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713B1 - 자기 공명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공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713B1
KR101651713B1 KR1020120099084A KR20120099084A KR101651713B1 KR 101651713 B1 KR101651713 B1 KR 101651713B1 KR 1020120099084 A KR1020120099084 A KR 1020120099084A KR 20120099084 A KR20120099084 A KR 20120099084A KR 101651713 B1 KR101651713 B1 KR 101651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gnetic resonance
noise
resonance apparatus
receiv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679A (ko
Inventor
페터 딧츠
아네테 슈타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30028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8Systems for generation, homogenisation or stabilisation of the main or gradient magnetic field
    • G01R33/385Systems for generation, homogenisation or stabilisation of the main or gradient magnetic field using gradient magnetic field coils
    • G01R33/3854Systems for generation, homogenisation or stabilisation of the main or gradient magnetic field using gradient magnetic field coils means for active and/or passive vibration damping or acoustical noise suppression in gradient magnet coil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 자석(12), 경사 자계 코일(17), 및 고주파 코일 유닛(19)을 구비한 자석 유닛(11)과, 이 자석 유닛(11)에 의해 원통형으로 둘러싸인, 환자(15)를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 수용 영역(14)과, 상기 자석 유닛(11)과 상기 수용 영역(14)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31)을 구비하며 상기 자석 유닛(11)을 둘러싸는 하우징 유닛(30, 50)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장치에 관한 것이며, 하우징 유닛(30, 50)은 하나 이상의 소음 방지 유닛(32, 51)을 포함하고, 이 소음 방지 유닛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석 유닛(11)을 둘러싸면서 수용 영역(14)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자기 공명 장치{MAGNETIC RESONANCE DEVICE}
본 발명은, 주 자석, 경사 자계 코일, 및 고주파 코일 유닛을 구비한 자석 유닛과, 자석 유닛에 의해 원통형으로 둘러싸인, 환자를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 수용 영역과, 상기 수용 영역과 자석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자석 유닛을 둘러싸는 하우징 유닛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 공명 장치는 작동 중에 검진을 위해 자기 공명 장치의 수용 영역 내에 체류하는 환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고음의 작동 소음을 보유한다. 특히 환자 수용 영역을 둘러싸는 고주파 코일 유닛의 표면에서는 환자의 높은 소음 방사도를 초래하는 큰 진동 진폭이 발생한다. 또한, 수용 영역의 내부에서는 추가적인 소음 노출을 유발할 수 있는 음향 공명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자기 공명 장치들은 소음 방사도가 높은,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환자 수용 영역 내에서 효과적인 소음 방지가 달성되는 자기 공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주 자석, 경사 자계 코일, 및 고주파 코일 유닛을 구비한 자석 유닛과, 자석 유닛에 의해 원통형으로 둘러싸인, 환자를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 수용 영역과, 상기 수용 영역과 자석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자석 유닛을 둘러싸는 하우징 유닛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장치를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 유닛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석 유닛을 둘러싸면서 수용 영역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소음 방지 유닛을 포함한다. 소음 방사와 관련하여 고주파 코일 유닛과 특히 경사 자계 코일의 바람직한 차폐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자기 공명 검진 중에 환자 수용 영역의 내부에서 소음 감소가 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최대 10dB의 소음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소음 방지 유닛은 실질적으로 자기 공명 장치의 소음 방사가 이루어지는 주파수 범위에서 음파의 바람직한 감쇠 및/또는 분리를 구현한다. 또한, 소음 방지 유닛은 수용 영역 내부에서의 자기 공명 검진을 위해 필요에 따라 자기 공명 장치에 설치 및/또는 고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밀실 공포증 환자의 경우에는 자기 공명 검진을 위해 소음 방지 유닛의 사용이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음 방지 유닛은 특히 자기 공명 검진을 위해 필요에 따라 수용 영역 내부에서의 높은 소음 노출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 자기 공명 장치에, 특히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에, 그리고/또는 자기 공명 장치의 환자용 침상에, 예컨대 자기 공명 장치를 담당하는 병원 직원과 같은 조작자에 의해 배치될 수 있는 소음 방지 유닛을 의미하며, 소음 방지 유닛의 탈거 또는 해체 시 소음 방지 유닛 및/또는 자기 공명 장치의 기능성은 그대로 유지된다.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은 예컨대 고주파 코일 유닛의 지지 구조에 의해, 예를 들면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에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은 고주파 코일 유닛과 별도로 분리되어 형성된 하우징 셸 유닛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소음 방지 유닛이 하나 이상의 흡음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특히 공기 전달 음파의 바람직한 흡수가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흡음 유닛에 의해 특히 최대 1500Hz까지, 바람직하게 최대 1000Hz까지의 주파수 범위에서 공기 전달 음파의 감쇠가 이루어지며, 공기 전달 음파는 특히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의 표면을 따라 전파된다. 이와 관련하여 흡음 유닛은 특히, 특별히 음파의 음향 에너지를 바람직하게 비가청 진동파의 진동 에너지로 변환하여 그에 상응하게 경계면에서 가청 음파의 반사를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된 음향을 흡수하는 흡음 유닛을 의미한다. 이 경우 음파, 특히 공기 전달 음파는 예컨대 발포체 입자와 같은 흡음 유닛의 개별 입자들을 진동하게끔 여기하며, 이때 흡음 유닛의 내부에서 생성된 진동 에너지는 열 에너지로 변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파, 특히 공기 전달 음파에서 진동 에너지가 추출되고 공기 전달 음파는 감쇠된다. 이때 흡음 유닛의 층 두께는 약 5㎜ 내지 최대 수 ㎝에 상당할 수 있다. 흡음 유닛은 예컨대 멜라민 재료 및/또는 개방 기공들을 포함하는 다공성 재료와 같이 당업자에게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모든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소음 방지 유닛은 하나 이상의 스프링/질량 유닛을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으로부터 수용 영역 내로의 음파 방사가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음파의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스프링/질량 유닛을 바탕으로 소음 방사의 감소가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스프링/질량 유닛은 특히 하나 이상의 탄성 스프링 부재와 하나 이상의 중량 재료 부재(heavy mass element)를 포함하는 소음 방지 유닛의 일 유닛을 의미하며, 그럼으로써 높은 질량 관성과 음파의 진동 에너지의 흡수를 바탕으로 음파의 감쇠 및/또는 분리가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량 재료 부재는 3㎏/㎡ 이상, 바람직하게 5㎏/㎡의 면 밀도를 보유한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탄성 스프링 부재와 하나 이상의 중량 재료 부재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 소음 방지 유닛은 하나 이상의 외장 셸(facing shell) 유닛을 포함한다. 외장 셸 유닛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음파의 반사가 이루어짐으로써, 수용 영역 내로의 음파 방사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외장 셸은 동시에 환자에게 보일 수 있는 하우징 유닛의 유닛일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임상 측정 모드에 필요한 무균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외장 셸 유닛은 중량 재료 부재로서 스프링/질량 유닛의 내부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소음 방지 유닛이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음압의 감소로 인해 공기 전달음의 효과적인 흡수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소음 방지 유닛과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 사이의 이격 간격에 의해 스프링/질량 유닛의 음향 스프링의 연성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수용 영역 내로의 음파 방사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감쇠 특성이 달성될 수 있다.
매우 바람직한 콤팩트한 하우징 유닛은, 소음 방지 유닛이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에 원호의 형태로 설치될 때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로 수용 영역 내에 설치될 수 있는 소음 방지 유닛은 공간적 관점에서 최소화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환자 수용 영역의 내부에 바람직하게 큰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원호형의 소음 방지 유닛은,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의 소음 방사와 관련하여, 환자용 침상의 눕는 면과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역을 덮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소음 방지 유닛은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예컨대 수용 영역에서 환자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영역은 소음 방지 유닛으로 채워질 수 있다. 특히 그럼으로써 공간적 관점에서 환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수용 영역의 거의 전체 횡단면이 소음 방지 유닛으로 채워질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환자는 높은 소음 노출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 유닛은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에 소음 방지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하우징 셸 유닛에서 수용 영역의 내부에서의 직접적인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소음 방지 유닛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 유닛이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소음 방지 유닛은 언제나, 소음 방지 유닛의 기능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하우징 셸 유닛으로부터 해체될 수 있다. 고정 유닛은 예컨대 고정 셸 유닛에 소음 방지 유닛을 확실하게 고정하는 클램핑 부재들, 특히 가요성 클램핑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 유닛은 자기 공명 장치의 환자용 침상에 소음 방지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바람직하게 수용 영역의 내부에서 환자의 포지셔닝 시에 수용 영역 중에서 사용되지 않는 부분 영역은 소음 방지 유닛으로 점유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유닛은 예컨대 수용 영역 내로 가장 먼저 진입되는 환자용 침상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소음 방지 유닛이 조작자에 의해 수동으로 직접 수용 영역의 내부에 포지셔닝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소음 방지 유닛은 자기 공명에 적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자기 공명에 적합한 형성이라는 것은 특히, 소음 방지 유닛이 비자화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 특징 및 상세 내용은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 및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공명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소음 방지 유닛의 제1 실시예를 포함하는 자기 공명 장치의 부분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소음 방지 유닛의 제2 실시예를 포함하는 자기 공명 장치의 부분 영역의 측면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공명 장치(1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자기 공명 장치(10)는 강력하면서도 특히 일정한 주 자계(13)를 생성하기 위한 주 자석(12)을 구비한 자석 유닛(11)을 포함한다. 또한, 자기 공명 장치(10)는 환자(15)를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 수용 영역(14)도 포함하며, 수용 영역(14)은 원주 방향으로 자석 유닛(11)에 의해 둘러싸인다. 환자(15)는 자기 공명 장치(10)의 환자용 침상(16)에 의해 수용 영역(14)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환자용 침상(16)은 자기 공명 장치(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자기 공명 장치(10)는 자석 유닛(11)을 둘러싸는 하우징 유닛(30)을 포함한다.
또한, 자석 유닛(11)은 경사 자계를 생성하기 위한 경사 자계 코일(17)을 포함하며, 이 경사 자계 코일은 영상 생성 동안 공간 부호화를 위해 이용된다. 경사 자계 코일(17)은 경사 자계 제어 유닛(18)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자석 유닛(11)은 주 자석(12)에 의해 생성된 주 자계(13)에서 설정되는 분극을 여기하기 위한 원통형 고주파 코일 유닛(19) 및 고주파 제어 유닛(20)을 포함한다. 고주파 코일 유닛(19)은 고주파 제어 유닛(20)에 의해 제어되며, 실질적으로 수용 영역(14)에 의해 형성되는 검진 공간 내로 고주파 자기 공명 시퀀스를 조사한다. 그럼으로써 자화는 그의 평형 상태로부터 편향된다. 또한, 고주파 코일 유닛(19)에 의해 자기 공명 신호들이 수신된다.
주 자석(12) 및 경사 자계 제어 유닛(18)을 제어하기 위해, 그리고 고주파 제어 유닛(20)을 제어하기 위해, 자기 공명 장치(10)는 컴퓨터 유닛에 의해 형성된 제어 유닛(21)을 포함한다. 컴퓨터 유닛은, 예컨대 사전 결정된 영상 생성 경사 에코 시퀀스의 실행과 같이 자기 공명 장치(10)를 중앙에서 제어한다. 예컨대 영상 생성 파라미터와 같은 제어 정보뿐 아니라 재구성된 자기 공명 영상들이 자기 공명 장치(10)의 디스플레이 유닛(22) 상에, 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니터상에 자기 공명 장치(10)의 조작자를 위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자기 공명 장치(10)는 입력 유닛(23)을 포함하며, 이 입력 유닛에 의해 측정 과정 동안 조작자에 의해 정보 및/또는 파라미터가 입력될 수 있다.
도시된 자기 공명 장치(10)는 자기 공명 장치(10)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추가의 컴포넌트들도 물론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기 공명 장치(10)의 일반적인 작동 원리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컴포넌트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는 하우징 유닛(30)이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 유닛(30)은 본 실시예에서 예컨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고주파 코일 유닛(19)의 지지 유닛에 의해 형성되어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31)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31)은 수용 영역(14)으로 향해 있는 지지 유닛의 측면에 의해 형성되며, 예컨대 래커 코팅층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 유닛(30)은 본 실시예에서 원호 형태의 횡단면을 포함하면서 수용 영역(14)으로 향해 있는 하우징 셸 유닛(31)의 측면(33)에 배치되는 소음 방지 유닛(32)을 포함한다. 이 경우 소음 방지 유닛(32)은 하우징 셸 유닛(31)으로부터 이격 간격(34)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 셸 유닛에 설치된다. 이때 하우징 셸 유닛(31)에 대한 소음 방지 유닛(32)의 최대 이격 간격(34)은 5㎝, 특히 바람직하게는 2㎝와 3㎝ 사이이다. 이를 위해 하우징 유닛(30)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은 스페이서들을 포함하며, 이들 스페이서는 하우징 셸 유닛(31)과 소음 방지 유닛(3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이에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소음 방지 유닛(32)은 수용 영역(14)으로 향해 있는 하우징 셸 유닛(31)의 측면(33)에 직접적으로, 특히 이격 간격 없이 배치될 수 있다.
소음 방지 유닛(32)은 본 실시예의 경우 3종의 소음 감소 유닛을 포함한다. 제1 소음 감소 유닛은 예컨대 멜라민 재료 및/또는 다공성 재료와 같은 음향을 흡수하는 재료로 형성된 흡음 유닛(35)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흡음 유닛(35)의 층 두께(36)는 5㎜ 내지 최대 5㎝, 바람직하게 최대 3㎝일 수 있다. 흡음 유닛(35)은 하우징 셸 유닛(31)으로 향해 있는 소음 방지 유닛(32)의 측면에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자기 공명 장치(10)의 작동 중에 하우징 셸 유닛(31)을 따라 전파되는 공기 전달 음파의 바람직한 감쇠가 이루어진다.
소음 방지 유닛(32)의 제2 소음 감소 유닛은, 음향 스프링으로서의 탄성 스프링 부재와 음향 질량으로서의 중량 재료 부재를 포함하는 스프링/질량 유닛(37)에 의해 형성된다. 스프링/질량 유닛(37)은 수용 영역(14)으로 향해 있는 흡음 유닛(35)의 측면에 배치된다. 스프링/질량 유닛(37)에 의해 자기 공명 장치(10)의 작동 중에 특히 소음 셸 유닛(31)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파가 감쇠된다.
소음 방지 유닛(32)의 제3 소음 감소 유닛은, 수용 영역(14)으로 향해 있는 스프링/질량 유닛(37)의 측면에 배치되는 외장 셸 유닛(38)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외장 셸 유닛(38)은 높은 질량 내지 높은 밀도를 보유하여 강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하우징 셸 유닛(31)으로부터 수용 영역(14)의 방향으로 방사되는 음파의 바람직한 반사가 달성된다. 또한, 외장 셸 유닛(38)은 특히 인조 가죽 층 및/또는 세탁 가능한 소재 층처럼 예컨대 연질 질량 층과 같은 가요성 층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스프링/질량 유닛(37)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다. 외장 셸 유닛(38)의 면 밀도는 3㎏/㎡ 이상이고, 바람직하게 5㎏/㎡일 수 있다.
소음 방지 유닛(32)의 대체되는 실시예에서 흡음 유닛(35)은 스프링/질량 유닛(37)의 음향 스프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음 방지 유닛(32)이 효과적인 소음 감소를 위해 3개의 소음 감소 유닛 중에서 하나만 또는 2개만 포함하고 소음 방지 유닛(32)의 구성 시에 소음 감소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소음 방지 유닛(32)은 자기 공명에 적합하게 형성된다.
수용 영역(14)의 내부에 소음 방지 유닛(32)을 배치하기 위해, 하우징 유닛(30)은 고정 유닛(39)을 포함한다. 이 경우 고정 유닛(39)은 소음 방지 유닛(32)의 탈착 가능한 고정을 위해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소음 방지 유닛(32)은 항상 수용 영역(14)의 내부에서 조작자에 의해 하우징 셸 유닛(31)에 배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고, 또는 하우징 셸 유닛(31)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셸 유닛(31)의 고정은 바람직하게 공구 없이 이루어진다.
고정을 위해 고정 유닛(39)은 본 실시예의 경우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은 클램핑 부재들을 포함하며, 이들 클램핑 부재는 소음 감소 유닛(32) 및/또는 하우징 셸 유닛(31)에 배치된다. 클램핑 부재들에 의해 소음 감소 유닛(32)이 수용 영역(14)의 내부에서 특히 신속하게 하우징 셸 유닛(31)에 설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예컨대 밀실 공포증 환자의 경우처럼 필요에 따라 소음 감소 유닛(32)의 기능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매우 신속하게 하우징 셸 유닛(31)으로부터 해체되고 수용 영역(14)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예컨대 케이블을 이용한 견인 장치 및/또는 하우징 셸 유닛(31)과 소음 감소 유닛(32)의 클램핑[이때, 소음 감소 유닛(32)과 하우징 셸 유닛(31) 사이의 고정력은 소음 감소 유닛(32)의 클램핑된 형태를 기초하여 야기됨]과 같이, 하우징 셸 유닛(31)에 소음 방지 유닛(32)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당업자에게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다른 고정 유닛들도 언제나 고려될 수 있다.
하우징 셸 유닛(31)에 소음 방지 유닛(32)을 덧댐으로써, 자기 공명 장치의 작동 중에 수용 영역(14) 방향으로의 소음 방사와 관련하여 고주파 코일 유닛(19)과 특히 경사 자계 코일(17)의 바람직한 차폐가 달성된다. 이때 환자 수용 영역의 내부에서 최대 10dB까지의 소음 감소가 달성된다.
도 3에는 이에 대체되는 하우징 유닛(5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 부재, 특징 및 기능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하기의 설명은 실질적으로 도 1과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차이점에만 국한되며, 동일한 구조 부재, 특징 및 기능과 관련해서는 도 1과 도 2의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3에는 하우징 유닛(50)의 대안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 유닛(50)은 도 2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형성된 하우징 셸 유닛(31)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 유닛(50)은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된 소음 방지 유닛(51)을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실질적으로 자기 공명 장치(10)의 수용 영역(14)의 전체 횡단면이 수용 영역(14) 중 환자(15)가 필요로 하지 않는 부분 영역의 내부에서 소음 방지 유닛(14)으로 채워진다. 그러나 소음 방지 유닛(51)은 하우징 셸 유닛(31)에 대해 약 2㎝ 내지 3㎝의 이격 간격(52)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바람직하게 자유로운 공기 흐름 채널(53)이 제공된다. 또한, 소음 방지 유닛(51)은 환자 모니터링을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음 방지 유닛(51)은 마찬가지로 흡음 유닛(54)과, 스프링/질량 유닛(55)과, 외장 셸 유닛(56)을 포함한다. 이 경우 외장 셸 유닛(56)은 환자(15)로 향해 있는 소음 방지 유닛(51)의 측면에 배치된다.
소음 방지 유닛(51)의 고정을 위해 하우징 유닛(50)은 자기 공명 장치(10)의 환자용 침상(16)에 소음 방지 유닛(51)을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고정 유닛(57)을 포함한다. 이 경우 소음 방지 유닛(51)은 환자용 침상(16)의 단부 영역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단부 영역은 수용 영역(14) 내로 환자용 침상(16)이 진입될 때 가장 먼저 수용 영역(14) 내로 진입된다. 이를 위해 고정 유닛(57)은, 예컨대 래칭 부재 및/또는 클램핑 부재 등과 같은 종래의 탈착 가능한 고정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고정 부재들을 포함한다. 또한, 소음 방지 유닛(51)이 수용 영역(14) 내로 환자용 침상(16)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유닛에 의해 포지셔닝되어 설치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그 대안으로, 소음 방지 유닛(51)이 수용 영역(14)의 내부에서, 예컨대 클램핑 유닛을 이용하여 하우징 셸 유닛(31)에 고정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수용 영역(14)의 내부에 소음 방지 유닛(51)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소음 방지 유닛이 자기 공명 장치(10)의 조작자에 의해 간단하게 수용 영역(14) 내로 이동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Claims (10)

  1. 주 자석(12), 경사 자계 코일(17), 및 고주파 코일 유닛(19)을 구비한 자석 유닛(11)과, 이 자석 유닛(11)에 의해 원통형으로 둘러싸인, 환자(15)를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 수용 영역(14)과, 상기 자석 유닛(11)과 상기 수용 영역(14)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31)을 구비하며 상기 자석 유닛(11)을 둘러싸는 하우징 유닛(30, 50)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유닛(30, 50)은 하나 이상의 소음 방지 유닛(32, 51)을 포함하고, 이 소음 방지 유닛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석 유닛(11)을 둘러싸면서 수용 영역(14)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고,
    소음 방지 유닛(32, 51)은 하나 이상의 흡음 유닛(35, 54) 및 하나 이상의 스프링/질량 유닛(37, 55) 및 하나 이상의 외장 셸 유닛(38, 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소음 방지 유닛(32, 51)은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31)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소음 방지 유닛(32)은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31)에 원호의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소음 방지 유닛(32)은 원통형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 유닛(30)은, 고정 설치된 강성의 하우징 셸 유닛(31)에 소음 방지 유닛(32)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유닛(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 유닛(50)은, 자기 공명 장치(10)의 환자용 침상(16)에 소음 방지 유닛(51)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유닛(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소음 방지 유닛(32, 51)은 자기 공명에 적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장치.
KR1020120099084A 2011-09-09 2012-09-07 자기 공명 장치 KR101651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82407.3 2011-09-09
DE102011082407.3A DE102011082407B4 (de) 2011-09-09 2011-09-09 Magnetresonanz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679A KR20130028679A (ko) 2013-03-19
KR101651713B1 true KR101651713B1 (ko) 2016-08-26

Family

ID=4773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084A KR101651713B1 (ko) 2011-09-09 2012-09-07 자기 공명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237805A1 (ko)
KR (1) KR101651713B1 (ko)
CN (1) CN102998639A (ko)
DE (1) DE10201108240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82402B4 (de) * 2011-09-09 2015-01-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Magnetresonanzvorrichtung
DE102012201485B4 (de) * 2012-02-02 2019-02-21 Siemens Healthcare Gmbh Medizinische Bildgebungsvorrichtung mit einer eine Verkleidungsschale aufweisende Gehäuseeinheit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kleidungsschale der medizinischen Bildgebungsvorrichtung
DE102013213538B4 (de) * 2013-07-10 2018-08-16 Siemens Healthcare Gmbh Patienten-Bore mit integrierter HF-Rückflussraumformung zur Minimierung der Kopplung zwischen einer Energiekette und lokalen HF-Sendespulen
JP2016049130A (ja) * 2014-08-28 2016-04-11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及び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用遮音マット
CN104765010A (zh) * 2015-03-24 2015-07-08 南方医科大学 一种核磁共振降噪防护装置
DE102017217021B4 (de) * 2016-09-30 2023-01-05 Siemens Healthcare Gmbh Medizinische Bildgebungsvorrichtung mit einer Gehäuseeinheit aufweisend eine Versteifungsgittereinheit mit trapezförmigen Gitterzwischenräumen und eine elastische Verkleidungsschicht
CN108836334B (zh) * 2018-07-19 2022-03-01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一种核磁共振用降噪防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8773A (ja) 2003-08-18 2005-03-10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音響減衰させた傾斜コイル
WO2008137003A1 (en) 2007-04-30 2008-11-13 Acentech, Inc. Acoustic noise attenuation system for mri scanni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26325A1 (de) * 1975-06-12 1976-12-16 Daimler Benz Ag Mehrschichtige schall- und schwingungsdaempfende verkleidung fuer karosserieteile
US5235283A (en) * 1991-02-07 1993-08-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Gradient coil system for a nuclear magnetic resonance tomography apparatus which reduces acoustic noise
DE4141514C2 (de) * 1991-02-07 1997-04-10 Siemens Ag Gradientenspulensystem für ein Kernspin-Tomographiegerät
US5203055A (en) * 1992-01-22 1993-04-20 Broadwater Sr Thomas D Snap assembly for securing flexible coverings
US6414489B1 (en) * 1999-12-18 2002-07-02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reducing acoustic noise in an MR imaging system
DE10229491C2 (de) * 2001-07-23 2003-05-22 Siemens Ag Kernspin-Tomographiegerät mit dämpfenden Schichtblechen zur Schwingungsreduktion
DE102004042100A1 (de) * 2004-08-30 2006-01-05 Siemens Ag Körperschallentkoppelnde Befestigungsvorrichtung und Magnetresonanzgerät
WO2006054187A1 (en) * 2004-11-17 2006-05-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agnetic resonance system with reduced noise
US7980356B2 (en) * 2008-04-17 2011-07-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Cladding part for compon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8773A (ja) 2003-08-18 2005-03-10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音響減衰させた傾斜コイル
WO2008137003A1 (en) 2007-04-30 2008-11-13 Acentech, Inc. Acoustic noise attenuation system for mri scan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82407A1 (de) 2013-03-14
DE102011082407B4 (de) 2015-01-15
KR20130028679A (ko) 2013-03-19
CN102998639A (zh) 2013-03-27
US20130237805A1 (en)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713B1 (ko) 자기 공명 장치
KR101702687B1 (ko) 자기 공명 장치
KR101712222B1 (ko) 자기 공명 장치
US9500729B2 (en) Double shell noise reducing magnetic resonance apparatus
KR101702686B1 (ko) 자기 공명 장치
JP2008520265A (ja) ノイズの少ない磁気共鳴システム
US20070176602A1 (en) Main magnet perforated eddy current shield for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device
JPH05261080A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2003051415A (ja) 振動低減用の消音積層板を備えた磁気共鳴断層撮影装置
KR20130142937A (ko) 고주파 코일 장치
JP5280022B2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US10571534B2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with a housing
JPH01208817A (ja) 核磁気共鳴形診断装置のマグネット装置
JP2016049130A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及び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用遮音マット
JP2009261747A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2001198101A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2007135948A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WO2006062028A1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CN219613854U (zh) 磁共振附加单元和磁共振设备
JP2002085378A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に用いられるrfコイル
Skrodzka An influence of an enclosure on modal behaviourof loudspeaker
JP2014151151A (ja) 傾斜磁場コイル装置及び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H01212413A (ja) 核磁気共鳴形診断装置のマグネット構造
JPH01201247A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2015053982A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