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634B1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634B1
KR101681634B1 KR1020150099864A KR20150099864A KR101681634B1 KR 101681634 B1 KR101681634 B1 KR 101681634B1 KR 1020150099864 A KR1020150099864 A KR 1020150099864A KR 20150099864 A KR20150099864 A KR 20150099864A KR 101681634 B1 KR101681634 B1 KR 101681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information
terminal
job seeker
see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민호
Original Assignee
기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민호 filed Critical 기민호
Priority to KR1020150099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H04W4/003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하나 이상의 구인자단말기, 구직자단말기, 소개소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으로 그 각각에 구인 및 구직에 관한 중개를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 및 고유의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및 실행을 통해 구인자에게서 입력받은 구인정보, 구직자 및 소개소 선택 신호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구인정보와 매칭되는 구직자 및 소개소의 구직정보를 수신하는 구인자단말기와,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및 실행을 통해 구직자에게서 입력받은 구직정보 및 근로계약 체결 수락 신호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구직정보와 매칭되는 구인자 및 소개소의 구인정보를 수신하는 구직자단말기와,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및 실행을 통해 중개인에게서 입력받은 구인정보, 구직정보, 구직자 선택 신호, 근로계약 체결 수락 신호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구인 및 구직정보와 매칭되는 구인자의 구인정보 및 구직자의 구직정보를 수신하는 소개소단말기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SYSTEM FOR MEDIATING SERVICE US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용 노무자를 구하는 구인자 및 직업소개소와 일일 단위 일자리를 구하는 구직자 및 직업소개소가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상호 간의 고용조건과 피고용조건(근로조건)에 부합하면서 쌍방의 위치와 목적지를 중심으로 거리요건 또는 도착요건을 충족하는 최적의 매칭 대상을 선별함으로써 노동인력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 및 고용의 편의를 얻을 수 있는 일용직 또는 임시직 근로자용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오프라인 영역에서 일용직 또는 임시직 근로자의 일자리 알선은 대개 직업소개소를 통해 이루어지거나 새벽 인력시장 등에서 직접 채용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테면, 건설직 일용 노무자의 경우 직업소개소 또는 인력시장에 일찍 나간 순서대로 일자리를 배당받아 근로장소로 이동하거나 또는 구인자(사용자)에게 직접 뽑혀서 근로장소로 이동하고 있다.
이렇듯 일용 노무자는 일자리를 얻기 위해 이른 새벽부터 직업소개소 또는 인력시장에 나가 자신이 원하는 근로장소, 근로내용, 근로시간, 노임 등을 만족하는 일자리를 배정받을 때까지 시간을 허비하면서 마냥 기다려야 하고, 일을 시작할 시간이 지나면 일자리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여 상당히 비생산적이고 비효율적이며, 시간적, 공간적, 경제적으로 많은 제한이 따를 수밖에 없다.
또한, 구인자나 직업소개소의 입장에서는 노무자의 진술에 의존하여 직접 고용하거나 알선하는 특성상 노무자가 경력을 허위로 부풀리거나 업무능력, 보유기술, 자격정보 등을 속일 경우 자칫 부실공사를 초래하거나 경제적인 손실로 이어지는 등 고용의 신뢰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방대한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만을 개시하는 기능 및 역할만 하므로 구인자와 구직자가 서로 원하는 기본조건의 구직정보 또는 구인정보를 일일이 조회 및 검색하여 적합한 해당자가 있을 경우, 전자우편이나 음성통화 혹은 SMS 등을 이용하여 구직자와 구인자가 직접 연결 및 면접 등을 본 후 근로조건 등을 조율해야 하고, 이로 인해 구인 또는 구직을 위한 최종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기까지 상당한 번거로움과 시간이 소요되는 데다 구인자와 구직자 등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없어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적기적시성이 떨어져 근로계약이 제한적으로 체결되는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다른 일례로, 구인자 및 구직자가 원하는 정보나 조건을 지정하여 두면, 서비스 제공자가 수집되는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에서 상호 조건에 맞는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를 검색한 후, 전자우편이나 음성통화 혹은 SMS 등을 이용하여 해당 구인자 및 구직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는 대부분이 일정한 기준이나 자격 조건을 요구하는 정규직을 대상으로 운용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기간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하고자 하는 구인자 및 구직자에게만 적합할 뿐이지, 식당 또는 공사장에서 일하는 노무자 또는 파출부 등과 같이 일일 단위 또는 시간 단위로 고용이 이루어지는 단순 일용직이나 시간제 아르바이트 등의 구인 및 구직에는 적합하지 않아 활용 범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특히 건설 현장에서는 여러 명의 노무자가 한팀을 이루어 정해진 공정에 따라 각자 자신의 경력 및 기술별로 맡은 임무 및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작업 특성상 필요한 인력이 부족하면 다음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공사기간이 지연됨은 물론 그에 따른 비용이 많이 들어가 손실도 클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구인자가 원하는 고용조건과 구직자(일용 노무자)가 원하는 근로조건을 부합하면서 쌍방의 위치를 중심으로 구인자가 요구하는 거리요건 또는 도착요건을 충족하며, 아울러 신뢰성을 확보하는 여러 명의 구직자를 일시에 고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1020120118578 A(2012.10.29) KR 100900571 B1(2009.05.26) KR 1020040073697 A(2006.03.20) KR 1020000086020 A(2002.07.10) KR 1020090070224 A(2009.07.01) KR 1020050073058 A(2005.07.13)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구인 및 구직 중개 방법이 갖는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일용 노무자를 구하는 구인자 및 직업소개소와, 일일 단위 일자리를 구하는 구직자 및 직업소개소가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를 등록 및 검색하고 양방향 의사소통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상호 고용조건과 근로조건을 충족하는 최적의 매칭 대상을 선별하여 구인자가 요구하는 인원만큼 일시에 효과적으로 동원 및 채용할 수 있고, 아울러 일용직 일자리를 구하는 구직자의 근로능력 정보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구인자의 정보를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판별할 수 있는 새로운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 및 방법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구인자의 고용조건과 구직자의 피고용조건을 부합하면서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거리요건 및/또는 도착요건을 충족하는 최적의 매칭 대상을 선별하여 효율적인 근로계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구인자가 필요로 하는 요건을 갖춘 여러 명의 구직자를 한꺼번에 동원 및 채용할 수 있고, 아울러 구직자 및 구인자의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하나 이상의 구인자단말기, 구직자단말기, 소개소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으로 그 각각에 구인 및 구직에 관한 중개를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 및 고유의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및 실행을 통해 구인자에게서 입력받은 구인정보, 구직자 및 소개소 선택 신호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구인정보와 매칭되는 구직자 및 소개소의 구직정보를 수신하는 구인자단말기와,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및 실행을 통해 구직자에게서 입력받은 구직정보 및 근로계약 체결 수락 신호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구직정보와 매칭되는 구인자 및 소개소의 구인정보를 수신하는 구직자단말기와,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및 실행을 통해 중개인에게서 입력받은 구인정보, 구직정보, 구직자 선택 신호, 근로계약 체결 수락 신호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구인 및 구직정보와 매칭되는 구인자의 구인정보 및 구직자의 구직정보를 수신하는 소개소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구인자단말기, 구직자단말기 및 소개소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구인자, 구직자 및 소개소에 대한 구인정보, 구직정보, 등급정보와 그 단말기 각각에 부여된 식별코드 및 단말기 각각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구인정보, 구직정보, 위치정보, 식별코드, 등급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요건에 부합하는 구인자, 구직자 및 소개소를 필터링하여 실시간으로 매칭 대상을 선별하는 매칭처리부와, 상기 매칭처리부에서 선별한 해당 대상 단말기에 구인자 또는 구직자 선택 여부 및 근로계약 체결 수락 여부를 요청하고, 해당 대상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선택 및 수락 신호에 의거하여 근로계약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해당 대상 단말기에 근로계약정보를 송신하는 계약처리부와, 구인자 및 구직자와 구인자 및 소개소, 구직자 및 소개소가 근로계약의 종료 후 입력하는 상호 간의 신뢰도 평가정보를 해당 구인자, 구직자, 소개소의 등급정보로 등록하는 평가등급처리부 및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맵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구인자와 구직자 간의 고용조건과 피고용조건을 부합하면서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거리요건 및/또는 도착요건을 충족하는 최적의 매칭 대상을 선별할 수 있어 상호 간에 효율적인 근로계약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매칭처리부는 상기 구인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구인정보에 포함된 채용조건 및 구인인원과 상기 구직자 및 소개소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구직정보에 포함된 근로조건 및 구직대기인원이 상호 요건에 부합하면서 상기 구직자단말기 및 소개소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구직자의 현위치 및 구인자가 지정한 구인정보 상의 목적지를 상기 맵저장부의 지도 데이터 상에 맵 매칭시켜 현위치에서 구인자가 지정한 구인정보상의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추출하여 그 거릿값이 기준 영역 이내인 거리요건 또는 구인자가 지정한 구인정보 상의 목적지까지 구직자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예측 시간을 현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거리로부터 산출하여 그 시간값이 기준 범위 이내인 도착요건을 충족하면 해당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매칭 대상으로 선별하고, 상기 계약처리부는 매칭 대상 구인자단말기에 구직자 및 소개소 정보와 선택 여부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선택을 받은 해당 구직자단말기 및 소개소단말기에 근로계약 체결 수락 여부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응답 신호가 있을 때 근로계약 체결 대상 단말기에 근로계약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구인자가 필요로 하는 여러 명의 노무자(구직자)를 현장으로 일시에 동원 및 고용할 수 있어 노무자의 이동 및 대기에 따른 시간을 줄여 노동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는, 하나 이상의 구인자단말기, 구직자단말기, 소개소단말기가 구인 및 구직에 관한 중개를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와 데이터 통신으로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의 중개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실행으로 구인자단말기로부터 구인정보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애플리케이션 실행으로 구직자단말기로부터 구직정보, 위치정보,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애플리케이션 실행으로 소개소단말기로부터 구인정보, 구직정보, 위치정보,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구인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구인정보에 포함된 채용조건 및 구인인원과 상기 구직자단말기 및 소개소단말기에서 수신한 구직정보에 포함된 근로조건 및 구직대기인원이 상호 요건에 부합하면서 상기 구직자단말기 및 소개소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구직자의 현위치 및 구인자가 지정한 구인정보 상의 목적지를 상기 맵저장부의 지도 데이터 상에 맵 매칭시켜 현위치에서 구인자가 지정한 구인정보 상의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추출하여 그 거릿값이 기준 영역 이내인 거리요건 또는 구인자가 지정한 구인정보 상의 목적지까지 구직자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예측 시간을 현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거리로부터 산출하여 그 시간값이 기준 범위 이내인 도착요건을 충족하면 해당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매칭 대상으로 선별하고, 상기 구인자단말기에 매칭 대상 구직자 및 소개소 정보를 전송하고 선택 여부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구인자단말기로부터 구직자 및 소개소 선택 신호를 수신한 후, 근로계약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구직자단말기 및 소개소단말기에 근로계약 체결 수락 여부를 요청하고, 응답 신호가 있을 때 근로계약 체결 대상 단말기에 근로계약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구인자 및 구직자, 구인자 및 소개소가 근로계약의 종료 후 상호 간의 신뢰도를 평가하도록 그 단말기 각각에 평가점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와, 구인자, 구직자, 소개소의 신뢰도 평가점수에 따라 해당 대상 등급정보에 신뢰도 평가정보를 반영하도록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방법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구인자가 필요로 하는 여러 명의 노무자(구직자)를 현장으로 일시에 동원 및 고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인자와 구직자 또는 구인자와 소개소 간 근로계약 체결에 대한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거리요건 및 도착요건을 충족하는 상기 구인자단말기의 구인정보와 상기 구직자단말기 및 상기 소개소단말기의 구직정보를 매칭 대상으로의 선별 우선순위는, 해당 현장정보의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면서 등급정보가 높은 상기 구직자단말기 및 상기 소개소단말기, 또는 해당 현장정보의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한 상기 구직자단말기 및 상기 소개소단말기 순서로 선별하고, 상기 구직자단말기 및 상기 소개소단말기에 근로계약 체결 수락 여부를 요청한 후, 기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나도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조건을 변경하여 그 다음으로 해당 구인정보 상의 목적지에서 근접하게 위치한 상기 구직자단말기 및 상기 소개소단말기, 또는 해당 기준 영역 내에서 가장 빨리 선택 신호를 전송한 상기 구직자단말기 및 상기 소개소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선별한 후, 근로계약 체결 수락 여부를 재요청함으로써 구인자와 구직자 간에 더욱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면서 신속한 의사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일용 노무자를 구하는 구인자 및 직업소개소와, 단기 일자리를 구하는 구직자 및 직업소개소가 원하는 고용조건과 피고용조건을 부합하면서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거리요건 및/또는 도착요건을 충족하는 최적의 매칭 대상을 실시간으로 선별하여 구인자, 구직자 및 소개소에 제공하고, 이를 통해 구인자와 구직자 간에 효율적인 의사 정합이 이루어져 구직자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면서 원하는 일용직 일자리를 쉽게 찾을 수 있고, 구인자는 인적, 물적 자원을 최대한 경감하면서 필요한 노무자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고용하여 적재적소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구인자가 필요로 하는 여러 명의 노무자(구직자)를 현장으로 일시에 동원 및 고용할 수 있어 노무자의 이동 및 대기에 따른 시간을 줄여 노동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직자의 근로능력과 구인자의 근로계약 준수에 관한 평가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검증함으로써 구인자와 구직자 또는 구인자와 소개소 간 근로계약 체결에 대한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 중 구인자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 중 구직자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 중 소개소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방법을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방법을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방법을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은 복수 개의 구인자단말기(20), 구직자단말기(30) 및 소개소단말기(40)가 무선통신망(이동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주파수 및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무선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을 통해 서버(10)와 실시간으로 접속되어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한다.
<서버>
서버(10)는 하나 이상의 구인자단말기(20), 구직자단말기(30) 및 소개소단말기(40)와 데이터 통신으로 그 각각에 구인 및 구직에 관한 중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을 제공 및 고유의 식별코드를 발급 및 부여한다.
즉, 서버(10)는 애플리케이션(및/또는 범용 웹 브라우저)을 통해 구인자단말기(20) 및 소개소단말기(40)와 접속하여 그 각각이 송신한 구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와 연동하여 등록 및 저장하고, 구인자단말기(20) 및 소개소단말기(40)로부터 요청받은 기능을 데이터베이스(11)와 연동하여 수행한 후, 그 결과를 해당 단말기에 전송한다.
아울러 구직자단말기(30) 및 소개소단말기(40)와 접속하여 그 각각이 송신한 구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와 연동하여 등록 및 저장하고, 구직자단말기(30) 및 소개소단말기(40)로부터 요청받은 기능을 데이터베이스(11)와 연동하여 수행한 후, 그 결과를 해당 단말기에 전송한다.
여기서, 구인정보 등록을 신청하는 구인자 및 소개소와 구직정보 등록을 신청하는 구직자 및 소개소는 각각 원격으로 ID 및 비밀번호를 부여받고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를 작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버(10)는 인터넷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웹사이트의 제공과 컴퓨터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소프트웨어나 처리용 프로그램 등과, 운용 및 다른 속성의 데이터 저장과 입출력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보안을 위해 구인자단말기(20), 구직자단말기(30) 및 소개소단말기(40)와 데이터 통신을 할 때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외부에서 무단으로 접근할 수 없도록 방화벽 기능이나 해킹차단 기능, 각종 바이러스 프로그램이나 유해 프로그램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구인자단말기(20)에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은 구인자 또는 업체명, 사업자등록증, 주소, 연락처 등의 구인관련 업체정보와, 직종(담당업무, 작업내용), 현장정보(목적지, 근로장소, 공사종류), 지원자격(기술분야, 취득자격, 경력, 연령, 성별, 외국어), 근무조건(근로시간, 임금, 임금지급방법) 등의 고용조건과, 구인인원 등의 구인의뢰를 위한 구인정보(구인사항)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구직자단말기(30)에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성명, 주민등록번호, 성별, 연령, 주소, 연락처, 사진 등의 구직관련 인적정보와, 희망직종, 자격증관련 사항, 경력, 근로시간, 임금 등의 피고용조건과, 구직대기인원 등의 구직의뢰를 위한 구직정보(구직사항)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소개소단말기(40)에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중개인 또는 업체명, 사업자등록증, 주소, 연락처 등의 구인관련 소개소정보와 구직대기자의 직종, 자격증관련 사항, 경력, 근로시간, 임금 등의 피고용조건과, 구직대기인원 등의 구직의뢰를 위한 구직정보(구직사항)를 입력할 수 있고, 아울러 구직자 모집을 위한 직종(담당업무, 업무내용), 지원자격(기술분야, 취득자격, 경력, 연령, 성별, 외국어), 근무조건(근무시간, 임금, 임금지급방법) 등의 고용조건과 구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구인자단말기(20)와 구직자단말기(30) 및 소개소단말기(40)에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은 각기 다른 기능 및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각기 다른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형태로 이루어져 구인자, 구직자, 중개인이 각자에 적합한 모드를 선택하여 설치 및 실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버(10)는 구인자단말기(20)와 구직자단말기(30) 및 소개소단말기(40)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구인자, 구직자 및 소개소에 대한 구인정보, 구직정보, 등급정보와 그 단말기 각각에 부여된 식별코드 및 그 단말기 각각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와, 이 데이터베이스(11)에서 구인정보, 구직정보, 위치정보, 식별코드, 등급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요건에 부합하는 구인자, 구직자 및 소개소를 필터링하여 실시간으로 매칭 대상을 선별하는 매칭처리부(12)와, 이 매칭처리부에서 선별한 해당 대상 단말기에 구인자 또는 구직자 선택 여부 및 근로계약 체결 수락 여부를 요청하고, 해당 대상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선택 및 수락 신호에 의거하여 근로계약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며, 해당 대상 단말기에 근로계약정보를 송신하는 계약처리부(13) 및 구인자 및 구직자와 구인자 및 소개소, 구직자 및 소개소가 근로계약의 종료 후 입력하는 상호 간의 신뢰도 평가정보를 해당 구인자, 구직자, 소개소의 등급정보로 등록하는 평가등급처리부(14) 및 도분초 단위로 위도 및 경도를 표시하는 지리 좌표(Geographic Coordinate 또는 경위도 좌표) 혹은 UTM(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좌표, UPS(Universal Polar System) 좌표, TM(Transverse Mercator) 좌표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맵저장부(15)를 포함한다.
특히 매칭처리부(12)는 구인자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구인정보에 포함된 채용조건 및 구인인원과 구직자 및 소개소단말기(30)(40)로부터 수신한 구직정보에 포함된 근로조건 및 구직대기인원이 상호 부합하면서 구직자단말기(30) 및 소개소단말기(4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구직자의 현위치 및 구인자가 지정한 구인정보 상의 목적지를 맵저장부(15)의 지도 데이터 상에 맵 매칭, 즉 구직자의 현재 위치와 맵저장부(15)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 내의 링크(지도 정합 링크 또는 지도 정합 도로)를 정합하고, 그 목적지와 맵저장부(15)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 내의 링크(지도 정합 링크 또는 지도 정합 도로)를 정합하여 그 현위치에서 목적지(현장 주소지)까지의 거리를 추출하고, 그 거릿값이 기준 영역 이내인 거리요건 또는 구인정보 상의 목적지(현장 주소지)까지 구직자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예측 시간을 현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거리로부터 평균적인 이동시간, 예를 들어 구직자의 이동 속도가 시속 30Km로 추정 산출하여 그 시간값이 기준 범위 이내인 도착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해당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매칭 대상으로 선별한다.
아울러 계약처리부(13)는 매칭된 구인자단말기(20)에 구직자 및 소개소 정보와 선택 여부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선택을 받은 해당 구직자단말기(30) 및 소개소단말기(40)에 근로계약 체결 수락 여부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응답 신호가 있을 때 근로계약 체결 대상 단말기에 근로계약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근로계약정보는 근로계약서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로계약기간, 근무장소, 업무의 내용, 근로시간, 임금, 임금지급방법 등 근로기준법에서 규정하는 사항을 기록하고, 이를 기준으로 구인자와 구직자, 구인자와 소개소, 소개소와 구직자 간에 선택 및 수락에 따라 근로계약을 체결한 '건설일용근로자 표준근로계약서'일 수 있다.
또한, 근로계약정보는 구인자와 구직자 및 소개소가 구인 및 구직정보를 등록할 때 해당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입력 및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에 접속하는 각각의 단말기마다 하나의 객체를 생성하여 관리한다. 즉, 하나의 단말기가 접속하면 하나의 객체가 생성되고, 이로 인해 다수의 단말기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버(10)에서는 단말기 각각을 다른 객체로 인식하여 독립적으로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구인자와 구직자 또는 소개소, 소개소와 구인자 또는 구직자 간의 실시간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다.
<구인자단말기>
구인자단말기(20)는 구인을 원하는 구인자, 즉 건설현장 소장, 구인업체 또는 구인 담당자 등이 사용하는 것으로, 무선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위치기반서비스가 가능하도록 GPS가 내장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이다. 구인자단말기(20)는 서버(10)로부터 구인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고, 이의 실행을 통해 서버(10)에 접속하여 구인정보를 입력 및 전송 등록하고, 해당 구인정보와 매칭되는 구직자 및 소개소의 구직정보를 수신하여 고용을 원할 경우 선택 및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구인자단말기(20)에는 서버(10)에서 발급 및 부여한 고유의 식별코드, 예를 들어 QR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서버(10)에 접속 시 해당 구인자단말기(20)의 식별코드를 통해 구인 및 근로계약 체결 시 등에 신원확인을 위한 구인자, 즉 구인업체 또는 구인 담당자의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구인자단말기(20)는 서버(10)를 통해 제공되는 구직정보를 열람하거나 구직자를 키워드 검색 방식으로 직접 검색하거나 카테고리 검색 방식으로 검색할 수도 있고, 해당 구인자는 사진, 고유번호, 식별코드 등이 기록된 별도의 회원증을 발급받아 소지할 수 있다.
또한, 구인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구인자단말기(20)에 의해 실행될 때 구인 및 근로계약 체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구인자가 원하는 조건의 구직자 또는 소개소 검색을 요청하면, 검색된 구직자 또는 소개소 구직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안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구인자단말기(20)는 입력부(21), 앱실행부(22), 저장부(23), 구인처리부(24) 및 통신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는 구인자에게서 구인에 필요한 각종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21)는 구직자 검색, 구인의뢰, 구인정보 입력, 구직자 또는 소개소 선택 등을 위한 선택키, 이동키, 문자키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구인정보는 구인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기설정된 테이블의 각 항목 중에서 분류 및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앱실행부(22)는 입력부(21)를 통해 일용직 또는 임시직 구인의뢰 및 고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거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조건이 충족되면 저장부(23)에 기저장된 데이터 및 실행 코드를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후부터는 구인처리부(24)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처리한다.
저장부(23)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기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23)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일 수 있다.
구인처리부(24)는 구인의뢰 및 고용을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구인처리부(24)는 구직자검색부(24a), 구직자선택부(24b), 구직자평가부(24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직자검색부(24a)는 입력부(21)를 통해 입력되는 조건에 따라 구직자 또는 소개소를 검색 요청하고, 검색된 구직자 또는 소개소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한다.
구직자선택부(24b)는 입력부(21)로부터 구직자 또는 소개소 선택 신호가 입력되거나 통신부(25)를 통해 서버(10)로부터 구직자 또는 소개소에 대한 정보 및 선택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구직자 또는 소개소에 대한 정보 및 선택 메시지를 출력하고, 구인자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서버(10)로 전송한다. 구직자선택부(24b)는 구직자 또는 소개소 선택에 대한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직자평가부(24c)는 구직자 또는 소개소에 대한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서버(10)로 전송한다. 구직자평가부(24c)는 구직자 또는 소개소에 대한 평가결과에 관한 메시지 등을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25)는 서버(10)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구인처리부(24)가 특정 데이터를 요청하면, 통신부(25)가 서버(10)에 그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 통신부(25)가 요청한 데이터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하면, 통신부(25)는 구인처리부(24)에 수신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구직자단말기>
구직자단말기(30)는 구직을 원하는 구직자, 즉 일용직 근로자 등이 사용하는 것으로, 무선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위치기반서비스가 가능하도록 GPS가 내장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이다. 구직자단말기(30)는 서버(10)로부터 구인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서버(10)에 접속하여 구직정보를 입력 및 전송 등록하고, 해당 구직정보와 매칭되는 구인자 및 소개소의 구인정보를 수신하여 피고용을 원할 경우 근로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구직자단말기(30)에는 서버(10)에서 발급 및 부여한 고유의 식별코드, 예를 들어 QR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서버(10)에 접속 시 해당 구직자단말기(30)의 식별코드를 통해 구직 및 근로계약 체결 시 등에 신원확인을 위한 구직자의 개인 신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구직자단말기(30)는 서버(10)를 통해 제공되는 구인정보를 열람하거나 구인자 및 소개소를 검색할 수도 있고, 해당 구직자는 사진, 고유번호, 식별코드 등이 기록된 별도의 회원증을 발급받아 소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구직자단말기(30)는 입력부(31), 앱실행부(32), 저장부(33), 구직처리부(34), 통신부(35) 및 위치정보모듈(3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1)는 구직자에게서 구직에 필요한 각종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31)는 구인자 검색, 구직의뢰, 구직정보 입력, 구직자 또는 소개소 선택 등을 위한 선택키, 이동키, 문자키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구직정보는 구직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기설정된 테이블의 각 항목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앱실행부(32)는 입력부(31)를 통해 일용직 또는 임시직 구직의뢰 및 피고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거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저장부(33)에 기저장된 데이터 및 실행 코드를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후부터는 구직처리부(34)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처리한다.
저장부(33)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기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33)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일 수 있다.
구직처리부(34)는 구인의뢰 및 고용을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구인처리부(34)는 구인자검색부(34a), 계약체결수락부(34b), 구인자평가부(34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인자검색부(34a)는 입력부(31)를 통해 입력되는 조건에 따라 구인자 또는 소개소를 검색 요청하고, 검색된 구인자 또는 소개소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한다.
계약체결수락부(34b)는 입력부(31)로부터 구인자 또는 소개소와 근로계약 체결 수락 신호가 입력되거나 통신부(35)를 통해 서버(10)로부터 구인자 또는 소개소에 대한 정보 및 근로계약 체결 수락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구인자 또는 소개소에 대한 정보 및 선택 메시지를 출력하고, 구직자의 근로계약 체결 수락 신호가 입력되면 서버(10)로 전송한다. 계약체결수락부(34b)는 구인자 또는 소개소와 근로계약 체결에 대한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인자평가부(34c)는 구인자 또는 소개소에 대한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서버(10)로 전송한다. 구인자평가부(34c)는 구인자 또는 소개소에 대한 평가결과에 관한 메시지 등을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35)는 서버(10)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구직처리부(34)가 특정 데이터를 요청하면, 통신부(35)가 서버(10)에 그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 통신부(35)가 요청한 데이터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하면, 통신부(35)는 구직처리부(34)에 수신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36)은 구직자단말기(3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일 수 있다.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GPS 모듈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36)로는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i-Fi Positioning System) 및/또는 하이브리드 위치추적 시스템(Hybrid Positioning System)이 적용될 수도 있다.
<소개소단말기>
소개소단말기(40)는 구인자와 구직자 사이의 중개 역할을 담당하는 중개인이 사용하는 것으로, 무선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위치기반서비스가 가능하도록 GPS가 내장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이다. 소개소단말기(40)는 서버(10)로부터 구인 및 구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서버(10)에 접속하여 구인정보를 입력 및 전송 등록하고, 해당 구인정보와 매칭되는 구직자의 구직정보를 수신하여 고용 대기자로 원할 경우 선택 및 명단에 등록할 수 있으며, 아울러 구직정보를 등록 및 해당 구직정보와 매칭되는 구인자의 구인정보를 수신하여 피고용을 원할 경우 근로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소개소단말기(40)에는 서버(10)에서 발급 및 부여한 고유의 식별코드, 예를 들어 QR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서버(10)에 접속 시 해당 소개소단말기(40)의 식별코드를 통해 구인, 구직 및 근로계약 체결 시 등에 신원확인을 위한 소개소 또는 중개인의 각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소개소단말기(40)는 서버(10)를 통해 제공되는 구인정보나 구직정보를 열람하거나 구인자 및 구직자를 검색할 수도 있고, 해당 소개소는 중개인 사진, 고유번호, 식별코드 등이 기록된 별도의 회원증을 발급받아 소지할 수 있다.
또한, 소개소단말기(40)는 구직자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근태를 관리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소개소단말기(40)에는 구직자의 식별코드, 예를 들어 QR코드를 인식하는 리드나 스캐너 등의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됨으로써 해당 QR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읽은 뒤, QR코드에 포함된 각종 텍스트를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보여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소개소단말기(40)는 입력부(41), 앱실행부(42), 저장부(43), 구인구직처리부(44), 통신부(45) 및 위치정보모듈(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1)는 중개인에게서 구인 및 구직에 필요한 각종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41)는 구인자/구직자 검색, 구인/구직의뢰, 구인/구직정보 입력, 구인자 또는 구직자 선택 등을 위한 선택키, 이동키, 문자키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구인/구직정보는 중개인이 직접 입력하거나 기설정된 테이블의 각 항목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앱실행부(42)는 입력부(41)를 통해 일용직 또는 임시직 구인/구직의뢰 및 고용/피고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거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저장부(43)에 기저장된 데이터 및 실행 코드를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후부터는 구인구직처리부(44)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처리한다.
저장부(43)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기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43)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일 수 있다.
구인구직처리부(44)는 구인/구직의뢰 및 고용/피고용을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구인처리부(44)는 구인구직자검색부(44a), 구직자선택 및 계약체결수락부(44b), 구인구직자평가부(44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인구직자검색부(44a)는 입력부(41)를 통해 입력되는 조건에 따라 구인자 또는 구직자를 검색 요청하고, 검색된 구인자 또는 구직자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한다.
구직자선택 및 계약체결수락부(44b)는 입력부(31)로부터 구직자 선택 신호가 입력되거나 통신부(45)를 통해 서버(10)로부터 구직자에 대한 정보 및 선택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구직자에 대한 정보 및 선택 메시지를 출력하고, 중개인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서버(10)로 전송한다.
또한, 구직자선택 및 계약체결수락부(44b)는 구인자 또는 구직자와 근로계약 체결 수락 신호가 입력되거나 통신부(45)를 통해 서버(10)로부터 구인자 또는 구직자에 대한 정보 및 근로계약 체결 수락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구인자 또는 구직자에 대한 정보 및 선택 메시지를 출력하고, 중개인의 근로계약 체결 수락 신호가 입력되면 서버(10)로 전송한다. 계약체결수락부(34b)는 구인자 또는 구직자 선택에 대한 입력 및 구인자 또는 구직자와 근로계약 체결 수락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인구직자평가부(44c)는 구인자 또는 구직자에 대한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서버(10)로 전송한다. 구인구직자평가부(44c)는 구인자 또는 구직자에 대한 평가결과에 관한 메시지 등을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45)는 서버(10)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구인구직처리부(44)가 특정 데이터를 요청하면, 통신부(45)가 서버(10)에 그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45)가 요청한 데이터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하면, 통신부(45)는 구인구직처리부(44)에 수신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46)은 소개소단말기(4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일 수 있다.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GPS 모듈은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46)로는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i-Fi Positioning System) 및/또는 하이브리드 위치추적 시스템(Hybrid Positioning System)이 적용될 수도 있다.
<중개 방법>
이와 같이 구성된 중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구인자단말기(20), 구직자단말기(30), 소개소단말기(40) 각각은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서버(10)에 접속하여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를 입력 및 전송 등록한다(S101)(S103)(S105). 이때, 원활한 중개 서비스 이용을 위해 서버(10)가 각각의 단말기에 대한 인증 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이후, 서버(10)는 수신한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한다(S107). 이때, 구직자단말기(30), 소개소단말기(40)는 위치기반서비스(LBS)로 각각의 위치정보를 동시에 서버(1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아울러 서버(10)는 구인자단말기(20), 구직자단말기(30), 소개소단말기(40) 각각에 대하여 고유의 식별코드를 발급 및 부여한다.
이후,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인정보(고용조건과 구인인원 포함)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직정보(피고용조건과 구직대기인원 포함)로부터 상호 요건에 부합하는 매칭 대상을 필터링하고, 이와 더불어 매칭 대상 구직자단말기(30) 및 소개소단말기(40)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구직자의 현위치 및 구인정보 상의 구인자가 지정한 목적지(현장 주소지)를 맵저장부(15)의 지도 데이터 상에 맵 매칭시켜 현위치에서 목적지(현장 주소지)까지의 거리를 추출하여 그 거릿값이 기준 영역(예를 들어, 반경 10km) 이내인 거리요건 또는 구인정보 상의 구인자가 지정한 목적지(현장 주소지)까지 구직자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예측 시간을 현위치에서 목적지(현장 주소지)까지의 거리로부터 평균적인 이동시간을 산출하여 그 시간값이 기준 범위(예를 들어, 30분) 이내인 도착요건을 충족하면 해당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매칭 대상으로 선별한다(S107).
예를 들어, 구인정보가 10시간 근로 기준으로 임금 15만원에 0000년 00월 00일, 00시 00구 00동 000번지 소재 아파트건설현장의 전용면적 85㎡ 5가구에 대한 도배공사가 가능한 도배기능공을 모집하면서 목적지(현장 주소지)에 오전 07:00까지 도착하는 긴급한 요건의 구인의뢰정보일 경우, 서버(10)는 구직정보 중 해당 구인정보의 고용조건과 피고용조건(근로조건)이 부합하고, 이와 더불어 단말기 각각의 GPS를 통해 확인되는 구직자의 현재 위치와 구인정보 상의 구인자가 지정한 목적지(현장 주소지)를 맵저장부(15)의 지도 데이터 상에 맵 매칭시켜 구직자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현장 주소지)까지의 거리가 반경 10km) 이내일 경우 해당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즉 구인자단말기(10)와 구직자단말기(30)를 매칭 대상으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구직자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현장 주소지)까지의 거리로부터 평균적인 이동 시간(시속 30km) 혹은 최적 경로(최단거리, 최단시간)를 계산하여 구직자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예측 시간이 30분 이내일 경우 해당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매칭 대상으로 선별할 수 있다.
계속해서, 구인자단말기(10)와 구직자단말기(30)를 매칭 대상으로 선별한 경우, 해당 매칭 대상 구인자단말기(20)에 구직자 정보와 선택 여부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109), 구인자로부터 선택 신호를 기다린다. 이때, 매칭 대상 구직자단말기(30)에 대한 기등록된 등급정보가 있을 경우, 구인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께 전송한다. 만일, 구인자단말기(20)에 구직자 선택 여부 요청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아무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서버(10)는 매칭 대상 선별 단계(S107)를 다시 수행하여 구인자단말기(20)에 차순위의 구직자 정보와 선택 여부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구인자단말기(20)는 일정 시간 내에 구인자로부터 구직자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가 있으면(S111) 서버(10)에 구직자 선택 신호를 전송하고, 이렇게 되면 서버(10)는 근로계약정보를 생성하여(S113) 선택을 받은 해당 구직자단말기(30)에 근로계약 체결 수락 여부 요청 신호와 함께 전송한 후(S115), 소정 시간 내에 구직자단말기(30)로부터 근로계약 체결 수락을 위한 응답 신호가 있으면(S117) 데이터베이스(11)에 근로계약정보를 저장하고(S119), 아울러 근로계약 체결 대상 단말기, 즉 구인이 확정된 구인자단말기(20)에 근로계약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소정 시간 내에 구직자단말기(30)로부터 근로계약 체결 수락을 위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서버(10)는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종료하고, 매칭 대상 선별 단계(S107)를 다시 수행하여 매칭 대상 구인자단말기(20)에 구직자 정보와 선택 여부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서버(10)는 근로계약이 종료되는 시간까지, 예를 들어 10시간 동안 대기상태로 있다가 근로계약 체결 대상 단말기, 그러니까 구인자단말기(20)와 구직자단말기(30)에 상호 간의 신뢰도에 관한 평가점수를 요청하고(S123), 구인자단말기(20)와 구직자단말기(30)로부터 구직자에 대한 평가점수 및 구인자에 대한 평가점수가 입력되면(S125)(S126) 해당 평가점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1)에 등급정보를 저장하거나 해당 대상 등급정보를 갱신한다(S127).
이처럼 구인자와 구직자 상호 간에 원하는 요건을 충족하는 최적의 매칭 대상을 선별하여 중개 및 연결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구인자 또는 구직자가 일일이 필요한 인력이나 일자리를 찾을 필요가 없어 그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구인자단말기(20), 구직자단말기(30), 소개소단말기(40) 각각은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서버(10)에 접속하여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를 입력 및 전송 등록한다(S201)(S203)(S205). 이때, 원활한 중개 서비스 이용을 위해 서버(10)가 각각의 단말기에 대한 인증 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이후, 서버(10)는 수신한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한다(S207). 이때, 구직자단말기(30), 소개소단말기(40)는 위치기반서비스(LBS)로 각각의 위치정보를 동시에 서버(1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아울러 서버(10)는 구인자단말기(20), 구직자단말기(30), 소개소단말기(40) 각각에 대하여 고유의 식별코드를 발급 및 부여한다.
이후,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인정보(고용조건과 구인인원 포함)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직정보(피고용조건과 구직대기인원 포함)로부터 상호 요건에 부합하는 매칭 대상을 필터링하고, 이와 더불어 매칭 대상 구직자단말기(30) 및 소개소단말기(40)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구직자의 현위치 및 구인정보 상의 구인자가 지정한 목적지(현장 주소지)를 맵저장부(15)의 지도 데이터 상에 맵 매칭시켜 현위치에서 목적지(현장 주소지)까지의 거리를 추출하여 그 거릿값이 기준 영역(예를 들어, 반경 10km) 이내인 거리요건 또는 구인정보 상의 구인자가 지정한 목적지(현장 주소지)까지 구직자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예측 시간을 현위치에서 목적지(현장 주소지)까지의 거리로부터 평균적인 이동시간을 산출하여 그 시간값이 기준 범위(예를 들어, 30분) 이내인 도착요건을 충족하면 해당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매칭 대상으로 선별한다(S207).
예를 들어, 구인정보가 10시간 근로 기준으로 임금 15만원에 0000년 00월 00일, 00시 00구 00동 000번지 소재 아파트건설현장의 전용면적 85㎡ 5가구에 대한 도배공사가 가능한 도배기능공 10명을 동시에 모집하면서 목적지(현장 주소지)에 오전 07:00까지 도착하는 긴급한 요건의 구인의뢰정보일 경우, 서버(10)는 구직정보 중 해당 구인정보의 고용조건, 구인인원과 피고용조건(근로조건), 구직대기인원이 부합하고, 이와 더불어 단말기 각각의 GPS를 통해 확인되는 구직자의 현재 위치와 구인정보 상의 구인자가 지정한 목적지(현장 주소지)를 맵저장부(15)의 지도 데이터 상에 맵 매칭시켜 구직자(소개소)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현장 주소지)까지의 거리가 반경 10km) 이내일 경우 해당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즉 구인자단말기(20)와 소개소단말기(40)를 매칭 대상으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구직자(소개소)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현장 주소지)까지의 거리로부터 평균적인 이동 시간 혹은 최적 경로(최단거리, 최단시간)를 계산하여 구직자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예측 시간이, 가령 구직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30분 이내일 경우 해당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매칭 대상으로 선별할 수 있다.
계속해서, 구인자단말기(20)와 소개소단말기(40)를 매칭 대상으로 선별한 경우, 해당 매칭 대상 구인자단말기(20)에 소개소 정보와 선택 여부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209), 구인자로부터 선택 신호를 기다린다. 이때, 매칭 대상 소개소단말기(40)에 대한 기등록된 등급정보가 있을 경우, 구인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께 전송한다. 만일, 구인자단말기(20)에 소개소 선택 여부 요청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아무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서버(10)는 매칭 대상 선별 단계(S207)를 다시 수행하여 구인자단말기(20)에 차순위의 구직자 또는 소개소 정보와 선택 여부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구인자단말기(20)는 일정 시간 내에 구인자로부터 소개소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가 있으면(S211) 서버(10)에 소개소 선택 신호를 전송하고, 이렇게 되면 서버(10)는 근로계약정보를 생성하여(S113) 선택을 받은 해당 구직자단말기(30)에 근로계약 체결 수락 여부 요청 신호와 함께 전송한 후(S115), 일정 시간 내에 소개소단말기(40)로부터 근로계약 체결 수락을 위한 응답 신호가 있으면(S217) 데이터베이스(11)에 근로계약정보를 저장하고(S219), 아울러 근로계약 체결 대상 단말기, 즉 구인이 확정된 구인자단말기(20)에 근로계약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소정 시간 내에 소개소단말기(40)로부터 근로계약 체결 수락을 위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서버(10)는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종료하고, 매칭 대상 선별 단계(S307)를 다시 수행하여 매칭 대상 구인자단말기(20)에 구직자 정보와 선택 여부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서버(10)는 근로계약이 종료되는 시간까지, 예를 들어 10시간 동안 대기상태로 있다가 근로계약 체결 대상 단말기, 그러니까 구인자단말기(20)와 소개소단말기(40)에 상호 간의 신뢰도에 관한 평가점수를 요청하고(S223), 구인자단말기(20)와 소개소단말기(40)로부터 구직자에 대한 평가점수 및 구인자에 대한 평가점수가 입력되면(S225)(S226) 해당 평가점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1)에 등급정보를 저장하거나 해당 대상 등급정보를 갱신한다(S227).
이처럼 구인자 및 직업소개소(중개인) 상호 간에 원하는 요건을 충족하는 최적의 매칭 대상을 선별하여 중개 및 연결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구인자가 필요한 인력을 채울 때까지 구직자를 한 명씩 찾거나 기다릴 필요가 없어 그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명의 구직자를 현장으로 일시에 동원하여 투입할 수 있어 노동효율의 향상은 물론 공사현장의 장비와 자재의 장기 사용 및 재고에 따른 부담을 경감하고 공사시간 단축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구인자단말기(20), 구직자단말기(30), 소개소단말기(40) 각각은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서버(10)에 접속하여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를 입력 및 전송 등록한다(S301)(S303)(S305). 이때, 원활한 중개 서비스 이용을 위해 서버(10)가 각각의 단말기에 대한 인증 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이후, 서버(10)는 수신한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한다(S307). 이때, 구직자단말기(30), 소개소단말기(40)는 위치기반서비스(LBS)로 각각의 위치정보를 동시에 서버(1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아울러 서버(10)는 구인자단말기(20), 구직자단말기(30), 소개소단말기(40) 각각에 대하여 고유의 식별코드를 발급 및 부여한다.
이후,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인정보(고용조건과 구인인원 포함)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직정보(피고용조건과 구직대기인원 포함)로부터 상호 요건에 부합하는 매칭 대상을 필터링하고, 이와 더불어 매칭 대상 구직자단말기(30) 또는 소개소단말기(40)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구직자 또는 소개소의 현위치 및 구인정보 상의 구인자가 지정한 목적지(현장 주소지)를 맵저장부(15)의 지도 데이터 상에 맵 매칭시켜 현위치에서 목적지(현장 주소지)까지의 거리를 추출하여 그 거릿값이 기준 영역(예를 들어, 반경 10km) 이내인 거리요건 또는 구인정보 상의 구인자가 지정한 목적지(현장 주소지)까지 구직자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예측 시간을 현위치에서 목적지(현장 주소지)까지의 거리로부터 평균적인 이동시간을 산출하여 그 시간값이 기준 범위(예를 들어, 30분) 이내인 도착요건을 충족하면 해당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매칭 대상으로 선별한다(S307).
예를 들어, 소개소단말기(40)를 통한 구인정보가 10시간 근로 기준으로 임금 15만원에 0000년 00월 00일, 00시 00구 00동 000번지 소재 아파트건설현장의 전용면적 85㎡ 5가구에 대한 도배공사가 가능한 도배기능공을 모집하면서 목적지(현장 주소지)에 오전 07:00까지 도착을 요구하는 구인의뢰정보일 경우, 서버(10)는 구직정보 중 해당 구인정보의 고용조건과 피고용조건(근로조건)이 부합하고, 이와 더불어 단말기 각각의 GPS를 통해 확인되는 구직자의 현재 위치와 구인정보 상의 구인자가 지정한 목적지(현장 주소지)를 맵저장부(15)의 지도 데이터 상에 맵 매칭시켜 구직자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현장 주소지)까지의 거리가 반경 10km) 이내일 경우 해당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즉 구직자단말기(30)와 소개소단말기(40)를 매칭 대상으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구직자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현장 주소지)까지의 거리로부터 평균적인 이동 시간 혹은 최적 경로(최단거리, 최단시간)를 계산하여 구직자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예측 시간이 30분 이내일 경우 해당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매칭 대상으로 선별할 수 있다.
계속해서, 구직자단말기(30)와 소개소단말기(40)를 매칭 대상으로 선별한 경우, 해당 매칭 대상 구직자단말기(30)에 소개소 정보와 선택 여부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309), 구직자로부터 선택 신호를 기다린다. 이때, 매칭 대상 소개소단말기(40)에 대한 기등록된 등급정보가 있을 경우, 구직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께 전송한다. 만일, 구직자단말기(30)에 구직자 선택 여부 요청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아무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서버(10)는 매칭 대상 선별 단계(S307)를 다시 수행하여 구직자단말기(30)에 차순위의 구직자 정보와 선택 여부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구직자단말기(30)는 일정 시간 내에 구직자로부터 소개소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가 있으면(S311) 서버(10)에 소개소 선택 신호를 전송하고, 이렇게 되면 서버(10)는 근로계약정보를 생성하여(S313) 선택을 받은 해당 소개소단말기(40)에 근로계약 체결 수락 여부 요청 신호와 함께 전송한 후(S315), 일정 시간 내에 소개소단말기(40)로부터 근로계약 체결 수락을 위한 응답 신호가 있으면(S317) 데이터베이스(11)에 근로계약정보를 저장하고(S319), 아울러 근로계약 체결 대상 단말기, 즉 구직자단말기(30)에 근로계약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소정 시간 내에 소개소단말기(40)로부터 근로계약 체결 수락을 위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서버(10)는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종료하고, 매칭 대상 선별 단계(S307)를 다시 수행하여 매칭 대상 구직자단말기(30)에 소개소 정보와 선택 여부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서버(10)는 근로계약이 종료되는 시간까지, 예를 들어 10시간 동안 대기상태(S321)로 있다가 근로계약 체결 대상 단말기, 그러니까 구직자단말기(30)와 소개소단말기(40)에 상호 간의 신뢰도에 관한 평가점수를 요청하고(S323), 구직자단말기(30)와 소개소단말기(40)로부터 소개소에 대한 평가점수 및 구직자에 대한 평가점수가 입력되면(S325)(S326) 해당 평가점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1)에 등급정보를 저장하거나 해당 대상 등급정보를 갱신한다(S327).
이처럼 구직자 및 직업소개소(중개인) 상호 간에 원하는 요건을 충족하는 최적의 매칭 대상을 선별하여 중개 및 연결하고, 이렇게 되면 직업소개소(중개인)는 구인자가 요구하는 고용조건 및 구인인원을 사전 검색을 통해 확인한 후, 그 요건에 맞춰 구직자를 충원 및 확보한 후, 구인자와 구직자와 별개로 근로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여러 명의 구직자가 소개소와 근로계약을 체결한 상태로 직업소개소(중개인)를 통해 현장에 투입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구직자(일용직 근로자) 개인과 근로계약 체결에 따른 막연한 불안감 및 불신감으로 고용을 꺼리는 구인자는 구인에 따른 투명성과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서버 11: 데이터베이스
12: 매칭처리부 13: 계약처리부
14: 평가등급처리부 15: 맵저장부
20: 구인자단말기 21: 입력부
22: 앱실행부 23: 저장부
24: 구인처리부 25: 통신부
30: 구직자단말기 40: 소개소단말기

Claims (4)

  1. 하나 이상의 구인자단말기, 구직자단말기, 소개소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으로 그 각각에 구인 및 구직에 관한 중개를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 및 고유의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및 실행을 통해 구인자에게서 입력받은 구인정보, 구직자 및 소개소 선택 신호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구인정보와 매칭되는 구직자 및 소개소의 구직정보를 수신하는 구인자단말기와;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및 실행을 통해 구직자에게서 입력받은 구직정보 및 근로계약 체결 수락 신호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구직정보와 매칭되는 구인자 및 소개소의 구인정보를 수신하는 구직자단말기; 및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및 실행을 통해 중개인에게서 입력받은 구인정보, 구직정보, 구직자 선택 신호, 근로계약 체결 수락 신호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구인 및 구직정보와 매칭되는 구인자의 구인정보 및 구직자의 구직정보를 수신하는 소개소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구인자단말기, 구직자단말기 및 소개소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구인자, 구직자 및 소개소에 대한 구인정보, 구직정보, 등급정보와 그 단말기 각각에 부여된 식별코드 및 단말기 각각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구인정보, 구직정보, 위치정보, 식별코드, 등급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요건에 부합하는 구인자, 구직자 및 소개소를 필터링하여 실시간으로 매칭 대상을 선별하는 매칭처리부;
    상기 매칭처리부에서 선별한 해당 대상 단말기에 구인자 또는 구직자 선택 여부 및 근로계약 체결 수락 여부를 요청하고, 해당 대상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선택 및 수락 신호에 의거하여 근로계약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해당 대상 단말기에 근로계약정보를 송신하는 계약처리부;
    구인자 및 구직자와 구인자 및 소개소, 구직자 및 소개소가 근로계약의 종료 후 입력하는 상호 간의 신뢰도 평가정보를 해당 구인자, 구직자, 소개소의 등급정보로 등록하는 평가등급처리부; 및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맵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매칭처리부는, 상기 구인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구인정보에 포함된 채용조건 및 구인인원과, 상기 구직자 및 소개소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구직정보에 포함된 근로조건 및 구직대기인원이 대응되면서, 상기 구직자단말기 및 소개소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한 구직자의 현위치 및 구인자가 지정한 구인정보 상의 목적지를 상기 맵저장부의 지도 데이터 상에 맵 매칭시켜 그 현위치에서 구인자가 지정한 구인정보상의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추출하여 그 거릿값이 기준 영역 이내인 거리요건 또는 구인자가 지정한 구인정보 상의 목적지까지 구직자가 도착하는데 소요되는 예측 시간을 현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거리로부터 산출하여 그 시간값이 기준 범위 이내인 도착요건을 충족하면 해당 구인정보와 구직정보를 매칭 대상으로 선별하되, 거리요건 및 도착요건을 충족하는 상기 구인자단말기의 구인정보와 상기 구직자단말기 및 상기 소개소단말기의 구직정보를 매칭 대상으로의 선별 우선순위는, 해당 현장정보의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면서 등급정보가 높은 상기 구직자단말기 및 상기 소개소단말기, 또는 해당 현장정보의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게 위치한 상기 구직자단말기 및 상기 소개소단말기 순서로 선별하고,
    상기 계약처리부는, 매칭 대상 구인자단말기에 구직자 및 소개소 정보와 선택 여부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선택을 받은 해당 구직자단말기 및 소개소단말기에 근로계약 체결 수락 여부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응답 신호가 있을 때 근로계약 체결 대상 단말기에 근로계약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구직자단말기 및 상기 소개소단말기에 근로계약 체결 수락 여부를 요청한 후, 기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나도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조건을 변경하여 그 다음으로 해당 구인정보 상의 목적지에서 근접하게 위치한 상기 구직자단말기 및 상기 소개소단말기, 또는 해당 기준 영역 내에서 가장 빨리 선택 신호를 전송한 상기 구직자단말기 및 상기 소개소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선별한 후, 근로계약 체결 수락 여부를 재요청하며,
    상기 평가등급처리부는, 상기 구인자단말기, 구직자단말기, 소개소단말기 각각에 근로계약 상호 간의 신뢰도 평가점수 입력을 요청한 후, 입력되는 구인자, 구직자, 소개소 각각의 신뢰도 평가점수에 따라 해당 대상 등급정보에 신뢰도 평가정보를 반영하도록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099864A 2015-07-14 2015-07-14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 KR101681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864A KR101681634B1 (ko) 2015-07-14 2015-07-14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864A KR101681634B1 (ko) 2015-07-14 2015-07-14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634B1 true KR101681634B1 (ko) 2016-12-01

Family

ID=5757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864A KR101681634B1 (ko) 2015-07-14 2015-07-14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634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293A (ko) * 2017-06-02 2018-12-12 최두현 구인구직인력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 및 구인구직인력 매칭시스템
KR101931729B1 (ko) * 2018-01-19 2018-12-21 (주)인투웍스 건설현장 일자리 실시간 매칭 서비스 방법
KR101944219B1 (ko) * 2018-08-29 2019-01-30 이준화 건설현장 일자리 제공 시스템
KR20190025249A (ko) * 2017-09-01 2019-03-11 박병근 일용직 구인 구직 중개 시스템
KR101969571B1 (ko) * 2018-02-08 2019-04-16 (주)경한소프트웨어 건설 인력 관리 시스템 및 건설 인력 관리 방법
KR101954952B1 (ko) * 2017-11-01 2019-05-30 이정훈 일자리 매칭 서버 및 방법
KR20190076253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휴램프로 노무 관리 솔루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003558B1 (ko) * 2018-10-29 2019-07-24 주식회사 더순 공사지원 인력매칭 방법
KR102006700B1 (ko) * 2018-02-09 2019-08-02 코링크인 주식회사 건설용역 매칭서비스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
KR20200050236A (ko) * 2018-11-01 2020-05-11 이창기 일용 근로자를 위한 일자리 매칭 및 관리 시스템
KR20200102110A (ko) * 2019-02-21 2020-08-31 최정욱 인력정보 및 장비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210019695A (ko) * 2019-08-13 2021-02-23 조우현 인터넷을 이용한 축산인력 중개 시스템
KR20210116987A (ko) * 2020-03-18 2021-09-28 정목근 인력 연결 시스템
KR20220079247A (ko) * 2020-12-04 2022-06-13 이봉순 근로자를 위한 유료직업소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52516A (ko) * 2021-04-14 2022-11-16 우유상 모바일 가변 보안 qr 코드 기반 출입/근태 관리 시스템
KR102529850B1 (ko) 2022-09-30 2023-05-04 김지선 인터뷰 일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력매칭 인터뷰 일정관리 방법
WO2023234610A1 (ko) * 2022-05-31 2023-12-07 (주)잡앤파트너 노임 간편 전자결제 게이트웨이 및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697A (ko) 2003-02-14 2004-08-21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유리섬유용 사이즈 조성물 및 이로 피복된 유리섬유
KR20050073058A (ko) 2004-01-08 2005-07-13 손순호 네트워크 기반의 일용직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185256A (ja) * 2004-12-28 2006-07-13 Faith Inc 求人求職マッチング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0900571B1 (ko) 2009-01-09 2009-06-02 주식회사 하늘연 임시직 근로자를 위한 구인구직 중개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090070224A (ko) 2007-12-27 2009-07-01 백윤종 통신망을 이용한 구인 및 구직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18578A (ko) 2011-04-19 2012-10-29 김영진 모바일을 이용한 구인 구직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697A (ko) 2003-02-14 2004-08-21 주식회사 금강고려화학 유리섬유용 사이즈 조성물 및 이로 피복된 유리섬유
KR20050073058A (ko) 2004-01-08 2005-07-13 손순호 네트워크 기반의 일용직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185256A (ja) * 2004-12-28 2006-07-13 Faith Inc 求人求職マッチング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090070224A (ko) 2007-12-27 2009-07-01 백윤종 통신망을 이용한 구인 및 구직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0900571B1 (ko) 2009-01-09 2009-06-02 주식회사 하늘연 임시직 근로자를 위한 구인구직 중개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20118578A (ko) 2011-04-19 2012-10-29 김영진 모바일을 이용한 구인 구직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293A (ko) * 2017-06-02 2018-12-12 최두현 구인구직인력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 및 구인구직인력 매칭시스템
KR101998674B1 (ko) * 2017-06-02 2019-07-10 최두현 구인구직인력 매칭서비스 제공 방법 및 구인구직인력 매칭시스템
KR20190025249A (ko) * 2017-09-01 2019-03-11 박병근 일용직 구인 구직 중개 시스템
KR101960918B1 (ko) * 2017-09-01 2019-03-22 박병근 일용직 구인 구직 중개 시스템
KR101954952B1 (ko) * 2017-11-01 2019-05-30 이정훈 일자리 매칭 서버 및 방법
KR20190076253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휴램프로 노무 관리 솔루션 시스템 및 방법
KR101991881B1 (ko) * 2017-12-22 2019-07-03 주식회사 휴램프로 노무 관리 솔루션 시스템 및 방법
KR101931729B1 (ko) * 2018-01-19 2018-12-21 (주)인투웍스 건설현장 일자리 실시간 매칭 서비스 방법
KR101969571B1 (ko) * 2018-02-08 2019-04-16 (주)경한소프트웨어 건설 인력 관리 시스템 및 건설 인력 관리 방법
KR102006700B1 (ko) * 2018-02-09 2019-08-02 코링크인 주식회사 건설용역 매칭서비스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
KR101944219B1 (ko) * 2018-08-29 2019-01-30 이준화 건설현장 일자리 제공 시스템
KR102003558B1 (ko) * 2018-10-29 2019-07-24 주식회사 더순 공사지원 인력매칭 방법
KR20200050236A (ko) * 2018-11-01 2020-05-11 이창기 일용 근로자를 위한 일자리 매칭 및 관리 시스템
KR102161894B1 (ko) * 2018-11-01 2020-10-05 이창기 일용 근로자를 위한 일자리 매칭 및 관리 시스템
KR20200102110A (ko) * 2019-02-21 2020-08-31 최정욱 인력정보 및 장비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277709B1 (ko) * 2019-02-21 2021-07-14 최정욱 인력정보 및 장비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210019695A (ko) * 2019-08-13 2021-02-23 조우현 인터넷을 이용한 축산인력 중개 시스템
KR102258596B1 (ko) * 2019-08-13 2021-05-31 주식회사 오성미트 인터넷을 이용한 축산인력 중개 시스템
KR102358211B1 (ko) * 2020-03-18 2022-02-04 정목근 인력 연결 시스템
KR20210116987A (ko) * 2020-03-18 2021-09-28 정목근 인력 연결 시스템
KR20220079247A (ko) * 2020-12-04 2022-06-13 이봉순 근로자를 위한 유료직업소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18101B1 (ko) 2020-12-04 2023-04-05 이봉순 근로자를 위한 유료직업소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152516A (ko) * 2021-04-14 2022-11-16 우유상 모바일 가변 보안 qr 코드 기반 출입/근태 관리 시스템
KR102545949B1 (ko) 2021-04-14 2023-06-26 우유상 모바일 가변 보안 qr 코드 기반 출입/근태 관리 시스템
WO2023234610A1 (ko) * 2022-05-31 2023-12-07 (주)잡앤파트너 노임 간편 전자결제 게이트웨이 및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29850B1 (ko) 2022-09-30 2023-05-04 김지선 인터뷰 일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력매칭 인터뷰 일정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634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일용직 근로자 구인 및 구직 중개 시스템
CA2926074C (en) Methods and systems relating to time location based employee management systems
KR101954952B1 (ko) 일자리 매칭 서버 및 방법
KR101913229B1 (ko) 구인기업을 직접 연결하는 헤드헌팅 플랫폼 시스템
KR102249057B1 (ko) Gps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1741953B1 (ko) 위치기반 실시간 일거리 중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0424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urrent Rental Vehicle Location and Rate Selection Using Network Based Data
CN113261020A (zh) 日程管理服务系统及方法
KR20120118578A (ko) 모바일을 이용한 구인 구직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601328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cision support in relation to geolocalization of a candidate&#39;s residence and workplace
KR20210065640A (ko) O2o 기반 직접 매칭을 이용한 청소용역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98261A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아르바이트 대행 시스템
KR102225704B1 (ko) 국내 거주 외국인 및 내국인 연계 기반 관광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00020052A1 (en) Method for providing accommodation sharing service based on web platform and web server therefor
KR101845692B1 (ko) 위치 기반 오프라인 강의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160086679A (ko) 위치 기반 데이팅 서비스 방법
KR20150083462A (ko) 모바일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KR20160049133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구인구직 중개 시스템
KR20080104208A (ko) 모바일과 인터넷을 융합한 일용직 구인 또는 구직 정보등록 시스템 및 방법
KR102273828B1 (ko) 비지니스 커뮤니티의 관리를 위한 시스템
US20190362435A1 (en) Travel purpose determination method, travel purpose determination apparatus, and travel purpose determination system
KR102003558B1 (ko) 공사지원 인력매칭 방법
KR20200125001A (ko) 차량 정기 방문관리 서비스 방법
US201902665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hiring persons to perform services on a temporary basis
JP2021064344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