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192B1 -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192B1
KR101081192B1 KR1020080100463A KR20080100463A KR101081192B1 KR 101081192 B1 KR101081192 B1 KR 101081192B1 KR 1020080100463 A KR1020080100463 A KR 1020080100463A KR 20080100463 A KR20080100463 A KR 20080100463A KR 101081192 B1 KR101081192 B1 KR 101081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
wire
seatback
pad
side bol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331A (ko
Inventor
성영복
김형준
나재현
기창주
이태훈
최종읍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19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1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86Side-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3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급회전 혹은 좌우 선회시 운전자의 중심이 좌우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백의 테두리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하부는 개구되고, 상부는 폐쇄된 역 "U"자 형상이면서 양측 와이어가 전방으로 라운드된 전면 와이어부와, 상기 양측 와이어 상의 두 지점에서 고정된 상태로 전면 와이어부의 내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일체화되는 측면 와이어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시트백 패드의 패드 금형에 삽입되어 인서트 발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동차, 시트백, 사이드 볼스터, 시트백 패드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Side bolster device of seat back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급회전 혹은 좌우 선회시 운전자의 중심이 좌우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실내 앞쪽과 뒤쪽으로 설치된 좌석의자인 시트(Seat)는 탑승객의 편안함을 위해, 여러 가지 편의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일례로, 탑승객의 체형에 따라 앞·뒤로 밀고 당겨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 기능과 더불어, 상황에 따라 시트를 상·하로 움직이는 승강 기능은 물론, 시트의 등받이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 등이 있다.
또한, 운전자가 착석하는 시트에는 착석 시, 운전자의 요부에 작용하여 운전자에게 안락성을 주어 피로도를 덜어 주도록 등받이내부로 럼버 서포트(Lumbar support)를 내장하게 되며, 이는 운전자의 장시간 운전 시에도 허리 부분을 받쳐 상체의 체압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에 따른 피로를 최소화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착석하는 시트에는 등받이 양측에 전방으로 볼록하게 나온 부분에 사이드 볼스터(Side Bolster)장치가 형성되는데, 이는 차량의 급회전 혹은 좌우 선회시 운전자의 중심이 좌우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등받이의 뼈대를 이루는 메인 프레임에 약간의 돌출부를 부가해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보다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종래의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는 체압분포센서에서 착석자를 감지하고, 이 감지 신호를 ECU에 전달함에 따라 상기 ECU가 구동모터에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볼스터가 구현되는 전자식과, 일반적인 시트백 서스펜션 측면에 단지 볼스터 기능을 갖는 브라켓만을 장착하여 착석자의 체압에 의해 상기 브라켓이 간단히 회동하여 구현되는 기계식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사이드 볼스터장치는 전자식인 경우, ECU, 센서 등과 같은 전자식 메커니즘이 다수 필요하므로 비용 측면에서 불리하고, 다수의 구성품으로 인하여 중량이 과다하여 연비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계식인 경우, 볼스터 조절 메커니즘이 시트백 프레임에 적용되므로 전용 시트백 프레임이 추가로 필요하고, 측면부를 과다하게 지지하므로 시트 안락감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럼버 서포트를 작동할 경우, 볼스터가 벌어져 허리 지지성능이 저하되는 한편, 차량의 코너링 운행 시에도 지지 성능이 저하되어 탑승자의 상체가 시트백에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차량의 급회전 혹은 좌우 선회시 운전자의 중심이 좌우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되, 특히 시트백 서스펜션을 시트백 패드에 적용하여 시트 조립라인의 작업 공수를 축소하고, 이로 인한 시트백 프레임 구조의 단순화로 시트의 슬림화를 도모하며, 시트백 패드 내부에 적용된 시트백 서스펜션이 탑승자의 하중에 직접 반응하므로 시트 안락성을 향상시키고, 럼버 서포트장치의 조작 시 발생되는 볼스터의 벌어짐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에 있어서,
시트백의 테두리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하부는 개구되고, 상부는 폐쇄된 역 "U"자 형상이면서 양측 와이어가 전방으로 라운드된 전면 와이어부(11)와, 상기 양측 와이어 상의 두 지점에서 고정된 상태로 전면 와이어부(11)의 내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일체화되는 측면 와이어부(12)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시트백 패드(20)의 패드 금형에 삽입되어 인서트 발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측면 와이어부(12)와, 시트백 서스펜션(13)이 결합되는 부위의 시트백 패드(20)에는 측면 와이어부(12)와 시트백 서스 펜션(13)의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와이어 노출부(21)가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노출부(21)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 측면 와이어부(12)는 그 양측 중앙에 시트백 서스펜션(13)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 와이어부(11)는 그 양측의 와이어 상에 시트백 패드(20)의 손상 방지를 위한 튜브 형상의 연결관(30)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에 의하면, 시트백 프레임에 적용된 종래의 시트백 서스펜션을 시트백 패드에 적용하므로 상기 시트백 서스펜션의 주변 부품을 삭제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시트 조립라인의 작업 공수가 대폭 축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장점으로 인하여 시트백 프레임의 구조가 단순화되므로 시트의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시트백 패드 내부에 적용된 시트백 서스펜션이 탑승자의 하중에 직접 반응하므로 시트 안락성을 향상시키며, 럼버 서포트장치의 조작 시 발생되는 볼스터의 벌어짐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의 사이드 볼스터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에 시트백 패드를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볼스터장치의 시트백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조립순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의 작동이 화살표를 통해 나타낸 작동도이다.
본 발명은 시트백 패드(20) 내부에 일체 성형된 전면 와이어부(11), 측면 와이어부(12), 시트백 서스펜션(13)으로 이루어진 사이드 볼스터부(10)를 구비하여 시트백의 볼스터를 통해 착석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이 있다.
즉, 탑승자가 차량의 시트에 착석할 경우, 착석자의 상체가 시트백 패드(20) 내에 장착된 시트백 서스펜션(13)을 가압하고, 상기 시트백 서스펜션(13)과 연결된 측면 와이어부(12) 및 전면 와이어부(11)를 순서대로 착석자 방향으로 당겨주어 착석자의 측면 지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럼버 서포트장치(미도시)를 전방으로 조작할 경우, 볼스터가 벌어지는 품질 문제를 개선하고, 차량의 코너링 시, 탑승자의 측면 지지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시트백 프레임(100)에 조립되는 시트백 서스펜션(13)을 시트백 패드(20) 내에 인서트되는 와이어부(11,12)에 결합함에 따라 시트백 프레임(100)의 단순화가 가능함으로써, 원가 및 중량 절감을 도모하고, 조립공수의 축소로 생산성 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의 테두리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하부는 개구되고, 상부는 폐쇄된 역 "U"자 형상이면서 양측 와이어가 전방으로 라운드된 전면 와이어부(11)와, 상기 양측 와이어 상의 두 지점에서 고정된 상태로 전면 와이어부(11)의 내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일체화되는 측면 와이어부(12)와, 상기 측면 와이어부(12)에 양측면이 고정되는 시트백 서스펜션(13)을 포함하는 사이드 볼스터부(1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면 와이어부(11)의 양측 와이어 상에는 러버 재질의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관(30)이 삽입되어 양측 와이어에 의한 볼스터 작용 시 시트백 패드(20)의 손상을 방지하여 시트의 내구성 증대를 도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이드 볼스터부(10) 중, 상기 전면 와이어부(11)와 측면 와이어부(12)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시트백 패드(20)의 패드 금형에 삽입되어 동시에 인서트 발포 성형을 하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와이어부(12)와 시트백 서스펜션(13)이 결합되는 부위의 시트백 패드(20)에는 상기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와이어 노출부(21)가 가공되어 추후 측면 와이어부(12)에 시트백 서스펜션(13)을 연결 고정 작업 시 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측면 와이어부(12)의 회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전면 와이어부(11)와 측면 와이어부(12)가 시트백 패드(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3의 조립 순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패드(20)의 와이어 노출부(21)를 통해 노출된 측면 와이어부(12)에 시트백 서스펜션(13)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측면 와이어부(12)와 시트백 서스펜션(13)의 고정은 고정수단으로 조립하되, 승객 하중을 고려하여 클립, 밴드, 후크 등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이드 볼스터부(10)가 결합된 시트백 패드(20)를 시트백 프레임(100)에 조립하여 조립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조립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자동차의 시트에 착석할 경우, 탑승자의 상체가 시트백 패드(20)에 장착된 시스백 서스펜션(13)을 밀게 되면 상기 시트백 서스펜션(13)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측면 와이어부(12)가 시트백 서스펜션(13)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작용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전면 와이어부(11)도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당겨지게 된다.
결국, 시트백 패드(20)의 볼스터를 내측으로 당겨 탑승자의 측면 지지성을 향상시키게 되는데, 시트백 패드(20) 내부에 적용된 시트백 서스펜션(13)이 탑승자의 하중에 직접 반응하게 되므로 시트 안락성이 향상되고, 럼버 서포트장치의 조작 시 발생되는 볼스터의 벌어짐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의 사이드 볼스터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에 시트백 패드를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볼스터장치의 시트백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조립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의 작동이 화살표를 통해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이드 볼스터부 11 : 전면 와이어부
12 : 측면 와이어부 13 : 시트백 서스펜션
20 : 시트백 패드 21 : 와이어 노출부
30 : 연결관

Claims (4)

  1. 하부는 개구되고, 상부는 폐쇄된 역 'U'자 형상으로 양측 와이어 부분이 전방으로 라운드되게 형성된 전면 와이어부(11);
    상기 양측 와이어 상의 두 지점에서 양단이 각각 고정된 상태로 전면 와이어부(11)의 내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측면 와이어부(12);
    상기 한 쌍의 측면 와이어부(12)에 양측이 각각 고정되는 시트백 서스펜션(13); 및
    상기 전면 와이어부(11)와 상기 한 쌍의 측면 와이어부(12)를 포함한 상태로 인서트 발포 성형되는 시트백 패드(20);를 포함하되,
    상기 시트백 패드(20)에는 상기 한 쌍의 측면 와이어부(12)의 인접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와이어 노출부(21)가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와이어부(11)는 그 양측의 와이어 상에 시트백 패드(20)의 손상 방지를 위한 튜브 형상의 연결관(30)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
KR1020080100463A 2008-10-14 2008-10-14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 KR101081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463A KR101081192B1 (ko) 2008-10-14 2008-10-14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463A KR101081192B1 (ko) 2008-10-14 2008-10-14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331A KR20100041331A (ko) 2010-04-22
KR101081192B1 true KR101081192B1 (ko) 2011-11-07

Family

ID=4221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463A KR101081192B1 (ko) 2008-10-14 2008-10-14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1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854A (ko) * 2000-05-31 2001-12-08 임기태 건축 내.외장도료의 기능성 개선 혼합물
US10046683B2 (en) 2014-01-23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spension seat back and cushion system having an inner suspension pan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689B1 (ko) * 2014-12-29 2016-07-19 현대다이모스(주) 시트백 볼스터 조절장치
KR102633948B1 (ko) * 2018-11-09 2024-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854A (ko) * 2000-05-31 2001-12-08 임기태 건축 내.외장도료의 기능성 개선 혼합물
US10046683B2 (en) 2014-01-23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spension seat back and cushion system having an inner suspension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331A (ko)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6882B1 (ja) シートへのセンサーの配置構造
KR101081192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
JP2010095054A (ja) 車両用シート
JP5021826B1 (ja) 自動車用シート
KR100778593B1 (ko) 자동차용 냉난방 통풍시트의 열전소자 장착구조
JP2002315648A (ja) 自動車用シート
JP2004130888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CN114475383A (zh) 座椅垫框架的组合结构
JP2003291705A (ja) 着座乗員体重検知装置
CN209938387U (zh) 一种车载辅助座椅及车载座椅
JP4141939B2 (ja) 自動車の座席
CN109591664A (zh) 汽车座椅及具有其的车辆
JP2005119442A (ja) アームレスト付きシート
JP7104329B2 (ja) シートへのセンサーの配置構造及び乗物用シート
JP2010083165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KR100717483B1 (ko) 차량용 시트커버
JP3736759B2 (ja) 3人掛けリヤシートのセンタ乗員着座部の構造
KR200145170Y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용 안전 벨트 버클
KR100552052B1 (ko) 시트백의 럼버 서포트 장치
JP3346714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構造
KR960007631Y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각도조절장치
KR200357660Y1 (ko) 승용차용 안락 뒷좌석 장치
KR100358946B1 (ko) 자동차의 기능성 시트
JP2022187383A (ja) 乗物用シート
JP2023553640A (ja) 半一体型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