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618B1 -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618B1
KR101704618B1 KR1020160114813A KR20160114813A KR101704618B1 KR 101704618 B1 KR101704618 B1 KR 101704618B1 KR 1020160114813 A KR1020160114813 A KR 1020160114813A KR 20160114813 A KR20160114813 A KR 20160114813A KR 101704618 B1 KR101704618 B1 KR 101704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case
turntable
packaging
memory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계철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4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48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folding a wrapper, e.g. a pocketed wrapper, and securing its opposed free margins to enclos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otar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B41/04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9/00Devices for folding or bending wrappers around contents
    • B65B49/0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f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카드를 미리 준비된 패키지 및 종이케이스에 순차적으로 수납하여 포장되게 하는 것이며, 다수개의 플래시 메모리카드를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자동포장되게 하여 단위시간당 포장개수를 늘려 포장능률을 향상시키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한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로서, 본체(1000)와; 상기 본체(10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되, 연속공급되는 다수의 패키지(30)에 메모리카드(20)를 안착시켜서 제1턴테이블(2100)을 이용해 회전이송하고, 상기 제1턴테이블(2100)을 통해 메모리카드(20)가 안착된 패키지(30)가 패키지 포장부(2400)로 이송되면, 상기 패키지 포장부(2400)의 제1푸시암(2420)이 이송된 패키지(30)의 절반을 접어서 메모리카드(20)를 패키지(30)에 포장하는 제1 포장설비(2000)와; 상기 제1 포장설비(2000)에 인접하게 본체(1000) 상부에 구비되되, 연속공급되는 다수의 케이스(40)에 메모리카드(20)가 포장된 패키지(30)를 안착시키셔 제2턴테이블(3100)을 이용해 회전이송하고, 상기 제2턴테이블(3100)을 통해 패키지(30)가 안착된 케이스(40)가 케이스 포장부(3300)로 이송되면, 케이스 포장부(3300)의 제2푸시암(3320)이 이송된 케이스(40)의 절반을 접어서 패키지(30)를 케이스(40)에 포장하는 제2 포장설비(3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 {Apparatus for Packaging the memory card}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카드를 미리 준비된 패키지 및 종이케이스에 순차적으로 수납하여 포장되게 하는 것이며, 다수개의 플래시 메모리카드를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자동포장되게 하여 단위시간당 포장개수를 늘려 포장능률을 향상시키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한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래시 메모리카드는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 등 다양한 디지털기기에서 콘텐츠(사진, 동영상, 음악 등)를 저장 및 실행하기 위한 매체이며, 플래시 메모리카드는 다른 기기(PC 등)에 콘텐츠를 이동/복사하기 편리하고 차후에 큰 용량의 메모리카드로 교체사용하여 더 많은 콘텐츠를 저장하는데 유리하여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카드는 종류 및 제조업체가 많고, 제조업체에 따라 규격이 모두 다를 뿐만 아니라 사용처 또한 광범위함으로 종류, 규격, 사용처 등을 표시하면서 메모리카드가 파손되지 않게 보호하는 패키지 및 케이스에 포장하여 공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하여 종래 특허문헌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7500호를 살펴보면, 친환경 재질로 제작된 판재를 이용한 수납 케이스이며, 상기 수납케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판재 및 제2 판재를 구비하며, 제1 판재와 제2 판재 사이에 메모리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구비되도록 하고, 수납공간으로부터 제1,2 판재 중 임의의 일측을 향하여 하나의 관측창을 설치하여 관측창을 통해 직접 수납 케이스 외부에서 내부를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종래 특허문헌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9338호를 살펴보면, 멀티미디어 카드 패키징 구조로서, PVC 재의 카드 베이스 상에 일정 영역을 한정하여 칩과 칩 터미널을 갖는 멀티미디어 카드를 형성시키고, 상기 멀티미디어 카드는 정해진 크기로 커팅하여 카드 베이스와 멀티미디어 카드가 가접 상태로 유지되게 형성시켜서 된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 선행기술들을 배경으로 다양한 메모리카드 포장 방식이 개발되고 있지만, 이들은 개선해야할 기술적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살펴보면, 종래의 경우 메모리카드를 패키지 및 케이스에 작업자가 하나씩 수작업으로 포장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메모리카드의 포장 효율이 현저히 떨어져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고,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포장 작업중 불량발생 확률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7500호(2006.05.23)가 제시되어 있다.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9338호(2000.10.25)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메모리카드 및, 메모리카드의 포장을 위한 패키지, 케이스를 각각 연속공급하면서 기계동작을 이용해 연속공급되는 메모리카드에 패키지 및 케이스가 순차적으로 자동 포장한 후 반출되도록 메모리카드의 포장방식을 대폭 개선함에 따라 단위시간당 메모리카드의 포장개수를 늘려 포장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하여 대량생산에 적합한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되, 연속공급되는 다수의 패키지에 메모리카드를 안착시켜서 제1턴테이블을 이용해 회전이송하고, 상기 제1턴테이블을 통해 메모리카드가 안착된 패키지가 패키지 포장부로 이송되면, 상기 패키지 포장부의 제1푸시암이 이송된 패키지의 절반을 접어서 메모리카드를 패키지에 포장하는 제1 포장설비와;
상기 제1 포장설비에 인접하게 본체 상부에 구비되되, 연속공급되는 다수의 케이스에 메모리카드가 포장된 패키지를 안착시키셔 제2턴테이블을 이용해 회전이송하고, 상기 제2턴테이블을 통해 패키지가 안착된 케이스가 케이스 포장부로 이송되면, 케이스 포장부의 제2푸시암이 이송된 케이스의 절반을 접어서 패키지를 케이스에 포장하는 제2 포장설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포장설비를 이용해 메모리카드를 패키지에 1차 포장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포장설비를 이용해 상기 제1 포장설비를 통해 메모리카드가 포장된 패키지를 케이스에 2차 포장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메모리카드를 포장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메모리카드, 패키지 및 케이스를 각각 공급하는 로딩하는 공정, 메모리카드, 패키지 및 케이스를 해당 위치로 순차적 회전운반시키는 이송시키는 공정, 패키지 및 케이스를 각각 접어서 포장하는 공증 등으로 자동화된 설비로 구성함으로써 단위시간당 메모리카드의 포장개수가 늘어 포장효율이 향상되고, 대량생산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자동포장장치(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본체(1000)와, 메모리카드(20)를 패키지(30)에 포장하는 제1 포장설비(2000)와; 메모리카드(20)가 포장된 패키지(30)를 케이스(40)에 포장하는 제2 포장설비(30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장설비(2000)를 이용해 메모리카드(20)를 패키지(30)에 1차 포장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포장설비(3000)를 이용해 상기 제1 포장설비(2000)를 통해 메모리카드(20)가 포장된 패키지(30)를 케이스(40)에 2차 포장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구성으로서,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의 평면도,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 중 패키지 로딩부의 도면,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 중 카드 로딩부의 도면, 도 4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 중 패키지 포장부의 도면,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 중 제1 반출부의 도면, 도 6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 중 케이스 로딩부의 도면, 도 7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 중 케이스 포장부의 도면, 도 8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포장장치 중 제2 반출부 및 비전 검사부의 도면이다.
먼저, 상기 본체(1000)는;
자동포장장치(1)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 형태로 제작되며, 제1턴테이블(2100), 패키지 로딩부(2200), 카드 로딩부(2300), 패키지 포장부(2400), 제1 반출부(2500), 제2턴테이블(3100), 케이스 포장부(3300), 제2 반출부(3400), 케이스 로딩부(3200), 컨베이어(1100), 비전 검사부(4000)가 각각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체(1000)는 사각 뼈대 형태로 상단에 상판(1200)을 구비하고, 내부로 자동포장장치(1)의 작동하기 위한 각종 모터, 유공압 펌프 및, 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센서, 제어 패널, 전기접속부품이 구비되는 공간을 갖고, 상기 본체(1000)의 내부 공간은 전면, 후면, 측면에 마련된 정비창을 여닫아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0)는; 제1 반출부(2500) 또는 제2 반출부(3400)에서 포장된 패키지(30) 또는 포장된 케이스(40)가 반출되면 이를 외부로 운반하는 컨베이어(11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1100)는 벨트 컨베이어이며, 상기 컨베이어(1100)를 제2 반출부(3400)에 설치된 것을 기본으로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자동포장장치(1)를 제1 반출부(2500) 까지 사용하는 경우 제1 반출부(2500)에 인접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포장설비(2000)는;
상기 본체(10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되, 연속공급되는 다수의 패키지(30)에 메모리카드(20)를 안착시켜서 제1턴테이블(2100)을 이용해 회전이송하고, 상기 제1턴테이블(2100)을 통해 메모리카드(20)가 안착된 패키지(30)가 패키지 포장부(2400)로 이송되면, 상기 패키지 포장부(2400)의 제1푸시암(2420)이 이송된 패키지(30)의 절반을 접어서 메모리카드(20)를 패키지(30)에 포장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제1 포장설비(2000)는; 제1턴테이블(2100), 패키지 로딩부(2200), 카드 로딩부(2300), 패키지 포장부(2400), 제1 반출부(2500)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포장설비(2000)는; 상기 본체(1000)의 상부에 설치되되, 다수의 메모리카드(20) 및 패키지(30)를 해당위치로 순차적 회전이송하는 제1턴테이블(210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턴테이블(2100)은; 전동모터의 동력으로 순차적 제자리 회전작동하는 제1회전판(2110) 및,
상기 제1회전판(2110)의 둘레로 90°등간격 결합되되, 패키지(30)의 외형에 대응한 복수의 제1삽입홈(2121)이 내측에 형성되어 패키지(30)를 고정하는 제1다이(2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회전판(2110)은, 원판으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0)의 상판(1200)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1회전판(2110)의 하부로 전동모터(DD 모터:Direct Drive Motor)가 연결되어 90°등간격 회전작동한다.
상기 제1다이(2120)는, 사각 판재로 제작되며, 상면 내측에 패키지(30)의 이송수량에 따라 복수의 제1삽입홈(2121)을 일렬로 형성하고, 상기 제1삽입홈(2121)은 패키지(30)의 외형에 대응한 홈으로 형성됨으로 패키지(30)가 완벽하게 삽입될 수 있어 패키지(30)의 회전이송 중에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제1삽입홈(2121)은 패키지(30)가 포장을 위해 접히는 과정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패키지(30)를 압축 공기로 흡착하여 고정하는 기능이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포장설비(2000)는; 상기 제1턴테이블(2100)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다수의 패키지(30)를 제1픽커(2220)를 이용해 픽업한 상태에서 상기 제1턴테이블(2100)에 연속공급하는 패키지 로딩부(22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패키지 로딩부(2200)는; 다수의 빈 패키지(30)가 복수의 열로 적재되어 제1픽커(2220)가 패키지(30)를 순차적으로 픽업하도록 공급준비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탑재대(2210) 및,
상기 제1탑재대(2210)에 적재된 패키지(30)를 추출한 후 제1턴테이블(2100)의 제1다이(2120)에 장착하는 제1픽커(2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탑재대(2210)는, 사각 틀 형태로 제작된 상태에서 적재된 패키지(30)의 앞쪽 끝단이 제1픽커(2220)에 인접하도록 본체(1000)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탑재대(2210)의 내측으로 다수의 패키지(30)가 겹겹이 일렬로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1탑재대(2210)의 하부에는 복수의 열로 적재되는 패키지(30)가 제1픽커(2220)의 픽업 범위에 위치되게 단계적 좌우이동이 가능한 제1레일(2211)을 구비하고, 상기 제1레일(2211)은 직선으로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기구이며, 모터와 스크류 또는 모타와 랙 앤 피니언을 이용해 제1탑재대(2210)를 왕복이동시키는 구조이다.
더불어, 상기 제1픽커(2220)는; 제1탑재대(2210)의 패키지(30)를 추출한 후 제1턴테이블(2100)에 장착하는 제1추출구(2221) 및,
상기 제1추출구(2221)를 제1탑재대(2210)와 제1턴테이블(2100) 사이에서 회전이동시키는 제1회전기구(222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추출구(2221)는, 복수로 독립적 구비된 판 형의 공기 흡입 부분이 자체 실린더 작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패키지(30)에 면 접촉되어 공기 흡입에 의한 흡착 작용으로 패키지(30)를 추출하는 구조이고, 패키지(30)의 공기 흡착 부분을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기구(2222)는, 모터의 축이 상기 제1추출구(2221)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1추출구(2221)를 상하방향으로 제1탑재대(2210) 및 제1턴테이블(2100)을 번갈아 이동하게 회전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1 포장설비(2000)는; 상기 패키지 로딩부(2200)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다수의 메모리카드(20)를 제2픽커(2340)를 이용해 픽업한 상태에서 상기 제1턴테이블(2100)을 통해 순차적 이송된 패키지(30)에 메모리카드(20)를 안착시키는 카드 로딩부(23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드 로딩부(2300)는; 규격화된 트레이(10)에 정렬되어 적재된 다수의 메모리카드(20)를 트레이(10)를 이용해 대량으로 제2픽커(2340)의 픽업 범위에 위치되게 하면서, 메모리카드(20)가 없는 빈 트레이(10)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급기구(2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공급기구(2310)는; 트레이(10)가 이송기(2312)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도록 이송기(2312)의 이송 방향에 대응하여 반복적 승,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승강기(2311) 및,
상기 승강기(2311)에 인접하게 제2픽커(2340)를 거쳐 본체(1000)의 후방으로 일부 돌출되게 수평 설치되되 상기 승강기(2311)의 하강 동작에서 안착된 트레이(10)를 제2픽커(2340)로 이송한 후 트레이(10)에 정렬된 메모리카드(20)를 모두 공급한 빈 트레이(10)를 외부로 이송배출하는 이송기(231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2311)는, 이송기(2312)에 인접하면서 본체(10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트레이(10)가 안착되는 사각 판재가 실린더에 연결되어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사각 판재가 상하로 승강하는 구조이다.
상기 이송기(2312)는,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이며, 모터와 스크류를 이용해 트레이(10)가 안착되는 부분을 왕복이동시키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 모터와 랙 앤 피니언을 이용해 왕복이동시키는 방식이거나, 전자석을 기계적 운동에 이용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왕복이동시키는 방식을 선택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드 로딩부(2300)는; 공급기구(2310)와 제1턴테이블(2100) 사이에서 제2픽커(2340)를 왕복이동시키되, 제2픽커(2340)에 대하여 평면상 X 축 방향의 이동기능을 담당하는 제3레일(2320) 및,
상기 제3레일(2320)의 상부에 결합되되, 제2픽커(2340)에 대하여 평면상 Y 축 방향의 이동기능을 담당하는 제4레일(233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3레일(2320)은, 상기 공급기구(2310)의 상부로 임의 간격 이격되면서 제2픽커(2340)와 제1턴테이블(210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3레일(2320)은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로 제작하며, 모터와 스크류 또는 모터와 랙 앤 피니언 구조를 이용해 제2픽커(2340)를 왕복이동시키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3레일(2320)은 도면 2의 평면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픽커(2340)를 X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 트레이(10)에 다수의 메모리카드(20)가 정렬된 가로 방향으로 제2픽커(2340)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픽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4레일(2330)은, 상기 제3레일(2320)의 작동방향에 교차하게 제3레일(2320) 상부로 설치되고, 상기 제4레일(2330)은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로 제작하며, 모터와 스크류 또는 모터와 랙 앤 피니언 구조를 이용해 제2픽커(2340)를 왕복이동시키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4레일(2330)은 도면 2의 평면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픽커(2340)를 Y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 제1턴테이블(2100)의 제1다이(2120)에 복수로 마련된 제1삽입홈(2121)의 세로 방향으로 제2픽커(2340)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픽업된 메모리카드(20)를 제1삽입홈(2121)에 삽입된 패키지(30)에 안착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카드 로딩부(2300)는; 상기 제4레일(2330)에 연결되어 왕복 이동하면서 자체 실린더 작동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여 트레이(10)에 정렬되어 공급되는 메모리카드(20)를 1회 동작에서 허용하는 수량으로 차례로 픽업한 후 상기 제1턴테이블(2100)의 제1다이(2120)에 안착되어 순차적 이송되는 패키지(30)에 픽업된 메모리카드(20)를 안착하는 제2픽커(2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픽커(2340)는, 제4레일(2330)의 결합되는데, 상기 제4레일(2330)을 통해 Y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제3레일(2320)을 통해 X 축 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2픽커(2340)는 복수로 독립적 구비된 막대형의 공기 흡입 부분이 자체 실린더 작동에 상하로 이동하면서 메모리카드(20)에 접촉되어 공기 흡입에 의한 흡착 작용으로 트레이(10)에 정렬된 메모리카드(20)를 추출한 후 제1턴테이블(2100)의 제1다이(2120)를 통해 순차적 이송되는 패키지(30)에 메모리카드(20)를 자동으로 안착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1 포장설비(2000)는; 상기 카드 로딩부(2300)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메모리카드(20)가 안착된 패키지(30)가 제1턴테이블(2100)을 통해 제1푸시암(2420) 측으로 회전이송되면, 상기 제1푸시암(2420)을 이용해 패키지(30)를 접어서 메모리카드(20)를 패키지(30)에 포장하는 패키지 포장부(24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패키지 포장부(2400)는; 제1푸시암(2420)을 제1턴테이블(2100) 측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제5레일(2410) 및,
상기 제5레일(2410)에 연결되어 제1턴테이블(2100) 측으로 왕복 이동하며, 메모리카드(20)가 안착된 패키지(30)가 제1턴테이블(2100)을 통해 이송되면 상기 패키지(30)의 절반을 메모리카드(20)를 감싸도록 접어서 포장하는 제1푸시암(24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5레일(2410)은, 메모리카드(20)가 패키지(30)에 안착되어 제1턴테이블(2100)을 통해 회전이송되는 위치에 인접하게 본체(1000) 상부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5레일(2410)은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로 제작하며, 모터와 스크류 또는 모터와 랙 앤 피니언 구조를 이용해 제1푸시암(2420)을 제1턴테이블(2100)로 왕복이동시키는 구조이다.
더불어, 상기 제1푸시암(2420)은; 상기 제5레일(2410)에 연결되며 실린더의 상하 구동력에 의해 제1접이기구(2422)의 제1밀대(2422b)와 제1푸셔(2422a)를 패키지(30)의 하부 및 상부로 승강이동되게 하는 승강플레이트(2421) 및,
상기 승강플레이트(2421)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마련되며 자체 실린더 작동으로 제1밀대(2422b)가 패키지(30)의 절반을 접은 후 제1푸셔(2422a)가 압박하여 메모리카드(20)를 패키지(30)에 포장하는 제1접이기구(24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2421)는, 제1접이기구(2422)와 제5레일(2410) 사이에 상하로 작동하는 실린더를 통해 결합되어 승강 작동하는 판재이며, 상기 승강플레이트(2421)의 전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접이기구(2422)가 수직으로 결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4개의 제1접이기구(2422)가 결합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제1접이기구(2422)는, 상기 승강플레이트(2421)의 전면에 수직으로 작동하는 자체 실린더를 통해 결합되되 실린더의 로드에 판 형태의 제1푸셔(2422a) 및, 상기 제1푸셔(2422a)의 상부로 일부 돌출되게 제1밀대(2422b)가 결합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1밀대(2422b)는 패키지(30)의 절반을 직접 접는 것으로, 제1밀대(2422b)의 끝 부분에 패키지(30)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보다 효율적이게 접는 동작이 가능하게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제1푸셔(2422a)는 패키지(30)의 접힌 부분을 가압하여 펼쳐지지 않게 고정하는 것으로, 패키지(30)에 밀착되는 판재로 제작된다.
또한, 제1 포장설비(2000)는; 상기 패키지 포장부(2400)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메모리카드(20)가 포장된 패키지(30)를 푸시픽커(2520)로 눌러 패키지(30)가 접힌 부분에 각각 마련된 절개편(31)이 상호 끼워지면서 펼쳐지지 않게 체결고정한 상태에서 반출하는 제1 반출부(25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반출부(2500)는; 푸시픽커(2520)를 제1턴테이블(2100) 측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제6레일(2510) 및,
상기 제6레일(2510)에 연결되어 제1턴테이블(2100) 측으로 왕복 이동하며, 메모리카드(20)가 포장된 패키지(30)가 제1턴테이블(2100)을 통해 이송되면 패키지(30)를 고정판(2521)으로 눌러 패키지(30)의 접힌 부분에 각각 마련된 절개편(31)을 상호 체결고정하면서, 압축 공기로 흡착하여 추출한 후 반출하는 푸시픽커(25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6레일(2510)은, 메모리카드(20)가 패키지(30)에 포장된 후 제1턴테이블(2100)을 통해 회전이송되는 위치에 인접하게 본체(1000) 상부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제6레일(2510)은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로 제작하며, 모터와 스크류 또는 모터와 랙 앤 피니언 구조를 이용해 푸시픽커(2520)를 제1턴테이블(2100)로 왕복이동시키는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6레일(2510)을 제1턴테이블(2100)과 제2턴테이블(3100) 사이에 연결하지만, 필요에 따라 패키지(30)만 포장하는 경우 제2턴테이블(3100)의 위치에 컨베이어(1100)를 연결하여 메모리카드(20)가 포장된 패키지(30)를 곧바로 본체(1000)의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자동포장장치(1)의 설비를 변경하여 사용가능하다.
이때, 기본적으로 상기 제1 반출부(2500)는 메모리카드(20)가 포장된 패키지(30)를 제1턴테이블(2100)에서 제2턴테이블(3100)로 반출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푸시픽커(2520)는, 복수로 독립적 구비된 판 형의 고정판(2521)이 공기 흡입에 의한 흡착 구조를 갖으면서 자체 실린더 작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 작동하고, 상기 푸시픽커(2520)가 패키지(30)에 면 접촉되어 공기 흡입에 의한 흡착 작용으로 패키지(30)를 추출한 후 반출하는 것이면, 바람직하게는 제2턴테이블(3100)의 제2다이(3120)에 추출한 패키지(30)를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푸시픽커(2520)는 패키지(30)에 마련된 절개편(31) 부분을 눌러서 접힌 부분의 절개편(31)이 상호 끼워지면서 체결고정되게 한다.
상기 패키지(30)에 마련된 절개편(31)은 일부분이 절개된 부분으로 패키지(30)의 절반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패키지(3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절개편(31)이 패키지(30)가 접혀서 포개지면서 푸시픽커(2520)의 눌림 작용으로 절개편(31)의 절개된 부분이 서로 끼워져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푸시픽커(2520)는 패키지(30)의 양측에 형성된 절개편(31)이 서로 끼워지도록 직접 가압하는 이젝트 핀 구조를 부가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포장설비(3000)는;
상기 제1 포장설비(2000)에 인접하게 본체(1000) 상부에 구비되되, 연속공급되는 다수의 케이스(40)에 메모리카드(20)가 포장된 패키지(30)를 안착시키셔 제2턴테이블(3100)을 이용해 회전이송하고, 상기 제2턴테이블(3100)을 통해 패키지(30)가 안착된 케이스(40)가 케이스 포장부(3300)로 이송되면, 케이스 포장부(3300)의 제2푸시암(3320)이 이송된 케이스(40)의 절반을 접어서 패키지(30)를 케이스(40)에 포장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제2 포장설비(3000)는; 제2턴테이블(3100), 케이스 로딩부(3200), 케이스 포장부(3300), 제2 반출부(3400)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포장설비(3000)는; 상기 본체(1000)의 상부로 제1 포장설비(2000)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 포장설비(2000)에서 메모리카드(20)가 포장된 패키지(30)의 반출 위치로 다수의 케이스(40)를 연속공급하되, 메모리카드(20)가 포장된 패키지(30)를 케이스(40)에 안착시키면서 케이스 포장부(3300)로 순차적 회전이송하는 제2턴테이블(310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턴테이블(3100)은; 전동모터의 동력으로 순차적 제자리 회전작동하는 제2회전판(3110) 및,
상기 제2회전판(3110)의 둘레로 90°등간격 결합되되, 케이스(40)의 외형에 대응한 복수의 제2삽입홈(3121)이 형성되어 케이스(40)를 고정하는 제2다이(3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회전판(3110)은, 원판으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0)의 상판(1200) 상부로 제1턴테이블(2100)에 인접하게 나란히 설치되되, 상기 제2회전판(3110)의 하부로 전동모터(DD 모터:Direct Drive Motor)가 연결되어 90°등간격 회전작동한다.
상기 제2다이(3120)는, 사각 판재로 제작되며, 상면 내측에 케이스(40)의 이송수량에 따라 복수의 제2삽입홈(3121)을 일렬로 형성하고, 상기 제2삽입홈(3121)은 케이스(40)의 외형에 대응한 홈으로 형성됨으로 케이스(40)가 완벽하게 삽입될 수 있어 케이스(40)의 회전이송 중에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제2삽입홈(3121)은 케이스(40)가 포장을 위해 접히는 과정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케이스(40)를 압축 공기로 흡착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마련할 수 있고, 또한 케이스(40)를 접어 포장하는 과정에서 케이스(40)의 절반 측을 임의 높이로 살짝 들어올려 효율적으로 접을 수 있게 하는 이젝트 핀 기능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포장설비(3000)는; 상기 제2턴테이블(3100)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다수의 케이스(40)를 제3픽커(3220)를 이용해 픽업한 상태에서 제2턴테이블(3100)에 픽업된 케이스(40)를 순차적 공급되게 하는 케이스 로딩부(32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로딩부(3200)는; 다수의 빈 케이스(40)가 복수의 열로 적재되어 제3픽커(3220)가 케이스(40)를 순차적으로 픽업하도록 공급준비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탑재대(3210) 및,
상기 제2탑재대(3210)에 적재된 케이스(40)를 추출한 후 제2턴테이블(3100)의 제2다이(3120)에 장착하는 제3픽커(3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탑재대(3210)는, 사각 틀 형태로 제작된 상태에서 적재된 케이스(40)의 앞쪽 끝단이 제3픽커(3220)에 인접하도록 본체(10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탑재대(3210)의 내측으로 다수의 케이스(40)가 겹겹이 일렬로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3픽커(3220)는, 제2탑재대(3210)의 케이스(40)를 추출한 후 제2턴테이블(3100)에 장착하는 제2추출구(3221) 및,
상기 제2추출구(3221)를 제2탑재대(3210)와 제2턴테이블(3100) 사이에서 회전이동시키는 제2회전기구(3222)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추출구(3221) 및 제2회전기구(3222)는 전술한 제1추출구(2221) 및 제1회전기구(2222)와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작동방식 역시 유사하여 이에 대한 반복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포장설비(3000)는; 상기 제2턴테이블(3100)을 통해 패키지(30)가 안착된 케이스(40)가 회전이송되면, 제2푸시암(3320)을 이용해 케이스(40)를 접어서 패키지(30)를 케이스(40)에 포장하는 케이스 포장부(33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포장부(3300)는; 제2푸시암(3320)을 제2턴테이블(3100) 측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제7레일(3310) 및,
상기 제7레일(3310)에 연결되어 제2턴테이블(3100) 측으로 왕복 이동하며, 패키지(30)가 안착된 케이스(40)가 제2턴테이블(3100)을 통해 이송되면 상기 케이스(40)의 절반을 패키지(30)를 감싸도록 접어서 포장하는 제2푸시암(33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7레일(3310)은, 제2푸시암(3320)이 제2턴테이블(3100)을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본체(10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6레일(2510)은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로 제작하며, 모터와 스크류 또는 모터와 랙 앤 피니언 구조를 이용해 제2푸시암(3320)을 제2턴테이블(3100)로 왕복이동시키는 구조이다.
더불어, 상기 제2푸시암(3320)은; 상기 제6레일(2510)에 연결되어 왕복 이동작동하는 이동플레이트(3321)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3321)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마련되며 자체 실린더 작동으로 제2밀대(3322b)가 케이스(40)의 절반을 접은 후 제2푸셔(3322a)가 압박하여 패키지(30)를 케이스(40)에 포장하는 제2접이기구(332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플레이트(3321)는, 제6레일(2510)에 연결결합되어 왕복 이동작동하는 판재이며, 상기 이동플레이트(3321)의 전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2접이기구(3322)가 수직으로 결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4개의 제2접이기구(3322)가 결합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제2접이기구(3322)는, 상기 이동플레이트(3321)의 전면에 수직으로 작동하는 자체 실린더를 통해 결합되되 실린더의 로드에 판 형태의 제2푸셔(3322a) 및 , 상기 제2푸셔(3322a)의 상부로 일부 돌출되게 제2밀대(3322b)가 결합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2밀대(3322b)는 케이스(40)의 절반을 직접 접는 부분으로, 제2밀대(3322b)의 끝 부분에 케이스(40)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접는 동작이 가능하게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제2푸셔(3322a)는 케이스(40)의 접힌 부분을 가압하여 펼쳐지지 않게 고정하는 판재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제2 포장설비(3000)는; 상기 케이스 포장부(3300)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포장된 케이스(40)가 제2턴테이블(3100)을 통해 제4픽커(3410) 측으로 회전이송되면, 상기 제4픽커(3410)가 포장된 케이스(40)를 픽업한 상태에서 컨베이어(1100)로 반출하는 제2 반출부(34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반출부(3400)는; 제4픽커(3410)를 컨베이어(1100)와 제2턴테이블(3100) 사이에서 회전이동시키는 제3회전기구(3420) 및,
상기 제3회전기구(3420)에 연결되어 컨베이어(1100)와 제2턴테이블(3100) 사이에서 회전이동되며, 패키지(30)가 포장된 케이스(40)가 제2턴테이블(3100)을 통해 이송되면 케이스(40)를 직접 잡아서 추출한 후 컨베이어(1100)에 반출하는 제4픽커(34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회전기구(3420)는, 모터의 축이 상기 제4픽커(34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4픽커(3410)를 상하방향으로 제2턴테이블(3100) 및 컨베이어(1100)를 번갈아 이동하게 회전시키는 구조이다.
상기 제4픽커(3410)는, 복수로 독립적 구비된 한 쌍의 집게 판이 자체 실린더 작동에 의해 집게 작동하여 포장이 완료된 케이스(40)를 제2턴테이블(3100)에서 직접 집어서 픽업할 수 있고, 상기 제3회전기구(3420)를 통해 회전이동하여 컨베이어(1100)에 픽업된 케이스(40)를 안착하여 반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반출부(2500) 또는 제2 반출부(3400)는; 포장된 패키지(30) 또는, 포장된 케이스(40)를 비전(4200)를 이용해 포장된 상태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비전 검사부(4000)를 더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비전 검사부(4000)는; 포장된 패키지(30) 또는 포장된 케이스(40)를 촬영하여 포장된 상태의 불량 여부를 판독하는 비전(4200) 및, 상기 비전(4200)을 패키지(30) 또는 케이스(40)의 이송위치로 이동시키는 제8레일(41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비전(4200)은, 카메라이고, 포장된 패키지(30) 또는 포장된 케이스(40)의 반출 위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전(4200)이 촬영한 영상데이터와 컴퓨터에 미리 저장된 정상의 영상 데이터와 서로 비교 처리하여 불량을 선별한 후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8레일(4100)은, 상기 제1 반출부(2500) 또는 제2 반출부(3400)의 반출 위치에 인접하게 본체(1000)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비전(4200)이 연결되고, 상기 제8레일(4100)은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로 제작하며, 모터와 스크류 또는 모터와 랙 앤 피니언 구조를 이용해 비전(4200)을 왕복이동시키는 구조이다.
한편,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포장장치(1)는, 최초 패키지 로딩부(2200)는, 다수의 패키지(30)를 공급준비하면서, 공급준비된 패키지(30)를 순차적으로 제1픽커(2220)가 픽업하여 제1턴테이블(2100)의 제1다이(2120)에 연속공급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1턴테이블(2100)은, 공급된 패키지(30)를 시계방향으로 90°회전이송을 수행하는데, 그 회전작동 및 일시정지를 반복적 수행하여 공급되는 패키지(30)가 순차적으로 후 공정인 카드 로딩부(2300), 패키지 포장부(2400), 제1 반출부(2500)로 이동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그 후 카드 로딩부(2300)는, 상기 제1턴테이블(2100)을 통해 패키지(30)가 카드 로딩부(2300)로 위치하면, 다수의 메모리카드(20)를 제2픽커(2340)를 이용해 픽업한 상태에서 제1턴테이블(2100)을 통해 순차적 이송된 패키지(30)에 메모리카드(20)를 안착시키는 공정을 수행한다.
그 후 패키지 포장부(2400)는, 상기 제1턴테이블(2100)을 통해 메모리카드(20)가 안착된 패키지(30)가 위치하면, 제1푸시암(2420)을 이용해 패키지(30)의 절반이 메모리카드(20)에 덮어지게 접어서 메모리카드(20)를 패키지(30)에 포장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그 후 제1 반출부(2500)는, 상기 제1턴테이블(2100)을 통해 메모리카드(20)가 포장된 패키지(30)가 위치하면, 푸시픽커(2520)로 눌러 패키지(30)가 접힌 부분에 각각 마련된 절개편(31)이 상호 끼워지면서 펼쳐지지 않게 체결고정하여 1차 포장을 완료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1차 포장이 완료된 패키지(30)를 그대로 반출하여 출하하거나, 또는 제2 포장설비(3000)를 통해 2차 포장을 수행하게 된다.
2차 포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 로딩부(3200)는, 다수의 케이스(40)를 제3픽커(3220)를 이용해 픽업한 상태에서 제2턴테이블(3100)에 케이스(40)를 순차적 공급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2턴테이블(3100)은, 제1 포장설비(2000)에서 1차 포장된 패키지(30)의 반출 위치로 공급된 케이스(40)를 시계방향으로 90°회전이송을 수행하는데, 그 회전작동 및 일시정지를 반복적 수행하여 공급되는 케이스(40)가 순차적으로 후 공정인 케이스 로딩부(3200), 케이스 포장부(3300), 제2 반출부(3400)로 이동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그 후 제2턴테이블(3100)을 통해 케이스(40)가 1차 포장된 패키지(30)의 반출 위치로 공급되면, 제1 반출부(2500)의 푸시픽커(2520)가 1차 포장된 패키지(30)를 케이스(40)에 순차적으로 안착시키는 공정을 수행한다.
그 후 케이스 포장부(3300)는, 상기 제2턴테이블(3100)을 통해 패키지(30)가 안착된 케이스(40)가 회전이송되면, 제2푸시암(3320)을 이용해 케이스(40)의 절반이 패키지(30)를 덮도록 접어서 케이스(40)에 포장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그 후 제2 반출부(3400)는, 제2턴테이블(3100)을 통해 2차 포장이 완료된 케이스(40)가 위치하면, 제4픽커(3410)가 포장된 케이스(40)를 픽업한 상태에서 컨베이어(1100)로 반출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반출부(2500) 또는 제2 반출부(3400)에 설치된 비전 검사부(4000)가 1차 포장완료된 패키지(30) 또는 2차 포장완료된 케이스(40)를 비전(4200)으로 촬영 판독하여 포장된 상태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여 최종적으로 포장작업을 완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자동포장장치 1000; 본체
2000; 제1 포장설비 2100; 제1턴테이블
2200; 패키지 로딩부 2300; 카드 로딩부
2400; 패키지 포장부 2500; 1차 반출부
3000; 제2 포장설비 3100; 제2턴테이블
3200; 케이스 로딩부 3300; 케이스 포장부
3400; 2차 반출부 4000; 비전 검사부

Claims (5)

  1.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로서,
    본체(1000)와;
    상기 본체(10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되, 연속공급되는 다수의 패키지(30)에 메모리카드(20)를 안착시켜서 제1턴테이블(2100)을 이용해 회전이송하고, 상기 제1턴테이블(2100)을 통해 메모리카드(20)가 안착된 패키지(30)가 패키지 포장부(2400)로 이송되면, 상기 패키지 포장부(2400)의 제1푸시암(2420)이 이송된 패키지(30)의 절반을 접어서 메모리카드(20)를 패키지(30)에 포장하는 제1 포장설비(2000)와;
    상기 제1 포장설비(2000)에 인접하게 본체(1000) 상부에 구비되되, 연속공급되는 다수의 케이스(40)에 메모리카드(20)가 포장된 패키지(30)를 안착시키셔 제2턴테이블(3100)을 이용해 회전이송하고, 상기 제2턴테이블(3100)을 통해 패키지(30)가 안착된 케이스(40)가 케이스 포장부(3300)로 이송되면, 케이스 포장부(3300)의 제2푸시암(3320)이 이송된 케이스(40)의 절반을 접어서 패키지(30)를 케이스(40)에 포장하는 제2 포장설비(30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포장설비(2000)를 이용해 메모리카드(20)를 패키지(30)에 1차 포장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포장설비(3000)를 이용해 상기 제1 포장설비(2000)를 통해 메모리카드(20)가 포장된 패키지(30)를 케이스(40)에 2차 포장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설비(2000)는,
    상기 본체(1000)의 상부에 설치되되, 다수의 메모리카드(20) 및 패키지(30)를 해당위치로 순차적 회전이송하는 제1턴테이블(2100)과;
    상기 제1턴테이블(2100)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다수의 패키지(30)를 제1픽커(2220)를 이용해 픽업한 상태에서 상기 제1턴테이블(2100)에 연속공급하는 패키지 로딩부(2200)와;
    상기 패키지 로딩부(2200)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다수의 메모리카드(20)를 제2픽커(2340)를 이용해 픽업한 상태에서 상기 제1턴테이블(2100)을 통해 순차적 이송된 패키지(30)에 메모리카드(20)를 안착시키는 카드 로딩부(2300)와;
    상기 카드 로딩부(2300)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메모리카드(20)가 안착된 패키지(30)가 제1턴테이블(2100)을 통해 제1푸시암(2420) 측으로 회전이송되면, 상기 제1푸시암(2420)을 이용해 패키지(30)를 접어서 메모리카드(20)를 패키지(30)에 포장하는 패키지 포장부(2400)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포장부(2400)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메모리카드(20)가 포장된 패키지(30)를 푸시픽커(2520)로 눌러 패키지(30)가 접힌 부분에 각각 마련된 절개편(31)이 상호 끼워지면서 펼쳐지지 않게 체결고정한 상태에서 반출하는 제1 반출부(2500)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장설비(3000)는,
    상기 본체(1000)의 상부로 제1 포장설비(2000)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 포장설비(2000)에서 메모리카드(20)가 포장된 패키지(30)의 반출 위치로 다수의 케이스(40)를 연속공급하되, 메모리카드(20)가 포장된 패키지(30)를 케이스(40)에 안착시키면서 케이스 포장부(3300)로 순차적 회전이송하는 제2턴테이블(3100)과;
    상기 제2턴테이블(3100)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다수의 케이스(40)를 제3픽커(3220)를 이용해 픽업한 상태에서 제2턴테이블(3100)에 픽업된 케이스(40)를 순차적 공급되게 하는 케이스 로딩부(3200)와;
    상기 제2턴테이블(3100)을 통해 패키지(30)가 안착된 케이스(40)가 회전이송되면, 제2푸시암(3320)을 이용해 케이스(40)를 접어서 패키지(30)를 케이스(40)에 포장하는 케이스 포장부(3300)와;
    상기 케이스 포장부(3300)에 인접하게 설치되되, 포장된 케이스(40)가 제2턴테이블(3100)을 통해 제4픽커(3410) 측으로 회전이송되면, 상기 제4픽커(3410)가 포장된 케이스(40)를 픽업한 상태에서 컨베이어(1100)로 반출하는 제2 반출부(3400)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출부(3400)는, 포장된 케이스(40)를 비전(4200)을 이용해 포장 상태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비전 검사부(4000)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
KR1020160114813A 2016-09-07 2016-09-07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 KR101704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813A KR101704618B1 (ko) 2016-09-07 2016-09-07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813A KR101704618B1 (ko) 2016-09-07 2016-09-07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618B1 true KR101704618B1 (ko) 2017-02-08

Family

ID=5815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813A KR101704618B1 (ko) 2016-09-07 2016-09-07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1743A (zh) * 2021-03-18 2021-07-06 张俊富 一种sim读卡器生产用自动包装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338Y1 (ko) 2000-07-06 2001-01-15 주식회사프로칩스 멀티미디어 카드 패키징 구조
KR200417500Y1 (ko) 2006-03-10 2006-05-29 파워 디지털 카드 캄퍼니 리미티드 메모리카드 수납 케이스
JP2014129114A (ja) * 2012-12-28 2014-07-10 Dainippon Printing Co Ltd 商品の包装方法,商品の包装装置および包装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338Y1 (ko) 2000-07-06 2001-01-15 주식회사프로칩스 멀티미디어 카드 패키징 구조
KR200417500Y1 (ko) 2006-03-10 2006-05-29 파워 디지털 카드 캄퍼니 리미티드 메모리카드 수납 케이스
JP2014129114A (ja) * 2012-12-28 2014-07-10 Dainippon Printing Co Ltd 商品の包装方法,商品の包装装置および包装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1743A (zh) * 2021-03-18 2021-07-06 张俊富 一种sim读卡器生产用自动包装装置
CN113071743B (zh) * 2021-03-18 2023-08-18 山西常泽科技有限公司 一种sim读卡器生产用自动包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935B1 (ko) 핸들러 및 부품 검사 장치
KR101767663B1 (ko) 기판 제조 설비 및 기판 제조 방법
KR100775054B1 (ko) 트레이 핸들링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검사 방법
KR100811533B1 (ko) 반도체 검사 및 포장장치
TWI677934B (zh) 半導體器件外觀檢查裝置
KR102133878B1 (ko) 반도체패키지용 지그 및 트레이 자동 교체장치
KR101910354B1 (ko) 반도체 패키지의 트레이 자동교체장치
CN212944180U (zh) 电子元件自动测试设备
CN210270034U (zh) 电子元件自动测试设备
KR20180083557A (ko) 소자핸들러
KR101704618B1 (ko) 메모리카드의 자동포장장치
TW202045334A (zh) 樹脂鑄模裝置
KR102231146B1 (ko) 이송툴모듈, 니들핀 조립체, 및 그를 가지는 소자핸들러
KR101601614B1 (ko) 반도체 소자 외관 검사장치
KR20110076212A (ko)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및 레이저 마킹 장치
KR100839059B1 (ko) 자동식 회로기판 크리닝 및 칩 몰딩장치
KR102194786B1 (ko) 반도체패키지의 pcb 자동 소분장치
TWI659899B (zh) 方型物件之真空包裝方法及其裝置
KR102133877B1 (ko) 반도체패키지용 지그 및 보트의 자동 교체장치
KR100196365B1 (ko) 볼 그리드 어레이의 솔더볼 실장장치
KR102133881B1 (ko) 반도체패키지용 트레이 및 지그의 자동 교체장치
JPH0761423A (ja) 給袋装置
JPH1152014A (ja) トレー段積み昇降装置
JP2003267552A (ja) 部品取り出し方法および部品収納装置
JPH11309419A (ja) Ngストッ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