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547Y1 -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547Y1
KR200322547Y1 KR20-2003-0016499U KR20030016499U KR200322547Y1 KR 200322547 Y1 KR200322547 Y1 KR 200322547Y1 KR 20030016499 U KR20030016499 U KR 20030016499U KR 200322547 Y1 KR200322547 Y1 KR 200322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box
fastening
coupled
cover mem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6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5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5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facilitating maintenance, installation, removal, replacement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장버튼이 설치되도록 승강장측 벽면에 기 설치된 몸체박스를 제거하지 않더라도 커버부재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재고 및 원가부담이 감소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승장버튼이 삽입, 설치되도록 벽면 등에 설치되는 몸체박스(100)와, 이 몸체박스의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200)로 구성된 승장버튼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박스(100)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을 갖는 몸체의 상하 면상에 한 쌍의 체결공(120)이 천공되고, 상기 몸체박스의 체결공과 대응되게 한 쌍의 장공(310)이 천공된 판재의 상단에 체결공을 갖는 체결편(320)이 절곡 형성되며 하부 내면에 고정핀(330)이 돌출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300)이 구성되어 상기 체결편 또는 고정핀이 전방측에 위치되게 몸체박스의 상하 내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 및 장공을 통해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몸체박스상에 결합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A BUTTON FIXING APPARATUS OF ELEVATOR }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이 설치되도록 승강장측 벽면에 설치된 몸체박스를 제거하지 않더라도 커버부재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승강장측의 벽면에는 승장버튼이 설치되어 탑승자가 이 승장버튼을 조작하여 엘리베이터의 카를 제어하면서 원하는 특정 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승장버튼은 벽면 등에 설치된 승장버튼 고정장치(10)에 삽입 설치되는 바, 이 승장버튼 고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장버튼(미도시)이 삽입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대략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박스(12)와, 이 몸체박스(12)의 전면에 설치되는 커버부재(1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박스(12)와 커버부재(14)의 결합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박스의 상하 내면상에 돌출 형성된 체결브라켓(16)의 체결공에 커버부재(14)의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스크류(18)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스크류식이 있고, 또한 상기 스크류식은 스크류(18)가 커버부재(14)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불량하므로 이와 같은 외관불량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승장버튼 고정장치로서,커버부재를 스크류에 의해 체결하지 않고 커버부재의 내면 상하측에 걸림편을 구성하고 대응되는 몸체박스에 걸림편고정구를 형성하여 끼움결합에 의해 고정시키는 차입식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스크류식 또는 차입식 승장버튼 고정장치가 설치되는 과정은 먼저 몸체박스가 건물벽 마감전에 설치되고 상당한 기간이 경과된 후에 승장버튼을 포함하는 커버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스크류식 또는 차입식의 몸체박스가 먼저 설치되어 대기하는 대기기간 동안에 설계변경이나 건물 소유주의 변경요구로 스크류식을 차입식으로 변경하거나 차입식을 스크류식으로 변경할 경우에는 몸체박스를 제거하여 교체하여야 하는 어려운 작업이 발생되고 이 과정에서 벽면 등을 손상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승장버튼 고정장치의 몸체박스는 차입식과 스크류식이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것이므로 차입식과 스크류식 몸체박스를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하는 호환성 결여로 인해 재고부담이 크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승장버튼이 설치되도록 승강장측 벽면에 기 설치된 몸체박스를 제거하지 않더라도 커버부재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재고 및 원가부담이 감소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승장버튼이 삽입, 설치되도록 벽면 등에 설치되는 몸체박스와, 이 몸체박스의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로 구성된 승장버튼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박스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을 갖는 몸체의 상하 면상에 한 쌍의 체결공이 천공되고, 상기 몸체박스의 체결공과 대응되게 한 쌍의 장공이 천공된 판재의 상단에 체결공을 갖는 체결편이 절곡 형성되며 하부 내면에 고정핀이 돌출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이 구성되어 상기 체결편 또는 고정핀이 전방측에 위치되게 몸체박스의 상하 내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 및 장공을 통해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몸체박스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는 체결편이 전방에 위치되게 몸체박스상에 고정브라켓이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체결편에 체결되도록 체결공을 갖는 커버판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몸체박스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판과, 이 커버판의 내면 상측에 결합되는 판형부재상에 상측 고정브라켓의 고정핀에 삽입되는 가이드부가 요입 형성된 제 1핀결합브라켓과, 상기 커버판의 내면 하측에 결합되는 판형부재상에 하측 고정브라켓의 고정핀이 삽입되는 가이드공이 천공된 제 2핀결합브라켓과, 상기 커버부재의 내면 상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커버부재가 몸체박스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핀에 탄성 걸림되는 제 1탄성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내면 하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커버부재가 몸체박스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핀에 탄성 걸림되는 제 2탄성부재가 포함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는 도 2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는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6b는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몸체박스, 200:커버부재,
210:커버판, 220:제1핀결합브라켓,
230:제2핀결합브라켓, 240:제1탄성부재,
250:제2탄성부재, 300:고정브라켓,
310:장공, 320:체결편,
330:고정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는 도 2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는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6b는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는 승장버튼이 삽입, 설치되도록 벽면 등에 설치되는 몸체박스(100)와, 이 몸체박스(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20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박스(100)는 전면이 개방되고 저면상에 케이블홀(110)이 천공된 사각통 형상의 몸체 상하 면상에 한 쌍의 체결공(120)이 천공된다.
상기 몸체박스(100)의 상하 내면상에는 각각 고정브라켓(300)이 결합되는 바, 이 고정브라켓(300)은 상기 체결공(120)과 대응되게 한 쌍의 장공(310)이 천공된 판재의 상단에 체결공(322)을 갖는 체결편(320)이 절곡 형성되며 하부 내면에 고정핀(330)이 돌출 형성된 것이고, 이 고정브라켓(300)은 상기 체결편(320) 또는 고정핀(330)이 전방측(커버부재방향)에 위치되게 몸체박스(100)의 상하 내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120) 및 장공(310)을 통해 체결되는 체결부재(130)에 의해 몸체박스(100)상에 결합되는 것으로, 결국 고정브라켓(300)의 삽입방향을 전후로 변화시켜 고정핀(330)이 앞쪽에 위치되거나 반대로 체결편(320)이 앞쪽에 위치되게 삽입한 후 체결부재(130)로 체결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커버부재(200)는 체결편(320)이 전방에 위치되게 몸체박스(100)상에 고정브라켓(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적용되는 커버부재로서 체결부재(130)에 의해 상기 체결편(320)에 체결되도록 체결공(212)을 갖는 커버판(210)으로 구성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커버부재(200)는 고정핀(330)이 전방에 위치되게 몸체박스(100)상에 고정브라켓(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적용되는 커버부재로서, 몸체박스(100)의 전면을 커버하는 사각형의 커버판(210)과, 이 커버판(210)의 내면 상측에 결합되는 판형부재상에 상측 고정브라켓(300)의 고정핀(330)에 삽입되는 가이드부(222)가 요입 형성된 제 1핀결합브라켓(220)과, 상기 커버판(210)의 내면 하측에 결합되는 판형부재상에 하측 고정브라켓(300)의 고정핀(330)이 삽입되는 가이드공(232)이 천공된 제 2핀결합브라켓(230)과, 상기 커버부재(200)의 내면 상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커버부재가 몸체박스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핀(330)에 탄성 걸림되는 제 1탄성부재(240)와, 상기 커버부재(200)의 내면 하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커버부재가 몸체박스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핀(330)에 탄성 걸림되는 제 2탄성부재(250)가 포함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 1핀결합브라켓(220)과 제 2핀결합브라켓(230)은 커버판(210)의 내면상에 용착된 체결부재(214)에 체결되는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체로 용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핀결합브라켓(220)은 몸체박스내로 삽입시에 삽입동작이 용이하도록 그 하단부가 절곡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몸체박스(100)의 상하부에 각각 고정브라켓 (300)을 끼워 넣고 체결공(120) 및 장공(310)을 통해 체결부재(130)를 삽입, 체결하여 고정시킨 다음, 몸체박스(100)를 승장버튼이 설치될 건축물의 벽면 등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몸체박스(100)의 개방부에 설치되는 커버부재(200)가 스크류식에 의해 체결되도록 설계된 경우라면 체결편(320)이 전방으로 위치되게 고정브라켓(300)을 몸체박스(100)상에 조립하고, 차입식의 경우라면 고정핀(330)이 전방으로 위치되게 고정브라켓을 조립한다.
일단 커버부재(200)가 스크류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라고 가정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편(320)이 전방으로 위치되게 고정브라켓(300)을 조립한 몸체박스(100)가 벽면 등에 설치된 상태로 설명하면, 상기 몸체박스가 설치된 상태에서 설계변경이 없이 스크류식 결합방식의 커버부재(20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편(320)의 체결공(322)과 커버부재(200)의 체결공(212)이 동일 축선상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체결부재(130)을 조립하게 되면 그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며, 한편 몸체박스가 설치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스크류가 커버부재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차입식으로 설계변경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박스(100)의 체결부재(130)를 체결상태를 해제하여 상하 고정브라켓(300)을 몸체박스로부터 분리한 다음 고정핀(330)이 전방측에 위치되게 방향전환하여 재삽입하고 체결부재(130)를 이용하여 몸체박스상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 4,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핀결합브라켓(230)의 가이드공(232)을 하부 고정브라켓(300)의 고정핀(330)에 삽입한 다음 제 1핀결합브라켓(220)의 가이드부(222)에 상부 고정브라켓(300)의 고정핀(330)을 위치시켜 후방으로 가압력을 인가하게 되면 커버판(210)이 슬라이딩 이동됨과 동시에 제 1탄성부재(240) 및 제 2탄성부재(250)의 굴곡부가 수축되면서 도 6a 및 도 6b의 도시된 형태로 상,하 고정핀(330)의 후부로 압입되어 탄성 설치되면서 커버부재(200) 전체를 몸체박스(1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에 의하면, 커버부재의 형태가 변경되더라도 몸체박스를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고정브라켓의 조립방향만 변경하면 조립이 가능하므로 커버부재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공수가 절감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몸체박스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몸체박스가 설치된 벽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몸체박스가 다양한 커버부재에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갖게 되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물류 및 재고부담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고객의 변경요구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고객만족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승장버튼이 삽입, 설치되도록 벽면 등에 설치되는 몸체박스와, 이 몸체박스의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로 구성된 승장버튼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박스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을 갖는 몸체의 상하 면상에 한 쌍의 체결공이 천공되고,
    상기 몸체박스의 체결공과 대응되게 한 쌍의 장공이 천공된 판재의 상단에 체결공을 갖는 체결편이 절곡 형성되며 하부 내면에 고정핀이 돌출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이 구성되어 상기 체결편 또는 고정핀이 전방측에 위치되게 몸체박스의 상하 내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 및 장공을 통해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몸체박스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체결편이 전방에 위치되게 몸체박스상에 고정브라켓이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체결편에 체결되도록 체결공을 갖는 커버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몸체박스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판과, 이 커버판의 내면 상측에 결합되는 판형부재상에 상측 고정브라켓의 고정핀에 삽입되는 가이드부가요입 형성된 제 1핀결합브라켓과, 상기 커버판의 내면 하측에 결합되는 판형부재상에 하측 고정브라켓의 고정핀이 삽입되는 가이드공이 천공된 제 2핀결합브라켓과, 상기 커버부재의 내면 상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커버부재가 몸체박스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핀에 탄성 걸림되는 제 1탄성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내면 하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커버부재가 몸체박스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핀에 탄성 걸림되는 제 2탄성부재가 포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
KR20-2003-0016499U 2003-05-27 2003-05-27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 KR2003225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499U KR200322547Y1 (ko) 2003-05-27 2003-05-27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499U KR200322547Y1 (ko) 2003-05-27 2003-05-27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547Y1 true KR200322547Y1 (ko) 2003-08-09

Family

ID=49412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499U KR200322547Y1 (ko) 2003-05-27 2003-05-27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5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786A (ko) 2014-09-26 2016-04-0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786A (ko) 2014-09-26 2016-04-0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6134B1 (en) Vehicle door
JP2007186093A (ja) 後付外装部品取付方法
KR200322547Y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고정장치
JP2001276486A (ja) 洗濯機
KR200432632Y1 (ko) 벽패널의 조립구조
KR20080052170A (ko)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 슈 및 그 장착 구조
JP2004067334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室
JP3620263B2 (ja) 開口枠の取り付け方法
KR200219927Y1 (ko) 천장 모서리 마감재
NL2022492B1 (en) End cap for closing an end of a suspension rail, suspension rail and assembly.
KR200224345Y1 (ko) 문틀의 고정장치
KR100579952B1 (ko) 차량의 웨이스트 라인 몰딩 부착 구조
KR100723916B1 (ko) 유리문 상부경첩
KR100422865B1 (ko) 자동차용 러기지 사이드커버의 조립구조
KR960001493Y1 (ko) 조립식 욕실의 조립구조
JP3352378B2 (ja) エレベータかご乗降口柱用化粧板
KR100321609B1 (ko) 차량의 리어 시트 마운팅 구조
KR950006768Y1 (ko) 벽판넬의 코너부 조립구조
JP2002096692A (ja) 装飾部品の取付構造
JP3746593B2 (ja) 軒樋収納ブラケット
JP2002002283A (ja) ドアのプルハンドル取付構造
KR200245196Y1 (ko) 파킹브레이크용어저스터와파킹케이블의조립구조
JPH10339045A (ja) 浴槽ユニットの天井パネル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KR100462556B1 (ko) 버스 루프판넬의 내장재 결합구조
KR200402388Y1 (ko) 유리문 상부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