고, 이에 따라서 조작용캠(49)이 회전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필요하다면, 상기 와이어(52)는 프레임에 고정된 브라켓(B)를 경유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브라켓(B)을 통하여 와이어가 일방향으로 더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시비기 클러치(42)를 이격시키기 위하여, 수동 조작 가능한 시비기 클러치 레버(54), 와이어(52), 그리고 조작용캠(49)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 이외에도 모터를 이용하여 와이어(52)를 당기거나 풀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한 실시 예에서, 시비기 클러치(42)가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비기 클러치 레버(54)를 당긴 상태로 유지(홀딩)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시비기 클러치를 동력이 분배되는 시점에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PTO 입력축
4 ..... PTO 출력축
12 ..... PTO 클러치
42 ..... 시비기 클러치
48 ..... 이격용 회전축
48a ..... 편심돌기
49 ..... 조작용캠
50 ..... 시비기
52 ..... 와이어

Claims (3)

  1. 식부부와 시비기를 구비하는 이앙기의 작업용 클러치장치에 있어서;
    PTO 입력축과 PTO 출력축 사이에 설치되는 PTO 클러치와;
    상기 PTO 클러치를 조작함으로써, PTO 입력축에서 PTO 출력축으로의 동력 전달 여부를 단속하는 PTO 클러치 단속수단;
    상기 PTO 출력축에서 분기되는 시비기 출력축;
    상기 시비기 출력축에 설치되어 PTO 출력축에서 시비기 출력축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기 위한 시비기 클러치; 그리고
    상기 시비기 클러치를 조작함으로써, PTO 출력축에서 시비기 출력축으로의 동력 전달 여부를 단속하는 시비기 클러치 단속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비기 클러치는, PTO 출력축에 설치되어 연동하는 제1베벨기어와, 시비기 출력축에 아이들 상태로 설치되고 제1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 시비기 출력축에 아이들 상태로 설치되어 제2베벨기어와 연동하는 제1클러치, 시비기 출력축과 같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제2클러치와 결합하면 PTO 출력축의 동력을 시비기 출력축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제2클러치로 구성되는 이앙기의 작업용 클러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비기 클러치 단속수단은,
    시비기 출력축에 설치되어 제1클러치를 제2클러치에 결합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과, 회전에 의하여 제1클러치에서 제2클러치를 이격시킬 수 있는 편심돌기를 단부에 구비하는 이격용 회전축, 그리고 상기 이격용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되는 이앙기의 작업용 클러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2베벨기어와 제1클러치는 일체로 성형되는 이앙기의 작업용 클러치장치.



KR1020180040799A 2018-04-09 2018-04-09 이앙기의 작업용 클러치장치 KR101947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799A KR101947120B1 (ko) 2018-04-09 2018-04-09 이앙기의 작업용 클러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799A KR101947120B1 (ko) 2018-04-09 2018-04-09 이앙기의 작업용 클러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120B1 true KR101947120B1 (ko) 2019-05-02

Family

ID=66581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799A KR101947120B1 (ko) 2018-04-09 2018-04-09 이앙기의 작업용 클러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1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311A (ko) * 2019-10-11 2021-05-18 주식회사 티와이엠 농업용 무인 주행본체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0639A (ja) * 1999-03-24 2000-10-03 Kubota Corp 施肥装置付き水田作業機
JP2001061309A (ja) * 1999-08-24 2001-03-13 Kubota Corp 田植機
JP2002272218A (ja) * 2001-03-23 2002-09-24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乗用田植機
JP2004000071A (ja) * 2002-05-31 2004-01-08 Iseki & Co Ltd 農作業機
KR20070019759A (ko) * 2004-05-25 2007-02-15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승용이앙기
KR20150094495A (ko) * 2014-02-10 2015-08-19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모종 이식기
JP2017226324A (ja) * 2016-06-22 2017-12-2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におけるpto軸の駆動装置
KR20180003440A (ko) * 2016-06-30 2018-01-0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기의 전동 장치 및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0639A (ja) * 1999-03-24 2000-10-03 Kubota Corp 施肥装置付き水田作業機
JP2001061309A (ja) * 1999-08-24 2001-03-13 Kubota Corp 田植機
JP2002272218A (ja) * 2001-03-23 2002-09-24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乗用田植機
JP2004000071A (ja) * 2002-05-31 2004-01-08 Iseki & Co Ltd 農作業機
KR20070019759A (ko) * 2004-05-25 2007-02-15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승용이앙기
KR20150094495A (ko) * 2014-02-10 2015-08-19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모종 이식기
JP2017226324A (ja) * 2016-06-22 2017-12-2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におけるpto軸の駆動装置
KR20180003440A (ko) * 2016-06-30 2018-01-09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기의 전동 장치 및 수전 작업기의 전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311A (ko) * 2019-10-11 2021-05-18 주식회사 티와이엠 농업용 무인 주행본체
KR102298376B1 (ko) 2019-10-11 2021-09-06 주식회사 티와이엠 농업용 무인 주행본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1932B2 (ja) 手動変速機用変速操作機構
WO2008000126A8 (fr) Système d'alimentation hybride électromécanique bimode
KR101518529B1 (ko) 중심 동기화된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용 작동 장치
KR101947120B1 (ko) 이앙기의 작업용 클러치장치
TW340102B (en) A bicycle built-in gearing device
CN102678419B (zh) 起动器
AU2003222726A1 (en) Clutch disengaging system for a twin clutch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EP1123775A3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working machine
EP1400731A3 (de) Vorrichtung zur Synchronisierung eines Doppelkupplungsgetriebes
JP2004530207A5 (ko)
KR20110008458A (ko) Dct 클러치 작동기구
JPS6418744A (en) Drive mechanism of equipment mounted on board
JP2008307331A (ja) 電動湾曲内視鏡用動力伝達装置
AR026761A1 (es) Unidad para la operacion servo asistida de una caja de velocidad de un vehiculo automotor y vehiculo que incluye a dicha unidad.
JPS62194056A (ja) 画像形成装置
KR20200009465A (ko) 콤바인의 예취부 구동장치
JP2014020445A (ja) 負荷感応型変速装置
KR100482699B1 (ko) 트랙터의 미드 피티오 안전장치
TWI657737B (zh) 電動捲線器
KR101577117B1 (ko) 이앙기의 식부암
KR100911577B1 (ko) 더블클러치변속기의 릴리즈 장치
KR20010105738A (ko) 차량 기동장치의 동력전달기구
KR101877136B1 (ko)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CN114365626A (zh) 手扶式工作机器
KR20160018117A (ko) 콤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