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718B1 -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718B1
KR101685718B1 KR1020117016722A KR20117016722A KR101685718B1 KR 101685718 B1 KR101685718 B1 KR 101685718B1 KR 1020117016722 A KR1020117016722 A KR 1020117016722A KR 20117016722 A KR20117016722 A KR 20117016722A KR 101685718 B1 KR101685718 B1 KR 101685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mmol
thiazole
benzo
thiaz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2473A (ko
Inventor
조나단 바일돈 밸
친 티엔 부이
피터 콜맨
피터 차보타
다넷 에이. 두들리
웨인 제이. 패어브라더
존 에이. 플라이게어
귈라움 로렌트 레센
추디 엔두바쿠
조지 니콜라코폴로스
브래드 에드문드 슬리브스
브라이언 존 스미스
케이트 조프레이 왓슨
스티븐 더블유. 엘모어
리사 에이. 하스볼드
앤드류 엠. 페트로스
앤드류 제이. 소워스
지-푸 타오
레 왕
자일루 왕
커트 데샤이어스
Original Assignee
제넨테크, 인크.
애브비 인코포레이티드
더 월터 앤드 엘리자 홀 인스티튜트 오브 메디컬 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3167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8571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제넨테크, 인크., 애브비 인코포레이티드, 더 월터 앤드 엘리자 홀 인스티튜트 오브 메디컬 리서치 filed Critical 제넨테크, 인크.
Publication of KR20110102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2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 A61K31/4725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6Peri-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6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6Peri-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n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가변기 X1a, X1b, X1c, X1d, Q, A, R1, B, L, E, 및 아래첨자 m 및 n은 본원에 기재된 정의를 갖는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뿐만 아니라 Bcl-2 항-아폽토시스성 단백질, 예를 들어 항-아폽토시스성 Bcl-xL 단백질의 발현 또는 과다발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및 상태 (예를 들어, 암, 혈소판증가증 등)의 치료를 위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및 사용 방법 {HETEROCYCLIC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8년 12월 1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139,492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상기 문헌의 내용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현재, 아폽토시스는 모든 살아 있는 종의 조직 항상성을 위한 필수적인 생물학적 과정으로 인식된다. 특히 포유동물에서, 아폽토시스는 초기 배아 발생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에, 세포 사멸은 잠재적으로 위험한 세포 (예를 들어, 암성 결함을 보유하고 있는 세포)를 제거하는 기본 메카니즘이다. 여러 개의 아폽토시스 경로가 밝혀졌고, 가장 중요한 경로들 중 하나는 아폽토시스의 미토콘드리아 경로 (또한 "내부 경로"로도 불림)의 핵심 조절자인 단백질의 Bcl-2 패밀리를 포함한다. 문헌 [Danial, N.N. and Korsmeyer, S.J. Cell (2004) 116, 205-219]를 참조한다. 구조적 상동 도메인 BH1, BH2, BH3 및 BH4는 상기 단백질 패밀리의 특징이다. 단백질의 Bcl-2 패밀리는 각 단백질이 얼마나 많은 상동 도메인을 함유하는지에 따라, 그리고 단백질의 생물학적 활성 (즉, 단백질이 아폽토시스 유발성인지 또는 항-아폽토시스성인지의 여부)에 따라 3개의 하위패밀리로 추가로 분류될 수 있다.
제1 하위군은 4개의 모든 상동 도메인, 즉, BH1, BH2, BH3 및 BH4를 갖는 단백질을 함유한다. 이들의 일반적 효과는 항-아폽토시스성이고, 이는 세포 사멸 과정을 개시하는 것으로부터 세포를 보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Bcl-2, Bcl-w, Bcl-xL, Mcl-1 및 Bfl-1/A1과 같은 단백질이 이러한 제1 하위군의 구성원이다. 제2 하위군에 속하는 단백질은 3개의 상동 도메인 BH1, BH2 및 BH3을 함유하며, 아폽토시스-유발성 효과를 갖는다. 상기 제2 하위군의 2개의 주요 대표 단백질은 Bax 및 Bak이다. 마지막으로, 제3 하위군은 단지 BH3 도메인만을 함유하는 단백질로 구성되고, 상기 하위군의 구성원은 통상적으로 "BH3-유일 단백질"로 지칭된다. 세포에 대한 이들의 생물학적 효과는 아폽토시스-유발성이다. Bim, Bid, Bad, Bik, Noxa, Hrk, Bmf 및 Puma가 단백질의 상기 제3 하위패밀리의 예이다. Bcl-2 패밀리 단백질이 세포 사멸을 조절하는 정확한 메카니즘은 여전히 완전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상기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과학 공동체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영역이다. Bcl-2 패밀리 단백질에 의한 세포 사멸의 조절에 대한 하나의 가설에서, BH3-유일 단백질은 그의 조절 기능에 따라 "활성화제" (예를 들어, Bim 및 Bid) 또는 "증감제" (예를 들어, Bad, Bik, Noxa, Hrk, Bmf, 및 Puma) 단백질 중 어느 한쪽으로 추가로 분류된다.
조직 항상성을 위한 핵심은 세포에서 단백질의 3가지 하위군 사이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미묘한 균형을 달성하는 것이다. 최근의 연구는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아폽토시스-유발성 하위군 및 항-아폽토시스성 하위군이 상호작용하여 세포가 프로그래밍된 세포 사멸을 겪게 하는 메카니즘을 밝히려고 시도해 왔다. 세포에서 세포내 또는 세포외 신호를 수신한 후, BH3-유일 단백질의 번역-후 또는 전사-후 활성화가 일어난다. BH3-유일 단백질은 세포 내의 미토콘드리아 막 상에서 아폽토시스-유발성 단백질 Bax 및 Bak의 활성화를 하나의 단계로서 포함하는 아폽토시스 캐스케이드의 주된 유도제이다. 미토콘드리아 막에 이미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막으로 이동하는 Bax 및/또는 Bak가 활성화되면, Bax 및/또는 Bak는 올리고머화되어 미토콘드리아 외막 투과화 (MOMP), 시토크롬 C의 방출, 및 이펙터 카스파제의 하류 활성화를 초래하고, 궁극적으로는 세포 아폽토시스를 초래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특정 BH3-유일 단백질 (예를 들어, Puma, Bim, Bid)은 이들 단백질이 아폽토시스-유발성 단백질 Bax 및 Bak를 직접적으로 끌어들여 MOMP를 일으킨다는 점에서 "활성화제"인 반면, 다른 BH3-유일 단백질 (예를 들어, Bad, Bik 및 Noxa)은 "증감제"이고, 항-아폽토시스성 단백질 (예를 들어, Bcl-2, Bcl-xL, Bcl-w, Mcl-1)에 결합하여 "활성화제"인 BH3-유일 단백질 (후속적으로 아폽토시스-유발성 단백질 (예를 들어, Bax, Bak)에 결합하고 이를 활성화시켜 세포 사멸을 유도함)을 대체하고 "해방"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Bax 및 Bak 올리고머화를 유도한다는 가설을 세우고 있다. 다른 연구자들은, 항-아폽토시스성 단백질이 Bax 및 Bak를 직접적으로 끌어들이고 격리시키며, 모든 BH3-유일 단백질은 항-아폽토시스성 단백질 (예를 들어, Bcl-2, Bcl-xL, Bcl-w, Mcl-1)에 결합함으로써 (Bax 및 Bak의 방출을 초래함) 상기 상호작용을 조절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문헌 [Adams, J.M. and Cory S. Oncogene (2007) 26, 1324-1337], [Willis, S.N. et al. Science (2007) 315, 856-859]를 참조한다. 항-아폽토시스성 및 아폽토시스-유발성 Bcl-2 패밀리 단백질이 아폽토시스를 조절하는 정확한 상호작용은 논쟁 하에 남아있을지라도, BH3-유일 단백질이 항-아폽토시스성 Bcl-2 패밀리 단백질에 결합하는 것을 억제하는 화합물은 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촉진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다량의 과학적 증거가 있다.
아폽토시스 경로의 조절이상은 다수의 주요 질환, 예컨대 신경변성 상태 (아폽토시스의 상향 조절), 예컨대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병; 및 증식성 질환 (아폽토시스의 하향 조절), 예컨대 예를 들어, 암, 자가면역 질환 및 혈전유발 상태의 병리학과 관련되어 왔다.
한 측면에서, 아폽토시스 (및 보다 특히, 단백질의 Bcl-2 패밀리)의 하향 조절이 암성 악성종양의 발병과 관련되어 있다는 연관성은, 여전히 이해하기 어려운 상기 질환을 표적으로 하는 신규 방법을 밝혀주었다. 연구는, 예를 들어 항-아폽토시스성 단백질인 Bcl-2 및 Bcl-xL이 다수의 암세포 유형에서 과다발현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문헌 [Zhang J.Y., Nature Reviews/Drug Discovery, (2002) 1, 101], [Kirkin, V. et al.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2004) 1644, 229-249] 및 [Amundson, S.A. et al. Cancer Research (2000) 60, 6101-6110]을 참조한다. 상기 탈조절의 효과는 그렇지 않았더라면 정상 상태에서 아폽토시스를 겪었을 변형된 세포의 생존이다. 조절되지 않는 증식과 관련된 이러한 결함의 반복은 암성 진화의 출발점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추가로, 연구는 BH3-유일 단백질이, 질환을 앓는 동물에서 발현되는 경우에 종양 억제자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발견은 다른 것들과 마찬가지로 암을 표적으로 삼기 위한 약물 개발에 있어서 새로운 전략의 출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BH3-유일 단백질의 효과를 모방할 수 있는 소분자가 세포로 진입하여 항-아폽토시스성 단백질 과다발현을 극복할 수 있다면, 아폽토시스 과정을 재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전략은 통상적으로 아폽토시스 탈조절 (비정상 생존)의 결과인 약물 내성의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연구자들은 또한 혈소판이 내재적 아폽토시스 경로를 통해 프로그래밍된 세포 사멸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아폽토시스 기구 (예를 들어, Bax, Bak, Bcl-xL, Bcl-2, 시토크롬 c, 카스파제-9, 카스파제-3 및 APAF-1)도 또한 함유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순환 혈소판 생성이 정상적인 생리적 과정일지라도, 수많은 질환이 혈소판의 과잉, 또는 원치 않는 활성화에 의해 유발 또는 악화된다. 상기내용은, 포유동물에서 혈소판 내의 항-아폽토시스성 단백질을 억제하고 혈소판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치료제가, 혈소판의 과잉, 또는 원치 않는 활성화를 특징으로 하는 혈전유발 상태 및 질환을 치료하는 데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애보트 래보러토리즈 인크.(Abbott Laboratories Inc.)는, Bcl-2, Bcl-w 및 Bcl-xL을 비롯한 항-아폽토시스성 Bcl-2 단백질의 하위세트에는 강하게 결합하지만 Mcl-1 및 A1에는 단지 약하게 결합하며, 메커니즘-기반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한 부류의 소분자 BH3-유일 단백질 모방체 (즉, ABT-737 및 ABT-263)를 개발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동물 연구에서 시험되었고, 단일 작용제로서 특정 이종이식 모델에서 세포독성 활성이 입증되었을 뿐만 아니라, 조합으로 사용된 경우에 다른 이종이식 모델에 대한 수많은 화학요법제의 효과를 증진시켰다. 문헌 [Tse, C. et al. Cancer Res (2008) 68, 3421-3428] 및 [van Delft, M.F. et al. Cancer Cell (2006) 10, 389-399]를 참조한다. 이들 생체내 연구는 아폽토시스 경로의 조절이상을 포함하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항-아폽토시스성 Bcl-2 패밀리 단백질의 억제제의 잠재적 유용성을 시사한다.
항-아폽토시스성 Bcl-2 패밀리 단백질 구성원의 자연적인 발현 수준은 다양한 세포형에서 달라진다. 예를 들어, 신생 혈소판에서, Bcl-xL 단백질은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며, 혈소판의 세포 사멸 (수명)을 조절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특정 암 세포형에서, 암 세포의 생존은 하나 이상의 항-아폽토시스성 Bcl-2 단백질 패밀리 구성원의 과다발현에 의해 유발된 아폽토시스 경로의 조절이상에 기인한다. 암성 세포 및 정상 (즉, 비-암성) 세포 둘 다에서 아폽토시스를 조절하는 데 있어서의 단백질의 Bcl-2 패밀리의 중요한 역할, 및 Bcl-2 패밀리 단백질 발현의 인지된 세포간 유형 다양성의 관점에서, 항-아폽토시스성 Bcl-2 단백질(들)의 1가지 유형 또는 하위세트, 예를 들어 특정 암 유형에서 과다발현되는 항-아폽토시스성 Bcl-2 패밀리 구성원을 선택적으로 표적으로 삼고 그에 우선적으로 결합하는 소분자 억제제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선택적 화합물은 또한, 그 중에서도 특히 예를 들어 투약법 선택에 대한 융통성, 정상 세포에서 표적 독성 효과의 감소를 제공함으로써, 임상 세팅에서 특정 장점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cl-2 결핍 마우스에서 림프구감소증이 관찰됨). 문헌 [Nakayama, K. et al. PNAS (1994) 91, 3700-3704]를 참조한다.
상기 관점에서, 당업계에는 항-아폽토시스성 Bcl-2 단백질의 1가지 유형 또는 하위세트, 예를 들어 Bcl-xL 항-아폽토시스성 단백질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소분자 치료제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상기 필요를 충족시킨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11055058021-pct00001
화학식 I에서, Q는 -C(O)-, -CH2-, -CH(Ra)- 및 -C(Ra)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a는 C1 -4 알킬 또는 C1 -4 할로알킬이다. R1은, 존재하는 경우, 할로겐, =O, C1 -6 알킬, C1 -6 헤테로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및 C1 -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구성원이다. X1a, X1b 및 X1c는 C(H), C(R2)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X1a, X1b 및 X1c 중 적어도 1개는 C(H) 또는 C(R2)이다. R2는 -ORb, -NRbRc, -SRb, -C(O)ORc, -C(O)NRbRc, -NRbC(O)Rd, -S(O)2Rd, -S(O)Rd, -S(O)2NRbRc, -Rd, 할로겐, -CN 및 -N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Rb 및 Rc는 수소, C1 -4 알킬, C2-4 알케닐, C2 -4 알키닐, C1 -4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임의로 Rb 및 Rc는, 이들 각각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와 함께 조합되어 고리 정점으로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3-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d는 C1 -4 알킬, C2 -4 알케닐, C2 -4 알키닐 및 C1 -4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에서, X1d는 부재하거나, 또는 -O-, -NH-, -N(C1 -4 알킬)- 및 -N(C(O)C1-4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아래첨자 m은 1 내지 2의 정수이고, 아래첨자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여기서 X1d가 존재하는 경우에, 아래첨자 n은 2 또는 3이다. 화학식 I에서, A는
Figure 112011055058021-pct0000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성원이고; 여기서 R3은, 존재하는 경우, -NReRf, -ORe, -CN, -NO2, 할로겐, -C(O)ORe, -C(O)NReRf, -NReC(O)Rf, -NReS(O)2Rg, -NReS(O)Rg, -S(O)2Rg, -S(O)Rg 및 -R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Re 및 Rf는 각 경우에 수소, C1 -4 알킬, C2 -4 알케닐, C2 -4 알키닐, C1 -4 할로알킬 및 -(CH2)1-4 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e 및 Rf, 또는 Re 및 Rg는, 이들 각각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와 함께, 임의로 조합되어 고리 정점으로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3-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g는 C1 -4 알킬, C2 -4 알케닐, C2 -4 알키닐 및 C1 -4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에서, B는
Figure 112011055058021-pct0000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성원이고; 여기서 Y는 N, C(H) 또는 C(R4a)이고; X2는 -N(H)-, -N(C1 -3 알킬)-, O 또는 S이다. R4a는, 존재하는 경우, C1-4 알킬, C1 -4 할로알킬, C2 -4 알케닐, C2 -4 알키닐, 할로겐 및 -CN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4b는 -C(O)ORj, -C(O)NRhRi, -C(O)Ri, -NRhC(O)Ri, -NRhC(O)NRhRi, -OC(O)NRhRi, -NRhC(O)ORj, -C(=NORh)NRhRi, -NRhC(=NCN)NRhRi, -NRhS(O)2NRhRi, -S(O)2Rj, -S(O)2NRhRi, -N(Rh)S(O)2Ri,-NRhC(=NRi)NRhRi, -C(=S)NRhRi, -C(=NRh)NRhRi, 할로겐, -NO2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Rh 및 Ri는 각 경우에 수소, C1 -6 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C3 -6 시클로알킬, C1 -6 할로알킬, 페닐 및 -(CH2)1-4-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Rj는 C1 -6 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C1 -6 할로알킬, C3 -7 시클로알킬, 페닐 및 -(CH2)1-4 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h 및 Ri, 또는 Rh 및 Rj는, 이들 각각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와 함께, 임의로 조합되어 고리 정점으로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3-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R4b
Figure 112011055058021-pct0000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k는 C1 -6 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C3 -7 시클로알킬 및 C1 -6 할로알킬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의 B 기에 대해, a1은 화학식 I에서의 질소 원자에 대한 B 기의 부착 지점을 나타내고, a2는 화학식 I에서의 L 기에 대한 B 기의 부착 지점을 나타낸다. 화학식 I에서, L은 부재하거나, 또는 C6 -10 아릴렌-C1 -6 헤테로알킬렌, C5 -9 헤테로아릴렌-C1 -6 헤테로알킬렌, C1 -6 헤테로알킬렌, C1 -6 알킬렌, C1 -6 할로알킬렌, C2 -6 알케닐렌, C2 -6 알키닐렌, -NH-, -S- 및 -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링커이고, 여기서 L 기의 알킬렌, 알케닐렌, 알키닐렌 또는 헤테로알킬렌 부분은 할로겐, -Rm 및 =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4개의 R5a 치환기로 치환되고, L 기의 방향족 부분은 할로겐, -ORn, -NRnRo, -Rn, -NO2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4개의 R5b 치환기로 치환되고; 여기서 Rm은 C1 -6 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C1 -6 헤테로알킬, C3 -6 헤테로시클로알킬-C1 -6 알킬, C3 -7 헤테로시클로알킬-C1 -6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C1 -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임의로, L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원자에 부착되어 있는 임의의 2개의 R5a 치환기는 조합되어 고리 정점으로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 또는 5-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서 Rn 및 Ro는, 각 경우에, 수소, C1 -6 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및 C1 -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임의로 Rn 및 Ro는, 이들 각각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와 함께 조합되어 고리 정점으로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3-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한다. 화학식 I에서, E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E는 페닐, C5 -6 헤테로아릴, C3 -7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C3 -7 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E에 임의로 융합되는 고리는 3- 내지 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 3-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 벤젠 고리 및 5- 내지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개의 고리이고, 여기서 E, 및 E에 임의로 융합되는 각각의 고리는 할로겐, -NRpRq, -SRp, -ORp, -C(O)ORp, -C(O)NRpRq, -C(O)Rp, -NRpC(O)Rq, -OC(O)Rr, -NRpC(O)NRpRq, -OC(O)NRpRq, -NRpC(O)ORr, -C(=NORp)NRpRq, -NRpC(=N-CN)NRpRq, -NRpS(O)2NRpRq, -S(O)2Rr, -S(O)2NRpRq, -Rr, -Rs, -NO2, -N3, =O, -CN, -Z1-NRpRq, -Z1-SRp, -Z1-ORp, -Z1-C(O)ORp, -Z1-C(O)NRpRq, -Z1-C(O)Rp, -Z1-NRpC(O)Rq, -Z1-OC(O)Rr, -Z1-NRpC(O)NRpRq, -Z1-OC(O)NRpRq, -Z1-NRpC(O)ORr, -Z1-C(=NORp)NRpRq, -Z1-NRpC(=N-CN)NRpRq, -Z1-NRpS(O)2NRpRq, -Z1-S(O)2Rr, -Z1-S(O)2NRpRq, -Z1-NO2, -Z1-N3, -Z1-Rs 및 -Z1-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5개의 R6 치환기로 독립적으로 치환되고; 여기서 Z1은 C1 -6 알킬렌, C2 -6 알케닐렌, C2 -6 알키닐렌, C1 -6 헤테로알킬렌, C3 -7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C3 -7 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p 및 Rq는 수소, C1 -6 알킬, C1 -6 할로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C3 -7 시클로알킬, C3 -7 헤테로시클로알킬, 페닐 및 -(CH2)1-4-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r은 C1 -6 알킬, C1 -6 할로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C3-10 시클로알킬, C3 -10 헤테로시클로알킬, 페닐 및 -(CH2)1-4-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임의로, 각각의 R6 치환기에서 Rp 및 Rq, 또는 Rp 및 Rr은, 이들 각각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와 함께 조합되어 고리 정점으로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3-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s는 페닐, C5 -6 헤테로아릴, C3 -7 헤테로시클로알킬, C3 -7 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s에 임의로 융합되는 고리는 5- 내지 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 5-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 벤젠 고리 및 5- 내지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개의 고리이고, 여기서 Rs, 및 Rs에 임의로 융합되는 각각의 고리는 할로겐, -NRtRu, -SRt, -ORt, -C(O)ORt, -C(O)NRtRu, -C(O)Rt, -NRtC(O)Rv -OC(P)Rv, -NRtC(O)NRtRu, -OC(O)NRtRr, -NRtC(O)ORv -C(=NORt)NRtRu, -NRtC(=N-CN)NRtRu, -NRtS(O)2NRtRu, -S(O)2Rv, -S(O)2NRtRu, -Rv, -NO2, -N3, =O, -CN, -Z2-NRtRu, -Z2-SRt, -Z2-ORt, -Z2-C(O)ORt, -Z2-C(O)NRtRu, -Z2-C(O)Rv, -Z2-NRtC(O)Ru, -Z2-OC(O)Rv, -Z2-NRtC(O)NRtRu, -Z2-OC(O)NRtRu, -Z2-NRtC(O)ORv, -Z2-C(=NORt)NRtRu, -Z2-NRtC(=N-CN)NRtRu, -Z2-NRtS(O)2NRtRu, -Z2-S(O)2Rv, -Z2-S(O)2NRtRu, -Z2-NO2, -Z2-N3 및 -Z2-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5개의 R7 치환기로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된다. Z2는 C1 -6 알킬렌, C2 -6 알케닐렌, C2 -6 알키닐렌, C1 -6 헤테로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t 및 Ru는 수소, C1 -6 알킬, C1 -6 할로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CH2)1-4-페닐, C3 -7 시클로알킬 및 C3 -7 헤테로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v는 C1 -4 알킬, C1 -4 할로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CH2)1-4-페닐, C3 -7 시클로알킬 및 C3 -7 헤테로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7 치환기에서 Rt 및 Ru, 또는 Rt 및 Rv는 이들 각각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와 함께 임의로 조합되어 고리 정점으로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뿐만 아니라 Bcl-2 항-아폽토시스성 단백질, 예를 들어 항-아폽토시스성 Bcl-xL 단백질의 발현 또는 과다-발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및 상태 (예를 들어, 암, 혈소판증가증 등)의 치료을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특정 하위 화학식, 즉 하위화학식 IV-a, IV-b, IV-c, IV-d, IV-e, IV-f, IV-g, IV-h, IV-i, IV-k, IV-m, IV-n, IV-o 및 IV-p를 보여준다.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한 E 기의 특정 실시양태를 보여준다.
1. 정의
본원에 그 자체로 또는 또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사용된 용어 "알킬"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지정된 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즉, C1 -6은 1 내지 6개의 탄소를 의미함)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알킬 기의 예에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n-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등이 포함된다. 용어 "알케닐"은 1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갖는 불포화 알킬 라디칼을 지칭하며, 모노- 및 폴리-할로겐화 변이체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유사하게, 용어 "알키닐"은 1개 이상의 삼중 결합을 갖는 불포화 알킬 라디칼을 지칭하며, 모노- 및 폴리-할로겐화 변이체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불포화 알킬 기의 예에는 비닐, 2-프로페닐, 크로틸, 2-이소펜테닐, 2-(부타디에닐), 2,4-펜타디에닐, 3-(1,4-펜타디에닐), 에티닐, 1- 및 3-프로피닐, 3-부티닐, 및 고급 상동체 및 이성질체가 포함된다. 용어 "시클로알킬", "카르보시클릭" 및 "카르보사이클"은 호환성 있게 사용되며, 그 자체로 또는 또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사용된 경우에, 표시된 수의 고리 원자를 갖고 (예를 들어, C3 -6 시클로알킬), 완전히 포화되거나 또는 고리 정점 사이에 1개 이하의 이중 결합을 갖는 탄화수소 고리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시클로알킬", "카르보시클릭" 또는 "카르보사이클"은 또한, 예를 들어 비시클로[2.2.1]헵탄, 피난, 비시클로[2.2.2]옥탄, 아다만탄, 노르보렌, 스피로시클릭 C5 -12 알칸 등과 같은 비시클릭, 폴리시클릭 및 스피로시클릭 탄화수소 고리를 지칭하도록 의도된다. "시클로알킬", "카르보시클릭" 또는 "카르보사이클" 고리는 고리 탄소 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렇게 언급된 경우에 대안적으로 "시클로알킬", "카르보시클릭" 또는 "카르보사이클" 고리는 분자의 나머지에 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젠 고리에 융합된 "시클로알킬", "카르보시클릭" 또는 "카르보사이클" 고리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2,3-디히드로-1H-인덴, (Z)-6,9-디히드로-5H-벤조[7]아눌렌 등이 포함된다.
용어 "헤테로알킬"은 그 자체로 또는 또 다른 용어와 조합되어,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언급된 수의 탄소 원자와 O, N, Si 및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로 이루어진 안정한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하며, 여기서 질소 및 황 원자는 임의로 산화될 수 있고, 질소 헤테로원자는 임의로 4급화될 수 있다. 헤테로원자(들) O, N 및 S는 헤테로알킬 기의 임의의 내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헤테로원자 Si는 알킬기가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되어 있는 위치를 비롯하여, 헤테로알킬 기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헤테로알킬"은 3개 단위 이하의 불포화 (예를 들어, 이중 및 삼중 결합)를 함유할 수 있고, 또한 모노- 및 폴리-할로겐화 변이체,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알킬"의 예에는 -CH2-CH2-O-CH3, -CH2-CH2-O-CF3, -CH2-CH2-NH-CH3, -CH2-CH2-N(CH3)-CH3, -CH2-S-CH2-CH3, -S(O)-CH3, -CH2-CH2-S(O)2-CH3, -CH=CH-O-CH3, -Si(CH3)3, -CH2-CH=N-OCH3 및 -CH=CH=N(CH3)-CH3이 포함된다. 또한, "헤테로알킬"에 대해 최대 2개의 헤테로원자가 연속될 수 있다 (예컨대, 예를 들어 -CH2-NH-OCH3 및 -CH2-O-Si(CH3)3).
용어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릭" 및 "헤테로사이클"은 호환성 있게 사용되며, 그 자체로 또는 또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사용된 경우에,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시클로알킬 기를 지칭하며, 여기서 질소 및 황 원자는 임의로 산화되고, 질소 원자(들)는 임의로 4급화된다. 당업자는,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릭" 및 "헤테로사이클"이 지정된 수의 탄소 원자 (예를 들어, "C3 -7 헤테로시클로알킬")를 갖는 것과 관련하여, 지정된 탄소 중 적어도 1개, 및 가능하다면 아마도 최대 5개가 헤테로원자로 대체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C3 헤테로시클로알킬"은, 다른 가능성 사이에서, 고리원으로서 2개의 탄소 원자에 더하여 1개의 산소 원자를 갖는 옥시라닐을 포함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릭" 또는 "헤테로사이클" 고리는 모노시클릭, 비시클릭, 스피로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 고리계일 수 있다.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릭" 및 "헤테로사이클" 기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피롤리딘, 피페리딘, 이미다졸리딘, 피라졸리딘, 부티로락탐, 발레로락탐, 이미다졸리디논, 히단토인, 디옥솔란, 프탈이미드, 피페리딘, 피리미딘-2,4(1H,3H)-디온, 피리미딘-4-온, 피리미딘-2-온, 1,4-디옥산, 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S-옥시드, 티오모르폴린-S,S-옥시드, 피페라진, 피란, 피리돈, 3-피롤린, 티오피란, 피론, 테트라히드로푸란, 테트라히드로티오펜, 퀴누클리딘, 트로판 등이 포함된다.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릭" 또는 "헤테로사이클" 기는 고리 탄소, 헤테로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그렇게 언급된 경우에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릭" 또는 "헤테로사이클" 기는 분자의 나머지에 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젠 고리에 융합된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릭" 또는 "헤테로사이클" 고리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이소크로만, 2,3-디히드로벤조푸란, (Z)-4,5-디히드로-1H-벤조[b]아제핀 등이 포함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릭" 및 "헤테로사이클" 고리는 그의 모노- 및 폴리-할로겐화 변이체를 포함한다.
용어 "알킬렌"은 그 자체로 또는 또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알칸 또는 할로알칸으로부터 유도된 2가 라디칼을 의미하며, -CH2CH2CH2CH2- 및 -CF2CF2-로 예시된다. 전형적으로, 알킬 (또는 알킬렌) 기는 1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것이며, 본 발명에서 해당 기는 1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케닐렌" 및 "알키닐렌"은, 모노- 및 폴리-할로겐화 변이체를 비롯하여, 각각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갖는 "알킬렌"의 불포화 형태를 지칭한다.
용어 "헤테로알킬렌"은 -O-CH2-CH2-CH2-CH2-O-, -O-CH2, -CH2-O-, -CH2-CH2-S-CH2CH2- 및 -CH2-S-CH2-CH2-NH-CH2-, -O-CH2-CH=CH-, -CH2-CH=C(H)CH2-O-CH2-, -O-CH2-CH≡CH-, -S-CH2-C≡C-, -CF2-O-로 예시되는 바와 같이, 그 자체로 또는 또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헤테로알킬로부터 유도된 2가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알킬렌 기의 경우, 헤테로원자는 또한 사슬 말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점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킬렌옥시, 알킬렌디옥시, 알킬렌아미노, 알킬렌디아미노 등). 본원에 사용된 용어 "헤테로알킬렌"은 또한 모노- 및 폴리-할로겐화 변이체를 지칭한다.
용어 "알콕시", "알킬아미노" 및 "알킬티오" (또는 티오알콕시)는 이들의 통상의 의미로 사용되고, 각각 산소 원자, 아미노 기 또는 황 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되어 있는 해당 알킬 기를 지칭한다. 추가로, 디알킬아미노 기의 경우, 알킬 부분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또한 이들 각각이 부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조합되어 3 내지 7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NRiRii로 나타낸 기는 피페리디닐, 피롤리디닐, 모르폴리닐, 아제티디닐 등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용어 "할로" 또는 "할로겐"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그 자체로 또는 또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원자를 의미한다. 추가로, "할로알킬"과 같은 용어는 모노할로알킬 및 폴리할로알킬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용어 "C1 -4 할로알킬"은 트리플루오로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4-클로로부틸, 3-브로모프로필 등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용어 "아릴"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중불포화된 전형적으로 방향족인 탄화수소기를 의미하며, 이는 단일 고리일 수 있거나 또는 서로 융합된 다중 고리 (최대 3개의 고리)일 수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아릴 기 (또는 고리)를 지칭하며, 여기서 질소 및 황 원자는 임의로 산화되고, 질소 원자(들)는 임의로 4급화된다. 헤테로아릴 기는 헤테로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아릴 기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페닐, 나프틸 및 비페닐이 포함되고, 헤테로아릴 기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트리아지닐, 퀴놀리닐, 퀴녹살리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벤조트리아지닐, 퓨리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피라졸릴, 벤조트리아졸릴, 벤즈이속사졸릴, 이소벤조푸릴, 이소인돌릴, 인돌리지닐, 벤조트리아지닐, 티에노피리디닐, 티에노피리미디닐, 피라졸로피리미디닐, 이미다조피리디닐, 벤조티아졸릴, 벤조푸라닐, 벤조티에닐, 인돌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이소티아졸릴, 피라졸릴, 인다졸릴, 프테리디닐, 이미다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디아졸릴, 피롤릴, 티아졸릴, 푸릴, 티에닐 등이 포함된다. 상기 언급된 아릴 및 헤테로아릴 고리계 각각을 위한 임의의 치환기는 하기 추가로 기재되어 있는 허용가능한 치환기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아릴렌"은 일반적으로 2가 라디칼인 임의의 아릴을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페닐렌"은 2가의 페닐 고리 라디칼을 지칭한다. 용어 "1,2-아릴렌", "1,3-아릴렌" 또는 "1,4-아릴렌"은, 화학식에 묘사된 바와 같이 아릴에 부착되어 있는 2개의 기가 각각 아릴에 대해 오르토, 메타 또는 파라의 기하학적 관계로 위치하는 특정 아릴렌의 기하 이성질체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헤테로아릴렌"은 일반적으로 2가 라디칼인 임의의 헤테로아릴을 지칭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피리딜렌"은 2가의 피리딜 고리 라디칼을 지칭한다.
당업자는, 용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릴렌"이 지정된 수의 탄소 원자 (예를 들어, "C5 -6 헤테로아릴" 또는 "C5 -9 헤테로아릴렌")를 갖는 것과 관련하여, 지정된 탄소 원자 중 적어도 1개, 및 가능하다면 최대 5개가 헤테로원자로 대체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5 헤테로아릴은, 다른 가능성 사이에서, 예를 들어 피롤릴이거나, 또 다른 예로서 티아졸릴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조합 용어 "아릴렌-헤테로알킬렌"은 일반적으로 서로 공유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아릴 기 및 헤테로알킬 기로 구성된 2가 라디칼을 지칭하며, 여기서 아릴 및 알킬 기는 각각 또 다른 기가 부착될 수 있는 추가적인 라디칼 중심을 포함한다. 아릴렌-헤테로알킬렌의 예에는
Figure 112011055058021-pct00005
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사하게, 용어 "헤테로아릴렌-헤테로알킬렌"은 서로 공유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헤테로아릴 기 및 헤테로알킬 기로 구성된 2가 라디칼을 지칭하며, 여기서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알킬 기는 각각 또 다른 기가 부착되는 추가적인 라디칼 중심을 포함한다. 헤테로아릴렌-헤테로알킬렌의 예에는
Figure 112011055058021-pct00006
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 (예를 들어, "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는,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시된 라디칼의 치환된 형태 및 비치환된 형태를 둘 다 포함할 것이다. 라디칼의 각 유형을 위한 바람직한 치환기가 하기 제공되어 있다.
알킬 라디칼 (종종 알킬렌, 알케닐, 알키닐, 헤테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시클로알킬로 지칭되는 기 포함)을 위한 치환기는, 0 내지 (2m'+1) 범위의 수의 -할로겐, -OR', -NR'R'', -SR', -SiR'R''R''', -OC(O)R', -C(O)R', -CO2R', -CONR'R'', -OC(O)NR'R'', -NR''C(O)R', -NR'''C(O)NR'R'', -NR''C(O)2R', -NHC(NH2)=NH, -NR'C(NH2)=NH, -NHC(NH2)=NR', -NR'''C(NR'R'')=N-CN, -NR'''C(NR'R'')=NOR', -NHC (NH2)=NR', -S(O)R', -S(O)2R', -S(O)2NR'R'', -NR'S(O)2R'', -NR'''S(O)2NR'R'', -CN, =O, =S, =N-OH 및 -NO2 (여기서, m'는 이러한 라디칼 내의 탄소 원자의 총 수임)를 비롯한 다양한 기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일 수 있다. R', R''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예를 들어 다른 것들 중에서도 수소, 비치환된 C1 -6 알킬, 비치환된 헤테로알킬, 비치환된 아릴, 1 내지 3개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아릴, 비치환된 C1 -6 알킬, C1 -6 알콕시 또는 C1 -6 티오알콕시 기, 또는 비치환된 아릴-C1 -4 알킬 기,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을 비롯한 기를 지칭한다. R' 및 R''가 동일한 질소 원자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이들은 질소 원자와 조합되어 3-, 4-, 5-, 6- 또는 7-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R'R''는 1-피롤리디닐 및 4-모르폴리닐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헤테로알킬, 알킬렌을 비롯한 알킬 라디칼을 위한 다른 치환기에는, 예를 들어 =O, =NR', =N-OR', =N-CN, =NH가 포함되며, 여기서 R'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치환기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아릴 및 헤테로아릴 기를 위한 치환기도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0 내지 방향족 고리계 상의 총 개방 원자가 수의 범위의 개수로 -할로겐, -OR', -OC(O)R', -NR'R'', -SR', -R', -CN, -NO2, -CO2R', -CONR'R'', -C(O)R', -OC(O)NR'R'', -NR''C(O)R', -NR''C(O)2R', -NR'C(O)NR''R''', -NHC(NH2)=NH, -NR'C(NH2)=NH, -NHC(NH2)=NR', -S(O)R', -S(O)2R', -S(O)2NR'R'', -NR'S(O)2R'', -N3, 퍼플루오로-C1 -4 알콕시 및 퍼플루오로-C1 -4 알킬을 비롯한 기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 R'' 및 R'''는 수소, C1 -6 알킬, C1 -6 할로알킬, C3 -6 시클로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비치환된 아릴 및 헤테로아릴, (비치환된 아릴)-C1 -4 알킬 및 비치환된 아릴옥시-C1 -4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다른 적합한 치환기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알킬렌 사슬에 의해 고리 원자에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상기 아릴 치환기가 포함된다.
본원에 묘사된 임의의 화학 구조에서 단일,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가로지르는, 본원에 사용된 파선 "
Figure 112011055058021-pct00007
"는 분자의 나머지에의 단일,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의 부착점을 나타낸다.
본원에 사용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임의의 구체적 실시양태;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실시양태의 임의의 입체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대사물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을 지칭한다.
치환기 (예를 들어, R10)가 본원에 도시된 화학 구조에 부착될 수 있는 횟수를 기재하기 위해, 치환기 (예를 들어, R10)는 괄호 내에 표기되고, 가능한 발생 횟수는 아래첨자 범위로 기록된다. 예를 들어, "-(R10)0-4"는 R10 기가 부재일 수 있거나, 또는 최대 4회의 발생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헤테로원자"는 산소 (O), 질소 (N), 황 (S) 및 규소 (Si)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II. 화합물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11055058021-pct00008
화학식 I에서, Q는 -C(O)-, -CH2-, -CH(Ra)- 및 -C(Ra)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a는 C1 -4 알킬 또는 C1 -4 할로알킬이다. R1은, 존재하는 경우, 할로겐, =O, C1 -6 알킬, C1 -6 헤테로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및 C1 -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구성원이다. X1a, X1b 및 X1c는 C(H), C(R2)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X1a, X1b 및 X1c 중 적어도 1개는 C(H) 또는 C(R2)이다. R2는 -ORb, -NRbRc, -SRb, -C(O)ORc, -C(O)NRbRc, -NRbC(O)Rd, -S(O)2Rd, -S(O)Rd, -S(O)2NRbRc, -Rd, 할로겐, -CN 및 -N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Rb 및 Rc는 수소, C1 -4 알킬, C2-4 알케닐, C2 -4 알키닐, C1 -4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임의로 Rb 및 Rc는, 이들 각각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와 함께 조합되어 고리 정점으로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3-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d는 C1 -4 알킬, C2 -4 알케닐, C2 -4 알키닐 및 C1 -4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에서, X1d는 부재하거나, 또는 -O-, -NH-, -N(C1 -4 알킬)- 및 -N(C(O)C1-4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아래첨자 m은 1 내지 2의 정수이고, 아래첨자 n은 1 내지 3의 정수이고; 여기서 X1d가 존재하는 경우에, 아래첨자 n은 2 또는 3이다. 화학식 I에서, A는
Figure 112011055058021-pct00009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성원이고; 여기서 R3은, 존재하는 경우, -NReRf, -ORe, -CN, -NO2, 할로겐, -C(O)ORe, -C(O)NReRf, -NReC(O)Rf, -NReS(O)2Rg, -NReS(O)Rg, -S(O)2Rg, -S(O)Rg 및 -R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Re 및 Rf는 각 경우에 수소, C1 -4 알킬, C2 -4 알케닐, C2 -4 알키닐, C1 -4 할로알킬 및 -(CH2)1-4 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e 및 Rf, 또는 Re 및 Rg는, 이들 각각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와 함께, 임의로 조합되어 고리 정점으로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3-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g는 C1-4 알킬, C2 -4 알케닐, C2 -4 알키닐 및 C1 -4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에서, B는
Figure 112011055058021-pct00010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성원이고; 여기서 Y는 N, C(H) 또는 C(R4a)이고; X2는 -N(H)-, -N(C1 -3 알킬)-, O 또는 S이다. R4a는, 존재하는 경우, C1 -4 알킬, C1 -4 할로알킬, C2 -4 알케닐, C2 -4 알키닐, 할로겐 및 -CN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4b는 -C(O)ORj, -C(O)NRhRi, -C(O)Ri, -NRhC(O)Ri, -NRhC(O)NRhRi, -OC(O)NRhRi, -NRhC(O)ORj, -C(=NORh)NRhRi, -NRhC(=NCN)NRhRi, -NRhS(O)2NRhRi, -S(O)2Rj, -S(O)2NRhRi, -N(Rh)S(O)2Ri, -NRhC(=NRi)NRhRi, -C(=S)NRhRi, -C(=NRh)NRhRi, 할로겐, -NO2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Rh 및 Ri는 각 경우에 수소, C1 -6 알킬, C2-6 알케닐, C2 -6 알키닐, C3 -6 시클로알킬, C1 -6 할로알킬, 페닐 및 -(CH2)1-4-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Rj는 C1 -6 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C1 -6 할로알킬, C3 -7 시클로알킬, 페닐 및 -(CH2)1-4 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Rh 및 Ri, 또는 Rh 및 Rj는, 이들 각각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와 함께, 임의로 조합되어 고리 정점으로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3-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R4b
Figure 112011055058021-pct00011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k는 C1 -6 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C3 -7 시클로알킬 및 C1 -6 할로알킬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4b
Figure 112011055058021-pct0001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k는 C1 -6 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C3 -7 시클로알킬 및 C1 -6 할로알킬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의 B 기에 대해, a1은 화학식 I에서의 질소 원자에 대한 B 기의 부착 지점을 나타내고 a2는 화학식 I에서의 L 기에 대한 B 기의 부착 지점을 나타낸다. 화학식 I에서, L은 부재하거나, 또는 C6 -10 아릴렌-C1 -6 헤테로알킬렌, C5 -9 헤테로아릴렌-C1 -6 헤테로알킬렌, C1 -6 헤테로알킬렌, C1 -6 알킬렌, C1 -6 할로알킬렌, C2 -6 알케닐렌, C2 -6 알키닐렌, -NH-, -S- 및 -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링커이고, 여기서 L 기의 알킬렌, 알케닐렌, 알키닐렌 또는 헤테로알킬렌 부분은 할로겐, -Rm 및 =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4개의 R5a 치환기로 치환되고, L 기의 방향족 부분은 할로겐, -ORn, -NRnRo, -Rn, -NO2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4개의 R5b 치환기로 치환되고; 여기서 Rm은 C1 -6 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C1 -6 헤테로알킬, C3 -6 헤테로시클로알킬-C1 -6 알킬, C3 -7 헤테로시클로알킬-C1 -6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C1 -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임의로, L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원자에 부착되어 있는 임의의 2개의 R5a 치환기는 조합되어 고리 정점으로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 또는 5-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서 Rn 및 Ro는, 각 경우에, 수소, C1 -6 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및 C1 -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임의로 Rn 및 Ro는, 이들 각각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와 함께 조합되어 고리 정점으로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3-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한다. 화학식 I에서, E는 수소 또는 할로겐이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E는 페닐, C5 -6 헤테로아릴, C3 -7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C3 -7 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E에 임의로 융합되는 고리는 5- 내지 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 5-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 벤젠 고리 및 5- 내지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개의 고리이고, 여기서 E, 및 E에 임의로 융합되는 각각의 고리는 할로겐, -NRpRq, -SRp, -ORp, -C(O)ORp, -C(O)NRpRq, -C(O)Rp, -NRpC(O)Rq, -OC(O)Rr, -NRpC(O)NRpRq, -OC(O)NRpRq, -NRpC(O)ORr, -C(=NORp)NRpRq, -NRpC(=N-CN)NRpRq, -NRpS(O)2NRpRq, -S(O)2Rr, -S(O)2NRpRq, -Rr, -Rs, -NO2, -N3, =O, -CN, -Z1-NRpRq, -Z1-SRp, -Z1-ORp, -Z1-C(O)ORp, -Z1-C(O)NRpRq, -Z1-C(O)Rp, -Z1-NRpC(O)Rq, -Z1-OC(O)Rr, -Z1-NRpC(O)NRpRq, -Z1-OC(O)NRpRq, -Z1-NRpC(O)ORr, -Z1-C(=NORp)NRpRq, -Z1-NRpC(=N-CN)NRpRq, -Z1-NRpS(O)2NRpRq, -Z1-S(O)2Rr, -Z1-S(O)2NRpRq, -Z1-NO2, -Z1-N3, -Z1-Rs 및 -Z1-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5개의 R6 치환기로 독립적으로 치환되고; 여기서 Z1은 C1 -6 알킬렌, C2 -6 알케닐렌, C2 -6 알키닐렌 및 C1 -6 헤테로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p 및 Rq는 수소, C1 -6 알킬, C1 -6 할로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C3 -7 시클로알킬, C3 -7 헤테로시클로알킬, 페닐 및 -(CH2)1-4-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r은 C1 -6 알킬, C1-6 할로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C3 -10 시클로알킬, C3 -10 헤테로시클로알킬, 페닐 및 -(CH2)1-4-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임의로, 각각의 R6 치환기에서 Rp 및 Rq, 또는 Rp 및 Rr은, 이들 각각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와 함께 조합되어 고리 정점으로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3-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Rs는 페닐, C5 -6 헤테로아릴, C3 -7 헤테로시클로알킬, C3 -7 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s에 임의로 융합되는 고리는 5- 내지 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 5-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 벤젠 고리 및 5- 내지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또는 2개의 고리이고, 여기서 Rs, 및 Rs에 임의로 융합되는 각각의 고리는 할로겐, -NRtRu, -SRt, -ORt, -C(O)ORt, -C(O)NRtRu, -C(O)Rt, -NRtC(O)Rv -OC(O)Rv, -NRtC(O)NRtRu, -OC(O)NRtRr, -NRtC(O)ORv -C(=NORt)NRtRu, -NRtC(=N-CN)NRtRu, -NRtS(O)2NRtRu, -S(O)2Rv, -S(O)2NRtRu, -Rv, -NO2, -N3, =O, -CN, -Z2-NRtRu, -Z2-SRt, -Z2-ORt, -Z2-C(O)ORt, -Z2-C(O)NRtRu, -Z2-C(O)Rv, -Z2-NRtC(O)Ru, -Z2-OC(O)Rv, -Z2-NRtC(O)NRtRu, -Z2-OC(O)NRtRu, -Z2-NRtC(O)ORv, -Z2-C(=NORt)NRtRu, -Z2-NRtC(=N-CN)NRtRu, -Z2-NRtS(O)2NRtRu, -Z2-S(O)2Rv, -Z2-S(O)2NRtRu, -Z2-NO2, -Z2-N3 및 -Z2-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5개의 R7 치환기로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고; Z2는 C1 -6 알킬렌, C2 -6 알케닐렌, C2 -6 알키닐렌, C1 -6 헤테로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t 및 Ru는 수소, C1-6 알킬, C1 -6 할로알킬, C2 -6 알케닐, C2 -6 알키닐, -(CH2)1-4-페닐, C3 -7 시클로알킬 및 C3 -7 헤테로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v는 C1 -4 알킬, C1 -4 할로알킬, C2 -6 알케닐, C2-6 알키닐, -(CH2)1-4-페닐, C3 -7 시클로알킬 및 C3 -7 헤테로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7 치환기에서 Rt 및 Ru, 또는 Rt 및 Rv는 이들 각각이 부착되어 있는 원자와 함께 임의로 조합되어 고리 정점으로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한다.
제1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의 A는
Figure 112011055058021-pct00013
이다.
제2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1 실시양태에서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a를 갖는다.
<화학식 I-a>
Figure 112011055058021-pct00014
제2 실시양태에서, R1은 할로겐, C1 -6 알킬, C1 -6 헤테로알킬 또는 =O이다. 아래첨자 n은 2 또는 3의 정수이고; 아래첨자 m은 1 내지 2의 정수이다. A는
Figure 112011055058021-pct00015
이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양태에서, B는
Figure 112011055058021-pct00016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성원이고, 여기서 R4b
Figure 112011055058021-pct00017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제3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1 실시양태에서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a를 갖는다.
<화학식 I-a>
Figure 112011055058021-pct00018
상기 식에서, R1은 할로겐, C1 -6 알킬, C1 -6 헤테로알킬 또는 =O이고; 아래첨자 n은 2 내지 3의 정수이고; 아래첨자 m은 1 내지 2의 정수이다. 상기 제3 실시양태에서, A는
Figure 112011055058021-pct00019
이고; B는
Figure 112011055058021-pct00020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성원이며, 여기서 R4b는 -C(O)ORj, -C(O)NRhRi, -C(O)Ri, -NRhC(O)Ri, -NRhC(O)NRhRi, -OC(O)NRhRi, -NRhC(O)ORj, -C(=NORh)NRhRi, -NRhC(=NCN)NRhRi, -NRhS(O)2NRhRi, -S(O)2Rj, -S(O)2NRhRi, -N(RhS(O)2Ri, -NRhC(=NRi)NRhRi, -C(=S)NRhRi, -C(=NRh)NRhRi, -Rj, 할로겐, -NO2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제4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2 및 제3 실시양태에서의 아래첨자 n은 2이고, 아래첨자 m은 1이다.
제5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2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에서의 R1은 부재하고; B는
Figure 112011055058021-pct00021
이며; 여기서 R4a는, 존재하는 경우에 할로겐 및 C1 -4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아래첨자 n은 2이고, 아래첨자 m은 1이다.
제6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2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에서의 R1은 부재하고; B는
Figure 112011055058021-pct00022
이며, 여기서 아래첨자 n은 2이고, 아래첨자 m은 1이다.
제7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1, 제2 또는 제3 실시양태에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은
Figure 112011055058021-pct0002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학식을 갖는다.
제8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또는 제7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에서의 L은 부재하거나, 또는 임의로 치환된 C6 -10 아릴렌-C1 -6 헤테로알킬렌 및 C5 -9 헤테로아릴렌-C1 -6 헤테로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기이다.
제9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8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에서의 L은
Figure 112011055058021-pct0002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제10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또는 제7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에서의 L은 임의로 치환된 C1 -6 헤테로알킬렌, C1 -6 알킬렌, C2 -6 알케닐렌 및 C2 -6 알키닐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기이다.
제11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10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에서의 L은 임의로 치환된 C1 -4 알킬렌옥시, C2 -4 알케닐렌옥시, C2 -4 알키닐렌옥시 및 C1 -4 알킬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L은 0 내지 4개의 Rm 기로 치환되고, 여기서 L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원자에 위치한 임의의 2개의 Rm 기는 임의로 조합되어 고리 정점으로서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 또는 5-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한다.
제12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10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에서의 L은
Figure 112011055058021-pct00025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제13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제10, 제11 또는 제12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에서의 E는 수소이다.
제14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제10, 제11, 제12 또는 제13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에서의 E는 페닐, C5 -6 헤테로아릴 및 C3 -7 헤테로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E에 임의로 융합되는 고리는 5- 내지 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 5- 내지 7-원 헤테로시클릭 고리, 벤젠 고리 및 5- 내지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고리이고, 여기서 E 및 그에 임의로 융합되는 고리는 함께 총 1 내지 3개의 R6 치환기로 치환되고, 여기서 1개의 R6 치환기는 -NRpRq, -Z1-NRpRq, -RS 또는 -Z1-Rs이다.
제15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14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에서의 상기 1개의 R6 치환기는 -NRpRq 또는 -Z1-NRpRq이다.
제16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제15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에서의 1 또는 2개의 R6 치환기는 불소 및 염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제17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14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에서의 상기 1개의 R6 치환기는 Rs 또는 -Z1-Rs이고, 여기서 Rs
Figure 112011055058021-pct00026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학식을 갖는다.
제18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14, 제15, 제16 또는 제17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에서의 Z1
Figure 112011055058021-pct00027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제19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4, 제10, 제11 또는 제12 실시양태의 측정 측면에서의 화합물은
Figure 112011055058021-pct00028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학식을 갖고, 여기서 R4b
Figure 112011055058021-pct00029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E는 페닐이고, 1 내지 3개의 R6 치환기로 치환된다.
제20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19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에서의 R4b는 -C(O)OH이다.
제21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1, 제2, 제3, 제4, 제7 또는 제19 실시양태의 측정 측면에서의 E는 -페닐이고, 여기서 페닐 기는 메타 또는 파라 위치에서
Figure 112011055058021-pct00030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학식을 갖는 임의로 치환된 Rs 기로 치환된다.
제22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17 또는 제21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에서의 1개 이상의 R7은, 존재하는 경우에 -NRtRu 및 -Z2-NRtR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제23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22 실시양태의 측정 측면에서의 Z2는 C1 -4 알킬렌, C2 -4 알케닐렌, C2 -4 알키닐렌 및 C1 -4 헤테로알킬렌으로부터 선택된다.
제24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23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에서의 Z2
Figure 112011055058021-pct00031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제25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해, 화합물은 도 1에 제시되어 있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학식을 갖는다.
제26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해, 화합물은 도 1의 화학식 IV-a, IV-b, IV-c, IV-e 및 IV-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학식을 갖는다.
제27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1, 제2, 제3, 제7 또는 제19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에서의 E는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또는 도 2e에 제시되어 있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제28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표 1 (하기)에 제시되어 있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32
Figure 112011055058021-pct00033
Figure 112011055058021-pct00034
Figure 112011055058021-pct00035
Figure 112011055058021-pct00036
Figure 112011055058021-pct00037
Figure 112011055058021-pct00038
Figure 112011055058021-pct00039
Figure 112011055058021-pct00040
Figure 112011055058021-pct00041
Figure 112011055058021-pct00042
Figure 112011055058021-pct00043
Figure 112011055058021-pct00044
Figure 112011055058021-pct00045
Figure 112011055058021-pct00046
Figure 112011055058021-pct00047
Figure 112011055058021-pct00048
Figure 112011055058021-pct00049
Figure 112011055058021-pct00050
Figure 112011055058021-pct00051
Figure 112011055058021-pct00052
Figure 112011055058021-pct00053
Figure 112011055058021-pct00054
Figure 112011055058021-pct00055
Figure 112011055058021-pct00056
Figure 112011055058021-pct00057
Figure 112011055058021-pct00058
Figure 112011055058021-pct00059
일반적 합성 절차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이 중 일부는 예시적 목적을 위해 하기 기재되어 있다. N-Boc-8-히드록시카르보닐-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은 CAS 등록 번호 878798-87-9를 갖고, 뉴저지주 뉴브런즈윅의 ASW 메드켐 프로덕츠 인크(MedChem Products Inc)로부터 시판되거나, 또는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헌 [Helvetica Chimica Acta, 68 (1985) 1828-1834]에 기재된 변형 절차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1055058021-pct00060
상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코어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i)의 브롬화 (루이스산, 예컨대 AlCl3의 존재하에, 예를 들어 Br2를 사용하여)로 출발하여 브로마이드 화합물 (ii)를 생성한 후에 니트로화시켜 5-브로모-8-니트로이소퀴놀린 (iii)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소퀴놀린 고리의 질소 원자를 보호기 (P), 예컨대 벤질, 토실, 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 (SEM) 또는 2-트리메틸실릴에틸술포닐 (SES) 기로 치환한 후, 히드라이드 시약, 예컨대 NaBH3CN을 사용하여 생성된 피리디늄 고리를 환원시켜,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화합물 (v)를 생성할 수 있다. 탈브롬화 및 v 상의 니트로 기의 환원을 온화한 수소화 조건 (예를 들어, H2, Pd/C)을 이용하여 달성함으로써 아미노 화합물 (vi)를 생성할 수 있다. 샌드마이어(Sandmeyer) 조건, 예를 들어 HNO2, CuCN을 이용하여 (vi)를 처리함으로써 니트릴 (vii)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알콜성 용매 (R-OH,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중에서 산성 가수분해 (HCl 수성)시켜 에스테르 (viii)을 생성할 수 있다. 화합물 (viii) 상에서 보호기 (P)를 제거하는데 이용되는 조건은 보호기의 성질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수소화 조건 (예를 들어, H2, Pt2O)을 이용하여 벤질 보호기를 제거하고; 금속 환원 조건 (Na, 나프탈렌)을 이용하여 토실 기를 제거하고; 탈실릴화 조건 (예를 들어, CsF)을 이용하여 SES 또는 SEM 기를 제거함으로써, 2차 아민 (ix)를 생성할 수 있다. Boc 무수물을 사용하여 (ix)를 재보호한 후에 염기성 조건 (예를 들어, LiOH) 하에 에스테르 (-CO2R) 기를 가수분해하여,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코어 산 (x)를 생성할 수 있다.
테트라히드로피리디노피리미딘 코어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112011055058021-pct00061
반응식 2에서, 베타-케토에스테르 (xii)를 포름아미딘 아세테이트와 축합시켜 히드록시피리미딘 (xiii)을 생성한다. POCl3을 사용하여 (xiii)의 히드록시 기를 클로로 기로 전환시킴으로써, 클로라이드 (xiv)를 생성할 수 있다. 클로라이드 (xiv)를 Pd(O) 촉매 (예를 들어, Pd(PPh3)4)의 존재하에 Zn(CN)2와 반응시켜 상응하는 니트릴 (xv)로 추가 전환시킬 수 있다. 니트릴 생성물 (xv)의 가수분해를 산성 조건 (예를 들어, HCl/MeOH) 하에 달성하여, 에스테르 (xvi)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염기성 조건 (예를 들어, NaOH, MeOH) 하에 가수분해하여 산 (xvii)를 생성할 수 있다.
벤즈아제핀 코어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하기 반응식 3에 기재된 변형된 절차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문헌 [Tetrahedron Letters, (1980), 1393]; [J Chem Soc Perkin Trans I, (1973), 782] 참조).
<반응식 3>
Figure 112011055058021-pct00062
브로모벤즈알데히드 (xviii)을 환원성 아미노화 조건하에 3-히드록시프로필아민으로 처리하여 아민 (xix)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프리델-크라프츠(Friedel-Crafts) 알킬화 조건 (예를 들어, AlCl3) 하에 고리화시켜 벤조아제핀 (xx)를 생성할 수 있다. (xx) 상의 2차 아민 질소 원자를 BOC 무수물로 보호하여 (xxi)를 생성할 수 있다. 리튬-할로겐 교환 조건하에 브로마이드 (xxi)를 처리하고, (xxi)의 리튬 음이온을 CO2로 켄칭하여 목적 벤조아제핀 생성물 (xxii)를 생성할 수 있다.
벤조옥사제핀, 벤조디아제핀 또는 벤조티아제핀을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112011055058021-pct00063
반응식 4에서, 에스테르 (xxiii) (여기서, R 기는 메틸 또는 에틸임)를 헥사민 및 폴리인산으로 처리하여 포르밀화시킴으로써 알데히드 (xxiv)를 생성할 수 있다. 반응식 4에서, 기호 "A"는 친핵성 기, 예를 들어 NH2, SH, OH, NRH (여기서, R은 알킬, 아실 등임)를 나타낸다. tert-부틸 2-클로로에틸카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xxiv)를 알킬화시키면 (xxv)가 생성될 것이다. 화합물 (xxv)를 메탄올성 HCl로 처리하여 Boc 기 (xxvi)를 제거할 수 있다. 환원제 (예를 들어, NaBH4)의 존재하에 (xxvi)를 분자내 고리화시켜, 화합물 (xxvii)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Boc 무수물로 추가 재보호하여 N-Boc 화합물 (xxviii)를 생성한다. 에스테르 기의 가수분해로 산 화합물 (xxix)를 생성할 수 있다.
하기 반응식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산 코어 (xi)를, 수많은 표준 아미노산 커플링 조건, 예컨대 DMF 중 1-O-벤조트리아졸-N,N,N',N'-테트라메틸-우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디에틸이소프로필아민을 이용하여 적합한 아릴 아민 (Ar-NH2)에 추가 커플링시킴으로써, 아미드 (xxx)를 생성할 수 있다. 이소퀴놀린 질소 원자를 산성 조건 (예를 들어, 4N 메탄올성 HCl) 하에 탈보호시켜 유리 2차 아민 (xxxi)를 생성할 수 있다.
<반응식 5>
Figure 112011055058021-pct00064
화합물 (xxxi) (및 관련 화합물, 예컨대 (xvii), (xxii) 및 (xxix))를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전환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는 추가 합성 변환을 실시예 섹션 전반에 걸쳐 상세하게 기재하였다.
III. 조성물
상기에서 제공한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대사물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더하여, 인간 및 동물에서 Bcl-2 단백질 패밀리 활성을 조정하기 위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제약 담체 또는 희석제를 함유할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희석제,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조성물"은 지정된 성분을 지정된 양으로 포함하는 생성물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지정된 성분들의 지정된 양의 조합으로부터 비롯하는 임의의 생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제약상 허용되는"이란,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가 제제의 다른 성분과 상용성이 있어야 하며, 그의 수용자에게 유해하지 않아야 함을 의미한다.
환자의 치유적 치료 (예방적 치료 포함)를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기 위해, 이는 보통은 표준 제약 실무에 따라 제약 조성물로 제제화된다. 전형적인 제약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적합한 담체, 희석제 및 부형제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탄수화물, 왁스, 수용성 및/또는 팽윤성 중합체, 친수성 또는 소수성 물질, 젤라틴, 오일, 용매, 물 등과 같은 물질이 이에 포함된다. 사용되는 특정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적용되는 수단 및 목적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매는 포유동물에 투여되기에 안전한 것으로 당업자에게 인식되는 (GRAS) 용매를 기초로 하여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안전한 용매는 비독성 수성 용매, 예컨대 물, 및 물에 가용성이거나 혼화성인 다른 비독성 용매이다. 적합한 수성 용매에는 물, 에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예를 들어, PEG 400, PEG 300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제제는 또한 하나 이상의 완충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습윤제, 윤활제, 유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항산화제, 불투명화제, 활택제, 가공 보조제, 착색제, 감미제, 방향제, 향미제, 및 약물 (즉,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 조성물)을 모양 좋게 제공하거나 제약 생성물 (즉, 의약)의 제조를 돕는 다른 공지된 첨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제는 통상적인 용해 및 혼합 절차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벌크 약물 물질 (즉,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안정화된 형태의 화합물 (예를 들어,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 또는 다른 공지된 복합화제와의 복합체))을 상기 기재된 부형제 중 하나 이상의 존재 하에 적합한 용매에 용해시킨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약 투여 형태로 제제화하여 쉽게 제어가능한 투여량의 약물을 제공하고, 환자가 처방된 투약법에 순응할 수 있게 한다.
적용을 위한 제약 조성물 (또는 제제)은 약물 투여에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포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배를 위한 용품은 적절한 형태의 제약 제제가 안에 들어 있는 용기를 포함한다. 적합한 용기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병 (플라스틱 및 유리), 사쉐, 앰플, 플라스틱 백, 금속 실린더 등과 같은 물질이 이에 포함된다. 용기는 또한 포장 내용물에 부주의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쉽게 변경할 수 없는 조립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로, 용기에는 용기의 내용물을 기재한 라벨이 부착되어 있다. 라벨은 또한 적절한 경고문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약 조성물은 다양한 투여 경로 및 유형을 위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하는 정도의 순도를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임의로 제약상 허용되는 희석제,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화제와 혼합하여 (문헌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05) 21st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idelphia, PA] 참조), 동결건조된 제제, 분쇄된 분말 또는 수용액의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조성물은 주위 온도, 적절한 pH에서 원하는 정도의 순도로, 생리학상 허용되는 담체, 즉, 사용되는 투여량 및 농도에서 수용자에게 비독성인 담체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제제의 pH는 주로 화합물의 특정 용도 및 농도에 따라 달라지지만, 약 3 내지 약 8의 범위일 수 있다. pH 5의 아세테이트 완충제 중의 제제가 적합한 실시양태이다.
본원에서의 사용을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멸균된다. 특히, 생체내 투여에 사용되기 위한 조성물 또는 제제는 멸균되어야 한다. 이러한 멸균은 멸균 여과 막을 통해 여과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고체 조성물, 동결건조된 제제 또는 수용액으로서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양호한 의학 실무에 부합하는 방식, 즉 양, 농도, 스케쥴, 과정, 비히클 및 투여 경로로 제제화, 복용 및 투여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고려할 인자에는 치료할 특정 장애, 치료받을 특정 포유동물, 개별 환자의 임상적 상태, 장애의 원인, 작용제의 전달 부위, 투여 방법, 투여 스케줄, 및 의료 전문인에게 공지된 다른 인자가 포함된다. 투여될 화합물의 "치료 유효량"은 이러한 고려사항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이는 Bcl-xL 단백질의 발현 또는 과다발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 질환을 예방, 완화 또는 치료하는 데 필요한 최소량이다. 이러한 양이 숙주에 대해 독성인 양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바로서, 비경구 투여되는 본 발명의 억제제 화합물의 용량 당 초기 제약 유효량은 약 0.01 내지 100 mg/kg, 즉 1일 환자 체중 1 kg 당 약 0.1 내지 20 mg의 범위일 것이고, 사용되는 화합물의 전형적인 초기 범위는 0.3 내지 15 mg/kg/일일 것이다.
허용되는 희석제, 담체, 부형제 및 안정화제는 사용되는 투여량 및 농도에서 수용자에게 비독성이고, 이에는 완충제, 예컨대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및 다른 유기 산; 아스코르브산 및 메티오닌을 비롯한 항산화제; 보존제 (예컨대, 옥타데실디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헥사메토늄 클로라이드;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페놀, 부틸 또는 벤질 알콜; 알킬 파라벤, 예컨대 메틸 또는 프로필 파라벤; 카테콜; 레조르시놀; 시클로헥산올; 3-펜탄올; 및 m-크레졸); 저분자량 (약 10개 미만의 잔기) 폴리펩티드; 단백질, 예컨대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이뮤노글로불린; 친수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미노산, 예컨대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히스티딘, 아르기닌 또는 리신; 글루코스, 만노스 또는 덱스트린을 비롯한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및 다른 탄수화물; 킬레이트화제, 예컨대 EDTA; 당, 예컨대 수크로스, 만니톨, 트레할로스 또는 소르비톨; 염-형성 카운터-이온, 예컨대 나트륨; 금속 착체 (예를 들어, Zn-단백질 착체);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트윈(TWEEN)™, 플루로닉스(PLURONICS)™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활성 제약 성분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예를 들어 코아세르베이션 기술 또는 계면 중합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예를 들어 각각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 또는 젤라틴-마이크로캡슐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마이크로캡슐에; 콜로이드성 약물 전달 시스템, 예를 들어 리포좀, 알부민 미소구, 마이크로에멀젼, 나노입자 및 나노캡슐에; 또는 매크로에멀젼에 포획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문헌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05) 21st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idelphia, PA]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지속-방출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지속-방출 조성물의 적합한 예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고체 소수성 중합체의 반투과성 매트릭스가 포함되며, 상기 매트릭스는 성형품의 형태, 예를 들어 필름 또는 마이크로캡슐 형태이다. 지속-방출 매트릭스의 예에는 폴리에스테르, 히드로겔 (예를 들어, 폴리(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락티드 (미국 특허 제3,773,919호), L-글루탐산 및 감마-에틸-L-글루타메이트의 공중합체, 분해가능하지 않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분해가능한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예컨대 루프론 데포(LUPRON DEPOT)™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및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주사가능한 미소구) 및 폴리-D-(-)-3-히드록시부티르산이 포함된다.
제약 조성물은 본원에 상술된 투여 경로에 적합한 것들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단위 투여 형태로 편리하게 제시될 수 있고, 제약 업계에 널리 공지된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기술 및 제제는 일반적으로 문헌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05) 21st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idelphia, PA]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방법은 활성 성분을 하나 이상의 보조 성분을 구성하는 담체와 회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제는 활성 성분을 액체 담체 또는 미분된 고체 담체 또는 둘 다와 균일하고 치밀하게 회합시키고, 이어서 필요한 경우, 생성물을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약 조성물은 분리된 단위, 예컨대 예정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각각 함유하는 환제, 캡슐, 카쉐 또는 정제로 제조될 수 있다.
압착 정제는 결합제, 윤활제, 불활성 희석제, 보존제, 표면 활성제 또는 분산제와 임의로 혼합된, 분말 또는 과립과 같은 자유-유동 형태의 활성 성분을 적합한 기계에서 압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몰딩된 정제는 불활성 액체 희석제로 습윤된 분말 활성 성분의 혼합물을 적합한 기계에서 몰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정제는 임의로 코팅 또는 스코어링될 수 있고, 그로부터의 활성 성분의 저속 또는 제어 방출이 제공되도록 임의로 제제화된다.
정제, 트로키, 로젠지, 수성 또는 오일 현탁액, 분산가능한 분말 또는 과립, 에멀젼, 경질 또는 연질 캡슐, 예를 들어 젤라틴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는 경구 용도로 제조될 수 있다. 경구용으로 의도된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제는 제약 조성물의 제조에 대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이러한 조성물은 미감이 좋은 제제를 제공하기 위해서 감미제, 향미제, 착색제 및 보존제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작용제를 함유할 수 있다. 활성 성분을, 정제의 제조에 적합한 비독성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와 혼합하여 함유하는 정제가 허용가능하다. 이러한 부형제는, 예를 들어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탄산칼슘 또는 탄산나트륨, 락토스, 인산칼슘 또는 인산나트륨; 과립화제 및 붕해제, 예컨대 메이즈 전분, 또는 알긴산; 결합제, 예컨대 전분, 젤라틴 또는 아카시아; 및 윤활제, 예컨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또는 활석일 수 있다. 정제는 코팅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위장관에서의 붕해 및 흡수를 지연시켜 더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작용을 제공하도록 미소캡슐화를 비롯한 공지된 기술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지연 물질, 예컨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왁스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눈 또는 다른 외부 조직, 예를 들어 구강 및 피부를 치료하는 경우,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들)을, 예를 들어 0.075 내지 20% w/w의 양으로 함유하는 국소 연고 또는 크림으로서 도포된다. 연고로 제제화하는 경우, 활성 성분을 파라핀계 또는 수혼화성 연고 기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별법으로, 활성 성분을 수중유 크림 기제와 함께 크림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크림 기제의 수성 상은 다가 알콜, 즉, 2개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알콜,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 1,3-디올, 만니톨, 소르비톨,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400 포함)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국소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이 피부 또는 다른 병소를 통해 흡수 또는 침투되는 것을 증진시키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침투 증진제의 예에는 디메틸 술폭시드 및 관련 유사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에멀젼의 유성 상은 공지된 성분으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이 유화제만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와 지방 또는 오일, 또는 지방 및 오일 둘 다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유화제가 안정화제로서 작용하는 친유성 유화제와 함께 포함된다. 또한, 오일 및 지방을 둘 다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안정화제(들)를 갖거나 갖지 않는 유화제(들)는 소위 유화 왁스를 구성하고, 상기 왁스는 오일 및 지방과 함께 크림 제제의 유성 분산 상을 형성하는 소위 유화 연고 기제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화제 및 에멀젼 안정화제에는 트윈? 60, 스팬(Span)? 80, 세토스테아릴 알콜, 벤질 알콜, 미리스틸 알콜,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수성 현탁액은, 수성 현탁액의 제조에 적합한 부형제와 혼합된 활성 물질을 함유한다. 이러한 부형제에는 현탁화제, 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크로스카르멜로스, 포비돈,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 알긴산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트라가칸트 검 및 아카시아 검, 및 분산제 또는 습윤제, 예컨대 자연 발생 포스파티드 (예를 들어, 레시틴), 알킬렌 옥시드와 지방산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에틸렌 옥시드와 장쇄 지방족 알콜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탄올), 에틸렌 옥시드와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의 축합 생성물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이 포함된다. 수성 현탁액은 또한 하나 이상의 보존제, 예컨대 에틸 또는 n-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하나 이상의 착색제, 하나 이상의 향미제, 및 하나 이상의 감미제, 예컨대 수크로스 또는 사카린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약 조성물은 주사가능한 멸균 제제, 예컨대 주사가능한 수성 또는 유성 멸균 현탁액의 형태로 있을 수 있다. 상기 현탁액은 상기 언급된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가능한 멸균 조성물은 또한 비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주사가능한 멸균 용액 또는 현탁액, 예컨대 1,3-부탄디올 중의 용액일 수 있거나, 또는 동결건조된 분말로서 제조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허용되는 비히클 및 용매로는 물, 링거 용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멸균 고정유가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글리세리드 또는 디글리세리드를 비롯한 임의의 순한 고정유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을 주사가능한 제제에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담체 물질과 조합하여 단일 투여 형태를 생성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양은 치료하고자 하는 숙주 및 특정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인간에게 경구 투여하도록 의도된 지연 방출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약 5 내지 약 95% (중량:중량)로 달라질 수 있는 적절하고도 편리한 양의 담체 물질과 함께 배합된 활성 물질을 대략 1 내지 1000 mg 함유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 쉽게 측정가능한 양을 제공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맥내 주입용으로 의도된 수용액은 적합한 부피의 주입이 약 30 mL/시간의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용액 1 밀리리터 당 활성 성분을 약 3 내지 500 μg 함유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에는 항산화제, 완충제, 정균제, 및 해당 제제를 의도된 수용자의 혈액과 등장성이 되게 하는 용질을 함유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멸균 주사 용액; 및 현탁화제 및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멸균 현탁액이 포함된다.
안구에 대한 국소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은 또한 활성 성분이 적합한 담체, 특히 활성 성분용 수성 용매 중에 용해되거나 현탁된 점안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은 약 0.5 내지 20% w/w, 예를 들어 약 0.5 내지 10% w/w, 예를 들어 약 1.5% w/w의 농도로 제제에 존재한다.
구강 내의 국소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에는 활성 성분을 향미 기제, 통상적으로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 또는 트라가칸트 중에 포함하는 로젠지; 활성 성분을 불활성 기제, 예컨대 젤라틴 및 글리세린, 또는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 중에 포함하는 파스틸; 및 활성 성분을 적합한 액체 담체 중에 포함하는 구강세척제가 포함된다.
직장 투여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코코아 버터 또는 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적합한 기제와 함께 좌제로서 제공될 수 있다.
폐내 또는 비측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은, 예를 들어 0.1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입자 크기 (예컨대, 0.5, 1, 30 마이크로미터, 35 마이크로미터 등의 마이크로미터 증가분의 0.1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비도를 통한 신속한 흡입에 의해 투여되거나, 또는 구강을 통한 흡입에 의해 투여되어 폐포낭에 이르게 된다. 적합한 제제는 활성 성분의 수성 또는 유성 용액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또는 건조 분말 투여에 적합한 제제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다른 치료제, 예컨대 하기 기재된 바와 같은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지금까지 사용된 화합물과 함께 전달될 수 있다.
질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은 활성 성분에 추가하여 당업계에서 적절한 것으로 공지된 바와 같은 담체를 함유하는 페사리, 탐폰, 크림, 겔, 페이스트, 발포체 또는 스프레이 제제로 제공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단위-용량 또는 다중-용량 용기, 예를 들어 밀봉된 앰플 및 바이알에 포장될 수 있고, 사용 직전에 주사용 멸균 액체 담체, 예를 들어 물을 첨가할 것만 요구되는 냉동-건조 (동결건조)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즉시투여용 주사 용액 및 현탁액은 앞서 기재한 종류의 멸균 분말, 과립 및 정제로부터 제조된다. 바람직한 단위 투여량 제제는 활성 성분을 본원에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1일 용량 또는 단위 1일 분할-용량 또는 그의 적절한 분획으로 함유하는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이를 위한 수의학적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수의학적 담체는 조성물 투여 목적에 유용한 물질이고, 달리 불활성이거나 수의학 분야에서 허용되는 고체, 액체 또는 기체 물질일 수 있고, 활성 성분과 상용가능하다. 이러한 수의학 조성물은 비경구, 경구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IV. 사용 방법
본 발명의 화합물 (즉,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대사물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은 항-아폽토시스성 Bcl-2 패밀리 단백질, 및 특정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항-아폽토시스성 Bcl-xL 단백질에 결합하고 그의 활성을 억제하고; 따라서 항-아폽토시스성 Bcl-2 패밀리 단백질 구성원의 발현 또는 과다발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및 특정 실시양태에서 Bcl-xL 단백질의 발현 또는 과다발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을 비롯한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질환, 상태 및/또는 장애의 치료에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환자에서 항-아폽토시스성 Bcl-2 단백질 패밀리 구성원의 발현 또는 과다발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 질환 또는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 내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질환 또는 상태는 암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항-아폽토시스성 Bcl-2 단백질의 하위군, 예를 들어 Bcl-2, Bcl-w 또는 Mcl-1에 비해 Bcl-xL 단백질의 하위군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Bcl-2 단백질에 비해 Bcl-xL 단백질과의 결합에 대해 적어도 2배, 10배, 20배, 50배, 100배, 1000배, 10000배, 20000배 또는 30000배의 선택성을 나타낸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Mcl-1 단백질에 비해 Bcl-xL 단백질과의 결합에 대해 적어도 2배, 10배, 20배, 50배, 100배, 1000배, 10000배, 20000배 또는 30000배의 선택성을 나타낸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Bcl-w 단백질에 비해 Bcl-xL 단백질과의 결합에 대해 적어도 2배, 10배, 20배, 50배, 100배, 1000배, 10000배, 20000배 또는 30000배의 선택성을 나타낸다. 한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그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대사물,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항-아폽토시스성 Bcl-xL 단백질의 발현 또는 과다발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및 상태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한 측면에서, 항-아폽토시스성 Bcl-xL 단백질이 발현 또는 과다발현되는 질환 및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은 부형제 및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장애로 고통받는 환자에서 본원에 기재되어 있는 질환 및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대사물,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의 용도가 본 발명에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치료할 상태에 적절한 임의의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적합한 경로에는 경구, 비경구 (피하, 근육내, 정맥내, 동맥내, 피내, 경막내 및 경막외 포함), 경피, 직장, 비측, 국소 (협측 및 설하 포함), 질, 복강내, 폐내 및 비내가 포함된다. 국부 면역억제 치료의 경우, 화합물은 병변내 투여로 투여될 수 있는데, 이는 이식편을 이식 전에 해당 억제제로 관류시키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경로는, 예를 들어 수용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화합물을 경구 투여하는 경우, 이는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환제, 캡슐, 정제 등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화합물을 비경구 투여하는 경우, 이는 제약상 허용되는 비경구 비히클과 함께, 하기 상술된 바와 같은 주사가능한 단위 투여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인간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용량은 화학식 I의 화합물 약 10 mg 내지 약 1000 mg 범위일 수 있다. 전형적인 용량은 화합물 약 100 mg 내지 약 300 mg일 수 있다. 용량은 약력학 및 약동학 특성 (특정 화합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출 포함)에 따라 1일 1회 (QID), 1일 2회 (BID), 또는 보다 빈번하게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독성 인자가 투여량 및 투약법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경구 투여되는 경우, 환제, 캡슐 또는 정제를 지정된 기간 동안 매일 섭취하거나 덜 빈번하게 섭취할 수 있다. 이러한 투약법을 여러 요법 주기 동안 반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및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정상적 세포 성장 및/또는 아폽토시스의 조절이상의 질환 또는 상태, 예컨대 암, 중피종, 방광암, 췌장암, 피부암, 두경부암, 피부 또는 안내 흑색종, 난소암, 유방암, 자궁암, 난관 암종, 자궁내막 암종, 자궁경부 암종, 질 암종, 외음부 암종, 골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결장암, 직장암, 항문부의 암, 위암, 위장 (위, 결장직장 및 십이지장),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고환암, 간세포암 (간관 및 담관), 원발성 또는 속발성 중추신경계 종양, 원발성 또는 속발성 뇌 종양, 호지킨병,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림프구성 림프종, 림프모구성 백혈병, 여포성 림프종, T-세포 또는 B-세포 기원의 림프양 악성종양, 흑색종, 다발성 골수종, 구강암, 난소암, 비-소세포 폐암, 전립선암, 소세포 폐암, 신장암 및 요관암, 신세포 암종, 신우 암종, 중추신경계의 신생물,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척추 축 종양, 뇌간교종, 뇌하수체 선종, 부신피질암, 담낭암, 비장암, 담관암종, 섬유육종, 신경모세포종, 망막모세포종, 또는 이들의 조합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중피종, 방광암, 췌장암, 피부암, 두경부암, 피부 또는 안내 흑색종, 난소암, 유방암, 자궁암, 난관 암종, 자궁내막 암종, 자궁경부 암종, 질 암종, 외음부 암종, 골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결장암, 직장암, 항문부의 암, 위암, 위장 (위, 결장직장 및 십이지장),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고환암, 간세포암 (간관 및 담관), 원발성 또는 속발성 중추신경계 종양, 원발성 또는 속발성 뇌 종양, 호지킨병,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림프구성 림프종, 림프모구성 백혈병, 여포성 림프종, T-세포 또는 B-세포 기원의 림프양 악성종양, 흑색종, 다발성 골수종, 구강암, 난소암, 비-소세포 폐암, 전립선암, 소세포 폐암, 신장암 및 요관암, 신세포 암종, 신우 암종, 중추신경계의 신생물,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척추 축 종양, 뇌간교종, 뇌하수체 선종, 부신피질암, 담낭암, 비장암, 담관암종, 섬유육종, 신경모세포종, 망막모세포종, 또는 상기 암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치료 허용량의 화학식 I을 갖는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Bcl-2 단백질의 면역 및 자가면역 질환에의 관여는 문헌 [Puck, J.M. et al. (2003), Current Allergy and Asthma Reports, 3, 378-384]; [Shimazaki, K. et al. (2000), British Journal of Haematology, 110(3), 584-90]; [Rengan, R. et al. (2000), Blood, 95(4), 1283-92] 및 [Holzelova, E. et al. (2004),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1(14), 1409-1418]에 기재되어 있다.
자가면역 장애에는, 후천성 면역결핍 질환 증후군 (AIDS), 자가면역 림프구증식성 증후군, 용혈성 빈혈, 염증성 질환, 및 혈소판감소증, 기관 이식과 관련된 급성 또는 만성 면역 질환, 애디슨병, 알레르기성 질환, 탈모증, 원형 탈모증, 아테롬성 질환/동맥경화증, 아테롬성동맥경화증, 관절염 (골관절염, 소아 만성 관절염, 패혈성 관절염, 라임(Lyme)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및 반응성 관절염 포함), 자가면역 수포성 질환, 무베타지단백질혈증, 후천성 면역결핍-관련 질환, 기관 이식과 관련된 급성 면역 질환, 후천성 말단청색증, 급성 및 만성 기생충 또는 감염성 과정, 급성 췌장염, 급성 신부전, 급성 류마티스성 열, 급성 횡단성 척수염, 선암종, 심방 이소성 박동, 성인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AIDS 치매 복합증, 알콜성 간경변증, 알콜-유발성 간 손상, 알콜-유발성 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 및 천식, 동종이식 거부, 알파-1-안티트립신 결핍, 알츠하이머병,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빈혈, 협심증, 강직성 척추염 관련 폐 질환, 전각 세포 변성, 항체 매개 세포독성, 항인지질 증후군, 항-수용체 과민 반응, 대동맥류 및 말초동맥류, 대동맥 박리, 동맥 고혈압, 동맥경화증, 동정맥루, 관절병증, 무력증, 천식, 운동실조, 아토피성 알레르기, 심방 세동 (지속성 또는 발작성), 심방 조동, 방실 차단, 위축성 자가면역 갑상선 기능부전,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성 간염, 유형-1 자가면역성 간염 (고전적 자가면역 또는 루푸스양 간염), 자가면역 매개 저혈당증, 자가면역 호중구감소증, 자가면역 저혈소판증,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 B 세포 림프종, 골 이식 거부, 골수 이식 (BMT) 거부, 폐쇄세기관지염, 다발 갈래 차단, 화상, 악액질, 심부정맥, 심장 마비 증후군, 심장 종양, 심근병증, 심폐 우회로 염증 반응, 연골 이식 거부, 소뇌 피질 변성, 소뇌 장애, 다원성 또는 다소성 심방 빈맥, 화학요법 관련 장애, 클라미디아, 담즙정체, 만성 알콜중독, 만성 활성 간염, 만성 피로 증후군, 기관 이식과 관련된 만성 면역 질환, 만성 호산구성 폐렴, 만성 염증성 병리상태, 만성 점막피부 칸디다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만성 살리실레이트 중독, 결장직장 공통 가변성 면역결핍 (공통 가변성 저감마글로불린혈증), 결막염, 결합 조직 질환 관련 간질성 폐 질환, 접촉성 피부염, 쿰스(Coombs) 양성 용혈성 빈혈, 폐심장, 크로이츠펠트-야콥 질환, 잠재성 자가면역성 간염, 잠재성 섬유화 폐포염, 배양 음성 패혈증, 낭성 섬유증, 시토카인 요법 관련 장애, 크론병, 권투선수 치매, 탈수초성 질환, 뎅기 출혈성 열, 피부염, 경피 피부염, 피부과적 상태, 피부근염/다발성근염 관련 폐 질환, 당뇨병, 당뇨성 동맥경화성 질환, 진성 당뇨병, 미만성 루이 소체 질환, 확장성 심근병증, 확장성 울혈성 심장병증, 원판상 홍반성 루푸스, 기저 신경절 장애, 파종성 혈관내 응고, 중년 다운 증후군, 약물-유발성 간질성 폐 질환, 약물-유발성 간염, CNS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하는 약물에 의해 유발된 약물-유발성 운동 장애, 약물 민감도, 습진, 뇌척수염, 심내막염, 내분비병증, 장병증성 활막염, 후두개염, 엡스타인-바르(Epstein-Barr) 바이러스 감염, 피부홍통증, 추체외로 및 소뇌 장애, 가족성 혈구포식세포 림프조직구증, 태아 흉선 이식 거부, 프리드라이히 운동실조, 기능성 말초 동맥 장애, 여성 불임, 섬유증, 섬유성 폐 질환, 진균 패혈증, 가스 괴저, 위궤양, 거세포 동맥염, 사구체 신장염, 사구체신염, 굿패스츄어 증후군, 갑상선종성 자가면역 갑상선 기능부전 (하시모토병), 통풍성 관절염, 임의의 기관 또는 조직의 이식편 거부, 이식편 대 숙주 질환, 그람 음성 패혈증, 그람 양성 패혈증, 세포내 유기체로 인한 육아종, 군 B 스트렙토코쿠스 (GBS) 감염, 그레이브스병, 혈철증 관련 폐 질환, 모발상 세포 백혈병, 모발상 세포 백혈병, 할러보르덴-슈파츠(Hallervorden-Spatz)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고초열, 심장 이식 거부, 혈색소증, 조혈 악성종양 (백혈병 및 림프종), 용혈성 빈혈, 용혈성 요독성 증후군/혈전용해성 혈소판감소성 자반증, 출혈, 헤노흐-쉔라인(Henoch-Schoenlein) 자반증, A형 간염, B형 간염, C형 간염, HIV 감염/HIV 신경병증, 호지킨병, 부갑상선기능저하증, 헌팅턴 무도병, 과다운동성 운동 장애, 과민 반응, 과민성 폐렴, 갑상선기능항진증, 과소운동성 운동 장애,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평가, 특발성 애디슨병, 특발성 백혈구감소증, 특발성 폐섬유증, 특발성 저혈소판증, 특이적 간 질환, 영아 척수성 근육 위축, 감염성 질환, 대동맥 염증, 염증성 장 질환,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간질성 폐렴, 홍채섬모체염/포도막염/시신경염, 허혈-재관류 손상, 허혈성 졸중, 소아 악성 빈혈,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소아 척수성 근육 위축, 카포시 육종, 가와사키병, 신장 이식 거부, 레지오넬라, 리슈마니아증, 나병, 피질척수계 병변, 선형 IgA 질환, 지방부종, 간 이식 거부, 라임병, 림프부종, 림프구성 침윤성 폐 질환, 말라리아, 남성 불임증 (특발성 또는 NOS), 악성 조직구증, 악성 흑색종, 수막염, 수막구균혈증, 현미경적 신장 혈관염, 편두통, 미토콘드리아 다계통 장애, 혼합 결합 조직 질환, 혼합 결합 조직 질환 관련 폐 질환, 모노클로날 감마글로불린병증, 다발성 골수종, 다계통 변성 (멘셀(Mencel) 데제린-토마스(Dejerine-Thomas) 샤이-드래거(Shi-Drager) 및 마카도-요셉(Machado-Joseph)), 근육통성 뇌염/로열 프리(Royal Free) 질환, 중증 근무력증, 현미경적 신장 혈관염, 미코박테리움 아비움 인트라셀룰라레(mycobacterium avium intracellulare), 미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mycobacterium tuberculosis), 골수형성이상 증후군, 심근경색, 심근 허혈성 장애, 비인두 암종, 신생아 만성 폐 질환, 신장염, 신장증, 신증후군, 신경변성 질환, 신경원성 I형 근육 위축, 호중구 감소성 열, 비-알콜성 지방간염, 복부 대동맥 및 그의 분지의 폐쇄, 폐쇄 동맥 장애, 기관 이식 거부, 고환염/부고환염, 고환염/정관절제 복원 절차, 기관비대증, 골관절증, 골다공증, 난소 부전, 췌장 이식 거부, 기생충 질환, 부갑상선 이식 거부, 파킨슨병, 골반 염증 질환, 심상성 천포창, 낙엽상 천포창, 유천포창, 통년성 비염, 심낭 질환, 말초 죽상경화 질환, 말초 혈관 장애, 복막염, 악성 빈혈, 수정체성 포도막염, 폐포자충 폐렴, 폐렴, POEMS 증후군 (다발성신경병증, 기관비대증, 내분비병증, 모노클로날 감마글로불린병증, 및 피부 변화 증후군), 관류후 증후군, 펌프후 증후군, MI-후 심장절개 증후군, 감염후 간질성 폐 질환, 조기 난소 부전,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 원발성 경화성 간염, 원발성 점액수종, 원발성 폐고혈압,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원발성 혈관염, 진행성 핵상 마비, 건선, 제1형 건선, 제2형 건선, 건선성 관절병증, 결합 조직 질환에 속발성인 폐고혈압, 결절성 다발성동맥염의 폐 증세, 염증-후 간질성 폐 질환, 방사선 섬유증, 방사선 요법, 레이노(Raynaud) 현상 및 질환, 레프섬(Refsum)병, 규칙적인 좁은범위 QRS 빈맥, 라이터(Reiter)병, 신장 질환 NOS, 신혈관성 고혈압, 재관류 손상, 제한성 심근병증, 류마티스 관절염 관련 간질성 폐 질환, 류마티스 척추염, 사르코이드증, 슈미트(Schmidt) 증후군, 경피증, 노인성 무도병, 레비소체 유형의 노인성 치매, 패혈증 증후군, 패혈성 쇼크, 혈청음성 관절병증, 쇼크, 겸상 적혈구성 빈혈, 쇼그렌병 관련 폐 질환, 쇼그렌 증후군, 피부 동종이식 거부, 피부 변화 증후군, 소장 이식 거부, 정자 자가면역, 다발성 경화증 (모든 아형), 척수성 운동실조, 척수소뇌 변성, 척추관절병증, 산발성, 산발성 제I형 다선성 결핍, 제II형 다선성 결핍, 스틸(Still)병, 연쇄상구균 근염, 졸중, 소뇌의 구조적 병변,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 교감성 안염, 실신, 심혈관계 매독, 전신성 아나필락시스,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 전신적으로 발병된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관련 폐 질환, 전신성 경화증, 전신성 경화증 관련 간질성 폐 질환, T-세포 또는 FAB ALL, 다카야스(Takayasu)병/동맥염, 모세혈관확장증, Th2 유형 및 Th1 유형 매개 질환, 폐쇄성 혈전혈관염, 혈소판감소증, 갑상선염, 독성, 독성 쇼크 증후군, 이식, 외상/출혈, 제2형 자가면역성 간염 (항-LKM 항체 간염), 흑색극세포증을 수반하는 B형 인슐린 저항성, 제III형 과민 반응, 제IV형 과민증, 궤양성 결장염의 관절병증, 궤양성 결장염, 불안정형 협심증, 요독증, 요로성패혈증, 두드러기, 포도막염, 판막성 심장 질환, 정맥류, 혈관염, 미만성 혈관염 폐 질환, 정맥 질환, 정맥 혈전증, 심실 세동, 백반증, 급성 간 질환, 바이러스 및 진균 감염, 바이러스성 뇌염/무균 수막염, 바이러스-관련 혈구포식세포 증후군, 베게너(Wegener) 육아종증, 베르니케-코르사코프(Wernicke-Korsakoff) 증후군, 윌슨(Wilson)병, 임의의 기관 또는 조직의 이종이식 거부, 예르시니아(yersinia) 및 살모넬라-관련 관절병증 등이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대사물,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은 항암제로서, 또는 조합 요법에서 암의 치료를 위한 보조 작용제로서 사용된다. 당업자는 후보 화합물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임의의 특정 세포 유형에 대한 암성 상태를 치료하는지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 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암의 치료를 위해 통상적인 수술, 방사선요법 및 화학요법을 비롯한 다른 요법과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요법은 하기 항암제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알킬화제, 혈관신생 억제제, 항체, 항대사제, 항유사분열제, 항증식제, 오로라 키나제 억제제, 아폽토시스 촉진제 (예를 들어, Bcl-xL, Bcl-w 및 Bfl-1 억제제), 사멸 수용체 경로의 활성화제, Bcr-Abl 키나제 억제제, BiTE (이중-특이적 T 세포 인게이저) 항체,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억제제, 세포 주기 억제제, 시클로옥시게나제-2 억제제, 이중 가변 도메인 결합 단백질 (DVD), 백혈병 바이러스성 종양유전자 상동체 (ErbB2) 수용체 억제제, 성장 인자 억제제, 열 충격 단백질 (HSP)-90 억제제,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HDAC) 억제제, 호르몬 요법제, 면역물질, 아폽토시스 단백질 억제제 (IAP) 삽입 항생제, 키나제 억제제, 라파마이신 억제제의 포유동물 표적, 마이크로RNA의 미토겐-활성화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제 억제제, 다가 결합 단백질,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성 약물 (NSAID), 폴리 ADP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리보스 폴리머라제 (PARP) 억제제, 백금 화학요법제, 폴로-유사 키나제 (Plk) 억제제, 프로테오좀 억제제, 퓨린 유사체, 피리미딘 유사체,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레티노이드/델토이드 식물 알칼로이드, 소형 억제성 리보핵산 (siRNA),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이들의 조합 등.
BiTE 항체는 동시에 두 세포에 결합하여 T-세포가 암 세포를 공격하게 하는 이중-특이적 항체이다. 이어서, T-세포는 표적 암 세포를 공격한다. BiTE 항체의 예에는 아데카투무맙 (마이크로메트(Micromet) MT201), 블리나투모맙 (마이크로메트 MT103) 등이 포함된다. 이론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면서, T-세포가 표적 암 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메카니즘 중 하나는 퍼포린 및 그랜자임 B를 포함하는 세포용해 과립 성분의 세포외유출에 의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Bcl-2는 퍼포린 및 그랜자임 B 둘 다에 의한 아폽토시스의 유도를 감쇄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들 데이터는 Bcl-2의 억제가 암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경우에 T-세포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독성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문헌 [V.R. Sutton, D.L. Vaux and J.A. Trapani (1997) J. of Immunology. 158 (12): 5783]).
siRNA는 내생 RNA 염기 또는 화학적으로 변형된 뉴클레오티드를 갖는 분자이다. 변형은 세포 활성을 파괴하지 않고, 오히려 안정성의 증가 및/또는 세포 효능의 증가를 제공한다. 화학적 변형의 예에는 포스포로티오에이트 기, 2'-데옥시뉴클레오티드, 2'-OCH3-함유 리보뉴클레오티드, 2'-F-리보뉴클레오티드, 2'-메톡시에틸 리보뉴클레오티드, 이들의 조합 등이 포함된다. siRNA는 가변 길이 (예를 들어, 10 내지 200 bp) 및 구조 (예를 들어, 헤어핀, 단일/이중 가닥, 팽창(bulge), 닉/갭, 미스매치)를 가질 수 있고, 세포에서 처리되어 활성 유전자 침묵을 제공한다. 이중-가닥 siRNA (dsRNA)는 각각의 가닥에 동일한 수의 뉴클레오티드를 갖거나 (무딘 말단), 또는 비대칭 말단 (오버행)을 가질 수 있다. 1 내지 2개의 뉴클레오티드의 오버행이 센스 및/또는 안티센스 가닥에 존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어진 가닥의 5'- 및/또는 3'-말단에도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cl-1을 표적으로 하는 siRNA는 다발성 종양 세포주에서 ABT-263 (즉, N-(4-(4-((2-(4-클로로페닐)-5,5-디메틸-1-시클로헥스-1-엔-1-일)메틸)피페라진-1-일)벤조일)-4-(((1R)-3-(모르폴린-4-일)-1-((페닐술파닐)메틸)프로필)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벤젠술폰아미드) 또는 ABT-737 (즉, N-(4-(4-((4'-클로로(1,1'-비페닐)-2-일)메틸)피페라진-1-일)벤조일)-4-(((1R)-3-(디메틸아미노)-1-((페닐술파닐)메틸)프로필)아미노)-3-니트로벤젠술폰아미드)의 활성을 증진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문헌 [Tse et al. (2008) Cancer Research. 68(9): 3421] 및 그의 참고문헌).
다가 결합 단백질은 2개 이상의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결합 단백질이다. 다가 결합 단백질은 3개 이상의 항원 결합 부위를 가지도록 설계되고, 일반적으로 자연 발생 항체가 아니다. 용어 "다중특이적 결합 단백질"은 2가지 이상의 관련된 또는 관련되지 않은 표적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단백질을 의미한다. 이중 가변 도메인 (DVD) 결합 단백질은 2개 이상의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4가 또는 다가 결합 단백질이다. 이러한 DVD는 단일특이적 (즉, 1가지 항원에 결합할 수 있음)이거나, 또는 다중특이적 (즉, 2가지 이상의 항원에 결합할 수 있음)일 수 있다. 2개의 중쇄 DVD 폴리펩티드 및 2개의 경쇄 DVD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DVD 결합 단백질은 DVD Ig로 지칭된다. DVD Ig의 절반 각각은 중쇄 DVD 폴리펩티드, 경쇄 DVD 폴리펩티드 및 2개의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한다. 각각의 결합 부위는 항원 결합 부위당 총 6개의 항원 결합에 관련된 CDR과 함께 중쇄 가변 도메인 및 경쇄 가변 도메인을 포함한다.
알킬화제에는 알트레타민, AMD-473, AP-5280, 아파지큐온, 벤다무스틴, 브로스탈리신, 부술판, 카르보쿠온, 카르무스틴 (BCNU), 클로람부실, 클로레타진(CLORETAZINE)? (라로무스틴, VNP 40101M), 시클로포스파미드, 데카르바진, 에스트라무스틴, 포테무스틴, 글루포스파미드, 이포스파미드, KW-2170, 로무스틴 (CCNU), 마포스파미드, 멜팔란, 미토브로니톨, 미토락톨, 니무스틴, 질소 머스타드 N-옥시드, 라니무스틴, 테모졸로미드, 티오테파, 트레안다(TREANDA)? (벤다무스틴), 트레오술판, 로포스파미드 등이 포함된다.
혈관신생 억제제에는 내피-특이적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Tie-2) 억제제,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 (EGFR) 억제제, 인슐린 성장 인자-2 수용체 (IGFR-2) 억제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2 (MMP-2) 억제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9 (MMP-9) 억제제,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 수용체 (PDGFR) 억제제, 트롬보스폰딘 유사체,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VEGFR) 억제제 등이 포함된다.
항대사제에는 알림타(ALIMTA)? (페메트렉세드 이나트륨, LY231514, MTA), 5-아자시티딘, 젤로다(XELODA)? (카페시타빈), 카르모푸르, 류스타트(LEUSTAT)? (클라드리빈), 클로파라빈, 시타라빈, 시타라빈 옥포스페이트, 시토신 아라비노시드, 데시타빈, 데페록사민, 독시플루리딘, 에플로르니틴, 에이카르(EICAR) (5-에티닐-1-β-D-리보푸라노실이미다졸-4-카르복스아미드), 에노시타빈, 에트닐시티딘, 플루다라빈, 단독으로 또는 류코보린과의 조합으로 5-플루오로우라실, 겜자르(GEMZAR)? (겜시타빈), 히드록시우레아, 알케란(ALKERAN)? (멜팔란), 메르캅토퓨린, 6-메르캅토퓨린 리보시드, 메토트렉세이트, 미코페놀산, 넬라라빈, 놀라트렉세드, 옥포스페이트, 펠리트렉솔, 펜토스타틴, 랄티트렉세드, 리바비린(Ribavirin), 트리아핀, 트리메트렉세이트, S-1, 티아조푸린, 테가푸르, TS-1, 비다라빈, UFT 등이 포함된다.
오로라 키나제 억제제에는 AZD-1152, MLN-8054, VX-680 등이 포함된다.
Bcl-2 패밀리 단백질 억제제에는 AT-101 ((-)고시폴), 제나센스(GENASENSE)? (G3139 또는 오블리메르센 (Bcl-2-표적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IPI-194, IPI-565, N-(4-(4-((4'-클로로(1,1'-비페닐)-2-일)메틸)피페라진-1-일)벤조일)-4-(((1R)-3-(디메틸아미노)-1-((페닐술파닐)메틸)프로필)아미노)-3-니트로벤젠술폰아미드) (ABT-737), N-(4-(4-((2-(4-클로로페닐)-5,5-디메틸-1-시클로헥스-1-엔-1-일)메틸)피페라진-1-일)벤조일)-4-(((1R)-3-(모르폴린-4-일)-1-((페닐술파닐)메틸)프로필)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벤젠술폰아미드 (ABT-263), GX-070 (오바토클락스) 등이 포함된다.
Bcr-Abl 키나제 억제제에는 다사티닙(DASATINIB)? (BMS-354825), 글리벡(GLEEVEC)? (이마티닙) 등이 포함된다.
CDK 억제제에는 AZD-5438, BMI-1040, BMS-032, BMS-387, CVT-2584, 플라보피리돌, GPC-286199, MCS-5A, PD0332991, PHA-690509, 셀리시슬립 (CYC-202, R-로스코비틴), ZK-304709 등이 포함된다.
COX-2 억제제에는 ABT-963, 아르콕시아(ARCOXIA)? (에토리콕시브), 벡스트라(BEXTRA)? (발데콕시브), BMS347070, 셀레브렉스(CELEBREX)? (셀레콕시브), COX-189 (루미라콕시브), CT-3, 데라막스(DERAMAXX)? (데라콕시브), JTE-522, 4-메틸-2-(3,4-디메틸페닐)-1-(4-술파모일페닐-1H-피롤), MK-663 (에토리콕시브), NS-398, 파레콕시브, RS-57067, SC-58125, SD-8381, SVT-2016, S-2474, T-614, 비옥스(VIOXX)? (로페콕시브) 등이 포함된다.
EGFR 억제제에는 ABX-EGF, 항-EGFR 이뮤노리포좀, EGF-백신, EMD-7200, 에르비툭스(ERBITUX)? (세툭시맙), HR3, IgA 항체, 이레사(IRESSA)? (게피티닙), 타르세바(TARCEVA)? (에를로티닙 또는 OSI-774), TP-38, EGFR 융합 단백질, 타이커브(TYKERB)? (라파니팁) 등이 포함된다.
ErbB2 수용체 억제제에는 CP-724-714, CI-1033 (카네르티닙), 헤르셉틴(HERCEPTIN)? (트라스투주맙), 타이커브? (라파니팁), 옴니타르그(OMNITARG)? (2C4, 페투주맙), TAK-165, GW-572016 (이오나파르닙), GW-282974, EKB-569, PI-166, dHER2 (HER2 백신), APC-8024 (HER-2 백신), 항-HER/2neu 이중특이적 항체, B7.her2IgG3, AS HER2 삼기능성 이중특이적 항체, mAB AR-209, mAB 2B-1 등이 포함된다.
히스톤 데아세틸라제 억제제에는 뎁시펩티드, LAQ-824, MS-275, 트라폭신, 수베로일아닐리드 히드록삼산 (SAHA), TSA, 발프로산 등이 포함된다.
HSP-90 억제제에는 17-AAG-nab, 17-AAG, CNF-101, CNF-1010, CNF-2024, 17-DMAG, 겔다나마이신, IPI-504, KOS-953, 미코그랍(MYCOGRAB)? (HSP-90에 대한 인간 재조합 항체), NCS-683664, PU24FCl, PU-3, 라디시콜, SNX-2112, STA-9090, VER49009 등이 포함된다.
사멸 수용체 경로의 활성화제에는 트레일(TRAIL), 사멸 수용체 (예를 들어, DR4 및 DR5)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 또는 기타 작용제, 예컨대 아포맙(Apomab), 코나투무맙, ETR2-ST01, GDC0145, 렉사투무맙, HGS-1029, LBY-135, PRO-1762 및 트라스투주맙이 포함된다.
MEK 억제제에는 ARRY-142886, ARRY-438162, PD-325901, PD-98059 등이 포함된다.
mTOR 억제제에는 AP-23573, CCI-779, 에버롤리무스, RAD-001, 라파마이신, 템시롤리무스 등이 포함된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성 약물에는 아미게식(AMIGESIC)? (살살레이트), 돌로비드(DOLOBID)? (디플루니살), 모트린(MOTRIN)? (이부프로펜), 오루디스(ORUDIS)? (케토프로펜), 렐라펜(RELAFEN)? (나부메톤), 펠덴(FELDENE)? (피록시캄), 이부프로펜 크림, 알레브(ALEVE)? (나프록센) 및 나프로신(NAPROSYN)? (나프록센), 볼타렌(VOLTAREN)? (디클로페낙), 인도신(INDOCIN)? (인도메타신), 클리노릴(CLINORIL)? (술린닥), 톨렉틴(TOLECTIN)? (톨메틴), 로딘(LODINE)? (에토돌락), 토라돌(TORADOL)? (케토로락), 데이프로(DAYPRO)? (옥사프로진) 등이 포함된다.
PDGFR 억제제에는 C-451, CP-673, CP-868596 등이 포함된다.
백금 화학요법제에는 시스플라틴, 엘록사틴(ELOXATIN)? (옥살리플라틴), 에프타플라틴, 로바플라틴, 네다플라틴, 파라플라틴(PARAPLATIN)? (카르보플라틴), 사트라플라틴, 피코플라틴 등이 포함된다.
폴로-유사 키나제 억제제에는 BI-2536 등이 포함된다.
트롬보스폰딘 유사체에는 ABT-510, ABT-567, ABT-898, TSP-1 등이 포함된다.
VEGFR 억제제에는 아바스틴(AVASTIN)? (베바시주맙), ABT-869, AEE-788, 안지오자임(ANGIOZYME)™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리보자임 (리보자임 파마슈티칼스(Ribozyme Pharmaceuticals) (볼더 컴퍼니(Boulder, CO.)) 및 키론(Chiron) (미국 캘리포니아주 에머리빌)), 악시티닙 (AG-13736), AZD-2171, CP-547,632, IM-862, 마큐젠(MACUGEN) (페갑타밉), 넥사바르(NEXAVAR)? (소라페닙, BAY43-9006), 파조파닙 (GW-786034), 바탈라닙 (PTK-787, ZK-222584), 수텐트(SUTENT)? (수니티닙, SU-11248), VEGF 트랩, 작티마(ZACTIMA)™ (반데타닙, ZD-6474) 등이 포함된다.
항생제에는 삽입 항생제 아클라루비신, 악티노마이신 D, 암루비신, 안나마이신, 아드리아마이신, 블레녹산(BLENOXANE)? (블레오마이신), 다우노루비신, 케릭스(CAELYX)? 또는 마이오세트(MYOCET)? (리포좀 독소루비신), 엘사미트루신, 에피르부신, 글라르부이신, 자베도스(ZAVEDOS)? (이다루비신), 미토마이신 C, 네모루비신, 네오카르지노스타틴, 페플로마이신, 피라루비신, 레베카마이신, 스티말라머, 스트렙토조신, 발스타(VALSTAR)? (발루비신), 지노스타틴 등이 포함된다.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에는 아클라루비신, 9-아미노캄프토테신, 아모나피드, 암사크린, 베카테카린, 벨로테칸, BN-80915, 캄프토사르(CAMPTOSAR)? (이리노테칸 히드로클로라이드), 캄프토테신, 카르디옥산(CARDIOXANE)? (덱스라족신), 디플로모테칸, 에도테카린, 엘렌스(ELLENCE)? 또는 파모루비신(PHARMORUBICIN)? (에피루비신), 에토포시드, 엑사테칸, 10-히드록시캄프토테신, 지마테칸, 루르토테칸, 미톡산트론, 오라테신, 피라르부신, 픽산트론, 루비테칸, 소부족산, SN-38, 타플루포시드, 토포테칸 등이 포함된다.
항체에는 아바스틴? (베바시주맙), CD40-특이적 항체, chTNT-1/B, 데노수맙, 에르비툭스? (세툭시맙), 휴맥스(HUMAX)-CD4? (자놀리무맙), IGF1R-특이적 항체, 린투주맙, 파노렉스(PANOREX)? (에드레콜로맙), 렌카렉스(RENCAREX)? (WX G250), 리툭산(RITUXAN)? (리툭시맙), 티실리무맙, 트라스투주맙 등이 포함된다.
호르몬 요법제에는 아리미덱스(ARIMIDEX)? (아나스트로졸), 아로마신(AROMASIN)? (엑세메스탄), 아르족시펜, 카소덱스(CASODEX)? (비칼루타미드), 세트로티드(CETROTIDE)? (세트로렐릭스), 데가렐릭스, 데슬로렐린, 데소판(DESOPAN)? (트릴로스탄), 덱사메타손, 드로게닐(DROGENIL)? (플루타미드), 에비스타(EVISTA)? (랄록시펜), 아페마(AFEMA)™ (파드로졸), 파레스톤(FARESTON)? (토레미펜), 파슬로덱스(FASLODEX)? (풀베스트란트), 페마라(FEMARA)? (레트로졸), 포르메스탄,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헥토롤(HECTOROL)? (독세르칼시페롤), 레나겔(RENAGEL)? (세벨라머 카르보네이트), 라소폭시펜, 류프롤리드 아세테이트, 메게이스(MEGACE)? (메게스테롤), 미페프렉스(MIFEPREX)? (미페프리스톤), 닐란드론(NILANDRON)™ (닐루타미드), 놀바덱스(NOLVADEX)? (타목시펜 시트레이트), 플레낙시스(PLENAXIS)™ (아바렐릭스), 프레드니손, 프로페시아(PROPECIA)? (피나스테리드), 릴로스탄, 슈프레팩트(SUPREFACT)? (부세렐린), 트렐스타(TRELSTAR)? (황체화 호르몬 방출 호르몬 (LHRH)), 반타스(VANTAS)? (히스트렐린(Histrelin) 임플란트), 베토릴(VETORYL)? (트릴로스탄 또는 모드라스탄), 졸라덱스(ZOLADEX)? (포스렐린, 고세렐린) 등이 포함된다.
델토이드 및 레티노이드에는 세오칼시톨 (EB1089, CB1093), 렉사칼시트롤 (KH1060), 펜레티니드, 판레틴(PANRETIN)? (알리레티노인), 아트라젠(ATRAGEN)? (리포좀 트레티노인), 탈그레틴(TARGRETIN)? (벡사로텐), LGD-1550 등이 포함된다.
PARP 억제제에는 ABT-888, 올라파립, KU-59436, AZD-2281, AG-014699, BSI-201, BGP-15, INO-1001, ONO-2231 등이 포함된다.
식물 알칼로이드에는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빈데신, 비노렐빈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테아좀 억제제에는 벨케이드(VELCADE)? (보르테조밉), MG132, NPI-0052, PR-171 등이 포함된다.
면역물질의 예에는 인터페론 및 다른 면역-증진제가 포함된다. 인터페론에는 인터페론 알파, 인터페론 알파-2a, 인터페론 알파-2b, 인터페론 베타, 인터페론 감마-1a, 액티뮨(ACTIMMUNE)? (인터페론 감마-1b) 또는 인터페론 감마-n1, 이들의 조합 등이 포함된다. 기타 작용제에는 알파페론(ALFAFERONE)? (IFN-α), BAM-002 (산화된 글루타티온), 베로문(BEROMUN)? (타소네르민), 벡사르(BEXXAR)? (토시투모맙), 캄파스(CAMPATH)? (알렘투주맙), CTLA4 (세포독성 림프구 항원 4), 데카르바진, 데니류킨, 에프라투주맙, 그래노사이트(GRANOCYTE)? (레노그라스팀), 렌티난, 백혈구 알파 인터페론, 이미퀴모드, MDX-010 (항-CTLA-4), 흑색종 백신, 미투모맙, 몰그라모스팀, 밀로타르그(MYLOTARG)™ (겜투주맙 오조가미신), 뉴포젠(NEUPOGEN)? (필그라스팀), 온코백(OncoVAC)-CL, 오바렉스(OVAREX)? (오레고보맙), 펨투모맙 (Y-muHMFG1), 프로벤지(PROVENGE)? (시풀류셀-T), 사르가라모스팀, 시조필란, 테세류킨, 테라시스(THERACYS)? (바실러스 칼메트-게랭(Bacillus Calmette-Guerin)), 우베니멕스, 비룰리진(VIRULIZIN)? (면역치료제, 로루스 파마슈티칼스(Lorus Pharmaceuticals)), Z-100 (마루야마(Maruyama)의 특정 물질 (SSM)), WF-10 (테트라클로로데카옥시드 (TCDO)), 프로류킨(PROLEUKIN)? (알데스류킨), 자닥신(ZADAXIN)? (티말파신), 제나팍스(ZENAPAX)? (다클리주맙), 제발린(ZEVALIN)? (90Y-이브리투모맙(Ibritumomab) 티욱세탄) 등이 포함된다.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는 살아있는 유기체의 방어 기전, 또는 생물학적 반응, 예컨대 조직 세포의 생존, 성장 또는 분화를 변형시켜 이들이 항-종양 활성을 갖게 하는 작용제이며, 크레스틴, 렌티난, 시조피란, 피시바닐 PF-3512676 (CpG-8954), 우베니멕스 등이 이에 포함된다.
피리미딘 유사체에는 시타라빈 (아라 C 또는 아라비노시드 C), 시토신 아라비노시드, 독시플루리딘, 플루다라(FLUDARA)? (플루다라빈), 5-FU (5-플루오로우라실), 플록수리딘, 겜자르? (겜시타빈), 토뮤덱스(TOMUDEX)? (라티트렉세드), 트록사틸(TROXATYL)™ (트리아세틸우리딘 트록사시타빈) 등이 포함된다.
퓨린 유사체에는 란비스(LANVIS)? (티오구아닌) 및 퓨리-네톨(PURI-NETHOL)? (메르캅토퓨린)이 포함된다.
항유사분열제에는 바타불린, 에포틸론 D (KOS-862), N-(2-((4-히드록시페닐)아미노)피리딘-3-일)-4-메톡시벤젠술폰아미드, 익사베필론 (BMS 247550), 파클리탁셀, 탁소테레(TAXOTERE)? (도세탁셀), PNU100940 (109881), 파투필론, XRP-9881 (라로탁셀), 빈플루닌, ZK-EPO (합성 에포틸론)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방사선요법의 효능을 증진시키는 방사선증감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방사선요법의 예에는 외부 빔 방사선요법, 원격치료, 근접치료 및 밀봉, 개봉 공급원 방사선요법 등이 포함된다.
추가로, 화학식 I을 갖는 화합물은 다른 화학요법제, 예컨대 아브락산(ABRAXANE)™ (ABI-007), ABT-100 (파르네실 트랜스퍼라제 억제제), 아드벡신(ADVEXIN)? (Ad5CMV-p53 백신), 알토코르(ALTOCOR)? 또는 메바코르(MEVACOR)? (로바스타틴), 앰플리겐(AMPLIGEN)? (폴리 I:폴리 C12U, 합성 RNA), 압토신(APTOSYN)? (엑시술린드), 아레디아(AREDIA)? (팔미드론산), 아르글라빈, L-아스파라기나제, 아타메스탄 (1-메틸-3,17-디온-안드로스타-1,4-디엔), 아바지(AVAGE)? (타자로텐), AVE-8062 (콤브레아스타틴 유도체), BEC2 (미투모맙), 카켁틴 또는 카켁신 (종양 괴사 인자), 캔백신 (백신), 세아박(CEAVAC)? (암 백신), 셀류크(CELEUK)? (셀모류킨), 세플렌(CEPLENE)? (히스타민 디히드로클로라이드), 서바릭스(CERVARIX)? (인간 파필로마바이러스 백신), CHOP? (C: 시톡산(CYTOXAN)? (시클로포스파미드); H: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히드록시독소루비신); O: 빈크리스틴(Vincristine) (온코빈(ONCOVIN)?); P: 프레드니손), 시파트(CYPAT)™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 콤브레스타틴 A4P, DAB(389)EGF (His-Ala 링커를 통해 인간 표피 성장 인자에 융합된 디프테리아 독소의 촉매 및 전위 도메인) 또는 트랜스MID(TransMID)-107R™ (디프테리아 독소), 다카르바진, 닥티노마이신, 5,6-디메틸크산테논-4-아세트산 (DMXAA), 에닐우라실, 에비존(EVIZON)™ (스쿠알라민 락테이트), 디메리신(DIMERICINE)? (T4N5 리포좀 로션), 디스코데르몰리드, DX-8951f (엑사테칸 메실레이트), 엔자스타우린, EPO906 (에피틸론 B), 가르다실(GARDASIL)? (4가 인간 파필로마바이러스 (유형 6, 11, 16, 18) 재조합 백신), 가스트리뮨(GASTRIMMUNE)?, 제나센스(GENASENSE)?, GMK (강글리오시드 접합체 백신), GVAX? (전립선암 백신), 할로푸기논, 히스테렐린, 히드록시카르바미드, 이반드론산, IGN-101, IL-13-PE38, IL-13-PE38QQR (신트레데킨 베수도톡스), IL-13-슈도모나스 외독소, 인터페론-α, 인터페론-γ, 주노반(JUNOVAN)™ 또는 메팍트(MEPACT)™ (미파무르티드), 로나파르닙, 5,10-메틸렌테트라히드로폴레이트, 밀테포신 (헥사데실포스포콜린), 네오바스타트(NEOVASTAT)? (AE-941), 뉴트렉신(NEUTREXIN)? (트리메트렉세이트 글루쿠로네이트), 니펜트(NIPENT)? (펜토스타틴), 온코나제(ONCONASE)? (리보뉴클레아제 효소), 온코파지(ONCOPHAGE)? (흑색종 백신 치료), 온코박스(ONCOVAX)? (IL-2 백신), 오라테신(ORATHECIN)™ (루비테칸), 오시뎀(OSIDEM)? (항체-기재 세포 약물), 오바렉스(OVAREX)? MAb (뮤린 모노클로날 항체), 파클리탁셀, 판디멕스(PANDIMEX)™ (20(S)프로토파낙사디올 (aPPD)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 (aPPT)을 포함하는 인삼으로부터의 아글리콘 사포닌), 파니투무맙, 판백(PANVAC)?-VF (연구중인 암 백신), 페가스파르가제, PEG 인터페론 A, 페녹소디올, 프로카르바진, 레비마스타트, 리모밥(REMOVAB)? (카투막소맙), 레블리미드(REVLIMID)? (레날리도미드), RSR13 (에파프록시랄), 소마툴린(SOMATULINE)? LA (란레오티드), 소리아탄(SORIATANE)? (아시트레틴), 스타우로스포린 (스트렙토미세스 스타우로스포레스(Streptomyces staurospores)), 탈라보스타트 (PT100), 타르그레틴(TARGRETIN)? (벡사로텐), 탁소프렉신(TAXOPREXIN)? (DHA-파클리탁셀), 텔시타(TELCYTA)? (칸포스파미드, TLK286), 테밀리펜, 테모다르(TEMODAR)? (테모졸로미드), 테스밀리펜, 탈리도미드, 테라토프(THERATOPE)? (STn-KLH), 티미탁 (2-아미노-3,4-디히드로-6-메틸-4-옥소-5-(4-피리딜티오)퀴나졸린 디히드로클로라이드), 티엔페레이드(TNFERADE)™ (아데노벡터: 종양 괴사 인자-α에 대한 유전자를 함유하는 DNA 담체), 트라클리어(TRACLEER)? 또는 자베스카(ZAVESCA)? (보센탄), 트레티노인 (레틴(Retin)-A), 테트란드린, 트리세녹스(TRISENOX)? (삼산화비소), 비룰리진?, 우크라인 (그레이터 셀란딘 식물로부터의 알칼로이드의 유도체), 비탁신 (항-알파v베타3 항체), 엑스시트린(XCYTRIN)? (모텍사핀 가돌리늄), 신레이(XINLAY)™ (아트라센탄), 자이오탁스(XYOTAX)™ (파클리탁셀 폴리글루멕스), 욘델리스(YONDELIS)? (트라베크테딘), ZD-6126, 지네카드(ZINECARD)? (덱스라족산), 조메타(ZOMETA)? (졸렌드론산), 조루비신 등과 조합될 수 있다.
조합 요법은 동시 또는 순차적 투약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경우, 조합물은 2회 이상의 투여로 투여될 수 있다. 조합 투여는 별개의 제제 또는 단일 제약 제제를 사용하는 공동 투여, 및 임의의 순서로의 연속 투여를 포함하고,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활성 작용제 둘 다 (또는 모두)가 이들의 생물학적 활성을 동시에 발휘하는 기간이 존재한다.
따라서,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부형제 및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치료 유효량의 1종의 추가 치료제 또는 1종을 초과하는 추가 치료제를 포함하는, 환자에서 항-아폽토시스성 Bcl-xL 단백질이 발현 또는 과다발현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치료 유효량의 1종의 추가 치료제 또는 1종을 초과하는 추가 치료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항-아폽토시스성 BclxL 단백질이 발현 또는 과다발현되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 조성물, 및 에토포시드 빈크리스틴 CHOP, 리툭시맙, 라파마이신, R-CHOP 또는 보르테조밉 중 하나 이상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중피종, 방광암, 췌장암, 피부암, 두경부암, 피부 또는 안내 흑색종, 난소암, 유방암, 자궁암, 난관 암종, 자궁내막 암종, 자궁경부 암종, 질 암종, 외음부 암종, 골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결장암, 직장암, 항문부의 암, 위암, 위장 (위, 결장직장 및 십이지장),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고환암, 간세포암 (간관 및 담관), 원발성 또는 속발성 중추신경계 종양, 원발성 또는 속발성 뇌 종양, 호지킨병,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림프구성 림프종, 림프모구성 백혈병, 여포성 림프종, T-세포 또는 B-세포 기원의 림프양 악성종양, 흑색종, 다발성 골수종, 구강암, 난소암, 비-소세포 폐암, 전립선암, 소세포 폐암, 신장암 및 요관암, 신세포 암종, 신우 암종, 중추신경계의 신생물,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척추 축 종양, 뇌간교종, 뇌하수체 선종, 부신피질암, 담낭암, 비장암, 담관암종, 섬유육종, 신경모세포종, 망막모세포종, 또는 상기 암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공동-투여되는 작용제 중 임의의 것에 대한 적합한 투여량은 현재 이용되고 있는 것이며, 새로 확인된 작용제와 다른 화학요법제 또는 치료의 조합 작용 (상승작용)으로 인해 감소될 수 있다.
조합 요법은 "상승작용"을 제공하고 "상승효과"를 입증할 수 있다 (즉, 활성 성분을 함께 사용할 경우 달성되는 효과가 화합물을 개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비롯되는 효과의 합계보다 더 큼). 상승작용 효과는 활성 성분이 (1) 공동-제제화되어 투여되거나 조합된 단위 투여 제제 중에서 동시에 전달되는 경우, (2) 별개의 제제로서 교대로 전달되거나 동시에 전달되는 경우, 또는 (3) 일부 다른 투약법에 의해 전달되는 경우에 달성될 수 있다. 교대 요법으로 전달하는 경우, 상승작용 효과는 화합물을 예를 들어 별도의 주사기로 다르게 주사하거나, 별도의 환제 또는 캡슐에 의해, 또는 별도의 주입으로 순차적으로 투여 또는 전달할 때 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교대 요법 동안에는 유효 투여량의 각각의 활성 성분이 순차적으로, 즉 연속적으로 투여되지만, 조합 요법에서는 유효 투여량의 2종 이상의 활성 성분이 함께 투여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게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혈소판의 과잉 또는 원치 않는 활성화에 의해 유발, 악화 또는 초래되는 질환 또는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혈소판의 과잉 또는 원치 않는 활성화에 의해 유발 또는 악화되는 질환에는 본태성 혈소판증가증, 진성 적혈구증가증, M7 급성 골수성 백혈병, 재협착, 심혈관 질환, 수술 전후 항혈소판 요법, 장치 관련 혈전 및 이들과 관련된 합병증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태성 혈소판증가증에서 혈소판의 관여는 문헌 [Seminars in Hematology (2005), 42(4), 230-238] 및 또한 [New Eng. J. Med., 2005, 353:1, 33-45]에 보고되어 있다. 진성 적혈구증가증에서 혈소판의 관여는 문헌 [Seminars in Thrombosis and Hemostatis (2006), 32(3), 267-275]에 보고되어 있다. 재협착에서 혈소판의 관여는 문헌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2006), 59(3), 232-239]에 보고되어 있다. 심혈관 질환에서 혈소판의 관여는 문헌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2003), 57(10), 898-905]에 보고되어 있다. 수술 전후 항혈소판 요법에서 혈소판의 관여는 문헌 [Journal of Thrombosis Thrombolysis]에 보고되어 있다. 상승된 혈소판 수준으로부터 초래되는 질환 또는 상태에는 출혈, 혈전증 또는 다른 혈전색전성 합병증, 혈액의 다른 질환 또는 장애, 예컨대 "점성 혈소판" 증후군의 개시 또는 악화가 포함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게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환자에서 혈소판의 수를 감소시키고, 혈소판의 과잉 또는 원치 않는 활성화를 특징으로 하는 혈전유발 상태 및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게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본태성 혈소판증가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 내에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서 혈소판의 수를 감소시키고 본태성 혈소판증가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게 Bcl-xL 패밀리 단백질 구성원의 활성을 억제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진성 적혈구증가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특정 측면 내에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서 혈소판의 수를 감소시키고 진성 적혈구증가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측면에서, 본원은 질환 또는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대사물,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전구약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질환 또는 상태에는, 예를 들어 상기 논의된 혈소판의 과잉 또는 원치 않는 활성화에 의해 유발, 악화 또는 초래되는 임의의 질환 또는 상태, 상기 논의된 임의의 암, 또는 상기 논의된 임의의 자가면역 질환이 포함된다. 제공된 용도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대사물,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전구약물은 단독으로 사용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대사물,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전구약물은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은 조합 요법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의 상기 기재된 방법 각각에 사용된 화합물 또는 제약 조성물은 표 1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표 1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지만,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V. 실시예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하기 기재된 실시예에서 모든 온도는 섭씨 온도로 표기된다. 시약은 시판 공급업체, 예컨대 알드리치 케미칼 컴퍼니(Aldrich Chemical Company), 랜캐스터(Lancaster), TCI 또는 메이브릿지(Maybridge)로부터 구입하였고,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하기 명시된 반응은 일반적으로 질소 또는 아르곤의 양압 하에 또는 건조 튜브를 사용하여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무수 용매 중에서 수행하였고, 반응 플라스크에는 전형적으로 주사기를 통해 기질 및 시약을 도입하기 위한 고무 격막이 장착되어 있었다. 유리제품은 오븐 건조시키고/거나 열 건조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 겔 칼럼을 갖는 바이오타지(Biotage) 시스템 (제조업체: 다이악스 코포레이션(Dyax Corporation)) 상에서, 또는 실리카 셉팍(SEPPAK)? 카트리지 (워터스(Waters)) 상에서, 또는 실리카 겔 칼럼을 갖는 이스코(ISCO)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제조업체: 텔레다인 이스코(Teledyne ISCO)) 상에서, 또는 일반적으로 W.C. 스틸(Still)에 의해 기재된 기술 (문헌 [Still, W. C.; Kahn, M.; Mitra, A. J. Org. Chem. 1978, 43(14), 2923-2925] 참조)에 따라 유리 칼럼을 사용하여 수동적으로 수행하였다. 1H NMR 스펙트럼은 배리안(Varian) 유니티(UNITY) 또는 이노바(Inova) (500 MHz), 배리안 유니티 (400 MHz), 또는 배리안 유니티 플러스 또는 머큐리(Mercury) (300 MHz), 또는 300 또는 400 MHz에서 구동되는 유사 기기 상에서 기록하였다. 화학 이동은 내부 표준으로서의 TMS와 비교한 δ 값 (ppm) 다운필드로서 기록하였다. 1H NMR 스펙트럼은 중수소화 CDCl3, d6-DMSO, CH3OD 또는 d6-아세톤 용액 중에서 얻었다 (ppm으로 기록). 다중도는 통상의 방식으로 기록하였으며, 피크 다중도 기록시에 하기 약어를 사용하였다: s (단일선), d (이중선), t (삼중선), m (다중선), br (넓음), dd (이중선의 이중선), dt (삼중선의 이중선). 커플링 상수 (제시된 경우)는 헤르쯔 (Hz)로 기록하였다. 가능한 경우, 반응 혼합물 중 생성물 형성은, 6140 사중극자 질량 분석계에 연결된 애질런트(Agilent) 1200 시리즈(Series) LC [슈펠코 아센티스 익스프레스(Supelco Ascentis Express) C18 칼럼 사용, 1.4 분 이내에 5%→95% 아세토니트릴/물 (각각의 이동상 중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함유)의 선형 구배, 및 95%에서 0.3 분 동안 유지], 또는 PE 사이엑스(SCIEX) API 150 EX [페노메넥스(PHENOMENEX) DNYC 모놀리식(monolithic) C18 칼럼 사용, 5 분 이내에 5%→95% 아세토니트릴/물 (각각의 이동상 중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함유)의 선형 구배, 및 95%에서 1분 동안 유지], 또는 유사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LC/MS로 모니터링 할 수 있었다. 대안적으로, 분석용 LC-MS를 엑스칼리버(Xcalibur) 1.2 및 오픈-액세스(Open-Access) 1.3 소프트웨어 구동 애질런트 1100 HPLC 시스템 및 핀니간 네비게이터(Finnigan Navigator) 질량 분석계 상에서 수행하였다. 질량 분석계는 양성 APCI 이온화 조건하에 구동되었다. HPLC 시스템은 애질런트 쿼터너리(Quaternary) 펌프, 탈기 장치, 칼럼 구획, 및 오토샘플러 및 다이오드-어레이 검출기와 함께 세데르 세덱스(Sedere Sedex) 75 증발 광-산란 검출기를 포함하였다. 사용된 칼럼은 페노메넥스 루나(LUNA) 콤비(COMBI)-HTS C8(2) 5 μm 100Å (2.1mm x 30mm)였다. TFA 방법 (방법 A): 물 (용매 2) 중 10→100% 아세토니트릴 (용매 1) 및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구배를 2 mL/분의 유속으로 사용하였다 (0-0.1 분 10% 용매 1, 0.1-2.6 분 10→100% 용매 1, 2.6-2.9 분 100→10% 용매 1, 2.9-3.0 분 100→10% 용매 1). 암모늄 방법 (방법 B): 물 (용매 2) 중 10→100% 아세토니트릴 (용매 1) 및 10 mM NH4OAc의 구배를 1.5 mL/분의 유속으로 사용하였다 (0-0.1 분 10% 용매 1, 0.1-3.1 분 10→100% 용매 1, 3.1-3.9 분 100→10% 용매 1, 3.9-4.0 분 100→10% 용매 1).
GC-MS 질량 스펙트럼 분석은, 개별 화합물에 대해 명시된 바와 같이 전기분무 이온화 (ESI) 및 대기압 화학 이온화 (APCI)를 비롯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는 핀나간 SSQ7000 GC/MS 질량 분석계 상에서 수행하였다. 정확한 질량 측정은 핀나간 FTMS 뉴스타(NEWSTAR) T70 질량 분석계 상에서 수행하였다. 화합물은, 정확한 질량 측정치가 정확한 단일동위원소 질량의 5.0 ppm 상대 질량 오차 (RME) 이내인 경우에 화학식과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정제용 역상 HPLC는 특정 화합물에 대해 수행하였고, 시메트리프렙(SymmetryPrep) 쉴드(Shield) RP18 정제용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자동화 길슨(Gilson) HPLC 시스템 상에서 달성하였다 [250 mm x 21.20 mm i.d., 10 um, 및 25 mL/분의 유속; =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40 분 이내에 0→70% B의 선형 구배].
기재된 시약, 반응 조건 또는 이용된 기기에 사용된 모든 약어는 문헌 [The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미국 화학 학회 저널)에 의해 매년 발행되는 "표준 약어 및 두문자어 목록"("List of standard abbreviations and acronyms")에 제시된 정의와 일치한다. 본원에 사용된 하기 약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rt = 실온, DMAP = 2,6-디메틸아미노피리딘; EDCI, DCM = 디클로로메탄, THF = 테트라히드로푸란, TEA = 트리에틸아민, EtOAc = 에틸 아세테이트, TFA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LC/MS =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측정법, APCI = 대기압 화학 이온화, DCI = 탈착 화학 이온화, MS = 질량 분광측정법, MeOH = 메탄올, DMA =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EtOH = 에탄올, Hex = 헥산(들), NBS = N-브로모숙신이미드, NIS = N-요오도숙신아미드, SEMCl = 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 DME = 디메톡시에탄, DBAD = 디벤질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DMF = N,N-디메틸포름아미드, DCE = 디클로로에탄 및 Et3N = 트리에틸아민.
실시예 1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1)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065
단계 1: tert-부틸 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카르복실레이트 (1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066
DCM (80 mL) 중 2-(tert-부톡시카르보닐)-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8-카르복실산 (6.8 g, 24.5 mmol) 및 벤조[d]티아졸-2-아민 (5.52 g, 36.8 mmol)의 용액에 EDCI (9.4 g, 49.04 mmol) 및 DMAP (6 g, 49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 (400 mL)으로 희석하고, 5% 수성 HCl, 물,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목적 생성물 tert-부틸 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카르복실레이트 (1A) 8.5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67
단계 2: N-(벤조[d]티아졸-2-일)-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8-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068
DCM (80 mL) 중 tert-부틸 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카르복실레이트 (1A) (8.5 g, 20.75 mmol)의 용액에 에테르 중 2N HCl (80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목적 생성물 N-(벤조[d]티아졸-2-일)-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8-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B)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69
단계 3: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1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070
DMA (60 mL) 중 N-(벤조[d]티아졸-2-일)-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8-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B) (5.3 g, 13.86 mmol) 및 메틸 2-클로로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2.5 g, 14 mmol)의 용액에 Cs2CO3 (25 g, 7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5% HCl로 산성화시키고, DCM으로 추출하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DCM 중 5% MeOH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1C) 4.2 g (67%)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71
단계 4: 표제 화합물 1의 제조:
표제 화합물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1)을 다음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THF (4 mL) 및 MeOH (2 mL) 중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1C) (180 mg, 4 mmol)의 용액에 2N NaOH (2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고, 5% 수성 HCl을 천천히 첨가하여 중화시켰다. 이어서,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시키고, DMSO/MeOH (1:1) 중에 용해시키고,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1)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72
실시예 2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2)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073
단계 1: 에틸 3-브로모-6-클로로-2-옥소헥사노에이트 (2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074
사염화탄소 (30 mL) 중 에틸 6-클로로-2-옥소헥사노에이트 (2.9 g, 15 mmol)에 브롬 (0.85 mL, 16.5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Na2S2O3 용액, 물,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헥산 중 0 → 10% EtOAc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에틸 3-브로모-6-클로로-2-옥소헥사노에이트 (2A)를 95%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75
단계 2: 에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클로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2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076
DMF (125 mL) 중 N-(벤조[d]티아졸-2-일)-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8-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B) (11.5 g, 30 mmol)에 TEA (16.7 mL, 120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디(1H-이미다졸-1-일)메탄티온 (6.53 g, 33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MeOH 중 7N 암모니아 (171 mL, 1.2 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암모니아, TEA, 및 MeOH를 제거하였다. 농축물에 EtOH (40 mL) 중 에틸 3-브로모-6-클로로-2-옥소헥사노에이트 (2A) (11.4 g, 42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50℃에서 4.5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EtOH (3 mL) 중 추가의 에틸 3-브로모-6-클로로-2-옥소헥사노에이트 (2A) (0.815 g, 3 mmol)을 첨가하고, 가열을 1.5 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EtOH를 제거한 다음,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농축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헥산 중 30 → 50% EtOAc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에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클로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2B)를 69%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77
단계 3: 에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요오도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2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078
아세토니트릴 (125 mL) 중 에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클로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2B) (9.3 g, 17.2 mmol)에 요오드화나트륨 (25.8 g, 17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로 2회 퍼징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5 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농축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Et2O로 슬러리로 만들고, 여과하고, 추가의 Et2O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에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요오도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2C)를 93%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79
단계 4: 표제 화합물 2의 제조:
표제 화합물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2)을 다음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DMF (2 mL) 중 페놀 (22.6 mg, 0.24 mmol)에 NaH (60% 오일 분산액) (24 mg, 0.6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5 분 동안 교반한 후, 에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요오도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2C) (127 mg, 0.2 mmol)를 첨가하고, 교반을 1 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N HCl을 사용하여 산성화시키고,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침전물을 Et2O로 슬러리로 만들고, 여과하고, 추가의 Et2O로 세척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DCM 중 0 → 2% MeOH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였다. DMF (1mL) 중 정제된 물질에 NaOH (4N 수성) (0.5 mL, 2 mmol)을 첨가하고, 50℃에서 5 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N HCl로 산성화시켰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Et2O로 슬러리로 만들고, 여과하고, Et2O로 세척하고, 진공 오븐 중에서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2)을 37%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80
실시예 3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피리딘-4-일티오)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3)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081
표제 화합물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피리딘-4-일티오)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3)을 다음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피리딘-4-티올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목적 생성물이 침전된 후, 고체를 HPLC (정제용 역상 HPLC는 자동화 길슨 HPLC 시스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메트리프렙 쉴드 RP18 정제용 카트리지, 250 mm x 21.20 mm i.d., 10 um, 및 유속 25 mL/분; λ=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40 분 동안 B 0→90%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피리딘-4-일티오)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3)을 30%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82
실시예 4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4)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083
표제 화합물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4)을 다음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tert-부틸 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알킬화 또는 가수분해 단계에서 1N HCl의 첨가가 여과가능한 고체를 생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각각의 단계를 실시예 2에 따랐으며, 최종 고체를 추가의 MeOH로 세척하여, 목적 화합물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4)을 58%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84
실시예 5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3-(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5)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085
표제 화합물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3-(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5)을 다음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tert-부틸 3-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중간체 알킬화 생성물을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86
실시예 6
5-(3-(4-아미노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6)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087
표제 화합물 5-(3-(4-아미노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6)을 다음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MeOH (1 mL) 중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4) (20 mg, 0.029 mmol)에 TFA (1 mL, 13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PLC (정제용 역상 HPLC는 자동화 길슨 HPLC 시스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메트리프렙 쉴드 RP18 정제용 카트리지, 250 mm x 21.20 mm i.d., 10 um, 및 유속 25 mL/분; λ=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40 분 동안 B 0→70%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5-(3-(4-아미노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을 48%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88
실시예 7
5-(3-(1H-피라졸-1-일)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7)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089
표제 화합물 5-(3-(1H-피라졸-1-일)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7)을 다음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1H-피라졸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중간체 알킬화 생성물을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90
실시예 8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이소퀴놀린-6-일옥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8)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091
단계 1: 메틸 2-아미노-5-요오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092
DCM (60mL) 중 메틸 2-아미노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5.6 g, 35.4 mmol)의 용액에 NIS (9.56 g, 42.5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EtOAc (200 mL)로 희석하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켜 목적 생성물 메틸 2-아미노-5-요오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A) 9.5 g (94%)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93
단계 2: 메틸 2-클로로-5-요오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094
아세토니트릴 (60 mL) 중 메틸 2-아미노-5-요오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A) (9 g, 31.7 mmol)의 용액에 CuCl (4.75 g, 48 mmol)에 이어서 t-부틸 니트라이트 (6.19 g, 6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NH4Cl을 교반 중인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하여 반응물을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헥산 중 5% 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메틸 2-클로로-5-요오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B) 7.5 g (78%)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95
단계 3: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요오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096
DMA (10mL) 중 N-(벤조[d]티아졸-2-일)-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8-카르복스아미드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B) (2 g, 5.23 mmol) 및 메틸 2-클로로-5-요오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B) (1.66 g, 5.23 mmol)의 용액에 Cs2CO3 (8.52 g, 26.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밤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5% HCl로 산성화시키고, DCM으로 추출하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DCM 중 5% MeOH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요오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C) 2.0 g (65%)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97
단계 4: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히드록시프로프-1-이닐)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D)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098
THF (20 mL) 중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요오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C) (1.2 g, 2.03 mmol) 및 프로프-2-인-1-올 (336 mg, 6 mmol)의 용액에 Pd(Ph3P)4 (231 mg, 0.2 mmol), CuI (76 mg, 0.121 mmol), DIEA (520 mg, 4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질소 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DCM (400 mL)으로 희석하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칼럼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DCM 중 5% MeOH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히드록시프로프-1-이닐)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D) 0.76 g (73%)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099
단계 5: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히드록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E)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00
EtOAc (20 mL) 중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히드록시프로프-1-이닐)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D) (1.2 g, 2.31 mmol)의 용액에 PtO2 (120 mg, 0.5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수소 풍선 하에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농축시켜 목적 생성물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히드록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E)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01
단계 6: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토실옥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F)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02
DCM (10mL) 중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히드록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0.5 g, 0.96 mmol)의 용액에 TsCl (182 mg, 1 mmol), TEA (97 mg, 1 mmol) 및 촉매량의 DMAP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목적 생성물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토실옥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F)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03
단계 7: 표제 화합물 8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04
표제 화합물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이소퀴놀린-6-일옥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8)을 다음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DMA (3 mL) 중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토실옥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F) (133 mg, 0.2 mmol) 및 5-히드록시이소퀴놀린 (45 mg, 0.3 mmol)의 용액에 Cs2CO3 (50 mg, 0.3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2N NaOH (4 mL)로 희석하고, 50℃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HCl로 중화시키고, 침전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이어서, 잔류물을 DMSO/MeOH (1:1) 중에 용해시키고,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이소퀴놀린-6-일옥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8)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05
실시예 9
5-(3-(3-아미노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9)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06
표제 화합물 9를, 실시예 6의 화합물 4를 화합물 5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07
실시예 10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피리딘-4-일옥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10)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08
화합물 10을, 실시예 2 단계 4의 페놀을 4-히드록시피리딘으로 대체하여, 일반적으로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중간체 알킬화 생성물을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09
실시예 11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3-(디메틸아미노)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11)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10
화합물 11을, 실시예 2 단계 4의 페놀을 3-(디메틸아미노)페놀로 대체하고 알킬화 단계에서 1N HCl을 첨가해도 여과가능한 고체가 생성되지 않도록 변형시켜 일반적으로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고, 반응 혼합물을 EtOAc (3 x 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이어서, 절차를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와 같이 계속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11
실시예 12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퀴놀린-5-일옥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12)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12
화합물 12를 실시예 8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실시예 8의 단계 7에서 5-히드록시이소퀴놀린 대신에 4-히드록시퀴놀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13
실시예 13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퀴놀린-8-일옥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13)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14
화합물 13을 실시예 8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실시예 8의 단계 7에서 5-히드록시이소퀴놀린 대신에 8-히드록시퀴놀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15
실시예 14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히드록시프로프-1-이닐)티아졸-4-카르복실산 (14)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16
화합물 14를 화합물 8D로부터 실시예 8의 단계 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가수분해 및 정제 절차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17
실시예 15
5-(3-(1H-벤조[d]이미다졸-1-일)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15)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18
화합물 15를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벤즈이미다졸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중간체 알킬화 생성물을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19
실시예 16
5-(3-(1H-이미다졸-1-일)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16)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20
화합물 16은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이미다졸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중간체 알킬화 생성물을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21
실시예 17
5-(3-(1H-피롤로[2,3-b]피리딘-1-일)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17)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22
화합물 17을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7-아자인돌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중간체 알킬화 생성물을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23
실시예 18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피롤리딘-1-일)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18)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24
화합물 18은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피롤리딘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중간체 알킬화 생성물을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목적 생성물이 침전된 후, 고체를 HPLC (정제용 역상 HPLC는 자동화 길슨 HPLC 시스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메트리프렙 쉴드 RP18 정제용 카트리지, 250 mm x 21.20 mm i.d., 10 um, 및 유속 25 mL/분; λ=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40 분 동안 B 0→70%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화합물 18을 18%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25
실시예 19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모르폴리노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19)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26
화합물 19는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모르폴린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중간체 알킬화 생성물을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목적 생성물이 침전된 후, 고체를 HPLC (정제용 역상 HPLC는 자동화 길슨 HPLC 시스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메트리프렙 쉴드 RP18 정제용 카트리지, 250 mm x 21.20 mm i.d., 10 um, 및 유속 25 mL/분; λ=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40 분 동안 B 0→70%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화합물 19를 5%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27
실시예 20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피페리딘-1-일)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20)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28
표제 화합물 20은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피페리딘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중간체 알킬화 생성물을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목적 생성물이 침전된 후, 고체를 HPLC (정제용 역상 HPLC는 자동화 길슨 HPLC 시스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메트리프렙 쉴드 RP18 정제용 카트리지, 250 mm x 21.20 mm i.d., 10 um, 및 유속 25 mL/분; λ=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40 분 동안 B 0→70%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화합물 20을 17%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29
실시예 21
5-(3-(4-(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21)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30
단계 1: 5-아미노-1-(4-브로모페닐)-1H-피라졸-4-카르복실산 (21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31
EtOH (30 mL) 중 (Z)-에틸 2-시아노-3-에톡시아크릴레이트 (2.099 g, 12.41 mmol), 4-브로모페닐히드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2.76 g, 12.41 mmol) 및 Na2CO3 (0.789 g, 7.44 mmol)의 혼합물을 5 시간 동안 환류하고, 약간 농축시켰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에테르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에스테르를 THF (5 mL) 및 MeOH (25 mL) 중에 용해시켰다. 10% NaOH 154 m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소량의 물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HCl을 사용하여 pH 6으로 중화시켰다. 백색 침전물을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화합물 21A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32
단계 2: 1-(4-브로모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21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33
DMSO (30 mL) 중 1,3,5-트리아진 (0.575 g, 7.09 mmol) 및 화합물 21A (2 g, 7.09 mmol)의 용액에 붕소 트리플루오라이드 에테레이트 (1.078 mL, 8.51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20℃에서 20 시간 동안 가열하고, 냉각시키고, EtOAc로 희석하고, 1% NaOH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소량의 EtOAc로 연화처리하고, 침전물을 수집하여 목적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34
단계 3: 1-(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21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35
DMSO (15 mL) 중 화합물 21B (500 mg, 1.817 mmol), 4,4,4',4',5,5,5',5'-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 (508 mg, 1.999 mmol), PdCl2(dppf)-CH2Cl2 부가물 (74.2 mg, 0.091 mmol) 및 아세트산칼륨 (535 mg, 5.45 mmol)의 혼합물을 질소로 퍼징한 다음, 8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DCM 중 0 → 20% 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21C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36
단계 4: 4-(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놀 (21D)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37
THF (5 mL) 중 화합물 21C (100 mg, 0.31 mmol)의 용액에 NaOH (0.248 mL, 0.621 mmol) 및 과산화수소 (0.048 mL, 0.46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농축물을 물 8 mL 중에 용해시켰다. 수용액을 묽은 HCl로 산성화시켰다. 백색 침전물을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21D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38
단계 5: 표제 화합물 21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39
DMF (5 mL) 중 화합물 21D (106 mg, 0.498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56.9 mg, 1.423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고, 화합물 2C (300 mg, 0.47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10% 수산화나트륨 (1.897 mL, 4.74 mmol), THF (5 mL) 및 MeOH (3 m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70℃에서 밤새 교반하고,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HCl에 의해 pH 4로 산성화시켰다. 침전물을 수집하고,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40
실시예 22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2-((1S,4S)-1,7,7-트리메틸비시클로[2.2.1]헵탄-2-일옥시)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22)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41
표제 화합물 22는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2-((1S,4S)-1,7,7-트리메틸비시클로[2.2.1]헵탄-2-일옥시)페놀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중간체 알킬화 생성물을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최종 생성물을 추가의 MeOH로 세척하여 목적 화합물 22를 76%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42
실시예 23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2-(4-(피리딘-2-일)피페라진-1-일)벤조[d]티아졸-6-일옥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23)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43
표제 화합물 23은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2-(4-(피리딘-2-일)피페라진-1-일)벤조[d]티아졸-6-올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알킬화 중간체를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1N HCl을 사용하여 침전시킨 후, 최종 생성물을 추가로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CH2Cl2 중 0 → 10% MeOH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3을 39%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44
실시예 24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1-페닐시클로펜틸)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24)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45
표제 화합물 24는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4-(1-페닐시클로펜틸)페놀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알킬화 중간체를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최종 생성물을 추가의 MeOH로 세척하여 목적 화합물 24를 67%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46
실시예 25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1-시아노-1,2-디히드로시클로부타벤젠-4-일옥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25)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47
표제 화합물 25를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4-히드록시-1,2-디히드로시클로부타벤젠-1-카르보니트릴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알킬화 중간체를 단리시키지 않았다. 에스테르 가수분해를 주위 온도에서 수행하고, 최종 생성물을 추가의 MeOH로 세척하여 목적 생성물 25를 50%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48
실시예 26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1-시아노시클로부틸)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26)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49
표제 화합물 26은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1-(4-히드록시페닐) 시클로부탄카르보니트릴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알킬화 중간체를 단리시키지 않았다. 에스테르 가수분해를 주위 온도에서 수행하고, 최종 생성물을 추가의 MeOH로 세척하여 목적 생성물 26을 45%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50
실시예 27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1,2,3,5,6,7-헥사히드로피리도[3,2,1-ij]퀴놀린-8-일옥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27)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51
표제 화합물 27은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1,2,3,5,6,7-헥사히드로피리도[3,2,1-ij]퀴놀린-8-올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알킬화 중간체를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1N HCl을 사용하여 침전시킨 후, 최종 생성물을 추가로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CH2Cl2 중 0 → 12% MeOH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화합물 27을 20%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52
실시예 28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2-(((5,6-디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메틸)(프로필)아미노)에틸)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28)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53
표제 화합물 28은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4-(2-(((5,6-디메톡시-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메틸)(프로필)아미노)에틸)페놀, HCl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알킬화 중간체를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목적 생성물이 침전된 후, 고체를 HPLC (정제용 역상 HPLC는 자동화 길슨 HPLC 시스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메트리프렙 쉴드 RP18 정제용 카트리지, 250 mm x 21.20 mm i.d., 10 um, 및 유속 25 mL/분; λ=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40 분 동안 B 0→90%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7%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54
실시예 29
5-(3-(4-(4-(벤조[d]티아졸-2-일)피페라진-1-일)-2-메틸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29)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55
표제 화합물 29는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4-(4-(벤조[d]티아졸-2-일)피페라진-1-일)-2-메틸페놀, 2HCl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알킬화 중간체를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목적 생성물이 침전된 후, 고체를 HPLC (정제용 역상 HPLC는 자동화 길슨 HPLC 시스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메트리프렙 쉴드 RP18 정제용 카트리지, 250 mm x 21.20 mm i.d., 10 um, 및 유속 25 mL/분; λ=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40 분 동안 B 0→90%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9를 12%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56
실시예 30
(E)-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3-(2-시아노비닐)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30)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57
표제 화합물 30은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E)-3-(2-(1,2,4-옥사디아졸-3-일)비닐)페놀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목적 알킬화에 더하여, NaH를 옥사디아졸릴 잔기와 반응시켜 옥사디아졸릴 잔기 대신에 시아노 잔기를 형성하였다. 이 중간체를 에스테르 가수분해 (주위 온도에서 수행)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목적 생성물이 침전된 후, 고체를 HPLC (정제용 역상 HPLC는 자동화 길슨 HPLC 시스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메트리프렙 쉴드 RP18 정제용 카트리지, 250 mm x 21.20 mm i.d., 10 um, 및 유속 25 mL/분; λ=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40 분 동안 B 0→90%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0을 14%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58
실시예 31
5-(3-(4-(5-아미노-4-시아노-1H-피라졸-3-일)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31)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59
단계 1: 4-(벤질옥시)벤조일 클로라이드 (31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60
4-(벤질옥시)벤조산 (4.73 g, 20.72 mmol)을 CH2Cl2 (50 mL)에 현탁시켰다. 현탁액을 0℃로 냉각시켰다. 이 현탁액에 옥살릴 클로라이드 (3.63 mL, 41.4 mmol)에 이어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 (0.24 mL, 3.11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단리된 고체를 후속 반응에 추가 정제없이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2: 2-(4-(벤질옥시)벤조일)말로노니트릴 (31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61
NaH (1.657 g, 60%, 41.4 mmol)를 THF (10 mL)에 현탁시켰다. 이 현탁액에 THF (10 mL) 중 말로노니트릴 (1.368 g, 20.71 mmol)을 0℃에서 10 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현탁액을 추가의 2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THF (40 mL) 중 화합물 31A (5.11 g, 20.71 mmol)를 조금씩 첨가하였다. 그 후, 용액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의 pH를 진한 HCl을 사용하여 1로 조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물과 EtOAc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추가의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1 Hex/EtOAc (50 mL)로 연화처리하여 고체를 수득하였고, 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목적 생성물 31B 3.7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62
단계 3: 2-((4-(벤질옥시)페닐)(메톡시)메틸렌)말로노니트릴 (31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63
화합물 31B (3.7 g, 13.39 mmol)를 1,4-디옥산 (30 mL) 및 물 (5 mL) 중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중탄산나트륨 (9.0 g, 107 mmol)을 조금씩 첨가하여 기체 형성을 조절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에 디메틸 술페이트 (8.96 mL, 9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환류 하에 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물과 EtOAc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추가의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7:3/헥산: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3.1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64
단계 4: 5-아미노-3-(4-(벤질옥시)페닐)-1H-피라졸-4-카르보니트릴 (31D)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65
화합물 31C (3.1 g, 10.68 mmol)를 EtOH (20 mL) 중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히드라진 수화물 (0.622 mL, 12.8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환류 하에 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EtOAc에 녹였다. 이어서, 이것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목적 생성물 2.72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66
단계 5: tert-부틸 5-아미노-3-(4-(벤질옥시)페닐)-4-시아노-1H-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31E)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67
THF (15 mL) 중 화합물 31D (1.6 g, 5.51 mmol) 및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1.44 g, 6.61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N,N-디메틸피리딘-4-아민 (0.808 g, 6.6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5:1/헥산: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2.03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68
단계 6: tert-부틸 5-아미노-4-시아노-3-(4-히드록시페닐)-1H-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31F)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69
EtOH (15 mL) 중 화합물 31E (1.3 g, 3.33 mmol) 및 Pd/C (0.071 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수소의 풍선으로 6 시간 동안 수소화시켰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1:1/헥산: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31F 0.85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70
단계 7: 표제 화합물 31의 제조:
DMF (4 mL) 중 화합물 31F (0.132 g, 0.44 mmol)에 60% 수소화나트륨 (0.048 g, 1.2 mmol)을 0℃에서 첨가하였다. 용액을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화합물 2C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진한 HCl (0.5 mL)로 희석하고, 60℃에서 30 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DMSO (5 mL) 및 MeOH (9 mL)로 희석하였다. 고체를 여과하였다. 이어서, 여과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12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71
실시예 32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시아노-3-(4-히드록시페닐)-1H-피라졸-5-일아미노)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32)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72
표제 화합물 32를 화합물 31의 합성으로부터 부산물로서 단리시켰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73
실시예 33
5-(3-(4-(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33)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74
단계 1: 5-아미노-1-(3-브로모페닐)-1H-피라졸-4-카르복실산 (33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75
화합물 33A를 실시예 21의 단계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4-브로모페닐히드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대신에 3-브로모페닐히드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76
단계 2: 1-(3-브로모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33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77
화합물 33B를 실시예 21의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21A 대신에 화합물 33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78
단계 3: 1-(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33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79
표제 화합물 33C를 실시예 21의 단계 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21B 대신에 화합물 33B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80
단계 4: 3-(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놀 (33D)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81
표제 화합물 33D를 실시예 21의 단계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21C 대신에 화합물 33C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82
단계 5: 표제 화합물 33의 제조:
표제 화합물 33을 실시예 21의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21D 대신에 화합물 33D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83
실시예 34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4-(히드록시메틸)페닐)티아졸-4-카르복실산 (34)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84
단계 1: 에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4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85
화합물 34A를 실시예 1의 단계 3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메틸 2-클로로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대신에 에틸 2-클로로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86
단계 2: 에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브로모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4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87
아세토니트릴 중 화합물 34A에 1.05 당량의 NBS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3:2 헥산/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88
단계 3: 에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브로모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4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89
THF (6 mL) 중 화합물 34B (0.815 g, 1.5 mmol) 및 SEMCl (0.318 mL, 1.8 mmol)의 혼합물에 실온에서 TEA (0.65 mL, 4.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3:1/헥산: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2종의 분리할 수 없는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의 목적 생성물 0.95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90
단계 4: 에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4-(히드록시메틸)페닐)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4D)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91
DME (2 mL) 및 MeOH (1 mL) 중 화합물 34C (0.135 g, 0.2 mmol), 4-(히드록시메틸)페닐보론산 (0.033 g, 0.22 mmol), Pd(PPh3)4 (0.012 g, 0.01 mmol) 및 CsF (0.091 g, 0.6 mmol)의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조건 (110℃, 20 분) 하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물과 EtOAc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추가의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1:1/헥산: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34D 0.085 g을 수득하였으며, 이는 2종의 위치이성질체의 혼합물이었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92
단계 5: 표제 화합물 34의 제조:
1,4-디옥산 (2 mL) 중 화합물 34D (0.14 g)에 MeOH (0.5 mL) 및 1,4-디옥산 (2 mL) 중 4N HC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1,4-디옥산 (2 mL) 중 1.0 N LiOH (2 m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6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34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93
실시예 35
5-(4-((4-(5-아미노-4-시아노-1H-피라졸-3-일)페녹시)메틸)페닐)-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35)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94
단계 1: 에틸 5-(4-((4-(5-아미노-1-(tert-부톡시카르보닐)-4-시아노-1H-피라졸-3-일)페녹시)메틸)페닐)-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5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95
화합물 34D (0.14 g, 0.2 mmol), PPh3 (0.079 g, 0.3 mmol), 및 화합물 31F (0.066 g, 0.022 mmol)의 혼합물을 THF (3 mL) 중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이 용액에 DBAD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2:1/헥산: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13 g을 2종의 분리할 수 없는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96
단계 2: 표제 화합물 35의 제조:
표제 화합물 35를 실시예 34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34D 대신에 화합물 35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197
실시예 36
5-(3-(3-(5-아미노-4-시아노-1H-피라졸-3-일)페녹시)프로프-1-이닐)-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36)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198
단계 1: tert-부틸 5-아미노-4-시아노-3-(3-히드록시페닐)-1H-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36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199
화합물 36A를 화합물 31F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4-(벤질옥시)벤조산 대신에 3-(벤질옥시)벤조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00
단계 2: 에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히드록시프로프-1-이닐)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6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01
DMF (2 mL) 중 화합물 34C (0.38 g, 0.564 mmol), 프로프-2-인-1-올 (0.047 g, 0.846 mmol), CuI (0.011 g, 0.056 mmol), Et3N (1.57 mL, 11 mmol) 및 Pd(PPh3)2Cl2 (0.02 g, 0.028 mmol)의 혼합물을 90℃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CH2Cl2로 희석하였다. 고체를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3:2/헥산: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36B 0.19 g을 2종의 분리할 수 없는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02
단계 3: 에틸 5-(3-(3-(5-아미노-1-(tert-부톡시카르보닐)-4-시아노-1H-피라졸-3-일)페녹시)프로프-1-이닐)-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6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03
화합물 36C를 화합물 35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D 및 화합물 31F 대신에 화합물 36B 및 화합물 36A를 사용하여 2종의 분리할 수 없는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04
단계 4: 표제 화합물 36의 제조:
표제 화합물 36을 화합물 34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34의 단계 5에서 화합물 34D 대신에 화합물 36C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05
실시예 37
5-(4-((3-(5-아미노-4-시아노-1H-피라졸-3-일)페녹시)메틸)페닐)-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37)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206
단계 1: 에틸 5-(4-((3-(5-아미노-1-(tert-부톡시카르보닐)-4-시아노-1H-피라졸-3-일)페녹시)메틸)페닐)-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7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07
표제 화합물 37A를 화합물 35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31F 대신에 화합물 36A를 사용하여 2종의 분리할 수 없는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08
단계 2: 표제 화합물 37의 제조:
표제 화합물 37을 화합물 34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34D 대신에 화합물 37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09
실시예 38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히드록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38)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210
단계 1: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8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11
THF (150mL) 중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14 g, 31.1 mmol)의 용액에 TEA (6.3 g, 62.1 mmol) 및 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 (7.77 g, 46.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 (400mL)로 희석하고, 3%HCl,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생성물 18.2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12
단계 2: tert-부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8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13
t-부틸 아세테이트 (200mL) 중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8A) (14 g, 24.1 mmol)의 교반 중인 용액에 진공 하에 THF (2M) 중 t-BuOK 2mL을 첨가하였다. 3x2mL t-BuOK를 교반 중인 용액에 진공 하에 첨가하여 반응이 완결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중성으로 산성화시키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헥산 중 5% 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38B 3.5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14
단계 3: tert-부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요오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8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15
DCM (30mL) 중 tert-부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8B) (2.2 g, 3.53 mmol)의 용액에 NIS (0.795 g, 3.5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EtOAc (300mL)로 희석하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헥산 중 5% 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2.6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16
단계 4: tert-부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히드록시프로프-1-이닐)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8D)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17
THF (20 mL) 중 tert-부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요오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8C) (2.5 g, 3.34 mmol) 및 프로프-2-인-1-올 (562 mg, 10 mmol)의 용액에 Pd(Ph3P)4 (193 mg, 0.167 mmol), CuI (64 mg, 0.334 mmol), DIEA (863 mg, 6.7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질소 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DCM (400 mL)으로 희석하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칼럼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DCM 중 5% MeOH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2.0 g (88%)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18
단계 5: tert-부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히드록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8E)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19
EtOAc (20 mL) 중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히드록시프로프-1-이닐)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8D) (2.0 g, 3.96 mmol)의 용액에 PtO2 (240 mg, 1.1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수소 (풍선) 하에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목적 생성물 38E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20
단계 6: 표제 화합물 38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21
DCM (2 mL) 중 tert-부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히드록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8E) (68 mg, 0.1 mmol)의 용액에 에테르 중 2N HCl 2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MeOH (0.5 mL)를 혼합물에 첨가하여 고체를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목적 생성물을 HCl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22
실시예 39
5-(3-(3-(5-아미노-4-시아노-1H-피라졸-3-일)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39)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223
단계 1: tert-부틸 5-(3-(3-(5-아미노-1-(tert-부톡시카르보닐)-4-시아노-1H-피라졸-3-일)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39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24
표제 화합물 39A를 화합물 35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D 및 화합물 31F 대신에 화합물 38E 및 화합물 36A를 사용하여 2종의 분리할 수 없는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25
단계 2: 표제 화합물 39의 제조:
표제 화합물 39를 실시예 34의 단계 5에 기재된 절차와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34D 대신에 화합물 39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26
실시예 40
5-(3-(4-(5-아미노-4-시아노-1H-피라졸-3-일)페녹시)프로프-1-이닐)-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40)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227
단계 1: 에틸 5-(3-(4-(5-아미노-1-(tert-부톡시카르보닐)-4-시아노-1H-피라졸-3-일)페녹시)프로프-1-이닐)-2-(8-(벤조[d]티아졸-2-일(tert-부톡시카르보닐)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0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28
화합물 40A를 실시예 35의 단계 1에 기재된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34D 대신에 화합물 36B를 사용하여 2종의 분리할 수 없는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29
단계 2: 표제 화합물 40의 제조:
표제 화합물 40을 화합물 34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34D 대신에 화합물 40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30
실시예 41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피리딘-3-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41)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231
단계 1: tert-부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요오도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1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32
THF (2 mL) 중 tert-부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히드록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92 mg, 0.135 mmol), 트리페닐포스핀 (35.4 mg, 0.135 mmol) 및 4-요오도페놀 (29.7 mg, 0.135 mmol)의 용액에 DBAD (32 mg, 0.135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목적 생성물을 단일 피크로서 나타내었다.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헥산 중 3% 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110 mg (92%)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33
단계 2: 표제 화합물 41의 제조:
DME/MeOH (2:1, 3mL) 중 tert-부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요오도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20 mg, 0.023 mmol) 및 피리딘-3-보론산 (41A) (2.83 mg, 0.23 mmol)의 혼합물에 Pd(Ph3P)4 (1.37 mg, 0.115 umol) 및 CsF (12 mg, 0.069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가열 (스미쓰 합성기(Smith Synthesizer)) 하에 100℃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 (200 mL)로 희석하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헥산 중 5% 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생성물 17 mg (90%)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바로 실시예 38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여 탈보호시켜 표제 화합물 41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34
실시예 42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4-페녹시부틸)티아졸-4-카르복실산 (42A)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235
단계 1: 에틸 3-브로모-7-클로로-2-옥소헵타노에이트 (42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36
표제 화합물 42A를 실시예 2의 단계 1에서 에틸 6-클로로-2-옥소헥사노에이트 대신에 에틸 7-클로로-2-옥소헵타노에이트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37
단계 2: 에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4-클로로부틸)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2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38
표제 화합물 42B를 실시예 2의 단계 2에서 화합물 2A 대신에 화합물 42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39
단계 3: 에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4-요오도부틸)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2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40
표제 화합물 42C를 실시예 2의 단계 3에서 화합물 2B 대신에 화합물 42B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41
단계 4: 표제 화합물 42의 제조:
표제 화합물 42를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화합물 2C 대신에 화합물 42C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42
실시예 43
5-(4-(4-(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녹시)부틸)-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43)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243
표제 화합물 43을 실시예 2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2C 대신에 화합물 42C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44
실시예 44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4-(이소프로필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44)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245
단계 1: 에틸 5-아미노-1-(4-메톡시페닐)-1H-피라졸-4-카르복실레이트 (44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46
EtOH (480 mL) 중 (Z)-에틸 2-시아노-3-에톡시아크릴레이트 (9.64 g, 57.0 mmol), 4-메톡시페닐히드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9.95 g, 57.0 mmol) 및 Na2CO3 (6.04 g, 57.0 mmol)의 혼합물을 5 시간 동안 환류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고체를 침전시켰다. 침전물을 수집하고, MeOH로 세척하고, 물로 광범위하게 세척하였다. 연한 고체를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47
단계 2: 1-(4-메톡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3aH)-온 (44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48
화합물 44A (7 g, 26.8 mmol) 및 포름아미드 (64.1 mL, 1607 mmol)의 혼합물을 180℃에서 밤새 가열하고 냉각시켰다. 침전물을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49
단계 3: 4-클로로-1-(4-메톡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 (44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50
화합물 44B (2 g, 8.26 mmol) 및 포스포릴 트리클로라이드 (11.51 mL, 124 mmol)의 혼합물을 100℃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하고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에 천천히 부었다. 침전물을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51
단계 4: 4-(4-(이소프로필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놀 (44D)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52
THF (10mL) 중 화합물 44C (388 mg, 1.48 mmol) 및 프로판-2-아민 (0.14 mL, 1.63 mmol)의 혼합물에 TEA (0.456 mL, 3.27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0℃에서 밤새 교반하고, EtOAc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건조시켰다. 조 물질에 테트라메틸렌 술폰 (5 mL) 중 요오도트리메틸실란 (1.0 mL, 7.0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빙수 (5 mL)에 천천히 부었다. 침전물을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역상 HPLC (이동상: 0.1% TFA 수용액 중 0%→50% 아세토니트릴, 40 분 동안)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53
단계 5: 표제 화합물 44의 제조:
표제 화합물 44를 실시예 21의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21D 대신에 화합물 44D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54
실시예 45
5-((4-(5-아미노-4-시아노-1H-피라졸-3-일)페녹시)메틸)-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255
단계 1: N-(벤조[d]티아졸-2-일)-2-(4-클로로-5-포르밀티아졸-2-일)-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8-카르복스아미드 (45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56
DMA (30 mL) 중 화합물 1B (3.82 g, 10 mmol), 2,4-디클로로티아졸-5-카르브알데히드 (1.82 g, 10 mmol), 및 Cs2CO3 (9.77 g, 30 mmol)의 혼합물을 60℃에서 8 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물 (500 mL)에 부었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켜 (60℃), 목적 생성물 (45A) 4.2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57
단계 2: (E)-2-(4-클로로-5-포르밀티아졸-2-일)-N-(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8-카르복스아미드 (45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58
화합물 45B를 화합물 34C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34의 단계 3에서 화합물 34B 대신에 화합물 45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화합물 45B를 2종의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1:4 헥산:EtOAc로 연화처리하여 백색 고체로서 단리시켰다. 모액으로부터 다른 이성질체를 단리시켰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59
단계 3: (E)-메틸 5-포르밀-2-(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5C):
Figure 112011055058021-pct00260
MeOH (50 mL) 중 화합물 45B (4.6 g, 7.86 mmol)를 250 mL SS 압력 병 내의 Pd-dppf (0.288 g, 0.393 mmol) 및 NEt3 (2.191 mL, 15.72 mmol)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CO (60 psi)로 가압하고, 100℃에서 7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한 다음, 여과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3:1/헥산: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45C 4.45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61
단계 4: (E)-메틸 5-(히드록시메틸)-2-(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5D)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62
MeOH (50 mL) 및 THF (20 mL) 중 화합물 45C (2.08 g, 3.42 mmol)에 NaBH4 (0.259 g, 6.8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단리시키고, 수성 층을 추가의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1:1/헥산: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1.86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63
단계 5: (E)-메틸 5-((4-(5-아미노-1-(tert-부톡시카르보닐)-4-시아노-1H-피라졸-3-일)페녹시)메틸)-2-(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5E)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64
화합물 45E를 화합물 35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35의 단계 1에서 화합물 34D 대신에 화합물 45D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65
단계 6: 제조 표제 화합물 45:
표제 화합물 45를 화합물 34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34D 대신에 화합물 45E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66
실시예 46
5-[3-(5-아미노-4-시아노-1H-피라졸-3-일)-페녹시메틸]-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티아졸-4-카르복실산 (46)의 합성:
단계 1: (E)-메틸 5-((3-(5-아미노-1-(tert-부톡시카르보닐)-4-시아노-1H-피라졸-3-일)페녹시)메틸)-2-(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6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68
표제 화합물 (46A)을 화합물 35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35의 단계 1에서 각각 화합물 34D 및 화합물 31F 대신에 화합물 45D 및 화합물 36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69
단계 2: 표제 화합물 46의 제조:
표제 화합물 46을 화합물 34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34의 단계 5에서 화합물 34D 대신에 화합물 46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70
실시예 47
5-{3-[4-(5-아미노-4-시아노-티오펜-3-일)-페녹시]-프로필}-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티아졸-4-카르복실산 (47)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271
단계 1: 2-(1-(4-(벤질옥시)페닐)에틸리덴)말로노니트릴 (47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72
헥사메틸디실라잔 (2.50 mL, 1.937 g, 12.0 mmol)을 아세트산 (6 mL) 중 1-(4-(벤질옥시)페닐)에타논 (2.263 g, 10 mmol)에 내부 온도를 74℃ 미만으로 유지하는 비율로 첨가하였다. 첨가가 끝난 후, 아세트산 (6 mL) 중 말로노니트릴 (1.32 g, 20 mmol)을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90℃에서 1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얼음/물에 붓고, EtOAc로 추출하고,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고체를 1:9 EtOAc/헥산으로 연화처리하여 목적 생성물 2.74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73
단계 2: 2-아미노-4-(4-(벤질옥시)페닐)티오펜-3-카르보니트릴 (47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74
THF (20 mL) 중 화합물 47A (2.74 g, 9.99 mmol) 및 황 (0.374 g, 11.99 mmol)의 혼합물에 중탄산나트륨 (0.839 g, 9.9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 하에 2 시간 동안 가열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단리시키고, 수성 층을 추가의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3:1/헥산: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2.42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75
단계 3: 2-아미노-4-(4-히드록시페닐)티오펜-3-카르보니트릴 (47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76
DCM (80 mL) 중 화합물 47B (1.1 g, 3.59 mmol)에 실온에서 DCM 중 1.0 M BBr3 (36 mL, 36 mmol)을 첨가하였다. 첨가시 침전물이 형성되었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점차적으로 사라졌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물과 EtOAc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단리시켰다.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3:2/헥산: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47C 0.65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77
단계 4: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요오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7D)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78
화합물 47D를 화합물 34C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34의 단계 3에서 화합물 34B 대신에 화합물 8C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79
단계 5: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히드록시프로프-1-이닐)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7E)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80
화합물 47E를 화합물 36B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34의 단계 2에서 화합물 34C 대신에 화합물 47D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81
단계 6: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히드록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7F)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82
표제 화합물 (47F)을 화합물 8E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8D 대신에 화합물 47E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83
단계 7: 메틸 5-(3-(4-(5-아미노-4-시아노티오펜-3-일)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7G)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84
화합물 47G를 화합물 35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B 및 화합물 31F 대신에 화합물 47F 및 화합물 47C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85
단계 8: 표제 화합물 47H의 제조:
표제 화합물 47H를 화합물 34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34D 대신에 화합물 47G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86
실시예 48
5-(3-(4-(1H-피라졸-1-일)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48)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287
표제 화합물 48을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4-(1H-피라졸-1-일)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알킬화 중간체를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목적 생성물이 침전된 후, 고체를 HPLC (정제용 역상 HPLC는 자동화 길슨 HPLC 시스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메트리프렙 쉴드 RP18 정제용 카트리지, 250 mm x 21.20 mm i.d., 10 um, 및 유속 25 mL/분; λ=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40 분 동안 B 0→90%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8을 29%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88
실시예 49
5-(2-(4-(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녹시)에틸)-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49)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289
단계 1: N-(벤조[d]티아졸-2-일)-2-카르바모티오일-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8-카르복스아미드 (49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90
DMF (50 mL) 중 화합물 1B (3.25 g, 8.50 mmol)의 혼합물에 TEA (4.71 mL, 34.0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0 분 동안 교반하고, 디(1H-이미다졸-1-일)메탄티온 (1.818 g, 10.2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암모니아 (MeOH 중 7 N) (48.6 mL, 340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암모니아 및 MeOH를 제거하였다. DMF 용액을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직접 사용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91
단계 2: 에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9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92
0℃에서 Et2O (4 mL) 중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판알 (1 g, 5.31 mmol) 및 에틸 2,2-디클로로아세테이트 (0.651 mL, 5.31 mmol)의 용액에 EtOH (4 mL) 중 나트륨 에탄올레이트 (0.397 g, 5.84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고, Et2O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진공하에 건조시키고, EtOH (8 mL)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에 DMF 중 실시예 49A (1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8 시간 동안 가열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에 용해시키고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헥산 중 0% → 17% EtOAc에 이어서 DCM 중 0% → 15% 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49B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93
단계 3: 에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9C1); 및 (Z)-에틸 5-(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틸)-2-(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9C2)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94
DMF (5 mL) 중 실시예 49B (365 mg, 0.586 mmol) 및 (2-(클로로메톡시)에틸)트리메틸실란 (0.109 mL, 0.615 mmol)의 혼합물에 TEA (0.163 mL, 1.172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목적 생성물은 2종의 위치이성질체 (49C1 및 49C2)로 존재하였다. 반응물을 EtOAc로 희석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단계 4: 에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2-히드록시에틸)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9D1); 및 (Z)-에틸 5-(2-히드록시에틸)-2-(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9D2)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95
DCM (2 mL) 중 실시예 49C1 및 49C2 (400 mg, 0.531 mmol)의 용액에 MeOH (50 mL)를 첨가하였다. MeOH 중 1% HCl (3.87 mL, 1.062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고, EtOAc (250 mL)로 희석하고, 50% NaC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에 용해시키고,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DCM 중 0% → 25% EtOAc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49D1 및 49D2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96
단계 5: 에틸 5-(2-(4-(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녹시)에틸)-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9E1); 및 (Z)-에틸 5-(2-(4-(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녹시)에틸)-2-(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49E2)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97
화합물 21D (27.8 mg, 0.131 mmol)를 THF (1.5 mL) 중에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화합물 49D1 및 49D2 (55.7 mg, 0.087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 (11.43 mg, 0.044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E)-디-tert-부틸 디아젠-1,2-디카르복실레이트 (10.04 mg, 0.04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2% NaOH, 5% HCl, 및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DCM 중 0 → 25% EtOAc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49E1 및 49E2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298
단계 6: 5-(2-(4-(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녹시)에틸)-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49)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299
DCM (5 mL) 중 화합물 49E1 및 화합물 49E2 (100 mg, 0.120 mmol)의 용액에 에테르 중 2N HCl (0.60 mL, 1.2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5 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물질에 THF (5 mL) 및 MeOH (5 mL) 중 10% NaOH (0.17 mL, 0.427 mmol) 및 물 (5 mL)을 첨가하고, 50℃로 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HCl을 사용하여 산성화시키고,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 생성물 49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00
실시예 50
5-(2-(3-(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녹시)에틸)-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50)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01
단계 1: 에틸 5-(2-(3-(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녹시)에틸)-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50A1); 및 (Z)-에틸 5-(2-(3-(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녹시)에틸)-2-(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50A2)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02
화합물 50A1 및 50A2를 실시예 49의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21D 대신에 화합물 33D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03
단계 2: 5-(2-(3-(1H-피라졸로 [3,4-d]피리미딘-1-일)페녹시)에틸)-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50)의 제조:
화합물 50을 실시예 49의 단계 5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49E1 및 화합물 49E2 대신에 화합물 50A1 및 화합물 5OA2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04
실시예 51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4-(4-시아노-티오펜-3-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51)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05
단계 1: 4-(4-히드록시페닐)티오펜-3-카르보니트릴 (51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06
화합물 51A를 화합물 34D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C 및 4-(히드록시메틸)페닐보론산 대신에 4-브로모티오펜-3-카르보니트릴 및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07
단계 2: 표제 화합물 51의 제조:
DMF (4 mL) 중 화합물 51A (0.095 g, 0.015 mmol)에 60% 수소화나트륨 (0.036 g, 0.9 mmol)을 0℃에서 첨가하였다. 용액을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화합물 2C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MeOH (1 mL)로 켄칭하였다. 진한 HCl (0.5 mL)을 첨가하고, 용액을 시린지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이어서, 여과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51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08
실시예 52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9-이소프로필-9H-퓨린-6-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52)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09
단계 1: 6-클로로-N4-이소프로필피리미딘-4,5-디아민 (52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10
4,6-디클로로피리미딘-5-아민 (492 mg, 3 mmol), 프로판-2-아민 (284 ㎕, 3.3 mmol) 및 Et3N (836 ㎕, 6 mmol)을 합하고, 환류 하에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5 일 동안 환류하고, 매일 추가의 이소프로필아민 (0.77 mL, 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키고, 물로 슬러리로 만들고, 여과하고, 추가의 물로 헹구고, 감압 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52A를 황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11
단계 2: 6-클로로-9-이소프로필-9H-퓨린 (52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12
화합물 52A (268 mg, 1.44 mmol), 트리에틸 오르토포르메이트 (2.4 ml, 14.36 mmol) 및 파라-톨루엔술폰산 (27.3 mg, 0.144 mmol)을 합하고, 115℃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키자 침전이 일어났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헹구고, 감압 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52B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13
단계 3: 9-이소프로필-6-(4-(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페닐)-9H-퓨린 (52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14
톨루엔 (5 ml) 중 화합물 52B (165 mg, 0.84 mmol)를 4-(테트라히드로-2H-피란-2-일옥시)페닐보론산 (280 mg, 1.2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48.6 mg, 0.042 mmol) 및 탄산나트륨 (2N 수성) (1.26 ml, 2.52 mmol)로 순차적으로 처리하였다. 반응 용기를 질소로 퍼징하고, 환류 하에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농축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CH2Cl2 중 0 → 5% MeOH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15
단계 4: 4-(9-이소프로필-9H-퓨린-6-일)페놀 (52D)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16
디옥산 (3 ml) 중 화합물 52C (149 mg, 0.44 mmol)를 HCl (디옥산 중 4N) (0.55 ml, 2.2 mmol)로 처리하고, 주위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건조시켜 밝은 회색 고체 52D를 94%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17
단계 5: 표제 화합물 52의 제조:
표제 화합물 52를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화합물 52D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알킬화 중간체를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CH2Cl2 중 0 → 60% EtOAc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였다. 나머지 절차를 실시예 2의 단계 4에 따랐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18
실시예 53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3-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53)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19
표제 화합물 53을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4-(5,6-디히드로이미다조[2,1-b]티아졸-3-일)페놀, HBr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알킬화 중간체를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헥산 중 5 → 60 % EtOAc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였다. 에스테르 가수분해를 주위 온도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절차를 실시예 2의 단계 4에 기재된 대로 따랐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20
실시예 54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4-(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54)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21
단계 1: 4-(4-(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놀 (54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22
표제 화합물 54A를 실시예 44의 단계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이소프로필아민 대신에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23
단계 2: 표제 화합물 54의 제조:
DMF (5 ml) 중 화합물 54A (160mg, 0.512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102 mg, 2.56 mmol)(60%)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 분 동안 교반하고, 실시예 2C (194 mg, 0.307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메탄올 (3 ml), 10% NaOH (3 ml) 및 물 (1 m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TFA로 산성화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MSO-메탄올의 혼합물 중에 용해시키고, 역상 HPLC (이동상: 0.1% TFA 수용액 중 0% → 55% 아세토니트릴, 60 분 동안)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24
실시예 55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2-(벤질옥시)에틸)티아졸-4-카르복실산 (55)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25
단계 1: 에틸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2-(벤질옥시)에틸)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55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26
화합물 55A를 실시예 49의 단계 2에 대해 기재된 것과 동일한 순서를 사용하여 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판알 대신에 3-(벤질옥시)프로판알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27
단계 2: 표제 화합물 55의 제조:
THF (3 ml) 및 MeOH (3 ml) 중 화합물 55A (138 mg, 0.230 mmol)를 10% 수산화나트륨 (0.46 ml, 1.152 mmol)으로 1 일 동안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진한 HCl로 산성화시켰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28
실시예 56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4-(3-시아노-피리딘-2-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56)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29
단계 1: 2-(4-히드록시페닐)니코티노니트릴 (56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30
화합물 56A를 화합물 34D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C 및 4-(히드록시메틸)페닐보론산 대신에 2-클로로니코티노니트릴 및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31
단계 2: 표제 화합물 56의 제조:
표제 화합물 56을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51의 단계 2에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56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32
실시예 57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6-(3-(디메틸아미노)프로프-1-이닐)피리딘-3-일옥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57)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33
단계 1: 2-클로로-5-((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피리딘 (57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34
표제 화합물 57A를 실시예 49의 단계 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49B 대신에 6-클로로피리딘-3-올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35
단계 2: N,N-디메틸-3-(5-((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톡시)피리딘-2-일)프로프-2-인-1-아민 (57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36
DMF (3 ml) 중 화합물 57A (154mg, 0.593 mmol), N,N-디메틸프로프-2-인-1-아민 (0.190 ml, 1.778 mmol), (PPh3)2PdCl2 (62.4 mg, 0.089 mmol), TEA (0.413 ml, 2.96 mmol)의 혼합물에 요오드화구리(I) (11.29 mg, 0.059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스미쓰 마이크로웨이브 합성기 중에서 150℃에서 30 분 동안 가열하고,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57B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37
단계 3: 6-(3-(디메틸아미노)프로프-1-이닐)피리딘-3-올 (57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38
MeOH (3 ml) 중 화합물 57B (40mg, 0.131 mmol)를 에테르 중 2N 염화수소 (0.1 ml, 0.200 mmol)로 1 시간 동안 처리하고, 혼합물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57C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39
단계 4: 표제 화합물 (57)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40
표제 화합물 57을 실시예 54의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54A 대신에 화합물 57C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41
실시예 58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4-(2-시아노-피리딘-3-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58)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42
단계 1: 3-(4-히드록시페닐)피콜리노니트릴 (58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43
표제 화합물 58A를 화합물 34D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C 및 4-(히드록시메틸)페닐보론산 대신에 3-클로로피콜리노니트릴 및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44
단계 2: 표제 화합물 58의 제조:
표제 화합물 58을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51의 단계 2에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58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45
실시예 59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4-모르폴린-4-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59)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46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51의 단계 2에서 화합물 51A 대신에 4-모르폴리노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47
실시예 60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5-(4-시아노-티오펜-3-일)-2-히드록시-벤질]-티아졸-4-카르복실산 (60)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48
단계 1: (E)-메틸 5-(5-(4-시아노티오펜-3-일)-2-히드록시벤질)-2-(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60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49
표제 화합물 60A를 화합물 35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D 및 화합물 31F 대신에 화합물 45D 및 화합물 51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50
단계 2: 표제 화합물 60의 제조:
표제 화합물 60을 화합물 34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34D 대신에 화합물 60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51
실시예 61
5-{3-[4-(4-아세틸-피페라진-1-일)-페녹시]-프로필}-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티아졸-4-카르복실산 (61)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52
표제 화합물 61을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실시예 51의 단계 2에서 화합물 51A 대신에 1-(4-(4-히드록시페닐)피페라진-1-일)에타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53
실시예 62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4-페닐피페라진-1-일)메틸)티아졸-4-카르복실산 (62A)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54
단계 1: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4-페닐피페라진-1-일)메틸)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62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55
DCE (3.5 ml) 중 화합물 45C (55mg, 0.090 mmol)의 용액에 1-페닐피페라진 (14.57 mg, 0.090 mmol) 및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28.7 mg, 0.13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 일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로 연화처리하고, 백색 침전물을 수집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56
단계 2: 표제 화합물 62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57
DCM (3.5 ml) 중 화합물 62A (50 mg, 0.066 mmol)를 에테르 중 2N 염화수소 (3.31 ml, 6.62 mmol)로 30 분 동안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THF (3 ml) 및 메탄올 (3 ml) 중에 용해시켰다. NaOH (10% 수성, 1 m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역상 HPLC (이동상: 0.1% TFA 수용액 중 0% → 70% 아세토니트릴, 40 분 동안)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58
실시예 63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4-페닐피페리딘-1-일)메틸)티아졸-4-카르복실산 (63)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59
단계 1: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4-페닐피페리딘-1-일)메틸)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63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60
화합물을 실시예 62의 단계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1-페닐피페라진 대신에 4-페닐피페리딘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61
단계 2: 표제 화합물 63의 제조:
표제 화합물 63을 실시예 62의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62A 대신에 화합물 63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62
실시예 64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4-피페라진-1-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64)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63
디옥산 (2 mL) 및 MeOH (2 mL) 중 화합물 61 (25 mg)을 1.0 N LiOH (2 m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TLC로 모니터링하여 화합물 61이 소모될 때까지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64를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64
실시예 65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4-(5-브로모-티에노[2,3-d]피리미딘-4-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65)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65
단계 1: 7-브로모-4-클로로티에노[3,2-d]피리미딘 (65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66
POCl3 중 7-브로모티에노[3,2-d]피리미딘-4(3H)-온 (0.9 g, 3.89 mmol)을 환류하에 2 시간 동안 가열하고, 잉여 POCl3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물과 EtOAc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추가의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화합물 65A 0.91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67
단계 2: 4-(7-브로모티에노[3,2-d]피리미딘-4-일)페놀 (65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68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34D의 합성에 대해 기재된 바와 유사한 조건을 이용하면서 화합물 34C 및 4-(히드록시메틸)페닐보론산을 각각 화합물 65A 및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로 대체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69
단계 3: 표제 화합물 65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70
표제 화합물 65를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65B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71
실시예 66
5-(3-(4-(1H-이미다졸-1-일)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66)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72
표제 화합물 66을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4-(1H-이미다졸-1-일)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알킬화 중간체를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목적 생성물이 침전된 후, 고체를 HPLC (정제용 역상 HPLC는 자동화 길슨 HPLC 시스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메트리프렙 쉴드 RP18 정제용 카트리지, 250 mm x 21.20 mm i.d., 10 um, 및 유속 25 mL/분; λ=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40 분 동안 B 20→90%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45%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73
실시예 67
5-(3-(4-(1H-1,2,4-트리아졸-1-일)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67)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7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4-(1H-1,2,4-트리아졸-1-일)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알킬화 중간체를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목적 생성물이 침전된 후, 고체를 HPLC (정제용 역상 HPLC는 자동화 길슨 HPLC 시스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메트리프렙 쉴드 RP18 정제용 카트리지, 250 mm x 21.20 mm i.d., 10 um, 및 유속 25 mL/분; λ=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40 분 동안 B 20→90%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67을 43%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75
실시예 68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4-메틸-4H-1,2,4-트리아졸-3-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68)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76
표제 화합물 68을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페놀 대신에 4-(4-메틸-4H-1,2,4-트리아졸-3-일)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알킬화 중간체를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목적 생성물이 침전된 후, 고체를 HPLC (정제용 역상 HPLC는 자동화 길슨 HPLC 시스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메트리프렙 쉴드 RP18 정제용 카트리지, 250 mm x 21.20 mm i.d., 10 um, 및 유속 25 mL/분; λ=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40 분 동안 B 20→90%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68을 56%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77
실시예 69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4-(4-이소프로필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69)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78
단계 1: 7-브로모-N-이소프로필티에노[3,2-d]피리미딘-4-아민 (69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79
에탄올 (10 mL) 중 화합물 65A (0.125 g, 0.5 mmol), 및 프로판-2-아민 (0.148 g, 2.5 mmol)의 혼합물을 환류 하에 15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1:1 EtOAc/헥산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13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80
단계 2: 4-(4-(이소프로필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놀 (69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81
표제 화합물 69B를 화합물 34D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C 및 4-(히드록시메틸)페닐보론산 대신에 화합물 69A 및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82
단계 3: 표제 화합물 69의 제조:
표제 화합물 69를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69B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83
실시예 70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2-(3-니트로-벤젠술포닐아미노)-에틸]-티아졸-4-카르복실산 (70)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84
단계 1: (E)-에틸 5-(2-(3-니트로페닐술폰아미도)에틸)-2-(8-(2-(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아세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70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85
표제 화합물 70A를 화합물 35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D 및 화합물 31F 대신에 화합물 49D 및 3-니트로벤젠술폰아미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86
단계 2: 표제 화합물 70의 제조:
표제 화합물 70을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70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87
실시예 71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2-페닐-아제티딘-1-일메틸)-티아졸-4-카르복실산 (71)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88
단계 1: (E)-메틸 5-((2-페닐아제티딘-1-일)메틸)-2-(8-(2-(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아세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71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89
표제 화합물 71A를 화합물 62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페닐피페라진 대신에 2-페닐아제티딘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90
단계 2: 표제 화합물 71의 제조:
표제 화합물을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71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91
실시예 72
5-(4-(1H-이미다졸-1-일)부틸)-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72)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92
표제 화합물 72를 실시예 2의 단계 4에서 화합물 2C를 화합물 42C로, 페놀을 이미다졸로 대체하여 제조하였다. 알킬화 중간체를 에스테르 가수분해 이전에 단리시키지 않았다. 목적 생성물이 침전된 후, 고체를 HPLC (정제용 역상 HPLC는 자동화 길슨 HPLC 시스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메트리프렙 쉴드 RP 18 정제용 카트리지, 250 mm x 21.20 mm i.d., 10 um, 및 유속 25 mL/분; λ=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40 분 동안 B 20→90%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34%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93
실시예 73
5-(3-(4-(1H-피라졸-4-일)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73)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94
단계 1: tert-부틸 5-(3-(4-(1H-피라졸-4-일)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73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95
EtOH-DME-H2O (7:3:2, 4 ml) 중 화합물 41A (90mg, 0.102 mmol),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피라졸 (29.7 mg, 0.153 mmol), Na2CO3 (108 ㎕, 0.102 mmol) (1M) 및 (Ph3P)2Cl2Pd (7.15 mg, 10.19 μmol)의 혼합물을 스미쓰 마이크로웨이브 합성기에서 120℃에서 30 분 동안 가열한 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73A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96
단계 2: 표제 화합물 73의 제조:
DCM (1 ml) 중 화합물 73A (30 mg)를 에테르 중 HCl 2N (5 ml)으로 2 일 동안 처리하였다. 침전물을 수집하고,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73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397
실시예 74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4-(3-디메틸아미노-프로프-1-이닐)-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74)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398
단계 1: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3-(디메틸아미노)프로프-1-이닐)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74)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399
DMF (12 ml) 중 4-요오도페놀 (750 mg, 3.41 mmol), N,N-디메틸프로프-2-인-1-아민 (1.090 ml, 10.23 mmol), (PPh3)4Pd (192 mg, 0.166 mmol), TEA (1.425 ml, 10.23 mmol)의 혼합물에 요오드화구리(I) (97 mg, 0.511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스미쓰 마이크로웨이브 합성기에서 100℃에서 25 분 동안 가열한 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역상 HPLC (이동상: 0.1% TFA 수용액 중 0% → 30% 아세토니트릴, 30 분 동안)로 정제하여 화합물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00
단계 2: 표제 화합물 74의 제조:
표제 화합물 74를 실시예 54에 대해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실시예 54의 단계 2에서 화합물 54A 대신에 화합물 74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01
실시예 75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4-(2-디메틸아미노-에톡시)-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75)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02
단계 1: 2-(4-(벤질옥시)페녹시)-N,N-디메틸에탄아민 (75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03
화합물 75A를 화합물 35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D 및 화합물 31F 대신에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및 4-(벤질옥시)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04
단계 2: 4-(2-(디메틸아미노)에톡시)페놀 (75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05
화합물 75B를 화합물 31F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31E 대신에 화합물 75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06
단계 3: 표제 화합물 75의 제조:
표제 화합물 75를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75B를 사용하여 TFA 염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07
실시예 76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2-페녹시에틸)티아졸-4-카르복실산 (76)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08
화합물 49D (51 mg, 0.08 mmol), 페놀 (11 mg, 0.12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 (31 mg, 0.12 mmol)을 THF (2 ml)와 합하고, 주위 온도에서 2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디-tert-부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21 mg, 0.092 mmol)를 첨가하고, 교반을 밤새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농축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헥산 중 10→50% EtOAc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였다. 생성된 물질을 디옥산 (2 ml)에 녹이고, HCl (디옥산 중 4N) (0.4 ml, 1.6 mmol)로 처리하고, 70℃에서 몇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농축물을 디옥산 (2 ml)에 녹이고, NaOH (4N 수성) (0.2 ml, 0.8 mmol)로 처리하고, 50℃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N HCl (수성)로 처리하여 생성물의 침전을 유발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헹구고, Et2O로 슬러리로 만들고, 여과하고, Et2O로 헹구고, 1:1 DMSO/MeOH로 슬러리로 만들고, 여과하고, MeOH로 세정하여, 백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09
실시예 77
5-(3-(4-(2-아미노-1H-벤조[d]이미다졸-1-일)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77)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10
단계 1: 4-(2-(N-아세틸아세트아미도)-1H-벤조[d]이미다졸-1-일)페닐 아세테이트 (77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11
디클로로메탄 (2 ml) 및 THF (1 ml)의 혼합물 중 4-(2-아미노-1H-벤조[d]이미다졸-1-일)페놀 (0.113 g, 0.5 mmol)을 아세트산 무수물 (0.47 ml, 5 mmol) 및 DMAP (0.031 g, 0.25 mmol)로 처리하고, 주위 온도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목적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12
단계 2: N-(1-(4-히드록시페닐)-1H-벤조[d]이미다졸-2-일)아세트아미드 (77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13
MeOH (4 ml) 중 화합물 77A (176 mg, 0.5 mmol)를 K2CO3 (69.1 mg, 0.5 mmol)로 처리하고, 주위 온도에서 약 4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MeOH를 제거하고, EtOAc로 희석하고, 1N HCl 용액을 사용하여 pH 5로 산성화시켰다. 혼합물을 분리 깔때기에 붓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OAc (2 x 4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77B를 회백색 고체로서 67%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14
단계 3: 표제 화합물 77의 제조:
DMF (1 ml) 중 화합물 77B (32 mg, 0.12 mmol)를 NaH (60% 오일 분산액) (12 mg, 0.3 mmol)로 처리하였다. 주위 온도에서 5 분 동안 교반한 후, 화합물 2C (63 mg, 0.1 mmol)를 첨가하고, 교반을 1 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추가의 NaH (60% 오일 분산액) (12 mg, 0.3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NaOH (4 N 수성) (0.25 ml, 1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Cl (디옥산 중 4N) (2.5 ml, 10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70℃에서 몇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이 LCMS에 의해 완결된 것으로 나타났을 때,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1N HCl을 첨가하여 생성물의 임의의 추가 침전물을 발생시켰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헹구었다. 고체를 Et2O로 슬러리로 만들고, 여과하고, 추가의 Et2O로 헹구었다. 고체를 1:1 DMSO/MeOH 중에 용해시키고, 시린지 필터를 통해 여과하여 미용해 염 및 불순물을 제거하고, HPLC (정제용 역상 HPLC는 자동화 길슨 HPLC 시스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메트리프렙 쉴드 RP18 정제용 카트리지, 250 mm x 21.20 mm Ld., 10 um, 및 유속 25 mL/분; λ=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40 분 동안 B 20→90%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회백색 고체로서의 표제 화합물 77을 31%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15
실시예 78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4-[4-(3-피롤리딘-1-일-프로필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78)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16
단계 1: 7-브로모-N-(3-(피롤리딘-1-일)프로필)티에노[3,2-d]피리미딘-4-아민 (78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17
화합물 78A를 화합물 69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프로판-2-아민 대신에 3-(피롤리딘-1-일)프로판-1-아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18
단계 2: 4-(4-(3-(피롤리딘-1-일)프로필아미노)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놀 (78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19
화합물 78B를 화합물 34D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C 및 4-(히드록시메틸)페닐보론산 대신에 화합물 77A 및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20
단계 3: 표제 화합물 78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21
표제 화합물 78을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78B를 사용하여 TFA 염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22
실시예 79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4-[4-(4-메틸-피페라진-1-일)-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79)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23
단계 1: 7-브로모-4-(4-메틸피페라진-1-일)티에노[3,2-d]피리미딘 (79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24
화합물 79A를 실시예 69의 단계 1에 기재된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프로판-2-아민 대신에 1-메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25
단계 2: 4-(4-(4-메틸피페라진-1-일)티에노[3,2-d]피리미딘-7-일)페놀 (79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26
화합물 79B를 화합물 34D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C 및 4-(히드록시메틸)페닐보론산 대신에 화합물 79A 및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27
단계 3: 표제 화합물 79의 제조:
표제 화합물 79를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79B를 사용하여 TFA 염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28
실시예 80
5-(3-(4-((1S,2S,5R,9S)-9-아미노비시클로[3.3.1]노난-2-일)페녹시)프로필)-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티아졸-4-카르복실산 (80)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29
단계 1: tert-부틸 (1S,2S,5R,9S)-2-(4-히드록시페닐)비시클로 [3.3.1]노난-9-일카르바메이트 (80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30
THF (2 ml) 중 4-((1S,2S,5R,9S)-9-아미노비시클로[3.3.1]노난-2-일)페놀 HCl 염 (92 mg, 0.344 mmol)을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0.088 ml, 0.38 mmol) 및 Et3N (0.19 ml, 1.37 mmol)으로 처리하고, 주위 온도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농축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CH2Cl2 중 0 → 5% MeOH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31
단계 2: 표제 화합물 80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32
DMF (1 ml) 중 Tert-부틸 (1S,2S,5R,9S)-2-(4-히드록시페닐)비시클로[3.3.1]노난-9-일카르바메이트 80A (40.5 mg, 0.11 mmol)를 NaH (12 mg, 0.3 mmol)로 처리하였다. 주위 온도에서 5 분 동안 교반한 후, 화합물 2C (63 mg, 0.1 mmol)를 첨가하고, 교반을 1.5 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HCl (디옥산 중 4N HCl) (2.5 ml, 10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6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N HCl로 슬러리화시키고, 여과하고, 물로 세정하고, Et2O 중에 슬러리화시키고, 여과하고, 추가의 Et2O로 세정하였다. 고체를 CH2Cl2 중 0 → 5% MeOH의 구배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고체를 디옥산 (2 ml) 중에 용해시키고, NaOH (4N 수성) (0.25 mL, 1 mmol)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N HCl을 사용하여 산성화시켜 생성물의 침전을 유도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로 헹구고, Et2O로 슬러리로 만들고, 여과하고, 추가의 Et2O로 헹구었다. 고체를 HPLC (정제용 역상 HPLC는 자동화 길슨 HPLC 시스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메트리프렙 쉴드 RP18 정제용 카트리지, 250 mm x 21.20 mm i.d., 10 um, 및 유속 25 mL/분; λ=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40 분 동안 B 20→90%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80을 회백색 고체로서 7%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33
실시예 81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4-피리미딘-2-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81)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34
단계 1: 4-(피리미딘-2-일)페놀 (81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35
화합물 81A를 화합물 34D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C 및 4-(히드록시메틸)페닐보론산 대신에 2-브로모피리미딘 및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36
단계 2: 표제 화합물 81의 제조:
표제 화합물 81을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81A를 사용하여 TFA 염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37
실시예 82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4-(4-메틸-피페라진-1-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82)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38
단계 1: 4-(4-메틸피페라진-1-일)페놀 (82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39
화합물 82A를 화합물 62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42C 및 페닐피페라진 대신에 파라포름알데히드 및 4-(피페라진-1-일)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40
단계 2: 표제 화합물 82의 제조:
표제 화합물 82를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82A를 사용하여 TFA 염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41
실시예 83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1-(2-모르폴리노에틸)-1H-피라졸-4-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83)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42
단계 1: tert-부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1-(2-모르폴리노에틸)-1H-피라졸-4-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83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43
화합물 83A를 실시예 73의 단계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피라졸 대신에 4-(2-(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1H-피라졸-1-일)에틸)모르폴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44
단계 2: 표제 화합물 83의 제조:
표제 화합물 83을 실시예 73의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73A 대신에 화합물 83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45
실시예 84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4-(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84)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46
단계 1: 4-(4-(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놀 (84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47
표제 화합물 84A를 실시예 44의 단계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이소프로필아민 대신에 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판-1-아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48
단계 2: 표제 화합물 84의 제조:
표제 화합물 84를 실시예 54의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54A 대신에 화합물 84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49
실시예 85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5-메틸-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1H-피라졸-1-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85)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50
단계 1: 4-(5-메틸-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1H-피라졸-1-일)페놀 (85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51
DCE (3.5 ml) 중 1-(4-메톡시페닐)-3-메틸-1H-피라졸-4-카르브알데히드 (232 mg, 1.073 mmol)의 용액에 1-메틸피페라진 (0.119 ml, 1.073 mmol) 및 나트륨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455 mg, 2.14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테트라메틸렌 술폰 중 잔류물 (5 ml)을 80℃에서 요오도트리메틸실란 (1.327 ml, 9.32 mmol)으로 밤새 처리하고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로 희석하고, 역상 HPLC (이동상: 0.1% TFA 수용액 중 0% → 30% 아세토니트릴, 30 분 동안)로 정제하여 TFA 염으로서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52
단계 2: 표제 화합물 85의 제조:
표제 화합물 85를 실시예 54의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54A 대신에 화합물 85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53
실시예 86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4-(3-시아노-피라진-2-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86)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54
단계 1: 3-(4-히드록시페닐)피라진-2-카르보니트릴 (86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55
화합물 86A를 화합물 34D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C 및 4-(히드록시메틸)페닐보론산 대신에 3-클로로피라진-2-카르보니트릴 및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56
단계 2: 표제 화합물 86의 제조:
표제 화합물 86을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86A를 사용하여 TFA 염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57
실시예 87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3-(4-메틸-피페라진-1-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87)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58
단계 1: 3-(4-메틸피페라진-1-일)페놀 (87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59
화합물 87A를 화합물 62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45C 및 페닐피페라진 대신에 파라포름알데히드 및 3-(피페라진-1-일)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60
단계 2: 표제 화합물 87의 제조:
표제 화합물 87을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87A를 사용하여 TFA 염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61
실시예 88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4-(2-모르폴린-4-일-에톡시)-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88)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62
단계 1: 4-(2-(4-(벤질옥시)페녹시)에틸)모르폴린 (88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63
화합물 88A를 화합물 35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B 및 화합물 31F 대신에 2-모르폴리노에탄올 및 4-(벤질옥시)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64
단계 2: 4-(2-모르폴리노에톡시)페놀 (88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65
화합물 88B를 화합물 31F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31E 대신에 화합물 88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66
단계 3: 표제 화합물 88의 제조:
표제 화합물 88을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88B를 사용하여 TFA 염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67
실시예 89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89)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68
단계 1: 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놀 (89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69
화합물 89A를 화합물 62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45C 및 페닐피페라진 대신에 4-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및 1-메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70
단계 2: 표제 화합물 89의 제조:
표제 화합물 89를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89A를 사용하여 TFA 염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71
실시예 90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4-[5-(2-디메틸아미노-에톡시)-피리딘-2-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90)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72
단계 1: 2-(6-클로로피리딘-3-일옥시)-N,N-디메틸에탄아민 (90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73
화합물 90을 화합물 35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C 및 화합물 31F 대신에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및 6-클로로피리딘-3-올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단계 2: 4-(5-(2-(디메틸아미노)에톡시)피리딘-2-일)페놀 (90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74
화합물 90B를 화합물 34D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C 및 4-(히드록시메틸)페닐보론산 대신에 화합물 90A 및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75
단계 3: 표제 화합물 90의 제조:
표제 화합물 90을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90B를 사용하여 TFA 염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76
실시예 91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1-(4-히드록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3-(4-메틸피페라진-1-일)프로필)아미노)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91)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77
DMF (5 ml) 중 화합물 84A (50 mg, 0.136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27.2 mg, 0.680 mmol)(60%)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 분 동안 교반하고, 화합물 2C (77 mg, 0.122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메탄올 (3 ml), 10% NaOH 및 물 (1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TFA로 산성화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MSO-메탄올의 혼합물 중에 용해시키고, 역상 HPLC (이동상: 0.1% TFA 수용액 중 0% → 60% 아세토니트릴, 60 분 동안)로 정제하여 TFA 염으로서의 표제 화합물 91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78
실시예 92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4-(4-(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녹시)프로필)피콜린산 (92)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79
단계 1: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4-(4-(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페녹시)프로필)피콜리네이트 (92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80
DMF (5 ml) 중 화합물 54A (100mg, 0.320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60%, 38.4 mg, 0.96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0 분 동안 교반하고, 화합물 96D (168 mg, 0.256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역상 HPLC (이동상: 0.1% TFA 수용액 중 0% → 70% 아세토니트릴, 70 분 동안)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92A를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81
단계 2: 표제 화합물 92의 제조:
DCM (1 ml) 중 화합물 92A (90mg, 0.107 mmol) 및 트리에틸실란 (37.4 mg, 0.322 mmol)을 TFA (3 ml, 38.9 mmol)로 4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역상 HPLC (이동상: 0.1% TFA 수용액 중 0%→60% 아세토니트릴, 70 분 동안)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82
실시예 93
2-[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5-{3-[2-플루오로-4-(4-메틸-피페라진-1-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93)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83
단계 1: 1-(벤질옥시)-4-브로모-2-플루오로벤젠 (93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84
DMF (20ml) 중 4-브로모-2-플루오로페놀 (2.557 g, 13.39 mmol) 및 (브로모메틸)벤젠 (1.590 ml, 13.39 mmol)을 K2CO3 (3.70 g, 26.8 mmol)로 밤새 처리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85
단계 2: 1-(4-(벤질옥시)-3-플루오로페닐)-4-메틸피페라진 (93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86
오븐-건조 바이알에 t-BuONa (360 mg, 3.75 mmol), Pd2(dba)3 (51.5 mg, 0.056 mmol) 및 (S)-BINAP (105 mg, 0.169 mmol)를 채웠다. 톨루엔 (5 ml), 실시예 93A (527mg, 1.875 mmol) 및 1-메틸피페라진 (416 ㎕, 3.75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질소로 퍼징하고, 바이알을 밀봉하고, 8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역상 HPLC (이동상: 0.1% TFA 수용액 중 0% → 50% 아세토니트릴, 40 분 동안)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87
단계 3: 2-플루오로-4-(4-메틸피페라진-1-일)페놀 (93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88
MeOH (5 ml) 중 화합물 93B (230mg, 0.766 mmol)를 H2 분위기 하에 10% Pd/C (48mg, 0.045 mmol)로 밤새 처리하였다. 불용성 물질을 셀라이트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여과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역상 HPLC (이동상: 0.1% TFA 수용액 중 0% → 30% 아세토니트릴, 30 분 동안)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89
단계 4: 표제 화합물 93의 제조:
표제 화합물 92를 실시예 54의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54A 대신에 화합물 93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90
실시예 94
6-[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3-{3-[4-(4-메틸-피페라진-1-일)-페녹시]-프로필}-피리딘-2-카르복실산 (94)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491
단계 1: tert-부틸 3-브로모-6-클로로피콜리네이트 (94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92
토실 클로라이드 (7.7 g, 40.4 mmol)를 t-BuOH 33 mL 중 2-클로로-5-브로모 피콜린산 (4 g, 17 mmol) 및 피리딘 (9.2 mL, 114 mmol)의 용액에 0℃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NaHCO3 (포화)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3회). 합한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증발시켜 목적 화합물 94A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93
단계 2: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브로모피콜리네이트 (94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94
Cs2CO3 (4.1 g, 12.6 mmol) 및 4Å 체를 반응의 개시 전에 고진공 하에 150℃에서 6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화합물 94A (0.736 g, 2.53 mmol) 및 화합물 1B (1.62 g, 3 mmol)를 반응 용기로 옮기고, 공기를 질소로 퍼징하였다. 이어서, 무수 DMA 12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120℃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10% 시트르산으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시트르산으로 3회, 물 및 염수로 1회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농축시켜 오렌지색 필름/발포체를 수득하였다. 플래쉬 마스터(Flash Master) (SiO2,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0:100 → 40:60)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1.15 g, 80 %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95
단계 3: (Z)-tert-부틸 3-브로모-6-(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콜리네이트 (94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96
화합물 94B (350 mg, 0.62 mmol)를 THF 중에 용해시켰다. NEt3 (127 ㎕, 0.91 mmol) 및 SEMCl (135 ㎕, 0.74 mmol)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에 녹였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플래쉬 마스터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SiO2,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0:100 → 30:70. 연황색 발포성 고체 94B를 2종의 분리할 수 없는 이성질체의 혼합물 (276 mg, 64%)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4: (Z)-tert-부틸 3-(2-(1,3-디옥솔란-2-일)에틸)-6-(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콜리네이트 (94D)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97
THF (20 mL) 중 화합물 94C (2.97 g, 4.27 mmol), 디시클로헥실(2',6'-디메톡시비페닐-2-일)포스핀 (0.35 g, 0.854 mmol) 및 아세트산팔라듐 (0.096 g, 0.427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0.5 M (2-(1,3-디옥솔란-2-일)에틸)아연(II) 브로마이드 (17.08 mL, 8.54 mmol)를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용액에 2',6'-디메톡시비페닐-2-일)포스핀 (170 mg), 아세트산팔라듐 (42 mg) 및 (2-(1,3-디옥솔란-2-일)에틸)아연(II) 브로마이드 (15 m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추가로 6 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상에 로딩하고, 7:3/헥산:EtOAc로 용리시켜 목적 생성물 94D 2.75 g을 수득하였으며, 이는 2종의 이성질체의 혼합물이었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498
단계 5: (Z)-tert-부틸 3-(3-옥소프로필)-6-(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콜리네이트 (94E)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499
화합물 94D (1.47 g)를 THF (30 mL) 중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5% HCl (10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8℃에서 90 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더 이상의 CO2가 발생되지 않을 때까지 포화 NaHCO3 용액으로 켄칭하였다. 용액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중에 재용해시키고, 물 (100 mL)로 처리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추가의 EtOAc로 추출하였다 (3회).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7:3/헥스: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94E (80%) 1.10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00
단계 6: (Z)-tert-부틸 3-(3-히드록시프로필)-6-(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콜리네이트 (94F)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01
THF (30 mL) 및 메탄올 (5 mL) 중 화합물 94E (0.91 g, 1.351 mmol)를 NaBH4 (0.102 g, 2.7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 하에 1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 중에 재용해시키고, 물로 처리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추가의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94F 0.75 g (82%)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02
단계 7: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4-(4-메틸피페라진-1-일)페녹시)프로필)피콜리네이트 (94G)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03
표제 화합물 94G를 화합물 35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D 및 화합물 31F 대신에 화합물 94F 및 화합물 82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04
단계 7: 표제 화합물 94의 제조:
디옥산 (2 mL) 중 화합물 94G (0.012 g)를 메탄올 (0.5 mL) 및 디옥산 중 4N HCl (2 mL) 로 처리하였다. 용액을 6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94를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05
실시예 95
6-[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3-(3-{4-[5-(2-디메틸아미노-에톡시)-피리딘-2-일]-페녹시}-프로필)-피리딘-2-카르복실산 (95)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506
단계 1: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4-(5-(2-(디메틸아미노)에톡시)피리딘-2-일)페녹시)프로필)피콜리네이트 (95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07
화합물 95A를 화합물 35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D 및 화합물 31F 대신에 화합물 94F 및 화합물 90B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08
단계 2: 표제 화합물 95의 제조:
표제 화합물 95를 실시예 94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94G 대신에 화합물 95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09
실시예 96
6-[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3-[3-(4-피리미딘-2-일-페녹시)-프로필]-피리딘-2-카르복실산 (96)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510
단계 1: tert-부틸 3-(2-(1,3-디옥솔란-2-일)에틸)-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콜리네이트 (96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11
THF (60 mL) 중 화합물 94B (8.0 g, 14.15 mmol), 디시클로헥실(2',6'-디메톡시비페닐-2-일)포스핀 (1.162 g, 2.83 mmol) 및 아세트산팔라듐 (0.318 g, 1.415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0.5 M (2-(1,3-디옥솔란-2-일)에틸)아연(II) 브로마이드 (56.6 mL, 28.3 mmol)를 실온에서 추가 깔때기를 통해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칼럼 상에 로딩하고, 7:3/헥산:EtOAc로 용리시켜 목적 생성물 96A 7.58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12
단계 2: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옥소프로필)피콜리네이트 (96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13
화합물 96A (7.58 g)를 THF (120 mL) 중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5% 수성 HCl (100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8℃에서 90 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더 이상의 CO2가 발생되지 않을 때까지 포화 NaHCO3 용액으로 켄칭하였다. 용액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 중에 재용해시키고, 물 (500 mL)로 처리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추가의 EtOAc로 추출하였다 (3회).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7:3/헥스:EtOAc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96B (78%) 5.5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14
단계 3: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히드록시프로필)피콜리네이트 (96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15
THF (100 mL) 및 메탄올 (20 mL) 중 화합물 96B (5.5 g, 10.14 mmol)를 NaBH4 (0.767 g, 20.28 mmol)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 하에 1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 중에 재용해시키고, 물로 처리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추가의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96C 5.13 g (93%)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16
단계 4: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요오도프로필)피콜리네이트 (96D)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17
화합물 96D를 화합물 98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94F 대신에 화합물 96C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18
단계 5: 제조 표제 화합물 96:
표제 화합물 96을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96D를 사용하여 TFA 염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19
실시예 97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4-(3-(디메틸아미노)프로프-1-이닐)-2-플루오로페녹시)프로필)피콜린산 (97)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520
단계 1: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4-브로모-2-플루오로페녹시)프로필)피콜리네이트 (97A1); 및 (Z)-tert-부틸 3-(3-(4-브로모-2-플루오로페녹시)프로필)-6-(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콜리네이트 (97A2)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21
THF (3 ml) 중 화합물 94F (110mg, 0.163 mmol), 4-브로모-2-플루오로페놀 (62.3 mg, 0.326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 (64.1 mg, 0.244 mmol)의 용액에 (E)-디-tert-부틸 디아젠-1,2-디카르복실레이트 (56.3 mg, 0.24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0.5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DCM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화합물 97A1 및 화합물 97A2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22
단계 2: (Z)-tert-부틸 3-(3-(4-(3-(디메틸아미노)프로프-1-이닐)-2-플루오로페녹시)프로필)-6-(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콜리네이트 (97B1); 및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4-(3-(디메틸아미노)프로프-1-이닐)-2-플루오로페녹시)프로필)피콜리네이트 (97B2)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23
DMF (2 ml) 중 화합물 97A1 및 화합물 97A2 (90 mg, 0.106 mmol), N,N-디메틸프로프-2-인-1-아민 (0.034 ml, 0.318 mmol), (PPh3)2PdCl2 (22.35 mg, 0.032 mmol), TEA (0.074 ml, 0.531 mmol)의 혼합물에 요오드화구리(I) (2.022 mg, 0.01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오일조 중에서 100℃에서 밤새 가열하고, 역상 HPLC (이동상: 0.1% TFA 수용액 중 10% → 95% 아세토니트릴, 60 분 동안)로 정제하여 화합물 97B1 및 97B2를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24
단계 3: 표제 화합물 97의 제조:
DCM (2 ml) 중 화합물 97B1 및 화합물 97B2 (60mg, 0.071 mmol)를 에테르 중 2N 염화수소 (0.15 ml, 0.423 mmol)로 2 시간 동안 처리하고,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THF (2 mL) 및 MeOH (2 mL) 중 잔류물을 70℃에서 10% 수산화나트륨 (256 ㎕, 0.639 mmol)으로 밤새 처리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역상 HPLC (이동상: 0.1% TFA 수용액 중 0% → 70% 아세토니트릴, 60 분 동안)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97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25
실시예 98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4-(4-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페녹시)프로필)피콜린산 (98)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526
단계 1: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요오도프로필)피콜리네이트 (98A1); 및 (Z)-tert-부틸 3-(3-요오도프로필)-6-(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콜리네이트 (98A2)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27
디에틸 에테르 (6.5 ml) 및 아세토니트릴 (2.2 ml) 중 화합물 94F (874 mg, 1.3 mmol)를 이미다졸 (203 mg, 2.98 mmol), 트리페닐포스핀 (509 mg, 1.94 mmol) 및 요오드 (493 mg, 1.94 mmol)로 순차적으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각각의 첨가 사이에 5 분 동안 교반하여 첨가된 시약이 완전히 용해되도록 하였다. 모든 시약이 첨가되었을 때,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45 분 동안 교반하고,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농축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헥산 중 5 → 30% EtOAc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 89%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28
단계 2: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4-(4-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페녹시)프로필)피콜리네이트 (98B1); 및 (Z)-tert-부틸 3-(3-(4-(4-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페녹시)프로필)-6-(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콜리네이트 (98B2)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29
DMF (2 ml) 중 (4-히드록시페닐)(4-메틸피페라진-1-일)메타논 (66.1 mg, 0.3 mmol)을 NaH (24 mg, 0.6 mmol)로 처리하였다. 주위 온도에서 15 분 동안 교반한 후, 화합물 98A1 및 98A2 (157 mg, 0.2 mmol)를 첨가하고, 교반을 3 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농축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CH2Cl2 중 0 → 5% MeOH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 98B1 및 98B2 97.5 mg (56% 수율)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30
단계 3: 표제 화합물 98의 제조:
화합물 98B1 및 화합물 98B2를 트리에틸실란 (0.177 ml, 1.1 mmol) 및 TFA (1.5 ml, 19.5 mmol)로 순차적으로 처리하였다. 최소량의 디클로로메탄 (0.1 ml)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이 균질해지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질을 HPLC (정제용 역상 HPLC는 자동화 길슨 HPLC 시스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시메트리프렙 쉴드 RP18 정제용 카트리지, 250 mm x 21.20 mm i.d., 10 um, 및 유속 25 mL/분; λ=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40 분 동안 B 10→70%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98을 회백색 고체로서 63%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31
실시예 99
6-[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3-(3-히드록시-프로필)-피리딘-2-카르복실산 (99)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532
DMF (5 ml) 중 화합물 84A (60mg, 0.163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32.7 mg, 0.816 mmol)(60%)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0 분 동안 교반하고, 화합물 96D (107 mg, 0.163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하고, 역상 HPLC (이동상: 0.1% TFA 수용액 중 0% → 50% 아세토니트릴, 70 분 동안)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99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33
실시예 100
6-[8-(벤조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3-{3-[4-(3-디메틸아미노-프로필)-2-플루오로-페녹시]-프로필}-피리딘-2-카르복실산 (100)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534
단계 1: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4-(3-(디메틸아미노)프로필)-2-플루오로페녹시)프로필)피콜리네이트 (100A1); 및 (Z)-tert-부틸 3-(3-(4-(3-(디메틸아미노)프로필)-2-플루오로페녹시)프로필)-6-(8-(3-((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벤조[d]티아졸-2(3H)-일리덴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콜리네이트 (100A2)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35
MeOH (5 ml) 중 화합물 97B1 및 97B2 (25mg, 0.029 mmol)를 산화백금(IV) (5.34 mg, 0.024 mmol)으로 밤새 처리하였다. 불용성 물질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물을 농축시켜 화합물 100A1 및 100A2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36
단계 2: 표제 화합물 100의 제조:
DCM (0.5 ml) 및 MeOH (0.5 ml) 중 화합물 99 (20 mg, 0.023 mmol)를 에테르 중 2N HCl (5 ml)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일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역상 HPLC (이동상: 0.1% TFA 수용액 중 0% → 70% 아세토니트릴, 60 분 동안)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00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37
실시예 101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2-플루오로-4-(4-메틸피페라진-1-일)페녹시)프로필)피콜린산 (101)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538
표제 화합물 101을 실시예 54의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각각 화합물 54A 및 화합물 2C 대신에 화합물 93 및 화합물 96D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39
실시예 102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4-(2-(디메틸아미노)에틸)페녹시)프로필)피콜린산 (102)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540
DMF (2 ml) 중 4-(2-(디메틸아미노)에틸)페놀 염산 (60.5 mg, 0.300 mmol)을 Et3N (84 ㎕, 0.60 mmol)으로 처리하고, 10 분 동안 교반한 다음, NaH (24.0 mg, 0.60 mmol)로 처리하였다. 15 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화합물 98A1 및 98A2 (157 mg, 0.2 mmol)로 처리하고,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EtOAc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 (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농축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CH2Cl2 중 0 → 6% MeOH의 구배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한 물질을 트리에틸실란 (220 ㎕, 1.377 mmol) 및 TFA (1 mL, 12.98 mmol)로 연속적으로 처리하였다. 디클로로메탄 (0.3 mL)을 반응 혼합물이 균질해질 때까지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N2 하에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용매를 증발시키고, 화합물을 HPLC (정제용 역상 HPLC는 자동화 워터스 HPLC 시스템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선파이어 C18 정제용 카트리지, 250 mm x 50 mm i.d., 10 um, 및 유속 25 mL/분; λ= 214, 245 nm; 이동상 A, H2O 중 0.1% TFA; 이동상 B, CH3CN; 30 분 동안 B 0→70%의 선형 구배)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로서의 생성물을 10% 수율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41
실시예 103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3-(디메틸아미노)프로필)-2-플루오로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103)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542
단계 1: 3-(4-(벤질옥시)-3-플루오로페닐)-N,N-디메틸프로프-2-인-1-아민 (103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43
표제 화합물 103A를 실시예 97의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97A 대신에 화합물 93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44
단계 2: 4-(3-(디메틸아미노)프로필)-2-플루오로페놀 (103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45
표제 화합물 103B를 실시예 93의 단계 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93B 대신에 화합물 103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46
단계 3: 표제 화합물 103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47
표제 화합물 103을 실시예 54의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54A 대신에 화합물 103B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 103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48
실시예 104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4-(1-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페녹시)프로필)피콜린산 (104)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549
단계 1: 4-(1-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페놀 (104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50
화합물 104A를 화합물 62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1-페닐피페라진 및 화합물 45C 대신에 4-아미노페놀 및 1-메틸피페리딘-4-온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51
단계 2: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4-(1-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페녹시)프로필)피콜리네이트 (104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52
화합물 104B를 단계 실시예 51 2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51A 및 화합물 2C 대신에 화합물 104A 및 화합물 96D를 사용하여 TFA 염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53
단계 3: 표제 화합물 104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54
표제 화합물 104를 화합물 94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94G 대신에 화합물 104B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55
실시예 105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3-(4-메틸피페라진-1-일)페녹시)프로필)피콜린산 (105)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556
DMF (3 mL) 중 화합물 87A (0.032 g, 0.017 mmol)를 60% 수소화나트륨 (0.018 g, 0.46 mmol)으로 0℃에서 처리하였다. 용액을 1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화합물 96D (0.10 g, 0.15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60℃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메탄올 (1 mL)로 켄칭하였다. 진한 HCl (0.5 mL)을 첨가하고, 용액을 시린지 필터를 통해 여과하였다. 이어서, 여과물을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05를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57
실시예 106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4-(2-(피롤리딘-1-일)에톡시)페녹시)프로필)피콜린산 (106)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558
단계 1: 1-(2-(4-(벤질옥시)페녹시)에틸)피롤리딘 (106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59
화합물 106A를 화합물 35A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D 및 화합물 31F 대신에 2-(피롤리딘-1-일)에탄올 및 4-(벤질옥시)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60
단계 2: 4-(2-(피롤리딘-1-일)에톡시)페놀 (106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61
화합물 106B를 화합물 31F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31E 대신에 화합물 106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62
단계 3: 표제 화합물 106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63
표제 화합물 106을 화합물 105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87C 대신에 화합물 106B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64
실시예 107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3-(디메틸아미노)프로필)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107)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565
단계 1: 4-(3-(디메틸아미노)프로필)페놀 (107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66
화합물 107A를 실시예 100의 단계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97B1 및 화합물 97B2 대신에 화합물 74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67
단계 2: 표제 화합물 107의 제조:
표제 화합물 107을 실시예 54의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54A 대신에 화합물 107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 107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68
실시예 108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2,5-디플루오로-4-(4-메틸피페라진-1-일)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108)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569
단계 1: 1-(벤질옥시)-4-브로모-2,5-디플루오로벤젠 (108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70
화합물 108A를 실시예 93의 단계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4-브로모-2-플루오로페놀 대신에 4-브로모-2,5-디플루오로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단계 2: 1-(4-(벤질옥시)-2,5-디플루오로페닐)-4-메틸피페라진 (108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71
화합물 108B를 실시예 93의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93A 대신에 화합물 108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72
단계 3: 2,5-디플루오로-4-(4-메틸피페라진-1-일)페놀 (108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73
화합물 108C를 실시예 93의 단계 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93B 대신에 화합물 108B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74
단계 4: 표제 화합물 108의 제조:
표제 화합물 108을 실시예 54의 단계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54A 대신에 화합물 108C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 108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75
실시예 109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2-클로로피리딘-4-일옥시)프로필)피콜리네이트 (109)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576
단계 1: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2-클로로피리딘-4-일옥시)프로필)피콜리네이트 (109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77
화합물 109A를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51A 및 화합물 2C 대신에 화합물 96D 및 2-클로로피리딘-4-올을 사용하여 TFA 염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78
단계 2: 표제 화합물 109B의 제조:
표제 화합물 109를 화합물 94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94G 대신에 화합물 109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79
실시예 110
단계 1: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6-(3-모르폴리노프로폭시)나프탈렌-2-일)에티닐)티아졸-4-카르복실산 (110):
Figure 112011055058021-pct00580
단계 1: 6-((트리메틸실릴)에티닐)나프탈렌-2-올 (110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81
THF (12 ml) 중 6-브로모나프탈렌-2-올 (3.8 g, 17.04 mmol), 에티닐트리메틸실란 (7.08 ml, 51.1 mmol), (PPh3)2PdCl2 (1.79 g, 2.56 mmol), TEA (12 ml, 85 mmol)의 혼합물에 요오드화구리(I) (0.324 g, 1.70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오일조 중에서 70℃에서 밤새 가열하고 냉각시켰다. 혼합물에 실리카 겔 (40 g)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진공하에 건조시켰다. 겔 분말을 실리카 겔 칼럼 상에 로딩하고, DCM으로 용리시켜 화합물 110A를 수득하였다.
단계 2: 6-에티닐나프탈렌-2-올 (110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82
MeOH (5 ml) 및 THF (10 ml) 중 화합물 110A (770 mg, 3.20 mmol)를 K2CO3 (885 mg, 6.41 mmol)으로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DCM으로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화합물 110B를 수득하였다.
단계 3: 4-(3-(6-에티닐나프탈렌-2-일옥시)프로필)모르폴린 (110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83
THF (1.5 ml) 중 화합물 110B (57 mg, 0.34 mmol), 3-모르폴리노프로판-1-올 (98 mg, 0.68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 (133 mg, 0.508 mmol)의 혼합물에 (E)-디-tert-부틸 디아젠-1,2-디카르복실레이트 (117 mg, 0.50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역상 HPLC (구배: 0.1% TFA 물 중 0→55% 아세토니트릴 / 40 분)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110C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84
단계 4: 메틸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6-(3-모르폴리노프로폭시)나프탈렌-2-일)에티닐)티아졸-4-카르복실레이트 (110D)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85
DMF (5 ml) 중 화합물 47D (200 mg, 0.283 mmol), 화합물 110C, (PPh3)2PdCl2 (49.7 mg, 0.071 mmol), TEA (0.394 ml, 2.83 mmol)의 혼합물에 요오드화구리(I) (5.40 mg, 0.028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오일조 중에서 120℃에서 5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RP HPLC로 0.1% TFA 물 중 10 → 95% 아세토니트릴로 70 분에 걸쳐 용리시키면서 정제하여 화합물 110D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86
단계 5: 표제 화합물 110의 제조:
표제 화합물 110을 실시예 97의 단계 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97B1 및 화합물 97B2 대신에 화합물 110D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 110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87
실시예 111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2-(6-(3-모르폴리노프로폭시)나프탈렌-2-일)에틸)티아졸-4-카르복실산 (111)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588
단계 1: 2-(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2-(6-(3-모르폴리노프로폭시)나프탈렌-2-일)에틸)티아졸-4-카르복실산 (111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89
표제 화합물 111A를 실시예 100의 단계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97B1 및 화합물 97B2 대신에 화합물 110D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90
단계 2: 표제 화합물 111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91
표제 화합물 111을 실시예 97의 단계 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97B1 및 화합물 97B2 대신에 화합물 111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 111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92
실시예 112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4-(5-(2-(디메틸아미노)에톡시)피리미딘-2-일)페녹시)프로필)피콜린산 (112)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593
단계 1: 2-클로로피리미딘-5-올 (112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94
메틸렌 클로라이드 (10 mL) 중 2-클로로-5-메톡시피리미딘 (0.46 g, 3.18 mmol)을 1.0 N 삼브롬화붕소 (16 mL, 16 mmol)로 실온에서 처리하였다. 용액을 밤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물을 포화 NaHCO3와 DCM 사이에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추가의 DCM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112A (62%) 0.26 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95
단계 2: 2-(2-클로로피리미딘-5-일옥시)-N,N-디메틸에탄아민 (112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96
화합물 112B를 실시예 35의 단계 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D 및 화합물 31F 대신에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및 화합물 112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97
단계 3: 4-(5-(2-(디메틸아미노)에톡시)피리미딘-2-일)페놀 (112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598
화합물 112C를 화합물 34D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C 및 4-(히드록시메틸)페닐보론산 대신에 화합물 112B 및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599
단계 4: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4-(5-(2-(디메틸아미노)에톡시)피리미딘-2-일)페녹시)프로필)피콜린산 (112D)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600
표제 화합물 112D를 화합물 105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87A 대신에 화합물 112C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01
실시예 113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3-(2-(디메틸아미노)에톡시)페녹시)프로필)피콜린산 (113)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602
단계 1: 2-(3-(벤질옥시)페녹시)-N,N-디메틸에탄아민 (113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603
화합물 113A를 실시예 35의 단계 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 화합물 34D 및 화합물 31F 대신에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및 3-(벤질옥시)페놀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04
단계 2: 3-(2-(디메틸아미노)에톡시)페놀 (113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605
화합물 113B를 화합물 31F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31E 대신에 화합물 113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06
단계 3: 표제 화합물 113의 제조:
표제 화합물 113을 화합물 105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87A 대신에 화합물 113C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07
실시예 114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2-(피롤리딘-1-일)에톡시)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114)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608
표제 화합물 114를 화합물 51의 합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화합물 51A 대신에 화합물 106B를 사용하여 TFA 염으로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09
실시예 115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2,5-디플루오로-4-(2-모르폴리노에틸아미노)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115)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610
표제 화합물 115를 실시예 108에 대해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1-메틸피페라진 대신에 2-모르폴리노에탄아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11
실시예 116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3-(디메틸아미노)프로프-1-이닐)-2-플루오로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116)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612
표제 화합물 116을 실시예 97의 단계 3에 대해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화합물 94F 대신에 화합물 47F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13
실시예 117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3-(디메틸아미노)프로프-1-이닐)-3-플루오로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117)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614
표제 화합물 117을 실시예 9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각각 4-브로모-2-플루오로페놀 및 화합물 94F 대신에 4-브로모-3-플루오로페놀 및 화합물 47F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15
실시예 118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4-(3-(디메틸아미노)프로프-1-이닐)-2,5-디플루오로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118)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616
표제 화합물 118을 실시예 9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각각 4-브로모-2-플루오로페놀 및 화합물 94F 대신에 4-브로모-2,5-디플루오로페놀 및 화합물 47F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 118을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17
실시예 119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3-(2-클로로-4-(3-(디메틸아미노)프로프-1-이닐)페녹시)프로필)티아졸-4-카르복실산 (119)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618
표제 화합물 (119)을 실시예 97에 대해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면서 각각 4-브로모-2-플루오로페놀 및 화합물 94F 대신에 4-브로모-2-클로로페놀 및 화합물 47F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 119를 TFA 염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19
실시예 120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콜린산 (120)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620
단계 1: tert-부틸 6-플루오로피콜리네이트 (120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621
토실 클로라이드 (915 mg, 4.8 mmol)를 t-BuOH 3.6 mL 중 2-플루오로-피콜린산 (254 mg, 2 mmol) 및 피리딘 (1.08 mL, 13.4 mmol)의 용액에 0℃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NaHCO3의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3회). 합한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조 화합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SiO2 (석유 에테르/EtOAc 100:0 → 90:10)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생성물 120A를 백색 고체 (m = 326 mg, 83%)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22
단계 2: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콜리네이트 (120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623
Cs2CO3 (831 mg, 2.55 mmol) 및 4Å 체 500 mg을 반응의 개시 전에 고진공 하에 150℃에서 6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냉각되면, 화합물 120A (100 mg, 0.51 mmol) 및 화합물 1B (327 mg, 0.61 mmol)를 반응 용기로 옮기고, 공기를 질소로 퍼징하였다. 이어서, 무수 DMA 1.5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90℃에서 3 시간 동안, 이어서 10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시트르산 10%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시트르산으로 3회, 물 및 염수로 1회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상을 농축시켜 오렌지색 필름/발포체를 수득하였다. 이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SiO2 (AcOEt/Pet. Eth. 0:100 → 40:60)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백색 고체 (72 mg, 29 % 수율)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24
단계 3: 표제 화합물 120의 제조:
화합물 1B (71 mg, 0.15 mmol)를 EtOH 2 mL 중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물 2 ml를 첨가하고, 이어서 진한 HCl 2 m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LCMS가 완전한 전환을 나타낼 때까지 실온에서 7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질소 기체를 혼합물을 통해 버블링하여 HCl 및 EtOH를 제거하자; 백색 고체가 침전시켰다. 이것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 및 소량의 Et2O로 헹구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생성물을 백색 고체 (42 mg, 67%)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25
실시예 121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페녹시프로필)피콜린산 (121)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626
단계 1: tert-부틸 2-브로모-5-클로로벤조에이트 (121A)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627
토실 클로라이드 (7.7 g, 40.4 mmol)를 t-BuOH 33 mL 중 2-클로로-5-브로모 피콜린산 (4 g, 17 mmol) 및 피리딘 (9.2 mL, 114 mmol)의 용액에 0℃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NaHCO3포화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3회). 합한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농축시켜 목적 화합물 121A (정량적)를 수득하였다. 이것을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28
단계 2: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브로모피콜리네이트 (121B)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629
Cs2CO3 (4.1 g, 12.6 mmol) 및 4Å 체를 반응의 개시 전에 고진공 하에 150℃에서 6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냉각되면, 화합물 121A (0.736 g, 2.53 mmol) 및 화합물 1B (1.62 g, 3 mmol)를 반응 용기로 옮기고, 공기를 질소로 퍼징하였다. 이어서, 무수 DMA 12 mL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120℃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냉각된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시트르산 10%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시트르산으로 3회, 물 및 염수로 1회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상을 농축시켜 오렌지색 필름/발포체를 수득하였다. 플래쉬 마스터 (SiO2,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0:100 → 40:60)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 (1.15 g, 80 % 수율로서의 생성물 121B)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30
단계 3: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브로모피콜리네이트 (121C)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631
화합물 121B (350 mg, 0.62 mmol)를 THF 중에 용해시켰다. NEt3 (127 ㎕, 0.91 mmol) 및 SEMCl (135 ㎕, 0.74 mmol)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에 녹였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로 플래쉬 마스터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SiO2,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0:100 → 30:70. 연황색 발포성 고체 화합물 121C를 수득하였다 (276 mg, 64%). NMR에서 2개의 N-SEM 생성물이 나타났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32
단계 4: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페녹시프로프-1-이닐)피콜리네이트 (121D)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633
사전에 건조된 Cs2CO3 (378 mg, 1.16 mmol)에 화합물 121C (180 mg, 0.26 mmol),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 (18 mg, 0.04 mmol) 및 비스(아세토니트릴)디클로로팔라듐(II) (3.2 mg, 0.012 mmol)을 첨가하였다. 공기를 질소로 퍼징하고, 프로피오니트릴 (3.0 mL)을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교반한 후, 페닐 프로파르길 에테르 (205 mg, 1.54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5℃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키고, 포화 NH4Cl로 희석하고, EtOAc (3x)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염수 (1x)로 세척하고, 건조 (Na2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조 물질을 PE:EtOAc 100:0→85:15의 구배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 (90 mg, 47%)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34
단계 5: tert-부틸 6-(8-(벤조[d]티아졸-2-일((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3-(3-페녹시프로필)피콜리네이트 (121E)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635
PtO2 (4.8 mg, 0.020 mmol)를 EtOAc (2.0 mL) 중 화합물 2D (60 mg, 0.080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H2 분위기 하에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EtOAc로 세척하고, 농축시켜 생성물 121D (55 mg, 92%)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36
단계 5: 표제 화합물 121의 제조:
Figure 112011055058021-pct00637
화합물 121E (55 mg, 0.073 mmol)를 EtOH 1 mL 중에 용해시켰다. 물 (1 mL)을 첨가하고, 이어서 진한 HCl 1 m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50℃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로 헹구었다. 고체를 정제용 HPLC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38
실시예 122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리미딘-4-카르복실산 (122)의 합성:
Figure 112011055058021-pct00639
DMSO 2 ml 중 화합물 1B (309 mg, 1 mmol), 2-클로로피리미딘-4-카르복실산 (134.5 mg, 1 mmol) 탄산세슘 (975 mg, 3 mmol)의 혼합물을 60℃로 6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생성물을 물에 붓고, 용액으로부터 침전시키고,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조 물질을 크로마토그래피 (SiO2, 디클로로메탄 중 20 % 메탄올)하여 37을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40
실시예 123
2-(8-(벤조[d]티아졸-2-일카르바모일)-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5-클로로피리미딘-4-카르복실산 (123)의 합성.
DMSO 2 ml 중 화합물 1B (309 mg, 1 mmol), 5-클로로-2-메탄술포닐-피리미딘-4-카르복실산 (236 mg, 1 mmol) 및 탄산세슘 (975 mg, 3 mmol)의 혼합물을 60℃로 6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물에 첨가하여 생성물을 용액으로부터 침전시키고,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조 물질을 크로마토그래피 (SiO2, 디클로로메탄 중 20 % 메탄올)하여 표제 화합물 123을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41
실시예 124
시간 분해 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 (TR-FRET) 결합 검정을 이용한, Bcl-2 패밀리 단백질 (Bcl-xL) 결합 부위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과 F-Bak의 경쟁 측정:
시험 화합물을 DMSO에 50 μM (2x 개시 농도; 10% DMSO)에서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희석하고, 10 μL를 384-웰 플레이트로 옮겼다. 이어서, 단백질/프로브/항체 믹스 10 μL를 하기 표 2에 열거된 최종 농도로 각 웰에 첨가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42
이어서, 샘플을 진탕기 상에서 1분 동안 혼합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추가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각각의 검정 플레이트에 대해, 프로브/항체 및 단백질/항체/프로브 혼합물을 각각 음성 및 양성 대조군으로서 포함시켰다. 형광을 340/35 nm 여기 필터, 및 520/525 (F-Bak) 및 495/510 nm (Tb-표지된 항-his 항체) 방출 필터를 사용하여 엔비전(ENVISION) (퍼킨 엘머(Perkin Elmer)) 상에서 측정하였다. 해리 상수 (Ki)를 왕(Wang)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문헌 [Wang, Z.X. An exact mathematical expression for describing competitive binding of two different ligands to a protein molecule. FEBS Lett. 1995 360: 111-114] 참조). TR-FRET 검정을 가변 농도의 인간 혈청 (HS) 또는 태아 소 혈청 (FBS)의 존재 하에 수행할 수 있다.
비교를 위해, TR-FRET 결합 검정을 이용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다른 Bcl-2 패밀리 단백질 결합 부위 (예를 들어, Bcl-2, Mcl-1)에 대한 경쟁 측정을, TR-FRET 검정에서 GST-Bcl-xL을 다른 GST-표지된 단백질, 예를 들어 내부에서 제조한 GST-Bcl-2, GST-Mcl-1로 대체함으로써 달성하였다.
표 1에 열거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에 대한 TR-FRET 검정 결과 (마이크로몰로 나타낸 Ki)를 이들이 표 1에 나타난 순서대로 하기 제공하였다: 0.077, 0.0002, 0.0002, 0.0003, 0.001, 0.0002, 0.007, 0.00006, 0.00007, 0.0001, 0.0001, 0.0003, 0.0007, 0.006, 0.003, 0.006, 0.004, 0.004, 0.009, 0.003, 0.00005, 0.019, 0.002, 0.007, 0.0003, 0.003, 0.001, 0.001, 0.023, 0.0004, 0.0001, 0.017, 0.0003, 0.004, 0.004, 0.005, 0.004, 0.005, 0.0002, 0.0004, 0.0001, 0.002, 0.005, 0.00007, 0.001, 0.001, 0.0001, 0.00005, 0.012, 0.002, 0.0003, 0.00005, 0.00005, 0.00005, 0.0006, 0.00005, 0.00007 (w/1% HS), 0.0005, 0.0003, 0.176, 0.0003, 0.13, 0.248, 0.00005, 0.00007, 0.0001, 0.00005, 0.0002, 0.0005, 0.040, 0.174, 0.003, 0.00008, 0.00005, 0.00005, 0.008, 0.007, 0.00005, 0.0001, 0.0005, 0.00005, 0.00005, 0.00005, 0.00005, 0.00005, 0.00007, 0.00005, 0.00005, 0.0001, 0.00005, 0.0007, 0.00005, 0.00005, 0.002, 0.00005, 0.0001, 0.00005, 0.010, 0.125, 0.0005, 0.0007, NA, NA, NA, 0.15, 0.0662, 0.197, 0.66, NA, NA, NA, 0.0106, 0.0189, 0.00018, NA, 0.0006, 0.00015, 0.00004, 0.000004, 0.003, 0.000006 (w/1% HS), 0.00001, 0.00004, 0.00002, 0.00005, NA, 0.0006, NA, NA, NA, 0.002, 0.0002, 0.000023, NA, 0.0003, 0.001, 0.0002, 0.00007, 0.00002, NA, 0.000487, 0.000088, NA, NA, NA, NA, >0.66 및 NA. 본원에 사용된 약어 "NA"는 화합물에 대한 데이터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Bcl-2 패밀리 단백질인 Bcl-xL을 다른 Bcl-2 패밀리 단백질, 예컨대 Bcl-2 및 Mcl-1에 대해 선택적으로 억제한다. 비교를 위해, TR-FRET 결합 검정을 이용하여 Bcl-2 결합 부위에 대한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 (즉, 표 1의 화합물 52, 58, 64, 70, 74, 76, 81, 82, 84, 88, 93, 94, 97 및 100)과 F-Bak에 의한 경쟁을 측정한 데이터 (마이크로몰로 나타낸 Ki)는 각각 0.13, 0.31, 0.09, 0.5, 0.06, 0.35, 0.11, 0.12, 0.14, 0.3, 0.155, 0.572, 0.272 및 0.219이었다.
실시예 125
알파 스크린(Alpha Screen) Bcl-xL 결합 검정을 이용한, Bcl-2 패밀리 단백질 결합 부위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과 Bim26-mer의 경쟁 측정:
BH3 단백질 알파스크린™ 검정을 활성 소분자 Bcl-2 패밀리 단백질 스크린, 예를 들어, Bcl-xL, hmMcl-1 스크린을 확인하는 데 이용하였다. IC50의 정확한 추정치를 결정하기 위해, 화합물을 일상적으로 출발 농도 100 μM 및/또는 1 μM에서 시험하고, 11회의 희석에 걸쳐 3배로 연속적으로 적정하였다.
검정은 각각 단백질 (예를 들어, GST-hmMcl-1, GST-Bcl-xL 또는 GST-비오틴) 및 펩티드 (비오틴-Bak, 비오틴-Bim)에의 접합을 위한 관능기를 갖는 히드로겔 코팅된 수용 및 공여 비드에 의존하는 알파스크린™ 기술을 이용하였다. 비드는 단백질과 펩티드가 상호작용할 때 근접하게 된다. 공여 비드는 680 nm의 여기에서 산소를 O2의 여기 형태로 전환시키는 광감제를 함유한다. 에너지는 일중항 산소로부터 변환되고, 수용 비드 상의 화학발광제와 반응하여 520 내지 620 nm의 빛 방출을 초래한다. 반응물에 첨가된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수용 및 공여 비드의 접근 억제에 의존하여 발광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화합물의 IC50을 계산하였다.
물질
GST-Bcl-xL, GST-hmMcl-1 및 비오티닐화 GST 단백질을 내부에서 제조하고, -80℃에 원액으로서 보관하였다. 비오티닐화-Bak 및 비오티닐화-Bim 펩티드를 오스펩(Auspep)으로부터 구입하고, -80℃에 100% DMSO 중 500 μM 원액으로서 보관하였다. 알파스크린™ GST (글루타티온-S-트랜스퍼라제) 검출 키트를 퍼킨 엘머 라이프사이언시즈(Perkin Elmer Lifesciences) (Cat #6760603R)로부터 입수하였다. 프록시플레이트(Proxiplate), 백색 384 웰 평-바닥 플레이트를 인터패스 서비시즈(Interpath Services; 멜버른) (Cat #784075)로부터 구입하였다. 플레이트를 덮기 위한 실(seal)을 프로사이언스(Proscience; 멜버른) (Cat#784075)로부터 구입하였다. DMSO를 아날라알(AnalaR)로부터 구입하였다. 384 깊은 웰 플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 50 μL, V 바닥 폴리프로필렌 화합물 플레이트를 마트리칼(Matrical)로부터 구입하였다.
화합물의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을 검정을 수행하기 전날에 100% DMSO를 사용하여 10mM 원액으로서 제조하였다. 100% DMSO 12 μL 및 10mM 화합물 6 μL (즉, 3.333mM, 최종 100 μM)를 V 바닥 화합물 플레이트의 칼럼 1 및 12에 폴리프로필렌 50 μL 중에 첨가하였다. 1 μM의 최종 화합물 농도를 달성하기 위해, 별도의 마트리칼 플레이트에서 100% DMSO 28 μL 및 10mM 화합물 2 μL를 웰에 첨가하고, 잘 혼합하고, 상기 용액 2 μL를 취하여 100% DMSO 38 μL에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 20 μL를 시험 마트리칼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여러 대조군 화합물을 시험 플레이트에 포함시켰다. 대조군 웰을 위해 각각의 플레이트의 적절한 웰에 단지 100% DMSO 15 μL만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화합물 플레이트를 미니트랙(MiniTrak)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2배 희석하였다. 적정이 완료되면, 화합물 플레이트를 즉시 호일 실로 덮어 증발을 방지하였다.
완충제 제조
검정 및 비드 완충제는 새롭게 제조하였다. 각각의 적정된 화합물 플레이트를 이중으로 검정하였다. 하기 부피는 12개의 프록시플레이트 (Bcl-xL, hmMcl 및 반대 검정 각각에서 이중으로 진행하는 4개의 검정 플레이트)를 진행시키기에 충분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43
단백질 및 펩티드 제조; 및 검정 수행
1. 검정 및 비드 완충제를 수용 및 공여 용액을 제조하는 데 사용하였다. 알파스크린™ 비드는 빛에 민감하며, 따라서 암실에서 제조하였다. 완충제 1 mL 당 비드 2.5 μL를 첨가하였다.
2. 첨가할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부피를 하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44
C1 = 단백질/펩티드의 최종 농도
C2 = 단백질/펩티드의 원액 농도
V1 = 수용/공여 용액의 총 부피
V2 = 수용/공여 용액에 첨가할 원액 단백질/펩티드의 부피
3. 검정 성분을 별도의 수용 및 공여 용액으로서 제조하였다. 수용 용액은 수용 비드 및 표적 단백질을 함유하는 반면, 공여 용액은 공여 비드 및 비오티닐화 펩티드를 함유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45
4. 용액을 제조한 후, 이들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면서 정치시켜, 비드가 단백질 및 펩티드에 결합되도록 하였다.
5. Bcl-xL 용액 50 μL, hmMcl-1 용액 50 μL 및 비오티닐화-GST 50 μL를 검정 플레이트 상의 분리된 깊은 웰에 첨가하였다. 대조군 검정/비드 완충제 50 μL를 분리된 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단백질 없음).
6. Bim 용액 50 μL 및 Bak 용액 50 μL를 분리된 깊은 웰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7. 화합물 플레이트에서 각각의 검정 플레이트로 샘플 0.3 μL를 옮겼다.
8. RT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이어서 공여 용액 5 μL을 첨가하였다. 공여 용액을 첨가한 후, 플레이트를 부드럽게 탭핑하고, 접착 필름으로 개별적으로 밀봉하였다.
9. 이어서, 분석을 위해 플레이트를 엔비전 2103 플레이트 판독기 상에 로딩하였다.
데이터 분석
퍼센트 억제를 하기 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46
x = 화합물 처리 후 얻은 RFU
μ- = 음성 대조군 (단백질 없음 대조군)에 대해 얻은 RFU
μ+ = 양성 대조군 (DMSO 비히클 대조군)에 대해 얻은 RFU
IC50 값을 상기 데이터의 비-선형 최소 제곱법 보정, 예를 들어 XLfit3 방정식 205: y=A+((B-A)/(1+((C/x)^D)))에 의해 얻었다.
검정 결과의 질을 각각의 검정 플레이트에 대한 Z 프라임(Prime) 인자의 결정에 의해 모니터링하였고, 여기서 결과에 대해 0.5 이상의 Z 프라임을 신뢰성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문헌 [Zhang et al., J Biomol Screening, 4:67-73, 1999]).
Bcl-xL 단백질에 대항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화합물 (표 1의 화합물)에 대한 알파스크린 결과 (마이크로몰로 나타낸 IC50)를 이들이 표 1에 나타난 순서대로 하기 제공하였다: 0.10, 0.001, 0.001, 0.0008, 0.002, 0.002, 0.025, 0.0005, 0.0008, 0.001, 0.002, 0.004, 0.010, 0.020, 0.010, 0.010, 0.020, 0.006, NA, 0.008, 0.0003, 0.050, 0.001, 0.027, 0.0009, 0.005, 0.007, 0.008, 0.117, 0.0003, 0.0003, 0.050, NA, 0.005, 0.010, NA, NA, 0.005, NA, NA, 0.0007, 0.007, NA, NA, 0.004, NA, NA, 0.0003, 0.080, 0.010, 0.006,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1.6, 0.574, NA, NA, NA, NA, NA, NA, 0.26, 0.57, NA, NA, NA, 0.0001, 0.086, 0.034,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0.14, NA, NA, NA, 0.865, 7.5, 4, 0.31, 0.124, 0.0776, 0.598, 19, 0.030, 0.003, 0.136, 0.041, 0.0009, NA, NA, NA, 0.0002, 0.0002, 0.017, 0.0004, 0.0003, 0.00014, 0.0004, NA, 0.0924, 0.0106, 0.34, NA, NA, 0.020, 0.0009, 0.0012, 0.0011, 0.0022, 0.0096, 0.00045, NA, NA, NA, 3.8, NA, NA, NA, NA, NA, NA, NA 및 NA. 여기서 사용된 약어 "NA"는 화합물에 대한 데이터가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126
세포 생존율 검정:
일반: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능은 또한 다양한 세포주 및 마우스 종양 모델을 사용한 세포-기반 치사 검정에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 생존율에 대한 그의 활성은 배양된 종양형성 및 비-종양형성 세포주 패널, 뿐만 아니라 1차 마우스 또는 인간 세포 집단에서 평가될 수 있다. 한 예시적인 상태의 세트에서, 5,000 내지 20,000개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 내의 적절한 성장 배지 (예를 들어, pre-B Eμ-Myc 마우스 종양의 경우에 10% 소 태아 혈청, 아스파라기나제 및 2-메르캅토에탄올로 보충된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 100 μL)에서 37℃ 및 10% CO2 하에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율 및 총 세포 수를, 1 nM 내지 100 μM의 화합물과 함께 수시간 내지 수일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모니터링하여, EC50<10 μM에서 치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 생존율은 유동세포계수기 (BD 팩스캔(FACScan)) 상에서 660 내지 675 nm의 방출 파장의 면역형광 분석에 의해, 또는 셀 타이터-글로(CELL TITER-GLO)?와 함께 인큐베이션한 후 발광 검출에 의해, 세포가 프로피듐 요오다이드 (10 μg/mL)를 배제하는 능력에 의해 결정할 수 있었다. 별법으로, 고처리량 비색 검정, 예컨대 셀타이터? 96 수성 비-방사성 세포 증식 검정 (프로메가(Promega))을 사용할 수 있었다. 아폽토시스에 의한 세포 사멸을 50 μM의 카스파제 억제제, 예컨대 zVAD-fmk와 함께 세포를 예비 배양하여 확인하였다.
a. Mcl-1-/- 마우스 배아 섬유모세포 (MEF)에 대한 세포 생존율 검정:
세포가 하류 Bax/Bak 경로를 통해 아폽토시스를 겪기 전에, 정상 세포에서 Bcl-xL 및 Mcl-1 항-아폽토시스성 단백질 둘 다의 중화가 요구된다 (문헌 [Chen, L. et al. Mol. Cell (2005) 17, 393-403], [Willis, S.N. et al. Genes Dev. (2005) 19, 1294-1305] 참조). 단지 Bcl-xL만을 표적으로 하는 화합물은 정상 세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하지만, 생존을 위해 암 세포가 Bcl-xL에 더 의존하고, 다른 항-아폽토시스성 단백질, 예를 들어 Mcl-1에 덜 의존하는 경우에 특정 암세포를 치사시킬 수 있다. 이를 반영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야생형 (wt) 마우스 배아 섬유모세포 (MEF), Bax/Bak 이중 녹아웃 (BB DKO) MEF, Noxa를 발현한 MEF, 및 Bad를 발현한 MEF의 생존에 대한 그의 효과에 대해 시험하였다. Noxa는 Mcl-1을 특이적으로 중화시킨다. 따라서, Noxa를 발현하는 MEF는 생존을 위해 Bcl-xL에 의존하는 암 세포형을 반영하며, Bcl-xL 및 Mcl-1이 둘 다 방어적인 MEF보다 Bcl-xL 표적 화합물에 의한 치사에 훨씬 더 민감하여야 한다.
본 검정에서, Mcl-1(-/-) 세포를 BH3 모방체 소분자의 존재 하의 세포 아폽토시스가 주로 Bcl-xL 불활성화로 인한 것임을 확인하는 데 사용하였다. 상기 불활성화는 Bax/Bak를 구속받지 않은 채로 남겨두고, 아폽토시스를 초래한다. 셀타이터-글로 발광 세포 생존율 검정은 ATP 존재의 정량화를 기반으로 배양물 중의 생존 세포의 수를 측정하는 균질 방법이다. ATP의 양이 대사적으로 활성인 세포의 존재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세포 용해 후 ATP가 존재하는 양은 측정된 발광의 양에 비례한다.
물질
Mcl-1(-/-) 마우스 배아 섬유모세포 (MEF)는 내부에서 제조된 부착 세포주였다. MEF는 다음으로 구성된 FMA 배지를 이용하여 이와키(Iwaki) 75 cm2 조직 배양 플라스크 (Cat # 3123-075)에서 성장시켰다.
· 89% DME 켈소(Kelso)
· 10% 열-불활성화 소 태아 혈청 (FCS) (하이클론(Hyclone) Cat # SH30396.03)
· 1% 10 mM 아스파라긴 (플루카(Fluka) Cat # 11149)
· 2-메르캅토에탄올의 1:2000 희석액 275 μl를 최종 500 ml 부피의 FMA (시그마(Sigma) Cat #M7522; MT-PBS에 희석됨)에 첨가함.
FMA는 4℃에서 보관하고, 37℃에서 사용하였다. MEF는 FMA 배지 중에서 배양하고, MT-PBS 및 트립신 중에서 수확하였다. MEF 세포 생존율 검정을 위해, 세포를 10% FCS-FMA 및 1% FCS-FMA를 갖는 플레이트에 개별적으로 시딩하였다.
1% FCS-FMA는 다음으로 구성되었다.
· 98% DME 켈소
· 1% 열-불활성화 소 태아 혈청 (FCS) (하이클론 Cat # SH30396.03)
· 1% 10 mM 아스파라긴 (플루카 Cat # 11149)
· 2-메르캅토에탄올의 1:2000 희석액 275 μl를 최종 500 ml 부피 (시그마 Cat #M7522; MT-PBS에 희석됨)에 첨가함.
검정은 백색, 평평한 투명-바닥 그라이너(Greiner) 384-웰 조직 배양 등급 (인터패스 #781098)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마트리칼 384-웰, 25 μl V-바닥 플레이트 (Cat #MP101-2-PP)에서 화합물을 제조하고, 베크만 코울터(Beckman Coulter)로부터의 알루미늄 호일 (Cat #538619)로 밀봉하고, 12℃에서 밤새 보관하였다. 화합물 제조 및 적정은 아날라알 등급 DMSO (머크(Merck) Cat #1.02952.2500) 중에서 수행하였다. 이용된 세포 생존율 검출 검정은 프로메가로부터 시판되는 셀타이터-글로™ (Cat # G7572)였고, 이를 -20℃에 보관하고 37℃에서 사용하였다.
본 검정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1) 멀티드롭(Multidrop) - 멀티드롭 384 (써모랩시스템스(ThermoLabsystems) 디스펜서를, 검정 플레이트 내로 세포를 무균 분배하는 데 사용하였고; 2) 미니트랙 - 퍼킨 엘머로부터의 미니트랙 시스템을 화합물 플레이트의 적정에 사용하였고; 3) 지마르크(Zymark) - 100 nL 핀툴 헤드를 갖는 지마르크 사이클론(Zymark Sciclone) ALH3000 시스템을, 화합물을 세포에 첨가하는 데 사용하였고; 4) 엔비전 - 엔비전 플레이트 판독기를, 발광의 검출을 통해 생존율을 측정하는 데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100% DMSO 중 10 mM 용액으로서 제조하고, -20℃에 보관하였다. 화합물을 실온으로 녹이고, 384 웰 마트리칼 플레이트 내로 분배하였다. 표준 대조군 화합물, 예를 들어 32.3 mM 에토포시드를 대조군으로서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는 호일 실로 밀봉하고, 12℃에서 밤새 보관할 수 있다. 화합물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녹도록 정치시키고, 화합물을 미니트랙 상에서 100% DMSO 중에서 1:3으로 적정하였다 (하기 제3일 방법 섹션 참조).
방법
1. 제1일 - 세포 스플리팅
배지를 흡출하고, Mcl-1(-/-) 세포를 가온한 MT-PBS 10 ml로 세척하였다. MT-PBS를 흡출하고, 트립신 1 ml를 첨가하였다. T75 플라스크를 세포가 분리될 때까지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10% FCS FMA 배지 4 ml를 트립신처리된 세포에 첨가하고, 전체 부피를 50 ml 원심분리기 튜브로 옮기고, 250 g에서 3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청액을 흡출하고, 펠릿을 10% FCS FMA 10 ml에 재현탁시켰다. 상기 세포 현탁액 3 ml를 10% FCS FMA 배지 17 ml를 함유하는 깨끗한 75 cm2 플라스크에 첨가하여, 3:10 스플릿을 수행하였다. 남아있는 세포 현탁액을 추가 배양을 위해 또 다른 75 cm2 플라스크 내에 1:50 스플릿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였다.
2. 제2일 - 검정 플레이트 시딩 및 화합물 플레이트 셋업
세포를 방법 단계 1에 따라 수확하고, 펠릿을 10% FCS FMA 3 ml에 재현탁시켰다. 세포 수를 노이바우어(Neubauer) 혈구계에서 계수함으로써 측정하고, 1 x 104개 세포 ml-1 (50 μl 배지 중 웰당 500개 세포)의 밀도를 달성하도록 계산하여 희석하였다. 별개의 희석액을 각각 10% FCS FMA 50 ml 및 1% FCS FMA 용액 50 ml 중에 제조하였다.
화합물 플레이트당 4개의 검정 플레이트를 셋업하였다. 10% FCS FMA 중의 Mcl-1(-/-) 세포를 함유하는 2개의 384 웰 플레이트, 및 1% FCS FMA 중의 Mcl-1(-/-) 세포를 함유하는 다른 2개의 플레이트.
멀티드롭을 이용하여, 세포 25 μl를 검정 플레이트의 모든 384개의 웰 내로 무균 분배하였다. 플레이트를 겹쳐쌓지 않은 층으로 실온에서 대략 30분 동안 정치되도록 두고 (가장자리-효과를 최소화), 이어서 37℃ 인큐베이터에 단일 층으로서 위치시켰다. 플레이트를 밤새 인큐베이션하면서 정치시켰다.
3. 제3일 - 화합물 플레이트 적정 및 세포 처리
화합물 플레이트를 미니트랙 상에서 100% DMSO를 사용하여 3-배 11-지점 연속 희석을 수행함으로써 적정하였다. 화합물의 적정에 이어서, 화합물 100 nl를 지마르크 사이클론 핀툴을 사용하여 세포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이는 화합물의 1:250 희석액이므로, 화합물의 최고 최종 농도는 40 μM이었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37℃ 인큐베이터로 귀환시키고, 밤새 인큐베이션하면서 정치시켰다.
4. 제4일 - 생존율 분석
셀타이터-글로™ 용액을 제조업체의 설명서에 따라 셀타이터-글로™기질을 셀타이터-글로™완충제로 재구성함으로써 제조하고, 사용 후에는 -80℃에 보관하였다. 플레이트를 인큐베이터에서 꺼내고, 15분 동안 실온으로 평형화되도록 정치시켰다. 희석된 셀타이터-글로™ 25 μl를 멀티드롭을 이용하여 검정 플레이트의 각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15분 동안 플레이트 진탕기 상에서 혼합한 후, 발광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엔비전 상에서 판독하였다.
데이터 분석
퍼센트 억제를 하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11055058021-pct00647
x = 샘플 화합물 처리 후 얻은 CPS
μ- = 음성 대조군에 대해 얻은 CPS
μ+ = 양성 대조군에 대해 얻은 CPS
IC50 값을, 예를 들어 4-파라미터 로지스틱 보정 (XLFit 4 방정식 #205; y=A+((B-A)/(1+((C/x)^D)))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비-선형 최소 제곱법 보정에 의해 얻었다.
검정 결과의 질을 각각의 검정 플레이트에 대한 Z' 인자의 결정에 의해 모니터링하였고, 여기서 결과에 대해 Z' ≥ 0.5를 확고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문헌 [Zhang et al., J Biomol Screening, 4:67-73, 1999]).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 즉, 표 1의 화합물 58, 64, 74, 81, 82, 84, 88, 94, 97 및 100에 대한 MEF Mcl-1-/- KO 세포 생존율 결과 (즉, 마이크로몰로 나타낸 EC50, 및 10% 태아 소 혈청의 존재 하에 수행된 검정)는 각각 1.3, 0.31, 0.007, 0.010, 0.030, 0.022, 0.028, 0.448, 0.026 및 0.339였다.
b. 혈소판에 대한 세포 생존율 검정
혈소판이 풍부한 혈장 (PRP)을 37℃에서 대략 4시간 동안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한 후, 혈소판을 실온으로 20분 동안 평형화시키고, 이어서 동일 부피의 셀타이터-글로™ 시약 (프로메가 코포레이션)을 첨가하였다. 샘플을 2분 동안 혼합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추가로 10분 동안 평형화되도록 하였다. 샘플로부터 생성된 발광을 LJL 아날리스트(Analyst) 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그래프패드 프리즘(GRAPHPAD PRISM) 4.0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 즉, 표 1의 화합물 54, 74, 75, 78, 79, 86, 87, 88, 90, 95, 96 및 97에 대한 혈소판 생존율 결과 (즉, 마이크로몰로 나타낸 EC50)는 각각 0.132, 0.021, 0.009, 0.003, 0.003, 0.010, 0.003, 0.003, 0.003, 0.003, 0.354 및 0.003이었다.
c. 인간 종양 세포주 NCI-H146의 세포 생존율
NCI-H146 (ATCC; 미국 버지니아주 매나사스) 인간 소세포 폐 암종 세포를 96-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 10% 인간 혈청 (인비트로겐(Invitrogen); 미국 캘리포니아주 칼스배드)으로 보충된 총 부피 100 μL의 조직 배양 배지 중 웰당 50,000개 세포로 플레이팅하고, 10 μM 내지 0.020 μL의 관심 대상 화합물의 2배 연속 희석액으로 처리하였다. 각각의 농도를 3번 이상의 별개의 시점에 이중으로 시험하였다. 화합물 처리 48시간 후의 생존 세포 수를 제조업체의 추천에 따라 셀타이터 96? 수성 비-방사성 세포 증식 MTS 검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프로메가 코포레이션; 미국 위스콘신주 매디슨).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 즉, 표 1의 화합물 74, 82, 84, 93 및 97에 대한 NCI-H146 세포 생존율 결과 (즉, 마이크로몰로 나타낸 EC50)는 각각 0.71, 2.5, 0.61, 3.2 및 2.4였다.

Claims (37)

  1. 하기 화학식 II-a 또는 화학식 II-c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화학식 II-a>
    Figure 112016057102006-pct00703

    <화학식 II-c>
    Figure 112016057102006-pct00704

    상기 식에서,
    R4b는 C(O)OH이고;
    L은 부재하거나, 이하의 링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링커이며;
    Figure 112016057102006-pct00705

    E는 수소이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E는 이하의 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16057102006-pct00706

    Figure 112016057102006-pct00707

    Figure 112016057102006-pct00708

    Figure 112016057102006-pct00709
  2. 제1항에 있어서,
    Figure 112016057102006-pct00710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학식을 가지며, 여기서
    R4b
    Figure 112016057102006-pct00711
    이고,
    E가 페닐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3.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112016057102006-pct00688

    Figure 112016057102006-pct00689

    Figure 112016057102006-pct00690

    Figure 112016057102006-pct00691

    Figure 112016057102006-pct00692

    Figure 112016057102006-pct00693

    Figure 112016057102006-pct00694

    Figure 112016057102006-pct00695

    Figure 112016057102006-pct00696

    Figure 112016057102006-pct00697

    Figure 112016057102006-pct00698

    Figure 112016057102006-pct00699

    Figure 112016057102006-pct00700

    Figure 112016057102006-pct00701

    Figure 112016057102006-pct0070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4. 제1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희석제,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소세포 폐암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5. 제1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소세포 폐암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6. 제1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환자의 순환 혈소판 카운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약 조성물.
  7. 제1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하나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희석제,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본태성 혈소판증가증, 진성 적혈구증가증, 재협착, 수술 전후 항혈소판 요법 또는 장치 관련 혈전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8. 제1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본태성 혈소판증가증, 진성 적혈구증가증, 재협착, 수술 전후 항혈소판 요법 또는 장치 관련 혈전의 치료를 위한 제약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KR1020117016722A 2008-12-19 2009-12-17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및 사용 방법 KR101685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49208P 2008-12-19 2008-12-19
US61/139,492 2008-12-19
PCT/US2009/068496 WO2010080503A1 (en) 2008-12-19 2009-12-17 Heterocyclic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473A KR20110102473A (ko) 2011-09-16
KR101685718B1 true KR101685718B1 (ko) 2016-12-12

Family

ID=4231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6722A KR101685718B1 (ko) 2008-12-19 2009-12-17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8232273B2 (ko)
EP (1) EP2373163B1 (ko)
JP (1) JP5770102B2 (ko)
KR (1) KR101685718B1 (ko)
CN (1) CN102316733B (ko)
AU (1) AU2009335843A1 (ko)
BR (1) BRPI0918360A8 (ko)
CA (1) CA2747170C (ko)
CL (1) CL2011001485A1 (ko)
CO (1) CO6390075A2 (ko)
CR (1) CR20110388A (ko)
DO (1) DOP2011000199A (ko)
EC (1) ECSP11011213A (ko)
ES (1) ES2544452T3 (ko)
IL (1) IL213596A0 (ko)
MX (1) MX2011006509A (ko)
NZ (1) NZ593537A (ko)
PE (1) PE20120334A1 (ko)
RU (1) RU2525116C2 (ko)
SG (1) SG172259A1 (ko)
WO (1) WO2010080503A1 (ko)
ZA (1) ZA2011044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2134685E (pt) 2007-04-16 2015-11-25 Abbvie Inc Derivados de índole não substituídos na posição 7 como inibidores de mcl-1
CR20110389A (es) * 2008-12-19 2011-07-13 Abbott Lab Compuestos y métodos de uso
US9526648B2 (en) 2010-06-13 2016-12-27 Synerz Medical, Inc. Intragastric device for treating obesity
US10010439B2 (en) 2010-06-13 2018-07-03 Synerz Medical, Inc. Intragastric device for treating obesity
US10420665B2 (en) 2010-06-13 2019-09-24 W. L. Gore & Associates, Inc. Intragastric device for treating obesity
US8628554B2 (en) 2010-06-13 2014-01-14 Virender K. Sharma Intragastric device for treating obesity
US8754114B2 (en) 2010-12-22 2014-06-17 Incyte Corporation Substituted imidazopyridazines and benzimidazoles as inhibitors of FGFR3
MX346494B (es) 2011-05-20 2017-03-21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No 2) Ltd Compuestos novedosos como inhibidores de diacilglicerol aciltransferasa.
US8940737B2 (en) 2011-10-14 2015-01-27 Abbvie Inc. Apoptosis-inducing agen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immune and autoimmune diseases
TWI571466B (zh) * 2011-10-14 2017-02-21 艾伯維有限公司 用於治療癌症及免疫與自體免疫疾病之細胞凋亡誘發劑
TWI561521B (en) * 2011-10-14 2016-12-11 Abbvie Inc Apoptosis-inducing agen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immune and autoimmune diseases
US8889675B2 (en) 2011-10-14 2014-11-18 Abbvie Inc. Apoptosis-inducing agen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immune and autoimmune diseases
JP5955531B2 (ja) * 2011-11-07 2016-07-20 千葉県 抗癌剤
ME03300B (me) 2012-06-13 2019-07-20 Incyte Holdings Corp Supsтituisana triciklična jedinjenja као inhibiтori fgfr
CN103515415A (zh) * 2012-06-26 2014-01-15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叠层结构与其制造方法、以及包含其的电子装置
US9388185B2 (en) 2012-08-10 2016-07-12 Incyte Holdings Corporation Substituted pyrrolo[2,3-b]pyrazines as FGFR inhibitors
CN104736153B (zh) * 2012-08-13 2018-06-29 艾伯维公司 细胞凋亡诱导剂
US10227357B2 (en) 2012-09-06 2019-03-12 Plexxikon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kinase modulation, and indications therefor
JP6333826B2 (ja) 2012-10-11 2018-05-30 エフ・ホフマン−ラ・ロシュ・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アザインドリン
US9796729B2 (en) 2012-11-23 2017-10-24 Glaxosmithkline Llc Compounds as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inhibitors
US9266892B2 (en) 2012-12-19 2016-02-23 Incyte Holdings Corporation Fused pyrazoles as FGFR inhibitors
WO2014145852A2 (en) 2013-03-15 2014-09-18 Knopp Biosciences Llc Imidazo(4,5-b) pyridin-2-yl amides as kv7 channel activators
ES2657451T3 (es) 2013-04-19 2018-03-05 Incyte Holdings Corporation Heterocíclicos bicíclicos como inhibidores del FGFR
FR3008979B1 (fr) * 2013-07-23 2015-07-24 Servier Lab Nouveaux derives phosphat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FR3008975A1 (fr) 2013-07-23 2015-01-30 Servier Lab Nouveaux derives de pyrrol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CA3100140C (en) 2014-01-28 2023-10-24 Buck Institute For Research On Aging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killing senescent cells and for treating senescence-associated diseases and disorders
EP3139942B1 (en) 2014-05-05 2019-12-18 Bioventur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ANTIAPOPTOTIC Bcl-2 PROTEINS AS ANTI-AGING AGENTS
US10071087B2 (en) 2014-07-22 2018-09-11 Bioventur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depleting senescent cells
EP3572405B9 (en) 2014-09-12 2023-12-06 Biohaven Therapeutics Ltd. Benzoimidazol-1,2-yl amides as kv7 channel activators
US10851105B2 (en) 2014-10-22 2020-12-01 Incyte Corporation Bicyclic heterocycles as FGFR4 inhibitors
MX2017007629A (es) * 2014-12-09 2018-05-17 Abbvie Inc Compuestos inhibidores de bcl-xl que tienen una baja permeabilidad en las celulas y conjugados de anticuerpo-farmaco que los incluyen.
WO2016094517A1 (en) * 2014-12-09 2016-06-16 Abbvie Inc. Bcl-xl inhibitory compounds and antibody drug conjugates including the same
WO2016131100A1 (en) * 2015-02-18 2016-08-25 The Walter And Eliza Hall Institute Of Medical Research Methods of treating infectious diseases
ES2751669T3 (es) 2015-02-20 2020-04-01 Incyte Corp Heterociclos bicíclicos como inhibidores FGFR
MA41551A (fr) 2015-02-20 2017-12-26 Incyte Corp Hétérocycles bicycliques utilisés en tant qu'inhibiteurs de fgfr4
US9580423B2 (en) 2015-02-20 2017-02-28 Incyte Corporation Bicyclic heterocycles as FGFR4 inhibitors
US10195213B2 (en) 2015-03-13 2019-02-05 Unity Biotechnology, Inc. Chemical entities that kill senescent cells for use in treating age-related disease
EP3285583B1 (en) * 2015-04-20 2021-03-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Small molecule inhibitors of mcl-1 and uses thereof
EP3344039A4 (en) * 2015-09-03 2019-08-2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SMALL DYRK1A INHIBITORY MOLECULES AND USES THEREOF
AU2016355303B2 (en) * 2015-11-20 2021-10-07 Mingsight Pharmaceuticals, Inc.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
KR102447884B1 (ko) 2016-04-21 2022-09-27 바이오벤처스, 엘엘씨 항-세포자멸적 bcl-2 계열 단백질의 열화를 유도하는 화합물 및 이의 용도
US10779980B2 (en) 2016-04-27 2020-09-22 Synerz Medical, Inc. Intragastric device for treating obesity
SG10201914119TA (en) 2016-06-08 2020-02-27 Abbvie Inc Anti-b7-h3 antibodies and antibody drug conjugates
EP3496711A1 (en) * 2016-08-09 2019-06-19 University Of Durham Synthetic retinoids (in cell modulation)
AR109595A1 (es) 2016-09-09 2018-12-26 Incyte Corp Compuestos de pirazolopirimidina y usos de estos como inhibidores de hpk1
AR109596A1 (es) 2016-09-09 2018-12-26 Incyte Corp Compuestos pirazolopiridina y sus usos
US20180072718A1 (en) 2016-09-09 2018-03-15 Incyte Corporation Pyrazolopyridine compounds and uses thereof
WO2018092064A1 (en) * 2016-11-18 2018-05-24 Novartis Ag Combinations of mdm2 inhibitors and bcl-xl inhibitors
US20180228786A1 (en) 2017-02-15 2018-08-16 Incyte Corporation Pyrazolopyridine compounds and uses thereof
AR111960A1 (es) 2017-05-26 2019-09-04 Incyte Corp Formas cristalinas de un inhibidor de fgfr y procesos para su preparación
WO2019051199A1 (en) 2017-09-08 2019-03-14 Incyte Corporation 6-CYANO-INDAZOLE COMPOUNDS AS HEMATOPOIETIC PROGENITOR KINASE 1 (HPK1) MODULATORS
CN108186642B (zh) * 2018-01-11 2019-11-08 广西师范大学 一种协同起作用治疗肺癌的药物组合物
CA3088253A1 (en) 2018-01-22 2019-07-25 Bioventures, Llc Bcl-2 proteins degraders for cancer treatment
WO2019164847A1 (en) 2018-02-20 2019-08-29 Incyte Corporation Indazole compounds and uses thereof
US10745388B2 (en) 2018-02-20 2020-08-18 Incyte Corporation Indazole compounds and uses thereof
SI3755703T1 (sl) 2018-02-20 2022-11-30 Incyte Corporation N-(fenil)-2-(fenil)pirimidin-4-karboksamidni derivati in sorodne spojine kot zaviralci HPK1 za zravljenje raka
US10851067B2 (en) 2018-03-19 2020-12-01 Knopp Biosciences Llc Kv7 channel activator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11299473B2 (en) 2018-04-13 2022-04-12 Incyte Corporation Benzimidazole and indole compounds and uses thereof
CR20200590A (es) 2018-05-04 2021-04-26 Incyte Corp Formas sólidas de un inhibidor de fgfr y procesos para prepararlas
JP2021523118A (ja) 2018-05-04 2021-09-02 インサイト・コーポレイションIncyte Corporation Fgfr阻害剤の塩
US10899755B2 (en) 2018-08-08 2021-01-26 Incyte Corporation Benzothiazole compounds and uses thereof
JP7399968B2 (ja) 2018-09-25 2023-12-18 インサイト・コーポレイション Alk2及び/またはfgfr調節剤としてのピラゾロ[4,3-d]ピリミジン化合物
US11628162B2 (en) 2019-03-08 2023-04-18 Incyte Corporation Methods of treating cancer with an FGFR inhibitor
US11591329B2 (en) 2019-07-09 2023-02-28 Incyte Corporation Bicyclic heterocycles as FGFR inhibitors
AR119494A1 (es) * 2019-07-29 2021-12-22 Servier Lab DERIVADOS DE 6,7-DIHIDRO-5H-PIRIDO[2,3-c]PIRIDAZIN-8-ILO, COMPOSICIONES FARMACÉUTICAS QUE LOS CONTIENEN Y SUS USOS COMO AGENTES PROAPOPTÓTICOS
JP2022543155A (ja) 2019-08-06 2022-10-07 インサイト・コーポレイション Hpk1阻害剤の固体形態
IL291901A (en) 2019-10-14 2022-06-01 Incyte Corp Bicyclyl heterocycles as fgr suppressors
US11566028B2 (en) 2019-10-16 2023-01-31 Incyte Corporation Bicyclic heterocycles as FGFR inhibitors
JP2023505258A (ja) 2019-12-04 2023-02-08 インサイト・コーポレイション Fgfr阻害剤としての三環式複素環
JP2023505257A (ja) 2019-12-04 2023-02-08 インサイト・コーポレイション Fgfr阻害剤の誘導体
CN112079791A (zh) * 2020-08-21 2020-12-15 宁夏农林科学院农业资源与环境研究所(宁夏土壤与植物营养重点实验室) 单环β-内酰胺类抗生素侧链酸及其酯、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2115477A1 (en) 2020-11-24 2022-06-02 Novartis Ag Bcl-xl inhibitor antibody-drug conjugat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Y39610A (es) 2021-01-20 2022-08-31 Abbvie Inc Conjugados anticuerpo-fármaco anti-egfr
EP4288434A1 (en) 2021-02-02 2023-12-13 Les Laboratoires Servier Selective bcl-xl protac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KR102605163B1 (ko) * 2021-06-01 2023-1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뇌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A3220274A1 (en) 2021-06-09 2022-12-15 Incyte Corporation Tricyclic heterocycles as fgfr inhibitors
CN114294905B (zh) * 2021-11-19 2023-04-25 中粮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利用红外或微波干燥聚羟基脂肪酸酯的方法
WO2023225359A1 (en) 2022-05-20 2023-11-23 Novartis Ag Antibody-drug conjugates of antineoplastic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23225320A1 (en) 2022-05-20 2023-11-23 Novartis Ag Epha2 bcl-xl inhibitor antibody-drug conjugat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23225336A1 (en) 2022-05-20 2023-11-23 Novartis Ag Met bcl-xl inhibitor antibody-drug conjugat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24036961A1 (zh) * 2022-08-19 2024-02-22 北京三秀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抗衰老相关疾病的前药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2712A1 (en) 2000-03-24 2001-10-04 Cor Therapeutics, Inc. ISOQUINOLONE INHIBITORS OF FACTOR Xa
US20050124614A1 (en) 2002-07-03 2005-06-09 Axys Pharmaceuticals, Inc. 3,4-Dihydroisoquinolin-1-one derivatives as inducers of apoptosis
US20060217448A1 (en) 2005-03-24 2006-09-28 Kelly Michael G Bicycloheteroaryl compounds as P2X7 modulator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8570A1 (de) * 1987-06-03 1988-12-15 Boehringer Ingelheim Kg Benzo- und thieno-3,4-dihydro-1- pyridinylessigsaeure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WO2002010135A1 (fr) * 2000-08-01 2002-02-07 Ono Pharmaceutical Co., Ltd. Composes derives de 3,4-dihydroisoquinoline et medicaments contenant ces composes comme principe actif
CN1856477A (zh) * 2003-09-23 2006-11-01 默克公司 异喹啉钾通道抑制剂
US7767684B2 (en) * 2003-11-13 2010-08-03 Abbott Laboratories Apoptosis promoters
CN101119969B (zh) * 2004-07-15 2014-04-09 阿尔巴尼分子研究公司 芳基和杂芳基取代的四氢异喹啉及其阻断去甲肾上腺素、多巴胺和血清素的重摄取的应用
US7514566B2 (en) * 2006-01-18 2009-04-07 Amgen, Inc. Thiazole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EP2078004B1 (en) * 2006-10-31 2015-02-25 Merck Sharp & Dohme Corp. 2-aminothiazole-4-carboxylic amides as protein kinase inhibitors
MX2009006543A (es) * 2006-12-20 2009-06-26 Amgen Inc Compuestos heterociclicos y su uso en el tratamiento de la inflamacion, angiogenesis y cancer.
WO2008123963A1 (en) * 2007-04-02 2008-10-16 Renovis, Inc. Pyrid-2-yl fused heterocyclic compounds, and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PT2134685E (pt) * 2007-04-16 2015-11-25 Abbvie Inc Derivados de índole não substituídos na posição 7 como inibidores de mcl-1
AU2008242983B2 (en) * 2007-04-16 2013-07-11 Abbvie Inc. 7-substituted indole Mcl-1 inhibitors
JP5241834B2 (ja) * 2007-07-19 2013-07-17 メルク・シャープ・アンド・ドーム・コーポレーション プロテイン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複素環アミド化合物
WO2009039553A1 (en) 2007-09-27 2009-04-02 The Walter And Eliza Hall Institute Of Medical Research Benzothiazole compounds
CR20110389A (es) * 2008-12-19 2011-07-13 Abbott Lab Compuestos y métodos de us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2712A1 (en) 2000-03-24 2001-10-04 Cor Therapeutics, Inc. ISOQUINOLONE INHIBITORS OF FACTOR Xa
US20050124614A1 (en) 2002-07-03 2005-06-09 Axys Pharmaceuticals, Inc. 3,4-Dihydroisoquinolin-1-one derivatives as inducers of apoptosis
US20060217448A1 (en) 2005-03-24 2006-09-28 Kelly Michael G Bicycloheteroaryl compounds as P2X7 modulators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16733A (zh) 2012-01-11
MX2011006509A (es) 2011-10-19
ECSP11011213A (es) 2011-09-30
EP2373163A1 (en) 2011-10-12
US20100210622A1 (en) 2010-08-19
EP2373163B1 (en) 2015-06-10
PE20120334A1 (es) 2012-04-16
SG172259A1 (en) 2011-07-28
CA2747170A1 (en) 2010-07-15
AU2009335843A1 (en) 2011-07-21
IL213596A0 (en) 2011-07-31
RU2011129776A (ru) 2013-01-27
CO6390075A2 (es) 2012-02-29
NZ593537A (en) 2013-07-26
CA2747170C (en) 2017-07-18
CR20110388A (es) 2011-09-09
JP5770102B2 (ja) 2015-08-26
WO2010080503A1 (en) 2010-07-15
CN102316733B (zh) 2014-01-01
DOP2011000199A (es) 2011-10-15
BRPI0918360A8 (pt) 2017-12-05
US8232273B2 (en) 2012-07-31
CL2011001485A1 (es) 2012-02-24
BRPI0918360A2 (pt) 2017-10-10
RU2525116C2 (ru) 2014-08-10
ES2544452T3 (es) 2015-08-31
JP2012512891A (ja) 2012-06-07
EP2373163A4 (en) 2012-10-24
KR20110102473A (ko) 2011-09-16
ZA201104467B (en)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718B1 (ko)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및 사용 방법
KR101633532B1 (ko) 화합물 및 사용 방법
ES2606640T3 (es) Inhibidores de cinasas de tipo piridopirimidinona
US9181239B2 (en) Pyridopyrimidinone inhibitors of kinases
JP2014520855A (ja) 増殖性疾患の治療に有用な三環式キナーゼ阻害薬
EP3288931B1 (en) Certain protein kinase inhib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