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854A - 건축 내.외장도료의 기능성 개선 혼합물 - Google Patents

건축 내.외장도료의 기능성 개선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854A
KR20010108854A KR1020000029808A KR20000029808A KR20010108854A KR 20010108854 A KR20010108854 A KR 20010108854A KR 1020000029808 A KR1020000029808 A KR 1020000029808A KR 20000029808 A KR20000029808 A KR 20000029808A KR 20010108854 A KR20010108854 A KR 20010108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ratio
functional
paint
paints
short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태
Original Assignee
임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기태 filed Critical 임기태
Priority to KR102000002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8854A/ko
Publication of KR20010108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85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D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D1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섬유직물 가공공정(기모.샤링공정)에서 발생되는 매우 짧은 단섬유 폐재와 발포폴리스티렌 폐재를 사용 목적에 따라 각각 선별 가공하여 일반적인 건축 내.외장 도료의 제조과정에 각각 혼합하여 도료의 기능적인 물성을 보완하고 용도별로 구분 제조하여 규격 포장 출하하는 기능을 다양화한 기능성 도료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서,종래의 일반적인 건축 내.외장도료의 제한적인 기능과 작업성, 인테리어적인 마감효과를 개선하고 폐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함이다.
섬유직물 가공공정의 단섬유 폐재는 길이 3m/m이내의 단섬유체이며 색상별,소재별로 다양한 재질을 지니며 천연소재,화학합성소재에 따라 물성 또한 다양한 단섬유 폐재의 선별 가공공정을 거처 기능성 페인트 혼화재로 물성별,색상별,크기별로 구분 되어진다. 발포폴리스티렌 폐재는 사용 되어지는 용도와 규격에 따라 캇터식 분쇄기,해머식 분쇄기로 1차 분쇄 되어지고 금속브러쉬 회전식 분쇄기로 2차로 미세 분쇄한다. 분쇄입자의 크기는 1-5m/m의 각각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한다.
상기의 준비된 가공 혼합물들은 일반적인 내.외장도료의 제조 생산 최종 단계에 정량공급장치를 통하여 규격별,물성별,색상별로 구분 혼합 과정을 거처 기능,물성,질감에 따라 구분 생산한다. 상기의 기능성 도료는 1회 시공두께를 두껍게 도막할수 있으며 크고 작은 현장의 다양한 여건에 균일한 품질관리가 가능하며 기능성 도료가 지니는 독특한 물성과 특성으로는 혼화재의 투입량과 규격에 따라 입체적인 인테리어 마감효과,도료 및 피착제의 미세크랙 보완,페인트 제조 증량제로의역할,반사광 감소,항장력증진,거치른 피착면의 미려한 마감도장,흡음,결로감소,등의 효과를 누리며 폐자원의 효율적 재활용으로 환경오염 감소와 경제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 내.외장도료의 기능성 개선 혼합물{.}
본 발명은 각종 섬유직물 가공공정(기모.샤링공정)에서 발생되는 매우 짧은 단섬유폐재와 발포폴리스티렌 폐재를 사용목적에 따라 각각 선별 가공하여 일반적인 건축 내.외장도료의 제조 과정에 각각 혼합하여 도료의 기능적인 물성을 보완하고 용도별로 구분 제조하여 규격 포장 출하하는 기능을 다양화한 기능성 도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건축내.외장도료의 구성요소는 크게 안료,전색제,용제,보조제등으로 구성되며 도장후의 표면은 평활하게 보이며 피착면(피착면의 표면형태와 같은 도막을 나타냄)의 좋지않은 표면 상태를 그대로 드러내고 한번에 두꺼운 시공을 하지 못하며 다양한 기능을 가지지 못한다. 그러므로 일반적 건축내.외장도료의 경제적이며 기능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따라서,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것으로서 섬유직물 가공 공정(기모.샤링등)에서 발생되는 단섬유폐재 및 발포폴리스티렌 폐재를 회수하공 공정(기모.샤링등)에서 발생되는 단섬유폐재 및 발포폴리스티렌 폐재를 회수하여 선별가공하는 과정을 거처 건축 내.외장도료의 공장생산 공정에 혼입 포장하여 다양한 건축환경의 기능을 개선하며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자원의 재활용과 경제적인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상기의 기능성 도료는 단섬유의 가공 혼입과 발포폴리스티렌 가공입자를 현장별 특성에 따라 크기와 입도,색상을 구분 가공하여 혼입 믹서하며 다양한 크기의 입도 및 색상별로 구분 포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페인트의 혼합물의 제1예로서 상술한 단섬유 폐재를 색상별 용도별로 구분 선별하고 블로워식 섬유타면분쇄기(호퍼통으로 투입되는 단섬유 폐재는 타면브러쉬의 크기와 밀도,회전회수를 조절하여 1차 풀어지며 블로워의 에어 압력으로 2차로 풀어지며 크기가 조절되어진다)를 사용하여 단섬유의 크기와 입도를 조절하여 준비한다.
일반적인 내.외장도료의 생산 최종공정에 단섬유를 정량공급조절장치를 통하여 혼합 믹서기에 공급하여 혼합 포장 출하한다. 도료에 대한 섬유의 혼입 투입량은 나타내고자하는 질감,흡음력,결로방지,입체무늬형태, 부착력등 현장의 기능적 필요에 따라 혼합비를 결정한다.
완성제품의 현장시공방법으로는: 각종도장기기(스크류식,스퀴즈식,피스톤식,중력식),롤러바름,붓칠,에어리스도장기,내화피복뿜칠시공장비등 나타내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시공장비를 선택 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도료에 비하여 1회 시공 두께를 두껍께 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과 질감을 고려하여 현장 시공 할 수 있다.
추가적인 혼화 첨가제로는 곰팡이 방지 항균제,난연제등을 건축물의 사용목적에 따라 혼입하여 생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페인트의 혼합물 제2예로서 상술한 발포폴리스티렌폐재를 구분 선별하여 사용목적에 따른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한다. 분쇄입자의 크기는(1m/m이하.2m/m이하.3m/m이하.4m/m이하.5m/m이하)등의 크기로 분쇄기의 토출구 메쉬 조절과 분쇄기의 선정 및 조작으로 선별 생산한다.
상기의 준비된 발포폴리스티렌 분쇄입자를 정량공급 조절장치를 통하여 일반적인 내.외장도료의 생산최종공정에 정량공급하여 혼합 믹서하여 포장 출하한다. 도료에 대한 발포폴리스티렌 분쇄입자의 크기선정 및 혼입투입량은 나타내고자하는 질감,흡음력,결로방지,입체무늬형태,부착력등 현장의 기능적 필요에 따라 혼합비를 결정한다.
완성제품의 현장시공방법으로는: 각종도장기기(스크류식,스퀴즈식,피스톤식,중력식),롤러바름,붓칠,에어리스도장기,내화피복뿜칠시공장비등 나타내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시공장비를 선택 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도료에 비하여 1회 시공 두께를 두껍께 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과 질감을 고려하여 현장 시공 할 수 있다.
추가적인 혼화 첨가제로는 곰팡이 방지 항균제,난연제등을 건축물의 사용목적에 따라 혼입하여 생산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일반적인 내.외장도료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산업폐기물,산업부산물,(섬유직물가공공정의 기모,샤링후의 단섬유 폐재,발포폴리스티렌 폐재)을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재활용 하기 위한 건축용 내.외장 도료의 기능성 향상 도료 제조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폐재 단섬유는 섬유직물 가공 공장에서 집진기를 이용하여 모아지며 직물의 기모,샤링공정에서 발생되는 매우 짧은 (길이 3m/m이내의 단섬유체) 섬유이다. 발생되는 단섬유체는 색상별 소재별로 다양한 재질을 지니며 천연소재,화학합성소재에 따라 물성이 다르므로 기능성 페인트 제조시 사용용도에 따라 선별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성 페인트를 생산 한다.
발포폴리스티렌 폐재의 1차분쇄는 캇터식 분쇄기,해머식 분쇄기를 사용하며 2차 분쇄기기는 금속브러쉬 회전식등 입자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선별 분쇄가 가능하며 5m/m이하 각각의 크기에 따른 용도에 맞추어 선별 분쇄 과정을 거처 구분 생산하여 기능성 폐인트 제조시 사용 용도에 따라 선별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성 페인트를 생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페인트의 혼합물의 제1예로서 상술한 단섬유 폐재를 색상별 용도별로 구분 선별하고 블로워식 섬유타면분쇄기(호퍼통으로 투입되는 단섬유 폐재는 타면브러쉬의 크기와 밀도,회전회수를 조절하여 1차 풀어지며 블로워의 에어 압력으로 2차로 풀어지며 크기가 조절되어진다)를 사용하여 단섬유의 크기와 입도를 조절하여 준비한다.
일반적인 내.외장도료의 생산 완료공정에 단섬유를 정량공급조절장치를 통하여 혼합 믹서기에 공급하여 혼합 포장 출하한다. 도료에 대한 섬유의 혼입 투입량은 나타내고자하는 질감,흡음력,결로방지,입체무늬형태, 부착력등 현장의 기능적 필요에 따라 혼합비를 결정한다.
완성제품의 현장시공방법으로는: 각종도장기기(스크류식,스퀴즈식,피스톤식,중력식),롤러바름,붓칠,에어리스도장기,내화피복뿜칠시공장비등 나타내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시공장비를 선택 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도료에 비하여 1회 시공 두께를 두껍께 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과 질감을 고려하여 현장 시공 할 수 있다.
추가적인 혼화 첨가제로는 곰팡이 방지 항균제,난연제등을 건축물의 사용목적에 따라 혼입하여 생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페인트의 혼합물 제2예로서 상술한 발포폴리스티렌 폐재를 구분 선별하여 사용목적에 따른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한다. 분쇄입자의 크기는(1m/m이하.2m/m이하.3m/m이하.4m/m이하.5m/m이하)등의 크기로 분쇄기의 토출구 메쉬 조절과 분쇄기의 선정 및 조작으로 선별 생산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2 예에 따른 단섬유 및 발포폴리스티렌 분쇄입자는 일반적인 내.외장도료 생산공정의 최종단계에 혼입믹서하며 각각의 재료 혼합비율은 사용 목적에 따라 구분하여 생산한다.
각 예에서 추가적인 혼화 첨가제로는 금속계유기화합물,이소시아졸린,차아염산소다등 곰팡이 방지 항균 지속성 화학약품을 사용한다. 사용처의 보다 높은 난연 효과를 얻기 위하여는 브롬,안티몬,붕사,명반,메타규산소다,수산화알루미늄,황산암몬,인산암몬등 경제성과 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한다.
현장 뿜칠용 도료 혼합비를 아래와 같이 용적%별 배합 시험 하였다.
기능성 페인트의 용적별 혼화재료 혼합실시 예 1 ;
수성 페인트 제조 최종단계의 도료 ---------------- 30% 용적비
발포 폴리스티렌 분쇄가공입자 1-2m/m이하 크기입자 ---------- 60% 용적비
난연 및 증량제 (수산화 알루미늄) -------------------- 10% 용적비
기능성 페인트의 용적별 혼화재료 혼합실시 예 2 ;
수성 페인트 제조 최종단계의 도료 ---------------- 30% 용적비
발포 폴리스티렌 분쇄가공입자 1-2m/m이하 크기입자 ---------- 70% 용적비
기능성 페인트의 용적별 혼화재료 혼합실시 예 3 ;
수성 페인트 제조 최종단계의 도료 -------------------------- 30% 용적비
발포 폴리스티렌 분쇄가공입자 3-4m/m이하 크기입자 ---------- 70% 용적비
기능성 페인트의 용적별 혼화재료 혼합실시 예 4 ;
수성 페인트 제조 최종단계의 도료 -------------------- 70% 용적비
발포 폴리스티렌 분쇄가공입자 2-3m/m이하 크기입자 ---------- 30% 용적비
상기의 (실시 예 1-4 ) 혼합시험으로 도장뿜칠기기의 뿜칠도장작업에 적합한 상태의 반죽상태가 되어 1회 뿜칠로도 두꺼운 도장이 되었고 표면의 돌출된 요철문양이 독특하였고 도료의 색도도 균일하였으며 접착상태도 양호한 기능성 페인트의 혼합물을 얻었다.
기능성 페인트의 용적별 혼화재료 혼합실시 예 5 ;
수성 페인트 제조 최종단계의 도료 -------------------------- 50% 용적비
선별 가공한 단섬유 폐재 길이 1-2m/m이하의 단섬유체 -------- 47% 용적비
항균제 (차아염산소다) --------------- 3% 용적비
기능성 페인트의 용적별 혼화재료 혼합실시 예 6 ;
수성 페인트 제조 최종단계의 도료 -------------------------- 50% 용적비
선별 가공한 단섬유 폐재 길이 0.5-3m/m이하의 단섬유체 ------ 45% 용적비
난연 및 증량제(수산화알루미늄) ------------------------- 3% 용적비
항균제 (차아염산소다) ------------- 2% 용적비
기능성 페인트의 용적별 혼화재료 혼합실시 예 7 ;
수성 페인트 제조 최종단계의 도료 --------------- 50% 용적비
선별 가공한 단섬유 폐재 길이 0.5-3m/m이하의 단섬유체 ------ 25% 용적비
발포 폴리스티렌 분쇄가공입자 1-2m/m이하 크기입자 ---------- 20% 용적비
항균제(차아염산소다) ---------------- 5% 용적비
기능성 페인트의 용적별 혼화재료 혼합실시 예 8 ;
수성 페인트 제조 최종단계의 도료 --------------- 30% 용적비
선별 가공한 단섬유 폐재 길이 0.5-3m/m이하의 단섬유체 ------ 60% 용적비
아크릴계 수용성 접착제 ------------------- 5% 용적비
난연 및 증량제(수산화알루미늄) ------------- 5% 용적비
(사용하는 도장기기의 특성에 따라 용제를 사용하여 점도를 조절하며 추가적인 발색을 할 경우 안료를 사용하여 조절한다.)
기능성 페인트의 용적별 혼화재료 혼합실시 예 9 ;
유성 페인트 제조 최종단계의 도료 --------------- 60% 용적비
선별 가공한 단섬유 폐재 길이 0.5-3m/m이하의 단섬유체 ------ 25% 용적비
난연 및 증량제 (수산화알루미늄) -------------------- 15% 용적비
(실시 예 9에서 혼화용으로 사용되는 단섬유 폐재는 유성페인트의 용제에 내성을 지녀야 하며 시험실시 예 9, 에서는 천연 면섬유 폐재를 사용하였다.)
상기의 (실시 예 5-9) 혼합시험으로 도장뿜칠기기의 뿜칠도장작업에 적합한 반죽상태가 되어 도장기기의 작동에 무리가 없었으며 (도장기기의 특성에 따라 용수를 가감하여 조절한다.) 1회 뿜칠로도 두꺼운 도장이 되었고 표면의 돌출된 요철문양이 독특하였고 도료의 색도도 균일하였으며 접착상태도 양호 하였다. 또한 건조후 표면을 확대 관찰하여 본 결과 단섬유의 가교 결합 상태가 좋았으며 도포 후 수작업으로 별도의 문양을 만들경우 독특한 표현효과가 있었다.기능성 도료로서의 흡음 효과는 단섬유체의 가교 결합 사이의 섬유층 형성,공극,요철굴곡등으로 흡음효과 및 결로방지효과를 누릴수 있는 형태를 유지 하였다. 페인트 소재와 가교 결합한 단섬유체는 도료 및 피착제의 미세크랙을 보완하며 미려한 인테리어마감 효과를 누릴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페인트는 단섬유 혼합량에 따라 흡음,결로감소,도장표면의 입체적이며 독특한 문양과 기능들을 조절할수 있다.
또한 발포폴리스티렌 폐재 분쇄 입도와 혼합량에 따라 흡음,결로감소,도장표면의 입체적이며 독특한 문양과 기능들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일반적인 페인트류에 단섬유 폐재 발포폴리스티렌 분쇄입자를 혼입시켜 생산함으로 폐인트류의 증량재로의 사용이 용이하여 경제적이다. 곰팡이 방지등의 목적으로 추가 혼입하는 지속성 항균제의 투입량은 시공장소의 습도,온도,통풍등을 고려하여 투입량을 조절한다.
또한 건축법상에서 요구하는 난연의등급에 따라 상술한 <14-8 Page>항의 난연제등에서 선택 사용하여 경제적이고 화학적인 조합이 유리한 난연제를 사용한다. 수산화알루미늄은 중량대비 5-40%의 사용이 가능하며 분말이 미세하고 경제적인 난연제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페인트는 생산공장에서 다양하며 균일한 제품의 기능적 생산관리(시공현장에서의 가수혼합등 추가적 혼합없이 개봉하여 바로 사용함)가 가능하며 건축현장등의 다양한 기능적 요구에 따른 생산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페인트의 기능적 향상 미세크랙보완,탄성,항장력의증진,흡음,결로감소,거치른 피착면의 미려한 마감도장,조명의 빛 반사 감소,습도조절기능,별도의 문양을 내기위한 추가적인 인건비 절감등 기능적인 장점을 지닌다.
상기의 효과는 단섬유가 지니는 특성등에서 발현되며 발포폴리스티렌 분쇄입자,단섬유 입자의 독특한 형상들이 도장마감의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부가한다.
또한 산업 폐재 및 부산물로 발생되는 폐자원의 효율적인 재활용으로 환경오염을 감소 시키며 경제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다.

Claims (5)

  1. 섬유직물 가공공정에서 발생되는 단섬유폐재를 기능성 페인트 제조 혼합의 주원료로 사용하되, 상기의 단섬유 25-60% ; 수성페인트(페인트의 점도에 따라 용제를 가감하여 사용)30-50%(용적비);난연 및 증량제(수산화알루미늄)3-15%(용적비); 항균제수용액 2-5% (용적비)의 비율로 구성되는 기능성 페인트 혼합물
  2. 섬유직물 가공공정에서 발생되는 단섬유폐재를 기능성 페인트 제조 혼합의 주원료로 사용하되, 상기의 폐기단섬유 선별 가공방법에 따라 기능성페인트 혼합물을 조성한 단섬유 25-60% (용적비); 수성페인트(페인트의 점도에 따라 용제를 사용) 30-50%(용적비);난연 및 증량제 3-15% (용적비);항균제수용액 2-5% (용적비)의 비율로 구성되는 기능성 페인트의 규격별,용도별로 구분하여 제조하는 기능성페인트의 공장생산 완제품의 규격별 제조 포장 출하방법.
  3. 섬유직물 가공공정에서 발생되는 단섬유폐재를 기능성 페인트 제조 혼합의 주원료로 사용하되, 상기의 단섬유 50-60% (용적비); 수성폐인트 30-40%(용적비); 아크릴계의 수용성 접착제 5-10% (용적비); 난연제2-5%(용적비)의 비율로 구성되는 기능성 페인트 혼합물
  4. 발포폴리스텐 폐재 가공입자를 기능성 페인트 제조 혼합의 주원료로 사용하되, 상기의 각각의 크기와 형태로 구분 가공된 폴리스티렌 분쇄입자 30-70%(용적비); 수성페인트 30-70%(용적비); 난연 및 증량제 2-10%(용적비);의 비율로 구성되는 기능성 페인트 혼합물
  5. 발포폴리스티렌 폐재 가공입자를 기능성 페인트 제조 혼합의 주원료로 사용하되, 상기의 각각의 크기와 형태로 구분 가공된 폴리스티렌 30-70%(용적비);수성페인트 30-70%(용적비); 난연 및 증량제 2-10%(용적비);의 비율로 구성되는 기능성 페인트의 규격별,용도별로 구분하여 제조하는 기능성 페인트의 공장생산 완제품의 규격별 제조 포장 출하방법.
KR1020000029808A 2000-05-31 2000-05-31 건축 내.외장도료의 기능성 개선 혼합물 KR20010108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808A KR20010108854A (ko) 2000-05-31 2000-05-31 건축 내.외장도료의 기능성 개선 혼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808A KR20010108854A (ko) 2000-05-31 2000-05-31 건축 내.외장도료의 기능성 개선 혼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854A true KR20010108854A (ko) 2001-12-08

Family

ID=4585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808A KR20010108854A (ko) 2000-05-31 2000-05-31 건축 내.외장도료의 기능성 개선 혼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88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839B1 (ko) * 2001-04-23 2004-05-10 임기태 흡음.단열용 단섬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6041A (en) * 1978-05-31 1979-12-08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Refractory coating compound
JPS5598267A (en) * 1979-01-19 1980-07-26 Yabuhara Sangyo Kk Relief pattern coating composition for trowel finishing
JPS58120675A (ja) * 1982-01-11 1983-07-18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電線・ケ−ブル用延焼防止塗料
US4480053A (en) * 1980-03-11 1984-10-30 Aperm Of South Carolina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JPS60210675A (ja) * 1984-04-05 1985-10-23 Kikusui Kagaku Kogyo Kk 消臭効果をもつた水性塗料の製造法
JPH11302575A (ja) * 1998-04-15 1999-11-02 Sk Kaken Co Ltd 藁すさ繊維調塗料組成物
KR101081192B1 (ko) * 2008-10-14 2011-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
KR101159468B1 (ko) * 2010-10-28 2012-06-2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정전기 방지용 다이오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6041A (en) * 1978-05-31 1979-12-08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Refractory coating compound
JPS5598267A (en) * 1979-01-19 1980-07-26 Yabuhara Sangyo Kk Relief pattern coating composition for trowel finishing
US4480053A (en) * 1980-03-11 1984-10-30 Aperm Of South Carolina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JPS58120675A (ja) * 1982-01-11 1983-07-18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電線・ケ−ブル用延焼防止塗料
JPS60210675A (ja) * 1984-04-05 1985-10-23 Kikusui Kagaku Kogyo Kk 消臭効果をもつた水性塗料の製造法
JPH11302575A (ja) * 1998-04-15 1999-11-02 Sk Kaken Co Ltd 藁すさ繊維調塗料組成物
KR101081192B1 (ko) * 2008-10-14 2011-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의 사이드 볼스터장치
KR101159468B1 (ko) * 2010-10-28 2012-06-2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정전기 방지용 다이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839B1 (ko) * 2001-04-23 2004-05-10 임기태 흡음.단열용 단섬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69016B (zh) 一种反射隔热多彩涂料及其制备方法
CN104530874B (zh) 一种高耐洗刷性多彩涂料及其制备方法
CN101250345B (zh) 天然岩片漆的制备方法
CN101492577A (zh) 一种水性仿石花纹彩片的制备方法及应用方案
CN107936786A (zh) 邦定珠光粉末涂料及其制备工艺
KR100521694B1 (ko) 발포 폴리스티렌 폐재를 이용한 단열,흡음,충격음방지재및 그 제조방법.
KR20010108854A (ko) 건축 내.외장도료의 기능성 개선 혼합물
CN109020443A (zh) 仿锈石效果干粉涂料及其制备方法
CN101070039A (zh) 五彩工艺装饰、喷绘、油画布及制作工艺
KR100473933B1 (ko) 건축 내.외장 용도의 기능성 페인트 조성물
CN110128084A (zh) 白色干粉砂浆及其使用方法
US5453119A (en) Fireproofing of wood, cellulosic, and fabric containing products
CN107459276A (zh) 一种用于制造仿石涂料的磨石多彩干粒片制备方法
CN108286206A (zh) 石头纤维造纸方法
KR0142356B1 (ko) 건축물 내.외장용 석재 몰탈(바름재) 제조 방법
KR20060022614A (ko) 셀 미세공극을 지닌 폼(foam)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CN103819138B (zh) 一种疏水耐污真石漆
KR100430839B1 (ko) 흡음.단열용 단섬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E19980377B4 (de) Überzug hoher Wärme- und Schallisolierung auf Lederbasis
RU2773939C1 (ru) Материал для нанесения отделочных покрытий для стен или потолков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US4994509A (en) Multicolored compound for wall coating
CN1122086C (zh) 真石涂料
CN104559600A (zh) 一种三维绚彩漆及其制备方法和施工工艺
CN109456629A (zh) 一种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
CN105986649A (zh) 一种涂有防火阻燃仿石涂层的外墙装饰板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930

Effective date: 200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