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828B1 - 비지니스 커뮤니티의 관리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지니스 커뮤니티의 관리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828B1
KR102273828B1 KR1020190082336A KR20190082336A KR102273828B1 KR 102273828 B1 KR102273828 B1 KR 102273828B1 KR 1020190082336 A KR1020190082336 A KR 1020190082336A KR 20190082336 A KR20190082336 A KR 20190082336A KR 102273828 B1 KR102273828 B1 KR 102273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ctivity
server
members
mee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253A (ko
Inventor
민진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씨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씨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씨글로벌
Priority to KR1020190082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828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비지니스 커뮤니티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에서 활동을 관리하는 방법은, 사용자 장치가, 서버로 활동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활동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활동의 종류를 확인하고, 활동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회원에게 캐시를 분배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캐시의 분배 상태 및 회원들의 활동 이력을 포함하는 현황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지니스 커뮤니티의 관리를 위한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BUSINESS COMMUNITY}
본 발명은 비지니스 커뮤니티의 관리에 대한 것으로, 통신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비지니스 커뮤니티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인간은 사회적 활동을 하며, 상호 간 도움을 주고 받으며 경제 활동을 영위한다. 현대인들은 커뮤니티(community)를 형성하여, 유익한 정보를 교환하기도 한다. 이러한 커뮤니티는 대부분 오프라인 형식을 가지고 있다. 현 시대에 이루어지는 이러한 오프라인 모인은 연간 수십만회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오프라인 커뮤니티는 지속 가능성이 떨어지며, 효과적인 회원 관리를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비지니스 커뮤니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지니스 커뮤니티의 회원들의 활동을 파악하고, 이에 상응하는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지니스 커뮤니티의 회원들 간 협업, 출석, 멤버 영입, 협업 등의 활동을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에서 활동을 관리하는 방법은, 사용자 장치가, 서버로 활동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활동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활동의 종류를 확인하고, 활동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회원에게 캐시를 분배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캐시의 분배 상태 및 회원들의 활동 이력을 포함하는 현황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비지니스 커뮤니티의 회원들에 대한 보다 정확한 활동 분석 및 캐시 관리를 가능케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항목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웹툰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의 활동 관리를 위한 신호 교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에서 서버의 활동 분석 및 캐시 분배량 결정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에서 서버의 커뮤니티 분리를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에서 오프라인 미팅의 출석 확인을 위한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비지니스 커뮤니티의 관리에 대한 것으로, 통신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비지니스 커뮤니티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활동들을 분석 및 관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은 서버(110) 및 복수의 사용자 장치들(120a, 120b, 120c)를 포함한다. 도 1은 일 예로서, 더 많은 수의 사용자 장치들이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서버(110)는 비지니스 커뮤니티 내에서 발생하는 활동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활동들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라, 서버(110)는 캐시(cash)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여기서, 분배는 캐시의 할당 또는 회수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캐시는 현금이 아닌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 내에서 통용되는 화폐로서, 캐시 외 포인트, 커뮤니티 화폐 등의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시를 위해 블록 체인(block chain) 기반의 가상 화폐를 새로이 정의하고, 그 가상 화폐가 커뮤니티 내의 고유의 화폐로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들(120a, 120b, 120c)은 본 발명의 비지니스 커뮤니티 시스템을 통해 서버(110)와 연동하기 위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들(120a, 120b, 120c)은 스마트폰,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타블렛 등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장치들(120a, 120b, 120c)은 사용자의 비지니스 커뮤니티에 관련된 활동 정보를 획득 또는 생성하고, 그 활동 정보를 서버(110)로 송신한다. 또한, 서버(110)는 사용자 장치들(120a, 120b, 120c)로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현황(예: 캐시 분배 현황, 활동 현황, 기타 커뮤니티 관련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 장치들(120a, 120b, 120c) 중 어느 하나는 운영자 장치일 수 있다. 운영자 장치는 일정한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운영자 장치는 오프라인 미팅의 출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운영자의 장치는 비지니스 커뮤니티 시스템의 운영을 위한 의사 결정 권한을 가질 수 있다.
도 1과 같은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을 통해, 본 발명은 이하 도 2와 같은 항목들을 관리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항목들을 도시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관리 항목은 미팅(201), 출석(202), 협업(203)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항목들은 일 예로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일부 항목이 제외되거나, 다른 항목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웹툰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조는 서버(100) 또는 사용자 장치(120a, 120b 또는 120c)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장치는 제어부(302), 통신부(304), 저장부(306), 표시/입력부(308)를 포함한다. 웹툰 서버(120) 또는 결제 서버(130)의 경우, 표시/입력부(308)는 생략될 수 있다.
제어부(302)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2)는 저장부(306)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2)는 통신부(304)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부(306)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부(306)에 저장된 데이터, 명령어 등을 읽는다, 또한, 제어부(302)는 표시/입력부(308)를 통해 화면을 표시하고, 검출되는 입력을 처리한다. 제어부(30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304)는 외부 통신망에 접속하고, 데이터/신호/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304)는 인터넷 망, 무선 통신망, 모바일 통신망 등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304)는 신호의 변복조, 증폭, 필터링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306)는 데이터, 설정정보, 명령어, 마이크로 코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306)는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06)는 장치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입력부(308)는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 및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화면을 표시하는 수단은 액정화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을 감지하는 수단은 터치패드, 키 버튼, 센서, 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표시/입력부(308)는 액정화면 및 터치패드가 결합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표시/입력부(308)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2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들의 집합으로 해석될 수 있다. 표시/입력부(308)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 생략될 수 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의 활동 관리를 위한 신호 교환도이다. 도 4는 하나의 사용자 장치(120)와 서버(110) 간 신호 교환의 예이다. 도 4와 같은 절차의 반복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장치들의 사용자들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 장치(120)는 서버(110)로 활동 정보를 송신한다(S401). 활동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20)에 입력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20)의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활동 정보는 활동의 종류를 지시하는 정보, 활동에 관련된 회원들에 대한 정보, 활동에 관련된 업무에 대한 정보, 활동에 관련된 매출액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동 정보를 발생시키는 활동은, 커뮤니티에 가입하는 것, 기존 사용자가 새로운 회원을 영입하는 것, 다른 사용자의 매출에 도움을 주는 것, 사용자들 간 협업을 위한 미팅을 진행하는 것, 운영자가 주최하는 오프라인 미팅에 참석하는 것, 운영자가 주최하는 오프라인 미팅에 불참하는 것 등일 수 있다.
서버(110)는 활동 정보를 분석 및 분류한다(S402). 서버(110)는 활동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어떤 종류의 활동에 대한 활동 정보인지를 확인 및 분류한다. 그리고, 서버(110)는 분류 결과에 따라 캐시 분배를 위해 확인할 정보가 무엇인지를 판단하고, 필요한 정보가 활동 정보에 모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가 누락된 경우, 서버(110)는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120) 또는 다른 회원의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고, 응답을 수신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10)는 캐시를 분배한다(S403). 서버(110)는 S402 단계에서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캐시의 분배액을 결정하고, 캐시를 관련된 회원들에게 분배한다. 캐시의 분배액은 미리 규정된 규칙에 따른다. 캐시의 분배는 보안화된 데이터 베이스 또는 분산 원장에 저장된 회원 별 캐시 액수 데이터를 수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서버(110)는 현황 정보를 사용자 장치(120)로 송신한다(S404). 현황 정보는 캐시의 분배 상태 및 회원들의 활동 이력을 포함한다. 현황 정보는 사용자 장치(120)의 활동 정보에 의해 변경된 사항만을 알리기 위해 송신될 수 있다. 또는, 현황 정보는 활동 정보의 제공 이후의 전체 현황 정보를 알리기 위해 송신될 수 있다. 또는, 현황 정보는 특별히 사용자 장치(120)로 송신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게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에 의해 현황 정보가 송신된다.
도 4에서 송신되는 활동 정보는 활동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생성되고,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몇가지 예들이 제시된다.
예를 들어, 활동이 가입인 경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입 사실 및 가입비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활동 정보는 새로이 가입한 회원 정보(예: 회원 ID), 가입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입비에 상응하는 캐시가 가입한 회원에게 지급된다.
다른 예로, 활동이 협업인 경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협업에 의해 얻어진 매출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활동 정보는 협업 관계 정보(예: 협업 받은 회원 ID 및 협업 제공한 회원 ID), 협업된 업무 정보, 협업을 통해 얻어진 매출액 정보, 계약액 정보, 보험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출액에 상응하는 캐시가 협업을 제공한 회원에게 지급된다.
또 다른 예로, 활동이 미팅인 경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협업 미팅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활동 정보는 미팅의 일시/장소 정보, 미팅 참석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팅에 참석한 회원들에게 일정 액수에 상응하는 캐시가 지급된다.
또 다른 예로, 활동이 회원 유치인 경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새로운 회원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활동 정보는 새롭게 가입한 회원 정보(예: 회원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회원을 유치한 회원에게 일정 액수 또는 가입한 회원의 가입비에 상응하는 캐시가 지급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에서 서버의 활동 분석 및 캐시 분배량 결정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서버는 활동의 종류를 분류한다(S501). 서버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활동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활동의 종류를 분류한다. 예를 들어, 서버는 활동 정보에 포함되는 지시자를 확인함으로써 활동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활동 종류에 대응하는 지시자들이 미리 정의되어 있고, 활동 정보가 그 지시자를 포함함이 가정된다. 다른 예로, 서버는 활동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활동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활동의 종류에 무엇이냐에 따라 포함되는 정보가 다를 것임이 가정된다.
서버는 캐시의 분배 대상을 확인한다(S502). 서버는 활동의 종류에 따른 캐시의 분배 자격을 확인하고, 해당 자격을 가진 회원들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협업에 의해 매출이 발생한 경우, 협업을 제공한 자, 협업을 받은 자가 분배 자격에 해당한다. 그리고, 활동 정보에 협업 제공자로서 기재된 회원과 활동 정보에 협업 받은자로서 기재된 회원이 해당 자격을 가진 회원들이 된다. 활동의 종류에 대응하는 분배 자격은 미리 정의된 테이블에 기반하여 확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활동 정보에 포함된 지시자에 따라 또는 정보에 따라 활동의 종류를 식별하고, 식별된 활동의 종류에 따른 분배 자격을 테이블에서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검색된 분배 자격을 가진 회원을 활동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한다.
서버는 캐시 분배량을 결정한다(S503). 캐시 분배량은 미리 규정된 규칙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협업에 의해 매출이 발생한 경우, 협업을 받은 사용자의 매출의 일정 비율(예: 5%)에 해당하는 캐시가 차감되고, 협업을 제공한 사용자에게 그 일부(예: 3%)에 해당하는 캐시가 제공되며, 시스템에 운영비로서 나머지(예: 2%)가 적립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A가 사용자B의 협업에 의해 100만원의 매출을 얻은 경우, 사용자A의 캐시에서 5만원에 해당하는 캐시가 차감되고, 3만원에 해당하는 캐시가 사용자B에게 제공되며, 2만원에 해당하는 캐시가 운영비로서 적립된다.
매출을 책정하기 어려운 수익활동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은 정책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 소개의 형식을 취한 협업의 경우, 일정 기간(예: 10개월) 동안의 보험료가 매출로 인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부동산/자동차 등 판매 수수료가 수익인 비지니스에 대한 협업의 경우, 계약 금액의 일정 비율(예: 0.5%)가 매출로 인정될 수 있다. 이 경우, 1억원 짜리 계약이 성사되면, 캐시 분배의 기준이 되는 매출은 0.5%인 50만원이고, 이의 5%인 2.5만원이 분배(예: 차감, 제공, 적립)된다. 따라서, 협업된 업무의 종류가 보험 소개, 부동산 판매, 자동차 판매인 경우, 서버는 보험료 또는 계약 금액을 매출액으로 환산한 후, 캐시를 분배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에서 서버의 커뮤니티 분리를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서버는 활동 이력에 기초하여 서브그룹을 결정한다(S601). 서브그룹은 다양한 기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 횟수 이상의 공동 활동(예: 협업, 미팅 등)이 이루어진 회원들이 서브그룹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활동 지역이 유사한 회원들이 서브그룹으로 결정될 수 있다.
서버는 커뮤니티 분리에 대한 문의 메시지를 송신한다(S602). 서버는 서브그룹의 분리에 관련된 회원들에게 동의를 구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커뮤니티의 운영자 또는 그 대표자가 메시지의 수신자로 추가될 수 있다.
서버는 긍정의 응답이 수신되는지 확인한다(S603). 즉, 서브그룹의 분리는 관련된 회원들의 동의를 요구한다. 이때, 응답으로 인정되기 위한 기준은 만장일치, 과반수 이상의 동의, 또는 임계 비율 이상의 동의로 정의될 수 있다. 기준에 맞도록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버는 이하 S604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아니하면 서브그룹 분리 없이 본 절차가 종료된다.
서버는 커뮤니티를 분리하고, 관련 현황을 게시한다(S604). 서버는 분리된 서브그룹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새롭게 생성하고, 관련된 회원 정보 등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접근 가능한 웹 페이지 상에 서브그룹의 분리에 대한 정보를 게시한다. 이에 따라, 회원들이 서브그룹의 분리를 인식하고, 추가적인 가입을 요청할 수 있게 된다.
도 6과 같은 서브그룹의 결정 및 분리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운영자의 선택 또는 회원들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서버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주기의 도래를 판단하고, 분리될 서브그룹의 존재 여부를 검사한 후, 분리될 서브그룹이 존재한다면, 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비지니스 커뮤니티는 정기적으로 전체 회원을 대상으로 하는 오프라인 미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정기 오프라인 미팅에 참석하는 것도 하나의 활동으로 인정되며, 불참시 일정한 패널티(예: 캐시 회수)가 부여될 수 있다. 그러나, 회원의 수가 많은 경우, 오프라인 미팅에 참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은 제안하는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정기 오프라인 미팅에의 참석 여부를 체크하는 실시 예를 제안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에서 오프라인 미팅의 출석 확인을 위한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출석 확인 기법의 예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복수의 사용자 장치들은 운영자 장치(720) 및 회원 장치들(721a, 621b, 621c)으로 구분된다. 오프라인 미팅이 이루어지는 공간(700)은 실내 또는 실외일 수 있으며, 일정한 물리적 거리를 가진다. 출석 여부의 확인은 오프라인 미팅이 이루어지는 공간(700)에 해당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이고, 사용자는 자신의 장치(721a, 721b, 721c)를 소지하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운영자 장치(720)가 일정한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지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신한다면,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장치는 그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나, 커버리지 밖에 위치한 장치는 그 RF 신호를 수신할 수 없을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로 출석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먼저, 운영자 장치(720)는 모임이 이루어지는 공간(700)에 진입한 후, 요청 신호로 정의된 RF 신호를 방송한다. 요청 신호는 경우에 따라 비콘(beacon) 신호라고 불릴수 있다. 요청 신호를 송신하기에 앞서, 운영자 장치(720)는 적절한 신호 커버리지, 즉, 공간(700) 외부에 위치한 장치에 까지 도달하지 아니할 정도의 신호 세기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운영자 장치(720)는 공간의 넓이를 스스로 측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입력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되는 정보는 실내인지 실외인지 여부, 공간의 면적 또는 크기, 장애물의 존재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원 장치(721a, 721b)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지만, 공간(700) 외부에 위치한 회원 장치(721c)는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요청 신호는 해당 비지니스 커뮤니티에 대한 정보(예: 커뮤니티 명칭, ID(identifier) 등), 운영자 장치(720)의 위치 정보, 요청 신호의 송신 세기 정보, 암호화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신호를 수신한 회원 장치(721a, 721b)는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운영자 장치(720)에 회신한다. 여기서, 응답 신호는 해당 회원에 대한 식별 정보, 예를 들어, 회원 이름, 회원을 구분할 수 있는 정보(예: 고유 ID(identifier), 전화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응답 신호가 정당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응답 신호는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특정한 값, 예를 들어, 암호화 값을 입력으로 생성되는 결과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응답 신호의 송신 세기는 운영자 장치(720)에 도달할 정도가 되어야 하므로, 회원 장치(721a, 721b)는 요청 신호에 포함된 운영자 장치(720)의 위치 정보, 요청 신호의 송신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응답 신호의 송신 세기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운영자 장치(720)는 회원 장치(721a, 721b)를 소지한 회원이 출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요청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회원 장치(721c)는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없다. 따라서, 운영자 장치(720)는 요청 신호를 송신한 후 일정 시간 내에 응답 신호를 회신하지 아니한 회원의 장치에 대하여, 출석하지 아니함을 판단한다. 이러한 출석 여부의 판단 결과는 서버(110)로 송신되어, 자동으로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된다. 기록된 정보는 캐시 분배에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출석 확인 기능을 수행케하는 명령어들이 운영자 장치(720), 회원 장치(721a, 721b, 721c)에 설치된 본 발명의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전술한 기능들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 및 실행되는 것들이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출석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전술한 RF 신호를 이용한 실시 예 외, 다른 다양한 방법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자 장치(720)가 회원 장치들에게 위치 정보(예: GPS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미팅 장소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출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운영자 장치(720)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회원 장치를 태그(tag)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인 방법으로 출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 미팅에 대한 출석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출석한 회원에게는 혜택(예: 캐시 지급)이 부여되나, 불참시 일정한 패널티(예: 캐시 회수)가 부여될 수 있다. 이때, 불가피한 사정(예: 장거리 출장)에 의해 오프라인 미팅에 참석할 수 없는 경우를 위해, 본 발명의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은 온라인 참석 기능을 제공한다. 이 경우, 회원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접속 기능을 통해 미팅에 온라인으로 참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비지니스 커뮤니티 관리 시스템에서 활동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가, 서버로 활동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활동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활동의 종류를 확인하고, 활동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회원에게 캐시를 분배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캐시의 분배 상태 및 회원들의 활동 이력을 포함하는 현황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활동 정보는 상기 활동의 종류에 대응하는 항목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활동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장치에 입력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서버가, 상기 활동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캐시의 분배액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황 정보는 상기 활동 정보에 의해 변경된 사항 또는 상기 활동 정보의 수신 이후의 전체 현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활동의 종류는 커뮤니티 가입, 협업, 미팅 및 회원 유치를 포함하고,
    상기 활동이 상기 커뮤니티 가입인 경우, 상기 활동 정보는 새롭게 가입한 회원 정보 및 가입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활동이 상기 협업인 경우, 상기 활동 정보는 협업 받은 회원 정보, 협업 제공한 회원 정보, 협업된 업무 정보 및 협업을 통해 얻어진 매출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활동이 상기 미팅인 경우, 상기 활동 정보는 미팅의 일시/장소 정보 및 미팅 참석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활동이 상기 회원 유치인 경우, 상기 활동 정보는 상기 회원 유치에 따라 가입한 회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회원들의 활동 이력에 기초하여 서브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서브그룹의 분리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회원의 장치로 커뮤니티 분리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커뮤니티 분리에 대한 긍정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서브그룹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관련된 회원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활동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캐시의 분배액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활동 정보를 상기 활동의 종류를 기반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의 결과에 따라 상기 캐시의 분배액을 결정하기 위한 필요 정보가 상기 활동 정보에 모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필요 정보가 상기 활동 정보에 모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필요 정보 중 누락된 정보에 대응되는 추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추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활동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기 캐시의 분배액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활동이 상기 커뮤니티 가입인 경우, 상기 가입비 정보에 대응되는 캐시가 상기 새롭게 가입한 회원 정보에 따른 회원에 대한 캐시의 분배액으로 결정되고,
    상기 활동이 상기 협업인 경우, 상기 협업을 통해 얻어진 매출액에 대응되는 캐시가 상기 협업을 제공한 회원 정보에 따른 회원에 대한 캐시의 분배액으로 결정되고,
    상기 활동이 상기 미팅인 경우, 일정 액수에 대응되는 캐시가 상기 미팅 참석자 정보에 따른 회원에 대한 캐시의 분배액으로 결정되고,
    상기 활동이 상기 회원 유치인 경우, 상기 회원 유치에 따라 가입한 회원 정보에 따른 회원의 가입비에 대응되는 캐시가 상기 회원 유치에 따라 가입한 회원 정보에 따른 회원을 유치한 회원에 대한 캐시의 분배액으로 결정되고,
    상기 서버가, 회원들의 활동 이력에 기초하여 서브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회원들 중 공동 활동이 임계 횟수 이상인 제1 회원들을 상기 서브그룹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그룹의 결정 및 상기 서브그룹의 분리는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상기 활동의 종류 중 미팅은 오프라인 미팅을 포함하고,
    운영자의 제1 장치가, 상기 오프라인 미팅이 이루어지는 장소에서 일정한 커버리지를 가지는 RF(radio frequency) 신호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회원의 제2 장치가,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회원의 출석을 인식하고, 상기 서버로 상기 회원의 출석을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지 아니한 회원에 대하여, 상기 오프라인 미팅에 불출석함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RF 신호의 커버리지는 상기 오프라인 미팅이 이루어지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되고, 상기 장소에 대한 정보는 실내인지 실외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공간의 면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소에 대한 정보는 상기 운영자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요청 신호는 암호화 값을 포함하고,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암호화 값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결과 값 및 상기 제2 장치에 대응되는 회원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회원의 출석을 지시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불출석함으로 판단된 회원에 대한 캐시 분배액에 대하여 일정한 패널티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82336A 2019-07-08 2019-07-08 비지니스 커뮤니티의 관리를 위한 시스템 KR102273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336A KR102273828B1 (ko) 2019-07-08 2019-07-08 비지니스 커뮤니티의 관리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336A KR102273828B1 (ko) 2019-07-08 2019-07-08 비지니스 커뮤니티의 관리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253A KR20210006253A (ko) 2021-01-18
KR102273828B1 true KR102273828B1 (ko) 2021-07-09

Family

ID=7423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336A KR102273828B1 (ko) 2019-07-08 2019-07-08 비지니스 커뮤니티의 관리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8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29876B (zh) * 2023-03-21 2023-06-23 浙江之科智慧科技有限公司 智慧校园综合管理装置与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398B1 (ko) * 2011-08-02 2012-12-24 석철숙 포인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188A (ko) * 2008-04-23 2009-10-28 주식회사 마이윙 콘텐츠 커뮤니티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32253B1 (ko) * 2016-04-29 2018-12-2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행사장에 입장한 참석자의 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47893B1 (ko) * 2017-03-16 2019-02-13 윤형석 그룹 간의 정보 협업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398B1 (ko) * 2011-08-02 2012-12-24 석철숙 포인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253A (ko) 202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76728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location-based machine-assisted interactions
Danezis et al. How much is location privacy worth?
US8671143B2 (en) Virtual badge, device and method
Zhou et al. A commuting spectrum analysis of the jobs–housing balance and self-containment of employment with mobile phone location big data
US967412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execution of actions in response to communications events of one or more communications protocols
US20130048720A1 (en) Virtual badge, device and method
US20120284333A1 (en) Collection and analysis of location data from location-aware mobile devices on a network
CN105074686A (zh) 用于创建和共享任务的系统和方法
CN104160654A (zh) 使用来自设备的信息识别会议出席者
WO20111549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d managing social wireless network
CN102693482A (zh) 到商业地点的签到
US20170277776A9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ption, analysis and dissemination of user feedback
KR102297192B1 (ko) 위치 기반 일자리 추천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27425A1 (en) Situ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with server and user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1809670B1 (ko) 추천 기반의 채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20118578A (ko) 모바일을 이용한 구인 구직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73828B1 (ko) 비지니스 커뮤니티의 관리를 위한 시스템
KR20160086679A (ko) 위치 기반 데이팅 서비스 방법
KR20130062443A (ko) 실시간 위치 기반의 모바일 로컬소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로컬소셜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884217B1 (ko) 근무평가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근무평가관리 장치,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및 근무평가관리 프로그램
KR102310867B1 (ko) 사회적 경제 중계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사회적 경제 중계 방법
WO2021039150A1 (ja) Snsシステム、snsサーバ、情報処理方法、sns提供方法、記録媒体
JP2018101356A (ja) 商談支援システム
CN103430163A (zh) 自动化团队支持消息传递的方法和系统
KR101142408B1 (ko) 안내 메세지를 통한 사용자 평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