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284B1 -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284B1
KR101636284B1 KR1020140142380A KR20140142380A KR101636284B1 KR 101636284 B1 KR101636284 B1 KR 101636284B1 KR 1020140142380 A KR1020140142380 A KR 1020140142380A KR 20140142380 A KR20140142380 A KR 20140142380A KR 101636284 B1 KR101636284 B1 KR 101636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threshold distance
camera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6476A (ko
Inventor
임동환
임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142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28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물체가 제 1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할 때, 후방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언제든 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물체가 더 접근하여 제 2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후방 영상을 촬영하며, 충격이 감지되면 촬영된 후방 영상을 사고 영상으로서 확정하여 덮어 쓰기를 금지시킴으로써, 종래 기술의 상시 녹화로 인하여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키고 이로 인한 비휘발성 메모리의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and recording image data}
본 발명은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로에서 주행시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1가구 1자동차 시대라고 할 정도로 자동차의 보급은 상용화되었으며, 주행 중 다른 차량과의 접촉 사고, 주차 시 도난범의 차량 절도, 타인에 의한 흠집과 같은 차량 손괴 등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사고 대두에 따라 최근에는 블랙박스(Blackbox)라 불리는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가 차량에 장착되는 것이 대중화되고 있다. 즉, 사용자는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에 보관된 카메라 촬영 영상을 통해, 차량 사고 정황을 파악해, 접촉 사고의 시시비비를 가리거나, 차량 절도를 시도한 도난범의 인상 착의를 확보하거나, 차량에 어떠한 손괴가 가해졌는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의 요구 증대 및 기술 발달로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4 채널(전/후/좌/우) 카메라가 장착되거나, Full-HD급 등의 고화질 카메라가 탑재되고 있으며, 수많은 영상 데이터 저장을 위한 대용량의 플래시 메모리가 탑재되고 있다. 아울러, 카메라 촬영 영상을 녹화하면서 사용자가 볼 수 있게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 스마트폰에 카메라 촬영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 등 각종 편의 기능도 추가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의 경우, 차량이 주행 중 일때에는 블랙박스 장치가 전력을 소모함으로 인해서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블랙박스 장치 내부에 설치된(또는 삽입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영상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무수하게 많은 데이터들이 반복적으로 기록되게 되는데,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저장 수단으로 주로 이용되는 플래쉬 메모리의 경우에는 읽기 및 쓰기 횟수의 제한이 있어, 짧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1년 6개월마다 새로 구매하여 교체해야 하는 비용상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적절한 시기에 비휘발성 메모리가 교체되지 않은 경우, 실제 사고 발생시 영상이 저장되어 있지 않아 차량용 블랙박스가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적절한 교체 시기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사용자들은 수명이 남은 비휘발성 메모리라도 만일의 사태를 대비하여 자주 교체해주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수고와 과다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의 저장 횟수를 가능한 최대한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비휘발성 메모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면서도, 사고 발생 순간의 영상을 누락시키지 않는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에 접근하는 물체 및 차량과 물체간의 접근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여 후방 영상을 출력하는 후방 카메라부; 상기 후방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접근 거리가 제 1 임계 거리 이하이면 상기 후방 카메라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접근 거리가 상기 제 1 임계 거리보다 더 짧은 제 2 임계 거리 이하가 되면 상기 후방 카메라부로 촬영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후방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는, 차량의 후방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로 충격 신호를 출력하는 충격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방 카메라부가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상기 충격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후방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후방 영상을 사고 영상으로 확정하여 덮어 쓰기를 금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방 카메라부가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상기 접근 거리가 상기 제 1 임계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후방 카메라부를 OFF 시키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후방 영상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으로부터 차량의 속도를 수신하고, 차량의 속도에 비례하도록 상기 제 1 임계 거리와 상기 제 2 임계 거리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으로부터 차량의 속도를 수신하고, 차량의 속도와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의 속도간의 속도차에 비례하도록 상기 제 1 임계 거리와 상기 제 2 임계 거리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에서, 상기 후방 카메라부는 컬러 카메라와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으로부터 주변 조도값을 입력받고, 주변 조도값이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상기 컬러 카메라와 함께 작동시켜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방법은, 영상 촬영 및 저장에서 수행되는 영상 촬영 및 저장 방법으로서,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후방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차량과 물체간의 접근 거리를 제 1 임계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접근 거리가 상기 제 1 임계 거리보다 짧은 경우, 후방 카메라부를 구동하는 단계; 접근 거리가 상기 제 1 임계 거리보다 짧은 제 2 임계 거리보다도 짧아지는 경우, 상기 후방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후방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충격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후방에 충격이 감지되면, 상기 후방 영상을 사고 영상으로 확정하여 덮어 쓰기를 금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방법에서, 상기 후방 카메라부가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상기 접근 거리가 상기 제 1 임계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후방 카메라부를 OFF 시키고, 저장된 후방 영상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방법에서,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차량의 속도가 수신되고, 상기 제 1 임계 거리와 상기 제 2 임계 거리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방법에서,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차량의 속도가 수신되고, 상기 제 1 임계 거리와 상기 제 2 임계 거리는 차량의 속도와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의 속도간의 속도차에 비례하도록 적응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방법에서, 상기 후방 카메라부는 컬러 카메라와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카메라부를 구동하는 단계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주변 조도값을 입력받고, 주변 조도값이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상기 컬러 카메라와 함께 작동시켜 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물체가 제 1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할 때, 후방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언제든 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물체가 더 접근하여 제 2 임계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후방 영상을 촬영하며, 충격이 감지되면 촬영된 후방 영상을 사고 영상으로서 확정하여 덮어 쓰기를 금지시킴으로써, 종래 기술의 상시 녹화로 인하여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키고 이로 인한 비휘발성 메모리의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및 방법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 카메라부(110),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카메라부(150),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140), 차량의 후방에 충격이 가해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충격 센서(160), 전방 카메라부(110) 및 후방 카메라부(15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120), 및 상기한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먼저, 전방 카메라부(110)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신호등, 전방의 물체 등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제어부(130)로 출력하고, 제어부(130)는 전방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저장부(120)에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저장한다.
후방 카메라부(150)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 및 차량의 후방 상황을 촬영하여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후방 카메라부(150)는 제어부(130)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서 구동되고, 제어부(130)로부터 촬영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촬영을 시작하여 후방 영상을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상기한 전방 카메라부(110) 및 후방 카메라부(150)는 컬러 영상, 적외선 영상 등을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한 전방 카메라부(110) 및 후방 카메라부(150)는 단일한 카메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2개 이상의 카메라로 형성된 카메라 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방 카메라부(110) 및 후방 카메라부(150)가 단일한 하나의 컬러 카메라로 구현된 경우에는 컬러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130)로 출력하고, 복수의 카메라(컬러 카메라 및 적외선 카메라)로 구현된 경우에는, 전방 카메라부(110) 및 후방 카메라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컬러 영상 또는 적외선 영상 중 어느 하나만을 촬영하여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도 있고, 컬러 영상과 적외선 영상을 동시에 촬영하여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도 있다.
근접 센서(140)는 차량의 후방에 접근하는 물체(예; 차량, 사람, 물건 등)와의 접근 거리 변화 또는/및 근접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근접 센서(140)는 초음파, 전파, 적외선, 열, 빛, 마그네틱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어떠한 센서로도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근접 센서(140)는 차량의 후방 범퍼 및 트렁크 도어 등에 다수 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차량의 후방의 복수의 방향을 향한 상태로 센싱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충격 센서(160)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값 또는/및 충격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충격 센서(160)는 3축 모션, 6축 모션, 가속도, 자이로, 관성, 지자기, 압력, 진동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어떠한 센서로도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충격 센서(16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차량의 후방 범퍼 및 트렁크 도어 등에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근접 센서(140)로부터 지속적으로 차량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의 존재 및 차량과 물체간의 거리(이하, "접근 거리"라 칭함)를 입력받아 모니터링한다. 제어부(130)는 물체의 근접도를 2단계로 나누어, 후방 카메라부(150)를 이용한 영상 촬영 및 저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주행중 차량(10)의 후방에 제 1 임계 거리(예컨대, 약 5m)이내로 접근하는 물체(20)가 감지되면, 일단 OFF 상태에 있던 후방 카메라부(150)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후방 카메라부(150)를 구동시켜 언제라도 촬영이 가능한 상태(ON 상태)로 준비한다.
그 후, 후방의 물체(20)가 차량에 더욱 접근하여 제 2 임계 거리(예컨대, 약 2m)까지 접근하면, 후방 추돌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후방 카메라부(150)로 촬영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후방 카메라부(15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그 후, 제어부(130)는 충격 센서(160)로부터 차량의 후방에 충격이 가해졌음을 나타내는 충격 신호가 입력되면, 후방 카메라부(150)가 촬영한 영상을 사고 영상으로 확정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사고 영상으로 확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저장부(120)의 공간에는 다른 데이터의 덮어 쓰기가 금지된다.
제어부(130)는 후방 영상이 촬영되는 중에도 근접 센서(140)로터 후방의 물체간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후방 물체와의 거리가 제 1 임계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후방 충돌 가능성이 낮아진 것으로 판단하여, 후방 카메라부(150)를 OFF 시키고, 기존에 저장된 후방 영상을 삭제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카메라부(110) 및 후방 카메라부(150)가 컬러 카메라 및 적외선 카메라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300)로부터 주변 조도값을 입력받아, 주변 조도값이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예컨대, 야간에는 또는 주간이라도 안개나 먹구름으로 인하여 어두운 경우), 적외선 카메라를 함께 작동시켜 컬러 영상과 적외선 영상을 함께 저장하여 전방 및 후방 물체의 식별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차량(10)이 주행 상태에 진입하면 전방 카메라부(110)가 구동되어 전방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전방 영상은 저장부(120)에 저장된다(S2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방의 신호등 및 물체를 촬영하기 위해서, 전방 카메라부(110)는 지속적으로 전방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전방 영상은 저장부(120)에 저장된다.
차량(10)이 주행 상태에 진입하면, 제어부(130)는 지속적으로 근접 센서(14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차량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S210), 접근하는 물체(20)가 존재하면 접근 거리가 사전에 설정된 제 1 임계거리 이하인지 여부를 조사하여(S221), 접근 거리가 제 1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에는 후방 카메라부(150)를 구동하여 촬영을 준비한다(S223).
그 후, 제어부(130)는 후방의 물체(20)가 차량(10)에 더 접근하여, 접근 거리가 제 1 임계 거리보다 짧은 제 2 임계 거리 이하가 되는지 여부를 조사하고(S231), 접근 거리가 제 2 임계 거리 이하가 되면 후방 카메라부(150)로 촬영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후방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후방 영상을 저장부(120)에 저장한다(S233).
만약, 제 S223 단계에서 후방 카메라부(150)가 구동되었으나, 접근 거리가 다시 제 1 임계 거리보다 멀어지는 경우에(S235), 제어부(130)는 후방 충돌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여 후방 카메라부(150)를 OFF시키고 제 S210 단계로 진행한다(S237).
한편, 제 S233 단계에서 후방 카메라부(150)가 후방 영상을 촬영하여 후방 영상을 저장부(120)에 저장하기 시작하면, 제어부(130)는 충격 센서(160)로부터 충격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조사하고(S241), 충격이 감지되면 후방 카메라부(150)가 구동된 후 촬영되어 저장부(120)에 저장된 후방 영상을 사고 영상으로 확정하여, 해당 저장 영역에 다른 데이터가 덮어 씌여지는 것을 금지한다(S243).
만약, 제 S241 단계에서 충격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접근 거리가 제 1 임계거리보다 멀어지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제 1 임계 거리 내에 물체(후방 차량)(2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충격이 가해지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S251).
그러나, 접근 거리가 제 1 임계 거리보다 멀어지는 경우에, 제어부(130)는 후방 충돌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여 후방 카메라부(150)를 OFF시키고(S253), 제 S233 단계에서부터 후방 카메라부(150)가 촬영한 영상을 삭제한다(S255). 여기서, 제 S255 단계에서 영상을 삭제한다는 의미는, 해당 영상이 저장된 저장부(120)의 영역에 특정 데이터를 덮어쓰는 것이 아니라, 추후에 새로운 후방 영상 또는 전방 영상이 덮어 씌여지는 것을 허용한다는 의미이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방 카메라부(110) 및 후방 카메라부(150)가 컬러 카메라와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 제어부(130)는 차량의 ECU(300)로부터 조도값을 입력받아, 입력된 조도값이 기준 조도값보다 낮으면 제 S200 단계 및 제 S223 단계에서 컬러 카메라와 적외선 카메라를 함께 구동하거나, 적외선 카메라만을 구동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하였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 1 임계 거리 및 제 2 임계 거리가 사전에 정의된 고정 값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임계 거리 및 제 2 임계 거리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속 100km로 고속도로를 달리는 차량의 후방 2m 이내(제 2 임계 거리 이내)로 후방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에, 선행 차량이 브레이크 제동을 하는 경우 후방 차량과의 충돌을 피할 수 없게 되는 반면, 차량이 시속 10km 정도의 속도로 정체되는 도심의 도로를 운행하는 경우라면, 후방 차량이 상기 경우와 같은 접근 거리인 2m 이내에서 운행하는 경우에도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선행 차량의 브레이크등을 인식하고 충분히 제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차량의 ECU(300)로부터 차량 속도를 입력받고, 차량의 속도에 비례하여 제 1 임계 거리 및 제 2 임계 거리를 적응적으로 설정함으로써, 후방 카메라부(150)가 불필요하게 구동 상태(ON 상태)와 구동 종료 상태(OFF 상태) 간에 빈번히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제 1 임계 거리와 제 2 임계 거리는본 발명의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가 설치된 차량(10)과 차량(10)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상대 물체(20)의 속도차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가 설치된 차량(10)이 시속 100km로 주행 중에,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20)이 120km의 속도로 충돌하는 경우(속도 차:시속 20km)와 140km의 속도로 충돌하는 경우(속도 차: 시속 40km)에, 후방 카메라부(150)를 구동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후방 카메라부(150)가 제어부(130)로부터 촬영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실제 촬영이 개시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면, 전자의 경우보다 후자의 경우에 미리 후방 카메라부(150)를 구동하고 후방 카메라에서 촬영을 개시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가 설치된 차량(10)과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상대 물체(20)의 속도차에 비례하도록 제 1 임계 거리와 제 2 임계 거리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차량의 ECU(300)로부터 차량 속도를 입력받고, 근접 센서(140)로부터 입력되는 접근 거리 변화를 이용하여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차량)(20)의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110: 전방 카메라부
120: 저장부 130: 제어부
140: 근접 센서 150: 후방 카메라부
160: 충격 센서 300: ECU

Claims (11)

  1.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에 접근하는 물체 및 차량과 물체간의 접근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여 후방 영상을 출력하는 후방 카메라부;
    상기 후방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접근 거리가 제 1 임계 거리 이하이면 상기 후방 카메라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접근 거리가 상기 제 1 임계 거리보다 더 짧은 제 2 임계 거리 이하가 되면 상기 후방 카메라부로 촬영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후방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
    차량의 후방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로 충격 신호를 출력하는 충격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방 카메라부가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상기 충격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후방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후방 영상을 사고 영상으로 확정하여 덮어 쓰기를 금지하고,
    상기 후방 카메라부가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상기 접근 거리가 상기 제 1 임계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후방 카메라부를 OFF 시키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후방 영상을 삭제하며,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으로부터 차량의 속도를 수신하고, 차량의 속도와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의 속도간의 속도차에 비례하도록 상기 제 1 임계 거리와 상기 제 2 임계 거리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카메라부는 컬러 카메라와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으로부터 주변 조도값을 입력받고, 주변 조도값이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상기 컬러 카메라와 함께 작동시켜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7. 영상 촬영 및 저장에서 수행되는 영상 촬영 및 저장 방법으로서,
    (a)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후방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차량과 물체간의 접근 거리를 제 1 임계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b) 접근 거리가 상기 제 1 임계 거리보다 짧은 경우, 후방 카메라부를 구동하는 단계;
    (c) 접근 거리가 상기 제 1 임계 거리보다 짧은 제 2 임계 거리보다도 짧아지는 경우, 상기 후방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후방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d) 충격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후방에 충격이 감지되면, 상기 후방 영상을 사고 영상으로 확정하여 덮어 쓰기를 금지하는 단계; 및
    (e) 상기 후방 카메라부가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중에, 상기 접근 거리가 상기 제 1 임계 거리보다 멀어지면, 상기 후방 카메라부를 OFF 시키고, 저장된 후방 영상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임계 거리와 상기 제 2 임계 거리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속도와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의 속도간의 속도차에 비례하도록 적응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및 저장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카메라부는 컬러 카메라와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카메라부를 구동하는 단계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주변 조도값을 입력받고, 주변 조도값이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상기 컬러 카메라와 함께 작동시켜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및 저장 방법.
KR1020140142380A 2014-10-21 2014-10-21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KR101636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380A KR101636284B1 (ko) 2014-10-21 2014-10-21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380A KR101636284B1 (ko) 2014-10-21 2014-10-21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476A KR20160046476A (ko) 2016-04-29
KR101636284B1 true KR101636284B1 (ko) 2016-07-06

Family

ID=55915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380A KR101636284B1 (ko) 2014-10-21 2014-10-21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2927A4 (en) * 2019-06-27 2022-08-17 JVCKENWOOD Corporation RECORDING CONTROL DEVICE, RECORDING EQUIPMENT,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CONTROL PROGRA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6767B2 (en) 2017-05-19 202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thernet-attached SSD for automotive applic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673Y1 (ko) 2005-12-16 2006-03-03 김선업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녹화 시스템
JP2009104539A (ja) 2007-10-25 2009-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車載情報装置
JP2009166737A (ja) 2008-01-17 2009-07-30 Denso Corp 衝突監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989U (ja) * 1993-03-12 1994-09-2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後方監視カメラ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673Y1 (ko) 2005-12-16 2006-03-03 김선업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녹화 시스템
JP2009104539A (ja) 2007-10-25 2009-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車載情報装置
JP2009166737A (ja) 2008-01-17 2009-07-30 Denso Corp 衝突監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2927A4 (en) * 2019-06-27 2022-08-17 JVCKENWOOD Corporation RECORDING CONTROL DEVICE, RECORDING EQUIPMENT,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CONTROL PROGRAM
US11978255B2 (en) 2019-06-27 2024-05-07 Jvckenwood Corporation Recording control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control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476A (ko)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157B1 (ko) 차량 충돌체 감지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9346401B2 (en)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EP2804152A1 (en) Event detection and recording methods and systems
JP2010067262A (ja) インテリジェント走行支援システム
JP2009280109A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5920158B2 (ja) 移動体用画像記憶装置
CN103358994B (zh) 一种汽车前视摄像系统
KR100820310B1 (ko)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및 방법
KR101580567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이벤트 영상 제공 방법
KR20110087736A (ko)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의 물체 근접 영상 기록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52823A (ko) 차량의 주행영상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KR100833971B1 (ko) 차량용 관리 시스템
KR200442841Y1 (ko) 차량용 전방 사각지대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52675B1 (ko) 카메라를 구비한 차량용 네비게이션
KR101636284B1 (ko)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KR101533814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043685A (ja) 車両用記録制御装置、車両用記録装置、車両用記録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98039A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07084A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1557280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JP2000025659A (ja) 衝突映像記録装置
KR20080036435A (ko) 차량운행기록장치
KR101582534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US11722761B2 (en) Dashboard camera device
JP2015114831A (ja) 走行状況記録システム、走行状況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