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768B1 - 온도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온도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768B1
KR101702768B1 KR1020150117354A KR20150117354A KR101702768B1 KR 101702768 B1 KR101702768 B1 KR 101702768B1 KR 1020150117354 A KR1020150117354 A KR 1020150117354A KR 20150117354 A KR20150117354 A KR 20150117354A KR 101702768 B1 KR101702768 B1 KR 101702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ollecting member
heat collecting
heat
det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793A (ko
Inventor
유우키 미노우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22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01K1/143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for measuring surface temper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6Special arrangements for conducting heat from the object to the 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7/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 G01K2207/02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for measuring food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과제) 레인지 버너의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한 영향을 억제함과 아울러, 소경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온도검출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레인지 버너의 중앙 개구부에 세워 설치한 지지 파이프의 상부에 통 형상의 홀더를 장착하고, 코일 스프링으로 홀더를 상방으로 탄지한다. 또, 조리용기에 맞닿는 집열부재를 홀더의 상단에 장착하고, 집열부재의 하면에 온도센서를 장착한다. 그리고 홀더의 상단측을 내향으로 절곡하여 홀더의 외경보다도 작은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에 홀더의 외경보다도 작은 집열부재를 장착한다. 이렇게 하면, 홀더의 외주면과 집열부재의 사이(꼭대기 면)는 불길의 복사열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으므로, 꼭대기 면의 폭을 확보하여 두면, 불길의 복사열이 홀더를 통하여 집열부재로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의 외측의 커버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온도검출장치의 소경화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온도검출장치{TEMPERATURE DETECTOR}
본 발명은 원환 형상의 레인지 버너의 중앙 개구부에 설치되어 레인지 버너의 상방에 얹혀진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과열에 의한 튀김용 기름 화재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레인지 버너에는 삼발이 위에 얹혀진 냄비 등의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장치를 탑재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온도검출장치로서는, 원환 형상의 레인지 버너의 중앙 개구부에 세워 설치된 지지 파이프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형태로 지지 파이프의 상부에 장착된 통 형상의 홀더와, 홀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홀더를 상방으로 탄지하는 코일 스프링과, 홀더의 상면을 덮어서 장착된 원판 형상의 집열판과, 집열판의 하면에 장착된 온도센서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온도검출장치는 삼발이 위에 조리용기가 얹혀지는 면보다도 상방으로 홀더의 상부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조리용기가 삼발이 위에 얹혀지면, 조리용기의 바닥면이 집열판에 맞닿아서 홀더를 눌러 내림과 아울러, 코일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서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집열판이 꽉 눌린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집열판으로 전해지는 조리용기의 온도를 온도센서에 의해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온도검출장치를 탑재한 레인지 버너에서는 검출된 조리용기의 온도가 소정온도에 도달하면, 화력을 약하게 하거나 소화(消火)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과열을 방지한다.
또, 레인지 버너의 주위에 형성되는 불길로 홀더의 외주면이 쪼이면, 불길로부터의 복사열로 홀더의 상부가 고온으로 되므로, 그 홀더의 열이 집열판으로 전해지는 것에 의해, 조리용기의 정확한 온도를 온도센서에 의해서 검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홀더가 불길로 쪼이지 않도록 홀더의 외측을 덮는 통 형상의 커버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8-170038호 공보 
그러나 근래에는 레인지 버너의 소경화에 수반하여 온도검출장치의 소경화에 대한 요청이 높아져 오고 있으며, 특허문헌 1과 같이 홀더의 외측에 커버를 구비한 구조에서는 온도검출장치의 소경화가 곤란하게 되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온도검출장치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커버를 소경화하려고 하면, 내측의 홀더를 커버보다도 더욱 소경으로 할 필요가 있는바, 그 홀더의 내부에 수용되는 코일 스프링은 탄지력을 조정하는데 있어서 소경화에 한도가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의 수용 공간을 확보하면서 온도검출장치(커버)의 소경화를 도모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렇다고 해서 온도검출장치를 소경화하기 위해 단지 커버를 제거한 것은,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없게 된다. 
이 발명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상술한 과제에 대응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한 영향을 억제함과 아울러, 소경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온도검출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온도검출장치는 다음의 구성을 채용했다. 즉, 원환 형상의 레인지 버너의 중앙 개구부에 설치되고, 당해 레인지 버너의 상방에 얹혀진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 버너의 중앙 개구부에 세워 설치된 지지 파이프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형태로 상기 지지 파이프의 상부에 장착된 통 형상의 홀더와,
상기 홀더를 상방으로 탄지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홀더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조리용기에 맞닿는 집열부재와,
상기 집열부재의 하면에 장착된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단측이 내향으로 절곡(折曲)되어, 당해 홀더의 외경보다도 작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당해 개구부에는 당해 홀더의 외경보다도 작은 상기 집열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온도검출장치에서는 홀더가 온도검출장치의 외주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레인지 버너의 주위에 형성되는 불길에 면하는 홀더의 외주면이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을 직접적으로 받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단, 복사열을 받아 고온으로 되는 홀더의 외주면의 상단은 집열부재에 접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홀더의 상단측을 내향으로 절곡하여 홀더의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된 개구부에 집열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홀더의 외주면과 집열부재 사이의 부분(꼭대기 면)은 상방의 조리용기에 면하고 있으므로,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는다. 그로 인해, 홀더의 외주면과 집열부재의 거리(꼭대기 면의 폭)를 확보하여 두면, 불길로부터의 복사열로 홀더의 외주면이 고온으로 되더라도, 그 열이 집열부재로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조리용기의 정확한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홀더의 외주면이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을 직접적으로 받는 구조라도, 복사열에 의한 영향을 꼭대기 면의 개재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이미 홀더의 외측에 커버를 설치하여 둘 필요가 없으며, 커버를 생략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온도검출장치를 소경화할 수 있다. 
또, 커버를 생략하는 것에 의해서, 홀더 직경의 제약이 완화되므로, 홀더의 내부에 코일 스프링의 수용 공간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또한, 커버의 생략에 의해서, 부품 점수가 줄어들므로 온도검출장치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온도검출장치에서는 집열부재에 비하여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홀더를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놋쇠 등으로 형성된 집열부재에 비하여, 스테인리스강 등으로 형성된 홀더의 꼭대기 면은 홀더의 외주면(불길의 복사열을 직접적으로 받는 부분)으로부터의 열이 전해지기 어려우므로.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이 홀더를 통하여 집열부재로 전해지는 것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온도검출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이 해도 좋다. 우선, 홀더의 개구부 주위를 하향으로 절곡하여 통 형상의 내주벽을 형성하고, 집열부재의 외부 가장자리 부분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돌출 설치된 통 형상의 외주부를 내주벽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집열부재를 홀더에 장착한다. 그리고 내주벽과 외주부의 사이에 열의 전도를 억제하는 단열층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단열층에 의해 홀더에서 집열부재로의 열의 전도가 방해되므로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이 홀더를 통하여 집열부재로 전해지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본 발명의 온도검출장치에서는 홀더의 개구부 주위를 상향으로 절곡하여 통 형상의 설치벽을 형성함과 아울러, 집열부재의 외부 가장자리 부분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돌출 설치된 통 형상의 외주부를 설치벽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집열부재를 홀더에 장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홀더의 개구부 주위를 상향으로 절곡하여 두면, 조리용기로부터 끓어올라 넘쳐 흘러서 온도검출장치에 닿았다고 해도, 끓어올라 넘쳐 흐른 국물이 개구부에서 홀더의 내부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본 발명의 온도검출장치에서는 설치벽과 외주부의 사이에 열의 전도를 억제하는 단열층을 설치하여 두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단열층에 의해 홀더에서 집열부재로의 열의 전도가 방해되므로,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이 홀더를 통하여 집열부재로 전해지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를 탑재한 가스 레인지(1)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의 단면을 취함으로써 내부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조리용기의 가열조리 중에 온도검출장치(100)로 열이 전해지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 있어서,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한 영향을 억제함과 아울러, 소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유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제 1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의 단면을 취함으로써 내부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제 2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의 단면을 취함으로써 내부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제 3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의 단면을 취함으로써 내부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제 4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의 단면을 취함으로써 내부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를 탑재한 가스 레인지(1)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가스 레인지(1)는 도시하지 않는 레인지 본체의 상면을 덮어서 설치된 상판(2)과, 상판(2)에 형성된 관통 구멍(3)으로부터 상부를 돌출시켜서 레인지 본체 내에 설치된 레인지 버너(10)와, 레인지 버너(10)의 상방에 냄비 등의 조리용기를 두기 위해 상판(2)의 상면에 설치된 삼발이(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레인지 버너(10)는 원환 형상의 혼합실(11a)이 내부에 형성된 버너 보디(11)와, 버너 보디(11)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혼합실(11a)과 연통하는 혼합관(12)과, 혼합실(11a)의 상부 개구를 덮도록 버너 보디(11)에 얹혀진 원환 형상의 버너 헤드 (13)와, 버너 헤드(13)의 상방에 장착된 원환 형상의 버너 커버(14) 등을 구비하고 있다. 
버너 헤드(13)의 외주부의 하면[버너 보디(11)에 얹혀지는 면]에는 복수의 홈(불꽃구멍 홈)이 버너 헤드(13)의 중앙에 대해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버너 헤드(13)를 버너 보디(11)에 얹으면, 복수의 불꽃구멍 홈과 버너 보디(11)의 상면에 의해서 혼합실(11a)에 연통하는 복수의 불꽃구멍(13a)이 형성된다. 
버너 커버(14)는 삼발이(4) 위에 놓인 조리용기로부터 끓어올라 넘쳐 흘렀을 경우에, 끓어올라 넘쳐 흐른 국물이 버너 헤드(13)에 닿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 상판(2)의 관통 구멍(3)의 주위에는 상방으로 융기한 융기부(2a)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리용기로부터의 끓어올라 넘쳐 흐른 국물이 관통 구멍(3)으로부터 레인지 본체의 내부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삼발이(4)는 융기부(2a)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버너 보디(11)로부터 연장 설치된 혼합관(12)의 개구단에는 연료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통로(20)가 접속된 분사 노즐(23)이 설치되어 있다. 가스 통로(20)에는 가스 통로(20)를 개폐하는 가스차단밸브(21)와, 가스 통로(20)를 통과하는 연료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22)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차단밸브(21) 및 유량조절밸브(22)는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부(50)에 의해서 제어되고 있다. 
가스차단밸브(21) 및 유량조절밸브(22)를 개방하면, 연료 가스가 분사 노즐 (23)로 공급되고, 분사 노즐(23)로부터 분사된 연료 가스는 연소용의 일차 공기를 끌어들이면서 혼합관(12)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혼합관(12)을 통과하는 연료 가스와 일차 공기가 혼합되어 혼합실(11a)로 혼합 가스가 공급된다. 혼합실(11a)의 혼합 가스는 복수의 불꽃구멍(13a)으로부터 분출하고, 도시하지 않는 점화 플러그로 불꽃을 튀기면 혼합 가스의 연소가 개시된다. 
또, 레인지 버너(10)의 중앙 개구부(10a)에는 온도검출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른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온도검출장치(100)는 상부가 버너 커버(14)의 중앙 개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단이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맞닿아서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한다. 이 온도검출장치(100)는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부 (50)는 검출된 조리용기의 온도가 소정온도에 도달하면, 유량조절밸브(22)를 조여서 화력을 약하게 하거나, 가스차단밸브(21)를 폐쇄하여 소화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조리용기의 과열을 방지한다. 또, 제어부(50)는 검출된 조리용기의 온도가 설정의 목표온도보다도 낮으면, 유량조절밸브(22)를 개방하여 화력을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온도검출장치(100)가 설치되는 중앙 개구부(10a)는 레인지 버너(10)에서의 연소에 필요한 2차 공기의 공급 통로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중앙 개구부(10a)의 둘레 가장자리와 온도검출장치(100)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간격을 설치하여 2차 공기의 공급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온도검출장치(100)의 단면을 취함으로써 내부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온도검출장치(100)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관 형상의 지지 파이프(115)와, 스테인리스강판 등을 이용하여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홀더(110)와, 놋쇠 등을 이용하여 절삭 혹은 다이캐스트에 의해 형성된 집열부재(111) 등을 구비하고 있다. 
홀더(110)는 상단측이 내향으로 절곡되어 원환 형상의 꼭대기 면(1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꼭대기 면(110a)의 내주측이 하향으로 절곡되어 통 형상의 내주벽(11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내주벽(110b)의 내측은 본 발명의 「개구부」에 상당하고 있다. 또, 집열부재(111)는 홀더(110)보다도 소경의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집열부재(111)의 하면의 외부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는 내주벽(110b)보다도 소경이며 통 형상의 외주부(111a)가 하방으로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외주부(111a)를 내주벽(110b)의 내측으로 압입하는 것에 의해, 홀더(110)의 상단에 집열부재(11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집열부재(111)에는 니켈의 도금이 시행되어 있다. 
또, 집열부재(111)의 하면에는 온도센서(112)가 외주부(111a)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온도센서(112)에는 온도의 변화에 의해서 전기 저항이 변하는 서미스터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 온도센서(112)는 2개의 리드선(113)을 통하여 제어부(5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온도센서(112)는 외주부(111a)의 내측에 충전된 열전도성의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지지 파이프(115)는 레인지 버너(10)의 중앙 개구부(10a)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지지 파이프(115)의 상단부에는 홀더(110)보다도 소경인 원환 형상의 와셔 (116)가 도시하지 않는 코킹(caulking) 고정으로 접합되어 있으며, 이 와셔(116)가 하방에서 홀더(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다. 또, 와셔(116)의 하방에는 외경이 홀더(110)보다도 소경이며 내경이 지지 파이프(115)보다도 대경인 보링(boring) 원환 형상의 스토퍼(118)가 중앙의 구멍에 지지 파이프(115)를 삽입한 상태에서 홀더 (110)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 스토퍼(118)는 홀더(110)의 둘레면의 복수 개소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걸림 고정되어 있으며, 홀더(110)가 지지 파이프(115)의 축 방향(도면 중 상하 방향)으로 이동해도, 홀더(110)로부터 와셔 (116)가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또, 홀더(110)의 내부에는 꼭대기 면(110a)과 와셔(116)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117)이 압축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으며, 이 코일 스프링(117)이 홀더(110)를 상방으로 탄지하고 있다. 또한, 온도센서(112)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리드선(113)을 피복한 케이블(114)은 홀더(110)의 내측 및 지지 파이프(115)의 내측을 통해서 제어부(50)까지 이어져 있다.
이와 같은 온도검출장치(100)는 삼발이(4) 위에 조리용기가 놓여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온도검출장치(100)의 상단[집열부재(111)]을 삼발이(4)의 상면(조리용기가 얹혀지는 면)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삼발이(4) 위에 조리용기가 놓이면, 조리용기의 바닥면이 집열부재(111)에 맞닿아서 홀더 (110)를 눌러 내림과 아울러, 코일 스프링(117)의 탄지력에 의해서 집열부재(111)가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꽉 눌린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집열부재(111)의 하면으로 전해지는 조리용기의 온도를 온도센서(112)에 의해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레인지 버너(10)의 불길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여 조리용기의 정확한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온도검출장치(100)의 소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조리용기의 가열조리 중에 온도검출장치(100)로 열이 전해지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우선, 도 3의 (a)에는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와의 비교로서 레인지 버너(10)의 불길의 영향에 의해서 조리용기의 정확한 온도의 검출이 곤란한 제 1 종래예의 온도검출장치(100)가 측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시한 제 1 종래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홀더(110)의 상면 전체를 덮어서 원판 형상의 집열부재(13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집열부재(130)는 홀더(110)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감싸도록 집열부재(130)의 외부 가장자리 부분이 절곡 가공되어 코킹 고정되어 있다. 삼발이(4) 위에 조리용기가 놓이면, 홀더(110)의 내부에 수용된 코일 스프링(117)의 탄지력에 의해서 집열부재(130)의 상면이 조리용기의 바닥면(이하, 냄비 바닥)에 꽉 눌린다. 또한, 도 3에서는 삼발이(4)나 버너 커버(14)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조리용기의 가열조리 중은 버너 보디(11)의 혼합실(11a)에 공급되는 혼합 가스가 버너 헤드(13)의 복수의 불꽃구멍(13a)으로부터 분출하고, 버너 헤드(13)의 주위에 불길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불길이 상방의 냄비 바닥에 닿아서 조리용기가 가열되면, 그 열이 냄비 바닥에서 집열부재(130)로 전해진다. 도면 중에 나타낸 흰색의 화살표는 조리용기를 통하여 집열부재(130)로 전해지는 열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또, 레인지 버너(10)의 중앙 개구부(10a)에 설치된 온도검출장치(100)는 홀더(110)의 상부가 버너 헤드(13)의 상단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레인지 버너(10)의 불길에 면하는 홀더(110)의 외주면이 불길로 쪼여진다. 그로 인해, 불길로부터의 복사열로 홀더(110)의 상부가 고온으로 되고, 제 1 종래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홀더(110)의 상단에서 집열부재(130)로 열이 전해진다. 도면 중의 일점쇄선의 화살표는 불길의 복사열이 홀더(110)를 통하여 집열부재(130)로 전해지는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냄비 바닥에서 집열부재(130)로 열이 전해질 뿐만 아니라, 홀더(110)의 상단으로부터도 집열부재(130)로 열이 전해진 것은 조리용기의 정확한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곤란하다. 
도 3의 (b)에는 레인지 버너(10)의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홀더(110)의 외측에 커버(132)를 설치한 제 2 종래예의 온도검출장치 (100)가 커버(132)의 단면을 취해서 나타내어져 있다. 커버(132)는 스테인리스강판 등을 이용하여 홀더(110)보다도 대경의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홀더 (110)에 대해서 동심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132)로 홀더(110)의 외측을 덮어 둠으로써, 홀더(110)는 불길로 쪼여지지 않는다(불길의 복사열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는다). 또, 커버(132)와 홀더(110)의 사이에는 공간(공기층)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불길의 복사열이 홀더(110)로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132)의 열이 집열부재(130)로 전해지지 않도록 커버(132)와 집열부재(130)의 사이에는 틈새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종래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한 영향[복사열이 홀더(110)를 통하여 집열부재(130)로 전해지는 것]을 억제하여 조리용기의 정확한 온도의 검출이 가능하다. 그 한편으로, 제 2 종래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커버(132)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제 1 종래예보다도 대경화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레인지 버너(10)의 소경화에 수반하여 온도검출장치(100)를 소경화하는 것이 곤란하다, 즉, 제 2 종래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외주면을 형성하는 커버(132)를 소경화하려고 하면, 내측의 홀더(110)를 커버(132)보다도 소경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그 홀더(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코일 스프링(117)을 홀더 (110)보다도 더욱 소경으로 할 필요가 있다. 코일 스프링(117)은 소경으로 하는 것에 의해 탄지력이 강해지는 것으로부터, 삼발이(4) 위에 놓인 비교적 가벼운 조리용기를 밀어 올려 조리용기가 불안정하게 되는 일이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 (117)의 탄지력을 약하게 하기 위해 코일 스프링(117)의 선재를 가늘게 하거나, 감기 수를 많게 하거나 하면, 코일 스프링(117)이 세로 방향(축 방향)으로 압축되었을 때에 가로 방향으로 만곡되기 쉬워져 홀더(110)와의 충돌로 소음을 발생시키는 일이 있다. 그로 인해, 코일 스프링(117)은 탄지력을 조정하는데 있어서 소경화에 한도가 있으며, 코일 스프링(117)의 수용 공간을 확보하면서 온도검출장치[100, 커버(132)]의 소경화를 도모하는 것은 곤란했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 있어서,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한 영향을 억제함과 아울러, 소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유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도 3의 (a)의 제 1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홀더(110)의 외주면의 상부가 레인지 버너(10)의 불길로 쪼여지는(불길의 복사열을 직접적으로 받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단, 불길로 쪼여져서 고온으로 되는 홀더(110)의 외주면의 상단은 집열부재(111)에 접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홀더(110)의 외주면과 집열부재(130)의 사이에는 원환 형상의 꼭대기 면(110a)이 설치되어 있다. 이 꼭대기 면(110a)은 홀더(110)의 상단측을 내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방의 조리용기에 면하고 있다. 그로 인해, 꼭대기 면(110a)은 불길로 쪼여지지 않고 불길의 복사열을 직접적으로 받아 고온으로 되는 일은 없다. 또 스테인리스강판[열전도율: 16.7W/(m.K)]으로 형성된 홀더(110)의 꼭대기 면 (110a)은 놋쇠[열전도율: 106W/(m.K)]로 형성된 집열부재(111)에 비하여 열이 전해지기 어렵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꼭대기 면(110a)의 반경 방향의 거리를 확보하여 두면, 불길의 복사열로 홀더(110)의 외주면이 고온으로 되더라도, 그 열이 집열부재(111)로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조리용기의 정확한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홀더(110) 자체가 불길로 쪼여지는 구조라도,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한 영향을 꼭대기 면(110a)의 개재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상술한 제 2 종래예와 같이 홀더(110)의 외측에 커버(132)를 설치하여 둘 필요가 없으며, 커버(132)를 생략하는 것에 의해 제 2 종래예에 비하여 용이하게 온도검출장치(100)의 소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커버(132)를 생략함으로써, 홀더 (110)의 직경의 제약이 완화되어 홀더(110)의 내부에 코일 스프링(117)의 수용 공간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그로 인해, 필요한 탄지력에 대응하여 코일 스프링(117)의 직경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117)의 압축시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으로의 만곡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132)의 생략에 의해서 부품 점수가 줄어들므로, 온도검출장치(100)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는 다음과 같은 변형예도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상술의 실시예와는 다른 점을 중심으로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제 1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의 단면을 취함으로써 내부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집열부재(111)의 외주부(111a)를 홀더(110)의 내주벽(110b)의 내측에 직접적으로 압입(壓入)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서,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1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 (100)에서는 외주부(111a)와 내주벽(110b)의 사이에, 단열성의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통 형상의 단열부재(120)를 개재시키고 있다. 또한, 제 1 변형예의 단열부재 (120)는 본 발명의 「단열층」에 상당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 1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홀더(110)에서 집열부재 (111)로의 열의 전도가 단열부재(120)에 의해서 차단되므로, 레인지 버너(10)의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이 홀더(110)를 통하여 집열부재(111)로 전해지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열부재(120)의 재료는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외주부(111a)과 내주벽(110b)이 접하는 경우에 비하여 열의 전도를 억제하는 것이라면 좋으며, 세라믹이나 유리 섬유 등이라도 좋다. 
도 6은 제 2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의 단면을 취함으로써 내부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집열부재(111)의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서,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2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집열부재(121)의 상면이 위로 볼록한 구면(球面)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2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조리용기의 바닥면(냄비 바닥)이 평탄하던지 둥글다고 하는 냄비 바닥의 형상이나, 냄비 바닥 혹은 홀더 (110)의 경사에 관계없이, 구면 형상으로 형성된 집열부재(121)의 상면이 냄비 바닥에 일률적으로 접촉하는[점(点)접촉하는] 것으로 되고, 집열부재(121)와 냄비 바닥의 접촉 면적이 변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조리용기의 온도가 같으면, 냄비 바닥에서 집열부재(121)로 전해지는 열량에 큰 차이는 없고, 온도센서(112)에 의해서 조리용기의 온도를 안정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집열부재(121)를 냄비 바닥에 점접촉시키도록 하면, 면접촉시키는 것에 비하여 집열부재(121)가 작아 좋으므로, 꼭대기 면(110a)의 반경 방향의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도 7은 제 3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의 단면을 취함으로써 내부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집열부재(111)가 절삭 혹은 다이캐스트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서,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3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집열부재(122)가 놋쇠제의 판재 등을 이용하여 드로잉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집열부재(122)는 판재로부터 상면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공정과, 그 원통 형상의 상부를 압축하여 외측으로 넓히는 공정을 포함하는 복수 공정의 드로잉 가공을 거쳐서 형성된다. 또, 제 3 변형예의 집열부재(122)의 외주부(122a)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된 링 형상의 돌출부(122b)가 외주부(122a)의 축 방향으로 복수(도시한 예에서는 2개)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드로잉 가공은 절삭이나 다이캐스트 등의 가공 방법에 비하여 가공시간이 짧고, 같은 형상의 부재를 저비용이며 대량으로 만드는데에 우수하다. 그로 인해, 온도검출장치(100)를 대량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드로잉 가공으로 형성되는 제 3 변형예의 집열부재(122)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온도검출장치(100)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3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집열부재(122)의 외주부(122a)를 내주벽(110b)의 내측으로 압입하면, 돌출부(122b)의 외측이 내주벽(110b)에 링 형상으로 선접촉하고, 외주부(122a)의 외주면의 돌출부(122b) 이외의 부분과 내주벽(110b)의 사이에는 공간(공기층)이 생긴다. 이와 같은 공간은 열의 전도를 차단하므로, 레인지 버너(10)의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이 홀더(110)를 통하여 집열부재 (122)로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3 변형예의 외주부(122a)와 내주벽(110b) 사이의 공간(공기층)은 본 발명의 「단열층」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드로잉 가공으로 돌출부(122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외주부(122a)의 내주면에 링 형상의 오목부가 생기므로, 온도센서(112)의 고정을 위해 외주부 (122a)의 내측에 충전되는 접착제가 오목부로 비집고 들어감으로써, 온도센서(112)의 탈락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제 4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의 단면을 취함으로써 내부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홀더(110)의 꼭대기 면(110a)의 내주측을 하향으로 절곡하여 통 형상의 내주벽(110b)을 형성하고, 그 내주벽(110b)의 내측에 집열부재(111)의 외주부(111a)를 압입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서,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4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꼭대기 면(110a)의 내주측을 상향으로 절곡하여 통 형상의 설치벽(110c)을 형성하고, 그 설치벽(110c)의 내측에 집열부재(111)의 외주부(111a)를 압입하는 것에 의해 집열부재(111)가 홀더(110)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4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레인지 버너(10)의 불길에 쪼여서 고온으로 되는 홀더(110)의 외주면과 집열부재(111)의 사이에, 불길에 쪼이지 않는 꼭대기 면(110a)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이 홀더(110)를 통하여 집열부재(111)로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설치벽(110c)은 홀더(110)의 외주면으로부터 후미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불길로부터의 복사열로 외주면 만큼 고온으로 되는 일은 없다. 또한, 꼭대기 면(110a)의 내주측을 상향으로 절곡하여 두면, 조리용기로부터 끓어올라 넘쳐 흘러 온도검출장치(100)에 닿은 경우에, 끓어올라 넘쳐 흐른 국물이 홀더(110)의 내부로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4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외주부(111a)와 설치벽(110c)의 사이에 제 1 변형예와 마찬가지의 단열부재를 개재시켜 두어도 좋다. 이렇게 하면, 홀더(110)에서 집열부재(111)로의 열의 전도가 단열부재에 의해 차단되므로, 레인지 버너(10)의 불길로부터의 복사열이 홀더(110)를 통하여 집열부재(111)로 전해지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 및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홀더(110)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집열부재(111)가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홀더(110)를 대략 각통(角筒) 형상으로 형성하고, 집열부재(111)를 대략 각판(角板)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으며, 이 경우는 꼭대기 면(110a)을 방형(方形)의 환 형상으로 해도 좋다.
1: 가스 레인지 2: 상판
3: 관통 구멍 4: 삼발이
10: 레인지 버너 10a: 중앙 개구부, 
11: 버너 보디 11a: 혼합실
12: 혼합관 13: 버너 헤드
14: 버너 커버 20: 가스 통로
21: 전자 밸브 22: 비례 밸브
23: 분사 노즐 50: 제어부
100: 온도검출장치 110: 홀더 
110a: 꼭대기 면 110b: 내주벽
110c: 설치벽 111: 집열부재
111a: 외주부 112: 온도센서
113: 리드선 115: 지지 파이프
116: 와셔 117: 코일 스프링
118: 스토퍼 120: 단열부재
121: 집열부재 122: 집열부재
122a: 외주부 122b: 돌출부
130: 집열부재 132: 커버

Claims (5)

  1. 원환 형상의 레인지 버너의 중앙 개구부에 설치되어, 당해 레인지 버너의 상방에 얹혀진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 버너의 중앙 개구부에 세워 설치된 지지 파이프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형태로 상기 지지 파이프의 상부에 장착된 통 형상의 홀더와,
    상기 홀더를 상방으로 탄지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홀더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조리용기에 맞닿는 집열부재와,
    상기 집열부재의 하면에 장착된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단측이 내향으로 절곡(折曲)되어, 당해 홀더의 외경보다도 작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당해 개구부에는 당해 홀더의 외경보다도 작은 상기 집열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개구부의 주위가 하향으로 절곡되어 통 형상의 내주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집열부재는 외부 가장자리 부분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돌출 설치된 통 형상의 외주부를 상기 내주벽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홀더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내주벽과 상기 외주부의 사이에는 열의 전도를 억제하는 단열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검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집열부재에 비하여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검출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17354A 2014-08-20 2015-08-20 온도검출장치 KR101702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67996 2014-08-20
JP2014167996A JP6073019B2 (ja) 2014-08-20 2014-08-20 温度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793A KR20160022793A (ko) 2016-03-02
KR101702768B1 true KR101702768B1 (ko) 2017-02-03

Family

ID=5558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354A KR101702768B1 (ko) 2014-08-20 2015-08-20 온도검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073019B2 (ko)
KR (1) KR1017027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8017A (zh) * 2016-06-17 2016-09-07 郑宏山 一种燃气灶混合动力系统
CN206637671U (zh) * 2017-04-12 2017-11-14 上海纯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炉新型温控器
KR102159041B1 (ko) * 2018-11-09 2020-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방전 가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지셀의 충방전 방법
CN111678179B (zh) * 2020-06-18 2021-06-0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灶具聚能罩及燃气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7541A (ja) 2001-03-09 2002-09-18 Shibaura Electronics Co Ltd 炊事具底面温度検出センサ及びガステーブルコンロ
JP2005331205A (ja) 2004-05-21 2005-12-02 Harman Pro:Kk コンロ用の温度検出装置
JP2006234370A (ja) * 2005-02-28 2006-09-07 Harman Pro:Kk コンロ用の温度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652A (ja) * 1992-06-19 1994-02-04 Harman Co Ltd 調理器の温度検出装置
JPH0646203U (ja) * 1992-11-27 1994-06-24 パロマ工業株式会社 加熱調理器の自動消火装置
JPH07269871A (ja) * 1994-03-28 1995-10-20 Harman Co Ltd ガスコンロの鍋底温度検出装置
JP4391195B2 (ja) * 2003-10-20 2009-12-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温度測定装置
JP4695607B2 (ja) 2007-01-10 2011-06-08 立山科学工業株式会社 調理器具用温度検出装置
KR101360077B1 (ko) * 2012-07-26 2014-02-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과열방지장치를 구비한 가스렌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7541A (ja) 2001-03-09 2002-09-18 Shibaura Electronics Co Ltd 炊事具底面温度検出センサ及びガステーブルコンロ
JP2005331205A (ja) 2004-05-21 2005-12-02 Harman Pro:Kk コンロ用の温度検出装置
JP2006234370A (ja) * 2005-02-28 2006-09-07 Harman Pro:Kk コンロ用の温度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793A (ko) 2016-03-02
JP2016044843A (ja) 2016-04-04
JP6073019B2 (ja)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768B1 (ko) 온도검출장치
KR101691152B1 (ko) 온도검출장치
KR20160041368A (ko) 가스연료용기의 안전밸브장치
JP2006250458A (ja) ガスコンロ
JP4463128B2 (ja) コンロ用の温度検出装置
JP6073018B2 (ja) 温度検出装置
KR102298905B1 (ko) 온도검출장치
JP2015230144A (ja) コンロバーナ
JP6230396B2 (ja) 調理機器用の温度検出装置
JP6152524B2 (ja) 温度検出装置
JP2015064126A (ja) ガスコンロ
KR102365632B1 (ko) 온도검출장치
KR101732487B1 (ko) 온도검출장치
JP6635778B2 (ja) コンロ用バーナ、及びそれを備えたコンロ
JP5564064B2 (ja) ガスコンロ
JP5580839B2 (ja) ガスコンロ
KR20160065026A (ko) 온도검출장치
JPH1183011A (ja) 炊事用温度検知装置
JP2005331205A (ja) コンロ用の温度検出装置
KR101720026B1 (ko) 온도검출장치
KR101722134B1 (ko) 곤로버너
KR101337885B1 (ko) 가스레인지의 과열방지장치
JP6184300B2 (ja) コンロ用の温度検出装置
JP6741499B2 (ja) 温度検出装置を備えたガスコンロ
JP6676492B2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