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804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804B1
KR101677804B1 KR1020140133086A KR20140133086A KR101677804B1 KR 101677804 B1 KR101677804 B1 KR 101677804B1 KR 1020140133086 A KR1020140133086 A KR 1020140133086A KR 20140133086 A KR20140133086 A KR 20140133086A KR 101677804 B1 KR101677804 B1 KR 101677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connecting portion
shell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8032A (ko
Inventor
히로유키 요코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8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여 삽입된 접속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접속 부재는, 판상 또는 시트상의 형상을 가짐과 함께 단자 및 그라운드 패턴을 가지고 있다. 상기 커넥터는, 복수의 콘택트와 유지 부재와 도전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콘택트는, 각각 접점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접점부는, 각각 상기 단자와 접속된다.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유지 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그라운드 패턴과 접속하는 실드 접속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실드 접속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의 전측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나 FFC (Flexible Flat Cable) 와 같은 판상 또는 시트상의 형상을 갖는 접속 부재와 접속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01798호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의 커넥터 (100) 는, 도 19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특수한 형상의 판상 케이블 (접속 부재) (101) 과 접속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의 접속 부재 (101) 는, 단자와 피계합부 (102) 를 가지고 있다. 단자는 커넥터의 콘택트 (103) 와 각각 접속한다. 피계합부 (102) 는 폭 방향의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 의 접속 부재 (101) 는, T 자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폭 방향에 있어서, 피계합부 (102) 는 단자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전후 방향에 있어서, 피계합부 (102) 와 단자는 동일 위치에 있다. 특허문헌 1 의 커넥터 (100) 에는, 피계합부 (102) 의 전(前)측에 위치하여 피계합부 (102) 가 커넥터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부위 (104) 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T 자상의 형상을 갖는 접속 부재만 접속할 수 있다. 즉,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는, 일반적인 띠상의 FPC 와 같은 접속 부재를 접속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범용성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신호 전송의 고속화에 대응하기 위해, 그라운드 패턴을 갖는 접속 부재도 있다. 그라운드 패턴과 접속하는 접속부를 형성하려고 하면, 커넥터의 구조 때문에,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의 대형화는 피할 수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01798호
그래서, 본 발명은 커넥터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그라운드 패턴을 갖는 접속 부재 (FPC 나 FFC) 와, 일반적인 접속 부재 (FPC 나 FFC) 중 어느 것과도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여 삽입된 접속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접속 부재는, 판상 또는 시트상의 형상을 가짐과 함께 단자 및 그라운드 패턴을 가지고 있다. 상기 커넥터는, 복수의 콘택트와, 유지 부재와, 도전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콘택트는 각각 접점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접점부는 각각 상기 단자와 접속된다.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유지 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그라운드 패턴과 접속하는 실드 접속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실드 접속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의 전측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실드 접속부는 접속 부재의 그라운드 패턴과 접속한다. 실드 접속부의 위치는 콘택트의 접점부의 전측으로 되어 있다. 실드 접속부의 위치는 접점부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를 대형화하지 않고, 커넥터에 대해 실드 접속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실드 접속부는, 폭 방향에 있어서, 일반적인 띠상의 FPC 등의 접속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실드 접속부에 의해 커넥터와 일반적인 형상의 접속 부재의 접속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선의 실시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올바르게 이해되고, 또한 그 구성에 대하여 보다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커넥터에 포함된 액추에이터는 개방 상태에 있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다른 정면 사시도. 도시된 액추에이터는 폐쇄 상태에 있다.
도 4 는 도 1 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 는 도 4 의 커넥터를 V--V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은 도 4 의 커넥터를 Ⅵ--Ⅵ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 은 도 4 의 커넥터를 Ⅶ--Ⅶ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은 도 3 의 커넥터의 일부를 Ⅷ--Ⅷ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 는 도 2 의 커넥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10 은 도 3 의 커넥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11 은 도 3 의 커넥터의 일부를 XI--XI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 는 도 1 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쉘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13 은 도 12 의 쉘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14 는 도 1 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FPC (접속 부재) 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15 는 도 14 의 FPC 를 나타내는 바닥면도.
도 16 은 도 14 의 FPC 를 XⅥ--XⅥ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 은 도 14 의 FPC 를 도 5 의 커넥터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 은 일반적인 FPC 를 도 5 의 커넥터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 는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일례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정 실시형태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1) 는, 커넥터의 전방 (-X 방향) 에 위치하는 전단 (前端) (2) 에 있어서 개구되어 있는 수용부 (6) 를 가지고 있다. 수용부 (6) 는, 전후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 후방 (+X 방향) 으로 삽입된 FPC (접속 부재) 의 선단을 수용할 수 있다. 접속 부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후단 (4) 은 커넥터 (1) 의 후방에 위치한다. 커넥터 (1) 는 제 1 콘택트 (콘택트) (10) 와, 제 2 콘택트 (콘택트) (20) 와, 유지 부재 (30) 와, 쉘 (도전 부재) (40) 과, 액추에이터 (50) 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실드 부재 (60)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콘택트 (10), 제 2 콘택트 (20), 쉘 (40), 실드 부재 (60) 는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유지 부재 (30) 와 액추에이터 (50) 는 절연체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도 17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1) 에는, 특수한 FPC (접속 부재) (80) 를 접속시킬 수 있다. 또, 도 18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에는, 통상적인 띠상의 형상을 갖는 FPC (80A) 도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FPC (80A) 는, 그라운드 패턴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 14 내지 도 16 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특수한 FPC (80) 는, 신호층 (90) 과, 그라운드층 (92) 과, 제 1 절연층 (94) 과, 제 2 절연층 (95) 과, 제 3 절연층 (96) 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절연층 (94) 은, 신호층 (90) 과 그라운드층 (92) 사이에 끼워져 있다. 신호층 (90) 은, 제 1 절연층 (94) 과 제 2 절연층 (95) 사이에 끼워져 있다. 그라운드층 (92) 은, 제 1 절연층 (94) 과 제 3 절연층 (96) 사이에 끼워져 있다. 신호층 (90) 에는 복수의 단자 (83) 와, 단자 (83) 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신호선 (84) 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 (83) 는, 각각의 신호선 (84) 보다 단부 (82) 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단자 (83) 와 단부 (82) 의 간격은, 신호선 (84) 과 단부 (82) 의 간격보다 짧다. 신호선 (84) 은, 대응하는 단자 (83) 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그라운드층 (92) 은, 일정한 도전막으로 이루어지는 그라운드 패턴 (86)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패턴 (86) 의 일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 노출부 (88) 로서 노출되어 있다.
도 14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FPC (80) 의 단부 (82) 에는 단자 노출 영역 (85) 이 형성되어 있고, 단자 (83) 는 그 단자 노출 영역 (85) 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자 (83) 는, 제 1 콘택트 (10) 와 각각 접속하는 그룹과, 제 2 콘택트 (20) 와 각각 접속하는 그룹의 2 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져 있다. 제 1 콘택트 (10) 용 단자 (83) 와 제 2 콘택트 (20) 용 단자 (83) 는, FPC (80) 의 폭 방향 (Y 방향) 및 길이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 교대로 나열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FPC (80) 는, FPC (8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단부 (82) 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장출부 (張出部) (87) 를 가지고 있다. 도 14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장출부 (87) 는, 단자 노출 영역 (85) 과 비교하여 단부 (82) 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단자 노출 영역 (85) 은, 단부 (82) 와 장출부 (87) 사이에 끼워져 있다. 또, 장출부 (87) 는, FPC (80) 의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여 튀어나와 있다. 그 때문에, 장출부 (87) 를 포함하는 부위는, 폭 방향에 있어서 단자 노출 영역 (85) 보다 폭이 넓게 되어 있다.
도 15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장출부 (87) 의 선단에는 각각 노출부 (88)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노출부 (88) 는, 단자 노출 영역 (85) 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자 노출 영역 (85) 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노출부 (88)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라운드 패턴 (86) 은, 노출부 (88) 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다. 노출부 (88) 는, FPC (8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단자 (83) 보다 FPC (80) 의 단부 (82) 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있고, 또한 FPC (80) 의 폭 방향에 있어서 단자 (83) 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6 및 도 7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30) 는, 제 1 콘택트 (10) 와 제 2 콘택트 (20) 를 유지하고 있다. 도 7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제 1 콘택트 (10) 는, 상측 접점부 (접점부) (11) 와, 하측 접점부 (접점부) (12) 와, 고정부 (13) 를 가지고 있다. 상측 접점부 (11) 와 하측 접점부 (12) 는, 수용부 (6) 내에 위치하고 있다. 상측 접점부 (11) 는, 하측 접점부 (12) 와 상하 방향 (Z 방향) 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제 1 콘택트 (10) 의 고정부 (13) 는, 커넥터 (1) 의 후단 (4) 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6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제 2 콘택트 (20) 는, 상측 접점부 (접점부) (21) 와, 하측 접점부 (접점부) (22) 와, 고정부 (23) 를 가지고 있다. 상측 접점부 (21) 와 하측 접점부 (22) 는, 수용부 (6) 내에 위치하고 있다. 상측 접점부 (21) 는 하측 접점부 (22) 와 상하 방향 (Z 방향) 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제 2 콘택트 (20) 의 고정부 (23) 는, 커넥터 (1) 의 전단 (2) 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 1 콘택트는 후단 (4) 측 (+X 측단) 에 위치하고 있는 고정부 (13) 를 가지고 있고, 제 2 콘택트는 전단 (2) 측 (-X 측단) 에 위치하고 있는 고정부 (23) 를 가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콘택트는 상측 접점부 (11) 나 하측 접점부 (12)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고정부 (13) 를 가지고 있고, 제 2 콘택트는 상측 접점부 (21) 나 하측 접점부 (22)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고정부 (23) 를 가지고 있다. 제 2 콘택트 (20) 는, 전방 콘택트라고도 불린다. 도 14 를 아울러 참조하여, 단자 (83) 가 상측이 되도록 수용부 (6) 에 FPC (80) 를 삽입한 경우, 단자 (83) 는 상측 접점부 (11, 21) 에 각각 접속된다. 반대로, 단자 (83) 가 하측이 되도록 수용부 (6) 에 FPC (80) 를 삽입한 경우, 단자 (83) 는 하측 접점부 (12, 22) 에 각각 접속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FPC (80) 를 커넥터 (1) 에 대해 반대로 끼워도 접속시킬 수 있다.
도 5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30) 에는, 회전 방지부 (32) 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방지부 (32) 각각은 수용부 (6) 의 측벽을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방지부 (32) 는, 폭 방향에 있어서, 상측 접점부 (11, 21) 나 하측 접점부 (12, 22) 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폭 방향에 있어서, 회전 방지부 (32) 간의 거리는, FPC (80) 의 단자 노출 영역 (85) 의 사이즈 (폭) 보다 약간 큰 정도이다. 도 5 및 도 17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FPC (80) 가 수용부 (6) 에 수용되면 FPC (80) 의 수평면 (XY 평면) 내에 있어서의 이동이 전후 방향으로만 실질적으로 규제되어, 수평면 내에 있어서 FPC (80) 가 회전해 버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쉘 (40) 은 주판부 (主板部) (41) 와, 2 개의 측부 (42) 와, 2 개의 쉘 접속부 (43) 와, 4 개의 홀드 다운 (44) 과, 2 개의 상측 접속부 (실드 접속부) (45) 와, 2 개의 하측 접속부 (실드 접속부) (46) 를 가지고 있다.
주판부 (41) 는 유지 부재 (30) 의 대부분을 덮고 있다. 도 1, 도 2 및 도 5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1 콘택트 (10) 의 고정부 (13) 는, 주판부 (41) 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제 2 콘택트 (20) 의 고정부 (23) 는, 주판부 (41) 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콘택트 (20) 의 고정부 (23) 는, FPC (80) 를 커넥터 (1) 에 접속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 (1) 의 상방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방 콘택트의 고정부 (23) 는, 상방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 (1) 를 대상물 (도시 생략) 에 탑재 고정시켰을 때에, 고정부 (23) 의 대상물에 대한 접속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측부 (42) 는, 폭 방향에 있어서 주판부 (41) 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9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쉘 접속부 (43) 는, 각각 측부 (42) 로부터 하측 방향 (-Z 방향) 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쉘 접속부 (43) 는, 주판부 (41) 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 및 도 1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홀드 다운 (44) 각각은 측부 (42) 의 1 개와 각각 연속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폭 방향에 있어서, 유지 부재 (30) 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홀드 다운 (44) 은, 커넥터 (1) 를 회로 기판 등의 대상물 (도시 생략) 에 탑재했을 때에, 대상물에 형성된 그라운드부 (도시 생략) 에 접속된다. 바꾸어 말하면, 쉘 (도전 부재) (40) 은, 커넥터 (1) 를 대상물 (도시 생략) 에 탑재했을 때에, 대상물에 형성된 그라운드부 (도시 생략) 에 접속된다.
상측 접속부 (45) 및 하측 접속부 (46) 는, 각각 측부 (42) 와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측 접속부 (45) 와 하측 접속부 (46) 는, 각각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상측 접속부 (45) 및 하측 접속부 (46) 는, 주판부 (41) 의 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5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측 접속부 (45) 및 하측 접속부 (46) 는, 상측 접점부 (11, 21) 나 하측 접점부 (12, 22) 의 전측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폭 방향에 있어서 상측 접점부 (11, 21) 나 하측 접점부 (12, 22) 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측 접속부 (45) 및 하측 접속부 (46) 는, 회전 방지부 (32)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회전 방지부 (32) 는, 상측 접속부 (45) 및 하측 접속부 (46) 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8 및 도 13 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측 접속부 (45) 는 스프링 접점이고, 하측 접속부 (46) 는 돌출부이다.
도 5, 도 15 및 도 17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FPC (80) 를 수용부 (6) 에 삽입하면, 상측 접속부 (45) 와 하측 접속부 (46) 의 일방이 그라운드 패턴 (86) 의 노출부 (88) 에 각각 접속된다. 상세하게는, 노출부 (88) 가 하측이 되도록 수용부 (6) 에 FPC (80) 를 삽입한 경우, 노출부 (88) 는 하측 접속부 (46) 와 각각 접속되는 한편, 노출부 (88) 가 상측이 되도록 수용부 (6) 에 FPC (80) 를 삽입한 경우, 노출부 (88) 는 상측 접속부 (45) 와 각각 접속된다. 어느 경우라도 상측 접속부 (45) 의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충분한 접속을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50) 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유지 부재 (30) 에 지지되어 있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50) 에는 캠 (51) 이 형성되어 있다. 액추에이터 (50) 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캠 (51) 은 제 1 콘택트 (10) 및 제 2 콘택트 (20) 에 대해 그다지 힘을 가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커넥터 (1) 의 수용부 (6) 에 FPC (80) 의 단부 (82) 를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다. 이에 반해, 액추에이터 (50) 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캠 (51) 이 제 1 콘택트 (10) 및 제 2 콘택트 (20) 에 힘을 가하여 상측 접점부 (11, 21) 와 하측 접점부 (12, 22) 사이의 거리를 좁히려고 한다. 그 때문에, 수용부 (6) 에 FPC (80) 의 단부 (82) 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측 접점부 (11, 21) 또는 하측 접점부 (12, 22) 가 FPC (80) 의 단자 (83) 에 압착되어, 그들 사이의 접속이 확보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1) 는 백 플립형이다. 도 1 내지 도 3 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50) 를 후방으로 넘어뜨렸을 때에 액추에이터 (50) 를 폐쇄 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도 7 및 도 11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드 부재 (60) 는, 액추에이터 (50) 에 매립되어 있다. 도시된 실드 부재 (60) 는, 가늘고 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액추에이터 (50) 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 1 콘택트 (10) 의 고정부 (13) 의 상방 (+Z 측) 에 위치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1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50) 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실드 부재 (60) 는, 쉘 (40) 의 쉘 접속부 (43) 에 접속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액추에이터 (50) 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실드 부재 (60) 는, 쉘 (40) 을 개재하여 커넥터 (1) 가 탑재된 대상물 (도시 생략) 의 그라운드부에 접속된다. 이로써, 제 1 콘택트 (10) 의 고정부 (13) 는, 실드 부재 (60) 에 의해 전자적 (電磁的) 으로 보호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 (1) 의 수용부 (6) 에 대해 FPC (80) 의 단부 (82) 를 삽입하면, 하측 접속부 (46) 또는 상측 접속부 (45) 가 FPC (80) 의 노출부 (88) 에 대해 각각 접속된다. 이로써, 그라운드 패턴 (86) 이 쉘 (40) 을 개재하여 대상물 (도시 생략) 의 그라운드부에 접속되어, 높은 실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 (50) 를 후방으로 넘어뜨려 폐쇄 상태로 하면, 상측 접점부 (11, 21) 또는 하측 접점부 (12, 22) 가 FPC (80) 의 단자 (83) 에 각각 접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자 (83) 가 상측을 향하도록, 수용부 (6) 에 대해 FPC (80) 의 단부 (82) 를 삽입하고 나서 액추에이터 (50) 를 후방으로 넘어뜨려 폐쇄 상태로 하면, 하측 접속부 (46) 가 FPC (80) 의 노출부 (88) 에 대해 각각 접속됨과 함께 상측 접점부 (11, 21) 가 FPC (80) 의 단자 (83) 에 각각 접속된다. 또, 단자 (83) 가 하측을 향하도록, 수용부 (6) 에 대해 FPC (80) 의 단부 (82) 를 삽입하고 나서 액추에이터 (50) 를 후방으로 넘어뜨려 폐쇄 상태로 하면, 상측 접속부 (45) 가 FPC (80) 의 노출부 (88) 에 대해 각각 접속됨과 함께 하측 접점부 (12, 22) 가 FPC (80) 의 단자 (83) 에 각각 접속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1) 는, 그라운드 패턴 (86) 을 갖는 FPC (80) 와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8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측 접속부 (45) 및 하측 접속부 (46) 는, 일반적인 FPC (80A) 의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FPC (80A) 와 커넥터 (1) 의 접속을 저해하지 않는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1) 는, 띠상의 형상을 갖는 일반적인 FPC (80A) 와도 접속 가능하다.
게다가, 상측 접속부 (45) 및 하측 접속부 (46) 는, 상측 접점부 (11, 21) 나 하측 접점부 (12, 22) 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서 상측 접점부 (11, 21) 나 하측 접점부 (12, 22) 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점에서, 커넥터 (1) 를 특별히 대형화하지 않고, 커넥터 (1) 에 대해 상측 접속부 (45) 및 하측 접속부 (46)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접속부 (45) 및 하측 접속부 (46) 를 상기 서술한 위치에 배치한 점에서, 쉘 (40) 이 제 2 콘택트 (20) 의 고정부 (23) 의 상방을 가로지를 필요가 없고, 그 때문에, 커넥터 (1) 를 상방에서 본 경우에, 제 2 콘택트 (20) 의 고정부 (23) 를 시인할 수 있다. 즉, 고정부 (23) 를 회로 기판 등의 대상물 (도시 생략) 에 납땜에 의해 접속했을 때에, 납땜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1) 를 예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변형ㆍ응용이 가능하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넥터 (1) 에 접속되는 접속 부재는 FPC (80) 였다. FPC (80) 대신에 다른 판상 또는 시트상의 접속 부재를 커넥터에 접속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접속 부재는 FFC 여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커넥터 (1) 는, 액추에이터 (50) 를 구비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를 갖지 않는 타입의 커넥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커넥터 (1) 는, 액추에이터 (50) 를 후방으로 넘어뜨려 폐쇄 상태로 하는 백 플립형인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프론트 플립형인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단, 프론트 플립형보다 백 플립형의 커넥터 (1) 쪽이 쉘 (40) 의 주판부 (41) 에 의해 유지 부재 (30) 의 대부분을 덮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점에서, 커넥터 (1) 가 높은 실드 특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커넥터 (1) 는 백 플립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쉘 (40) 은 유지 부재 (30) 의 대부분을 덮고 있었지만, 높은 실드 특성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홀드 다운 부재를 유지 부재 (30) 의 양단에 각각 장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홀드 다운 부재는, 주판부 (41) 를 생략하여 얻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홀드 다운 부재는, 측부 (42) 나 홀드 다운 (44)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 경우, 상측 접속부 (45) 및 하측 접속부 (46) 는 홀드 다운 부재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서술한 커넥터 (1) 는, 제 1 콘택트 (10) 및 제 2 콘택트 (20) 의 2 종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제 1 콘택트 (10) 만 또는 제 2 콘택트 (20) 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단, 콘택트 간의 피치를 좁게 하기 위해서는, 커넥터 (1) 는 제 1 콘택트 (10) 및 제 2 콘택트 (20) 의 2 종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커넥터 (1) 는, 실드 부재 (60) 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커넥터 (1) 가 제 1 콘택트 (10) 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나 커넥터 (1) 가 높은 실드 특성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실드 부재 (60) 를 생략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커넥터 (1) 는, FPC (80) 를 반대로 끼우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측 접점부 (11, 21) 및 하측 접점부 (12, 22) 와 상측 접속부 (45) 및 하측 접속부 (46) 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커넥터 (1) 가 반대로 끼워진 FPC (80) 와 접속할 필요가 없는 것이라면, 상측 접점부 (11, 21) 및 하측 접점부 (12, 22) 중 어느 일방만의 접점부와, 상측 접속부 (45) 및 하측 접속부 (46) 중 어느 일방만의 실드 접속부를 커넥터 (1) 가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측 접속부 (45) 와 하측 접속부 (46) 를 각각 스프링 접점과 돌출부로 하고 있었지만, 상측 접속부 (45) 와 하측 접속부 (46) 를 각각 돌출부와 스프링 접점으로 해도 된다. 상측 접속부 (45) 와 하측 접속부 (46) 의 쌍방을 스프링 접점으로 해도 된다.
게다가, 커넥터 (1) 에 대한 FPC (80) 를 반대로 끼우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측 접속부 (45) 또는 하측 접속부 (46) 를 스프링 접점으로 하여 노출부 (88) 에 각각 접속시키고, 나머지를 각각 평탄면을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회전 방지부 (32) 는, 각각 유지 부재 (30) 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었지만, 유지 부재 (30) 의 일부 이외의 부재에 의해 회전 방지부 (32) 를 구성해도 된다. 또, 다른 수단에 의해 FPC (80) 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면, 회전 방지부 (32) 를 생략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FPC (80) 는, 도 16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신호층 (90) 을 1층만 구비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FPC (80) 에 대해 신호층을 2 층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FPC (80) 에 있어서, 노출부 (88) 는 단자 (83) 가 형성된 면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노출부 (88) 와 단자 (83) 를 공통된 면에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2013년 10월 25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제 2013-221730호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3)

  1. 전후 방향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여 삽입된 접속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로서,
    상기 접속 부재는, 판상 또는 시트상의 형상을 가짐과 함께 단자 및 그라운드 패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커넥터는, 복수의 콘택트와, 유지 부재와, 도전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콘택트는 각각 접점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접점부는 각각 상기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고,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유지 부재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그라운드 패턴과 접속하는 실드 접속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실드 접속부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의 전측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커넥터는 쉘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쉘은 도전체로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유지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있고,
    상기 쉘은 상기 도전 부재로서 기능하며,
    상기 실드 접속부는, 상기 쉘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액추에이터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상기 유지 부재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후방으로 쓰러졌을 때에 상기 폐쇄 상태를 취함과 함께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를 상기 접속 부재의 상기 단자에 각각 접속시키고,
    실드 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액추에이터에 매립되어 있고,
    상기 쉘은 주판부와, 2 개의 측부와, 2 개의 쉘 접속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측부는,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판부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쉘 접속부는, 각각 상기 측부로부터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쉘 접속부는, 상기 주판부의 후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실드 부재는, 상기 쉘의 상기 쉘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콘택트는, 각각 상측 접점부 및 하측 접점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상측 접점부 및 상기 하측 접점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각각 대향하고 있고,
    상기 단자가 상측에 면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상기 접속 부재가 삽입된 경우, 상기 상측 접점부가 각각 상기 접점부로서 상기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단자가 하측에 면(面)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상기 접속 부재가 삽입된 경우, 상기 하측 접점부가 각각 상기 접점부로서 상기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도전 부재는, 상측 접속부 및 하측 접속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상측 접속부 및 상기 하측 접속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고,
    상기 그라운드 패턴이 상측에 면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상기 접속 부재가 삽입된 경우, 상기 상측 접속부가 상기 실드 접속부로서 상기 그라운드 패턴과 접속하고,
    상기 그라운드 패턴이 하측에 면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상기 접속 부재가 삽입된 경우, 상기 하측 접속부가 상기 실드 접속부로서 상기 그라운드 패턴과 접속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접속부 및 상기 하측 접속부 중 하나는 스프링 접점이고, 상기 상측 접속부 및 상기 하측 접속부 중 나머지 하나는 돌출부인,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전후 방향과 상기 폭 방향에서 규정되는 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부재의 회전 이동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회전 방지부는,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점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실드 접속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대상물에 탑재되는 것이고,
    상기 도전 부재는 그라운드부에 접속되고,
    상기 그라운드부는 상기 대상물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홀드 다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홀드 다운은 상기 그라운드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홀드 다운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7.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콘택트는 각각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접점부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전방 콘택트를 적어도 1 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방 콘택트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본 경우에 시인할 수 있는, 커넥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40133086A 2013-10-25 2014-10-02 커넥터 KR101677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21730 2013-10-25
JP2013221730A JP6199153B2 (ja) 2013-10-25 2013-10-25 コネクタ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104A Division KR101791352B1 (ko) 2013-10-25 2016-08-29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032A KR20150048032A (ko) 2015-05-06
KR101677804B1 true KR101677804B1 (ko) 2016-11-18

Family

ID=529959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086A KR101677804B1 (ko) 2013-10-25 2014-10-02 커넥터
KR1020160110104A KR101791352B1 (ko) 2013-10-25 2016-08-29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104A KR101791352B1 (ko) 2013-10-25 2016-08-29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00067B2 (ko)
JP (1) JP6199153B2 (ko)
KR (2) KR101677804B1 (ko)
CN (1) CN104577386B (ko)
TW (1) TWI5710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6902B2 (ja) * 2012-10-22 2016-07-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88272B2 (ja) 2015-08-24 2019-10-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588271B2 (ja) * 2015-08-24 2019-10-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10553973B2 (en) * 2015-09-08 2020-02-04 Fci Usa Llc Electrical power connector
WO2018025289A1 (ja) * 2016-08-02 2018-02-08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表示装置
WO2018056972A1 (en) 2016-09-22 2018-03-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ical connectors for flat circuits
JP6540674B2 (ja) * 2016-12-09 2019-07-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15275663A (zh) * 2017-08-03 2022-11-01 安费诺有限公司 用于低损耗互连系统的连接器以及电子器件系统
CN115632285A (zh) 2018-04-02 2023-01-20 安达概念股份有限公司 受控阻抗线缆连接器以及与其耦接的装置
JP6976230B2 (ja) * 2018-07-27 2021-12-08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11101611B2 (en) 2019-01-25 2021-08-24 Fci Usa Llc I/O connector configured for cabled connection to the midboard
CN117175239A (zh) 2019-01-25 2023-12-05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插座连接器和电连接器
EP4032147A4 (en) 2019-09-19 2024-02-21 Amphenol Corp HIGH-SPEED ELECTRONIC SYSTEM WITH INTERMEDIATE BOARD CABLE CONNECTOR
CN113258325A (zh) 2020-01-28 2021-08-13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高频中板连接器
JP7404142B2 (ja) * 2020-04-17 2023-1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組立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2256A (ja) 2008-05-09 2009-11-19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JP2010267498A (ja) 2009-05-15 2010-11-25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3109A (en) * 1992-12-23 1994-1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ical cable having flat, flexible, multiple conductor sections
US5387125A (en) * 1993-07-29 1995-02-07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for flexible flat cable
JP2001068907A (ja) * 1999-08-26 2001-03-16 Yamaichi Electronics Co Ltd Fpcケーブルおよびfpc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6645002B1 (en) * 2002-05-31 2003-11-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IDC connector assembly
US6755687B1 (en) * 2003-10-15 2004-06-2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icro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ontacts
JP2005322470A (ja) * 2004-05-07 2005-11-17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US6932648B1 (en) * 2004-08-02 2005-08-23 P-Two Industries Inc.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JP2006066242A (ja) * 2004-08-27 2006-03-09 Tyco Electronics Amp Kk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シールド部材
JP2006134708A (ja) * 2004-11-05 2006-05-25 Jst Mfg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06179192A (ja) 2004-12-20 2006-07-06 Nippon Densan Corp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US7086869B1 (en) * 2005-01-20 2006-08-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cable interconnect with integrated EMC shielding
JP4931417B2 (ja) * 2005-12-27 2012-05-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SG141263A1 (en) * 2006-09-11 2008-04-28 Molex Inc Electrical connector
KR20080073480A (ko) * 2007-02-06 2008-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랫케이블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JP5159136B2 (ja) * 2007-03-28 2013-03-0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4514802B2 (ja) * 2008-02-05 2010-07-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09193786A (ja) * 2008-02-13 2009-08-2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Hdmi規格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9200015A (ja) * 2008-02-25 2009-09-03 Denso Corp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電子装置
WO2010002099A2 (ko) * 2008-07-03 2010-01-07 Lee Soo-Jin Fpc를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fpc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fpc 접속방법
JP4837711B2 (ja) * 2008-09-02 2011-12-1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KR20100048200A (ko) * 2008-10-30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7914322B2 (en) * 2009-02-23 2011-03-29 Pei-Yu Lin Cable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with improved housing structure
JP4754006B2 (ja) * 2009-03-12 2011-08-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1159880A (ja) * 2010-02-02 2011-08-18 Sumitomo Electric Printed Circuit Inc 差込端付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接続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5019079B2 (ja) * 2010-03-10 2012-09-05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SG174646A1 (en) * 2010-03-26 2011-10-28 Molex Inc Card edg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thereof
KR20110132821A (ko) 2010-06-03 2011-12-09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고속신호전송용 플렉시블 커넥터
JP5112484B2 (ja) * 2010-08-19 2013-01-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2004190U (zh) * 2011-01-27 2011-10-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12169243A (ja) * 2011-01-28 2012-09-06 Tyco Electronics Japan Kk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コネクタ
JP5748335B2 (ja) * 2011-06-08 2015-07-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05052B2 (ja) 2011-11-08 2013-10-02 Smk株式会社 板状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973711B2 (ja) * 2011-11-25 2016-08-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2256A (ja) 2008-05-09 2009-11-19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JP2010267498A (ja) 2009-05-15 2010-11-25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032A (ko) 2015-05-06
KR20160105749A (ko) 2016-09-07
CN104577386A (zh) 2015-04-29
US20150118909A1 (en) 2015-04-30
CN104577386B (zh) 2017-04-12
KR101791352B1 (ko) 2017-10-27
US9300067B2 (en) 2016-03-29
JP6199153B2 (ja) 2017-09-20
TWI571018B (zh) 2017-02-11
TW201535889A (zh) 2015-09-16
JP2015084275A (ja)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352B1 (ko) 커넥터
US7934957B1 (en) Connector with circuit board mounted ground portion
US9300091B2 (en) Connector with interposed ground plate
US8128425B2 (en) Cable connector having multiple, mutually independent contact arms
CN207834619U (zh) 电连接器
US7549882B2 (en)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US8696384B2 (en)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US922509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guard portion
TW200919847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US20180123285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WO2011040419A1 (ja) 基板用コネクタの実装構造
TWI389408B (zh) Connectors and electronic devices with this connector
US9252516B2 (en) Connector
US7374426B2 (en) Card-edge board connector that electrically connects two boards
JP2011150848A (ja) シールド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
KR101578975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7100983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101463655B1 (ko) 전기 커넥터
JP4545176B2 (ja) コネクタ
KR20210016631A (ko) 케이블용 커넥터
JP2017143070A (ja) 接続部材
CN104412459A (zh) 柔性多线连接器
TWM376961U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