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682A -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 - Google Patents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682A
KR20200074682A KR1020180163358A KR20180163358A KR20200074682A KR 20200074682 A KR20200074682 A KR 20200074682A KR 1020180163358 A KR1020180163358 A KR 1020180163358A KR 20180163358 A KR20180163358 A KR 20180163358A KR 20200074682 A KR20200074682 A KR 20200074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rack
fastening
nut memb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6170B1 (ko
Inventor
최기한
정재중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80163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1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screwbolts as connect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조립의 신뢰성과 사용상의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는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레일공간(1110)이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100), 상기 레일공간의 높이방향으로 삽입되는 너트부재(1300), 상기 너트부재와 체결부재(1410)에 의하여 체결되는 랙(1200) 및 상기 랙과 너트부재와 메인프레임을 연결하는 핀부(1420)를 포함하며, 상기 랙은 상기 핀부에 의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높이가 결정되면 상기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메인프레임과 밀착되면서 결합되는 선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SHELF HAVING NUT MEANS}
본 발명은 선반과 관련된 것으로서,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변형이 가능하면서도 조립의 신뢰성과 사용상의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는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에 관한 것이다.
공업 제품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공정 대기 등의 사이에 원료나 중간 제품 등을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보관 설비가 사용된다. 이러한 보관설비의 대표적인 예로서 선반을 들 수 있고, 현재 다양한 형태와 용도의 선반들이 사용되고 있다.
반도체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도 기판이나 기판이 수납된 용기를 보관하기 위한 선반이 이용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제조 공정에서는 정밀한 작업이 요청되기 때문에 제조 라인이 청정한 환경에서 구성되는 것이 통상이다. 이러한 선반에 보관된 마스크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반 사이로 송풍하는 블루워장치가 적용되는 사례도 있다.
이렇게 다양한 환경과 용도에 적합하도록 선반이 구축될 필요성이 있으며 정밀한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스택되는 물품에 적합하도록 간격이나 폭이 정확하게 맞추어져야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051692호는 종래기술의 캐리어 랙을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메인프레임(300)에 2개의 측판(100A, 100B)과 1개의 천장판(200)을 고정부재인 리벳 또는 스크류(LS)로 체결결합하여 캐리어 랙(10)을 조립함으로써 구성된다.
최근에는 용접하는 방식보다 랙과 프레임을 조립하여 체결하는 방식을 선호하는데 이는 치수 정밀도를 향상하기 위한 방식이며, 용접에 비하여 작업의 난이도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조립시의 공차 등으로 인한 뒤틀림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기 어려운 한계도 여전히 가진다.
근래 선반의 규격을 용도에 맞게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 및 가변형의 선반들이 등장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조립의 신뢰도가 낮고 정밀성도 보장되지 않은 한계가 있어 특히 반도체의 제조공정과 같은 정밀한 작업이 요청되는 경우에는 실질적인 적용이 어렵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립의 편리성이 증가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환경에 따라 쉽게 랙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유지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레일공간(1110)이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100), 상기 레일공간의 높이방향으로 삽입되는 너트부재(1300), 상기 너트부재와 체결부재(1410)에 의하여 체결되는 랙(1200) 및 상기 랙과 너트부재와 메인프레임을 연결하는 핀부(1420)를 포함하며, 상기 랙은 상기 핀부에 의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높이가 결정되면 상기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메인프레임과 밀착되면서 결합되는 선반을 제공한다. 따라서, 위치의 결정과 체결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과 유지보수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상기 랙은 상기 핀부가 삽입되는 핀홈(1222)과, 상기 핀홈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122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핀홈에 대응되는 핀삽입홀(1332)과 체결부재가 나삽되는 체결홀(1331)의 세트가 높이방향에서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랙의 높이의 조절이 용이하다.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핀삽입홀과 체결홀이 형성되는 바디(1310)와, 상기 바디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공간의 개구측에 삽입되는 삽입부(13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레일공간이 전후방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전후방의 레일공간의 내측으로 상기 핀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레일공간이 전후측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며 전후방의 레일공간의 내벽의 일부를 상호 교차하여 연결하는 리브부(115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선반의 조립시 상하방향의 위치 결정은 핀부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결합력의 제공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로 다른 두 가지 기능을 분리함으로써 제조 공정상의 편리성과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부재에 의한 체결은 메인프레임과 직접 이루어지지 않고 랙과 너트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의 부위와의 기계적인 마찰력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결 과정에서 물리적인 손상의 가능성이 적고, 메인프레임의 마모나 손상에 따른 교체의 부담도 저감되기 때문에 유지보수의 경제성도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캐리어 랙에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에서 너트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의 메인프레임과 랙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물품이 안착되는 랙이 메인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되 랙과 메인프레임의 결합을 위하여 너트부재가 구성되고, 조립시 랙의 위치결정은 핀부가 수행하며 결합력은 너트부재와 랙의 체결력에 의하여 제공되는 개념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후방측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에 대해 전방측으로 고정 지지되는 랙에 대한 예를 주요하게 설명하나 상기 메인프레임은 전후방이나 측방 등의 선택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랙의 형상이나 고정되는 방향 또한 반드시 본 발명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선반은 반도체 제조에 있어 마스크와 같은 부품을 안착하여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물품이나 장치들의 적재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선반조립체(1000)는 전체적인 구조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1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0)에 체결되는 랙(1200)과, 랙(1200)이 프레임에 대해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소정의 레일을 구비하는 체결구조로 구성된다.
도시된 사항을 참조하면 메인프레임(1100)은 랙(1200)을 후방측에서 지지하나 상기 메인프레임(1100)은 전후 및/또는 좌우의 선택된 위치에서 랙(1200)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100)의 수평방향에 대한 랙(1200)의 장착위치 선택을 위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물품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랙(120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0)에 대해 기본적으로 상하방향으로 복수로서 배열되어 높이방향으로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물품을 안착 또는 수납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물품이 안착되는 상판부(1210)와 메인프레임(1100)에 결합되는 절곡체결부(1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100)과 절곡체결부(1220)는 일체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별도의 부재가 조립되어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상판부는 특히 반도체 공정과 같은 정밀한 부품의 안착을 위하여 상면이 수평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공정에 적용되는 경우 수평선을 중심으로 +0.2mm 내지 -0.2mm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랙(1200)의 전후방향을 관통하여 체결부재(1410)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이는 메인프레임(1100) 및 메인프레임(1100)에 구성되는 체결구조에 의하여 체결된다.
상기 체결구조의 구성을 위하여 메인프레임(1100)은 소정의 상하방향의 레일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레일공간을 따라 랙(120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아래에서 이러한 체결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의 측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랙(1200)은 상판부(1210)와 이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는 절곡체결부(1220)를 구비하는데, 상기 절곡되는 방향은 메인프레임(1100)과의 다양한 위치관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랙(1200)은 전방측으로 더욱 수납공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선반연장부(123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공지의 다양한 연장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선반연장부(1230)는 경우에 따라 마스크나 리드프레임과 같은 정해진 물품의 안착이 가능한 지그로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절곡체결부(1220)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1410)가 관통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홀(1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부(1420)와 체결부재(1410)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 높이방향에서 하나의 체결부재(1410)가 적용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체결부(1220)에서 높이방향으로 두 개 이상의 체결부재(1410)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상부의 체결부재(1410)와 하부의 체결부재(1410)가 구분되고 관통홀(1221) 역시 이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상부에서 랙(1200)에 의한 회전 모멘트의 부하에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절곡체결부(1220)의 하부보다 상부의 전후방향 두께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부의 체결부재(1410)와 하부의 체결부재(1410)의 배치 사이에는 전방으로 단차진 형태의 단차부(12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체결부재(1410)가 하부의 체결부재(1410)보다 전후방으로 더 길게 형성되었음을 참고한다.
상기 체결부재(1410)는 절곡체결부(1220)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후방으로 더욱 연장되되 메인프레임(1100)이 아닌 너트부재(1300)에 체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랙(1200)의 메인프레임(1100)에 대한 높이방향의 위치 결정은 핀부(1420)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메인프레임(1100)과의 결합은 너트부재(1300)와의 체결에 의한 마찰력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랙(1200)에는 핀홈(1222)이 형성되어 핀부(1420)의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핀부(1420)는 너트부재(1300)를 관통하고 메인프레임(1100)에 형성되는 핀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핀부(1420)는 체결부재(1410)와 달리 랙(1200), 너트부재(1300) 및 메인프레임(1100)을 함께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함에 유의한다.
상기 너트부재(1300)는 메인프레임(1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체결부재(1410)의 장착 및 조임 동작에 따라 랙(1200)의 마주보는 부분에 인접되면서 메인프레임(1100)의 외측으로 밀착되면서 마찰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에서 너트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너트부재(1300)는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메인프레임(1100)의 종방향으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너트부재(1300)는 메인프레임(1100)의 외곽에 인접 형성되는 레일공간에 삽입되어 체결 과정에서는 전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랙(1200)의 메인프레임(1100)에 대한 상하방향의 위치는 핀부(1420)에 의하여 결정되며 체결은 체결부재(141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너트부재(1300)는 바디(13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핀삽입홀(1332)과 하나 이상의 체결홀(1331)이 세트를 이루어 배치된다. 이러한 핀삽입홀(1332)과 체결홀(1331)의 세트는 너트부재(1300)의 종방향으로 복수로서 배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등간격으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예에서는 측방에서 바라볼 때 하나의 절곡체결부(1220)에 대해 두 개의 체결부재(1410)가 결합되기 때문에 상측에 핀삽입홀(1332)이 형성되고 그 하측으로 두 개의 체결홀(13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홀(1331)과 핀삽입홀(1332)의 배치는 절곡체결부(1220)의 핀홈(1222)과 관통홀(1221)의 배치에 대응되며, 이는 핀부(1420)와 체결부재(1410)의 배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체결홀(1331)의 내부는 체결부재(141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부(1420)는 상하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며 어느 정도 하중을 지탱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전후방향으로의 폭을 보장할 수 있는 절곡체결부(1220)의 상측에 배치되며, 핀홈(1222)은 상판부(1210)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체결부재(1410)는 긴 것이 상측에 배치되고 보다 짧은 것이 하측에 배치된다.
한편, 너트부재(1300)는 랙(1200)과 함께 핀부(1420)에 의하여 상하방향의 위치가 결정된 이후 함께 움직이게 되며 메인프레임(1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바디(1310)와 체결부재(1410)에 의한 체결에 따라 절곡체결부(1220)의 후방벽에 밀착되거나 인접되는 삽입부(1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핀삽입홀(1332)과 체결홀(1331)은 바디(1310)와 삽입부(1320)를 함께 관통하여 형성된다. 다만, 경우에 따라 체결홀(1331)은 바디(1310)를 완전하게 관통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삽입부(1320)의 측벽과 바디(1310)의 정면은 메인프레임(1100)의 공간 내벽에 밀착되어 마찰력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되어서 실시예를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의 메인프레임과 랙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선반조립체(1000)에서 랙(1200)과 메인프레임(1100)의 결합부위를 절개하여 하방에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술된 예와 마찬가지로 메인프레임(1100)에 대해 랙(1200)이 배치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이에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통일하도록 한다.
메인프레임(1100)은 너트부재(1300)가 삽입될 수 있는 레일공간(11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중공의 내부 공간이 구획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랙(1200)과 접촉되는 전방측에서 바라볼 때 체결부재(1410)가 배치되는 부위에 레일공간(1110)이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면에 두 개의 레일공간(1110)이 형성되나 이러한 배치와 개수는 선택적이다.
상기 레일공간(1110)은 전방측에 체결부재(1410)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며 이러한 개구의 양측으로의 폭은 레일공간(1110)의 내부의 폭보다 대략 좁게 이루어져 양측에서 걸림턱부(1111)를 이룬다. 상기 걸림턱부(1111)는 체결부재(1410)의 체결과정에서 너트부재(130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마찰력을 향상함과 동시에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하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조립공정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랙(1200)과 너트부재(1300)의 메인프레임(1100)에 대한 높이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레일공간(1110)을 이루는 벽체를 관통하여 삽입홀이 형성되는데, 구조적 견고성을 위하여 상기 삽입홀은 메인프레임(1100)의 전후방향을 따라 두 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프레임(1100)의 전후방향에서 선택적 또는 추가적으로 랙(1200)을 결합할 수 있도록 대칭되는 형태로 레일공간(1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홀은 레일공간(1110)의 내측 벽을 관통하도록 두 개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너트부재(1300)가 삽입된 전방측의 레일공간(1110) 내벽에 형성되는 삽입홀을 제1핀삽입홀(1131)로, 이에 반대되는 후방측의 레일공간(1110) 내벽에 형성되는 삽입홀을 제2핀삽입홀(1132)로 정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메인프레임(1100)의 후방측에 랙(1200)이 결합되는 경우 랙(1200)의 핀홈(1222)에 삽입된 핀부(1420)가 제2핀삽입홀(1132)을 먼저 관통한 이후에 제1핀삽입홀(1131)에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핀부(1420)가 랙(1200), 너트부재(1300) 및 메인프레임(1100)을 함께 연결하여 상하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체결부재(1410)는 직접적으로 랙(1200)과 너트부재(1300)의 결합에만 관여를 하게 된다. 따라서, 메인프레임(1100)에는 체결부재(1410)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한편, 메인프레임(1100)은 전후 및 좌우에 소정의 레일공간(1110)들이 형성되어 선택된 방향으로 랙(1200)의 체결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평면상 각 변에는 레일공간(1110)의 개구가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양측에 하나씩 형성되고 전후측에 두 개씩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배치는 선택적이다.
한 변에 인접되는 레일공간(1110)의 개구의 사이에는 측판프레임부(1150)가 형성되어 랙(1200)의 후면과 접할 수 있으며, 각 모서리 부위에는 중공의 모서리프레임부(1140)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프레임부(1140)의 단부는 걸림턱부(1111)의 어느 하나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레일공간(1110)의 내벽들을 상호간에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리브부(1151)가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후측에 형성되는 각 한 쌍의 레일공간(1110)의 내벽 일부들을 교차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X'자 형상으로 리브부(1151)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선반조립체(1000)의 조립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랙(1200)의 핀홈(1222)에 핀부(1420)의 일단이 삽입 및 고정되어 준비된다. 이때, 핀부(1420)는 핀홈(1222)에 압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조립공정의 편리성을 위하여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경우에 따라 핀홈(1222)의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홈에 핀부(1420)의 일단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의하여 나삽되는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너트부재(1300)가 메인프레임(1100)의 레일공간(111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삽입되어 마련되면, 선택된 높이에서 핀부(1420)가 너트부재(1300)의 핀삽입홀(1332)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제1핀삽입홀(1131) 및 제2핀삽입홀(1132)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높이방향의 결정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체결부재(1410)에 의하지 않고도 랙(1200)이 메인프레임(1100)에 대해 높이방향으로 고정이 어느 정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추가적인 고정의 조작이 없이도 드라이버나 렌치 등에 의한 체결부재(1410)의 체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체결부재(1410)를 관통홀(1221)에 삽입하고 핀부(1420)가 삽입된 핀삽입홀(1332)과 세트를 이루는 체결홀(1331)에 나삽하는 방식으로 체결이 진행된다.
상기 체결부재(1410)의 조임 과정에서 너트부재(1300)는 점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삽입부(1320)측의 바디(1310)의 면에서 레일공간(1110)의 걸림턱부(1111)에 밀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너트부재(1300)의 삽입부(1320)는 걸림턱부(1111)의 사이의 공간으로 전방 이동하여 랙(1200)의 후면과 인접 또는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조상의 공차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단차부(1223)측의 바디(1310) 전방면과 걸림턱부(1111)의 내면이 밀착되지 않거나 삽입부(1320)의 전면이 랙(1200)의 후면과 밀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나, 두 가지 중의 어느 하나는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랙(1200)의 고정을 위한 마찰력은 충분하게 제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한편, 상기 마찰력을 더욱 향상할 수 있도록 삽입부(1320)가 전방측으로 갈 수록 폭이 좁아지고 걸림턱부(1111)의 측벽도 이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쐐기 방식으로 삽입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랙(1200)의 위치 이동시 체결부재(1410)와 핀부(1420)가 완전히 너트부재(1300)로부터 해방되어 메인프레임(1100)의 높이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체결부재(1410)가 탈거되고 핀부(1420)가 일부 인출되어 너트부재(1300)가 랙(1200)과 함께 메인프레임(1100)의 레일공간(11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상기된 본 발명의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에 의하여, 조립시 상하방향의 위치 결정은 핀부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결합력의 제공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로 다른 두 가지 기능을 분리함으로써 제조 공정상의 편리성과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에 의한 체결은 메인프레임과 직접 이루어지지 않고 랙과 너트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프레임의 부위와의 기계적인 마찰력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결 과정에서 물리적인 손상의 가능성이 적고, 메인프레임의 마모나 손상에 따른 교체의 부담도 저감되기 때문에 유지보수의 경제성도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선반조립체 1100...메인프레임
1110...레일공간 1111...걸림턱부
1131...제1핀삽입홀 1132...제2핀삽입홀
1140...모서리프레임부 1150...측판프레임부
1151...리브부 1200...랙
1210...상판부 1220...절곡체결부
1221...관통홀 1222...핀홈
1223...단차부 1230...선반연장부
1300...너트부재 1310...바디
1320...삽입부 1331...체결홀
1332...핀삽입홀 1410...체결부재 1420...핀부

Claims (6)

  1. 상하방향으로 레일공간(1110)이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100);
    상기 레일공간의 높이방향으로 삽입되는 너트부재(1300);
    상기 너트부재와 체결부재(1410)에 의하여 체결되는 랙(1200); 및
    상기 랙과 너트부재와 메인프레임을 연결하는 핀부(1420);를 포함하며,
    상기 랙은,
    상기 핀부에 의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높이가 결정되면 상기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메인프레임과 밀착되면서 결합되는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핀부가 삽입되는 핀홈(1222)과, 상기 핀홈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1221)을 포함하는 선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핀홈에 대응되는 핀삽입홀(1332)과 체결부재가 나삽되는 체결홀(1331)의 세트가 높이방향에서 복수로 배열되는 선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핀삽입홀과 체결홀이 형성되는 바디(1310)와, 상기 바디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공간의 개구측에 삽입되는 삽입부(1320)를 구비하는 선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레일공간이 전후방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전후방의 레일공간의 내측으로 상기 핀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각각 형성되는 선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레일공간이 전후측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며 전후방의 레일공간의 내벽의 일부를 상호 교차하여 연결하는 리브부(1151)를 구비하는 선반.
KR1020180163358A 2018-12-17 2018-12-17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 KR102146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358A KR102146170B1 (ko) 2018-12-17 2018-12-17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358A KR102146170B1 (ko) 2018-12-17 2018-12-17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682A true KR20200074682A (ko) 2020-06-25
KR102146170B1 KR102146170B1 (ko) 2020-08-19

Family

ID=71400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358A KR102146170B1 (ko) 2018-12-17 2018-12-17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1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13750U1 (ko) * 1989-11-21 1991-03-28 Element-System Rudolf Bohnacker Metallwarenfabrik, 7935 Rottenacker, De
US5531168A (en) * 1994-07-21 1996-07-02 Soho, Inc. Adjustable table and shelf unit
JP2007229005A (ja) * 2006-02-27 2007-09-13 Kenichi Cho 固定具及びそれを用いた組立式什器
JP2008168745A (ja) * 2007-01-10 2008-07-24 Honda Motor Co Ltd 軽合金製の押出フレーム
KR20100018151A (ko) * 2008-08-06 2010-02-17 (주)디폴 조립식선반 고정장치
KR20170083724A (ko) * 2016-01-11 2017-07-19 구명화 가구용 선반 고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913750U1 (ko) * 1989-11-21 1991-03-28 Element-System Rudolf Bohnacker Metallwarenfabrik, 7935 Rottenacker, De
US5531168A (en) * 1994-07-21 1996-07-02 Soho, Inc. Adjustable table and shelf unit
JP2007229005A (ja) * 2006-02-27 2007-09-13 Kenichi Cho 固定具及びそれを用いた組立式什器
JP2008168745A (ja) * 2007-01-10 2008-07-24 Honda Motor Co Ltd 軽合金製の押出フレーム
KR20100018151A (ko) * 2008-08-06 2010-02-17 (주)디폴 조립식선반 고정장치
KR20170083724A (ko) * 2016-01-11 2017-07-19 구명화 가구용 선반 고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170B1 (ko)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6978B2 (en) Nut retaining apparatus and nut holder
TWI702176B (zh) 物品收納架、及、具有物品收納架的物品收納設備
JP7042882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EP3782513B1 (en) Slide rail assembly allowing lateral float
US10287096B2 (en) Article support rack
KR20200074682A (ko)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선반
KR101374534B1 (ko) 다종 공구 수납 호환성을 향상시킨 공구 수납대
US7207432B2 (en) Linear motion drive system and rail holder
JP6305234B2 (ja) 固定具
JP5629793B2 (ja) サポート部材用の取り付け部材
JP6539053B2 (ja) ワゴン式棚装置
JP4339327B2 (ja) 学習机
JP6726260B2 (ja) フレーム材連結金具およびラックフレームシステム
JP4594490B2 (ja) 商品陳列棚
JP2021194150A (ja) 壁掛け棚用レール
US10442079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pparatus for taking out molded product
US20060261713A1 (en) Tool platform
JP6704202B1 (ja) ワークピース収納装置及びワークピースのローディング方法
JP4992293B2 (ja) ハンギング機能付きブロックパネル装置
JP2021194149A (ja) 壁掛け棚用棚柱
JPH07284419A (ja) 引出し収納部の面材取付け構造
JP2007092851A (ja) 機器、機器本体および取付けブラケット
JP3218382U (ja) 連結構造を有するラックフレーム
JP4782570B2 (ja) パネルへのキャビネットの取付構造
JP2021065609A (ja) 支持構造、什器及び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