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222B1 - 자기 공명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공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222B1
KR101712222B1 KR1020120099089A KR20120099089A KR101712222B1 KR 101712222 B1 KR101712222 B1 KR 101712222B1 KR 1020120099089 A KR1020120099089 A KR 1020120099089A KR 20120099089 A KR20120099089 A KR 20120099089A KR 101712222 B1 KR101712222 B1 KR 101712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gnetic resonance
support structure
layer
resonance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680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히를
베른트 마씨예브스키
아네테 슈타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30028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 유닛(11)과, 상기 자석 유닛(11)을 둘러싸며 하나 이상의 지지 구조 유닛(31)과 피복 유닛(32)을 구비하는 하우징 유닛(30)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장치에 관한 것이며, 피복 유닛(32)은 흡음 부재(34)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제1 층(33)과, 중량 재료 층(35)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제2 층(35)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기 공명 장치{MAGNETIC RESONANCE DEVICE}
본 발명은, 자석 유닛과, 상기 자석 유닛을 둘러싸며 하나 이상의 지지 구조 유닛 및 피복 유닛을 구비하는 하우징 유닛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 공명 장치는 작동 중에 검진을 위해 자기 공명 장치의 수용 영역 내에 체류하는 환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고음의 작동 소음을 보유한다. 이런 높은 작동 소음은 자석과 경사 자계 유닛의 상호 작용을 바탕으로 자기 공명 장치의 자석 유닛 내부에서 생성된다. 이때 자기 공명 장치 내부에서의 음향 전달은 공기 전달음의 여기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구조 전달음의 유입을 통해서도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높은 작동 소음은 자기 공명 장치의 하우징 유닛으로 전달되어 상기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자기 공명 장치를 둘러싸는 공간으로 방사된다.
자기 공명 장치들의 종래의 하우징 유닛들은 예컨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및/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단일 하우징 셸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셸 유닛들은 자체의 질량을 토대로 소정의 음향 감쇠 효과를 지니긴 하나, 상기 유형으로 형성된 하우징 셸 유닛들은 하우징 셸 유닛들의 재료 강성으로 인해 야기되는 음파 방사와 관련하여 높은 방사 특성도 보유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하우징 유닛 내에서 효과적인 소음 감쇠 및/또는 소음 분리가 달성되는 자기 공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자석 유닛과, 상기 자석 유닛을 둘러싸며 하나 이상의 지지 구조 유닛 및 피복 유닛을 구비하는 하우징 유닛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장치를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피복 유닛은 흡음 부재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제1 층과, 중량 재료 층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제2 층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중량 재료 층은 특히 3㎏/㎡ 이상의 밀도, 특히 면 밀도를 가지며, 특히 바람직하게 약 5㎏/㎡의 면 밀도를 갖는 재료 층을 의미한다. 중량 재료 층은 예컨대 PVC 재료 및/또는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 재료 및/또는 실리콘 재료 및/또는 높은 면 밀도를 가지면서 당업자에게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또 다른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흡음 부재는 바람직하게 연질 발포체에 의해 형성되고, 이 경우 흡음 부재는 특히 음파의 음향 에너지를 바람직하게는 비가청 진동파의 진동 에너지로 변환하여 그에 상응하게 경계면에서 가청 음파의 반사를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흡음 부재를 의미한다. 이 경우 음파, 특히 공기 전달 음파는 예컨대 발포체 입자와 같은 흡음 부재의 개별 입자들을 진동하게끔 여기하며, 이때 흡음 부재의 내부에서 생성된 진동 에너지는 열 에너지로 변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파, 특히 공기 전달 음파에서 진동 에너지가 추출되고 공기 전달 음파는 감쇠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하우징 유닛의 내부에서 음파의 바람직한 감쇠 및/또는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자기 공명 장치의 작동 중에 하우징 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음파 방사는 최소화될 수 있다. 하우징 유닛의 이러한 구성은 자기 공명 장치들의 종래의 강성 하우징 셸들에 비해 자기 공명 장치의 작동 중 최대 10dB까지의 소음 감소를 달성한다.
이때 하우징 유닛, 특히 피복 유닛은, 예컨대 연질 발포 유닛과 같은 하나 이상의 탄성 스프링 부재와, 중량 재료 부재(heavy mass element), 여기서는 중량 재료 층을 포함하는 가요성 스프링/질량 유닛으로서 작용하며, 그럼으로써 높은 질량 관성과 음파의 진동 에너지의 흡수를 바탕으로 음파의 감쇠 및/또는 분리가 달성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탄성 스프링 부재와 중량 재료 부재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질량 유닛이 가요성을 갖도록 구현된다는 것은 특히, 스프링/질량 유닛의 공명 주파수가 바람직하게 3000Hz를 상회함으로써, 특히 바람직하게 5000Hz를 상회함으로써 가요성 스프링/질량 유닛의 공명 주파수가 자기 공명 장치 내부의 소음 전달에 관련되는 주파수 범위를 벗어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피복 유닛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중층 중량 매트 필름으로 형성됨으로써, 피복 유닛은 특히 지지 구조 유닛으로의 피복 유닛의 조립과 관련하여 매우 콤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간편한 조립이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중량 매트 필름은 특히 3㎏/㎡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 약 5㎏/㎡의 면 밀도를 가진 필름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이중층 중량 매트 필름의 제1 층은 예컨대 연질 발포 층과 같은 흡음 층으로 형성되고, 이중층 중량 매트 필름의 제2 층은 중량 재료 층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제1 층은 최소 5㎜ 및 최대 10㎜, 바람직하게는 약 6.5㎜의 층 두께를 보유한다. 그럼으로써 피복 유닛이 매우 얇게 구성될 수 있을뿐더러, 피복 유닛의 내부에서, 특히 흡음 층의 내부에서 음파의 흡수를 위한 바람직한 재료 두께가 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피복 유닛의 내부에서 높은 음파 감쇠가 달성될 수 있다.
제2 층의 층 두께가 최소 0.5㎜ 및 최대 2.5㎜일 때, 피복 유닛에는 충분한 중량 재료 층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중량 재료 층은 높은 질량 관성을 바탕으로 피복 유닛의 내부에서 음파 감쇠에 기여하며, 또한, 얇은 재료 층을 바탕으로 피복 유닛은 매우 콤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2 층이 약 1㎜ 내지 2㎜의 층 두께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 유닛은 자석 유닛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중량 재료 층의 측면에 배치되는 래커 코팅층을 포함한다. 그럼으로써 환자 및/또는 조작자에게 보이는 자기 공명 장치의 표면이 매우 콤팩트하게 부품 절약 방식으로 피복 유닛의 내부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지 구조 유닛은 자석 유닛에 배치되는 격자형 지지 구조를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전체 면에 형성된 지지 구조 유닛에 비해 음파 전달을 위한 전달면이 더욱 작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유닛은 매우 경량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면서, 자석 유닛의 둘레에 콤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격자형 지지 구조 유닛은 예컨대 열간 압축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유리 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된다. 또한, 격자형 지지 구조 유닛은 예컨대 딥드로잉 공정 및 후속되는 구멍 및/또는 개구 절삭 공정에 의해 성형 부품으로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격자형 지지 구조 유닛이 불규칙하게 배치되는 지지 구조 부재들을 포함함으로써, 음파 전달 시 지지 특히 구조 유닛 내부에서의 공명 여기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불규칙하게 배치되는 지지 구조 부재들을 바탕으로 특히 피복 유닛에서 함몰 및/또는 접힘(kink)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 구조 유닛의 규칙적인 패턴으로 인한 압흔이 방지될 수 있는, 피복 유닛의 광학적으로 균일한 표면이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불규칙하게 배치되는 지지 구조 부재들은 특히 상호 간에 불규칙한 이격 간격으로 배치되는 지지 구조 부재들을 의미한다. 또한, 불규칙하게 배치되는 지지 구조 부재들은 개별 지지 구조 부재들의 형태의 관점에서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격자형 지지 구조 유닛은, 불규칙하게 배치되고 지지 구조 부재들에 의해 각각 둘러싸이는 복수의 리세스를 구비한 미세 그물형 지지 구조를 포함하며, 이때 지지 구조 부재들은 각각 리세스를 따라 최소 5㎝ 및 최대 20㎝의 길이를 보유한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하게 리세스들을 둘러싸는 지지 구조 부재들은 리세스를 따라서 약 10㎝ 내지 15㎝의 길이를 보유하며, 그럼으로써 리세스들은 서로 맞은편에 놓여 상기 리세스를 둘러싸는 2개의 지지 구조 부재 사이에서 20㎝, 특히 바람직하게 최대 15㎝의 최대 횡단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자석 유닛의 기계식 가동 부품 및/또는 전기 부품과 피복 유닛 간의 접촉 보호가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미세 그물형 지지 구조 유닛을 바탕으로 자석 유닛의 외벽부까지 피복 유닛이 눌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미세 그물형 지지 구조 유닛은 피복 유닛과 함께, 지름 30㎜의 테스트 핀으로 가해지는 25㎏ 이상의 압착력을 견디도록 설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미세 그물형 지지 구조가 자석 유닛의 하나 이상의 정면 및/또는 배면에 배치됨으로써, 특히 통전 상태의 부품들의 바람직한 보호가 달성될 수 있다.
지지 구조 유닛에 피복 유닛을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특히 시간 절약적으로 고정하는 것은, 하우징 유닛이 하나 이상의 래칭 부재를 포함하고, 이 래칭 부재에 의해서 피복 유닛이 지지 구조 유닛에 고정될 때 달성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예컨대 피복 유닛과 지지 구조 유닛 사이의 벨크로 패스너 및/또는 확장 리벳 등과 같이, 당업자에게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또 다른 고정 부재들도 언제나 지지 구조 유닛에 피복 유닛을 고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 특징 및 상세 내용은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 및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공명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지지 구조 유닛을 포함하는 하우징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지지 구조 유닛 및 피복 유닛을 포함하는 하우징 유닛을 절단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공명 장치(1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자기 공명 장치(10)는 강력하면서도 특히 일정한 주 자계(13)를 생성하기 위한 주 자석(12)을 구비한 자석 유닛(11)을 포함한다. 또한, 자기 공명 장치(10)는 환자(15)를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 수용 영역(14)도 포함하며, 수용 영역(14)은 원주 방향으로 자석 유닛(11)에 의해 둘러싸인다. 환자(15)는 자기 공명 장치(10)의 환자용 침상(16)에 의해 수용 영역(14)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환자용 침상(16)은 자기 공명 장치(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자기 공명 장치(10)는 자석 유닛(11)을 둘러싸는 하우징 유닛(30)을 포함한다.
또한, 자석 유닛(11)은 경사 자계를 생성하기 위한 경사 자계 코일(17)을 포함하며, 이 경사 자계 코일은 영상 생성 동안 공간 부호화를 위해 이용된다. 경사 자계 코일(17)은 경사 자계 제어 유닛(18)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자석 유닛(11)은 주 자석(12)에 의해 생성된 주 자계(13)에서 설정되는 분극을 여기하기 위한 고주파 안테나(19) 및 고주파 안테나 유닛(20)을 포함한다. 고주파 안테나(19)는 고주파 안테나 유닛(20)에 의해 제어되며, 실질적으로 수용 영역(14)에 의해 형성되는 검진 공간 내로 고주파 자기 공명 시퀀스를 조사한다. 그럼으로써 자화는 그의 평형 상태로부터 편향된다. 또한, 고주파 안테나 유닛(20)에 의해 자기 공명 신호들이 수신된다.
주 자석(12) 및 경사 자계 제어 유닛(18)을 제어하기 위해, 그리고 고주파 안테나 유닛(20)을 제어하기 위해, 자기 공명 장치(10)는 컴퓨터 유닛에 의해 형성된 제어 유닛(21)을 포함한다. 컴퓨터 유닛은, 예컨대 사전 결정된 영상 생성 경사 에코 시퀀스의 실행과 같이 자기 공명 장치(10)를 중앙에서 제어한다. 예컨대 영상 생성 파라미터와 같은 제어 정보뿐 아니라 재구성된 자기 공명 영상들이 자기 공명 장치(10)의 디스플레이 유닛(22) 상에, 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니터상에 조작자를 위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자기 공명 장치(10)는 입력 유닛(23)을 포함하며, 이 입력 유닛에 의해 측정 과정 동안 조작자에 의해 정보 및/또는 파라미터가 입력될 수 있다.
도시된 자기 공명 장치(10)는 자기 공명 장치(10)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추가의 컴포넌트들도 물론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기 공명 장치(10)의 일반적인 작동 원리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컴포넌트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와 도 3에는 하우징 유닛(30)이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자기 공명 장치(10)의 자석 유닛(11)의 둘레에 설치되기 위해, 하우징 유닛(30)은 자기 공명에 적합하게 형성된다.
하우징 유닛(30)은 지지 구조 유닛(31)과 피복 유닛(32)을 포함한다. 피복 유닛(32)은 소음 방사를 줄이기 위해 적어도 이중 층으로 형성된다(도 3). 피복 유닛(32)의 제1 층(33)은 바람직하게 연질 발포체로 형성되는 흡음 부재(34)를 포함한다. 피복 유닛(32)의 제2 층(35)은 바람직하게 PVC 재료 및/또는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 재료 및/또는 실리콘 재료 등으로 형성되는 중량 재료 층(35)을 포함한다. 이때 중량 재료 층의 면 밀도는 3㎏/㎡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 약 5㎏/㎡이다. 여기서 약 5㎏/㎡라 함은 특히 면 밀도의 값이 최대 20%의 공차, 특히 바람직하게 최대 10%의 공차를 갖는 5㎏/㎡라는 것을 의미한다.
흡음 부재(34)와 중량 재료 층(35)은 피복 유닛(32)의 가요성 스프링/질량 유닛을 형성한다. 또한, 두 층(33, 35)은 이중층 중량 매트 필름(36)으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층(33)의 층 두께(37)는 약 6.5㎜이고, 제2 층(35)의 층 두께(38)는 약 1㎜ 내지 2㎜이다.
지지 구조 유닛(31)은 도 2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격자형 지지 구조를 포함한다. 격자형 지지 구조 유닛(31)은 자석 유닛(11)을 에워싸면서 자석 유닛(11)에 배치된다. 또한, 격자형 지지 구조 유닛(31)은, 바람직하게 유리 섬유로 강화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열간 압축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된다. 또한, 이에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격자형 지지 구조 유닛(31)은 예컨대 딥드로잉 공정 및 후속하는 구멍 및/또는 개구 절삭 공정에 의해 성형 부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격자형 지지 구조(31)는 상호 간에 불규칙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구조 부재(39)를 포함한다. 이 경우 지지 구조 부재들(39)은 상호 간에 불규칙한 이격 간격(40)을 포함하며, 이때 2개의 지지 구조 부재(39) 사이의 이격 간격(40)은 상기 지지 구조 부재들(39)을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개별 지지 구조 부재들(39), 특히 상호 간에 인접한 지지 구조 부재들(39)은 그들의 형태와 관련하여, 예컨대 개별 지지 구조 부재들(39)의 두께 및/또는 개별 지지 구조 부재들(39)의 길이 방향을 따른 곡률과 관련하여 서로 상이하다.
또한, 격자형 지지 구조 유닛(31)은 미세 그물형 지지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자석 유닛(11)의 기계식 가동 부품들 및/또는 전기 부품들과 피복 유닛(32) 간의 바람직한 접촉 보호가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미세 그물형 지지 구조 유닛(31)은 피복 유닛(32)과 함께, 지름 30㎜의 테스트 핀으로 가해지는 25㎏ 이상의 압착력을 견디도록 설계된다. 미세 그물형 지지 구조는 불규칙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리세스를 포함하며, 이들 리세스는 각각 지지 구조 부재들(39)에 의해 둘러싸이며, 지지 구조 부재들(39)은 각각 리세스를 따라 최소 5㎝ 및 최대 20㎝의 길이를 보유한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하게 리세스들을 둘러싸는 지지 구조 부재들(39)은 약 10㎝ 내지 15㎝의 길이를 보유하며, 그럼으로써 리세스들은 서로 맞은편에 놓여 상기 리세스를 둘러싸는 2개의 지지 구조 부재(39) 사이에서 20㎝, 특히 바람직하게 최대 15㎝의 최대 횡단면을 갖는다.
또한, 하우징 유닛(30)은, 특히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지지 구조 유닛(31)에 피복 유닛(32)을 고정하기 위한 래칭 부재들(41)을 포함한다. 래칭 부재들(41)은 접시형 래칭 영역(42)과 헤드형 조작 영역(43)을 포함하며, 이들 영역은 래칭 부재들(41)의 원통형 핀의 마주 놓인 단부들에 배치된다. 접시형 래칭 영역(42)에 의해 래칭 부재(41)와 지지 구조 유닛(31) 사이에 형태 결합식 래칭 결합이 달성되는 한편, 헤드형 조작 영역(43)은 피복 유닛(32)을 제 위치에 고정한다. 또한, 래칭 부재들(41)은 조작자에 의해 헤드측 조작 영역(43)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피복 유닛(32) 및 지지 구조 유닛(31) 내로 삽입된다. 또한, 이에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래칭 부재들(41)은, 예컨대 특히 나사 인서트를 구비한 확장 리벳으로서 형성된 래칭 부재들(41)의 경우처럼, 바람직하게 나사 조임 동작에 의해 삽입될 수 있다. 래칭 부재들(41)은 자기 공명에 적합하게 형성된다.
불규칙한 미세 그물형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 유닛(31)은 특히 자기 공명 장치(10)의 정면(44) 및 그 배면에 배치되고, 이 정면 및/또는 배면에는 특히 자석 유닛의 전자 부품들이 배치된다. 또한, 또한, 불규칙한 미세 그물형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 유닛(31)은 자기 공명 장치(10)의 측면 영역들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측면 영역들에서 지지 구조 유닛(31)은 단순화되어 형성된 지지 구조도 포함할 수 있다.
피복 유닛(32)은 자석 유닛(11)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지지 구조 유닛(31)의 측면에 배치되고, 래칭 부재들(41)에 의해 상기 지지 구조 유닛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연질 발포체로 형성된 이중층 중량 매트 필름(36)의 제1 층(33)이 지지 구조 유닛(31)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이중층 중량 매트 필름(36)의 중량 재료 층(35)은 지지 구조 유닛(31) 및 자석 유닛(11)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흡음 부재(34)의 측면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자석 유닛(11)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이중층 중량 매트 필름(36)의 측면은 자석 유닛(11)의 외장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 유닛(30)은, 자석 유닛(11)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이중층 중량 매트 필름(36)의 측면에 배치되는 래커 코팅층(45)을 포함한다. 이 경우 래커 코팅층(45)은 특히 자석 유닛(11)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중량 재료 층(35)의 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하우징 유닛(40)의 실시예에 대해 대체되거나 추가되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 유닛은,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바람직하게 2방향 또는 3방향을 따라 그 길이가 조정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 구조 유닛(31)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 구조 유닛(31)은 본 발명의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자석 유닛(11)에 대해 분리되어 상기 자석 유닛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지지 구조 유닛(31)은 자기 공명 장치(10)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면, 예컨대 병원 건물 내 검진실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중층 중량 매트 필름(36)의 제1 층은 6.5㎜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럼으로써 이 경우 지지 구조 유닛(31)에 대한 바람직한 스프링 기능과 바람직한 공기 전달음 흡수가 달성된다.

Claims (11)

  1. 자석 유닛(11)과, 상기 자석 유닛(11)을 둘러싸며 하나 이상의 지지 구조 유닛(31)과 피복 유닛(32)을 구비하는 하우징 유닛(30)을 포함하는 자기 공명 장치에 있어서,
    피복 유닛(32)은 흡음 부재(34)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제1 층(33)과, 중량 재료 층(35)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제2 층(35)을 포함하고,
    지지 구조 유닛(31)은 자석 유닛(11)에 배치되는 격자형 지지 구조를 포함하고,
    격자형 지지 구조 유닛(31)은 불규칙하게 배치되는 지지 구조 부재들(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피복 유닛(3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중층 중량 매트 필름(36)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층(33)은 최소 5㎜ 및 최대 10㎜의 층 두께(37)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층(35)은 최소 0.5㎜ 및 최대 2.5㎜의 층 두께(38)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재료 층(35)은 약 5㎏/㎡의 면 밀도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 유닛(30)은 래커 코팅층(45)을 포함하며, 이 래커 코팅층은 상기 자석 유닛(11)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중량 재료 층(35)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격자형 지지 구조 유닛(31)은 불규칙하게 형성된 복수의 리세스를 구비한 미세 그물형 지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들은 각각 지지 구조 부재들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지지 구조 부재들은 리세스를 따라 최소 5㎝ 및 최대 20㎝의 길이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그물형 지지 구조는 자석 유닛(11)의 하나 이상의 정면(44)과 배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 유닛(30)은 하나 이상의 래칭 부재(41)를 포함하고, 이 래칭 부재에 의해 피복 유닛(32)이 지지 구조 유닛(3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공명 장치.
KR1020120099089A 2011-09-09 2012-09-07 자기 공명 장치 KR101712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110082402 DE102011082402B4 (de) 2011-09-09 2011-09-09 Magnetresonanzvorrichtung
DE102011082402.2 2011-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680A KR20130028680A (ko) 2013-03-19
KR101712222B1 true KR101712222B1 (ko) 2017-03-03

Family

ID=4773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089A KR101712222B1 (ko) 2011-09-09 2012-09-07 자기 공명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88704B2 (ko)
KR (1) KR101712222B1 (ko)
CN (1) CN102988045B (ko)
DE (1) DE10201108240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0217B1 (en) 2010-04-14 2015-03-03 Hypres, Inc. System and method for noise reduction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DE102011082411B4 (de) * 2011-09-09 2015-02-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Magnetresonanzvorrichtung
DE102011082402B4 (de) * 2011-09-09 2015-01-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Magnetresonanzvorrichtung
DE102011082410B4 (de) * 2011-09-09 2015-02-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Magnetresonanzvorrichtung
DE102011082401B4 (de) * 2011-09-09 2015-01-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Magnetresonanzvorrichtung
DE102012201485B4 (de) * 2012-02-02 2019-02-21 Siemens Healthcare Gmbh Medizinische Bildgebungsvorrichtung mit einer eine Verkleidungsschale aufweisende Gehäuseeinheit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kleidungsschale der medizinischen Bildgebungsvorrichtung
US10281538B2 (en) * 2012-09-05 2019-05-07 General Electric Company Warm bore cylinder assembly
US9989605B2 (en) * 2013-11-22 2018-06-05 Toshiba Medical Systems Corpora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CN105334478A (zh) * 2014-06-03 2016-02-17 上海联影医疗科技有限公司 壳体单元及其形成方法和磁共振系统
DE102017217021B4 (de) * 2016-09-30 2023-01-05 Siemens Healthcare Gmbh Medizinische Bildgebungsvorrichtung mit einer Gehäuseeinheit aufweisend eine Versteifungsgittereinheit mit trapezförmigen Gitterzwischenräumen und eine elastische Verkleidungsschicht
DE102017205145A1 (de) 2017-03-27 2018-09-27 Siemens Healthcare Gmbh Gehäusevorrichtung mit einer Benutzerschnittstelle sowie eine medizinische Bildgebungsvorrichtung mit der Gehäuse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4212A1 (en) 2007-08-10 2009-02-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Assembly with a vibration-isolated cover
US20090260917A1 (en) 2008-04-17 2009-10-22 Siemens Aktiengsellschaft Cladding part for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30775A1 (de) 1984-08-21 1986-03-06 Dr. Alois Stankiewicz GmbH, 3101 Adelheidsdorf Teppichtei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JPH0614913B2 (ja) 1989-06-30 1994-03-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核磁気共鳴装置
JP3161008B2 (ja) * 1992-03-18 2001-04-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US6414489B1 (en) * 1999-12-18 2002-07-02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reducing acoustic noise in an MR imaging system
US6437568B1 (en) * 2000-10-02 2002-08-20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noise MRI scanner
DE10134540C1 (de) * 2001-07-16 2003-03-06 Siemens Ag Magnetresonanzgerät mit einem Erzeuger mechanischer Schwingungen
DE10147745C2 (de) * 2001-09-27 2003-07-24 Siemens Ag Kernspin-Tomographiegerät mit Lärmunterdrückung durch Dämpfung von mechanischen Schwingungen
FR2835955B1 (fr) 2002-02-11 2004-07-16 Sai Automotive Sommer Ind Ensemble d'insonorisation et piece comprenant une paroi recouverte par ledit ensemble
US7068033B2 (en) * 2003-08-18 2006-06-27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Acoustically damped gradient coil
DE202006008449U1 (de) * 2006-05-24 2006-08-03 Duramotive Gmbh Schallreduzierendes Flächenelement
FR2906637B1 (fr) 2006-09-29 2009-01-09 Faurecia Automotive Ind Snc Composant d'insonorisation pour organe structurel rigide d'automobile.
US20120212375A1 (en) * 2011-02-22 2012-08-23 Depree Iv William Frederick Quantum broadband antenna
DE102011082410B4 (de) * 2011-09-09 2015-02-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Magnetresonanzvorrichtung
DE102011082401B4 (de) * 2011-09-09 2015-01-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Magnetresonanzvorrichtung
DE102011082407B4 (de) * 2011-09-09 2015-01-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Magnetresonanzvorrichtung
DE102011082411B4 (de) * 2011-09-09 2015-02-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Magnetresonanzvorrichtung
DE102011082402B4 (de) * 2011-09-09 2015-01-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Magnetresonanzvorrichtung
DE102012201485B4 (de) * 2012-02-02 2019-02-21 Siemens Healthcare Gmbh Medizinische Bildgebungsvorrichtung mit einer eine Verkleidungsschale aufweisende Gehäuseeinheit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kleidungsschale der medizinischen Bildgebungsvor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4212A1 (en) 2007-08-10 2009-02-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Assembly with a vibration-isolated cover
US20090260917A1 (en) 2008-04-17 2009-10-22 Siemens Aktiengsellschaft Cladding part for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34709A1 (en) 2013-09-12
DE102011082402A1 (de) 2013-03-14
KR20130028680A (ko) 2013-03-19
US9488704B2 (en) 2016-11-08
CN102988045A (zh) 2013-03-27
DE102011082402B4 (de) 2015-01-08
CN102988045B (zh)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222B1 (ko) 자기 공명 장치
KR101702687B1 (ko) 자기 공명 장치
US9500729B2 (en) Double shell noise reducing magnetic resonance apparatus
KR101702686B1 (ko) 자기 공명 장치
US11536343B2 (en) Designs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lightweight hyperdamping materials providing large attenuation of broadband-frequency structure-borne sound
KR101651713B1 (ko) 자기 공명 장치
Estéve et al. Reduction of sound transmission into a circular cylindrical shell using distributed vibration absorbers and Helmholtz resonators
US9910110B2 (en) Medical imaging device comprising a housing unit that has a casing shell and method for producing a casing shell of the medical imaging device
US11741928B2 (en) Soundproof structure
WO2020036028A1 (ja) 区画部材、乗物、及び電子機器
EP3321127A1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US20130162254A1 (en) Magnetic resonance apparatus with a noise prevention element and a mol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noise prevention element
KR20130142937A (ko) 고주파 코일 장치
US11705099B2 (en) Soundproof structure
US9606202B2 (en) Magnetic resonance apparatus
US11749248B2 (en) Soundproof structure
JP5315864B2 (ja) 車体構造体およびフロア
JP2010052632A (ja) 車体構造体および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CN112655223B (zh) 具有一体构成的振动面板扬声器的产品
JP7127134B2 (ja) 区画部材、乗物、及び電子機器
US10571534B2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with a housing
JP2016049130A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及び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用遮音マット
Akl Smart foam for active vibration and noise control
JP2009208690A (ja) 車体構造体、仕切用板体およびリアパッケージトレイ
JP2009261747A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