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129B1 -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129B1
KR102121129B1 KR1020180163982A KR20180163982A KR102121129B1 KR 102121129 B1 KR102121129 B1 KR 102121129B1 KR 1020180163982 A KR1020180163982 A KR 1020180163982A KR 20180163982 A KR20180163982 A KR 20180163982A KR 102121129 B1 KR102121129 B1 KR 102121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rame
button
hole butt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현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3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6Details of door jam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2Mechanical or piezoelectric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삼방틀 프레임에 홀버튼 모듈과 함께 인디케이터 모듈을 결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홀버튼 모듈 및 인디케이터 모듈을 삼방틀 프레임과 함께 일체로 설치할 수 있고, 건물 벽면에 별도 설치되지 않아 별도의 고정 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며, 건물 벽면에 대한 마감 작업을 다시 할 필요가 없고 건물 벽면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건물 벽면 마감 작업시 간섭을 방지함은 물론 건물 벽면 및 삼방틀 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삼방틀 프레임에 전선을 가이드할 수 있는 연결 파이프를 장착함으로써, 홀버튼 모듈과 인디케이터 모듈을 연결하는 전선을 연결 파이프를 통해 가이드할 수 있어 전선 연결 작업을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Exterior Frame and Electric Component Assembly of Elevator Hall}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삼방틀 프레임에 홀버튼 모듈과 함께 인디케이터 모듈을 결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홀버튼 모듈 및 인디케이터 모듈을 삼방틀 프레임과 함께 일체로 설치할 수 있고, 건물 벽면에 별도 설치되지 않아 별도의 고정 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며, 건물 벽면에 대한 마감 작업을 다시 할 필요가 없고 건물 벽면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건물 벽면 마감 작업시 간섭을 방지함은 물론 건물 벽면 및 삼방틀 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삼방틀 프레임에 전선을 가이드할 수 있는 연결 파이프를 장착함으로써, 홀버튼 모듈과 인디케이터 모듈을 연결하는 전선을 연결 파이프를 통해 가이드할 수 있어 전선 연결 작업을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이나 업무용 등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 시에 이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대략 그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권상기 등이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부 및,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기계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엘리베이터 카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카 도어가 구비되고, 건물의 각층 승강장의 출입구에는 카 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면서 탑승객을 해당 층에 승하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장 도어가 설치된다.
이때, 승강장의 출입구 벽면에는 탑승객을 보호함과 동시에 출입구 벽면 보호 및 실내 미감 등을 위해 외장 프레임이 부착되는데, 이러한 외장 프레임으로 대표적인 것이 출입구의 상측, 좌측 및 우측 벽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띠 형태로 설치되는 삼방틀 프레임이다. 삼방틀 프레임은 주로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며, 에칭 등의 방식으로 무늬가 형성되기도 한다.
또한, 승강장의 출입구 벽면에는 현재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가 설치되고, 탑승 대기자가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 버튼이 설치된다. 인디케이터 및 홀 버튼은 삼방틀 프레임의 외부 영역인 건물 벽면에 주로 설치되는데, 인디케이터의 경우 출입구의 상부 벽면이나 또는 삼방틀 프레임의 내측 영역에 별도로 설치된 잠 패널에 결합되고, 홀 버튼은 삼방틀의 외측에 별도의 고정 브래킷 등을 이용하여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인디케이터 및 홀 버튼이 건물 벽면에 별도로 설치되면, 이들을 설치하기 위해 건물 벽면에 별도의 삽입부를 형성해야 하므로, 설치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별도 부품이 필요하며, 이들의 설치 작업 후 건물 벽면의 마감을 다시 시공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건물 벽면에 인디케이터 및 홀 버튼이 별도 영역을 차지하며 설치되므로, 건물 벽면의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국내등록특허 제10-090425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삼방틀 프레임에 홀버튼 모듈을 결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홀버튼 모듈을 삼방틀 프레임과 함께 일체로 설치할 수 있고, 건물 벽면에 별도 설치되지 않아 별도의 고정 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며, 건물 벽면에 대한 마감 작업을 다시 할 필요가 없고 건물 벽면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홀버튼 모듈을 삼방틀 프레임의 외부에서 삽입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홀버튼 모듈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홀버튼 모듈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결합 구조의 안정성 및 분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삼방틀 프레임에 홀버튼 모듈과 함께 인디케이터 모듈을 결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인디케이터 모듈을 삼방틀 프레임 및 홀버튼 모듈과 함께 일체로 설치할 수 있고, 인디케이터 모듈을 노출형으로 삼방틀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함으로써, 건물 벽면 마감 작업시 간섭을 방지함은 물론 건물 벽면 및 삼방틀 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삼방틀 프레임에 전선을 가이드할 수 있는 연결 파이프를 장착함으로써, 홀버튼 모듈과 인디케이터 모듈을 연결하는 전선을 연결 파이프를 통해 가이드할 수 있어 전선 연결 작업을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출입구 벽면 중 상측, 좌측 및 우측 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벽면에 설치되는 영역의 일측에는 홀버튼 결합홀이 형성되는 삼방틀 프레임; 및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할 수 있도록 사용자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삼방틀 프레임의 홀버튼 결합홀에 삽입 결합되는 홀버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홀버튼 모듈은 상기 삼방틀 프레임이 상기 출입구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삼방틀 프레임의 외부 공간에서 상기 홀버튼 결합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고, 상기 홀버튼 결합홀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별도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홀버튼 모듈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홀버튼 모듈이 상기 홀버튼 결합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홀버튼 결합홀의 외곽 영역에 맞물림되며 상기 홀버튼 모듈을 상기 출입구의 벽면 내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버튼 모듈은, 상기 홀버튼 결합홀에 삽입되는 홀버튼 케이스;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홀버튼 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조작 버튼;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라 하향 이동하는 가동 단자; 및 상기 홀버튼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단자의 하향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 단자와 접촉하는 고정 단자가 형성되는 홀버튼 PCB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홀버튼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하향 돌출되는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고리부에 탄성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버튼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홀버튼 케이스가 상기 홀버튼 결합홀에 하향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홀버튼 결합홀에 맞물림되도록 외곽 영역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 회전력에 의해 상기 홀버튼 케이스의 걸림부가 상기 홀버튼 결합홀에 맞물림되며 상기 홀버튼 케이스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의 측면 하단에는 상기 홀버튼 케이스의 분리 작업용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구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삼방틀 프레임의 일측에는 인디케이터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 모듈이 상기 인디케이터 결합홀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상기 인디케이터 결합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 일측에 하향 돌출되는 결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출부가 상기 인디케이터 결합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돌출부를 제외한 영역은 상기 삼방틀 프레임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상기 인디케이터 결합홀에 삽입되도록 하단부 일측에 상기 결합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면이 개방 형성되는 인디케이터 케이스; 상기 인디케이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발광 부재가 실장되는 인디케이터 PCB 기판; 및 상기 발광 부재에서 발광하는 빛이 통과하도록 상기 인디케이터 케이스 상면에 결합되는 윈도우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케이스는 상기 결합 돌출부의 일부 구간이 상기 인디케이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 돌출부를 제외한 영역의 하단면이 상기 삼방틀 프레임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삼방틀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홀버튼 모듈과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며 가이드되도록 연결 파이프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삼방틀 프레임에 홀버튼 모듈을 결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홀버튼 모듈을 삼방틀 프레임과 함께 일체로 설치할 수 있고, 건물 벽면에 별도 설치되지 않아 별도의 고정 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며, 건물 벽면에 대한 마감 작업을 다시 할 필요가 없고 건물 벽면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버튼 모듈을 삼방틀 프레임의 외부에서 삽입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홀버튼 모듈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홀버튼 모듈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결합 구조의 안정성 및 분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삼방틀 프레임에 홀버튼 모듈과 함께 인디케이터 모듈을 결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인디케이터 모듈을 삼방틀 프레임 및 홀버튼 모듈과 함께 일체로 설치할 수 있고, 인디케이터 모듈을 노출형으로 삼방틀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함으로써, 건물 벽면 마감 작업시 간섭을 방지함은 물론 건물 벽면 및 삼방틀 프레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삼방틀 프레임에 전선을 가이드할 수 있는 연결 파이프를 장착함으로써, 홀버튼 모듈과 인디케이터 모듈을 연결하는 전선을 연결 파이프를 통해 가이드할 수 있어 전선 연결 작업을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버튼 모듈과 인디케이터 모듈의 설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버튼 모듈과 인디케이터 모듈이 삼방틀 프레임에 결합되는 형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버튼 모듈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버튼 모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버튼 모듈의 삼방틀 프레임에 대한 삽입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버튼 모듈과 인디케이터 모듈의 설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버튼 모듈과 인디케이터 모듈이 삼방틀 프레임에 결합되는 형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버튼 모듈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버튼 모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버튼 모듈의 삼방틀 프레임에 대한 삽입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는 엘리베이터 승강장(10)의 출입구(11) 벽면 중 상측, 좌측 및 우측 벽면에 설치되며, 좌측 또는 우측 벽면에 설치되는 영역의 일측에는 홀버튼 결합홀(110)이 형성되는 삼방틀 프레임(100)과,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할 수 있도록 사용자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어 삼방틀 프레임(100)의 홀버튼 결합홀(110)에 삽입 결합되는 홀버튼 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삼방틀 프레임(100)에 홀버튼 결합홀(110)이 형성되고, 홀버튼 모듈(200)은 삼방틀 프레임(100)의 외측 벽면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삼방틀 프레임(100)의 홀버튼 결합홀(110)에 삽입되어 삼방틀 프레임(100)과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건물 벽면에 별도 설치되지 않아 별도의 고정 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며, 건물 벽면에 대한 마감 작업을 다시 할 필요가 없고 건물 벽면에 대한 활용도가 증가한다.
이때, 홀버튼 모듈(200)은 삼방틀 프레임(100)이 출입구(11)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삼방틀 프레임(100)의 외부 공간에서 홀버튼 결합홀(110)에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삽입된 상태에서는 다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홀버튼 모듈(200)이 홀버튼 결합홀(110)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는 별도 탄성 부재(예를 들면, 토션 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홀버튼 모듈(200)은 삼방틀 프레임(100)의 외부 공간에서 자유롭고 편리하게 분리 교체 가능하며, 삼방틀 프레임(100)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안정적인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탄성 부재는 홀버튼 모듈(200)의 일측에 결합되며, 홀버튼 모듈(200)이 홀버튼 결합홀(110)에 삽입됨에 따라 홀버튼 결합홀(110)의 외곽 영역에 맞물림되며 홀버튼 모듈(200)을 출입구(11)의 벽면 내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홀버튼 모듈은, 홀버튼 결합홀에 삽입되는 홀버튼 케이스(210)와,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 가능하도록 홀버튼 케이스(2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조작 버튼(220)과, 조작 버튼(220)의 조작에 따라 하향 이동하는 가동 단자(230)와, 홀버튼 케이스(210) 내부에 배치되어 가동 단자(230)의 하향 이동에 따라 가동 단자(230)와 접촉하는 고정 단자(241)가 형성되는 홀버튼 PCB 기판(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동 단자(230)가 하향 이동하면, 고정 단자(241)와 접촉하여 호출 신호를 생성한다.
홀버튼 케이스(210)의 하단부에는 하향 돌출되는 고리부(211)가 형성되고, 탄성 부재는 고리부(211)에 탄성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250)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홀버튼 케이스(210)의 상단에는 홀버튼 케이스(210)가 홀버튼 결합홀(110)에 하향 삽입되는 과정에서 홀버튼 결합홀(110)에 맞물림되도록 외곽 영역으로 돌출되는 걸림부(212)가 형성되고, 토션 스프링(250)의 탄성 회전력에 의해 홀버튼 케이스(210)의 걸림부(212)가 홀버튼 결합홀(110)에 맞물림되며 홀버튼 케이스(21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250)을 홀버튼 케이스(210)의 하부측으로 탄성 회전시킨 상태로 삼방틀 프레임(100)의 홀버튼 결합홀(110)에 삽입하게 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250)이 탄성 복원하며 상향 회전하며 홀버튼 결합홀(110)의 외곽 영역 하면을 상향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홀버튼 케이스(210)는 이에 대한 반력으로 하향 가압력을 받게 되고, 걸림부(212)가 홀버튼 결합홀(110)에 맞물림되며 홀버튼 모듈(200)의 안정적인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결합 상태에서 홀버튼 모듈(200)을 삼방틀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정 강도 이상으로 홀버튼 모듈(200)을 외부 공간으로 끌어당기면 되는데, 이 경우, 특정 공구를 이용하여 홀버튼 모듈(200)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부(212)의 측면 하단에는 홀버튼 케이스(210)의 분리 작업용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구 삽입홈(213)이 형성된다.
따라서, 공구 삽입홈(213)에 납작한 형태의 공구를 집어넣고 홀버튼 케이스(210)를 외부 공간으로 당김으로써, 홀버튼 모듈(200)을 삼방틀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구조를 통해 홀버튼 모듈(200)을 일반인이 쉽게 분리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홀버튼 모듈(20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는 이와 같이 삼방틀 프레임(100)에 홀버튼 모듈(200)을 결합함으로써, 건물 벽면에 별도 삽입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이 삼방틀 프레임(100) 설치 작업시 홀버튼 모듈(200)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방틀 프레임(100)에 인디케이터 모듈(300) 또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 모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삼방틀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결합홀(120)이 형성될 수 있고, 인디케이터 모듈(300)은 인디케이터 결합홀(120)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 모듈(300)은 엘리베이터 카의 주행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홀버튼 모듈(200)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디케이터 모듈(300)은 홀버튼 모듈(200)과 달리 삼방틀 프레임(100)의 외부에 노출되는 노출형으로 제작되어 일단부가 인디케이터 결합홀(120)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 모듈(300)은 인디케이터 결합홀(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 일측에 하향 돌출되는 결합 돌출부(301)가 형성되고, 결합 돌출부(301)가 인디케이터 결합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 돌출부(301)를 제외한 영역은 삼방틀 프레임(10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디케이터 모듈(300)이 삼방틀 프레임(100)의 외측면으로부터 d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함으로써, 건물 벽면과도 이격되게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건물 벽면의 마감 작업시 인디케이터 모듈(300)에 의한 간섭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삼방틀 프레임(100)의 설치 작업이나 마감 작업시에도 인디케이터 모듈(300)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디케이터 모듈(300)에 의한 삼방틀 프레임(100) 또는 건물 벽면 마감재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인디케이터 모듈(300)은, 인디케이터 결합홀(120)에 삽입되도록 하단부 일측에 결합 돌출부(301)가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면이 개방 형성되는 인디케이터 케이스(310)와, 인디케이터 케이스(310) 내부에 배치되며 발광 부재(321)가 실장되는 인디케이터 PCB 기판(320)과, 발광 부재(321)에서 발광하는 빛이 통과하도록 인디케이터 케이스(310) 상면에 결합되는 윈도우 패널(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 케이스(310)는 결합 돌출부(301)의 일부 구간이 인디케이터 결합홀(120)에 삽입되어 결합 돌출부(301)를 제외한 영역의 하단면이 삼방틀 프레임(10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디케이터 모듈(300)의 결합 돌출부(301) 하단에는 인디케이터 모듈(300)을 건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결합 돌출부(301)의 하단에 돌출되어 삼방틀 프레임(100)의 인디케이터 결합홀(120) 외곽 영역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는 걸림 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삼방틀 프레임(100)의 내측면에는 홀버튼 모듈(200)과 인디케이터 모듈(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을 통과시키며 가이드하도록 연결 파이프(400)가 장착될 수 있다. 홀버튼 모듈(200)과 인디케이터 모듈(300)은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엘리베이터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는데,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별도의 연결 파이프(4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선을 승강로 측으로 연장하거나 건물 벽면을 파내야 하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 작업을 더욱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삼방틀 프레임
110: 홀버튼 결합홀
120: 인디케이터 결합홀
200: 홀버튼 모듈
210: 홀버튼 케이스
220: 조작 버튼
230: 가동 단자
240: 홀버튼 PCB 기판
250: 탄성 스프링
300: 인디케이터 모듈
310: 인디케이터 케이스
320: 인디케이터 PCB 기판
330: 윈도우 패널
400: 연결 파이프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출입구 벽면 중 상측, 좌측 및 우측 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좌측 또는 우측 벽면에 설치되는 영역의 일측에는 홀버튼 결합홀이 형성되는 삼방틀 프레임; 및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할 수 있도록 사용자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삼방틀 프레임의 홀버튼 결합홀에 삽입 결합되는 홀버튼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홀버튼 모듈은 상기 삼방틀 프레임이 상기 출입구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삼방틀 프레임의 외부 공간에서 상기 홀버튼 결합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고, 상기 홀버튼 결합홀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별도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홀버튼 모듈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홀버튼 모듈이 상기 홀버튼 결합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홀버튼 결합홀의 외곽 영역에 맞물림되며 상기 홀버튼 모듈을 상기 출입구의 벽면 내측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버튼 모듈은
    상기 홀버튼 결합홀에 삽입되는 홀버튼 케이스;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홀버튼 케이스의 상면에 결합되는 조작 버튼;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에 따라 하향 이동하는 가동 단자; 및
    상기 홀버튼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단자의 하향 이동에 따라 상기 가동 단자와 접촉하는 고정 단자가 형성되는 홀버튼 PCB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홀버튼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하향 돌출되는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고리부에 탄성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버튼 케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홀버튼 케이스가 상기 홀버튼 결합홀에 하향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홀버튼 결합홀에 맞물림되도록 외곽 영역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 회전력에 의해 상기 홀버튼 케이스의 걸림부가 상기 홀버튼 결합홀에 맞물림되며 상기 홀버튼 케이스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측면 하단에는 상기 홀버튼 케이스의 분리 작업용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구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63982A 2018-12-18 2018-12-18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 KR102121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982A KR102121129B1 (ko) 2018-12-18 2018-12-18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982A KR102121129B1 (ko) 2018-12-18 2018-12-18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205A Division KR20200075784A (ko) 2020-02-24 2020-02-24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129B1 true KR102121129B1 (ko) 2020-06-09

Family

ID=71082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982A KR102121129B1 (ko) 2018-12-18 2018-12-18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1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345A (ja) * 1999-04-15 2000-10-3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用操作ボタンスイッチ
KR100904253B1 (ko) 2007-07-30 2009-06-25 우진전장 주식회사 호환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인디케이터 장치
JP6305320B2 (ja) * 2014-11-20 2018-04-04 三菱電機株式会社 操作表示器組込型エレベータの三方枠、及びエレベータの操作表示器取付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345A (ja) * 1999-04-15 2000-10-3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用操作ボタンスイッチ
KR100904253B1 (ko) 2007-07-30 2009-06-25 우진전장 주식회사 호환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의 인디케이터 장치
JP6305320B2 (ja) * 2014-11-20 2018-04-04 三菱電機株式会社 操作表示器組込型エレベータの三方枠、及びエレベータの操作表示器取付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0501B2 (ja) エレベーター
JP2009208946A (ja) エレベータ引き戸の案内装置
JP2022159567A (ja) エレベーター
KR102121129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
KR20200075784A (ko)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외장 프레임 및 전장품 조립체
JP2010095330A (ja) エレベータ装置
CN210193104U (zh) 一体式多功能的电梯厅外召唤装置
JP6687733B2 (ja) エレベーター
CN110740959B (zh) 操作和/或显示面板、电梯轿厢系统和用于制造操作和/或显示面板的方法
JP54836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089248B2 (ja) エレベータかご室天井の改修方法
JP6316157B2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
JP6780042B2 (ja) エレベーターおよび給電方法
CN108502681B (zh) 一种电梯底梁包边机构
JP2011184184A (ja) エレベータ用インジケータ及びエレベータ
JP6654111B2 (ja) エレベーターのインジケーター設置器具
KR101646750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버튼 및 위치표시기 구조
JP7435666B1 (ja) エレベータの保守用治具及び該保守用治具を使ったエレベータの保守方法
CN211998315U (zh) 厅外召唤装置
WO2019142259A1 (ja) エレベーター
JP7459030B2 (ja) エレベーター
CN214611010U (zh) 一种电梯轿顶布线装置及电梯
JP7126207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92548Y1 (ko)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테두리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
JP2015089849A (ja) エレベータかご内装置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