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706B1 - 압축 가스 시스템에서의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개선된 방법 - Google Patents

압축 가스 시스템에서의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개선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706B1
KR101688706B1 KR1020147009118A KR20147009118A KR101688706B1 KR 101688706 B1 KR101688706 B1 KR 101688706B1 KR 1020147009118 A KR1020147009118 A KR 1020147009118A KR 20147009118 A KR20147009118 A KR 20147009118A KR 101688706 B1 KR101688706 B1 KR 101688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accumulation
discharge
time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8682A (ko
Inventor
마르틴 펠트젠
신스테튼 요하네스
Original Assignee
베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58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38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38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16T1/48Monitoring arrangements for inspecting, e.g. flow of steam and steam condens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Y10T137/3021Discriminating outlet for liquid
    • Y10T137/304With fluid responsive valve
    • Y10T137/3052Level respon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액 증기 트랩을 사용한 압축 가스 시스템에서의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응축액 증기 트랩은 응축액 축적 구역, 축적 구역에서의 응축액 감지를 위한 센서 및 축적 구역으로부터 응축액 배출을 위한 조절 가능한 배수 밸브를 갖고 있다. 방법은 발생 및 반복되는 순서에 따라 다음과 같다: 정해진 축적 기간에 걸쳐 응축액이 모아지는 축적 단계(S1, S2, S3, S4), 센서를 사용하여 축적 구역에서의 응축액을 감지하기 위하여 최소한 축적 단계를 (S1, S2, S3, S4) 종결하는 감지 단계(D1, D2, D3, D4), 감지 단계에서 축적 구역에서의 응축액이 감지되는 경우, 정해진 배출 시간을 통해서 응축액이 배출되는 배출 단계(A1, A2, A4). 이와 같은 방법은 감지 단계에서 (D1, D2, D3, D4) 최초로 또는 아무리 늦어도 반복적으로 응축액이 감지되는 경우, 이어지는 축적 단계 중 최소한 한 단계, 우선적으로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축적 단계의 축적 시간이 단축되고, 혹은 이어지는 배출 단계 중 최소한 한 단계, 우선적으로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배출 단계의 배출 시간이 연장되며, 혹은 이어지는 배출 단계 중 최소한 한 단계, 우선적으로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배출 단계에서 배수 밸브의 열림 정도가 증가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축적 구역에서 최초로 또는 반복적으로 응축액이 전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어지는 축적 단계 중 최소한 한 단계, 우선적으로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축적 단계의 축적 시간이 연장되고, 혹은 이어지는 배출 단계 중 최소한 한 단계, 우선적으로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배출 단계의 배출 시간이 시간적으로 단축되며, 혹은 이어지는 배출 단계 중 최소한 한 단계, 우선적으로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배출 단계의 배수 밸브의 열림 정도가 감소된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압축 가스 시스템에서의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개선된 방법{IMPROVED METHOD FOR THE AUTOMATED DISCHARGE OF CONDENSATE FROM A PRESSURIZED GAS SYSTEM}
본 발명의 대상은 응축액 증기 트랩을 사용한 압축 가스 시스템에서의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방법 및 이에 따라 장착된 제어 및 모니터링 전자 장치가 있는 응축액 증기 트랩이다.
압축 공기 시스템과 같은 압축 가스 시스템에서는 주로 물과 오일로 이루어진 응축액이 생긴다. 응축액은 컴프레서의 윤활제와 가스의 수분 함유량 등에서 비롯된다. 이 응축액은 일반적으로 오염, 막힘 상태 및 부식으로 인해서 압축 가스 시스템의 목적에 맞는 사용을 방해한다. 따라서 응축액은 모아져서 가능한 한 가스나 압축 공기가 대량으로 손실되지 않고, 시스템에서의 압력이 현저하게 강하함이 없이 연결되어 있는 압축 가스 시스템으로부터 이따금 배출되어야 한다.
그와 같은 배출 과정을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시행하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필요에 따라 조절되지 않는 이러한 방식은 불필요한 배출 과정으로 인한 앞서 언급한 압력 손실을 초래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가장 좋은 경우는 배출 과정의 시간과 시점에 따라 충전 레벨에 의거하여 배출 과정을 조절하기 위해서 충전 레벨을 정량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정량적 충전 레벨 측정을 위해서는 플로트 게이지가 장착된 응축액 증기 트랩을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유착 상태가 되어서 응축액이 더 이상 배출될 수 없거나 압축 가스의 불필요한 배출에 의한 압축 가스 손실이 발생하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정량적 측정을 통해서 충전 레벨을 간접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정량적 측정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기는 하지만,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배출 과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확실한 충전 레벨 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압력으로 움직이는 막혀 있는 응축액에서의 난류를 피해야만 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이는 특히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응축액 증기 트랩 내 부피가 작은 축적 구역에 있어서 불가능하다. 따라서 다르게 표현하자면 배출 과정 동안의 충전 레벨 모니터링이 일반적으로 "blind" 하다.
그런 이유로 본 발명의 과제는 응축액 증기 트랩을 사용한 압축 가스 시스템에서의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서는 응축액 증기 트랩을 사용하여 확실하고, 불필요한 압력 손실을 방지하는 응축액 자동 배출을 보장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이에 상응하여 개선된 응축액 증기 트랩이 제공된다.
이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방법 및 독립 청구항에 따른 응축액 증기 트랩에 의해서 해결된다. 유리한 실시예들은 각 종속 청구항의 대상이다. 청구항에서 개별적으로 다루어진 특징을 임의로 기술적으로 의미 있는 방식으로 서로 결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를 제시한다는 사실을 참조할 수 있다. 명세서는 특히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다루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해준다.
본 발명에 의거한 방법은 응축액 증기 트랩을 사용한 압축 가스 시스템, 특히 압축 공기 시스템에서의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것이다. 여기서 응축액 증기 트랩은 응축액 축적 구역, 축적 구역에서의 응축액 충전 레벨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및 축적 구역으로부터의 응축액 배출을 위한 조절 가능한 배수 밸브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 의거한 방법은 원칙적으로 모든 종류의 충전 레벨 센서 시스템에 적합한데, 정량적 센서 시스템 즉, 축적 구역 내 가능한 모든 충전 레벨 높이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충전 레벨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시스템에 적합하다. 앞서 기술한 감지는 비용이 많이 들며, 우선적으로 정해진 충전 레벨(예: 정해진 최대 충전 레벨) 도달만을 감지하는 감지 장치가 다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류의 센서 시스템은 큰 비용 없이 실현할 수 있으며 비교적 신뢰할 수 있다. 특히 충전 레벨은 정량적 측정을 통해서 산출된다.
본 발명에 의거한 방법은 발생 및 반복되는 순서에 따라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세 가지 단계를 갖고 있다.
응축액 증기 트랩의 축적 구역에서 정해진 축적 시간을 통해서 응축액이 축적되는 축적 단계.
나아가 축적 단계를 종결하는 감지 단계가 규정되어 있다. “종결하는”이라는 표현은 감지 단계에서의 축적 구역에 응축액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 시점이 현재 축적 단계의 축적 시간을 규정짓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적 시간을 정하기 위해서는 이 시점이 중요하다. 사전에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측정과 충전 레벨 모니터링을 규정할 수 있다. 이 시점에 응축액이 전혀 확인되지 않거나 충분한 응축액 충전 레벨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배출 단계가 진행되지 않는다. 즉, 배출 단계가 생략되고 직접적인 새로운 축적 단계가 진행된다.
그 밖에 선행되는 감지 단계에서 축적 구역에서 응축액이 감지된 경우, 정해진 배출 시간 동안 배수 밸브를 열어서 응축액 증기 트랩의 축적 구역으로부터 응축액이 배출되는 배출 단계가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감지 단계에서의 “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라 배출 단계로 이어진다. 경우에 따라서 가능한 감지와 배출 사이의 시간적인 지체는 전체 축적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정해진 축적 시간에 더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거하여 감지 단계에서 (D1, D2, D3, D4) 최초로 또는 아무리 늦어도 반복적으로 응축액이 감지되는 경우, 이어지는 축적 단계 중 최소한 한 단계, 우선적으로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축적 단계의 축적 시간이 단축되고, 혹은 이어지는 배출 단계 중 최소한 한 단계, 우선적으로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배출 단계의 배출 시간이 연장되며, 혹은 이어지는 배출 단계 중 최소한 한 단계, 우선적으로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배출 단계에서 배수 밸브의 열림 정도가 증가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축적 구역에서 최초로 또는 반복적으로 응축액이 전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어지는 축적 단계 중 최소한 한 단계, 우선적으로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축적 단계의 축적 시간이 연장되고, 혹은 이어지는 배출 단계 중 최소한 한 단계, 우선적으로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배출 단계의 배출 시간이 시간적으로 단축되며, 혹은 이어지는 배출 단계 중 최소한 한 단계, 우선적으로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배출 단계의 배수 밸브의 열림 정도가 감지된다고 규정되어 있다.
“단축”, “감소” 또는 “연장”, “증가” 개념은 여기서 시간적으로 선행된 해당 단계와 비교했을 때, 각각 변경된 현재 단계에 관련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방법은 배출 과정 동안 전반적으로 충전 레벨 모니터링이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기간, 규모 및/또는 시점과 관련하여 불필요한 배출과정(즉, 응축액이 배출되지 않는 배출 과정)이 가능한 많이 방지되는 거의 최적화된 배출이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최소한 앞서 언급한 배출 파라미터 중 하나를 적합한 방식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가능하다. 한편으로는 조절을 통해서 평균적인 유입량과 비교하여 각 주기마다 가능한 한 적은 응축액이 축적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각각의 배출 과정마다 사용 가능한 축적 구역 내에서 가능한 한 많은 응축액이 축적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감지 단계에 속하는 수준 이상으로) 미리 저장되어 있는 구역 또는 압축 가스 시스템 용기로 응축액이 넘치지 않아, 열림 및 닫힘 운동을 통해서 야기되는 배수 밸브의 마모를 가능한 한 적게 유지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적은 배출 단계를 통해서 응축액 축적이 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몇 가지 실질적인 시도에 맞춰 응축액 증기 트랩 또는 압축 가스 시스템의 각 구조적 조건에 따라 변화 범위를 선택하는 것은 전문가의 책임이다. 본 발명에 의거한 방법은 15 ml 내지 40 리터와 같이 1 ml 내지 수십 리터에 달하는 상이한 축적 구역 부피를 갖는 응축액 증기 트랩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거한 방법의 그 밖의 실시예에 따르면 축적 구역에서의 응축액 감지 최초 반복(직접적 반복)의 경우, 오직 다음 차례의 축적 단계의 축적 시간만 단축된다. 그렇지만 응축액의 갑작스러운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서 이어지는 축적 단계에서의 응축액 최초 감지 시, 선행 축적 단계와 비교했을 때 축적 시간이 단축된다. 오직 축적 시간에만 변화를 주어 긴급 시 응축액을 배출하기 위한 “적당한” 개입이 실현된다. 압축 가스 시스템에서의 큰 압력 손실은 압축 가스 시스템에서의 심한 압력 변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최소한 응축액 감지를 위해 일차적으로 응축액 배출 과정의 보다 단축된 간격을 선호하고 있다.
재차 반복이 이루어지는 경우, 시간 간격 등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배출 시간도 연장된다. 배출 시간의 연장은 보다 신속한 응축액 배출뿐만 아니라 세척 효과도 갖는다.
그러므로 축적 구역에서 처음 응축액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우선적으로 축적 시간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다음 차례 배출 단계에서의 배출 시간이 단축된다. 다시 한번 감지되지 않는 경우, 압력 강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시간 간격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배출 시간도 단축된다.
본 발명에 의거한 방법의 그 밖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비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축적 구역에서 두 차례 이상 응축액 감지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시각적 또는 청각적 경보 신호가 발생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거하여 감지 단계가 배출 과정 보다 먼저 진행되고, 적어도 배출 과정 시작 시에는 난류로 인해서 피해야만 할지라도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 과정 중에도 그 밖의 충전 레벨 측정 단계가 원칙적으로 배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배출 과정의 진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배출 시 최소 충전 레벨 도달을 감지하기 위한 또 다른 센서가 규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거한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축적 단계 동안 측정 단계 중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또 다른 측정 단계가 규정되어 있다고 정해져 있다. 이 측정 단계는 타당성 검사 등을 통해 충전 레벨 센서 시스템의 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또 다른 평균 충전 레벨이나 최소 충전 레벨로 분류되는 센서가 마련되어 있다. 타당성 검사에 있어서 최대 충전 레벨 도달 감지 시, 측정 결과는 평균 충전 레벨 또는 최소 충전 레벨 도달을 요구 할 수 있다. 모순되는 결과가 발생할 경우, 청각적 또는 시각적 고장 경보나 비상 경보가 발생된다. 또한 최소한 이러한 측정 단계에 따라 충전 레벨의 증가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는 갑작스럽게 응축액이 유입되는 경우, 청각적 또는 시각적 고장 경보나 비상 경보를 발생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거한 방법의 그 밖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레벨 증가와 관련된 속도 평가 결과가 축적 시간, 배출 시간 및/또는 열림 정도의 각각의 변화 정도를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즉, 특히 심하게 변하는 응축액 유입의 경우, 이러한 평가는 축적 시간 및/또는 배출 시간의 각각의 단축 및 연장 및/또는 열림 정도의 축소 및 확대에 있어서의 변화의 정도를 바꾸기 위해서 이용된다. 예를 들어 배수 단계 종료와 측정 단계에서의 평균 충전 레벨 또는 최소 충전 레벨 도달시간 간의 시간에 의거하여 속도가 산출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응축액을 위한 축적 구역, 축적 구역에서 응축액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 축적 구역에서의 응축액 배수를 위한 조절 가능한 배수 밸브, 전자식 제어 및 감시 회로를 갖고 있는 압축 가스 시스템을 위한 응축액 증기 트랩에 관련된 것이다. 여기서 전자식 제어 및 감시 회로는 앞서 기술한 각각의 장점을 갖춘 해당 실시예에서 방법을 진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장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배수 밸브가 압축 가스에 의해 조절되고, 또한 응축액 증기 트랩이 전자기에 의해 작동되는 조절 밸브를 포함하고 있어서 배수 밸브를 닫기 위해서 압력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압축 가스를 사용하여 배수 밸브의 열림과 닫힘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배수 밸브로서는 특히 다이어프램 밸브가 사용된다. 왜냐하면 다이어프램 밸브가 특히 고장이 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다음에서는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및 기술적 환경이 설명된다. 도면들은 본 발명의 특히 선호되는 각 실시예를 제시하지만 거기에 국한되어 있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면 1: 본 발명에 의거한 방법이 적용되는 종류에 맞는 응축액 증기 트랩의 단면도
도면 2: 부속되어 있는 도식적인 플로우 다이어그램
도면 1은 본 발명에 의거한 압축 공기 시스템을 위한 응축액 증기 트랩(1)을 단면도로 제시한다. 압축 공기가 응축되는 동안 발생하는 응축액(2)은 배관(3)을 통해서 응축액 증기 트랩(1)으로 공급된다. 응축액(2)은 본질적으로 주변 공기가 응축된 수분으로, 여기에는 제시되지 않은 압축 공기 컴프레서가 빨아들이는 수분이다. 또한 응축액은 규칙적으로 오일과 입자 실시예의 금속 성분을 제시한다.
응축액(2)은 응축액 축적 구역(4)에 모아져서 정해진 충전 레벨(5)에 도달한 후, 배출 도관(6)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 밸브(16)와 배출 구역(18)을 통해서 배출된다. 도면 1에 제시된 실시예에서는 배수 밸브(16)가 다이어프램 밸브로 형성되어 있다.
응축액 축적 구역에서의 충전 레벨의 양적 측정을 위하여 정량적 센서 시스템(7)이 마련되어 있다. 센서 시스템(7)은 최소한 응축액 축적 구역(4)에서 응축액(2)의 충전 레벨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용량을 갖는 커패시터(8)를 포함한다. 따라서 정량적 측정은 응축액(2)이 유전체로서 흘러 들어가는 경우, 전기 용량의 변화에 의한 응축액 축적 구역(4)의 충전 레벨을 파악한다. 커패시터(8)는 확실하게 형성되어 있는 첫 번째 커패시터 전극과 응축액 축적 구역(4)의 벽으로 마련되어 있는 두 번째 상대 전극 사이 전자기에 의한 측정 필드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압축 공기 배관에서의 녹이나 압축 공기 컴프레서에서의 오일로 인해서 오염이 심한 경우에도 제시된 장치는 아주 신뢰할 수 있다. 센서(7)는 또한 응축액 축적 구역(4)이 넘쳐 흐르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측정 기계에서의 쇼트를 야기할 수 있는 층 형성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측정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서 응축액으로 적셔지지 않는 청결 구역(9)이 남아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센서 시스템(7)은 또한 제시되어 있지 않은 각 실시예에서 계속적인 측정 단계의 범주 내에서 축적 구역(4)의 최소 부피 도달을 감지하는 또 다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축적 구역(4)의 하부등에 예정되어 있다.
청결 구역(9)은 잠수종과 유사한 패인 틈(11)에 의해서 정해진다. 축적 구역(4)이 완전히 넘쳐 흐르는 경우에는 (최대로 정해져 있는 충전 레벨 5를 넘은 경우) 청결 구역(9) 또는 잠수종과 유사한 패인 틈(11)으로 응축액(2)이 침투할 수 없다. 최대로 정해져 있는 충전 레벨(5) 위 청결 구역(9)에는 또한 압축 공기 배관(13)의 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그 위로 갈라지는 압축 공기는 배수 밸브(16)의 작동 또는 배수 밸브의 폐쇄된 위치 유지에 사용된다. 이를 위해서 제시된 위치에서 압축 공기가 배수 밸브(16)의 다이어프램(19)에 맞닿아 있어 배출 도관(6)이 폐쇄되고, 응축액(2)가 전혀 배출될 수 없도록 하는 전자석 조절 밸브(17)가 마련되어 있다. 전자석 조절 밸브(17)는 코일(12)과 코일을 통해 흐르는 조절 전류를 통해서 비작동 위치, 예를 들어 도면 1에 제시된 배수 밸브(16)의 폐쇄된 위치로부터 표준 위치로 움직이는 영구 자석 회전자(10)를 포함하고 있다. 회전자 10이 전면 중 한곳에 탄성이 있는 불침투성 물질을 갖고 있고 전면이 회전자의 중력과 압축 공기를 지탱하도록 밸브 시트(11)에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압축 공기 배출 배관(14)이 닫히고, 배수 밸브(16)의 압력에 의한 작동이 유지됨으로써 비작동 위치가 생긴다. 전자석 조절 밸브(17)를 조정하기 위해서 전자식 제어 및 감시 회로(15)가 마련되어 있다.
회로는 본 발명에 의거한 방법 단계를 도면 2에 예를 들어, 그리고 부분적으로만 제시된 시간 순서에 따라 t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거한 축적 단계는 S1 내지 S4, 감지 단계는 D1 내지 D4 및 배출 단계는 A1, A2 및 A4이다. 또한 축적 단계에서 진행되는 측정 단계가 예정되어 있다. S1 내지 S4 단계의 시간축 t 방향으로의 확장은 각각의 축적 시간을 제시한다. 배출 단계 A1, A2, A4 동안에는 감지 단계가 진행되지 않는다.
축적 단계 S1의 종료와 함께 감지 단계 D1에서는 최대 충전 레벨(5)에 도달했는지 여부가 감지된다. 센서 시스템이 충전 레벨 도달을 신호로 알려주기 때문에 배출 단계 A1에서의 배출 시간을 위한 배수 밸브(16)가 응축액을 배출하기 위해서 열린다. 배출 시간이 종료된 후에 배수 밸브(16)가 닫힌다. 축적 단계 S2가 시작된다. 사전에 응축액이 감지되었기 때문에 응축액의 축적 시간이 단축된다. 응축액 감지에 대한 이러한 직접적인 반응은 경우에 따라서는 한꺼번에 흘러 들어와서 막히는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아주 일찍 응축액이 유도되도록 한다. 축적 단계 S2는 다시 감지 단계 D2와 함께 종료된다. 또 다시 D2 단계에서의 최대 충전 레벨 도달이 감지된다. 이는 한편으로는 배출 단계 A2가 앞선 배출 단계에 비해서 더 긴 시간이 걸리며, 다른 한편으로는 배출 단계 A2에 다시 연결되는 축적 단계 S3가 이전의 축적 단계 S2에 비교하여 더 짧은 축적 시간을 갖는 결과를 가져온다. 축적 시간의 종료와 함께 감지 단계 D3가 진행된다. 그 결과가 응축액이 전혀 없거나 최소한 정해진 충전 레벨에 도달되지 않았다는 것이기 때문에 배출 단계 Z3가 진행되지 않고, 축적 시간이 이전의 축적 단계 S3에 비해 더 긴 새로운 축적 단계 S4와 함께 계속된다. 이 축적 단계 S4는 연장된 축적 시간 후에 배출 단계 A4의 필요성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 D4와 함께 종료된다. 그 배출 시간은 감지 단계 D3의 중간 결과를 근거로 이전의 배출 단계 A2에 비해서 단축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 배출 방법은 연이어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시된 순서는 단지 하나의 예로서 제시된 것이다. 축적 단계 S1 내지 S4 동안 예정되어 있는 측정 단계 M1 내지 M4는 축적 단계 S1 내지 S4 동안의 축적 상태의 모니터링에 사용된다. 측정 단계 M1 내지 M4는 여기서 각각 평균 레벨 또는 최소 레벨 도달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각각 종료와 평균 레벨이나 최소 레벨 도달 사이의 시간 지속 한계를 명시한다. 이러한 시간 지속은 충전 상태 평가를 가능하게 하며, 최소한 각각 이어지는 축적 단계 및 배출 단계에서의 축적 시간과 배출 시간이 변화하는 변화 규모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측정 단계는 작동 모니터링에 이용된다.

Claims (13)

  1. 응축액 증기 트랩을 사용한 압축 가스 시스템에서의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방법으로서, 응축액 증기 트랩은 응축액 축적 구역, 축적 구역에서의 응축액 감지를 위한 센서 및 축적 구역으로부터 응축액 배출을 위한 조절 가능한 배수 밸브를 갖고 있으며, 상기 방법은:
    정해진 축적 기간에 걸쳐 응축액이 모아지는 축적 단계(S1, S2, S3, S4);
    센서를 사용하여 축적 구역에서의 응축액을 감지하기 위하여 축적 단계를 (S1, S2, S3, S4) 종결하는 감지 단계(D1, D2, D3, D4);
    감지 단계에서 축적 구역에서의 응축액이 감지되는 경우, 정해진 배출 시간을 통해서 응축액이 배출되는 배출 단계(A1, A2, A4);의 시간 순서로 반복적으로 실행되고,
    상기 감지 단계에서 (D1, D2, D3, D4), 반복 순서 중 첫번째 순서에서 응축액이 감지되거나 반복 순서에서 반복적으로 응축액이 감지되는 경우, 이어지는 축적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축적 단계의 축적 시간이 단축되고, 혹은 이어지는 배출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 단계의 배출 시간이 연장되며, 혹은 이어지는 배출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 단계에서 배수 밸브의 열림 정도가 증가하고,
    축적 구역에서, 반복 순서 중 첫번째 순서에서 응축액이 전혀 감지되지 않거나 반복 순서에서 반복적으로 응축액이 전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어지는 축적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축적 단계의 축적 시간이 연장되고, 혹은 이어지는 배출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 단계의 배출 시간이 시간적으로 단축되며, 혹은 이어지는 배출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 단계의 배수 밸브의 열림 정도가 감소되는 특징이 있는,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감지 단계(D1, D2, D3, D4)에 있어서 축적 구역에서의 응축액 최초 감지 후, 오직 다음 차례의 축적 단계를 위한 축적 시간만 단축된다는 특징이 있는,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감지 단계(D1, D2, D3, D4)에 있어서 축적 구역에서의 응축액이 처음 감지되지 않는 경우, 다음 차례의 축적 단계를 위한 축적 시간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다음 차례의 배출 단계를 위한 배출 시간도 단축된다는 특징이 있는,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감지 단계(D1, D2, D3, D4)에서 축적 구역에서의 응축액 감지를 여러 차례 반복하는 경우, 시각적 또는 청각적 경보 신호가 발생된다는 특징이 있는,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감지 단계(D1, D2, D3, D4)에 있어서 정해진 충전 레벨 초과에 의해서 응축액 감지가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있는,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적 단계(S1, S2, S3, S4) 동안에 최소한 그 밖의 측정 단계(M1, M2, M3, M4)가 축적 단계(S1, S2, S3, S4) 동안의 충전 레벨 모니터링을 위해서 정해져 있다는 특징이 있는,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측정 단계(M1, M2, M3, M4)를 사용하여 충전 레벨 증가 속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에 의거하여 축적 시간, 배출 시간 및/또는 열림 정도의 각 변화 규모를 확정한다는 특징이 있는,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방법.
  8. 응축액(2)을 위한 축적 구역(4), 축적 구역(4)에서 응축액(2) 충전 레벨의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축적 구역(4)에서의 응축액 (2) 배출을 위한 조절 가능한 배수 밸브(16) 그리고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5 중 한 가지 청구항에 의거한 방법을 진행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전자식 제어 및 감시 회로(15)를 갖고 있는 압축 가스 시스템을 위한 응축액 증기 트랩(1).
  9. 제 8 항에 있어서,
    여기서 배수 밸브(16)는 압축 가스에 의해 조절되어 있으며, 응축액 증기 트랩(1)은 또한 전자기에 의해 작동되는 조절 밸브(17)를 포함하고 있어서 압축 가스를 사용하여 배수 밸브(16)의 열림과 닫힘이 조절되는
    응축액 증기 트랩(1).
  10. 제 8 항에 있어서,
    배수 밸브(16)가 다이어프램 밸브라는 특징이 있는
    응축액 증기 트랩(1).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에서 (D1, D2, D3, D4), 반복 순서 중 첫번째 순서에서 응축액이 감지되거나 반복 순서에서 반복적으로 응축액이 감지되는 경우, 이어지는 축적 단계 중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축적 단계의 축적 시간이 단축되고, 혹은 이어지는 배출 단계 중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배출 단계의 배출 시간이 연장되며, 혹은 이어지는 배출 단계 중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배출 단계에서 배수 밸브의 열림 정도가 증가하는 특징이 있는,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축적 구역에서, 반복 순서 중 첫번째 순서에서 응축액이 전혀 감지되지 않거나 반복 순서에서 반복적으로 응축액이 전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어지는 축적 단계 중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축적 단계의 축적 시간이 연장되고, 혹은 이어지는 배출 단계 중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배출 단계의 배출 시간이 시간적으로 단축되며, 혹은 이어지는 배출 단계 중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배출 단계의 배수 밸브의 열림 정도가 감소되는 특징이 있는,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방법.



KR1020147009118A 2011-09-08 2012-09-07 압축 가스 시스템에서의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개선된 방법 KR101688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110053410 DE102011053410A1 (de) 2011-09-08 2011-09-08 Verbessertes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Ablassen von Kondensat aus einem Druckgassystem
DE102011053410.5 2011-09-08
PCT/EP2012/067487 WO2013034673A2 (de) 2011-09-08 2012-09-07 Verbessertes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ablassen von kondensat aus einem druckgas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682A KR20140058682A (ko) 2014-05-14
KR101688706B1 true KR101688706B1 (ko) 2016-12-21

Family

ID=4701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118A KR101688706B1 (ko) 2011-09-08 2012-09-07 압축 가스 시스템에서의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개선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03817B2 (ko)
EP (1) EP2756218B1 (ko)
JP (1) JP5779308B2 (ko)
KR (1) KR101688706B1 (ko)
CN (1) CN103890478B (ko)
BR (1) BR112014005271A2 (ko)
DE (1) DE102011053410A1 (ko)
WO (1) WO201303467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298A1 (ja) * 2013-08-02 2015-02-05 株式会社エコファースト ノズル式スチームトラップ
CN103511831A (zh) * 2013-10-25 2014-01-15 浙江光普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储气罐排液装置
DE102014104998B4 (de) 2014-04-08 2015-12-17 Parker Hannifin Manufacturing Germany GmbH & Co. KG Hiross Zander Division Verfahren und Verdichter zur Drucklufterzeugung im Hochdruckbereich
TWM484656U (zh) * 2014-04-18 2014-08-21 Zhu-Ting Yang 氣控儀器之自動排水裝置
KR101512788B1 (ko) * 2014-05-09 2015-04-17 메탈젠텍 주식회사 스팀 트랩 시스템
CN104406043A (zh) * 2014-10-24 2015-03-11 安徽双鹤药业有限责任公司 压缩空气系统自动排水监控
US10042371B2 (en) 2014-12-31 2018-08-07 Ingersoll-Rand Company Smart drain and method of control
US10502204B2 (en) * 2015-04-10 2019-12-10 Scot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isture within an air compressor assembly
DE102016107500A1 (de) * 2016-04-22 2017-10-26 Beko Technologies Gmbh Baugruppe für einen Kondensatableiter zum Ableiten eines Druckgaskondensats
CN111237636A (zh) * 2020-01-07 2020-06-05 华电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压缩空气储气罐智能排水系统及控制方法
CN114893261B (zh) * 2022-05-07 2023-12-08 新乡市汇能玉源发电有限公司 一种高效的汽机射水抽气系统控制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1382A (en) 1978-11-24 1981-04-14 Loomhurst, Limited Condensate drain valve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38032B (en) * 1978-11-24 1983-06-15 Loomhurst Ltd Control of a valve
DE3149830C2 (de) * 1981-12-16 1985-10-10 Koch, Berthold, 5963 Wenden Vorrichtung zum Ableiten von Kondensat und dergleichen aus Drucksystemen
US4453893A (en) * 1982-04-14 1984-06-12 Hutmaker Marlin L Drainage control for compressed air system
IT1158850B (it) * 1983-03-28 1987-02-25 Elvio Bernardi Valvola automatica di scarico acqua di condensa in impianti ad aria compressa
CA2013372A1 (en) * 1989-04-05 1990-10-05 Berthold Koch Condensate trap for system under pressure
JPH0433431Y2 (ko) * 1990-05-23 1992-08-11
JPH0666399A (ja) * 1992-08-19 1994-03-08 Miyawaki:Kk トラップ
JPH06241167A (ja) * 1993-02-12 1994-08-30 Fuji Sangyo Kk ドレン排出装置
DE4320395C2 (de) * 1993-06-19 1995-06-22 Baelz & Sohn Gmbh & Co W Kondensatableiter für ein Fernwärmesystem
JPH07317993A (ja) * 1994-05-20 1995-12-08 Yunisun:Kk スチームトラップ
JP3783968B2 (ja) * 1996-01-30 2006-06-07 コツホ,ベルトールト 圧縮ガス設備から凝縮液を排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DE19714037A1 (de) * 1997-04-04 1998-10-08 Berthold Koc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leiten von Kondensat aus Druckgassystemen
JP2909901B1 (ja) * 1998-06-08 1999-06-23 株式会社フクハラ 自動ドレン排出装置
JP3270010B2 (ja) * 1998-07-14 2002-04-02 株式会社フクハラ 自動ドレン排出装置
US6279593B1 (en) * 1999-01-15 2001-08-28 Hie Sheppard Electric steam trap system and method of draining condensate
DE102005028632B4 (de) * 2005-06-20 2021-03-04 Beko Technologies Gmbh Kondensatableiter mit Wartungsschnittstelle
US8050875B2 (en) * 2006-12-26 2011-11-01 Rosemount Inc. Steam trap monitoring
CN201344362Y (zh) * 2009-02-12 2009-11-11 陕西大诚科技有限公司 汽液两相流疏水器
JP5674190B2 (ja) * 2009-08-12 2015-02-25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弁類の作動状態監視装置
CN201884929U (zh) * 2010-09-14 2011-06-29 新会双水发电(B厂)有限公司 压缩空气罐疏水装置
US9494280B2 (en) * 2011-05-11 2016-11-15 Beko Technologies Gmbh Condensate drain for pressurized gas system
DE102011051201B4 (de) * 2011-06-20 2015-07-09 Beko Technologies Gmbh Kondensatableiter für Druckgassysteme
DE102011053411B4 (de) * 2011-09-08 2016-04-21 Beko Technologies Gmbh Kondensatableiter mit Störungsüberwachung
DE102011053407A1 (de) * 2011-09-08 2013-03-14 Beko Technologies Gmbh Füllstandsüberwach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1382A (en) 1978-11-24 1981-04-14 Loomhurst, Limited Condensate drain val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24339A1 (en) 2014-08-14
BR112014005271A2 (pt) 2017-03-28
KR20140058682A (ko) 2014-05-14
WO2013034673A2 (de) 2013-03-14
WO2013034673A3 (de) 2014-04-24
CN103890478B (zh) 2016-12-28
CN103890478A (zh) 2014-06-25
US9303817B2 (en) 2016-04-05
DE102011053410A1 (de) 2013-03-14
EP2756218A2 (de) 2014-07-23
JP2014530326A (ja) 2014-11-17
EP2756218B1 (de) 2015-12-09
JP5779308B2 (ja)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706B1 (ko) 압축 가스 시스템에서의 응축액 자동 배출을 위한 개선된 방법
EP2912364B1 (en) Steam trap monitor with diagnostics and method of monitoring operation of a steam trap
JP6605357B2 (ja) 異常検知装置、異常検知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20060254357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a valve, especially a check valve of a positive displacement pump
US201301731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 Steam Plant
EP3187735B1 (en) Pump system as well as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flow in a pump system
WO2005110580A3 (en) Technique for detecting and predicting air filter condition
JP6166464B2 (ja) 井戸内のプランジャ位置の検出
KR20160046855A (ko) 변위펌프의 유압 매개변수들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CN110118283B (zh) 用于测定阀的磨损度的方法和用于执行该方法的装置
US11193851B2 (en) Method for detecting a leak in a liquid line, and water meter having a controller for carrying out the method
WO20170911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a cleaning process in respect of a milk transporting conduit structure
EP3086060A1 (en) Defrosting method and device for refrigerating 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6844450B2 (ja) 水道使用状態判定装置
CN103827569A (zh) 带故障监测的冷凝液排水器
US20170081976A1 (en) Steam-Using Facility Monitoring System
CN110686287B (zh) 止逆阀状态检测方法、止逆阀状态检测系统及吸油烟机
US78181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diagnosis of technical devices disposed within an industrial installation
JP4530507B2 (ja) 蒸気トラップ診断装置、及び、蒸気トラップ診断方法
US201802901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fluidized slug in a piping conduit
JPH08200593A (ja) スチームトラップ
JP3984006B2 (ja) ポンプ設備の下限液位以下の流入液量予測演算装置及び流入液量予測演算方法
JP6410293B2 (ja) センサキャリ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037627B2 (ja) ポンプ設備の流入液量予測演算装置及び流入液量予測演算方法
CN114072612A (zh) 在压力或真空下的气体管网中检测阻塞的方法及气体管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