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310B1 - 도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제전유닛, 화상형성장치, 화상독취장치 - Google Patents

도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제전유닛, 화상형성장치, 화상독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310B1
KR101650310B1 KR1020090003840A KR20090003840A KR101650310B1 KR 101650310 B1 KR101650310 B1 KR 101650310B1 KR 1020090003840 A KR1020090003840 A KR 1020090003840A KR 20090003840 A KR20090003840 A KR 20090003840A KR 101650310 B1 KR101650310 B1 KR 101650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ident
light source
unit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376A (ko
Inventor
김경록
김용근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3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310B1/ko
Priority to US12/624,130 priority patent/US7965960B2/en
Publication of KR20100084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376A/ko
Priority to US13/107,026 priority patent/US841715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ateral surface of the fib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6Eliminating residual charges from a reusable imaging member
    • G03G21/08Eliminating residual charges from a reusable imaging member using optical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9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s guides being of the hollow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acsimile Head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제전유닛, 화상형성장치,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광부재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난반사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난반사부와, 광이 출사되도록 상기 난반사부와 대향하여 마련되는 출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이 확산되도록 상기 입사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제전유닛, 화상형성장치, 화상독취장치{LIGHT GUDING MEMBER, AND DEVICE FOR GROUND STATIC ELECTRICITY,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U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제전유닛, 화상형성장치,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사된 광의 소실이 저감되고, 도광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광이 출사되는 도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제전유닛, 화상형성장치,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부를 이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유닛을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이때, 소 정 전위로 대전되기에 앞서, 감광체 표면의 잔류전위는 제전유닛에 의해 제거된다.
일반적인 제전유닛은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감광체로 안내하는 도광부재를 구비한다. 도광부재의 구조는 제전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길이방향으로 감광체의 균일한 제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되어 도광부재로 입사된 광이 도광부재로부터 균일하게 출사되어야 한다. 그리고, 효율적인 제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되어 도광부재로 입사된 광이 소실되지 아니하고 도광부재의 출사면을 통해 감광체에 도달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도광부재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전유닛 뿐만 아니라 원고에 표시된 화상을 읽어 드리는 화상독취장치의 광원유닛에 마련되어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광(Light guiding)구조가 개선된 도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제전유닛, 화상형성장치, 화상독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광부재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난반사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난반사부와, 광이 출사되도록 상기 난반사부와 대향하여 마련되는 출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이 확산되도록 상기 입사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원뿔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사면을 통해 출사되지 아니한 광이 내부로 재반사되도록 상기 입사면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재반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반사부는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은 길이방향에 대해 대략 45도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부재.
또한, 상기 재반사부는 적어도 한 쌍의 경사면들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경사면들의 사이각은 대략 84도 내지 96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반사부는 원뿔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전유닛은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감광체의 표면의 잔류전위를 제거하며,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난반사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난반사부와, 상기 감광체를 향해 광이 출사되도록 상기 난반사부와 대향하여 마련되는 출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이 확산되도록 상기 입사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막대형상의 도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광부재는 상기 출사면을 통해 출사되지 아니한 광이 내부로 재반사되도록 상기 입사면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재반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반사부는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길이방향에 대해 대략 45도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반사부는 적어도 두 쌍의 경사면들을 구비하며, 상기 두 쌍의 경사면들 중 적어도 한 쌍의 경사면들의 사이각은 대략 84도 내지 96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반사부는 원뿔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 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공급될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기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유닛;과,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 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난반사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난반사부와, 상기 감광체를 향해 광이 출사되도록 상기 난반사부와 대향하여 마련되는 출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이 확산되도록 상기 입사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막대형상의 도광부재;를 구비하는 제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원뿔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부재는 상기 출사면을 통해 출사되지 아니한 광이 내부로 재반사되도록 상기 입사면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재반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반사부는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은 길이방향에 대해 대략 45도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반사부는 적어도 한 쌍의 경사면들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경사면들의 사이각은 대략 84도 내지 96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반사부는 원뿔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전유닛의 상기 광원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전유닛의 상기 도광부재는 상기 현상기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는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유닛과, 상기 원고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유닛은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난반사되도록 길이방향 으로 마련되는 난반사부와, 상기 원고를 향해 광이 출사되도록 상기 난반사부와 대향하여 마련되는 출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이 확산되도록 상기 입사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도광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부재는 상기 출사면을 통해 출사되지 아니한 광이 내부로 재반사되도록 상기 입사면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재반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반사부는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반사부는 원뿔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제전유닛, 화상형성장치, 화상독취장치에서는 입사된 광의 소실이 저감되고, 도광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광이 출사되는 도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제전유닛, 화상형성장치, 화상독취장치도광구조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인쇄매체공급유닛(20), 광주사유닛(30), 현상유닛(40), 전사유닛(50), 정착유닛(60), 인쇄매체 배출유닛(70) 및 제전유닛(80Y, 80M, 80C, 80K)을 포함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유닛(30)은 화상 정보에 상응되는 광을 감광체(40K, 40C, 40M, 40Y)에 조사하여 후술되는 감광체(44K, 44C, 44M, 44Y)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유닛(4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블랙(blac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현상기(40Y, 40M, 40C, 40K)에는 대전롤러(45Y, 45M, 45C, 45K), 현상제수용부(41Y, 41M, 41C, 41K), 공급롤러(42Y, 42M, 42C, 42K), 현상롤러(43Y, 43M, 43C, 43K) 및 감광체(44Y, 44M, 44C, 44K)가 배치되며, 본 실시예의 현상기(40Y, 40M, 40C, 40K)는 본체(10)에 착탈 가능 하도록 마련된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현상기는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성분 현상방식이 이용될 경우, 공급롤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감광체는 현상기에 배치되지 아니하고 독립적으로 본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대전롤러(45Y, 45M, 45C, 45K)는 광주사유닛(30)으로부터 감광체(44Y, 44M, 44C, 44K)에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감광체(44Y, 44M, 44C, 44K)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킨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롤러타입의 대전장치를 포함하지만, 대전장치는 코로나방전 타입이 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현상제수용부(41Y, 41M, 41C, 41K)에는 감광체(44Y, 44M, 44C, 44K)로 공급될 현상제가 저장되고, 공급롤러(42Y, 42M, 42C, 42K)는 현상제수용부(41Y, 41M, 41C, 41K)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롤러(43Y, 43M, 43C, 43K)에 공급한다. 현상롤러(43Y, 43M, 43C, 43K)는 광주사유닛(30)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44Y, 44M, 44C, 44K)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전사유닛(50)은 감광체(44Y, 44M, 44C, 44K)와 같은 상담지(像擔持)유닛의 하나로서, 중간전사벨트(51), 제1전사롤러(52) 및 제2전사롤러(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전사롤러(52)는 중간전사벨트(51)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44Y, 44M, 44C, 44K)들과 마주하여 감광체(44Y, 44M, 44C, 44K)들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되도록 한다. 제2전사롤러(53)는 중간전사벨트(51)를 사이에 두고 지지롤러(54)와 마주하고, 중간전사벨트(51)의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킨다.
정착유닛(60)은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62)를 구비한다. 인쇄매체가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6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인쇄매체 배출유닛(70)은 배지롤러(71)와 배지백업롤러(72)를 구비하여 정착 유닛(6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제전유닛(80Y, 80M, 80C, 80K)은 각 감광체(44Y, 44M, 44C, 44K)의 표면에 잔류하는 잔류전위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제전광을 발생시키는 광원(81Y, 81M, 81C, 81K)과,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감광체(44Y, 44M, 44C, 44K)로 안내하는 도광부재(82Y, 82M, 82C, 82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81Y, 81M, 81C, 81K)은 본체(10)에 마련되고, 도광부재(82Y, 82M, 82C, 82K)는 본체(10)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현상기(40Y, 40M, 40C, 40K)에 마련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제전유닛(80Y, 80M, 80C, 80K)은 감광체(44Y, 44M, 44C, 44K)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제전광을 조사하기 위해 도광구조가 개선되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후반부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1)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인쇄동작이 시작되면, 각 감광체(44Y, 44M, 44C, 44K)들의 표면은 대전롤러(45Y, 45M, 45C, 45K)들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44Y, 44M, 44C, 44K)들의 표면에는 각 감광체(44Y, 44M, 44C, 44K)에 대응되는 광주사유닛(30)의 슬릿들로부터 각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이 조사되고, 감광체(44Y, 44M, 44C, 44K)에는 각 색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점상이 형성된다.
이어서 각 현상기(40Y, 40M, 40C, 40K)의 현상롤러(43Y, 43M, 43C, 43K)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현상제가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감광체(44Y, 44M, 44C, 44K)에는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시화상은 제1전사롤러(52)에 의해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탠덤형으로 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가시화상이 동시에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될 수 있다.
이 후, 감광체(44Y, 44M, 44C, 44K)의 표면에 잔류하는 잔류전위는 제전유닛(80Y, 80M, 80C, 80K)으로부터 발생된 제전광에 의해 제거된다. 그리고, 감광체(44Y, 44M, 44C, 44K)는 대전롤러(45Y, 45M, 45C, 45K)에 의해 다시 대전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광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전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옐로우 현상기(40Y)에 마련되는 감광체(44Y)의 잔류전위를 제거하는 제전유닛(80Y)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다른 현상기(40M, 40C, 40K)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전유닛(80Y)은 제전광을 발생시키는 광원(81Y)과, 광원(81Y)으로부터 발생된 제전광을 감광체(44Y)로 안내하는 막대형상의 도광부재(82Y)를 포함한다.
광원(81Y)은 막대형상의 도광부재(82Y)의 일측에 단독으로 마련되는 LED(Light Emitted Diode)이지만, LED 이외의 다른 타입의 광원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광부재(82Y)는 광원(81Y)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83)과, 입사면(83)을 통해 입사된 광이 난반사되도록 길이방향(x)으로 마련되는 난반사부(84)와, 감광체(44Y)를 향해 광이 출사되도록 난반사부(84)와 대향하여 마련되는 출사면(85)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도광부재(82Y)는 입사면(83)을 통해 입사되는 광이 확산되도록 입사면(83)에 마련되는 오목부(83a)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제전유닛(80Y)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면(83)을 통해 입사되는 광이 오목부(83a)에서 굴절되어 확산되므로, 입사면(83)을 통해 입사되는 광이 난반사부(84)를 만나서 출사면(85)을 통해 출사될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입사면(83)을 통해 입사된 광 중에서 도광부재(82Y)의 출사면(85)으로 출사되지 아니하고 입사면(83)의 반대측을 통해 소실되는 광이 감소하게 되므로, 제전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물론, 입사면(83)을 통해 입사되는 광의 확산각이 증가되므로, 도광부재(82Y)의 길이방향(x)으로 광의 출사가 더욱 균일해 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광부재(82Y)는 출사면(85)을 통해 출사되지 아니한 광이 내부로 재반사되도록 입사면(83)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재반사부(86)(도 2b 및 도 3 참조)를 더 포함한다.
재반사부(86)는 길이방향(x)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면(86a)들을 구비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재반사부(86)의 경사면(86a)들은 길이방향(x)에 대하여 대략 42도 내지 48도 범위로 경사지게 마련되고, 두 개의 경사면들이 서로 마주보며 한 쌍을 이룬다. 이때, 한 쌍을 이루는 두 개의 경사면 사이의 사이각(α)은 대략 84도 내지 96도가 되도록 마련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도광부재(82Y)의 재반사부(86)는 2개의 반사면 쌍을 포함하지만, 반사면 쌍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 물론, 경사면이 길이방향과 이루는 각도는 이외에도 다 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도광부재에서는, 출사면(85)으로 출사되지 아니하고 도광부재(82Y)의 입사면(83)의 반대측 단부에 도달된 광이 도광부재(82Y)의 외부로 투과되지 아니하고 도광부재(82Y)의 내부로 재반사될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제전효율이 더욱 상승하게 된다. 즉, 도광부재(82Y)의 내부로 입사된 광의 소실이 저감된다. 나아가, 경사면(86a)이 길이방향(x)에 대해 대략 42도 내지 48도를 이루므로, 길이방향(x)과 평행을 이루는 광이 더욱 효과적으로 도광부재(82Y)의 내부로 재반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독취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독취장치(2)는 본체(110), 독취유닛(120), 원고공급유닛(13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스캐닝 프레임(111)과 커버(114)를 구비한다. 스캐닝 프레임(111)의 내부에는 독취유닛(120)이 설치되고, 스캐닝 프레임(111)의 상면에는 평판 윈도우(112)와 ADF 윈도우(113)가 설치된다. 커버(114)는 스캐닝 프레임(11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스캐닝 프레임(111)의 상면을 개폐한다. 또한, 커버(114)에는 원고공급유닛(130, Automatic Document Feeder)이 설치된다.
원고공급유닛(130)은 독취될 원고가 유입되는 원고유입구(131)와, 독취를 마친 원고가 배출되는 원고배출구(133)와, 원고를 이송하는 롤러(135)와, 원고의 이 송을 위해 커버(114)의 내부에 형성되며 원고가 지나가는 원고이송경로(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고유입구(131)는 커버(114)의 일측에 형성되고, 원고배출구(133)는 원고유입구(131)의 하부에 형성된다. 원고유입구(131)의 근처에는 원고공급유닛(130)에 의해 이송될 원고(D)가 적재되는 원고급지대(132)가 마련되고, 원고배출구(133) 근처에는 독취를 마치고 배출된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배지대(134)가 마련된다.
원고를 이송하는 롤러들은 원고급지대(132)에 적재된 원고(D)를 픽업하는 원고픽업롤러(135a), 원고픽업롤러(135a)에 의해 픽업된 원고를 원고이송경로(136) 상에서 이송하는 제1 내지 제3이송롤러(135b, 135c, 135d) 및 독취를 마친 원고를 원고배지대(134)로 배출하는 원고배지롤러(135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롤러(135) 중 원고픽업롤러(135a)와 가장 가까운 제1이송롤러(135b)는 원고픽업롤러(135a)에서 픽업된 원고를 낱장으로 분리한다. 이를 위해 제1이송롤러(135b)에 대면하여 마찰패드(137)가 설치된다.
원고이송경로(136)는 대략 C자 형태로 형성되며, 원고이송경로(136)의 일단은 원고유입구(131)를 통해 원고급지대(132)와 연결되고 원고이송경로(136)의 타단은 원고배출구(133)를 통해 원고배지대(134)와 연결된다. 원고이송경로(136) 상에는, 독취유닛(120)의 광원(122)(도 5 참조)으로부터 주사된 광 및 원고로부터 반사된 광이 통과하는 ADF 윈도우(113)가 배치된다. 또한, 원고이송경로(136)에는 원고가 ADF 윈도우(113)에 밀착되도록 원고를 지지하는 레퍼런스바(reference bar)(140)가 마련된다.
독취유닛(120)은 독취 대상물(O)에 광을 조사하여 화상 정보를 읽어 들이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독취유닛(120)은 평판 윈도우(112)의 하부에서 평판 윈도우(112)를 따라 이동하며 평판 윈도우(112)에 놓인 원고를 독취할 수 있고, ADF 윈도우(113)의 하부에 위치되어 원고공급유닛(130)에 의해 이송되는 원고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독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독취유닛(120)은 광원(122)을 포함하여 독취 대상물(O)로 광을 주사하는 광원유닛(121)과, 이미지센서(124)와, 광원(122)과 이미지센서(124) 사이의 광 경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사부재(125) 및 집광렌즈(126)를 구비한다.
복수의 반사부재(125)는 독취 대상물에서 반사되어 오는 빛을 반사시켜 이미지센서(124)로 안내하고, 집광렌즈(126)는 광경로 상에서 이미지센서(124)의 전방에 배치되어 이미지센서(124)에 광을 집중시킨다.
이미지센서(124)는 독취 대상물(O)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이미지센서(124)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IS(Contact Image Sensor)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소정의 픽셀수로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미도시)는 이미지센서(124)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한다.
광원유닛(121)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122)과, 광원(122)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독취 대상물(O)로 안내하는 도광부재(123)를 포함한다. 광원(122)은 백색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다. 도광부재(123)는 광원(122)에서 조사된 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여 독취 대상물에 광을 주사한다. 본 실시예의 도광부재(123)로 입사된 광은 도광부재(123)의 길이방향으로 균일하게 출사되고, 그 소실이 저감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광부재(123)는 제1실시예의 도광부재(82Y)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바, 도광부재(12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광부재 또한 화상형성장치 뿐만 아니라 화상독취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독취장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광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부재(210)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211)과, 입사면(211)을 통해 입사된 광이 난반사되도록 길이방향(x)으로 마련되는 난반사부(212)와, 감광체를 향해 광이 출사되도록 난반사부(212)와 대향하여 마련되는 출사면(213)을 구비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광부재(210)는 입사면(211)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오목부(211a)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입사면(211)에 마련되는 오목부(211a)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광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부재(310)는 입사면(311)에 마련되는 오목부(311a)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오목부(311a)는 원뿔형상으로 마련되는 바, 오목부(311a)를 통해 입사되는 광의 대부분이 굴절되어 난반사부(312) 또는 출사면(313)을 향하게 되고, 극히 일부의 광만이 입사면(311)의 반대측에 도달하게 된다. 물론, 입사면(311)에 마련되는 오목부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광을 확산시킬 수 있는 다른 형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광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부재(410)는 입사면의 반대측에 도달된 광이 도광부재(410)의 내부로 재반사되도록 마련되는 재반사부(416)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재반사부(416)는 원뿔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원뿔면(416a)은 도광부재(410)의 길이방향에 대해 대략 42도 내지 48도를 이룬다. 물론, 본 실시예에 도시된 재반사부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 외에도 재반사부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광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전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독취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광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광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광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체 20 인쇄매체공급유닛
30 광주사유닛 40 현상유닛
50 전사유닛 60 정착유닛
70 인쇄매체배출유닛 80Y 제전유닛
81Y 광원 82Y 도광부재
83 입사면 83a 오목부
84 난반사부 85 출사부
86 재반사부

Claims (21)

  1.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단 측에 마련되어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난반사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난반사부와,
    광이 출사되도록 상기 난반사부와 대향하여 마련되는 출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이 확산되도록 상기 입사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를 통과하는 광을 확산시켜 상기 출사면으로 직접 출사되는 광을 증가시키고 상기 난반사부에 직접 입사되는 광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원뿔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을 통해 출사되지 아니한 광이 내부로 재반사되도록 상기 입사면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재반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반사부는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길이방향에 대해 대략 45도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부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반사부는 적어도 한 쌍의 경사면들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경사면들의 사이각은 대략 84도 내지 96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부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반사부는 원뿔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부재.
  7.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감광체의 표면의 잔류전위를 제거하는 제전유닛에 있어서,
    광원;과, 그 일단이 상기 광원과 대향되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난반사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난반사부와, 상기 감광체를 향해 광이 출사되도록 상기 난반사부와 대향하여 마련되는 출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이 확산되도록 상기 입사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도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를 통과하는 광을 확산시켜 상기 출사면으로 직접 출사되는 광을 증가시키고, 상기 난반사부에 직접 입사되는 광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을 통해 출사되지 아니한 광이 내부로 재반사되도록 상기 입사면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재반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반사부는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길이방향에 대해 대략 45도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반사부는 적어도 두 쌍의 경사면들을 구비하며,
    상기 두 쌍의 경사면들 중 적어도 한 쌍의 경사면들의 사이각은 대략 84도 내지 96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유닛.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반사부는 원뿔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전유닛.
  12.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장치;와,
    소정 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체에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공급될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기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유닛;과,
    광원;과, 그 일단이 상기 광원과 대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난반사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난반사부와, 상기 감광체를 향해 광이 출사되도록 상기 난반사부와 대향하여 마련되는 출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이 확산되도록 상기 입사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도광부재;를 구비하는 제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를 통과하는 광을 확산시켜 상기 출사면으로 직접 출사되는 광을 증가시키고, 상기 난반사부에 직접 입사되는 광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원뿔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을 통해 출사되지 아니한 광이 내부로 재반사되도록 상기 입사면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재반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반사부는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길이방향에 대해 대략 45도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반사부는 적어도 한 쌍의 경사면들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경사면들의 사이각은 대략 84도 내지 96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반사부는 원뿔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유닛의 상기 광원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전유닛의 상기 도광부재는 상기 현상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유닛과, 상기 원고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유닛은 광원;과, 그 일단이 상기 광원과 대향되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광이 난반사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난반사부와, 상기 원고를 향해 광이 출사되도록 상기 난반사부와 대향하여 마련되는 출사면과, 상기 입사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이 확산되도록 상기 입사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도광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를 통과하는 광을 확산시켜 상기 출사면으로 직접 출사되는 광을 증가시키고, 상기 난반사부에 직접 입사되는 광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재는 상기 출사면을 통해 출사되지 아니한 광이 내부로 재반사되도록 상기 입사면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재반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반사부는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재반사부는 원뿔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독취장치.
KR1020090003840A 2009-01-16 2009-01-16 도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제전유닛, 화상형성장치, 화상독취장치 KR101650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840A KR101650310B1 (ko) 2009-01-16 2009-01-16 도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제전유닛, 화상형성장치, 화상독취장치
US12/624,130 US7965960B2 (en) 2009-01-16 2009-11-23 Light guide and charge eliminat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3/107,026 US8417153B2 (en) 2009-01-16 2011-05-13 Light guide and charge eliminat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840A KR101650310B1 (ko) 2009-01-16 2009-01-16 도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제전유닛, 화상형성장치, 화상독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376A KR20100084376A (ko) 2010-07-26
KR101650310B1 true KR101650310B1 (ko) 2016-08-24

Family

ID=4233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840A KR101650310B1 (ko) 2009-01-16 2009-01-16 도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제전유닛, 화상형성장치, 화상독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965960B2 (ko)
KR (1) KR1016503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021112D0 (en) 2010-12-13 2011-01-26 Ntnu Technology Transfer As Nanowires
CN202392588U (zh) * 2011-11-04 2012-08-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结构及包含有该背光结构的液晶显示器
GB201200355D0 (en) 2012-01-10 2012-02-22 Norwegian Univ Sci & Tech Ntnu Nanowires
US8979347B2 (en) 2012-04-24 2015-03-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llumination systems and methods
US9223080B2 (en) * 2012-04-24 2015-12-2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guide with narrow angle light output and methods
GB201211038D0 (en) 2012-06-21 2012-08-01 Norwegian Univ Sci & Tech Ntnu Solar cells
GB201311101D0 (en) 2013-06-21 2013-08-07 Norwegian Univ Sci & Tech Ntnu Semiconducting Films
JP6414469B2 (ja) * 2014-03-31 2018-10-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感光体カートリッジ
JP6256259B2 (ja) * 2014-08-29 2018-01-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10053B2 (ja) * 2014-11-21 2017-10-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導光部材
JP6418959B2 (ja) * 2015-01-19 2018-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U2016292850B2 (en) 2015-07-13 2019-05-16 Crayonano As Nanowires or nanopyramids grown on graphitic substrate
BR112018000603A2 (pt) 2015-07-13 2018-09-11 Crayonano As fotodetetores e diodos emitindo luz com forma de nanofios/nanopirâmides
CA2993884A1 (en) 2015-07-31 2017-02-09 Crayonano As Process for growing nanowires or nanopyramids on graphitic substrates
JP6604790B2 (ja) * 2015-09-15 2019-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88292B2 (ja) * 2015-09-29 2019-10-09 コーデンシ株式会社 検出装置
JP6515851B2 (ja) * 2016-03-31 2019-05-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除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558299B2 (ja) * 2016-04-27 2019-08-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除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211449A (ja) * 2016-05-24 2017-1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除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GB201705755D0 (en) 2017-04-10 2017-05-24 Norwegian Univ Of Science And Tech (Ntnu) Nanostructure
JP7027715B2 (ja) * 2017-07-28 2022-03-02 株式会社リコー 除電装置、除電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7047345B2 (ja) * 2017-11-28 2022-04-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DE112018007098T5 (de) * 2018-02-15 2020-10-29 Omron Corporation Statischer eliminator und bilderzeugnisvorrichtung
JP7095319B2 (ja) * 2018-03-09 2022-07-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20080230A1 (ja) * 2018-10-15 2020-04-23 オムロン株式会社 光照射装置、画像形成装置、除菌装置、スキャナ装置、および掃除機
JP7395299B2 (ja) * 2019-09-26 2023-12-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2022062613A (ja) 2020-10-08 2022-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8395A (ja) 2001-03-14 2002-09-27 Sharp Corp 光除電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3295717A (ja) * 2002-04-04 2003-10-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151014A (ja) * 2002-10-31 2004-05-27 Nippon Seiki Co Ltd 照明装置
JP2006091332A (ja) * 2004-09-22 2006-04-06 Sharp Corp 光除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9796A (ja) 1999-12-02 2001-06-12 Canon Inc 照明装置
US7498559B2 (en) * 2004-09-22 2009-03-03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discharg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ntain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8395A (ja) 2001-03-14 2002-09-27 Sharp Corp 光除電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3295717A (ja) * 2002-04-04 2003-10-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151014A (ja) * 2002-10-31 2004-05-27 Nippon Seiki Co Ltd 照明装置
JP2006091332A (ja) * 2004-09-22 2006-04-06 Sharp Corp 光除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83333A1 (en) 2010-07-22
US7965960B2 (en) 2011-06-21
US20110217076A1 (en) 2011-09-08
US8417153B2 (en) 2013-04-09
KR20100084376A (ko) 2010-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310B1 (ko) 도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제전유닛, 화상형성장치, 화상독취장치
US9948811B2 (en) Illuminating device,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480075B2 (ja) 光書き込み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00083529A (ko) 조명장치와 이를 갖는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CN109391748B (zh) 透镜反光镜阵列以及图像形成装置
US8477385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with substrate support,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ubstrate support
US9083841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efficiently illuminating light
US8908238B2 (en) Illumination device,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140790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914422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79293B2 (ja)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US8526076B2 (en) Illumination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147592A (ja) 原稿読取り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3164964A (ja) 除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140791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408537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56307B2 (ja) 照明装置
JP5440834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60580B2 (ja) 照明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046556A (ja) 照明装置、ドラムユニット、照明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US8698866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H0678116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022776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116669A (ja)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12542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381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02

Effective date: 20160708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02

Effective date: 2016070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