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344B1 -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344B1
KR101684344B1 KR1020150136950A KR20150136950A KR101684344B1 KR 101684344 B1 KR101684344 B1 KR 101684344B1 KR 1020150136950 A KR1020150136950 A KR 1020150136950A KR 20150136950 A KR20150136950 A KR 20150136950A KR 101684344 B1 KR101684344 B1 KR 101684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hemical
glass
ultra
etch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Priority to KR1020150136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5/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7/00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은 초박형 유리 원장을 디자인에 맞추어 형상을 커팅하고 물리적 가공을 하여 상기 셀(Cell)을 만드는 초박형 유리 절단공정과; 상기 셀의 단면(斷面) 형상을 C형으로 만들기 위해 화학적 식각에 의해 화학적 연마를 하는 단면 힐링공정과; 초박형 유리 원장을 상기 단면 힐링공정 시 표면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포된 보호접착제를 제거하고, 세정한 후 상기 셀의 전면(全面)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한 화학적 식각에 의해 1차 화학적 연마를 하는 1차 전면 힐링공정과; 잔존 식각액 및 식각액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후, 화학강화 처리 시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글라스의 전이온도 주변온도까지 상기 셀의 온도를 올리고 일정 시간 유지 후 냉각시키는 열처리공정과; 상기 열처리공정이 끝난 상기 셀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정하고, 일정 온도까지 예열 후 상기 셀을 강화액 속에서 일정 시간 침적시킨 후 배출시켜 서냉시키는 화학강화공정과; 잔존 강화액 및 강화액 얼룩 제거를 위하여 세정 후, 상기 셀 전면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화학적 식각에 의한 2차 화학적 연마를 하고, 최종적으로 세정하는 2차 전면 힐링공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에 따르면 유리 원장보다 약 1000% 이상 굴곡강도가 높아지므로, 100㎛ 이하의 초박형 유리를 굽혔을 때의 곡률반경 2mm일 때도 내구성을 가져, 100㎛ 이하의 초박형 유리를 폴더블용 기기의 윈도우 글라스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Flexural Strength Improving Method for Glass}
본 발명은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률반경 2R 정도까지 구부릴 수 있는 기기의 윈도우 글라스에 사용되는 100㎛ 이하의 초박판 유리를 단면 및 전면 힐링 후 열처리를 하고, 화학강화 후 다시 전면 힐링을 하는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출시된 단순히 휘어진 형태의 커브드 디스플레이는 향후 벤더블(구부릴 수 있는), 폴더블(접을 수 있는), 롤러블( 말 수 있는), 스트레처블(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지속 발전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폴더블 타입은 삼성전자가 지갑처럼 반으로 접을 수 있는 형태의 시마트폰 디스플레이 관련 특허로서 지난 2월 출원한 모바일욜 폴더블 디스플레이 관련 특허가 미국에 공개되었다.
이 특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는 화면에 아무런 손상없이 앞뒤로 자유자재로 접을 수 있으며, 절반(5:5)이나 3:7 비율로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며 접히는 각도도 90도에서 완전히 두면이 맞닿아 접혀진 형태까지 구현할 수 있는 등의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스마트폰의 활용 방안과 구현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이러한 벤더블, 폴더블, 롤러블, 스트레처블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할 수 있는 윈도우 글라스는 더 높은 표면 압축 응력을 요구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사용 시의 윈도우 글라스의 유리 표면 스크래치 발생 가능성과 사용 중 떨어트림에 대한 파손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윈도우 글라스의 경우 이온 치환 화학 강화를 이용하여 강도를 향상시킨다.
상기의 방법은 동일 화학 강화의 조건에서 유리의 물적 특성과 두께에 따라 표면 압축응력의 변위가 결정 되어 진다. 또한 이온 치환 화학 강화의 강화 깊이(Depth of Layer)와 표면 압축 응력은 반대적인 성향을 가지므로 유리제조 시에 결정되는 유리 물성에 의하여 결정되는 표면 압축 응력을 초과한 결과를 가질 수 없다.
현재 사용하는 윈도우 글라스의 이온 치환 강화로 달성할 수 있는 표면 압축 응력으로는 벤더블, 폴더블, 롤러블, 스트레처블 형태의 디스플레이에 사용하기는 응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어, 표면 압축 응력 더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또한, 400~550㎛의 후막 유리의 핵심 품질인자는 강화 전에 에지 힐링을 실시하여 파괴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었으나, 곡률반경 2R 정도까지 구부릴 수 있는 기기에 사용되는 100㎛ 이하의 초박판 유리에는 굴곡강도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초박판 유리의 강도 향상 방법은 초박형 유리를 절단하여 연마가공으로 에지면(단면)을 연마한 후 에지면의 형상을 C 형으로 만들기 위한 화학적 식각에 의한 화학적 연마공정을 거친 후, 강화액에 디핑하여 화학강화하는 방법이나 굴곡강도에 문제가 있어 폴더블 기기의 윈도우 글라스로 상용화 하는데는 굴곡강도가 문제가 된다.
등록특허 10-1298236으로 당사가 게시한 강화유리 강화 전 에지 에칭을 통한 강화 특성 향상 방법은 유리 또는 강화유리를 절단하는 단계와; 절단 공정으로 형상 가공한 유리 또는 강화유리를 에칭 영역과 비에칭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해 마스킹(Masking)공정을 수행한 다음 조성된 에칭액에 담가 1 ~ 15㎛만큼 에칭함으로써 유리 또는 강화유리 외곽(Edge)부의 잠재 파손 인자를 제거하는 단계; 에칭된 유리 또는 강화유리를 세정하고 건조하는 단계; 세정하고 건조된 유리 또는 강화유리를 강화액에 담가 강화시키는 단계; 강화된 강화유리를 다시 세정하고 건조하여 작업을 마무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약 1500MPa까지 강도를 올릴 수 있으나 곡률반경 2R 정도까지 구부릴 수 있는 기기에 사용되는 100㎛ 이하의 초박판 유리에는 접어 구부리기에 대한 저항력을 나타내는 굴곡강도가 한참 낮은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98236(등록일 : 2013년 08월 13일) 강화유리 강화 전 에지 에칭을 통한 강화 특성 향상 방법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68956(등록일 : 2015년 05월 21일) 모바일 기기용 곡면 윈도우 글라스 제조방법 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8956(등록일 : 2013년 05월 23일) 디스플레이용 유리의 강화 또는 동시 항균처리를 위한 이온교환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강화 또는 동시 항균처리된 디스플레이용 유리 4.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70709(공개일자 : 1998년 10월 26일) 유리제품의 어닐링 방법과 유리제품의 어닐링 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면형상을 C형으로 만들기 위해 화학적 식각를 하고, 글라스의 조도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한 전면 화학적 식각을 한 후 열처리하고, 화학강화 후 다시 전면 화학적 식각을 하는 공정을 통해 굴곡 강도를 일반 유리 보다 약 1000% 올리는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은 100㎛ 이하의 초박형 유리 원장을 일정 크기와 형상으로 절단 후, 면취 및 연마를 통하여 제작된 셀(Cell)을 가공하여 굴곡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초박형 유리 원장을 디자인에 맞추어 형상을 커팅하고 물리적 가공을 하여 상기 셀(Cell)을 만드는 초박형 유리 절단공정과; 상기 셀의 단면(斷面) 형상을 C형으로 만들기 위해 화학적 식각에 의해 화학적 연마를 하는 단면 힐링공정과; 초박형 유리 원장을 상기 단면 힐링공정 시 표면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포된 보호접착제를 제거하고, 세정한 후 상기 셀의 전면(全面)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한 화학적 식각에 의해 1차 화학적 연마를 하는 1차 전면 힐링공정과; 불량 유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1차 전면 힐링공정에서 사용된 식각액 중 상기 셀에 묻은 잔존 식각액 및 식각액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후, 화학강화 처리 시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글라스의 전이온도 주변온도까지 상기 셀의 온도를 올리고 일정 시간 유지 후 냉각시키는 열처리공정과; 상기 열처리공정이 끝난 상기 셀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정하고, 일정 온도까지 예열 후 상기 셀을 강화액 속에서 일정 시간 침적시킨 후 배출시켜 서냉시키는 화학강화공정과; 화학강화공정 시 사용된 강화액의 잔존 강화액 및 강화액 얼룩 제거를 위하여 세정 후, 상기 셀 전면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화학적 식각에 의한 2차 화학적 연마를 하고, 최종적으로 세정하는 2차 전면 힐링공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초박형 유리 절단공정은 상기 초박형 유리 원장에 공정 시 표면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접착제를 도포하는 보호접착제 도포단계와; 상기 보호접착제가 도포된 초박형 유리 원장을 사용하는 기기의 디자인에 맞추어 형상을 커팅하여 셀을 만드는 셀 형상 커팅단계와; 일정 형상으로 커팅된 셀을 커팅 시 발생한 단면 칩핑을 물리적으로 연마하는 단면 연마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면 힐링공정은 상기 셀을 핸들링하기 위한 지그에 상기 셀을 고정시키는 셀 지그고정단계와; 상기 지그를 식각액이 충액된 식각액 배스에 상기 셀이 식각액에 디핑될 수 있게 하는 지그 디핑단계와; 디핑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를 일정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일정 에칭 레이트(Etching Rate)로 단면(斷面)을 균일하게 화학적 식각을 시행하는 단면 화학적 연마단계와; 화학적 식각이 완료되면 상기 지그를 상기 식각액 배스에서 배출하는 지그 배출단계와; 상기 회전지그에서 화학적 식각이 완료된 상기 셀을 분리하는 셀 분리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면 화학적 연마단계의 식각 두께는 5~30㎛ 이다.
상기 1차 전면 힐링공정은 상기 초박형 유리 절단공정에서 도포된 보호접착제를 상기 셀에서 제거하는 박리단계와; 상기 셀에서 상기 보호접착제를 제거 후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단계와; 셀 전면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한 화학적 식각에 의한 1차 화학적 연마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박리단계는 초박형 유리 원장과 보호접착제 간 분리를 위해 상기 단면힐링공정이 끝난 상기 셀을 접착제팽윤제와 계면활성제가 들어있는 순수조에 넣고, 초음파를 1~10분 발진시키는 1차초음파 발진단계와; 상기 셀을 순수 온도가 25~35℃인 순수조에서 5~20분간 침적시키는 침적단계와; 순수 온도가 50~90℃인 순수조에서 초음파를 1~10분 발진시키는 2차초음파 발진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화학적 연마단계의 식각 두께는 5~30㎛ 이다.
상기 열처리공정은 불량을 유발하는 상기 1차 전면 힐링공정에서 사용된 식각액의 잔존 식각액 및 식각액 얼룩을 제거하기 위하여 순수로 세정하는 세정단계와; 상기 화학강화공정에서 상기 셀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열처리로를 500~700℃까지 승온 후 세정이 끝난 셀을 투입하고,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여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와; 열처리가 끝난 상기 셀을 상온까지 냉각하는 냉각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학강화공정은 상기 열처리공정이 끝난 상기 셀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정하는 세정단계와; 세정이 끝난 상기 셀을 200~400℃ 범위에서 일정시간 예열시키는 예열단계와; 예열된 상기 셀을 370~470℃가 유지되는 강화액 속에서 상기 셀을 일정 시간 침적시키는 강화단계와; 상기 셀을 강화액 속에서 배출하여 상온까지 서서히 냉각시키는 서냉단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2차 전면 힐링공정은 불량을 유발하는 화학강화공정 시 사용된 강화액의 잔존 강화액 및 강화액 얼룩을 제거하는 세정단계와; 상기 셀 전면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화학적 식각에 의한 2차 화학적 연마를 하는 2차 화학적 연마단계와; 상기 2차 화학적 연마 후 잔존하는 식각액 및 얼룩을 제거하는 최종 세정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2차 화학적 연마단계에서의 화학적 식각 두께는 0.1~10㎛ 이다.
상술한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에 따르면 유리 원장보다 약 1000% 이상 굴곡강도가 높아지므로, 100㎛ 이하의 초박형 유리를 굽혔을 때의 곡률반경 2mm일 때도 내구성을 가져, 100㎛ 이하의 초박형 유리를 폴더블용 기기의 윈도우 글라스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 공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굴곡강도 측정방법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에 따른 각 공정 실시별 굴곡강도 시험결과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 공정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굴곡강도 측정방법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에 따른 각 공정 실시별 굴곡강도 시험결과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은 100㎛ 이하의 초박형 유리 원장을 일정 크기와 형상으로 절단 후, 면취 및 연마를 통하여 제작된 셀(Cell)을 가공하여 굴곡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초박형 유리 원장을 디자인에 맞추어 형상을 커팅하고 물리적 가공을 하여 상기 셀(Cell)을 만드는 초박형 유리 절단공정과; 상기 셀의 단면(斷面) 형상을 C형으로 만들기 위해 화학적 식각에 의해 화학적 연마를 하는 단면 힐링공정과; 초박형 유리 원장을 상기 단면 힐링공정 시 표면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포된 보호접착제를 제거하고, 세정한 후 상기 셀의 전면(全面)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한 화학적 식각에 의해 1차 화학적 연마를 하는 1차 전면 힐링공정과; 불량 유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1차 전면 힐링공정에서 사용된 식각액 중 상기 셀에 묻은 잔존 식각액 및 식각액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후, 화학강화 처리 시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글라스의 전이온도 주변온도까지 상기 셀의 온도를 올리고 일정 시간 유지 후 냉각시키는 열처리공정과; 상기 열처리공정이 끝난 상기 셀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정하고, 일정 온도까지 예열 후 상기 셀을 강화액 속에서 일정 시간 침적시킨 후 배출시켜 서냉시키는 화학강화공정과; 화학강화공정 시 사용된 강화액의 잔존 강화액 및 강화액 얼룩 제거를 위하여 세정 후, 상기 셀 전면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화학적 식각에 의한 2차 화학적 연마를 하고, 최종적으로 세정하는 2차 전면 힐링공정으로 구성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은 초박형 유리 절단공정과, 단면 힐링공정과, 1차 전면 힐링공정과, 열처리공정과, 화학강화공정과 및 2차 전면 힐링공정의 6단계 공정으로 나누어지며, 각각의 공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에 있어서 굴곡강도에 가장 효과적인 상승 공정은 상기 2차 전면 힐링공정이고, 굴곡강도에 두번째로 효과적인 상승 공정은 상기 열처리공정이며, 상기 단면 힐링공정은 굴곡강도의 특성 평균값은 하지 않은 것과 거의 차는 없으나 편차가 줄어 들고 그리고 단면 치핑(Chipping)이 없어지므로 단면이 매우 부드럽게 되고, 1차 전면힐링공정은 현재로서는 굴곡특성 향상에 큰 영향은 없으나, 표면특성(표면조도, 표면 유무기성 얼룩 등 제거, 등)이 매우 향상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초박형 유리 절단공정은 초박형 유리 원장을 디자인에 맞추어 형상을 커팅하고 물리적 가공을 하여 상기 셀(Cell)을 만드는 공정으로, 상기 초박형 유리 원장에 공정 시 표면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접착제를 도포하는 보호접착제 도포단계와; 상기 보호접착제가 도포된 초박형 유리 원장을 사용하는 기기의 디자인에 맞추어 형상을 커팅하여 셀을 만드는 셀 형상 커팅단계와; 일정 형상으로 커팅된 셀을 커팅 시 발생한 단면 칩핑을 물리적으로 연마하는 단면 연마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접착제 도포단계는 상기 초박형 유리 원장에 공정 시 표면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지 않게 하고, 상기 초박형 유리 원장을 여러장 적층하여 적층체를 만들 수 있게 보호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로서, 상기 초박형 유리 원장에 롤러로 보호접착제를 도포하며 상기 보호접착제가 도포된 초박형 유리 원장을 1장 적층하고 다시 1장을 도포하고 적층하는 것을 번갈아 연속으로 실시하여 미경화된 적층체를 완성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보호접착제를 경화시켜 적층체를 완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롤러는 유리에 스크레치 등의 불량 발생 및 상기 접착제가 일정한 두께로 도포될 수 있도록 표면이 일정 정도의 쿠션과 소프트니스(Softness)를 가지는 라버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 보호접착체는 특정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받을 경우 급속히 경화되거나 유연해지는 UV 접착제(Ultraviolet Ray Adhesive : Light Cure Adhesiv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접착제의 경화는 UV 장비에서 자외선 램프로 일정 파장대의 UV(Ultraviolet Ray)를 600 MJ/㎠의 세기로 1~3분 동안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 형상 커팅단계는 상기 보호접착제가 도포된 초박형 유리 원장을 사용하는 기기의 디자인에 맞추어 형상을 커팅하여 셀을 만드는 단계로서, 상기 초박형 유리 원장은 초박형이므로 한장씩 절단하면 깨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술한 적층체로 만들어 커팅해야 한다.
상기 셀 형상 커팅단계는 다이아몬드로 만들어진 커팅 휠(Cutting Wheel)이 장착된 CNC 절단기를 사용하여 일정한 크기의 적층된 상기 셀로 커팅되며, 상기 커팅 휠의 회전속도는 3000~5000RPM의 회전속도로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단면(斷面) 연마단계는 정 형상으로 커팅된 셀을 커팅 시 발생한 단면(斷面) 칩핑(Chipping)을 물리적으로 연마하는 단계로서, 적층된 상기 셀을 가공하기 쉽게 쇠블럭에 본딩제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셀 고정단계와, 적층된 상기 셀이 고정된 상기 쇠블럭을 면취 장비에 삽입 고정하는 쇠블럭 고정단계로 구성된 면취준비단계와; 400메쉬(Mesh) 이하의 아주 거친 표면을 가지는 면취도구를 사용하여 절단된 상기 셀을 원하고자 하는 모양으로 치수 가공하는 황삭단계와; 500~800메쉬 정도의 거침 정도를 가지는 면취도구를 사용하여 치수 가공이 완료된 상기 셀의 단면((斷面, 에지면)을 매끄럽게 가공하는 중삭단계와; 1200메쉬 이상의 아주 고운 거침 정도를 가지는 면취도구를 사용하여 중삭한 단면((斷面, 에지면)을 아주 매끄럽게 가공하는 정삭단계와; 상기 쇠블럭에 고정된 면취 완료된 상기 셀을 면취 장비에 배출하고, 아세톤 계열의 약품을 사용하여 상기 본딩제를 제거하여 상기 쇠블럭에서 적층된 상기 셀을 분리하는 면취완료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황삭단계, 중삭단계 및 정삭단계의 면취도구는 4000~5000RPM의 회전속도를 가지며, 상기 본딩제는 아크릴(Acryl)과 로진(Rosin)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면 힐링공정은 상기 셀의 단면(斷面) 형상을 C형으로 만들기 위해 화학적 식각에 의해 화학적 연마를 하는 공정으로, 상기 셀을 핸들링하기 위한 지그에 상기 셀을 고정시키는 셀 지그고정단계와; 상기 지그를 식각액이 충액된 식각액 배스에 상기 셀이 식각액에 디핑될 수 있게 하는 지그 디핑단계와; 디핑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를 일정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일정 에칭 레이트(Etching Rate)로 단면(斷面)을 균일하게 화학적 식각을 시행하는 단면 화학적 연마단계와; 화학적 식각이 완료되면 상기 지그를 상기 식각액 배스에서 배출하는 지그 배출단계와; 상기 지그에서 화학적 식각이 완료된 상기 셀을 분리하는 셀 분리단계로 이루어진다.
부언해서 설명하면, 상기 단면 힐링공정은 상기 셀의 단면(斷面) 즉 에지(Edge)면의 강도 향상을 위해, 상기 단면(斷面) 연마단계 후 후 남아있어 상기 단면의 강도를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20㎛ 이상의 치핑(Chipping)을 제거하는 화학적 식각을 적용한 표면가공으로 상기 단면에 "C"자 형태로 라운드가 진 C각을 형성시키는 화학적 표면연마공정이며, 상기 셀은 여러장이 적층된 상태에서 단면 화학적 연마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면 화학적 연마단계의 식각 두께는 5~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면 화학적 연마단계에서 C각 형성을 위해서는 에칭 레이트는 1~10㎛/min 이고, 상기 지그의 회전속도는 1~30회/sec 이며, 연마하고자 하는 상기 셀이 식각액에 모두 잠기는 디핑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이 식각액에 모두 잠기는 디핑방식에 사이드 스프레이(Side Spray) 방식이나 탑 스프레이(Top Spray) 방식을 추가적으로 시행하여 식각을 도울 수도 있다.
상기 1차 전면 힐링공정은 초박형 유리 원장을 상기 단면 힐링공정 시 표면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포된 보호접착제를 제거하고, 세정한 후 상기 셀의 전면(全面)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한 화학적 식각에 의해 1차 화학적 연마를 하는 공정으로, 상기 초박형 유리 절단공정에서 도포된 보호접착제를 상기 셀에서 제거하는 박리단계와; 상기 셀에서 상기 보호접착제를 제거 후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단계와; 상기 셀 전면(全面)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한 화학적 식각에 의한 1차 화학적 연마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박리단계는 초박형 유리 원장과 보호접착제 간 분리를 위해 상기 단면힐링공정이 끝난 상기 셀을 접착제팽윤제와 계면활성제가 들어있는 순수조에 넣고, 초음파를 1~10분 발진시키는 1차초음파 발진단계와; 상기 셀을 순수 온도가 25~35℃인 순수조에서 5~20분간 침적시키는 침적단계와; 순수 온도가 50~90℃인 순수조에서 초음파를 1~10분 발진시키는 2차초음파 발진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박리단계에서 사용하는 순수는 전기전도도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전면힐링공정은 굴곡강도에 대한 굴곡특성 향상에 큰 영향은 없으나, 표면특성(표면조도, 표면 유무기성 얼룩 등 제거, 등)이 매우 향상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세정단계에 있어서 세정방법은 수세액을 사용하여 세정하고, 상기 수세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방식 또는 상기 수세액에 담궈 놓는 디핑(Dipping) 방식이 사용된다.
상기 수세액은 순수(DI Water) 또는 알카리 수세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수의 순도는 전기전도도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카리 수세액은 수산화칼륨(KOH) 또는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에, 표면저항을 낮추어 린싱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후 순수(DI Water)와 혼합하여 PH가 10 이상이 유지되도록 제조된다.
상기 스프레이 방식일 때의 상기 수세액의 분사 압력은 0.3~4.0kgf/㎠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화학적 연마단계는 상기 셀 전면(全面)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한 화학적 식각에 의한 연마단계로서, 상기 셀을 핸들링하기 위한 회전지그에 상기 셀을 고정시키는 셀 회전지그고정단계와; 상기 회전지그를 식각액이 충액된 식각액 배스에 상기 셀이 식각액에 디핑될 수 있게 하는 회전지그 디핑단계와; 디핑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지그를 일정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일정 에칭 레이트(Etching Rate)로 전면을 균일하게 화학적 식각을 시행하는 전면 화학적 연마단계와; 화학적 식각이 완료되면 상기 회전지그를 상기 식각액 배스에서 배출하는 회전지그 배출단계와; 상기 회전지그에서 화학적 식각이 완료된 상기 셀을 분리하는 셀 분리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 화학적 연마단계는 식각액 배스에 디핑한 상태에서 사이드 스프레이(Side Spray) 방식이나 탑 스프레이(Top Spray) 방식을 추가적으로 시행하여 식각을 도울 수도 있다.
상기 1차 화학적 연마단계에서의 식각액 조성은 F, S, N을 포함하는 산 20~50 중량%와, 계면활성제 1~5 중량%와, 첨가제 0.1~2 중량%와, 물 45~75 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1차 화학적 연마단계에서의 식각레이트(Etching Rate)는 1~20㎛/m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화학적 연마단계의 식각 두께는 5~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처리공정은 불량 유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1차 전면 힐링공정에서 사용된 식각액 중 상기 셀에 묻은 잔존 식각액 및 식각액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후, 화학강화 처리 시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글라스의 전이온도 주변온도까지 상기 셀의 온도를 올리고 일정 시간 유지 후 냉각시키는 공정으로, 불량을 유발하는 상기 1차 전면 힐링공정에서 사용된 식각액의 잔존 식각액 및 식각액 얼룩을 제거하기 위하여 순수로 세정하는 세정단계와; 상기 화학강화공정에서 상기 셀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열처리로를 500~700℃까지 승온 후 세정이 끝난 셀을 투입하고,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여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와; 열처리가 끝난 상기 셀을 상온까지 냉각하는 냉각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처리공정은 본 발명에서 굴곡강도에 두번째로 효과적인 상승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세정단계는 상기 세정단계에 있어서 세정방법은 수세액을 사용하여 세정하고, 상기 수세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방식 또는 상기 수세액에 담궈 놓는 디핑(Dipping) 방식이 사용된다.
상기 수세액은 순수(DI Water) 또는 알카리 수세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수의 순도는 전기전도도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카리 수세액은 수산화칼륨(KOH) 또는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에, 표면저항을 낮추어 린싱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후 순수(DI Water)와 혼합하여 PH가 10 이상이 유지되도록 제조된다.
상기 스프레이 방식일 때의 상기 수세액의 분사 압력은 0.3~4.0kgf/㎠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처리단계는 열처리장치에서 이루어지며 지그 이송장치를 가동한 후, 예열부, 가열부 및 가온냉각부를 가동하여 각부의 내부 온도를 일정 온도까지 올리는 워밍업단계와; 상기 1차 전면 힐링공정이 끝난 상기 셀을 이송지그에 로딩하는 셀 로딩단계와; 상기 셀의 표면온도를 400~500℃ 사이의 일정온도까지 상승시킨 후 일정시간동안 유지시키는 예열단계와; 예열된 상기 셀의 표면온도를 유리의 연화점에 가까운 500~700℃ 사이의 일정 온도까지 상승시킨 후,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가열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냉각단계는 역시 상기 열처리장치에서ㅓ 이루어지며 가열된 상기 셀을 급격한 냉각을 방지하고 일정 열구배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300~500℃의 일정 온도까지 가온하면서 냉각시키는 가온냉각단계와; 300~500℃의 일정 온도까지 가온 냉각된 상기 셀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상온냉각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처리장치는 상기 셀이 인입되어 상기 셀을 서서히 가열하여 열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온도까지 승온 예열한 후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등온 예열의 2단계로 예열하는 예열부와; 상기 예열부에서 예열된 상기 셀의 표면온도를 셀의 연화점에 가까운 일정 온도까지 승온 가열시킨 후, 일정 시간동안 유지시키는 등온 가열의 2단계로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된 상기 셀을 일정한 열구배(Thermal Gradient)로 일정 온도까지 가온하면서 냉각시키는 가온냉각부와; 일정 온도까지 냉각된 상기 셀을 잠열을 없애기 위하여 상온에서 냉각시키는 상온냉각부와; 상기 셀이 로딩되고 위치를 잡아주는 다수 개의 지그와, 상기 지그에 형상 가공된 상기 셀을 로딩하는 셀 로딩장치와, 상기 지그가 설치되어 상기 예열부, 가열부, 가온냉각부 및 상온냉각부를 통과하여 순환회전하는 지그 이송장치와, 상기 가온냉각부를 거쳐 열처리 완료된 상기 셀을 상기 지그에서 언로딩하는 셀 언로딩장치를 포함하는 이송장치부와; 상기 예열부, 가열부, 가온냉각부, 상온냉각부 및 이송장치부가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예열부, 가열부, 가온냉각부, 상온냉각부 및 이송장치부에 동력을 전달하고 운전하며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강화공정은 상기 열처리공정이 끝난 상기 셀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정하고, 일정 온도까지 예열 후 상기 셀을 강화액 속에서 일정 시간 침적시킨 후 배출시켜 서냉시키는 공정으로, 상기 열처리공정이 끝난 상기 셀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정하는 세정단계와; 세정이 끝난 상기 셀을 200~400℃ 범위에서 일정시간 예열시키는 예열단계와; 예열된 상기 셀을 370~470℃가 유지되는 강화액 속에서 상기 셀을 일정 시간 침적시키는 강화단계와; 상기 셀을 강화액 속에서 배출하여 상온까지 서서히 냉각시키는 서냉단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정단계에 있어서 세정방법은 수세액을 사용하여 세정하고, 상기 수세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방식 또는 상기 수세액에 담궈 놓는 디핑(Dipping) 방식이 사용된다.
상기 수세액은 순수(DI Water) 또는 알카리 수세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수의 순도는 전기전도도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카리 수세액은 수산화칼륨(KOH) 또는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에, 표면저항을 낮추어 린싱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후 순수(DI Water)와 혼합하여 PH가 10 이상이 유지되도록 제조된다.
상기 스프레이 방식일 때의 상기 수세액의 분사 압력은 0.3~4.0kgf/㎠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열단계와 강화단계는 화학 강화로 장치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화학 강화로 장치는 알카리 알루미나 실리케이트가 포함된 일반적인 유리로 된 셀를 질산칼륨용액에 침지시켜 유리의 나트륨 이온을 질산칼륨 용액의 칼륨이온과 치환하여 강화된 셀로 만드는 장치로서, 내부에 유리가 적재될 수 있는 퍼니스룸이 형성되며, 상기 질산칼륨용액을 채우고 기포을 발생시키며 가열할 수 있게 하여 내부에 적재된 셀을 강화시키는 강화로와; 상기 강화로의 상부에 형성되어 강화 시 급격한 온도차로 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열하고, 강화 후 서냉하는 예열로와; 강화할 셀을 효율적으로 장착하고 상기 예열로와 강화로로 이송하기 쉽게 하는 셀 적재 지그와; 상기 예열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균일한 예열과 강화를 위하여 상기 셀 적재 지그를 좌우, 전후, 상하 및 회전시키는 지그구동부와; 강화공정기간 동안 하부로부터 상부로의 양이온 교반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강화로 내에서 양이온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부와; 상기 강화로, 예열로, 지그구동부 및 기포발생부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전면 힐링공정은 화학강화공정 시 사용된 강화액의 잔존 강화액 및 강화액 얼룩 제거를 위하여 세정 후, 상기 셀 전면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화학적 식각에 의한 2차 화학적 연마를 하고, 최종적으로 세정하는 공정으로, 불량을 유발하는 화학강화공정 시 사용된 강화액의 잔존 강화액 및 강화액 얼룩을 제거하는 세정단계와; 상기 셀 전면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화학적 식각에 의한 2차 화학적 연마를 하는 2차 화학적 연마단계와; 상기 2차 화학적 연마 후 잔존하는 식각액 및 얼룩을 제거하는 최종 세정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2차 화학적 연마단계는 상기 셀 전면(全面)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한 화학적 식각에 의한 2차 화학적 연마를 하는 단계로서, 상기 셀을 핸들링하기 위한 회전지그에 상기 셀을 고정시키는 셀 회전지그고정단계와; 상기 회전지그를 식각액이 충액된 식각액 배스에 상기 셀이 식각액에 디핑될 수 있게 하는 회전지그 디핑단계와; 디핑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지그를 일정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일정 에칭 레이트(Etching Rate)로 전면을 균일하게 화학적 식각을 시행하는 전면 화학적 연마단계와; 화학적 식각이 완료되면 상기 회전지그를 상기 식각액 배스에서 배출하는 회전지그 배출단계와; 상기 회전지그에서 화학적 식각이 완료된 상기 셀을 분리하는 셀 분리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 화학적 연마단계는 식각액 배스에 디핑한 상태에서 사이드 스프레이(Side Spray) 방식이나 탑 스프레이(Top Spray) 방식을 추가적으로 시행하여 식각을 도울 수도 있다.
상기 2차 화학적 연마단계에서의 화학적 식각 두께는 0.1~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화학적 연마단계에서의 식각액 조성은 F, S, N을 포함하는 산 5~10 중량%와, 계면활성제 1~5 중량%와, 첨가제 0.1~2 중량%와, 물 85~90 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2차 화학적 연마단계에서의 식각레이트(Etching Rate)는 0.1~4㎛/min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단계와 최종 세정단계에 있어서 세정방법은 수세액을 사용하여 세정하고, 상기 수세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방식 또는 상기 수세액에 담궈 놓는 디핑(Dipping) 방식이 사용된다.
상기 수세액은 순수(DI Water) 또는 알카리 수세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수의 순도는 전기전도도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카리 수세액은 수산화칼륨(KOH) 또는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에, 표면저항을 낮추어 린싱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후 순수(DI Water)와 혼합하여 PH가 10 이상이 유지되도록 제조된다.
상기 스프레이 방식일 때의 상기 수세액의 분사 압력은 0.3~4.0kgf/㎠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에 있어서의 굴곡강도 테스트 방법은 UTM에 2개의 패러럴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2개의 패러럴 플레이트 사이에 시편(초박형 유리 : 셀)을 넣은 후, 상부 플레이트가 하강하면 시편이 깨지기 직전에 최대 반발력이 걸림 여기서 최대 반발력이 걸릴 때의 두 플레이트 간의 거리(D) 측정하고 다음계산식에 의해 굴곡강도를 측정한다.
Figure 112015094040591-pat00001
t는 Glass의 두께 - Center부에서의 Glass 두께
D는 최대 반발력에서의 Plate 사이 거리
E는 Young's Modulus
도 3은 본 발명의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에 따른 각 공정 실시별 굴곡강도 시험결과이며, 시험결과에 의한 굴곡특성 경향을 설명한다.
굴곡특성 경향 즉, 굴곡강도의 변화 경향은 아래와 같다.
1. 셀 형상 컷팅공정만 진행한 글라스에 단면힐링을 추가 할경우 : 0.20GPa -> 1.05GPa, 평균적으로 0.85GPa 향상이 됨, 최소값이 0.37GPa 수준이다.
2. 단면 연마단계는 단면 힐링공정에서 치핑에 의한 강도 하락을 방지하는 것이지 상기 단면 연마단계 자체가 굴곡강도를 올리는 것은 아니다.
3. 단면 힐링공정 후 화학강화공정에 의해 압축응력을 800MPa 수준으로 형성시킬 경우 굴곡강도가 평균 1.52GPa 수준으로 향상되고, 최소값이 1.31GPa 수준이다.
3. 단면 힐링공정 후 열처리공정을 거친 후 화학강화공정에 의해 압축응력을 860MPa 수준으로 형성시킬 경우 굴곡강도가 평균 1.57GPa 수준으로 향상 됨, 압축응력 향상된 부분 정도가 향상되는 경향이다.
4. 1차 전면힐링공정의 주목적은 골곡강도의 개선보다는 세정한 후 상기 셀의 전면(全面)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한 화학적 식각에 의해 1차 화학적 연마를 하는 것이다.
5. 단면 힐링공정 후 화학강화공정에 의해 압축응력을 800MPa 수준으로 형성시키고, 화학강화공정 후 2차 전면 힐링공정에 의해 각면 1um 식각을 할 경우, 굴곡강도가 평균 6.10GPa 수준으로 매우 향상되었다.
6. 단면 힐링공정 후 열처리공정 후 화학강화공정에 의해 압축응력을 수준으로 형성시키고, 화학강화공정 후 2차 전면힐링공정에 의해 각면 1um 식각을 할 경우, 굴곡강도가 평균 6.11GPa 수준으로 매우 향상되었다.
본 발명의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에 따르면 유리 원장보다 약 1000% 이상 굴곡강도가 높아지므로, 100㎛ 이하의 초박형 유리를 굽혔을 때의 곡률반경 2mm일 때도 내구성을 가져, 100㎛ 이하의 초박형 유리를 폴더블용 기기의 윈도우 글라스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00㎛ 이하의 초박형 유리 원장을 일정 크기와 형상으로 절단 후, 면취 및 연마를 통하여 제작된 셀(Cell)을 가공하여 굴곡강도를 향상시키는 굴곡강도 향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굴곡강도 향상 방법은 초박형 유리 원장을 디자인에 맞추어 형상을 커팅하고 물리적 가공을 하여 상기 셀(Cell)을 만드는 초박형 유리 절단공정과;
상기 셀의 단면(斷面) 형상을 C형으로 만들기 위해 화학적 식각에 의해 화학적 연마를 하는 단면 힐링공정과;
초박형 유리 원장을 상기 단면 힐링공정 시 표면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도포된 보호접착제를 제거하고, 세정한 후 상기 셀의 전면(全面)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한 화학적 식각에 의해 1차 화학적 연마를 하는 1차 전면 힐링공정과;
불량 유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1차 전면 힐링공정에서 사용된 식각액 중 상기 셀에 묻은 잔존 식각액 및 식각액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후, 화학강화 처리 시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셀의 온도를 올리고 일정 시간 유지 후 냉각시키는 열처리공정과;
상기 열처리공정이 끝난 상기 셀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정하고, 일정 온도까지 예열 후 상기 셀을 강화액 속에 침적시킨 후 배출시켜 서냉시키는 화학강화공정과;
상기 화학강화공정 시 사용된 강화액의 잔존 강화액 및 강화액 얼룩 제거를 위하여 세정 후, 상기 셀 전면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화학적 식각에 의한 2차 화학적 연마를 하고, 최종적으로 세정하는 2차 전면 힐링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1차 전면 힐링공정은 상기 초박형 유리 절단공정에서 도포된 보호접착제를 상기 셀에서 제거하는 박리단계와;
상기 셀에서 상기 보호접착제를 제거 후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단계와;
셀 전면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한 화학적 식각에 의한 1차 화학적 연마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박리단계는 초박형 유리 원장과 보호접착제 간 분리를 위해 상기 단면힐링공정이 끝난 상기 셀을 접착제팽윤제와 계면활성제가 들어있는 순수조에 넣고, 초음파를 1~10분 발진시키는 1차초음파 발진단계와;
상기 셀을 순수 온도가 25~35℃인 순수조에서 5~20분간 침적시키는 침적단계와;
순수 온도가 50~90℃인 순수조에서 초음파를 1~10분 발진시키는 2차초음파 발진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1차 화학적 연마단계의 식각 두께는 5~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박형 유리 절단공정은 상기 초박형 유리 원장에 공정 시 표면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접착제를 도포하는 보호접착제 도포단계와;
상기 보호접착제가 도포된 초박형 유리 원장을 사용하는 기기의 디자인에 맞추어 형상을 커팅하여 셀을 만드는 셀 형상 커팅단계와;
일정 형상으로 커팅된 셀을 커팅 시 발생한 단면 칩핑을 물리적으로 연마하는 단면 연마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면 힐링공정은 상기 셀을 핸들링하기 위한 지그에 상기 셀을 고정시키는 셀 지그고정단계와;
상기 지그를 식각액이 충액된 식각액 배스에 상기 셀이 식각액에 디핑될 수 있게 하는 지그 디핑단계와;
디핑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를 일정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일정 에칭 레이트(Etching Rate)로 단면(斷面)을 균일하게 화학적 식각을 시행하는 단면 화학적 연마단계와;
화학적 식각이 완료되면 상기 지그를 상기 식각액 배스에서 배출하는 지그 배출단계와;
상기 지그에서 화학적 식각이 완료된 상기 셀을 분리하는 셀 분리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면 화학적 연마단계의 식각 두께는 5~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
삭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공정은 불량을 유발하는 상기 1차 전면 힐링공정에서 사용된 식각액의 잔존 식각액 및 식각액 얼룩을 제거하기 위하여 순수로 세정하는 세정단계와;
상기 화학강화공정에서 상기 셀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열처리로를 500~700℃까지 승온 후 세정이 끝난 셀을 투입하고,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여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와;
열처리가 끝난 상기 셀을 상온까지 냉각하는 냉각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강화공정은 상기 열처리공정이 끝난 상기 셀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정하는 세정단계와;
세정이 끝난 상기 셀을 200~400℃ 범위에서 일정시간 예열시키는 예열단계와;
예열된 상기 셀을 370~470℃가 유지되는 강화액 속에서 상기 셀을 일정 시간 침적시키는 강화단계와;
상기 셀을 강화액 속에서 배출하여 상온까지 서서히 냉각시키는 서냉단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전면 힐링공정은 불량을 유발하는 화학강화공정 시 사용된 강화액의 잔존 강화액 및 강화액 얼룩을 제거하는 세정단계와;
상기 셀 전면의 조도 향상 및 흠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화학적 식각에 의한 2차 화학적 연마를 하는 2차 화학적 연마단계와;
상기 2차 화학적 연마 후 잔존하는 식각액 및 얼룩을 제거하는 최종 세정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2차 화학적 연마단계에서의 화학적 식각 두께는 0.1~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
KR1020150136950A 2015-09-25 2015-09-25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 KR101684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950A KR101684344B1 (ko) 2015-09-25 2015-09-25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950A KR101684344B1 (ko) 2015-09-25 2015-09-25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344B1 true KR101684344B1 (ko) 2016-12-08

Family

ID=57576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950A KR101684344B1 (ko) 2015-09-25 2015-09-25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344B1 (ko)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114A (ko) * 2017-08-11 2019-02-21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101972444B1 (ko) 2017-11-08 2019-04-25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유리의 화학 강화 후 열처리 방법
CN110128008A (zh) * 2019-05-16 2019-08-16 平顶山市东丽华实业有限公司 低曲率半径超薄强化玻璃及其制备方法、玻璃器件和素玻璃
KR102210663B1 (ko) 2020-06-11 2021-02-02 (주)애드파인테크놀러지 폴더블폰용 utfg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utfg
KR102222715B1 (ko) 2019-09-11 2021-03-04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초박막 글라스 단면 습식 식각 방법
US20210107826A1 (en) * 2019-10-15 2021-04-15 Uti Inc.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cover window
CN112802396A (zh) * 2019-11-14 2021-05-14 三星显示有限公司 可折叠玻璃基板和可折叠显示装置
KR20210059855A (ko) * 2019-11-15 2021-05-26 세메스 주식회사 석영 부재의 표면 처리 방법 및 석영 부재
KR102263657B1 (ko) 2020-05-22 2021-06-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초박형 글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86402B1 (ko) * 2020-02-04 2021-08-05 주식회사 이코니 초박형 유리 가공방법
KR20210101426A (ko) 2020-02-10 2021-08-19 이영호 가요성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309107B1 (ko) * 2020-12-22 2021-10-05 정도규 초박막 플렉서블 글래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초박막 플렉서블 글래스
KR20210133575A (ko) 2020-04-29 2021-11-08 에이그라스 주식회사 초박형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CN113754300A (zh) * 2021-09-16 2021-12-07 深圳市信濠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折叠玻璃的渐变减薄工艺
KR20220009077A (ko) * 2020-07-15 2022-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버 글라스의 제조 방법
CN114014556A (zh) * 2021-11-19 2022-02-08 赛德半导体有限公司 超薄玻璃的强化方法、超薄玻璃、显示屏及触控显示装置
CN114105483A (zh) * 2021-11-19 2022-03-01 赛德半导体有限公司 超薄玻璃的强化方法、超薄玻璃、显示屏及触控显示装置
KR20220023239A (ko) 2020-08-20 2022-03-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초박형 글라스 가공 방법 및 이에 의해 가공된 초박형 글라스
KR20220059674A (ko) * 2020-11-03 2022-05-10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초박형 글라스의 가공 방법
CN114671624A (zh) * 2022-05-09 2022-06-28 芜湖东信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高抗冲击性能柔性玻璃处理工艺
KR102443796B1 (ko) * 2022-05-30 2022-09-16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유리 절단 및 후처리 방법에 의해 제조된 셀 단위 박막 글라스
CN115650595A (zh) * 2022-10-20 2023-01-31 济宁海富光学科技有限公司 玻璃盖板成型方法、成型设备及可存储介质
KR102525405B1 (ko) * 2021-10-20 2023-04-25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레이저를 이용한 코팅막 제거와 유리 절단 및 후처리 방법
US11897243B2 (en) 2021-03-05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manufacturing apparatus, window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0709A (ja) 1996-08-26 1998-03-10 Sony Corp 画像信号変換装置および方法
KR20130056124A (ko) * 2011-11-21 2013-05-29 (주) 태양기전 글라스 가공 방법
KR101268956B1 (ko) 2011-04-15 2013-05-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용 유리의 강화 또는 동시 항균처리를 위한 이온교환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강화 또는 동시 항균처리된 디스플레이용 유리
KR101298236B1 (ko) 2013-05-07 2013-08-22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강화유리 강화 전 에지 에칭을 통한 강화 특성 향상 방법
WO2014013996A1 (ja) * 2012-07-17 2014-01-23 旭硝子株式会社 強化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強化カバーガラス
KR101523497B1 (ko) * 2013-10-29 2015-05-28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모바일 기기용 곡면 윈도우 글라스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0709A (ja) 1996-08-26 1998-03-10 Sony Corp 画像信号変換装置および方法
KR101268956B1 (ko) 2011-04-15 2013-05-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스플레이용 유리의 강화 또는 동시 항균처리를 위한 이온교환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강화 또는 동시 항균처리된 디스플레이용 유리
KR20130056124A (ko) * 2011-11-21 2013-05-29 (주) 태양기전 글라스 가공 방법
WO2014013996A1 (ja) * 2012-07-17 2014-01-23 旭硝子株式会社 強化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強化カバーガラス
KR101298236B1 (ko) 2013-05-07 2013-08-22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강화유리 강화 전 에지 에칭을 통한 강화 특성 향상 방법
KR101523497B1 (ko) * 2013-10-29 2015-05-28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모바일 기기용 곡면 윈도우 글라스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또는 동시 항균처리된 디스플레이용 유리

Cited B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114A (ko) * 2017-08-11 2019-02-21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102395770B1 (ko) * 2017-08-11 2022-05-10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101972444B1 (ko) 2017-11-08 2019-04-25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유리의 화학 강화 후 열처리 방법
CN110128008B (zh) * 2019-05-16 2021-09-10 重庆鑫景特种玻璃有限公司 低曲率半径超薄强化玻璃及其制备方法、玻璃器件和素玻璃
CN110128008A (zh) * 2019-05-16 2019-08-16 平顶山市东丽华实业有限公司 低曲率半径超薄强化玻璃及其制备方法、玻璃器件和素玻璃
KR102222715B1 (ko) 2019-09-11 2021-03-04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초박막 글라스 단면 습식 식각 방법
US20210107826A1 (en) * 2019-10-15 2021-04-15 Uti Inc.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cover window
CN112802396A (zh) * 2019-11-14 2021-05-14 三星显示有限公司 可折叠玻璃基板和可折叠显示装置
CN112802396B (zh) * 2019-11-14 2024-04-23 三星显示有限公司 可折叠玻璃基板和可折叠显示装置
US11492289B2 (en) 2019-11-14 2022-11-08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glass substrat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059855A (ko) * 2019-11-15 2021-05-26 세메스 주식회사 석영 부재의 표면 처리 방법 및 석영 부재
KR102275790B1 (ko) * 2019-11-15 2021-07-09 세메스 주식회사 석영 부재의 표면 처리 방법 및 석영 부재
US11505493B2 (en) 2019-11-15 2022-11-22 Semes Co., Ltd. Method of treating surface of quartz member and quartz member obtained by same
KR102286402B1 (ko) * 2020-02-04 2021-08-05 주식회사 이코니 초박형 유리 가공방법
KR20210101426A (ko) 2020-02-10 2021-08-19 이영호 가요성을 구비하는 투명전극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33575A (ko) 2020-04-29 2021-11-08 에이그라스 주식회사 초박형 유리판의 절단 모서리 크랙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2263657B1 (ko) 2020-05-22 2021-06-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초박형 글라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0663B1 (ko) 2020-06-11 2021-02-02 (주)애드파인테크놀러지 폴더블폰용 utfg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utfg
KR20220009077A (ko) * 2020-07-15 2022-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버 글라스의 제조 방법
KR102652103B1 (ko) * 2020-07-15 2024-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버 글라스의 제조 방법
KR20220023239A (ko) 2020-08-20 2022-03-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초박형 글라스 가공 방법 및 이에 의해 가공된 초박형 글라스
KR20220059674A (ko) * 2020-11-03 2022-05-10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초박형 글라스의 가공 방법
KR102443795B1 (ko) * 2020-11-03 2022-09-16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초박형 글라스의 가공 방법
KR102309107B1 (ko) * 2020-12-22 2021-10-05 정도규 초박막 플렉서블 글래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초박막 플렉서블 글래스
US11897243B2 (en) 2021-03-05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manufacturing apparatus, window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CN113754300A (zh) * 2021-09-16 2021-12-07 深圳市信濠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折叠玻璃的渐变减薄工艺
KR102525405B1 (ko) * 2021-10-20 2023-04-25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레이저를 이용한 코팅막 제거와 유리 절단 및 후처리 방법
WO2023068420A1 (ko) *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레이저를 이용한 코팅막 제거와 유리 절단 및 후처리 방법
CN114014556A (zh) * 2021-11-19 2022-02-08 赛德半导体有限公司 超薄玻璃的强化方法、超薄玻璃、显示屏及触控显示装置
CN114105483A (zh) * 2021-11-19 2022-03-01 赛德半导体有限公司 超薄玻璃的强化方法、超薄玻璃、显示屏及触控显示装置
CN114671624A (zh) * 2022-05-09 2022-06-28 芜湖东信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高抗冲击性能柔性玻璃处理工艺
WO2023234467A1 (ko) *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유리 절단 및 후처리 방법에 의해 제조된 셀 단위 박막 글라스
KR102443796B1 (ko) * 2022-05-30 2022-09-16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유리 절단 및 후처리 방법에 의해 제조된 셀 단위 박막 글라스
CN115650595A (zh) * 2022-10-20 2023-01-31 济宁海富光学科技有限公司 玻璃盖板成型方法、成型设备及可存储介质
CN115650595B (zh) * 2022-10-20 2024-04-26 济宁海富光学科技有限公司 玻璃盖板成型方法、成型设备及可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344B1 (ko) 유리의 굴곡강도 향상 방법
KR101620375B1 (ko) 적층, 컷팅공정을 포함하는 초박형 유리 가공방법
KR101661278B1 (ko) 초박형 유리의 가공방법
JP4289630B2 (ja) ウエハ支持ガラス
US9169154B2 (en) Method of cutting chemically toughened glass
KR102222715B1 (ko) 초박막 글라스 단면 습식 식각 방법
JP2017200877A (ja) ガラス物品の強化のための表面傷の変形
JP6135755B2 (ja) 強化ガラスのカッティング方法及びカッティング装置
KR20160003305A (ko) 나트륨조에서의 이온 교환과 이에 이어진 칼륨조에서의 이온 교환에 의한 유리의 증강된 강화
JP2013203630A (ja) 強化ガラス板の切断方法
KR101972444B1 (ko) 유리의 화학 강화 후 열처리 방법
TW201223895A (en) Method of strengthening edge of glass article
WO2017146063A1 (ja) ガラス板の強化方法、および強化ガラス板
WO2013137329A1 (ja) 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ガラ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2002506A1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前面板用のガラス基板の強度を高める方法
KR101157793B1 (ko) 강화유리 가공 방법
CN109803938B (zh) 化学强化玻璃的制造方法
CN113121121A (zh) 移动终端、柔性显示屏、玻璃盖板及其加工方法
KR20220094505A (ko) 초박형 글라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초박형 글라스
KR20130127173A (ko) 개인휴대단말 및 터치스크린용 윈도우글라스의 제조 방법
TW201544471A (zh) 切割和去角強化玻璃的方法
WO2013031773A1 (ja) 強化ガラスパネルの製造方法
WO2019001356A1 (zh) 经化学强化的防眩玻璃以及防眩处理用的玻璃
JP2001261355A (ja) ガラス基板端面の強度向上方法およ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基板
KR20210123851A (ko) 초박 유리 처리장치 및 초박 유리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