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631A -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631A
KR20210016631A KR1020217000795A KR20217000795A KR20210016631A KR 20210016631 A KR20210016631 A KR 20210016631A KR 1020217000795 A KR1020217000795 A KR 1020217000795A KR 20217000795 A KR20217000795 A KR 20217000795A KR 20210016631 A KR20210016631 A KR 20210016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ion object
contact portion
terminal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933B1 (ko
Inventor
후미히토 이케가미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6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와, 판상의 접속 대상물을 삽발 가능한 삽입홈을 가지는 인슐레이터와,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제 1 단자는, 액추에이터의 피계합부와 계합하는 계합부에 의해, 액추에이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2 단자는, 접속 대상물의 판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접속 대상물의 일방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 1 아암부와, 제 1 아암부와 판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면서, 또한 접속 대상물의 타방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선단에 포함하는 제 2 아암부를 가진다. 제 1 접촉부는, 제 1 아암부의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당해 단부에서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되접어 꺾어서 형성되는 탄성편의 일부이다. 제 2 접촉부는, 제 1 접촉부보다도 접속 대상물의 제거 방향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케이블용 커넥터
본 출원은, 2018년 7월 27일에 일본국에 특허출원된 특원2018-141787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를 위하여 포함한다.
본 개시는,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에는, 내부 배선의 작업성 향상을 위하여,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및 FFC(Flexible Flat Cable)(이하, 이들을 「FPC 등」이라고도 말한다)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전자기기 내부에 있어서, FPC 등을, 프린트 배선 기판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234646호 공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는,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와, 인슐레이터와,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를 지지하며, 또한 판상의 접속 대상물을 삽입 및 제거 가능한 삽입홈을 가진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는 피(被)계합부를 가진다.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피계합부와 계합(engaging)하는 계합부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 2 단자는, 제 1 아암부 및 제 2 아암부를 가진다. 상기 제 1 아암부는, 상기 접속 대상물의 판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접속 대상물의 일방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아암부는, 상기 제 1 아암부와 상기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면서, 또한 상기 접속 대상물의 타방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선단에 포함한다. 상기 제 1 접촉부는, 상기 제 1 아암부의 단부(端部)로부터 연장하고, 당해 단부에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되접어 꺾어서 형성되는 탄성편(彈性片)의 일부이다. 상기 제 1 접촉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피계합부보다도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 2 단자의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제 2 단자의 상기 제 1 접촉부보다도 상기 접속 대상물의 제거 방향측에 위치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접속 대상물 및 커넥터의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접속 대상물 및 커넥터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제 1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제 2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Ⅰ-Ⅰ선을 따른 접속 대상물 및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Ⅱ-Ⅱ선을 따른 접속 대상물 및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접속 대상물을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를 폐쇄 상태까지 회전시켰을 때의 도 7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접속 대상물을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를 폐쇄 상태까지 회전시켰을 때의 도 8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의 하면도이다.
그런데, 최근의 통신기술의 발전 등에 수반하여, 전자기기 내부 및 모듈, 모듈 사이를 접속하는 FPC 등을 전송하는 신호의 전송 속도의 고속화도 진행되고 있다. 신호의 전송 속도가 고속화하면, 가령 FPC 등이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의 영향을 받았을 경우 및/또는 FPC 등으로부터 발생한 전기적 노이즈가 타부품에 영향을 주었을 경우, 전자기기가 오작동할 우려가 있다.
상기 노이즈에 대한 대책으로서, 편방(片方)의 표면 또는 양방의 표면에, 그라운드로서 이용 가능한 그라운드층이 형성된 FPC 등을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에 의해, FPC 등에 영향을 주는 외부로부터의 노이즈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FPC 등으로부터 발생한 전기적 노이즈에 있어서도, 그라운드층에 의해 노이즈가 차단되기 때문에 타부품으로의 영향이 억제된다. 이 경우에 이용하는 커넥터로서, FPC 등의 그라운드층과 접촉하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커넥터를 이용하는 경우, 종래에는, FPC 등의 그라운드층이 편방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지, 또는, 양방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지에 따라, 커넥터를 구성하는 콘택트를 구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그라운드층이 판상의 접속 대상물의 편방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지 또는 양방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지에 영향이 미치는 일 없이, 전기적인 접속을 할 수 있는 케이블용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상하 방향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20)가 회로 기판(CB)에 겹쳐진 방향을 가리킨다. 또는, 상하 방향은, 판상의 접속 대상물(10)에 직교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상하 방향은, 접속 대상물(10)의 두께 방향인 판두께 방향과 대응한다. 전후 방향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10)이 커넥터(20)에 대하여 삽발(揷拔)되는 삽발 방향을 가리킨다. 삽발 방향은, 접속 대상물(10)이 커넥터(20)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과, 접속 대상물(10)이 커넥터(20)로부터 제거되는 제거 방향을 맞춘 방향이다. 삽입 방향은, 전(前)방향으로부터 후(後)방향을 향하는 방향이다. 제거 방향은, 후방향으로부터 전방향을 향하는 방향이다. 좌우 방향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콘택트(40) 등이 배열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또는, 좌우 방향은, 전방향으로부터 커넥터(20)를 볼 때의 좌우의 방향을 가리킨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접속 대상물(10) 및 커넥터(20)의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접속 대상물(10) 및 커넥터(20)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접속 대상물(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 형상이다. 이하, 접속 대상물(10)은, FPC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접속 대상물(10)은, FPC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속 대상물(10)은, 커넥터(20)에 삽입 가능한 판상 형상이면, 임의의 구조물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접속 대상물(10)은, FFC여도 된다. 접속 대상물(10)은, 커넥터(20)를 개재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회로 기판(C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회로 기판(CB)은, 리지드 기판이어도 되고 또는 그 외의 임의의 회로 기판이어도 된다.
접속 대상물(10)은, 복수의 박막재를 서로 접착함으로써 구성된다. 바꿔 말하면, 접속 대상물(10)은, 적층 구조를 가진다. 접속 대상물(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용의 도전층(11)과, 그라운드용의 그라운드층(12,13)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접속 대상물(10)은, 양방의 표면에, 그라운드용의 그라운드층(12,13)의 각각을 구비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접속 대상물(10)은, 편방의 표면에만, 그라운드용의 그라운드층을 구비하여도 된다.
도전층(11)은, 예를 들면 임의의 금속이며, 박막상(狀)으로 구성된다. 도전층(1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10)의 후방향의 선단 부근에 있어서 노출된다. 도전층(11)은, 당해 선단 부근을 제외한 개소에서는, 그라운드층(12)에 의해 덮인다. 도전층(11)은, 커넥터(20)를 개재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회로 기판(CB) 상의 신호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라운드층(12,13)은, 예를 들면 임의의 금속이며, 박막상으로 구성된다. 그라운드층(12,1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10)의 후방향의 선단 부근에 있어서 노출된다. 그라운드층(12,13)은, 당해 선단 부근을 제외한 개소에서는, 커버 필름에 의해 덮여도 된다. 그라운드층(13)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10)의 상측의 표면에 형성된다. 그라운드층(12)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10)의 하측의 표면에 형성된다. 그라운드층(12,13)은, 커넥터(20)를 개재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회로 기판(CB) 상의 그라운드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20)는, 케이블용 커넥터이다. 커넥터(20)는, 도 1에 나타내는 회로 기판(CB)에 배치된다. 커넥터(20)는, 접속 대상물(10)과 회로 기판(CB)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커넥터(20)의 구성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20)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제 1 콘택트(40)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제 2 콘택트(50)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Ⅰ-Ⅰ선을 따른 접속 대상물(10) 및 커넥터(20)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Ⅱ-Ⅱ선을 따른 접속 대상물(10) 및 커넥터(20)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접속 대상물(10)을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70)를 폐쇄 상태까지 회전시켰을 때의 도 7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접속 대상물(10)을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70)를 폐쇄 상태까지 회전시켰을 때의 도 8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액추에이터(70)의 개방 상태」란, 도 7 및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인슐레이터(30)에 대하여 액추에이터(70)가 개방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추에이터(70)의 개방 상태」란, 액추에이터(70)가 접속 대상물(10)의 삽입 방향(전방향으로부터 후방향)을 향하여 회전 운동한 상태이다. 액추에이터(70)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접속 대상물(10)은, 인슐레이터(30)에 대하여 삽입 및 제거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액추에이터(70)의 폐쇄 상태」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인슐레이터(30)에 대하여 액추에이터(70)가 폐쇄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추에이터(70)의 폐쇄 상태」란, 액추에이터(70)가 접속 대상물(10)의 제거 방향(후방향으로부터 전방향)을 향하여 회전 운동한 상태이다. 액추에이터(70)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인슐레이터(30)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10)은, 인슐레이터(30)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가 된다.
커넥터(2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30)와, 제 1 단자로서의 제 1 콘택트(40)와, 제 2 단자로서의 제 2 콘택트(50)와, 고정 금구(60)와, 액추에이터(7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커넥터(20)에서는, 제 2 콘택트(50)는, 제 1 콘택트(40)의 배열의 양단에 배치된다. 제 2 콘택트(50)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 콘택트(50)는, 제 1 콘택트(40)의 배열을 따라 소정 간격(예를 들면, 2개의 제 1 콘택트(40) 마다)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택트 배열 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 2 콘택트(50), 제 1 콘택트(40), 제 1 콘택트(40), 제 2 콘택트(50)와 같은 배열이어도 된다.
인슐레이터(3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좌우 대칭의 상자형 부재이다. 인슐레이터(30)는, 절연성이면서 또한 내열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상자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인슐레이터(30)는, 제 1 콘택트(40) 및 제 2 콘택트(50)를 지지한다. 인슐레이터(30)는, 상기 서술의 도 1에 나타내는 접속 대상물(10)을 삽입 및 제거 가능하다. 인슐레이터(3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홈(31)과, 제 1 삽입구(32)와, 제 2 삽입구(33)와, 장착홈(34)과, 저벽(35)을 가진다.
삽입홈(31)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30)의 좌우 방향에 걸쳐서 오목하게 마련된다. 삽입홈(31)은, 전방향을 향하여 개방한다. 삽입홈(31)은, 인슐레이터(30)의 내부에까지 이른다. 삽입홈(31)에 대하여, 상기 서술의 도 1에 나타내는 접속 대상물(10)이 삽발된다. 삽입홈(31)은, 접속 대상물(10)을 삽입 및 제거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내는 삽입홈(31)의 상측에는, 액추에이터(70)가 위치한다.
제 1 삽입구(3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홈(31)의 내면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 1 삽입구(32)의 하부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홈(31)의 하측 내면에 마련된다. 제 1 삽입구(32)의 상부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홈(31)의 상측 내면에 마련된다. 제 1 삽입구(3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30)의 후면을 관통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30)의 하면을 따른 제 1 삽입구(32)의 표면 형상은, 전후 방향으로 긴 변을 가지면서 또한 좌우 방향으로 짧은 변을 가지는 직사각 형상이다. 제 1 삽입구(32)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콘택트(40)가 후방향으로부터 전방향을 향하여 압입(壓入)된다. 제 1 삽입구(32)에 제 1 콘택트(40)가 압입됨으로써, 인슐레이터(30)는, 제 1 콘택트(40)를 지지한다.
제 1 삽입구(32)의 배열 및 크기는, 제 1 콘택트(40)의 배열 및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콘택트(40)가 소정 간격으로 해리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 복수의 제 1 삽입구(32)가, 각 제 1 콘택트(40)에 대응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해리하여 좌우 방향으로 마련되어도 된다. 복수의 제 1 삽입구(32)의 하측 내면은, 각각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좌우 방향에 있어서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삽입구(32)의 상기 긴 변 및 상기 짧은 변의 길이는, 제 1 콘택트(40)가 제 1 삽입구(32)에 삽입되어서 보지(保持) 가능하면, 대응하는 제 1 콘택트(40)의 전후 폭 및 좌우 폭보다도 근소하게 커도 된다.
제 2 삽입구(3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홈(31)의 내면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 2 삽입구(33)의 하부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홈(31)의 하측 내면에 마련된다. 제 2 삽입구(33)의 상부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홈(31)의 상측 내면에 마련된다. 제 2 삽입구(3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30)의 후면을 관통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30)의 하면을 따른 제 2 삽입구(33)의 표면 형상은, 전후 방향으로 긴 변을 가지면서 또한 좌우 방향으로 짧은 변을 가지는 직사각 형상이다. 제 2 삽입구(33)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콘택트(50)가 후방향으로부터 전방향을 향하여 압입된다. 제 2 삽입구(33)에 제 2 콘택트(50)가 압입됨으로써, 인슐레이터(30)는, 제 2 콘택트(50)를 지지한다.
제 2 삽입구(33)의 배열 및 크기는, 제 2 콘택트(50)의 배열 및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콘택트(50)가 제 1 콘택트(40)의 배열의 양단에 배치되는 경우, 제 2 삽입구(33)는, 제 2 콘택트(50)에 대응하도록, 삽입홈(31)의 좌우 양단에 마련되어도 된다. 제 2 콘택트(50)가 제 1 콘택트(40)의 배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 2 삽입구(33)는, 당해 제 2 콘택트(50)에 대응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제 2 삽입구(33)의 하측 내면은, 각각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대략 일치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제 2 삽입구(33)의 상기 긴 변 및 상기 짧은 변의 길이는, 제 2 콘택트(50)가 제 2 삽입구(33)에 삽입되어서 보지 가능하면, 대응하는 제 2 콘택트(50)의 전후 폭 및 좌우 폭보다도 근소하게 커도 된다.
장착홈(34)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30)의 좌우 양단의 근방에 마련된다. 장착홈(34)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장착홈(34)은, 전방향을 향하여 개방한다. 장착홈(34)에는, 고정 금구(60)가 전방향으로부터 후방향을 향하여 압입된다.
저벽(35)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30)의 외측 하면에 형성된다. 저벽(35)은, 커넥터(20)가 회로 기판(CB)에 배치되었을 때, 제 1 삽입구(32)의 하측 내면 및 제 2 삽입구(33)의 하측 내면과, 회로 기판(CB)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제 1 콘택트(4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콘택트(40)는, 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 구리, 및 티탄 구리 등을 포함하는 스프링 탄성을 가지는 구리 합금 또는 콜슨계 구리 합금의 박판에 순송 금형(스탬핑)을 이용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콘택트(40)는, 박판인 재료의 펀칭 가공만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 1 콘택트(40)는 동일 평면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콘택트(40)는, 박판인 재료를 펀칭 가공한 후에, 절곡하여 형성시켜도 된다.
제 1 콘택트(40)는, 그 표면에 하지(base)가 되는 하지 도금이 형성된다. 하지 도금의 상면의 일부에 표층 도금이 적층된다. 하지 도금은, 예를 들면, 니켈, 팔라듐니켈 합금 또는 구리 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며, 땜납 및 플럭스에 대하여 저(低)젖음성을 가진다. 한편, 표층 도금은, 예를 들면, 금, 은, 주석 또는 주석구리 합금 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며, 땜납 및 플럭스에 대하여 고(高)젖음성을 가진다. 제 1 콘택트(40)의 표면은, 예를 들면,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 중요하게 되는 회로 기판(CB)과의 실장부 및 접속 대상물(10)과의 접촉부 등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표층 도금이 형성되고,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하지 도금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콘택트(40)의 표면은, 땜납 오름(wicking) 및 플럭스 오름을 막기 위해서, 최적인 영역에 있어서만 하지 도금에 의해 형성되고,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모두 표층 도금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땜납 오름 및 플럭스 오름을 효과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제 1 콘택트(40)의 최적인 영역에 있어서, 당해 영역에 포함되는 전체 방향의 표면에 대하여 하지 도금이 노출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제 1 콘택트(40)는, 회로 기판(CB) 상의 신호 패턴과, 도 9에 나타내는 접속 대상물(10)의 도전층(11)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 1 콘택트(40)는, 액추에이터(70)의 회전축(74)을 지지함으로써, 액추에이터(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1 콘택트(4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에 오목부(42)(계합부)를 포함하는 제 1 아암부(41)와, 선단에 접촉부(44)를 포함하는 제 2 아암부(43)와, 지지부(45)와, 실장부(47)를 가진다.
제 1 아암부(41)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45)로부터 전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 1 아암부(41)의 선단에는, 오목부(42)가 형성된다. 오목부(4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향을 향하여 개방한다. 오목부(42)는, 액추에이터(70)의 회전축(74)에 계합한다. 계합부로서의 오목부(42)가 액추에이터(70)의 피계합부로서의 회전축(74)에 계합함으로써, 제 1 콘택트(40)는, 액추에이터(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2 아암부(43)는, 접속 대상물(10)의 판두께 방향 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 1 아암부(4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제 1 아암부(41)에 대향한다. 제 2 아암부(43)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45)로부터 전방향을 향하여 연장한다. 제 2 아암부(43)의 선단에는, 접촉부(44)가 형성된다. 접촉부(44)는, 상방향으로 돌출한다. 접촉부(44)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10)의 타방의 표면 즉 접속 대상물(10)의 도전층(11)에 접촉한다. 제 2 아암부(43)의 선단은,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아암부(43)의 후방향측의 말단보다도, 상방향에 위치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9에 나타내는 접촉부(44)로부터 접속 대상물(10)로의 가압이 증가한다. 도 9에 나타내는 접촉부(44)로부터 접속 대상물(10)로의 가압이 증가함으로써, 접촉부(44)와 접속 대상물(10)의 도전층(11)의 사이의 접속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접촉부(44)는, 도 5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접촉부(44a) 및 제 4 접촉부(44b)를 포함하여도 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접촉부(44a) 및 제 4 접촉부(44b)는, 각각, 접속 대상물(10)의 도전층(11)에 접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콘택트(40)는, 제 3 접촉부(44a) 및 제 4 접촉부(44b)에 의한 2개의 접촉점으로 도전층(11)에 접촉할 수 있다. 2개의 접촉점으로 제 1 콘택트(40)와 도전층(11)이 접촉함으로써, 제 1 콘택트(40)와 도전층(11)의 사이의 접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제 3 접촉부(44a)는, 제 4 접촉부(44b)보다도, 접속 대상물(10)의 제거 방향측 즉 전방향측에 위치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접속 대상물(10)을 삽입할 때, 도전층(11)에 이물이 부착되어 있어도, 당해 이물을 제 3 접촉부(44a)에 의한 와이핑으로 제거한 후, 제 4 접촉부(44b)가 도전층(11)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콘택트(40)와 도전층(11)의 사이의 접촉의 신뢰성을 추가로 높일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지지부(45)는, 제 1 아암부(41) 및 제 2 아암부(43)를 지지한다. 예를 들면, 지지부(45)의 상부 근방은, 제 1 아암부(41)의 후방향의 말단에 접속된다. 지지부(45)의 하부 근방은, 제 2 아암부(43)의 후방향의 말단에 접속된다.
지지부(45)의 상부에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46)가 형성된다. 돌출부(46)는, 인슐레이터(30)의 제 1 삽입구(32)의 상측 내면에 파고 들어간다. 지지부(45)의 하부는, 인슐레이터(30)의 제 1 삽입구(32)의 하측 내면에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콘택트(40)는, 제 1 삽입구(32)에 보지된다.
실장부(47)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30)의 후면보다도, 후방향으로 돌출한다. 실장부(47)의 하면은, 인슐레이터(30)의 하면보다도, 하방향에 위치한다. 실장부(47)는, 상기 서술의 도 1에 나타내는 회로 기판(CB) 상의 신호 패턴에 실장된다. 예를 들면, 실장부(47)는, 회로 기판(CB) 상에 도포한 땜납 페이스트에 재치됨으로써, 실장된다.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제 2 콘택트(5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대략 ㄷ자 형상이다. 제 2 콘택트(50)는, 제 1 콘택트(40)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 구리, 및 티탄 구리 등을 포함하는 스프링 탄성을 가지는 구리 합금 또는 콜슨계 구리 합금의 박판에 순송 금형(스탬핑)을 이용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제 2 콘택트(50)는, 박판인 재료의 펀칭 가공만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 2 콘택트(50)는 동일 평면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콘택트(50)는, 박판인 재료를 펀칭 가공한 후에, 절곡하여 형성시켜도 된다.
제 2 콘택트(50)의 표면에는, 제 1 콘택트(40)와 마찬가지로, 하지 도금 및 표층 도금이 형성되어도 된다. 제 2 콘택트(50)의 표면은, 제 1 콘택트(40)와 마찬가지로, 땜납 오름 및 플럭스 오름을 막기 위해서, 최적인 영역에 있어서만 하지 도금에 의해 형성되고,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모두 표층 도금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땜납 오름 및 플럭스 오름을 효과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제 2 콘택트(50)의 최적인 영역에 있어서, 당해 영역에 포함되는 전방향의 표면에 대하여 하지 도금이 노출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제 2 콘택트(50)는, 회로 기판(CB) 상의 그라운드 패턴과, 도 10에 나타내는 접속 대상물(10)의 그라운드층(12) 및 그라운드층(13)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 2 콘택트(5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촉부(52)를 포함하는 제 1 아암부(51)와, 선단에 제 2 접촉부(55)를 포함하는 제 2 아암부(54)와, 지지부(56)와, 실장부(58)를 가진다.
제 1 아암부(51)는,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56)로부터 전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 1 아암부(51)의 단부(51a)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70)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액추에이터(70)보다도, 접속 대상물(10)의 제거 방향측 즉 전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즉, 제 1 아암부(51)의 단부(51a)는, 도 8에 나타내는 선(L)보다도, 전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접속 대상물(10)을 도 3에 나타내는 인슐레이터(30)의 삽입홈(31)에 삽입할 때, 접속 대상물(10)이 제 1 아암부(51)의 단부(51a)에 맞닿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접속 대상물(10)이 제 1 아암부(51)의 단부(51a)에 맞닿는 것을 막음으로써, 접속 대상물(10)을 도 3에 나타내는 인슐레이터(30)의 삽입홈(31)에 스무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접속 대상물(10)을 삽입홈(31)에 삽입할 때에, 접속 대상물(10)이 제 1 아암부(51)의 단부(51a)에 맞닿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제 1 아암부(51)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아암부(51)에는, 제 1 접촉부(52)가 형성된다. 제 1 접촉부(52)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10)의 일방의 표면 즉 접속 대상물(10)의 그라운드층(13)에 접촉한다. 제 1 접촉부(52)는, 접속 대상물(10)의 판두께 방향 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 탄성 변형한다. 예를 들면, 제 1 접촉부(52)는, 탄성편(53)의 일부여도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53)은, 제 1 아암부(51)의 단부(51a)로부터 연장 돌출하여, 단부(51a)에서 제 1 아암부(51)의 후방향을 향하여 되접어 꺾여서 형성되어도 된다. 탄성편(53)의 대략 중앙 부분은, 제 2 아암부(54)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절곡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 1 접촉부(52)는, 탄성편(53)의 대략 중앙 부분이어도 된다. 이렇게 탄성편(53)이 되접어 꺾인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 1 접촉부(52)의 탄성 변형의 변위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제 1 접촉부(52)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70)의 회전축(74)보다도, 접속 대상물(10)의 삽입 방향측 즉 후방향측에 위치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2 콘택트(50)의 단부가 액추에이터(70)의 회전축(74)보다도 제거 방향측 즉 전방향측에 위치하지 않아도, 제 1 접촉부(52)의 탄성 변형의 변위량을 크게 할 수 있다.
탄성편(53)의 선단(53a)의 일부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70)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인슐레이터(30)의 제 2 삽입구(33)의 상측 부분에 수용되어도 된다. 탄성편(53)은, 접속 대상물(10)이 인슐레이터(30)의 삽입홈(31)에 삽입되면, 접속 대상물(10)에 의해 상방향으로 눌린다. 탄성편(53)이 상방향으로 눌릴 때, 탄성편(53)의 선단(53a)의 일부가 미리 제 2 삽입구(33)의 상측 부분에 수용되어 있으면, 탄성편(53)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삽입구(33)의 상측 부분에 스무드하게 수용될 수 있다. 접속 대상물(10)이 인슐레이터(30)의 삽입홈(31)에 삽입될 때에 탄성편(53)이 제 2 삽입구(33)의 상측 부분에 스무드하게 수용됨으로써 제 2 콘택트(50)가 좌우로 어긋나는 것 및 탄성편(53)이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 2 아암부(54)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10)의 판두께 방향 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 1 아암부(5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제 1 아암부(51)에 대향한다. 제 2 아암부(54)는, 지지부(56)로부터 전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 2 아암부(54)의 선단에는, 제 2 접촉부(55)가 형성된다. 제 2 접촉부(55)는, 상방향으로 돌출한다. 제 2 접촉부(55)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10)의 타방의 표면 즉 접속 대상물(10)의 그라운드층(12)에 접촉한다. 제 2 아암부(54)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10)이 삽발되는 삽발 방향 즉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 1 아암부(51)보다도 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2 접촉부(55)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호용의 도전층(11)과는 접촉하지 않고, 그라운드층(12)과 접촉할 수 있다. 제 2 아암부(54)의 선단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아암부(54)의 후방향의 말단보다도, 상방향에 위치하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10에 나타내는 제 2 접촉부(55)로부터 접속 대상물(10)로의 가압이 증가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제 2 접촉부(55)로부터 접속 대상물(10)로의 가압이 증가함으로써, 제 2 접촉부(55)와 접속 대상물(10)의 그라운드층(12)의 사이의 접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20)가 회로 기판(CB)에 배치되는 방향 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 1 접촉부(52)와 제 2 접촉부(55)의 사이의 거리(D1)는, 도 8에 나타내는 접속 대상물(10)의 두께(T)보다도 작아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접촉부(52) 및 제 2 접촉부(55)는, 도 10에 나타내는 접속 대상물(10)을,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접촉부(52)와 접속 대상물(10)의 그라운드층(13)의 사이의 접촉의 신뢰성, 및, 제 2 접촉부(55)와 접속 대상물(10)의 그라운드층(12)의 사이의 접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20)가 회로 기판(CB)에 배치되는 방향 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 1 접촉부(52)와 제 1 콘택트(40)의 접촉부(44)(제 3 접촉부(44a) 또는 제 4 접촉부(44b))의 사이의 거리(D2)는, 접속 대상물(10)의 두께(T)보다도 작아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접촉부(52)와 제 1 콘택트(40)의 접촉부(44)는, 도 10에 나타내는 접속 대상물(10)을,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접촉부(52)와 접속 대상물(10)의 그라운드층(13)의 사이의 접촉의 신뢰성, 및, 제 1 콘택트(40)의 접촉부(44)와 접속 대상물(10)의 도전층(11)의 사이의 접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지지부(56)는, 제 1 아암부(51) 및 제 2 아암부(54)를 지지한다. 예를 들면, 지지부(56)의 상부 근방은, 제 1 아암부(51)의 후방향측의 말단에 접속된다. 지지부(56)의 하부 근방은, 제 2 아암부(54)의 후방향측의 말단에 접속된다.
지지부(56)의 상부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57)가 형성된다. 돌출부(57)는, 인슐레이터(30)의 제 2 삽입구(33)의 상측 내면에 파고 들어간다. 지지부(56)의 하부는, 인슐레이터(30)의 제 2 삽입구(33)의 하측 내면에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2 콘택트(50)는, 제 2 삽입구(33)에 보지된다.
실장부(58)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30)의 후면보다도, 후방향으로 돌출한다. 실장부(58)의 하면은, 인슐레이터(30)의 하면보다도, 하방향에 위치한다. 실장부(58)는, 상기 서술의 도 1에 나타내는 회로 기판(CB) 상의 그라운드 패턴에 실장된다. 예를 들면, 실장부(58)는, 회로 기판(CB) 상에 도포한 땜납 페이스트에 재치됨으로써, 실장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고정 금구(60)는, 임의의 금속판의 프레스 성형품이다. 2개의 고정 금구(60)가, 인슐레이터(30)의 좌우 양측에 위치한다. 고정 금구(60)는, 인슐레이터(30)의 장착홈(34)에 전방향으로부터 후방향을 향하여 압입됨으로써, 인슐레이터(30)에 고정된다. 고정 금구(6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61)와, 실장부(62)를 가진다.
지지부(6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장부(62)로부터 후방향을 향하여 연장 돌출한다. 지지부(61)는, 액추에이터(70)를 지지한다.
실장부(62)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장부(62)는, 도 1에 나타내는 회로 기판(CB)에 실장된다. 예를 들면, 실장부(62)는, 회로 기판(CB) 상에 도포한 땜납 페이스트에 재치됨으로써, 회로 기판(CB)에 실장된다. 실장부(62)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도 된다. 실장부(62)에 관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실장부(62)를 회로 기판(CB)에 실장시킬 때, 당해 관통 구멍에 땜납이 고이기 쉬워진다. 당해 관통 구멍에 땜납이 고이기 쉬워짐으로써, 회로 기판(CB)에 대한 실장부(62)의 고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당해 관통 구멍에 땜납이 고이기 쉬워짐으로써, 잉여 땜납이 기어 오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액추에이터(7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좌우 대칭의 판상 부재이다. 액추에이터(70)는, 절연성이면서 또한 내열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판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액추에이터(70)는, 인슐레이터(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액추에이터(7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부(71)와, 관통 구멍(72)과, 삽입홈(73)과, 회전축(74)(피계합부)과, 평면부(75)와, 평면부(76)를 가진다.
측부(7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70)의 좌우 양단에 마련된다. 좌우의 측부(71)의 회전축(74)측에 위치하는 기단부(71a)는, 각각, 좌우의 고정 금구(60)의 지지부(61)에 재치된다.
관통 구멍(72)은, 액추에이터(70)의 하방향의 단부 근방에 형성된다. 관통 구멍(72)은, 액추에이터(70)의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관통 구멍(72)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액추에이터(70)를 관통한다. 관통 구멍(72)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콘택트(40)의 오목부(42)가 삽입된다.
도 3에 나타내는 삽입홈(73)은, 액추에이터(70)의 하방향의 단부 근방에 형성된다. 삽입홈(73)은, 액추에이터(70)의 좌우 양단에 마련된다. 삽입홈(73)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액추에이터(70)를 관통한다. 삽입홈(73)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콘택트(50)의 제 1 아암부(51)의 일부가 삽입된다.
도 3에 나타내는 회전축(74)은, 관통 구멍(72)의 일부를 막도록 형성된다. 회전축(74)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콘택트(40)의 오목부(42)에 계합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측부(71)의 기단부(71a)가 고정 금구(60)의 지지부(6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회전축(74)과, 각 회전축(74)에 대응하는 제 1 콘택트(40)의 오목부(42)의 계합 관계가 유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금구(60)의 지지부(61)에 의해 측부(71)의 기단부(71a)가 지지됨으로써, 회전축(74)이 제 1 콘택트(40)의 오목부(42)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액추에이터(70)는, 회전축(74)을 중심으로, 인슐레이터(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평면부(7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70)의 좌우의 측부(71)의 사이에 연속하여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면부(75)는,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으며, 도 4에 나타내는 액추에이터(70)의 후방향측의 하측 단부에 평면으로 하여 형성된다. 평면부(75)는, 액추에이터(70)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인슐레이터(30)의 삽입홈(31)의 상측 내면보다도 상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접속 대상물(10)을 삽입홈(31)에 삽입할 때에, 접속 대상물(10)이 액추에이터(70)의 하방향의 단부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70)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접속 대상물(10)을 삽입홈(3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평면부(76)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70)의 좌우의 측부(71)의 사이에 마련된다. 평면부(76)는, 도 3에 나타내는 액추에이터(70)의 전방향측의 하측에 평면으로 하여 형성된다. 평면부(76)는, 액추에이터(70)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접속 대상물(10)의 표면과 접촉하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10)을 하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콘택트(40)의 접촉부(44) 등과 접속 대상물(10)의 사이의 접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20)에서는, 그라운드 단자로서의 제 2 콘택트(50)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촉부(52)를 포함하는 제 1 아암부(51)와, 제 2 접촉부(55)를 포함하는 제 2 아암부(54)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20)는, 제 1 접촉부(52) 및 제 2 접촉부(55)에 의해, 접속 대상물(10)의 양방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전층 즉 그라운드층(12) 및 그라운드층(13)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접속 대상물(10)이 그라운드층(12,13) 중 어느 일방만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20)는, 제 1 접촉부(52) 또는 제 2 접촉부(55)에 의해, 접속 대상물(10)이 구비하는 그라운드층(12) 또는 그라운드층(13)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커넥터(20)는, 접속 대상물(10)의 편방의 표면에만 도전층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제 1 접촉부(52) 또는 제 2 접촉부(55)에 의해, 당해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그라운드층이 판상의 접속 대상물의 편방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지 또는 양방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지에 영향이 미치는 일 없이, 전기적인 접속을 할 수 있는 케이블용의 커넥터(20)가 제공된다.
최근, 커넥터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커넥터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커넥터 내의 콘택트의 배열 간격(도 3의 예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콘택트(40) 및 제 2 콘택트(50)의 배열 간격)도 좁아져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콘택트(40) 및 제 2 콘택트(50)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박판인 재료의 펀칭 가공만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좁은 배열 간격에 대응할 수 있다. 펀칭 가공만으로 제 1 콘택트(40) 및 제 2 콘택트(50)를 형성함으로써, 복잡한 형상이어도, 제 1 콘택트(40) 및 제 2 콘택트(5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커넥터(20)는, 전자기기에 탑재된다. 전자기기는, 예를 들면, 카메라, 레이더, 드라이브 레코더 및 엔진 컨트롤 유닛 등의 임의의 차량 탑재기기를 포함한다. 전자기기는, 예를 들면,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선진 운전 지원 시스템 및 시큐러티 시스템 등의 차량 탑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임의의 차량 탑재기기를 포함한다. 전자기기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휴대 단말, 팩시밀리 및 복합기 등의 임의의 정보기기를 포함한다. 그 외, 전자기기는, 임의의 산업기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를 제(諸)도면 및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해 왔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에 의거하여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을 행하는 것이 용이한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따라서, 이들의 변형 또는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예를 들면, 각 기능부에 포함되는 기능 등은 논리적으로 모순되지 않도록 재배치 가능하다. 복수의 기능부 등은, 1개로 조합시키거나, 분할되거나 하여도 된다. 상기 서술한 본 개시와 관련되는 각 실시형태는, 각각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 충실하게 실시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히, 각 특징을 조합시키거나, 일부를 생략하거나 하여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제 2 콘택트(50)에 있어서, 제 2 접촉부(55)는, 제 1 접촉부(52)와 마찬가지로, 탄성편의 일부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2 접촉부(55)의 탄성 변형의 변위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제 2 접촉부(55)의 탄성 변형의 변위량을 크게 함으로써, 도 10에 나타내는 제 2 접촉부(55)와 그라운드층(12)의 사이의 접촉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제 1 콘택트(40) 및 제 2 콘택트(50)는, 좌우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콘택트(40) 및 제 2 콘택트(50)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어도 된다. 도 11은, 변형예와 관련되는 커넥터(20A)의 하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일부의 제 1 콘택트(40) 및 제 2 콘택트(50)는, 인슐레이터(30)의 후방향의 단부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다른 제 1 콘택트(40)는, 인슐레이터(30)의 전방향의 단부의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1 콘택트(40)와 제 2 콘택트(50)의 사이의 간격, 및, 인접하는 제 1 콘택트(40)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콘택트(40) 및 제 2 콘택트(50)는,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다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콘택트(40)의 배열 간격과, 제 2 콘택트(50)의 배열 간격이 달라도 된다. 이 경우, 제 1 콘택트(40)를 제 1 간격으로 배열시키고, 제 2 콘택트(50)를 제 1 간격보다도 큰 제 2 간격으로 배열시켜도 된다.
10 접속 대상물
11 도전층
12,13 그라운드층
20,20A 커넥터
30 인슐레이터
31 삽입홈
32 제 1 삽입구
33 제 2 삽입구
34 장착홈
35 저벽
40 제 1 콘택트(제 1 단자)
41 제 1 아암부
42 오목부(계합부)
43 제 2 아암부
44 접촉부
44a 제 3 접촉부
44b 제 4 접촉부
45 지지부
46 돌출부
47 실장부
50 제 2 콘택트(제 2 단자)
51 제 1 아암부
51a 단부
52 제 1 접촉부
53 탄성편
53a 선단
54 제 2 아암부
55 제 2 접촉부
56 지지부
57 돌출부
58 실장부
60 고정 금구
61 지지부
62 실장부
70 액추에이터
71 측부
71a 기단부
72 관통 구멍
73 삽입홈
74 회전축
75,76 평면부
CB 회로 기판

Claims (6)

  1.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를 지지하고, 또한 판상의 접속 대상물을 삽입 및 제거 가능한 삽입홈을 가지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는 피계합부를 가지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피계합부와 계합하는 계합부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접속 대상물의 판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접속 대상물의 일방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 1 아암부와,
    상기 제 1 아암부와 상기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면서, 또한 상기 접속 대상물의 타방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선단에 포함하는 제 2 아암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접촉부는, 상기 제 1 아암부의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단부에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되접어 꺾어서 형성되는 탄성편의 일부이며,
    상기 제 1 접촉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피계합부보다도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단자의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제 2 단자의 상기 제 1 접촉부보다도 상기 접속 대상물의 제거 방향측에 위치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접속 대상물의 타방의 표면에 각각 접촉하는 제 3 접촉부 및 제 4 접촉부를 가지고,
    상기 제 3 접촉부는, 상기 제 4 접촉부보다도, 상기 접속 대상물의 제거 방향측에 위치하는, 케이블용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의 상기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1 단자의 상기 제 3 접촉부 또는 상기 제 4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접속 대상물의 판두께보다도 작은, 케이블용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상기 제거 방향을 향하여 회전 운동에 의해 닫힌 상태인 폐쇄 상태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상기 삽입 방향을 향하여 회전 운동에 의해 개방한 상태인 개방 상태의 사이에서 회전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1 아암부의 상기 단부는, 상기 액추에이터보다도, 상기 접속 대상물의 제거 방향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케이블용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판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접속 대상물의 판두께보다도 작은, 케이블용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제 1 단자의 배열의 양단에 배치되는, 케이블용 커넥터.
KR1020217000795A 2018-07-27 2019-07-17 케이블용 커넥터 KR102565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41787A JP6976230B2 (ja) 2018-07-27 2018-07-27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JP-P-2018-141787 2018-07-27
PCT/JP2019/028122 WO2020022152A1 (ja) 2018-07-27 2019-07-17 ケーブル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631A true KR20210016631A (ko) 2021-02-16
KR102565933B1 KR102565933B1 (ko) 2023-08-10

Family

ID=6918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795A KR102565933B1 (ko) 2018-07-27 2019-07-17 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89841B2 (ko)
EP (1) EP3832809A4 (ko)
JP (1) JP6976230B2 (ko)
KR (1) KR102565933B1 (ko)
CN (1) CN112425004B (ko)
WO (1) WO20200221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2606B2 (en) * 2021-06-18 2023-08-29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ly conductive structur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9321A (ja) * 2002-07-01 2004-02-05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11134488A (ja) * 2009-12-22 2011-07-0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12234646A (ja) 2011-04-28 2012-11-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596B1 (ko) * 2003-08-27 2005-09-14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
CN2682624Y (zh) * 2003-11-28 2005-03-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578931B2 (ja) * 2004-10-18 2010-11-1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37982B2 (ja) * 2005-08-08 2010-03-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240495B2 (ja) * 2005-09-20 2009-03-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07597B2 (ja) * 2006-04-13 2011-06-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303736B2 (ja) * 2006-04-28 2009-07-29 エフシーアイ コネクターズ シンガポール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4951321B2 (ja) * 2006-12-07 2012-06-1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92631B2 (ja) * 2007-03-27 2010-06-3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192203B1 (ja) * 2007-12-26 2008-12-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669529B2 (ja) * 2008-04-23 2011-04-13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847569B2 (ja) * 2009-10-01 2011-12-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2339592A3 (en) * 2009-12-23 2011-12-14 Hitachi-LG Data Storage Korea, Inc. Cable, cable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JP2012004072A (ja) * 2010-06-21 2012-01-05 Omron Corp コネクタ
JP5112484B2 (ja) * 2010-08-19 2013-01-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54624B2 (ja) * 2010-09-27 2013-02-27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US9153888B2 (en) * 2010-10-22 2015-10-06 Fci High spee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KR101359784B1 (ko) * 2011-01-27 2014-02-07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JP5016127B1 (ja) * 2011-07-05 2012-09-05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US8636531B2 (en) * 2011-07-22 2014-01-28 Hosiden Corporation Connector for connection with flat connecting objects
TW201315036A (zh) * 2011-07-22 2013-04-01 Hosiden Corp 連接器
JP5799679B2 (ja) * 2011-09-02 2015-10-2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039511B2 (ja) * 2013-07-17 2016-12-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06713B2 (ja) * 2013-10-01 2017-10-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99153B2 (ja) * 2013-10-25 2017-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82565B2 (ja) * 2014-09-22 2018-02-21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WO2017033382A1 (ja) * 2015-08-26 2017-03-02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7152335A (ja) * 2016-02-26 2017-08-3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780352B2 (ja) * 2016-08-04 2020-11-04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1862009B1 (ko) * 2016-08-30 2018-05-29 몰렉스 엘엘씨 고속 신호 전송용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
JP2018097979A (ja) * 2016-12-09 2018-06-21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9321A (ja) * 2002-07-01 2004-02-05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11134488A (ja) * 2009-12-22 2011-07-0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12234646A (ja) 2011-04-28 2012-11-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32809A1 (en) 2021-06-09
US11289841B2 (en) 2022-03-29
EP3832809A4 (en) 2022-04-20
KR102565933B1 (ko) 2023-08-10
CN112425004A (zh) 2021-02-26
WO2020022152A1 (ja) 2020-01-30
JP6976230B2 (ja) 2021-12-08
US20210265756A1 (en) 2021-08-26
JP2020017505A (ja) 2020-01-30
CN112425004B (zh)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8290B2 (ja) Ffc用コネクタ
US11349240B2 (en) Floating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JP6971182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1155242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oating contacts each with multiple impedances
JP6941131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11322870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JP6979380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102565933B1 (ko) 케이블용 커넥터
JP7038597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19125583A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22009902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19160489A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19079787A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7100983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06331711A (ja) コネクタ
JP2019079816A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20230261426A1 (en) First connector and connector module
WO2022196536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WO2023074641A1 (ja) 第1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モジュール
JP2023067119A (ja) 第1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モジュール
JP2023067123A (ja) 第1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モジュール
KR20230117409A (ko) 커넥터 및 전자 기기
JP2022084462A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