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916B1 - 동파이프 확관기 - Google Patents

동파이프 확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916B1
KR101838916B1 KR1020160150901A KR20160150901A KR101838916B1 KR 101838916 B1 KR101838916 B1 KR 101838916B1 KR 1020160150901 A KR1020160150901 A KR 1020160150901A KR 20160150901 A KR20160150901 A KR 20160150901A KR 101838916 B1 KR101838916 B1 KR 101838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pe
guide
copper pipe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왕
Original Assignee
정구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구왕 filed Critical 정구왕
Priority to KR1020160150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21D41/026Enlarging by means of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21D39/20Tube expanders with mandrels, e.g. expan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파이프 확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파이프를 확관하는 확관구를 결합하는 몸체와, 동파이프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키트를 확관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결합하는 동파이프 확관기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일측에 밑면과 나란한 결합공을 형성한 지지부와, 밑면의 타측 중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밑면과 수직하게 가이드홈을 형성한 정렬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호 마주보는 면에 대응하는 동파이프의 측면을 감싸는 고정홈과, 고정홈에 연이어 확관지지부를 하나 이상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정렬됨으로써 상기 결합공과 동파이프의 중심이 일선 상에 있도록 하는 고정키트; 및 일측이 전동공구 또는 렌치를 포함한 공구와 연결되는 홀더축과, 중간 부위에 상기 결합공과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와, 타측에 전후진 및 회전으로 고정된 동파이프의 선단을 확관하는 확관콘을 구비한 확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동파이프 확관기 {Flaring tool kit}
본 발명은 동파이프 확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공구에 결합하여 회전 및 전후진으로 동파이프를 확관할 수 있도록 한 확관구와, 확관구의 전후진 및 회전을 지지 및 안내하는 몸체와, 확관구의 구동에 대응하여 동파이프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키트를 포함하는 동파이프 확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파이프 확관기는 동파이프 상호 간의 연결작업이나 사이즈가 다른 동파이프 상호 간의 연결시, 또는 별도의 플레어 조인트(flare joint)를 이용하여 연결하고자 할 때에, 동파이프의 선단을 필요한 나팔관 형상으로 확관하는데 사용된다.
즉, 동파이프와 동파이프를 연결할 경우, 용접방법이 아닌 경우에는 관 끝을 확관기를 사용하여 나팔관 모양으로 플레어링(Flaring)한 후에 플레어 조인트 등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따라서, 플레어링이 얼마나 잘 되어있는가에 따라 연결부위의 누설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파이프 확관기 중 휴대용 파이프 확관기가 선행특허문헌 등록번호 제20-0452761호에 개시되어 있는 데, 이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는 하부에 파이프고정체(200)가 끼워지도록 고정체가이드홈(101)을 형성하는데,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는 고정체가이드홈(101)에 끼워진 파이프고정체(200)를 구속하는 조임나사(102)를 구성하고, 상기 조임나사(102)의 외향측 종단에는 손잡이(103)가 구비된다.
상기 조임나사(102)의 손잡이(103)를 잡고, 조임나사(102)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행위로 상기 파이프고정체(200)를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몸체(100)의 중심에는 확관축(110)을 구성하는데, 상기 확관축(110)은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나사 결합하는 회동체(120)를 관통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몸체(100)의 중심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된 결합공(104)을 형성하고 있는데, 상기 결합공(104)의 상부 내주연에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확관축(110)은 확관콘(111)이 한쪽으로 편심되게 세팅결합되는 헤드(112)와 중심축(113)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체(120)는 원통형의 몸체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면의 중심에는 통공(121)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몸체(100)의 중심에 형성된 결합공(104)의 상부에는 회동체(120)를 나사결합하고, 하부에는 중심축(113)에 완충스프링(130)을 끼운 확관축(110)을 삽입하여, 상기 확관축(110)의 중심축(113) 종단이 회동체(120)의 통공(121)을 통해 회동체(120)를 관통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확관축(110)이 회동하도록 상기 중심축(113) 단부에 레버몸체(140)를 핀(143)으로 결합한다.
이때 상기 회동체(120)와 레버몸체(140) 사이에 결합핀(150)을 구성하여, 상기 레버몸체(140)가 확관축(110)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결합핀(150)에 의해 회동체(120)도 동시에 회동하도록 한다.
상기 레버몸체(140)의 상단부에는 걸쇠(160)를 수용할 수 있는 걸쇠수용홈(142)을 형성하고 있는데, 상기 걸쇠수용홈(142)에는 부채꼴 모양(扇狀)의 걸쇠(160)를 힌지(161)을 축으로 힘을 가하면 일편이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레버몸체(140)의 상부에는 회전레버(170)를 끼워 결합하는데, 나비너트 형태의 몸체로 중심에 형성된 삽입부(171)의 내주연에 랙(17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몸체(140)의 상면에 핸들(180)을 결합하는데, 상기 핸들(180)은 원판형의 몸체에 하부로 돌출된 결합축(181)을 형성하고 있는데, 상기 결합축(181)에는 스프링(183)을 탄지하고 있는 가압돌기(182)를 구성하여 상기 핸들(180)의 회전에 따라 가압돌기(182)가 걸쇠(160)의 일편을 밀어 걸쇠(160)의 일편이 회전레버(170)의 랙(172)에 맞물려 상기 회전레버(170)의 회전운동 레버몸체(140)에 전달한다.
이와 같은 휴대용 파이프 확관기의 구성에서, 상기 레버몸체(14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핸들(180)의 가압돌기(182)가 걸쇠(160)의 일편을 밀면 걸쇠(160)의 일편이 회전레버(170)의 랙(172)에 맞물려 상기 회전레버(170)의 회전운동이 선택적으로 레버몸체(140)에 전달된다.
즉 핸들(180)의 선택에 따라 레버몸체(140)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일방향으로만 회전레버(170)의 회전운동이 레버몸체(140)에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레버몸체(140)의 회전에 의해 회동체(120)는 몸체(100)의 나사산을 따라 서서히 하강하면서 확관축(110)도 가압하여 상기 확관축(110)도 서서히 하강하게 되어, 상기 확관축(110)의 하단에 구성된 확관콘(111)이 회동하면서 서서히 하강하여 파이프(P)의 종단을 확관 가공한다.
이와 같은 종래 휴대용 파이프 확관기는 파이프고정체(200)가 파이프(P)의 확관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서 확관하기가 어렵고, 또한, 사람의 손을 좁은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100)의 고정체가이드홈(101)에 끼워진 파이프고정체(200)를 손잡이(103)를 잡고 돌려 구속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확관콘(111)이 파이프고정체(200)에 닿아 손상을 주고, 도 1b처럼 파이프(P)를 잡아주는 파이프고정체(200)의 확개된 선단부가 확관 크기를 잡아주지 못하고 대략적으로 파이프(P)의 위치를 잡았기 때문에 확관된 크기가 각각 다르며, 상기 파이프(P) 확관시 동파이프(P)가 뒤로 밀리지 않도록 파이프고정체(200)의 내주면에 나선을 형성하였는 바, 이에 의해 파이프(P)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손으로 핸들(180)을 잡고 손으로 돌려 확관을 하는 수동식 이외에, 상기 핸들(180) 부분을 충전드릴이나 전동드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하여 전동으로 확관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역시 상술한 문제점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등록번호 제20-0452761호(등록일자 2011년03월10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동공구에 결합하여 동파이프를 확관할 수 있도록 한 확관구와, 확관구를 지지하는 몸체와, 동파이프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동파이프가 확관구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에 정렬되도록 몸체에 탈착하는 고정키트의 결합으로, 좁은 공간에서 확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동파이프 확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키트의 확개된 선단부에 확관 전의 동파이프의 일단을 확관에 대응하는 맞춤 위치에 있도록 함으로써 확관의 형상과 치수가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에어컨 가스 등의 누출 방지가 이루어지고, 고정키트의 내주면에 우레탄이나 고무재질 및 표면 거칠기를 갖는 논슬립부를 부착함으로써 동파이프의 손상 방지와 뒤로 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동파이프 확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파이프 확관기는, 일측에 밑면과 나란한 결합공을 형성한 지지부와, 밑면의 타측 중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밑면과 수직하게 가이드홈을 형성한 정렬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호 마주보는 면에 대응하는 동파이프의 측면을 감싸는 고정홈과, 고정홈에 연이어 확관지지부를 하나 이상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정렬됨으로써 상기 결합공과 동파이프의 중심이 일선 상에 있도록 하는 고정키트; 및 일측이 전동공구 또는 렌치를 포함한 공구와 연결되는 홀더축과, 중간 부위에 상기 결합공과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와, 타측에 전후진 및 회전으로 고정된 동파이프의 선단을 확관하는 확관콘을 구비한 확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공은 내주면 중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의 이미 설정한 깊이 구간에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하여 나사결합 하는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부의 타측 단부에 연이은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에 암나사부보다 축소된 내경을 갖는 베어링의 설치가 이루어지며, 상기 확관구는 상기 공구와 연결을 위한 홀더축과, 상기 홀더축의 타단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한 상기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의 타단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에 끼워져 지지를 받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의 타단에 연결되어 회전에 따른 표면이 대응하는 상기 확관지지부의 표면과 나란한 확관콘을 갖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키트는 상기 고정홈의 내주면에 확관시 동파이프의 손상이나 뒤로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우레탄이나 고무의 설치 또는 표면 거칠기를 갖는 논슬립부를 마련하고, 상기 확관지지부의 주연에 동파이프의 일단 위치의 기준을 제시하는 맞춤돌기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키트는 상기 고정홈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는 양측 블록을 관통하는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상기 각 가이드홀에는 양측블록에 걸쳐지는 가이드봉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봉의 양단과 이에 각각 대응하는 양측 가이드홀에 상호 걸림이 있도록 걸림턱을 형성하여 양측 블록이 상호 제한된 간격 내에서 벌어짐과 오므려지게 하며, 오므려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 내에 끼워져 정렬위치에 놓임으로써 상기 동파이프의 고정과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 일측에는 상기 고정키트를 타측으로 탄력적으로 미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정렬부의 측벽에는 가이드홈 내측에 끼워지는 상기 고정키트의 측부에 마련한 정렬홈에 끼워지는 정렬고정핀을 더 구비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 중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키트의 양측 측벽에는 슬라이드홈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정렬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에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하여 나사결합 하는 암나사부를 형성한 가이드부시가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부시의 일측면은 일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제1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의 타측면은 타단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더 연마되어 나선이 없는 제2테이퍼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동파이프를 확관하는 확관구를 결합하는 몸체와, 동파이프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키트를 확관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하여 결합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확관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동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키트의 확개된 선단부에 확관전 동파이프의 앞단 맞춤을 위한 맞춤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확개된 크기를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에어컨 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키트의 내주면에 우레탄이나 고무재질을 부착함으로써 동파이프의 손상과 뒤로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 휴대용 동파이프 확관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파이프 확관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화살표 Ⅲ-Ⅲ 선을 기준으로 고정키트의 설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화살표 Ⅳ-Ⅳ선을 기준으로 동파이프의 확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 내지 동일 범주의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일측의 표현은 몸체를 중심으로 공구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설명하겠으며, 타측의 표현은 몸체를 중심으로 일측의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파이프 확관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도 2에 도시한 고정키트의 구성 및 그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파이프 확관기를 통한 동파이프의 확관과정을 설명하기 위래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파이프 확관기(10)는, 소정 두께를 가지면 장방형 판 형태로 구분한 밑면(12)의 일측에 밑면(12)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돌출한 블록 형상의 지지부(14)를 형성하고, 지지부(14)와 간격을 둔 밑면(12)의 타측에는 밑면(12)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형상의 정렬부(16)를 형성한 몸체(18)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술한 지지부(14)는, 밑면(12)과 평행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는 결합공(20)을 형성하고 있고, 이 결합공(20)에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삽입되는 단관 형상으로 내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한 가이드부시(22)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시(22)는 지지부(14)에 대하여 나사 또는 결합핀(24) 등으로 회전 방지 및 이동이 방지되게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술한 가이드부시(22)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구성이 아니며, 상술한 결합공(20)의 내벽에 동일한 형태의 암나사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몸체(18)의 재질이 경량화를 위한 알루미늄 등 후술하는 확관구(58)의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일 경우에 대응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또한, 결합공(20)에는 가이드부시(22)에 연이어 타측에 이르는 단관 형상의 베어링(26)이 설치되고, 이러한 베어링(26)으로는 볼베어링 또는 니들베어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가이드부시(22)의 일측면 또는 결합공(20)의 일측면에는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여 약 30도의 경사를 이루는 제1테이퍼면(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제1테이퍼면(21a)은 확관구(58)를 확관방향으로 전진시 끼임 현상을 방지하고 동파이프(P)의 확관을 끝내고 확관구(58)를 후진시 공회전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정렬부(16)는, 밑면(12)의 타측 중 폭 방향 양측에 상호 대향하며 수직하게 세워진 형상을 이루고,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밑면(12)에 대하여 수직한 가이드홈(28)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이드홈(28)은 후술하는 고정키트(42)의 결합공(20)의 수평 위치에서 수직 방향인 양측 가장자리 부위 일부를 감싸 덮는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상술한 가이드홈(28)의 내벽 중 일측 측벽에는, 후술하는 고정키트(42)를 타측으로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도록 하는 탄성부재(30)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탄성부재(30)는 고정키트(42)의 일측면 가장자리 부위에 대응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을 적용함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판스프링은 핀 등에 의해 양단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28) 중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가이드홈(28)과 마찬가지로 밑면(12)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인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슬라이드홈(31)을 더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슬라이드홈(31)은 후술하는 고정키트(42)의 정렬 위치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양측 슬라이드홈(31)의 깊이는 양측 가이드홈(28)에 대하여 그 깊이와 위치 등을 차별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가이드홈(28)과 더불어 후술하는 고정키트(42)의 삽입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술한 정렬부(16)의 측벽에는, 외측에서 가이드홈(28)의 내측으로 관통하는 정렬고정홀(34)이 형성되며, 이 정렬고정홀(34)에는 가이드홈(28)의 외측에서 나사결합 방식으로 삽입되는 정렬고정핀(36)의 단부가 대응하는 고정키트(42)의 측부에 마련한 정렬홈(32)에 대응하여 삽입됨으로써 고정키트(42)의 정렬 위치를 양측 가이드홈(28)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밀착시킴과 동시에 정렬된 상태를 고정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렬고정핀(36)은 기어렌치나 라쳇렌치에 일체로 형성되어 정렬고정홀(34)에 쉽게 결합하거나 분해할 수 있다.
그리고 정렬고정홀(34)과 이에 삽입되는 정렬고정핀(36) 및 고정키트(42)에 형성한 정렬홈(32)은, 정렬고정핀(36)의 삽입 방향에 따른 가압에 의해 후술하는 고정키트(42)의 양측 불록이 상호 결합시키는 방향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고정키트(42)의 양측 측벽에는 상술한 슬라이드홈(31)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정렬턱(68)이 형성되고, 이들 정렬턱(68)은 형성 길이가 양측 블록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앞서 양측 정렬홈(32)의 깊이가 상호 다르게 형성됨에 대응하여 고정키트(42)의 중심을 기준으로 180°의 회전 대칭인 구조로 형성하고, 상술한 슬라이드홈(31) 또한 이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키트(42)는 각기 다른 직경의 동파이프(P)에 대응하는 고정홈(38)과 확관지지부(40)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각기 다른 사이즈의 고정홈(38)의 중심 즉, 정렬 기준은 고정키트(42)의 회전 위치에 따른 정렬부(16)의 지지를 받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고정키트(42)에는 도 3a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직경이 다른(반경이 각각 r 또는 r'로 상호 다른) 두 개의 고정홈(38)을 양측 블록들 사이 표면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이들 양측 블록의 결합으로 완성된 각 고정홈(38)의 중심 위치는 고정키트(42)의 길이 방향 각 측면에서 동일한 간격(d)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파이프 확관기(10)는,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마주보는 면에 대응하는 동파이프(P)의 측면을 감싸는 고정홈(38)과, 고정홈(38)에 연이은 일측에 확관지지부(40)를 길이 방향으로 하나 또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두 개를 형성한 고정키트(42)를 구비한다.
이러한 고정키트(42)는 양측 블록이 상호 결합된 상태로 가이드홈(28)에 끼워져 정렬 위치됨으로써 결합공(20)과 양측 고정홈(38)에 끼워진 동파이프(P)의 중심 위치는 동일선 상에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홈(38)의 내주면에 확관 작업시에 동파이프(P)의 손상이나 뒤로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우레탄이나 고무의 설치 또는 표면 거칠기를 갖는 논슬립부(44)를 마련하고, 확관지지부(40)의 주연에 동파이프(P)의 일단이 위치할 기준을 제시하는 맞춤돌기(46)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고정키트(42)는 그 길이 방향 중 고정홈(38)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는 양측 블록을 관통하는 가이드홀(48)을 적어도 둘 이상의 개수로 형성하고, 각 가이드홀(48)에는 양측블록에 걸쳐지는 가이드봉(50)이 각각 관통 설치되며, 가이드봉(50)의 양단과 이에 각각 대응하는 양측 가이드홀(48)에 상호 걸림이 있도록 걸림턱(52)을 형성하여 양측 블록이 상호 제한된 간격 내에서 벌어짐과 오므려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양측 블록들이 상호 밀착되게 오므려진 상태의 고정키트(42)의 폭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28) 사이에 끼워지는 폭을 이루고, 고정키트(42)의 하측면이 밑면(12)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상술한 탄성부재(30)와 정렬고정홀(34)을 통해 삽입되는 정렬고정핀(36)이 정렬홈(32)에 끼워지는 것으로 정렬되어 놓이고, 이렇게 정렬되어 놓인 상태는 결합공(20)과 동파이프(P)의 중심이 동일선 상에서 있도록 하면서 고정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술한 가이드봉(50)의 양단에 형성한 걸림 구조는, 가이드홀(48)에 형성한 걸림턱(52)에 대응하여 양단 가장자리에 각각 스토퍼(54)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스토퍼(54)는 나사와 너트의 결합 또는 스냅링 등 통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스토퍼(54)와 걸림턱(52) 사이에는 패킹 등의 탄성편(56)을 구비토록 하여 이들 사이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키트(42)를 이루는 양측 블록은 각 가이드홀(48)의 걸림턱(52)이 가이드봉(50)의 양단에 마련한 스토퍼(54)에 걸리는 범위 내에서 벌어질 수 있고, 가이드봉(50)의 안내를 받아 상호 밀착되게 오므려지는 것이고, 이렇게 고정키트(42)를 이루는 양측 블록이 상호 밀착한 상태는 상술한 가이드홈(28) 사이에 충분히 끼워질 수 있는 상태를 이룬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가이드봉(50)의 길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마주보는 가이드홈(28)들 사이의 간격 이하의 길이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파이프 확관기(10)는, 확관구(58)를 구비한다.
상술한 확관구(58)는 일측이 전동공구 또는 렌치를 포함한 공구(T)와 연결되는 홀더축(60)과, 홀더축(60)의 타측에 연이어 형상한 바디부(61)와 바디부(61)의 타측에 연이은 중간 부위를 이루며 결합공(20) 또는 가이드부시(22)의 내경에 형성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62)와, 수나사부(62)의 타측에 연이어 형성되어 지지축(64) 및 지지축(64)의 타측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후진 및 회전으로 고정된 동파이프(P)의 선단을 확관하는 확관콘(66)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술한 수나사부(62)의 직경은 지지축(64)의 직경보다 더 넓게 형성되고, 지지축(64)과 접하는 수나사부(62)의 타측면은 타단으로 갈수록 약 30도 각도로 내측으로 더 연마되어 나선이 없는 제2테이퍼면(62a)이 형성된다.
이들 제2테이퍼면(62a)은 제1테이퍼면(21a)과 마찬가지로 확관구(58)를 확관방향으로 전진시 끼임 현상을 방지하고 동파이프(P)의 확관을 끝내고 확관구(58)를 후진시 공회전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술한 바디부(61)의 구성은 제1바디부(61a)와 제2바디부(61b)로 구분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제1바디부(61a)는 홀더축(60)을 일체로 연결한 것으로 하고, 제2바디부(61b)는 수나사부(62)를 별도의 구성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하여, 제1바디부(61a)와 제2바디부(61b) 상호 간에 종래 기술 설명에서 밝힌 바와 같이, 공구(T)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힘이 선택한 어느 일 방향으로만 회전력이 제공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바디부(61a)는 종래 기술 설명에서 회전레버(170)에 대응하는 구성으로서, 타측 가장자리 부위가 타측으로 연장 돌출한 내면에 치차를 형성한 것으로 하고, 제2바디부(61b)는 종래 기술 설명에서 레버몸체(140)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일측 중심 부위가 제1바디부(61a)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에 있도록 한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결합핀(150)에 대응하는 기술 구성으로 결합핀(70a)과, 종래 기술의 걸쇠(160)에 대비되는 걸쇠(70c)와, 종래 기술의 핸들(180)에 대비되어 힌지축(70d)을 기준으로 탄력적으로 선회하게 한 레버(70e) 및 종래 기술의 결합축(181)에 대비되는 중심축(70b)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살펴본 제1, 2바디부(61a, 61b) 및 이들 사이의 연결관계 각 구성은, 공구(T)가 오픈 렌치인 경우에 대응하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홀더축(60)에 연결되는 공구(T)가 회전력 방향 전환기능을 갖는 전동공구이거나 복스 렌치인 경우에는 상술한 제1, 2바디부(61a, 61b)와 수나사부(62)까지도 일체의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관기(10)로부터 동파이프(P)의 확관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고정키트(42)의 양측 블록을 벌린 상태에서 확관이 필요한 동파이프(P)를 대응하는 고정홈(38)들 사이에 놓고, 이어서 고정키트(42)의 양측 블록을 상호 근접시킴으로써 고정홈(38) 사이의 동파이프(P)를 가압하는 상태에 있도록 한다.
작업자는 고정키트(42)에 대하여 동파이프(P) 일단의 고정 위치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으며, 고정키트(42)의 양측 블록을 오므려 그 사이에 놓인 동파이프(P)를 가압 고정토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동파이프(P)를 고정한 고정키트(42)를 상술한 정렬부(16)의 가이드홈(28) 사이에 끼우도록 하고, 이렇게 가이드홈(28)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키트(42)는 탄성부재(30)와 정렬고정핀(36)의 가압에 의해 이미 설정한 정렬 기준위치에 놓이고, 이때 동파이프(P)의 중심은 결합공(20)의 중심과 동일선 상에 놓인다.
이어서, 작업자는 결합공(20)의 일측으로부터 확관구(58)의 타측 단부를 삽입하고, 결합공(20) 또는 가이드부시(22) 내의 암나사부에 대응하여 수나사부(62)의 나사결합으로 타측 선단에 위치한 확관콘(66)이 전진과 회전으로 대응하는 동파이프(P)의 일단을 확관한다.
이때, 동파이프(P)의 일측 단부는 확관에 의해 나팔관 형상으로 벌어지며, 그 선단의 가장자리 부위가 맞춤돌기(46)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서 확관지지부(40)의 일측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위의 과정을 통해 해당 동파이프(P)의 확관 작업이 종료되면, 작업자는 상술한 확관구(58)를 일측 방향으로 후퇴시키고, 정렬고정핀(36)을 통한 고정을 해제한 후 정렬부(16)로부터 고정키트(42)를 인출하는 것으로 작업이 완료된다.
10: 확관기 12: 밑면
14: 지지부 16: 정렬부
18: 몸체 20: 결합공
22: 가이드부시 24: 결합핀
26: 베어링 28: 가이드홈
30: 탄성부재 32: 정렬홈
34: 정렬고정홀 36: 정렬고정핀
38: 고정홈 40: 확관지지부
42: 고정키트 44: 논슬립부
46: 맞춤돌기 48: 가이드홀
50: 가이드봉 52: 걸림턱
54: 스토퍼 56: 탄성편
58: 확관구 60: 홀더축
61a: 제1바디부 61b: 제2바디부
62: 수나사부 64: 지지축
66: 확관콘 68: 정렬턱

Claims (7)

  1. 일측에 밑면과 나란한 결합공을 형성한 지지부와, 밑면의 타측 중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밑면과 수직하게 가이드홈을 형성한 정렬부로 이루어진 몸체;
    상호 마주보는 면에 대응하는 동파이프의 측면을 감싸는 고정홈과, 고정홈에 연이어 확관지지부를 하나 이상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정렬됨으로써 상기 결합공과 동파이프의 중심이 일선 상에 있도록 하는 고정키트; 및
    일측이 전동공구 또는 렌치를 포함한 공구와 연결되는 홀더축과, 중간 부위에 상기 결합공과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와, 타측에 전후진 및 회전으로 고정된 동파이프의 선단을 확관하는 확관콘을 구비한 확관구;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키트는 상기 고정홈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는 양측 블록을 관통하는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상기 각 가이드홀에는 양측블록에 걸쳐지는 가이드봉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봉의 양단과 이에 각각 대응하는 양측 가이드홀에 상호 걸림이 있도록 걸림턱을 형성하여 양측 블록이 상호 제한된 간격 내에서 벌어짐과 오므려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이프 확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내주면 중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 구간에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하여 나사결합 하는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부의 타측 단부에 연이은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에 암나사부보다 축소된 내경을 갖는 베어링의 설치가 이루어지며,
    상기 확관구는 상기 공구와 연결을 위한 홀더축과, 상기 홀더축의 타단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한 상기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의 타단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에 끼워져 지지를 받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의 타단에 연결되어 회전에 따른 표면이 대응하는 상기 확관지지부의 표면과 나란한 확관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이프 확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키트는 상기 고정홈의 내주면에 확관시 동파이프의 손상이나 뒤로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우레탄이나 고무의 설치 또는 표면 거칠기를 갖는 논슬립부를 마련하고, 상기 확관지지부의 주연에 동파이프의 일단 위치의 기준을 제시하는 맞춤돌기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이프 확관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 일측에는 상기 고정키트를 타측으로 탄력적으로 미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정렬부의 측벽에는 가이드홈 내측에 끼워지는 상기 고정키트의 측부에 마련한 정렬홈에 끼워지는 정렬고정핀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이프 확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 중 상호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키트의 양측 측벽에는 슬라이드홈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정렬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이프 확관기.
  7. 일측에 밑면과 나란한 결합공을 형성한 지지부와, 밑면의 타측 중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밑면과 수직하게 가이드홈을 형성한 정렬부로 이루어진 몸체;
    상호 마주보는 면에 대응하는 동파이프의 측면을 감싸는 고정홈과, 고정홈에 연이어 확관지지부를 하나 이상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정렬됨으로써 상기 결합공과 동파이프의 중심이 일선 상에 있도록 하는 고정키트; 및
    일측이 전동공구 또는 렌치를 포함한 공구와 연결되는 홀더축과, 중간 부위에 상기 결합공과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와, 타측에 전후진 및 회전으로 고정된 동파이프의 선단을 확관하는 확관콘을 구비한 확관구;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에 상기 수나사부에 대응하여 나사결합 하는 암나사부를 형성한 가이드부시가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부시의 일측면은 일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제1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부의 타측면은 타단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더 연마되어 나선이 없는 제2테이퍼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이프 확관기.
KR1020160150901A 2016-11-14 2016-11-14 동파이프 확관기 KR101838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901A KR101838916B1 (ko) 2016-11-14 2016-11-14 동파이프 확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901A KR101838916B1 (ko) 2016-11-14 2016-11-14 동파이프 확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916B1 true KR101838916B1 (ko) 2018-03-15

Family

ID=61659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901A KR101838916B1 (ko) 2016-11-14 2016-11-14 동파이프 확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91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529A (ko) * 2018-08-01 2020-02-11 주식회사 제이씨이엔지 멀티레버를 구비한 확관기
KR102151795B1 (ko) * 2020-03-09 2020-09-03 홍종화 철근 이음용 커플러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철근 이음용 커플러
CN111774490A (zh) * 2019-04-03 2020-10-16 海信(浙江)空调有限公司 一种连续攻压装置
KR102169391B1 (ko) * 2019-12-10 2020-10-26 하윤기 산업용 확관기
KR20210002648U (ko) * 2020-05-22 2021-11-30 변태원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KR20210002791U (ko) * 2020-06-05 2021-12-14 변태원 배관용 확관기
JP2022177640A (ja) * 2021-05-18 2022-12-01 株式会社イチネンTasco フレアツール用クラン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5151U (ja) * 1999-05-28 2000-01-28 康活實業有限公司 多機能を有する金属管油圧成形機
JP3065151B2 (ja) * 1991-12-16 2000-07-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標準名付与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5151B2 (ja) * 1991-12-16 2000-07-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標準名付与システム
JP3065151U (ja) * 1999-05-28 2000-01-28 康活實業有限公司 多機能を有する金属管油圧成形機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529A (ko) * 2018-08-01 2020-02-11 주식회사 제이씨이엔지 멀티레버를 구비한 확관기
KR102097280B1 (ko) 2018-08-01 2020-04-06 주식회사 제이씨이엔지 멀티레버를 구비한 확관기
CN111774490A (zh) * 2019-04-03 2020-10-16 海信(浙江)空调有限公司 一种连续攻压装置
KR102169391B1 (ko) * 2019-12-10 2020-10-26 하윤기 산업용 확관기
KR102151795B1 (ko) * 2020-03-09 2020-09-03 홍종화 철근 이음용 커플러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철근 이음용 커플러
WO2021182705A1 (ko) * 2020-03-09 2021-09-16 홍종화 철근 이음용 커플러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철근 이음용 커플러{rebar joint coupler manufacturing method and rebar joint coupler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KR20210002648U (ko) * 2020-05-22 2021-11-30 변태원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KR200496751Y1 (ko) 2020-05-22 2023-04-18 변태원 냉매 배관용 확관 공구
KR20210002791U (ko) * 2020-06-05 2021-12-14 변태원 배관용 확관기
KR200496752Y1 (ko) * 2020-06-05 2023-04-17 변태원 배관용 확관기
JP2022177640A (ja) * 2021-05-18 2022-12-01 株式会社イチネンTasco フレアツール用クランプ
JP7350804B2 (ja) 2021-05-18 2023-09-26 株式会社イチネンTasco フレアツール用クラン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916B1 (ko) 동파이프 확관기
KR101506736B1 (ko) 파이프용 클램프
US4108589A (en) Tool for flaring plastic pipe
TWI592264B (zh) 夾鉗裝置
AU2018101262A4 (en) Quick-Disassembly Nipple Connector Structure
US20140020225A1 (en) Assembly tool and method of using
BR112014027312B1 (pt) Ferramenta de extração para um inserto de bobina espiral sem haste
BRPI0611895A2 (pt) curvador de tubo, suporte de fecho de mola, pivÈ, retentor de tubo, e método de curvatura de tal tubo
KR101735288B1 (ko) 동파이프 확관기
BRPI0721663A2 (pt) multiacoplador
US6931965B1 (en) Portable pipe tong and method of use
KR200444184Y1 (ko) 휴대용 파이프 확관기
US2681582A (en) Stud driving and removing wrench
US2038262A (en) Insert pipe wrench
CN103538020A (zh) Bnc连接器螺母夹持器和驱动器
KR102169391B1 (ko) 산업용 확관기
CN206811191U (zh) 电钻夹头
JP2019038052A (ja) オイルシール取外し治具
TWI576207B (zh) Floating air pressure angle solid double clamp vise structure
TWM312389U (en) Universal sleeve
JP2006114334A (ja) 電球交換器具
CN111372741B (zh) 扩径孔部的穿孔装置
JP3863101B2 (ja) スクレーパー装置
US1297457A (en) Tube-flanging implement.
CN108788253A (zh) 电钻夹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