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689B1 -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689B1
KR101640689B1 KR1020140192516A KR20140192516A KR101640689B1 KR 101640689 B1 KR101640689 B1 KR 101640689B1 KR 1020140192516 A KR1020140192516 A KR 1020140192516A KR 20140192516 A KR20140192516 A KR 20140192516A KR 101640689 B1 KR101640689 B1 KR 101640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side frame
adjuster member
bolster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2857A (ko
Inventor
이재성
윤애리정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40192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6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2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002/2204Adjustable back-rest height or length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탑승자의 상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서스펜션이 구비된 시트백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단부가 서스펜션에 연결되며, 타측 단부가 전방으로 연장된 어드저스트부재;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어드저스트부재와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서스펜션이 가압되어 이동시 회전되는 어드저스트부재와 함께 회전되어 시트 볼스터의 볼륨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볼륨조절기구;를 포함하는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APPARATUS FOR ADJUSTING EAT BACK BOLSTER}
본 발명은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탑승자의 착좌시 시트 볼스터가 조절되어 탑승자의 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가 편안히 착좌할 수 있는 시트가 마련되고, 시트에는 시트백, 시트쿠션, 헤드레스트 등 탑승자의 체형에 맞추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시트백에 리클라이닝 장치를 적용하여 시트백을 전후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며,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을 통해 탑승자의 목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이외에, 시트의 양 사이드에는 볼스터가 구비되어 차량의 선회시 시트에 착좌한 탑승자가 원심력에 의해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탑승자가 시트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하지만, 시트의 사이드 볼스터는 초기 시트 설계시 볼스터의 볼륨량이 결정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다양한 체형의 탑승자가 모두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 제한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시트의 사이드 볼스터의 볼륨량이 고정되어 있어, 주행중 승객의 하중변화에 능동적인 변형이 없음에 따라 선회시 탑승자의 양사이드를 충분히 지지해주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2-0047683호는 "자동차용 시트백의 볼스터 조절 장치"에 일례로서, 시트백 볼스터의 볼륨량을 조절하기 위해, 센서와 모터가 구비되고, 볼스터의 볼륨량을 조절하는 랙피니언 기어 구조가 적용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시트백의 볼스터 조절 장치는 복잡한 랙피니언 구조가 적용되며, 모터까지 적용되어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차량 주행시 능동적으로 탑승자의 양사이드를 지지하지 못함에 따라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한다. 아울러, 탑승자가 시트에 착좌하는 동안 탑승자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에 있어서도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2-0047683 A (2002.06.22)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탑승자가 시트에 착좌시 시트 볼스터의 볼륨량이 조절되어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줌으로써 차량 선회시에도 탑승자의 양사이드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는 탑승자의 상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서스펜션이 구비된 시트백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단부가 서스펜션에 연결되며, 타측 단부가 전방으로 연장된 어드저스트부재;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어드저스트부재와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서스펜션이 가압되어 이동시 회전되는 어드저스트부재와 함께 회전되어 시트 볼스터의 볼륨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볼륨조절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은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수직하게 설치된 힌지핀이 구비되며, 어드저스트부재가 힌지핀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고정 브라켓에는 동일한 크기로 관통된 작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된 어드저스트부재의 일측 단부가 상기 작동홀을 통과하여 서스펜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드저스트부재는 일측 단부의 끝단이 절곡되어 갈고리 형태로 형성?, 그 끝단이 서스펜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드저스트부재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적어도 90도 각도 이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륨조절기구는 사이드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된 회전 브라켓과, 소정 면적을 갖는 판넬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어드저스트부재의 타측 단부가 접촉된 서포트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드저스트부재의 타측 단부에는 롤러가 구비되고, 롤러가 서포트 플레이트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에 따르면, 탑승자가 시트에 착좌시 시트 볼스터의 볼륨량이 조절되어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줌으로써 차량 선회시에도 탑승자의 양사이드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가 적용된 시트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4는 도 1에 도시된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가 적용된 시트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내지 4는 도 1에 도시된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시트백 볼스터 조절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상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서스펜션(14)이 구비된 시트백(10)의 사이드 프레임(12)에 고정 설치된 고정 브라켓(100); 상기 고정 브라켓(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단부(220)가 서스펜션(14)에 연결되며, 타측 단부(240)가 전방으로 연장된 어드저스트부재(200);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12)에 어드저스트부재(200)와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서스펜션(14)이 가압되어 이동시 회전되는 어드저스트부재(200)와 함께 회전되어 시트 볼스터의 볼륨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볼륨조절기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트백(10)에 구비된 볼스터의 볼륨량을 탑승자의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능동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트백(10)에는 탑승자의 상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서스펜션(14)이 구비된다. 이러한 서스펜션(14)은 시트백 프레임의 양사이드를 이루는 사이드 프레임(12) 사이에 설치되며, 다수의 와이어가 가로, 세로로 가로지르도록 구성되어 탑승자가 시트에 착좌시 탑승자의 상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서스펜션(14)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95047 (2012.08.28)"에 개시된 차량용 시트백 서스펜션이 적용될 수 있으며, 시트백(10)에 적용되는 서스펜션(14)의 경우 다양한 선행문헌들을 통해 공지되어 있는바, 그 구조에 대해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서스펜션(14)은 와이어 구조뿐만 아니라, 시트에 탑승자가 착좌시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는 구조로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하기 본 발명의 설명시에는 와이어 구조의 서스펜션(14)과 연동되어 시트 볼스터의 볼륨량이 조절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이드 프레임(12)에는 상기의 서스펜션(14)이 구비되고, 시트 볼스터가 위치되는 측으로 고정 브라켓(100)이 고정 설치된다. 특히, 고정 브라켓(100)에는 일측 단부(220)가 서스펜션(14)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240)가 전방을 향해 연장된 어드저스트부재(2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서스펜션(14)과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브라켓(100)은 사이드 프레임(12)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수직하게 설치된 힌지핀(120)이 구비되며, 어드저스트부재(200)가 힌지핀(120)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12)과 고정 브라켓(100)에는 동일한 크기로 관통된 작동홀(14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100)에 설치된 어드저스트부재(200)의 일측 단부(220)가 상기 작동홀(140)을 통과하여 서스펜션(14)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브라켓(100)은 사이드 프레임(12)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사이드 프레임(12)의 외측면에서 수직하게 설치된 힌지핀(120)이 구비되어 어드저스트부재(200)가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 브라켓(100)이 사이드 프레임(12)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어드저스트부재(200)의 일측 단부(220)가 사이드 프레임(12)의 내측에 구비된 서스펜션(14)에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이드 프레임(12)과 고정 브라켓(100)에는 작동홀(140)을 형성하여 어드저스트부재(200)가 사이드 프레임(12)의 외측면에 설치되더라도, 일측 단부(220)가 작동홀(140)을 통해 서스펜션(14)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홀(14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작동홀(140)을 관통한 어드저스트부재(200)의 일측 단부(220)가 회전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탑승자가 시트에 착좌함에 따라 서스펜션(14)을 가압하면, 서스펜션(14)이 변형되어 후방으로 이동되고, 서스펜션(14)에 일측 단부(220)를 통해 연결된 어드저스트부재(200)가 서스펜션(14)과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타측 단부(240)가 전방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기 설명할 볼륨조절기구(300)가 조작되어 시트 볼스터의 볼륨량이 조절된다.
본 발명의 볼륨조절기구(300)는 사이드 프레임(12)의 전면에 설치된 회전 브라켓(320)과, 소정 면적을 갖는 판넬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브라켓(3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어드저스트부재(200)의 타측 단부(240)가 접촉된 서포트 플레이트(34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볼륨조절기구(300)는 사이드 프레임(12)에 고정 설치된 회전 브라켓(320)과 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서포트 플레이트(340)로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 브라켓(320)의 경우 어드저스트부재(200)의 회전시 타측 단부(240)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사이드 프레임(12)의 전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서포트 플레이트(340)의 경우 소정 면적을 갖는 판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시트 볼스터가 충분히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서포트 플레이트(340)는 회전 브라켓(320)에서 일정 각도 틸팅되도록 설치되며, 어드저스트부재(200)의 회전시 타측 단부(240)가 서포트 플레이트(340)를 밀어줌으로써 서포트 플레이트(340)의 각도가 변화되어 시트 볼스터의 볼륨이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어드저스트부재(200)의 회전시 타측 단부(240)가 서포트 플레이트(340)를 밀어줌에 따라 서포트 플레이트(340)의 회전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되는데, 어드저스트부재(200)의 타측 단부(240)와 서포트 플레이트(340)의 접촉시 마찰에 의해 구성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드저스트부재(200)의 타측 단부(240)에는 롤러(242)가 구비되고, 롤러(242)가 서포트 플레이트(340)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어드저스트부재(200)의 타측 단부(240)와 서포트 플레이트(340)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고, 어드저스트부재(200)가 서포트 플레이트(340)를 부드럽고 원활하게 밀어 회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드저스트부재(200)는 일측 단부(220)의 끝단(222)이 절곡되어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그 끝단(222)이 서스펜션(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어드저스트부재(200)의 일측 단부(220)는 그 끝단(222)을 갈고리 형태로 형성하여, 서스펜션(14)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서스펜션(14)의 이동시 어드저스트부재(200)의 일측 단부(220)가 서스펜션(14)에서 회전되어 어드저스트부재(200)의 회전 동작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어드저스트부재(200)의 일측 단부(220)와 서스펜션(14)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어드저스트부재(200) 또는 서스펜션(14)의 고장 발생시 어느 하나의 부품만을 교체 가능하여 부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드저스트부재(200)의 일측 단부(220)와 타측 단부(240)는 적어도 90도 각도 이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어드저스트부재(200)의 일측 단부(220)와 타측 단부(240)의 각도는 서스펜션(14)의 이동량에 따른 시트 볼스터 볼륨량에 따라 적정 수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는 어드저스트부재(200)가 사이드 프레임(12)의 외측면에 고정 브라켓(100)을 통해 설치되고, 일측 단부(220)가 사이드 프레임(12)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며, 타측 단부(240)가 사이드 프레임(12)의 외측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만약, 어드저스트부재(200)의 일측 단부(220)와 타측 단부(240)의 각도가 너무 좁게 설정될 경우, 일측 단부(220)의 회전시 타측 단부(240)이 사이드 프레임(12)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바, 일측 단부(220)와 타측 단부(240)는 90도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도록 형성해줌으로써 일측 단부(220)에 연결된 서스펜션(14)의 이동시 타측 단부(240)가 사이드 프레임(12)의 간섭되지 않고 적정 수준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착좌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서스펜션(14)에 하중이 작용되지 않음에 따라 어드저스트부재(200)가 회전되지 않고 초기 위치를 유지하며, 어드저스트부재(200)의 타측 단부(240)에 연결된 볼륨조절기구(300)의 서포트 플레이트(340)의 각도가 넓게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시트백(10)의 양측 사이드 볼스터가 초기 상태를 유지한다.
위의 초기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시트에 착좌함에 따라 서스펜션(14)에 탑승자의 하중이 작용되면, 서스펜션(14)이 변형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되고, 서스펜션(14)에 연결된 일측 단부(220)가 서스펜션과 함께 회전되어 어드저스트부재(200)가 고정 브라켓(100)의 힌지핀(12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어드저스트부재(200)의 일측 단부(220)는 서스펜션(14)에 의해 후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타측 단부(240)는 전방으로 회전됨으로써 볼륨조절기구(300)의 서포트 플레이트(340)가 탑승자 측으로 회전된다. 이렇게, 서포트 플레이트(340)가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 방향인 탑승자 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시트 볼스터가 탑승자의 양사이드를 감싸 고정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정적인 자세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에 따르면, 탑승자가 시트에 착좌시 시트 볼스터의 볼륨량을 조절하여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줌으로써 차량 선회시에도 탑승자의 양사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정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시트백 12:사이드 프레임
14:서스펜션 100:고정 브라켓
120:힌지핀 140:작동홀
200:어드저스트부재 220:일측 단부
240:타측 단부 300:볼륨조절기구
320:회전 브라켓 340:서포트 플레이트

Claims (7)

  1. 탑승자의 상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서스펜션이 구비된 시트백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단부가 서스펜션에 연결되며, 타측 단부가 전방으로 연장된 어드저스트부재;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어드저스트부재와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서스펜션이 가압되어 이동시 회전되는 어드저스트부재와 함께 회전되어 시트 볼스터의 볼륨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볼륨조절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고정 브라켓에는 동일한 크기로 관통된 작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된 어드저스트부재의 일측 단부가 상기 작동홀을 통과하여 서스펜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사이드 프레임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수직하게 설치된 힌지핀이 구비되며, 어드저스트부재가 힌지핀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드저스트부재는 일측 단부의 끝단이 절곡되어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그 끝단이 서스펜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드저스트부재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는 적어도 90도 각도 이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륨조절기구는 사이드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된 회전 브라켓과, 소정 면적을 갖는 판넬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어드저스트부재의 타측 단부가 접촉된 서포트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어드저스트부재의 타측 단부에는 롤러가 구비되고, 롤러가 서포트 플레이트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KR1020140192516A 2014-12-29 2014-12-29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KR101640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516A KR101640689B1 (ko) 2014-12-29 2014-12-29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516A KR101640689B1 (ko) 2014-12-29 2014-12-29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857A KR20160082857A (ko) 2016-07-11
KR101640689B1 true KR101640689B1 (ko) 2016-07-19

Family

ID=5649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516A KR101640689B1 (ko) 2014-12-29 2014-12-29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6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902A (ko) * 2018-11-09 2020-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814754B2 (en) 2018-12-10 2020-10-27 Hyundai Motor Company Seat back for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0399A (ja) * 2001-11-28 2005-04-21 エル アンド ピー スイス ホールディング カンパニー シートバックサスペンション配置構造
JP2005525189A (ja) 2002-05-15 2005-08-25 インティアー オートモーティヴ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座席組立体のサスペンション用の可調式アタッチメント及び張力調整組立体
JP2014076735A (ja) * 2012-10-10 2014-05-01 Nhk Spring Co Ltd 車両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018B1 (ko) 2000-12-13 2003-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의 볼스터 조절 장치
KR101081192B1 (ko) * 2008-10-14 2011-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0399A (ja) * 2001-11-28 2005-04-21 エル アンド ピー スイス ホールディング カンパニー シートバックサスペンション配置構造
JP2005525189A (ja) 2002-05-15 2005-08-25 インティアー オートモーティヴ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座席組立体のサスペンション用の可調式アタッチメント及び張力調整組立体
JP2014076735A (ja) * 2012-10-10 2014-05-01 Nhk Spring Co Ltd 車両用シ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902A (ko) * 2018-11-09 2020-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33948B1 (ko) 2018-11-09 2024-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814754B2 (en) 2018-12-10 2020-10-27 Hyundai Motor Company Seat back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857A (ko)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377B1 (ko)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 모듈
JP6040817B2 (ja) 乗物用シート
KR20180108955A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KR101725414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147021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725413B1 (ko)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620231B1 (ko) 차량용 후석 리클라이닝 장치
KR101640689B1 (ko)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JP2006224921A (ja) 車両用シート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JP5396236B2 (ja) 車両用シート
JP4569823B2 (ja) 車両用シート
JP6599243B2 (ja) 車両用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9150121B2 (en) Adjusting mechanism, in particular in the interior fittings area of a motor vehicle
JP5598675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6213103A (ja) 自動車の着座姿勢調整装置
US9308847B2 (en) Lumbar support operation member and vehicle seat
JP6601158B2 (ja) 乗物用シート
US9119472B2 (en) Movable seat insert
JP2010076603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JP6629260B2 (ja) 乗物用シート
JP6601159B2 (ja) 乗物用シート
JP6451501B2 (ja) 乗物用シート
JP2006111066A (ja) 車両用シート
JP2021003990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