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676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676B1
KR101659676B1 KR1020147029779A KR20147029779A KR101659676B1 KR 101659676 B1 KR101659676 B1 KR 101659676B1 KR 1020147029779 A KR1020147029779 A KR 1020147029779A KR 20147029779 A KR20147029779 A KR 20147029779A KR 101659676 B1 KR101659676 B1 KR 101659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fuel tank
longitudinal direction
ship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2313A (ko
Inventor
히로후미 츠카모토
다카시 후카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2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63B17/0036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4Fer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선박에 있어서, 선체 (11) 의 후부에 엔진 (13) 을 탑재함과 함께, 선체 (11) 의 내부를 격벽에 의해 복수의 구획 (A1, A2, A3, B1…D3, E1, E2, E3) 을 형성하고, 선체 (1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구획 (B2, C2) 에 연료 탱크 (14) 를 배치하여 LNG 를 저류하고, 그 밖의 구획 (A1, A2, A3, B1, B3, C1, C3, D1…E3) 을 카고 탱크로 하여 원유를 저류함으로써, 선체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선박 {SHIP}
본 발명은, 탱커, 여객선, 페리, 컨테이너선, RO-RO 선 (Roll-on/Roll-off Ship), 자동차 전용선으로서의 PCC (Pure Car Carrier), PCTC (Pure Car/Truck Carrier) 등의 일반적인 선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탱커는, 복수의 카고 탱크가 구획되고, 내부에 원유 등이 저류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후단부에 엔진이 탑재됨과 함께, 이 엔진의 주위에 연료 탱크가 탑재되고, 연료로서의 중유 등이 저류되어 있다.
이러한 연료 탱크의 배치 구조로는, 하기 특허문헌 1, 2 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것은, 선창 (船倉) 의 측방에 형성된 상부 탱크 내에 이 상부 탱크 내를 선체 외판측에 위치하는 외부 탱크와 선체의 중심측에 위치하는 내부 탱크로 분할하는 측방 격벽을 형성하고, 내부 탱크에 연료 탱크를 배치한 것이다.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것은, 선창 사이에 형성된 상부 탱크 내에 연료 탱크를 배치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4825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48455호
상기 서술한 종래의 탱커에서는, 후단부에 엔진 및 연료로서의 중유가 저류되는 연료 탱크가 배치되고, 그 전방에 원유가 저류되는 복수의 카고 탱크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원유가 만재되는 경우, 선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전후 방향) 의 중앙부가 하방으로 변형되는 응력을 받는다. 그 결과, 선급 협회 규칙이나 국제 규칙으로 정해지는 선체의 세로 강도를 만족시키기 위해, 선각 구조를 보강하기 위해 선체 강도 부재를 대형화할 필요에서, 선체의 중량 증가, 구조의 복잡화, 고비용화를 초래한다. 또, 상기 서술한 각 특허문헌에서는, 연료 탱크를 선체의 중앙 부근에 배치하고 있지만, 이 연료 탱크에 충전되는 연료가 중유이므로, 경량화가 도모되지 않고, 선체의 중앙부가 하방으로 변형되는 응력을 받아, 선각 구조를 보강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선체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은, 선체에 탑재되는 엔진과, 선체에 탑재되어 상기 엔진을 구동하기 위한 연료로서의 LNG 를 저류 가능한 연료 탱크와, 선체에 형성되는 적하 구획을 구비하고,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선체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 전방측으로 선체 전체 길이의 35 % 의 범위 또는 상기 중심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 후방측으로 30 % 의 범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적하에 대하여 경량이 되는 LNG 가 저류되는 연료 탱크가 선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심 위치의 근방에 배치됨으로써, 선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이 중앙부가 하방으로 변형되는 응력을 받기 어려워지고, 선각 구조의 대형화를 억제함으로써, 선체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에서는, 상기 연료 탱크는, 하나 또는 복수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료 탱크가 상기 범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선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량 밸런스와 연료 탱크의 사용 편리성을 고려하여, 이 연료 탱크를 적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에서는,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선체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의 주위에 적하 구획이 배치되게 되어, 충돌시에 있어서의 연료 탱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에서는,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선체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양측의 대칭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중앙부가 하방으로 변형되는 응력을 받기 어려워지고, 선각 구조의 대형화를 억제함으로써, 선체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에서는, 상기 연료 탱크는,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가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에 직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연료 탱크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선내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에서는, 상기 적하 구획은,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는 3 개 이상의 구획이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료 탱크는, 최전방 위치의 상기 구획과 최후방 위치의 상기 구획을 제외한 상기 구획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를 최전방 위치나 최후방 위치를 제외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선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를 경량화하여 하방으로 변형되는 응력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에 의하면, LNG 를 저류하는 연료 탱크를 선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심 위치 부근에 배치하기 때문에, 선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하방으로 변형되는 응력을 받기 어려워져, 선체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관련된 선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실시예 1 의 선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III-III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관련된 선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는, 실시예 2 의 선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VI-VI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선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실시예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각 실시예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관련된 선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 는, 실시예 1 의 선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 은, 도 1 의 III-III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실시예 1 의 선박은 탱커이고,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 (11) 는, 후부에 엔진룸 (12) 이 구획되고, 이 엔진룸 (12) 에 엔진 (13) 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선체 (11) 는, 엔진룸 (12) 을 제외한 범위가 격벽에 의해 복수의 적하 구획이 형성되어 있다. 즉, 선체 (11) 는, 전부 (前部) 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5 개의 영역 (A, B, C, D, E) 이 구획됨과 함께, 폭 방향으로 3 개의 영역 (1, 2, 3) 이 구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선체 (11) 는, 복수의 구획 (A1, A2, A3, B1…D3, E1, E2, E3) 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선체 (11) 는, 구획 (B2, C2) 에 각각 2 개의 연료 탱크 (14) 가, 합계로 4 개 배치되어 있고, 이 구획 (B2, C2) 을 제외한 구획 (A1, A2, A3, B1, B3, C1, C3, D1…E3) 이 카고 탱크로 되어 있다. 이 각 연료 탱크 (14) 는, 엔진 (13) 을 구동하기 위한 연료로서의 LNG (Liquefied Natural Gas : 액화 천연 가스) 를 저류 가능하고, 엔진 (13) 에 도시하지 않은 연료 공급 배관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카고 탱크 (구획) (A1, A2, A3, B1, B3, C1, C3, D1…E3) 는, 원유를 저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연료 탱크 (14) 는, 선체 (11) 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 (길이 방향) 의 중심 위치 (O1) 로부터 길이 방향 전방측으로 선체 (11) 의 전체 길이의 35 % 의 범위 또는 중심 위치 (O1) 로부터 길이 방향 후방측으로 30 % 의 범위에 배치되게 된다. 즉, 연료 탱크 (14) 는, 선체 (11) 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전후 방향) 의 중심 위치 (O1) 로부터 전방측으로 선체 (11) 의 전체 길이의 35 % 의 위치와, 중심 위치 (O1) 로부터 후방측으로 30 % 의 위치 사이에 배치된다. 또, 연료 탱크 (14) 는, 선체 (11) 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심 위치 (O1) 로부터 전방측으로 선체 (11) 의 전체 길이의 30 % 의 범위 또는 중심 위치 (O1) 로부터 후방측으로 20 % 의 범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연료 탱크 (14) 는, 복수 (본 실시예에서는 4 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료 탱크 (14) 가 상기한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하 구획이 선체 (11)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는 5 개의 영역 (A, B, C, D, E) 으로 구획되고, 연료 탱크 (14) 는, 최전방 위치의 영역 (A) 과 최후방 위치의 영역 (E) 을 제외한 영역 (B, C, D) 중 어느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연료 탱크 (14) 는, 선체 (11) 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 (O2) 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료 탱크 (14) 는, 길이 방향의 전후가 폐색된 원통 형상을 이루고, 그 길이 방향이 선체 (11) 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4 개의 연료 탱크 (14) 가 선체 (11)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선체 (11) 는, 외벽면 및 저면과 각 구획 (A1, A2, A3, B1…D3, E1, E2, E3) 사이에 밸러스트 탱크 (15)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획 (B2, C2) 은, 상하로 2 분할되어 있고, 상부의 구획에 연료 탱크 (14) 가 배치되고, 하부의 구획은 카고 탱크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 의 선박에 있어서는, 선체 (11) 의 후부에 엔진 (13) 을 탑재함과 함께, 선체 (11) 의 내부에 격벽에 의해 복수의 구획 (A1, A2, A3, B1…D3, E1, E2, E3) 을 형성하고, 선체 (11) 의 길이 방향 (전후 방향) 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구획 (B2, C2) 에 연료 탱크 (14) 를 배치하여 LNG 를 저류하고, 그 밖의 구획 (A1, A2, A3, B1, B3, C1, C3, D1…E3) 을 카고 탱크로 하여 원유를 저류하고 있다.
따라서, 원유를 저류하고 있는 카고 탱크 (구획) (A1, A2, A3, B1, B3, C1, C3, D1…E3) 에 대하여, 경량이 되는 LNG 가 저류되는 연료 탱크 (14) 가 선체 (11) 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의 구획 (B2, C2) 에 배치됨으로써, 선체 (1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이 중앙부가 하방으로 변형되는 응력을 받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선체 (11) 는, 충분한 세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선각 구조의 대형화를 억제함으로써, 선체 (11) 의 경량화, 구조의 간소화, 저비용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의 선박에서는, 연료 탱크 (14) 는 복수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가 선체 (1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원유를 저류하고 있는 카고 탱크 (구획) (A1, A2, A3, B1, B3, C1, C3, D1…E3) 보다 경량이 되는 LNG 가 저류되는 연료 탱크 (14) 가 선체 (11) 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됨으로써, 선체 (1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적정한 중량 밸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연료 탱크 (14) 의 사용 편리성을 고려하여, 1 개의 연료 탱크를 엔진 (13) 의 근방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 1 의 선박에서는, 연료 탱크 (14) 를 선체 (11) 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 (14) 의 주위에 카고 탱크 (구획) (A1, A2, A3, B1, B3, C1, C3, D1…E3) 가 배치되게 되고, 충돌시에 있어서의 연료 탱크 (14) 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의 선박에서는, 연료 탱크 (14) 는, 그 길이 방향이 선체 (11) 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복수의 연료 탱크 (14) 가 선체 (11) 의 길이 방향에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연료 탱크 (14) 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선내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의 선박에서는, 선체 (11) 의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는 5 개의 구획 (A, B, C, D, E) 으로 구획하고, 연료 탱크 (14) 는, 최전방 위치의 구획 (A) 과 최후방 위치의 구획 (E) 을 제외한 구획 (B, C, D) 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선체 (1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를 경량화하여 하방으로 변형되는 응력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관련된 선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 는, 실시예 2 의 선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 은, 도 4 의 VI-VI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기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2 의 선박에 있어서, 도 4 내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 (11) 는, 후부에 엔진룸 (12) 이 구획되고, 엔진 (13) 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선체 (11) 는, 격벽에 의해 복수의 구획 (A1, A2, A3, B1…D3, E1, E2, E3)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체 (11) 는, 구획 (C1, C3) 에 각각 2 개의 연료 탱크 (14) 가, 합계로 4 개 배치되어 있고, 이 구획 (C1, C2) 을 제외한 구획 (A1, A2, A3, B1, B2, B3, C2, D1…E3) 이 카고 탱크로 되어 있다. 이 각 연료 탱크 (14) 는, 엔진 (13) 을 구동하기 위한 연료로서의 LNG 를 저류 가능하다. 한편, 카고 탱크 (구획) (A1, A2, A3, B1, B2, B3, C2, D1…E3) 는, 원유를 저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연료 탱크 (14) 는, 선체 (11) 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 (길이 방향) 의 중심 위치 (O1) 로부터 길이 방향 전방측으로 선체 (11) 의 전체 길이의 35 % 의 범위 또는 중심 위치 (O1) 로부터 길이 방향 후방측으로 30 % 의 범위에 배치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연료 탱크 (14) 는, 복수 (본 실시예에서는, 4 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료 탱크 (14) 가 상기한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하 구획이 선체 (11)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는 5 개의 영역 (A, B, C, D, E) 으로 구획되고, 연료 탱크 (14) 는, 최전방 위치의 영역 (A) 과 최후방 위치의 영역 (E) 을 제외한 영역 (B, C, D) 중 어느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탱크 (14) 는, 선체 (11) 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 (O2) 에 대하여 그 양측의 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료 탱크 (14) 는, 길이 방향의 전후가 폐색된 원통 형상을 이루고, 각 C1, C3 에서, 연료 탱크 (14) 의 길이 방향이 선체 (11) 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각 2 개의 연료 탱크 (14) 가 선체 (11)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2 의 선박에 있어서는, 선체 (11) 의 후부에 엔진 (13) 을 탑재함과 함께, 선체 (11) 의 내부를 격벽에 의해 복수의 구획 (A1, A2, A3, B1…D3, E1, E2, E3) 을 형성하고, 선체 (11) 의 길이 방향 (전후 방향) 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구획 (C1, C3) 에 연료 탱크 (14) 를 배치하여 LNG 를 저류하고, 그 밖의 구획 (A1, A2, A3, B1, B2, B3, C2, D1…E3) 을 카고 탱크로 하여 원유를 저류하고 있다.
따라서, 원유를 저류하고 있는 카고 탱크 (구획) (A1, A2, A3, B1, B2, B3, C2, D1…E3) 에 대하여 경량이 되는 LNG 가 저류되는 연료 탱크 (14) 가 선체 (11) 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심부의 구획 (C1, C3) 에 배치됨으로써, 선체 (1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이 중앙부가 하방으로 변형되는 응력을 받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선체 (11) 는, 충분한 세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선각 구조의 대형화를 억제함으로써, 선체 (11) 의 경량화, 구조의 간소화, 저비용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 의 선박에서는, 연료 탱크 (14) 는, 선체 (11) 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 (O2) 에 대하여 그 양측의 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서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선체 (11) 의 내부를 전후로 5 개, 좌우로 3 개, 상하로 2 개로 분할하였지만, 그 분할 방법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1 개의 연료 탱크가 중앙부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고, 복수의 연료 탱크 중 하나가 중앙부의 영역에 배치되고, 다른 연료 탱크가 중앙부의 영역 이외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연료 탱크가 하나일 때에는, 이 연료 탱크가 중앙부의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료 탱크 (14) 를 선체 (11) 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의 중심 위치 (O1) 로부터 길이 방향 전방측으로 선체 전체 길이의 35 % 의 범위 또는 이 중심 위치 (O1) 로부터 길이 방향 후방측으로 30 % 의 범위에 배치하는 것이고, 선내를 복수의 구획으로 구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선박의 종류도 탱커에 한정되지 않고, 여객선, 페리, 컨테이너선, RO-RO 선, 자동차 전용선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연료 탱크 (14) 를, 그 길이 방향이 선체 (11) 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복수의 연료 탱크 (14) 를 선체 (11) 의 길이 방향에 직렬로 배치하였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료 탱크 (14) 를, 그 길이 방향이 선체 (11) 의 연직 방향이나 폭 방향 등을 따라 배치해도 되고, 복수의 연료 탱크 (14) 를 선체 (11) 의 길이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연직 방향이나 폭 방향 등을 따라 배치해도 된다. 또, 연료 탱크 (14) 의 형상도 원통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각통 형상, 방형 형상, 구형 형상 등 선체 형상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선체 (11) 의 후부에 엔진 (13) 을 탑재하였지만, 선체 (1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엔진을 탑재하고, 그 주위에 연료 탱크를 배치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선박에 있어서, LNG 의 연료 탱크를 선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의 범위에 배치함으로써, 선체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모든 선박에 적용할 수 있다.
11 : 선체
13 : 엔진
14 : 연료 탱크
A1, A2, A3, B1, B2, B3, C1, C2, C3, D1, D2, D3, E1, E2, E3 : 구획

Claims (6)

  1. 선체의 후부의 엔진룸에 탑재되는 엔진과,
    선체에 탑재되어 상기 엔진을 구동하기 위한 연료로서의 LNG 를 저류 가능한 연료 탱크와,
    선체에 형성되는 적하 구획을 구비하고,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선체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의 중심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 전방측으로 선체 전체 길이의 35 % 의 범위 또는 상기 중심 위치로부터 길이 방향 후방측으로 30 % 의 범위에 배치되고,
    상기 적하 구획은,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는 3 개 이상의 구획이고, 상기 연료 탱크는, 최전방 위치의 상기 구획과 최후방 위치의 상기 구획을 제외한 상기 구획에 배치되며, 상기 연료 탱크가 배치되지 않은 구획과, 상기 연료 탱크가 배치된 구획에서 연료 탱크가 차지하지 않는 부분은 원유를 저류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연료 탱크는 연료 공급 배관을 개재하여 상기 엔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하나 또는 복수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료 탱크가 상기 범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선체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선체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양측의 대칭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커.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연료 탱크가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에 직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커.
  6. 삭제
KR1020147029779A 2010-12-07 2011-11-28 선박 KR1016596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72432A JP6143407B2 (ja) 2010-12-07 2010-12-07 船舶
JPJP-P-2010-272432 2010-12-07
PCT/JP2011/077398 WO2012077524A1 (ja) 2010-12-07 2011-11-28 船舶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758A Division KR20130018333A (ko) 2010-12-07 2011-11-28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313A KR20140142313A (ko) 2014-12-11
KR101659676B1 true KR101659676B1 (ko) 2016-09-26

Family

ID=462070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758A KR20130018333A (ko) 2010-12-07 2011-11-28 선박
KR1020147029779A KR101659676B1 (ko) 2010-12-07 2011-11-28 선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758A KR20130018333A (ko) 2010-12-07 2011-11-28 선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43407B2 (ko)
KR (2) KR20130018333A (ko)
CN (1) CN103052560B (ko)
WO (1) WO20120775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600B1 (ko) * 2012-12-04 2019-03-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로팍스 선박의 힐링탱크 배치구조
JPWO2014122937A1 (ja) * 2013-02-08 2017-01-26 ソニー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6174475B2 (ja) * 2013-12-19 2017-08-02 三井造船株式会社 船形構造物
CN104903186B (zh) * 2014-01-07 2017-11-14 大宇造船海洋株式会社 船舶的燃气供应系统和方法
JP6002813B1 (ja) 2015-05-29 2016-10-05 株式会社大島造船所 船舶
FI126423B (en) * 2015-10-07 2016-11-30 Rolls-Royce Marine As Surface of the sea
JP6962679B2 (ja) * 2016-10-28 2021-11-05 三井E&S造船株式会社 液化ガス燃料船
KR102658220B1 (ko) * 2016-12-30 2024-04-16 한화오션 주식회사 초대형 컨테이너선 연료 저장탱크의 최적화 배치구조
JP6654587B2 (ja) * 2017-02-21 2020-02-26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車両運搬船
JP6917159B2 (ja) * 2017-02-24 2021-08-11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JP2018138418A (ja) * 2017-02-24 2018-09-06 三菱造船株式会社 船舶
CA3056863C (en) * 2017-03-30 2023-09-19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Ship/floating storage unit with dual cryogenic cargo tank for lng and liquid nitrogen
JP7078204B2 (ja) * 2017-05-10 2022-05-31 三井E&S造船株式会社 液化ガス燃料船
KR20240015863A (ko) * 2022-07-28 2024-02-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이용한 제염 시스템 및 제염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688A (ja) * 2001-04-19 2002-10-29 Mitsui O S K Lines Ltd 貨物船
JP2009184378A (ja) * 2008-02-01 2009-08-20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
JP2009541113A (ja) * 2006-06-19 2009-11-26 ワルトシラ フィンランド オサケユキチュア 船舶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56790U (ko) * 1971-10-30 1973-07-20
US5347943A (en) * 1990-05-23 1994-09-20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Tanker for the prevention of cargo oil spillage
JPH082478A (ja) * 1994-06-23 1996-01-09 Kawasaki Heavy Ind Ltd 液化ガスタンクの支持構造
JP2003081177A (ja) * 2001-08-31 2003-03-19 Joseph Wei Ryungu Haa オイルおよび清水タンカーの船体構造
JP4846251B2 (ja) * 2004-03-17 2011-12-28 ホクシン産業株式会社 燃料油貯蔵タンク中の燃料油の加熱方法
JP4116995B2 (ja) * 2005-03-08 2008-07-09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上甲板裏の燃料タンク
JP4242357B2 (ja) 2005-03-14 2009-03-25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上甲板裏の燃料タンク
FI122137B (fi) * 2006-06-27 2011-09-15 Waertsilae Finland Oy Kaasukäyttöisen laivan polttoainejärjestelmä
JP4753835B2 (ja) * 2006-10-23 2011-08-24 中国電力株式会社 船舶及び船舶への燃料供給方法
JP2008126829A (ja) * 2006-11-21 2008-06-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船舶
JP5403649B2 (ja) * 2008-07-23 2014-01-29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液化ガス燃料船及びそのバンカリング方法
EP2228294A1 (en) * 2009-03-09 2010-09-15 RAM LNG Holdings Limited Vessel for transport of liquefied natural gas
KR100961867B1 (ko) * 2009-10-16 2010-06-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스연료용 연료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688A (ja) * 2001-04-19 2002-10-29 Mitsui O S K Lines Ltd 貨物船
JP2009541113A (ja) * 2006-06-19 2009-11-26 ワルトシラ フィンランド オサケユキチュア 船舶
JP2009184378A (ja) * 2008-02-01 2009-08-20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52560A (zh) 2013-04-17
CN103052560B (zh) 2016-03-09
KR20130018333A (ko) 2013-02-20
JP2012121401A (ja) 2012-06-28
KR20140142313A (ko) 2014-12-11
WO2012077524A1 (ja) 2012-06-14
JP6143407B2 (ja)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676B1 (ko) 선박
JP7193250B2 (ja) 船舶
CN108290622B (zh) 液化气体运输船
AU2014251665B2 (en) LNG ship or LPG ship
CN109863080B (zh) 液化气运输船
CN111874161A (zh) 一种具有折角型独立液舱的液化气船
KR101766044B1 (ko) 액화 가스 수용 탱크, 및 선박
JP6899850B2 (ja) 複数の流体運搬用貯蔵タンクを具備した船舶
KR20190060224A (ko) 독립형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JP2018134923A (ja) 車両運搬船
JP2018030467A (ja) バラ積み船
CN109803882B (zh) 具有水密壁的船舶
KR101686907B1 (ko) 액화연료가스로 추진하는 광물 운반선
KR102434966B1 (ko) 선박
JP7355461B2 (ja) 液化ガス燃料船
WO2023199882A1 (ja) 船舶
KR20150081882A (ko) 컨테이너선
JP7364440B2 (ja) 液化ガスタンク、船舶、及び浮体構造物
KR20100082456A (ko) 액상 화물의 슬로싱이 억제되는 운반선
JP2022111653A (ja) 船舶
CN115320780A (zh) 甲醇燃料舱在船舶上的布置形式
JP2007284019A (ja) トリマラン構造船
JP2007284019A5 (ko)
KR20140038778A (ko) 액상화물 저장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