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230B1 - 테스트용 소켓 - Google Patents

테스트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230B1
KR101682230B1 KR1020150110117A KR20150110117A KR101682230B1 KR 101682230 B1 KR101682230 B1 KR 101682230B1 KR 1020150110117 A KR1020150110117 A KR 1020150110117A KR 20150110117 A KR20150110117 A KR 20150110117A KR 101682230 B1 KR101682230 B1 KR 101682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nductive elastic
elastic part
guid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Priority to KR1020150110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230B1/ko
Priority to PCT/KR2016/008366 priority patent/WO2017023037A1/ko
Priority to TW105124403A priority patent/TWI62093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01R1/0466Details concerning contact pieces or mechanical details, e.g. hinges or cams; Shi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절연성 탄성 물질 내에 다수의 도전성 입자가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성 탄성부; 상기 도전성 탄성부를 감싸며 상기 도전성 탄성부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상기 도전성 탄성부의 하부가 삽입 지지되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홀의 하부에 위치되며 검사장치의 패드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된 절연 지지부; 상기 절연 지지부의 상면과 결합되며,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부; 및 상기 도전성 탄성부의 상면에 도전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지지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테스트용 소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테스트용 소켓{SOCKET FOR ELECTRICAL TEST}
본 발명은 테스트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전성 패드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테스트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검사 디바이스의 전기적 특성 검사를 위해서는 피검사 디바이스와 검사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된다. 이와 같이, 피검사 디바이스와 검사장치와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위해 일반적으로 테스트용 소켓이 사용된다.
테스트용 소켓은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검사장치의 패드를 서로 연결시켜 전기적 신호가 양방향으로 교환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테스트용 소켓은 접속수단에 따라 크게 핀 타입(pin type)과 러버 타입(rubber type)으로 나눠질 수 있으며, 통상 핀 타입(pin type)에는 포고핀(pogo pin)이 사용되고, 러버 타입(rubber type)에는 도전성 탄성부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포고핀이 구비된 테스트용 소켓을 보여주는 예시도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5047호(선행문헌 1)에 개시된 포고핀(21)은 내부에 스프링(23)이 마련되어 있어, 피검사 디바이스(1)의 전기적 특성 검사시 발생될 수 있는 기계적인 충격에 대한 완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포고핀(21)이 구비된 테스트용 소켓(20)은 전기적 신호의 전달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피검사 디바이스(1)로부터 전달된 전기적 신호는 접촉핀(22), 스프링(23) 및 접촉팁(24)을 통해 검사장치(3)로 전달된다. 이때, 스프링(23)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스프링(23)의 나선방향을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전기적 경로가 길어지게 되어, 저항이 증가됨에 따라 전기적 신호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검사 디바이스(1)의 전기적 검사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가 접촉핀(22)의 중심으로 정확히 안내되지 못할 경우에는 접촉핀(22)에 의해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가 손상될 수 도 있다.
따라서,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 손상을 방지하며, 피검사 디바이스(1)와 검사장치(3)를 전기적으로 원활히 연결하도록 이루어진 도전성 탄성부를 갖는 테스트용 소켓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도전성 탄성부가 구비된 테스트용 소켓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전성 탄성부(31)가 구비된 테스트용 소켓(30)은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와의 접속 시, 도전성 탄성부(31)가 탄성 변형되며 피검사 디바이스(1)와 검사장치(3)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즉, 도전성 탄성부(31)는 절연성 탄성 물질 내에 다수의 도전성 입자(32)가 구비되어,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가 도전성 탄성부(31)를 가압하게 되면 도전성 탄성부(31)는 압착 변형이 이루어지며, 도전성 입자(32)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검사 디바이스(1)와 검사장치(3)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그러나 도전성 탄성부(31)가 구비된 테스트용 소켓(30)은 반복적인 검사 과정에서 도전성 탄성부(31)의 상면이 손상되는 문제로 인해 테스트용 소켓(30)의 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전성 탄성부(31)가 구비된 테스트용 소켓(30)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5047호(2011.06.1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도전성 패드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테스트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절연성 탄성 물질 내에 다수의 도전성 입자가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성 탄성부; 상기 도전성 탄성부를 감싸며 상기 도전성 탄성부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상기 도전성 탄성부의 하부가 삽입 지지되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홀의 하부에 위치되며 검사장치의 패드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된 절연 지지부; 상기 절연 지지부의 상면과 결합되며,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부; 및 상기 도전성 탄성부의 상면에 도전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지지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테스트용 소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탄성부는, 하면이 상면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된 원뿔대 형상을 이루며, 하부가 상기 제1 삽입홀에 삽입 지지되는 하부 도전성 탄성부;와 상기 하부 도전성 탄성부의 상면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연결 형성된 상부 도전성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홀은 상기 제2 삽입홀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부는 상기 도전성 패드의 상면보다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를 상기 도전부의 상면으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1개의 상기 도전성 탄성부에는 2개 이상의 상기 가이드부가 이웃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드는, 상기 도전성 탄성부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상기 도전성 탄성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복수개의 도전부;와 상기 도전부와 연결형성되며 상기 도전부를 상기 가이드부에 지지고정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금속 또는 도전성 파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용 소켓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접속되는 도전성 패드는 가이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테스트용 소켓의 반복적인 검사 과정에서 도전성 패드가 손상된 경우, 사용자는 도전성 패드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패드의 교체만으로도 테스트용 소켓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부는 도전성 패드의 상면에 접속되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가이드부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가 도전성 패드의 도전부 중심을 가압하도록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부는 1개의 도전성 탄성부에 대해 2개 이상이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를 도전부의 정확한 지점으로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피검사 디바이스와 검사장치는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지지부는 도전성 탄성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져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로부터 탄성 지지부가 압착되는 경우, 탄성 지지부의 내부에 구비된 도전성 입자가 탄성 지지부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전성 탄성부는 대칭을 이루는 상부 도전성 탄성부와 하부 도전성 탄성부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전성 탄성부는 압착시 상부 도전성 탄성부와 하부 도전성 탄성부의 경계 부분의 지름이 커지며 피검사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된 전기적 신호는 검사장치로 원활히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피검사 디바이스의 전기적 신호 측정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포고핀이 구비된 테스트용 소켓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도전성 탄성부가 구비된 테스트용 소켓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용 소켓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용 소켓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착된 테스트용 소켓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용 소켓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용 소켓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용 소켓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용 소켓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용 소켓의 단면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착된 테스트용 소켓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용 소켓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스트용 소켓(1000)은 검사가 요구되는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와 검사장치(3)의 패드(4)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매개부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테스트용 소켓(1000)은 피검사 디바이스(1)와 검사장치(3)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는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와 직간접적으로 접속되고, 하부는 검사장치(3)의 패드(4)와 직간접적으로 접속되어 피검사 디바이스(1)의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는 2차원 어레이 상으로 줄지어 배열된 볼 그리드 어레이(BGA : Ball Grid Array)의 솔더볼의 형태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테스트용 소켓(1000)은 도전성 탄성부(100), 탄성 지지부(200), 절연 지지부(300), 가이드부(400) 및 도전성 패드(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탄성부(100)는 상부 도전성 탄성부(110)와 하부 도전성 탄성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도전성 탄성부(110)와 하부 도전성 탄성부(120)는 한 쌍을 이루는 구성으로, 상부 도전성 탄성부(110)와 하부 도전성 탄성부(120)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도전성 탄성부(110)와 하부 도전성 탄성부(120)는 원뿔대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즉, 하부 도전성 탄성부(120)의 하면 지름(D1)은 하부 도전성 탄성부(120)의 상면 지름(D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부 도전성 탄성부(110)의 하면 지름은 상부 도전성 탄성부(110)의 상면 지름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때, 하부 도전성 탄성부(120)의 상면 지름과 상부 도전성 탄성부(110)의 하면 지름은 동일한 지름을 가지며 일체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말해서, 한 쌍을 이루는 상부 도전성 탄성부(110)와 하부 도전성 탄성부(120)는 하부 도전성 탄성부(120)의 상면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연결 형성된다. 즉, 상부 도전성 탄성부(110)와 하부 도전성 탄성부(120)가 만나는 경계 지점은 오목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전성 탄성부(100)의 상면과 하면의 지름 크기는 상부 도전성 탄성부(110)와 하부 도전성 탄성부(120)가 만나는 경계 지점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전성 탄성부(100)의 상면은 도전성 패드(500)와의 접속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고, 도전성 탄성부(100)의 하면은 검사장치(3)의 패드(4)와 접속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전성 탄성부(100)는 도전성 패드(500)와 검사장치(3)의 패드(4)와의 접속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됨에 따라 도전성 패드(500)와 검사장치(3)의 패드(4)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부 도전성 탄성부(110)와 하부 도전성 탄성부(120)가 만나는 경계 지점은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도전성 탄성부(100)가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에 의해 압착이 이루어질 경우, 도전성 탄성부(100)의 오목한 부분은 지름이 커짐과 동시에 도전성 탄성부(10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며 피검사 디바이스(1)로부터 전달된 전기적 신호를 검사장치(3)로 안정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전성 탄성부(100)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 상부 도전성 탄성부(110)와 하부 도전성 탄성부(120)가 연결된 형태를 이룸에 따라 피검사 디바이스(1)와 검사장치(3)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는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탄성부(100)를 형성하는 절연성 탄성 물질(101)로는 가교 구조를 갖는 내열성의 고분자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 고분자 물질을 얻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경화성의 고분자 물질 형성 재료로서는,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지만, 액상 실리콘 고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액상 실리콘 고무로는 부가형 또는 축합형의 액상 실리콘 고무가 있으나, 그 중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실리콘 고무 경화물(이하,「실리콘 경화물」이라 함)에 의해 도전성 탄성부(100)가 형성될 경우, 실리콘 경화물은 150℃에서 압축 영구 왜곡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150℃에서 실리콘 경화물의 압축 영구 왜곡이 10% 초과할 경우에는, 도전성 탄성부(100)를 고온의 환경 하에서 반복해서 사용하였을 때, 도전성 탄성부(100) 내에 구비된 도전성 입자(102)의 흐트러짐이 발생하게 되어 도전성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때, 도전성 입자(102)로는 자성을 나타내는 코어 입자의 표면에 고도전성 금속이 피복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성 코어 입자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철, 니켈, 코발트 등의 금속을 구리, 수지에 코팅한 것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도전성 입자(102)는 포화 자화가 0.1 ㏝/㎡ 이상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전성 입자(102)의 입경은 1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성 코어 입자의 표면에 피복되는 고도전성 금속으로서는 금, 은, 로듐, 백금, 크롬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들 중에서는 화학적으로 안정되고 높은 도전율을 갖는 금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탄성 지지부(200)는 도전성 탄성부(100)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도전성 탄성부(100)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200)는 도전성 탄성부(100)를 지지하며, 도전성 탄성부(100)가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에 의해 압착이 이루어지는 경우, 도전성 탄성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도전성 입자(102)가 절연성 탄성 물질(10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200)는 실리콘, 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력성이 좋으면서 절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내지 천연수지의 재료라면 무엇이든 한정됨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 지지부(200)는 도전성 탄성부(100)의 변형과 함께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며, 도전성 탄성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도전성 입자(102)가 절연성 탄성 물질(10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절연 지지부(300)는 도전성 탄성부(10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연 지지부(300)는 복수의 도전성 탄성부(100)가 삽입 지지되는 제1 삽입홀(301)이 형성되어 도전성 탄성부(100)의 하부는 제1 삽입홀(301)에 삽입된 상태로 절연 지지부(30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 지지부(300)에 형성된 제1 삽입홀(301)은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가 하강하는 경우,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 중심과 제1 삽입홀(301)의 중심이 가상의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제1 삽입홀(301)은 절연 지지부(300)에 복수개로 형성된다. 즉, 제1 삽입홀(301)에 삽입 지지된 도전성 탄성부(100)와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는 가상의 일직선상에 얼라인(aline) 되도록 제1 삽입홀(301)은 절연 지지부(300)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전성 탄성부(100)는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개의 도전성 탄성부(100)들은 서로 일정 피치(pitch)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는데, 그 피치는 검사 대상인 피검사 디바이스(200)의 단자(210)들 사이의 피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절연 지지부(300)에 형성된 제2 삽입홀(302)은 제1 삽입홀(301)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2 삽입홀(302)에는 검사장치(3)의 패드(4)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검사장치(3)의 패드(4)는 제2 삽입홀(302)에 삽입된 상태로 도전성 탄성부(100)의 하면과 접속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검사장치(3)의 패드(4)는 제2 삽입홀(302)에 삽입된 상태로 도전성 탄성부(100)의 하면과 접속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테스트용 소켓(1000)의 좌우 이동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미세 피치로 이루어진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에 대해 전기적 신호 검사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절연 지지부(300)에 형성된 제1 삽입홀(301)의 크기는 제2 삽입홀(302)의 크기 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즉, 제1 삽입홀(301)과 제2 삽입홀(302)의 연결되는 부위에는 제1 삽입홀(301)과 제2 삽입홀(302)의 크기 차이로 인한 단턱부(310)가 형성되며, 도전성 탄성부(100)의 하부는 단턱부(310)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도전성 탄성부(100)를 각각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절연 지지부(300)는 절연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연 지지부(300)는 페놀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프루오르수지 등의 질량당 강도가 크고, 경량이며, 절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거나 이외의 비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절연 지지부(300)는 상술된 소재 이외에 절연성이 우수하고 도전성 탄성부(100)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말해서, 절연 지지부(300)는 절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도전성 탄성부(100)의 수축, 팽창이 발생될 경우라도 도전성 탄성부(100)의 위치를 정확히 잡아주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가이드부(400)는 절연 지지부(300)의 상면과 결합되며,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가이드부(400)는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가 하강할 시,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가 도전성 패드(500)의 상면 중앙으로 안내되도록 피검사 디바이스(1)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부(400)는 절연 지지부(300)의 하면을 기준으로 가이드부(400)의 상단부까지의 높이(H1)는 도전성 패드(500)의 상면까지의 높이(H2) 보다 높다. 즉, 가이드부(400)의 상단부는 도전성 패드(5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는 가이드부(400)의 안내를 받으며, 도전성 패드(500)에 구비된 도전부(510)의 상면 중앙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400)는 절연 지지부(300)와 같이, 절연 소재로 이루어져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가 가이드부(400)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가이드부(400)는 절연 지지부(300)에 삽입 고정된 도전성 탄성부(100)에 이웃하도록 배치된다. 도 6의 (a) 내지 (c)는 테스트용 소켓(1000)에 구비된 가이드부(400)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 도 6의 (a)에서 보여지는 가이드부(400)는 1개의 도전성 탄성부(100)에 대해 3개가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b)와 (c)에서 보여지는 가이드부(400)는 1개의 도전성 탄성부(100)에 대해 4개가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부(400)의 배치 및 개수는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400)는 1개의 도전성 탄성부(100)에 대해 2개, 5개, 6개 등이 다양한 개수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400)는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를 도전부(510)의 상면 중앙으로 안내하는 구성으로, 가이드부(400)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만,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가 하강할 시,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가 도전부(510)의 상면 중앙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1개의 도전성 탄성부(100)에 대해 3개 이상의 가이드부(400)가 이웃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400)는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와 도전부(510)의 접속이 원활히 이루도록 하여 피검사 디바이스(1)의 검사 정확성을 높이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도전성 패드(500)는 도전성 탄성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가이드부(400)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전성 패드(500)는 도전부(510)와 시트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부(510)는 도전성 탄성부(10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도전성 탄성부(100)의 상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도전부(510)는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도전성 탄성부(100)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도전부(510)는 도전성 탄성부(100)의 상면과 상호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도전부(510)는 전기적 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로, 도전부(510)는 절연성 탄성 물질 내에 다수의 도전성 입자가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 도전성 파우더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도전성 파우더로 이루어진 도전부(510)는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가 도전부(510)를 가압할 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도전부(510)에 의해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부(510)는 도전성 파우더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전기적 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도전성 소재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즉, 도전부는 금속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시트부(520)는 도전부(510)와 연결되며 도전부(51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트부(520)는 가이드부(400)에 지지 고정됨에 따라 도전부(510)는 도전성 탄성부(100)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부(520)에는 가이드부(400)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태의 결합홀(521)이 형성되고, 결합홀(521)은 가이드부(400)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도전성 패드(500)는 가이드부(400)에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전부(510)와 시트부(520)를 갖는 도전성 패드(500)는 가이드부(400)와 선택적인 탈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피검사 디바이스(1)의 반복적인 검사 과정에서 테스트용 소켓(1000)의 상부에 구비된 도전부(510)가 손상될 경우, 사용자는 가이드부(400)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도전성 패드(500)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함으로써, 테스트용 소켓(10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패드(500)는 탈착이 간편하도록 이루어져 사용자는 도전성 패드(500)의 선택적인 교체를 통해 테스트용 소켓(1000)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용 소켓의 단면 예시도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가이드부(400)의 상단부에는 경사부(4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410)는 일직선 형태의 가이드부(400)로부터 소정의 경사를 이루게 된다. 예컨대, 가이드부(400)의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에 가이드부(400)의 상단부에 형성된 경사부(410)는 테이퍼(tape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부(410)는 얼라인이 맞혀지지 않은 상태로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가 하강할 경우,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를 도전부(510)의 상면 중앙으로 부드럽게 안내되도록 한다.
또한, 제2 삽입홀(302)의 하부에도 검사장치(3)의 패드(4) 삽입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경사를 이루는 확장부(32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확장부(320)는 제2 삽입홀(302)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검사장치(3)의 패드(4)는 제2 삽입홀(302)에 손쉽게 삽입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용 소켓의 평면도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고하면, 가이드부는 횡단면 형상이 원형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보여준다.
도 8의 (a)는 가이드부(401)의 횡단면 형상이 사각 형태를 이루는 것이고, 도 8의 (b)는 가이드부(402)의 횡단면 형상이 원호 형태를 이루어진 것이며, 도 8의 (c)는 가이드부(403)의 횡단면 형상이 중공(中孔)이 형성된 원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여기서 시트부(520)에 형성된 결합홀(521)은 가이드부(401, 402, 403)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402)의 횡단면 형상이 도 8의 (b)와 같이 원호 형태를 이루는 경우에는 가이드부(402)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보다 가이드부(402)에 지지되는 결합홀(521)의 지지부위가 더 넓어지기에 도전성 패드(500)는 가이드부(402)에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402)의 횡단면 형상이 원호 형태를 이루는 경우에는 1개의 도전성 탄성부(100)에 대해 2개의 가이드부(402)가 이웃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도 피검사 디바이스(1)의 단자(2)를 도전부(510)의 상면 중앙으로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403)는 도 8의 (c)와 같이 중공이 형성된 원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403)의 중공 내부에는 도전성 탄성부(100)가 위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403)가 중공이 형성된 원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는, 가이드부(402)의 횡단면 형상이 원호 형태를 이루는 경우보다도 결합홀(521)의 지지부위가 더 넓어지게 되어 도전성 패드(500)는 가이드부(403)에 더욱 견고히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연 지지부(300)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부의 횡단면 형상은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도전성 탄성부 110: 상부 도전성 탄성부
120: 하부 도전성 탄성부 200: 탄성 지지부
300: 절연 지지부 400, 401, 402, 403: 가이드부
410: 경사부 500: 도전성 패드
1000: 테스트용 소켓

Claims (9)

  1.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절연성 탄성 물질 내에 다수의 도전성 입자가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성 탄성부;
    상기 도전성 탄성부를 감싸며 상기 도전성 탄성부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상기 도전성 탄성부의 하부가 삽입 지지되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홀의 하부에 위치되며 검사장치의 패드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된 절연 지지부;
    상기 절연 지지부의 상면과 결합되며,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부; 및
    상기 도전성 탄성부의 상면에 도전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지지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는 테스트용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탄성부는, 하면이 상면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된 원뿔대 형상을 이루며, 하부가 상기 제1 삽입홀에 삽입 지지되는 하부 도전성 탄성부;와
    상기 하부 도전성 탄성부의 상면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연결 형성된 상부 도전성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용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홀은 상기 제2 삽입홀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용 소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용 소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부는 상기 도전성 패드의 상면보다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를 상기 도전부의 상면으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용 소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용 소켓.
  7. 제1항에 있어서,
    1개의 상기 도전성 탄성부에는 2개 이상의 상기 가이드부가 이웃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용 소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드는, 상기 도전성 탄성부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상기 도전성 탄성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복수개의 도전부;와
    상기 도전부와 연결형성되며 상기 도전부를 상기 가이드부에 지지고정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용 소켓.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금속 또는 도전성 파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용 소켓.
KR1020150110117A 2015-08-04 2015-08-04 테스트용 소켓 KR101682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117A KR101682230B1 (ko) 2015-08-04 2015-08-04 테스트용 소켓
PCT/KR2016/008366 WO2017023037A1 (ko) 2015-08-04 2016-07-29 테스트용 소켓
TW105124403A TWI620935B (zh) 2015-08-04 2016-08-02 測試插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117A KR101682230B1 (ko) 2015-08-04 2015-08-04 테스트용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230B1 true KR101682230B1 (ko) 2016-12-02

Family

ID=5757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117A KR101682230B1 (ko) 2015-08-04 2015-08-04 테스트용 소켓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82230B1 (ko)
TW (1) TWI620935B (ko)
WO (1) WO2017023037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806B1 (ko) * 2017-12-07 2018-07-18 (주)티에스이 반도체 테스트 소켓의 이력관리 패드, 이의 제작 방법 및 이력관리 패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테스트 장치
KR20190080686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새한마이크로텍 이방 전도성 시트
KR102032652B1 (ko) * 2018-06-07 2019-10-15 주식회사 새한마이크로텍 스프링을 구비한 이방 전도성 시트
CN111149003A (zh) * 2017-09-29 2020-05-12 新韩精密电子有限公司 导电接触件以及具有其的各向异性导电片
KR102220168B1 (ko) * 2020-01-23 2021-02-25 (주)티에스이 신호 전송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WO2021040451A1 (ko) * 2019-08-29 2021-03-04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검사용 소켓
KR20210146661A (ko) * 2020-05-27 2021-12-06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접속용 커넥터
KR20220047015A (ko) * 2020-10-08 2022-04-15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 접속용 커넥터
KR20220057870A (ko) * 2020-10-30 2022-05-09 (주)티에스이 반도체 패키지의 테스트 장치
KR102525559B1 (ko) * 2023-01-02 2023-04-25 (주)새한마이크로텍 신호 손실 방지용 테스트 소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855B1 (ko) *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검사용 소켓
KR102088305B1 (ko) * 2018-11-22 2020-03-13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피검사 디바이스 검사용 테스트 소켓
CN110911436B (zh) * 2019-12-03 2022-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驱动背板、发光二极管的转移装置及转移方法
KR102179457B1 (ko) * 2020-03-25 2020-11-16 (주)티에스이 테스트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와,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5047A (ko) 2009-12-09 2011-06-15 이재학 테스트 소켓, 그 테스트 소켓의 제작방법 및 포고핀
KR20110085788A (ko) * 2010-01-21 2011-07-27 이재학 테스트 소켓 및 그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
KR101284212B1 (ko) * 2012-04-27 2013-07-09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위치정렬이 용이한 테스트용 소켓
KR101366171B1 (ko) * 2013-02-19 2014-02-24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고밀도 도전부를 가지는 테스트용 소켓
KR20140034430A (ko) * 2012-09-11 2014-03-20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핸들러용 인서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5623B2 (en) * 2001-05-31 2004-0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ed electrical/mechanical connection for electronic devices
JP2011204401A (ja) * 2010-03-24 2011-10-13 Oki Semiconductor Co Ltd 検査用ソケット及び半導体検査装置
KR101173118B1 (ko) * 2010-08-31 2012-08-14 리노공업주식회사 반도체 칩 검사용 소켓
JP2016505155A (ja) * 2013-02-19 2016-02-18 株式会社アイエスシーIsc Co., Ltd. 高密度導電部を有するテスト用ソケット
KR101471116B1 (ko) * 2014-02-13 2014-12-12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고밀도 도전부를 가지는 테스트용 소켓
KR101532393B1 (ko) * 2014-06-26 2015-07-01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적 검사소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5047A (ko) 2009-12-09 2011-06-15 이재학 테스트 소켓, 그 테스트 소켓의 제작방법 및 포고핀
KR20110085788A (ko) * 2010-01-21 2011-07-27 이재학 테스트 소켓 및 그 테스트 소켓의 제조방법
KR101284212B1 (ko) * 2012-04-27 2013-07-09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위치정렬이 용이한 테스트용 소켓
KR20140034430A (ko) * 2012-09-11 2014-03-20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핸들러용 인서트
KR101366171B1 (ko) * 2013-02-19 2014-02-24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고밀도 도전부를 가지는 테스트용 소켓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9003B (zh) * 2017-09-29 2022-06-03 新韩精密电子有限公司 导电接触件以及具有其的各向异性导电片
CN111149003A (zh) * 2017-09-29 2020-05-12 新韩精密电子有限公司 导电接触件以及具有其的各向异性导电片
WO2019112134A1 (ko) * 2017-12-07 2019-06-13 (주)티에스이 반도체 테스트 소켓의 이력관리 패드, 이의 제작 방법 및 이력관리 패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테스트 장치
KR101879806B1 (ko) * 2017-12-07 2018-07-18 (주)티에스이 반도체 테스트 소켓의 이력관리 패드, 이의 제작 방법 및 이력관리 패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테스트 장치
CN110799848A (zh) * 2017-12-07 2020-02-14 株式会社Tse 半导体测试插座的历史管理垫、其制造方法及包括历史管理垫的半导体测试装置
US10718809B1 (en) 2017-12-07 2020-07-21 Tse Co., Ltd History management pad of semiconductor test socke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emiconductor test device including history management pad
CN110799848B (zh) * 2017-12-07 2020-09-01 株式会社Tse 半导体测试插座的历史管理垫、其制造方法及包括历史管理垫的半导体测试装置
KR20190080686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새한마이크로텍 이방 전도성 시트
KR102004501B1 (ko) 2017-12-28 2019-07-26 (주)새한마이크로텍 이방 전도성 시트
KR102032652B1 (ko) * 2018-06-07 2019-10-15 주식회사 새한마이크로텍 스프링을 구비한 이방 전도성 시트
WO2021040451A1 (ko) * 2019-08-29 2021-03-04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검사용 소켓
KR102220168B1 (ko) * 2020-01-23 2021-02-25 (주)티에스이 신호 전송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46661A (ko) * 2020-05-27 2021-12-06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접속용 커넥터
KR102427089B1 (ko) * 2020-05-27 2022-07-29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접속용 커넥터
KR20220047015A (ko) * 2020-10-08 2022-04-15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 접속용 커넥터
KR102420784B1 (ko) 2020-10-08 2022-07-15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 접속용 커넥터
KR20220057870A (ko) * 2020-10-30 2022-05-09 (주)티에스이 반도체 패키지의 테스트 장치
KR102496532B1 (ko) * 2020-10-30 2023-02-06 (주)티에스이 반도체 패키지의 테스트 장치
KR102525559B1 (ko) * 2023-01-02 2023-04-25 (주)새한마이크로텍 신호 손실 방지용 테스트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20935B (zh) 2018-04-11
WO2017023037A1 (ko) 2017-02-09
TW201706608A (zh)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230B1 (ko) 테스트용 소켓
KR101439343B1 (ko) 포고핀용 탐침부재
KR101930866B1 (ko)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콘택트 및 소켓장치
KR101439342B1 (ko) 포고핀용 탐침부재
KR101482245B1 (ko) 전기적 검사소켓
US20210148950A1 (en) Contact and test socket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KR101366171B1 (ko) 고밀도 도전부를 가지는 테스트용 소켓
KR101471116B1 (ko) 고밀도 도전부를 가지는 테스트용 소켓
KR101532393B1 (ko) 전기적 검사소켓
JP2016505155A (ja) 高密度導電部を有するテスト用ソケット
KR20100037431A (ko) 고주파수용 반도체 테스트 소켓
JP6084592B2 (ja) ポゴピン用プローブ部材
KR101490498B1 (ko) 검사용 인서트
KR101606866B1 (ko) 검사용 커넥터
TWI565167B (zh) 測試插座及插座構件
CN110133328A (zh) 探测器
KR101779172B1 (ko) 미세 피치용 테스트 소켓
KR101483757B1 (ko) 전기접속용 커넥터
KR101173191B1 (ko) 테스트 소켓
KR101775978B1 (ko) 슬라이딩 유동이 가능한 전기적 특성 검사핀 및 이를 갖는 검사 유니트
KR101827860B1 (ko) 핀 블록 어셈블리
KR101920855B1 (ko) 검사용 소켓
KR101375093B1 (ko) 소켓, 소켓보드, 전자부품 시험장치
KR102346779B1 (ko) 전기접속용 커넥터
KR101707853B1 (ko) 반도체 디바이스 검사용 마이크로 컨택 어레이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