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355B1 -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 Google Patents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355B1
KR101633355B1 KR1020160022464A KR20160022464A KR101633355B1 KR 101633355 B1 KR101633355 B1 KR 101633355B1 KR 1020160022464 A KR1020160022464 A KR 1020160022464A KR 20160022464 A KR20160022464 A KR 20160022464A KR 101633355 B1 KR101633355 B1 KR 101633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panding
bulging
diameter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3445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3335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현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현정밀
Priority to KR1020160022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21D39/20Tube expanders with mandrels, e.g. expan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21D41/026Enlarging by means of mand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의 내경 확관에 필요한 서로 다른 크기별 확관 구경을 일괄적으로 확보하여 다구경의 확관 작업을 간편하게 일률적으로 처리하며, 타원형의 곡률 접촉구조를 이루어 파이프의 연결단부를 효율적으로 확관시킴을 제공하도록, 파이프의 한쪽 끝단을 지지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플랜지와; 상기 지지플랜지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전동장치에 연결하여 탈착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장비결합부와; 상기 지지플랜지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파이프의 일단에 내측을 향해 삽입되되 파이프 내경의 확관을 위하여 네 구간으로 구분구획된 서로 다른 크기의 확관구를 구비하며, 상기 확관구의 크기별로 확공 구경단계를 선택하여 파이프를 확관가능하게 형성하는 내경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경확관부는 전방 선단에 파이프를 향한 진입경로를 안내하는 진입단부와, 상기 진입단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고 소구경 확관을 위한 외경을 갖는 제1확관구와, 상기 제1확관구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고 중소구경 확관을 위한 외경을 갖는 제2확관구와, 상기 제2확관구보다 큰 중대구경 확관을 위한 외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확관구와, 상기 제3확관구보다 큰 대구경 확관을 위한 외경으로 상기 지지플랜지에 접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4확관구를 포함하는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Multi Hole Pipe Expanding Drill}
본 발명은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내경 확관에 필요한 서로 다른 크기별 확관 구경을 일괄적으로 확보하여 다구경의 확관 작업을 간편하게 일률적으로 처리하며, 타원형의 곡률 접촉구조를 이루어 파이프의 연결단부를 효율적으로 확관시키는 것이 가능한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경이 같거나 서로 다른 파이프 간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작업 또는 파이프에 파이프가 아닌 별도의 조립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작업에는 파이프 선단의 내경을 넓혀 확관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파이프 확관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파이프 확관기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514369호(2005.09.05.)에는 일측 끝단이 파이프의 내경으로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축을 따라 분할 중심구가 형성되며, 상기 분할 중심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분할되어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분할편과; 상기 분할 중심구로 삽입되어 상기 분할편을 방사형으로 분할시키는 삽입봉과; 상기 분할편과 상기 삽입봉의 위치 및 작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하우징과; 일측 끝단이 상기 삽입봉에 힌지 결합되는 제1손잡이와, 일측 끝단이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손잡이와 힌지 결합구조로 결합되는 제2손잡이로 구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삽입봉의 삽입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분할편의 방사형 분할동작 거리를 제한하는 확관크기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보다 용이하게 확산시킬 수 있는 파이프 확관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확관작업시 작업자의 힘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자의 숙련 정도만으로 확관 관경을 설정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파이프마다 관경이 달라지는 등 정확한 관경으로 확관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도 1의 (a),(b)에는 파이프의 선단에 회전접촉에 따른 확관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종래 드릴형태의 확관공구로서, 도 1의 (a)에서처럼 파이프의 내경에 진입하여 확관가능한 직경을 이루되 외주연 상에 나선 홈(1)을 형성하여 회전구동에 따른 접촉으로 파이프의 선단을 확관할 수 있는 소구경용 확관드릴이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의 (b)에서는 외주연 상에 나선 홈(1)을 형성하되 외주면이 부분적으로 절삭가공됨에 따른 각진 모서리단부(3)를 구비하여 접촉회전구동으로 파이프의 선단을 보다 큰 크기로 확관할 수 있는 대구경용 확관드릴이 개시되어 사용되고 있고, 도 1의 (c)에서처럼 나선 홈(1)을 대신하여 외주연 상에 각진 모서리단부(3)만을 형성한 확관드릴이 개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확관드릴 중 도 1의 (a),(b)와 같은 확관드릴의 경우에는 확관 작업유형을 소구경과 대구경으로 구분하여 해당 작업유형별 확관드릴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중 공구교체에 따른 번거로움은 물론 작업이 지연되고, 확관드릴의 양자 모두 파이프의 내면에 회전접촉이 용이하도록 나선 홈(1)을 형성하였으나 작업시 나선 홈(1)이 파이프의 내면을 파고들어감에 따라 파이프의 손상에 따른 확관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도 1의 (a)와 같은 종래 확관드릴의 경우에는 단순히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져 파이프와의 회전접촉시 면과 면의 접촉으로 헛도는 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면 마찰력으로 인한 가열현상으로 소재변형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도 1의 (b),(c)와 같은 종래 확관드릴의 경우에는 원형의 단면형상에 각진 모서리단부(3)를 형성하기 때문에 면 마찰력을 낮추었으나 작업시 각진 모서리단부(3)로부터 강한 진동이 동반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이로 인해 제품에 손상이 발생하여 품질이 저하됨은 물론 작업자의 부상 위험도가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514369호(2005.09.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이프의 연결단부를 서로 다른 관경의 크기별로 확관할 수 있게 다구경의 확관구를 구성하므로 확관작업의 구경별 치수정밀도를 높이고 다구경의 확관 작업을 하나의 공구로부터 일률적으로 처리하여 작업영역을 넓히면서 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도모할 수 있는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파이프의 내면을 확관할 때 외주면이 파이프의 내면에 접촉상태와 비접촉상태를 반복할 수 있는 타원형으로 구성하므로 파이프 확관작업의 작업성을 높임은 물론 파이프와의 마찰면적 및 작업진동을 최소화하고 제품의 손상 및 작업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은 파이프의 한쪽 끝단을 지지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플랜지와; 상기 지지플랜지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전동장치에 연결하여 탈착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장비결합부와; 상기 지지플랜지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파이프의 일단에 내측을 향해 삽입되되 파이프 내경의 확관을 위하여 네 구간으로 구분구획된 서로 다른 크기의 확관구를 구비하며, 상기 확관구의 크기별로 확공 구경단계를 선택하여 파이프를 확관가능하게 형성하는 내경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경확관부는 전방 선단에 파이프를 향한 진입경로를 안내하는 진입단부와, 상기 진입단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고 소구경 확관을 위한 외경을 갖는 제1확관구와, 상기 제1확관구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고 중소구경 확관을 위한 외경을 갖는 제2확관구와, 상기 제2확관구보다 큰 중대구경 확관을 위한 외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확관구와, 상기 제3확관구보다 큰 대구경 확관을 위한 외경으로 상기 지지플랜지에 접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4확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경확관부의 확관구는 각각 파이프와 대응되는 전방에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여 파이프를 확관시키는 곡선구간과, 상기 곡선구간으로부터 후방 직선방향으로 연장하여 확관된 파이프의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직선구간을 구비한다.
상기 제1확관구는 곡선구간 7㎜ 및 직선구간 6㎜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확관구에서 곡선구간의 곡률반경은 63~64㎜의 범위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2확관구는 곡선구간 8㎜ 및 직선구간 6㎜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확관구에서 곡선구간의 곡률반경은 74~75㎜의 범위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3확관구는 곡선구간 9㎜ 및 직선구간 8㎜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확관구에서 곡선구간의 곡률반경은 94~95㎜의 범위로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4확관구는 곡선구간 및 직선구간이 각각 10㎜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확관구에서 곡선구간의 곡률반경은 163~164㎜의 범위로 구성한다.
상기 내경확관부의 확관구는 외주연 상에 형성하되 전동장치에 따른 회동시 파이프의 내면에 접촉하여 확관가능하게 형성되는 확관접촉면과, 상기 확관접촉면으로부터 회전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되 회동시 파이프의 내면과 이격된 간격을 확보하도록 형성되는 비접촉면을 구비한다.
상기 확관구의 확관접촉면 및 비접촉면은 각각 상하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형태의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관구에서 상기 비접촉면 간에 길이는 상기 확관접촉면 간의 길이를 기준으로 2/3의 길이로 이루어진다.
상기 확관구의 확관접촉면은 파이프의 내면에 1차적으로 확관 접촉하는 제1접촉면과, 상기 제1접촉면의 곡률반경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1접촉면에 연이어 파이프의 내면에 2차적으로 확관 접촉하는 제2접촉면을 형성한다.
상기 확관구에는 상기 확관접촉면과 상기 비접촉면의 사이에서 완만한 곡선형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곡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에 의하면 파이프 내경 확관에 네 개의 구간으로 구분구획된 서로 다른 크기의 확관구를 구비하여 작업 관경을 선택적으로 확관하므로, 각 구간별 해당 관경에 맞춰 확관하여 숙련도와 무관하게 작업의 정확도 및 치수정밀도를 향상시키고, 하나의 확관드릴만으로 다구경의 확관 작업을 복합적으로 처리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작업의 지연현상을 방지한 채 작업진행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은 확관구의 관경이 다른 개개의 구간마다 곡선구간 및 직선구간을 구분 형성토록 구성하므로, 작업자로부터 확관 관경을 명확하게 구분 선택하여 정확한 작업을 도모하고 파이프를 향한 진입이 원활하여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은 파이프 내경 확관을 위한 확관구마다 파이프의 내면에 접촉상태와 비접촉상태를 반복할 수 있는 타원형으로 구성하므로, 과도한 면 접촉에 의해 헛돌거나 면 마찰력으로 인한 가열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등 확관작업에 따른 파이프의 손상 및 소재변형을 방지하고, 확관 작업시 작업진동을 최소화하여 작업의 안정성 및 확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은 파이프 내경 확관을 위해 면 접촉하는 확관구마다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접촉면이 연속적으로 접촉하며 확관구의 외주면에서 확관접촉면과 비접촉면의 경계에 완만한 곡선형태로 연결하므로, 예비 확관작업과 본 확관작업의 진행으로 확관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파이프를 향한 충격을 완화하여 작업의 안정성 및 확관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c)는 각각 종래 확관드릴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확대도.
본 발명은 파이프의 한쪽 끝단을 지지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플랜지와; 상기 지지플랜지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전동장치에 연결하여 탈착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장비결합부와; 상기 지지플랜지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파이프의 일단에 내측을 향해 삽입되되 파이프 내경의 확관을 위하여 네 구간으로 구분구획된 서로 다른 크기의 확관구를 구비하며, 상기 확관구의 크기별로 확공 구경단계를 선택하여 파이프를 확관가능하게 형성하는 내경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경확관부는 전방 선단에 파이프를 향한 진입경로를 안내하는 진입단부와, 상기 진입단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고 소구경 확관을 위한 외경을 갖는 제1확관구와, 상기 제1확관구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고 중소구경 확관을 위한 외경을 갖는 제2확관구와, 상기 제2확관구보다 큰 중대구경 확관을 위한 외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확관구와, 상기 제3확관구보다 큰 대구경 확관을 위한 외경으로 상기 지지플랜지에 접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4확관구를 포함하는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의 일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플랜지(10)와, 장비결합부(20)와, 내경확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플랜지(10)는 상기 장비결합부(20)와 상기 내경확관부(30)의 사이에서 작업경계를 이루므로, 상기 장비결합부(20)로 인한 장비결합영역과 상기 내경확관부(30)로 인한 확관작업영역으로 각각 영역을 구분 구획토록 구성한다.
상기 지지플랜지(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장비결합부(20) 및 상기 내경확관부(3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한다.
상기 지지플랜지(10)는 확관작업을 위한 작업대상인 파이프의 한쪽 끝단을 지지가능하게 형성한다. 즉 상기 지지플랜지(10)는 상기 내경확관부(30)에 따른 확관작업영역에서의 확관작업시 파이프가 장비결합영역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파이프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장비결합부(20)는 상기 지지플랜지(10)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는 전동장치(도면에 미도시)에 연결가능한 구조로서, 전동장치의 일단에 연결결합하여 탈착시킬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에서 전동장치는 전용 확관장치나 확관기의 구동원 또는 일반적인 전동드릴기 등을 적용하여 사용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서 상기 장비결합부(20)는 원형 단면형상을 갖는 봉형의 구조와 육각 단면형상을 갖는 육면체의 구조를 모두 적용하여 구성하였지만, 상기 장비결합부(20)는 단순히 원형 단면형상의 봉형 구조 또는 육각 단면형상의 육면체 구조만을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내경확관부(30)는 상기 장비결합부(20)가 연결된 전동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기반으로 파이프의 일단을 확관가능하게 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내경확관부(3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랜지(10)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파이프의 일단에 내측을 향해 삽입되므로, 상기 내경확관부(30)의 외면이 파이프의 내면에 접하여 확관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 내경확관부(30)에는 파이프 내경의 확관을 위하여 4개의 구간으로 구분구획된 확관구를 구비한다.
상기 확관구(3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 구간으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방 선단에 진입단부(32)를 비롯하여 제1확관구(31a) 및 제2확관구(31b), 제3확관구(31c) 및 제4확관구(31d)를 구비토록 이루어진다.
상기 내경확관부(30)는 상기 확관구(31)의 크기별로 확공 구경단계를 선택하여 파이프를 확관가능하게 형성한다. 즉 상기 확관구(31)(제1~4확관구) 중 확공할 관경에 해당하는 확관구(31)를 선택하여 파이프를 확관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진입단부(32)는 상기 내경확관부(30)의 전방 선단에서 상기 확관구(31)의 전반적인 중심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파이프를 향한 상기 확관구(31)의 진입경로를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내경확관부(30)에서 상기 확관구(3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를 향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게 형성된 곡선구간(33)과, 확관된 파이프를 재차 접촉지지하는 직선구간(34)을 구비한다.
상기 곡선구간(33)은 파이프와 대응되는 전방에 외측으로 완만하게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므로, 파이프를 향해 진입하면서 서서히 파이프를 확관시키도록 형성한다.
상기 직선구간(34)은 상기 곡선구간(33)으로부터 후방 직선방향으로 연장하므로, 상기 곡선구간(33)에 접하여 확관된 파이프의 내면을 접촉지지한다.
상기 곡선구간(33) 및 상기 직선구간(34)은 모두 서로 다른 구경을 갖는 다수의 상기 확관구(31)마다 각각 적용토록 형성하되 상기 확관구(31)마다 상기 곡선구간(33)과 상기 직선구간(34)의 곡률반경 및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한다. 즉 상기 제1확관구(31a)와 상기 제2확관구(31b), 상기 제3확관구(31c), 상기 제4확관구(31d)에 각각 구비된 상기 곡선구간(33)의 길이 및 곡률반경, 상기 직선구간(34)의 길이의 수치가 상기 확관구(31)별 구경에 맞춰 모두 다른 수치를 형성토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확관구(31)의 관경이 다른 개개의 구간마다 곡선구간(33) 및 직선구간(34)을 구분 형성토록 구성하게 되면, 작업자로부터 확관 관경을 명확하게 구분 선택하여 정확한 작업을 도모하고 파이프를 향한 진입이 원활하여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확관구(31a)는 상기 진입단부(32)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확관구(31) 중 가장 작은 크기인 소구경 확관을 진행할 수 있는 외경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1확관구(31a)로부터 확관가능한 관경은 6.5~7㎜의 직경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1확관구(31a)는 곡선구간(33) 7㎜ 및 직선구간(34) 6㎜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확관구(31a)에서 곡선구간(33)의 곡률반경은 63~64㎜의 범위로 형성한다.
상기 제2확관구(31b)는 상기 제1확관구(31a)의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확관구(31a)보다 큰 구경인 중소구경 확관을 진행할 수 있는 외경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2확관구(31b)로부터 확관가능한 관경은 10~10.5㎜의 직경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2확관구(31b)는 곡선구간(33) 8㎜ 및 직선구간(34) 6㎜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확관구(31b)에서 곡선구간(33)의 곡률반경은 74~75㎜의 범위로 형성한다.
상기 제3확관구(31c)는 상기 제2확관구(31b)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확관구(31b)보다 큰 구경인 중대구경 확관을 진행할 수 있는 외경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3확관구(31c)로부터 확관가능한 관경은 13~13.5㎜의 직경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3확관구(31c)는 곡선구간(33) 9㎜ 및 직선구간(34) 8㎜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확관구(31c)에서 곡선구간(33)의 곡률반경은 94~95㎜의 범위로 형성한다.
상기 제4확관구(31d)는 상기 제3확관구(31c)의 일단에서 상기 지지플랜지(10)에 접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3확관구(31c)보다 큰 구경인 대구경 확관을 진행할 수 있는 외경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4확관구(31d)로부터 확관가능한 관경은 16.5~17㎜의 직경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4확관구(31d)는 곡선구간(33) 및 직선구간(34)이 각각 10㎜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확관구(31d)에서 곡선구간(33)의 곡률반경은 163~164㎜의 범위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내경확관부(30)에서 서로 다른 구경을 갖는 확관구(31)별로 곡선구간(33)과 직선구간(34)의 길이 및 곡률반경을 적정수치로 설정 구성하는 것에 의하면, 각 구경별 파이프를 향한 진입이 매우 용이하여 확관작업효율을 향상시키며, 확관작업시 파이프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경확관부(30)의 확관구(3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연 상에 구분하여 확관접촉면(35) 및 비접촉면(37)을 형성한다.
상기 확관구(31)의 확관접촉면(35) 및 비접촉면(37)은 각각 상하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형태의 타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처럼, 개개의 확관구(31)는 전반적으로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관접촉면(35)이 상하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비접촉면(37)이 좌우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기 확관구(31)의 회전으로 인한 확관작업시 파이프의 내면에 대응하여 상기 확관접촉면(35)과 상기 비접촉면(37)이 교대로 반복해서 경유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확관구(31)에서 상기 비접촉면(37) 간의 길이(L2)는 상기 확관접촉면(35) 간의 길이(L1)를 기준으로 2/3의 길이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확관접촉면(35) 간의 길이(L1)가 16.5㎜ 길이인 경우 상기 비접촉면(37) 간의 길이(L2)는 11㎜ 길이로 형성하므로, 확관작업시 상기 확관접촉면(35)이 회전접촉하는 파이프의 일단이 16.5㎜ 정도의 내경을 갖게 확관하며, 상기 비접촉면(37)은 파이프와 일정한 간격(예를 들면, 2.75㎜ 정도)을 유지한 채 비접촉상태로 회전되게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 내경 확관을 위한 확관구(31)마다 파이프의 내면에 접촉상태와 비접촉상태를 반복할 수 있는 타원형으로 구성하게 되면, 과도한 면 접촉에 의해 헛돌거나 면 마찰력으로 인한 가열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등 확관작업에 따른 파이프의 손상 및 소재변형을 방지하고, 확관 작업시 작업진동을 최소화하여 작업의 안정성 및 확관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확관접촉면(35)은 전동장치에 따른 회동시 상기 확관구(31)의 외주면 중 파이프의 내면에 접촉하여 확관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확관접촉면(35)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의 내면에 1차적으로 확관 접촉하는 제1접촉면(35a)과, 상기 제1접촉면(35a)에 이어 파이프의 내면에 2차적으로 확관 접촉하는 제2접촉면(35b)을 형성한다.
상기 제1접촉면(35a)은 상기 제2접촉면(35b)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하여 확관 설정 관경보다 작게 예비 확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접촉면(35b)은 상기 제1접촉면(35a)의 곡률반경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1접촉면(35a)에 연이어 파이프의 내면에 접촉하므로 확관 설정 관경의 치수로 본 확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확관구(31a)에서 상기 제1접촉면(35a)의 곡률반경은 2.5~2.8㎜에 상기 제2접촉면(35b)의 곡률반경은 3.1~3.5㎜이고, 상기 제2확관구(31b)에서 상기 제1접촉면(35a)의 곡률반경은 3.7~4㎜에 상기 제2접촉면(35b)의 곡률반경은 4.8~5㎜이며, 상기 제3확관구(31c)에서 상기 제1접촉면(35a)의 곡률반경은 5.1~5.3㎜에 상기 제2접촉면(35b)의 곡률반경 6.5~6.7㎜이고, 상기 제4확관구(31d)에서 상기 제1접촉면(35a)의 곡률반경은 6.3~6.6㎜에 상기 제2접촉면(35b)의 곡률반경 8~8.4㎜로 형성하여 복수 개의 상기 확관구(31)마다 상기 제1접촉면(35a) 및 상기 제2접촉면(35b)이 상호 구분된 반경을 이루되 상기 제1접촉면(35a)보다 상기 제2접촉면(35b)의 곡률반경이 크도록 구성한다.
상기 비접촉면(37)은 상기 확관접촉면(35)으로부터 회전방향으로 연장 형성하지만 상기 확관구(31)의 회동시 파이프의 내면과는 비접촉상태를 유지하는 구간으로서, 상기 비접촉면(37)은 상기 확관접촉면(35)과는 달리 파이프의 내면과 이격된 간격을 확보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확관구(31)에는 상기 확관접촉면(35)과 상기 비접촉면(37)의 사이에서 완만한 곡선형태로 연결하도록 연결곡면부(39)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곡면부(39)는 상기 비접촉면(37)을 기준으로 일단은 상기 확관접촉면(35) 중 제1접촉면(35a)과 연결하고, 상기 비접촉면(37)의 반대쪽 단부는 상기 확관접촉면(35) 중 제2접촉면(35b)과 연결토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 내경 확관을 위해 면 접촉하는 확관구(31)마다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접촉면이 연속적으로 접촉하며 확관구(31)의 외주면에서 확관접촉면(35)과 비접촉면(37)의 경계에 완만한 곡선형태로 연결하므로, 예비 확관작업과 본 확관작업의 진행으로 확관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파이프를 향한 접촉충격을 완화하여 작업의 안정성 및 확관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에 의하면, 파이프 내경 확관에 네 개의 구간으로 구분구획된 서로 다른 크기의 확관구를 구비하여 작업 관경을 선택적으로 확관하므로, 각 구간별 해당 관경에 맞춰 확관하여 숙련도와 무관하게 작업의 정확도 및 치수정밀도를 향상시키고, 하나의 확관드릴만으로 다구경의 확관 작업을 복합적으로 처리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작업의 지연현상을 방지한 채 작업진행속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지지플랜지 20 : 장비결합부
30 : 내경확관부 31 : 확관구
31a : 제1확관구 31b : 제2확관구
31c : 제3확관구 31d : 제4확관구
32 : 진입단부 33 : 곡선구간
34 : 직선구간 35 : 확관접촉면
35a : 제1접촉면 35b : 제2접촉면
37 : 비접촉면 39 : 연결곡면부
L1 : 확관접촉면 간의 길이 L2 : 비접촉면 간의 길이

Claims (10)

  1. 파이프의 한쪽 끝단을 지지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플랜지와;
    상기 지지플랜지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전동장치에 연결하여 탈착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장비결합부와;
    상기 지지플랜지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파이프의 일단에 내측을 향해 삽입되되 파이프 내경의 확관을 위하여 네 구간으로 구분구획된 서로 다른 크기의 확관구를 구비하며, 상기 확관구의 크기별로 확공 구경단계를 선택하여 파이프를 확관가능하게 형성하는 내경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경확관부는 전방 선단에 파이프를 향한 진입경로를 안내하는 진입단부와, 상기 진입단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고 소구경 확관을 위한 외경을 갖는 제1확관구와, 상기 제1확관구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고 중소구경 확관을 위한 외경을 갖는 제2확관구와, 상기 제2확관구보다 큰 중대구경 확관을 위한 외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확관구와, 상기 제3확관구보다 큰 대구경 확관을 위한 외경으로 상기 지지플랜지에 접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4확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경확관부의 확관구는, 외주연 상에 형성하되 전동장치에 따른 회동시 파이프의 내면에 접촉하여 확관가능하게 형성되는 확관접촉면과, 상기 확관접촉면으로부터 회전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되 회동시 파이프의 내면과 이격된 간격을 확보하도록 형성되는 비접촉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경확관부의 확관구는, 각각 파이프와 대응되는 전방에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여 파이프를 확관시키는 곡선구간과, 상기 곡선구간으로부터 후방 직선방향으로 연장하여 확관된 파이프의 내면을 접촉지지하는 직선구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확관구는 곡선구간 7㎜ 및 직선구간 6㎜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확관구에서 곡선구간의 곡률반경은 63~64㎜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확관구는 곡선구간 8㎜ 및 직선구간 6㎜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확관구에서 곡선구간의 곡률반경은 74~75㎜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확관구는 곡선구간 9㎜ 및 직선구간 8㎜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확관구에서 곡선구간의 곡률반경은 94~95㎜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4확관구는 곡선구간 및 직선구간이 각각 10㎜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확관구에서 곡선구간의 곡률반경은 163~164㎜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관구의 확관접촉면 및 비접촉면은 각각 상하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된 형태의 타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관구에서 상기 비접촉면 간에 길이는 상기 확관접촉면 간의 길이를 기준으로 2/3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관구의 확관접촉면은, 파이프의 내면에 1차적으로 확관 접촉하는 제1접촉면과, 상기 제1접촉면의 곡률반경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1접촉면에 연이어 파이프의 내면에 2차적으로 확관 접촉하는 제2접촉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관구에는 상기 확관접촉면과 상기 비접촉면의 사이에서 완만한 곡선형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곡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KR1020160022464A 2016-02-25 2016-02-25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KR101633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464A KR101633355B1 (ko) 2016-02-25 2016-02-25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464A KR101633355B1 (ko) 2016-02-25 2016-02-25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355B1 true KR101633355B1 (ko) 2016-06-27

Family

ID=5634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464A KR101633355B1 (ko) 2016-02-25 2016-02-25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3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22Y1 (ko) * 2017-04-10 2017-08-24 민병수 드릴용 파이프홀딩 확관 비트
KR200484397Y1 (ko) 2016-09-26 2017-09-01 정구왕 파이프 확관구
KR20210002648U (ko) 2020-05-22 2021-11-30 변태원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KR20210002791U (ko) 2020-06-05 2021-12-14 변태원 배관용 확관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570Y1 (ko) * 1987-04-25 1990-03-30 대우조선공업주식회사 플랜지부착 파이프(Flange Type Pipe Piece)의 확장장치
JPH11169975A (ja) * 1997-12-12 1999-06-29 Flowell:Kk チューブ材拡管用の治具
KR100514369B1 (ko) 2004-03-09 2005-09-13 김재현 파이프 확관기
US20100011833A1 (en) * 2008-07-18 2010-01-21 Moneymaker Tools, Llc Pneumaticaly driven pipe swedging and flaring tools
CN204603094U (zh) * 2015-05-08 2015-09-02 马晓东 胀管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570Y1 (ko) * 1987-04-25 1990-03-30 대우조선공업주식회사 플랜지부착 파이프(Flange Type Pipe Piece)의 확장장치
JPH11169975A (ja) * 1997-12-12 1999-06-29 Flowell:Kk チューブ材拡管用の治具
KR100514369B1 (ko) 2004-03-09 2005-09-13 김재현 파이프 확관기
US20100011833A1 (en) * 2008-07-18 2010-01-21 Moneymaker Tools, Llc Pneumaticaly driven pipe swedging and flaring tools
CN204603094U (zh) * 2015-05-08 2015-09-02 马晓东 胀管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97Y1 (ko) 2016-09-26 2017-09-01 정구왕 파이프 확관구
KR200484322Y1 (ko) * 2017-04-10 2017-08-24 민병수 드릴용 파이프홀딩 확관 비트
KR20210002648U (ko) 2020-05-22 2021-11-30 변태원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KR200496751Y1 (ko) 2020-05-22 2023-04-18 변태원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KR20210002791U (ko) 2020-06-05 2021-12-14 변태원 배관용 확관기
KR200496752Y1 (ko) 2020-06-05 2023-04-17 변태원 배관용 확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355B1 (ko)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JP5221312B2 (ja) 機械加工で発生する切削屑の除去用工具の本体基部
JP2018518376A (ja) 切削工具
KR102508845B1 (ko) 드릴 보디 및 드릴
US6746023B2 (en) Collet
ITMI20060502A1 (it) Dispositivo di lavoro multiuso ad espansione per il taglio o la dilatazione di tubi metallici
KR101700796B1 (ko) 피팅조인트 내경 가공용 폼 툴
KR101668633B1 (ko)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KR100596096B1 (ko) 절삭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엔진용 피스톤 핀의 방사상구멍의 코너 가공 방법
KR101605442B1 (ko) 다축 드릴링머신
JP2002233908A (ja) 管継手用管体加工装置
JP2009142877A (ja) 管端修正具
WO2012073374A1 (ja) 総形溝の端面バリ除去方法及び面取り用総形回転切削工具
KR100987153B1 (ko) 다중 편심 지그
JP2020519467A (ja) ドリル本体およびドリル
KR102255991B1 (ko) 크로스 홀 디버링 공구
EP3658322B1 (en) Device for opening connection to lined pipe
US4043018A (en) Method and tool for removing tubes from multi-tube finned heat exchange coil
JP2017074629A (ja) 有底の穴の内面研磨装置
TWI671156B (zh) 螺絲攻及使用該螺絲攻之方法
JP6970710B2 (ja) エンドミル
JP2006312222A (ja) 穿孔治具
JP2005022066A (ja) タップ立て用切り屑分断工具、およびめねじ加工方法
JP2011110667A (ja) バリ取り工具およびバリ取り方法
JP3134011U (ja) 回転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308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1005

Effective date: 2017041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3164;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000316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508

Effective date: 201710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