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751Y1 -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 Google Patents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751Y1
KR200496751Y1 KR2020210003245U KR20210003245U KR200496751Y1 KR 200496751 Y1 KR200496751 Y1 KR 200496751Y1 KR 2020210003245 U KR2020210003245 U KR 2020210003245U KR 20210003245 U KR20210003245 U KR 20210003245U KR 200496751 Y1 KR200496751 Y1 KR 200496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pipe
tool
expansion
lower surf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648U (ko
Inventor
변태원
Original Assignee
변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태원 filed Critical 변태원
Priority to KR2020210003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751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6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6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7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21D41/021Enlarging by means of tube-flaring 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21D41/026Enlarging by means of mand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전동공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치부; 상기 렌치부의 일단 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원판 형태의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일 면에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뿔 형태의 가압 회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Tool foe Pipe expanding}
본 고안은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공구에 연결하여 냉매 배관의 단부를 서비스 밸브 또는 다른 냉매 배관과 기밀있게 연결하기 위하여 확관시키도록 하는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의 냉매 배관, 가스 배관 등과 같은 각종 배관을 실외기 또는 실내기 등의 기계적 장치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배관(이하, '냉매 배관'이라 함)의 연결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냉매 배관의 연결구조는 기본적으로 누수 및 누설을 방지하여야 하고,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이완되지 않아야 하는 등의 조건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냉매 배관 연결구조는, 냉매 배관의 단부를 나팔관처럼 확관시키되, 확관부를 중간에 끼운 상태에서 너트와 볼트를 상호결합하여 조임에 따라 확관부가 너트의 내면 및 볼트의 선단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매 배관을 서비스 밸브와 연결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냉매 배관과 서비스 밸브의 연결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매 배관(10)과 서비스 밸브(40)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냉매 배관(10)의 단부를 통해 이 냉매 배관(10)의 지름보다 큰 내경을 갖는 너트(30)를 삽입시킨 후, 별도의 확관 장치 또는 확관 공구를 이용하여 냉매 배관(10)의 단부를 확관시킨다.
여기서, 너트(30)는 그 내부에 냉매 배관(10)이 통과되는 제1 통과 홀(32)과, 후술되는 서비스 밸브(40)의 제2 나사부(52)가 삽입되어 나사체결되되 제1 통과 홀(32)에 비하여 그 내경이 크고 내주 면에 제1 나사부(36)가 형성된 제2 통과 홀(34)을 갖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제1 통과 홀(32)과 제2 통과 홀(34) 사이에는 냉매 배관(10)의 확관부(20) 일 면과 밀착되기 위한 안착 면(38)이 형성된 것이 제공된다.
또한, 서비스 밸브(40)에서 냉매 배관(10)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50)는, 그 외주 둘레 면에 제1 나사부(36)와 나사체결되기 위한 제2 나사부(52)가 형성되고, 그 선단은 냉매 배관(10)의 확관부(20)를 사이에 두고 안착 면(38)과 밀착되기 위한 경사진 형태의 가압 면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에어컨의 냉매 배관(10)을 서비스 밸브(40)에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냉매 배관(10)의 단부를 통해 너트(30)를 삽입시킨 후, 냉매 배관(10)의 단부를 별도의 확관 장치 또는 확관 공구를 이용하여 확관시킴으로써, 너트(30)가 냉매 배관(10)의 단부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서비스 밸브(40)의 연결부(50)를 너트(30)의 제2 통과 홀(34)에 삽입시켜서 제1 나사부(36)와 제2 나사부(52)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시키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관부(20)의 일 면은 너트(30)의 안착 면(38)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확관부(20)의 타 면은 서비스 밸브(40)의 연결부(50) 선단에 형성된 가압 면(54)에 밀착되어 지지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냉매 배관(10)과 서비스 밸브(40)의 연결부(50)는 확관부(20)에 의해 기밀 있게 연결되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냉매 배관(10)의 단부를 확관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확관 장치 또는 확관 공구를 이용해야 하는데, 공장 등과 같이 확관 장치가 설치된 곳에서는 냉매 배관의 확관 공정이 용이한 반면,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이 에어컨을 설치하는 현장에서는 작업자가 휴대용 확관 기구를 이용하여 확관시켜야 하는바, 그 확관에 따른 작업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작업자가 별도로 확관 기구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현장에서 수동으로 냉매 배관의 단부를 확관시켜야 함으로써, 그 작업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냉매 배관은, 설치되는 에어컨 등의 용량에 따라 그 직경이 각각 다르게 되는바, 휴대용 확관 기구 또한 각각 지름이 다른 복수의 비트를 갖춘 것을 구비하여 휴대하고 다니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확관하고자 하는 냉매 배관에 맞는 비트를 이용하여 확관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작업자는 해당 비트를 확관하고자 하는 냉매 배관의 단부에 동일 선상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수동으로 핸들 또는 레버를 돌리면서 해당 비트를 길이 방향 이동시키면서 냉매 배관의 단부를 확관시키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나, 이 때 비 숙련자의 경우 해당 비트를 냉매 배관의 단부와 정확히 일치시키지 못하여 확관부가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게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냉매 배관의 단부를 절단하여 확관 작업을 다시 수행해야 하는 등, 그 작업 효율이 매우 좋지 못하게 됨은 물론, 작업자가 확관 작업을 위해 수동으로 핸들 또는 레버를 돌려야 함으로써, 힘이 많이 소요되는 등 역시 작업성이 매우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큰 힘을 들여서 수동으로 핸들 또는 레버를 돌릴 때, 냉매 배관이 반대 쪽으로 밀리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플레이어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냉매 배관을 고정시킨 후, 확관이 이루어지는 단부 쪽으로 밀어줘야 하는데, 이 경우 냉매 배관의 고정을 위한 지지부위가 손상되거나 찌그러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 경우 냉매의 원활한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에어컨 설비의 고장 원인이 되고, 특히 기밀성이 유지되지 않아 에어컨 설비의 기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3355호(2016.06.20.)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동공구에 연결하여 회전력에 의해 냉매 배관의 단부를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확관시키도록 함으로써, 그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비스 밸브 또는 다른 냉매 배관과 기밀있게 연결하기 위하여 냉매 배관의 단부를 확관시키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정확하게 대칭을 이루는 확관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확실한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에어컨 설비의 고장 또는 기능저하의 원인을 불식시킬 수 있는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동공구에 연결하여 회전력에 의해 냉매 배관의 단부를 확관시킬 때, 마찰에 따라 발생되는 열을 감소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는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는, 전동공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치부; 상기 렌치부의 일단 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원판 형태의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일 면에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뿔 형태의 가압 회전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 회전부는, 양 측면부가 삼각 형상을 이루고, 상면 및 하면도 삼각 형상을 이루되, 상기 상면 및 하면은 회전 방향으로 향해 경사진 형태의 라운드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압 회전부의 상면 및 하면은 상기 렌치부를 중심으로 하는 수평 선을 기준으로 20~25도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면과 하면의 각도는 40~50도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압 회전부는, 금속합금 재질로 제작된 것이 적용되되, 상기 가압 회전부의 중심 측 일부는 열 전도율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된 방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열부에는 양 측면을 관통하도록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통기공은 양 측면의 수평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통기공은 그 내주 면에 나선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기공은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 한쪽 방향을 향해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에 의하면, 전동공구에 연결하여 회전력에 의해 냉매 배관의 단부가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확관됨으로써, 그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서비스 밸브 또는 다른 냉매 배관과 기밀있게 연결하기 위하여 냉매 배관의 단부를 확관시키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정확하게 대칭을 이루는 확관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확실한 기밀성이 유지되어 에어컨 설비의 고장 또는 기능저하의 원인이 불식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에 의하면, 전동공구에 연결하여 회전력에 의해 냉매 배관의 단부가 확관될 때, 마찰에 따라 발생되는 열이 감소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매 배관을 서비스 밸브와 연결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를 전동공구에 연결하여 냉매 배관의 단부를 확관 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에 의해 냉매 배관의 단부가 확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에 의해 확관부가 형성된 냉매 배관과 서비스 밸브의 결합 전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냉매 배관과 서비스 밸브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의 사시도.
도 9a와 도 9b 및 도 10a와 도 10b는 도 8에서 통기공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가압 회전부의 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를 전동공구에 연결하여 냉매 배관의 단부를 확관 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에 의해 냉매 배관의 단부가 확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100)는, 전동공구(30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치부(110)와, 이 렌치부(110)의 일단 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원판 형태의 플랜지(120)와, 이 플랜지(120)의 일 면에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되, 플랜지(12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뿔 형태의 가압 회전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가압 회전부(130)는, 플랜지(12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양 측면부(도면부호 미부여)가 삼각 형상을 이루고, 상면 및 하면(132)도 역시 삼각 형상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가압 회전부(130)의 상면 및 하면(132)은 회전 방향을 향해 경사진 형태의 라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의 작동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100)는,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금속합금 재질로 제작된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100)에서, 가압 회전부(130)는 플랜지(120)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그 상면 및 하면(1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치부(110)를 중심으로 하는 수평 선을 기준으로 대략 20~25도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면과 하면(132)의 각도는 대략 40~50도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면 및 하면(132)이 수평 선을 기준으로 그 각도가 상기한 범위보다 크게 되는 경우, 냉매 배관(10)의 단부 확관이 급격하게 이루어져서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크고, 반대로 상기한 범위보다 작게 되는 경우, 확관부(20)의 확관 각도가 작아져서 작업 효율성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100)를 이용하여 냉매 배관(10)의 단부를 확관시킨 후, 그 단부가 확관된 냉매 배관(10)을 서비스 밸브(40)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에 의해 확관부가 형성된 냉매 배관과 서비스 밸브의 결합 전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냉매 배관과 서비스 밸브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확관 공구(100)를 전동공구(300)와 결합시킨다.
즉, 확관 공구(100)의 렌치부(110)를 전동공구(30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전동공구(300)를 작동시키게 되면, 렌치부(110)의 회전에 의해 플랜지(120) 및 가압 회전부(130)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가압 회전부(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면 및 하면(132)이 한쪽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라운드부가 형성된 쪽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확관 공구(100)의 가압 회전부(130) 선단을 확관하고자 하는 냉매 배관(10)의 단부 쪽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계속해서 가압하면서 회전시키게 되면, 냉매 배관(10)의 단부는 가압 회전부(130)의 상면 및 하면(132)의 각도만큼 벌어지면서 확관이 이루어지면서 확관부(20)를 형성하게 된다.
즉, 냉매 배관(10)의 단부 측 내면이 가압 회전부(130)의 상면 및 하면(132)과 밀착되면서 상면 및 하면(132)의 경사진 각도에 맞게 벌어지면서 확관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가압 회전부(130)의 상면 및 하면(13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되는 방향을 향해 한쪽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라운드부로 형성되어 있는바, 확관되는 냉매 배관(10)의 단부 측 내주 면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확관시킬 때, 회전 초기의 접촉 마찰력이 줄어들어 보다 용이하게 확관이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보다 대칭되게 확관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냉매 배관(10)의 단부를 확관시키기에 앞서 냉매 배관(10)의 단부를 통해 너트(30)를 삽입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냉매 배관(10)의 단부를 통해 너트(30)를 선 삽입시킨 후,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확관 공구(100)를 이용하여 냉매 배관(10)의 단부를 확관시킴으로써, 너트(30)가 냉매 배관(10)의 단부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서비스 밸브(40)의 연결부(50)를 너트(30)의 제2 통과 홀(34)에 삽입시켜서 제1 나사부(36)와 제2 나사부(52)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 때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확관 공구(100)에 의해 그 단부가 확관된 냉매 배관의 확관부(20)는, 확관의 용이성을 위해 그 각도가 크게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30)의 안착 면(38)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서비스 밸브(40)의 연결부(50)를 계속 삽입하여 너트(30)의 제1 나사부(36)에 대하여 연결부(50)의 제2 나사부(52)를 체결시키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관부(20)는 연결부(50)의 선단에 형성된 가압 면(54)에 의해 2차적으로 확관이 이루어지면서, 확관부(20)의 일 면은 너트(30)의 안착 면(38)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확관부(20)의 타 면은 서비스 밸브(40)의 연결부(50) 선단에 형성된 가압 면(54)에 밀착되어 지지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냉매 배관(10)과 서비스 밸브(40)의 연결부(50)는 확관부(20)에 의해 기밀 있게 연결되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100)에 의하면, 전동공구(300)에 연결하여 회전력에 의해 냉매 배관(10)의 단부가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확관됨으로써, 그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서비스 밸브(40) 또는 다른 냉매 배관과 기밀있게 연결하기 위하여 냉매 배관(10)의 단부를 확관시키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정확하게 대칭을 이루는 확관부(20)를 형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확실한 기밀성이 유지되어 에어컨 설비의 고장 또는 기능저하의 원인이 불식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100)의 경우, 그 가압 회전부(130)의 상면 및 하면(132)이 냉매 배관(10)의 단부 측 내주 면과 직접적으로 마찰을 이루면서 확관시키기 때문에, 마찰에 따른 열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찰에 따른 열이 크게 발생되는 경우, 냉매 배관(10)에 그대로 열이 전달되어 작업자의 안전사고 우려가 발생되고, 또한 냉매 배관(10)이 열에 의해 손상될 우려도 있게 되며, 자칫 불꽃이 튀는 경우 화재 발생의 우려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가압 회전부(130)가 회전하면서 냉매 배관(10)의 단부를 확관시킬 때, 마찰에 따른 열을 외부로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이 요구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의 사시도이고, 도 9a와 도 9b 및 도 10a와 도 10b는 도 8에서 통기공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100-1)는, 앞선 실시 예에서와 같이 렌치부(100-1), 플랜지(120-1) 및 가압 회전부(120-1)를 포함하되, 가압 회전부(130-1)의 중심 측 일부가 열 전도율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재질의 방열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면 및 하면(132-1)을 비롯한 가압 회전부(130-1)의 외측 둘레 면은 앞선 실시 예에서와 같이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금속합금 재질로 제작된 것이 적용되고, 중심 측 일부는 열 전도율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된 방열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회전부(130-1)가 회전하면서 냉매 배관(10)의 단부 측 내주 면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확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열은 방열부(200)로 전달됨으로써, 직접 마찰되는 접촉 면 즉, 가압 회전부(130-1)의 상면 및 하면(132-1)과 냉매 배관(10)의 단부 측 내주 면의 마찰 열은 낮아질 수 있게 된다.
이 때, 방열부(200)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기공(210)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회전부(130)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210)은 방열부(200)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가압 회전부(130)의 회전 방향 쪽이 낮게 형성되어 유입구를 이루고, 그 반대 방향 쪽이 높게 형성되어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확관이 이루어지는 냉매 배관(10)의 단부 측 내주 면에서 발생되는 마찰 열은 회전되는 가압 회전부(130)의 원심력에 의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면서 유출구를 통해 빠져나가면서 방열부(200)와 더 많이 접촉됨으로써, 방열효과가 더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210)은 그 내주 면에 나선 홈(212)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통기공(210)을 통과하는 공기의 체류시간을 증대시켜 보다 확실한 방열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210-1)은 유입구 측으로부터 유출구 쪽으로 향할수록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통기공(210-1)을 통과하는 공기의 통과속도를 지연시킴에 따라 보다 향상된 방열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210-1)의 내주 면에 나선 홈(212-1)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통기공(210-1)을 통과하는 공기의 체류시간을 더욱 증대시켜 보다 확실한 방열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100-1)에 의하면, 전동공구(300)에 연결하여 회전력에 의해 냉매 배관(10)의 단부가 확관될 때, 마찰에 따라 발생되는 열이 감소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단부를 확관시키는 배관을 냉매 배관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냉매 배관을 비롯하여 각종 배관을 확관시키는데에 본 고안에 따른 확관 공구(100)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냉매 배관(10)과 서비스 밸브(40)를 연결하여 결합하는 구성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 또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배관과 배관 또는 배관과 다양한 밸브를 연결하여 결합하는 것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냉매 배관 20 : 확관부
30 : 너트 32 : 제1 통과 홀
34 : 제2 통과 홀 36 : 제1 나사부
38 : 안착 면 40 : 서비스 밸브
50 : 연결부 52 : 제2 나사부
54 : 가압 면 100,100-1 : 확관 공구
110,110-1 : 렌치부 120,120-1 : 플랜지
130,130-1 : 가압 회전부 132,132-1 : 상면, 하면
200 : 방열부 210,210-1 : 통기공
212,212-1 : 나선 홈 300 : 전동공구

Claims (3)

  1. 전동공구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치부; 및 상기 렌치부의 일단 측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뿔 형태의 가압 회전부를 포함하는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에 있어서,
    상기 가압 회전부는,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금속합금 재질로 제작되되, 양 측면부가 삼각 형상을 이루고, 상면 및 하면도 삼각 형상을 이루며, 상기 상면 및 하면은 회전 방향 및 회전 반대 방향을 향해 각각 경사진 형태의 라운드부가 형성되되, 회전 반대 방향을 향해 경사진 형태의 라운드부에 비하여 회전 방향을 향해 경사진 라운드부의 경사각도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상면 및 하면은 상기 렌치부를 중심으로 하는 수평 선을 기준으로 20~25도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면과 하면의 각도는 40~50도 각도를 이루며,
    상기 가압 회전부의 중심 측 일부는 열 전도율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된 방열부로 구성되되, 상기 방열부에는 양 측면의 수평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양 측면을 관통하도록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기공은 상기 방열부의 양 측면 중, 어느 한쪽 측면 방향으로부터 다른 한쪽 측면 방향을 향해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되, 상기 통기공의 내주 면에 나선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치부와 상기 가압 회전부 사이에는 원판 형태의 플랜지가 배치되고,
    상기 가압 회전부는, 상기 플랜지의 일 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3. 삭제
KR2020210003245U 2020-05-22 2021-10-26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KR200496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45U KR200496751Y1 (ko) 2020-05-22 2021-10-26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576 2020-05-22
KR2020210003245U KR200496751Y1 (ko) 2020-05-22 2021-10-26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576 Division 2020-05-22 2020-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648U KR20210002648U (ko) 2021-11-30
KR200496751Y1 true KR200496751Y1 (ko) 2023-04-18

Family

ID=7871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245U KR200496751Y1 (ko) 2020-05-22 2021-10-26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751Y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5515B2 (ja) * 1988-08-09 1997-07-02 因幡電機産業株式会社 管端部修正具
KR101546368B1 (ko) 2014-03-27 2015-08-24 명은상 휴대용 확관기
KR101603978B1 (ko) 2015-12-03 2016-03-16 정구왕 파이프 확관 펀치
KR101633355B1 (ko) 2016-02-25 2016-06-27 주식회사 동현정밀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KR101668633B1 (ko) 2016-03-24 2016-10-24 김순석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KR101735288B1 (ko) 2016-04-18 2017-05-15 정구왕 동파이프 확관기
KR200484397Y1 (ko) * 2016-09-26 2017-09-01 정구왕 파이프 확관구
KR101838916B1 (ko) 2016-11-14 2018-03-15 정구왕 동파이프 확관기
KR101849491B1 (ko) 2017-02-02 2018-04-17 김재호 기울어진 프레어 헤드를 갖는 전동식 파이프 사라기
JP2019150835A (ja) 2018-02-28 2019-09-12 オーエヌ工業株式会社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の拡管装置
KR102064084B1 (ko) 2018-08-03 2020-01-08 김재호 사라 터짐방지용 전동식 파이프 사라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4893A (ja) * 1992-11-17 1994-06-03 Japan Maaseraizu:Kk 銅管のバーリング加工方法およびその加工装置
JP3267543B2 (ja) * 1997-12-12 2002-03-18 株式会社フロウエル チューブ材拡管用の治具
JPH11226675A (ja) * 1998-02-13 1999-08-24 Inoac Corporation:Kk フレアー工具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5515B2 (ja) * 1988-08-09 1997-07-02 因幡電機産業株式会社 管端部修正具
KR101546368B1 (ko) 2014-03-27 2015-08-24 명은상 휴대용 확관기
KR101603978B1 (ko) 2015-12-03 2016-03-16 정구왕 파이프 확관 펀치
KR101633355B1 (ko) 2016-02-25 2016-06-27 주식회사 동현정밀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KR101668633B1 (ko) 2016-03-24 2016-10-24 김순석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KR101735288B1 (ko) 2016-04-18 2017-05-15 정구왕 동파이프 확관기
KR200484397Y1 (ko) * 2016-09-26 2017-09-01 정구왕 파이프 확관구
KR101838916B1 (ko) 2016-11-14 2018-03-15 정구왕 동파이프 확관기
KR101849491B1 (ko) 2017-02-02 2018-04-17 김재호 기울어진 프레어 헤드를 갖는 전동식 파이프 사라기
JP2019150835A (ja) 2018-02-28 2019-09-12 オーエヌ工業株式会社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の拡管装置
KR102064084B1 (ko) 2018-08-03 2020-01-08 김재호 사라 터짐방지용 전동식 파이프 사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648U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2135B2 (en) Duplex pipe fitting, exclusive tool for the duplex pipe fitting, refrigeration system employing the duplex pipe fitting, and separation type air conditioner
KR101879248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JPH11325517A (ja) ル―ムエアコンの冷媒配管装置
KR200496751Y1 (ko)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JP2005337326A (ja) 管継手
CN207648289U (zh) 防拆卸接头及具有其的空调器
CN109058619A (zh) 一种管接头、拆装工具及空调器
US6652181B1 (en) Universal connecting system
JP2022065407A (ja) 冷媒配管の拡管器
KR200496752Y1 (ko) 배관용 확관기
CN107830275B (zh) 防拆卸接头及具有其的空调器
KR200158626Y1 (ko) 공기조화기의 배관연결구조
JP2007211847A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管継手、弁、閉鎖弁、冷凍サイクル装置、給湯装置、食い込み式管接続方法、および現地配管接続方法
CN210757508U (zh) 一种变压器气体继电器拆装辅助工具
US20080141512A1 (en) Apparatus for removing or fitting a compression ring
JPWO2020129212A1 (ja) 配管継手構造及び空気調和機
KR101889960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KR101005637B1 (ko) 공조시스템의 배관 연결구조 및 공조시스템에 구비되는 배관 연결방법
JP3393772B2 (ja) 空気調和機
CN220093113U (zh) 膨胀螺丝安装钻头
CN220648566U (zh) 空调及其防拆套环
JP2023549121A (ja) トルク吸収面
WO2021249209A1 (zh) 防拆连接件、防拆连接组件及空调设备
CN210950004U (zh) 一种球阀组件
JP2008057593A (ja) ルーズフランジ式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