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136B1 -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136B1
KR101877136B1 KR1020160164866A KR20160164866A KR101877136B1 KR 101877136 B1 KR101877136 B1 KR 101877136B1 KR 1020160164866 A KR1020160164866 A KR 1020160164866A KR 20160164866 A KR20160164866 A KR 20160164866A KR 101877136 B1 KR101877136 B1 KR 101877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control shaft
shifting
select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698A (ko
Inventor
이만복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60164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1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4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69Inter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 F16H61/68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with two inputs, e.g. selection of one of two torque-flow paths by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 F16H2063/305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using electromagnetic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69Inter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3Inter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final output mechanisms final output mechanisms mounted on a single shaft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 클러치 변속기에서 변속을 위해 셀렉트 변위와 시프트 변위를 구현하는 구동부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파워팩을 모듈화하고, 구동부에서 시프트 변위를 위한 전기모터와 셀렉트 변위를 위해 한정된 각도범위 내에서 왕복 선회운동을 하는 로터리 솔레노이드를 동일 축선상에서 일체로 배치하며, 이들 구동부에 대해 동일한 장착면을 매개로 제어기를 직접 부착시켜 구조적으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변속용 액추에이터를 개시한다.
전술한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는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 및 상기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구동부에 직접 부착되는 제어기(200)를 갖춘 파워팩 모듈(100), 및 상기 파워팩 모듈(100)과 연결되어 각 변속단별 시프트 레일에 셀렉트 방향과 시프트 방향으로의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는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40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400)에 셀렉트 방향으로의 변위를 제공하는 로터리 솔레노이드(110,120), 및 상기 로터리 솔레노이드(110,120)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400)에 시프트 방향으로의 변위를 제공하는 시프트 모터(130,14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Shifting actuator for double clutch transmission}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의 기어열을 기반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 변속기 중에서 더블 클러치 변속기에 적용되는 변속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속을 위한 셀렉트 기능과 시프트 기능을 구현하는 구동부와 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파워팩을 모듈화하여 구조적으로 컴팩트하고 패키징에 유리하게 구성할 수 있는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변속을 위한 구동부의 솔레노이드와 모터를 동일 축선상으로 일렬로 배치하여 액추에이터의 설치 공간을 축소하고, 구동부에 대해 동일한 장착면을 매개로 제어기를 직접 부착되게 함으로써 전장 부품의 와이어링에서 발생하는 단선 등의 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블 클러치 변속기(DCT; Double Clutch Transmission)는 기어 액추에이터와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매개로 변속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높은 효율과 빠른 변속이 그 장점이다. 이 경우, 변속을 위한 셀렉트 및 시프트 액추에이터는 전동식과 유압식으로 구성되는 데, 주로 모터와 솔레노이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즉, 더블 클러치 변속기에 있어 변속장치는 홀수단과 짝수단의 셀렉트와 시프트 조작의 조합을 위해 각각 2개의 액추에이터(전체 4개의 액추에이터)가 필요로 하는 데, 주로 셀렉트 조작을 위한 액추에이터는 2개의 솔레노이드를 채택하고 있고, 시프트 조작을 위한 액추에이터는 2개의 모터를 채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용 액추에이터는 셀렉트 솔레노이드와 시프트 모터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 그 상부에 제어기를 포함한 파워팩의 직접 부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셀렉트 변위와 시프트 변위의 작동방향이 사로 상이하여 진동에 매우 불리한 구조적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종래 변속용 액추에이터는 셀렉트 솔레노이드와 시프트 모터로 구성되고 각각 리드 와이어를 통해 전기신호를 전달하고 있으나, 차량 내부에서 패키징 공간의 협소로 인해 와이어에 굽힘 및 인장응력이 가해져 단선에 대한 문제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 변속용 액추에이터는 변속 기구부와 전장부품들이 홀수단과 짝수단에 각각 맞춰 한쪽으로 통일되게 위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홀수단과 짝수단으로 각각 모듈화 구조를 적용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종래 변속용 액추에이터는 모듈화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로 인해 전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많은 수량의 부품이 단품으로 입고되어 조립됨에 따라 조립공정도 복잡하고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차종 패키징에 따라 커넥터와 와이어의 배선 구조가 복잡하고 커넥터의 위치 변경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사양이 다원화되어 부품 관리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33762호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추에이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더블 클러치 변속기에서 변속을 위해 셀렉트 변위와 시프트 변위를 구현하는 구동부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파워팩을 모듈화하고, 구동부에서 시프트 변위를 위한 전기모터와 셀렉트 변위를 위해 한정된 각도범위 내에서 왕복 선회운동을 하는 로터리 솔레노이드를 동일 축선상에서 일체로 배치하며, 이들 구동부에 대해 동일한 장착면을 매개로 제어기를 직접 부착되게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보다 컴팩트하고 패키징에 유리하게 구성할 수 있는 변속용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변속을 위한 셀렉트 변위와 시프트 변위를 구현하는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구동부를 한 방향으로 모아 서브 조립하고, 이에 제어기를 포함한 파워팩을 홀수단과 짝수단의 각각으로 모듈화하여 장착함으로써 조립성과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속용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 및 상기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구동부에 직접 부착되는 제어기를 갖춘 파워팩 모듈, 및 상기 파워팩 모듈과 연결되어 각 변속단별 시프트 레일에 대해 셀렉트 방향과 시프트 방향으로의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는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에 대해 셀렉트 방향으로의 변위를 제공하는 로터리 솔레노이드, 및 상기 로터리 솔레노이드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에 대해 시프트 방향으로의 변위를 제공하는 시프트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파워팩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홀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와 짝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를 상호 대칭의 구조로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파워팩 모듈의 작동을 위한 전원선과 신호선의 외부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단일의 개소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기는 홀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와 짝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에 대해 일체로 부착되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홀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와 짝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에 대해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로터리 솔레노이드는 회전축에 연결되어 한정된 각도범위 내에서 왕복 선회운동을 하는 로터리 아암, 및 상기 로터리 아암에 대해 힌지지점을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셀렉트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 아암은 각각의 회전축으로부터 홀수단 로터리 솔레노이드와 짝수단 로터리 솔레노이드 사이의 공간을 향해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로터리 아암은 상기 셀렉트 레버와의 결합부위에 개구된 트임부를 형성하고, 상기 셀렉트 레버의 힌지지점은 상기 하우징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는 홀수단의 변속을 위한 중실의 제1컨트롤 샤프트, 및 상기 제1컨트롤 샤프트의 외부에 동축상으로 배치되는 짝수단의 변속을 위한 중공의 제2컨트롤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시프트 모터는 회전축에 연결되는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에 치합되어 직선 운동하는 슬라이드 블록, 및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형성되는 시프트 러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는 상기 셀렉트 레버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1컨트롤 샤프트와 상기 제2컨트롤 샤프트에 각각 형성되는 셀렉트 가이더, 상기 시프트 러그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1컨트롤 샤프트와 상기 제2컨트롤 샤프트에 각각 형성되는 시프트 핑거, 및 상기 셀렉트 가이더 및 상기 시프트 핑거와 셀렉트 방향과 시프트 방향으로 각각 연동하기 위해 상기 제1컨트롤 샤프트와 상기 제2컨트롤 샤프트에 각각 형성되는 컨트롤 핑거를 구비하고, 상기 셀렉트 가이더는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의 축선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셀렉트 레버의 상하부위와 각각 접촉 가능한 한 쌍의 돌출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더블 클러치 변속기에서 변속을 위해 셀렉트 변위와 시프트 변위를 구현하는 구동부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파워팩을 홀수단과 짝수단별로 각각 모듈화하고, 구동부에서 시프트 변위를 위한 전기모터와 셀렉트 변위를 위해 한정된 각도범위 내에서 왕복 선회운동을 하는 로터리 솔레노이드를 각각의 모듈화된 구동부 상에서 동일 축선상으로 배치하며, 이들 각각의 구동부에 대해 동일한 장착면을 매개로 제어기를 직접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파워팩 모듈을 구조적으로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제품의 패키징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프트 변위를 위한 전기모터와 셀렉트 변위를 위한 로터리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는 구동 전장품이 모두 회전방향으로 동작하는 구조이므로, 작동방향의 균일함을 통해 진동에 보다 유리한 파워팩 모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부에 대해 제어기를 직접 부착하는 구조이므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송을 위한 와이어링 연결에 있어 발생될 수 있는 품질 문제를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고, 홀수단과 짝수단의 파워팩 모듈을 단일의 하우징 내에 내장하고 각종 전원선과 신호선의 배치를 하우징에 구비되는 단일의 커넥터를 통해 하나로 통합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간략화된 와이어링의 배선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단선에 대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변속을 위한 셀렉트 변위와 시프트 변위를 구현하는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구동부를 한 방향으로 모아 서브 조립하고, 이에 제어기를 포함한 파워팩을 홀수단과 짝수단의 각각으로 모듈화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변속용 액추에이터에 대한 조립성과 양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에 대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에서 셀렉트 변위와 시프트 변위를 구현하는 구동부와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 사이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으로, 셀렉트 변위를 구현하는 구동부인 로터리 솔레노이드와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 사이의 연동관계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으로, 시프트 변위를 구현하는 구동부인 시프트 모터와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 사이의 연동관계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속용 액추에이터는 변속시 더블 클러치 변속기와 같이 홀수단과 짝수단의 각각에 대해 셀렉트 변위와 시프트 변위를 구현하기 위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파워팩 모듈(100), 상기 파워팩 모듈(1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적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200), 상기 파워팩 모듈(100)과 상기 제어기(200)를 내장하는 단일의 하우징(300), 및 상기 파워팩 모듈(100)의 구동으로부터 발생된 작동력을 각 변속단별 시프트 레일(미도시)에 대해 셀렉트 방향과 시프트 방향으로 각각 전달하는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워팩 모듈(100)은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개별적인 변속을 위한 구동부(110,120,130,140), 및 상기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구동부(110,120,130,140)에 직접 부착되고 상기 구동부(110,120,130,140)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제어기(2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110,120,130,140)는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400)에 대해 셀렉트 방향으로의 변위를 제공하는 홀수단과 짝수단의 로터리 솔레노이드(110,120), 및 상기 로터리 솔레노이드(110,120)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400)에 대해 시프트 방향으로의 변위를 제공하는 홀수단과 짝수단의 시프트 모터(130,14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로터리 솔레노이드(110,120)와 상기 시프트 모터(130,140)는 홀수단과 짝수단별로 각각 한 쌍씩 분리됨과 동시에, 홀수단 로터리 솔레노이드(110)와 홀수단 시프트 모터(130)가 동일 축선상으로 배치되며, 짝수단 로터리 솔레노이드(120)와 짝수단 시프트 모터(140)가 동일 축선상으로 배치되도록 설정되어 있어, 상기 파워팩 모듈(100)의 구조를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제품의 패키징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정리하자면, 상기 구동부(110,120,130,140)는 로터리 솔레노이드(110,120)와 시프트 모터(130,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리 솔레노이드(110,120)는 홀수단 로터리 솔레노이드(110)와 짝수단 로터리 솔레노이드(120)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시프트 모터(130,140)는 홀수단 시프트 모터(130)와 짝수단 시프트 모터(140)로 각각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로터리 솔레노이드(110,120)는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매개로 설정되는 중립위치, 정방향의 전원 인가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여 설정되는 정회전 위치, 및 역방향의 전원 인가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여 설정되는 역회전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전이 가능한 3위치 제어용 솔레노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로터리 솔레노이드(110,120)는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매개로 설정되는 기준위치, 및 전원 인가시 선회하여 설정되는 작동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전이 가능한 2위치 제어용 솔레노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상기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로터리 솔레노이드(110,120)는 각각의 회전축에 대해 일단부가 연결되어 한정된 각도범위 내에서 왕복 선회운동을 하는 로터리 아암(112,122), 및 상기 로터리 아암(112,122)에 대해 일단부가 연결되고 힌지지점(H)을 중심으로 타단부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400)에 대해 셀렉트 방향으로 변위하는 셀렉트 레버(114,12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로터리 아암(112,122)은 각각의 회전축으로부터 홀수단 로터리 솔레노이드(110)와 짝수단 로터리 솔레노이드(120) 사이의 공간을 향해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로터리 아암(112,122)은 상기 셀렉트 레버(114,124)와의 결합부위에 외부를 향해 개구된 형태의 트임부(112a,122a)를 일체로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셀렉트 레버(114,124)에 대한 힌지지점(H)은 상기 하우징(300)에 의해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셀렉트 레버(114,124)는 상기 로터리 솔레노이드(110,120)의 작동시 힌지지점(H)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을 하게 되는 데, 이때 선회 운동의 방향은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400)에 대한 셀렉트 변위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설정된다.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시프트 모터(130,140)는 각각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리드 스크류(132,142), 상기 리드 스크류(132,142)에 치합되어 직선 운동하는 슬라이드 블록(134,144), 및 상기 슬라이드 블록(134,144)의 일측에서 후술되는 시프트 핑거(416,426)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시프트 러그(136,146)를 구비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상기 제어기(200)는 상기 구동부(110,120,130,140)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홀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110,130)와 짝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120,140)에 대해 일체로 부착되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홀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110,130)와 짝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120,140)에 대해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110,120,130,140)와 상기 제어기(200) 사이의 장착 좌면은 동일한 평면으로 설정되어 있어, 조립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패키징과 파워팩의 모듈화 구조를 한층 더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해 준다.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파워팩 모듈(100)과 상기 제어기(200)를 내부에 수용하는 단일의 부재로서, 상기 파워팩 모듈(100)에 있어, 홀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110,130)와 짝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120,140)의 각각에 대한 작동 제어를 위해 구동용 전원선과 제어용 신호선을 모두 외부로 배선할 수 있는 커넥터(210)를 단일의 개소로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0)은 내부에 홀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110,130)와 짝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120,140)를 상호 대칭의 구조로 내장하도록 구성된다.
도 4와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400)는 상기 파워팩 모듈(100)과 연결되어 각 변속단별 시프트 레일(미도시)에 대해 셀렉트 방향과 시프트 방향으로의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홀수단의 변속을 위한 중실의 제1컨트롤 샤프트(410), 및 상기 제1컨트롤 샤프트(410)의 외부에 동축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자유롭게 축방향 이동과 축방향 회전이 자유롭게 설정되는 짝수단의 변속을 위한 중공의 제2컨트롤 샤프트(4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400)는 상기 셀렉트 레버(114,124)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1컨트롤 샤프트(410)와 상기 제2컨트롤 샤프트(420)에 각각 형성되는 셀렉트 가이더(412,422), 상기 시프트 러그(136,146)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1컨트롤 샤프트(410)와 상기 제2컨트롤 샤프트(420)에 각각 형성되는 시프트 핑거(416,426), 및 상기 셀렉트 가이더(412,422) 및 상기 시프트 핑거(416,426)와 셀렉트 방향과 시프트 방향으로 각각 연동하기 위해 상기 제1컨트롤 샤프트(410)와 상기 제2컨트롤 샤프트(420)에 각각 형성되어 각 변속단별 시프트 레일의 시프트러그(미도시)에 결합되는 컨트롤 핑거(414,42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셀렉트 가이더(412,422)는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400)의 축선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셀렉트 레버(114,124)의 상하부위와 각각 접촉 가능하게 외부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용 액추에이터는 변속시 상기 로터리 솔레노이드(110,120)의 작동에 의해 로터리 아암(112,122)의 선회가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리 아암(112,122)의 선회에 따라 연동하는 셀렉트 가이더(412,422)를 매개로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400)에 대한 셀렉트 방향으로의 변위가 수반된다. 이때, 상기 홀수단 로터리 솔레노이드(110)가 동작하면 제1컨트롤 샤프트(410)의 셀렉트 변위가 이루어지고, 상기 짝수단 로터리 솔레노이드(120)가 동작하면 제2컨트롤 샤프트(420)의 셀렉트 변위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변속용 액추에이터는 변속시 상기 시프트 모터(130,140)의 작동에 의해 시프트 핑거(416,426)의 선회가 이루어지고, 상기 시프트 핑거(416,426)의 선회에 따라 연동하는 시프트 러그(136,146)를 매개로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400)에 대한 시프트 방향으로의 변위가 수반된다. 이때, 상기 홀수단 시프트 모터(130)가 동작하면 제1컨트롤 샤프트(410)의 시프트 변위가 이루어지고, 상기 짝수단 시프트 모터(140)가 동작하면 제2컨트롤 샤프트(420)의 시프트 변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결과, 각 변속단별 시프트 레일에서는 시프트 방향으로의 종속적인 이동이 수반되어 싱크로 기구에 의한 실질적인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더블 클러치 변속기에서 셀렉트 변위와 시프트 변위를 구현하는 구동부(110,120,130,140)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기(200)를 포함하는 파워팩 모듈(100)을 홀수단과 짝수단별로 각각 모듈화하고, 상기 구동부(110,120,130,140)에서 시프트 변위를 위한 시프트 모터(130,140)와 셀렉트 변위를 위해 한정된 각도범위 내에서 왕복 선회운동을 하는 로터리 솔레노이드(110,120)를 각각의 모듈화된 구동부(110,120,130,140) 상에서 동일 축선상으로 배치하며, 이들 각각의 구동부에 대해 동일한 장착면을 매개로 제어기(200)를 직접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파워팩 모듈(100)을 구조적으로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변속용 액추에이터에 대한 패키징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프트 변위를 위한 시프트 모터(130,140)와 셀렉트 변위를 위한 로터리 솔레노이드(110,120)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구동 전장품이 모두 회전방향으로 동작하는 구조이므로, 종래 변속용 액추에이터와 비교할 때 작동방향의 균일함을 매개로 진동에 보다 유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부(110,120,130,140)에 대해 제어기(200)를 직접 부착하는 구조이므로, 종래 변속용 액추에이터와 비교할 때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송을 위한 와이어링 연결에 있어 발생될 수 있는 품질 문제를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고, 홀수단과 짝수단의 파워팩 모듈(100)을 단일의 하우징(300) 내에 내장하고 각종 전원선과 신호선의 배치를 하우징에 구비되는 단일의 커넥터(210)를 통해 하나로 통합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간략화된 와이어링의 배선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단선에 대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변속을 위한 홀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110,130)와 짝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120,140)를 각각 한 방향으로 모아 서브 조립하고, 이에 제어기(200)를 포함한 파워팩을 홀수단과 짝수단의 각각으로 모듈화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변속용 액추에이터에 대한 조립성과 양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파워팩 모듈
110,120-로터리 솔레노이드 112,122-로터리 아암
114,124-셀렉트 레버
130,140-시프트 모터 132,142-리드 스크류
134,144-슬라이드 블록 136,146-시프트 러그
200-제어기 300-하우징
400-컨트롤 샤프트 조립체
410-제1컨트롤 샤프트 412,422-셀렉트 가이더
414,424-컨트롤 핑거 416,426-시프트 핑거
420-제2컨트롤 샤프트

Claims (12)

  1.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 및 상기 홀수단과 짝수단 각각의 구동부에 직접 부착되는 제어기를 갖춘 파워팩 모듈; 및
    상기 파워팩 모듈과 연결되어 각 변속단별 시프트 레일에 대해 셀렉트 방향과 시프트 방향으로의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는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에 대해 셀렉트 방향으로의 변위를 제공하는 로터리 솔레노이드;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에 대해 시프트 방향으로의 변위를 제공하는 시프트 모터; 및
    상기 파워팩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홀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와 짝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를 상호 대칭의 구조로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 솔레노이드와 상기 시프트 모터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로터리 솔레노이드는 회전축에 연결되어 한정된 각도범위 내에서 왕복 선회운동을 하는 로터리 아암, 및 상기 로터리 아암에 대해 힌지지점을 매개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셀렉트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파워팩 모듈의 작동을 위한 전원선과 신호선의 외부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단일의 개소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홀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와 짝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에 대해 일체로 부착되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홀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와 짝수단의 변속을 위한 구동부에 대해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아암은 각각의 회전축으로부터 홀수단 로터리 솔레노이드와 짝수단 로터리 솔레노이드 사이의 공간을 향해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아암은 상기 셀렉트 레버와의 결합부위에 개구된 트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레버의 힌지지점은 상기 하우징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는,
    홀수단의 변속을 위한 중실의 제1컨트롤 샤프트; 및
    상기 제1컨트롤 샤프트의 외부에 동축상으로 배치되는 짝수단의 변속을 위한 중공의 제2컨트롤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모터는,
    회전축에 연결되는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에 치합되어 직선 운동하는 슬라이드 블록; 및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형성되는 시프트 러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는,
    상기 셀렉트 레버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1컨트롤 샤프트와 상기 제2컨트롤 샤프트에 각각 형성되는 셀렉트 가이더;
    상기 시프트 러그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1컨트롤 샤프트와 상기 제2컨트롤 샤프트에 각각 형성되는 시프트 핑거; 및
    상기 셀렉트 가이더 및 상기 시프트 핑거와 셀렉트 방향과 시프트 방향으로 각각 연동하기 위해 상기 제1컨트롤 샤프트와 상기 제2컨트롤 샤프트에 각각 형성되는 컨트롤 핑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가이더는 상기 컨트롤 샤프트 조립체의 축선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셀렉트 레버의 상하부위와 각각 접촉 가능한 한 쌍의 돌출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KR1020160164866A 2016-12-06 2016-12-06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KR101877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866A KR101877136B1 (ko) 2016-12-06 2016-12-06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866A KR101877136B1 (ko) 2016-12-06 2016-12-06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698A KR20180064698A (ko) 2018-06-15
KR101877136B1 true KR101877136B1 (ko) 2018-07-10

Family

ID=62628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866A KR101877136B1 (ko) 2016-12-06 2016-12-06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13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376B2 (ko) * 1985-08-09 1992-04-16 Nippon Electric Co
JP2001304406A (ja) * 2000-04-27 2001-10-31 Isuzu Motors Ltd 変速機のシフトアシスト装置
JP4022376B2 (ja) 2001-05-29 2007-12-19 株式会社エクセディ 車両用変速機のギア変速装置
JP4258982B2 (ja) * 2001-02-28 2009-04-3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変速操作装置
JP2012117661A (ja) * 2010-12-01 2012-06-21 Hyundai Motor Co Ltd 手動変速機用変速操作機構
KR20120133762A (ko) * 2011-06-01 2012-12-11 주식회사 인팩 자동화 수동 변속기용 액츄에이터
KR20130074367A (ko) * 2011-12-26 2013-07-04 현대다이모스(주) 수동변속기의 컨트롤 어셈블리
KR20140051502A (ko) * 2012-10-22 2014-05-02 주식회사 삼현 더블 클러치 변속기 제어용 모터 케이싱 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376B2 (ko) * 1985-08-09 1992-04-16 Nippon Electric Co
JP2001304406A (ja) * 2000-04-27 2001-10-31 Isuzu Motors Ltd 変速機のシフトアシスト装置
JP4258982B2 (ja) * 2001-02-28 2009-04-3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変速操作装置
JP4022376B2 (ja) 2001-05-29 2007-12-19 株式会社エクセディ 車両用変速機のギア変速装置
JP2012117661A (ja) * 2010-12-01 2012-06-21 Hyundai Motor Co Ltd 手動変速機用変速操作機構
KR20120133762A (ko) * 2011-06-01 2012-12-11 주식회사 인팩 자동화 수동 변속기용 액츄에이터
KR20130074367A (ko) * 2011-12-26 2013-07-04 현대다이모스(주) 수동변속기의 컨트롤 어셈블리
KR20140051502A (ko) * 2012-10-22 2014-05-02 주식회사 삼현 더블 클러치 변속기 제어용 모터 케이싱 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258982호(2009.04.30.)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698A (ko) 2018-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1932B2 (ja) 手動変速機用変速操作機構
CN104246319B (zh) 混合变速器
KR101699629B1 (ko)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장치
US8079283B2 (en) Device for activating gearshift forks
JP4813502B2 (ja) ギアのための切換装置
CN101625024A (zh) 顺序控制装置
JPH07501131A (ja) 自動車用多段変速装置の切換操作装置
KR101833628B1 (ko)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기어 액추에이터
KR20210006035A (ko) 변속기의 변속 액츄에이터
CN105121915A (zh) 用于切换和控制变速器的功能单元
KR101877136B1 (ko)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액추에이터
US20030213319A1 (en) Device for the sequential control of gearboxes with hand-operated selection and engagement of gears for motor vehicles
SE447683B (sv) Lasanordning for rorelser hos atminstone tva rorliga element placerade i vardera en av tva elektriska kopplingsanordningar samt elektrisk installation innefattande den nemnda lasanordningen
KR20110008458A (ko) Dct 클러치 작동기구
KR20120131456A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장치
KR101628104B1 (ko) 차량용 변속조작기구
KR20110029644A (ko) 듀얼클러치 변속기의 변속장치
KR20090040074A (ko)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변속액츄에이터
KR20100064419A (ko) 시프트 컨트롤장치
KR101795734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구동장치
KR101592643B1 (ko) 기어 시프트 유닛
CN217519191U (zh) 用于变速器拨叉的致动器以及包括该致动器的变速器
KR20170071695A (ko) 차량용 기어 변속기구
JP2019070434A (ja) シフト・バイ・ワイヤ装置
CN100389278C (zh) 电控机械式自动变速器选换档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