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059B1 - 에어백 하우징에 대한 팽창기 개재식 결합 및 팽창기 삽입을 위한 구성을 갖는 무릎 에어백 조립체 - Google Patents

에어백 하우징에 대한 팽창기 개재식 결합 및 팽창기 삽입을 위한 구성을 갖는 무릎 에어백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059B1
KR101698059B1 KR1020117025552A KR20117025552A KR101698059B1 KR 101698059 B1 KR101698059 B1 KR 101698059B1 KR 1020117025552 A KR1020117025552 A KR 1020117025552A KR 20117025552 A KR20117025552 A KR 20117025552A KR 101698059 B1 KR101698059 B1 KR 101698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airbag cushion
airbag
cushion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074A (ko
Inventor
마크 엘. 엔더스
루이스 뮐러
래리 룬트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filed Critical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ublication of KR2012001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1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cylindrical or bottle-like inflators with a symmet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bag deployment, e.g. extruded reaction cani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6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kne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비용이 감소된 무릎 에어백 쿠션 및 내부 테더들을 구비한 에어백 조립체는 단일의 사각형 재료 패널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바, 이로써 재료의 낭비가 매우 적게 된다. 후방면에는 플리트가 형성될 수 있어서, 테더들과 플리트의 조합으로 인하여 쿠션이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고 전개되고 또한 팽창된 때에 원호형의 형상을 취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쿠션은 장착용 줄기부들을 구비한 팽창기를 부분적으로 쿠션 내에 삽입하기 위한 통공들을 구비할 수 있는바, 이로써 그 장착용 줄기부들이 쿠션을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시키는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조립체는 말린 그리고/또는 접힌 쿠션 둘레를 감쌀 수 있는 단일 조각의 직물로부터 형성되는 백 스트랩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그 조립체는 스태빌라이저 스트랩을 구비할 수 있는데, 스태빌라이저 스트랩은 쿠션 및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어서 전개 중에 그 쿠션이 비스듬해지거나 꼬이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에어백 하우징에 대한 팽창기 개재식 결합 및 팽창기 삽입을 위한 구성을 갖는 무릎 에어백 조립체{Knee airbag assemblies configured for inflator insertion and inflator-mediated coupling to an airbag housin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자동차 보호 시스템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무릎 에어백과 같은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기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첨부된 청구범위 및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첨부 도면들에는 전형적인 실시예들만이 도시되었고, 따라서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 는 에어백 쿠션의 일부분이 형성되는 재료가 되는 패널(panel)의 평면도이고, 그것은 에어백 조립체의 일부분을 이룬다.
도 1b 는 패널의 일부분들이 분리된 후에 도 1a 의 재료의 패널의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에어백 조립체의 실시예의 일부분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3 은 에어백 조립체가 180도 회전된 후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 2 의 에어백 조립체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에어백 조립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2 의 에어백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6 은 도 2 의 에어백 조립체의 일부분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7 은 도 2 의 에어백 조립체의 일부분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8a 는 백 스트랩을 형성하는 재료의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8b 는 패널의 일부분이 접힌 후의 도 8a 의 재료의 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c 는 재료 패널에 루프(loop)가 형성된 후의 도 8b 의 재료의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2 의 에어백 조립체의 일부분의 확대 상부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2 의 에어백 조립체의 일부분의 확대 저부 사시도이다.
도 11a 는 도 2 의 에어백 조립체의 배면도인데, 여기에서 에어백 쿠션은 에어백 쿠션을 접는 방법에 따라 접혀지기 전에 펼쳐진 구성형태(extended configuration)에 있다.
도 11b 는 도 11a 의 에어백 조립체의 배면도로서, 여기에는 에어백 쿠션의 접는 방법에 따라서 에어백 쿠션의 측부 부분(side portion)들이 걷어넣음(tuck)된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c 는 도 11b 의 에어백 조립체의 배면도로서, 여기에는 에어백 쿠션의 접는 방법에 따라서 에어백 쿠션의 상부 부분(top portion)이 접힌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a 는 도 11c 의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2b 는 도 12a 의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여기에는 에어백 쿠션의 접는 방법에 따라서 에어백 쿠션의 상부 부분이 말림(roll)되기 시작한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c 는 도 12b 의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여기에서 에어백 쿠션은 에어백 쿠션의 접는 방법에 따라서 말림이 계속되고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d 는 도 12c 의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여기에는 에어백 쿠션의 접는 방법에 따라서 에어백 쿠션의 상부 부분이 말린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a 는 도 12d 의 에어백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13b 는 도 13a 의 에어백 조립체의 배면도로서, 여기에는 에어백 쿠션을 접는 방법에 따라 백 스트랩이 에어백 쿠션 주위로 감겨진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 는 도 13b 의 에어백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5 는 에어백 하우징의 후방 사시도인데, 그 에어백 하우징 안에는 도 2 의 패키징된 에어백 조립체가 배치되어 있다.
도 16 은 다른 실시예의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일부분의 확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6 의 에어백 조립체의 일부분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8 은 도 17 의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일부분의 확대 절개 사시도로서, 여기에는 팽창기를 부착시키는 방법에서의 다른 일 단계가 수행된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9a 는 다른 일 실시예의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일부분의 확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9b 는 도 19a 의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확대 절개 사시도로서, 여기에는 팽창기의 부착 방법에서의 단계가 수행된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9c 는 도 19b 의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확대 절개 사시도로서, 여기에는 팽창기를 부착시키는 방법에서의 다른 일 단계가 수행된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0 은 도 19a 의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확대 절개 정면 사시도이다.
여기의 도면들에 도시되고 일반적으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은 폭넓게 다양한 상이한 구성형태들로 설계 및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도면들에 제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실시예들의 다양한 형태들이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 도면들은 달리 기재되지 않은 한 반드시 축척에 맞게 도시된 것은 아니다.
"~에 연결되다", "~에 결합되다", 및 "~과 소통되다"라는 문구들은 둘 이상의 개체들 간의 어떤 형태의 상호작용을 지칭하는 것인데, 여기에는 기계적, 전기적, 자기적, 전자기적, 유체적, 열적 상호작용이 포함된다. 두 개의 구성요소들은 그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더라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맞닿다"는 용어는 개체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물리적인 접촉을 이루는 것을 의미하지만, 그 개체들이 반드시 함께 부착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팽창가능한 에어백 시스템은 충돌 시나리오(collision scenario) 하에서의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에어백 모듈은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들에 설치되는데, 그 위치들에는 스티어링 휠, 계기판, 측부 도어 또는 측부 좌석 내부, 차량의 루프 레일(roof rail)에 인접한 위치, 머리 위 위치, 또는 무릎이나 다리 위치가 포함되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설명에서, "에어백"이라 함은 팽창가능한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 오버헤드 에어백(overhead airbag), 전방 에어백,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에어백을 지칭할 수 있다.
전방 에어백은 통상적으로 차량의 계기판과 스티어링 휠에 설치된다. 설치 중에는, 에어백이 말려지거나, 접혀지거나, 말려지고 접혀지며, 커버(cover) 뒤에서 말린/접힌 상태로 유지된다. 충돌 이벤트(collision event) 중에, 차량 센서가 팽창기의 활성화를 촉발시키고, 이것은 에어백을 신속히 팽창 가스로 채운다. 따라서, 에어백의 구성형태는 말린/접힌 구성형태로부터 팽창된 구성형태(expanded configuration)로 신속히 변화된다.
도 1a 내지 도 1b 는 에어백 쿠션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재료의 패널(101)의 평면도들이다. 패널(101)은 직조된 나일론 재료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는 직물의 시트로 이루어진다. 패널(101)은 주변부(105)에 의하여 한정되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제1 부분(102), 제2 부분(103), 및 중간 부분(104)을 포함한다. 제1 테더(first tether; 130) 및 제2 테더(135)는 패널(101)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는바, 이로써 그 절단 후에는 패널(101)이 "I"자 또는 "H"자 형상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패널(101)의 길이 및/또는 폭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W1)은 대략 400mm 내지 대략 600mm 일 수 있고, 길이(L1)는 대략 600mm 내지 900mm 일 수 있다.
도 1b 에는 제1 테더(130) 및 제2 테더(135)가 패널(101)로부터 절단된 후의 패널(101)이 도시되어 있는데, 그 후에는 제2 폭(W2)이 중간 부분(104)에 의하여 한정된다. W2 는 대략 250mm 내지 대략 550mm 일 수 있다. 중간 부분(104)의 폭(W2)은 에어백 조립체(100)의 에어백 하우징의 폭의 대략 110%에 해당될 수 있다. 팽창기 삽입 통공(123) 및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 통공(124)은 중간 부분(104)에 형성될 수 있는바, 그 형성은, 절단, 스탬핑, 또는 단일체 직조 기술을 채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b 에는 패널(101)의 모서리들이 도 1a 에 도시된 패널의 모서리들에 비하여 다듬어진(trimmed)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모서리들은 다듬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다듬어진 모서리를 갖지 않는 패널로부터 형성된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의 실시예들은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의 모서리들을 횡단하는 각돌르 갖는 주변 솔기(perimeter seam)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에어백 쿠션의 팽창가능한 빈 공간(inflatable void)이 도 1b 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모서리들을 가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는 에어백 조립체(100)의 일부분의 사시도들인데, 도 2 는 저부 사시도이고, 도 3 은 상부 사시도이며, 도 4 는 측면 사시도이다. 조립체(100)는 에어백 쿠션(110), 제1 테더(130), 제2 테더(135), 보강부(140)들, 열 패널(heat panel; 145)들, 백 스트랩(150), 및 스태빌라이저 스트랩(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테더 및 제2 테더가 재료 패널(101)로부터 절단된 후, 그 패널은 중간 부분(104)에서 접혀져서 접힘부(fold; 109)를 형성할 수 있다. 패널(101)이 접힌 때에, 제1 부분(102) 및 제2 부분(103)은 가까이 근접하게 되어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평면들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위에 있게 된다. 접힘부(109)는 하나 이상의 분리된 접힘부들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접힘부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쿠션 멤브레인(membrane; 101)이 일단 접혀지면, 주변부(105) 주위에 스티칭(106)이 적용되어서, 제1 부분(102)과 제2 부분(103)은 함께 결합된다. 접혀지고 함께 스티칭된 후에는, 재료 패널(101)이 팽창가능한 에어백의 쿠션 멤브레인(101)으로서 구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쿠션 멤브레인은 팽창가능한 빈 공간(118)을 갖는다. 뒤따르는 도면들의 일부에서 조립체(100)의 다양한 구조와 특성들을 도시함에 있어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에어백 쿠션(110)은 주변부가 함께 꿰매어지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쿠션 멤브레인(101)은 상측 부분(111), 하측 부분(112), 전방면(front face; 113), 및 후방면(rear face; 114)을 갖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110)의 상측 부분(111)은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상태에 있는 때에 차량의 헤드라이너(headliner)에 가장 가까운 에어백 쿠션의 부분이다. 하측 부분(112)은, 에어백 쿠션(110)이 전개된 상태에 있는 때에 상측 부분(111)의 아래에 있으며, 차량의 바닥에 가장 가깝게 된다. "하측 부분"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에어백 쿠션의 수평 중간 평면 아래에 있는 에어백 쿠션(110)의 부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에어백 쿠션의 저부 부분의 절반보다 적은 부분, 절반 보다 많은 부분, 또는 정확히 절반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측 부분"이라는 용어는, 반드시 에어백 쿠션의 수평 중간 평면 위에 있는 에어백 쿠션(110)의 일부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에어백 쿠션의 상부 부분의 절반 미만, 절반 이상, 또는 정확히 절반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유형 및 구성형태의 쿠션 멤브레인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 멤브레인의 크기, 형상, 및 비율은 다양한 차량 또는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들에서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쿠션 멤브레인은 직조된 나일론 직물과 같이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재료로 된 하나 이상의 조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 쿠션은 단일 조각 직조(one piece weaving), "절단 및 꿰맴", 또는 그 두 가지 기술의 조합과 같이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나아가, 쿠션 멤브레인은 밀봉된 솔기 또는 밀봉되지 않은 솔기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그 솔기들은 스티칭, 접착, 테이핑(taping), 라디오 주파수 용접, 가열 밀봉,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술이나 그 기술들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된다.
일단 재료 패널이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110)으로서 구성되면, 에어백 쿠션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100)를 형성하도록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결합될 수 있다. 백 스트랩(150), 스태빌라이저 스트랩(170), 및 제1 테더(130)가 중간 부분(104)에서 쿠션 멤브레인(101)에 결합되어 있다. 제2 테더(135)는 제1 테더(130)보다 상측 부분(111)에 더 가까이에서 쿠션 멤브레인(101)에 결합된다. 제1 테더(130) 및 제2 테더(135)는 전방면(113)에 결합되고, 후방면(114)으로 연장되어 후방면에 결합된다. 즉, 제1 테더 및 제2 테더는 전방면과 후방면 사이에 배치되어서, 그 테더들이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의 팽창가능한 빈 공간 내에 배치된다고 말할 수 있다. 제1 테더(130) 및 제2 테더(135)는 스티칭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술에 의하여 전방면(113) 및 후방면(114)에 결합될 수 있다.
각 테더는 전방면과 후방면에서 쿠션 멤브레인에 대칭적으로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 멤브레인의 후방면에 결합되는 제1 테더 및 제2 테더의 일부분들은 쿠션 멤브레인의 전방면에 결합되는 제1 테더 및 제2 테더의 일부분보다 접힘부(109)에 대략 20mm 내지 30mm 만큼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테더 및 제2 테더가 팽창가능한 쿠션 멤브레인의 전방면에 결합되는 지점은, 제1 테더 및 제2 테더가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의 후방면에 결합되는 지점보다 더 에어백 쿠션의 상측 부분을 향해서 배치될 수 있다.
제1 테더(130)는 제1 부분(102) 및 제2 부분(103)과 중간 부분(1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그 테더가 에어백 쿠션(110)의 중간 부분을 횡단하여 가로질러 연장되게끔 되는 방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테더가 에어백 쿠션의 폭 전체에 걸쳐서 주변부로부터 주변부까지 연장된다. 제1 테더(13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통공(131)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통공들은 팽창 가스가 제1 테더의 제1 측부로부터 그 테더의 제2 측부로 지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 테더(130)는, 에어백 쿠션(110)의 폭의 대부분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고, 에어백 쿠션의 전방면(113) 및 후방면(114)에 결합된다. 제1 테더(130)는,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 때에 제1 테더가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도록, 에어백 쿠션(110) 내에 위치된다. 제1 테더(130)는 팽창기(미도시)와 팽창가능한 빈 공간(118)의 일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바, 이로써 복수의 통공들이 팽창 가스로 하여금 테더의 팽창기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테더의 팽창기로부터 먼 측으로 지나가도록 허용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통공들은 팽창 가스가 팽창기로부터 팽창가능한 빈 공간 안으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통공들 각각은 대략 33mm 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대략 3mm 의 오프셋(off-set)을 가진 단일의 니들 락 스티치(needle lock stitch)를 이용하여 동심적으로(concentrically) 꿰매어질 수 있다.
제2 테더(135)는 제1 테더(130)로부터 에어백 쿠션(110)의 상측 부분(111)의 상측 에지(top edge) 까지의 거리의 대략 33% 내지 대략 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2 테더는 에어백 쿠션의 대략 50% 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제2 테더는 대략 250mm 의 폭을 가지며,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은 대략 500mm 의 폭을 갖는다.
백 스트랩(150)은 에어백 쿠션(110)의 팽창기 부착 영역(120)에 결합되는 직조된 직물의 조각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기 부착 영역(120)은 중간 부분(104)에서 전방면(113)에 배치된다. 그렇기 때문에, 백 스트랩(150)은 에어백 쿠션(110)의 전방면(113)에 결합되고, 스티칭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술에 의하여 에어백 쿠션에 결합될 수 있다. 백 스트랩(150)은 에어백 쿠션(110)을 패키징된 구성형태로 유지시키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한 에어백 쿠션 전개 특성을 얻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에어백 쿠션을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시키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조립체(100)의 고응력 지점(high stress point)들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140)들이 배치될 수 있는데, 그 보강부들은 에어백 쿠션(110)이 형성되는 직물과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는 직물의 하나 이상의 조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보강부들은, 에어백 쿠션(110)의 중간 부분(104)이 연장되어 전방면(113)과 후방면(114)의 하측 부분(112)이 되는 곳 가까이의 주변 솔기(107)로 꿰매어질 수 있다. 또한, 보강부의 하나 이상의 층들은 팽창기 통공들(123, 124) 가까이의 팽창기 부착 영역(120)에서 에어백 쿠션(110)에 결합될 수 있는데, 그 보강부는 보강부(140)와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팽창기 부착 영역(120) 가까이에는 내열성 직물(heat resistant fabric; 145)이 결합될 수 있고, 그 내열성 직물은 팽창기 통공들(123, 124)에서의 보강부들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채택될 수 있다. 내열성 직물은 실리콘 코팅을 갖는 평직 섬유유리 재료(plain woven fiberglass material)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직물의 섬유유리 가닥들(fiberglass strands)은 섬유유리의 E-글래스(E-glass), S-글래스(S-glass), 또는 S2-글래스(S2-glass) 등급의 것으로 이루어진다. 실리콘 코팅이 존재한다면, 실리콘이 코팅된 면이 팽창기를 향하도록, 실리콘 코팅은 조립체(100) 내에서 지향된 직물과 직물의 일 측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유형들 및 구성형태의 보강부들과 내열성 재료 및 코팅이 채택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직물은 반드시 평직된 것일 필요가 없고, 선 본드 재료(sun bond material)의 보다 무작위적인 섬유 방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내열성 재료는 케블라 브랜드로서 판매되는 파라아라미드 합성 섬유(para-aramid synthetic fibers), 탄소, 헴프(hemp),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다양한 상이한 섬유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열성 코팅은 네오프렌(neoprene), 우레탄(urethane), 페놀계 재료 및 다른 유연성 에폭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보강부 재료 및 내열성 재료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에는 에어백 조립체(100)의 일부분이 상부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에어백 조립체는 도 2 의 모습으로부터 180° 회전된 것이다. 이 모습에서, 에어백 쿠션(110)의 전방면(113)은 후방면(114) 아래에 있고, 제1 테더(130) 및 제2 테더(135)의 점선들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팽창기 삽입 통공(123), 팽창기 줄기부 통공(124), 그리고 보강부 및/또는 열 차폐부(140/145)의 점선이 도시되어 있다.
후방 패널(114)에는 플리트(pleat; 115)가 형성될 수 있는바, 이로써 후방 패널이 전방 패널(113)만큼 길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측 부분(111)으로부터 하측 부분(112)까지의 거리는 전방면(113)보다 후방면(114)에 있어서 더 작다. 플리트(115)는 제1 테더(130)와 제2 테더(135) 사이에 배치되고, 후방 패널(114)을 자신에 대해 되돌려 접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써 전방 패널(113)의 방향에서 팽창가능한 빈 공간(118) 안으로 연장되는 쿠션 멤브레인(101)의 접힘부가 형성된다. 플리트(115)는 이중 바늘 체인 스티치(double needle chain stitch)를 채택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플리트는, 플리트의 각 단부에 두 개의 원호 스티칭들을 형성하고 또한 플리트의 중간에서 직선형 스티치를 형성함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에어백 쿠션(110)에 보유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리트가 그 단부들에서 테이퍼지도록 플리트의 단부들이 스티칭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티치와 플리트가 단일 반경의 원호를 형성할 수 있다.
전방면을 향하여 연장된 플리트의 일부분은 대략 20mm 의 길이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후방 패널은 대략 40mm 단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리트는 대략 50mm 연장되어서, 후방 패널이 대략 100mm 단축된다. 플리트(115)의 완전한 깊이 부분의 폭은, 제1 테더(130) 및 제2 테더(135)의 폭에 대응할 수 있는바, 이로써 완전한 깊이를 갖는 플리트의 일부분은 대략적으로 그 테더들과 같은 폭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는, 에어백 쿠션이 대략 500mm 의 폭을 가지고, 테더들은 대략 240mm 의 폭을 가지며, 플리트의 완전한 깊이 부분은 대략 240mm 의 폭을 가지고, 플리트 전체는 대략 400mm 연장된다.
제1 테더(130), 제2 테더(135), 및 플리트(115)는 팽창가능한 쿠션 멤브레인이 미리 결정된 전개 궤적을 따르도록 하는데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테더들 및 플리트는,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이 전개 중에 그리고 완전하거나 실질적으로 완전한 팽창시에 미리 결정된 형상을 취하게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전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팽창된 때에,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은 대략적으로 "C"자 형상, 바나나 형상, 또는 반달 형상을 취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4 는 에어백 조립체(100)의 일부분의 사시도인데, 여기에는 에어백 쿠션(110), 제1 테더(130), 제2 테더(135), 플리트(115), 및 백 스트랩(150)이 도시되어 있다. 제1 테더 및 제2 테더의 일부분들은 전방면(113)과 후방면9114) 사이에서 볼 수 있다. 백 스트랩(150)은 에어백 쿠션의 중간 부분(104)에서 에어백 쿠션(110)의 전방면(113)에 결합되어 있다.
도 5 는 에어백 조립체(100)의 일부분의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110)은 상측 부분(111) 및 하측 부분(112)을 포함한다. 상측 부분(111)은 전방면(113)와 후방면(114)의 단부들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는 상측 에지(108)을 포함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그 상측 에지가 전방면과 후방면이 결합되는 지점에서 형성되는 솔기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다. 하측 부분(112)은 접힘부(109)가 형성되는 중간 부분(104), 하나 이상의 솔기 보강부(140)들, 하나 이상의 열 패널(145)들, 백 스트랩(150), 및 스태빌라이저 스트랩(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테더(130) 및 제2 테더(135)는 각각 전방면(113)과 후방면9114)에 결합되어서, 그들이 팽창가능한 빈 공간(118) 내에 위치된다. 에어백 쿠션의 후방면(114)에 플리트(115)를 형성함으로 인하여 후방면이 전방면에 비하여 짧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후방면(114)의 최상측 지점(108)은 전방면9113)의 최상측 지점에 비하여 에어백 쿠션의 저부 부분(112)에 더 가깝게 된다. 백 스트랩(150)은 백 스트랩 루프(160) 및 맞물림 부분(engagement portion; 155)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백 스트랩 루프(160)는 백 스트랩 재료의 플리트 또는 접힘부를 포함하고, 맞물림 부분(155)은 백 스트랩 재료의 접힘부(fold) 또는 말림부(roll)를 포함한다. 스태빌라이저 스트랩(170)은 하측 부분(112)에서 에어백 쿠션(1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 은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110)의 일부분의 확대 측면도인데, 여기에는 플리트(115)와 제1 테더(130)가 도시되어 있다. 플리트(115)는 후방면(114) 상의 두 개의 지점들을 함께 당겨서 스티칭(133)을 통해서 그 두 지점들을 함께 결합시킴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그 두 개의 지점들은 서로 접촉하거나 서로 직접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았는데, 플리트가 에어백 전개 중에 파열되지 않도록 솔기 보강부 재료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플리트(115)는 전방면(113)의 방향에서 후방면(114)으로부터 팽창가능한 빈 공간(118) 안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전방면으로부터 플리트가 돌출될 수 있는 거리(D1)는 대략 20mm 내지 대략 50mm 사이일 수 있다. 제1 테더(130)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는바, 그 각각은 에어백 쿠션(110)의 전방면(113)과 후방면(114)에 결합되기 전에 말려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제1 테더(130)는 전방면 및 후방면에 대칭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로써 전방면(113) 상의 테더 부착 지점이, 테더가 후방면(114)에 부착되는 지점보다 팽창기 부착 영역(미도시) 또는 팽창기(미도시)로부터 더 멀리 배치될 수 있다. 보강부 및/또는 열 패널(140/145)은 제1 테더 부착 지점들까지 연장될 수 있는바, 이로써 제1 테더 부착 지점들 각각은 4 이상의 재료 층들을 포함한다. 제1 테더(130)는 스티칭(132)을 거쳐서 에어백 쿠션(1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 은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110)의 일부분의 확대 측면도인데, 여기에는 팽창가능한 빈 공간(118) 내에 제2 테더(135)가 도시되어 있다. 제2 테더(135)는 두 개의 부착 지점들에서 에어백 쿠션(110)에 결합될 수 있고, 일 부착 지점은 전방면(113)에 부착되며, 다른 부착 지점은 후방면(114)에 부착된다. 도 7 의 모습에서, 두 개의 테더들을 위한 두 개의 부착 지점들은 팽창기로부터 대략적으로 동등한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방면(113) 상의 제2 테더(135)의 부착 지점이, 도 6 에서 제1 테더(130)에 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면(114)의 부착 지점보다 팽창기(미도시)에 대해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테더(135)는 스티칭(136)을 거쳐서 에어백 쿠션(110)에 결합될 수 있고, 스티칭은 각각의 부착 지점에서 3 개의 재료 층들을 가로지른다.
도 8a 내지 도 8c 에는 백 스트랩(150)이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는데, 도 8a 에는 백 스트랩으로 형성되기 전의 전체 길이의 재료 패널이 도시되어 있고, 도 8b 에는 도 8a 의 재료 패널이 백 스트랩의 저부 부분이 말린 후의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8c 에는 도 8b 의 재료 패널이 백 스트랩이 루프를 갖게된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8a 에는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갖는 재료 패널(152)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재료 패널로부터 백 스트랩이 형성될 수 있다. 패널(152)은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을 형성하는 것과 유사한 직조된 나일론 재료의 조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널(152)은 전방면(미도시) 및 후방면(164)을 구비하며, 에어백 쿠션 부분(151), 팽창기 삽입 통공(153), 팽창기 줄기부 통공(154), 맞물림 부분(155), 맞물림 통공(156), 스태빌라이저 스트랩 통공(157), 및 구멍(162)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152)에 있는 통공들 및 구멍들은 미리 결정된 위치들에 형성되며, 세 개의 수직 행들의 통공들과 세 개의 수평 열의 통공들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열의 통공들은 상이한 기능을 갖는 통공들을 이루고, 행의 통공들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통공들을 이룬다.
도 8b 에는 도 8a 의 패널(152)이 도시되어 있는바, 맞물림 부분(155)이 말린 맞물림 부분(158)을 형성하도록 말린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말린 부분(158)은 패널(152)의 맞물림 부분(155)의 미리 결정된 길이를 후방면(164)을 향하여 그리고 쿠션 부분(151)의 방향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된다. 접힘부의 거리는 통공(156)들이 서로 정렬되고, 또한 이와 유사하게 통공(157)들이 서로 정렬되는 정도이다. 접힌 후, 백 스트랩(150)은 짧아진 길이(L2)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백 스트랩이 접힌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는, 백 스트랩을 형성하는 재료 패널이 두 개의 팽창기 줄기부 통공들 및 하나의 스태빌라이저 스트랩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b 에는 루프를 형성하도록 재료 패널이 접혀지는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백 스트랩을 형성하는 방법에서 있어서의 하나의 단계일 수 있다.
도 8c 에는 도 8b 의 패널(152)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루프(160)가 형성되어서 그 루프가 후방면(164) 상에 배치되고 또한 구멍(162)들이 루프 내에 통합된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루프(160)는 백 스트랩(150)의 형성 재료인 패널(152)에 있는 접힘부 또는 플리트로서 설명될 수도 있다. 루프(160)는 접힘부로서 설명될 수 있는 정점(161)을 구비한다. 루프(160)는 테어 스티칭(tear stitching; 166)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술이나 구조를 이용하여 유지될 수 있다. 테어 스티칭(166)은 팽창가능한 에어백 전개 중에 파열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테어 스티칭은 100 밀리미터당 대략 25 개의 스레드(thread)들을 포함하지만,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갯수의 스레드도 팽창가능한 에어백의 전개 중에 백 스트랩(150)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테어 스티칭(166)의 파열을 유사하게 허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테어 스티칭(166)은, 에어백 쿠션의 전개 중에 백 스트랩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그리고 에어백 쿠션의 전개를 지연시키거나 변경시키지 않고서 파열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테어 스티치(166)는 백 스트랩(150)을 가로질러 지나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테어 스티치가 백 스트랩의 폭의 일부분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라이트 택 스티치(light tack stitch)들을 형성할 수 있다. 테어 스티치(166) 및 구멍(162)들은, 에어백 쿠션(110)의 전개 중에 파열되도록 구성되는바, 따라서 테어 스티치는 구멍들에 앞서 찢어진다. 구멍(162)들은, 전개 중에 백 스트랩(150)이 두 개의 조각들로 절단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멍(162)들은 백 스트랩 루프(160) 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그 구멍들이 백 스트랩의 다른 부분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패널(152)은, 루프(160) 및 접힘부(158)의 형성에 의하여 패널이 짧아진 후에 그로부터 도출되는 백 스트랩이 재료 패널의 전체 길이보다 짧은 미리 결정된 길이(L3)를 갖도록,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갖는다. 백 스트랩(150)의 최단 길이(L3)는 감쌈 길이(wrapping length)로 호칭될 수 있다. 감쌈 길이는 (도 8b 에 도시된) 전개 길이(deployment length; L2)보다 짧다.
백 스트랩의 감쌈 길이는, 백 스트랩이 말려지고 그리고/또는 접힌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둘레를 감싸고 또한 그 에어백 쿠션을 "패키징된" 또는 "접힌" 구성 형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에어백 전개 시에는, 감쌈 길이에서 백 스트랩을 유지시키는 테어 스티칭이 파열되어, 백 스트랩이 전개 길이를 취하게 된다. 백 스트랩의 전개 길이는, 에어백 쿠션이 백 스트랩에 인장력을 가하기 시작하기 전에 에어백 쿠션이 대략 150mm 까지 팽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에어백이 팽창을 계속함에 따라서, 에어백은 백 스트랩에 의하여 잠시 지연되다가, 구멍들이 파열된 후에, 에어백이 자유로운 전개를 계속할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0 은 에어백 조립체(100)의 일부분의 확대 사시도들인데, 여기에서 도 10 은 도 9 의 모습에 비하여 180° 회전된 모습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면(113)과 후방면(114)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스티칭(106)이 채택될 수 있다. 보강부 및/또는 열 차폐부(140, 145)는 중간 부분(104) 가까이에서 에어백 쿠션(110)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백 스트랩(150)은 전방면(113)에 결합된다. 백 스트랩의 팽창기 통공(153)은 에어백 쿠션(110)의 팽창기 통공(123)과 정렬되어 있고, 유사하게, 팽창기 줄기부 통공(154)은 에어백 쿠션의 팽창기 줄기부 통공(124)과 정렬된다. 백 스트랩 루프(160), 테어 스티치(166), 및 구멍(162)들은 백 스트랩(150)의 쿠션 부분(151) 사이에 배치되고, 백 스트랩은 백 스트랩(150)의 맞물림 부분(155)과 에어백 쿠션(110)에 결합된다. 루프(160), 전방면(163)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루프(160)의 정점(apex; 161)은, 루프가 후방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후방면(164)으로부터 연장된다. 맞물림 부분(155)은 접힌 맞물림 부분(158),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 맞물림 통공(156), 및 스태빌라이저 스트랩 통공(157)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 스트랩(170)은 대략 10mm 폭의 띠 조각(piece of webb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간 부분(104) 가까이에서 전방면(113) 상의 에어백 쿠션(110) 및 백 스트랩(150)에 결합된다. 스태빌라이저 스트랩(170)은 스티칭(171)을 거쳐 에어백 쿠션(110)에 결합될 수 있는바, 그 스티칭은 팽창기 줄기부 통공들(124/154) 및 팽창기 삽입 통공들(123/153)의 중심과 정렬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티칭(171)은 단일 선의 스티칭으로 이루어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스티칭이 박스 스티치(box stit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박스 스티치가 채택된다면, 에어백 쿠션(110)의 팽창기 부착 영역(120) 또는 팽창기에 가까운 그 박스 스티치의 일부분은 팽창기 통공들(123/153 및 124/154)의 중심들과 정렬될 수 있다.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110)은 에어백 쿠션을 접는 방법을 채택함에 의하여 패키징된 구성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그 방법은 여기에서 설명된 쿠션 멤브레인을 제공하는 단계, 에어백 쿠션이 부착될 수 있는 에어백 하우징의 폭보다 에어백 쿠션의 폭이 작게 될 때까지 에어백 쿠션의 측부들을 중심을 향해 걷어넣는 단계, 선택적인 택 또는 테어 스티치(tack or tear stitch)를 적용하는 단계, 에어백 쿠션의 걷어넣어진 상부 부분을 한 번 거꾸로 접거나 거꾸로 마는 단계, 걷어넣어진 상부 부분을 거꾸로 접거나 또는 거꾸로 마는 단계를 계속하는 단계, 접힌 에어백 쿠션 둘레로 백 스트랩을 감싸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에 백 스트랩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그 접는 방법으로 인하여 최대 5회 접혀지거나 말린 에어백 쿠션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4 에는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을 패키징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단계들이 수행되는 중 그리고 그 수행 후의 에어백 쿠션 조립체(100)의 다양한 모습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 는 조립체(100)의 정면 입면도들인데, 도 11a 에는 패키징 전의 구성형태에 있는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b 에는 에어백 쿠션의 패키징 방법에 있어서의 제1 단계가 수행된 후의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c 에는 다른 단계가 수행된 후의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 의 모습에는 조립체(100)의 다양한 구조 및 특징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상측 부분(111), 하측 부분(112), 후방면(114), 제1 절반부(116), 제2 절반부(117), 팽창기 삽입 통공(123), 및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 통공(124)를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과, 쿠션 부분(151), 맞물림 부분(155),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 맞물림 통공(156), 스태빌라이저 스트랩 통공(157), 말린 부분(158), 루프(160), 구멍(162)들, 및 후방면(164)을 갖는 백 스트랩(150)이 포함된다.
도 11a 의 모습에서, 조립체(110)는 편평한 구성형태(flattened configuration)에 있는데, 여기에서는 에어백 쿠션(110)의 어떠한 주름 또는 접힘부들도 없고 후방면들(114, 164)이 "위"를 향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을 제공함과 그 에어백 쿠션을 편평하게 함은,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을 접거나 패키징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제1 단계를 이룬다고 말할 수 있다.
도 11b 에는 제1 절반부(116) 및 제2 절반부(117)가 에어백 쿠션(110)의 중간선을 향하여 걷어넣어진 후의 에어백 쿠션(110)이 도시되어 있다. 그 걷어넣음은 에어백 쿠션의 각 절반부를 에어백 쿠션 안으로 "외측에서 안 쪽으로" 밀어 넣음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에어백 쿠션의 제1 절반부 및 제2 절반부는 각각 에어백 쿠션의 중간 부분 안으로 걷어넣어져서, 제1 절반부 및 제2 절반부 각각의 전방면 및 후방면은 중간 부분의 상측 패널과 하측 패널 사이에 위치된다. 걷어넣음 단계가 수행된 후에는, 에어백 쿠션(110)이 걷어넣어진 상측 부분(119)을 포함한다.
도 11c 에는 에어백 쿠션(100)의 걷어넣어진 상측 부분(119)이 후방면(114)의 방향에서 전방면(113)으로부터 멀리 한 번 접힌 후의 에어백 쿠션(110)이 도시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걷어넣어진 상측 부분(119)은 백 스트랩(150)과 하측 부분(112)을 향해 하향으로 접힌다.
도 12a 내지 도 12d 에는 에어백 조립체(10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조립체는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을 패키징하는 방법의 단계들을 거치게 된다. 도면들에는, 전방면(113), 후방면(114), 및 팽창기 부착 영역(120)을 구비한 에어백 쿠션(110)과, 쿠션 부분(151), 접힌 맞물림 부분(158), 및 루프(160)를 구비한 백 스트랩(15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a 는 조립체(100)를 도시하는 측면도인데, 여기에서 조립체는 도 11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키징의 동일한 단계에 있다. 걷어넣어진 상측 부분(119)은 백 스트랩(150)의 방향에서 후방면(114)을 향하여 한 번 접혀져서, 접힘부(121)가 형성된다.
도 12b 에는 도 12a 의 에어백 조립체(1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걷어넣어진 상측 부분(119)의 접힘부(121)가 후방면(114)의 방향으로 말려지기 시작한 때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 말림(roll)은 후방면의 방향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것은 "거꾸로"의 말림으로 설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백 쿠션은 말려지는 대신에 접혀질 수 있다. 그러나, 연속적인 접힘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그 접힘들은 말림과 유사하게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2c 내지 도 12d 에는 도 12b 의 에어백 조립체(1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에어백 쿠션의 걷어넣어진 상측 부분의 접힘부가 백 스트랩(150)의 방향에서 후방면(114)을 향하여 계속하여 말려지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에어백 쿠션(110)이 말려짐에 따라서, 에어백 쿠션은 말린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122)을 이루게 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팽창기 부착 영역(120)은 에어백 쿠션(110)의 전방면(113)에 배치되고, 백 스트랩(150)은 백 스트랩의 쿠션 부분(151)에서 에어백 쿠션에 결합된다. 에어백 쿠션(110)은, 말린 에어백 쿠션(122)이 에어백 쿠션의 접힘부(109)까지 말려질 때까지 백 스트랩(150)의 방향으로 계속 말린다. 그렇기 때문에, 백 스트랩(150)의 쿠션 부분(151)은 부분적으로 에어백 쿠션과 함께 말려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공되는 패키징 방법에서의 다음 단계는, 에어백 쿠션(110)의 둘레로 백 스트랩(150)을 감싸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로써 백 스트랩의 후방면(164)은 그 감싼 것의 내측에 있게 되고, 전방면(163)은 패키징된 에어백 조립체의 외측에 있게 된다.
도 13a 내지 도 13b 에는 에어백 쿠션 조립체(100)가 정면 입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들에는 에어백 쿠션(110)과, 쿠션 부분(151), 팽창기 삽입 통공(153), 팽창기 줄기부 통공(154), 팽창기 맞물림 통공(156), 스트랩 통공(157), 접힌 맞물림 부분(158), 루프(160), 구멍(162), 전방면(163), 후방면(164), 및 테어 스티칭(166)을 구비한 백 스트랩(15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a 모습에서, 조립체는 도 12 에 도시된 패키징의 단계와 동일한 단계에 있다. 에어백 쿠션(110)은 말려져서 말린 에어백 쿠션(122)을 이루고, 백 스트랩(150)의 후방면(164)은 말린 에어백 쿠션 둘레로 감싸여질 수 있도록 위치된다. 여기에서, 팽창기 삽입 통공(153)은 에어백 쿠션(110)의 팽창기 삽이비 통공(123)과 정렬되고,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 통공(154)은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 통공(124)과 정렬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13b 에는 에어백 쿠션을 패키징하는 방법에서의 다음 단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단계는 말린 에어백 쿠션(122) 둘레로 백 스트랩(150)을 감싸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그 감쌈은 팽창기 줄기부 맞물림 통공(156)이 팽창기 삽입 통공(123/153) 및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 통공(124/154)과 정렬되도록 이루어진다. 백 스트랩(150)의 후방면은 패키징된 에어백 쿠션의 내측에 있기 때문에, 전방면(163)이 보일 수 있게 된다. 만일 선택적인 스태빌라이저 스트랩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스트랩 통공(157)을 통해 돌출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110)의 말음을 완료하기 전에, 팽창기는 에어백 쿠션(110)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데, 이 때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는 백 스트랩(150)의 접힌 맞물림 부분(158)에 배치된 통공(156), 및 통공(123/153)을 통해 돌출된다. 백 스트랩(150)의 길이는, 루프(160)가 말린 에어백 쿠션(122)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루프(160)는 미리 결정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구멍(162)들 및 테어 스티칭(166)도 말린 에어백 쿠션(122)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도 14 에는 에어백 조립체(100)의 일부분이 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에어백 쿠션(110)이 말린 구성형태(122)에 놓이고, 말린 에어백 쿠션이 백 스트랩(150)에 의하여 감싸이고, 팽창기(180)가 에어백 쿠션 안에 삽입된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에어백 쿠션(110)의 팽창기 부착 영역(120)은 팽창기(180)가 부착딜 수 있는 영역일 뿐만 아니라, 백 스트랩의 쿠션 부분(151)이 결합되는 영역이기도 하다. 패키징된 구성형태에서, 접힌 맞물림 부분(158)은 쿠션 부분(151)에 인접하고, 후방면(164)은 감싸인 에어백 쿠션(122)에 인접하며, 전방면(163)은 패키징된 에어백 조립체의 외측에 위치된다. 제1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182) 및 제2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미도시)는 에어백 쿠션(100)의 팽창기 부착 영역(120), 백 스트랩(150)의 쿠션 부분(151), 및 접힌 맞물림 부분(158)을 통해 돌출될 수 있다. 백 스트랩 루프(160)는 에어백 쿠션(110)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그 루프는 루프의 정점(161)이 에어백 쿠션과 백 스트랩 사이에 있게 되는 방위를 갖는다.
도 15 는 에어백 조립체(100)의 사시도로서, 여기에는 에어백 쿠션이 접힌 구성형태로 접히고 그리고/또는 말리고, 백 스트랩에 의하여 감싸이며, 에어백 하우징(190) 안에 놓인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19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컨테이너(container)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그 컨테이너에는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이 고정되어 부착될 수 있다. 하우징(190)은 차량 내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에어백 조립체(100)가 특정의 위치 및 자세를 갖추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서,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이 미리 결정된 특성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190)은 팽창기(180)를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의 팽창가능한 빈 공간과 유체적으로 결합시키고 또한 에어백 쿠션을 차량 구조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90)은 스태빌라이저 스트랩(170)이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 스트랩 통공(19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 스트랩(170)에 형성된 장착용 통공(172)은 하우징(190) 상의 장착용 구성요소(192)에 의하여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착용 구성요소(192)는 장착용 후크를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장착용 구성요소가 탭(tab), 하드웨어(hardware)를 수용하는 통공, 또는 선형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에는 바브(barb)가 포함된다. 하우징(190)은, 제1 및 제2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들(182, 183)이 통과하여 돌출될 수 있는 복수의 통공들(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들(182, 183)은 장착용 하드웨어(194)를 수용하여, 팽창기, 백 스트랩, 및 에어백 쿠션이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팽창기(180)는 차량 센서에 의하여 결정되는 미리 결정된 차량 상태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도록 구성된다. 활성화된 때에는, 팽창기가 팽창 가스를 신속히 발생 또는 해제시키고, 팽창 가스는 에어백 쿠션을 외관 커버를 통하도록 강제하여 에어백 쿠션이 신속히 팽창되도록 한다. 팽창기는 폭발식(pyrotechnic)이거나 저장 가스식 등의 여러 유형들 중의 한 가지이거나 조합식 팽창기일 수 있다. 또한, 팽창기는 단일 또는 다중 단계의 팽창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팽창기가 활성화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미리 결정된 조건의 세트(set)를 구성하도록, 다양한 유형 및 구성형태인 하나 이상의 차량 센서들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는, 에어백 전개 표면으로부터 탑승자의 좌석이 얼마나 가까이 또는 멀리 위치하고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하여 좌석 레일 센서(seat rail sensor)가 활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탑승자가 좌석에 앉아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앉아 있다면 탑승자의 대략적인 무게를 알아내기 위하여 좌석 저울(seat scale)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탑승자의 대략적인 표면적 및/또는 에어백 전개 표면으로부터의 거리를 판별하기 위하여 광학 또는 적외선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그리고 그 사고의 심각도를 나타낼 수 있는 차량이 겪는 감속도의 크기를 측정하도록 가속도계가 채택된다. 또한, 이들과 다른 적합한 센서가 조합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6 내지 도 20 은 다른 실시예의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200)의 일부분들의 다양한 모습들인데, 이 도면들에는 팽창기를 쿠션 멤브레인 및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방법에서 이용되는 구조들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 도면들에는 에어백 쿠션이 미리 결정된 전개 특성을 갖는 것을 돕는 스태빌라이저 스트랩이 도시되어 있다.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200)는 여기에서 설명된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10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그와 유사하게 기능할 수 있다. 조립체(200)는 팽창가능한 쿠션 멤브레인, 스태빌라이저 스트랩, 팽창기, 및 에어백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 은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200)의 일부분의 확대 절개 사시도이다. 팽창가능한 쿠션 멤브레인은 여기에서 설명된 쿠션 멤브레인(101)과 유사하게 구성되거나, 또는 에어백 쿠션(210)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210)은 스티칭(206)을 포함하는 솔기(207)에 의하여 형성된 팽창가능한 빈 공간을 한정한다. 에어백 쿠션(210)은 스태빌라이저 스트랩(27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스태빌라이저 스트랩(270)은 장착용 통공(272)을 한정하는 나일론 띠의 루프에 의해 형성된다. 스트랩(270)은 대략 10mm 의 폭을 가질 수 있고 또한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갖는다. 스티칭(271)은 스트랩(270)을 에어백 쿠션(21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채택될 수 있다.
도 17 은 에어백 조립체(200)의 상부 사시도인데, 여기에서 에어백 쿠션(210)은 에어백 쿠션이 하우징에 결합되기 전에 하우징(29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에어백 쿠션(210)은 접힌 중간 부분(204), 팽창기 부착 영역, 팽창기 삽입 통공(223), 및 팽창기 줄기부 통공(224)을 포함한다. 스트랩(270)은, 스티칭(271)의 최하측 부분(273)이 통공들(223, 224)의 중심과 정렬되도록 에어백 쿠션(210)에 배치된다. 스트랩(270)의 장착용 통공(272)은 하우징(290)에 배치된 스트랩 후크(292)에 의하여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우징(290)은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통공(293)들을 포함한다.
도 18 은 조립체(200)의 확대 절개 사시도인데, 여기에서 에어백 쿠션(210)과 하우징(290)은 스트랩 통공(291)이 보일 수 있도록 회전되어 있다. 스태빌라이저 스트랩(270)은 스트랩 통공(291)을 통해 돌출되어 스트랩 후크(292)로 연장된다. 스트랩 장착용 통공(272)은 스트랩 후크(292)를 넘어 끼워져서 스트랩 후크(292)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도 19a 내지 도 20 은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200)의 일부분의 사시도들인데, 이 도면들에는 팽창기를 쿠션 멤브레인과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 및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팽창기(280), 에어백 쿠션(210), 하우징(290)은, 이들이 에어백 쿠션을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방법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9a 에는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200)의 일부분의 확대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그 방법의 제1 단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단계는 팽창기(280)의 제1 단부(284)를 삽입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팽창기 줄기부(282)가 에어백 쿠션(210)의 팽창기 삽입 통공(223) 안으로 삽입된다. 에어백 쿠션(210)은 팽창기 삽입 통공(223) 및 팽창기 줄기부 통공(224)을 포함하는바, 이들은 각각 직경 D3 및 D2 을 가지며, 이 직경들은 미리 결정된 크기를 갖는다.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 통공(224)의 직경 D2 는, 팽창기로부터 장착용 줄기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장착용 줄기부 통공의 직경은 장착용 줄기부의 직경보다 약간 크거나 그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통공(223)의 직경 D3 는 그 통공이 팽창기(280)의 직경 D4 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통공(223)의 직경 D3 는 팽창기(280)의 직경 D4 보다 크거나, 또는 그 직경들이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D2 의 크기가 대략 4.0 mm 내지 대략 8.0 mm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D2 가 대략 6.5mm 의 크기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D3 의 크기가 대략 20mm 내지 대략 30mm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D3 는 대략 25mm 의 크기를 갖는다. 팽창기 삽입 통공 및/또는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 통공은 스티칭 또는 추가적인 재료에 의하여 강화 및/또는 보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팽창기 직경 D4 의 크기가 대략 20mm 내지 대략 30mm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D4 가 대략 25mm 의 크기를 갖는다.
팽창기(280)는 튜브형 몸체(281)를 갖는 폭발식(pyrotechnic) 팽창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로부터는 제1 장착용 줄기부(282) 및 제2 장착용 줄기부(283)가 팽창기 몸체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된다. 팽창기는 제1 단부(284) 및 제2 단부(285)에 의하여 한정되는바, 제1 단부는 하나 이상의 벤트(vent; 286)를 가질 수 있고, 그 벤트로부터는 팽창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팽창기(280)는 미리 결정된 길이 L4 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팽창기 길이 L4 의 크기가 대략 100mm 내지 대략 120mm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L4 가 대략 108mm 의 크기를 갖는다. 장착용 줄기부들 사이의 거리는 대략 70mm 내지 대략 90mm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장착용 줄기부들 사이의 거리가 대략 80mm 이다. 그렇기 때문에, 팽창기 삽입 통공과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 통공 사이의 거리는 대략 100mm 내지 대략 120mm 일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는 그 거리가 대략 80mm 이다.
도 19b 는 도 94a 의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의 확대 절개 사시도인데, 여기에는 팽창기의 제1 단부(284)와 제1 장착용 줄기부(282)가 팽창기 삽입 통공 안으로 삽입된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팽창기(280)를 에어백 쿠션(210)의 팽창기 줄기부 통공(224)을 향하여 미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팽창기(280)는, 제1 팽창기 줄기부(282)가 통공(224)과 대략적으로 정렬될 때까지, 팽창기 줄기부 통공(224)의 방향으로 계속 밀리게 되지만, 제2 단부(285)는 팽창기 삽입 통공(223)을 통해 밀리지 않은 채로 있다.
도 19c 는 도 19b 의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200)의 확대 절개 사시도이다. 팽창기를 거쳐서 에어백 쿠션을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팽창기 줄기부 통공(224)을 통해 제1 장착용 줄기부(282)를 꿰어 넣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팽창기(280)가 적절히 위치된 때에, 제1 단부(284)는 에어백 쿠션(210) 내에 배치되고, 팽창기 줄기부(282)는 통공(224)을 통해 돌출되며, 제2 팽창기 줄기부(283) 및 제2 단부(285)는 통공(223)을 통해 돌출된다. 줄기부(283)는 통공(223)의 테두리(rim)에서 에어백 쿠션(210)에 맞닿을 수 있다. 제1 팽창기 줄기부(282) 및 팽창기 스터드 통공(inflator stud aperture; 224)의 직경들은, 전개 중에 그 줄기부와 통공 간의 접합이 실질적으로 공기밀폐식으로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팽창기 몸체(281)와 팽창기 삽입 통공(223)의 직경들은, 전개 중에 팽창기와 통공 사이의 접합이 실질적으로 공기밀폐식으로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0 은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 조립체(200)의 확대 절개 사시도인데, 여기에는 팽창기를 부착시키는 방법의 다른 일 단계가 수행된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 방법은, 팽창기(280)의 제1 및 제2 팽창기 줄기부들(282, 283)을 대응되는 하우징 장착용 통공들(293)을 통해 꿰어넣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에어백 쿠션(210)은, 볼트(290)와 같이 제1 및 제2 팽창기 줄기부들(282, 283)과 짝맞게 맞물리는 장착용 하드웨어를 이용함으로써, 하우징(290)에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전술된 방법은 팽창기를 부착시키는 방법, 또는 에어백 쿠션을 에어백 하우징에 부착시키는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도 20 에는 스태빌라이저 스트랩(270)도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그 스트랩이 스트랩 통공(미도시)을 통해 꿰어지고 또한 스트랩 후크(292)에 의하여 수용된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스태빌라이저 스트랩(270)은, 전술된 바와 같은 팽창기를 통해 에어백 쿠션을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방법과 관련된 구조물들과 조합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그와 조합되지 않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백 하우징(290)이 팽창기(280)의 몸체부의 장축을 따라서 대향된 제1 단부(E1) 및 제2 단부(E2)를 구비할 때,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제1 단부(E1)에 위치된 팽창기 부착 영역에 상기 팽창기가 삽입되는 팽창기 삽입 통공(223)이 제공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 스트랩(270)이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제2 단부(E2)로 연장되어 에어백 하우징의 제2 단부(E2)에 결합되며, 이로써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의 전개 중에 스태빌라이저 스트랩(270)이 긴장되어 에어백 쿠션이 팽창기 및 에어백 쿠션의 부착 지점들 주위로 회전함을 방지함으로써 전개 중인 에어백 쿠션을 안정화(stabilize)시키게끔 에어백 쿠션(210) 및 팽창기(280)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스태빌라이저 스트랩은 에어백 쿠션이 전개 중에 비스듬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팽창기들과 에어백 하우징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팽창기의 크기 및 형상은 여기에서 설명된 것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들은 팽창기와 일체로 되지 않을 수 있는바, 어떤 실시예에서는 장착용 줄기부들을 제공하는 팽창기 하우징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팽창기 및/또는 하우징이 둘보다 많거나 적은 장착용 줄기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장착용 줄기부들은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팽창기 몸체에 대해 직각이 아니라 팽창기 몸체에 대해 축방향의 방위를 가질 수 있다. 에어백 하우징(290)은 완전한 하우징을 이루지 않을 수 있는바, 그것은 에어백 하우징의 하위 구성요소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장착용 구조물을 한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임의의 방법은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 및 작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방법의 단계들 및/또는 작용들은 서로 상호교체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실시예의 적절한 작업을 위하여 단계들 또는 작용들의 특정 순서가 필요하지 않다면, 특정 단계들 및/또는 작용들의 순서 및/또는 이용은 변형될 수 있다.
더 이상의 수고가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상세한 설명을 활용하여 본 발명을 완전히 실시할 수 있다고 믿어진다. 여기에서 설명된 예들 및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만 고려되어야 하고 어떤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상세사항들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세한 설명에 특정적으로 기재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형예들 및 개선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의된다.
101: 재료 패널 102: 제1 부분
103: 제2 부분 104: 중간 부분
105: 주변부 123: 팽창기 삽입 통공
124: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 통공 130: 제1 테더
135: 제2 테더

Claims (32)

  1. 적어도 하나의 장착용 줄기부(mounting stem)를 구비한 팽창기(inflator)로서, 장착용 줄기부는 팽창기의 몸체부(body portion)의 장축(long axis)으로부터 멀리 직각으로 돌출된, 팽창기;
    팽창기에 결합된 에어백 하우징으로서, 에어백 하우징은 상기 장축을 따라서 대향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공(aperture)을 포함하는, 에어백 하우징;
    팽창기를 거쳐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된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airbag cushion)으로서, 그 에어백 쿠션은 에어백 쿠션의 하측 부분에 배치된 접힘부(folded portion)를 구비하고, 그 접힘부는 팽창기 부착 영역(inflator attachment area)을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및
    에어백 쿠션에 결합된 스태빌라이저 스트랩(stabilizer strap);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제1 단부에 위치된 팽창기 부착 영역에 상기 팽창기가 삽입되는 팽창기 삽입 통공이 제공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 스트랩이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제2 단부로 연장되어 에어백 하우징의 제2 단부에 결합되며, 이로써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스태빌라이저 스트랩이 긴장(tension)되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상기 팽창기 주위로 회전함을 방지함으로써 전개 중인 에어백 쿠션을 안정화(stabilize)시키는, 에어백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태빌라이저 스트랩은,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의 전개 중에, 에어백 쿠션이 에어백 하우징에 대하여 팽창기 부착 영역(inflator attachment area)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에어백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팽창기 부착 영역은 솔기가 없도록 구성된, 에어백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에어백 쿠션 및 팽창기는, 에어백 쿠션이 접힌 구성형태(folded configuration)에 놓인 후에 팽창기가 에어백 쿠션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에어백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조립체는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에 결합된 백 스트랩(bag strap)을 더 포함하고, 백 스트랩은 적어도 하나의 팽창기 장착용 통공을 포함하는, 에어백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백 스트랩은, 접힌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의 둘레로 감싸여 그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을 접힌 구성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로써 에어백 쿠션은 패키징된 구성형태(packaged configuration)를 이루는, 에어백 조립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팽창기는, 에어백 쿠션이 패키징된 구성형태에 놓인 후에 팽창기가 에어백 쿠션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에어백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에어백 쿠션이 제1 면(first face) 및 제2 면(second face)을 구비하도록 중간 부분(middle portion)에서 접히는 단일 조각의 재료에 의하여 에어백 쿠션이 형성되고, 접힌 중간 부분은 각각 에어백 쿠션의 제1 면에 배치되는 팽창기 삽입 통공(inflator insert aperture) 및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 통공(inflator mounting stem aperture)을 구비한 팽창기 장착부를 포함하며, 스태빌라이저 스트랩은 중간 부분에서 에어백 쿠션에 결합되고 또한 팽창기 삽입 통공 및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 통공과 동일한 면에 배치되는, 에어백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팽창가능한 에어백 쿠션은 무릎 에어백 쿠션을 이루는, 에어백 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에어백 하우징은 스태빌라이저 스트랩을 수용하기 위한 통공을 더 포함하는, 에어백 조립체.
  11. 제 8 항에 있어서,
    에어백 하우징은 스태빌라이저 스트랩을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시키기 위한 장착용 구성요소(mounting component)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 조립체.
  12. 제 8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스태빌라이저 스트랩을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시키기 위한 장착용 구성요소는 에어백 하우징의 외측부에 배치된, 에어백 조립체.
  13. 제 8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스태빌라이저 스트랩을 위한 장착용 구성요소는 에어백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된 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백 조립체.
  14. 제 8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연장부(extension)는 바브(barb)를 포함하는, 에어백 조립체.
  15. 제 8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장착용 구성요소는 후크(hook)를 포함하는, 에어백 조립체.
  16. 제 8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스태빌라이저 스트랩은 연장부에 의하여 수용되도록 구성된 통공을 포함하는, 에어백 조립체.
  17. 제 8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스태빌라이저 스트랩은 재료의 루프(loop)를 포함하는, 에어백 조립체.
  18. 제 8 항에 있어서,
    스태빌라이저 스트랩은 스티칭(stitching)에 의하여 에어백 쿠션에 결합된, 에어백 조립체.
  19. 제 8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팽창기 장착 영역에 대한 스티칭의 최하측 부분(lower-most portion)은 팽창기 장착용 줄기부 통공 및 팽창기 삽입 통공의 중심들 각각과 정렬된, 에어백 조립체.
  20. 제 8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팽창기는, 에어백 쿠션이 닫히게 꿰매어진 후에 에어백 쿠션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에어백 조립체.
  21. 제 8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에어백 쿠션 및 팽창기는, 에어백 쿠션을 접는 방법에 따라서 에어백 쿠션이 접힌 후에 팽창기가 에어백 쿠션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에어백 조립체.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117025552A 2009-04-27 2010-01-19 에어백 하우징에 대한 팽창기 개재식 결합 및 팽창기 삽입을 위한 구성을 갖는 무릎 에어백 조립체 KR101698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30,562 US8083254B2 (en) 2009-04-27 2009-04-27 Knee airbag assemblies configured for inflator insertion and inflator-mediated coupling to an airbag housing
US12/430,562 2009-04-27
PCT/US2010/021343 WO2010126623A1 (en) 2009-04-27 2010-01-19 Knee airbag assemblies configured for inflator insertion and inflator-mediated coupling to an airbag hou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074A KR20120016074A (ko) 2012-02-22
KR101698059B1 true KR101698059B1 (ko) 2017-01-19

Family

ID=4299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552A KR101698059B1 (ko) 2009-04-27 2010-01-19 에어백 하우징에 대한 팽창기 개재식 결합 및 팽창기 삽입을 위한 구성을 갖는 무릎 에어백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83254B2 (ko)
EP (1) EP2424753B1 (ko)
JP (1) JP5596128B2 (ko)
KR (1) KR101698059B1 (ko)
CN (1) CN102414055B (ko)
WO (1) WO20101266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0782A1 (en) * 2009-04-27 2010-10-28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bag straps for wrapping the airbags and optimizing deployment
US8118325B2 (en) 2009-04-27 2012-02-21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s and internal tethers produced from single panels of material
US8083254B2 (en) 2009-04-27 2011-12-27 Autoliv Asp, Inc. Knee airbag assemblies configured for inflator insertion and inflator-mediated coupling to an airbag housing
US8777262B2 (en) 2009-04-27 2014-07-15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stabilizer straps
US8500157B2 (en) 2009-04-27 2013-08-06 Autoliv Asp, Inc. Knee airbag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US8297649B2 (en) 2009-07-16 2012-10-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having two chambers separated by an internal tether
US8505969B2 (en) * 2009-10-27 2013-08-13 Tk Holdings Inc. Knee airbag module
US8272667B2 (en) 2009-11-03 2012-09-25 Autoliv Asp, Inc. Low-mount inflatable knee airbags having serial chambers
US8500155B2 (en) 2009-12-22 2013-08-06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assembly with an integral cover
US8091918B2 (en) * 2010-01-19 2012-01-10 Autoliv Asp, Inc. Double-sewn airbag mounting assemblies
US8360464B2 (en) 2010-08-31 2013-01-29 Autoliv Asp, Inc. Covers for inflatable knee airbag housings
US8297650B2 (en) 2010-08-31 2012-10-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articulating housings
KR102010919B1 (ko) * 2011-10-11 2019-08-14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무릎 에어백 조립체 및 관련 방법
US8540276B2 (en) 2011-11-07 2013-09-24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cushion fold pattern
US8505963B1 (en) 2012-02-24 2013-08-13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strap clamps
US8814201B2 (en) * 2012-08-17 2014-08-26 Chrysler Group Llc Knee airbag having increased package width
US8544879B1 (en) * 2012-09-25 2013-10-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bolster with stepped bladder spacing
US9010804B2 (en) 2013-03-15 2015-04-21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constrained stabilizer straps
KR102095561B1 (ko) * 2013-11-12 2020-04-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무릎 에어백 모듈
US9302414B2 (en) * 2014-06-24 2016-04-05 Ford Global Technologies Molded active plastics components for a vehicle airbag assembly
DE102016001457A1 (de) * 2016-02-09 2017-08-10 Trw Automotive Gmbh Kniegassackmodul
JP6822921B2 (ja) * 2017-08-14 2021-0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
US10696266B2 (en) 2017-11-10 2020-06-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KR102320377B1 (ko) * 2020-05-29 2021-11-0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무릎 에어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1769A (ja) * 2002-04-01 2003-10-15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
JP2006321334A (ja) * 2005-05-18 2006-11-30 Toyoda Gosei Co Ltd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20070246920A1 (en) * 2006-04-24 2007-10-25 Trw Automotive Gmbh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comprising a gas bag
JP2009056980A (ja) * 2007-08-31 2009-03-19 Toyoda Gosei Co Ltd ラッピング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8822A (en) 1972-02-14 1975-01-07 True Temper Corp Spinning reel
US4290627A (en) 1979-12-03 1981-09-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L-shaped inflatable restraint cushion
US5338061A (en) 1992-04-08 1994-08-16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Air bag having double-wall construction
JPH06344844A (ja) 1993-06-07 1994-12-20 Takata Kk エアバッグ
JP3352203B2 (ja) 1993-12-08 2002-12-0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5344184A (en) 1993-12-21 1994-09-0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aining a vehicle occupant
US5460400A (en) 1994-05-20 1995-10-24 Takata, Inc. Passenger-side air bag module with improved assembly features
US5765867A (en) 1996-05-03 1998-06-16 Alliedsignal Inc. Air bag with externally mounted tether
US5772239A (en) 1996-06-24 1998-06-30 Takata, Inc. Airbag sub-module having fabric envelope with horn switch
US5669627A (en) 1996-07-25 1997-09-23 Morton International, Inc. Side impact airbag module with extruded cover
US5823566A (en) 1996-10-16 1998-10-20 Alliedsignal Inc. Air bag module with deployment flap
US5810390A (en) 1996-12-09 1998-09-22 Morton International, Inc. Module case for side impact airbag module
US5845935A (en) 1997-03-07 1998-12-08 Morton International, Inc. Side airbag module
US5927748A (en) 1997-06-26 1999-07-27 O'driscoll; Peter Multi-stage inflatable bag for vehicular safety systems
JP3577208B2 (ja) 1997-12-09 2004-10-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6365348B1 (en) * 1997-12-24 2002-04-02 Corixa Corporation Compounds for diagnosis of Breast cancer and methods for their use
JPH11255063A (ja) 1998-03-13 1999-09-21 Takata Kk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DE29807424U1 (de) 1998-04-23 1998-08-27 Trw Repa Gmbh Knieschutzeinrichtung für Fahrzeuginsassen
US6299204B1 (en) 1998-08-18 2001-10-09 Milliken & Company Vehicle restraint system comprising an airbag having an integrated mouth
DE19847854C2 (de) 1998-10-16 2002-06-20 Breed Automotive Tech Zweikammerluftsack
US6254121B1 (en) 1998-12-14 2001-07-03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Chambered driver side air bag and module attachment method
US6494484B2 (en) 1999-04-23 2002-12-17 Milliken & Company Polygon-shaped air bag
US6217059B1 (en) 1999-08-16 2001-04-17 Trw Inc. Apparatus for helping to protect a vehicle occupant's legs
DE60018158T8 (de) 2000-02-01 2006-08-24 Delphi Automotive Systems Sungwoo Corp. Seitenairbagsystem und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JP4608072B2 (ja) 2000-02-25 2011-01-05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3406277B2 (ja) 2000-05-29 2003-05-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AU2001269455A1 (en) 2000-07-07 2002-01-21 Toyoda Gosei Co. Ltd. Air bag device for knee protection
US7182365B2 (en) 2000-07-07 2007-02-27 Toyoda Gosei Co., Ltd. Air bag device for knee protection
US6962363B2 (en) 2000-07-07 2005-11-08 Milliken & Company Multiple chamber airbags and methods
US6224129B1 (en) 2000-07-11 2001-05-01 Illinois Tool Works Inc. Car seat tether anchor and system
US20020044819A1 (en) 2000-11-10 2002-04-18 Shamoon Ellis N. Case binder with living hinge
US6454296B1 (en) 2000-11-22 2002-09-24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air bag for roll-over restraint
JP4465872B2 (ja) 2000-12-19 2010-05-26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6431583B1 (en) 2001-02-28 2002-08-13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bolster with external tethering
US20020149187A1 (en) 2001-04-11 2002-10-17 Holtz Kimberlee D. Soft-surface inflatable knee bolster airbag
US6464255B1 (en) 2001-05-10 2002-10-15 Patent Holding Company Knee bolster airbag system
US6945557B2 (en) * 2001-11-09 2005-09-20 Toyoda Gosei Co., Ltd. Knee protecting airbag device
US6715789B2 (en) 2001-05-21 2004-04-06 Toyoda Gosei Co., Ltd. Knee protecting airbag device
US6752417B2 (en) 2001-05-21 2004-06-22 Toyoda Gosei Co., Ltd. Knee protecting airbag device
JP3912144B2 (ja) 2001-05-21 2007-05-09 タカタ株式会社 助手席用乗員脚部保護装置
US7055851B2 (en) 2001-11-22 2006-06-06 Toyoda Gosei Co., Ltd. Knee protecting airbag device
JP3743360B2 (ja) 2001-12-06 2006-02-08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の収納方法
JP3687602B2 (ja) 2001-12-10 2005-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膝部保護装置
US6959755B2 (en) * 2002-01-30 2005-11-01 Kuo Jui Chen Tube-style radiator structure for computer
US7566074B2 (en) 2002-02-20 2009-07-28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20030168836A1 (en) 2002-03-11 2003-09-11 Eiji Sato Side airbag apparatus
DE10316543A1 (de) 2002-04-11 2003-11-13 Toyoda Gosei Kk Luftsackvorrichtung
US6851704B2 (en) 2002-05-13 2005-02-08 Lear Corporation Air bag assembly
US6962366B2 (en) 2002-06-11 2005-11-0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ir bag device
JP3900033B2 (ja) 2002-07-18 2007-04-04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3900051B2 (ja) 2002-09-13 2007-04-04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6846005B2 (en) 2002-12-09 2005-01-25 Key Safety Systems, Inc. Air bag cushion and module
JP4337340B2 (ja) 2002-12-12 2009-09-30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175195B2 (en) 2002-12-25 2007-02-13 Toyoda Gosei Co., Ltd.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7819419B2 (en) 2003-01-20 2010-10-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7281734B2 (en) 2003-01-23 2007-10-16 Takata Corporation Airbag and airbag system
US20050001412A1 (en) 2003-07-01 2005-01-06 Schneider David W. Overhead airbad with external tether
JP2005047471A (ja) 2003-07-31 2005-02-24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100522872B1 (ko) 2003-08-14 2005-10-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FR2858957B1 (fr) 2003-08-22 2006-08-18 Mollertech Sas Piece d'habillage pour vehicule automobile, avec un volet apte a masquer un coussin gonflable
JP2005082025A (ja) * 2003-09-09 2005-03-31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アッセンブリ
DE602004021218D1 (de) 2003-09-24 2009-07-09 Toyoda Gosei Kk Knieschutz Airbaggerät
US7195280B2 (en) 2003-11-20 2007-03-27 Autoliv Asp, Inc. High internal pressure fabric airbag with exposed inflator
US7261318B2 (en) 2003-12-01 2007-08-28 Autoliv Asp, Inc. Knee airbag and glove box assembly
JP2005178607A (ja) 2003-12-19 2005-07-07 Takata Corp ニーバッグ及び乗員脚部保護装置
JP4291687B2 (ja) * 2003-12-26 2009-07-0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車両用のニーエアバッグ装置
US20050151351A1 (en) 2004-01-12 2005-07-14 Enders Mark L. Fabric knee airbag for high internal pressures
DE102004002478B3 (de) 2004-01-16 2005-07-28 Lisa Dräxlmaier GmbH Flexible Airbagklappe
JP4534525B2 (ja) 2004-02-27 2010-09-01 タカタ株式会社 ニーバッグ及び乗員脚部保護装置
US7370884B2 (en) 2004-03-02 2008-05-13 Autoliv Asp, Inc. Expanding airbag inflator housing
DE102004010869B4 (de) 2004-03-05 2005-12-29 Trw Automotive Gmbh Gassack-Modul, insbesondere für einen Knie-Gassack
JP4595499B2 (ja) 2004-03-23 2010-12-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折り畳み方法
JP4424048B2 (ja) 2004-04-20 2010-03-03 タカタ株式会社 ニーバッグモジュール
US7347444B2 (en) 2004-05-06 2008-03-25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with overlapping chamber
US7549672B2 (en) 2004-05-27 2009-06-23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device
JP4364081B2 (ja) 2004-07-14 2009-11-1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315230B2 (en) * 2004-08-19 2008-01-01 The Hoffman Group, Llc Adjustable solenoid
JP4345645B2 (ja) 2004-11-09 2009-10-14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DE102005037845B4 (de) 2004-12-02 2010-04-01 Takata-Petri Ag Gassack zum Schutz des Kniebereichs eines Fahrzeuginsassen
JP2006248511A (ja) 2005-02-09 2006-09-21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7604250B2 (en) 2005-05-18 2009-10-20 Toyoda Gosei Co., Ltd. Airbag device
US7396044B2 (en) 2005-07-11 2008-07-08 Tk Holdings Inc. Deployment control device for air bag
JP2007030615A (ja) 2005-07-25 2007-02-08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KR100707890B1 (ko) 2005-09-12 2007-04-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장치
US7152880B1 (en) 2005-10-17 2006-12-26 Key Safety Systems, Inc. Grooved air bag
KR100636641B1 (ko) 2005-11-23 2006-10-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699173B1 (ko) 2005-12-16 2007-03-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모듈
DE102006008756A1 (de) 2006-02-24 2007-09-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arborn Knieairbag
US7849672B2 (en) * 2006-04-26 2010-12-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ailure diagnosis method for reducing agent addition valve
US7748739B2 (en) 2006-06-27 2010-07-06 Autoliv Asp, Inc. Device for protecting an inflatable element
US7658408B2 (en) 2006-08-03 2010-02-09 Toyoda Gosei Co. Ltd. Airbag assembly
DE202006014012U1 (de) 2006-09-08 2008-01-17 Autoliv Development Ab Seitenairbag
US7712769B2 (en) 2006-09-13 2010-05-11 Takata Corporation Airbag device
US7568724B2 (en) 2006-09-22 2009-08-04 Autoliv Asp, Inc. Airbag cover with retaining channel
JP4840157B2 (ja) 2007-01-24 2011-12-2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WO2008109053A2 (en) 2007-03-05 2008-09-12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with deployment control flap
JP4710862B2 (ja) 2007-04-02 2011-06-29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7658409B2 (en) 2007-05-21 2010-02-09 Key Safety Systems, Inc Driver side air bag
JP5053717B2 (ja) * 2007-05-31 2012-10-17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US7874575B2 (en) 2007-08-10 2011-01-25 Toyoda Gosei Co., Ltd. Airbag apparatus
JP5032929B2 (ja) 2007-09-20 2012-09-26 タカタ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カバー及び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EP2042387B1 (en) 2007-09-27 2012-02-01 Toyoda Gosei Co., Ltd. Airbag for knee protection
US8096578B2 (en) 2007-11-02 2012-01-17 Tk Holdings Inc. Knee airbag
US8272664B2 (en) 2007-12-13 2012-09-25 Autoliv Asp, Inc. Airbag lateral flap
US8444177B2 (en) 2008-02-25 2013-05-21 Autoliv Development Ab Assembly with an instrument panel for a motor vehicle and a knee airbag
US7695013B2 (en) 2008-05-20 2010-04-13 Tk Holdings Inc. Deployment control device for airbag
US7938444B2 (en) * 2008-10-14 2011-05-10 Autoliv Asp, Inc. Mounting bracket for tether release mechanism
US8083254B2 (en) 2009-04-27 2011-12-27 Autoliv Asp, Inc. Knee airbag assemblies configured for inflator insertion and inflator-mediated coupling to an airbag housing
US20100270782A1 (en) * 2009-04-27 2010-10-28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bag straps for wrapping the airbags and optimizing deployment
US8118325B2 (en) * 2009-04-27 2012-02-21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s and internal tethers produced from single panels of material
US8297649B2 (en) 2009-07-16 2012-10-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having two chambers separated by an internal teth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1769A (ja) * 2002-04-01 2003-10-15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
JP2006321334A (ja) * 2005-05-18 2006-11-30 Toyoda Gosei Co Ltd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20070246920A1 (en) * 2006-04-24 2007-10-25 Trw Automotive Gmbh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comprising a gas bag
JP2009056980A (ja) * 2007-08-31 2009-03-19 Toyoda Gosei Co Ltd ラッピング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4753A1 (en) 2012-03-07
CN102414055A (zh) 2012-04-11
EP2424753A4 (en) 2012-10-10
KR20120016074A (ko) 2012-02-22
US20100270775A1 (en) 2010-10-28
CN102414055B (zh) 2014-12-31
EP2424753B1 (en) 2015-03-04
JP5596128B2 (ja) 2014-09-24
US8083254B2 (en) 2011-12-27
WO2010126623A1 (en) 2010-11-04
JP2012525291A (ja)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059B1 (ko) 에어백 하우징에 대한 팽창기 개재식 결합 및 팽창기 삽입을 위한 구성을 갖는 무릎 에어백 조립체
US8118325B2 (en) Inflatable knee airbags and internal tethers produced from single panels of material
US8500157B2 (en) Knee airbag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US8777262B2 (en) Airbag assemblies with stabilizer straps
US20100270782A1 (en)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bag straps for wrapping the airbags and optimizing deployment
US9010804B2 (en) Airbag assemblies with constrained stabilizer straps
JP5371157B2 (ja) 膨張式クッション用のテザーシステム
JP5580420B2 (ja) 膨張式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の帯封を有する取り付けアセンブリ
JP5366444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4946899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20150008131A (ko) 능동 벤트를 구비한 에어백
JP5962563B2 (ja) 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KR20120099012A (ko) 에어백 장치
US9452728B2 (en) Seat assembly having a side airbag module
US20200254956A1 (en) Cover of an airbag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method for packing an airbag in a cover
KR20130045058A (ko) 자동차용 무릎 에어백
JP4820475B2 (ja) 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の組立て方法、並びにエアバッグ
JP2018099928A (ja) エアバッグ装置
EP2766229B1 (en) Knee airbag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JP5160845B2 (ja) 車両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8052682A1 (en) Improved flexible holding element for removably attaching an element of an air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