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811B1 -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811B1
KR101649811B1 KR1020147028797A KR20147028797A KR101649811B1 KR 101649811 B1 KR101649811 B1 KR 101649811B1 KR 1020147028797 A KR1020147028797 A KR 1020147028797A KR 20147028797 A KR20147028797 A KR 20147028797A KR 101649811 B1 KR101649811 B1 KR 101649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olding
clamping
mounting bracket
clamp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187A (ko
Inventor
다쿠미 시미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3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1)는, 유지구 본체(3)과, 그 유지구 본체에 조립되는 클램프 부품(5)과, 클램프력 부여 기구(7)를 적어도 구비한다. 클램프 부품(5)은, 패널측 누름면(23)을 가지고, 클램프력 부여 기구(7)에 의한 클램프력의 작용축선은, 종단면에서 볼 때, 패널측 누름면(23) 또는 그 연장면과 교차하고 있으며, 2차원적인 형상이면서 높은 파지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BALUSTRADE DEVICE FOR CONVEYOR}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객 컨베이어의 난간 패널의 유지 구조, 특히 유리를 고정하는 구조는, 중력, 승객의 장난 혹은 물체의 충돌에 의해 유리가 어긋나지 않도록, 충분한 힘으로 파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것을 만족하는 유리의 유지 구조로서는, 판을 매개로 하여 볼트의 축력(軸力)을 직접 꽉 누르는 힘으로서 작용시키는 방식이나, 쐐기의 원리에 의해 꽉 누르는 힘을 증폭시키는 방식이 있다.
전자(前者)의 판을 꽉 누르는 구조는, 단순한 구성으로 좋기는 하지만, 필요한 파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볼트의 축력을 난간 패널에 대해 직각으로 작용시킬 필요가 있다. 그 결과, 기기가 대형화하고, 재료 코스트 증가, 중량 증가, 내부 스페이스의 압박이라고 하는 결점이 생길 수 있다.
한편, 후자(後者)의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고 평7-17337호 공보에서 개시된 구성이 있다. 이 구성은, 경량이고, 공간이 절약되지만, 부품 하나 하나의 형상이 비교적 복잡하고, 판금(板金)으로 제작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부품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비교적 정밀도가 좋은 표면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방법으로서는, 기계 가공을 따르는 주조나, 사출 성형(다이캐스트)에 제한되어, 가공 코스트나 금형 투자가 고액이 되는 결점이 있다.
이것에 대해, 일본특허공개 평7-25572호 공보에는, 금형 비용이 다이캐스트와 비교해서 저가(일반적으로 1/10 ~ 1/20)인 알루미늄 압출 성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쐐기 방식의 유리 유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압출 성형에서는, 2차원적인 형상의 제조에 제한되기 때문에, 충분한 유지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를 얻는 것이 어렵고, 실제로, 일본특허공개 평7-25572호에 개시되는 구조에서는, 전술의 일본특허공고 평7-17337호에 개시되는 구조와 비교해서, 충분한 파지력을 발휘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고 평7-1733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특허공개 평7-25572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2차원적인 형상이면서 높은 파지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는, 유지구(具) 본체와, 그 유지구 본체에 조합되는 클램프 부품과, 클램프력 부여 기구를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 부품은, 패널측 누름면을 가지고, 상기 클램프력 부여 기구에 의한 클램프력의 작용축선은, 종단면에서 볼 때, 상기 패널측 누름면 또는 그 연장면과 교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차원적인 형상이면서 높은 파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승객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승객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를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비교예의 구조에서의 클램프력을 평가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에서의 클램프력을 평가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도 1과 동일 형태의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도 2와 동일 형태의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도 1과 동일 형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구조를, 화살표 VIII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구조를, 화살표 IX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3의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3의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4에서의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에 의한 패널 지지의 개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4에서의 레일 모양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4에서의 완충재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4의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4의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4의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4의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5에 관한, 도 14와 동일 형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대응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 이하의 실시 형태는 모두,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로서, 승객 컨베이어의 하나인 에스컬레이터의 난간 장치로서 설명해 나간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실시 형태 1에 관한 승객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승객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를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 이들 종단면은,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또는 해당 반송 방향이 교차하는 연직 단면이다.
본 실시 형태 1의 승객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1)는, 유지구(具) 본체(3) 및 클램프 부품(5)을 가지는 패널 유지구와, 클램프력 부여 기구(7)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다. 단적으로 말하면, 승객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1)는, 유리 패널 등의 난간 패널(9)을, 유지구 본체(3)와 클램프 부품(5)과의 사이에 두고, 클램프력 부여 기구(7)에 의해 필요한 클램프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유지구 본체(3)는, 알루미늄 압출 성형품을 소정의 길이(60 ~ 120mm 정도)로 가로로 둥글게 자른 것 같은 형태를 가진다. 또, 길이란, 도 1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를 나타내고 있다.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1)는, 도시를 생략하는 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마찬가지로 도시를 생략하는 트러스(truss) 구조체에 고정되지만, 유지구 본체(3)의 지면 좌측면에는, 그 브라켓이 연결되는 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구 본체(3)에서의 지면 우측 상부에는, 클램프 부품(5)을 수용하는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3)는, 도 2의 종단면에서 본 경우에, U자 또는 V자 모양의 홈이다. 또, 오목부(13)는, 도 2의 종단면에서 본 경우에, 패널 받이면(15)과, 클램프 부품측 맞닿음면(17)과, 저면(19)으로 획정(畵定)되어 있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패널 받이면(15)과 클램프 부품측 맞닿음면(17)은, 저면(19)측으로 갈수록, 그들 간격이 좁게 되도록 상호 경사지는 관계에 있다. 즉, 오목부(13)는, 저면(19)에 가까워질수록, 공간이 좁아지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클램프 부품측 맞닿음면(17)은, 클램프 동작시에, 클램프 부품(5)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클램프 부품(5)이 난간 패널(9)로부터 받는 반력을 받아 들인다. 본 실시 형태 1의 예에서는, 클램프 부품측 맞닿음면(17)은, 패널 받이면(15)에 대해서, 10 ~ 30° 경사져 있다.
저면(19)에는, 클램프력 부여 기구(7)의 일부인 후술하는 볼트의 머리 부분을 설치하기 위한 볼트 장착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저면(19)은,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패널 받이면(15)과 직교하고 있다.
클램프 부품(5)은, 유지구 본체(3)와 동일하게 알루미늄 압출 성형품이며, 유지구 본체(3)보다 10 ~ 20mm 정도, 길이 치수가 크다. 클램프 부품(5)은, 그 양측부에, 패널측 누름면(23)과 유지구 본체측 맞닿음면(25)을 가진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유지구 본체측 맞닿음면(25)과, 유지구 본체(3)의 클램프 부품측 맞닿음면(17)은, 상호 접촉·슬라이딩하는 관계에 있다. 또, 패널측 누름면(23)은, 난간 패널(9)과, 상호 접촉·슬라이딩하는 관계에 있다.
패널측 누름면(23)과, 유지구 본체측 맞닿음면(25)은, 오목부(13)의 저면(19)측으로 갈수록, 그들 간격이 좁게 되도록 상호 경사지는 관계에 있다. 또, 클램프 부품(5)에는, 클램프력 부여 기구(7)의 일부인 후술하는 볼트의 축부가 관통하기 위한 구멍(노치인 형태도 포함함)(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27)의 축선(A)은, 도 2의 지면에서 보아, 패널측 누름면(23)과 유지구 본체측 맞닿음면(25)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클램프력 부여 기구(7)는, 일례이지만, 볼트(29)와, 고정 너트(31)와, 클램프력 부여 너트(33)를 가지고 있다. 볼트(29)는, 그 머리 부분이 볼트 장착홈(21)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 너트(31)가 체결됨으로써, 오목부(13) 내에 고정된다. 그리고, 볼트(29)의 축부에, 클램프 부품(5)이 꽂힌 상태에서, 추가로 그 상부로부터 클램프력 부여 너트(33)가 체결됨으로써, 클램프 부품(5)에 클램프력을 부여한다.
클램프력 부여 기구(7)에 의한 클램프력의 작용축선(F)은, 종단면에서 볼 때, 패널측 누름면(23) 또는 그 연장면(B)과 교차하고 있다. 또, 이 교차는, 클램프력의 작용축선(F)을 나타내는 화살표의 선단측에서의 상태에 한정하여 보는 것으로 한다. 환언하면, 이 교차는, 도 2의 지면에서 말하는 클램프 부품(5)의 하측의 영역에서 본 것을 말한다.
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클램프력 부여 기구(7)에 의한 클램프력의 작용축선(F)은, 종단면에서 볼 때, 패널측 누름면(23)(그 연장면(B)도 포함함)과 유지구 본체측 맞닿음면(25)(그 연장면(C)도 포함함)과의 사이를 연장하고 있다. 또, 관통 구멍(27)의 축선(A) 즉 클램프력의 작용축선(F)과, 유지구 본체측 맞닿음면(25) 및 그 연장면(C)은, 평행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패널 유지구에서는, 쐐기의 원리를 이용한 클램프 부품(5)에 의해 확실한 동작으로 난간 패널(9)을 고정한다. 또, 볼트(29)는, 클램프 부품(5)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고, 클램프력의 작용축선(F)과, 유지구 본체측 맞닿음면(25) 및 그 연장면(C)이 평행하게 되도록, 볼트 장착홈(21), 관통 구멍(27) 및 볼트(29)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 1에 관한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의 뛰어난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비교예로서, 전술한 특허 문헌 2(일본특허공개 평7-25572호 공보)에 개시된 구조에서의 클램프력에 대해 도 3을 기초로 설명하고, 그것에 이어서, 본 실시 형태 1에 관한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의 클램프력에 대해 도 4를 기초로 설명한다.
또, 후술의 설명 중에서 이용하는 기호는 다음의 의미이다.
F:클램프력의 작용축선=볼트의 체결력(축력),
P:클램프 부품이 난간 패널로부터 받는 반력(파지력),
N:클램프 부품이 유지구 본체로부터 받는 반력,
μ1:클램프 부품과 유지구 본체와의 마찰 계수,
μ2:클램프 부품과 난간 패널과의 마찰 계수, 및,
θ:패널 받이면과 클램프 부품측 맞닿음면(클램프 부품의 진행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
먼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구조에 관해, 클램프 부품에 작용하는 힘의 균형은, 직교 2축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관계가 얻어진다.
[수식 1]
Figure 112014097795646-pct00001
[수식 2]
Figure 112014097795646-pct00002
클램프 부품이 유지구 본체로부터 받는 반력 N을, 축력 F와 파지력 P로 나타내도록, 식 (2)를 변형하면,
[수식 3]
Figure 112014097795646-pct00003
이 된다. 그리고, 식 (3)을 식 (1)에 대입하여, 반력 N를 소거하면,
[수식 4]
Figure 112014097795646-pct00004
가 된다. 게다가, 식 (4)를, 파지력 P를 축력 F로 표현하도록 변형하면,
[수식 5]
Figure 112014097795646-pct00005
가 된다.
식 (5)에서,μ1, μ2, θ를 변화시켜, 각 조건에서 파지력 P가 축력 F의 몇배가 되는지 계산하면, 이하의 표 1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또, 계산의 편의상 μ12=μ로 한다.
[표 1]
Figure 112014097795646-pct00006
이것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 1에 관한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에 관해서도,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먼저, 힘의 균형 관계로서는, 이하의 2개의 식,
[수식 6]
Figure 112014097795646-pct00007
[수식 7]
Figure 112014097795646-pct00008
이 얻어진다. 그리고, 식 (6) 및 식 (7)을 이용하여, 반력 N을 소거하면,
[수식 8]
Figure 112014097795646-pct00009
이 얻어진다. 게다가, 이 식 (8)을, 파지력 P를 축력 F로 표현하도록 변형하면,
[수식 9]
Figure 112014097795646-pct00010
가 된다.
식 (9)에서, 역시 마찬가지로 μ(μ1=μ2=μ), θ를 변화시켜, 각 조건에서 파지력 P가 축력 F의 몇 배가 되는지 계산하면, 이하의 표 2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표 2]
Figure 112014097795646-pct00011
이들 표 1 및 표 2의 비교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마찰을 무시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비교예에서는 μ=0, θ=10°에서 P=5.67F,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P=5.76F와 큰 차이는 없지만, 마찰을 무시할 수 없는 실제의 조건에서는 그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현실적인 μ=0.4 ~ 0.8의 영역에서는, 비교예와 같은 종래 구조에서는 볼트의 고정력에 대해서 파지력이 크게 감쇠하는데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체결력을 크게 해치지 않고, 종래 구조에 비해 120 ~ 200%의 파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압출 성형에서, 쐐기 진행 방향과 평행한 클램프 부품측 맞닿음면의 형성이나, 볼트 장착홈의 형성 등, 단면 형상의 고안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 압출에 의한 2차원으로 제한된 형상이면서, 높은 유지력을 발생시키는 패널 유지 구조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러한 뛰어난 효과는, 3차원적인 성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와 같은 고가의 금형을 이용하는 것이 강요되지 않는 이점도 얻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게다가, 유지구 본체나 클램프 부품은, 압출한 재료를 둥글게 자르기만 할 뿐이므로 생산성에도 매우 뛰어나다. 게다가, 클램프 부품이 유지구 본체보다 긴 것에 의해, 조립시, 클램프 부품이 유지구 본체로부터 약간은 돌출하는 상태가 생기지만, 이 돌출 상태를 이용하여, 클램프 부품을 유지구 본체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돌출부에 하부로부터 하중이 걸림으로써 클램프 부품을 떼어낼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 기초하여, 본 실시 형태 2의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실시 형태 2에 관한, 도 1 및 도 2와 동일 형태의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 2의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101)의 유지구 본체(103)에서는, 볼트 장착홈(121)이 오목부(13)의 저면(119)이 아니라 오목부(13)의 밖에 마련되어 있다. 또, 이것에 따라, 클램프 부품(105)에서, 관통 구멍(27)의 축선(A)이, 패널측 누름면(23)의 연장면(B)과, 유지구 본체측 맞닿음면(125)의 연장면(C)과의 사이의 영역의 밖에 있다.
클램프 부품에 관해,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실시 형태 1과의 비교로 서술하면, 클램프력 받이부(105a)를 연장하여, 관통 구멍(27)의 축선(A)을 패널측 누름면(23)의 연장면(B)과, 유지구 본체측 맞닿음면(125)의 연장면(C)과의 사이의 영역의 밖으로 옮긴 형태, 혹은 반대로, 클램프 부품(105)의 구성 영역을 줄여, 유지구 본체측 맞닿음면(125)을 패널측 누름면(23)에 근접시키도록 옮긴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 2의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101)에 의해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2차원적인 형상이면서 높은 파지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도 7 ~ 도 11에 기초하여, 본 실시 형태 3의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 3에 관한, 도 1과 동일 형태의 도면이며,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7의 구조를, 화살표 VIII 및 화살표 IX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 3의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201)는, 클램프 부품 및 클램프력 부여 기구가 조립된 유지구 본체에, 브라켓(235, 237)을 2개 조합하여 승객 컨베이어의 트러스 구조체(피고정체)(239)에 고정함으로써, 난간 패널 유지에서의 위치 결정 작업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또, 클램프 부품, 클램프력 부여 기구 및 유지구 본체의 구조는, 상술한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2의 형태인 것으로 하지만, 도 7 ~ 도 11은, 실시 형태 1의 형태로서 예시하고 있다.
브라켓(235, 237)은, 예를 들면 단면 L자 모양의 2개의 판금 부품이며, 유지구 본체(3)에 접속되는 쪽을 조정용 브라켓(235), 트러스 구조체(239)에 접속되는 쪽을 장착용 브라켓(237)으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브라켓(235, 237)은, 동일 치수의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조정용 브라켓(235)과, 장착용 브라켓(237)은 각각, 유지구 본체(3) 및 트러스 구조체(239)와 체결하고 있지 않는 쪽의 면끼리를, 체결구인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두 개의 브라켓(235, 237)은, 볼트의 축력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볼트의 사이즈나 개수는, 고려되는 외력으로부터 선정하면 좋다.
조정용 브라켓(235) 및/또는 장착용 브라켓(237)에는, 유지구 본체(3)의 높이, 좌우 위치(도 9의 지면 좌우 방향)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공(241)이 형성되어 있다. 일례이지만,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복수의 장공(241)은, 장착용 브라켓(237)에서의 트러스 구조체(239)와의 접속측과, 조정용 브라켓(235)에서의 장착용 브라켓(237)과의 접속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장공(241)에 볼트가 삽입되는 장착 형태이므로, 두 개의 브라켓(235, 237)의 사이, 및, 장착용 브라켓(237)과 트러스 구조체(239)와의 사이는, 각각, 상호의 슬라이드 또한 회전에 관한 조정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조절 기구에 의해서, 유지구 본체(3)의 위치 조정용 지그로서, 기준 위치(스텝의 레일이나 트러스)로부터의 이상적인 패널 위치에, 패널과 동등 두께의 판인 패널 더미를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0 및 도 11에 기초하여, 본 실시 형태 3에 관한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유지구 본체(3)에 대해 조정용 브라켓(235)을 장착하고, 조정용 브라켓(235)과 장착용 브라켓(237)과의 사이, 장착용 브라켓(237)과 트러스 구조체(239)와의 사이는 각각, 볼트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가(假)조립 해 둔다.
다음으로, 조정용 지그에 의해, 기준에 대해서 이상적인 위치(높이, 좌우, 경사)에 패널 더미(243)를 배치한다. 그리고, 클램프력 부여 기구(7)를 동작시켜 클램프 부품(5)에 필요한 클램프력을 부여하여, 패널 더미(243)를, 난간 패널(9)의 본래의 이상적인 유지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가(假)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가(假)체결 상태에 있던 볼트를 적절히 도여, 조정용 브라켓(235)과 장착용 브라켓(237)과의 사이, 장착용 브라켓(237)과 트러스 구조체(239)와의 사이를 조립하여, 유지구 본체(3)를 본(本)고정한다.
그리고, 클램프력 부여 기구(7)를 해방시켜, 클램프 부품(5)의 클램프력을 느슨하게 하여, 패널 더미(243)를 제거한다. 이것에 의해서, 유지구 본체(3)는, 난간 패널(9)을 본래의 이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상태로 남는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실시 형태 3에 관한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실시 형태 1 및/또는 2의 작용에 더하여, 추가로, 승객 컨베이어의 조립 공장, 또는 건축 현장에서, 내측 패널의 좌우 위치, 높이, 연직도(鉛直度)를 고정밀도로 재현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패널 고정 구조의 위치 조정을, 용이 또한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으로, 도 12 ~ 도 18에 기초하여, 본 실시 형태 4의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 4에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301)에 의한 패널 지지의 개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 4의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301)는, 적당한 브라켓에 의해서 피고정체에 지지된 유지구 본체와, 클램프 부품과, 클램프력 부여 기구와, 레일 모양 부품과, 완충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 구체적 일례로서는, 전술의 유지구 본체(3), 클램프 부품(5), 클램프력 부여 기구(7), 조정용 브라켓(235) 및 장착용 브라켓(237)을 이용하고, 피고정체는, 트러스 구조체(239)이다.
레일 모양 부품(345)은, 두께 1.0 ~ 1.6mm 정도의 강판제 부품이며, 난간 패널(9)의 하부 아래에 배치되고, 또한, 승객 컨베이어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된다. 레일 모양 부품(345)은,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유지구 본체(3)의 오목부(13)의 저면(19)에 접하는 저벽(347)과, 패널 받이면(15)에 접하는 측벽(349)과, 패널측 누름면(23)에 접하는 측벽(351)과, 후술하는 데크 보드(deck board)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면(353)을 가지고 있다. 환언하면, 레일 모양 부품(345)은, 저벽(347) 및 한 쌍의 측벽(349, 351)에 의해서 획정된 상부가 해방된 홈으로서, 난간 패널(9)을 수용하는 홈을 구비한 부재라고 할 수 있다.
가장자리면(353)은, 후술하는 데크 보드의 보강에 사용되는 부분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 마련되어 있고, 각각이, 대응하는 측벽(349, 35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저벽(347)과 한 쌍의 측벽(349, 351)은, 도 13의 단면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향으로 개구한 コ자 모양을 이룬다. 또, 도 13의 자연 상태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저벽(347)의 내측 상면 폭(D) 보다도, 자연 상태에서의 한 쌍의 측벽(349, 351)의 상단폭 즉 개구 폭(E)이 약간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저벽(347)과 측벽(349)과의 이루는 각도(F) 및 저벽(347)과 측벽(351)과의 이루는 각도(F)가 90도 보다도 약간 큰 것에 의한다.
이와 같이 자연 상태에서는, 상면 폭(D)<개구 폭(E)이지만, 사용시에, 클램프력 부여 기구(7)를 동작시켜, 유지구 본체(3)와 클램프 부품(5)에서 난간 패널(9)을 사이에 끼워 넣을 때에는, 레일 모양 부품(345)은 탄성 변형하여, 상부의 개구가 약간 닫혀, 상면 폭(D)=개구 폭(E)이 된다.
완충재(355)는, 도 1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자연 상태에서, 저부가 어느 정도 넓고 평평한 거의 V자 모양의 단면(端面)을 가지고 있으며, 저벽(357)과 그 양단으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측벽(359, 361)을 가진다. 또, 완충재(355)는, 자연 상태와 조립 상태와의 사이에서, 상호 간격 및 각도가 변경 가능한 한 쌍의 측벽을 구비하고 있으면,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완충재(355)는, 연질의 수지 성형품이며, 유지구 본체(3)보다도 10 ~ 20mm 정도, 길이가 길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3) 내에 수용되었을 때, 패널 받이면(15)과 동일한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레일 모양 부품(345)보다도 충분히 작은 높이를 가진다.
또, 완충재(355)의 저벽(357)의 외측 하면 폭(G)은, 레일 모양 부품(345)의 저벽(347)의 내측 상면 폭(D)과 거의 동일하며, 즉, 「외측 하면 폭(G)」= 「내측 상면 폭(D)」= 「난간 패널(9)의 두께+완충재(355)의 한 쌍의 측벽(359, 361)의 합계 두께」가 된다. 이와 같이, 완충재(355)의 폭 및 높이는, 레일 모양 부품(345)의 내측으로 정확히 들어가는 사이즈로 한다.
또, 자연 상태에서, 완충재(355)의 저벽(357)과 측벽(359, 361)과의 이루는 각도(H)는, 90도 보다도 꽤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완충재(355)는, 탄성변형시켜 레일 모양 부품(345)의 내측에 배치한 상태에서는, 복원력에 의해서 레일 모양 부품(345)의 내측에 장착하게 된다.
이어서, 도 15 ~ 도 18에 기초하여, 본 실시 형태 4에 관한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사전 준비 단계로서, 공장 또는 필요에 따라서 현지 작업 현장에서, 도 15에 나타내어지는 것과 같은 상태를 얻는다. 즉, 유지구 본체(3)를, 조정용 브라켓(235) 및 장착용 브라켓(237)을 매개로 하여 트러스 구조체(239)에 장착하고, 또, 유지구 본체(3)의 오목부(13) 내에는, 클램프 부품(5), 클램프력 부여 기구(7) 및 레일 모양 부품(345)을 배치해 둔다.
또, 이 단계에서는, 클램프 부품(5)은, 클램프력 부여 기구(7)를 충분히 해방해 둠으로써, 오목부(13) 내 상부쪽의 위치에 올려 둔다. 또, 이 때, 레일 모양 부품(345)이 전술한 바와 같이 자연 상태에서 약간 열린 형태이므로, 클램프 부품(5)은 이 레일 모양 부품(345)과 유지구 본체(3)의 클램프 부품측 맞닿음면(17)에서 가볍게 끼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특별한 지지를 주지 않아도, 클램프 부품(5)이 자중으로 위치를 내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단계에서, 레일 모양 부품(345)의 한 쌍의 가장자리면(353)의 각각에는, 패킹(363)이 장착되어 있다. 게다가, 일방의 패킹(363)에는, 아우터 데크(365)가 장착되고, 타방의 패킹(363)에는, 도시하지 않은 이너 데크가 최종적으로 장착된다.
다음으로, 제1 단계로서, 도 1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레일 모양 부품(345)의 내측에, 완충재(355)를 삽입한다. 이 때, 레일 모양 부품(345)은 패널을 지지하는 동작시 보다도 넓게 열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레일 모양 부품(345)의 개구부는, 저면 보다도 약간 열린 상태가 된다. 완충재(355)는, 이 넓은 개구부로부터, 한 쌍의 측벽(359, 361)의 열림을 닫도록 탄성 변형시켜 삽입된다. 삽입된 완충재(355)는, 레일 모양 부품(345)의 내측에서 열리려고 하는 복원력으로 레일 모양 부품(345)의 내측면에 붙는다.
이어서, 제2 단계로서, 도 1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레일 모양 부품(345) 내의 완충재(355)의 내측에, 난간 패널(9)을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는, 아직 클램프력 부여 기구(7)가 해방되어 있기 때문에, 난간 패널(9)은, 유지구 본체(3)와 클램프 부품(5)과의 사이에서 약간 움직일 수 있는 상태에 있어, 경사, 높이 방향 위치, 길이 방향 위치 등을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레일 모양 부품(345)이나 완충재(355)가, 난간 패널(9)과 유지구 본체(3) 및 클램프 부품(5)과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을 떼어도 난간 패널(9)이 크게 흔들리지 않고, 난간 패널(9)은, 거의 일정한 상태로 자립하고 있다. 이것은, 난간 패널(9)의 위치·자세의 미세 조정을, 안전 또한 용이 확실히 실시할 수 있는 것에 연결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3 단계로서, 도 1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클램프력 부여 기구(7)를 작동시켜 클램프 부품(5)에 클램프력을 부여함으로써, 클램프 부품(5)의 위치가 내려가, 레일 모양 부품(345)이나 완충재(355)가 변형함으로써, 난간 패널(9)이 단단히 고정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실시 형태 4에 관한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실시 형태 1 ~ 3의 작용에 더하여, 용이하게 난간 패널의 고정밀한 장착이 가능해진다. 또, 레일 모양 부품이 난간 패널의 하단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배치되는 것에 의해, 만일, 난간 패널이 파손한 경우에도, 승객 컨베이어의 기기 내부에 패널의 파편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실시 형태 5.
다음으로, 도 19에 기초하여, 본 실시 형태 5의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실시 형태 5에 관한, 도 14와 동일 형태의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 5는, 실시 형태 4에서, 완충재의 구성을 이하에 설명하도록 변경한 것이다.
완충재(455)는, 도 1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클램프 부품(5, 105)측이 되는 내측(스텝측)의 측벽(361)의 두께가, 전술의 실시 형태 4의 경우와 동일하게 형성되지만, 패널 받이면(15)측이 되는 외측의 측벽(459)이, 측벽(361)보다도 두껍거나 또는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9는, 두꺼운 형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완충재(455)에서의 난간 패널(9)의 측면을 덮는 2면 부분은, 난간 패널(9)의 하단과 레일 모양 부품(345)과의 공간을 정확히 충전하는 두께인 것을 필요로 하지만, 완충재(455)의 측벽(459)의 두께를 복수 종류 준비해 두어, 사용하는 난간 패널(9)의 두께에 따라 선정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실시 형태 5에 관한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실시 형태 1 ~ 4의 작용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준 사양으로서 설정하고 있는 난간 패널에 더하여, 고강도 사양으로서 표준보다 두께가 두꺼운 난간 패널을 장착하는 경우도 완충재를 변경할 뿐으로, 다른 부품은 한 종류만 준비해 두면 좋고, 부품, 설정 치수, 조립 순서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 동일한 승객 컨베이어 내에서 특정 개소의 난간 패널 두께만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도, 그것에 대응하는 완충재의 변경·선정만으로 장착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승객 컨베이어에서는 유리의 난간 패널 뿐만 아니라 스테인리스의 패널을 이용하는 사양이 있으며, 종래는 유리 타입과 다른 내부 구조를 취하지만, 본 실시 형태라면, 스테인리스 패널과 적합한 소정 두께를 갖게 한 완충재를 이용함으로써, 그것 이외의 유리 타입 구조를 유용하여 실시 가능하게 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 사상 및 교시에 기초하여,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의 개변(改變) 형태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승객 컨베이어로서, 에스컬레이터에 한정되지는 않고, 움직이는 보도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은, 반송 대상이 승객인 컨베이어로의 적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람 이외의 물건을 반송하는 컨베이어에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 101, 201, 301 :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
3, 103 : 유지구 본체 5, 105 : 클램프 부품 7 : 클램프력 부여 기구 9 : 난간 패널
13 : 오목부 23 : 패널측 누름면
25 : 유지구 본체측 맞닿음면 235 : 조정용 브라켓 237 : 장착용 브라켓 241 : 장공 345 : 레일 모양 부품

Claims (5)

  1. 유지구(具) 본체와, 그 유지구 본체에 조합되는 클램프 부품과, 클램프력 부여 기구를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 부품은, 그 양측부에, 패널측 누름면과, 유지구 본체측 맞닿음면을 가지고,
    상기 유지구 본체측 맞닿음면은, 상기 유지구 본체의 클램프 부품측 맞닿음면과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클램프력 부여 기구에 의한 클램프력의 작용축선은, 종단면에서 볼 때, 상기 패널측 누름면 또는 그 연장면과 교차하고 있는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지구 본체에는, 상기 클램프 부품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널측 누름면과, 상기 유지구 본체측 맞닿음면은, 상기 오목부의 저부측으로 갈수록, 그들 간격이 좁게 되도록 상호 경사지는 관계에 있으며,
    상기 클램프력 부여 기구에 의한 클램프력의 작용축선은, 종단면에서 볼 때, 상기 패널측 누름면과 상기 유지구 본체측 맞닿음면과의 사이를 연장하고 있는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컨베이어의 피고정체와 상기 유지구 본체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조정용 브라켓 및 장착용 브라켓을 더 구비하며,
    상기 조정용 브라켓 및 상기 장착용 브라켓은 상호 접속됨과 아울러, 해당 조정용 브라켓은, 상기 유지구 본체에도 접속되고, 상기 장착용 브라켓은, 상기 피고정체에도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용 브라켓과 상기 장착용 브라켓과의 사이, 및, 해당 장착용 브라켓과 상기 피고정체와의 사이는, 각각, 장공을 관통하는 체결구(具)에 의해서 접속되며, 그것에 의해서, 상기 조정용 브라켓과 상기 장착용 브라켓과의 사이, 및, 해당 장착용 브라켓과 상기 피고정체와의 사이는, 각각, 상호 슬라이드 또한 회전에 관한 조정이 가능한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구 본체에서의 패널 받이면과 상기 클램프 부품에서의 패널측 누름면과의 사이에는, 레일 모양 부품이 배치되고,
    상기 레일 모양 부품의 내측에는, 완충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재의 내측에서, 난간 패널을 유지하는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자연 상태와 조립 상태와의 사이에서, 상호 간격 및 각도가 변경 가능한 한 쌍의 측벽을 가지고 있으며,
    일방의 측벽은, 타방의 측벽과 두께가 다른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
KR1020147028797A 2012-03-19 2012-03-19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 KR101649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7036 WO2013140504A1 (ja) 2012-03-19 2012-03-19 コンベアの欄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187A KR20140143187A (ko) 2014-12-15
KR101649811B1 true KR101649811B1 (ko) 2016-08-19

Family

ID=4922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797A KR101649811B1 (ko) 2012-03-19 2012-03-19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93569B2 (ko)
JP (1) JP5784219B2 (ko)
KR (1) KR101649811B1 (ko)
CN (1) CN104169205B (ko)
DE (1) DE112012006052B4 (ko)
WO (1) WO20131405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1056A1 (ja) * 2015-01-29 2016-08-04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欄干装置
GB2528147B (en) * 2015-03-09 2017-05-24 Pure Vista Ltd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lignment of a panel
CN104973491B (zh) * 2015-07-06 2017-03-22 苏州新达电扶梯部件有限公司 一种自动扶梯玻璃夹紧件支架
JP6690195B2 (ja) * 2015-11-11 2020-04-28 フジテック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
CN105314514A (zh) * 2015-12-03 2016-02-10 南通江中光电有限公司 一种玻璃夹紧装置及其压铸方法
JP6729613B2 (ja) * 2018-02-23 2020-07-22 フジテック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
EP3742003B1 (de) * 2019-05-21 2021-07-07 Pauli + Sohn GmbH Metallwaren Haltevorrichtung für ein flächenelement
WO2021014652A1 (ja) * 2019-07-25 2021-01-28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欄干装置
EP4114777B1 (de) 2020-03-04 2024-01-03 Inventio Ag Schutzvorrichtung bei montagearbeiten an einer fahrtreppe oder einem fahrstei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8704A (ja) * 2009-10-21 2011-05-06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ヤの欄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12084A (fr) 1967-02-21 1968-02-02 Otis Elevator Co Balustrade transparente pour appareil de transport de personnes
US3991877A (en) 1975-02-20 1976-11-16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Transportation apparatus
US4488631A (en) * 1982-07-16 1984-12-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Balustrade
JPS60213686A (ja) * 1984-04-09 1985-10-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ンコンベアの欄干
US4690264A (en) 1986-03-31 1987-09-01 Otis Elevator Company Multifunction glassholder for escalator balustrade
US5542522A (en) * 1993-04-26 1996-08-06 Otis Elevator Company Balustrade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a balustrade assembly
US5307919A (en) 1993-04-26 1994-05-03 Otis Elevator Company Balustrade panel height fixing device
JPH0717337A (ja) 1993-07-06 1995-01-20 Mazda Motor Corp 電子制御ユニットの故障判定方法及び故障判定装置
JPH07277649A (ja) * 1994-04-05 1995-10-24 Otis Elevator Co エスカレーターのガラスパネルを支持するガラスホルダーの位置修正方法およびガラスホルダー位置修正用治具
JP4434403B2 (ja) * 2000-01-26 2010-03-17 東芝エレベー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マンコンベアの欄干パネル支持装置
CN201172569Y (zh) * 2008-03-25 2008-12-31 褚雪华 自动扶梯的扶手玻璃支撑装置
CN201198432Y (zh) * 2008-04-10 2009-02-25 杨乃根 玻璃支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8704A (ja) * 2009-10-21 2011-05-06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ヤの欄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69205A (zh) 2014-11-26
WO2013140504A1 (ja) 2013-09-26
JP5784219B2 (ja) 2015-09-24
US20150122612A1 (en) 2015-05-07
DE112012006052T5 (de) 2014-12-11
DE112012006052B4 (de) 2019-05-16
CN104169205B (zh) 2016-07-20
US9193569B2 (en) 2015-11-24
JPWO2013140504A1 (ja) 2015-08-03
KR20140143187A (ko) 201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811B1 (ko) 컨베이어의 난간 장치
JP4953197B2 (ja) 多車種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の組立用ジグ装置
JP2548520B2 (ja) エスカレータの欄干構造
KR101201386B1 (ko) 공작 기계
US9132906B2 (en) Aircraft panel comprising an opening equipped with a surround
KR200470720Y1 (ko) 이종두께 및 이종재료 접합을 위한 지그장치
CN112108798A (zh) 汽车抓手总拼系统
KR20110090885A (ko) 수용 장치 내의 하우징용 체결 장치
CN102190240B (zh) 乘客传送设备及其安全装置
WO2006010785A8 (en) Mounting base for an elevator machine
JP2007062867A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
JP2011173711A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
US20100289201A1 (en) Holder
US10882152B2 (en) Mounting tool for grooved pieces
JP7120466B2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装置
ITMI960581U1 (it) Dispositivo per accogliere almeno un rullo trasportatore
JP7013080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7351709B2 (ja) 鉄道車両の内装品取り付け構造
JP5603648B2 (ja) 切断機における製品搬出装置
US20190285408A1 (en) Base of measurement apparatus
CN107977045B (zh) 薄型支撑装置及其扁状支架外壳的形成方法
JP6893426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1206668A (ja) マンコンベアの欄干パネル支持装置
KR20200074682A (ko)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
JP2017179739A (ja) 柱持ち上げ用治具及び柱持ち上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