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152B1 - 온도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온도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152B1
KR101691152B1 KR1020150083271A KR20150083271A KR101691152B1 KR 101691152 B1 KR101691152 B1 KR 101691152B1 KR 1020150083271 A KR1020150083271 A KR 1020150083271A KR 20150083271 A KR20150083271 A KR 20150083271A KR 101691152 B1 KR101691152 B1 KR 101691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eat
temperature
collecting plate
hold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3353A (ko
Inventor
유키 미노우라
구니오 가타오카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43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01K1/12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for preventing damage due to heat overlo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01K1/143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for measuring surface temperatures

Abstract

[과제] 곤로버너의 화력조정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신속하게 검지 가능한 온도검출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곤로버너의 중앙에 입설된 지지파이프에, 금속제의 홀더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홀더의 상단에 집열판을 취부하며, 조리용기에 맞닿는 당접부를 형성하고, 코일스프링으로 홀더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한다. 그리고, 홀더의 외측에는, 홀더보다도 대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홀더커버를 설치하고, 홀더커버의 상단과 당접부와의 사이에는 홀더커버의 열을 집열판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전열부를 설치해둔다. 이렇게 하면, 곤로버너의 화력을 변경하면, 홀더커버에서 집열판으로 전달되는 열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온도센서의 검출온도가 변화한다. 이 때문에, 어떠한 이유에서 화력이 변경되지 않으면 온도변화가 검출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이상 발생을 신속하게 검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온도검출장치{TEMPERATURE DET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가스곤로의 받침대 상에 재치되어 있는 조리용기의 저부에 가압되어,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된 곤로버너의 중앙에 돌설되고, 곤로버너로 가열 조리되는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온도검출장치는, 곤로버너의 중앙의 개구부에 입설된 지지파이프와, 지지파이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대략 원통 형상의 홀더와, 홀더의 상면을 폐쇄하여 설치된 집열판과, 집열판의 하면에 취부된 온도센서와, 홀더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이 온도검출장치는, 집열판의 상면이, 곤로버너의 받침대 상에 조리용기가 재치되는 면 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받침대 상에 조리용기가 놓여지면, 조리용기의 저부에 의해 집열판 및 홀더가 하방으로 가압되고,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조리용기의 저부에 집열판이 가압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집열판에 설치된 온도센서에 의해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가열조리중의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면, 예를 들어, 조리용기의 온도가 너무 상승하게 되는 것을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곤로버너의 화력을 작게함으로써, 조리물의 눌어붙음의 발생 등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조리용기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도 낮아진 것을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곤로버너의 화력을 크게 함으로써, 설정온도로 유지하면서 가열 조리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열조리 중에 곤로버너의 화염에 의해 홀더가 가열되면, 화염에서의 복사열에 의해 홀더가 고온으로 되고, 이 홀더의 열이 집열판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정확한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여기서, 홀더를 원통 형상의 홀더커버로 덮어 홀더가 화염에 의해 가열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홀더커버의 열이 집열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집열판과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 상태에서 홀더커버를 취부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선행문헌 1] 특개2008-170038호공보
그러나, 상기 제안된 온도검출장치에서는, 자동적으로 화력을 작게 하는 제어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이유에서 화력이 작아지지 않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 이상의 발생을 곧바로 검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다. 우선, 온도검출장치의 집열판으로 전달되는 열의 대부분은, 조리용기의 저부에서 전달되는 열이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온도가 변하지 않으면 온도검출장치에서는 온도변화를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조리용기는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곤로버너의 화력을 작게 하여도 조리용기의 온도가 곧바로 낮아지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화력을 작게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조리용기의 온도가 좀처럼 낮아지지 않는 것을 알게 되면서, 이때 비로소 이상 발생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이상 발생을 알게 되기까지의 동안은, 고화력인 채로 가열조리가 계속되어 버리게 되면서 조리물이 눌어붙게 된다. 또한, 어떠한 이유에서 자동적으로 화력을 크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도 동양으로, 조리용기의 온도가 좀처럼 상승하지 않게 되는 것을 검출하여 이때 비로소 이상 발생이 검지되기 때문에, 이상 발생을 신속하게 검지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갖고 있는 상술한 문제점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곤로버너의 화력을 조정하는 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신속하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온도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온도검출장치는 다음의 구성을 채용한다. 즉, 원형링 형상의 곤로버너의 중앙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받침대 상에 놓여진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곤로버너의 상기 개구부에 입설된 지지파이프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파이프에 동축으로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금속제의 홀더와, 상기 홀더의 상단에 취부되는 것에 의해, 상기 조리용기에 당접되는 당접부를 형성하는 집열판과, 상기 집열판의 하면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홀더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홀더보다도 대직경의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를 상기 곤로버너의 복사열로부터 차폐하는 금속제의 홀더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커버의 상단과 상기 당접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홀더커버의 열을 상기 집열판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전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온도검출장치에 있어서는, 곤로버너의 중앙에 입설된 지지파이프에, 금속제의 홀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홀더에는 상단에 집열판이 취부되어 당접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곤로버너에서 조리용기를 가열하면 집열판이 조리용기의 저부에 맞닿은 상태가 되므로, 집열판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홀더의 외측에는, 홀더보다도 대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홀더커버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곤로버너의 화염으로부터의 복사열로 홀더가 가열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홀더커버의 상단과 당접부의 사이에는, 홀더커버의 열을 집열판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전열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곤로버너의 화력을 변경하면, 홀더커버가 받는 복사열의 크기가 변하기 때문에 홀더커버에서 집열판으로 전달되는 열량이 변화되고, 그 결과, 온도센서에서 검출되는 온도가 변화한다. 이렇게, 곤로버너의 화력을 변경하면, 그 결과를, 단시간에 온도가 변화된 것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떠한 이유에서 화력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신속하게 이상 발생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온도검출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전열부를, 집열판의 원주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곤로버너의 화염의 크기가 장소에 의해 달라지게 되고, 그 결과, 홀더커버의 온도가 원주방향으로 불균일하게 되는 경우에도, 집열판에는, 홀더커버의 원주 전체에서 편심없이 열이 유입되기 때문에, 원주방향의 온도의 편심 영향을 받는 일 없이, 곤로버너의 화력이 변경된 것을 정확하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온도검출장치에 있어서는, 전열부는 홀더커버 또는 상기 당접부와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하게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홀더커버에서 집열판으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접촉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열전달이 용이하게 된다. 그 결과, 곤로버너의 화력이 변경된 때에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온도변화가 크게 되기 때문에, 화력이 변경되지 않은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그 사실을 확실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온도검출장치에 있어서는, 홀더커버의 상단에서 돌부를 돌설시켜 전열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부품점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복수의 전열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온도검출장치에 있어서는, 당접부의 하면에서 돌부를 돌설시켜 전열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여도 부품점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복수의 전열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홀더커버를 설치하여 곤로버너의 화염으로부터의 복사열로 홀더가 가열되는 일이 없고, 홀더커버의 상단과 당접부의 사이에 홀더커버의 열을 집열판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전열부를 형성하여, 곤로버너의 화력을 변경하면, 그 결과를 단시간에 온도가 변화된 것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떠한 이유에서 화력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도 신속하게 이상 발생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홀더커버의 상단이나 당접부의 하면에서 돌부를 돌설시켜 전열부를 형성함으로써, 부품점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복수의 전열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를 탑재한 가스곤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감열헤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감열헤드의 다른 태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홀더커버를 홀더에 취부한 형상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집열판에 열을 전달하는 경로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6은 곤로버너의 화력의 조정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신속하게 검지 가능한 이유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제1변형예의 홀더커버를 홀더에 취부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제2변형예의 홀더커버를 홀더에 취부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를 탑재한 가스곤로(1)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가스곤로(1)는, 곤로본체(도시하지 않음)의 상면을 덮어 설치되고 버너용개구(4)가 형성된 상판(2)과, 버너용개구(4)에 임해 설치되고 연료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곤로버너(10)와, 냄비 등의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받침대(3)와, 받침대(3) 상에 놓여진 조리용기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온도검출장치(100) 등을 구비하고 있다.
곤로버너(10)는,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된 버너바디(11)와, 버너바디(11)에서 연장 설치된 혼합관(12)과, 버너바디(11)의 상면에 재치된 원형링 형상의 버너헤드(13)를 구비하고 있다. 버너헤드(13)는, 알루미늄 등의 다이캐스트제이고, 외주부의 하면측에는 복수의 홈(염구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버너헤드(13)를 버너바디(11)에 재치하면, 버너헤드(13)에 형성된 복수의 염구홈과 버너바디(11)의 상면과의 사이에 복수의 염구(13a)가 형성된다.
버너바디(11)에서 연장 설치된 혼합관(12)의 개구단에는, 연료가스 공급통로(20)의 선단에 취부된 분사노즐(2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분사노즐(23)에서 혼합관(12) 내로 연료가스가 분사되면, 혼합관(12)의 내부에서 연료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가 생성되어, 버너바디(11)로 공급된다. 또한, 연료가스 공급통로(20)는, 유량조정밸브(22), 및 개폐식의 전자밸브(21)를 통해 연료가스의 원전(元栓)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자밸브(21) 및 유량조정밸브(22)를 개방하면, 분사노즐(23)에서 연료가스가 분출되고, 혼합관(12) 내에서 혼합가스가 생성되어, 염구(13a)에서 혼합가스가 분출된다. 그리고, 이 혼합가스에 도시되지 않은 점화플러그로 점화하는 것에 의해, 곤로버너(10)의 연소를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밸브(21) 및, 유량조정밸브(22), 도시되지 않은 점화플러그의 동작은,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곤로버너(10)의 중앙에는 개구부(1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10a)의 내측에 지지파이프(120)가 입설되며, 지지파이프(120)의 상단에는, 대략 원통형의 감열헤드(110)가 지지파이프(12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감열헤드(110) 및 지지파이프(120)에 의해,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가 형성된다. 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지만, 감열헤드(110)에는 온도센서 및 코일스프링이 내장되어 있고, 코일스프링이 감열헤드(110)를 상방으로 탄발시킨 결과, 받침대(3) 상에 조리용기가 놓여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감열헤드(110)의 상단이 받침대(3)의 상면(조리용기가 놓여지는 면)보다도 돌출된다. 그리고, 받침대(3) 상에 조리용기가 놓여지면, 조리용기의 저면에 의해 감열헤드(110)가 하방으로 가압되는 동시에, 감열헤드(110)의 상단이 코일스프링에 의해 억눌려져 조리용기의 저부에 맞닿는다. 그렇기 때문에, 감열헤드(110)에 내장된 온도센서에 의해 조리용기의 저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감열헤드(110)의 온도센서로부터는 리드선이 인출되어, 지지파이프(120)의 내부를 통해 제어부(50)로 접속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제어부(50)는, 가열조리중에도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리용기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한 경우에는, 유량조정밸브(22)의 통로를 줄여 연료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곤로버너(10)의 화력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역으로, 조리용기의 온도가, 설정된 목표온도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유량조정밸브(22)를 개방시켜 연료가스의 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곤로버너(10)의 화력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고장 등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것을 판단한 경우에는, 전자밸브(21)를 닫아 연료가스의 공급을 정지시킴으로써, 곤로버너(10)의 연소를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감열헤드(110)의 단면을 잘라 온도검출장치(100)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감열헤드(110)는, 판금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홀더(111)와, 홀더(111)의 상단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금속제의 집열판(112)과, 집열판(112)의 하면에 설치된 온도센서(113)와, 홀더(111)보다도 대직경의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홀더(111)의 외측에 설치된 금속제의 홀더커버(115)와 홀더(111)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14)을 구비하고 있다. 홀더(111)의 상단에는 플랜지부(111a)가 형성되어 있고, 집열판(112)은, 상기 플랜지부(111a)를 상방에서 감싸도록 절곡 가공되어, 코킹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111)의 플랜지부(111a)와 집열판(112)에 의해, 조리용기의 저부 이면(裏面)에 맞닿는 당접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감열헤드(110)가 설치되는 지지파이프(120)는, 상단이 플랜지 형상으로 직경이 확대되어 있다. 지지파이프(120)는, 플랜지 형상으로 확경된 부분이 홀더(111)의 내측에 삽입되고, 홀더(11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홀더(111)의 하단측은 직경이 축소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파이프(120)의 상단의 플랜지 형상에 확경된 부분이 홀더(11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홀더(111)가 이동하여도, 지지파이프(120)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코일스프링(114)은, 홀더(111) 내에서 약간 압축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고, 이 때문에, 감열헤드(110)를 항상 상방으로 탄성 반발하고 있다. 또한, 온도센서(113)에서는, 2개의 리드선(130)이 인출되어, 지지파이프(120)의 내부를 통해 제어부(50)(도 1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감열헤드(110)에서는, 홀더(111)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11a)를, 집열판(112)이 감싸도록 절곡 가공되어 코킹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집열판(112)이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홀더(111)의 상단에 집열판(112)을 설치하는 방법은,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홀더(111)의 상단에 설치된 플랜지부(111a)의 상에 집열판(112)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플랜지부(111a)와 집열판(112)을 납땜접착(또는 용접) 등을 행하여, 집열판(112)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도, 홀더(111)의 플랜지부(111a)와 집열판(112)에 의해 당접부(116)가 형성되지만, 당접부(116)의 하면측을 형성하는 부재(즉, 홀더커버(115)의 상단을 향하는 부재)는, 플랜지부(111a)가 된다.
또는, 도 3(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홀더(111)의 상단에 플랜지부(111a)를 설치하지 않고, 집열판(112)에 돌부(112b)(또는 홈부)를 설치하여 위치결정한 후, 집열판(112)을 홀더(111)의 상단에 납땜접착(또는 용접) 등을 행하여, 집열판(112)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집열판(112)이 당접부(116)를 형성하게 되고, 따라서, 집열판(112)이, 홀더커버(115)의 상면을 향하게 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감열헤드(110)의 상단부분의 상세한 형상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a)에는, 상단부분의 외관 형상이 나타나 있고, 도 4(b)에는, 홀더(111)에 홀더커버(115)를 조립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홀더커버(115)의 상단에는, 복수의 전열부(115a)가 등간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커버(115)는, 전열부(115a)의 접촉부(115b)가, 당접부(116)의 하면측에 접촉된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곤로버너(10)의 화염에 의해 홀더커버(115)가 가열되면, 홀더커버(115)의 열의 일부가, 전열부(115a)를 통해 집열판(112)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홀더커버(115)에는, 3개의 전열부(115a)가 설치되도록 하였지만, 전열부(115a)의 수는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조리용기의 가열조리 중에 온도검출장치(100)의 집열판(112)에 열이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3)(도 1 참조) 상에 조리용기가 놓여지면, 조리용기가 온도검출장치(100)의 당접부(116)를 하방으로 가압한 결과, 조리용기의 저부와 집열판(112)이 밀착된다. 그러므로, 곤로버너(10)의 화염으로 조리용기가 가열되면, 조리용기의 저부에서 집열판(112)으로 열이 유입된다. 도 중에 나타낸 백발 화살표는, 조리용기의 저부를 통해 집열판(112)으로 유입되는 열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홀더커버(115)의 상단에 전열부(115a)가 설치되어 있고, 전열부(115a)가 당접부(116)의 하면측에 접촉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곤로버너(10)의 화염에서의 복사열에 의해 홀더커버(115)가 고온이 되면, 홀더커버(115)의 상단의 전열부(115a)에서도 집열판(112)으로 열이 유입된다. 도 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는, 곤로버너(10)의 화염의 복사열이, 홀더커버(115)의 전열부(115a)에서 집열판(112)으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는, 이렇게 홀더커버(115)에서 집열판(112)으로 열이 유입되는 경로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곤로버너(10)의 화력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것을 신속하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곤로버너(10)의 화력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상의 발생을 신속하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이유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6(a)에는,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 검출되는 온도변화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6(b)에는, 참고로,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 홀더커버(115)의 전열부(115a)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검출되는 온도변화가 나타나 있다.
설명의 사정상, 우선 처음에 도 6(b)를 참조하여, 홀더커버(115)의 전열부(115a)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끓이는 조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가열을 개시하면 조리용기의 온도가 차차 상승하여, 어느 온도에서 안정되지만, 이대로 가열을 계속하게 되면, 조리용기 내의 국물의 감소 등에 따라 조리용기의 온도가 다시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조리용기의 온도가, 미리 설정해 놓은 역치온도(Tth)에 도달하면, 제어부(50)가 유량조정밸브(22)를 억제하여 연료가스의 유량을 줄이게 됨으로써, 자동적으로 곤로버너(10)의 화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6 중의 시각(ta)은, 제어부(50)가 화력을 작게 한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 조리용기는 큰 열용량을 갖고 있으며, 그래도 온도가 상승중이기 때문에, 시각(ta)에서 화력을 작게 한 이후에도 잠간 동안은 조리용기의 온도가 상승하지만, 얼마 안 있어 온도 저하로 전환된다. 이 때문에, 온도검출장치(100)에서 검출되는 온도는, 도 6(b) 중의 실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천천히 변화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유량조정밸브(22)의 고장 등의 원인으로, 제어부(50)가 곤로버너(10)의 화력을 작게 하는 제어를 행하여도 실제로는 화력이 작아지지 않았다고 하자. 이 경우는, 화력이 강한 상태이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온도는 그대로 상승해 간다. 그러나, 상술한 것과 같이, 제어부(50)에 의해 제어가 정상으로 행해진 경우에도, 화력이 작아진 때부터 잠시 동안은 조리용기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기 때문에, 온도의 상승이 계속되기 때문이라고 해도 곧바로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시각(ta)에서 화력을 작게 하는 제어를 행한 후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여전히 온도의 상승이 계속된 경우에 처음으로,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발생을 검지하면, 제어부(50)는, 전자밸브(21)를 닫아 곤로버너(10)에서의 연소를 정지시키기 때문에, 이것에 따라 조리용기의 온도도 저하된다. 그러나, 이때까지의 동안에는, 큰 화력으로 가열이 계속되기 때문에, 도 6(b) 중의 파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조리용기의 온도는 크게 상승하게 되어, 조리용기 내에서는 이미 눌어붙음이 생기게 된다.
이것에 대해, 도 6(a)에는,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 검출된 온도변화가 나타나 있다. 곤로버너(10)에서의 가열을 개시한 직후는,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를 이용한 경우에도, 온도가 점차로 상승하여, 어느 온도에서 일단 안정된 후, 그대로 가열을 계속하게 되면 다시 온도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온도가 역치온도(Tth)에 다다르면, 제어부(50)가, 유량조정밸브(22)를 제어하여 연료가스의 유량을 줄임으로써, 곤로버너(10)의 화력을 작게 한다.
여기서,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홀더커버(115)의 상단에 돌설된 복수의 전열부(115a)가 당접부(116)의 하면측에 접촉되어 있고(도 4 참조), 곤로버너(10)의 화염에서의 복사열로 홀더커버(115)가 가열되며, 홀더커버(115)의 열의 일부가 전열부(115a)에서 집열판(112)으로 유입된다(도 5 참조). 이 때문에, 제어부(50)가 곤로버너(10)의 화력을 작게 하면, 홀더커버(115)가 받는 화염의 복사열이 감소하기 때문에, 전열부(115a)에서 집열판(112)으로 유입되는 열도 감소하여, 온도검출장치(100)에서 검출되는 온도가 단시간에 저하하기 시작한다. 그 결과, 도 6(a) 중에 실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시각(ta)에서 제어부(50)가 곤로버너(10)의 화력을 작게 하면, 그 영향이 단시간에 온도검출장치(100)의 검출온도로 나타난다.
물론, 홀더커버(115)의 전열부(115a)에서 집열판(112)으로 유입되는 열량은, 조리용기의 저부에서 유입되는 열량에 비교하면 작기 때문에, 곤로버너(10)의 화력을 작게 한 때에 생기는 온도저하는, 그다지 큰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도 6(a) 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제어부(50)가 화력을 작게 하는 제어를 행해도 온도저하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실제로는 화력이 작게 되지 않고, 어떤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경우는, 화력을 작게 하는 제어를 행하고 나서 단시간밖에 경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자밸브(21)를 닫고 곤로버너(10)에서 연소를 정지시키면, 조리용기 내에서 눌어붙음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제어부(50)가 화력을 작게 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곤로버너(10)의 화력을 크게 하는 경우에도 동양의 것이 적합하다. 즉, 온도검출장치(100)의 홀더커버(115)에 전열부(115a)가 돌설되어 있지 않고, 이에 따라, 홀더커버(115)에서 전열부(115a)를 통해 집열판(112)으로 열이 유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화력을 크게 하여도, 조리용기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으면 집열판(112)으로 열이 유입되는 일이 없어, 온도 상승이 검출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제어부(50)가 화력을 크게 하는 제어를 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화력이 크게 되지 않은 경우에도,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이상 발생을 검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홀더커버(115)의 상단에 돌설된 전열부(115a)가 당접부(116)의 하면측에 접촉되어 있고, 홀더커버(115)에서 집열판(112)으로 열이 유입된다. 이 때문에, 제어부(50)가 곤로버너(10)의 화력을 크게 하면, 곤로버너(10)의 화염의 복사열에 의해 홀더커버(115)가 가열되고, 이 열의 일부가 전열부(115a)를 통해 집열판(112)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온도검출장치(100)에서 검출되는 온도가 단시간에 상승한다. 역으로 말하면, 제어부(50)가 화력을 크게 하는 제어를 행하여도 온도 상승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실제로 화력이 크게 되지 않고, 어떤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홀더커버(115)의 상단과, 당접부(116)가, 전열부(115a)를 통해 접촉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곤로버너(10)의 화력을 조정한 영향이 신속하게 검출온도에 반영된다. 이 때문에, 어떠한 이유에서 화력을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상 발생을 신속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홀더커버(115)를 설치한 때에도, 홀더커버(115)의 상단과 당접부(116)의 하면측을, 전열부(115a)를 통해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홀더커버(115)의 상단과 당접부(116)의 하면측과의 간격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온도검출장치(100)의 구조 공차를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복수(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3개)의 전열부(115a)가,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곤로버너(10)가 원주상에 형성되는 화염의 크기가 장소에 의해 편심되기 때문에 홀더커버(115)가 균일하게 가열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도, 그 편심을 평균화한 상태에서, 집열판(112)에 열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곤로버너(10)의 화력이 조정된 것을 정도 양호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더해, 홀더커버(115)의 전열부(115a)의 접촉부(115b)를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홀더커버(115)의 전열부(115a)와 당접부(116)의 하면측과의 사이의 접촉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홀더커버(115)를 조립할 때에 홀더커버(115)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홀더커버(115)에서 전열부(115a)를 통해 집열판(112)으로 유입되는 열량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곤로버너(10)의 화력의 변경에 따라, 온도검출장치(100)에서 검출되는 온도변화가 크게 되기 때문에, 화력의 조정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용이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홀더커버(115)의 상단에, 3개의 전열부(115a)가 돌설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들 전열부(115a)의 외측에 원형링 형상의 외벽을 설치하여도 좋다. 도 7은, 전열부(115a)의 외측에 원형링 형상의 외주벽(115c)이 설치된 제1변형예의 감열헤드(110)의 상단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a)에는, 상단부분의 외관 형상이 나타나 있고, 도 7(b)에는, 홀더(111)에 홀더커버(115)를 조립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변형예의 홀더커버(115)에도, 전열부(115a)가 당접부(116)의 하면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곤로버너(10)의 화력을 조정한 영향이 신속하게 검출온도에 반영된다. 이 때문에, 어떠한 이유에서 화력을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상 발생을 신속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예 또는 제1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홀더커버(115)의 상단에서, 전열부(115a)가 돌설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당접부(116)의 하면에서 전열부(115a)를 돌설하여도 좋다. 또한, 당접부(116)의 하면에서 전열부(115a)를 돌설시키는 경우에도, 전열부(115a)가 홀더커버(115)의 상면에 접촉되는 접촉부(115b)를 평탄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도 8은 당접부(116)의 하면에서 홀더커버(115)를 향해 3개의 전열부(115a)가 돌설된 제2변형예의 감열헤드(110)의 상단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a)에는, 상단부분의 외관 형상이 나타나 있고, 도 8(b)에는, 홀더(111)에 홀더커버(115)를 조립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집열판(112)이 홀더(111)의 플랜지부(111a)(도 2 참조)를 감싸도록 하여 당접부(11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열부(115a)는, 당접부(116)의 하면측을 형성하는 집열판(112)에서 돌설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도 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당접면(116)의 하면측을 형성하는 부재가 홀더(111)의 플랜지부(111a)인 경우에는, 플랜지부(111a)에서 전열부(115a)를 돌설시켜도 좋다.
이러한 변형예의 홀더커버(115)에서도, 당접부(116)에서 돌설된 홀더커버(115)에 접촉된 상태에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곤로버너(10)의 화력을 조정한 영향이 신속하게 검출온도에 반영된다. 이 때문에, 어떠한 이유에서 화력을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상 발생을 신속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실시예 및 각종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태양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가스곤로 2 : 상판 3 : 받침대
10 : 곤로버너 10a : 개구부 11 : 버너바디
12 : 혼합관 13 : 버너헤드 20 : 연료가스 공급통로
21 : 전자밸브 22 : 유량조정밸브 23 : 분사노즐
50 : 제어부 100 : 온도검출장치 110 : 감열헤드
111 : 홀더 112 : 집열판 113 : 온도센서
114 : 코일스프링 115 : 홀더커버 115a : 전열부
115b : 접촉부 115c : 외주벽 116 : 당접부
120 : 지지파이프 130 : 리드선

Claims (6)

  1. 원형링 형상의 곤로버너의 중앙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받침대 상에 놓여진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곤로버너의 상기 개구부에 입설된 지지파이프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파이프에 동축으로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금속제의 홀더와,
    상기 홀더의 상단에 취부되는 것에 의해, 상기 조리용기에 당접되는 당접부를 형성하는 집열판과,
    상기 집열판의 하면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홀더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홀더보다도 대직경의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를 상기 곤로버너의 복사열로부터 차폐하는 금속제의 홀더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커버의 상단과 상기 당접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홀더커버의 열을 상기 집열판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전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온도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열부는, 상기 집열판의 원주방향에 대해, 서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온도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는, 상기 홀더커버 또는 상기 당접부와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온도검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는, 상기 홀더커버 또는 상기 당접부와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온도검출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는, 상기 홀더커버의 상단에서 돌설된 돌부인 것을 특징으로 온도검출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는, 상기 당접부의 하면에서 돌설된 돌부인 것을 특징으로 온도검출장치.


KR1020150083271A 2014-06-13 2015-06-12 온도검출장치 KR101691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22921A JP6017498B2 (ja) 2014-06-13 2014-06-13 温度検出装置
JPJP-P-2014-122921 2014-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353A KR20150143353A (ko) 2015-12-23
KR101691152B1 true KR101691152B1 (ko) 2016-12-30

Family

ID=5508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271A KR101691152B1 (ko) 2014-06-13 2015-06-12 온도검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017498B2 (ko)
KR (1) KR1016911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014B1 (ko) 2016-05-26 2024-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함질소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19074327A (ja) * 2017-10-12 2019-05-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蓄電モジュール
CN107969083B (zh) * 2017-11-07 2023-11-10 兴勤(宜昌)电子有限公司 一种电池温度模组制作方法及应用
CN112344331B (zh) * 2019-08-06 2022-02-0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用于燃气灶的火盖
US11402104B2 (en) 2019-09-18 2022-08-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il heating element with a heat transfer disk
US11523471B2 (en) * 2019-09-27 2022-12-0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il heating element with a temperature sensor shield
US11668469B2 (en) 2020-01-22 2023-06-0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oktop appliance and heating element having a thermostat
US11512855B2 (en) 2020-07-20 2022-11-2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oktop appliance and heating element having a thermally isolated thermosta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7541A (ja) 2001-03-09 2002-09-18 Shibaura Electronics Co Ltd 炊事具底面温度検出センサ及びガステーブルコンロ
JP2006234370A (ja) 2005-02-28 2006-09-07 Harman Pro:Kk コンロ用の温度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2485B2 (ja) * 1998-01-09 2004-07-14 リンナイ株式会社 内炎式バーナ用の鍋底センサ
JP4695607B2 (ja) 2007-01-10 2011-06-08 立山科学工業株式会社 調理器具用温度検出装置
KR101296708B1 (ko) * 2011-08-30 2013-08-2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렌지용 과열방지장치
JP5568163B2 (ja) * 2013-05-27 2014-08-06 株式会社ハーマン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7541A (ja) 2001-03-09 2002-09-18 Shibaura Electronics Co Ltd 炊事具底面温度検出センサ及びガステーブルコンロ
JP2006234370A (ja) 2005-02-28 2006-09-07 Harman Pro:Kk コンロ用の温度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17498B2 (ja) 2016-11-02
JP2016003786A (ja) 2016-01-12
KR20150143353A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152B1 (ko) 온도검출장치
RU2015145737A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посуды на основе перекрестного нагрева термопары
KR20150146423A (ko) 가스레인지
JP6073019B2 (ja) 温度検出装置
KR101787392B1 (ko) 가스곤로
KR101315680B1 (ko) 가스레인지 온도센서 모듈의 높이 조절장치
JP5686749B2 (ja) 加熱調理器
CN104515156A (zh) 燃气灶
JP6400989B2 (ja) グリル装置
TWI711791B (zh) 瓦斯爐
KR101815533B1 (ko) 직화 구이기 및 이를 구비한 가스렌지
KR101300899B1 (ko) 버너
JP6152524B2 (ja) 温度検出装置
KR101304847B1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JP2006138597A (ja) ガスコンロ
EP3423751B1 (en) Biomass auto combustion chamber
JP7166203B2 (ja) ガスコンロ
KR101722134B1 (ko) 곤로버너
JP2020186870A (ja) ガスコンロ
JP2001041461A5 (ko)
JP7432475B2 (ja) ガスコンロ
KR101623633B1 (ko) 조리기기
KR20120015079A (ko) 가스 조리기기
JP4338196B2 (ja) コンロ
JP6227322B2 (ja) 多管式貫流ボイ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