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026B1 - 온도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온도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026B1
KR101720026B1 KR1020150088529A KR20150088529A KR101720026B1 KR 101720026 B1 KR101720026 B1 KR 101720026B1 KR 1020150088529 A KR1020150088529 A KR 1020150088529A KR 20150088529 A KR20150088529 A KR 20150088529A KR 101720026 B1 KR101720026 B1 KR 101720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umbrella portion
thermal head
support pipe
br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6457A (ko
Inventor
유키 미노우라
구니오 가타오카
아키히토시 하치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다테야마카가쿠센서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다테야마카가쿠센서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46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과제] 장시간 사용에 의해서도 감열헤드가 지지파이프에 고착되지 않는 온도검출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곤로버너의 중앙에 입설된 지지파이프에, 감열헤드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감열헤드에는, 감열헤드의 하단에 끓어 넘친 국물이 매달리는 것을 방지하는 끓어넘친국물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끓어넘친국물커버는, 끓어 넘친 국물이 매달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우산부의 하단이, 감열헤드의 하단보다도 상방인 위치에 취부되어 있다. 감열헤드의 하단 부근에는 기름 연기가 체류하지 않기 때문에, 기름 연기에 의한 오염이 진행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감열헤드가 지지파이프에 고착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온도검출장치{TEMPERATURE DET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가스곤로의 받침대 상에 재치되어 있는 조리용기의 저부에 맞닿아,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곤로버너의 중앙에 돌설되어, 곤로버너로 가열 조리되는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온도검출장치는, 곤로버너의 중앙의 개구부에 입설된 지지파이프와, 지지파이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대략 원통 형상의 감열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감열헤드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고, 게다가, 감열헤드에는 온도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곤로버너의 받침대 상에 조리용기가 재치되면, 조리용기의 저부에 의해 감열헤드가 하방으로 가압되어, 감열헤드의 상단면이 조리용기의 저부에 맞닿은 상태가 된다. 그 결과, 감열헤드에 내장된 온도센서로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가열조리 중에 조리용기에서 끓어 넘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감열헤드의 하단의 지지파이프와의 사이로 끓어 넘친 국물이 침입하면, 감열헤드가 지지파이프에 고착되어 버려서, 감열헤드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해 두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받침대 상에 조리용기를 올려놓아도 감열헤드의 상단면을 조리용기의 저부에 맞닿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하방을 향해 넓게 형성된 원추통 형상 부재(끓어넘친국물커버)를 감열헤드에 설치하여, 감열헤드의 하단 부분을 덮어씌우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어 끓어 넘침이 발생하여도, 감열헤드와 지지파이프의 간극으로는 끓어 넘친 국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한 온도검출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JP 2013-044468 A
그러나, 상기 제안된 온도검출장치에서는, 감열헤드의 하단 부분을 끓어넘친국물커버로 덮어서, 감열헤드와 지지파이프의 간극으로 끓어 넘친 국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시간 사용에 의해서 감열헤드가 지지파이프에 고착되어 버려서,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갖고 있는 상술한 문제점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시간 사용에 의해서도 감열헤드가 지지파이프에 고착되는 일 없이,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온도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온도검출장치는 다음의 구성을 채용한다. 즉, 곤로버너의 중앙에 설치되고, 받침대 상에 놓여진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곤로버너의 중앙에 입설된 지지파이프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측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파이프에 결합된 홀더와, 상기 홀더의 상단에 취부된 집열판과, 상기 집열판의 하면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홀더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조리용기에서의 끓어 넘친 국물이 상기 홀더의 하단에 매달리는 것을 방지하는 끓어넘친국물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끓어넘친국물커버는, 하방으로 향하여 직경이 확장되는 형상의 우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우산부의 하단이 상기 홀더의 하단보다도 상방인 위치에 취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온도검출장치에 있어서는, 홀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파이프에 설치되어 있고, 홀더에는, 홀더의 하단에 끓어 넘친 국물이 매달리는 것을 방지하는 끓어넘친국물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끓어넘친국물커버는, 하방을 향해 확경되는 형상의 우산부가 마련되어 있고, 우산부의 하단이 홀더의 하단보다도 상방인 위치에 취부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곤로버너의 밑으로 끓어 넘친 국물이 흘러 낙하되고, 가열된 끓어 넘친 국물에서 발생된 기름 연기가 상승하여도, 우산부의 하단은 홀더의 하단보다도 상방에 있기 때문에, 홀더의 하단 부근에 기름 연기가 체류되는 일은 없다. 그렇기 때문에, 곤로버너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한 경우에도, 홀더의 하단 부근에서 기름 연기에 의한 오염이 진행되는 일 없고, 홀더와 지지파이프가 고착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온도검출장치에 있어서는, 끓어넘친국물커버의 우산부를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즉, 끓어넘친국물커버를 상기 홀더에 취부하기 위해 원통형상의 축부에서, 수평방향 내지 수평방향에서 하향되어 15도의 각도범위로 직경이 확장된 후, 보다 큰 각도로 하향되어 확경되는 형상의 우산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끓어넘친국물커버의 우산부는 하방을 향해 확경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에서 상승하여 온 기름 연기가 우산부의 이면측에 도달하면, 끝단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된 내측 부분에서는 기름 여기가 체류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대해, 우산부가 축부에 접속되는 뿌리부분에서의 우산부의 형상을, 수평방향 내지 수평방향에서 하방을 향해 15도의 각도범위로 확경되는 형상으로 하면, 우산부의 이면측의 안쪽 부분이 실질적으로 단부가 좁아지는 형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기름 연기가 체류하기 어렵게 되어, 기름 연기로 오염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우산부의 뿌리부분을 대략 수평방향으로 확경시킨 후에, 보다 큰 각도로 하향시켜 확경되는 형상으로 하면, 우산부의 외경이 크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곤로버너의 연소 중에, 지지파이프를 따라 이차공기가 상승하는 흐름을 저해하는 일도 없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온도검출장치에 있어서는, 끓어넘친국물커버의 우산부를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즉, 우산부의 하단이, 수평방향에서 하향하여 50도 내지 70도의 각도범위가 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우산부의 하단이 하향되어 급격한 경사의 경사면이 되기 때문에, 하단에 부착된 끓어 넘친 국물이 우산부의 이면측을 타고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사용한 경우에도, 끓어 넘친 국물에 의한 오염이 우산부의 이면측으로 확장되어 가서, 홀더의 하단에 도달한 후, 홀더와 지지파이프를 고착시키는 사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끓어넘친국물커버의 하방을 향해 확경되는 형상의 우산부가 마련되어 있고, 우산부의 하단이 홀더의 하단보다도 상방인 위치에 취부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곤로버너의 밑으로 끓어 넘친 국물이 흘러 낙하되고, 가열된 끓어 넘친 국물에서 발생된 기름 연기가 상승하여도, 우산부의 하단은 홀더의 하단보다도 상방에 있기 때문에, 홀더의 하단 부근에 기름 연기가 체류되는 일은 없고, 이에 따라, 곤로버너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한 경우에도, 홀더의 하단 부근에서 기름 연기에 의한 오염이 진행되는 일 없고, 홀더와 지지파이프가 고착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를 탑재한 가스곤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감열헤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감열헤드가 장시간 사용에 의해 지지파이프에 고착되는 이유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에서 감열헤드가 지지파이프에 고착되지 않는 이유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끓어넘친국물커버의 우산부의 하단이 하방을 향하여 급격한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유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각종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의 감열헤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를 탑재한 가스곤로(1)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가스곤로(1)는, 곤로본체(도시하지 않음)의 상면을 덮어 설치되고 버너용개구(4)가 형성된 상판(2)과, 버너용개구(4)에 임해 설치되고 연료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곤로버너(10)와, 냄비 등의 조리용기가 놓여지는 받침대(3)와, 받침대(3) 상에 놓여진 조리용기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온도검출장치(100) 등을 구비하고 있다.
곤로버너(10)는,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된 버너바디(11)와, 버너바디(11)에서 연장 설치된 혼합관(12)과, 버너바디(11)의 상면에 재치된 원형링 형상의 버너헤드(13)를 구비하고 있다. 버너헤드(13)는, 알루미늄 등의 다이캐스트제이고, 외주부의 하면측에는 복수의 홈(염구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버너헤드(13)를 버너바디(11)에 재치하면, 버너헤드(13)에 형성된 복수의 염구홈과 버너바디(11)의 상면과의 사이에 복수의 염구(13a)가 형성된다. 또한, 버너바디(11)의 상부에는, 판금제의 버너캡(14)이 취부되어 있다.
버너바디(11)에서 연장 설치된 혼합관(12)의 개구단(12a)에서, 혼합관(12)내로 향하여 연료가스를 분사하면, 혼합관(12)의 내부에서 연료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가 생성되고, 버너바디(11)로 공급되어, 염구(13a)에서 혼합가스가 분출된다. 그리고, 이 혼합가스에 점화플러그(15)로 점화함으로써, 곤로버너(10)의 연소를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혼합가스의 연소에는 이차공기가 필요하게 되지만, 이차공기의 절반 정도는, 곤로버너(10)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10a)를 통해, 버너헤드(13)와 버너캡(14)의 간극으로부터 공급된다. 그렇기 때문에 곤로버너(10)의 연소 중에는, 개구부(10a) 내로 이차공기에 의해 상향되는 흐름이 형성된다.
또한, 개구부(10a)의 내측에는, 지지파이프(120)가 입설되고, 지지파이프(120)의 상단에는, 대략 원통형의 감열헤드(110)가 지지파이프(12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감열헤드(110) 및 지지파이프(120)에 의해,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가 형성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지만, 감열헤드(110)에는 온도센서 및 코일스프링이 내장되어 있고, 코일스프링이 감열헤드(110)를 상방으로 탄발시킨 결과, 받침대(3) 상에 조리용기가 놓여있지 않은 경우에는, 감열헤드(110)의 상단이 받침대(3)의 상면(조리용기가 놓여지는 면)보다도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받침대(3) 상에 조리용기가 놓여지면, 조리용기의 저부에 의해 감열헤드(110)가 하방으로 가압되는 동시에, 감열헤드(110)의 상단면이 코일스프링의 힘에 의해 조리용기의 저부에 맞닿는다. 그렇기 때문에, 감열헤드(110)에 내장된 온도센서에 의해 조리용기의 저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감열헤드(110)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감열헤드(110)는, 판금에 의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의 홀더(111)와, 홀더(111)의 상단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금속제의 집열판(112)과, 집열판(112)의 하면에 설치된 온도센서(113)와, 집열판(112)과 함께 홀더(111)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1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111)의 상단이 플랜지 형상으로 가공된 플랜지부(11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부(111a)에 집열판(112)이 코킹 고정되어 있지만, 납땜접착(또는 용접) 등에 의해 집열판(112)을 홀더(111)에 취부하여도 좋다.
감열헤드(110)가 설치되는 지지파이프(120)는, 상단이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 홀더(111)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홀더(111)는, 지지파이프(12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홀더(111)의 하단측은 소정 길이에 걸쳐 직경이 줄어들어, 홀더(111)의 축경된 부분의 내주면과, 지지파이프(12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감합부(11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지지파이프(120)의 확경부분이 홀더(111)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홀더(111)가 이동하여도, 지지파이프(120)에서 이탈되는 일 없다. 그리고, 코일스프링(114)은, 홀더(111) 내에서 약간 압축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고, 그렇기 때문에, 감열헤드(110)는 항상 상방으로 탄성 지지한 상태가 된다. 또한, 온도센서(113)에서는 2개의 리드선(116)이 인출되어, 유리섬유로 편조된 강성이 있는 내열튜브(117)로 보호된 상태에서 지지파이프(120)의 내부를 통해 외부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감열헤드(110)에는, 홀더(111) 하부의 축경된 부분에 끓어넘친국물커버(115)가 취부되어 있다. 이 끓어넘친국물커버(115)는, 원통형상의 축부(115a)의 상단에,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형상의 우산부(115b)가 취부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열조리 중에 끓어 넘침이 발생한 경우에도, 끓어 넘친 국물은 우산부(115b)에서 차단되기 때문에, 홀더(111)의 하단에 끓어 넘친 국물이 매달리는 일은 없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축부(115a)의 상단에 우산부(115b)가 취부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축부(115a)의 하단에 우산부(115b)를 취부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끓어넘친국물커버(115)가 길어지기 때문에, 홀더(111) 하부의 직경이 줄어든 부분보다도 상방에 끓어넘친국물커버(115)를 취부하여도 좋다.
또한, 우산부(115b)의 형상은, 축부(115a)와 만나는 뿌리부분에서는, 수평방향에 대해 각도 θa가 0도 ~ 하방을 향하여 15도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우산부(115b)의 하단에서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각도 θb가 하방을 향하여 50도 ~ 70도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끓어넘친국물커버(115)는, 우산부(115b)의 하단이, 홀더(111)의 하단보다도 상방인 위치에 취부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서는, 이렇게 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사용한 경우에도, 감열헤드(110)가 지지파이프(120)에 고착되는 일이 없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이유를 설명하는 준비로서, 종래의 감열헤드(210)에서는, (끓어 넘친 국물이 홀더(111)의 하단에 매달리지 않도록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사용에 의해 고착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감열헤드(210)에서는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고착이 발생되는 이유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의 감열헤드(210)에서는, 끓어넘친국물커버의 우산부(215b)가 홀더(111)의 하단을 덮어씌우듯이(따라서, 우산부(215b)의 하단이 홀더(111)의 하단보다도 하방에 위치되는 상태로)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조리 중에 끓어 넘침이 발생하면, 끓어 넘친 국물은, 도 3(a) 중에서 백발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끓어넘친국물커버의 우산부(215b) 상으로 흘러 낙하되기 때문에, 홀더(111)의 하단에 끓어 넘친 국물이 매달리는 일은 없다. 그리고, 도 3에서는, 우산부(215b)의 이면측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서, 우산부(215b)의 일부 및, 홀더(111)의 하단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로 표시하고 있다.
우산부(215b)를 타고 흘러 낙하된 끓어 넘친 국물은, 곤로버너(10)(도 1 참조)의 하부에 저장되고, 그 후, 조리용기가 가열될 때마다 곤로버너(10)의 화염에서의 복사열에 의해 가열되기 때문에, 얼마 안 있어 끓어 넘친 국물에서 기름 연기가 발생한다. 발생한 기름 연기는, 도 3(a) 중에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지지파이프(120)를 따라 상승해 가서, 우산부(215b)의 이면측으로 침입(파고 들어감)한다. 여기서, 우산부(215b)의 이면측은, 상방을 향하여 끝이 좁아져서 진행이 정지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우산부(215b)의 이면측으로 침입한 기름 연기는 그곳에서 체류된다. 또한,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곤로버너(10)의 연소중에는 개구부(10a)의 상방을 향하여 이차공기가 흐르지만, 우산부(215b)의 이면측이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안쪽까지 이차공기가 흐르는 일은 없다. 그 결과, 우산부(215b)의 이면측으로 침입되는 기름 연기는, 장기간에 걸쳐 그곳에 체류가 계속된다. 도 3(b)에는, 우산부(215b)의 이면측으로 침입하여 체류된 기름 연기가, 빗금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승하는 이차공기의 흐름은 백발 화살표로 표시하고 있다.
이렇게, 끓어 넘침에 의해 발생된 기름 연기가, 우산부(215b)의 이면측으로 침입하여 장시간에 걸쳐 체류되면, 기름 연기에 접하는 우산부(215b)의 이면측과, 우산부(215b)가 취부된 홀더(111)의 하단 및, 우산부(215b)로 덮어씌워진 부분의 지지파이프(120)가 기름 연기에 의해 조금씩 오염되어 간다. 그리고, 장시간에 걸쳐 사용하게 되면, 도 3(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산부(215b)의 이면측과 홀더(111)의 하단 및 지지파이프(120)가 기름 연기로 새까맣게 오염된 상태가 된다. 특히, 홀더(111)의 하단은, 우산부(215b)의 이면측의 구석진 부분이기 때문에 오염 진행이 쉽고, 그렇기 때문에 홀더(111)가 지지파이프(120)에 고착되어 버린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예의 감열헤드(11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끓어넘친국물커버(115)의 우산부(115b)의 하단이, 홀더(111)의 하단보다도 상방에 존재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곤로버너(10)를 사용하여도 감열헤드(110)가 지지파이프(120)에 고착되는 일은 없다. 이하, 이러한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감열헤드(110)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곤로버너(10)를 사용하여도 고착이 발생되지 않는 이유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의 감열헤드(110)에 있어서도, 가열조리 중에 끓어 넘침이 발생하면, 끓어 넘친 국물은, 도 4(a) 중에 백발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끓어넘친국물커버(115)(도 2 참조)의 우산부(115b) 상으로 흘러 낙하되기 때문에, 홀더(111)의 하단에 끓어 넘친 국물이 매달리는 일은 없다. 또한, 흘러 낙하된 끓어 넘친 국물은, 곤로버너(10)(도 1 참조)의 하부에 저장되어, 곤로버너(10)의 화염으로 가열되는 것에 의해 기름 연기를 발생시킨다. 이 기름 연기는, 도 4(a) 중에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지지파이프(120)를 따라 상승하여 우산부(115b)의 이면측으로 침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감열헤드(110)에서는, 우산부(115b)의 하단이 홀더(111)의 하단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홀더(111)의 하단의 주위에는 기름 연기가 체류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곤로버너(10)를 사용하여도, 홀더(111)의 하단과, 그 주위의 지지파이프(120)가 기름 연기로 오염되는 일은 없다.
물론, 지지파이프(120)를 따라 상승한 기름 연기는 우산부(115b)의 이면측으로 침입하여 체류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감열헤드(110)에서는, 우산부(115b)가 열린 형상(즉, 우산부(115b)가 축부(115a)(도 2 참조)와 만나는 뿌리부분에서는, 우산부(115b)가 거의 수평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지지파이프(120)를 따라 상승하는 이차공기가 우산부(115b)의 이면측으로 용이하게 흘러 들어가서, 체류되어 있던 기름 연기를 밀어내기 때문에, 우산부(215b)의 이면측에 항상 기름 연기가 계속해서 체류되지는 않는다. 도 4(b)에는, 우산부(115b)의 이면측으로 침입한 기름 연기가 빗금으로 표시되어 있고, 이차공기의 흐름은 백발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감열헤드(110)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곤로버너(10)를 사용하여도, 우산부(115b)의 이면측이 기름 연기로 시꺼멓게 오염되는 일이 없고, 따라서, 도 4(c)에 나타내듯이, 홀더(111)의 하단과 그 주변의 지지파이프(120)는, 거의 오염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해 놓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장기간에 걸쳐 곤로버너(10)를 사용한 경우에도, 감열헤드(110)가 지지파이프(120)에 고착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2를 이용하여 전술한 것처럼, 우산부(115b)의 하단은, 수평방향에 대해 하방으로 50도 ~ 70도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가 급격한 경사면이 된다. 그러므로,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산부(115b)의 하단에 부착된 끓어 넘친 국물방울이, 이차공기의 흐름에 의해 움직여 우산부(115b)의 이면측에 부착된 경우에도, 우산부(115b)의 이면측에서 상방으로 확장되어 가는 일은 없다. 그리고, 도 5에서는, 끓어 넘친 국물방울은 빗금으로 표시되어 있고, 이차공기의 흐름은 백발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이렇게, 끓어 넘친 국물은 우산부(115b)의 이면측이 끓어 넘친 국물로 오염되기 어렵기 때문에, 보다 한층, 감열헤드(110)가 지지파이프(120)에 고착되기 어렵게 된다.
상술한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는, 다양한 변형예가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이들 변형예에 대해서, 본 실시예의 온도검출장치(100)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6은,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의 감열헤드(110)를 통합하여 나타낸 설명도이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우산부(115b)는, 축부(115a)에서 거의 수평방향으로 직경이 확장된 후, 점차 하방을 향해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직경을 확장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6(a)에 나타내듯이, 축부(115a)에서 같은 각도로 하향하여 직경이 확장된 원추통 형상의 우산부(115b)로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여도, 우산부(115b)의 하단이 홀더(111)의 하단보다도 상방에 위치되도록 하여 두면, 홀더(111)의 하단 주변에는 기름 연기가 체류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홀더(111)의 하단과, 그 주변의 지지파이프(120)가 기름 연기로 오염되는 일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에 의해서도, 감열헤드(110)가 지지파이프(120)에 고착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는, 우산부(115b)는, 축부(115a)에서 거의 수평방향, 또는 수평방향보다도 약간 하향되어 확경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우산부(115b)의 형상은, 도 6(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축부(115a)에서 수평방향에 대해 상향으로 확경된 후, 조금씩 하향되는 방향으로 변화하면서 확경되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도 6(b) 중의 백발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우산부(115b)의 이면측으로 이차공기가 흐르기 쉽게 되기 때문에, 우산부(115b)의 이면측에 기름 연기가 보다 한층 체류하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우산부(115b)의 이면측이 보다 한층 오염되기 어렵기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감열헤드(110)가 지지파이프(120)에 고착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실시예 및 각종 변형예의 온도검출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태양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가스곤로 3 : 받침대 10 : 곤로버너
10a : 개구부 11 : 버너바디 12 : 혼합관
13 : 버너헤드 14 : 버너캡 15 : 점화플러그
100 : 온도검출장치 110 : 감열헤드 110a : 감합부
111 : 홀더 112 : 집열판 113 : 온도센서
114 : 코일스프링 115 : 끓어넘친국물커버
115a : 축부 115b : 우산부 120 : 지지파이프

Claims (3)

  1. 곤로버너의 중앙에 설치되고, 받침대 상에 놓여진 조리용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곤로버너의 중앙에 입설된 지지파이프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측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파이프에 결합된 홀더와,
    상기 홀더의 상단에 취부된 집열판과,
    상기 집열판의 하면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홀더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조리용기에서의 끓어 넘친 국물이 상기 홀더의 하단에 매달리는 것을 방지하는 끓어넘친국물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끓어넘친국물커버는, 하방으로 향하여 직경이 확장되는 형상의 우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우산부가 원통형상의 축부를 통하여 홀더의 하부에 취부되고, 상기 우산부의 하단이 상기 홀더의 하단보다도 상방인 위치에 취부되어 있고,
    상기 끓어넘친국물커버의 우산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끓어넘친국물커버를 상기 홀더에 취부하기 위해 축부에서, 수평방향 내지 수평방향에서 하향되어 15도의 각도범위로 직경이 확장된 후, 보다 큰 각도로 하향되어 확경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온도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끓어넘친국물커버는, 상기 우산부의 하단이, 수평방향에서 하향하여 50도 내지 70도의 각도범위가 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온도검출장치.
  3. 삭제
KR1020150088529A 2014-06-23 2015-06-22 온도검출장치 KR101720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27818A JP6152525B2 (ja) 2014-06-23 2014-06-23 温度検出装置
JPJP-P-2014-127818 2014-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457A KR20150146457A (ko) 2015-12-31
KR101720026B1 true KR101720026B1 (ko) 2017-03-27

Family

ID=5512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529A KR101720026B1 (ko) 2014-06-23 2015-06-22 온도검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152525B2 (ko)
KR (1) KR1017200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9760A (zh) * 2018-08-07 2018-12-1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烹饪灶具的温度检测装置和具有其的烹饪灶具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2702U (ko) * 1985-03-29 1986-10-08
JPH08159478A (ja) * 1994-12-07 1996-06-21 Paloma Ind Ltd 温度センサー
JP2006250458A (ja) * 2005-03-11 2006-09-21 Harman Pro:Kk ガスコンロ
JP4695607B2 (ja) * 2007-01-10 2011-06-08 立山科学工業株式会社 調理器具用温度検出装置
JP5774412B2 (ja) * 2011-08-24 2015-09-09 株式会社立山科学センサーテクノロジー 調理器具用温度検出装置
KR101320006B1 (ko) * 2011-08-26 2013-10-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렌지용 과열방지장치
KR101830087B1 (ko) * 2012-06-19 2018-02-2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렌지용 과열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52525B2 (ja) 2017-06-28
KR20150146457A (ko) 2015-12-31
JP2016008728A (ja) 201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4198B2 (ja) ガスコンロ
KR101323429B1 (ko) 냄비바닥 온도센서를 가지는 가스 레인지
CN207648866U (zh) 一种用于燃气灶的测温装置
KR101720026B1 (ko) 온도검출장치
JP6152524B2 (ja) 温度検出装置
JP2015230144A (ja) コンロバーナ
CN109974037B (zh) 一种用于燃气灶的测温装置
KR102298905B1 (ko) 온도검출장치
JP2005249307A (ja) ガスコンロ用鍋底温度センサ
KR102365632B1 (ko) 온도검출장치
JP2016038181A (ja) 温度検出装置
JPH07269871A (ja) ガスコンロの鍋底温度検出装置
JPH1163506A (ja) ガスこんろ
JP6271467B2 (ja) 温度検出装置
JP4098733B2 (ja) コンロにおける過熱防止装置
JP4586188B2 (ja) 調理容器の温度検出構造
JP4150066B2 (ja) コンロ用鍋底温度センサ
JPH07269872A (ja) ガスコンロの鍋底温度検出装置
KR101774144B1 (ko) 가스레인지 과열방지센서의 온도보정용 캡
JP7154967B2 (ja) ガスコンロ
JP2010185632A (ja) ガスコンロ
JP2019095145A (ja) コンロバーナー
JP2005345024A (ja) 鍋底温度センサ
KR20130022723A (ko) 가스렌지용 과열방지장치
JP4817193B2 (ja) センサ付きコンロ用バ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