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791U - 배관용 확관기 - Google Patents

배관용 확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791U
KR20210002791U KR2020210003246U KR20210003246U KR20210002791U KR 20210002791 U KR20210002791 U KR 20210002791U KR 2020210003246 U KR2020210003246 U KR 2020210003246U KR 20210003246 U KR20210003246 U KR 20210003246U KR 20210002791 U KR20210002791 U KR 202100027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it
male screw
pressing member
mov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752Y1 (ko
Inventor
변태원
Original Assignee
변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태원 filed Critical 변태원
Priority to KR2020210003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752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7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7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7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21D41/026Enlarging by means of mandrels
    • B21D41/028Enlarging by means of mandrels expandable mand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용 확관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동공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치부와, 상기 렌치부의 일단 측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둘레 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선단으로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콘 형상의 비트부로 구성되는 이동 가압부재; 상기 이동 가압부재가 통과되는 통과 홀이 형성되고, 상기 통과 홀의 내주 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용 확관기{Tool for pipe expanding}
본 고안은 배관용 확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 공구에 연결하여 어느 하나의 배관 단부를 다른 하나의 배관 단부가 삽입되어 서로 기밀있게 연결하기 위하여 확관시키도록 하는 배관용 확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의 냉매 배관, 가스 배관 등과 같은 각종 배관을 실외기 또는 실내기 등의 기계적 장치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배관 등의 연결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일 예로, 실내기와 실외기의 간격이 준비된 배관의 길이보다 긴 경우, 준비된 배관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배관 등은 동 재질의 연질금속인 것이 제공되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배관들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어느 하나의 배관 단부를 확관시킨 후, 확관된 확관부에 다른 하나의 배관 단부를 삽입하여 기밀있게 결합시키게 된다.
즉, 준비된 배관(10,20)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직경이 동일한 것들이 제공되는바, 어느 하나의 배관(10)과 다른 하나의 배관(2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용접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는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배관(10) 단부를 일정 간격만큼 확관시킨 후, 이 확관된 확관부(12)에 다른 하나의 배관(20) 단부를 삽입시켜서 연결시키게 된다.
종래에는, 어느 하나의 배관 단부를 확관시키기 위해서 작업자가 확관시키고자 하는 배관의 직경에 맞는 확관 비트를 구비하고, 이 확관 비트를 지렛대 작용에 의해 확장시키는 수동 확관기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확관 비트를 배관의 단부에 삽입시킨 후, 수동 확관기를 가압시켰었다.
즉, 작업자가 수동 확관기의 양 손잡이를 잡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힘을주어 가압함으로써, 배관의 단부에 삽입된 확관 비트가 확장되도록 하여 배관의 단부를 확관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수동으로 배관의 단부를 확관시켜야 함으로써, 그 작업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즉, 작업자가 비 숙련자의 경우 해당 확관 비트를 배관의 단부와 정확히 일치시키지 못하여 확관부가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게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배관의 단부를 절단하여 확관 작업을 다시 수행해야 하는 등, 그 작업 효율이 매우 좋지 못하게 됨은 물론, 작업자가 확관 작업을 위해 수동으로 확관기를 가압해야 함으로써, 힘이 많이 수요되는 등 역시 작업성이 매우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큰 힘을 들여서 수동으로 확관기를 가압할 때, 배관이 반대 쪽으로 밀리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플레이어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배관을 고정시킨 후, 확관이 이루어지는 단부 쪽으로 밀어줘야 하는데, 이 경우 배관의 고정을 위한 지지부위가 손상되거나 찌그러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 경우 냉매의 원활한 유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에어컨 설비의 고장 원인이 되고, 특히 기밀성이 유지되지 않아 에어컨 설비의 기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3355호(2016.06.20.)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동 공구에 연결하여 어느 하나의 배관 단부를 다른 하나의 배관 단부가 삽입되어 서로 기밀있게 연결하기 위하여 확관시키도록 하는 배관용 확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른 배관과 기밀있게 연결하기 위하여 어느 배관의 단부를 확관시키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정확하게 대칭을 이루는 확관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확실한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에어컨 설비의 고장 또는 기능저하의 원인을 불식시킬 수 있는 배관용 확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작업자가 전동공구에 연결하여 회전력에 의해 배관의 단부를 확관시킬 때, 작업자가 비 숙련자이더라도 용이하게 확관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마찰에 따라 발생되는 열을 감소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는 배관용 확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는, 전동공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치부와, 상기 렌치부의 일단 측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둘레 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선단으로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콘 형상의 비트부로 구성되는 이동 가압부재; 상기 이동 가압부재가 통과되는 통과 홀이 형성되고, 상기 통과 홀의 내주 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의 둘레 면에는 중간의 일정 간격을 두고 제1 수나사부와 제2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나사부와 제2 수나사부 사이에는 무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는, 외면으로부터 관통되어 그 단부가 상기 무나사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와 상기 비트부는 서로 연동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베어링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부는, 그 둘레 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일측 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되, 그 지름이 상기 제1 몸체보다 작은 제2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몸체의 둘레 면에 상기 베어링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비트부의 일측 단에는 상기 제2 몸체 및 베어링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홈을 갖는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는, 상기 고정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 내에서 상기 이동 가압부재의 전,후진에 따라 확장 및 수축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확관 편을 갖는 확관 비트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에 의하면, 전동공구에 연결하여 회전력에 의해 배관의 단부가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확관됨으로써, 그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다른 배관과 기밀있게 연결하기 위하여 어느 배관의 단부를 확관시키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정확하게 대칭을 이루는 확관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확실한 기밀성이 유지되어 에어컨 설비의 고장 또는 기능저하의 원인이 불식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에 의하면, 전동공구에 연결하여 회전력에 의해 배관의 단부가 확관될 때, 확관부의 길이가 결정됨에 따라 비 숙련의 작업자의 경우에도 정확한 치수의 확관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등, 그 작업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마찰에 따라 발생되는 열이 감소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서로 연결되기 위한 배관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어느 하나의 배관 단부에 확관부가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가 확관 비트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에 의해 배관의 단부가 확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에 의해 배관의 단부가 확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에 의해 배관의 단부가 확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각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공장 등의 실내 공간에 에어컨디셔너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배관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 때, 실내기와 실외기의 간격에 따라 배관의 길이가 달라지게 되는데, 필요한 경우 일정 길이를 갖는 배관들을 서로 연결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배관들의 단부를 연결시키게 되는데, 이 때 서로 다른 배관들의 직경은 동일한 것들이 제공되는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배관 단부를 일정 길이만큼 확관시킨 후, 확관된 배관의 확관부에 다른 하나의 배관 단부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기밀있게 결합시키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로서 확관하고자 하는 배관은, 냉매 배관, 가스 배관, 온수 배관 등 다양한 배관일 수 있으며,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에 의해 확관이 이루어지도록 동 등의 연질금속 재질로 제작된 배관일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가 확관 비트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에 의해 배관의 단부가 확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100)는, 전동공구(도면부호 미부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치부(116)와, 이 렌치부(116)의 일단 측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둘레 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몸체부(114) 및 이 몸체부(114)의 일단으로부터 선단으로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콘(Cone) 형상의 비트부(112)로 구성되는 이동 가압부재(11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100)는, 이동 가압부재(110)가 통과되는 통과 홀(126)이 형성되는 고정부재(12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120)의 통과 홀(126)에는 몸체부(114)의 수나사부와 나사체결되기 위하여 그 내주 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20)는, 일정 크기의 지름을 갖는 제1 파트(124)와, 이 제1 파트(124)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되 제1 파트(124)보다 큰 지름을 갖는 제2 파트(122)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파트(122)의 외주 둘레 면에는 후술되는 확관 비트(15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고정부재(120)의 통과 홀(126)은 제1 파트(124)와 제2 파트(122)를 모두 관통하여 형성되되, 제1 파트(124)에 위치하는 통과 홀(126) 부분에만 암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파트(122)에 위치하는 통과 홀(126) 부분에도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100)는, 고정부재(120)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기 위하여 그 내주 면에 일정 길이만큼 암나사부가 형성된 원통 형의 케이스부재(152)와, 이 케이스부재(152) 내에서 확장 및 수축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확관 편(156)을 갖는 확관 비트(1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확관 편(156)들의 후단 측에는 이동 가압부재(110)의 비트부(112) 선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콘 형상의 삽입 홈(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확관 비트(150)는 종래에 공지된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 중 미설명부호 (154)는 복수의 확관 편(156)들이 확장될 때, 그 일단이 수용되기 위하여 케이스부재(152)에 형성된 이동홈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100)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배관 단부를 확관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 가압부재(110)와 고정부재(120)를 결합시킨다.
즉, 이동 가압부재(110)의 비트부(112)를 고정부재(120)의 통과 홀(126)에 삽입시킨 후, 이동 가압부재(110)의 몸체부(114) 둘레 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고정부재(120)의 통과 홀(126) 내주 면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나사체결시키면서, 이동 가압부재(110)를 고정부재(120)에 대하여 결합시킨다.
이 때, 이동 가압부재(110)의 비트부(112) 선단은 고정부재(120)의 통과 홀(126)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시점까지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120)에 대하여 나사체결에 의해 이동 가압부재(11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120)는 다시 확관 비트(150)와 결합시킨다.
즉, 확관 비트(150)의 케이스부재(152) 내주 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에 대하여 고정부재(120)의 제2 파트(122) 둘레 면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삽입하여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확관 비트(150)와 고정부재(120)를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시키게 되면, 이동 가압부재(110)의 비트부(112) 선단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관 비트(150)의 확관 편(156)들 후단 중앙 부위에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다음에, 이동 가압부재(110)의 렌치부(116)를 전동공구와 결합시키고, 확관 비트(150)의 확관 편(156)들을 확관하고자 하는 배관(10)의 단부에 삽입시킨 후, 전동공구를 작동시키게 되면, 렌치부(116)의 회전에 의해 이동 가압부재(110)가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고정부재(120)에 대하여 한쪽 방향 즉, 배관(10) 쪽으로 전진하게 됨으로써, 비트부(112)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확관 편(156)들을 방사 상으로 벌려주게 되는바, 복수의 확관 편(156)이 삽입된 배관의 단부는 그 지름이 커지면서 확관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배관(10)의 일측 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관부(12)로 형성됨으로써, 이 확관부(12)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배관(20)의 일측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시키면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서는 고정부재(120)에 대하여 이동 가압부재(110)를 결합시키고, 고정부재(120)에 대하여 확관 비트(150)를 결합시킨 후, 이동 가압부재(110)의 렌치부(116)를 전동공구와 결합시키는 순서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그 결합순서는 작업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100)에 의하면, 전동공구에 연결하여 회전력에 의해 배관의 단부가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확관됨으로써, 그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다른 배관과 기밀있게 연결하기 위하여 어느 배관의 단부를 확관시키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정확하게 대칭을 이루는 확관부(12)를 형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확실한 기밀성이 유지되어 에어컨디셔너 설비의 고장 또는 기능저하의 원인이 불식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있다.
한편,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100)에 의해 배관의 단부가 확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1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실시 예에서의 배관용 확관기(1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100)는, 앞선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100)와 비교했을 때, 가압 이동부재의 몸체부(114) 둘레 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의 길이를 줄이고, 고정부재(120)에 스토퍼(128)를 제공함으로써, 고정부재(120)에 대하여 가압 회전부재가 회전되면서 배관 쪽으로 이동하게 될 때 마찰 면적을 줄여 마찰에 따른 열 발생을 줄이고, 가압 회전부재의 이동 길이를 제한하여 비 숙련자도 정확한 치수의 지름을 갖는 확관부(12)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관용 확관기(100)는, 이동 가압부재(110)의 몸체부(114)에서 선단 측 둘레 면에 일정 간격만큼 제1 수나사부(114a)가 형성되고, 후단 측 둘레 면에도 일정 간격만큼 제2 수나사부(114a)가 형성되며, 제1 수나사부(114a)와 제2 수나사부(114a) 사이에는 일정 간격만큼 무나사부(114b)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20)의 일측에는 외면으로부터 관통하여 그 선단 일부가 통과 홀(126)에 배치되도록 하는 스토퍼(128)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28)의 단부는 몸체부(114)의 무나사부(114b) 둘레 면과 접촉은 이루어지되, 마찰 저항을 받지 않아 미끄러짐이 가능하게 되는 반면, 제1 수나사부(114a) 또는 제2 수나사부(114a)에 대해서는 걸림 발생에 의해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통과 홀(126)에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동 가압부재(110)의 비트부(112) 선단이 확관 비트(150)의 확관 편(156)들 후단 쪽에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되되, 복수의 확관 편(156)들을 확장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토퍼(128)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4)의 제1 수나사부(114a)와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전동공구를 작동시킴에 따라 이동 가압부재(110)의 몸체부(114) 둘레 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 수나사부(114a) 및 제2 수나사부(114a)가 고정부재(120)의 암나사부와 나사체결되면서 한 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토퍼(128)가 몸체부(114)의 제2 수나사부(114a)와 밀착된 상태가 되면 이동 가압부재(110)는 고정부재(120)에 대하여 더 이상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참고로, 도 7a 및 도 7b에서는 무나사부(114b)의 지름이 제1 수나사부(114a) 및 제2 수나사부(114a)의 지름과 큰 차이가 없도록 도시되었으나, 무나사부(114b)의 지름이 제1 수나사부(114a) 및 제2 수나사부(114a)의 지름보다 현저히 작게 형성하고, 스토퍼(128)의 길이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이동 가압부재(110)의 전,후진 간격을 제한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비 숙련자이더라도 이동 가압부재(110)의 전,후진 간격이 제한됨에 따라 배관의 단부 측에 보다 정밀한 치수의 지름을 갖는 확관부(12)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동 가압부재(110)를 과도하게 전진시키게 되면, 비트부(112)가 확관 비트(150)의 확관 편(156)들을 필요 이상으로 확장시킴에 따라 배관의 확관부(12)를 설정된 지름보다 크게 확관시키고 또한 이에 따라 배관의 확관부(12) 또는 확관 비트(150)가 파손되는 등의 우려가 있을 수 있게 되는데,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100)에 의하면, 이동 가압부재(110)의 전,후진 간격이 제한됨에 따라 확관 편(156)들의 확장 간격이 제한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이 불식되는 등, 그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동 가압부재(110)의 몸체부(114)에서 그 전체 둘레 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지 않고, 일부가 무나사부(114b)로 형성됨으로써, 고정부재(120)의 통과 홀(126)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대하여 이동 가압부재(110)가 나사체결에 의해 회전될 때, 그 마찰 면적이 줄어 들게 되는바, 마찰에 따른 열 발생이 줄어들게 되어 결국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100)에 의해 배관의 단부가 확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1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실시 예들에서의 배관용 확관기(1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100)는, 앞선 실시 예들에 따른 배관용 확관기(100)와 비교했을 때, 가압 이동부재의 몸체부(114)와 비트부(112)가 베어링부재(114-3)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몸체부(114)의 회전 시 비트부(112)는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전,후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에 차이가 있다.
즉, 이동 가압부재(110)의 몸체부(114)가 고정부재(120)와 나사체결에 의해 회전되면서 전진하게 될 때, 비트부(112)는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비트부(112)가 확관 비트(150)의 확관 편(156)들을 확장시킬 때 회전에 따른 마찰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에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배관용 확관기(100)는, 이동 가압부재(110)의 몸체부(114)가 그 둘레 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 몸체(114-1)와, 이 제1 몸체(114-1)의 선단 중앙 부위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되 그 지름이 제1 몸체(114-1)에 비하여 작게 형성된 제2 몸체(114-2)로 구성되고, 제2 몸체(114-2)의 둘레 면에는 베어링부재(114-3)가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비트부(112)는 그 일단에 제2 몸체(114-2) 및 베어링부재(114-3)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2-1)을 갖는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비트부(112)의 연장부에 형성되는 수용홈(112-1)에 몸체부(114)의 제2 몸체(114-2)와 베어링부재(114-3)를 삽입하여 비트부(112)의 연장부 내면과 베어링부재(114-3)를 결합시키게 되면, 몸체부(114)가 회전하게 되더라도 비트부(112)는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 가압부재(110)가 몸체부(114)와 비트부(112)가 서로 연동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전동공구를 작동시킴에 따라 이동 가압부재(110)가 고정부재(120)에 대하여 나사체결에 의해 회전되면서 전진하게 될 때, 몸체부(114)의 제1 몸체(114-1) 및 제2 몸체(114-2)는 회전이 이루어지는 반면, 비트부(112)는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전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비트부(112)가 확관 비트(150)의 확관 편(156)들 후단 측에 형성된 삽입 홈을 통해 삽입되면서 각 확관 편(156)들을 확관시킬 때, 비트부(112)가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각 확관 편(156)들과의 마찰 저항이 감소하게 됨으로써, 마찰에 따른 열 발생을 감소시키게 되어 결국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 배관 12 : 확관부
100 : 확관기 110 : 이동 가압부재
112 : 비트부 112-1 : 수용홈
114 : 몸체부 114a : 제1 수나사부,제2수나사부
114b : 무나사부 114-1 : 제1 몸체
114-2 : 제2 몸체 114-3 : 베어링부재
116 : 렌치부 120 : 고정부재
122 : 제2 파트 124 : 제1 파트
126 : 통과 홀 128 : 스토퍼
150 : 확관 비트 152 : 케이스부재
154 : 이동홈 156 : 확관 편

Claims (5)

  1. 전동공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치부와, 상기 렌치부의 일단 측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둘레 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선단으로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콘 형상의 비트부로 구성되는 이동 가압부재;
    상기 이동 가압부재가 통과되는 통과 홀이 형성되고, 상기 통과 홀의 내주 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확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둘레 면에는 중간의 일정 간격을 두고 제1 수나사부와 제2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나사부와 제2 수나사부 사이에는 무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는, 외면으로부터 관통되어 그 단부가 상기 무나사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확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비트부는 서로 연동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베어링부재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확관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그 둘레 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일측 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되, 그 지름이 상기 제1 몸체보다 작은 제2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몸체의 둘레 면에 상기 베어링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비트부의 일측 단에는 상기 제2 몸체 및 베어링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홈을 갖는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확관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 내에서 상기 이동 가압부재의 전,후진에 따라 확장 및 수축이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확관 편을 갖는 확관 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확관기.
KR2020210003246U 2020-06-05 2021-10-26 배관용 확관기 KR200496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246U KR200496752Y1 (ko) 2020-06-05 2021-10-26 배관용 확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092 2020-06-05
KR2020210003246U KR200496752Y1 (ko) 2020-06-05 2021-10-26 배관용 확관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092 Division 2020-06-05 2020-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791U true KR20210002791U (ko) 2021-12-14
KR200496752Y1 KR200496752Y1 (ko) 2023-04-17

Family

ID=78944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246U KR200496752Y1 (ko) 2020-06-05 2021-10-26 배관용 확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7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712A (ko) 2022-06-16 2023-12-26 오영철 에어컨 배관 확관기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9975A (ja) * 1997-12-12 1999-06-29 Flowell:Kk チューブ材拡管用の治具
JPH11226675A (ja) * 1998-02-13 1999-08-24 Inoac Corporation:Kk フレアー工具
KR20050112639A (ko) * 2004-05-27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확관장치키트
KR101546368B1 (ko) * 2014-03-27 2015-08-24 명은상 휴대용 확관기
KR101603978B1 (ko) * 2015-12-03 2016-03-16 정구왕 파이프 확관 펀치
KR101633355B1 (ko) 2016-02-25 2016-06-27 주식회사 동현정밀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KR101668633B1 (ko) * 2016-03-24 2016-10-24 김순석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KR101838916B1 (ko) * 2016-11-14 2018-03-15 정구왕 동파이프 확관기
KR101849491B1 (ko) * 2017-02-02 2018-04-17 김재호 기울어진 프레어 헤드를 갖는 전동식 파이프 사라기
JP2019150835A (ja) * 2018-02-28 2019-09-12 オーエヌ工業株式会社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の拡管装置
KR102064084B1 (ko) * 2018-08-03 2020-01-08 김재호 사라 터짐방지용 전동식 파이프 사라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9975A (ja) * 1997-12-12 1999-06-29 Flowell:Kk チューブ材拡管用の治具
JPH11226675A (ja) * 1998-02-13 1999-08-24 Inoac Corporation:Kk フレアー工具
KR20050112639A (ko) * 2004-05-27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확관장치키트
KR101546368B1 (ko) * 2014-03-27 2015-08-24 명은상 휴대용 확관기
KR101603978B1 (ko) * 2015-12-03 2016-03-16 정구왕 파이프 확관 펀치
KR101633355B1 (ko) 2016-02-25 2016-06-27 주식회사 동현정밀 다구경 겸용 확관드릴
KR101668633B1 (ko) * 2016-03-24 2016-10-24 김순석 파이프 단부 확관드릴
KR101838916B1 (ko) * 2016-11-14 2018-03-15 정구왕 동파이프 확관기
KR101849491B1 (ko) * 2017-02-02 2018-04-17 김재호 기울어진 프레어 헤드를 갖는 전동식 파이프 사라기
JP2019150835A (ja) * 2018-02-28 2019-09-12 オーエヌ工業株式会社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の拡管装置
KR102064084B1 (ko) * 2018-08-03 2020-01-08 김재호 사라 터짐방지용 전동식 파이프 사라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712A (ko) 2022-06-16 2023-12-26 오영철 에어컨 배관 확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752Y1 (ko) 202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2806B2 (en) Installation/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999529A (en) Expanding tool for pipes
KR20210002791U (ko) 배관용 확관기
US8226127B2 (en) Clamp fitting for a pipe
ITRM20060168A1 (it) Utensile per l espansione di tubi
WO2015019629A1 (ja) アンカーボルト
US83220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flanges
JP2005337326A (ja) 管継手
JP6613060B2 (ja) 継手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124862A (ja) パイプの分岐部および分岐管ユニットとそれらの製造方法
JP6414914B2 (ja) 分岐マニホールドの製造方法
KR20150072991A (ko) 냉매관 연결부재
JP2009142877A (ja) 管端修正具
JP3205452U (ja) 管継手
US3247695A (en) Tube expansion tool
US3221528A (en) Tube expansion tool
US2898970A (en) Telescoping tubular expander and cylindrical pilot for expanding metal tubing in situ when end of tubing is clamped around inserted pilot
JP4493860B2 (ja) 接合構造
CN112045623B (zh) 管道对接辅助安装方法
US20240142035A1 (en) Conduit Bore Plugging Tool
KR102439931B1 (ko) 파이프 연결구
US372995A (en) Leon verbeeck and eduabd de e aet
US11353146B2 (en) Tube connection
KR20230172712A (ko) 에어컨 배관 확관기
JP4439237B2 (ja) 管端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