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945B1 - 작업 차량 및 그 예로서의 콤바인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및 그 예로서의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945B1
KR101701945B1 KR1020117014786A KR20117014786A KR101701945B1 KR 101701945 B1 KR101701945 B1 KR 101701945B1 KR 1020117014786 A KR1020117014786 A KR 1020117014786A KR 20117014786 A KR20117014786 A KR 20117014786A KR 101701945 B1 KR101701945 B1 KR 101701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shaft
oil
transmission cas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0681A (ko
Inventor
코우이찌 카지와라
코우지 키요오카
미치오 쯔카모토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57434A external-priority patent/JP54378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57433A external-priority patent/JP5437865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0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3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flui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08Exchange, draining or filling of transmission lubric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작업 차량은 엔진(14)의 동력을 변속하는 유압 무단 변속기(53,54)가 내장된 유압 변속 케이스(350)를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53,54)의 변속 출력을 좌우의 주행부(2)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88)의 일측면 상부에 부착하고 있다. 상기 미션 케이스(88)의 타측면 상부에 상기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을 받는 입력 풀리(155)와,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53,54)로부터의 변속 출력에 의해 구동되는 PTO 풀리(119)를 배치한다. 상기 미션 케이스(88)의 좌측면 중 상기 PTO 풀리(119)의 전방에 작동 오일 공급용 급유구(365)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 및 그 예로서의 콤바인{WORKING VEHICLE AND COMBINE AS THE EXAMPLE}
본원 발명은 농작업기나 특수 작업기와 같은 작업 차량, 특히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작업 차량으로서의 콤바인에 있어서 엔진의 동력을 변속하는 유압 무단 변속기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은 엔진의 동력을 변속하는 유압 무단 변속기와, 유압 무단 변속기의 변속 조절 조작을 하기 위한 트러니언 축(trunnion shaft)(조작축)과, 트러니언 축을 회동시키는 전기적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주변속 레버 등의 조작량에 따른 전기적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트러니언 축을 회동 조작함으로써 유압 무단 변속기의 변속 출력을 조절하고, 콤바인의 직진 및 선회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변속 레버 등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조작량 검출 센서에 오차나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는 주변속 레버 등 이외의 다른 스위치를 이용해서 유압 무단 변속기를 조작하여 콤바인을 확실하게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종류의 콤바인에 있어서 유압 무단 변속기는 유압 변속 케이스에 내장된다. 엔진의 동력은 유압 변속 케이스 및 미션 케이스를 통해서 좌우의 주행 크롤러에 전달된다. 예컨대 특허문헌2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주행기체의 진행 방향 우측에 있는 운전부의 하방에 엔진이 배치되어 있다. 엔진의 전방에 미션 케이스가 배치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의 상부 중 운전석과 반대측의 측면(좌측면 상부)에는 유압 무단 변속기가 내장된 유압 변속 케이스가 부착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는 작동 오일 탱크로서도 기능하는 것이며, 미션 케이스의 상면측에는 급유구가 형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의 앞면측에는 미션 케이스 내의 작동 오일량을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오일 검사 창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 오일을 교환ㆍ보충하는 경우에는 미션 케이스의 상면측의 급유구에 깔때기 등을 이용한 수작업으로 급유하게 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1308531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81118883 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예컨대 전기적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 수단(컨트롤러)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를 전혀 고려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작량 검출 센서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에는 주행기체를 정지시키는 것 밖에 없으므로, 예컨대 포장(圃場)으로부터만이라도 콤바인을 탈출시키는 림프홈(limp home) 운전(축퇴 운전)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2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급유구가 미션 케이스의 상면측에 있으므로 급유시에 중량물인 작동 오일이 들어 있는 오일 캔을 미션 케이스의 상방으로 높게 들어 올리지 않으면 안되어 급유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의 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미션 케이스의 앞면측, 즉 급유구가 있는 상면측과 다른 측면에 오일 검사 창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미션 케이스 상방으로부터의 급유 중에 오일 검사 창을 확인하기 어려워 필요량보다 한층 더 급유하는 경향이 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작동 오일량이 과잉이면 미션 케이스 내에 있어서 작동 오일에 잠긴 상태에서 회전하는 기어류가 많아진다. 그렇게 하면 고속 구동시일수록 작동 오일 교반에 의한 회전 저항이 늘어나 동력 손실이 커지는 것이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이들 문제를 해소한 작업 차량 및 그 예로서의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은 엔진의 동력을 변속하는 유압 무단 변속기를 내장한 유압 변속 케이스가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의 변속 출력을 좌우의 주행부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의 일측면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미션 케이스의 타측면 상부에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받는 입력 풀리와,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로부터의 변속 출력에 의해 구동되는 PTO 풀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미션 케이스의 타측면 중 상기 PTO 풀리의 전방에 작동 오일 공급용 급유구가 형성되어 있다라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미션 케이스의 타측면에 있어서 상기 급유구의 하방이고 또한 상기 PTO 풀리보다 낮은 위치에 오일 검사 창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미션 케이스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오일 검사 창의 후방이고 또한 상기 PTO 풀리보다 낮은 위치에 석션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라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작업 차량으로서의 콤바인에 있어서, 주행기체의 전방부에는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부 좌측에 있는 세로축을 중심으로 해서 가로 외측방으로 개방 회동 가능한 예취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예취 장치를 가로 외측방으로 개방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미션 케이스의 좌측면에 있는 상기 급유구 및 상기 오일 검사 창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체의 직진 속도를 변경 조작하는 직진 조작구와, 상기 주행기체의 진행 방향을 변경 조작하는 선회 조작구와,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의 변속 출력을 조절하는 전기적 액츄에이터와, 상기 각 조작구의 조작량에 따라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에는 그 변속 출력을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와는 별개로 수동 조작하기 위한 긴급 수동 조작구가 설치되어 있다라는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변속 출력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가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연동해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4 또는 5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를 수동 조작했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의 구동 제어를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4~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와, 상기 유압 펌프를 변속 조절하는 조절 실린더와, 상기 조절 실린더를 왕복 운동시키는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로서의 전자 유압형 밸브와,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를 스위칭 작동시키는 비례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의 스풀과 상기 비례 제어 밸브의 비례 제어 스풀이 스풀 조작 암의 일단측에 설치된 연계 핀을 통해서 연동 이동하도록 관련되어 있고, 상기 스풀 조작 암의 타단측에는 수동으로 회동 조작 가능한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로서의 조작축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 스풀의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연계 핀이 상기 조작축을 회동 중심으로 해서 상기 스풀 조작 암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조작축이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 상기 조절 실린더 및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를 내장하는 유압 변속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비례 제어 밸브, 상기 스풀 조작 암 및 상기 조작축을 갖는 비례 제어 하우징이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의 스풀과 상기 비례 제어 밸브의 비례 제어 스풀을 근접시키도록 상기 유압 변속 케이스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동력을 변속하는 유압 무단 변속기를 내장한 유압 변속 케이스가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의 변속 출력을 좌우의 주행부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의 일측면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미션 케이스의 타측면 상부에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받는 입력 풀리와,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로부터의 변속 출력에 의해 구동하는 PT0 풀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미션 케이스의 타측면 중 상기 PTO 풀리의 전방에 작동 오일 공급용 급유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미션 케이스로의 급유시에, 예컨대 중량물인 작동 오일이 들어 있는 오일 캔을 상기 미션 케이스의 상방까지 높게 들어 올리거나 할 필요가 없고, 급유 작업이 간편해짐과 아울러 급유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의 부담이 적어진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작동 오일 탱크를 겸하는 상기 미션 케이스의 상하 방향의 중도 높이 위치에 상기 급유구가 있으므로 상기 급유구의 바로밑까지밖에 급유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미션 케이스 내에 필요량보다 과잉으로 급유하는 것이 없어지고, 과잉의 작동 오일량에 기인해서 상기 미션 케이스 내에서의 동력 손실이 커지는 우려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미션 케이스 내의 상부측은 작동 오일로 가득 채워져 있지 않으므로 상기 미션 케이스 내에서 작동 오일이 유동하기 쉽고, 상기 미션 케이스 중 작동 오일에 접하고 있지 않은 부분의 표면적이 종래에 비해 현격하게 넓어진다. 이러한 작동 오일의 유동성이나 상기 작동 오일에 접하고 있지 않은 부분의 방열 효과에 의해 작동 오일 전체의 온도 상승의 억제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미션 케이스의 타측면에 있어서 상기 급유구의 하방이고 또한 상기 PTO 풀리보다 낮은 위치에 오일 검사 창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급유구와 동일 측면에 있는 상기 오일 검사 창을 보면서 상기 급유구로부터 상기 미션 케이스 내로 작동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급유 중에 상기 오일 검사 창을 확인하기 쉽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서 급유 작업이 현격하게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미션 케이스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오일 검사 창의 후방이고 또한 상기 PT0 풀리보다 낮은 위치에 석션 필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오일 검사 창과 상기 석션 필터는 상기 미션 케이스 내부의 하측에 있는 기어류를 사이에 두고 전후 좌우로 서로 대향하는 개소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미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급유구보다 하측의 내부 공간을 유효 이용해서 상기 오일 검사 창과 상기 석션 필터를 효율 좋게 배치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오일 검사 창으로부터 상기 미션 케이스 내의 작동 오일량을 체크할 때에 상기 석션 필터의 존재가 방해로 되지 않는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작업 차량으로서의 콤바인에 있어서 주행기체의 전방부에는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부 좌측에 있는 세로축을 중심으로 해서 가로 외측방으로 개방 회동 가능한 예취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예취 장치를 가로 외측방으로 개방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미션 케이스의 좌측면에 있는 상기 급유구 및 상기 오일 검사 창을 노출시키도록 구성 되어 있으므로 상기 예취 장치를 가로 외측방으로 개방 회동시키면 상기 미션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급유구 및 상기 오일 검사 창의 주변에 넓은 작업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 때문에, 사용전 점검이나 급유 작업이라는 상기 미션 케이스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성이 현격하게 향상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예컨대 상기 제어 수단에 이상이 발생된다는 전기계 문제가 발생된 경우이여도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를 수동 조작하면, 상기 직진 조작구나 상기 선회 조작구가 효과가 없는 상태에서, 예컨대 포장으로부터만이라도 콤바인을 탈출시키는 림프홈 운전(축퇴 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콤바인에 있어서 긴급 사태에의 대처의 선택지가 증가되어 콤바인의 취급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의 동작으로부터,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의 작동 상태를 간단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직진 조작구 및 상기 선회 조작구와,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의 사이에 기계적인 연결 구조를 구비하지 않고 이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직진 조작구 및 상기 선회 조작구와,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에 관한 동작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기 쉬워진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를 수동 조작했을 경우에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에 의한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의 변속 출력 조절이 병존하는 일은 없어진다. 이 때문에,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 나아가서는, 상기 주행기체가 작업자의 의도에 반해서 불안정한 거동을 할 우려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를 수동 조작할 때의 주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와, 상기 유압 펌프를 변속 조절하는 조절 실린더와, 상기 조절 실린더를 왕복 운동시키는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로서의 전자 유압형 밸브와,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를 스위칭 작동시키는 비례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의 스풀과 상기 비례 제어 밸브의 비례 제어 스풀이 스풀 조작 암의 일단측에 설치된 연계 핀을 통해서 연동 이동하도록 관련되어 있고, 상기 스풀 조작 암의 타단측에는 수동으로 회동 조작 가능한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로서의 조작축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 스풀의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연계 핀이 상기 조작축을 회동 중심으로 해서 상기 스풀 조작 암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조작축이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비례 제어 밸브를 통해서 상기 유압 펌프를 변속 제어하기 위한 원격 조작 구조와 상기 조작축을 통해서 상기 유압 펌프를 변속 제어하기 위한 수동 조작 구조의 양립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원격 조작(전기적 제어)의 경우에는 상기 조작축의 회동 상태로부터 상기 양 스풀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령 전기계 문제가 발생된 경우이여도 상기 조작축을 수동 회동 조작하면 주변속 레버나 조종 핸들이 효과가 없는 상태에서, 예컨대 포장으로부터만이라도 작업 차량을 탈출시키는 림프홈 운전(축퇴 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차량에 있어서 긴급 사태에의 대처의 선택지가 증가되어 작업 차량의 취급성 향상에도 기여한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 상기 조절 실린더 및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를 내장하는 유압 변속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비례 제어 밸브, 상기 스풀 조작 암 및 상기 조작축을 갖는 비례 제어 하우징이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의 스풀과 상기 비례 제어 밸브의 비례 제어 스풀을 근접시키도록 상기 유압 변속 케이스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절 실린더 및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를 상기 유압 변속 케이스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비례 제어 하우징을 상기 유압 변속 케이스에 착탈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압 변속 케이스와 상기 비례 제어 하우징을 미리 나누어서 유닛화하고 있으므로, 조립시의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고, 상기 유압 변속 케이스에 대한 상기 비례 제어 하우징의 조립 작업성이나 유지 보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6조 예취용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구동 계통도이다.
도 4는 미션 케이스 등의 구동 계통도이다.
도 5는 콤바인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6은 엔진 및 미션 케이스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엔진 및 미션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엔진 및 미션 케이스의 전동(傳動)계 설명도이다.
도 9는 주행기체 및 미션 케이스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미션 케이스의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미션 케이스의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유압 변속 케이스의 일부 노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3은 비례 제어 스풀, 스풀 조작 암, 연계 핀 및 조작축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유압 변속 케이스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5는 유압 변속 케이스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6은 예취 장치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예취 장치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예취 장치의 개폐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9는 엔진 및 미션 케이스를 후방 좌측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미션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주행기체 및 미션 케이스를 전방 비스듬하게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2는 기어 배열 관계를 나타내는 미션 케이스의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23은 미션 케이스의 우측면 상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미션 케이스의 배면 상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5는 미션 케이스의 배면 하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6은 차축 선단측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7은 변속 조향 컨트롤러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8은 콤바인에 있어서의 변속 조향 제어의 플로우 차트이다.
이어서, 본원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기체(1)의 전진 방향을 향해서 좌측을 단지 좌측이라고 칭하고, 동일하게 전진 방향을 향해서 우측을 단지 우측이라고 칭한다.
(1). 콤바인의 전체 구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콤바인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은 주행부로서의 좌우 1쌍의 주행 크롤러(2)에 의해 지지된 주행기체(1)를 구비한다. 주행기체(1)의 전방부에는 곡간(穀稈)을 예취하면서 거둬들이는 6조 예취용의 예취 장치(3)가 승강 액츄에이터로서의 단동식(單動式)의 승강용 유압 실린더(4)에 의해 가로축인 예취 입력 케이스(16)(상세한 것은 후술함) 주위에서 승강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주행기체(1)에는 피드 체인(6)을 갖는 탈곡 장치(5)와, 이 탈곡 장치(5)로부터 인출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물 탱크(7)가 가로 배열 형상으로 탑재된다. 또한, 탈곡 장치(5)가 주행기체(1)의 전진 방향 좌측에, 곡물 탱크(7)가 주행기체(1)의 전진 방향 우측에 배치된다. 주행기체(1)의 후방부에 선회 가능한 배출 오거(8)가 설치되고, 곡물 탱크(7)의 내부의 곡립이 배출 오거(8)의 벼 투구(投口)(9)로부터 트랙의 짐받이 또는 컨테이너 등에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 장치(3)의 우측이고 또한 곡물 탱크(7)의 전방측에는 운전 캐빈(10)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캐빈(10) 내에는 선회 조작구로서의 조종 핸들(11)과, 운전 좌석(12)과, 직진 조작구로서의 주변속 레버(43)와, 부변속 스위치(44)와, 탈곡 클러치 및 예취 클러치를 온/오프하는 작업 클러치 레버(4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 캐빈(10)에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발판(357)(도 6~도 9 참조)과, 조종 핸들(11)을 설치한 핸들 칼럼(handle column)(46)과, 상기 각 레버(43,45) 및 스위치(44) 등을 설치한 레버 칼럼(47)이 배치되어 있다. 주행기체(1)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2)의 하방에는 동력원으로서의 엔진(14)이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기체(1)의 하면측에 좌우의 트랙 프레임(21)을 배치한다. 트랙 프레임(21)에는 주행 크롤러(2)에 엔진(14)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스프로킷(22)과, 주행 크롤러(2)의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롤러(23)와,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접지 상태로 유지하는 복수의 트랙 롤러(24)와, 주행 크롤러(2)의 비접지측을 유지하는 중 중간 롤러(25)를 설치하고 있다. 구동 스프로킷(22)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전방측을 지지하고, 텐션 롤러(23)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후방측을 지지하고, 트랙 롤러(24)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접지측을 지지하고, 중간 롤러(25)에 의해 주행 크롤러(2)의 비접지측을 지지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장치(3)의 골조를 구성하는 예취 프레임(221)의 하방에는 포장에 식립(植立)된 미예취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는 바리캉식의 예취날 장치(222)가 설치되어 있다. 예취 프레임(221)의 전방에는 포장에 식립된 미예취 곡간을 일으키는 6조분의 곡간 일으킴 장치(223)가 배치되어 있다. 곡간 일으킴 장치(223)와 피드 체인(6)의 전단부(이송 시단측) 사이에는 예취날 장치(222)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간을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224)가 배치된다. 또한, 곡간 일으킴 장치(223)의 하부 전방에는 포장에 식립된 미예취 곡간을 분초(分草)하는 6조분의 분초체(225)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엔진(14)에 의해 주행 크롤러(2)를 구동해서 포장 내를 이동하면서 예취 장치(3)에 의해 포장에 식립된 미예취 곡간을 연속적으로 예취한다.
(2). 예취 장치의 구조
이어서, 도 16~도 18을 참조해서 예취 장치(3)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6~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프레임(221)은 주행기체(1)의 전방부 좌측에 있는 베어링 스탠드(bearing stand)(1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예취 입력 케이스(16)와, 예취 입력 케이스(16)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세로 전동 케이스(18)와, 세로 전동 케이스(18)의 전단측에서 좌우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는 가로 전동 케이스(19)와, 가로 전동 케이스(19)에 연결되는 6조분의 분초 프레임(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초 프레임(20)의 전단측에 6조분의 분초체(225)가 배치되어 있다. 기체 좌우 방향으로 수평으로 가로로 걸쳐진 예취 입력 케이스(16) 내에는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예취 입력축(17)이 조립되어 있다.
곡간 일으킴 장치(223)는 분초판(225)에 의해 분초된 미예취 곡간을 기립시키는 복수의 일으킴 타인(tine)(128)을 갖는 6조분의 일으킴 케이스(129)를 갖는다. 곡간 반송 장치(224)는 우측 2조분의 일으킴 케이스(129)로부터 도입되는 우측 2조분의 곡간의 밑동측을 레이킹(raking)하는 우측 스타 휠(130), 및 우측 레이킹 벨트(131R)와, 좌측 2개의 일으킴 케이스(129)로부터 도입되는 좌측 2조분의 곡간의 밑동측을 레이킹하는 좌측 스타 휠(130L) 및 좌측 레이킹 벨트(131L)와, 중앙 2개의 일으킴 케이스(129)로부터 도입되는 중앙 2조분의 곡간의 밑동측을 레이킹하는 중앙 스타 휠(130C) 및 중앙 레이킹 벨트(131C)를 갖는다. 예취날 장치(222)는 우측 스타 휠(130R) 및 우측 레이킹 벨트(131R), 좌측 스타 휠(130L) 및 좌측 레이킹 벨트(131L), 중앙 스타 휠(130C) 및 중앙 레이킹 벨트(131C)에 의해 레이킹된 6조분의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는 바리캉형의 좌우의 예취날(132)을 갖는다.
또한, 곡간 반송 장치(224)는 우측 스타 휠(130R) 및 우측 레이킹 벨트(131R)에 의해 레이킹된 우측 2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후방으로 반송하는 우측 밑동 반송 체인(133R)과, 좌측 스타 휠(130L) 및 좌측 레이킹 벨트(131L)에 의해 레이킹된 좌측 2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우측 밑동 반송 체인(133R)의 반송 종단부에 합류시키는 좌측 밑동 반송 체인(133L)과, 중앙 스타 휠(130C) 및 중앙 레이킹 벨트(131C)에 의해 레이킹된 중앙 2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후방으로 반송해서 우측 밑동 반송 체인(133R)의 반송 도중에 합류시키는 중앙 밑동 반송 체인(133C)을 갖는다. 좌우 및 중앙의 밑동 반송 체인(133R,133L,133C)에 의해 우측 밑동 반송 체인(133R)의 반송 종단부에 6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합류시킨다.
곡간 반송 장치(224)는 우측 밑동 반송 체인(133R)으로부터 6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이어받는 곡간 반송 수단으로서의 세로 반송 체인(134)과, 세로 반송 체인(134)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피드 체인(6)의 반송 시단부에 6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반송하는 보조 반송 수단으로서의 보조 밑동 반송 체인(135)을 갖는다. 세로 반송 체인(134)으로부터 보조 밑동 반송 체인(135)을 통해서 피드 체인(6)의 반송 시단부에 6조분의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반송한다. 또한, 곡간 반송 장치(224)는 우측 밑동 반송 체인(133R)에 의해 반송되는 우측 2조분의 예취 곡간의 이삭끝측을 반송하는 우측 이삭끝 반송 타인(137R)과, 좌측 밑동 반송 체인(133L)에 의해 반송되는 좌측 2조분의 예취 곡간의 이삭끝측을 후방으로 반송해서 우측 이삭끝 반송 타인(137R)의 반송 도중에 합류시키는 좌측 이삭끝 반송 타인(137L)과, 중앙 밑동 반송 체인(133C)에 의해 반송되는 중앙 2조분의 예취 곡간의 이삭끝측을 후방으로 반송해서 우측 이삭끝 반송 타인(137R)의 반송 도중에 합류시키는 중앙 이삭끝 반송 타인(137C)을 갖는다. 탈곡 장치(5)의 급동(226) 설치실 내에 예취 장치(3)에 의해 예취된 6조분의 예취 곡간의 이삭끝측을 반송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장치(3)는 내부의 각 장치(222~224), 엔진(14) 및 미션 케이스(88) 등의 유지 보수의 편의를 위해서 주행기체(1)의 전방부 좌측에 있는 베어링 스탠드(15)에 지지된 세로축(300)을 중심으로 해서 가로 외측방으로 개방 회동 가능(가로 방향으로 개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베어링 스탠드(15)는 주행기체(1)의 전방부 좌측에 세워 설치하여 고정된 측면으로 바라봐서 대략 사다리꼴이며 좌우 1쌍의 측 프레임대(301L,301R)와, 좌우 양 측 프레임대(301L,301R)의 상단간에 가로로 걸쳐진 각이 진 파이프 형상의 가로대 프레임(302)에 의해서 정면으로 바라봐서 대략 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측 프레임대(301L)에 주철제의 세로축(300)이 빠짐 불가능하고 또한 그 세로 축심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세로축(300) 중 좌측 프레임대(301L)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부분은 가로축인 예취 입력 케이스(16)의 기단측을 그 가로 축심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베어링부(303)로 되어 있다. 베어링부(303)는 세로축(30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전방 비스듬히 상향 개구 반할(半割) 형상의 하측 본체부(303a)와, 하측 본체부(303a)에 전방으로부터 씌워서 볼트 체결되는 후방 비스듬히 하향 개구 반할 형상의 상측 덮개부(303b)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덮개부(303b) 및 하측 본체부(303a)에 의해 예취 입력 케이스(16)의 기단측은 그 가로 축심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파지(협지)된다.
가로대 프레임(302)의 선단측은 우측 프레임대(301R)보다 더욱 기체 중앙측까지 연장되어 있고, 주행기체(1)의 전방부 중앙측에 세워 설치된 기둥 형상 프레임(290)의 상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가로대 프레임(302)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상면에 고정된 부착 시트판(305) 상에는 예취 입력 케이스(16)의 선단측을 그 가로 축심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주철제 등의 홀더체(306)가 설치되어 있다. 홀더체(306)는 부착 시트판(305) 상에 볼트 체결된 전방 비스듬히 상향 개구 반할 형상의 하측 홀더 베어링부(306a)와, 상기 하측 홀더 베어링부(306a)에 가로 방향의 핀 축(307)을 통해서 전후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상측 홀더 베어링부(306b)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홀더 베어링부(306b)를 앞쪽으로 회동(폐쇄 회동)시켜서 하측 홀더 베어링부(306a)에 씌우고, 예취 입력 케이스(16)의 선단측을 협지한 상태에서 상측 홀더 베어링부(306b)를 하측 홀더 베어링부(306a)에 고정 볼트(308)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예취 입력 케이스(16)의 선단측이 그 가로 축심 둘레에서 회동 가능한 상태로 홀더체(306)에 축지지된다. 예취 장치(3)는 주행기체(1)의 앞면에 위치하는 폐쇄 자세로 유지되게 된다(도 18의 실선 상태 참조). 반대로, 고정 볼트(308)를 풀어서 상측 홀더 베어링부(306b)를 뒤쪽으로 회동(개방 회동)시킴으로써 예취 입력 케이스(16)의 선단측의 파지가 해제되고, 예취 장치(3)가 세로축(300)을 중심으로 해서 가로 외측방으로 개방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예취 장치(3)를 주행기체(1)의 가로 외측방(좌측 외측방)을 향해서 회동시키면 예취 장치(3)가 주행기체(1)의 앞면을 개방한 개방 자세가 된다(도 18의 2점 쇄선 상태 참조). 이 경우, 예취 장치(3)는 세로축(300)에 의해 캔틸레버의 상태로 지지된다.
예취 입력 케이스(16) 내에 동심 자세로 조립된 예취 입력축(17)의 기단측[세로축측(300)의 단부]은 예취 입력 케이스(16)의 기단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왼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돌출 단부에 예취 입력 풀리(309)가 고착되어 있다. 예취 입력 풀리(309)와, 카운터 기어 케이스(89)에 있어서의 예취 구동축(102)의 예취 구동 풀리(124)에는 예취 구동 벨트(125)가 감아 걸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엔진(14)으로부터 카운터 기어 케이스(89)를 경유한 동력은 예취 구동축(102)으로부터 풀리(124,309) 및 벨트(125) 전동계를 통해서 예취 입력 케이스(16) 내의 예취 입력축(17)에 전달된다. 그리고, 예취 입력축(17)으로부터 예취 장치(3)의 각 장치(222~224)에 동력이 전달된다.
세로 전동 케이스(18)와 주행기체(1)의 전방부 사이에 예취 장치(3)를 승강 회동시키는 승강 액츄에이터로서의 승강용 유압 실린더(4)가 배치되어 있다. 승강용 유압 실린더(4)에 있어서의 실린더측의 단부는 가로 방향의 피벗 핀 축(도시 생략)을 통해서 주행기체(1)의 전방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피벗 부착되어 있다. 승강용 유압 실린더(4)에 있어서의 로드측의 단부는 설치 브래킷(310)을 통해서 세로 전동 케이스(18)의 길이 중도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설치 브래킷(310)의 중앙측에 승강용 유압 실린더(4)에 있어서의 로드측의 단부가 L자 형상의 실린더 핀(313)에 의해 상하 회동 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피벗 부착되어 있다. 또한, 예취 장치(3)를 가로 외측방으로 개방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전제의 작업으로서 예취 입력 풀리(309)에 감아 걸어진 예취 구동 벨트(125)를 분리함과 아울러 승강용 유압 실린더(4)와 설치 브래킷(310)을 연결하는 실린더 핀(313)을 뽑아내게 된다.
(3). 탈곡 장치의 구조
이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탈곡 장치(5)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에는 곡간 탈곡용 급동(226)과, 급동(226)의 하방으로 낙하하는 탈립물을 선별하는 요동 선별반선별반(選別盤)(227) 및 풍구 팬(228)과, 급동(226)의 후방부로부터 인출되는 탈곡 배출물을 재처리하는 처리동(處理胴)(229)과, 요동 선별반(227)의 후방부의 배진(排塵)을 배출하는 배진 팬(23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급동(226)의 회전 축심선은 피드 체인(6)에 의한 곡간의 반송 방향[환언하면 주행기체(1)의 진행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예취 장치(3)로부터 곡간 반송 장치(224)에 의해 반송된 곡간의 밑동측은 피드 체인(6)에 이어받어져 협지 반송된다. 그리고, 이 곡간의 이삭끝측이 탈곡 장치(5)의 급실 내에 반입되어서 급동(226)에서 탈곡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반(227)의 하방측에는 요동 선별반(227)에 의해 선별된 곡립(1번물)을 인출하는 1번 컨베이어(231)와, 이삭가지가 부착된 곡립 등의 2번물을 인출하는 2번 컨베이어(23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양 컨베이어(231,232)는 주행기체(1)의 진행 방향 전방측으로부터 1번 컨베이어(231), 2번 컨베이어(232)의 순서로 측면으로 바라봐서 주행 크롤러(2)의 후방부 상방의 주행기체(1)의 상면측에 가로로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요동 선별반(227), 풍구 팬(228), 1번 컨베이어(231), 2번 컨베이어(232), 배진 팬(230) 및 선별 팬(241) 등에 의해 곡물 선별 기구(245)를 구성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반(227)은 급동(226)의 하방에 장설(張設)된 수망(237)으로부터 누하된 탈곡물이 피드 팬(feed pan)(238) 및 채프 시브(chaff sieve)(239)에 의해 요동 선별(비중 선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요동 선별반(227)으로부터 낙하된 곡립은 그 곡립 중의 분진이 풍구 팬(228)으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제거되고, 1번 컨베이어(231)에 낙하되게 된다. 1번 컨베이어(231) 중 탈곡 장치(5)에 있어서의 곡물 탱크(7) 부근의 일측벽(실시형태에서는 우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종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곡(揚穀) 컨베이어(233)가 연통 접속되어 있다. 1번 컨베이어(231)로부터 인출된 곡립은 양곡 컨베이어(233)를 통해서 곡물 탱크(7)에 반입되어 곡물 탱크(7)에 수집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반(227)은 요동 선별(비중 선별)에 의해 채프 시브(239)로부터 이삭가지가 부착된 곡립 등의 2번물을 2번 컨베이어(232)에 낙하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채프 시브(239)의 하방으로 낙하되는 2번물을 풍 선별하는 선별 팬(241)을 구비한다. 채프 시브(239)로부터 낙하된 2번물은 그 곡립 중의 분진 및 짚 부스러기가 선별 팬(241)으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해 제거되고, 2번 컨베이어(232)에 낙하된다. 2번 컨베이어(232) 중 탈곡 장치(5)에 있어서의 곡물 탱크(7) 부근의 일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종단부는 환원 컨베이어(236)를 통해서 피드 팬(238)의 후방부[채프 시브(239)의 전방부]의 상면측에 연통 접속되고, 2번물을 요동 선별반(227)의 상면측으로 리턴시켜 재선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드 체인(6)의 후단측(이송 종단측)에는 짚 배출 체인(234)과 배출 짚 커터(235)가 배치되어 있다. 피드 체인(6)의 후단측으로부터 짚 배출 체인(234)에 이어받어진 배출 짚(곡립이 탈립된 곡간)은 긴 상태로 주행기체(1)의 후방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탈곡 장치(5)의 후방부에 설치된 배출 짚 커터(235)에 의해 적절한 길이로 짧게 절단된 후, 주행기체(1)의 후방 하방으로 배출된다.
(4). 콤바인의 구동 구조
이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콤바인의 구동 구조[예취 장치(3), 탈곡 장치(5), 피드 체인(6), 짚 배출 체인(234), 배출 짚 커터(235) 등의 구동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14)의 좌측에 그 출력축(150)을 돌출시킨다. 엔진(14)의 출력축(150)에 주행 구동 벨트(151)를 통해서 미션 케이스(88)의 주행 입력축(152)을 연결하고, 엔진(14)의 회전 구동력이 전방측의 출력축(150)으로부터 미션 케이스(88)로 전달되어 변속된 후, 좌우의 차축(153)을 통해서 좌우의 주행 크롤러(2)에 전달되고, 좌우의 주행 크롤러(2)가 엔진(14)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14)을 냉각하는 라디에이터 등을 위한 냉각 팬(154)이 엔진(14)의 우측으로 돌출된 출력축(150)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엔진(14)의 우측의 출력축(150)에 배출 오거 구동축(157)을 연결하고, 엔진(14)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배출 오거 구동축(157)을 통해서 배출 오거(8)가 구동되며, 곡물 탱크(7) 내의 곡립이 컨테이너 등에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의 각 부에 엔진(14)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탈곡 선별 작업 입력축(165)과, 급동(226) 및 처리동(230)에 탈곡 선별 작업 입력축(165)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탈곡 구동축(160)을 구비한다. 엔진(14)의 좌측의 출력축(150)에는 텐션 롤러형 탈곡 클러치(161) 및 탈곡 구동 벨트(162)를 통해서 탈곡 선별 작업 입력축(165)을 연결한다. 탈곡 구동축(160) 상에 급동 저속 기어 및 급동 고속 기어를 배치한다. 탈곡 선별 작업 입력축(165)의 회전력이 급동 저속 기어 또는 급동 고속 기어를 통해서 탈곡 구동축(160)에 전달된다.
탈곡 구동축(160)에는 급동 구동 벨트(117)를 통해서 급동(226)을 축지지한 급동축(163)과 처리동(230)을 축지지한 처리동축(164)을 연결한다. 엔진(14)의 대략 일정 회전수의 회전력에 의해 급동(226) 및 처리동(230)이 소정 회전수(저속 회전수 또는 고속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엔진(14)의 대략 일정 회전수의 회전력에 의해 탈곡 선별 작업 입력축(165)을 통해서 요동 선별반(227), 풍구 팬(228), 1번 컨베이어(231), 2번 컨베이어(232), 선별 팬(241), 배진 팬(230)이 대략 일정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88)에는 1쌍의 직진용 제 1 유압 펌프(55) 및 직진용 제 1 유압 모터(56)를 갖는 직진(주행 주변속)용 유압 무단 변속기(53)와, 1쌍의 선회용 제 2 유압 펌프(57) 및 선회용 제 2 유압 모터(58)를 갖는 선회용 유압 무단 변속기(54)를 설치하고 있다. 제 1 유압 펌프(55)와 제 2 유압 펌프(57)에 미션 케이스(88)의 주행 입력축(152)을 각각 연결시켜서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88)에 PTO 축(99)을 배치한다. PTO 축(99)은 제 1 유압 모터(56)에 의해 구동된다. 미션 케이스(88)로부터 이 왼쪽 외측으로 PTO 축(99)의 일단측을 돌출되게 설치하고 있다.
주행기체(1) 위 중 엔진(14)의 좌측이고 또한 탈곡 장치(5)의 전방측에 카운터 기어 케이스(89)(도 3, 도 6, 도 7 및 도 9 참조)를 설치하고 있다. 카운터 기어 케이스(89)에는 상술한 탈곡 구동축(160)과, 탈곡 구동축(160)에 연결되는 탈곡 선별 작업 입력축(165)과, PTO 축(99)에 연결되는 차속 동조축(100)과, 탈곡 선별 작업 입력축(165) 또는 차속 동조축(100)에 연결되는 예취 전동축(101)과, 예취 입력축(17)에 연결되는 예취 구동축(102)과, 피드 체인(6) 및 이어받기용 보조 밑동 반송 체인(136)을 구동하는 피드 체인 구동축(103)을 배치하고 있다. 카운터 기어 케이스(89) 내의 차속 동조축(100) 상에 차속 동조축(100)의 차속 동조 회전력을 전달하는 일방향 클러치를 설치한다. 차속 동조축(100)에 예취 변속 기구와 일방향 클러치를 통해서 예취 전동축(101)을 연결한다. 예취 변속 기구는 저속측 변속 기어와 고속측 변속 기어를 갖는다. 저속 및 중립(0 회전) 및 고속의 각 예취 변속을 행하는 예취 변속 조작 수단에 의해 저속측 변속 기어 또는 고속측 변속 기어를 예취 전동축(101)에 택일적으로 맞물리게 하고, 차속 동조축(100)으로부터 예취 변속 기구를 통해서 예취 전동축(101)에 예취 변속 출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탈곡 선별 작업 입력축(165)에 일정 회전 기구를 통해서 예취 전동축(101)을 연결한다. 일정 회전 기구는 저속측 일정 회전 기어와 고속측 일정 회전 기어를 갖는다. 예취 전동축(101)에 토크 리미터를 통해서 예취 구동축(102)을 연결한다. 예취 구동축(102)에 예취 구동 풀리(124) 및 예취 구동 벨트(125)를 통해서 예취 입력축(17)을 연결시키고, 예취 장치(3)에 예취 구동축(102)으로부터 예취 구동력을 전달시킨다. 예취 작업의 유지에 필요한 일정 회전수의 회전 출력이 저속측 일정 회전 기어를 통해서 탈곡 선별 작업 입력축(165)으로부터 예취 전동축(101)에 전달된다. 따라서, 주행기체(1)의 이동 속도에 상관 없이 저속측 일정 회전 기어로부터의 일정 회전수로 예취 입력축(17)을 작동시켜서 예취 작업을 유지할 수 있어 포장의 헤드랜드(headland)에서의 방향 전환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속 동조축(100) 및 고속측 변속 기어로부터의 차속 동조 출력의 최고속보다 빠른 일정 회전수의 회전 출력이 고속측 일정 회전 기어를 통해서 탈곡 선별 작업 입력축(165)으로부터 예취 전동축(101)에 전달된다. 따라서, 차속 동조 출력의 최고속보다 빠른 고속측 일정 회전 기어로부터의 일정 회전수로 예취 입력축(17)을 구동할 수 있어 쓰러진 곡간의 예취 작업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토크 리미터에 의해 설정한 토크 이하의 회전력으로 예취 입력축(17)을 구동시킴으로써 예취날(132)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카운터 기어 케이스(89)에는 탈곡 선별 작업 입력축(165)에 피드 체인 구동축(103)을 연결하는 유성 기어형 변속 구조의 피드 체인 동조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탈곡 선별 작업 입력축(165)의 회전 출력이 피드 체인 동조 기구에 의해 예취 전동축(101)의 회전수에 비례해서 변속되어 피드 체인 구동축(103)에 전달된다. 즉, 피드 체인 동조 기구를 통해서 피드 체인(6) 및 이어받기용 보조 밑동 반송 체인(136)을 작동하는 것에 의해서 곡간의 반송에 필요한 최저 회전수(저속측 일정 회전 기어로부터의 일정 회전수)를 확보하면서 피드 체인(6) 및 이어받기용 보조 밑동 반송 체인(136)의 곡간 반송 속도를 차속과 동조시켜서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입력축(17)에 세로 전동축(140) 및 가로 전동축(141) 및 좌측 반송 구동축(142)을 통해서 일으킴 가로 전동축(143)을 연결한다. 일으킴 가로 전동축(143)은 6조분의 각 일으킴 케이스(29)의 일으킴 타인 구동축(144)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분초체(225)의 후방이고 또한 분초 프레임(20)의 상방에 일으킴 케이스(129)가 세워 설치되고, 일으킴 케이스(129)의 배면 상부측으로부터 일으킴 타인 구동축(144)을 돌출시키고 있다. 일으킴 타인 구동축(144) 및 일으킴 가로 전동축(143)을 통해서 복수의 일으킴 타인(128)을 설치한 일으킴 타인 체인(128a)이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전동축(141)에 좌우의 크랭크축(145)을 통해서 좌우의 예취날(132)을 연결한다. 가로 전동축(141)을 통해서 좌우의 예취날(132)을 연동시켜서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예취날 장치(222)는 6조분의 예취 폭의 중앙부에서 분할해서 좌우의 예취날(132)을 형성하고, 좌우의 예취날(132)을 상반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고, 왕복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좌우의 예취날(132)의 진동(관성력)을 상쇄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입력축(17)에 세로 전동 케이스(18) 내의 세로 전동축(140)의 일단측을 연결한다. 세로 전동축(140)의 타단측에 가로 전동 케이스(19) 내의 가로 전동축(141)을 연결한다. 세로 전동축(140) 및 가로 전동축(141)으로부터 곡간 반송 장치(224)의 각 구동부에 예취 입력축(17)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즉, 세로 전동축(140)에는 우측 반송 구동축(146)을 연결하고 있다. 세로 전동축(140) 및 우측 반송 구동축(146)을 통해서 우측 밑동 반송 체인(133R)과, 우측 스타 휠(130R) 및 우측 레이킹 벨트(131R)와, 세로 반송 체인(134)을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세로 전동축(140) 중 우측 반송 구동축(146)보다 후방에는 후방측 반송 구동축(147)을 연결되어 있다. 세로 전동축(140) 및 후방측 반송 구동축(147)을 통해서 보조 밑동 반송 체인(135) 및 우측 이삭끝 반송 타인(137R)을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가로 전동축(141)의 좌단측에 좌측 반송 구동축(142)을 연결하고 있다. 좌측 반송 구동축(142)을 통해서 좌측 밑동 반송 체인(133L) 및 좌측 이삭끝 반송 타인(137L)과, 좌측 스타 휠(130L) 및 좌측 레이킹 벨트(131L)를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가로 전동축(141)에 중앙 반송 구동축(148)을 연결하고, 중앙 반송 구동축(148)을 통해서 중앙 밑동 반송 체인(133C) 및 중앙 이삭끝 반송 타인(137C)과, 중앙 스타 휠(130C) 및 중앙 레이킹 벨트(131C)를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5). 미션 케이스의 동력 전달 구조
이어서, 도 3 및 도 4 등을 참조해서 미션 케이스(88)의 동력 전달 구조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88)에 1쌍의 직진용 제 1 유압 펌프(55) 및 직진용 제 1 유압 모터(56)를 갖는 직진(주행 주변속)용 유압 무단 변속기(53)와, 1쌍의 선회용 제 2 유압 펌프(57) 및 선회용 제 2 유압 모터(58)를 갖는 선회용 유압 무단 변속기(54)를 설치한다. 제 1 유압 펌프(55)와 제 2 유압 펌프(57)에 미션 케이스(88)의 주행 입력축(152)을 각각 연결시켜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주행 입력축(152) 상에 주행 입력 풀리(155)를 설치하고, 주행 입력 풀리(155)에 주행 구동 벨트(151)를 걸어 감고 있다. 미션 케이스(88)에 PTO 축(99)을 배치하고 있다. PTO 축(99)은 직진용 모터 축(60) 및 주변속 출력용 카운터 축(70)을 통해서 제 1 유압 모터(56)에 의해 구동된다. 미션 케이스(88)로부터 이 왼쪽 외측에 PTO 축(99)의 일단측을 돌출되게 설치하고 있다. PTO 축(99) 상에 PTO 풀리(119)를 설치하고, PTO 풀리(119)에 PTO 벨트(120)를 걸어 감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14)의 출력축(150)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은 주행 구동 벨트(151) 및 주행 입력축(152)을 통해서 제 1 유압 펌프(55)의 펌프 축(59) 및 제 2 유압 펌프(57)의 펌프 축(59)에 각각 전달된다. 직진용 유압 무단 변속기(53)에서는 펌프 축(59)에 전달된 동력에 의해 제 1 유압 펌프(55)로부터 제 1 유압 모터(56)를 향해서 작동 오일이 적절하게 보내진다. 마찬가지로, 선회용 유압 무단 변속기(54)에서는 펌프 축(59)에 전달된 동력에 의해 제 2 유압 펌프(57)로부터 제 2 유압 모터(58)를 향해서 작동 오일이 적절하게 보내진다. 또한, 펌프 축(59)에는 유압 펌프(55,57) 및 유압 모터(56,58)에 작동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챠지 펌프(251)가 설치되어 있다.
직진용 유압 무단 변속기(53)는 운전 캐빈(10)에 배치된 주변속 레버(43)나 조종 핸들(11)의 조작량에 따라 제 1 유압 펌프(55)에 있어서의 경사판(55a)의 경사 각도를 변경 조절해서 제 1 유압 모터(56)로의 작동 오일의 토출 방향 및 토출량을 변경함으로써 제 1 유압 모터(56)로부터 돌출된 직진용 모터 축(60)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를 임의로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진용 모터 축(60)의 회전 동력은 직진 전달 기어(50)로부터 부변속 기구(51)에 전달된다. 부변속 기구(51)는 부변속 시프터(64)에 의해 스위칭하는 부변속 저속 기어(62) 및 부변속 고속 기어(63)를 갖는다. 레버 칼럼(47)에 배치된 부변속 스위치(44)의 조작에 의해 직진용 모터 축(60)의 출력 회전수를 저속 또는 고속이라는 2단계의 변속단으로 스위칭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부변속의 저속과 고속 사이에는 중립 위치(부변속의 출력이 0이 되는 위치)를 갖고 있다. 부변속 스위치(44)에는 저속 스위칭 버튼과 중립 스위칭 버튼과 고속 스위칭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속 스위칭 버튼, 중립 스위칭 버튼 또는 고속 스위칭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부변속 출력이 저속 출력, 중립 또는 고속 출력으로 택일적으로 스위칭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변속 기구(51)의 출력측에 설치된 주차 브레이크 축(65)(부변속 출력축)에는 습식 다판 디스크식의 주차 브레이크(66)가 설치되어 있다. 부변속 기구(51)로부터의 회전 동력은 주차 브레이크 축(65)에 고착된 부변속 출력 기어(67)로부터 좌우의 차동 기구(52)에 전달된다. 좌우의 차동 기구(52)는 유성 기어 기구(68)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축(65) 상에 직진용 펄스 발생 회전 바퀴체(92)를 설치하고, 직진용 펄스 발생 회전 바퀴체(92)에 직진용 픽업 회전 센서(93)(직진 차속 센서)를 대향시켜 배치하고, 직진용 픽업 회전 센서(93)에 의해 직진 출력의 회전수[직진 차속, 부변속 출력 기어(67) 출력]를 검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각 유성 기어 기구(68)는 1개의 태양 기어(71)와, 태양 기어(71)에 맞물리는 복수의 유성 기어(72)와, 유성 기어(72)에 맞물리는 링 기어(73)와, 복수의 유성 기어(72)를 동일 원주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는 캐리어(74)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유성 기어 기구(68)의 캐리어(74)는 동일 축선 상에 있어서 적절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시켜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태양 기어(71)가 설치된 태양 기어 축(75)에 센터 기어(76)를 고착하고 있다. 좌우의 각 링 기어(73)는 그 내주면의 내부 톱니를 복수의 유성 기어(72)에 맞물린 상태에서 태양 기어 축(75)에 동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각 링 기어(73)는 그 외주면의 외부 톱니를 좌우 선회 출력 기어(86)에 맞물리게 해서 중계 축(85)에 연결시키고 있다. 각 링 기어(73)는 캐리어(74)의 외측면으로부터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좌우의 강제 차동 출력축(77)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좌우의 강제 차동 출력축(77)에 파이널 기어(78a,78b)를 통해서 좌우의 차축(153)이 연결되어 있다. 좌우의 차축(153)에는 좌우의 구동 스프로킷(2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부변속 기구(51)로부터 좌우의 유성 기어 기구(68)에 전달된 회전 동력은 좌우의 차축(153)으로부터 각 구동 스프로킷(22)에 동일 방향의 동일 회전수로 전달되고, 좌우의 주행 크롤러(2)를 동일 방향의 동일 회전수로 구동해서 주행기체(1)를 직진(전진, 후퇴) 이동시킨다.
선회용 유압 무단 변속기(54)는 운전 캐빈(10)에 배치된 주변속 레버(43)나 조종 핸들(11)의 조작량에 따라 제 2 유압 펌프(57)에 있어서의 경사판(57a)의 경사 각도를 변경 조절해서 제 2 유압 모터(58)로의 작동 오일의 토출 방향 및 토출량을 변경함으로써 제 2 유압 모터(58)로부터 돌출된 선회용 모터 축(61)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를 임의로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조향 카운터 축(80) 상에 선회용 펄스 발생 회전 바퀴체(94)를 설치하고, 선회용 펄스 발생 회전 바퀴체(94)에 선회용 펄스 회전 센서(95)를 대향시켜 배치하고, 선회용 픽업 회전 센서(95)(선회 차속 센서)에 의해 제 2 유압 모터(58)의 조향 출력의 회전수(선회 차속)를 검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미션 케이스(88) 내에는 선회용 모터 축(61)(조향 입력축) 상에 설치하는 조향 브레이크(79)(선회 브레이크)와, 선회용 모터 축(61)에 감속 기어(81)를 통해서 연결하는 조향 카운터 축(80)과, 조향 카운터 축(80)에 감속 기어(86)를 통해서 연결하는 조향 출력축(85)과, 좌측 링 기어(73)에 역회전 기어(84)를 통해서 조향 출력축(85)을 연결하는 좌측 입력 기어 기구(82)와, 우측 링 기어(73)에 조향 출력축(85)을 연결하는 우측 입력 기어 기구(83) 를 설치하고 있다. 선회용 모터 축(61)의 회전 동력은 조향 카운터 축(80)에 전달된다. 조향 카운터 축(80)에 전달된 회전 동력은 좌측의 입력 기어 기구(82)의 좌측 중간 기어(87) 및 역회전 기어(84)를 통해서 역회전 회전 동력으로서 좌측 링 기어(73)에 전달되고, 우측의 입력 기어 기구(83)의 우측 중간 기어(87)를 통해서 정회전 회전 동력으로서 우측 링 기어(73)에 전달된다.
부변속 기구(51)를 중립으로 한 경우에는 제 1 유압 모터(56)로부터 좌우의 유성 기어 기구(68)로의 동력 전달이 저지된다. 부변속 기구(51)로부터 중립 이외의 부변속 출력시에 부변속 저속 기어(62) 또는 부변속 고속 기어(63)를 통해서 제 1 유압 모터(56)로부터 좌우의 유성 기어 기구(68)로 동력 전달된다. 한편, 제 2 유압 펌프(57)의 출력을 뉴트럴 상태로 하고, 또한 조향 브레이크(79)를 온 상태로 한 경우에는 제 2 유압 모터(58)로부터 좌우의 유성 기어 기구(68)로의 동력 전달이 저지된다. 제 2 유압 펌프(57)의 출력을 뉴트럴 이외의 상태로 하고, 또한 조향 브레이크(79)를 오프 상태로 한 경우에는 제 2 유압 모터(58)의 회전 동력이 좌측 입력 기어 기구(82) 및 역회전 기어(84)를 통해서 좌측 링 기어(73)에 전달되는 한편, 우측 입력 기어 기구(83)를 통해서 우측 링 기어(73)에 전달된다.
그 결과, 제 2 유압 모터(58)의 정회전(역회전)시에는 서로 역방향의 동일 회전수로 좌측 링 기어(73)가 역회전(정회전)하고, 우측 링 기어(73)가 정회전(역회전)한다. 즉, 각 모터 축(60,61)으로부터의 변속 출력은 부변속 기구(51) 또는 차동 기구(52)를 각각 경유해서 좌우의 주행 크롤러(2)의 구동 스프로킷(22)에 각각 전달되고, 주행기체(1)의 차속(주행 속도) 및 진행 방향이 결정된다. 즉, 제 2 유압 모터(58)를 정지시켜서 좌우측 링 기어(73)를 정지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 1 유압 모터(56)가 구동하면 직진용 모터 축(60)으로부터의 회전 출력은 좌우 태양 기어(71)에 좌우 동일 회전수로 전달되고, 유성 기어(72) 및 캐리어(74)를 통해서 좌우의 주행 크롤러(2)가 동일 방향의 동일 회전수로 구동되어 주행기체(1)가 직진 주행한다.
반대로, 제 1 유압 모터(56)를 정지시켜서 좌우 태양 기어(71)를 정지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 2 유압 모터(58)를 구동시키면 선회용 모터 축(61)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에 의해 좌측의 링 기어(73)가 정회전(역회전)하고, 우측의 링 기어(73)는 역회전(정회전)한다. 그 결과, 좌우의 주행 크롤러(2)의 구동 스프로킷(22) 중 한쪽이 전진 회전하고, 다른쪽이 후퇴 회전하고, 주행기체(1)는 그 자리에서 방향 전환[신지(信地) 선회 스핀턴]된다. 또한, 제 1 유압 모터(56)에 의해 좌우 태양 기어(71)를 구동하면서 제 2 유압 모터(58)에 의해 좌우 링 기어(73)를 구동함으로써 좌우의 주행 크롤러(2)의 속도에 차가 생기고, 주행기체(1)는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신지 선회 반경보다 큰 선회 반경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회(U턴)한다. 이 때의 선회 반경은 좌우의 주행 크롤러(2)의 속도차에 따라 결정된다.
(6). 콤바인의 유압 회로 구조
이어서, 도 5를 참조해서 콤바인의 유압 회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의 유압 회로(250)에는 직진용 제 1 유압 펌프(55) 및 제 1 유압 모터(56)와, 선회용의 제 2 유압 펌프(57) 및 제 2 유압 모터(58)와, 챠지 펌프(251)를 구비한다. 제 1 유압 펌프(55)와 제 1 유압 모터(56)가 폐쇄 루프 형상 직진 유로(252)에 의해 접속된다. 제 2 유압 펌프(57)와 제 2 유압 모터(58)가 폐쇄 루프 형상 선회 유로(253)에 의해 접속된다. 엔진(14)에 의해 제 1 유압 펌프(55) 및 제 2 유압 펌프(57)가 구동되고, 제 1 유압 펌프(55)의 경사판 각 제어 또는 제 2 유압 펌프(57)의 경사판 각 제어에 의해 제 1 유압 모터(56) 또는 제 2 유압 모터(58)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조종 핸들(11)의 수동 조작에 대응해서 전기적으로 스위칭하는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와, 상기 챠지 펌프(251)에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를 통해서 접속시키는 조향 실린더(271)를 구비한다. 조타각 센서(402)에 의해 검출된 조종 핸들(11)의 조타각에 대응해서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를 스위칭하면, 조향 실린더(271)가 작동해서 제 2 유압 펌프(57)의 경사판(57a) 각도를 변경시키고, 제 2 유압 모터(58)의 선회용 모터 축(61)의 회전수를 무단계로 변화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좌우 조향 동작을 행하게 하고, 주행 방향을 좌우로 변경해서 포장 헤드랜드에서 방향 전환하거나 진로를 수정한다. 또한, 조향용 유압 서보 기구(275)를 구비하고 있고, 경사판(57a)의 각도 조절 동작에 의해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가 중립 복귀하는 피드백 동작을 유압 서보 기구(275)에 의해 행하게 하고, 조종 핸들(11)의 조작량에 비례시켜 경사판(57a) 각도를 변화시키고, 제 2 유압 모터(58)의 선회용 모터 축(61)의 회전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주변속 레버(43)의 수동 조작에 대응해서 전기적으로 스위칭하는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와, 상기 챠지 펌프(251)에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를 통해서 접속시키는 변속 실린더(273)를 설치한다. 주변속 센서(401)에 의해 검출된 주변속 레버(43)의 조작량에 대응해서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를 스위칭하면, 변속 실린더(273)가 작동해서 제 1 유압 펌프(55)의 경사판(55a) 각도를 변경시키고, 제 1 유압 모터(56)의 직진용 모터 축(60)의 회전수를 무단계로 변화시키거나 역회전시키거나 하는 주행 변속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주행 변속용 유압 서보 기구(277)를 구비하고 있고, 경사판(55a)의 각도 조절 동작에 의해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가 중립 복귀하는 피드백 동작을 유압 서보 기구(277)에 행하게 하고, 주변속 레버(43)의 조작량에 비례시켜 경사판(55a) 각도를 변화시키고, 제 1 유압 모터(56)의 직진용 모터 축(60)의 회전수를 변경시키고, 주변속 레버(43)의 조작에 의해 직진용 모터 축(60)을 전후진 회전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장치(3)의 작동 속도를 스위칭하는 유압 예취 변속 실린더(280)와, 예취 장치(3)를 일정 회전 속도로 작동시키는 유압 예취 정속 실린더(281)를 구비한다. 유압 예취 변속 실린더(280) 및 유압 예취 정속 실린더(281)는 카운터 기어 케이스(89)의 상면 덮개(유로 베이스)에 배치한다. 예취 변속 실린더(280)를 작동시키는 예취 변속 밸브(282)와, 예취 정속 실린더(281)를 작동시키는 예취 정속 밸브(283)를 상기 챠지 펌프(251)에 병렬로 각각 유압 접속시킨다.
(7). 엔진, 미션 케이스 및 카운터 기어 케이스의 동력 전달 구조
이어서, 도 1~도 3 및 도 6~도 9를 참조하면서 엔진(14), 미션 케이스(88) 및 카운터 기어 케이스(89)의 동력 전달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기체(1)의 상면 우측에 엔진(14)이 탑재되고, 주행기체(1)에 있어서의 좌우 폭 중앙의 전방에 미션 케이스(88)가 설치되고, 주행기체(1)의 상면 좌측에 카운터 기어 케이스(89)가 배치되어 있다. 엔진(14)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출력축(150)의 좌측 단부에 출력 풀리(149)를 축지지하고, 미션 케이스(88)의 좌측 상부의 주행 입력 풀리(155)와 출력 풀리(149) 사이에 주행 구동 벨트(151)를 걸어 감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미션 케이스(88)의 각 유압 무단 변속기(53,54)에 엔진(14)의 출력이 각각 전달된다.
한편, 배출 오거(8)를 수납(비작업) 위치에 지지하는 기둥 형상 프레임(290)이 주행기체(1)의 상면에 세워 설치되고, 그 기둥 형상 프레임(290)의 기단부의 앞면에 베어링체(291)를 통해서 PTO 카운터 축(121)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PTO 카운터 축(121) 상의 PTO 카운터 풀리(122a)와, 미션 케이스(88)의 좌측 상부 중 주행 입력 풀리(155)보다 하측의 PTO 풀리(119) 사이에 PTO 벨트(120)를 걸어 감고 있다. 또한, PTO 카운터 축(121) 상의 PTO 카운터 풀리(122b)와, 카운터 기어 케이스(89)의 차속 동조축(100)에 고정된 차속 동조 풀리(104) 사이에 차속 동조 벨트(123)를 걸어 감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PTO 축(99)으로부터 차속 동조축(100)에 미션 케이스(88)의 차속 동조 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엔진(14)에 있어서의 출력축(150) 상의 출력 풀리(149)와, 카운터 기어 케이스(89)의 탈곡 선별 작업 입력축(165)에 고정된 탈곡 구동 풀리(118) 사이에 탈곡 구동 벨트(162)를 걸어 감고 있다. 또한, 탈곡 클러치(161)를 스위칭하는 탈곡 입력 액츄에이터로서의 탈곡 클러치용 전동 모터(175)를 구비한다. 탈곡 클러치용 전동 모터(175)를 작동시켜서 탈곡 클러치(161)를 온 작동시킴으로써 탈곡 구동 벨트(162)가 긴장 상태로 유지되고, 카운터 기어 케이스(89)에 엔진(14)의 출력이 전달되는 한편, 탈곡 클러치(161)의 오프 작동에 의해 탈곡 구동 벨트(162)가 이완 상태로 유지되고, 엔진(14)으로부터 카운터 기어 케이스(89)로의 출력 전달이 차단된다.
주행기체(1) 위 중 엔진(14)의 후방에 클러치 유닛 섀시(176)를 배치하고, 클러치 유닛 섀시(176)에 탈곡 클러치 온/오프 기구(177)를 장착함과 아울러, 클러치 유닛 섀시(176)에 탈곡 클러치용 전동 모터(175)를 설치한다. 탈곡 클러치(161)를 지지한 텐션 암(도시 생략)에 탈곡 클러치 온/오프 기구(177)를 통해서 탈곡 클러치용 전동 모터(175)가 연결되어 있다. 카운터 기어 케이스(89)에 축지지된 탈곡 선별 작업 입력축(165) 상의 탈곡 구동 풀리(118)를 사이에 두고 카운터 기어 케이스(89)와 반대측에 탈곡 클러치용 전동 모터(175)가 배치된다. 이 경우, 탈곡 클러치용 전동 모터(175) 또는 탈곡 클러치 온/오프 기구(177)가 설치되는 공간을 카운터 기어 케이스(89)측에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카운터 기어 케이스(89)의 우측에 근접시켜 탈곡 구동 풀리(118)를 지지시킬 수 있다. 탈곡 클러치용 전동 모터(175) 또는 탈곡 클러치 온/오프 기구(177) 등에 규제되는 일이 없고 탈곡 선별 작업 입력축(165)의 연장에 따른 베어링 구조의 고강성화 등을 불필요하게 하여 큰 변속비(감속비)를 설정할 수 있는 대경의 탈곡 구동 풀리(118)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8). 미션 케이스의 개략 구조
이어서, 주로 도 9~도 11 및 도 19~도 21을 참조하면서 미션 케이스(88)의 개략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행기체(1)에 있어서의 좌우 폭 중앙의 전방에 설치된 미션 케이스(88)는 상하에 길게 좌우로 분할 가능한 2개 나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2개 나눔 구조의 미션 케이스(88)는 복수의 볼트로의 체결에 의해 중공 대략 상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88)에 있어서의 좌우 일측면의 상부측(실시형태에서는 우측면 상부)에 직진용 및 선회용 유압 무단 변속기(53,54)를 내장하는 유압 변속 케이스(350)가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유압 변속 케이스(350) 내의 전방측에 직진용 유압 무단 변속기(53)[제 1 유압 펌프(55) 및 제 1 유압 모터(56)]가 위치하고, 유압 변속 케이스(350) 내의 후방측에 선회용 유압 무단 변속기(54)[제 2 유압 펌프(57) 및 제 2 유압 모터(58)]가 위치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88)의 내부에는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 부변속 기구(51)나 차동 기구(52)라는 기어 트레인이 수용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88)의 하부는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두 갈래 형상으로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대략 정면으로 바라봐서 대략 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88)의 좌우 양측면 하부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 기어 케이스(349)에는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차축 케이스(351)가 각각 볼트 체결되어 있다. 좌우의 차축 케이스(351) 내에 각각 차축(153)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각 차축(153)의 돌출 단부에 구동 스프로킷(22)이 부착되어 있다. 양 기어 케이스(349)의 저부는 미션 케이스(88)의 저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각 기어 케이스(349)로부터 돌출되는 좌우의 차축 케이스(351)보다 미션 케이스(88)의 저부가 높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88)의 저부의 맞춤면은 미션 케이스(88) 내부측에서의 볼트(389) 체결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미션 케이스(88)의 각 반할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그 형 분할의 방향을 반할체 전체에서 공통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형 분할 방향을 일방향을 할 수 있으므로) 형 분할을 단순화해서 제조 비용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미션 케이스(88) 저부의 외형 형상이 2개 나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연속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미션 케이스(88)(반할체끼리)의 체결 강성을 향상할 수 있고, 미션 케이스(88)로부터의 작동 오일 누설의 억제에 높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차축(153)의 돌출 단부 중 차축 케이스(351) 부근의 부위에는 스플라인부(390)가 형성되어 있다. 스플라인부(390)에는 구동 스프로킷(22)의 회전 중심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고 또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피감(被嵌)(스플라인 감합)되어 있다. 스플라인부(390)보다 더욱 외측의 볼트부(391)에 내주측에 패킹(393)을 갖는 빠짐 방지 컬러(392)를 피감하고나서 너트(394)를 나사 삽입함으로써 구동 스프로킷(22)이 차축(153)의 돌출 단부로부터 좌우 빠짐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빠짐 방지 컬러(392)에 있어서의 패킹(393)의 존재에 의해 차축(153)의 스플라인부(390)와 구동 스프로킷(22)의 회전 중심부 사이에 흙탕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차축 케이스(351) 선단측의 개구 부분은 스플라인부(390) 중 차축 케이스(351)측의 근원부에 피감된 슬리브 패킹(sleeve packing)(395) 및 환상 시일체(396)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슬리브 패킹(395)은 차축(153) 방향 양측으로 돌출하는 외측 방향 립부(395a)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슬리브 패킹(395)의 차축(153) 방향의 두께 치수는 환상 시일체(396)의 두께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외측 방향 립부(395a)는 구동 스프로킷(22)의 회전 중심부측과, 차축(153)을 축지지하는 베어링체(397)측의 고정 링(398)에 밀접하고 있다. 이들 외측 방향 립부(395a)의 밀접 구조에 의해 차축 케이스(351) 내로의 흙탕물의 침입이나 베어링체(397) 등으로부터의 그리스 누설이 억제되어 차축 케이스(351)의 시일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런데, 도 6~도 9 및 도 19~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88) 중 유압 변속 케이스(350)와 반대측의 측면(실시형태에서는 좌측면 상부)으로부터는 제 1 유압 펌프(55) 및 제 2 유압 펌프(57)로 동력 전달할 수 있게 연결되는 주행 입력축(152)이 가로 방향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행 입력축(152)의 돌출 단부에 고정된 주행 입력 풀리(155)에 엔진(14)의 출력 풀리(149)에 감아 걸어진 주행 구동 벨트(151)가 걸어 감겨져 있다. 미션 케이스(88)의 좌측면 상부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PTO 축(99)의 돌출 단부측에 PTO 풀리(119)가 설치되어 있다. PTO 풀리(119)는 주행 입력 풀리(155)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PTO 풀리(119)와 그 후방에 위치하는 PTO 카운터 풀리(112a)에 PTO 벨트(120)가 감아 걸어져 있다. PTO 풀리(119)와 PTO 카운터 풀리(122a) 사이에는 PTO 벨트(120)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해서 PTO 벨트(120)를 긴장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텐션 풀리(352)가 설치되어 있다. 텐션 풀리(352)는 기둥 형상 프레임(290)의 베어링체(291)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스프링 바이어싱에 의해 PTO 벨트(120)를 항상 긴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88)의 좌측면부 중 PTO 축(99)보다 하방에는 미션 케이스(88) 내의 직진용 펄스 발생 회전 바퀴체(92)에 관련시킨 직진 출력 검출 수단으로서의 직진용 픽업 회전 센서(93)(직진 차속 센서)와, 동일하게 선회용 펄스 발생 회전 바퀴체(94)에 관련시킨 선회 출력 검출 수단으로서의 선회용 픽업 회전 센서(95)(선회 차속 센서)가 일부를 외측 방향으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픽업 회전 센서(93,95)는 전후에 배열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양 픽업 회전 센서(93,95)는 PTO 축(99)과 미션 케이스(88)의 좌측 돌출 하부 사이에 있고, 직진용 픽업 회전 센서(93)가 전방측에, 선회용 픽업 회전 센서(95)가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88)의 좌측면부 중 양 픽업 회전 센서(93,95)의 개소에는 우측면측 및 하면측을 개방한 대략 덮개 형상의 가드판(353)이 볼트 체결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양 픽업 회전 센서(93,95)의 외주측은 가드판(353)에 의해 덮여져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단일의 가드판(353)에 의해 양쪽의 픽업 회전 센서(93,95)를 주행 크롤러(2)가 감아 올린 진흙 등으로부터 간단히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부품점수 억제 및 장착 작업 공정수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각 픽업 회전 센서(93,95)의 하니스(도시 생략)도 광범위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가드판(353)의 상면부는 전저후고(前低後高) 형상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드판(353) 상에 오른 진흙 등은 경사 형상의 상면부를 미끄러져 떨어지기 쉬워져 가드판(353) 상으로의 진흙 등의 퇴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가드판(353)의 우측면측은 미션 케이스(88)의 좌측면부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가드판(353)의 하면측은 미션 케이스(88)의 좌측 돌출 하부의 상면측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또한, 가드판(353)의 좌우 폭 치수는 정면으로 바라봐서 미션 케이스(88)의 좌측면부와 PTO 풀리(119) 사이에 가드판(353)이 수용될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으로 바라봐서 가드판(353) 중 텐션 풀리(352)와 겹치는 부위는 미션 케이스(88)에 있어서의 PTO 축(99)측의 좌우 일측면(실시형태에서는 좌측면부)을 향해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내측 방향을 절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가드판(353)과 텐션 풀리(352)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미션 케이스(88)로부터의 동력 전달 계통(PTO)에 관해서 좌우 폭방향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텐션 풀리의 근방에 위치하게 되는 승강용 유압 실린더(4)와의 간섭 회피의 점에서도 효과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88)의 우측면 상부에 볼트 체결된 유압 변속 케이스(350) 내의 전방측에 직진용 유압 무단 변속기(53)[제 1 유압 펌프(55) 및 제 1 유압 모터(56)]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변속 케이스(350) 내의 후방측에는 선회용 유압 무단 변속기(54)[제 2 유압 펌프(57) 및 제 2 유압 모터(58)]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변속 케이스(350)의 전방부측에는 제 1 유압 펌프(55)의 경사판(55a)에 대한 변속 실린더(273)를 작동시키는 전기적 액츄에이터로서의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가 유압 변속 케이스(350) 내의 유압 회로(250)(도 5 참조)에 연통하도록 장착되어 유닛화되어 있다. 또한, 유압 변속 케이스(350)의 앞면측에는 제 1 유압 펌프(55)의 경사판(55a)을 수동 조작해서 제 1 유압 모터(56)로의 작동 오일의 토출 방향 및 토출량을 수동으로 변경하는 직진용 긴급 수동 조작구로서의 직진 조작축(355)이 앞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직진 조작축(355)을 그 축심 주위에서 회동 조작하면 제 1 유압 펌프(55)의 경사판(55a)의 경사 각도가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의 전기적 제어와는 별개 독립하여 변경되고, 제 1 유압 모터(56)로의 작동 오일의 토출 방향 및 토출량이 변경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직진 조작축(355)과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가 유압 변속 케이스(350)의 앞면측에 좌우에 배열해서 배치되어 있다.
유압 변속 케이스(350)의 후방부측에는 제 2 유압 펌프(57)의 경사판(57a)에 대한 조향 실린더(271)를 작동시키는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가 유압 변속 케이스(350) 내의 유압 회로(250)(도 5 참조)에 연통하도록 장착되어 유닛화되어 있다. 또한, 유압 변속 케이스(350)의 후면측에는 제 2 유압 펌프(57)의 경사판(57a)을 수동 조작해서 제 2 유압 모터(58)로의 작동 오일의 토출 방향 및 토출량을 수동으로 변경하는 선회용의 긴급 수동 조작구로서의 선회 조작축(356)이 뒤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선회 조작축(356)을 그 축심 주위에서 회동 조작하면, 제 2 유압 펌프(57)의 경사판(57a)의 경사 각도가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의 전기적 제어와 별개 독립하여 변경되고, 제 2 유압 모터(58)로의 작동 오일의 토출 방향 및 토출량이 변경되게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선회 조작축(356)과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가 유압 변속 케이스(350)의 후면측에 좌우에 배열해서 배치되어 있다.
도 6~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88)의 일측방(실시형태에서는 좌측방)에 주행기체(1)의 발판(357)이 위치하고 있다. 발판(357)과 미션 케이스(88) 사이에 유압 변속 케이스(350)가 위치하고 있다. 발판(357)에 있어서 프레임으로 둘러싸여진 내부에는 배터리(358)가 탑재되어 있다. 발판(357)의 배터리 수용 공간(359)은 좌우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발판(357)의 좌측으로부터 바라봐서 유압 변속 케이스(350) 앞면측의 직진 조작축(355)을 발판(357)의 배터리 수용 공간(359)으로 향하게 하고 있다. 발판(357)의 좌측으로부터 배터리 수용 공간(359)에 손을 넣어서 유압 변속 케이스(350) 앞면측의 직진 조작축(355)을 주행기체(1)의 외측으로부터 수동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9 참조).
후술하는 변속 조향 컨트롤러(400)의 지령에 의거한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직진용 유압 무단 변속기(53)의 변속 출력량을 조절할 때에는 직진 조작축(355)이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의 스위칭 동작에 연동해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변속 조향 컨트롤러(400)의 지령에 의거한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변속 실린더(273)가 작동해서 제 1 유압 펌프(55)의 경사판(55a) 각도가 변경된다. 그렇게 하면, 경사판(55a) 각도의 변경에 따라 직진 조작축(355)이 자동적으로[경사판(55a)에 연동해서] 그 축심 주위에서 회동한다. 즉,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와 직진 조작축(355)의 동작이 제 1 유압 펌프(55)의 경사판(55a)을 통해서 연동하게 된다.
또한, 변속 조향 컨트롤러(400)의 지령에 의거한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선회용 유압 무단 변속기(54)의 변속 출력량을 조절할 때에는 선회 조작축(356)이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의 스위칭 동작에 연동해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변속 조향 컨트롤러(400)의 지령에 의거한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조향 실린더(271)가 작동해서 제 2 유압 펌프(57)의 경사판(57a) 각도가 변경된다. 그렇게 하면, 경사판(57a) 각도의 변경에 따라 선회 조작축(355)이 자동적으로[경사판(57a)에 연동해서] 그 축심 주위에서 회동한다. 즉,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와 선회 조작축(356)의 동작이 제 2 유압 펌프(57)의 경사판(57a)을 통해서 연동하게 된다.
각 조작축(355,356)은 통상에 있어서 조작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변속 조향 컨트롤러(4000)에 이상이 발생되는 등, 변속 조향 제어에 관계되는 전기 계통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에 조작하는 긴급 회피용의 것이다. 이러한 전기계 문제가 발생된 경우이여도 각 조작축(355,356)을 수동 회동 조작하면, 주변속 레버(43)나 조종 핸들(11)이 효과가 없는 상태에서, 예컨대 포장으로부터만이라도 콤바인을 탈출시키는 림프홈 운전(축퇴 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콤바인에 있어서 긴급 사태에의 대처의 선택지가 증가되어 콤바인의 취급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림프홈 운전에서는 우선 콤바인을 전후진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때문에, 발판(357)의 좌측으로부터 바라봐서 유압 변속 케이스(350) 앞면측의 직진 조작축(355)을 발판(357)의 배터리 수용 공간(359)으로 향하게 하여 적어도 직진 조작축(355)을 주행기체(1)의 외측으로부터 수동 조작할 수 있게 하고 있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진 조작축(355)의 돌출 단부측에는 직진 조작축(355)의 수동 회동 조작을 하기 쉽게 하는 직진 레버 표시기(36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선회 조작축(356)의 돌출 단부측에는 선회 조작축(356)의 수동 회동 조작을 하기 쉽게 하는 선회 레버 표시기(36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직진 레버 표시기(361)는 직진 조작축(355)과 함께, 직진용 긴급 수동 조작구(동작 표시체)를 구성할 수 있고, 선회 레버 표시기(362)도 선회 조작축(356)과 함께, 선회용 긴급 수동 조작구(동작 표시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나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직진용 유압 무단 변속기(53) 또는 선회용 유압 무단 변속기(54)의 변속 출력량을 조절함에 있어서 상술한 각 레버 표시기(361,362)를 장착해 두면 각 레버 표시기(361,362)의 동작으로부터 각 유압 펌프(55,57)의 경사판(55a,57a) 각도, 나아가서는, 각 유압 무단 변속기(53,54)의 작동 상태를 간단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주변속 레버(43) 및 조종 핸들(11)과, 양 유압 무단 변속기(53,54)의 사이에 기계적인 연결 구조를 구비하지 않고 이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경우에 있어서 주변속 레버(43) 및 조종 핸들(11)과 양 유압 무단 변속기(53,54)에 관한 동작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기 쉬워진다.
실시형태에서는 각 조작축(355,356)을 수동 회동 조작했을 경우에 그 전기적 제어(변속 조향 제어)를 금지함으로써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 및 전기 유압형 조향 밸브(270)의 스위칭 동작에 의거한 각 유압 무단 변속기(53,54)의 변속 출력 조절을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속 조향 제어의 실행중에 있어서 어느 한쪽의 조작축(355,356)이 수동으로 회동 조작되면, 상술한 변속 조향 제어를 강제적으로 종료하고, 주변속 레버(43)나 조종 핸들(11)의 조작량에 따른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 및 전기 유압형 조향 밸브(270)의 스위칭 동작을 불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콤바인의 전원을 일단 오프로 하고 다시 온으로 하지 않으면 변속 조향 제어로 복귀하지 않는 설정이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조작축(355,356)을 수동 회동 조작했을 경우에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 및 전기 유압형 조향 밸브(270)에 의한 각 유압 무단 변속기(53,54)의 변속 출력 조절이 병존하는 것은 없어지므로, 각 유압 무단 변속기(53,54), 나아가서는, 주행기체(1)가 작업자의 의도에 반해서 불안정한 거동을 할 우려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각 조작축(355,356)을 수동 회동 조작할 때의 주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 오일 탱크로서도 기능하는 미션 케이스(88)의 좌측면 중 PTO 풀리(119)의 전방에는 작동 오일 공급용 급유구(365)가 형성되어 있다. 급유구(365)는 착탈 가능한 급유 캡(366)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또한, 미션 케이스(88)의 좌측면에 있어서 급유구(365)의 하방이고 또한 PTO 풀리(119)보다 낮은 위치에는 미션 케이스(88) 내의 작동 오일량을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오일 검사 창(367)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전 점검시나 작동 오일 교환시에 오일 검사 창(367)을 보면 미션 케이스(88) 내의 작동 오일량이 오일 검사 창(367)의 높이 위치까지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의 오일 검사 창(367)은 좌측 기어 케이스(349)나 가드판(353)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작동 오일을 교환하거나 보충하는 경우에는 세로축(300)을 중심으로 해서 예취 장치(3)를 가로 외측방으로 개방 회동시킨 상태에서 미션 케이스의 좌측면에 있는 급유구(365) 및 오일 검사 창(367)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급유 캡(366)을 개폐 조작하고, 급유구(365)와 동일 측면에 있는 오일 검사 창(367)을 보면서 급유구(365)로부터 미션 케이스(88) 내로 작동 오일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서는 작동 오일 탱크를 겸하는 미션 케이스(88)의 상하 방향의 중도 높이 위치에 급유구(365)가 있으므로 급유구(365)의 바로밑까지, 즉, 도 10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최대 오일면 높이(Hm)까지밖에 급유할 수 없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88)의 우측면에 있어서 오일 검사 창(367)의 후방이고 또한 PTO 풀리(119)보다 낮은 위치에는 작동 오일을 여과하기 위한 석션 필터(368)가 조립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석션 필터(368)는 우측 기어 케이스(349)의 후방이고 또한 그 근방에 위치하고, 미션 케이스(88)의 바닥측의 작동 오일을 여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일 검사 창(367)과 석션 필터(368)는 미션 케이스(88) 내부의 하측에 있는 차동 기구(52)를 사이에 두고 전후 좌우로 서로 대향하는 개소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석션 필터(368)는 상하로 연장되는 석션 호스(369)를 통해서 유압 변속 케이스의 외면에 부착된 챠지 펌프(251)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챠지 펌프(251)는 제 2 유압 펌프(57)의 펌프 축(59)에 의해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88)의 바닥측의 작동 오일은 챠지 펌프(251)의 구동에 의해 석션 필터(368) 및 석션 호스(369)를 통해서 챠지 펌프(251)에 흡입되어 유압 회로(250)의 각 유로(252,253,257) 등에 공급된다.
(9). 유압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유압 서보 기구 및 그 주변 구조
이어서, 주로 도 22~도 25를 참조하면서 유압 무단 변속기(53,54)에 있어서의 유압 서보 기구(277,275) 및 그 주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행 변속용[제 1 유압 펌프(55)용]의 유압 서보 기구(277) 및 조향용[제 2 유압 펌프(57)용]의 유압 서보 기구(275)는 유압 변속 케이스(350)의 전후에 대해서 전후 대칭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모두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변속 케이스(350)의 전방부측에 주행 변속용 유압 서보 기구(277)가 내장되어 있다. 주행 변속용 유압 서보 기구(277)는 조절 실린더로서의 변속 실린더(273)와, 상기 변속 실린더(273)의 내부에 배치되고 또한 변속 스풀(440)을 갖는 전자 유압형 변속 펄프(272)를 구비하고 있다. 변속 실린더(273)의 변속 실린더실(441)은 유압 변속 케이스(350)의 전방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변속 실린더(273)의 변속 피스톤(442)은 변속 실린더실(441) 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변속 피스톤(442)의 측면에는 제 1 유압 펌프(55)의 경사판(55a)으로부터 돌출된 핀 축(443)을 감합시키고 있다. 변속 피스톤(442)의 축심 부분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 내에 전자 유압형 변속 펄프(272)의 변속 스풀(44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변속 피스톤(442)에는 변속 실린더실(441)의 상부와 하부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는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의 스위칭 동작에 의거한 변속 스풀(440)의 상하 슬라이딩에 의해 연통되거나 또는 차단되고, 변속 피스톤(442)에 있어서의 상하의 오일실에 작동 오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하 오일실에 작동 오일을 공급한 결과, 변속 피스톤(442)이 변속 실린더실(441) 내에서 상하 슬라이딩하고, 제 1 유압 펌프(55)의 경사판(55a) 각도가 변경되게 된다.
도 22~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변속 케이스(350)의 앞면측에는 변속 실린더실(441) 근방에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를 스위칭 작동시키는 비례 제어 밸브(445)를 내장한 비례 제어 하우징(444)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비례 제어 하우징(444) 내에 있는 비례 제어 밸브(445)의 비례 제어 스풀(446)은, 변속 피스톤(442)과 마찬가지로, 상하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속 스풀(440)과 비례 제어 스풀(446)은 스풀 조작 암(447)의 일단측에 설치된 연계 핀(448)을 통해서 연동 이동(상하 슬라이딩)하도록 관련되어 있다(연동 연결되어 있다). 즉, 변속 스풀(440)의 하부에 연계 핀(448)의 일단측을 맞물리게 하고, 연계 핀(448)의 타단측을 비례 제어 스풀(446)의 상하 중도부에 맞물리게 하고 있다. 비례 제어 하우징(444)에는 비례 제어 스풀(446)을 상하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449)가 설치되어 있다.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449)는 주변속 레버(43)를 조작했을 때에 여자하여 그 조작량에 비례해서 비례 제어 스풀(446)을 상하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계 핀(448)의 길이 중도부는 스풀 조작 암(447)의 일단측에 고정되어 있다. 스풀 조작 암(447)의 타단측에는 수동으로 회동 조작 가능한 직진 조작축(355)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직진 조작축(355)은 비례 제어 하우징(444)의 앞면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주변속 레버(43)의 조작량에 대응해서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449)가 비례 제어 스풀(446)을 상하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연계 핀(448)을 통해서 변속 스풀(440)이 마찬가지로 상하 슬라이딩하고, 변속 실린더(273)의 변속 피스톤(442)을 작동시키고, 제 1 유압 펌프(55)의 경사판(55a) 각도가 변경된다. 이 경우, 양 스풀(440,446)의 동작(상하 슬라이딩)에 연동해서 연계 핀(448)이 상하 이동하기 때문에 스풀 조작 암(447)은 직진 조작축(355) 주위에서[직진 조작축(355)을 회동 지점으로 해서] 상하 회동한다. 그 결과, 직진 조작축(355)은 변속 스풀(440)의 동작에 맞춰서 그 축심 주위에서 회동하게 된다. 반대로, 직진 조작축(355)을 수동으로 회동 조작했을 경우에는 스풀 조작 암(447)이 직진 조작축(355)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해서 연계 핀(448)을 상하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변속 스풀(440)이 상하 슬라이딩해서 변속 실린더(273)의 변속 피스톤(442)을 작동시키고, 제 1 유압 펌프(55)의 경사판(55a) 각도가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의 전기적 제어와 별개 독립하여 변경되며, 제 1 유압 모터(56)로의 작동 오일의 토출 방향 및 토출량이 변경되게 된다.
한편,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변속 케이스(350)의 후방부측에 조향용 유압 서보 기구(275)가 내장되어 있다. 조향용 유압 서보 기구(275)는 조절 실린더로서의 조향 실린더(271)와, 상기 조향 실린더(271)의 내부에 배치되고 또한 조향 스풀(450)을 갖는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를 구비하고 있다. 조향 실린더(271)의 조향 실린더실(451)은 유압 변속 케이스(350)의 후방부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조향 실린더(271)의 조향 피스톤(452)은 조향 실린더실(451) 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조향 피스톤(452)의 측면에는 제 2 유압 펌프(57)의 경사판(57a)으로부터 돌출된 핀 축(453)을 감합시키고 있다. 조향 피스톤(452)의 축심 부분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 내에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의 조향 스풀(45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조향 피스톤(452)에는 조향 실린더실(451)의 상부와 하부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는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의 스위칭 동작에 의거한 조향 스풀(450)의 상하 슬라이딩에 의해 연통되거나 또는 차단되고, 조향 피스톤(452)에 있어서의 상하의 오일실에 작동 오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하 오일실에 작동 오일을 공급한 결과, 조향 피스톤(452)이 조향 실린더실(451) 내에서 상하 슬라이딩하고, 제 2 유압 펌프(57)의 경사판(57a) 각도가 변경되게 된다.
도 22~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변속 케이스(350)의 후면측에는 조향 실린더실(451) 근방에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를 스위칭 작동시키는 비례 제어 밸브(455)를 내장한 비례 제어 하우징(454)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비례 제어 하우징(454) 내에 있는 비례 제어 밸브(455)의 비례 제어 스풀(456)은, 조향 피스톤(452)과 마찬가지로, 상하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향 스풀(450)과 비례 제어 스풀(456)은 스풀 조작 암(457)의 일단측에 설치된 연계 핀(458)을 통해서 연동 이동(상하 슬라이딩)하도록 관련되어 있다(연동 연결되어 있다). 즉, 조향 스풀(450)의 하부에 연계 핀(458)의 일단측을 맞물리게 하고, 연계 핀(458)의 타단측을 비례 제어 스풀(456)의 상하 중도부에 맞물리게 하고 있다. 비례 제어 하우징(454)에는 비례 제어 스풀(456)을 상하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459)가 설치되어 있다(도 10 참조).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459)는 조종 핸들(11)을 조작했을 때에 여자하여 그 조작량에 비례해서 비례 제어 스풀(456)을 상하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계 핀(458)의 길이 중도부는 스풀 조작 암(457)의 일단측에 고정되어 있다. 스풀 조작 암(457)의 타단측에는 수동으로 회동 조작 가능한 선회 조작축(356)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선회 조작축(356)은 비례 제어 하우징(454)의 후면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조종 핸들(11)의 조작량에 대응해서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459)가 비례 제어 스풀(456)을 상하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연계 핀(458)을 통해서 조향 스풀(450)이 마찬가지로 상하 슬라이딩하고, 조향 실린더(271)의 조향 피스톤(452)을 작동시켜 제 2 유압 펌프(57)의 경사판(57a) 각도가 변경된다. 이 경우, 양 스풀(450,456)의 동작(상하 슬라이딩)에 연동해서 연계 핀(458)이 상하 이동하기 때문에 스풀 조작 암(457)은 선회 조작축(356) 주위에서[선회 조작축(356)을 회동 지점으로 해서] 상하 회동한다. 그 결과, 선회 조작축(356)은 조향 스풀(450)의 동작에 맞춰서 그 축심 주위에서 회동하게 된다. 반대로, 선회 조작축(356)을 수동으로 회동 조작한 경우에는 스풀 조작 암(457)이 선회 조작축(356)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해서 연계 핀(458)을 상하 이동시킨다. 이 때문에, 조향 스풀(450)이 상하 슬라이딩해서 조향 실린더(271)의 조향 피스톤(452)을 작동시키고, 제 2 유압 펌프(57)의 경사판(57a) 각도가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의 전기적 제어와 별개 독립하여 변경되며, 제 2 유압 모터(58)로의 작동 오일의 토출 방향 및 토출량이 변경되게 된다.
(10). 콤바인의 변속 조향 제어
이어서,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서 콤바인[주행기체(1)]의 변속 조향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행기체(1)에 탑재된 제어 수단으로서의 변속 조향 컨트롤러(400)는 주변속 레버(43)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주변속 센서(401) 및 조종 핸들(11)의 조타각을 검출하는 조타각 센서(402)의 검출 정보에 의거해서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 및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를 스위칭 조작해서 주행기체(1)의 차속 및 진행 방향을 조절하는 변속 조향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다. 즉, 실시형태에서는 주변속 레버(43) 및 조종 핸들(11)과, 양 유압 무단 변속기(53,54)의 사이에 기계적인 연결 구조를 구비하지 않고 이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스티어 바이 와이어(steer-by-wire) 방식의 변속 조향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다. 상세한 것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변속 조향 컨트롤러(400)는 각종 연산 처리나 제어를 실행하는 CPU 외에 제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EEPROM, 플래시 메모리, 제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시키는 RAM,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하고 있다.
변속 조향 컨트롤러(400)의 입력측에는 적어도 주변속 레버(43)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주변속 센서(401), 조종 핸들(11)의 조타각을 검출하는 조타각 센서(402), 부변속 출력을 저속 출력, 중립 또는 고속 출력으로 택일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부변속 스위치(44), 탈곡 클러치(161)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탈곡 스위치(403), 예취 변속 조작 수단(예취 변속 클러치)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예취 스위치(404), 엔진(14)의 회전 속도[출력축(150)의 캠축 위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 속도 센서(405), 제 1 유압 모터(56)의 직진 출력의 회전수[직진 차속, 부변속 출력 기어(67) 출력], 즉 직진용 유압 무단 변속기(53)의 변속 출력량을 검출하는 직진용 픽업 회전 센서(93)(직진 차속 센서), 제 2 유압 모터(58)의 조향 출력의 회전수(선회 차속), 즉 선회용 유압 무단 변속기(54)의 변속 출력량을 검출하는 선회용 픽업 회전 센서(95)(선회 차속 센서) 등이 접속되어 있다.
변속 조향 컨트롤러(400)의 출력측에는 적어도 제 1 유압 펌프(55)의 경사판(55a)에 대한 변속 실린더(273)를 작동시키는 전기적 액츄에이터로서의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 제 2 유압 펌프(57)의 경사판(57a)에 대한 조향 실린더(271)를 작동시키는 전기적 액츄에이터로서의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 예취 변속 실린더(280)를 작동시키는 예취 변속 밸브(282), 예취 정속 실린더(281)를 작동시키는 예취 정속 밸브(283), 탈곡 클러치(161)를 온/오프 작동시키는 탈곡 클러치용 전동 모터(175) 등이 접속되어 있다.
주변속 레버(43)의 수동 조작에 대응해서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를 전기적으로 스위칭 작동시킴으로써 변속 실린더(273)가 작동해서 제 1 유압 펌프(55)의 경사판(55a) 각도를 변경시키고, 제 1 유압 모터(56)의 직진용 모터 축(60)의 회전수를 무단계로 변화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주행 변속 동작(전후진 스위칭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조종 핸들(11)의 수동 조작에 대응해서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를 전기적으로 스위칭 작동시킴으로써 조향 실린더(271)가 작동해서 제 2 유압 펌프(57)의 경사판(57a) 각도를 변경시키고, 제 2 유압 모터(58)의 선회용 모터 축(61)의 회전수를 무단계로 변화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좌우 조향 동작을 행하게 하고, 주행 방향을 좌우로 변경해서 포장 헤드랜드에서 방향 전환하거나 진로를 수정한다. 또한, 조종 핸들(11)의 중립 조작(직진 유지 조작) 및 부변속 기구(51)의 중립 동작에 의해 조향 브레이크(79)가 선회용 모터 축(61)을 정지 상태(회전 불가능 상태)로 유지해서 제 2 유압 모터(58)의 출력을 정지하여 선회 출력을 정지시킨다.
도 28의 플로우 차트에 나타내는 변속 조향 제어에 있어서 변속 조향 컨트롤러(400)는 주변속 센서(401), 조타각 센서(402) 및 부변속 스위치(44)의 검출값을 판독하고(S1), 또한, 부변속 스위치(44)를 중립 조작해 두면(S2: 예), 선회 출력 정지 제어를 행하여 조향 브레이크(79)를 제동시켜서 제 2 유압 모터(58)를 정지시킨다(S3). 부변속 스위치(44)를 중립 이외로 조작하고 있으면(S2: 아니오), 이어서, 주변속 레버(43)가 중립 위치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4). 주변속 레버(43)가 중립 위치에 있으면(S4: 예), 상술한 선회 출력 정지 제어(S3)를 실행한다. 주변속 레버(43)를 중립 위치 이외로 조작하고 있으면(S4: 아니오), 이어서, 조종 핸들(11)의 조타각을 판별하고(S5), 조종 핸들(11)이 중립 위치(직진 유지 위치)에 있으면(S5: 예), 주변속 레버(43)의 조작량에 따라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를 전기적으로 스위칭 작동시키고, 주행기체(1)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직진 주행시키는 변속 주행 제어를 실행한다(S6). 조종 핸들(11)을 중립 이외의 위치에 조작하고 있으면(S5: 아니오), 주변속 레버(43) 및 조종 핸들(11)의 조작량에 따라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270)를 전기적으로 스위칭 작동시키고, 주행기체(1)의 주행 방향을 좌우로 변경하는 좌우 조향 제어를 실행한다(S7).
그 다음, 어느 한쪽의 조작축(355,356)이 수동으로 회동 조작되면(S8ㆍ예), 변속 조향 컨트롤러(400)는 상술의 변속 조향 제어를 강제적으로 종료하고(S9), 주변속 레버(43)나 조종 핸들(11)의 조작량에 따른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 및 전기 유압형 조향 밸브(270)의 스위칭 동작을 불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콤바인의 전원을 일단 오프로 하고 다시 온으로 하지 않으면 변속 조향 제어로 복귀하지 않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조작축(355,356)을 수동 회동 조작했을 경우에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272) 및 전기 유압형 조향 밸브(270)에 의한 각 유압 무단 변속기(53,54)의 변속 출력 조절이 병존하는 것은 없어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유압 무단 변속기(53,54), 나아가서는, 주행기체(1)가 작업자의 의도에 반해서 불안정한 거동을 할 우려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각 조작축(355,356)을 수동 회동 조작할 때의 주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11). 미션 케이스의 내부 구조
이어서, 주로 도 22~도 25를 참조하면서 미션 케이스(88)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88) 내의 저부측에 차동 기구(52)를 구성하는 유성 기어 기구(68)가 배치되고, 유성 기어 기구(68)의 상방에 부변속 기구(51)와 중계 축(85)이 전후에 배열해서 배치되어 있다. 유성 기어 기구(68)와 중계 축(85)의 상하 방향 사이이고 또한 후방측에 역회전 기어(84)의 회전축이 배치되어 있다. 유성 기어 기구(68)와 중계 축(85)의 전후 방향 사이이고 또한 상방측에 주변속 출력용 카운터 축(70)이 배치되고, 주변속 출력용 카운터 축(70)의 후방측에는 조향 카운터 축(80)이 배치되어 있다. 주변속 출력용 카운터 축(70)의 상방측에는 직진용 모터 축(60)이 배치되고, 조향 카운터 축(80)의 상방측에는 선회용 모터 축(61)이 배치되어 있다. 선회용 모터 축(61) 상에 습식 브레이크로서의 조향 브레이크(79)와 감속 기어(81)가 설치되어 있다. 직진용 모터 축(60)의 상방측에는 제 1 유압 펌프(55)의 펌프 축(59)이 배치되고, 선회용 모터 축(61)의 상방측에는 제 2 유압 펌프(57)의 펌프 축(59)이 배치되어 있다. 양 펌프 축의 전후 방향 사이이고 또한 상방측에 주행 입력축(15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88) 내의 저부 중 유성 기어 기구(68)의 후방측에는 석션 필터(368)에 연통하는 오일 스트레이너(oil strainer)(430)가 배치되어 있다. 오일 스트레이너(430)의 주위는 미션 케이스(88) 내의 저부에 형성된 칸막이 리브(431)로 둘러싸여져 있다. 칸막이 리브(431)의 상면측에는 작동 오일 도입용 도입 구멍(4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일 스트레이너(430)를 칸막이 리브(431)에 의해 유성 기어 기구(68)로부터 차단해서 오일 스트레이너(430) 주변의 작동 오일이 유성 기어 기구(68)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성 기어 기구(68)의 회전(교반)에 의해 작동 오일 중에 혼입되는 기포(공기)가 오일 스트레이너(430)에 흡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도입 구멍(432)이 칸막이 리브(431)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칸막이 리브(431) 내의 영역으로부터 기포를 내보내기 위해 배치상 바람직하고, 이 점에서도 오일 스트레이너(430)에 기포를 흡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동 오일 공급용 급유구(365)는 미션 케이스(88)의 좌측면 중 직진용 모터 축(60) 및 PTO 축(99)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미션 케이스(88) 내에 있어서는 직진용 펌프 축(59), 선회용 펌프 축(59), 직진용 모터 축(60), 선회용 모터 축(61) 및 주행 입력축(152)이라는 5개의 축이 급유구(365)보다 상방측에 위치하게 된다. 즉, 이들 5개의 축(59,59,60,61,152)은 작동 오일에 잠긴 상태에서 회전하는 일이 없어 그 만큼의 교반 저항의 억제가 도모되어 있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88)의 상면측(실시형태에서는 좌측 상면 전방부측)에는 미션 케이스(88) 밖으로부터의 작동 오일을 리턴시키기 위한 리턴 오일 구멍(410)을 개구시키고 있다. 미션 케이스(88) 내의 상부측에는 미션 케이스(88) 밖으로부터 리턴되어 온 작동 오일을 리턴 오일 구멍(410)으로부터 조향 브레이크(79)를 향해서 안내하는 가이드체로서 1쌍의 보강 리브(411,412)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미션 케이스(88)의 왼쪽 내측면 상부에 직진용[제 1 유압 펌프(55)]의 펌프 축(59)의 베어링부를 지지하는 직진용 보스부(413)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직진용 보스부(413)에 이송측 보강 리브(411)가 일체적으로 연접되어 있다. 이송측 보강 리브(411)는 조향 브레이크(79)측이 낮아지도록 리턴 오일 구멍(410)으로부터 조향 브레이크(79)를 향해서 후방 비스듬히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미션 케이스(88)의 왼쪽 내측면 상부에는 선회용[제 2 유압 펌프(57)] 펌프 축(59)의 베어링부를 지지하는 선회용 보스부(414)도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선회용 보스부(414)에 수용측 보강 리브(412)가 일체적으로 연접되어 있다. 수용측 보강 리브(412)는 조향 브레이크(79)측이 낮아지도록 전방 비스듬히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양 보강 리브(411,412)는 도 13의 우측면 단면으로 바라봐서 앞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되어 있고, 좁아진 앞에 조향 브레이크(79)가 위치하고 있다.
리턴 오일 구멍(410)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작동 오일은 주로 이송측 보강 리브(411)의 안내에 의해 조향 브레이크(79) 상으로 보내져서 조향 브레이크(79)에 내려 덮여진다. 그 결과, 조향 브레이크(79)가 거의 강제적으로 주유되어 윤활된다. 따라서, 미션 케이스(88) 내의 작동 오일량에 상관 없이 작동 오일에 침지되지 않는 조향 브레이크(79)로의 주유량 부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미션 케이스(88) 내의 작동 오일량에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미션 케이스(88) 내 중 작동 오일에 침지되지 않는 위치에 조향 브레이크(79)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조향 브레이크(79)에 대해서 레이아웃상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게다가, 양 보강 리브(411,412)는 도 13의 우측면 단면으로 바라봐서 앞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좁아진 부분이 오일 고임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조향 브레이크(79)에 작동 오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미션 케이스(88)의 강성을 확보하는 양 보강 리브(411,412)에 의해 리턴 오일 구멍(410)으로부터의 작동 오일을 조향 브레이크(79)에 안내하기 때문에, 미션 케이스(88)의 강성 확보와 조향 브레이크(79)로의 주유 기능 향상 양쪽을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직진용 보스부(413) 중 이송측 보강 리브(411) 부근의 일부에는 이송측 보강 리브(411)에 의해 안내되는 작동 오일을 직진용 펌프 축(59)의 베어링부에 분배하기 위한 연통 홈(415)이 형성되어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88)의 리턴 오일 구멍(410)에는 외부로부터 미션 케이스(88)를 향해서 작동 오일을 보내기 위한 리턴 관로(416)가 접속되어 있다. 리턴 관로(416) 중 미션 케이스(88)에 가까운 근원부측으로부터는 분기 관로(417)가 분기되어서 연장되어 있다. 분기 관로(417)는 미션 케이스(88) 좌측면의 조향 브레이크(79)의 개소에 접속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리턴 관로(416)는 분기 커넥터(418)를 통해서 미션 케이스(88)의 리턴 오일 구멍(41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분기 커넥터(418)에 분기 관로(417)의 일단측이 접속되고, 분기 관로(417)의 타단측이 미션 케이스(88) 좌측면의 조향 브레이크(79)의 개소에 접속되어 있다.
도 22 및 도 23으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분기 관로(417)는 미션 케이스(88)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미션 케이스(88)의 왼쪽 외측면을 따르게 해서 연장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분기 관로(417)는 미션 케이스(88)에 대해서 외부 부착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88) 밖으로부터 리턴되어 온 작동 오일의 일부는 조향 브레이크(79)에 직접 보내진다. 나머지 작동 오일은 미션 케이스(88) 내에 보내지고, 양 보강 리브(411,412)에 의해 조향 브레이크(79) 상에 안내된다. 즉, 분기 관로(417)를 경유한 작동 오일과 양 보강 리브(411,412)에 의해 안내된 작동 오일에 의해서 조향 브레이크(79)가 주유되어 윤활되게 된다. 따라서, 미션 케이스(88)의 형상을 특별히 변경하지 않아도 양 보강 리브(411,412)의 존재와 더불어, 작동 오일에 침지되지 않는 조향 브레이크(79)로의 주유량 부족을 간단히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88)의 좌측면 상부에는 PTO 보스부(420)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PTO 보스부(420)에는 1쌍의 베어링체(421,422)를 통해서 PTO 축(99)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PTO 축(99) 중 미션 케이스(88) 내의 단부에는 그 하방에 있는 주변속 출력용 카운터 축(70)으로부터 회전 동력을 받는 PTO 기어(423)가 고착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88)의 우측면 상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직진 전달 보스부(424)에는 직진용 모터 축(60)과 일체로 회전하는 직진 전달 기어(50)가 베어링체(425)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PTO 기어(423)는 PTO 축(99)에 캔틸레버의 상태로 지지되고, 마찬가지로 해서 직진 전달 기어(50)는 직진용 모터 축(60)에 캔틸레버의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직진용 모터 축(60)으로부터 PTO 축(99)으로의 동력 전달은 주변속 출력용 카운터 축(70)이 중계하고 있다. 이 때문에, PTO 기어(423)와 직진 전달 기어(50)를 측면으로 바라봐서(축선 방향으로 바라봐서) 서로 겹치는 위치 관계에 두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23 참조). 그 결과, PTO 기어(423) 나아가서는 PTO 축(99)의 미션 케이스(88)에 대한 배치 자유도가 향상하게 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TO 보스부(420)의 상부측에는 미션 케이스(88) 내의 작동 오일을 PTO 축(99)용의 양 베어링체(421,422) 사이에 인도하기 위한 작동 오일 홈(426)이 형성되어 있다. PTO 보스부(420) 내 중 양 베어링체(421,422) 사이에는 PTO 축(99)의 길이 중도부를 둘러싸는 막음부(427)가 PTO 축(99)을 향해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작동 오일 홈(426)의 입구측은 미션 케이스(88) 내부 부근의 베어링체(422)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작동 오일 홈(426)의 입구측 중 PTO 기어(423) 회전 하류측에는 작동 오일 홈(426)측에 작동 오일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42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PTO 풀리(119)에 가까운 외측의 베어링체(421)에도 작동 오일을 주유해서 윤활할 수 있게 되어 큰 부하가 걸리는 PTO 축(99)의 윤활성 확보에 효과적이다. 또한, 막음부(427)의 존재에 의해 PTO 풀리(119) 부근의 베어링체(421) 주변에 작동 오일을 저류시키기 쉬워 PTO 축(99)의 윤활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428)의 존재에 의해 PTO 기어(423)의 물방울 오일을 작동 오일 홈(426)측에 보내주기 쉬워진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차축(153)의 기단부측에 형성된 기단 스플라인부(434)에는 파이널 기어(78b)의 회전 중심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고 또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피감(스플라인 감합)되어 있다. 각 차축(153) 중 기단 스플라인부(434)보다 더욱 내측의 부위는 기어 케이스(349)에 형성된 내측 보스 통부(435)에 베어링체(436)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각 기단 스플라인부(434)에 있어서의 차축 케이스(351) 부근의 부위는 차축 케이스(351)에 형성된 외측 보스 통부(437)에 편측 시일 베어링체(438)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가의 오일 시일을 이용하지 않고 미션 케이스(88)의 하부측을 간단히 밀봉 상태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일 시일이 불필요하므로 부품점수를 적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차축(153)의 장착 작업성도 향상된다.
(12). 정리
상기의 기재 및 도 10, 도 11 및 도 21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엔진(14)의 동력을 변속하는 유압 무단 변속기(53,54)를 내장한 유압 변속 케이스(350)가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53,54)의 변속 출력을 좌우의 주행부(2)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88)의 일측면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미션 케이스(88)의 타측면 상부에 상기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을 받는 입력 풀리(155)와,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53,54)로부터의 변속 출력에 의해 구동되는 PTO 풀리(119)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미션 케이스(88)의 타측면 중 상기 PTO 풀리(119)의 전방에 작동 오일 공급용 급유구(36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미션 케이스(88)로의 급유시에, 예컨대 중량물인 작동 오일이 들어 있는 오일 캔을 상기 미션 케이스(88)의 상방까지 높게 들어 올리거나 할 필요가 없고, 급유 작업이 간편하게 됨과 아울러 급유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의 부담이 적어진다.
또한, 작동 오일 탱크를 겸하는 상기 미션 케이스(88)의 상하 방향의 중도 높이 위치에 상기 급유구(365)가 있으므로 상기 급유구(365)의 바로밑까지밖에 급유할 수 없다[상기 급유구(365)를 넘을 때까지 작동 오일을 공급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미션 케이스(88) 내에 필요량보다 과잉으로 급유하는 일이 없어지고, 과잉의 작동 오일량에 기인해서 상기 미션 케이스(88) 내에서의 동력 손실[기어류(51,52)의 회전 저항]이 커질 우려를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미션 케이스(88) 내의 상부측은 작동 오일로 가득 채워지는 일이 없으므로, 상기 미션 케이스(88) 내에서 작동 오일이 유동하기 쉽고, 상기 미션 케이스(88) 중 작동 오일에 접하고 있지 않은 부분의 표면적이 종래에 비해 현격하게 넓어진다. 이러한 작동 오일의 유동성이나 상기 작동 오일에 접하고 있지 않은 부분의 방열 효과에 의해 작동 오일 전체의 온도 상승의 억제도 도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재 및 도 10 및 도 11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상기 미션 케이스(88)의 타측면에 있어서 상기 급유구(365)의 하방이고 또한 상기 PTO 풀리(119)보다 낮은 위치에 오일 검사 창(36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급유구(365)와 동일 측면에 있는 상기 오일 검사 창(367)을 보면서 상기 급유구(365)로부터 상기 미션 케이스(88) 내로 작동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급유 중에 상기 오일 검사 창(367)을 확인해 쉽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서 급유 작업이 현격하게 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미션 케이스(88)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오일 검사 창(365)의 후방이고 또한 상기 PTO 풀리(119)보다 낮은 위치에 석션 필터(36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오일 검사 창(367)과 상기 석션 필터(368)는 상기 미션 케이스(88) 내부의 하측에 있는 기어류(52)를 사이에 두고 전후 좌우로 서로 대향하는 개소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미션 케이스(88)에 있어서 상기 급유구(365)보다 하측의 내부 공간을 유효 이용하여 상기 오일 검사 창(367)과 상기 석션 필터(368)를 효율 좋게 배치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오일 검사 창(367)으로부터 상기 미션 케이스(88) 내의 작동 오일량을 체크할 때에 상기 석션 필터(368)의 존재가 방해로 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의 기재 및 도 10, 도 11, 도 18 및 도 21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주행기체(1)의 전방부에는 상기 주행기체(1)의 전방부 좌측에 있는 세로축(300)을 중심으로 해서 가로 외측방으로 개방 회동 가능한 예취 장치(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예취 장치(3)를 가로 외측방으로 개방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미션 케이스(88)의 좌측면에 있는 상기 급유구(365) 및 상기 오일 검사 창(367)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예취 장치(3)를 가로 외측방으로 개방 회동시키면, 상기 미션 케이스(88)에 있어서의 상기 급유구(365) 및 상기 오일 검사 창(367)의 주변에 넓은 작업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 때문에, 사용전 점검이나 급유 작업이라는 상기 미션 케이스(88)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성이 현격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의 기재 및 도 10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상기 주행기체(1)의 직진 속도를 변경 조작하는 직진 조작구(43)와, 상기 주행기체(1)의 진행 방향을 변경 조작하는 선회 조작구(11)와,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53,54)의 변속 출력을 조절하는 전기적 액츄에이터(272,270)와, 상기 각 조작구(43,11)의 조작량에 따라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272,270)를 구동시키는 제어 수단(400)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53,54)에는 그 변속 출력을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272,270)와는 별개로 수동 조작하기 위한 긴급 수동 조작구(355,35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상기 제어 수단(400)에 이상이 발생되는 전기계 문제가 발생된 경우이여도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355,356)를 수동 조작하면, 상기 직진 조작구(43)나 상기 선회 조작구(11)가 효과가 없는 상태에서, 예컨대 포장으로부터만이라도 콤바인을 탈출시키는 림프홈 운전(축퇴 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콤바인에 있어서 긴급 사태에의 대처의 선택지가 증가되어 콤바인의 취급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의 기재 및 도 10으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272,270)에 의해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53,54)의 상기 변속 출력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355,356(361,362)]가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272,270)의 구동에 연동해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355,356(361,362)]의 동작으로부터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53,54)의 작동 상태를 간단히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직진 조작구(43) 및 상기 선회 조작구(11)와,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53,54)의 사이에 기계적인 연결 구조를 구비하지 않고 이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직진 조작구(43) 및 상기 선회 조작구(11)와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53,54)에 관한 동작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기 쉬워진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의 기재 및 도 15~도 17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355,356)를 수동 조작했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 수단(400)에 의한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272,270)의 구동 제어를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355,356)를 수동 조작했을 경우에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272,270)에 의한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 기구(53,54)의 변속 출력 조절이 병존하는 것은 없어진다. 이 때문에,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 기구(53,54), 나아가서는, 상기 주행기체(1)가 작업자의 의도에 반해서 불안정한 거동을 할 우려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355,356)를 수동 조작할 때의 주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의 기재 및 도 10, 도 11, 도 27 및 도 28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355,356)를 수동 조작했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 수단(400)에 의한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272,270)의 구동 제어를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355,356)를 수동 조작했을 경우에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272,270)에 의한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53,54)의 변속 출력 조절이 병존하는 것은 없어진다. 이 때문에,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53,54), 나아가서는, 상기 주행기체(1)가 작업자의 의도에 반해서 불안정한 거동을 할 우려를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272,270)를 수동 조작할 때의 주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의 기재 및 도 12~도 15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53,54)와, 상기 유압 펌프(55,57)를 변속 조절하는 조절 실린더(273,271)와, 상기 조절 실린더(273,271)를 왕복 운동시키는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로서의 전자 유압형 밸브(272,270)와,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272,270)를 스위칭 작동시키는 비례 제어 밸브(445,455)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272,270)의 스풀(440,450)과 상기 비례 제어 밸브(445,455)의 비례 제어 스풀(446,456)이 스풀 조작 암(447,457)의 일단측에 설치된 연계 핀(448,458)을 통해서 연동 이동하도록 관련되어 있고, 상기 스풀 조작 암(447,457)의 타단측에는 수동으로 회동 조작 가능한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로서의 조작축(355,35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 스풀[440,446(450,456)]의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연계 핀(448,458)이 상기 조작축(355,356)을 회동 중심으로 해서 상기 스풀 조작 암(447,457)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조작축(355,356)이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비례 제어 밸브(445,455)를 통해서 상기 유압 펌프(55,57)를 변속 제어하기 위한 원격 조작 구조와, 상기 조작축(355,356)을 통해서 상기 유압 펌프(55,57)를 변속 제어하기 위한 수동 조작 구조의 양립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원격 조작(전기적 제어)의 경우에는 상기 조작축(355,356)의 회동 상태로부터 상기 양 스풀[440,446(450,456)]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령 전기계 문제가 발생된 경우이여도 상기 조작축(355,356)을 수동 회동 조작하면, 주변속 레버(43)나 조종 핸들(11)이 효과가 없는 상태에서, 예컨대 포장으로부터만이라도 작업 차량(콤바인)을 탈출시키는 림프홈 운전(축퇴 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차량에 있어서 긴급 사태에의 대처의 선택지가 증가되어 작업 차량의 취급성 향상에도 기여한다.
상기의 기재 및 도 12~도 15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53,54), 상기 조절 실린더(273,271) 및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272,270)를 내장하는 유압 변속 케이스(35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비례 제어 밸브(445,455), 상기 스풀 조작 암(447,457) 및 상기 조작축(355,356)을 갖는 비례 제어 하우징(444,454)이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272,270)의 스풀(440,450)과 상기 비례 제어 밸브(445,455)의 비례 제어 스풀(446,456)을 근접시키도록 상기 유압 변속 케이스(350)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절 실린더(273,271) 및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272,270)를 상기 유압 변속 케이스(350)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비례 제어 하우징(444,454)을 상기 유압 변속 케이스(350)에 착탈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압 변속 케이스(350)와 상기 비례 제어 하우징(444,454)을 미리 나누어서 유닛화하고 있으므로, 조립시의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고, 상기 유압 변속 케이스(350)에 대한 상기 비례 제어 하우징(444,454)의 조립 작업성이나 유지 보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기재 및 도 23으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엔진(14)의 동력을 변속하는 유압 무단 변속기(54)와,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54)의 변속 출력을 좌우의 주행부(2)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88)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미션 케이스(88) 내에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54)의 변속 출력을 제동하는 습식 브레이크(79)를 갖고 있는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습식 브레이크(79)는 상기 오일 검사 창(367) 및 상기 미션 케이스(88) 내의 작동 오일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미션 케이스(88)의 상면측에 리턴 오일 구멍(410)을 개구시키고 있고, 상기 미션 케이스(88) 밖으로부터 리턴되어 온 작동 오일을 상기 리턴 오일 구멍(410)으로부터 상기 습식 브레이크(79)를 향해서 안내하는 가이드체(411,412)가 상기 미션 케이스(88)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리턴 오일 구멍(410)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작동 오일은 상기 가이드체(411,412)의 안내에 의해 상기 습식 브레이크(79) 상에 보내져서 상기 습식 브레이크(79)에 내려 덮여진다. 그 결과, 상기 습식 브레이크(79)가 거의 강제적으로 주유되어 윤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미션 케이스(88) 내의 작동 오일량에 상관 없이 작동 오일에 침지되지 않는 상기 습식 브레이크(79)로의 주유량 부족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미션 케이스(88) 내의 작동 오일량에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상기 미션 케이스(88) 내 중 작동 오일에 침지되지 않는 위치에 상기 습식 브레이크(79)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습식 브레이크(79)에 대해서 레이아웃상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는 이점도 있다.
상기의 기재 및 도 23으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상기 미션 케이스(88) 내로 돌출되는 보강 리브(411,412)에 의해 상기 가이드체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미션 케이스(88)의 강성을 확보하는 상기 보강 리브(411,412)가 상기 리턴 오일 구멍(410)으로부터의 작동 오일을 상기 습식 브레이크(79)에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미션 케이스(88)의 강성 확보와 상기 습식 브레이크(79)로의 주유 기능 향상의 양쪽을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의 기재 및 도 22 및 도 23으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상기 미션 케이스(88)의 상기 리턴 오일 구멍(410)에 리턴 관로(416)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리턴 관로(416)로부터 분기된 분기 관로(417)가 상기 미션 케이스(88)에 있어서의 상기 습식 브레이크(79)의 개소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분기 관로(417)는 상기 미션 케이스(88)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분기 관로(417)를 경유한 작동 오일과 상기 가이드체(411,412)에 의해 안내된 작동 오일에 의해 상기 습식 브레이크(79)가 주유되어 윤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미션 케이스(88)의 형상을 특별히 변경하지 않아도 상기 가이드체(411,412)의 존재와 더불어, 상기 습식 브레이크(79)로의 주유량 부족을 간단히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형태로 구체화할 수 있다. 예컨대 본원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콤바인에 한정되지 않고, 트랙터, 모내기 기기 등의 농작업기나 크레인 차 등의 특수 작업용 차량과 같은 각종 작업 차량에 대해서 널리 적용할 수 있다. 그 이외에 각 부의 구성은 도시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
1 : 주행기체 14 : 엔진
11 : 조종 핸들(선회 조작구) 43 : 주변속 레버(직진 조작구)
53 : 직진용 유압 무단 변속기 54 : 선회용 유압 무단 변속기
55,57 : 유압 펌프 56,58 : 유압 모터
88 : 미션 케이스 119 : PTO 풀리
155 : 주행 입력 풀리 270 : 전자 유압형 조향 밸브
271: 조향 실린더 272 : 전자 유압형 변속 밸브
273: 변속 실린더 350 : 유압 변속 케이스
355: 직진 조작축 356 : 선회 조작축
365: 급유구 367 : 오일 검사 창
368 : 석션 필터 400 : 변속 조향 컨트롤러(제어 수단)
440 : 변속 스풀 441 : 변속 실린더실
442 : 변속 피스톤 443,453 : 핀 축
444,454 : 비례 제어 하우징 445,455 : 비례 제어 밸브
446,456 : 비례 제어 스풀 447,457 : 스풀 조작 암
448,458 : 연계 핀 449,459 :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

Claims (8)

  1. 엔진의 동력을 변속하는 유압 무단 변속기를 내장한 유압 변속 케이스가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의 변속 출력을 좌우의 주행부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의 일측면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미션 케이스의 타측면 상부에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받는 주행 입력 풀리와,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로부터의 변속 출력에 의해 구동되는 PTO 풀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미션 케이스의 타측면 중 상기 PTO 풀리의 전방에 작동 오일 공급용 급유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미션 케이스의 타측면에 있어서 상기 급유구의 하방이고 또한 상기 PTO 풀리보다 낮은 위치에 오일 검사 창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미션 케이스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오일 검사 창의 후방이고 또한 상기 PTO 풀리보다 낮은 위치에 석션 필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미션 케이스 내에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의 변속 출력을 제동하는 습식 브레이크를 갖고 있고, 상기 습식 브레이크는 상기 오일 검사 창 및 미션 케이스 내의 작동 오일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미션 케이스의 상면측에 리턴 오일 구멍을 개구시키고 있고, 상기 미션 케이스 밖으로부터 리턴되어 온 작동 오일을 상기 리턴 오일 구멍으로부터 상기 습식 브레이크를 향해서 안내하는 가이드체가 상기 미션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기재된 작업 차량으로서의 콤바인으로서,
    주행기체의 전방부에는 상기 주행기체의 전방부 좌측에 있는 세로축을 중심으로 해서 가로 외측방으로 개방 회동 가능한 예취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예취 장치를 가로 외측방으로 개방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미션 케이스의 좌측면에 있는 상기 급유구 및 상기 오일 검사 창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으로서의 콤바인.
  3. 제 1 항에 있어서,
    주행기체의 직진 속도를 변경 조작하는 직진 조작구와, 상기 주행기체의 진행 방향을 변경 조작하는 선회 조작구와,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의 변속 출력을 조절하는 전기적 액츄에이터와, 상기 각 조작구의 조작량에 따라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에는 그 변속 출력을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와는 별개로 수동 조작하기 위한 긴급 수동 조작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변속 출력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가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연동해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를 수동 조작했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의 구동 제어를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와, 유압 펌프를 변속 조절하는 조절 실린더와, 상기 조절 실린더를 왕복 운동시키는 상기 전기적 액츄에이터로서의 전자 유압형 밸브와,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를 스위칭 작동시키는 비례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의 스풀과 상기 비례 제어 밸브의 비례 제어 스풀은 스풀 조작 암의 일단측에 설치된 연계 핀을 통해서 연동 이동하도록 관련되어 있고, 상기 스풀 조작 암의 타단측에는 수동으로 회동 조작 가능한 상기 긴급 수동 조작구로서의 조작축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 스풀의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연계 핀이 상기 조작축을 회동 중심으로 해서 상기 스풀 조작 암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조작축이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무단 변속기, 상기 조절 실린더 및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를 내장하는 유압 변속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비례 제어 밸브, 상기 스풀 조작 암 및 상기 조작축을 갖는 비례 제어 하우징은 상기 전자 유압형 밸브의 스풀과 상기 비례 제어 밸브의 비례 제어 스풀을 근접시키도록 상기 유압 변속 케이스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8. 삭제
KR1020117014786A 2010-03-15 2011-01-20 작업 차량 및 그 예로서의 콤바인 KR101701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57434 2010-03-15
JP2010057434A JP5437866B2 (ja) 2010-03-15 2010-03-15 作業車両
JPJP-P-2010-057433 2010-03-15
JP2010057433A JP5437865B2 (ja) 2010-03-15 2010-03-15 作業車両及びその例としてのコンバイン
PCT/JP2011/050982 WO2011114769A1 (ja) 2010-03-15 2011-01-20 作業車両及びその例としての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681A KR20130040681A (ko) 2013-04-24
KR101701945B1 true KR101701945B1 (ko) 2017-02-02

Family

ID=4464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786A KR101701945B1 (ko) 2010-03-15 2011-01-20 작업 차량 및 그 예로서의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01945B1 (ko)
CN (1) CN102292233B (ko)
WO (1) WO20111147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832B1 (ko) 2017-03-29 2018-09-11 주식회사기원전자 가상 터미널을 갖는 농기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214807U (zh) * 2012-02-23 2013-09-25 株式会社久保田 作业车辆的变速器
CN103363076A (zh) * 2012-03-31 2013-10-23 高邮市平安开沟机制造有限公司 开沟机齿轮箱
US9863516B2 (en) * 2015-10-02 2018-01-09 Deere & Company Corn head row unit gearbox lubrication
US10130038B2 (en) 2015-10-02 2018-11-20 Deere & Company Corn head row unit gearbox drive shaft seal
KR102376683B1 (ko) * 2016-06-29 2022-03-2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동력 전동 장치
JP6910970B2 (ja) * 2018-01-10 2021-07-2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用の制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0753B2 (ja) * 2001-07-09 2008-07-02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4127746B2 (ja) * 1999-10-14 2008-07-30 ヤンマー株式会社 油圧式無段変速装置の斜板角制御機構
JP2009148183A (ja) * 2007-12-19 2009-07-09 Yanmar Co Ltd 収穫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5423A (ja) * 1983-11-14 1985-06-10 株式会社クボタ 農作業機
JP2001213183A (ja) * 2000-01-31 2001-08-07 Nissan Diesel Motor Co Ltd トランスミッションケースの騒音減衰構造
JP2002354924A (ja) * 2001-05-31 2002-12-10 Atex Co Ltd 残稈処理機のインジケータ
JP3965041B2 (ja) * 2001-11-08 2007-08-22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操作機構
JP4027767B2 (ja) 2002-10-08 2007-12-26 株式会社ケンウッド 車載機器制御装置
JP4534782B2 (ja) * 2005-02-08 2010-09-01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型走行車両
JP4827185B2 (ja) 2006-11-09 2011-11-30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7746B2 (ja) * 1999-10-14 2008-07-30 ヤンマー株式会社 油圧式無段変速装置の斜板角制御機構
JP4110753B2 (ja) * 2001-07-09 2008-07-02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9148183A (ja) * 2007-12-19 2009-07-09 Yanmar Co Ltd 収穫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832B1 (ko) 2017-03-29 2018-09-11 주식회사기원전자 가상 터미널을 갖는 농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92233B (zh) 2016-02-17
CN102292233A (zh) 2011-12-21
WO2011114769A1 (ja) 2011-09-22
KR20130040681A (ko)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945B1 (ko) 작업 차량 및 그 예로서의 콤바인
JP6801997B2 (ja) コンバイン
JP6666086B2 (ja) コンバイン
KR102344820B1 (ko) 콤바인
JP5437865B2 (ja) 作業車両及びその例としてのコンバイン
JP5437866B2 (ja) 作業車両
JP6934813B2 (ja) 油圧式変速装置
JP2020036626A (ja) コンバイン
JP2011179642A (ja) 作業車両
JP6635969B2 (ja) コンバイン
JP4605657B2 (ja) 乗用型田植機
JP6538517B2 (ja) 車両用駆動装置及びコンバイン
CN111836536B (zh) 收割机
JP2013188185A (ja) 収穫機用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及びそ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を用いた収穫機
JP6754770B2 (ja) 車両用駆動装置及びコンバイン
JP7078695B2 (ja) コンバイン
CN112449877A (zh) 收获机及作业机
WO2018159088A1 (ja) コンバイン
JP5448869B2 (ja) コンバイン
JP4908705B2 (ja) コンバイン
JP6650902B2 (ja) コンバイン
JP2011179563A (ja) 作業車両
JP2020072729A (ja) コンバイン
JP2020182499A (ja) コンバイン
JP2018143132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