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297B1 -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297B1
KR101688297B1 KR1020147035207A KR20147035207A KR101688297B1 KR 101688297 B1 KR101688297 B1 KR 101688297B1 KR 1020147035207 A KR1020147035207 A KR 1020147035207A KR 20147035207 A KR20147035207 A KR 20147035207A KR 101688297 B1 KR101688297 B1 KR 101688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glass
region
exhaust port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298A (ko
Inventor
히로유키 아베
마사타카 노나카
에이이치 우리우
겐지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2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4Discrete spacing elements, e.g. for evacuated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06B3/6775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during assemb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33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unusual substances, e.g. wood or other fibrous materials, glass or other transparent materials
    • E06B2003/66338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unusual substances, e.g. wood or other fibrous materials, glass or other transparent materials of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26Assembling spacer elements with the panes
    • E06B3/67334Assembling spacer elements with the panes by soldering; Preparing the pan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간단하고 쉬운 공정이면서, 판유리의 외면으로부터의 돌출물을 갖지 않는 복층 유리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소정 간격을 두고서 대향 배치된 한쌍의 판유리(2, 3)의 주변부를 봉착재(4)로 봉착해서 판유리의 사이에 밀폐 가능한 공간(A)을 형성하고, 배기구(7)로부터 배기하는 것에 의해서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하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한 후에, 공간 내에 배치된 영역 형성재(5)에 의해서 공간을 배기구가 포함되는 배기구 영역(B)과 배기구 영역 이외의 감압 영역(C)으로 분할한다.

Description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PRODUCTION METHOD OF MULTIPLE PANES}
본 개시는 한쌍의 판유리가 사이에 감압된 공간을 거쳐서 적층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완성 후에 감압 시에 이용된 배기관 등의 돌기물이 잔존하지 않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이에 복수 개의 스페이서를 개재시켜 한쌍의 판유리를 대향해서 배치하고, 양 판유리의 외주부를 봉착재로 밀폐하는 것에 의해 내부에 공극부에 의한 공간을 생성시켜서, 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것에 의해 감압한 복층 유리가 상품화되고 있다.
이러한 내부의 공간이 감압된 복층 유리는, 단지 판유리를 2매 중합시킨 것의 복층 유리와 비교하여, 한쌍의 판유리의 사이에 대기압보다 감압된 진공층을 개재시키는 것에 의한 큰 단열 효과나 결로 방지 효과, 방음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 대책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요즈음, 에코 유리의 하나로서 큰 주목을 끌고 있다.
내부의 공간이 감압된 복층 유리는, 금속 또는 세라믹스 등으로 이뤄지는 복수의 스페이서에 의해서 소정의 간격을 개재시킨 상태로, 한쌍의 판유리의 외주부를 저융점 유리 프리트(frit) 등의 봉착 시일재를 도포 가열하는 것에 의해 봉착해서 공간을 형성한 후, 유리 또는 금속에 의해 형성된 배기관을 거쳐서 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이러한 제조 공정을 거치고 있기 때문에, 내부의 공간이 감압된 복층 유리에는, 완성품의 단계에서 선단부가 봉지된 배기관이 잔존한다. 투명한 판유리로 이뤄지는 복층 유리에 있어서, 배기관은 볼품을 해칠 뿐만 아니라, 배기관이 손상되면 공간 내부의 감압 상태가 유지될 수 없게 되어 버리고 만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 때문에, 유리창으로서 이용되는 복층 유리에서는, 예를 들면 배기관이 실내측의 우상부 코너부에 위치하도록 해서 사용하는 것을 규정하는 등, 배기관이 시각적으로, 또한 물리적으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사용상의 제한을 행하고 있다.
종래의 감압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으로서, 배기관을 한쪽의 판유리의 두께 방향 중간 부분까지 매립하는 동시에, 배기관 봉지 시의 열이 판유리와 배기관과의 고정 부분에 영향주지 않도록 한 차폐판을 이용해 배기관을 봉지하고, 완성품에 남는 배기관의 길이를 짧게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배기관과 배기관이 배치된 부분의 주위의 판유리의 이면을, 봉지된 배기관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간극을 마련해서 수지제의 커버 부재로 덮는 것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배기관이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평10-2161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평11-311069 호 공보
상기한 종래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서는, 완성품에 있어서의 배기관의 길이를 짧게 해서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배기관에 직접 외부로부터의 힘이 작용하지 않게 하는 것에 의해, 배기관의 파손에 의해 감압 상태가 유지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에서 일정한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배기관을 짧게 하기 위해서 판유리에 오목 개소를 마련하고, 그 오목 개소 내에 배기관을 고정할 필요가 있는 것이나, 배기관의 봉지 시에 배기관과 판유리의 고착 부분이 고온으로 되지 않도록 배치하는 차폐판이 필요하게 되는 등, 복층 유리의 제조 공정이 복잡하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새롭게 커버 부재가 필요하게 되어 부품 점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동시에, 커버 부재를 이면에 부가하기 위한 공정수의 증대를 초래한다. 이와 같이, 제조 공정이 복잡화하는 것이나 부품 점수나 공정수가 증가하는 것은 복층 유리의 제조 코스트의 상승으로 연결된다. 또한, 어느 종래 기술에 의해 형성된 복층 유리에 있어서도, 완성품 상태에서 배기관이 잔존하는 것인 이상, 복층 유리의 이면으로부터의 돌출부가 존재한다고 하는 볼품의 문제나, 배기관이 파손하는 것에 의한 한쌍의 판유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부분의 감압 상태가 유지될 수 없게 되는 것의 리스크를 완전하게 배제할 수 없다.
본 개시는 이러한 현상을 감안하여 이뤄진 것으로, 간단하고 쉬운 공정이면서, 완성품 상태에서 판유리의 외면으로부터의 돌출물을 갖지 않는 복층 유리를 제조할 수 있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은, 소정 간격을 두고서 대향 배치된 한쌍의 판유리의 주변부를 봉착재로 봉착해서 상기 판유리의 사이에 밀폐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배기구로부터 배기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하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한 후에,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된 영역 형성재에 의해서 상기 공간을 상기 배기구가 포함되는 배기구 영역과 상기 배기구 영역 이외의 감압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은, 봉착재로 봉착된 한쌍의 판유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한 후에, 영역 형성재에 의해서 공간을 배기구 영역과 감압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배기를 위해서 이용한 배기관을 제거해도 감압 영역을 감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완성품으로서 판유리의 외면으로부터의 돌출물을 갖지 않는 복층 유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조된, 내부의 공간이 감압된 복층 유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조된, 내부의 공간이 감압된 복층 유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봉착재와 영역 형성재가 용융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봉착재와 영역 형성재가 용융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용융 공정과 배기 공정의 설정 조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영역 형성재에 의해 한쌍의 판유리 사이의 공간이 분할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용융 공정과 배기 공정의 다른 설정 조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영역 형성재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영역 형성재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영역 형성재의 변형예를 이용했을 경우의 완성품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봉착재와 영역 형성재가 용융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봉착재와 영역 형성재가 용융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영역 형성재의, 도포된 부분과 확산된 부분과의 외관상의 차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봉착재 형성 부분에 높이 규제 부재가 배치된 경우의, 영역 형성재가 용해해서 내부의 공간이 분할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은, 소정 간격을 두고서 대향 배치된 한쌍의 판유리의 주변부를 봉착재로 봉착해서 상기 판유리의 사이에 밀폐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배기구로부터 배기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하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감압 상태로 한 후에,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된 영역 형성재에 의해서 상기 공간을 상기 배기구가 포함되는 배기구 영역과 상기 배기구 영역 이외의 감압 영역으로 분할한다.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은, 주변부를 봉착재로 봉착된 한쌍의 판유리 사이의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한 후에, 영역 형성재에 의해서, 공간을 배기구 영역과 감압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영역 형성재에 의해서, 감압 상태로 된 한쌍의 판유리 사이의 공간이 배기구 영역과 감압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그 후에 예를 들면 배기 시에 이용한 배기관을 제거해도, 감압 영역 내를 감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열 특성이나, 결로 방지 특성, 또한 차음 특성이라고 하는 각 특성을 확보하면서, 판유리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물을 갖지 않는 복층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한쌍의 판유리 사이의 공간을 감압한다는 것은, 한쌍의 판유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외부의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 상태로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감압 상태란, 공간의 내부가 외부의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기해서 기압을 감소시킨 이른바 진공 상태를 포함하고, 또한 그 진공도에는 좌우되지 않는다. 또한, 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기한 후에 불활성 가스 등의 각종의 기체를 충전했을 경우에서도, 공간 내부의 최종적인 기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고 있는 상태이면,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감압 상태에 포함된다.
상기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역 형성재는, 상기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배기구 영역과 상기 감압 영역을 접속하는 통기부를 갖고,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한 후에 상기 통기부가 폐색되어 상기 공간을 상기 배기구 영역과 상기 감압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한쌍의 판유리의 사이의 공간을 감압 상태로 한 후에, 용이하게 배기구 영역과 감압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가, 단속적으로 형성된 상기 영역 형성재의 불연속 부분이며,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한 후에 상기 영역 형성재를 용융시켜서 상기 불연속 부분을 연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융전의 상기 영역 형성재의 형성 높이를, 용융전의 상기 봉착재의 형성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고, 상기 봉착재가 용융해서 상기 한쌍의 판유리가 봉착된 상태로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하고, 그 후 상기 한쌍의 판유리의 간격을 좁게 해서 상기 영역 형성재에 의해서 상기 공간을 상기 배기구 영역과 상기 감압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한쌍의 판유리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감압 상태의 공간을 배기구 영역과 감압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 형성재의 용융 온도가 상기 봉착재의 용융 온도보다 높고, 상기 봉착재가 용융하는 온도로 상기 한쌍의 판유리를 봉착해서 상기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한 후에, 상기 영역 형성재가 용융하는 온도로 상기 영역 형성재를 용융시켜 상기 공간을 상기 배기구 영역과 상기 감압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봉착재와 영역 형성재의 용융 온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감압 상태의 공간을 배기구 영역과 감압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용융로 내에 있어서 상기 봉착재를 용융시켜 상기 공간을 형성한 후, 상기 용융로로부터 취출해서 상기 공간을 감압 상태로 한 후, 다시 용융로 내에 있어서 상기 영역 형성재를 용융시켜 상기 공간을 상기 배기구 영역과 상기 감압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판유리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배기하는 공정을, 봉착재와 영역 형성재를 용융시키는 공정과는 별개로 낮은 온도 조건하에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의 간단하고 쉬운 설비로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배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가, 상기 한쌍의 판유리가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배기구에 접속된 배기관을 거쳐서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하고, 상기 공간을 상기 배기구 영역과 상기 감압 영역으로 분할한 후에 상기 배기관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배기구에 접속된 배기관을 거쳐서 공간 내부를 감압하는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복층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착재 및 상기 영역 형성재가 유리 프리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되는 것에 의해 용융해서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시일재로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유리 프리트를 사용해서 저비용으로 복층 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판유리의 어느 한쪽의 표면에, 상기 한쌍의 판유리의 간극을 규정하는 스페이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한쌍의 판유리의 간격을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에도 강한 복층 유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착재 형성 부분에, 상기 한쌍의 판유리의 간극을 규정하는 높이 규제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봉착재가 형성된 주변부에서도 한쌍의 판유리의 간극을 소정의 것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또는 상기 높이 규제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사진 노광법에 의해 형성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진 노광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소정 형상의 스페이서나 높이 규제 부재를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본 개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및 본 개시에 관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복층 유리에 대해서, 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서 필요 부분을 중심으로 간략화해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각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하는 복층 유리는 참조하는 각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임의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도면 중의 부재의 치수는 실제의 구성 부재의 치수 및 각 부재의 치수 비율을 반드시 충실히 나타낸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우선,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복층 유리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완성품으로서의 복층 유리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완성품으로서의 복층 유리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 중에 표시된 X-X' 화살표 부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복층 유리(1)는, 대향해서 배치된 한쌍의 판유리인 배면측의 판유리(2)와 전면측의 판유리(3)가, 주변부를 봉착재인 프리트 시일(4)로 봉착하는 것에 의해, 판유리(2) 및 판유리(3)의 사이에 밀폐 가능한 공간(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유리(2)와 판유리(3)의 간격을 소정의 것으로 하기 위해서, 배면측의 판유리(2)에 대해 프리트 시일(4)이 도포되어 있는 영역의 내측에는, 스페이서(6)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서는, 배면측의 판유리(2)의 배기구(7)로부터 공간(A)의 공기를 배기해서 공간(A)을 감압 상태로 한 후에, 영역 형성재인 격벽(5)에 의해서 공간(A)을 배기구(7)가 포함되는 배기구 영역(B)과 배기구 영역 이외의 영역인 감압 영역(C)으로 분할한다. 이 때문에, 도 1 및 도 2로서 도시되는 완성품 상태의 복층 유리(1)에 있어서, 감압 영역(C)의 감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격벽(5)에 의해서 공간(A)이 배기구 영역(B)과 감압 영역(C)으로 분할된 후에, 배기구(7)에 접속되어 있던 배기관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구 영역(B)은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배기구 영역(B) 내에는 공기가 진입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복층 유리(1)는, 한쌍의 판유리(2 및 3)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A)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감압 영역(C)의 감압 상태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단열 효과나 결로 방지 효과, 차음 효과라고 하는 내부의 공간이 감압된 복층 유리가 갖는 각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공간(A)의 배기에 사용된 배기관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층 유리(1)의 판유리(2)의 배면측에는 외부로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고, 복층 유리(1)의 사용 시나 운반 시 등의 취급에 있어서, 돌출된 배기관이 존재하는 것에 의한 불편함이 해소된다. 또한, 배기관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관이 파손된 경우에, 복층 유리(1)의 판유리(2, 3) 사이의 공간 전체가 감압된 상태로 되지 않아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도 1 및 도 2를 이용해서 설명한 완성품으로서의 복층 유리(1)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의 제 1 예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를 이용해서 설명한 완성품인 복층 유리(1)의 제조 방법의 제 1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배면측의 판유리(2)와 전면측의 판유리(3)를 프리트 시일(4)로 봉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마찬가지로 배면측의 판유리(2)와 전면측의 판유리(3)를 프리트 시일(4)로 봉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Y-Y' 화살표 부분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서는, 배면측의 판유리(2)의 전면(2a), 즉 전면측의 판유리(3)와 대향하는 측의 면 상의 주변부에, 봉착재인 프리트 시일(4)이 프레임 형상으로 도포되어 있다. 또한, 배면측의 판유리(2)의 코너부 근방에는, 판유리(2)를 관통하는 배기구(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유리(2)의 배면(2b)에 있어서, 배기구(7)에 접속되어 배기관(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복층 유리에서는, 일례로서 유리제의 배기관(8)이 이용되고, 배기관(8)의 내경과 배기구(7)의 직경이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다. 배기관(8)은, 유리 용착이나 용착 부재인 용융 금속 등을 이용하는 주지의 방법에 의해서, 배기구(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배기관(8)으로서는, 상기 예시한 유리관 이외에 금속제의 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복층 유리에 이용되는 판유리로서는, 소다 라임 유리(soda-lime glass), 고 스트레인 유리(high-strain glass), 화학 강화 유리, 무 알칼리 유리, 석영 유리, 네오세람(Neoceram), 물리 강화 유리 등의 각종 판유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유리(2) 및 판유리(3)는 모두 동일한 외형, 두께를 가진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한쪽의 판유리의 크기 또는 두께가 다른쪽의 판유리의 크기나 두께와 상이한 것을 막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판유리의 크기는, 사용 용도에 따라서 한 변이 수 ㎝ 정도의 것으로부터, 유리창용으로서의 한 변이 최대 2~3m 정도의 것까지, 다양한 크기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판유리의 두께도, 용도에 따라서, 2~3㎜ 정도의 것으로부터 20㎜ 정도의 것까지, 각종의 판유리를 이용할 수 있다.
판유리(2)의 전면(2a)에는, 프리트 시일(4)과 함께 배기구(7)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영역 형성재인 격벽(5)이 프리트 시일(4)에 단부가 접속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쌍의 판유리(2, 3)를 봉착하는 프리트 시일(4)과, 격벽(5)은 모두 동일한 저융점 유리 프리트가 이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례로서 Bi2O3이 70% 이상, B2O3 및 ZnO가 각각 5~15%, 그 외의 성분이 10% 이하인 주 성분이 산화 비스머스인 유리 성분을 60~75% 포함하고, 또한 아연 실리카 산화물이 20~30%, 에틸셀룰로오스, 테르피네올, 폴리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유기계 물질의 혼합물이 5~15% 포함된, 비스머스계 시일 프리트 페이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유리 프리트의 연화점은 434℃이다.
또한, 프리트 시일(4) 및 격벽(5)으로서 이용되는 유리 프리트로서는, 상기 예시의 비스머스계 프리트 외에, 납계 프리트, 바나듐계 프리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유리 프리트 외에, 저융점 금속이나 수지 등와 같은 시일재를 봉착재 및 영역 형성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프리트 시일(4) 및 격벽(5)이 용융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격벽(5)에 통기부인 슬릿(5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격벽(5)이 불연속으로 되어 있다. 즉, 격벽(5)에 형성된 슬릿(5a)에 의해서, 한쌍의 판유리(2 및 3)와 프리트 시일(4)로 형성된 공간(A)의, 격벽(5)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끼리가 공간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격벽(5)에 대해서, 배기구(7)가 형성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판유리(2)의 전면(2a) 상에는, 복수의 스페이서(6)가 종, 횡 방향으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정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복층 유리에 배치되어 있는 스페이서(6)는, 일례로서 직경이 1㎜, 높이가 100μ의 원주 형상이며, 배치 간격은 종방향 횡방향으로 모두 2㎝ 간격으로 되어 있다. 스페이서로서는, 예시한 원주 형상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각기둥 형상이나 구 형상 등의 각종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의 크기, 배치 개수, 배치 간격, 배치 패턴은 상기 예시한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사용되는 판유리의 크기나 두께 등에 따라서 적당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스페이서(6)는 광경화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판유리(2)의 전면(2a)에 프리트 시일(4)을 도포하기 전의 단계에서, 전면(2a)의 전체에 소정 두께의 광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후, 마스크를 이용해 노광해서 스페이서(6)로 되는 부분을 경화시킨 후, 여분인 부분을 세정 제거하는 사진 노광법(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사진 노광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크기와 단면 형상을 구비한 스페이서를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6)를 투명한 광경화성 수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복층 유리(1)의 사용 시에 스페이서(6)를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스페이서(6)의 재료는 상기 예시한 광경화성 수지로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가열 공정에서 용융되지 않는 각종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진 노광법을 이용하지 않고, 종래의 복층 유리에 이용되고 있는, 금속 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된 스페이서를 배면측의 판유리(2)의 전면(2a)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살포해서 배치, 또는 접착할 수도 있다. 또한, 스페이서의 형성, 배치에 사진 노광법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페이서로서, 구형상 또는 입방체 형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판유리의 면 상에 배치할 때에 스페이서의 방향이 상이한 경우에서도, 한쌍의 판유리의 간격을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복층 유리에 있어서, 스페이서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고, 스페이서를 이용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페이서를 전면측의 판유리의 내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리트 시일(4) 및 격벽(5)이 용융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프리트 시일(4)과 격벽(5)의 높이는 스페이서(6)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면측의 판유리(3)는 프리트 시일(4) 및 격벽(5)의 정부에 탑재된 상태로 되어 있고, 판유리(3)와 스페이서(6)의 정부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프리트 시일(4) 및 격벽(5)을 용융시키는 용융 공정과, 한쌍의 판유리(2 및 3)의 사이의 공간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 공정의 설정 조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용융 공정으로서, 우선 용융로의 도달 온도를, 프리트 시일(4) 및 격벽(5)에 사용되고 있는 유리 프리트의 연화점 온도 434℃보다 높은 온도, 일례로서 450℃로 한다. 이 때, 프리트 시일(4)이 녹기 시작하고, 한쌍의 판유리(2 및 3)의 주위부가 봉착되어 한쌍의 판유리(2 및 3)의 사이에 밀폐 가능한 공간(A)이 형성된다. 또한, 격벽(5)도 마찬가지로 녹기 시작해, 격벽(5)과 판유리(2) 및 판유리(3)와의 접촉 부분이 용착하지만, 제 1 용융 공정에 있어서 노 온도가 유리 프리트의 연화점 온도를 조금 상회한 온도인 450℃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격벽(5)은 크게 변형하는 일이 없고, 격벽(5)에 형성된 슬릿(5a)은 막혀 있지 않는 상태로 된다. 제 1 용융 공정에서는, 격벽(5)에 형성된 슬릿(5a)이 막히지 않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제 1 용융 공정에서의 최고 온도인 450℃를 유지하는 동시에, 그 유지 시간(리콰이어 시간(required period))은 격벽(5)의 슬릿(5a)을 막지 않는 범위로 설정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이 제 1 용융 공정에서의 유지 시간(T1)은 일례로서 10분간으로 하고 있다.
이 후,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단 용융로의 온도를 유리 프리트의 연화점 온도인 434℃ 이하의 온도, 예를 들면 380℃까지 내린 상태에서, 공간(A) 내부의 공기를 진공 펌프에 의해 배기하는 배기 공정이 개시된다. 용융로의 온도가 연화점 온도보다 낮게 설정되기 때문에, 배기 공정의 기간 중에는, 프리트 시일(4)과 격벽(5)의 용융 변형은 일어나지 않는다.
공간(A)의 진공도는, 복층 유리로서의 특성으로서의 단열성을 확보하는 관점으로부터, 0.1Pa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도가 높을수록 복층 유리로서의 단열 특성은 높아지지만, 보다 높은 진공도를 얻기 위해서는 진공 펌프의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배기 시간을 길게 하거나 할 필요가 있어 제조 코스트의 상승 요인으로 된다. 이 때문에, 복층 유리로서 필요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진공도로 한정시켜서 필요 이상으로 높은 진공도로 하지 않는 것이, 제조 코스트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또한, 배기 공정에서의 설정 온도를 낮게 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제 2 용융 공정에 걸쳐서의 온도 상승에 시간이 걸린다. 이 때문에, 용융 공정과 배기 공정 전체에서의 소요 시간을 단축하는 관점으로부터, 배기 공정의 개시시의 설정 온도를 유리 프리트의 연화점 온도로부터 조금 내린 온도로 하는 것이 유효하다. 예를 들면, 배기 공정의 설정 온도를 420℃, 유지 시간(T2)을 120분으로 하는 것에 의해, 복층 유리의 내부의 공간을 양호하게 배기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간(A) 내를 배기하고 있는 상태인 채, 제 2 용융 공정으로서, 용융로의 온도를 465℃까지 상승시킨다. 공간(A)의 내부를 계속 배기하는 것에 의해, 대기압이 한쌍의 판유리(2 및 3)의 간극을 좁게 하는 방향의 외력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판유리(2) 및 판유리(3)는 그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조되는 복층 유리에서는, 일례로서의 높이 100㎛의 스페이서(6)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판유리(2 및 3)의 간격은 스페이서의 높이인 100㎛로 규정된다. 판유리(2 및 3)의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 용융한 프리트 시일(4) 및 격벽(5)은 상하로부터 가압 평탄하게 되어 평면에서 볼 때의 폭이 넓어진다. 이 때문에, 프리트 시일(4)에 의해서, 한쌍의 판유리(2 및 3)가 보다 강고하게, 또한 확실하게 봉착되는 동시에, 격벽(5)에 형성되어 있던 통기부인 슬릿(5a)이 찌부러져 폐색된다. 격벽(5)의 슬릿(5a)을 막는 것에 의해, 공간(A)이, 배기구(7)를 포함한 측의 배기구 영역(B)과 배기구 영역 이외의 영역인 감압 영역(C)으로 분할된다. 또한, 제 2 용융 공정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판유리에 대해서, 판유리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기계적인 압압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용융 공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격벽(5)이 충분히 용융하고, 통기부인 슬릿(5a)을 확실히 막는 것이 중요하다. 일례로서 제 2 용융 공정에 있어서의 설정 온도 465℃에서의 유지 시간(T3)을 30분간으로 하는 것에 의해, 격벽(5)에 의해, 공간(A)을 배기구 영역(B)과 감압 영역(C)으로 확실히 분할할 수 있다.
도 6에 단면의 상태를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판유리(2) 및 판유리(3)의 간격이, 스페이서(6)에 의해 규정되는 소정의 간격으로 되고, 격벽(5)의 슬릿(5a)이 완전하게 막혀서, 공간(A)이 배기구 영역(B)과 감압 영역(C)으로 완전하게 분리된 후, 용융로의 온도를 내려 복층 유리를 취출한다.
상기와 같이, 판유리(2)의 배기구(7)로부터 공간(A)의 공기가 배기되어 공간(A)이 감압 상태로 된 후에, 격벽(5)에 의해서 공간(A)이 배기구 영역(B)과 감압 영역(C)으로 분할되었기 때문에, 도 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감압 영역(C)은 감압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러한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배기관(8)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도 1 및 도 2를 이용해서 설명한, 완성품의 복층 유리(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진공 펌프로부터 배기관(8)을 분리한 단계에서, 배기구 영역(B)의 내부는 외부와 동일한 대기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관(8)의 제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프리트 시일(4) 및 격벽(5)을 용융시키는 용융 공정과, 한쌍의 판유리(2 및 3)의 사이의 공간(A) 내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 공정의, 다른 설정 조건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다른 설정 조건은 도 5에 나타낸 설정 조건과는 상이하며, 제 1 용융 공정의 후에 복층 유리를 실온까지 내리는 것이 특징으로 된다.
우선, 프리트 시일(4)을 용융시키는 것에 의해 한쌍의 판유리(2 및 3)를 봉착시켜 공간(A)을 형성하는 제 1 용융 공정을 실시한다. 제 1 용융 공정의 설정 조건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최고 도달 온도가 프리트 시일(4) 및 격벽(5)에 사용되고 있는 유리 프리트의 연화점 온도 434℃보다 높은 온도인 450℃, 유지 시간(T4)을 일례로서 10분간으로 할 수 있다. 그 후, 복층 유리를 용융로로부터 취출하는 등 하는 것에 의해 그 온도를 실온까지 내린다.
그리고, 실온 상태에서, 진공 펌프에 의해 배기관(8)을 거쳐서, 공간(A) 내부를 배기하고, 소정의 진공도로 하는 배기 공정을 실시한다. 배기 공정의 설정 시간(T5)은 예를 들면 300분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다른 설정 조건예에서는, 배기 공정의 종료시에, 공간(A)의 진공도가 소정의 값, 일례로서 0.1Pa 이하의 진공도로 된 상태에서, 배기관(8)의 선단 부분을 봉착해서 공간(A)을 밀폐하는 이른바 팁 오프(tip-off)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한쌍의 판유리에 의해 형성된 내부의 공간(A)이 소정의 진공도로 감압된 상태의 복층 유리를 진공 펌프로부터 분리시켜도, 공간(A)을 감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배기 공정의 후, 배기관(8)이 팁 오프된 상태의 복층 유리를 다시 용융로 내에 넣어서, 일례로서 최고 온도가 465℃, 유지 시간(T6)이 30분간의 제 2 용융 공정을 실시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다른 설정 조건에서는, 용융로의 온도 조건은 도 5에 나타낸 온도 조건과 동일한 것으로 할 수 있지만, 제 2 용융 공정에 있어서 공간(A)의 배기를 실시하지 않는 점이 상이하다. 이와 같이, 도 7에 나타내는 설정 조건예의 경우에는, 제 2 용융 공정에서의 배기는 행해지지 않지만, 실온 상태의 배기 공정에 의해 공간(A)의 내부가 외기압보다 낮은 감압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한쌍의 판유리(2 및 3)의 간격을 좁게 하도록 하는 외력이 가해진다. 이 결과, 도 5에 나타낸 설정 조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2 용융 공정에 있어서 프리트 시일(4)이 충분히 용융되고, 판유리(2 및 3)가 강고하게 봉착되는 동시에, 격벽(5)의 슬릿(5a)이 막혀지고, 공간(A)이 배기구 영역(B)과 감압 영역(C)으로 분할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다른 설정 조건에서의 용융 공정과 배기 공정을 행한 경우에는, 배기관(8)의 선단이 팁 오프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용융 공정이 종료된 후의 배기구 영역(B)과 감압 영역(C)은 모두 감압 상태인채 유지되어 있다. 그 후, 배기관(8)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배기구 영역(B)은 대기압과 동일한 상태로 되고, 한편 감압 영역(C)은 감압 상태로 유지되는 것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완성품으로서의 복층 유리(1)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7에 나타낸 다른 설정 조건을 이용한 제조 방법에서는, 제 1 용융 공정과 제 2 용융 공정의 사이에, 복층 유리를 실온 상태로 되돌려서 배기 공정을 실시한다. 이 때문에, 용융 공정과 배기 공정을 각각 별개로 마련할 수 있어, 용융 공정에 이용되는 용융로와 배기 공정에 이용되는 진공 펌프를 별개의 제조 설비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용융로의 구성을 간단하고 쉽고 소형의 것으로 할 수 있어, 노의 밀폐도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게 되는 소비 전력의 저감이나 승온 시간의 단축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진공 펌프에 있어서도, 고온 상태로 되는 용융로와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 펌프의 진공 밸브나 배기관을 척킹하는 장치 등이 고온으로 되지 않도록, 차폐 부재를 배치하는 등의 대책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지고, 제조 장치를 간소화할 수 있다.
한편으로, 제 2 용융 공정에 있어서, 공간(A)이 배기되어 있는 상태는 아니기 때문에, 한쌍의 판유리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도 5에 나타낸 설정 조건의 경우와 비교해 약해진다. 이 때문에, 프리트 시일(4)이나 격벽(5)에 있어서의, 유리 프리트의 도포 상태나 점도의 관리를 충분히 실시하여, 제 2 용융 공정 후에, 한쌍의 판유리(2, 3)의 간격이 소정의 것으로 되고, 또한 격벽(5)의 슬릿(5a)이 막히고, 공간(A)이 배기구 영역(B)과 감압 영역(C)으로 확실히 분할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판유리에 대해서, 기계적인 압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판유리의 간격을 소정의 것으로 규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설정 조건에 의해 복층 유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배기관(8)을 제거하는 공정에 있어서, 배기관(8)과 공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배기구 영역(B)이 감압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관(8)을 정확하게 또한 안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배려가 필요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서는, 격벽(5)에 통기부로서의 슬릿(5a)을 마련하고, 제 2 용융 공정에서 슬릿(5a)을 막는 것에 의해, 한쌍의 판유리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A)을 배기구 영역(B)과 감압 영역(C)으로 분할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릿(5a)이 격벽(5)의 대략 중간 부분에 하나 형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격벽(5)에 통기부인 슬릿(5a)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슬릿의 위치, 개수 등은 적정 선정할 수 있다.
또한, 격벽(5)에 형성되는 통기부는 슬릿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슬릿과는 상이한 통기부가 설치된 격벽의 구성예로서의, 제 1 변형예의 격벽을 나타내는 복층 유리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제 1 변형예의 격벽(5)은 프리트 시일(4)에 일단이 연속해 형성된 2개의 부분(5b, 5c)으로 되어 있고, 프리트 시일(4)에 연속하는 측과는 상이한 타단측의 선단이,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만곡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만곡하는 부분끼리의 간극 부분(5d)이 공간(A)에 있어서의 배기구측의 배기구 영역과 감압 영역의 통기부로 되어 있다.
격벽(5)은 저융점의 프리트 유리 등의 시일재로 형성하지만, 판유리(2)의 내면(2a)의 소정 위치에 시일재를 도포하기 위한 제어는, 페이스트 형상의 시일 부재를 도포 노즐의 선단으로부터 토출시키는 도포 노즐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이 때문에, 도 3에 평면 구성을 나타낸 연속해서 형성되는 격벽(5)의 일부에 불연속 부분인 소정의 폭의 슬릿(5a)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노즐로부터의 시일재의 토출을 일단 정지하고, 노즐을 소정량 이동한 후에 다시 노즐로부터 시일재를 토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페이스트의 점도나, 격벽의 도포 폭의 크기 등의 제한에 의해서, 소정 폭의 슬릿을 사이에 두고 불연속 격벽을 정확하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도 8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격벽(5)과 같이, 프리트 시일(4)과의 연결 부분과의 반대측의 단부를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만곡시켜 소정의 간격을 마련하고, 그 간격 부분(5d)을 통기부로 하는 구성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노즐에 의한 격벽(5)의 도포 위치의 제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소망한 형상의 격벽(5)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포된 유리 프리트의 만곡부끼리의 간격 부분(5d)의 폭이나, 2방향으로부터의 도포 영역이 서로 겹치는 부분의 길이나 그 부분에서의 격벽(5b, 5c)의 형성 폭은, 유리 프리트의 점도나 도포 높이, 격벽을 용융시켜 통기부를 막는 제 2 용융 공정에서 가압된 상태에서의 격벽(5)의 폭 등을 고려하여, 적정 선정할 수 있다. 또한, 격벽(5)에 있어서의 프리트 시일(4)과의 연결 부분의 반대측 단부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격벽(5)의 반대측 단부를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향하는 직선부로서 형성하고, 이 직선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대략 평행하게 소정의 간격을 거쳐서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등, 연속해서 형성되는 격벽이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부분을 갖고, 이 소정 간격 부분이 제 2 용융 공정에서 가압 평탄하게 되어 막히는 통기부로 되는 각종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9는 통기부가 설치된 격벽의 또 다른 구성예인 제 2 변형예의 격벽을 나타내는 복층 유리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제 2 변형예의 격벽(5)은, 일단이 프리트 시일(4)에 접속된 2개의 부분 격벽(5e)과, 이 2개의 부분 격벽(5e)의 프리트 시일(4)에 연속하는 측과는 상이한 타단측이 간극 부분인 불연속 부분(5f)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불연속 부분(5f) 중 어느 한쪽의 측면 부분에, 불연속 부분(5f)의 길이보다 긴 시일 부분(5g)을 형성한 것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제 2 변형예의 격벽(5)에서는, 중간 부분에 도 3에 나타낸 격벽(5)의 슬릿(5a) 폭보다 긴 일정한 길이, 일례로서 그 길이가 부분 격벽(5e)의 도포 폭보다 긴 불연속 부분(5f)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격벽(5)에서는,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불연속 부분(5f)의 길이를, 도 3에 나타낸 슬릿(5a)의 폭보다 긴 것으로서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불연속 부분(5f)을 막는 시일 부분(5g)이 불연속 부분(5f)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불연속 부분(5f)의 길이에 요구되는 정밀도가 그다지 높게 안된다. 이 때문에, 격벽(5)의 도포 형성 공정을, 도 3에 나타낸 슬릿(5a)을 형성하는 방법보다 간단하고 쉬운 것으로 해도, 확실히 공간(A)을 배기구 영역(B)과 감압 영역(C)으로 분할할 수 있는 통기부를 구비한 격벽(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제 2 변형예의 격벽(5)에 있어서, 불연속 부분(5f)의 길이와 시일 부분(5g)의 길이, 부분 격벽(5e)과 시일 부분(5g)의 간격은, 격벽(5)을 형성하는 시일 부재의 재료나 도포 형성 방법, 도포 높이, 제 2 용융 공정에 있어서의 온도 조건이나 부분 격벽(5e)의 폭 등을 고려하여, 적정 선정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제 1 변형예의 격벽이나, 도 9에 나타낸 제 2 변형예의 격벽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격벽에 형성된 통기부가 막혀서 공간(A)을 배기구 영역(B)과 감압 영역(C)으로 분할한 상태의 격벽(5)은,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기부가 막힌 부분(5h)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격벽(5)의 폭이 필요 이상으로 넓어지면, 완성품의 복층 유리(1)로 되었을 경우에 격벽(5)이 시인되기 쉬워진다. 또한, 용융해서 넓어진 격벽(5)이 배기구(7)로부터 외부에 누출해 버리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격벽(5)을 도포 형성하는 조건을 조정하고, 통기부가 막힌 상태에 있어서의 격벽(5)의 부분(5h)의 폭을 충분히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으로서, 봉착재인 프리트 시일과 영역 형성재인 격벽을 동일한 재료의 저융점 유리 프리트를 이용해서 형성하는 것을 예시해 설명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프리트 시일과 격벽은 동일한 유리 프리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봉착재인 프리트 시일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용융 온도의 유리 프리트를, 영역 형성재인 격벽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리트 시일로서 이용하는 유리 프리트와 격벽으로서 이용하는 유리 프리트의 용융 온도를 달리하고, 또한 프리트 시일을 용융시켜 한쌍의 판유리를 봉착하는 제 1 용융 공정의 용융 온도를 프리트 시일의 용융 온도 이상 격벽의 용융 온도 이하의 온도로 하고, 격벽을 용융시켜 공간(A)을 배기구 영역과 감압 영역으로 분할하는 제 2 용융 공정에서의 용융 온도를 격벽의 용융 온도보다 한층 더 높은 온도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프리트 시일을 용융시켜 한쌍의 판유리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용융 공정과, 격벽을 용융시켜 통기부를 막고, 한쌍의 판유리 사이의 공간을 배기구 영역과 감압 영역으로 분할하는 제 2 용융 공정을, 온도 조건면으로부터 명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봉착재와 영역 형성재를, 유리 프리트 이외의 시일 부재로, 또한 각각의 용융 조건이 상이한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봉착재와 영역 형성재를 상이한 조건에서 용융하는 시일 부재로 형성하고, 제 1 용융 공정에서 봉착재만을 용융시키는 동시에, 제 2 용융 공정에서 영역 형성재를 용융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용융 공정에서 불소망으로 영역 형성재가 용융해 버려, 통기부의 크기가 좁아져 공간 내부의 배기 효율이 저하하거나, 최악의 경우로서, 제 1 용융 공정에 있어서 통기부가 막혀 버려, 감압 영역을 충분히 감압된 상태로 할 수 없게 되어 버리거나 하는 불측의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봉착재로서의 프리트 시일과 영역 형성재로서의 격벽을, 모두 저융점 유리 프리트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유리 프리트에 이용되는 유리 가루나 혼입되는 금속 가루의 성분, 크기, 함유량 등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또한 용매로서 이용되는 수지 성분의 농도나 함유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유리 프리트의 용융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개시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은, 배면측에 위치하는 판유리(2)의 내면(2a) 상에 형성하는 봉착재인 프리트 시일(4)의 형성 높이보다, 영역 형성재인 격벽(5)의 형성 높이를 낮게 하는 점이,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과 상이하다. 또한, 이하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재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는 동시에, 그 상세 설명을 적당히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제 2 실시형태로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배면측의 판유리(2)와 전면측의 판유리(3)를 프리트 시일(4)로 봉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동일하게 배면측의 판유리(2)와 전면측의 판유리(3)를 프리트 시일(4)로 봉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Z-Z' 화살표 부분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복층 유리(1)의 제조 방법에서는, 배면측의 판유리(2)의 전면(2a), 즉 전면측의 판유리(3)와 대향하는 측의 면 상의 주변부에 봉착재인 프리트 시일(4)이 프레임 형상으로 도포되어 있다. 또한, 배면측의 판유리(2)의 코너부에는, 판유리(2)를 관통하는 배기구(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유리(2)의 배면(2b)에서는, 배기구(7)에 접속된 배기관(8)이 설치되어 있다.
판유리(2)의 전면(2a)에는, 프리트 시일(4)과 함께 배기구(7)를 둘러싸도록, 영역 형성재인 격벽(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쌍의 판유리(2, 3)를 봉착하는 프리트 시일(4)과, 격벽(5)은 모두 동일한 저융점 유리 프리트가 이용되고 있지만, 프리트 시일(4)의 도포 높이가 일례로서 1㎜인데 반해, 격벽(5)의 도포 높이는 일례로서 0.5㎜로, 프리트 시일(4)의 도포 높이보다 낮아지고 있다.
또한, 프리트 시일(4)의 도포 높이와 격벽(5)의 도포 높이는, 후술하는 격벽(5)에 의한 판유리(2, 3)간의 공간을 분할하는 공정에 있어서, 프리트 시일(4)과 격벽(5)의 용융을 제어할 수 있는 범위로 적정 선정할 수 있다. 그러나, 격벽(5)의 도포 높이는, 판유리(2)의 내면(2a)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스페이서(6)의 높이(일례로서 100㎛=0.1㎜)보다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프리트 시일(4) 및 격벽(5)에 용융시의 유동성이 비교적 높은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페이서(6)의 높이 0.1㎜에 대해서, 프리트 시일(4)의 도포 높이를 0.5㎜, 도포 폭을 5㎜, 격벽(5)의 도포 높이를 0.2㎜, 도포 폭을 3㎜로 할 수 있다. 프리트 시일(4), 및 격벽(5)의 형성에 이용되는 페이스트로서는, 상기 실시형태 1에서 예시한, Bi2O3이 70% 이상, B2O3 및 ZnO가 각각 5~15%, 그 외의 성분이 10% 이하인 주 성분이 산화 비스머스인 유리 성분을 60~75% 포함하고, 또한 아연 실리카 산화물이 20~30%, 에틸셀룰로오스, 테르피네올, 폴리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유기계 물질의 혼합물이 5~15% 포함된, 연화점이 434℃의 비스머스계 시일 프리트 페이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상태는, 프리트 시일(4)과 격벽(5)이 용융하기 전 상태이기 때문에, 전면측의 판유리(3)는 도포 높이가 보다 높은 프리트 시일(4)의 상부에 탑재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용융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도 5에 나타내는 설정 조건에서의 제 1 용융 공정을 한다. 제 1 용융 공정을 거치는 것에 의해, 프리트 시일(4)이 용융해서 판유리(2)와 판유리(3)가 봉착된다. 또한, 제 1 용융 공정을 거친 것에 의해 프리트 시일(4)이 용융하고, 프리트 시일(4)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과 동시에 폭이 넓어진다. 이 때문에, 전면측의 판유리(3)와 배면측의 판유리(2)의 간격이 조금 좁아지지만,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용융 공정에서의 최고 도달 온도는 450℃와, 프리트 시일(4)과 격벽(5)을 형성하는 저융점 유리 프리트의 용융 온도 434℃를 조금 상회하는 정도의 온도이기 때문에, 프리트 시일(4)과 격벽(5)의 용융에 의한 변형은 작다. 이 때문에, 제 1 용융 공정 후 상태에서는, 프리트 시일(4)과 격벽(5)의 도포 두께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격벽(5)의 상단부와 판유리(3)의 간극이 계속 유지되어, 한쌍의 판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하나의 연속한 공간인 채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배기 공정을 거치는 것에 의해, 공간 내를 0.1Pa 이하의 진공도의 감압 상태로 하지만, 상기와 같이, 판유리(3)와 격벽(5)의 상단부와의 사이에는 간극이 남아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A)의 전체가 소정의 진공도로 된다.
그 후,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도달 온도가 465℃로 제 1 용융 공정보다 높은 제 2 용융 공정을 실시한다. 이 제 2 용융 공정에 의해서 프리트 시일(4)은 한층 더 용융한다. 내부 공간(A)이 배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판유리(3)와 판유리(2)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의 외력이 강하게 작용하고, 판유리(2 및 3)의 간격은, 스페이서(6)의 높이에 의해 규제될 때까지 좁아진다. 이 제 2 용융 공정의 결과, 격벽(5)이 판유리(2)와 판유리(3)의 양쪽 모두에 접하게 되어, 격벽(5)에 의해, 공간(A)이 배기구측의 배기구 영역(B)과, 배기구 영역 이외의 감압 영역(C)으로 분할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2 용융 공정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판유리에 대해서, 판유리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기계적인 압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후의 공정은,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며, 진공 펌프로부터 분리해서 배기 구멍 영역(B)이 외기와 동일한 1기압으로 된 상태에서, 배기관(8)을 제거한다. 이 때, 감압 영역(C)은 감압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완성품 상태의 복층 유리(1)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서는, 영역 형성재인 격벽(5)의 도포 높이를 봉착재인 프리트 시일(4)의 도포 높이보다 낮게 하는 것에 의해, 봉착된 한쌍의 판유리(2, 3)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 전체를 소정의 감압 상태로 한 후에, 배기구 영역과 감압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프리트 시일(4)과 격벽(5)을 동일한 저융점 유리 프리트를 이용해 구성하는 것을 예시했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프리트 시일(4)로서, 그 용융 온도가 격벽(5)을 형성하는 저융점 유리 프리트의 용융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판유리(3)와 격벽(5)의 상단 부분 사이의 간극을 보다 확실히 확보하기 위해서, 프리트 시일(4) 도포 부분의 외측에 판유리(3)와 판유리(2)의 간격이 소정의 값 이하가 되지 않게 규제하는 스토퍼를 마련하고, 제 1 용융 공정에 있어서 이 스토퍼를 작용시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동시에, 제 2 용융 공정에서는 이 스토퍼를 분리해서, 판유리(3)와 판유리(2)의 간격을 스페이서(6)에 의해 규정되는 소정의 간격으로 한다고 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융 공정과 배기 공정의 설정 조건으로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용융 공정 후에 봉착 유리의 온도를 실온까지 내려 용융로 외부에서 배기 공정을 실시한 후에 제 2 용융 공정을 실시하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7로서 나타내 보인 다른 설정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서는, 한쌍의 판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한 후에, 영역 형성재에 의해서, 배기구가 포함되는 배기구 영역과 그 이외의 감압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감압 영역에 의해, 내부의 공간이 감압된 복층 유리로서의 특성을 확보하면서, 유리판으로부터의 돌출부인 배기관을 갖지 않는 복층 유리를 간단하고 쉬운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가능한 한 배기구 영역을 좁게 감압 영역을 넓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본 개시에 관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효과가 양호하게 발휘되는 복층 유리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 봉착재 및 영역 형성재로서, 유리 프리트 등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에 의해 용융 변형하는 부재를 이용한 것을 예시 설명했지만, 봉착재 및 영역 형성재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 등의 광선이나 그 외의 자극에 의해서, 소정 형상으로 변형 고화하는 각종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 1 용융 공정과 제 2 용융 공정을 포함한 고온 프로세스가 불필요하게 되어, 복층 유리의 제조 설비를 큰폭으로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영역 형성재에 형성되는 통기부로서, 슬릿이나 영역 형성재의 형성 간격 부분 등, 평면적인 구성으로서의 통기부만을 예시했지만, 영역 형성재의 재료나 그 변형 고화 방법에 따라서는, 영역 형성재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마련해 이것을 통기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융 공정과 배기 공정의 설정 조건의 예로서 도 5 및 도 7을 이용해 제 1 용융 공정의 후에 봉착된 상태의 판유리의 온도를 일단 내려서 배기 공정을 실시하는 예를 설명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제 1 용융 공정의 후에 봉착된 한쌍의 판유리의 온도를 내리지 않고, 그대로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또는 한층 더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배기 공정을 실시하고, 제 1 용융 공정보다 온도가 높은 제 2 용융 공정으로 이행하는 설정 조건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용융 공정과 배기 공정의 리드 타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봉착된 상태의 판유리의 온도를 내리지 않고 배기 공정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영역 형성재에 형성된 통기부가 막히는 타이밍을 정확하게 컨트롤하고, 한쌍의 판유리의 사이의 공간을 분할해서 형성된 감압 영역이 충분히 감압된 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지극히 중요해진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영역 형성재로서의 격벽을, 봉착재인 프리트 시일과 연화점이 상이한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나, 프리트 시일과 상이한 도포 높이로 도포하는 경우에 있어서, 한쌍의 판유리의 주위에 배치된 봉착재 이외의 부분을 모두 동일한 상태의 영역 형성재로 구성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본 개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1 용융 공정 종료후에 내부 공간(A)을 하나의 연속한 공간으로서 유지하는 방법으로서는, 영역 형성재의 일부만을 봉착재와 연화점이 상이한 재료로 형성하고 그 다른 재료 부분에 통기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 부분은 봉착재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영역 형성재의 일부만의 도포 높이를 봉착재보다 낮은 도포 높이로 하고, 다른 부분의 도포 높이를 봉착재와 동일한 도포 높이로 할 수 있다. 또한, 영역 형성재의 재료와 도포 높이의 양쪽 모두를 봉착재와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개시에 관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층 유리의, 완성품 상태에 있어서의 영역 형성재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소정 간격의 슬릿(22)을 거쳐서 도포된 저융점 유리 프리트(21)가, 용융 공정에 의해서 용융하고, 용융 부분(23)이 슬릿을 막은 상태로 된 시료를 촬영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저융점 유리 프리트로서, 실시형태 1 및 2에서 예시한 페이스트를 이용하고, 도포 폭 5㎜, 슬릿 폭 2㎜, 도포 높이 0.5㎜의 것을, 용융로에 넣고, 465℃로 30분의 용융 공정을 거쳐 형성한 것이다. 또한, 판유리로서는, 두께 3㎜의 소다 라임 유리 2매를 이용하고, 용융시에는 한쌍의 판유리의 간격을 좁히는 외력은 가하지 않았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시료에서, 사진 촬영이 용이해지도록 슬릿(22)을 거친 유리 프리트(21)를 판유리의 주변부 영역에 형성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용융 후의 유리 프리트는, 비교적 연한색의 미리 도포 형성되어 있던 부분(21)과, 비교적 짙은색의 용융한 후 고화한 부분(23)이 판별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발명자가 현미경으로 확대해 확인했는데, 미리 도포되어 있던 부분의 저융점 유리는, 미세한 입상(粒狀)의 모양이 확인된 것에 비해, 일단 용융해서 유동한 부분의 저융점 유리는, 가는 선상(線狀)의 모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모양은, 저융점 유리 프리트 페이스트에 포함되는 유리 미립자나 기포 등을 관찰할 수 있던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고, 원래의 도포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의 대소가 모양의 차이가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상태의 차이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색채의 차이로서 나타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융점 유리 프리트는, 미리 도포 형성된 부분과 일단 용융해서 유동적으로 된 후, 다시 고화한 부분으로 그 표면 상태가 상이하고, 완성품의 복층 유리로 된 상태에서도 특히 강한 빛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서 그 색채의 차이로 되어 나타난다. 또한, 저융점 유리 프리트의 도포 높이를 바꾸었을 경우에는, 완성품 상태에서의 단면 형상, 특히 단면의 폭이나 판유리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이 퍼짐 정도의 차이가 되어 나타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관한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을 이용해 제조된 복층 유리는, 외기압으로 되어 있는 배기구 영역과 감압 상태가 유지된 감압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2개의 영역의 사이의 영역 형성재 상태를 관찰하는 것에 의해 다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층 유리와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봉착재나 영역 형성재를 용융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예시한 용융로 내에 판유리 전체를 도입하는 방법 이외에도, 예를 들면, 소정 부분의 봉착재나 영역 형성재를 레이저에 의해서 가열 용착시키는 레이저 시일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레이저 시일법이나 그 이외의 방법으로 외부로부터 소정의 열을 가해서 특정 장소의 봉착재나 영역 형성재를 용착하는 방법에 의하면, 소정의 영역의 봉착재나 영역 형성재를 선택적으로 용착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 결과, 봉착재만을 먼저 용착시키고, 그 후 영역 형성재를 용융시킨다고 하는 제조 공정에서의 용융 제어를 보다 확실히 실시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봉착재를 용융로에서 용융 봉착시킨 후, 내부 공간을 배기해 영역 형성재를 레이저 시일법에 의해 용융시켜 내부 공간을 배기구 영역과 감압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에 의해, 보다 간단하고 쉬운 장치를 이용해 저비용으로 복층 유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봉착재가 형성된 내측의 영역에 스페이서를 배치하고, 한쌍의 판유리의 간극을 규제하는 방법을 예시했지만, 스페이서에 상당하는 높이 규제 부재를 봉착재의 형성 부분에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4는, 봉착재인 프리트 시일의 형성 영역에, 스페이서와 동일한 높이의 높이 규제 부재인 유리 비즈가 배치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영역 형성재가 용융해서 내부의 공간이 분할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 1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도 6과 마찬가지로, 프리트 시일과 격벽이 완전하게 용융한 상태의 복층 유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리트 시일(4)의 형성 부분에, 스페이서(6)의 높이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구형상의 유리 비즈(9)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스페이서(6)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과, 유리 프리트(4)가 형성되어 있는 주변 부분에 있어서의 한쌍의 판유리(2, 3) 사이의 간극의 고저차를 없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완성품 상태에 있어서 판유리(2, 3)가 만곡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판유리(2, 3)에 잔류하는 응력을 감소시켜 복층 유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리트 시일(4)이 도포되어 있는 부분에서, 판유리(2, 3)의 간격이 소정의 간격보다 좁아져 버리는 것에 의해서, 프리트 시일(4)이 가압 평탄하게 되어 그 폭이 넓어져, 유저에게 시인되기 쉬워지는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봉착재의 형성 부분에 높이 규제 부재를 배치하는 방법으로서는, 프리트 시일(4)을 도포할 때의 페이스트 중에 유리 비즈(9)를 혼입하고, 프리트 시일(4)의 도포와 동시에 유리 비즈(9)를 배치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6)의 배치 방법과 동일한 살포법, 또는 사진 노광법에 의해서, 스페이서와 동시에 미리 프리트 시일(4)의 형성 장소에 높이 규제 부재를 배치해 두고, 이것에 중첩해서 프리트 시일(4)을 도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4에서 설명한 높이 규제 부재는, 봉착재가 형성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스페이서와 같이, 유저에게 시인되는 것에 의해서 복층 유리의 외관이 손상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는 그다지 생기지 않는다. 이 때문에, 높이 규제 부재로서 비교적 대면적을 갖는 기둥형상 부재나, 격벽 모양의 판유리의 원주 방향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연속한 부재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면적이 큰 높이 규제 부재를 배치·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설명한 사진 노광법이 우수하다. 또한, 복층 유리의 크기나 사용되는 판유리의 두께 등에 의해서는, 높이 규제 부재만이 배치되어, 스페이서가 배치되지 않는 복층 유리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판유리에 형성되는 배기구로서 한쪽의 판유리의 코너부 근방에 1개의 배기구만이 설치된 예를 나타냈지만, 배기구의 수는 1개로 한정되지 않고, 특히 면적이 넓은 복층 유리의 경우에는, 배기 효율을 생각해서 2개 이상의 배기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배기구를 둘러싸도록 영역 형성재를 배치하고,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배기구 영역과 하나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 개의 감압 영역으로 분할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배기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양쪽 모두의 판유리에 배기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배기구를 판유리에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판유리의 주변부에 형성되는 봉착재에 소정의 간극을 마련하고, 이 간격을 배기구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공간 내부의 기체를 배기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한쌍의 판유리의 사이의 공간을 영역 형성재로 분할하기 위해, 완성품 상태로 배기구 영역을 감압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없고 배기구를 폐색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영역 형성재에 있어서의 통기부로서 나타내 보인 것 같은 불연속 부분을 봉착재에 형성하는 방법이나, 상기한 높이 규제 부재로서 구형상의 유리 비즈에서는 아니며 통형상의 부재를 봉착재를 관통하도록 봉착재의 내부에 배치하고, 이 통형상 부재의 내부 공간을 배기구로서 이용하는 것 등도 가능하다. 또한, 봉착재에 형성된 배기구를 복수 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판유리와 봉착재와의 양쪽에 배기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기구에 배기관을 접속하고, 배기관을 거쳐서 내부의 공간을 감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다. 배기관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진공 펌프와의 접속이 용이하게 되어, 종래 확립된 배기 방법에 의해 한쌍의 판유리의 사이의 공간을 감압할 수 있지만, 한쌍의 판유리 내부의 공간을 배기할 때에 있어서 배기관은 필수의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배기구가 형성된 부분의 주위의 판유리의 표면에 밀착할 수 있는 소정의 유연성을 갖는 링형상 부재를 이용하고, 봉착된 상태의 판유리와 진공 펌프를 기밀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 배기관을 이용하지 않고 내부의 공간을 감압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복층 유리로서, 판유리에 반사 방지나 자외선의 흡수 등의 각종 광학적 작용, 또는 단열 특성 등의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서, 유기 또는 무기의 기능성 막을 형성한다고 하는, 이미 확립되어 있는 복층 유리에 관한 기술을 부가·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층 유리를 구성하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판유리의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산화 주석(SnO2), 산화 인듐 주석(ITO), 산화 아연 등의 산화물로 이뤄지는 박막을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 등의 기존의 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나, 스패터링 장치에 의해서 은과 산화막을 교대로 적층하는 것 등에 의해, 적외선 영역의 광선을 강하게 반사하는 적외선 반사막을 마련할 수 있고, 적층 유리로서의 단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중공 구조를 구비한 스페이서나, 열전도성이 낮은 부재에 의해 형성된 스페이서를 구비한 것에 의해, 보다 한층 단열 특성이 뛰어난 적층 유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적층 유리의 내부 공간(A)에, 진공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게터재(getter member)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복층 유리를 구성하는 판유리로서 일방향 또는 복수의 방향으로 만곡한 만곡 유리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만곡 형상을 갖는 복층 유리를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한쌍의 판유리의 적어도 한쪽의 판유리 자체를 복층 유리로서, 전체적으로 3매 이상의 판유리가 각각 소정의 공간을 두고서 적층된 복층 유리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적층하는 복층 유리를 구성하는 적어도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분의 복층 유리가,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면 좋다. 이 때문에,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층 유리로서,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층 유리에, 판유리 사이에 불활성 가스가 봉입된 복층 유리가 적층되어 있는 구성, 다른 방법 또는 본 개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층 유리가 추가로 적층되어 있는 구성, 또한 소정 간격으로 판유리가 적층되어 있을 뿐으로 사이의 공간이 대기압인 채인 복층 유리가 적층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 다양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복층 유리는, 단열 효과가 높고, 또한 취급이 용이한 에코 유리로서, 유리창 등에 양호하게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냉장고나 냉동고의 문 부분에,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복층 유리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높은 단열 효과를 가져 냉장고나 냉동고의 기능을 방해하는 일 없이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등, 가정용 또는 업무용의 용도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배기된 공간을 감압 상태를 유지한 채로 판유리를 분할하는 기술은, 복층 유리 이외의, 예를 들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형광 표시 장치 등, 소정의 공간 내를 배기하는 표시 디바이스에 이용할 수 있고, 본 개시와 마찬가지로 완성품의 상태로 배기관 등의 돌기물을 갖지 않는 표시 디바이스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은 간단하고 쉬운 방법으로 취급이 용이한 복층 유리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6)

  1. 소정 간격을 두고서 대향 배치된 한쌍의 판유리의 주변부를 봉착재로 봉착해서 상기 판유리의 사이에 밀폐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배기구로부터 배기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하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한 후에,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된 영역 형성재에 의해서 상기 공간을 상기 배기구가 포함되는 배기구 영역과 상기 배기구 영역 이외의 감압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형성재는, 상기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배기구 영역과 상기 감압 영역을 접속하는 통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한 후에 상기 통기부가 폐색되어 상기 공간을 상기 배기구 영역과 상기 감압 영역으로 분할하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가, 단속적으로 형성된 상기 영역 형성재의 불연속 부분이며,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한 후에 상기 영역 형성재를 용융시켜 상기 불연속 부분을 연속시키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용융전의 상기 영역 형성재의 형성 높이를, 용융전의 상기 봉착재의 형성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고,
    상기 봉착재가 용융해서 상기 한쌍의 판유리가 봉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하고, 그 후 상기 한쌍의 판유리의 간격을 좁게 해서 상기 영역 형성재에 의해서 상기 공간을 상기 배기구 영역과 상기 감압 영역으로 분할하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형성재의 용융 온도가 상기 봉착재의 용융 온도보다 높고, 상기 봉착재가 용융하는 온도에서 상기 한쌍의 판유리를 봉착해서 상기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한 후에, 상기 영역 형성재가 용융하는 온도에서 상기 영역 형성재를 용융시켜 상기 공간을 상기 배기구 영역과 상기 감압 영역으로 분할하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융로 내에 있어서 상기 봉착재를 용융시켜 상기 공간을 형성한 후, 상기 용융로로부터 취출해서 상기 공간을 감압 상태로 한 후, 다시 용융로 내에 있어서 상기 영역 형성재를 용융시켜 상기 공간을 상기 배기구 영역과 상기 감압 영역으로 분할하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가 상기 한쌍의 판유리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에 접속된 배기관을 거쳐서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하고,
    상기 공간을 상기 배기구 영역과 상기 감압 영역으로 분할한 후에 상기 배기관을 제거하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착재 및 상기 영역 형성재가 유리 프리트인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판유리 중 어느 한쪽의 표면에, 상기 한쌍의 판유리의 간극을 규정하는 스페이서가 배치되어 있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착재 형성 부분에, 상기 한쌍의 판유리의 간극을 규정하는 높이 규제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가 사진 노광법에 의해 형성된 것인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규제 부재가 사진 노광법에 의해 형성된 것인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14. 소정 간격을 두고서 대향 배치된 한쌍의 판유리의 주변부를 봉착재로 봉착해서 상기 판유리의 사이에 밀폐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배기구로부터 배기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하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한 후에,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된 영역 형성재에 의해서, 상기 공간을, 상기 배기구가 포함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해서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배기구 영역과, 상기 배기구 영역 이외의 감압 상태를 유지한 감압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봉착재가 상기 영역 형성재와 함께 상기 배기구의 주위를 둘러싼 상기 배기구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15. 소정 간격을 두고서 대향 배치된 한쌍의 판유리의 주변부가 봉착재로 봉착되어 있어 상기 판유리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복층 유리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된 격벽에 의해서, 상기 공간이, 배기구를 통해서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배기구 영역과, 상기 배기구 영역 이외의 감압 상태를 유지한 감압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의 단부는 상기 봉착재에 접속되어 있어, 상기 격벽과 상기 봉착재에 의해 상기 배기구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
  16. 소정 간격을 두고서 대향 배치된 한쌍의 판유리의 주변부를 봉착재로 봉착해서 상기 판유리의 사이에 밀폐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배기구로부터 배기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하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를 감압 상태로 한 후에,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된 영역 형성재에 의해서, 상기 공간을, 상기 배기구가 포함되고 상기 배기구를 통해서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배기구 영역과, 상기 배기구 영역 이외의 감압 상태를 유지한 감압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배기구 영역과 상기 감압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에 즈음하여, 상기 봉착재의 연화점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상기 한쌍의 판유리의 주변부가 봉착되어, 상기 한쌍의 판유리의 사이에 상기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봉착재의 연화점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기 공간 내부의 공기를 진공 펌프에 의해 배기하는 배기 공정이 개시되고, 그 후, 상기 영역 형성재의 연화점 온도 이상의 온도로까지 온도 상승되어, 상기 공간이 상기 배기구 영역과 상기 감압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KR1020147035207A 2012-05-18 2013-05-16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KR101688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14979 2012-05-18
JPJP-P-2012-114979 2012-05-18
PCT/JP2013/003128 WO2013172033A1 (ja) 2012-05-18 2013-05-16 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298A KR20150012298A (ko) 2015-02-03
KR101688297B1 true KR101688297B1 (ko) 2017-01-02

Family

ID=4958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207A KR101688297B1 (ko) 2012-05-18 2013-05-16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10024098B2 (ko)
EP (2) EP3225604B1 (ko)
JP (5) JP5821010B2 (ko)
KR (1) KR101688297B1 (ko)
CN (2) CN108178526A (ko)
AU (2) AU2013260930B2 (ko)
BR (1) BR112014028689B1 (ko)
CA (1) CA2873960C (ko)
DK (1) DK3225604T3 (ko)
ES (1) ES2730207T3 (ko)
HU (1) HUE043865T2 (ko)
IN (1) IN2014DN09649A (ko)
LT (1) LT3225604T (ko)
MY (1) MY171346A (ko)
PL (1) PL3225604T3 (ko)
PT (1) PT3225604T (ko)
SI (1) SI3225604T1 (ko)
TR (1) TR201908104T4 (ko)
WO (1) WO20131720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273834A1 (en) * 2013-05-27 2016-01-21 Michael John BOYDEN A double-glazed window or door assembly
US20150262902A1 (en) 2014-03-12 2015-09-17 Invensas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s protected by substrates with caviti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JP6395080B2 (ja) * 2014-09-30 2018-09-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組立て品、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6471916B2 (ja) 2014-09-30 2019-02-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仮組立て品、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組立て品、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9366071B1 (en) * 2014-12-03 2016-06-14 Peter Petit Low-friction spacer system for vacuum insulated glass
JP2016108799A (ja) * 2014-12-04 2016-06-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
CN107429537A (zh) * 2015-03-12 2017-12-01 3M创新有限公司 用于隔热玻璃单元的真空窗用玻璃支柱以及由其形成的隔热玻璃单元
JP6425174B2 (ja) * 2015-03-20 2018-11-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真空ガラスパネルの製造方法
WO2016157258A1 (ja) 2015-03-27 2016-10-0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23658A (ko) 2015-04-16 2016-10-26 최융재 속이 빈 구(Empty Sphere)를 이용한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 방법
CN108137398A (zh) * 2015-09-29 2018-06-0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玻璃面板单元和窗玻璃
US10988973B2 (en) 2015-09-29 2021-04-2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Glass panel unit, glass window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JP7126313B2 (ja) 2016-05-11 2022-08-26 富士電機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の収納構造
US20170159996A1 (en) * 2015-12-08 2017-06-08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insulation structures with a filler insulator
JP6565700B2 (ja) * 2016-01-18 2019-08-28 日立化成株式会社 複層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EP3438062B1 (en) * 2016-03-31 2020-07-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Glass panel unit manufacturing method
WO2017169731A1 (ja) * 2016-03-31 2017-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
JP6757912B2 (ja) 2016-03-31 2020-09-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建具の製造方法、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
US10662109B2 (en) 2016-03-31 2020-05-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Glass panel unit and glass window
TWI616413B (zh) * 2016-03-31 2018-03-01 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玻璃平板單元及具有該玻璃平板單元之門窗的製造方法
JP6767702B2 (ja) * 2016-08-31 2020-10-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およびガラス窓
US11187027B2 (en) 2016-09-28 2021-11-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panel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window
US11465938B2 (en) 2016-09-30 2022-10-1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panel unit,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window, and glass panel unit
US11117831B2 (en) * 2016-09-30 2021-09-1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Glass panel unit, glass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USD837411S1 (en) * 2016-12-09 2019-01-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Vacuum-insulated glass plate
US10002844B1 (en) 2016-12-21 2018-06-19 Invensas Bonding Technologies, Inc. Bonded structures
USD837412S1 (en) * 2017-01-20 2019-01-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Vacuum-insulated glass plate
WO2018147940A1 (en) 2017-02-09 2018-08-16 Invensas Bonding Technologies, Inc. Bonded structures
WO2018150016A1 (en) * 2017-02-17 2018-08-23 Vkr Holding A/S Top frit heat treatment
EP3363983B1 (en) * 2017-02-17 2021-10-27 VKR Holding A/S Vacuum insulated glazing unit
US10508030B2 (en) 2017-03-21 2019-12-17 Invensas Bonding Technologies, Inc. Seal for microelectronic assembly
JP2018188341A (ja) * 2017-05-10 2018-1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複層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11380597B2 (en) * 2017-12-22 2022-07-05 Invensas Bonding Technologies, Inc. Bonded structures
US10923408B2 (en) 2017-12-22 2021-02-16 Invensas Bonding Technologies, Inc. Cavity packages
WO2019188312A1 (ja) * 2018-03-30 2019-10-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窓の製造方法
EP3786125A4 (en) * 2018-04-26 2021-06-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GLASS UNIT ARRANGEMENT, MANUFACTURING METHOD FOR GLASS UNIT
JPWO2019208002A1 (ja) * 2018-04-27 2021-05-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ガラス窓、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窓の製造方法
US11004757B2 (en) 2018-05-14 2021-05-11 Invensas Bonding Technologies, Inc. Bonded structures
WO2019230247A1 (ja) * 2018-05-31 2019-12-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組立て品、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7063740B2 (ja) * 2018-06-18 2022-05-09 日本板硝子株式会社 真空ガラスパネル
JP7026330B2 (ja) * 2018-06-26 2022-0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EP3816127B1 (en) * 2018-06-29 2023-08-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US10443298B1 (en) 2018-07-25 2019-10-15 Kyun Jang Chin Vacuum insulated glass panel with structured pillar unit
US20220170313A1 (en) * 2019-03-29 2022-06-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Glass panel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glass panel unit
WO2020208228A1 (en) 2019-04-12 2020-10-15 Agc Glass Europe Specific coated glass for vig assembly
JP7340765B2 (ja) * 2019-04-12 2023-09-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ES2961885T3 (es) * 2020-01-06 2024-03-14 Qingdao haier refrigerator co ltd Cuerpo adiabático de vacío y refrigerador
EP4326551A1 (en) 2021-04-21 2024-02-28 AGC Glass Europe Novel lamination process to produce laminated vacuum insulating glazing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042A (ja) * 2000-05-29 2001-12-11 Central Glass Co Ltd 低圧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JP2011506252A (ja) * 2007-12-14 2011-03-03 ガーディアン・インダストリーズ・コーポレーション 真空断熱ガラスユニットのための端密封部の局部的過熱および/またはそれを達成するためのユニット化されたオーブン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65148C (en) 1989-08-23 2000-08-01 Richard Edward Collins Thermally insulating glass panel and method of construction
EP0955438B1 (en) * 1992-01-31 2003-04-02 The University Of Sydney Improvements to thermally insulating glass panels
JP3859771B2 (ja) 1996-06-17 2006-12-20 日本板硝子株式会社 真空複層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3828341B2 (ja) * 1996-06-17 2006-10-04 日本板硝子株式会社 真空複層ガラス
EP0944912B1 (en) 1996-12-12 2009-12-16 Canon Kabushiki Kaisha Gap jumping method of sealing plate structures
US5820435A (en) * 1996-12-12 1998-10-13 Candescent Technologies Corporation Gap jumping to seal structure including tacking of structure
US6109994A (en) 1996-12-12 2000-08-29 Candescent Technologies Corporation Gap jumping to seal structure, typically using combination of vacuum and non-vacuum environments
JPH10297944A (ja) 1997-04-24 1998-11-10 Central Glass Co Ltd 複層ガラスパネル
JP4049443B2 (ja) 1998-04-30 2008-02-20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
JPH11315668A (ja) * 1998-05-07 1999-11-16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パネル
JP2000063157A (ja) * 1998-08-11 2000-02-29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553903B2 (ja) 1998-06-15 2004-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3465634B2 (ja) * 1998-06-29 2003-11-10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0305060A (ja) * 1999-04-23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FR2793950A1 (fr) 1999-05-21 2000-11-24 Thomson Plasma Procede de fabrication de composants sur substrats de verre devant etre scelles, tels que des ecrans d'affichage plats du type panneau a plasma
JP2002008569A (ja) * 2000-06-27 2002-01-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2255593A (ja) * 2001-02-23 2002-09-11 Central Glass Co Ltd 低圧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JP2009167041A (ja) * 2008-01-15 2009-07-30 Panasonic Corp ガラスパネル
WO2010061418A1 (ja) * 2008-11-25 2010-06-03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042A (ja) * 2000-05-29 2001-12-11 Central Glass Co Ltd 低圧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JP2011506252A (ja) * 2007-12-14 2011-03-03 ガーディアン・インダストリーズ・コーポレーション 真空断熱ガラスユニットのための端密封部の局部的過熱および/またはそれを達成するためのユニット化されたオーブ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25604A1 (en) 2017-10-04
AU2013260930A1 (en) 2014-12-04
JP2017160119A (ja) 2017-09-14
BR112014028689A2 (pt) 2017-06-27
AU2013260930B2 (en) 2016-06-02
EP2851351A4 (en) 2015-08-12
DK3225604T3 (da) 2019-06-17
US20150068666A1 (en) 2015-03-12
JP5821010B2 (ja) 2015-11-24
ES2730207T3 (es) 2019-11-08
JP2015147727A (ja) 2015-08-20
SI3225604T1 (sl) 2019-07-31
EP2851351B1 (en) 2017-12-27
BR112014028689B1 (pt) 2021-01-26
US20180283087A1 (en) 2018-10-04
JP6471917B2 (ja) 2019-02-20
JP5907470B2 (ja) 2016-04-26
AU2016203380A1 (en) 2016-06-16
IN2014DN09649A (ko) 2015-07-31
PL3225604T3 (pl) 2019-09-30
AU2016203380B2 (en) 2017-05-25
EP2851351A1 (en) 2015-03-25
CA2873960C (en) 2017-09-05
CN104302593A (zh) 2015-01-21
PT3225604T (pt) 2019-06-17
KR20150012298A (ko) 2015-02-03
JP5875020B1 (ja) 2016-03-02
US10024098B2 (en) 2018-07-17
EP3225604B1 (en) 2019-03-13
HUE043865T2 (hu) 2019-09-30
LT3225604T (lt) 2019-05-27
MY171346A (en) 2019-10-09
CA2873960A1 (en) 2013-11-21
JP2016074601A (ja) 2016-05-12
US11021906B2 (en) 2021-06-01
CN108178526A (zh) 2018-06-19
JP2016029020A (ja) 2016-03-03
TR201908104T4 (tr) 2019-06-21
WO2013172033A1 (ja) 2013-11-21
JP6132215B2 (ja) 2017-05-24
JPWO2013172033A1 (ja)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297B1 (ko) 복층 유리의 제조 방법
JP6304573B2 (ja) 複層ガラス
JP6635386B2 (ja) 真空ガラスパネルの製造方法
EP3357882B1 (en) Glass panel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glass window manufacturing method
US20210002949A1 (en) Glass panel unit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RU258827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ногослойных оконных стекол
EP3950626A1 (en) Glass panel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US20210147291A1 (en) Glass panel unit, work in progress of glass panel unit, glass panel unit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EP381612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anel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