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750B1 -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750B1
KR101646750B1 KR1020140128802A KR20140128802A KR101646750B1 KR 101646750 B1 KR101646750 B1 KR 101646750B1 KR 1020140128802 A KR1020140128802 A KR 1020140128802A KR 20140128802 A KR20140128802 A KR 20140128802A KR 101646750 B1 KR101646750 B1 KR 101646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board
button
panel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786A (ko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7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를 특정 구조로 구성하여 조립 및 설치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관리자 이외의 타인이 임의로 장치를 탈부착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는, 소정 기판이 장착된 상태로 승강장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기판패널과, 상기 기판의 노출을 위한 표시창 및 승장버튼이 제공되는 버튼표판이 구비되어 상기 기판패널에 고정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판패널은, 상측부분의 기판설치부 및 하측부분의 관통부를 포함하는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부 측에는 그 단면이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단속돌기가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단부 측에는 전방을 향해 절곡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 상면에는 한 쌍의 잠금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잠금돌기 사이에는 공구삽입홀이 천공되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사각틀 형상을 갖는 몸체의 전면에 표시창 및 버튼표판이 상.하로 형성되며, 그 몸체의 천장 측에는 상기 기판패널의 단속돌기에 끼워져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부재가 하측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버튼표판의 후면 하단 측에는 그 정면이 "┏┓" 형상을 갖으며 양측 하단이 상기 기판패널의 잠금돌기에 단속되도록 이루어진 잠금부재가 돌출 형성되며, 그 몸체의 하면 중앙에는 공구삽입홀이 천공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STRUCTURE FOR HALL BUTTON AND POSITION INDICATOR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를 특정 구조로 구성하여 조립 및 설치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함과 아울러 관리자 이외의 타인이 임의로 장치를 탈부착 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해당 건물의 각 층에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승강로가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승강장으로부터 탑승하는 승객을 승객의 버튼입력에 따른 목적층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각 층 승강장에는 승객의 엘리베이터 카 호출을 위한 승장버튼 및 현재 카의 운행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위치표시기가 구비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가 일체형 구조물로 구성되는 경우, 소정 기판이 장착된 상태로 승장벽면에 고정되는 기판패널 및, 카 호출을 위한 승장버튼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기판패널 상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의 구조에 있어서는 소정 기판이 장착되는 기판패널의 구성 시 기판 및 기판패널을 상호 이격시키기 위한 별도의 STAND OFF나 기타 부품을 사용하게 됨과 아울러, 기판 고정을 위해 별도의 볼트나 기타 조임쇠 등이 이용됨에 따라, 조립시간 및 부품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기판 및 기판패널, 프레임 등을 조립하는 볼트 또는 기판 조임쇠 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한편, 조립 시 사용된 볼트 등은 간단한 도구로 임의로 탈착이 가능해지게 되므로, 임의의 타인에 의한 탈착에 의해 장치의 고장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32254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를 특정 구조로 구성하여 조립 및 설치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관리자 이외의 타인이 임의로 장치를 탈부착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는, 소정 기판이 장착된 상태로 승강장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기판패널과, 상기 기판의 노출을 위한 표시창 및 승장버튼이 제공되는 버튼표판이 구비되어 상기 기판패널에 고정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판패널은, 상측부분의 기판설치부 및 하측부분의 관통부를 포함하는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부 측에는 그 단면이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단속돌기가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단부 측에는 전방을 향해 절곡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 상면에는 한 쌍의 잠금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잠금돌기 사이에는 공구삽입홀이 천공되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사각틀 형상을 갖는 몸체의 전면에 표시창 및 버튼표판이 상.하로 형성되며, 그 몸체의 천장 측에는 상기 기판패널의 단속돌기에 끼워져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부재가 하측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버튼표판의 후면 하단 측에는 그 정면이 "┏┓" 형상을 갖으며 양측 하단이 상기 기판패널의 잠금돌기에 단속되도록 이루어진 잠금부재가 돌출 형성되며, 그 몸체의 하면 중앙에는 공구삽입홀이 천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는 반구형상을 갖는 한 쌍의 볼록부가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판패널의 절곡부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프레임의 볼록부와 대응되도록 한 쌍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판패널의 기판설치부 하단 양측에는 기판의 하단이 안착되는 스톱퍼가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기판설치부의 상단 양측에는 기판의 상단이 단속되도록 하면에 걸턱이 형성된 기판잠금부재가 각각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기판패널의 기판설치부 전면 양측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는 기판이 기판설치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기판이격돌기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를 특정 구조로 구성하므로서, 기판패널에 기판을 조립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음은 물론, 완성품의 설치시간 및 보수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특정 구조를 갖는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를 통해 관리자 이외의 타인이 임의로 장치를 개방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장치의 고장율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가 적용된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를 나타내는 후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를 통해 기판패널 및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및 일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를 통해 기판패널에 기판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를 통해 프레임이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가 적용된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를 나타내는 후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를 통해 기판패널 및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및 일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를 통해 기판패널에 기판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를 통해 프레임이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는, 특정 구조로 설계된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를 통해, 장치의 조립 및 설치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관리자 이외의 타인에 의해 임의로 장치의 탈부착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는, 특정 구조를 갖는 기판패널(10) 및 프레임(50)을 매개로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가 구성된다.
상기 기판패널(10)은 그 전면에 소정 기판이 장착된 상태로 나사홀(32)에 체결되는 나사(34)를 매개로 승강장 벽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는데, 그 몸체는 대략 직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측부분에는 기판설치부(12)가 형성되고, 하측부분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부(14)가 천공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기판설치부(12)에는 디스플레이부(42)가 제공되는 소정 기판(40)의 장착을 위해 기판설치부(12)의 하단 양측에 기판(40)의 하단이 안착되는 스톱퍼(20)가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설치부(12)의 상단 양측에는 기판(40)의 상단이 단속되도록 하면에 걸턱(18)이 형성된 기판잠금부재(16)가 각각 수평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한 쌍이 구비되어 구성되며, 이때 상기 기판잠금부재(16)는 기판(40)의 견고한 장착을 위해 약간의 자체탄성력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기판설치부(12)의 스톱퍼(20)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해당 기판(40)의 하단을 삽입하여 안착시킨 후, 기판(40)의 상단부 측을 가압함에 따라 해당 기판(40)의 상단 부분은 상기 기판잠금부재(16) 하면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 후 걸턱(18)에 단속되어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판패널(10)의 기판설치부(12) 전면 양측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는 다수 개의 기판이격돌기(22)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기판이격돌기(22)에는 기판(40)의 접지회로 부분이 접촉되는 동시에 기판패널(10) 및 해당 기판(40)을 자동으로 이격시켜 기판(40) 후면에 노출된 전기부품의 핀 등이 기판패널(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된다.
또, 상기 기판패널(10)의 상단부 측에는 그 단면이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단속돌기(24)가 전방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50)의 걸림부재(60)가 고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패널(10)의 하단부에는 전방을 향해 대략 직각을 이루는 절곡부(26)가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26)의 상면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잠금부재(64)에 대하여 걸턱 기능을 하는 한 쌍의 잠금돌기(3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잠금돌기(30) 사이에는 공구삽입홀(36)이 천공되며, 상기 한 쌍의 잠금돌기(30) 바깥쪽으로는 상기 프레임(10)의 볼록부(62)와 대응되는 오목부(28)가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50)은 대략 사각틀 형상을 갖는 몸체의 전면에 기판패널(10)에 장착된 기판(40)의 디스플레이부(42)가 노출되는 투명이나 반투명 형태의 표시창(420 및, 승객의 엘리베이터 카 호출을 위한 승장버튼(56)이 제공되는 버튼표판(54)이 상.하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대략 사각틀 형상을 갖는 상기 프레임(10) 몸체의 천장 측에는 상기 기판패널(10)의 단속돌기(24)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쌍의 걸림부재(60)가 하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버튼표판(54)의 후면 하단 측에는 그 정면이 "┏┓" 형상을 갖으며 양측 하단이 상기 기판패널(10)의 잠금돌기(30)에 단속되도록 대략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진 잠금부재(64)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판패널(10)의 잠금돌기(30)는 상기 잠금부재(64)의 이동 시 가이드 작용을 행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부재(64)는 원활한 장착 및 탈착을 약간의 자체 탄성력을 갖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0)의 몸체 하면 중앙에는 상기 기판패널(10) 절곡부(26)의 공구삽입홀(36)과 연통되도록 공구삽입홀(58)이 천공되어, 송곳이나 드라이버 등과 같은 소정 공구(100)를 공구삽입홀(36,58)에 삽입하여 상기 잠금부재(64)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 상기 프레임(10)의 바닥면에는 대략 반구형상을 갖는 한 쌍의 볼록부(62)가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50) 및 기판패널(10)의 상호 결합 시 상기 볼록부(62)가 상기 기판패널(10)의 절곡부(26) 양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오목부(28)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가 적용된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를 승강장 벽면에 설치하는데 있어서는, 상기 기판패널(10)의 기판설치부(12) 상에 디스플레이부(42)가 구비된 기판(40)을 장착시킨다.
이를 위해, 해당 기판(40)의 하단을 상기 기판패널(10)에 구비된 한 쌍의 스톱퍼(20)에 삽입 안착시킨 후 기판(40)의 상단 측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기판(40)의 상단이 상기 기판패널(10) 상단부 측에 구비된 한 쌍의 기판잠금부재(16)에 단속되도록 한다.
즉, 상기 기판(40)의 상단 측에 외력을 인가함에 따라 상기 기판(10)의 상단은 자체탄성력을 갖는 기판잠금부재(16)를 밀어 올리면서 그 하면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 후 걸턱(18)에 단속되어 견고하게 장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기판패널(10)에 장착된 기판(40)은 다수 개의 기판이격돌기(22)를 매개로 상기 기판패널(10)의 기판설치부(12) 표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되며, 이에 해당 기판(40)의 후면에 노출된 전기부품의 핀 등이 기판패널(10)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기판패널(10)은 그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천공된 나사홀(32)을 관통하는 나사(34)를 매개로 해당 승강장의 승강장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가 있다.
그 후, 상기 기판(40)이 장착된 기판패널(10)에 상기 프레임(50)을 결합시키는데 있어서는 해당 승강장의 승강장 벽체에 고정된 기판패널(10)의 한 쌍의 단속돌기(24)에 프레임(50)의 한 쌍의 걸림부재(60)를 끼워넣어 상기 걸림부재(60)가 승장벽체 및 단속돌기(24) 사이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50)의 하측부분에 후방을 향한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프레임(50)에 구비된 반구형 돌기인 볼록부(62)가 상기 기판패널(10)의 절곡부(26)를 약간 상측으로 들어올리면서 절곡부(26)에 대응되게 구비된 오목부(28)에 맞물리면서 1차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이와 함께 상기 프레임(50)의 버튼표판(54) 후면에 구비된 잠금부재(64)가 상기 기판패널(10)의 절곡부(26)에 구비된 잠금돌기(30)에 단속되도록 한다.
즉, 상기 프레임(10)의 하측부분에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10)의 잠금부재(64)는 경사면을 갖는 상기 기판패널(10)의 잠금돌기(30) 상면을 따라 후방으로 가이드된 후 대략 갈고리 형상을 갖는 하단부가 걸턱 역할을 하는 상기 잠금돌기(30)에 단속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특정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는 상기 기판(40)이 장착된 기판패널(10) 및 프레임(50)이 매우 간편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매우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가 적용된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의 유지보수 등의 작업을 위해 상기 프레임(50)을 승강장 벽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데 있어서는 송곳이나 드라이버 등의 공구(100)를 상기 프레임(40) 및 기판패널(10)의 절곡부(26)에 형성된 공구삽입홀(36,58)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측을 향한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잠금부재(64)가 자체탄성력에 의해 상기 잠금돌기(3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그 후 프레임(50)을 파지한 상태에서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프레임(10) 및 기판패널(50)에 구비된 볼록부(62)와 오목부(28), 걸림부재(60)와 단속돌기(24)가 상호 이탈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프레임(50)을 승강장 벽면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소정 작업을 행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 기판패널, 12: 기판설치부,
14: 관통부, 16: 기판잠금부재,
18: 걸턱, 20: 스톱퍼,
22: 기판이격돌기, 24: 단속돌기,
26: 절곡부, 28: 오목부,
30: 잠금돌기, 32: 나사홀,
34: 나사, 36,58: 공구삽입홀,
40: 기판, 42: 디스플레이부,
50: 프레임, 52: 표시창,
54: 버튼표판, 56: 승장버튼,
60: 걸림부재, 62: 볼록부,
64: 잠금부재, 100: 공구.

Claims (4)

  1. 소정 기판이 장착된 상태로 승강장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기판패널과, 상기 기판의 노출을 위한 표시창 및 승장버튼이 제공되는 버튼표판이 구비되어 상기 기판패널에 고정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판패널은,
    상측부분의 기판설치부 및 하측부분의 관통부를 포함하는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부 측에는 그 단면이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단속돌기가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단부 측에는 전방을 향해 절곡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 상면에는 한 쌍의 잠금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잠금돌기 사이에는 공구삽입홀이 천공되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사각틀 형상을 갖는 몸체의 전면에 표시창 및 버튼표판이 상.하로 형성되고, 그 몸체의 천장 측에는 상기 기판패널의 단속돌기에 끼워져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부재가 하측을 향해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버튼표판의 후면 하단 측에는 그 정면이 "┏┓" 형상을 갖으며 양측 하단이 상기 기판패널의 잠금돌기에 단속되도록 이루어진 잠금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그 몸체의 하면 중앙에는 공구삽입홀이 천공되어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는 반구형상을 갖는 한 쌍의 볼록부가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판패널의 절곡부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프레임의 볼록부와 대응되도록 한 쌍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패널의 기판설치부 하단 양측에는 기판의 하단이 안착되는 스톱퍼가 상측이 개방된 상태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기판설치부의 상단 양측에는 기판의 상단이 단속되도록 하면에 걸턱이 형성된 기판잠금부재가 각각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
  4.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패널의 기판설치부 전면 양측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는 기판이 기판설치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기판이격돌기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
KR1020140128802A 2014-09-26 2014-09-26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 KR101646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802A KR101646750B1 (ko) 2014-09-26 2014-09-26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802A KR101646750B1 (ko) 2014-09-26 2014-09-26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786A KR20160036786A (ko) 2016-04-05
KR101646750B1 true KR101646750B1 (ko) 2016-08-08

Family

ID=5580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802A KR101646750B1 (ko) 2014-09-26 2014-09-26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2563A (zh) * 2018-11-15 2019-02-01 苏州新里程电控系统有限公司 一种挂壁式残疾人操纵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8851A (ja) * 2005-01-05 2006-07-20 Mitsubishi Electric Corp 操作盤のロック装置
JP2009286524A (ja) * 2008-05-27 2009-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操作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547Y1 (ko) 2003-05-27 2003-08-0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
KR100535914B1 (ko) * 2003-07-24 2005-12-09 우기원 엘리베이터용 조작 패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8851A (ja) * 2005-01-05 2006-07-20 Mitsubishi Electric Corp 操作盤のロック装置
JP2009286524A (ja) * 2008-05-27 2009-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操作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786A (ko) 201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4078B2 (en) Elevator car compartment and assembly method for same
US11174124B2 (en) Elevator car
KR101646750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
KR101618471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마감재 조립체 및 그 설치방법
KR101789740B1 (ko) 창문이탈 방지 장치
TWI802556B (zh) 用於覆蓋乘客輸送機之樓板下空間的樓板蓋裝置、乘客輸送機及安裝樓板蓋裝置的方法
US11554935B2 (en) Elevator car
KR20190002341U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JP2968700B2 (ja) 構築物用把持連結金具
KR20170090083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장치
KR200490133Y1 (ko) 방화문용 내부프레임
JP4646786B2 (ja) 天井点検口における外枠の取付構造
CN108502681B (zh) 一种电梯底梁包边机构
KR20120000736U (ko)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장치
KR101257878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KR200451315Y1 (ko) 문짝 안전장치
JP2011084385A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JP4675189B2 (ja) エレベータ表示装置
JP5920675B2 (ja) エレベータの幕板組立体およびリニューアルエレベータの新設幕板の取付方法
JP6741928B1 (ja) 窓手摺
KR102121129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
KR200477750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조립체의 상부이탈방지 구조
JP2003265341A (ja) クリップ及び浴槽エプロンの取付構造
JP7029870B1 (ja) エレベータの乗場操作盤
JP7126207B2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