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765B1 -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흐름 전지 - Google Patents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흐름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765B1
KR101653765B1 KR1020140063170A KR20140063170A KR101653765B1 KR 101653765 B1 KR101653765 B1 KR 101653765B1 KR 1020140063170 A KR1020140063170 A KR 1020140063170A KR 20140063170 A KR20140063170 A KR 20140063170A KR 101653765 B1 KR101653765 B1 KR 101653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positive electrode
electrode electrolyte
concentration
red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939A (ko
Inventor
김미경
최은미
장우인
김대식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3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765B1/ko
Priority to PCT/KR2015/005056 priority patent/WO2015182917A1/ko
Priority to US15/309,843 priority patent/US9972859B2/en
Priority to CN201580026212.XA priority patent/CN106463752A/zh
Priority to EP15799015.1A priority patent/EP3151323B1/en
Priority to JP2016565196A priority patent/JP6349414B2/ja
Publication of KR20150135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3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with sealing or supporting means in the form of a 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89Means for holding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76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lectrolyte stream, e.g.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76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lectrolyte stream, e.g. heat exchange
    • H01M8/04283Supply means of electrolyte to or in matrix-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0Indirect fuel cells, e.g. fuel cells with redox couple being irreversi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05Acid electrolytes
    • H01M2300/0011Sulfuric acid-b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의 환원성 화합물의 존재 하에, 산성 용액 상의 오산화바나듐(V2O5)을 환원하여 제1양극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탄소수 2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지방족 알코올의 존재 하에, 산성 용액 상의 오산화바나듐(V2O5)을 환원하여 제2양극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양극 전해질 및 상기 제2양극 전해질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과 상기 제조 방법에서 얻어진 양극 전해질을 포함한 레독스 흐름 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흐름 전지{PREPARATION METHOD OF CATHODE ELECTROLYTE FOR REDOX FLOW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본 발명은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흐름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향상된 에너지 효율 등의 우수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장기 사용에도 전지의 효율이나 성능이 크게 저하되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긴 교체 주기를 갖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을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을 포함한 레독스 흐름 전지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대량의 온실 가스 및 환경 오염 문제를 야기하는 화력 발전이나 시설 자체의 안정성이나 폐기물 처리의 문제점을 갖는 원자력 발전 등의 기존 발전 시스템들이 다양한 한계점을 들어내면서 보다 친환경적이고 높은 효율을 갖는 에너지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력 저장 기술은 외부 조건에 큰 영향을 받는 재생 에너지를 보다 다양하고 넓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전력 이용의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어서, 이러한 기술 분야에 대한 개발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들 중 2차 전지에 대한 관심 및 연구 개발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레독스 흐름 전지는 활성 물질의 화학적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는 산화/환원 전지를 의미하며, 태양광, 풍력등 외부 환경에 따라 출력변동성이 심한 신재생에너지를 저장하여 고품질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레독스 흐름 전지에서는 산화/환원 반응을 일으키는 활물질을 포함한 전해액이 반대 전극과 저장 탱크 사이를 순환하며 충방전이 진행된다.
이러한 레독스 흐름 전지는 기본적으로 산화상태가 각각 다른 활물질이 저장된 탱크와 충/방전시 활물질을 순환시키는 펌프, 그리고 분리막으로 분획되는 단위셀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셀은 전극, 전해질, 집전체 및 분리막을 포함한다.
상기 전해질은 활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활물질이 산화-환원되어 충방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전지의 용량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바나듐 플로우 전지의 전해액은 산화가수가 다른 4종의 이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의 구동 시에는 음극 및 양극의 반응 속도 차이 등으로 인하여 금속 이온(예를 들어 바나듐 이온)의 농도의 불균형 현상으로 인하여 양쪽 극의 농도차 및 부피차가 발생할 수 있다. 양쪽 전해액의 균형이 무너지게 되면, 레독스 쌍의 절대량이 감소하게 되어 전지의 성능의 감소 및 전하량 보존율이 감소하게 되고, 전해액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전에는 전해액에 소정의 첨가제를 적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한국특허공개 제2012-0132620호에는 망간 이온, 납 이온, 세륨 이온 및 코발트 이온 등의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액을 사용하여 레독스 흐름 전지의 충전 상태를 높여 전해액 속의 바나듐(V) 이온의 이용률을 높임으로서 에너지 밀도는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12-0132620호
본 발명은 향상된 에너지 효율 등의 우수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장기 사용에도 전지의 효율이나 성능이 크게 저하되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긴 교체 주기를 갖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을 포함한 레독스 흐름 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탄소수 0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를 포함한 디카르복실산, 아스코르브산 [L-ascorbic acid] 및 이들의 산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환원성 화합물의 존재 하에, 산성 용액 상의 오산화바나듐(V2O5)을 환원하여 제1양극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탄소수 2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지방족 알코올의 존재 하에, 산성 용액 상의 오산화바나듐(V2O5)을 환원하여 제2양극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양극 전해질 및 상기 제2양극 전해질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및 V2 +/V3 + 레독스 커플을 포함하는 금속 이온; 및 황산 수용액을 포함하는 음극 전해질;을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가 제공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흐름 전지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탄소수 0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를 포함한 디카르복실산, 아스코르브산 [L-ascorbic acid] 및 이들의 산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환원성 화합물의 존재 하에, 산성 용액 상의 오산화바나듐(V2O5)을 환원하여 제1양극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탄소수 2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지방족 알코올의 존재 하에, 산성 용액 상의 오산화바나듐(V2O5)을 환원하여 제2양극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양극 전해질 및 상기 제2양극 전해질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특정의 환원성 화합물 및 지방족 알코올의 존재 하에 오산화바나듐을 가각 환원시켜 얻어진 2종의 전해질을 혼합하여 얻어진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을 사용하면, 레독스 흐름 전지가 보다 향상된 에너지 효율 등의 우수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장기 사용에도 전지의 효율이나 성능이 크게 저하되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긴 전해액 교체 주기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 저항도 다소 감소된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술한 특정의 환원성 화합물 및 지방족 알코올 각각을 이용하여 얻어진 2종의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 특정의 환원성 화합물 및 지방족 알코올 각각 사용한 전해질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방전 용량 및 에너지 효율이 보다 향상되고 내부 저항은 보다 낮아지며, 레독스 흐름 전지의 운전 사이클이 늘어남에도 전지의 효율이나 성능이 크게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양극 전해질 및 상기 제2양극 전해질은 12:1 내지 1:1의 부피비, 또는 10:1 내지 2:1의 부피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양극 전해질에 비하여 제1양극 전해질의 양이 보다 많은 경우, 상기 구현에서 제조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의 저항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제2양극 전해질의 양이 제1양극 전해질의 양이 보다 많아 지는 경우, 수소 이온 농도가 낮아지거나 전해액 저항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제1양극 전해질 및 제2양극 전해질 중 산성 용액의 농도는 0.1M 내지 6M일 수 있다.
상기 제1양극 전해질 및 제2양극 전해질 중 산성 용액은 각각 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양극 전해질 및 제2양극 전해질 중 오산화바나듐의 농도가 각각 0.3M 내지 3M 일 수 있다. 상기 양극 전해질 중 금속 이온의 농도가 너무 작으면,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가 충분한 충전 및 방전 용량을 확보하기 어렵거나 상용 전지로서 충분한 에너지 효율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어 기술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전해질 중 금속 이온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바나듐이 쉽게 석출되고 온도 안정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사용되는 바나듐 활물질 양 대비 이용 가능한 충방전 용량 비율이 적어지게 되어 기술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
상기 제1양극 전해질 중 환원성 화합물의 농도가 0.3M 내지 3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양극 전해질 중 지방족 알코올의 농도가 0.3M 내지 3M 일 수 있다. 상기 환원성 화합물 또는 지방족 알코올의 농도가 너무 낮으면, 존재하는 V2O5의 환원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미반응 바나듐이 고체 파우더 형태로 존재하여 기술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원성 화합물 또는 지방족 알코올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전해액 내에 존재하여 원하지 않는 부 반응을 일으키거나, 전해액 내부에 겔 형태로 바나듐 파우더와 응고되어 존재하게 되는 등 기술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
상기 제1양극 전해질 중 상기 오산화바나듐의 농도 대비 환원성 화합물의 농도의 비율이 0.8 내지 1.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양극 전해질 중 상기 오산화바나듐의 농도 대비 지방족 알코올의 농도가 0.8 내지 1.2일 수 있다. 상기 오산화바나듐의 농도 대비 환원성 화합물 또는 지방족 알코올의 농도가 너무 낮으면, 존재하는 V2O5의 환원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미반응 바나듐이 고체 파우더 형태로 존재하여 기술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원성 화합물 또는 지방족 알코올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전해액 내에 존재하여 원하지 않는 부 반응을 일으키거나, 전해액 내부에 겔 형태로 바나듐 파우더와 응고되어 존재하게 되는 등 기술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산화바나듐(V2O5)은 산성 용액 상에서 상기 환원성 화합물의 존재 하에 환원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환원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방법, 장치 및 구체적인 환원 방법은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0℃ 내지 100℃의 온도 범위에서 산성 용액에 오산화바나듐(V2O5) 및 상기 환원성 화합물을 첨가하여 상기 환원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산성 용액 상의 오산화바나듐(V2O5)은 전기 화학 반응을 통하여 환원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오산화바나듐의 환원에 관한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소수 0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를 포함한 디카르복실산의 구체적인 예로는 옥살산, 말론산, 호박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일 구현예의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및 V2+/V3+ 레독스 커플을 포함하는 금속 이온; 및 황산 수용액을 포함하는 음극 전해질;을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일 구현예의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을 사용하면, 레독스 흐름 전지가 보다 향상된 에너지 효율 등의 우수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장기 사용에도 전지의 효율이나 성능이 크게 저하되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긴 전해액 교체 주기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 저항도 다소 감소된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양극 전해질 및 음극 전해질 각각에서 황산의 농도는 6M이하, 예를 들어 1M 내지 6M일 수 있다.
상기 음극 전해질에 포함되는 V2 +/V3 + 레독스 커플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나듐 금속 이온을 생성할 수 있는 원료, 예를 들어 V2O5, VOSO4, 또는 NH4VO3 등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상기 V2 +/V3 + 레독스 커플을 커플을 포함하는 금속 이온이 0.3M 내지 3M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음극 전해질 중 금속 이온의 농도가 너무 작으면,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가 충분한 충전 및 방전 용량을 확보하기 어렵거나 상용 전지로서 충분한 에너지 효율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전해질 중 금속 이온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바나듐이 쉽게 석출되고 온도 안정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사용되는 바나듐 활물질 양 대비 이용 가능한 충방전 용량 비율이 적어질 수 있다.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는 이온이 통과하는 분리막; 상기 분리막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전극; 및 상기 분리막으로 구분되는 양극셀 및 음극셀에 각각 존재하는 상기 양극 전해질 및 음극 전해질;을 포함하는 단위셀을 1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는 상기 단위 셀을 1이상 포함하는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셀은 상기 분리막의 양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플로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로우 프레임은 전해질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실제 전지의 전기 화학 반응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전극과 분리막 사이로 전해액의 고른 분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플로우 프레임은 0.1 mm 내지 10.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의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위셀은 상기 전극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전해질이 저장되는 양극 전해질 탱크; 및 충전 및 방전시 양극 전해질 탱크로부터 양극 전해질을 단위셀의 양극셀로 순환시키는 양극 전해질 펌프;와, 상기 음극 전해질이 저장되는 음극 전해질 탱크; 및 충전 및 방전시 음극 전해질 탱크로부터 음극 전해질을 단위셀의 음극셀로 순환시키는 양극 전해질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레독스 흐름 전지는 1.20 Ω*㎠이하, 또는 1.10 Ω*㎠이하의 내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향상된 에너지 효율 등의 우수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고 장기 사용에도 전지의 효율이나 성능이 크게 저하되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긴 교체 주기를 갖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을 제공하는 방법과,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을 포함한 레독스 흐름 전지에 가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 1과 비교예1 및 3의 레독스 흐름 전지의 운전 사이클에 따른 방전 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2는 실시예 1과 비교예1 및 3의 레독스 흐름 전지의 운전 사이클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3은 실시예 2와 비교예 2 및 4의 레독스 흐름 전지의 운전 사이클에 따른 방전 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4는 실시예 2와 비교예 2 및 4의 레독스 흐름 전지의 운전 사이클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비교예 : 레독스 흐름 전지의 제조 및 운전]
하기 표1이 기재된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단전지를 조립하고,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양극 전해질 및 음극 전해질을 약 100ml씩 주입하면서 하기 표1의 충/방전 조건을 적용하여 레독스 흐름 전지를 운전하였다.
단전지 구성 요소 및 충/방전 조건
내 용
단전지
구성 요소
전극 제조사 (제품명) SGL (GFD 3)
분리막 제조사 (제품명) GEFC (104)
바이폴라 플레이트 두께 (mm) 3
유효면적 (cm2) 35
충/방전 조건 충/방전 전압 1.0 V -1.6 V
충/방전 전류 50 mA/㎠
2.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1 ]
(1) 제1양극 전해질의 제조
10 M 의 황산 용액 0.5 L에 1.8 mol의 oxalic acid anhydride 를 주입하고 약 60 ℃ 에서 투명한 액체가 될 때까지 완전 용해 시킨 후, 순도 98% 이상의 1.8 mol 의 오산화바나듐을 소량 주입하며 단계적인 레독스 반응을 진행하고, 반응 완료 후 증류수를 첨가해 1L까지 첨가하고, 감압 필터레이션을 통해 잔류 부유물 등을 제거하여 제1양극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2) 제2양극 전해질의 제조
95 % 황산 5 mol 에 순도 98% 이상의 오산화바나듐 5 mol을 천천히 용해하여 슬러리 형태로 만들고, 0. 72 M 의 에탄올 수용액 0.5 L를 60~100 ℃ 에서 천천히 주입하여 단계적 레독스 반응을 진행하고, 120 ℃ 이상에서 잔여 에탄올을 증발 시킨 후 증류수를 첨가하여 1L로 희석 하고 감압 필터레이션을 하여 제2양극 전해질을 얻었다.
[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2 및 표3에 기재된 조성으로 황산 수용액에 레독스 커플 및 환원성 화합물 또는 알코올을 이용해 전해질을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음극 전해질의 제조]
전기화학 셀의 양쪽 극에 동량의 V(IV) 전해액을 주입하고, 1단계로 50 mA/㎠ 로 1.6 V 충전, 2단계로 20 mA/㎠ 로 1.6 V까지 충전, 3단계로 1.7 V로 전류가 8mA/㎠ 이하가 될 때까지 충전하는 전기 화학 반응을 진행하여 이 셀의 음극에서 순수한 바나듐 3가 이온과 황산으로 구성된 음극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음극 전해질은 상기 표1의 전지에 주입하고 운전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 및 2의 양극 전해질의 제조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양극 전해질 제1양극전해질 제2양극전해질 제1양극전해질 제2양극전해질
V4 +/V5 + 레독스 커플의 농도[M] 1.8 1.8 1.5 1.5
황산의 농도 [M] 5 5 5 5
환원성 화합물
또는 알코올
옥살산
1.8 M
에탄올
1.8 M
옥살산
1.5 M
에탄올
1.5 M
제1양극전해질:제2양극전해질 부피비 7:3 9:1
비교예1 내지 4의 양극 전해질의 제조
구 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양극 전해질 V4 +/V5 + 레독스 커플의 농도[M] 1.8 1.5 1.8 1.5
황산의 농도 [M] 5 5 5 5
환원성 화합물 옥살산
1.8 M
옥살산
1.5 M
에탄올
0.72 M
에탄올
0.6 M
3. 실시예 비교예의 레독스 흐름 전지의 운전 결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얻어진 전해질을 각각 사용하여 레독스 흐름 전지를 운전한 결과를 하기 표4 내지 9에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운전 결과를 비교하여 도1 내지 4에 나타내었다.
(1) 에너지 효율 (EE)
= [방전에너지(Wh) / 충전에너지(Wh)] * 100
(2) 전하량 효율(CE)
= [ 방전용량(Wh) / 충전용량(Ah)] *100
(3) 전압효율 (VE)
= [에너지효율/ 전하량효율] *100
(4) V효용률(AhL/mol): 하기 일반식1로 바나듐(V) 효율율을 계산하였다.
[일반식1]
V효용률(AhL/mol) = [해당싸이클의 방전용량(Ah) / 바나듐 몰 농도(mol/L)
(5) 전하량 보존율: 하기 일반식2로 전하량 보존율을 계산하였다.
[일반식2]
전하량 보존율 = [ 해당 싸이클의 방전 용량(Ah) / 두번째 사이클의 방전 용량(Ah)] *100
비교예1의 전해질을 사용한 레독스 흐름 전지의 운전 결과
운전
사이클
충전용량 (Ah) 방전용량 (Ah) EE
(%)
CE
(%)
VE
(%)
V효용률
(AhL/mol)
2 3.71 3.57 87 96 90 1.98
10 3.75 3.63 86 97 89 2.02
20 3.75 3.61 86 96 89 2.01
40 3.52 3.37 86 96 89 1.87
70 2.95 2.84 84 96 88 1.57
100 2.70 2.59 84 96 87 1.48
실시예1의 전해질을 사용한 레독스 흐름 전지의 운전 결과
운전
사이클
충전용량 (Ah) 방전용량 (Ah) EE
(%)
CE
(%)
VE
(%)
V효용률
(AhL/mol)
2 3.97 3.71 85 93 91 2.06
5 3.91 3.74 87 96 91 2.08
10 4.12 3.85 87 95 91 2.14
15 4.17 3.89 86 95 91 2.16
20 4.14 3.85 86 95 90 2.14
25 4.03 3.74 85 95 90 2.08
30 3.90 3.62 85 95 90 2.01
40 3.67 3.40 85 95 90 1.89
비교예2의 전해질을 사용한 레독스 흐름 전지의 운전 결과
운전
사이클
충전용량 (Ah) 방전용량 (Ah) EE
(%)
CE
(%)
VE
(%)
V효용률
(AhL/mol)
2 3.09 2.93 86 95 90 1.94
10 3.10 2.97 86 96 90 1.98
20 3.12 2.98 86 96 90 1.99
40 2.99 2.86 85 96 89 1.91
70 2.80 2.68 84 96 88 1.79
100 2.67 2.56 84 96 88 1.70
실시예2의 전해질을 사용한 레독스 흐름 전지의 운전 결과
Cycle 충전용량 (Ah) 방전용량 (Ah) EE
(%)
CE
(%)
VE
(%)
V효용률
(AhL/mol)
2 3.24 3.10 85 93 91 2.07
5 3.16 3.10 87 96 91 2.07
10 3.13 3.08 87 96 91 2.07
15 3.01 2.97 86 96 90 1.98
20 2.97 2.90 86 95 90 1.93
비교예3의 전해질을 사용한 레독스 흐름 전지의 운전 결과
Cycle 충전용량 (Ah) 방전용량 (Ah) EE
(%)
CE
(%)
VE
(%)
V효용률
(AhL/mol)
2 3.37 3.22 83 96 87 1.79
10 3.46 3.37 85 97 87 1.87
20 3.52 3.40 84 97 87 1.89
40 3.22 3.12 83 97 86 1.73
70 2.87 2.78 82 97 85 1.55
100 2.70 2.61 82 97 85 1.45
비교예4의 전해질을 사용한 레독스 흐름 전지의 운전 결과
Cycle 충전용량 (Ah) 방전용량 (Ah) EE
(%)
CE
(%)
VE
(%)
V효용률
(AhL/mol)
2 2.98 2.78 82 93 87 1.81
10 2.91 2.80 83 96 86 1.86
20 2.87 2.76 82 96 86 1.84
40 2.60 2.50 81 96 85 1.67
70 2.38 2.28 81 96 85 1.52
100 2.14 2.05 81 96 85 1.36
상기 표4 내지 9의 결과 및 도1 내지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레독스 흐름 전지가 각각 비교예 1 내지 4의 레독스 흐름 전지에 비하여 보다 높은 방전 용량 및 에너지 효율을 가질 뿐만 아니라, 운전 사이클이 길어짐에도 전지의 효율이나 성능이 크게 저하되지 않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6) 레독스 흐름 전지의 내부 저항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전해질을 각각 사용한 레독스 흐름 전지의 내부 저항을 HIOKI BT3563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10에 기재하였다.
내부 저항 측정 결과
구 분 내부저항 (Ω*㎠)
비교예1 1.40
실시예1 1.09
비교예2 1.33
실시예2 1.12
비교예3 1.75
비교예4 1.68
상기 표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에서 얻어진 전해질을 각각 사용한 레독스 흐름 전지가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보다 낮은 내부 저항을 갖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Claims (13)

  1. 탄소수 0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를 포함한 디카르복실산, 아스코르브산 [L-ascorbic acid] 및 이들의 산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환원성 화합물의 존재 하에, 산성 용액 상의 오산화바나듐(V2O5)을 환원하여 제1양극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탄소수 2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지방족 알코올의 존재 하에, 산성 용액 상의 오산화바나듐(V2O5)을 환원하여 제2양극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양극 전해질 및 상기 제2양극 전해질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양극 전해질 및 상기 제2양극 전해질은 12:1 내지 1:1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양극 전해질 및 제2양극 전해질 중 산성 용액의 농도는 0.1M 내지 6M인,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양극 전해질 및 제2양극 전해질 중 산성 용액은 각각 황산을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양극 전해질 및 제2양극 전해질 중 오산화바나듐의 농도가 각각 0.3M 내지 3M 인,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양극 전해질 중 환원성 화합물의 농도가 0.3M 내지 3M 이고,
    상기 제2양극 전해질 중 지방족 알코올의 농도가 0.3M 내지 3M 인,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양극 전해질 중 상기 오산화바나듐의 농도 대비 환원성 화합물의 농도의 비율이 0.8 내지 1.2인,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양극 전해질 중 상기 오산화바나듐의 농도 대비 지방족 알코올의 농도가 0.8 내지 1.2인,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9. 제1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및
    V2 +/V3 + 레독스 커플을 포함하는 금속 이온; 및 황산 수용액을 포함하는 음극 전해질;을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는 이온이 통과하는 분리막; 상기 분리막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전극; 및 상기 분리막으로 구분되는 양극셀 및 음극셀에 각각 존재하는 상기 양극 전해질 및 음극 전해질;을 포함하는 단위셀을 1이상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은 상기 분리막의 양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플로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은 상기 전극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전해질이 저장되는 양극 전해질 탱크; 및 충전 및 방전시 양극 전해질 탱크로부터 양극 전해질을 단위셀의 양극셀로 순환시키는 양극 전해질 펌프;와,
    상기 음극 전해질이 저장되는 음극 전해질 탱크; 및 충전 및 방전시 음극 전해질 탱크로부터 음극 전해질을 단위셀의 음극셀로 순환시키는 양극 전해질 펌프;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KR1020140063170A 2014-05-26 2014-05-26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흐름 전지 KR101653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170A KR101653765B1 (ko) 2014-05-26 2014-05-26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흐름 전지
PCT/KR2015/005056 WO2015182917A1 (ko) 2014-05-26 2015-05-20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흐름 전지
US15/309,843 US9972859B2 (en) 2014-05-26 2015-05-20 Method for preparing cathode electrolyte for redox flow batteries, and redox flow battery
CN201580026212.XA CN106463752A (zh) 2014-05-26 2015-05-20 用于制备用于氧化还原液流电池的阴极电解质的方法以及氧化还原液流电池
EP15799015.1A EP3151323B1 (en) 2014-05-26 2015-05-20 Method for manufacturing positive electrode electrolyte for redox flow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JP2016565196A JP6349414B2 (ja) 2014-05-26 2015-05-20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用正極電解質の製造方法および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170A KR101653765B1 (ko) 2014-05-26 2014-05-26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흐름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939A KR20150135939A (ko) 2015-12-04
KR101653765B1 true KR101653765B1 (ko) 2016-09-02

Family

ID=5469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170A KR101653765B1 (ko) 2014-05-26 2014-05-26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흐름 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72859B2 (ko)
EP (1) EP3151323B1 (ko)
JP (1) JP6349414B2 (ko)
KR (1) KR101653765B1 (ko)
CN (1) CN106463752A (ko)
WO (1) WO201518291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356A1 (ko) 2018-02-26 2019-08-29 한국과학기술원 촉매반응을 이용한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용 고순도 전해액의 제조방법
KR102286707B1 (ko) 2020-10-30 2021-08-06 솔브레인 주식회사 바나듐 전해액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286706B1 (ko) 2020-09-29 2021-08-06 솔브레인 주식회사 바나듐 전해액 제조방법
KR102286709B1 (ko) 2020-11-03 2021-08-06 솔브레인 주식회사 바나듐 전해액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16091A1 (en) * 2021-12-30 2023-07-06 Uchicago Argonne, Llc Electrochemical cells and methods of using thereof
US11936004B2 (en) 2022-01-28 2024-03-19 Uchicago Argonne, Llc Electrochemical cel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575B1 (ko) 2011-11-10 2012-04-12 주식회사 에이치투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 스택을 이용한 난용성 v205로 바나듐 전해질을 제조하는 방법
US20130095362A1 (en) 2011-10-14 2013-04-18 Deeya Energy, Inc. Vanadium flow cell
KR101367618B1 (ko) 2013-08-26 2014-03-12 (주) 뉴웰 바나듐산화물을 이용한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용 전해액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96452B2 (en) 1993-11-17 1998-09-10 Jd Holding Inc. Stabilised electrolyte solutions,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and redox cells and batteries containing stabilised electrolyte solutions
JP2994210B2 (ja) * 1994-08-22 1999-12-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バナジウム系レドックスフロー型電池の電解液
JP3085634B2 (ja) 1994-11-17 2000-09-11 鹿島北共同発電株式会社 高純度バナジウム電解液の製造法
EP0829104B1 (en) * 1995-05-03 2003-10-08 Pinnacle VRB Limited Method of preparing a high energy density vanadium electrolyte solution for all-vanadium redox cells and batteries
JP3959234B2 (ja) 2000-12-26 2007-08-15 日本化学工業株式会社 変性バナジウム化合物、その製造方法、レドックスフロー型電池用電解液組成物及びレドックスフロー型電池用電解液の製造方法
AU784479B2 (en) * 2001-07-16 2006-04-13 Vanchem Vanadium Products (Pty) Limited Process
CN101800339B (zh) 2009-02-05 2012-07-11 北京金能燃料电池有限公司 钒电池电解液制备方法
CN101562256B (zh) * 2009-05-27 2011-06-22 青岛武晓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全钒离子氧化还原液流电池的电解液制备方法
CN101651221B (zh) * 2009-09-27 2011-11-09 湖南维邦新能源有限公司 一种制备钒电池用电解液的方法
KR101180770B1 (ko) * 2009-12-07 2012-09-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레독스 흐름전지 전해액 및 그 제조방법과 그것으로 제조된 레독스 흐름전지
KR101214896B1 (ko) * 2010-04-07 2012-12-2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바나도실리케이트 분자체의 신규 제조 방법 및 신규 바나도실리케이트 분자체
ES2458490T3 (es) 2010-04-27 2014-05-0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Batería de flujo redox
CN102324547A (zh) * 2011-07-27 2012-01-18 四川省川威集团有限公司 全钒离子氧化还原液流电池电解液的制备方法
KR101415538B1 (ko) 2012-03-23 2014-07-04 세하특허 주식회사 전기분해를 이용한 vrb 용 전해액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20130316199A1 (en) 2012-05-25 2013-11-28 Deeya Energy, Inc. Electrochemical balance in a vanadium flow batt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95362A1 (en) 2011-10-14 2013-04-18 Deeya Energy, Inc. Vanadium flow cell
KR101130575B1 (ko) 2011-11-10 2012-04-12 주식회사 에이치투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 스택을 이용한 난용성 v205로 바나듐 전해질을 제조하는 방법
KR101367618B1 (ko) 2013-08-26 2014-03-12 (주) 뉴웰 바나듐산화물을 이용한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용 전해액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356A1 (ko) 2018-02-26 2019-08-29 한국과학기술원 촉매반응을 이용한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용 고순도 전해액의 제조방법
US11682784B2 (en) 2018-02-26 2023-06-20 Lotte Chemical Corporation Method of preparing high-purity electrolyte solution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y using catalytic reaction
KR102286706B1 (ko) 2020-09-29 2021-08-06 솔브레인 주식회사 바나듐 전해액 제조방법
KR102286707B1 (ko) 2020-10-30 2021-08-06 솔브레인 주식회사 바나듐 전해액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286709B1 (ko) 2020-11-03 2021-08-06 솔브레인 주식회사 바나듐 전해액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63752A (zh) 2017-02-22
EP3151323A1 (en) 2017-04-05
EP3151323B1 (en) 2018-11-28
US20170271705A1 (en) 2017-09-21
KR20150135939A (ko) 2015-12-04
EP3151323A4 (en) 2017-11-22
JP6349414B2 (ja) 2018-06-27
WO2015182917A1 (ko) 2015-12-03
US9972859B2 (en) 2018-05-15
JP2017514287A (ja)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765B1 (ko)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흐름 전지
KR101686127B1 (ko) 전 유기계 활물질을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전지
KR101180770B1 (ko) 레독스 흐름전지 전해액 및 그 제조방법과 그것으로 제조된 레독스 흐름전지
KR101862368B1 (ko) 아연-브롬 화학흐름전지의 운전 방법
KR102157362B1 (ko) 하이브리드 레독스 흐름 전지 및 이의 용도
CN113363544B (zh) 一种锌有机混合液流电池的阴极深共晶电解液及其液流电池
CN107069066B (zh) 一种全钒液流电池电解液及其配制方法
CN106129456A (zh) 一种电解液用功能添加剂,长循环锂离子电池电解液及锂离子电池
CN102881931A (zh) 一种含磷全钒液流电池正极电解液
CN102227029B (zh) 高浓度钒电解液及其制备方法
JP2019505967A (ja)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用電解液および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CN113206283A (zh) 一种基于共熔盐电解质的水系锌离子电池电解液
KR101491784B1 (ko) 화학흐름전지의 운전 방법
CN104852074A (zh) 一种通过电解合成法制备全钒液流电池正极电解液的方法
CN111477925B (zh) 一种制备高浓度钒电池电解液的添加剂及制备方法
TWI570989B (zh) 電解液組合物、與鈉二次電池
CN104716385A (zh) 一种钒锰混合液流电池
KR101577888B1 (ko) 유기산을 포함하는 전해액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101514881B1 (ko) 이차전지용 전해액 제조방법
CN108123174A (zh) 一种碱性锌铁液流电池用正极电解液及应用
CN102227034B (zh) 一种锂空气电池混合型离子液体电解质及其制备方法
CN101714642A (zh) 含有添加剂的钒电池电解液以及钒电池
KR20160035369A (ko)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전지
KR101686128B1 (ko) 레독스 흐름전지용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전지
CN102306820A (zh) 一种钒电池用电解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