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039A -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039A
KR20150098039A KR1020140019083A KR20140019083A KR20150098039A KR 20150098039 A KR20150098039 A KR 20150098039A KR 1020140019083 A KR1020140019083 A KR 1020140019083A KR 20140019083 A KR20140019083 A KR 20140019083A KR 20150098039 A KR20150098039 A KR 20150098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image data
proximity
impac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동한
홍승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019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8039A/ko
Publication of KR20150098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물체(예; 차량, 사람, 물건, 돌멩이 등)의 근접 센싱과 충격 센싱에 따라, 카메라 촬영 동작을 제어하고, 이벤트 발생 전부터의 카메라 촬영 영상을 보관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물체의 근접 센싱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근접 센싱 모니터링 결과로 물체의 근접이 센싱되면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시킨 카메라로 계속적으로 촬영되고 있는 제1 영상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물체 근접 센싱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충격이 센싱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충격 센싱 모니터링 결과로 충격이 센싱되면, 상기 임시 저장되고 있는 제1 영상 데이터들과, 계속적으로 촬영되어 임시 저장되고 있는 제2 영상 데이터들을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물체(예; 차량, 사람, 물건, 돌멩이 등)의 근접 센싱과 충격 센싱에 따라, 카메라 촬영 동작을 제어하고, 이벤트 발생 전부터의 카메라 촬영 영상을 보관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1가구 1자동차 시대라고 할 정도로 자동차의 보급은 상용화되었으며, 주행 중 다른 차량과의 접촉 사고, 주차 시 도난범의 차량 절도, 타인에 의한 흠집과 같은 차량 손괴 등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사고 대두에 따라 최근에는 블랙박스(Blackbox)라 불리는 영상 촬영 녹화 장치가 차량에 장착되는 것이 대중화되고 있다. 즉, 사용자는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보관된 카메라 촬영 영상을 통해, 차량 사고 정황을 파악해, 접촉 사고의 시시비비를 가리거나, 차량 절도를 시도한 도난범의 인상 착의를 확보하거나, 차량에 어떠한 손괴가 가해졌는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의 요구 증대 및 기술 발달로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4 채널(전/후/좌/우) 카메라가 장착되거나, Full-HD급 등의 고화질 카메라가 탑재되고 있으며, 수많은 영상 데이터 저장을 위한 대용량의 플래시 메모리가 탑재되고 있다. 아울러, 카메라 촬영 영상을 녹화하면서 사용자가 볼 수 있게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 스마트폰에 카메라 촬영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 등 각종 편의 기능도 추가되고 있다.
한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는 상시 녹화 모드와 이벤트 녹화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상시 녹화 모드는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전원 공급이 시작될 때 부터 전원 공급이 종료될 때 까지 카메라에서 촬영한 모든 영상을 플래시 메모리 등에 모두 저장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차량 배터리에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전원이 연결된 경우에 상시 녹화 모드에서는 주행, 주정차와 관계없이 24 시간 내내 촬영한 영상이 저장되게 된다.
이벤트 녹화 모드는 모든 영상을 항상 저장하지 않는 대신에, 카메라를 구동시켜 영상을 계속 촬영하며, G 센서로 충격 발생 여부를 센싱하다가 임계값 이상의 충격값이 센싱되면 해당 영상을 플래시 메모리 등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종래기술의 상시 녹화 모드는 접촉 사고, 차량 절도, 차량 손괴 등 차량과 관련된 사고[이하 '차량 사고'라 통칭함]의 영상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상시 녹화 모드는 차량 배터리 사용으로 인한 방전의 문제점, 많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에 따른 저장용량 부족 문제, 최신 영상 데이터 덮어쓰기로 인한 중요한 영상 데이터 소실 문제 등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의 상시 녹화 모드는 무수히 많은 영상 데이터 저장 시 데이터 쓰기 제한 횟수가 있는 플래시 메모리의 수명 단축 문제가 있다. 이는 소비자가 차량 사고 영상 확보를 위해 플래시 메모리를 짧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1년6개월 마다 새로 구매해 교체해야 되는 비용 지출, 번거로움을 주고 있다.
종래기술의 이벤트 녹화 모드는 충격이 발생되면 해당 영상을 저장함으로써, 상시 녹화 모드에 비해 플래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이벤트 녹화 모드는 G 센서가 충격을 센싱한 시점 이후부터의 영상을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기 때문에, 차량 사고 발생 시점 전부터의 영상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타인이 못으로 내 차량에 흠집을 내는 차량 손괴의 경우에, 종래기술로는 차량에 흠집이 난 이후의 영상만 있을 뿐, 차량 흠집 전/당시/후의 주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 흠집을 내기 위해 누군가가 내 차량에 다가오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영상, 흠집을 어떻게 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영상 등 차량 손괴 정황을 전체적으로 종합해 파악할 수 있는 증거 자료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차량 사고 발생 전 부터 차량 사고 발생 당시, 차량 사고 발생 후 까지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고, 차량 배터리 방전 문제, 저장용량 부족 문제, 중요한 영상 데이터 소실 문제, 데이터 쓰기 제한 횟수에 따른 비휘발성 저장매체의 수명 단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물체(예; 차량, 사람, 물건, 돌멩이 등)의 근접 센싱과 충격 센싱에 따라, 카메라 촬영 동작을 제어하고, 이벤트 발생 전부터의 카메라 촬영 영상을 보관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은,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물체의 근접 센싱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근접 센싱 모니터링 결과로 물체의 근접이 센싱되면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시킨 카메라로 계속적으로 촬영되고 있는 제1 영상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물체 근접 센싱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충격이 센싱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충격 센싱 모니터링 결과로 충격이 센싱되면, 상기 임시 저장되고 있는 제1 영상 데이터들과, 계속적으로 촬영되어 임시 저장되고 있는 제2 영상 데이터들을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은,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로 영상을 계속적으로 촬영하면서, 물체의 근접 센싱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근접 센싱 모니터링 결과로 물체의 근접이 센싱되면 상기 촬영되고 있는 제1 영상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물체 근접 센싱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충격이 센싱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충격 센싱 모니터링 결과로 충격이 센싱되면, 상기 임시 저장되고 있는 제1 영상 데이터들과, 계속적으로 촬영되어 임시 저장되고 있는 제2 영상 데이터들을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는,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물체의 근접 거리 변화 또는/및 근접 여부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접 센서; 물체의 충격값 또는/및 충격 여부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센서; 소정 영역을 대상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들이 임시 저장되는 임시 저장부;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들이 기록되는 비휘발성 저장매체; 및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한 근접 센싱과 상기 충격 센서에 의한 충격 센싱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근접 센싱과 충격 센싱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상기 임시 저장부의 영상 데이터들을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로의 보관 여부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이벤트(예; 차량 사고) 발생 전 부터 이벤트 발생 당시, 이벤트 발생 후 까지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고, 배터리 방전 문제, 저장용량 부족 문제, 중요한 영상 데이터 소실 문제, 데이터 쓰기 제한 횟수에 따른 비휘발성 저장매체의 수명 단축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시나리오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주행 상태에서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주차 상태에서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는, 근접 센서(11), 충격 센서(12), 카메라(13), 제어부(14), 임시 저장부(15), 비휘발성 저장매체(16), 전원부(17), 차량 구동상태 판별부(18) 등을 포함한다.
도 1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는 자가용과 같은 승용차, 트럭과 같은 상용차, 오토바이와 같은 2륜차, 고속철도, 전철 등 차량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 도 1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를 '차량 설치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라 지칭하기로 한다.
근접 센서(11)는 차량에 다가오는 또는 다가가는 물체(예; 차량, 사람, 물건, 돌멩이 등)와의 근접 거리 변화 또는/및 근접 여부를 센싱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근접 센서(11)는 초음파, 전파, 적외선, 열, 빛, 마그네틱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어떠한 센서로도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근접 센서(11)는 차량의 범퍼, 도어 등에 다수 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차량의 전/후/좌/우 등에서 소정 방향을 향한 상태로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근접 센서(11)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전/후/좌/우 등에서 차량 외부의 소정 방향을 향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충격 센서(12)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값 또는/및 충격 여부를 센싱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충격 센서(12)는 3축 모션, 6축 모션, 가속도, 자이로, 관성, 지자기, 압력, 진동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어떠한 센서로도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충격 센서(12)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장착되거나, 차량의 범퍼, 도어 등에 다수 개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3)는 차량의 외부 또는/및 차량의 내부를 촬영해 컬러, 흑백, 적외선 등의 영상을 획득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카메라 또는 다수 개의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1 채널의 전방 카메라만이 장착되거나, 차량 전방 및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2 채널의 카메라가 장착되거나, 차량 전후좌우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다채널의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다.
제어부(14)는 MCU, CPU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카메라 구동 드라이버 제어, 센싱 판별, 데이터 저장 등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 로직을 수행한다. 카메라(13)에서 획득한 영상의 신호 처리 기능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제어부(14)의 주요 기능,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임시 저장부(15)는 카메라(13)에서 획득한 영상이 임시 저장되는 버퍼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휘발성 저장매체로서 RA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비휘발성 저장매체(16)는 제어부(14)의 데이터 쓰기(Write)로 카메라(13)에서 획득한 영상이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로서, SD 카드, USB 메모리 등의 플래시 메모리, EEPROM,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17)는 차량 배터리에 상시 전원으로 연결되거나 차량 시거잭 연결, 차량 USB 포트 연결 등으로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차량 구동상태 판별부(18)는 차량의 구동 상태, 특히 차량이 주행 상태인지, 주차 상태인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의 구동 상태를 판별하는 방법은 다양한데,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GPS를 사용하는 경우에 시간 경과에 따라 현재 위치 변화가 있으면 차량 주행 상태로 판별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더라도 현재 위치 변화가 전혀 없으면 차량 주차 상태로 판별한다. 다른 예로, 차량 배터리 전원이 인가되면 차량 주행 상태로 판별하고, 차량 배터리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차량 주차 상태로 판별한다. 또 다른 예로, 시동 스위치 온오프, 클러스터 주행거리 변화, 주유량 변화, 카메라 촬영 영상 프레임 간 변화 등으로도 차량의 구동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주차 모드 메뉴를 구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셋팅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는 도 1의 차량 설치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와 구별되게 하기 위해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라 지칭하기로 한다.
도 2의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는 차량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연동된다. 즉, 도 1의 차량 설치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와 대비해 근접 센서, 충격 센서, 차량 구동상태 판별부를 장치 내부에 구현하지 않는 대신에, 차량 시스템의 근접 센서, 충격 센서, 차량 ECU로부터 근접 센싱값, 충격 센싱값, 차량 주행 상태, 차량 주차 상태 등의 차량 구동 상태 정보를 제공받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는, 카메라(33), 제어부(34), 임시 저장부(35), 비휘발성 저장매체(36), 전원부(37), 통신부(38) 등을 포함한다.
차량 시스템은 근접 센서(51), 충격 센서(52), 차량 ECU(5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충격 센서(52)는 차량 시스템이 아닌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의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대해서는, 도 1의 차량 설치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대비해 다른 구성요소, 기능,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38)는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와 차량 시스템 간의 신호,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동모듈로서, 예시적으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 규격에 따른 트랜시버, 드라이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4)는 통신부(38)를 통해 차량 시스템으로부터 물체 근접 센싱 데이터(물체 근접 거리 변화값 또는/및 물체 근접 여부 등), 물체 충격 센싱 데이터(물체 충격값 또는/및 물체 충격 여부 등), 차량 구동 상태 데이터(주행 상태 또는 주차 상태 등)을 제공받는다. 여기서, 차량 시스템이 센싱 데이터 등을 로 데이터(raw data) 또는 CAN 메시지 형식 등으로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제공하는 경우에는 제어부(34)가 차량 시스템의 데이터를 해석해 처리한다. 다른 예로, 차량 시스템이 센싱 데이터 등을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가 인식할 수 있게 가공된 데이터 형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시나리오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3과 같이 타인이 못으로 내 차량에 흠집을 내는 차량 손괴의 경우에, 이 타인은 주변에 사람이 없는지 확인하면서 차량 주위를 어슬렁거리다가 차량으로 다가와서 못으로 차량에 흠집을 낸 후에 도주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가 이러한 타인의 차량 근접이 센싱되면 카메라로 촬영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즉 근접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타인 또는 못의 차량 충격이 센싱되면 임시 저장되고 있는 근접 영상 데이터와 카메라로 계속 촬영되어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즉 충격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쓰기(write)로 보관한다. 그리고, 차량 손괴 후의 도주 영상을 확보하기 위해 충격 이벤트 발생 후 소정 시간 동안 카메라로 계속 촬영되어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즉 도주 영상 데이터]도 데이터 쓰기(write)로 보관한다. 여기서, 근접 영상 데이터, 충격 영상 데이터, 도주 영상 데이터는 설명의 이해를 돕고자 정의한 것이며, 이러한 영상 데이터들은 이벤트 발생 전 부터, 당시 및 후 까지 획득되는 카메라 촬영 영상을 의미한다.
그럼, 도 4를 참조하여 차량 주행 상태에서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차량 주차 상태에서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대해서는 도 1의 차량 설치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주행 상태에서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4)는 차량 구동상태 판별부(18)를 통해 차량의 구동 상태를 판별한다. 본 발명에서 차량 구동 상태 판별 과정은 필수적 구성요소는 아니며, 차량 구동 상태 판별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서 이하의 과정부터 시작해도 무방하다. 즉, 이하의 과정은 차량 구동 상태에 관계없이 주행 상태, 주차 상태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차량 주행 상태에서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전원부(17)에 차량 시동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의 구동 상태가 차량 주행 상태로 판별되면[주; 선택적 과정](401), 제어부(14)는 카메라(13)를 구동시켜 영상이 계속적으로 촬영되도록 하고(402), 근접 센서(11) 및 충격 센서(12)를 구동시켜 물체의 차량 근접 센싱 및 차량 충격 센싱이 동작되도록 한다(403). 여기서, 차량 주행 상태에서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시동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배터리 방전 문제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영상을 계속적으로 촬영해도 무방하다. 근접 센싱 동작 및 충격 센싱 동작도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거나, 소정 시간 주기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그러다가, 근접 센서(11)를 통해 물체의 차량 근접이 센싱되면(404), 제어부(14)는 카메라(13)로 촬영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즉 이벤트 발생 전의 근접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부(15)에 버퍼링으로 임시 저장한다(405). 이어서 소정 시간 이내에 충격 센서(12)를 통해 물체의 차량 충격이 센싱되면(406), 제어부(14)는 임시 저장부(15)에 임시 저장되고 있는 근접 영상 데이터와 카메라(13)로 계속 촬영되어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즉 이벤트 발생 당시의 충격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쓰기(write)로 비휘발성 저장매체(16)에 보관한다(407).
그런후, 제어부(14)는 충격 센싱 후 소정 시간 동안 카메라(13)로 계속 촬영되어 임시 저장부(15)에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즉 이벤트 발생 후의 영상 데이터]도 데이터 쓰기(write)로 비휘발성 저장매체(16)에 보관한다(408). 이후, 제어부(14)는 차량 근접 센싱 및 차량 충격 센싱 모니터링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차량 근접이 센싱되고서 소정 시간 이내에 물체의 차량 충격이 센싱되지 않으면 제어부(14)는 카메라(13)로 촬영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즉 근접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부(15)에 계속적으로 임시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차량 근접 센싱 및 차량 충격 센싱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한편, 차량 근접이 센싱되지 않더라도, 물체의 차량 충격이 센싱되면 카메라(13)로 계속 촬영되어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즉 충격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쓰기(write)로 비휘발성 저장매체(16)에 보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주차 상태에서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4)는 차량 구동상태 판별부(18)를 통해 차량의 구동 상태를 판별한다. 본 발명에서 차량 구동 상태 판별 과정은 필수적 구성요소는 아니며, 차량 구동 상태 판별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서 이하의 과정부터 시작해도 무방하다. 즉, 이하의 과정은 차량 구동 상태에 관계없이 주행 상태, 주차 상태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차량 주차 상태에서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전원부(17)에 차량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의 구동 상태가 차량 주차 상태로 판별되면[주; 선택적 과정](501), 제어부(14)는 근접 센서(11) 및 충격 센서(12)를 구동시켜 물체의 차량 근접 센싱 및 차량 충격 센싱이 동작되도록 한다(502). 여기서, 차량 주차 상태에서는 차량 배터리 방전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전원 소모 최소화를 위해 근접 센싱 동작 및 충격 센싱 동작이 소정 시간 주기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초기화 시 카메라(13)를 곧바로 구동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카메라가 구동되지 않는다[구동 종료]라는 의미를 슬립 모드(sleep mode) 상태이거나 초기화가 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전원 공급이 되지 않은 상태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다가, 근접 센서(11)를 통해 물체의 차량 근접이 센싱되면(503), 제어부(14)는 카메라(13)를 부팅 등 과정을 거쳐 구동시켜 영상이 계속적으로 촬영되도록 한다(504).
그리고, 제어부(14)는 카메라(13)로 촬영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즉 이벤트 발생 전의 근접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부(15)에 버퍼링으로 임시 저장한다(505). 이어서 소정 시간 이내에 충격 센서(12)를 통해 물체의 차량 충격이 센싱되면(506), 제어부(14)는 임시 저장부(15)에 임시 저장되고 있는 근접 영상 데이터와 카메라(13)로 계속 촬영되어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즉 이벤트 발생 당시의 충격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쓰기(write)로 비휘발성 저장매체(16)에 보관한다(507).
그런후, 제어부(14)는 충격 센싱 후 소정 시간 동안 카메라(13)로 계속 촬영되어 임시 저장부(15)에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즉 이벤트 발생 후의 영상 데이터]도 데이터 쓰기(write)로 비휘발성 저장매체(16)에 보관한다(508).
그런후, 이벤트 발생 후의 영상 데이터를 보관한 후에 제어부(14)는 카메라(13)를 구동 종료시킨다(509). 이후, 제어부(14)는 차량 근접 센싱 및 차량 충격 센싱 모니터링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차량 근접이 센싱되고서 소정 시간 이내에 물체의 차량 충격이 센싱되지 않으면 제어부(14)는 카메라(13)를 구동 종료시킨다. 이후, 제어부(14)는 차량 근접 센싱 및 차량 충격 센싱 모니터링 과정을 수행한다. 부가적으로, 차량 근접이 센싱되고서 소정 시간 이내에 물체의 차량 충격이 센싱되지 않으면 제어부(14)는 임시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폐기하거나 그대로 보존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 근접이 센싱되지 않더라도, 물체의 차량 충격이 센싱되면 제어부(14)는 카메라(13)를 구동시켜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비휘발성 저장매체(16)에 보관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확장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근접 센싱 또는/및 충격 센싱에 따라 카메라 촬영 영상을 저장하는데, 이벤트 발생 전/당시/후의 영상을 저장하는데 있어 모든 영상 프레임을 저장하지 않고서 영상 오브젝트 인식 등을 통해 물체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만을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보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물체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신(scene) 자체가 아닌 영상 프레임 내의 물체, 차량 등이 포함된 소정 영역만을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보관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더욱더 비휘발성 저장매체의 데이터 쓰기 횟수를 줄이고 저장용량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실시간 처리 보장, 불필요한 신호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근접 센서, 충격 센서, 카메라가 여러 대 장착된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센서 장착 위치/방향 정보와 카메라 장착 위치/방향 정보를 이용해 센싱 동작이 이루어진 센서와 이 센서에 대응하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만을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근접 센싱 조건으로 물체가 차량 또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다가오는 거리 변화로 설정할 수 있는데, 근접 센싱 거리를 더 멀리 설정하면 이벤트 발생 전의 오래된 영상 데이터들도 확보할 수 있다[이벤트 발생 전 영상 시점을 앞으로 당김].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주행 속도 변화와 연계해 근접 센싱 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주행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타 차량과의 접촉 사고가 순식간에 발생되므로 근접 센싱 거리를 더 멀리 조정해 충분한 이벤트 발생 전 영상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주행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근접 센싱 거리를 더 가까이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근접 센서를 초음파 방식 등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카메라 또는 별도로 차량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으로 물체와의 거리를 계산해 근접 센싱을 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로, 어두운 환경에서는 적외선 방식의 근접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초음파 방식의 근접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 차량 주행 중 주변 소음, 다른 차량의 초음파 센서의 신호 간섭으로 인해 근접 센싱 동작 오류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근접 센서의 초음파에 자기 식별코드를 삽입해 송신하거나, 별도의 적외선 센서를 더 장착해 초음파 센서의 센싱 결과와 적외선 센서의 센싱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의 데이터만을 올바른 근접 센싱 데이터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근접 센서, 충격 센서가 고장나는 경우에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센서의 고장을 판별하면 전술한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서 일반적인 상시 영상 촬영 녹화 모드로 전환해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센서의 고장을 판별하면 사용자에게 센서 교체/수리 등을 받을 것을 알리고, 센서가 정상 동작되기 전까지는 상시 영상 촬영 녹화 모드가 수행됨을 알릴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충격 센서(12)를 6축 모션 방식 등의 G 센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카메라 또는 별도로 차량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으로 충돌 센싱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 근접 센서 12: 충격 센서
13: 카메라 14: 제어부
15: 임시 저장부 16: 비휘발성 저장매체

Claims (12)

  1.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물체의 근접 센싱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근접 센싱 모니터링 결과로 물체의 근접이 센싱되면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구동시킨 카메라로 계속적으로 촬영되고 있는 제1 영상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물체 근접 센싱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충격이 센싱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충격 센싱 모니터링 결과로 충격이 센싱되면, 상기 임시 저장되고 있는 제1 영상 데이터들과, 계속적으로 촬영되어 임시 저장되고 있는 제2 영상 데이터들을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들과 제2 영상 데이터들의 보관이 완료되면 상기 카메라의 구동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센싱 모니터링 결과로 충격이 센싱되지 않으면 상기 카메라의 구동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
  4.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로 영상을 계속적으로 촬영하면서, 물체의 근접 센싱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근접 센싱 모니터링 결과로 물체의 근접이 센싱되면 상기 촬영되고 있는 제1 영상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물체 근접 센싱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충격이 센싱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충격 센싱 모니터링 결과로 충격이 센싱되면, 상기 임시 저장되고 있는 제1 영상 데이터들과, 계속적으로 촬영되어 임시 저장되고 있는 제2 영상 데이터들을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센싱 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카메라로 계속 촬영되어 임시 저장되고 있는 제3 영상 데이터들을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들 또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들 또는 상기 제3 영상 데이터들을 보관하는 과정은,
    상기 영상 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물체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 또는 상기 물체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소정 영역을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
  7.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물체의 근접 거리 변화 또는/및 근접 여부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접 센서;
    물체의 충격값 또는/및 충격 여부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센서;
    소정 영역을 대상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들이 임시 저장되는 임시 저장부;
    상기 임시 저장부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들이 기록되는 비휘발성 저장매체; 및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한 근접 센싱과 상기 충격 센서에 의한 충격 센싱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근접 센싱과 충격 센싱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상기 임시 저장부의 영상 데이터들을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로의 보관 여부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 근접 센싱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충격이 센싱되는 경우에, 상기 근접 센싱이 이루어진 시점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들과, 상기 충격 센싱이 이루어진 시점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들을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 또는/및 상기 충격 센서는 차량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되,
    상기 차량 시스템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 시스템과의 연동으로 근접 센싱 또는/및 충격 센싱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의 장착 위치/방향 정보, 상기 충격 센서의 장착 위치/방향 정보, 상기 카메라의 장착 위치/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센싱이 이루어진 센서와 이 센서에 대응하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물체의 다가오는 거리 변화 정보를 근접 센싱값으로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싱값이 사전에 설정된 소정 거리 범위 내로 들어오는 시점부터 상기 카메라로 촬영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 또는 상기 충격 센서의 고장 여부를 판별하되,
    상기 근접 센서 또는 상기 충격 센서가 고장난 경우에 상기 근접 센싱 또는 충격 센싱과 상관없이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들을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KR1020140019083A 2014-02-19 2014-02-19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98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083A KR20150098039A (ko) 2014-02-19 2014-02-19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083A KR20150098039A (ko) 2014-02-19 2014-02-19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039A true KR20150098039A (ko) 2015-08-27

Family

ID=5405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083A KR20150098039A (ko) 2014-02-19 2014-02-19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80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8109B2 (en) * 2016-05-11 2020-10-27 Smartdrive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offloading different information based on event trigger type
KR20220057725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올리브앤도브 버퍼를 포함하는 도어캠
KR20220057726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올리브앤도브 듀얼 카메라를 포함하는 도어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8109B2 (en) * 2016-05-11 2020-10-27 Smartdrive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offloading different information based on event trigger type
US11587374B2 (en) 2016-05-11 2023-02-21 Smartdrive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offloading different information based on event trigger type
KR20220057725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올리브앤도브 버퍼를 포함하는 도어캠
KR20220057726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올리브앤도브 듀얼 카메라를 포함하는 도어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2170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image recording method, and image recording program
US10003773B2 (en) Shock sensin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5769437B2 (ja) 移動体用情報記録装置
US20060259218A1 (en) Audio-video recorder for vehicles
JP2010134745A (ja) ドライブレコーダ及びドライブレコーダの映像記録方法
JP2005500931A (ja) 車両に設置された警報信号の発信に追従して映像シーケンスを蓄積する装置
JP6693357B2 (ja)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80567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이벤트 영상 제공 방법
JP2006195715A (ja) レンタル車両の管理装置
CN103358994B (zh) 一种汽车前视摄像系统
CN104008580A (zh) 车辆受撞击时启动360全景录像的系统和方法
KR20110087736A (ko)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의 물체 근접 영상 기록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98039A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833971B1 (ko) 차량용 관리 시스템
KR101533814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4197B1 (ko) 차량용 블랙박스
US20230260289A1 (en) On-vehicle recording control device and on-vehicle recording control method
KR101557280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JP7259661B2 (ja) 車両用記録制御装置、車両用記録装置、車両用記録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36284B1 (ko)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69855A (ko)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및 방법
CN112639893A (zh) 车辆用记录控制装置、车辆用拍摄装置、车辆用记录控制方法及程序
KR20110107084A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20130098005A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 및 그 방법
JP6367531B2 (ja) 車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